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61
목차 1. 세계 및 러시아 에너지부문의 현황, 도전, 향후 전망 2.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추진단계 3. 연료에너지산업 발전 방향과 과제 4. 국가 에너지 거버넌스와 발전 과제 5. 시행방안 6. 기대효과 현안인사이트 15-4호 2015.12 러시아는 5년 단위로 중장기 에너지전략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으며, 지난 9월에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발표하였음.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서방의 경제제재와 저유가 상황에서 연료에너지산업이 국가경제에서 미치는 파급효과를 극대하고, 아 태지역으로의 에너지 자원 수출을 크게 증대시키며, 국가 에너지 공급시스템의 현대화 및 혁신활동을 촉진시킴으로써 국제 에너지시장에서 영향력 강화, 국제무대에서 국가위상 제고, 그리고 경제의 빠른 회복 및 지속적 성장을 실현시키려고 함.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Transcript of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Page 1: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목차

1. 세계 및 러시아 에너지부문의 현황, 도전, 향후 전망

2.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추진단계

3. 연료에너지산업 발전 방향과 과제

4. 국가 에너지 거버넌스와 발전 과제

5. 시행방안

6. 기대효과

현안인사이트15-4호

2015.12

러시아는 5년 단위로 중장기 에너지전략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으며, 지난

9월에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를 발표하였음.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서방의 경제제재와 저유가 상황에서 연료에너지산업이

국가경제에서 미치는 파급효과를 극대하고, 아・태지역으로의 에너지 자원

수출을 크게 증대시키며, 국가 에너지 공급시스템의 현대화 및 혁신활동을

촉진시킴으로써 국제 에너지시장에서 영향력 강화, 국제무대에서 국가위상

제고, 그리고 경제의 빠른 회복 및 지속적 성장을 실현시키려고 함.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Page 2: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Page 3: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1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해외정보분석실 이성규 연구위원([email protected]), 이주리([email protected])

목 차

<서론> p.2

1. 세계 및 러시아 에너지부문의 현황, 도전, 향후 전망 p.4

1.1. 에너지부문 발전의 국내 문제와 발전 가능성

1.2. 연료에너지산업의 대외 도전과 수출 전망

2.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추진단계 p.8

2.1. 에너지부문의 목표 및 발전과제

2.2. 국가 에너지정책의 우선순위

2.3. 추진단계

3. 연료에너지산업 발전 방향과 과제 p.12

3.1. 석유산업

3.2. 가스산업

3.3. 석유・가스화학산업

3.4. 석탄산업

3.5. 전력산업

3.6. 원자력산업 및 핵연료 사이클

3.7. 재생에너지산업

4. 국가 에너지 거버넌스와 발전과제 p.27

4.1. 지하자원

4.2.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 향상

4.3. 환경보호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4.4. 수입대체 프로그램과 연관 산업과의 협력

4.5. 과학・기술 및 혁신 활동

4.6. 사회부문 발전과 인력개발

4.7. 지역정책

4.8. 국제관계

5. 시행방안 p.42

6. 기대효과 p.45

<결론> p.47

[부록 1] ES-2035의 주요 에너지 지표 전망(2035년)

[부록 2] ES-2035의 에너지원별 전망(2035년)

Page 4: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2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서론>

¡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이하 ‘ES-2035’)는 2009년 11월 13일의 러시아연방 정

부령(No.1715-r)으로 승인한 「러시아 에너지전략-2030」 개정과 관련하여 러시아

연방 대통령의 위임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기본적으로 러시아 정부의 ‘에너지전

략’은 5년마다 개정됨.

‒ 에너지전략의 분석대상 기간은 러시아연방 정부령(2013년 10월 30일 러시아연

방정부 의사록 No.38)에 따라 2035년으로 연장되었음.

‒ ES-2035는 「러시아연방의 전략계획에 관한 2014년 6월 28일의 연방법」(이하

‘전략계획에 관한 법’)에 의거해 작성되었고, 에너지부문(석유, 가스, 석탄, 전력, 화력 등)에 대한 정부 내 부처들의 통합된 에너지전략임.

‒ ES-2035는 다음 문서에 의거해 작성되었음.

・ 2014년 12월 4일 러시아연방 연방의회에 전달하는 ‘러시아연방 대통령의 연

례서한’

・ 2015년 5월 14일 러시아연방 정부에 의해 승인된(No.2914p-P13) ‘2018 러시

아연방정부의 주요 방향’

・ 2014년 1월 3일 러시아연방 정부에 의해 승인된 ‘2030 러시아연방 과학기술

발전 전망’

・ 러시아 에너지부 요청에 의해 러시아 경제개발부가 제출한(2015년 6월 10일

No.15339-AB/DOZi) ‘러시아연방 사회경제발전의 장기 전망’의 주요 항목

・ 2009년 5월 12일 러시아연방 대통령령 No.537에 의해 승인된 ‘2020 러시아연

방 국가안보전략’

・ 2012년 11월 29일 러시아연방 대통령에 의해 승인된 ‘에너지안보 독트린’

‒ ES-2035는 러시아 에너지부 산하 위원회, 연료에너지 기업, 전문가 단체 등의

자문을 통해 작성되었음.

¡ ES-2035는 매년 실시되는 「러시아 에너지전략-2030」(이하 ‘ES-2030’)의 모니터

링 결과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모니터링 결과에는 국내소비, 1차에너지 생산, 전력 생산 등 전반적으로 ES-2030의 추진 1단계에서 검토되는 연료에너지산업

의 모든 정량적 변수들이 포함됨.

‒ 반면, ES-2030의 일부 시책들은 완전히 실행되지 못했을 뿐더러 몇몇 목표 수

치들은 달성되지 못했음.

* 본 고는 2015년 10월 1일, 러시아 정부에 제출된 에너지부의 ‘Energy Strategy of Russia for the

period up to 2035’ 전체를 번역・정리한 것임. 2035년까지의 1차에너지 수급, 에너지원별 생산 및

수출 관련 구체적인 전망 수치들은 부록 참조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ES-2035)는 2009년 11월 13일에 승인된 러시아 에너지전략-2030을 저유가 및 서방 제재 상황에 맞게 개정한 것임”

Page 5: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3

‒ 또한, 경제의 에너지집약도 개선 정도는 ES-2030 수치에 못 미치며, ES-2030에

제시된 에너지 자원의 국내 소비 대비 수출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으며, 연료에너지산업 내 석탄 비중도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고 있음.

¡ 2014년에 발발한 지정학적 위기로 주변 선진국들은 금융 및 기술부문에서 對러

시아 제재를 시행하였으며, 국제 유가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 이러한 지정

학적 위기와 저유가 상황은 연료에너지산업 발전에 대한 추가분석과 전망지표의

실질적인 수정을 요구했음.

‒ 이를 포함한 여러 변수들은 세계경제의 장기 성장추이를 변화시켰고, 국제 에너

지 시장에서 에너지 생산・수출국 간 경쟁을 심화시키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이

하게 하였음.

‒ 이와 관련하여 ES-2035에서는 ES-2030에서 채택된 우선순위, 발전과제, 시행

지표, 전망 시나리오 등을 수정하였음.

‒ 연료에너지산업 발전의 전략적 문제들에 대해 현실적인 대안들이 검토・평가되

었으며, 당면과제 해결과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종합대책이 마련되었음.

‒ ES-2035에 명시된 종합대책에는 ES-2035 시행 중에 다른 대책들이 추가로 포

함・실시될 수 있음.

‒ ES-2035의 시행 및 전망 기간은 두 단계로 구분됨.

・ 1단계: 2015~2020년 (2022년까지 연장 가능)

・ 2단계: 2021~2035년

¡ 연료에너지산업의 발전대책과 전망을 위해 ‘보수적 시나리오’와 ‘낙관적 시나리

오’ 등 두 가지 시나리오가 설정・작성되었음. 기준연도는 2014년으로 하였으며, 전망치는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산하 에너지연구소(The Energy Research Institute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ERIRAS’)의 Scanner Modeling-Information Complex에 의해서 도출되었음.

‒ 보수적 시나리오에서는 러시아 경제개발부가 전망한 주요 변수들이 채택되었음. 여기서는 연료 및 에너지원별 수요 전망을 위해 다른 산업별 및 러시아 연방관

구별 주요 지표 전망치, 에너지 수출 전망, 그리고 연료에너지산업 발전방향 등

이 고려되었음.

・ 상기 시나리오에는 2014년 미국과 EU가 실시한 금융・에너지 부문에 대한

對러시아 제재안이 반영되었고, 2015년 Ural유* 평균 가격이 배럴당 55달러

까지 하락하고 5년 사이에 배럴당 80달러 선으로 회복하고, 2035년에 95~105달러까지 상승한다는 가정을 각각 적용하였음.

* Ural유는 러시아의 해외 수출원유이며, 러시아 여러 매장지에서 생산된 원유들의 혼합물

“ES-2035에는 서방제재와 저유가 상황에서 보수적 시나리오와 낙관적 시나리오에 따라 2035년까지 전망 제시”

Page 6: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4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러시아 GDP는 2015~2035년 동안 1.5배 증가, 동 기간에 연평균 1.9% 완만한

경제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음.

‒ 낙관적 시나리오는 에너지 자원에 대한 세계 수요 및 국제 가격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러시아 경제성장 가속화와 국민복지 향상을 위한 러시아 에너지 자원

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음.

・ ES-2035에서 검토・고려된 제도, 조세정책, 투자 프로젝트 등을 통해 러시아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것임. 1) 부가가치 상승

2) 러시아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현대적 에너지 개발・수송 인프라 확충

3) 혁신기술을 통한 에너지효율 제고와 완만한 에너지가격 상승세 속에서 모

든 에너지 자원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접근성 향상

4) 연료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 증대와 러시아 경제 전체로 파급효과 증대

・ 시너지 효과를 고려하면, 2015년부터 2035년까지 GDP는 연평균 3.1%, 총 1.9배 증가, 향후 10년간 경제성장률은 연간 4% 달성할 것임.

¡ ES-2035에서는 혁신적 기술들이 러시아 연료에너지산업 발전에 광범위한 긍정

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으며, ES-2035 목표 실현을 위해 필요한 투자자금

조달에 대한 평가가 시행되었으며, 주요 투자재원으로 정부예산 이외의 재원을

근간으로 하였음.

1. 세계 및 러시아 에너지부문의 현황, 도전, 향후 전망

¡ 러시아 연료에너지산업은 러시아 사회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연방 예

산 수입에서 연료에너지산업의 비중은 약 1/3, 수출에서는 약 70%를 차지함.

‒ 국내 경제활동인구에서 연료에너지산업 종사자의 비중은 3.7%이지만, GDP에서 연료에너지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5~26%임.

‒ 러시아는 세계 에너지 자원 수출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1차에너지 생

산량의 절반을 해외로 수출하고 있음.

1.1. 에너지부문 발전의 국내 문제와 발전 가능성

¡ 러시아는 적어도 21세기까지 에너지의 국내수요를 충족시키고 합리적 수준으로

연료에너지 수출을 가능케 하는 막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에너지소

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에너지절약 잠재력과 에너지 투자프로젝트를 통한 에너

지 효율을 증대시킬 가능성도 보유하고 있음.

‒ 극동지역 및 동시베리아 지역의 천연자원 개발 및 수출에 초점을 맞춘 대규모

“연료에너지산업은 러시아 사회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연방예산 수입에서 연료에너지산업 비중은 약 1/3, 수출에서는 약 70% 차지”

Page 7: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5

연료기반의 고품질 원자재 및 가공품 생산을 위한 에너지산업단지 조성은 연료

에너지산업 발전의 강력한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음.

‒ 한편, 러시아의 사회경제발전 및 세계 에너지시장 상황에 대한 현황분석 및 전

망을 보면, 러시아 에너지부문은 복잡한 국내문제와 특수한 대외도전에 직면해

있음.

¡ 주요한 국내 문제 및 발전 저해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음.

‒ 연료 및 에너지에 대한 국내 수요 진작을 현저히 저감시키고, 연료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를 감소시키는 러시아 경제의 저성장 및 경기침체

‒ 기존 매장지 고갈로 인한 연료부문의 자원기반 악화, 개발이 어렵고 소비지와 멀

리 떨어져 있는 매장지 개발에 대규모 자본투입 필요성, 채굴된 에너지 자원의 품

질 저하

‒ 선진국에 비해 낙후된 러시아 연료에너지산업의 기술・설비, 원자재, 서비스 수준, 그리고 이들에 대한 높은 수입의존도, 또한 서방 제재에 따른 일부 투자프로젝트

의 실행 지연

‒ 인프라 및 생산시설 노후화

‒ 불안정한 해외 에너지 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

‒ 장기 금융자본 유치 제약

¡ 현재 하락세를 걷고 있는 경제성장이 회복된 후에는 에너지 자원의 생산량 대비

가공품 생산의 빠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 이는 전체 산업생산에서 연료에너지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감소시킬 것이고, 화학, 철강, 금속 등 중간재 부문의 비중은 빠르게 증대시킬 것임. 이와 함께 소

비산업 또한 비슷한 속도로 성장할 것임.

¡ 경기호황을 통해 기대되는 주요 경제지표 개선 및 경제구조 변화와 에너지집약

도 개선을 고려했을 때, 2015~2035년 동안 1차에너지 소비는 17% 증가하고, 전력 소비는 3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낙관적 시나리오).

‒ 수송부문에서는 자동차 연료 소비가 20% 이상 증가하고, 공공부문에서 연료소

비는 17%, 산업부문에서는 12% 각각 증가할 것임.

‒ 지역적으로 1차에너지 소비는 극동연방관구(1.5배)와 시베리아연방관구에서 급

격히 증가하고, 전력 소비량은 극동연방관구와 크림연방관구에서 크게 증가(1.5배)할 것임.

1.2. 연료에너지산업의 대외 도전과 수출 전망

¡ 2012~2014년간 러시아의 석유 생산량(가스콘덴세이트 포함)은 사우디아라비아와

“현재 하락세를 걷고 있는 경제성장이 회복된 후, 에너지 자원 생산량 대비 가공품 생산의 빠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

Page 8: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6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함께 세계 1, 2위(2014년 기준, 세계 생산량의 12.7~12.9% 차지), 석유 수출은

세계 2위를 차지하였음.

‒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산량은(2013년 세계 생산량의 19.6%, 2014년 16.7% 차지) 미국(2014년 기준 세계 생산량의 21.4%)의 뒤를 잇고 있지만, 가스 수출에 있어

서는 안정적으로 1위를 유지하고 있음.

‒ 석탄 생산에서 러시아는 세계 6위(세계 생산량의 4.3% 차지), 수출에서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음.

‒ 원자력부문에선 미국이(세계 원전 발전량에서 33.1% 차지) 우위를 점하고 있고, 러시아는 3위(7.1%)를 차지하고 있음.

¡ 오랜 기간 국내 경제 및 에너지산업 발전을 보장해 주었던 세계 에너지시장과

글로벌 경기는 큰 전환점을 맞이하였고, 이는 에너지 수요와 소비구조를 전체적

으로 변화시켰으며, 또한 에너지 수출시장에서의 경쟁을 심화시켰음.

‒ 경제발전의 전반적인 변화요인은 다음과 같음.

・ 세계 지역별로 상대적으로 경제의 불안정성과 경기성장세 둔화

・ 새로운 지정학적 위기와 경제위기의 불가피성

・ 기존 기술의 교체 시급성과 새로운 기술혁명에 대한 높은 가능성

‒ 대부분 국가에서 자국 에너지 소비구조 다변화, 비탄화수소 에너지원 개발, 자국의 비전통 연료 사용에 대한 열망 등은 탄화수소 자원의 수입 수요 증대를 저

감시키고, 러시아 에너지 자원의 수출 판로를 축소시키고 있음.

‒ 공급 측면에서도 페르시아만 지역, 브라질, 호주,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새로운

탄화수소 생산국 출현 및 비전통 탄화수소 생산량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대대

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

‒ 특히 비전통 석유 및 가스 생산에 돌파구를 찾은 북미 지역은 2020년에 가스

순수출국(LNG 부문)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됨.

¡ 러시아에 있어 중요한 수출시장인 유럽은 역내 생산량 감소로 인해 화석연료에

대한 수입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와 함께 향후 공급원을 다변화하고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에너지원의 비중을 증대시키는 데 심혈을 기울일 것임.

‒ 낙관적인 전망에서 석유시장 및 LNG를 포함한 천연가스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은 아・태지역이 될 것임. 이는 러시아에 있어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지만, 한편으로는 관련 에너지 수송인프라 확충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필요로 함.

‒ 에너지 수의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아・태지역에 대한 2035년에 러시아의

석유 및 석유제품 수출량은 1.8~2.2배, 천연가스 수출량은 8~9배 증대 전망

¡ 전망 기간 동안 치열한 경쟁 속에서 러시아 석유제품의 다양한 상품들도 세계시

“오랜 기간 경제 및 에너지산업 발전을 보장해 주었던 세계 소비시장과 글로벌 경제는 큰 전환점을 맞이하였음”

“에너지 수요의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아・태지역에 대한 2035년에 러시아 석유 및 석유제품 수출량은 1.8~2.2배, 천연가스 수출량은 8~9배 증대 전망”

Page 9: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7

장에 출현할 것이지만, 소비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유럽시장에서 러시아産 중유

에 대한 소비량은 현저히 감소하고, 아・태지역 석유제품 시장에서 러시아 석유

제품의 판매는 전망기간 동안 여전히 미미할 것으로 전망됨.

‒ 유망한 중국시장은 2018년과 2020년에 이미 연료 소비의 대부분을 자체적으로

충족시키고, 석유화학산업 원료(나프타 등)의 수입량을 큰 폭으로 줄일 것임.

‒ 일본, 한국과 다른 아・태지역 국가들의 정제능력(아시아 선진국들의 석유제품에

대한 수요 감소를 고려했을 때)은 아시아 석유제품 시장에서 러시아 석유제품

수출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또 다른 변수임.

¡ 전망 기간 동안 유럽시장에 대한 석탄 수출도 무엇보다 환경적인 제약으로 인해

감소될 것임.

‒ 러시아 석탄 수출 증가에 있어 낙관적 전망은 주로 유럽시장보다 상대적으로 유

리한 상황에 있는 아시아지역에 두고 있음. 이에 따라 수송비용이 러시아 석탄

의 가격 경쟁력에 크게 좌우할 것임

¡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수급 변화는 국제 탄화수소 가격을 급격히 하락시켰으

나, 유가가 2018~2022년에 배럴당 80달러, 2030~2035년에 100달러로 회복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음.

‒ 현재 유가 상황과 공급과잉을 고려했을 때, 유럽과 아시아의 가스시장에서 가스

가격도 하락했지만, 향후 유가에 이어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

‒ 전망 기간 동안 석탄시장에서 주로 고품질의 원료탄과 PCI탄의 가격이 상승하

고, 또 다른 측면에서는 아시아 시장에서 석탄 가격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음.

¡ 계약조건 변경, 거래소 규정 강화, 국제적인 환경관련 규제정책 추진 등은 세계

에너지시장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러시아 에너지산업은 이와 같은 도전과 위기

에 처해있음.

‒ 에너지 수요 정체 상황에 있는 유럽시장으로의 에너지 수출 전망은 악화되고, 불충분한 수송 인프라와 막대한 규모의 투자 필요성으로 아시아 시장으로의 성

장 가능성도 제한적임.

‒ 2014년 발 루블화 가치 하락 속에서 러시아 에너지 자원의 경쟁우위는 높은 자

본비용, 해외 금융자본 및 기술에 대한 접근 제한으로 몇 년 사이 상실되었음.

‒ 이 모든 상황은 수출정책의 유연성 제고, 에너지 수출구조의 다변화, 에너지 기

업의 손실 최소화 등을 요구하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 에너지시장의 일부 변화들은 러시아에 있어 새로운 기

회를 제공하고 있음. 특히 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의 에너지 소비 증가세는 이들

국가에서의 석탄 생산 정체・감소와 연계되어 2025년 이후 이들 국가의 에너지

“현재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국제 유가는 2018~22년에 배럴달 80달러, 2030-35년에 100달러 선 회복 전망”

Page 10: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8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자원 수입을 급격히 증가시킬 것임.

‒ 우선적으로 아시아 개도국들의 천연가스, 석탄 수입량이 증가하고, 이어서 가격

에도 영향을 미칠 것임.

‒ 이와 관련하여 유망한 산업분야는 러시아의 에너지집약형 산업과 원자재 생산

부문임.

‒ 또한, 러시아에 있어서 전력 수출 증가는 추가적인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국내

시장에서 에너지 수요를 증대시킬 것임.

¡ 전반적으로 2015~2035년 동안 러시아 에너지 자원의 전체 수출은 호혜적인 여

건 속에서 20%까지 증대될 것임.

2.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추진단계

2.1. 에너지부문의 목표 및 발전과제

¡ 대외 도전과 국내 문제, 경제상황 변화, 러시아 에너지부문의 자원-기술 잠재력

등은 혁신발전 및 구조개혁의 가속화를 보장하는 발전모델의 수립・추진 필요성

을 증대시키고 있음.

‒ 따라서 ES-2035의 목표는 러시아 에너지산업을 구조개혁을 통해 질적으로 새

롭고 더 높은 수준으로, 그리고 역동적인 사회경제발전에 최대한 부합하는 방향

으로 전환시키는 것임.

‒ 필수적 구조개혁에는 다음 사항들이 포함됨.

・ 신속한 현대화 추진을 통한 주요 생산시설의 질적, 연령구조의 변화

・ 연료에너지산업의 총 고용구조에서 생산성 높은 일자리 비중 증대

・ 민간기업의 비중을 늘리고 경쟁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소유형태로의 발전

・ 연료에너지산업 제품의 생산, 국내소비, 수출 구조에서 첨단가공 제품 비중

증대

・ 총 발전량에서 분산형 전원의 비중 증대(지역 에너지 시스템의 부하율과 구

조에 따라 좌우)

・ 에너지 제품의 전 생산 라인에서 고품질・친환경적인 에너지 소비 비중 증대

・ 연구개발비 증대와 인력 개발을 통한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적 구조로의 변경

・ 연료에너지 기업의 국내산 장비, 상품, 서비스 비중 증대(수입대체)

¡ 상기에 열거된 구조적인 변화들은 연료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 매력도와 투자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및 소비 부문에서 에너지효율 증대, 에너지집약도 개

“ES-2035의 목표는 러시아 에너지산업을 구조개혁을 통해 질적으로 새롭고 더 높은 수준으로, 그리고 역동적인 사회경제발전에 최대한 부합하는 방향으로 전환”

Page 11: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9

선, 온실가스 배출 감소 등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것임.

‒ 이중 2035년에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목표는 다음과 같음.

・ 에너지집약도와 전력집약도 개선(에너지집약도 1.6배 감소, 전력집약도 1.4배

감소)

・ 주택건설 및 지역발전계획 시행 시 에너지 수송망과의 접속, 가격 측면에서

에너지 접근성 향상

・ 발전부문의 연료비용 감소, 연료에너지산업의 에너지 비용 감소

・ 연료에너지 기업의 환경오염 수준 감소

・ 비전통 자원과 회수율 증대를 통한 전통자원의 생산량이 전체 탄화수소 생

산에 차지하는 비중 증대

・ 아・태지역 국가에 대한 수출 증대와 에너지 자원 수출시장의 다변화

・ 재생에너지원 개발 및 보급 위한 투자 증대

・ 전문인력의 충분한 확보

¡ 상기 목표 달성을 위해 러시아 연료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한 3가지 전략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

‒ 양・질적으로 충분한 에너지 제품 및 서비스 공급으로 러시아의 사회경제발전

수요 충족(이하 ‘1차 과제’)

・ 1차 과제 해결을 통해 국가 에너지 안보 증대, 에너지 생산부문에 대한 규제

신뢰성 제고, 현 국내수요 충족뿐만 아니라 경제사회발전 가속화를 위한 에

너지 자원 생산・소비부문의 효율 제고와 높은 수준의 환경부문 요구를 충족

시킴.

・ 이는 국가 전력화(electrification) 증대, 최신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에너지 수

급 및 에너지 소비의 지능화, 에너지절약 기술의 폭넓은 보급, 에너지효율

제고, 환경오염 감소 등을 필요로 함.

・ 정부기관과 국영기업의 경영 효율 제고를 위해 벤치마킹 및 다양한 방법들

이 시행될 것임.

‒ 전략 우선지역의 경제발전과 이를 통한 국가 균형발전, 수출시장 다변화,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국가 위상을 고려한 연료에너지산업의 지역-생산구조 개선(이하 ‘2차 과제’)

・ 2차 과제 해결은 러시아 에너지산업이 지역적으로 균형 있게 발전하고, 또한

석유・가스・전력부문 인프라 확충을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의 생산・수출부문

에서 러시아의 현 위치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함.

“구조 변화 통해 연료에너지산업의 투자 매력도와 투자효율성 향상, 생산・소비부문의 에너지효율 향상, 에너지집약도 개선, 온실가스 배출 감소”

Page 12: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10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이를 위해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의 경제개발, 對아・태지역 수출시장 비중

증대에 기반한 지역적 수출구조 다변화, 북극 대륙붕 내 대규모 탄화수소 자

원 개발 준비, 분산형 전원 개발의 경제성 확보, 지역 에너지 자원과 재생에

너지원 개발을 촉진하는 새로운 연료에너지・에너지산업단지 조성 등을 제안

하고 있음.

‒ 러시아 연료에너지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세계적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그 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동시에 에너지부문의 기술적 자립 및 에너지의 지속적 개발을

달성함.(이하 ‘3차 과제’)

・ 3차 과제 해결 과정에서 국내 선진기술을 개발하고, 국제적 기술개발 추이를

따라가기 위해 러시아 에너지산업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것임.

・ 이를 위해 국제적인 과학기술 교류 및 협력 시스템에 참여하고, 자국 기술

개발 및 국내 에너지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해 필요한 첨단 기술의 상업화와

현지화를 위한 모든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것임.

・ 3차 과제 해결을 통해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적인 수입대체품에 대한 국내

수요가 증가하고, 국내 첨단기술제품 시장이 성장할 것임. 이에 연료에너지

산업 전반의 유망기술 개발과 광범위한 도입, 엔지니어링 센터・실험단지・인증센터 구축 등이 요구됨.

・ 이와 관련하여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필요성은 계속 유지될 것임. 이를 위

한 우선순위는 러시아 파트너의 현지화를 최대한 지원하고, 관련 권한을 최

대한 제공하는 것임.

2.2. 국가 에너지정책의 우선순위

¡ 러시아 에너지산업은 다음의 국가 에너지정책 우선순위들을 고려하여 발전할 것임.

‒ 연료에너지 자원 공급 부족 해소, 전략적 연료 비축시설 및 부품 저장시설 건설, 전력・열공급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 등 국가 및 지역 에너지안보 증진

‒ 연료에너지산업 및 관련 산업의 에너지 자원에 대한 이용 효율 증대와 연료에너

지산업의 생산 잠재력 향상을 위한 혁신적 투자 증대 및 지원

‒ 에너지 자원의 채굴, 생산, 수송, 소비단계에서 환경, 기후, 보건 등에 미치는 부

정적 영향 최소화

‒ 국내 에너지시장에서 모든 시장 참여기업에게 동등한 경쟁여건 제공, 기업 간

경쟁 장려, 투명하고 공정한 가격형성 메커니즘 조성, 독점산업에 관한 정부규

제 지속

‒ 에너지 수출품목 다변화

“러시아 연료에너지산업 발전은 3가지 전략 과제 해결을 통해 실현 가능”

Page 13: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11

‒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의 에너지 개발・수송 인프라 확충을 통한 지역경제 활

성화

‒ 정부기관의 국영 에너지 기업에 대한 효율적 거버넌스 제고

‒ 연료에너지산업 관련 국가정보시스템에서 국제기준에 맞는 국가전체・지역 에너

지 수급 현황 및 전망 분석, 시장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상기 열거한 과제들은 전략계획에 관한 법에 따라 러시아연방 사회경제발전의

전략 방향과 우선순위, 러시아연방 국가안보전략, 러시아연방 포괄적 발전전략

등을 통해 구체화되고 해결될 것임.

2.3. 추진단계

¡ 추진 1단계: 기한은 기준년도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이고, 상황에 따라 2022년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전망은 보수적 시나리오와 낙관적 시나리오로 구분되어

이루어짐.

‒ 1단계에서 중요한 점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최소한의 손실과 비용으로 에너

지부문 발전을 저해하는 경제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서방 국가들이 시행한 러시

아에 대한 금융 및 기술 분야의 제재 등 새로운 도전과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

하는 것임.

・ 이를 위해 생산품목 및 수출구조를 다변화하고, 국내 에너지공급 및 수출의

안정적 증대를 위한 연료에너지 자원의 소비구조를 다변화시켜야 함.

‒ 1단계의 주요 내용은 현재 이미 시행 중에 있는 러시아연방 에너지효율과 에너

지발전 국가프로그램, 에너지부문과 연료에너지 기업의 대규모 투자프로젝트에

관한 러시아연방 대통령 및 러시아연방 정부결정을 실현시키는 것임.

¡ 추진 2단계: (2021~2035년)에서 두 가지 시나리오(보수적, 낙관적)의 주요 내용

은 전통에너지 자원, 새로운 탄화수소, 기타 에너지원의 효율적 이용과 신기술

개발 및 도입 등을 통한 차세대 에너지로의 전환임.

‒ 보수적 시나리오에서는 야말반도의 혁신적 에너지 프로젝트 추진과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내 에너지 공급 시스템과 에너지 수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

치는 동 지역 내 에너지집약형 생산 증대가 이루어질 것임.

‒ 우선순위는 기존의 연료 생산・수송에서 국내 수요 충족, 고품질 가공품의 세계시

장 진출 등을 위한 첨단기술을 이용한 연료의 정밀가공 등에 있음.

・ 자원 가공산업의 성장은 건설, 교통, 사회간접시설 등에 있어서 추가적인 투

자 수요를 발생시킬 것임.

‒ 2단계 시행으로 발생하는 국내 수요 증가는 연료에너지 자원의 수출 증가에 영

“ES-2035에서 1단계 추진기간은 2015~2020년(2020년까지 연장 가능), 2단계 추진기간은 2021~2035년임”

Page 14: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12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향을 미칠 것임.

3. 연료에너지산업 발전 방향과 과제

3.1. 석유산업

¡ 석유・콘덴세이트 생산은 ES-2030 실행 초기인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약 8% 증대되었고, 동시베리아지역 및 야쿠티아 자치공화국 내 매장지에 대한 실질적

인 대규모 개발이 시작되었음.

‒ 특히 Vankorskoye, Verkhnechonskoye, Talakanskoye, Severo-Talakanskoye 매장지 개발・생산 개시는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에서 생산량을 2008년 수준과

비교했을 때 2014년에 4배 증대시켰음.

‒ 대륙붕 매장지 개발도 추진되었고, 특히 북극지역 내 페초라해 Prirazlomnoye 매장지 개발이 시작됨.

‒ 2008년보다 원유 정제량은 23%, 정제율은 0.3%p, 석유제품 생산은 1.5%p 각각 증가하였음.

・ 최근에는 주로 연료유 수출 증가로 인해 석유제품 수출이 증가하는 반면

(2008년에 비해 43% 증가), 원유 수출 감소(8% 가량)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

・ 그리고 기존의 유럽 및 CIS지역에 대한 석유 수출이 감소하고, 對아・태지역

수출이 3배 이상 증가하였음.

‒ ESPO-1,2 송유관(Kozmino원유수출터미널 포함), Skovorodino-Mohe-Daqing 송유관이 가동되기 시작하였고, 對유럽 Baltic Pipeline System-2(BPS-2)이 상업적

가동에 들어갔음.

・ 이로써 다른 국가의 영토를 우회하는 수출노선을 확보하게 되었음.

・ 신규 석유생산 지역에는 Purpe-Samotlor 송유관이 건설될 계획이며, Zapolyare-Purpe와 Kuyumba-Tayshet 송유관의 건설이 시작되었음.

¡ 동시에 러시아 석유산업은 다음과 같은 주요 도전과 문제들에 직면해 있음.

‒ 세계 석유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품질과 높은 가격변동성

‒ 러시아 석유에 대한 해외 수요 증가 속도의 둔화, 유럽 시장의 디젤 연료 포화

상태, CIS 국가의 수요 감소

‒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 증가로 석유 생산단가 상승과 기존 매장지의 심각한 고갈

상황은 석유 생산의 목표치 달성을 어렵게 만듦.

‒ 황 함유량 증가를 포함한 원유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지속적인 악화는 신규 기

술 및 투자의 도입을 필요로 하며, 석유정제 비용을 상승시킴.

“러시아 석유산업은 2014년에 2008년에 비해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러시아 에너지 제품의 글로벌 시장에서 낮은 경쟁력과 국제 유가의 높은 변동성 등의 문제에 직면”

Page 15: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13

‒ 일부 러시아 석유・가스기업, 러시아 심해・북극지역・셰일지대 탐사 및 개발에 사

용되는 최신 기술・장비 도입과 장기자금 조달에 대한 서방의 제재 조치

¡ 또한, 원유는 더욱 복잡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특성을 띠고 있으며, 대부분의 매

장지는 한 개 이상의 탄화수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 특히 신규 매장지 및 매

장지대의 지질학적 특성은 더욱 복잡해지며, 특히 비탄화수소 성분(헬륨)을 포함

하고 있음. 이에 대한 원유 정제와 관련하여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

‒ 현재 세계 시장에서는 러시아 원유 및 1차 정제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배적임.

‒ 또한, 국제적으로 정제설비 증설과 정제율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어서 석유

제품에 대한 국제적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 이러한 상황에서 석유산업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함.

‒ 석유・가스콘덴세이트의 연간 생산량을 5억2,500만 톤으로 안정적 유지

‒ 주로 국산 제품의 선진 기술을 바탕으로 석유산업의 현대화 및 발전

・ 원유 회수율 28%에서 40%로 증대(채굴이 어려운 매장지 개발 제외)

・ 전체 석유 생산량에서 채굴이 어려운 원유 비중을 15% 달성(현재 약 8%)

・ 추출된 수반 가스의 재활용 수준을 최소 95%로 달성(2014년에 84%)

・ 친환경 자동차 연료 생산을 포함한 원유 정제율 72%에서 90%까지 증대

・ 석유제품 생산 비중을 58%에서 73~74%로 증대

‒ 선진 기술을 바탕으로 송유관 및 석유제품 파이프라인 네트워크 확충

‒ 액체 탄화수소 연료의 대내・외 공급 노선 다변화와 공급 증대, 특히 석유 및 석

유제품의 對아・태지역 공급을 2배 증대(5,100만 톤에서 1억1,100만 톤으로)

‒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 낮은 수익률을 보이는 매장지, 높은 수준의 수분함유 유

정 개발에 필요한 신규 기술 도입・적용으로 탄화수소 회수율 증대

¡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치들이 필요함.

‒ 채굴세와 수출세를 연계한 세제개편 지속 추진

‒ 세제 혜택 대상이 되지 못하는 기존 매장지와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에서의 석유

생산 증대를 장려하는 수단으로 채굴수익 실적에 기초한 세제개편

‒ 신규 매장지 개발 시에 개발수익 실적에 따른 과세제도 적용 가능성 연구

‒ 중소규모의 석유기업 성장을 위한 환경 조성, 낮은 수익률 및 높은 수분함유 유

정과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에서 경제성 확보를 위한 여건 조성

‒ 거래소 및 장외 거래 정보를 통해 석유와 석유제품의 국내 기준가격 구축과 대

내・외 시장에서 러시아 표준 원유 도입을 포함한 석유 및 석유제품 판매를 위한

“향후 2035년 러시아 석유・가스콘덴세이트 연간 생산량을 5억2,500만 톤으로 계속 유지”

Page 16: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14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국내거래소 메커니즘 발전

‒ 상업성 낮은 설비 폐쇄를 포함한 석유 정제설비의 현대화 및 최적화 추진 완료

‒ 석유제품에 대한 소비세 차등제를 유지하면서 자동차 연료의 품질(친환경적 포

함) 향상 장려

‒ 2차 정제(고도화 정제) 공정부문의 국내 기술 개발, 특히 국내 정제공장에서의

석유 잔여물 처리 공정 증대를 목표로 하는 기술 장려

‒ 고황 및 점성이 높은 원유의 정제 효율성 증대

‒ 경쟁력 있는 국내 기술에 기초한 석유 생산 및 정제산업의 혁신적인 사업 지원

‒ 생산단가를 낮추고, 원유 회수율 및 노동 생산성을 높이며, 고용 창출이 높은 선

진 기술의 석유 및 석유서비스기업 도입

¡ 러시아 대륙붕에서의 탄화수소 자원 개발 촉진과 추가 투자유치가 필요할 경우, 관련 경험과 자금 조달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민간 기업이 대륙붕 지하자원의 잠

재적 개발 기업으로 참여하는 문제가 해결될 것임.

‒ 석유품질 유지 관리를 위해 주요 송유관 시스템에서 원유 품질에 대한 모니터링

이 지속될 것임. 또한, 고황함유 원유 전용 수송시설 도입도 고려될 것임.

‒ 최소 2020년까지 수직통합형 기업이 석유산업의 모든 분야와 활동에서 주도적

인 역할을 할 것임.

‒ 장기적으로 탄화수소 매장구조의 악화, 개발 투자의 혁신적 활동 및 효율성 증

대 요구, 변화하는 시장에 대한 유연성과 적응성 증대 필요성 등으로 중소기업

의 역할이 증대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강화될 것임.

¡ 우선적으로 복잡한 성분의 탄화수소 자원이 매장되어 있는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

역에서의 석유・가스화학산업 발전을 포함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집중해야 함.

‒ 그리고 석유 및 석유제품의 파이프라인 수송 이외에 국내에서 제조된 선박을 사

용한 해상수송 및 유망 해상(강) 수송로 개발도 필요함.

¡ 원유 수출 장려정책으로 2020년까지 원유수출은 7~8%, 2035년에 24%(낙관적

시나리오) 각각 증가할 것임.

‒ 자동차 연료의 수출은 낙관적 시나리오에서 사실상 변화가 없지만, 보수적 시나

리오에서는 12%나 감소하고, 연료유 수출은 거의 4배 감소할 것임.

‒ 한편, 두가지 시나리오에서 석유와 석유제품 수출 노선 다변화가 더욱 강화될

것임.

“러시아 대륙붕에서의 탄화수소 자원개발 촉진과 추가 투자유치가 필요한 경우, 관련 경험과 자금을 보유하는 민간 기업도 참여 확대”

Page 17: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15

3.2. 가스산업

¡ 러시아의 천연가스 및 수반가스 생산량은 2014년에 생산 능력의 상당한 증가

상황에서도 2008년에 비해 4% 감소하였고, LNG 수출을 포함한 천연가스 수출

은 2008년에 비해 3%, PNG 수출은 12%나 감소하였음.

‒ ▲야말반도의 대규모 Bovanenkovskoye 매장지 운영 개시, ▲대규모

Zapolyarnoye 매장지의 최대 생산량 달성, ▲Zapolyarnoye 매장지의

Neocomian과 Valanginian 지층과 Yamburgskoye 매장지의 Achimovsky 지층

개발 개시, ▲Taldinskoye 매장지 남-동부에 있는 쿠즈네츠 분지 내 탄층에서

메탄을 생산하는 국내 첫 번째 사업 추진, ▲사할린-3의 Kirinskoye 매장지 가

스 생산 개시, ▲야쿠티아의 Chayandinskoye 매장지에 대한 활발한 개발 준비, ▲Sobolokh-Nedzhelinskoye, Verkhnevilyuchanskoye, TAS-Yuryakh, Srednetyungskoye 매장지의 탐사 이전사업 개발, ▲이르쿠츠크州의 코빅타 매

장지의 탐사정 시추 개시

‒ 또한, 새로운 가스관 시스템 건설이 시행되고 있음.

・ 야말반도의 가스 자원을 단일가스공급시스템(Unified Gas Supply System, 이하 ‘UGSS’)로 공급하는 차세대 Bovanenkovo-Uhta 구간의 첫 단계 운영 개시

・ 극동지역 가스수송시스템 구축 개시: 사할린-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가

스수송시스템의 첫 번째 수송망 완공, Sila Sibiri 가스관 건설 개시

・ Urengoy 가스수송허브와 튜멘州 북부지역-Torzhok 가스관 확충 완료

・ Dzhubga-Lazarevskoe-Sochi 가스관 운영 개시

・ Nord Stream 가스관: 러시아 가스의 對유럽 수출 신규 노선

‒ 2014년 말에 러시아는 South Stream 가스관 사업 중단에 대해 공표했고, 이를

대신하여 동일한 용량의 Turkish Stream이라는 신규 가스관 사업을 제안하였음.

‒ 이후 Nord Stream 가스관 수송용량 확충에 대한 결정이 났고, 對중국 가스 수

출 동부노선과 서부노선 건설에 대한 결정도 이루어졌음.

¡ 야말반도, 동시베리아, 사할린에서의 신규 매장지 개발과 가스수송시스템의 확장

으로 러시아는 지금까지 세계적인 가스생산국으로 있으며, 또한 안정적으로 국

내 및 해외 가스 수요를 충족시켜 주고 있음.

‒ 러시아 가스산업이 현재 위치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미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서는 다음의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야 함.

・ 높은 생산성 및 저류층 매장지의 감소, 복잡한 자연-기후 및 지질 조건, 소비지에서 멀리 떨어진 신규 가스전 출현에 따른 생산 및 수송 비용 증가

・ 러시아 가스에 대한 우크라이나 및 중・서유럽의 수요 감소, 또는 증가세 둔

“야말반도, 동시베리아지역, 사할린지역 내 신규 매장지 개발과 수송시스템 확충을 통해 러시아는 지금까지 국내 및 해외 가스 수요를 안정적으로 충족시켜 주고 있음”

Page 18: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16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화, 에너지 수송 위험을 줄이기 위한 유럽 방향으로의 신규 가스 수송인프라

구축 필요성

・ LNG 시장 발전에 따른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 일부 러시아 석유・가스 기업, 러시아의 심해, 북극 및 셰일 매장지에 사용되

는 현대 기술・장비, 그리고 장기 자금조달에 대한 서방의 제재

¡ 에너지 자원의 소비 및 경제 성장의 중심이 아・태지역으로 이동하는 전반적인

추세는 세계 석유시장보다 가스시장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

‒ 이와 동시에 유럽은 꾸준히 탄화수소 소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공급원 다

변화와 재생에너지원 개발을 통해 적극적으로 에너지 자립을 달성하려고 함.

‒ 아・태지역 국가들은 산업화 추진에 따른 에너지 자원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이러한 측면에서 다음의 과제들을 해결해야 함.

‒ 주로 국내 선진 기술을 이용하여 가스 생산을 40%까지 증대시키기 위해 기존

및 신규 매장지역(동시베리아, 극동), 대륙붕 등에서의 상업성 있는 가스 자원

개발

‒ 새로운 수출노선 개발과 러시아 전역의 가스화를 위한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이 UGSS와 연결될 수 있도록 가스수송 인프라를 건설하는 것을 포함하여

UGSS의 현대화, 확충, 최적 이용

‒ 헬륨과 같은 고부가가치 성분을 함유한 복잡한 매장지에서의 가스 정제 기술 확보

‒ LNG 생산 5배 이상 증가를 바탕으로 가스수출의 다변화, 특히 LNG를 아・태지

역으로 8~9배 공급 증대(14Bcm에서 128Bcm까지)

‒ 자동차 연료 가스 소비 촉진과 가스연료 생산 증대

¡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장기적으로 완전한 자유화 및 국내

가스시장의 가격형성 시스템 개선을 통해 경쟁력 있는 국내 가스시장을 형성하

는 것임.

‒ 그러나 2020년까지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현재의 가스 시장구조가 유지될 것임.

‒ 경쟁력 있는 국내 가스시장을 형성하기 위해 1단계에서는 공정한 경쟁이 이루

어질 수 있도록 동등한 조건을 조성하는 것임.

・ 우선 국영가스기업인 Gazprom 및 수직통합형 기업과 민간 석유・가스기업 간

공정 경쟁이 이루어지도록 함.

‒ ‘가스 가격규제와 시장가격으로의 전환’과 관련해서, 1단계에서는 가스가격 규

제 개선, 2단계에서는 미래 국내 가스가격 자유화를 위한 가격형성 시장메커니

즘으로의 전환에 대해 검토해야 함.

“에너지 자원의 소비 및 경제 성장의 중심이 아・태지역으로 이동하는 전반적인 추세는 세계 석유시장보다 가스시장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Page 19: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17

・ 이는 주요 연료에 대한 국내 가격 간의 불균형을 제거하며, 연료 간 경쟁 촉

진에 기여할 것임.

‒ 자연독점적 부문에서 정부의 요금규제 개선은 2단계에서 가스시장 내 경쟁 촉

진을 고려한 수송비 책정, 원가 보상, 합리적 이윤 보장 등에 기반하여 도매가격

을 결정하는 방향으로 점진적 추진을 통해 가능함.

‒ 좀 더 자유화된 LNG 개발・생산(이는 가스 수출 방향의 다변화를 충족)이 예상

되고, 독립계 가스생산기업들의 자유로운 시장진입의 높은 가능성도 예상됨.

‒ 물론 Gazprom의 현재 역할은 상당 부분 유지될 것이지만, 여러 분야에서 경영

투명성이 확보되어야 함. 특히 독점적 가격형성에 대한 규제 차원에서 투자 규

모 및 구조에 대한 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함.

¡ 앞서 언급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음의 조치들이 필요함.

‒ 러시아 내 여러 지역 및 다양한 가스 소비자에 대한 가스 공급 시 교차보조금의

점진적 철폐

‒ 지역 가스화에 대한 민간 가스 생산기업 참여에 대한 입법화 추진

‒ 거래소를 통한 가스판매 메커니즘 개발

‒ 가스 수송・저장시설에 대해 모든 참가자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투명

하고 동등한 절차, 가스 수송・저장 서비스에 대한 합리적 가격 형성, 가스 수송・저장부문에 정부규제 개선

‒ 기본 탄화수소 매장지에서 복합적인 가스 정제작업과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위해 서시베리아 및 동시베리아 지역에 신규 가스정제 및 가스화학단지 건설

¡ 해외 가스시장의 수급 및 경제 상황을 고려해서 러시아는 중앙아시아 국가들로

부터 가스 수입을 지속할 수 있음. 그러나 국가경제에 대한 파급효과를 고려하

면 러시아 영토 내에서의 가스 생산이 더 큰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 줄 것임.

‒ 2단계에서 러시아 가스산업 발전의 역점 사항은 가스화학제품 생산을 증대시키

는 방향으로 가스 사용을 확대하는 것임.

¡ 가스시장 발전에 대한 분석 및 전망은 가스 공급부문에서 현재의 침체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과 천연가스 및 수반가스 생산량을 1단계에서 3~17%, 2035년에

는 29~39%(639Bcm에서 821~885Bcm)까지 증대시킬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

‒ 이러한 생산량 달성은 Obsko-Tazov만 지역의 가스 생산이 1.4~1.6배 증가, 야말반도,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해상지역 내에 새로운 가스생산센터 구축 등

을 통해서 가능함.

‒ 2015~2035년에 국내 가스수요는 17~24%, 가스 수출은 35~52%(209Bcm에서

282~317Bcm) 증가할 것임.

“천연가스 및 수반가스 생산량은 1단계에서 3~17%, 2035년에 29~39% 증대 전망”

2015~2035년 러시아 국내 가스 수요는 17~24%, 가스 수출은 35~52%(209Bcm에서 282~317Bcm) 증가 전망”

Page 20: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18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가스 수출 증가는 특히 석유와 가스 간 상대 가격 차이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임.

・ 보수적 시나리오에서는 실질적인 변화가 없지만,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對유럽 가스 수출이 10%, 아시아 시장으로는 8.6~9.2배 각각 증가할 것임.

‒ 신기술이 러시아 가스산업에서 넓게 사용되어 2035년에는 수송 시 승압과정에

서 소비되는 가스가 2014년에 비해 8~1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3.3. 석유・가스화학산업

¡ 2008~2014년 동안 석유・가스화학제품 원료(에탄, LPG, 나프타 등)의 생산이 37% 늘었고, 이들 원료의 소비는 최소 15% 증가하였음. 그리고 대용량 폴리머

(large-capacity polymer) 생산은 약 29% 증가하였음.

‒ 2012년부터는 석유・가스화학에서 모든 일련의 대규모 투자 사업 추진이 활발한

단계에 진입하였음.

・ 폴리스티렌, ABS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프로필렌, 폴리프로

필렌, 폴리 염화비닐 생산 설비가 가동되었음.

・ 경질 탄화수소 제품을 수송하는 Purovsk-Tobolsk 파이프라인이 건설되었음.

‒ 또한, 러시아 석유・가스화학산업은 다음의 주요 도전과 문제에 직면하고 있음.

・ 모노머(monomer) 생산을 위한 설비 부족(주로 열분해 설비)

・ 석유화학제품을 소비하는 전통 산업에서 수요 부족(건설, 주거・공동시설서비

스, 자동차제조업, 전자공학, 전기공학, 포장 등)

・ 석유화학원료 수송위한 인프라 제약

・ 석유・가스화학제품에 대한 국내 시장의 높은 수입 의존도, 석유・가스화학 생

산부문에서도 장비 및 재료의 높은 수입 의존도

‒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함.

・ 기본 모노머 생산에 대한 새로운 석유・가스화학 설비 현대화 및 확충

・ 석유・가스화학제품의 수입대체와 국내 시장 발전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치들이 도입되어야 함.

・ 기존 모노머 및 폴리머 생산을 위한 대규모 시설 건설 사업에 대한 정부 차

원의 지원

・ 석유・가스화학의 자국산 기술 개발

・ 수송 물류의 최적화, Sverdlovskaya 철도의 Tobolsk-Surgut 구간을 우선으로

병목현상 해소

“2008~2014년 동안 석유/가스화학제품 원료 생산은 37%, 소비는 15%, 대용량 폴리머 생산은 29% 각각 증대”

Page 21: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19

・ 석유・가스화학제품 품질 제고

¡ 향후 2035년까지 석유・가스화학산업에서 대용량 열분해 시설을 통한 에틸렌과

프로필렌 생산(에틸렌 최소 60~100만 톤 이상), 플라스틱, 고무, 유기합성 제품, 그리고 이들의 반제품 및 완제품 생산 등을 위한 탄화수소 정제센터 및 관련 클

러스터 구축이 이루어질 것임.

‒ 장기적으로 6개의 클러스터 구축과 석유・가스화학산업 발전이 예상됨: 원료 및

수요 시장에 근접한 세베로-자파드노, 볼가, 서시베리아, 카스피해, 동시베리아, 극동 등

‒ 2020년에 에틸렌 생산량은 3.3배, 2035년에는 6배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2020년에 모든 경질 탄화수소 원료 중 45% 이상이 정밀 가공, 즉 석유・가스화학

의 추가 공정 단계로 보내질 것이고, 2035년에 그 지표가 55%까지 증대될 것임.

‒ 2020년에 대용량 플라스틱 생산량이 3.2배, 2035년에 5배 증대될 것으로 전망됨.

3.4. 석탄산업

¡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러시아의 석탄 생산량은 9% 증가하였음. 이러한 생산

증가율은 노천탄광에서의 석탄채굴 증가에 기인한 것임.

‒ 엘가 탄전의 상업적 개발이 시작되었고, 바이칼-아무르 철도(Baikal–Amur Mainline)와 연결되는 철도가 건설되었음.

‒ 자바이칼州에 있는 Apsatski 탄전 개발이 시작되었고, Inaglinsky와 Urgalsk 석탄 산지의 개발이 계속되었으며, 특히 필요한 인프라 구축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확정되었음.

‒ 투바자치공화국 내 Ulug-Khemsky 석탄 분지의 Elegestsky 매장지 개발에 대한

준비작업으로 Transsib까지 철도 건설이 시작되었음.

‒ 또한, 아무르州에 있는 Erkovetskogo와 Gerbikano-Ogodzhinsky 석탄 산지 개

발에 대한 설계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

‒ 선탄장에서의 석탄 가공량은 2008년부터 거의 1.5배 늘었음. 관련 기술・장비의

설치 작업이 이루어졌고, 석탄 근로자의 노동 생산성이 증가하였으며, 산업 재

해 수준도 감소하였음.

‒ 2008년부터 국내 석탄 소비는 10% 감소한 반면, 수출은 1.7배 증가하였음. 특히 중국으로 수출 증가와 함께 인도, 말레이시아 등 아・태지역의 새로운 수출시

장 진입이 이루어졌음.

・ 석탄 수출을 위한 항만 시설을 포함한 수송-물류 인프라가 확충되었음

(Vanino, Posiet, Ust-Luga, Nakhodka 등).

“에틸렌 생산량은 2020년에 3.3배, 2035년에 6배 증대, 대용량 플라스틱 생산량은 2020년에 3.2배, 2035년에 5배 증대 전망”

“2008년부터 국내 석탄 소비는 10% 감소한 반면, 수출은 1.7배 증가하였고, 특히 중국으로 수출증가와 함께 인도, 말레이시아 등 아・태지역의 새로운 수출시장 진입”

Page 22: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20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러시아 석탄 산업에 있어서 주요 대외 과제는 세계 석탄 수요 증가세의 현저한

둔화와 러시아 내 생산・수송 비용 증가, 그리고 세계 석탄시장에서 경쟁 심화를

들 수 있음.

‒ 향후 전망은 해외 시장에서 러시아 위치가 유지・강화될 가능성(석탄 수출이 거

의 절반 가까이 증가하고, 특히 전체 수출량 중 아시아 시장에 대한 비중이

60%까지 증가)이 높음.

‒ 국내 문제는 가스 가격규제 및 석탄산업에서 생산・수송비용 증가로 인한 석탄

의 경쟁력 악화를 들 수 있음. 이러한 문제 해결방안은 석탄 철도수송 시 요금

혜택을 제공하는 것임.

¡ 석탄 산업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함.

‒ 국내 시장에서는 석탄 제품이 다른 에너지원에 대해,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다른

공급기업에 대해 각각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임.

‒ 사하자치공화국(야쿠티아), 투바자치공화국, 자바이칼州, 기타 지역 등에서 신

규 석탄 생산센터 건설과 인접국에 전력 수출을 위한 전력석탄 단지 조성

‒ 우선 아・태지역으로의 석탄 수출을 1/3 이상 대폭 증대

¡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치들이 필요함.

‒ 과세제도 개선

‒ 노동 생산성 증대를 위한 신기술 도입・적용 촉진

‒ 수송・물류의 최적화와 석탄 수송에 대한 장기 설정 요금 메커니즘의 광범위한

적용, 우선으로 Transsib, Baikal–Amur Mainline, 극동 철도의 병목구간 제거, 태평양 연안에 있는 석탄 수출터미널의 지속적인 확충

‒ 석탄 가공 관련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

‒ 수반 자원 및 석탄정제 후 폐기물의 종합적인 처리

‒ 석탄산업이 환경보호 분야에서 국제적 표준에 적합하도록 규제의 일관된 시행

‒ 실업자에 대한 사회적 보호 조치를 토대로 석탄산업의 상업성 낮은 설비의 계획

적인 철거

‒ 폐기물 관리와 토지개량 작업을 포함한 자연보호 대책 추진

¡ 보수적 시나리오의 1단계에서 석탄 생산은 목표치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고,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소폭 증가(3%)하고, 또한 전체 석탄 생산량 중

에서 발전용 석탄 비중이 2배 증가할 것임.

‒ 2단계에서는 석탄생산이 24% 대폭 증가하여 4억4,500만 톤을 기록할 전망임.

낙관적 시나리오에서 석탄 수출 특히 아・태지역 국가로의 원료탄 수출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가운데 2020년까지 8% 증대되고, 2035년경에는 1/3 이상 증대 전망”

Page 23: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21

‒ 그리고 낙관적 시나리오에서 석탄 수출은 특히 아・태지역 국가로의 원료탄 수

출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가운데 1단계에서 8%까지 증대되고, 2035년에는 1/3 이상 증대될 것임.

3.5. 전력산업

¡ 2008~2014년 동안 러시아의 전력 생산은 2% 증가, 소비는 4%, 발전설비용량은

11% 각각 증가하였음.

‒ 2008~2014년에 Boguchanskaya 수력발전소, Nyaganskaya State District Power Plant(SDPP), Yuzhnouralskaya State District Power Plant(SDPP), Ust-Srednekanskaya 수력발전소. 등 총 28GW의 신규 설비용량이 도입되었고, Sayano-Shushenskaya 수력발전소가 2009년 사고 이후 복구되었음.

‒ 약 300개의 송전 전압 220kV 이상의 송전선을 가동・재건하였음.

‒ 가장 중요한 사업은 2012년 블라디보스톡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의와 2014년 소치 올림픽 개최 지역에 대한 에너지 공급 사업이었음. 이를 위해

Amurskaya-Heyhe 간 500kV 신규 송전선이 설치・가동되었음.

‒ 소규모 분산형 전원이 개발되었고, 열공급부문에서 경쟁이 계속 증대되고 있음.

¡ 동시에 전력산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와 과제들이 놓여 있음.

‒ 적정 수준의 가격과 충분한 에너지 공급인프라 상황에서 전력 및 열에 대한 유

효수요 충족 필요성

‒ 정확한 수요 전망과 단일전력시스템(Unified Energy System, 이하 ‘UES’)의 최

적 예비용량 도출 능력 부족

‒ 전력 소비량 예측값과 이후 실제 값 간 불일치

‒ 중앙집중형 전력・열공급 시스템과 분산형 전원 개발 및 에너지 그리드 지능화

등과의 효과적 연결 필요

‒ 폐기 또는 현대화 유인책 부족으로 고정자산의 노후화

‒ 비효율적이고, ‘강제’ 모드에서 작동하는 발전설비 비중의 급격한 증가

‒ 전력・열공급부문에서 가격기능 미흡, 열 및 전력 도・소매시장에서 경쟁 부족

‒ 사용 중인 해외수입 장비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비중

‒ 요금 수준 및 결정 방식의 잦은 개정

¡ 상기 과제와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으로 추진 1단계에서는 전력 소비자와 생산자

의 경제적 잉여 증대를 위해 전력 수요예측 모형 및 전력・열에 대한 가격형성

시스템 개선이 요구되고, 2단계에서는 전력부문의 가격 규제에서 발전원가를 반

“2008~2014년 동안 전력생산 2%, 소비 4%, 발전설비용량 11% 각각 증가”

Page 24: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22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영한 장기가격 설정에 의한 시스템 전환이 요구됨.

‒ 특히 2단계에서는 소비자 개별 그룹 및 지역 간 교차보조금의 철폐가 필수적임.

¡ 지역전력시스템에서 부하 패턴 및 밀도에 따라 시행되는 재생에너지 및 분산형

전원(UES에 연계되거나 분리되어 작동하는 25MW급 소형 발전소)에서의 발전

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됨.

‒ 2단계에서 특히 분산형 전원 개발이 활성화되며, 이는 에너지 안보 증대와 전력

부문 혁신에 기여할 것임.

¡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부문별 과제를 해결해야 함.

‒ 우선적으로 자국산 기술・장비 사용에 기반 한 신규 필수 설비용량 도입과 열병

합발전에서 전력・열 생산의 우선적 증대를 통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고, 노후

화된 전력설비의 해체

‒ 지능화 시스템과 연결된 전력 공급의 신뢰성 확보를 기반으로 가능한 모든 기술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 간 전력망 연계와 지역 내 고립 지역의 전력망과

의 연계 등을 포함한 UES 확충과 현대화 추진

‒ 전원구성 및 국가・지역의 수급균형 개선에 기초한 발전설비 구조 및 부하의 최

적화

‒ 유라시아경제연합의 단일경제공간 내에서 전력망 연계와 아시아 동부지역에 대

한 우선적 전력수출 증대

¡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경쟁 촉진과 전력 및 난방 요금의 정부 규제(공정거래

포함) 수단 개발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

‒ 열공급 산업의 수익성 확보 위한 정부의 ‘대체 보일러’* 프로그램에 기반 한

가격형성과 열공급부문 및 전력 도・소매시장에서의 경쟁 촉진이 개혁의 주요한

방향이 될 것이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유의사항을 포함해야 함.

・ 시장균형, 효과적인 시장 메커니즘, 투자 증대 등을 위한 효율적인 가격신호

기능 실현을 위해 공급자와 소비자 간 평등한 권리를 보장함과 동시에 전력

도・소매시장의 경쟁 모델 구축

・ 전력 서비스 요금규정의 일관성 확보와 안정적인 열공급 및 전력서비스 품

질을 위한 책임 분할 메커니즘 개발

* 지난 수년간 러시아 열공급부문의 효율성 및 신뢰성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현재는 거의 파산 직전에

도달한 상황임. 이에 러시아 정부는 열시장의 개혁 필요성을 주창했고, 푸틴 대통령은 에너지부에

열시장의 신규 발전모델에 대한 로드맵을 2014년 6월 15일까지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음. 러시

아 에너지부는 열공급부문에 대한 개혁을 위해 동 사업의 수익성 관련 문제 해결이 급선무로 파악

하였고, 2015년부터 ‘대체 보일러’ 수단이라는 명칭 하에 장기요금 책정방식 도입을 제안하였음.

‘대체 보일러’ 방식은 경쟁력이 낮은 중앙집중형 난방을 소비자 거절할 수 있고, 연료 종류, 건설기

술, 기후, 지역 등에 따라 요금을 차등 적용할 수 있음.

“지역전력시스템에서 부하 패턴 및 밀도에 따라 시행되는 재생에너지 및 분산형 전원에서의 발전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

Page 25: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23

・ 2016~2020년과 (기 체결된 2012~2015년 용량예비력계약의 실현) 이후 연도의

투자와 고정자산 현대화를 위한 투자 촉진을 위해 전력・열공급부문에 대한

투자유치 관련 신규 메커니즘 개발과 실현

・ 수요 탄력성, 전력 공급의 신뢰성, 전력 품질 등을 고려하여 전력공급 조건을

다양화해서 전력 서비스 시장에서 소비자 권한 증대

・ 소비자에게 열공급 방식과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지역 열시장 모형 개발과

특히 열병합발전과 같은 효율적인 기술 개발・도입 지원

・ 지역 열시장에서 소비자에게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열공급을 책임지는

단일 열공급 조직 설립

・ 청정석탄(clean coal) 및 친환경적으로 깨끗한 석탄 발전설비 관련 기술 개발

지원

‒ 교차보조금 철폐를 고려하여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발전원가를 반영한

장기 전력요금 설정이 이루어질 것이며, 다음 유의사항을 고려해야 함.

・ 전력의 지역 간 교차보조금 철폐를 위한 연방예산 재원 마련

・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대체 보일러’ 프로그램과 같은 기술-경제적 요인을

반영한 열요금 책정방식 개선

¡ 이밖에 에너지 안보와 전력 생산구조 개선을 위한 발전 주체, 설비, 운영, 기술

적 특성, 인력 등에 있어서 필요한 조치들이 추진될 것임.

‒ 노후 장비의 해체와 현대화를 장려하기 위해 최신 기술 및 친환경적 기준에 부

합하지 않는 장비사용에 대한 제재 강화가 필요함.

‒ 자국산 장비를 우선으로 사용하고, 숙련된 인력을 충분히 활용하는 전력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임.

¡ 상기 조치들이 시행된다는 조건하에 발전량은 2020년에 6%, 2035년에

27~43%(1,062TWh에서 1,352~1,514TWh) 증가하고, 발전설비용량은

13~25%(259GW에서 282~312GW)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비화력 발전시설의 활발한 건설을 통해 비화석연료 발전설비용량은

29~49% 증가하고, 발전량도 1.4~1.6배 증가할 것임.

・ 2035년에 원자력 발전은 1.4~1.8배, 수력 발전은 1.2~1.3배, 재생에너지 발전

은 9~14배 각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1단계에서 열의 중앙집중형 공급은 2% 감소하지만, 전체 전망 기간인

2015~2035년 동안에는 2~6% 증가할 것임(1,300백만Gcal에서 1,325~1,380백만Gcal).

‒ 교통 및 주택-공공 부문의 전력화 사업의 활발한 추진으로 전체 에너지 소비에

“열공급 산업의 수익성 확보 위한 정부의 ‘대체 보일러’ 프로그램에 기반한 가격형성과 열공급부문 및 전력 도・소매시장에서의 경쟁 촉진이 개혁의 주요 방향”

“발전량은 2020년에 6%, 2035년에 27~43% 각각 증가, 발전설비용량은 13~25% 증대 전망”

Page 26: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24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서 전력 비중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전력 수출은 5~8배 증가하여 32~74TWh로 될 것임.

3.6. 원자력산업과 핵연료 사이클

¡ 원자력 발전량은 2008년 대비 11% 증가, 발전설비용량은 9% 증가하였음

(Rostovskaya 원전 No.3 발전설비용량 제외). 그리고 러시아는 해외 원전 건설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 다음과 같은 원전들의 상업 운영이 개시되었음: ▲Rostovskaya 원전 - 설비용량

이 1,000MW급의 No.2와 설비용량 1,070MW급의 No.3, ▲Kalininskaya 원전- 설비용량 1,000MW급의 No.4, ▲Beloyarskaya 원전 원자로 No.4

・ Beloyarskaya 원전 1개 블록, Rostovskaya 원전 1개 블록, Novovoronezheskaya 원전-2의 2개 블록, Leningradskaya 원전-2의 2개 블록을 포함하여 기존 및 신

규 원자력 발전소 현장에서 원자로 건설이 계속되고 있음.

‒ 해외 원전 건설사업: 이란 Busherskaya 원전, 인도 Kudamkulam 원전, 중국

Tyanvanskaya 원전 등

・ 이밖에 벨라루스, 방글라데시, 헝가리, 핀란드, 터키 등과 원전 건설에 대한

협정을 체결하였음.

¡ 원자력은 러시아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간 선두에 있는 기술 분야 중 하나이며, 원자력산업 발전은 전력 수급구조 개선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서 기술적 리더 자

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중요함.

‒ 특히 러시아는 안전한 고속 중성자 원자로와 폐쇄 연료 사이클과 함께 신규 원

자력 발전 측면에서 선두 자리에 있으며, 이를 통해 핵연료의 재생, 폐기물 처

리, 핵무기의 비확산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음.

‒ 원자력산업 발전의 주요 문제는 높은 원전 건설비용, 안전성 보장, 국내 연료기

반의 제약, 사용후 핵연료의 재활용 및 처리 필요성 등과 관련됨.

‒ 그러나 전원믹스에서 원자력 비중은 더욱 증가할 것이고, 특히 에너지 안보 증

대를 위하여 중요함.

¡ 다음과 같은 부문별 과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음.

‒ 전반적으로 원자력의 경제성과 경쟁력 향상, 안전성 담보를 전제로 한 건설단가

감소 등으로 신규 원전의 경제적 경쟁력 실현

‒ 폐쇄 핵연료 사이클을 포함한 안전한 고속 원자로에 기반을 둔 경쟁력 있는 원

자력의 기술적 베이스 구축, 방사성 폐기물의 지질학적 처리, 핵무기 물질의 확

산 방지 유지

“원자력은 러시아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간 선두에 있는 기술분야 중 하나이며, 원자력산업 발전은 전력 수급구조 개선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서 기술적 리더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중요”

Page 27: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25

‒ 국내 발전설비 투입에 필요한 물량 확보, 수출 증대를 위한 핵공학 및 건설-플랜트 기업의 생산 능력 향상

‒ 2단계에서는 개선된 가압 경수로 및 폐쇄 핵연료 사이클에서 작동하는 고속 원

자로와 함께 원자력 새로운 기술 플랫폼 구축

‒ 러시아의 원전 기술 수출 능력 증대, 원전, 부품, 핵연료 사이클 기술, 전력 등의

수출 증대

¡ 원자력과 핵연료 사이클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치들이 필요함.

‒ 영토 내 우라늄 매장지 개발을 기초로 한 원전 원료 기반 구축, 해외 현지기업

과 합작을 통한 생산기반 확충, 세계적으로 유망한 우라늄 매장지역에서 신규

매장지 탐사・개발 증대, 특히 카자흐스탄 내 우라늄 생산 자산에 대한 러시아

기업의 참여 비중 확대

‒ 차세대 가스 원심 분리기에 기초한 핵연료 사이클의 개발, 분리-승화 설비

(separation-sublimation plant)의 현대화, 건설부문에서 경제적 효율성 향상(세계 시장에서 러시아 핵연료 경쟁력 확보), 연료의 새로운 유형 생산설비 구축

등 지원

‒ 사용후 핵연료 처리, 재활용, 방사성 폐기물 처리, 가동이 중단된 원자력 발전설

비의 해체 등의 기술 관련 설비를 포함한 폐쇄 연료 사이클 시스템 구축 지원

‒ 원전 관련 필수장비 공급물량 확보, 국영기업 Rosatom 산하 또는 연관 분야에

있는 에너지 엔지니어링 기업의 경제적 효율성 향상

‒ 원전의 연속 건설 프로젝트 시행에 기반을 둔 원전에서의 전력생산 증대 사업 지

원, 기존 발전설비 및 프로그램의 수명 연장, 모든 단계에서 설비용량 이용률 향상

‒ 원자력 분야의 기술・서비스 수출을 위한 정책적・경제적 지원

¡ 원자력산업과 핵연료 사이클과 관련한 상기 과제들을 해결할 경우에 2015~2035년 전력 생산량에서 원자력 비중은 2~4%(17에서 19~21%로), 발전설비용량은

1.4~1.7배 증대할 것으로(구소련 시기 건설된 원자로 해체 포함) 전망됨.

‒ 1차에너지 생산구조에서 원자력 비중은 2015~2035년에 3.0%에서 3.5~3.9%까

지 증가할 것임.

3.7. 재생에너지산업

¡ 러시아 재생에너지산업 발전에서 중요한 성과는 태양에너지를 전력으로 전환하

는 신기술을 개발・달성했다는 것임.

‒ 이밖에 ▲높은 에너지변환효율을 갖는 실리콘, 모듈, 태양전지, ▲고효율(에너지

“원자력사업과 핵연료 사이클과 관련된 여러 문제를 해결할 경우, 2015~2035년 전력 생산량에서 원자력 비중은 2~4%(17에서 19~21%로), 발전설비용량은 1.4~1.7배 증대 전망”

Page 28: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26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변환효율 25% 이상)의 ‘이종구조 태양전지(heterostructure solar cells)’ 및 태양

에너지 집중 장치, ▲5kW~ 1MW 설비의 마이크로 및 소규모 수력발전소, ▲열

및 전력의 현지 수요 충족을 위한 개별 및 농장을 위한 바이오가스 플랜트, ▲수백W에서 수십kW 발전용량의 풍력 발전소 등이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음.

‒ 그러나 대・중 설비용량의 풍력 발전설비의 생산에서는 아직 큰 문제를 갖고 있음.

‒ 또한, 지역 에너지 수급균형에서 지역 내 연료(토탄, 목재 및 농업 폐기물, 도시

고형 폐기물) 사용 비중이 작은 것도 문제임.

¡ 재생에너지 사용의 주요 문제는 중앙 집중화된 전력 공급 시스템과 관련한 낮은

경쟁력임. 러시아에서 재생에너지 개발・보급에 있어 유망한 지역은 에너지 공급

망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고립된 지역임.

‒ 재생에너지 개발의 과제는 다음과 같음.

・ 경제적 효율 조건 하에서 재생에너지 신규 발전설비 도입

・ 국내 과학-기술 기반 구축과 재생에너지 개발・보급 관련 선진 기술 개발, 러시아연방 영토 내 재생에너지 주요 발전설비 및 보조장비 생산 증가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통한 전력 생산 지원과

러시아 연방주체의 재생에너지 사용 지원 메커니즘 개선, 재생에너지산업 발전

을 위한 투자 유치 인프라 개선, 전력 및 재생에너지 기업 간 협력 등이 필요함.

¡ 또한, 재생에너지의 경제적・합리적 개발 위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조

치들이 필요함.

‒ 전력시장에서 전력수급 계획에 재생에너지원 발전 포함

・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통합전력망에 접속 시 장애요인 제거, 전력망

과 기술적 연계에 대한 비용 지원

・ 재생에너지 발전기업 육성을 위한 신용대출 지원

・ 재생에너지 전력생산 목표 이행에 대한 감시 및 통계 보고서 시스템 구축

‒ 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부문의 과학-기술 및 산업 기반 발전

・ 재생에너지부문의 과학-연구 및 시범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의 재원 마련 및

지원

・ 재생에너지 장비의 표준화와 품질 관리

・ 재생에너지원 발전소 부대 장비를 생산하는 해외 기업의 기술 이전 및 현지

화,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기술 및 정보 교류부문에서의 국제 협력 강화

¡ 결과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전력 생산은 1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14년의 2TWh에서부터 18~27TWh까지).

“러시아 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통한 전력 생산 지원, 재생에너지 사용 지원 메커니즘 개선, 전력 및 재생에너지 기업 간 협력 등 필요”

Page 29: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27

4. 국가 에너지 거버넌스와 발전과제

4.1. 지하자원

¡ 러시아는 국가의 경제・에너지 안보를 보장하고 현재와 미래 경제의 탄화수소, 우라늄 소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하자원 공급 잠재력에서 세계적인 강대국임.

‒ 2014년 1월 1일 기준 확인매장량(A+B+C1 기준)은 석유 182억 톤, 가스

49.5Tcm임.

・ 석유 자원 부존량은 현 생산수준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가스 생산량

은 향후 현저히 증가할 것임.

・ 우선적으로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그리고 멀지 않은 장래에 북극 대륙붕

에서 생산되는 자원의 높은 수준의 생산・수송 비용의 절감을 필요로 함.

‒ 2035년에 지질탐사/시추 작업을 통해 석유 매장량은 130~150억 톤, 가스

25~27Tcm의 누적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음.

・ 2035년까지 석유 및 가스 매장량 증가의 주요 지역은 서시베리아, Lena-Tunguska, 카스피해, Timan-Pechora, 볼가-우랄 지역 등임.

‒ 향후 10년간 서시베리아지역은 러시아의 주요 석유생산 매장지로 남아 있을 가

능성이 높음. 동 지역의 생산 잠재력에 관해서는 다음 사항들에 근거함.

・ 주요 석유채굴 지역에서의 자원 탐사율은 65%도 넘지 않음. 이에 향후 10억

톤 이상의 ‘새로운’ 석유 매장지대가 발견될 것으로 기대

・ 기존 매장지 개발 시 원유 회수율을 증대시켜 줄 신기술 도입을 통해 석유

생산량이 40억 톤 이상 증가 기대

・ 21,500개의 낮은 수익률(일일 5톤 미만) 및 고 수분함유 유정(95% 이상) 개발에 집중할 시 전문가들은 연간 1,200만 톤의 석유 생산을 기대

‒ Bazhenovskaya 셰일층 개발은 Khanty-Mansi 자치구, 동・서시베리아지역, 그리고

러시아연방 전체의 안정적 석유생산 수준 유지를 위해 중요한 사업 중 하나임. 2030년에 Bazhenovskaya에서 생산량은 연간 2,000만~2,500만 톤을 상회할 것임.

¡ 석유・가스 주요 생산지역의 자원량과 매장량은 향후 10~15년 동안 지하자원 개

발을 보장하겠지만, 이보다 신규 매장지 개발과 가채매장량 비중 증가를 통한

매장량 증가가 더 큰 의미를 가짐.

‒ 특히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의 계획된 석유생산 수준 달성을 위한 매장량은 현

저히 증가될 수 있음.

‒ 석유 및 가스 추정매장량의 지리적 분포와 지질학적, 지구물리학적 탐사 수준을

“향후 10년간 서시베리아지역은 러시아의 주요 석유생산 매장지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고, Bazhenovskaya 셰일층 개발을 통해 안정적 석유생산 수준 유지 예상”

Page 30: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28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고려하면, 흑해, 바렌츠해, 카라해, 페초라해, 오호츠크해 내 탄화수소 매장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

¡ 석탄산업의 경우에 우선적으로 고품질 석탄 매장량 개발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

¡ 2035년까지 천연 우라늄은 원자력발전소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주요 에너지원으

로 남아 있을 것임.

‒ 우라늄 시장의 불경기를 고려해 국영 원자력기업인 Rosatom은 최근에 핵연료

사이클-저농축 우라늄 관련 제품의 세계 시장으로 진출을 늘리기 위해 생산단가

가 낮은 해외 매장지로 우라늄 생산프로젝트를 확장하고 있음.

‒ 국내 생산량 증가를 위한 주요 추진 방향은 자바이칼州, Kurgan 지역, Buryatia 자치공화국 내 개발기업 육성, 사하(야쿠치야) 자치공화국 내 새로운 우라늄 채

굴 기업 설립과 신규 매장지 평가를 위한 지질탐사・시추 작업 추진 등임.

¡ 지하자원 개발은 연료에너지산업 발전의 필수 조건이며, 석유와 우라늄의 현 생

산 수준 유지와 가스 및 석탄의 생산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음.

‒ 지하자원 개발에 있어서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음.

・ 대규모 탄화수소 탐사매장지에서 경제성 있는 매장량 미발견, 자원 개발시에

경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매장지 부족

・ 2008년 이래 지질탐사 및 시추 작업에 대한 저조한 투자실적으로 미개발 매

장지대에 대한 탐사율 하락

・ 수입 장비, 기술, 서비스에 대한 국내 지질탐사의 높은 의존도

¡ 이와 관련 지하자원 개발부문의 해결 과제들은 다음과 같음.

‒ 주요 연료의 연평균(5년간) 매장량 증가율과 그 생산 증가율과의 비율을 최소 1로

유지하면서 지하자원의 지속적이고 효과적, 친환경적인 개발을 위한 여건 마련

‒ 북극해 대륙붕 매장지를 포함하여 탐사 및 개발이 어려운 자원 및 비전통 탄화

수소 자원 개발 등으로 개발 사업 확장

‒ 지하자원 개발 분야에서 러시아 내 서비스・엔지니어링 시장 육성

¡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다음의 조치들이 채택되어야 함.

‒ 정부 지원을 확대하고, 탐사율은 낮지만 유망한 국내 부존지역을 우선적으로 민

간투자 유치를 통한 지질탐사/시추 작업 촉진 및 이를 위한 환경 조성

‒ 지질탐사 추진 여부, 수준, 대상지역 특성 등에 따른 세제혜택

‒ 지하자원 매장지 이용 절차 간소화를 포함해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 이용에 대한

신청절차 등 매장지 개발과정에 대한 규제절차 간소화(많이 개발되고 있는 새로

운 탄화수소 매장지에 우선 적용)

“지하자원 개발을 위해 독립적 서비스・엔지니어링 시장 확대, 민간투자 유치를 통한 지질탐사/시추 작업 촉진 위한 환경 조성, 지하자원 매장지 이용 절차 간소화 필요”

Page 31: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29

‒ 지질탐사・시추부문에서 중소기업 지원

‒ 전략적 매장지대 설정 및 개발과 관련한 명확한 기준 및 투명한 절차 설정, 또한 여기에 해당되지 않은 매장지대의 목록 작성

‒ 매장지별 생산량 및 개발비용에 관한 국가적 차원의 2단계 모니터링, 감독, 보고 시스템 등의 도입 및 개발

‒ 지하자원 매장지 공동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단위의 제휴 절차 도입 및 개발

‒ 시범사업 시행 후 외국기업의 경험・기술을 러시아 기업에 이전 촉진

‒ 탄화수소 매장지 개발 계획과 수송인프라 확충 계획의 동시 수립 및 추진

4.2.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 향상

¡ 2008~2009년의 경제위기로 2008~2014년 동안 러시아 경제의 에너지집약도는 약

7.5~8.5% 하락했고, 2009년 에너지집약도는 3% 상승하였음.

‒ 경제의 구조적인 변화와 회복세가 에너지집약도 개선에 큰 기여를 하였음.

‒ 현재 에너지집약도 개선과 관련한 구조적 변화의 잠재력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투자 부족과 에너지 소비자들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동기 부여에 관한 국가

정책의 불충분한 효과 등은 에너지절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

‒ 그 결과 주요한 국내 산업의 1단위 제품생산에 투입되는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평균의 1.2~2배, 세계 최고 수준보다 1.5~4배 상회함. 이러한 낮은 에너지 효율

은 에너지 비용을 증대시키고, 러시아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림.

¡ 이러한 상황에서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 향상 위한 추가적인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면, 2020년경 에너지집약도는 2007년 대비 15% 이상 하락하게 될 것임.

‒ 이는 2008년 6월 4일 채택한 러시아연방 대통령령 No.889에서 명시된 목표치

인 40%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임.

‒ 상호 합의된 경제 및 에너지산업의 발전 가속화를 보장하고 설정된 목표치 달성

을 위해서는 에너지절약 과제들을 최대한 실현시키고, 경제 전반에 걸쳐 에너지

효율을 세계적 수준에 근접하게 향상시켜야 함.

‒ 이러한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 향상 부문에서 민간・정부 투자 유치를 촉진시킬 수 있는 국가운영 시스템의 개선이 절실함.

・ 이를 위해 기존에 이미 시행 중이거나(개발권, 에너지서비스 계약, 조세 및

기타 면제혜택), 러시아에서는 새롭지만 세계 시장에서 추진되고 있는(에너지

자원 소비대국과의 협약서, 민간 벤처 및 기타 기금 등) 수단들을 선정・도입

해야 함.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 향상 위한 추가적인 정책이 추진되지 않으면, 2020년경 에너지집약도는 2008년에 채택된 목표치 40%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인 15% 정도 하락 예상”

Page 32: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30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세계적으로 환율 및 가격조정 정책은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대

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재원조달 수단으로 활용되었음.

¡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효율 향상 잠재력을 실현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다음 사항

들이 포함됨.

‒ 비효율적인 에너지 기술, 설비, 건물, 기술 공정 등의 생산・사용을 금지하는 법・제도적 장치 마련

‒ 고에너지효율 장비 구입 시 적용 가능한 최고의 기술(The Best Available Technologies, BAT)에 대한 안내 책자와 리스트 작성, 세금혜택 등을 통한 기

업의 BAT 사용을 법・제도적으로 지원

‒ 에너지효율 및 에너지절약 부문의 예산외 자금, 연구개발기관 및 양허성 프로젝

트에 대한 차관 등 다른 예산 재원 사용(대출 지원 등)

‒ 에너지효율 및 에너지절약 부문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의 신용대출 지원

‒ 에너지효율이 좋은 건물, 설비, 장비, 기술 등에 대한 관련 기준 마련

‒ 에너지절약과 고효율 에너지 장비 구입 프로젝트 지원을 위해 국가수매와 정부

출연기관의 구매 계약체결에 관한 러시아연방 법률 개정

‒ 고등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한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 향상에 관한

국민 대상 홍보

¡ 제시된 대책의 시행결과, 2020년에 러시아의 에너지집약도 개선은(현재는 연간

1.5~2.5 이하 또는 1% 미만임) 가속화될 것임.

‒ 장기 전망에서 2035년까지 러시아연방의 에너지집약도는 서유럽, 미국, 일본, 중국의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기대됨.

‒ 에너지절약 정책 시행의 주요한 결과들은 온실가스 배출 증가 억제와 에너지 산

업단지의 오염물 배출 감소로 나타날 것임.

4.3. 환경보호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 에너지 산업에서는 2008~2014년 동안 환경보호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으

로 다음의 조치들을 시행해 왔음.

‒ 지하자원 개발・수송부문에서 환경적 요구사항 강화

‒ 석유・가스의 효과적인 활용에 관한 종합대책 마련

‒ 국제적 규범 및 기준에 부합하는 환경기준에서 자동차 연료 생산 및 소비 증대

위한 대책 마련

‒ 석탄산업 구조개편의 일환으로 환경규제 개선

“2035년까지 러시아의 에너지집약도는 서유럽, 미국, 일본, 중국 등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

Page 33: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31

¡ 숲과 같은 이산화탄소 흡수원의 온실가스 배출량 상계치를 고려치 않은 경우에

러시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5년에 1990년 대비 71%이지만, 이러한 효과를

반영한 교토의정서에 의거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57%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료에너지산업의 타성적인 성향을 고려하면, 정부의 조치

들은 연료에너지 기업들의 오염물질 배출 감소 노력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기

에는 불충분함.

‒ 에너지부문에서 환경보호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과제는 에너지 자원의

채굴, 생산, 수송 및 소비 시에 환경, 기후, 보건 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임.

¡ 상기 과제 해결을 촉진하는 대책에는 다음 사항들이 포함됨.

‒ 연료에너지산업의 적용 가능한 최고의 기술(BAT) 도입

‒ 에너지산업단지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프로젝트 개

발과 그 시행에 있어서 금융・경제 변수뿐만 아니라 환경 변수도 동등하게 고려

‒ 러시아 규범과 국제적 환경법의 조화

‒ 새롭게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감소와 기존에 발생한 오염물질의 재활용 촉진, 오염물질의 안전한 취급 보장, 토지개발과 생태계 환경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위

한 기술적・제도적 방안 마련

‒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감소와 환경위험을 낮추기 위한 학술연구 촉진과

유용한 기술개발 지원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 개발과 시행

‒ 금융・경제 및 행정적 대책을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수단 개발

‒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 함유된 장비 및 폐기물의 세척, 재활용에 관한 스톡홀름

협약 내용의 이행

‒ 산업적・환경적 안전 보장, 비상사태 예방 및 처리, 연료에너지산업 시설물 내

작업 등에 대한 법적・제도적・기술적 규정 개선

‒ 사고와 그로 인한 환경파괴, 처리 및 복구 대책에 관한 실시간 정보와 환경정보

개방 및 접근성 보장, 사회환경단체 및 환경운동기구와의 협력 강화

‒ 기업 활동의 핵심적 성과지표와 지속가능한 발전 지표와의 통합, 비재무적 회계

보고 체계 개발, 지속적 발전에 관한 보고서의 질적 향상, 사회적 기업책임에 관

한 국제적 기준 도입

¡ 상기 과제 해결을 촉진하는 일련의 조건들은 다음의 과제 해결을 통해 보장됨.

‒ 에너지 자원의 친환경적・저탄소・자원절약형 생산・수송・저장・활용 기술 개발

“러시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교토의정서에 의거했을 때 2015년에 1990년 대비 57%임”

Page 34: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32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석유・가스의 합리적인 사용과 연소량 최소화를 위해 주요 인프라 구축, 기술적

및 그 밖의 다른 제약요소 제거

‒ 방사능 문제 해결을 전제로 한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원을 기반으로 한 전력 및

열 생산 증대

‒ 국제 규범 및 기준에 부합하는 환경적 기준 개선과 함께 NGV 차량용 가스 등

고품질의 자동차 연료 생산 증대

‒ 에너지 생산의 산업적・환경적 안보를 책임지는 담당자들의 전문성 향상

¡ 에너지 기업들은 자사 투자방향을 2015~2035년 동안 온실가스 배출량이 1990년도 수준보다 75%를 상회하지 않는 선에서 진행해야 할 것임.

4.4. 수입대체 프로그램과 연관 산업과의 협력

¡ 러시아 에너지의 기술, 장비, 자재,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에 대한 해외 의존도는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으며, 이는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를 위협하고 있음.

‒ 수입대체 프로그램은 기술적 자립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경제 시스템과 국내 산

업의 회복 및 발전에 있어 추가적인 성장을 보장함.

‒ 현재 처한 상황과 향후 가능한 상황전개 추이를 고려했을 때, 수입대체 프로그

램과 연관 산업과의 협력에서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이 필수적임.

・ 산업부문 간 협력 강화와 주요 투자 프로젝트 시행을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

하고 있는 산업별・기업별 수입대체 프로그램을 기초로 민관 수입대체 메커

니즘 구축

・ 연료에너지산업의 지속적인 기능과 발전에 있어 주요한 기술부문에서 고품

질의 에너지 장비 개발과 생산, 서비스 보장을 위한 국내 과학기술 및 산업

기반 형성

¡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의 대책들이 채택되어야 함.

‒ 품질과 서비스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국내산 장비, 부품, 자재, 서비스, 소프트웨

어의 사용을 위한 세금 및 관세 혜택

‒ 우선 투자프로그램의 자금조달에 있어 양허성 대출 및 기타 방안 추진

‒ 국산 설비, 자재, 서비스 개발・보급 위한 광범위한 엔지니어링 센터 건설

‒ 연료에너지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첨단 외국 기술의 현지화 지원

‒ 민・관・학 합동 컨소시엄과 투자 클러스터 형성을 촉진하고, 러시아 또는 현지 설

비공급업체 설립을 위한 최신 인프라 구축, 수입대체를 위한 기술적 문제 해결

‒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최신 장비 및 기술을 시험 가동할 수 있는 장소 마련과

“현재 러시아 에너지의 기술, 장비, 자재,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에 대한 해외 의존도는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으며,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 위협”

Page 35: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33

연료에너지산업의 고급인력 양성 및 재교육 센터 설립

¡ 중・장기적 수입대체 과제들은 외국산보다 뒤처지지 않는 새로운 국내 기술, 설

비, 자재, 소프트웨어, 서비스의 개발을 요구함.

‒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 사업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모

든 사업에 대한 발전이 보장되어야 함.

・ 이를 위한 1단계는 수입대체 프로그램의 단기 및 중기 과제를 해결해야 함.

‒ 주요 목표는 1단계 추진 기간 말에 연료에너지산업에서 국산제품의 비중을 60%까지 증대, 2035년에 이를 85% 이상 증대하는 것임.

4.5. 과학・기술 및 혁신 활동

¡ 질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혁신 추진 및 달성은 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한 실질적

인 모든 과제 해결과 중요한 목표 달성에 있어 핵심적 요소임.

‒ 특히 석유・가스의 채굴, 개발, 장거리 수송에 들어가는 높은 비용과 석유・가스

가공부문의 조속한 성장을 고려했을 때, 러시아 석유・가스산업의 혁신적 재무장

은 세계 시장에서의 역할 및 경쟁력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유일한 방법임.

‒ 높은 수준의 획기적인 기술(고효율 전력 저장장치, Mini/MICRO 직류발전기, 가스하이드레이트 등)은 전력과 석유・가스산업의 미래를 결정지음.

¡ 국가 기관의 다년간 노력과 다양한 연구시설들이 현재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러시아에는 혁신공정의 빠른 구현과 강력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인

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임.

‒ 특히 국제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는 R&D 투자(2012년 기준 240억 달러)에 있어 세계 8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첨단 제품 수출에 있어 28위에 그침.

‒ 그리고 R&D 투자자금의 상당한 부분을 국가가 책임지고 있음.

・ 국내 연구개발에 소요되는 연방예산의 비중은 2010~2012년 80%, 2013년 88%이고, 국제 관행과는 달리 일부의 중소기업만이 혁신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 러시아의 연료에너지산업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의 과학・기술 및 혁신 사업 발전

을 위한 주요 도전 및 문제들은 다음과 같음.

‒ 글로벌 기술 경쟁 심화

‒ R&D 투자의 낮은 효율성

‒ 기업들의 혁신사업에 대한 낮은 참가율(단 1/3 기업만이 혁신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들 중 70% 이상은 새로운 장비 구입 선호)

‒ 기존에 이미 형성된 과학적 성과물들의 고갈과 세계적 기술 리더들과의 격차 확대

“2020년까지 연료에너지산업에서 국산제품 비중을 60%까지, 2035년에 85% 상회”

Page 36: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34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혁신활동 지원과 실물경제 발전을 위한 금융・신용 메커니즘 개발 미흡

‒ 낮은 수준의 혁신문화(혁신에 대한 관심 부재, 리스크 및 비용 회피 성향 등)

‒ 혁신사업 발전과 기술전환을 위한 핵심 역량 부재

‒ 주요 국제 혁신 네트워크 내에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러시아 기관과 세계

시장에서 국내 혁신사업 발전을 위한 조율된 정책 부재

¡ 연료에너지산업의 과학-기술, 혁신사업 앞에 당면한 도전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

과 산재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의 과제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음.

‒ 과학 기술의 발전 전망과 투자프로젝트를 연결해 주는 ‘기초기술연구-응용기술

연구-개발-샘플 제작-대량생산’ 등으로 연결된 혁신 사이클 구현에 있어 효과적

인 메커니즘 구축

‒ 외국기술에 대한 의존도 감소와 국가참여 기업의 R&D 투자 활성화, 국내 혁신

개발에 대한 수요 촉진 등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적 발전을 가능케 하는 국가혁

신시스템 구축 및 발전

‒ 국제 네트워크와 러시아 네트워크 간 연계 등 혁신사업 추진 및 기술이전 네트

워크 발전

¡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다음의 대책들을 채택할 필요가 있음.

‒ 에너지 관련 기계・설비 제작산업 발전 전략, 발전 프로그램, 연료에너지산업의

종합발전대책 등과 미래 전망 간 연계 위한 국가 기술예측 시스템 개발

‒ 통계 자료 및 분석 보고서 작성 위한 연료에너지산업의 국가정보시스템 구축

‒ 연료에너지산업의 기술 발전을 위한 분야별 센터 설립

‒ 실험 시설, 저작권 및 그 결과물 보호를 위한 혁신사업의 정보 보호 시스템의

현대화

‒ 연료에너지산업의 과학기술 발전 국가프로그램과 국가참여 기업의 혁신발전 프

로그램, 예산 집행을 통한 기초・응용 과학기술 연구 작업의 효율성에 관한 조정

및 평가

‒ 선진기술 개발에 인력과 자금을 집중시키기 위한 연구기관, 국영기업, 정부출연

기관, 민간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기금 마련 및 증대

‒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PF) 적용 확대

‒ 국가・기업 벤처 기금을 통한 연료에너지산업의 개발 상용화 지원 등 에너지 혁

신 부문의 ‘벤처’사업 육성

¡ 핵심적인 사항은 기술혁신의 효과 향상을 전제로 전체 생산비용에서 적어도 3% 이상을 기술혁신에 투자하는 것임.

“연료에너지산업의 과학-기술, 혁신 활동을 위해 외국기술에 대한 의존도 감소, 국가참여 기업의 R&D 투자 활성화, 국내 혁신 개발에 대한 수요 촉진 등 국가혁신시스템 구축 및 발전 필요”

Page 37: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35

4.6. 사회부문 발전과 인력개발

¡ 에너지부문의 발전은 연료에너지산업의 인력 개발 가속화와 효율적인 활용 없이

는 불가능함.

‒ 이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메커니즘의 효과는 다음과 같음.

・ 고용시장의 열악한 상황, 높은 노동회전율, 전문인력 부족 등에 대한 효과적

인 대응

・ 중등 교육기관 내 산재한 문제 해결

・ 전문 인력의 유동성 증대

・ 생산지역과 교육센터 간의 지역 간 격차 문제 해결

・ 교육기관 운영의 효율성 향상

‒ 인력 양성 및 개발부문에 있어 세계 및 러시아 기업의 가장 좋은 관행은 세계적

으로 범위를 넓혀나가고 있다는 것임.

‒ 경쟁력 향상에 핵심역할을 하는 자산으로써 인재들의 잠재력 향상과 인적자본으

로의 전환은 모든 러시아 연료에너지 기업의 기업문화에 기준이 되어야 할 것임.

‒ 또한, 러시아 고등교육기관은 세계 에너지부문 우수대학 대열에 합류해야 함.

¡ 연료에너지산업의 인력 개발과 효율적인 활용 보장을 위해서는 다음의 과제들을

해결해야 함.

‒ 연료에너지 기업 측면에서 인력 개발에 대한 투자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 기업의

인력 운영에 관한 장기 전략 개발 및 시행과 고능률의 직장 환경 조성

‒ 연료에너지산업에서 혁신기술의 체계적인 개발과 도입, 발전 등을 위한 특수교육

시스템과 전문가 및 숙련기술자 양성을 위한 산업동향 분석・예측 시스템 구축

‒ 연료에너지산업의 산업별 역량센터 설립 등 생산, 과학, 교육의 통합을 기반으

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국가 및 기업 차원의 교육, 양성, 재교육,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 제시된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의 조치들을 시행해야 함.

‒ 국가운영 측면:

・ 연료에너지산업의 유망한 기술발전 분야를 고려한 전문적 표준 도입 및 개

발, 또한 산업별 위원회에 의한 전문성 및 직종 체계화

・ 연료에너지산업의 고용예측시스템 마련과 직종 및 지역에 따른 정기적인 시

장 조사 실시

“에너지부문의 발전은 연료에너지산업의 인력 개발 가속화와 효율적인 활용 없이는 불가능”

Page 38: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36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연료에너지산업별 고등교육기관과 중등전문교육기관의 입학정원제 제시

・ 인적자본 개발에 투자하는 기업 및 기관에 대한 세금혜택 제공

‒ 기업 측면:

・ ‘학교-대학-기업’으로 이어지는 인력양성의 투명한 모델 형성, 그 일환으로

기업은 교육프로그램과 직업 개발에 투자하고 직원들의 요구를 반영해 교육

기관에 최신장비 설치와 연구기반 조성에 참여

・ 경쟁력 있는 혜택 제공과 엔지니어링/생산직 대중화, 노사협력 증대, 연료에

너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제 기준을 도입해 연료에너지 기업의 직

업 매력도 향상

・ 신기술 도입과 기술안전 준수를 고려해 연료에너지 기업들이 적용하는 채용

기준, 규범의 정기적인 검토

・ 세계 선진 기업 사례를 참고한 전문교육기관의 직원 재교육 및 역량 향상

프로그램 마련

・ 연료에너지 기업의 안전한 근로환경 보장, 사고 및 부상률 감소, 유해하고

(또는) 위험한 환경에서 일하는 연료에너지산업 근로자들의 비중 감소

‒ 교육기관 측면:

・ 과학-교육・생산 클러스터 모델, 교육기관 간의 유기적 협력 모델(컨소시엄) 등 교육기관의 현대적인 조직모델 도입 및 개선

・ On-line, 듀얼교육, 프로그램 접근법 등을 이용한 원격교육 등 최신교육 기법

도입

・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지식과 직업의 기술적 기반을 심화시키고 첨단기술 개

발 및 학습을 위한 공학교육 개혁에 관한 이니셔티브 실행

・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산업계와 협력, 학제 간 공조, 팀워크 및 프로젝트 운

영능력 개발 등 시장수요를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마련 및 추진

・ 에너지 기업과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산하 기관, 연구소, 연구센터, 역량센터

내 교사 인턴쉽 조직

・ 대학의 국제인증 획득

¡ 인적자본의 효율적인 활용은 다음 사항을 보장하는 국가 및 기업들의 사회적 기

준과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있어야 함.

‒ 세대교체에 있어 역량(경험과 전문성) 유지시스템 마련

‒ 노사 간 협의된 사회적 기준을 근거로 연료에너지산업 근로자들에게 충분한 사

회적 혜택, 보상 제공

“연료에너지산업의 인력 개발과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국가운영, 기업, 교육기관 측면의 다양한 조치 필요”

Page 39: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37

‒ 러시아의 석탄・석유・가스 생산 지역의 주요 매장지 개발 종료 후 근로자들의 직

업 전환을 목표로 하는 제도적 인프라 개선

‒ 연료에너지 기업 내 질병 및 부상 방지와 근로자 건강회복에 관한 종합시스템의

효과적인 기능 보장

‒ 교대 근무하는 연료에너지 기업 근로자들을 위한 특별한 레크레이션 및 재활 프

로그램 실시

¡ 연료에너지 기업과 정부기관, 교육시스템 간의 공동 노력을 기반으로 한 인력

개발은 연료에너지산업의 인력부족 문제 해소, 노동 생산성 증가, 혁신적 기술개

발 분야에서 근로자 역량 증대 등을 실현시킬 수 있음.

‒ 그 결과 연료에너지 산업 전반에 첨단기술을 설계, 개발, 구현하면서 고생산성

및 첨단 직업군에 종사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지닌 차세대 근로자들이 형성

될 것임.

4.7. 지역정책

¡ 에너지 정책은 러시아의 광활한 영토에 따른 기후 특색과 지역별 사회경제여건

의 차이로 인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노동력의 합리적인 분배와 국가

에너지 안보에 관한 범국가적 전략과제와 연계해야 함.

‒ 현재 러시아 지역에너지 상황은 심각한 불균형 상태에 있음.

・ 러시아의 유럽부분에 해당하는 중앙지역은 러시아 전체 GDP의 70%, 국내

에너지 소비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등 크게 편중되어 있음.

・ 북부 및 동부 지역은 에너지 자원의 채굴 및 생산이 집중되어 있으며, 그 비

중은 80%를 넘음.

‒ 그 결과, 러시아 연료에너지산업의 주요한 문제 중 하나는 전례없이 인상되고

있는 연료의 비싼 육로 수송비용임.

・ 이에 따라 주요 에너지 생산지역에 근접한 곳에서 에너지 집약적 산업을 육

성할 필요가 있음.

・ 이는 러시아의 동부지역에서 러시아 유럽지역으로의 연료 수송량 증가를 다

소 억제할 수 있을 것임.

¡ 또 하나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연방주체의 에너지 자원 수급 안정에 대한 신

뢰 증대와 함께 지역에너지의 종합적 개발임.

‒ 이는 분산형 전원의 개발(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지역에서), 지역 내 연료 자원

및 재생에너지원의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사용, 지능형 전력망 구축 등을 통해

가능함.

“기업, 정부기관, 교육시스템 간 공동 노력을 기반으로 한 인력 개발은 인력부족 문제 해소, 노동 생산성 증가 실현”

Page 40: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38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우선적 대상은 크림연방관구와 칼리닌그라드州의 에너지 안보 증대, 극동연방

관구, 북카프카즈연방관구의 사회・경제발전을 위한 에너지 인프라 확충, 북극지

역 개발 등임.

‒ 특히 아무르강 지류에 신규 수력발전소 건설 프로그램은 홍수기간 댐수위 조절

을 위해 조만간 실현될 예정임.

¡ 다음의 조치들은 에너지부문 발전과제의 해결을 촉진시킴.

‒ 가격정책 등 러시아 내 유럽지역 경제의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효율 향상

‒ 북극지역 에너지 개발 준비와 함께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야말반도 내 국가・기업 차원의 투자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효과적 추진

‒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효율에 관한 지역프로그램의 개발・모니터링 규제와 연방

법 간의 일관성 확보

‒ 지역에너지 전략, 계획, 가스・전력・난방 공급 시스템 발전프로그램, 산업별 전략

계획안, 지역발전계획 등 간 조율 시스템 구축

‒ 열병합 발전시설 도입과 함께 노후화된 에너지 장비의 가동 중단

‒ 막대한 채무부담으로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극동지역의

에너지 가격 및 요율에 대한 정부규정 및 규범 개선

‒ 안정적 열공급과 현대화 부문에 대한 투자유치 환경 조성, 보일러 연료의 재생

에너지원으로의 전환, 지역 연료에너지 수급 안정에 참여하는 기업에 보조금 등

열공급 시스템 현대화를 위한 지역종합프로그램 개발

‒ 에너지 부문의 교차 보조금 인하 및 향후 폐지에 관한 대책 시행

‒ 장기적인 예산지원과 프로젝트 파이낸싱, 민관협력 메커니즘 활용 등 에너지공

급 시스템에 대한 장기투자 촉진

‒ 북부지역으로의 연료 수송 및 비축, 잠재적으로 취약한 지역 내 에너지 시설 등

에 대한 관리 및 감독 강화

¡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내 수력발전소의 발전량 증가는 동지역의 기술적・경제적

요인과 화력발전소와 비교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에너지 지출비용 부담 측면

에서 경쟁력을 갖게 할 것임.

‒ 수력발전소 건설과 채굴・가공부문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발전 종합프로그램 마련

‒ 또한, 지역단위의 경쟁력 있는 에너지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을 통해 가능

¡ 에너지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다음 사항들이 실현될 것으로 기대됨.

‒ 지역발전의 조직적 운영체계 구축, 지역발전을 위한 대규모 에너지 소비자들과

의 협력 증대

“분산형 전원의 개발, 지역 내 연료 자원 및 재생에너지원의 효율적 사용, 지능형 전력 공급망 구축 등을 통해 에너지 자원 수급 안정에 대한 신뢰 증대와 지역 에너지의 종합적 개발 도모”

Page 41: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39

‒ 클러스터 형성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기업 간 전략적 협력 증대

‒ 발전부문에 대한 투자자금의 유동성과 회수성을 높이고, 지역산업 발전을 촉진

할 수 있는 잠재적 소비자들과 장기계약 체결

¡ 연료에너지・수력・에너지산업단지 조성과 에너지 수출인프라 확충은 러시아 동부

지역 발전의 촉진제 역할을 할 것임.

‒ 동시베리아 및 극동 지역에서 생산되는 모든 종류의 연료 생산 및 가공량이 2/3 증가하고, 에너지 수송인프라 및 사회간접시설 확충이 예상됨.

‒ 이를 통해 對아・태 시장 에너지 수출량이 3배 이상 증가하고, 수출구조도 다변화

되며, 지역 내 석유・가스화학산업 발전과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도 증대될 것임.

‒ 동시베리아 및 극동 지역의 석유 생산량이 러시아 전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

중은 2배 이상 증가하고, 가스 생산량의 경우에는 3배 이상 증가할 것임.

・ 동부가스프로그램과 기타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헬륨 포함)가스

생산과 가공을 위한 특별한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PNG와 LNG 수출이 이루

어지며, 석유・가스 파이프라인, 철도, 도로, 송전선, 사회간접시설 등의 확충

이 이루어질 것임.

‒ 동시베리아 및 극동 지역의 석유・가스의 공급 잠재력 개발은 석탄, 우라늄, 철

및 비철금속 등 매장지 개발, 산림자원 활용, 수력발전 등을 촉진시켜 지역총생

산을 2.5배 증대시키고, 러시아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해당지역의 비중도 증

대시킬 것임.

¡ 우랄연방관구와 러시아 유럽지역을 제외한 그 밖의 지역 및 서시베리아지역 등

현행 석유・가스 매장지대에서 가스 생산량 증가는 지속되고 있지만, 석유 생산

량은 계속 감소할 것임.

‒ 이러한 상황에서 제시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탐사자원량의 추가적인 증

대와 원유 회수율 제고, 복합성분 가스 매장지 및 열악한 조건의 석유자원 개발

등이 요구됨.

‒ 이를 위해 새로운 기술 플랫폼 형성, 개발이 어려운 자원・소규모 매장지・상대적

으로 중요도가 낮은 유정 개발, 수송인프라 및 사회간접시설 확충, 가스정제공

장 건설, 석유・가스 복합산업 육성 등이 필요함.

‒ 새로운 기술 플랫폼으로의 전환은 2025년부터 최소 2035년까지 고갈되고 있는

서시베리아지역 내 매장지대에서 현재 생산수준 유지 또는 점차적 증가 상황으

로 변화시킬 것임.

¡ 전반적으로 석유・석유제품・가스 수송용량 증대와 현대화, 석유공급시스템과 단일

가스공급시스템의 확충, 동부지역의 가스수송시스템 발전, 가스 소비지역 내 충

“연료에너지・수력・에너지산업단지 조성과 에너지 수출인프라 구축은 러시아 동부지역 경제발전의 촉진제 역할”

Page 42: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40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분한 지하가스저장시설 확충 등이 요구됨.

‒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에너지 정책은 석유・가스 산업에서 지정학적 및 기술적으

로 중요한 북극해와 북부지역 대륙붕 내 탄화수소 개발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 시베리아 지역 정책은 2035년까지 기존 매장지에서의 생산량 감소를 해소시켜

주면서 러시아 전체 석유・가스의 안정적 생산을 가능케 할 것임.

‒ 또한, 비전통 석유・가스 자원 탐사 및 채굴을 위한 장비・기술 개발에 관한 역량

증대와 이와 관련 산업 발전이 촉진될 것으로 전망됨.

‒ 열악한 개발 여건에 있는 탄화수소 개발 및 수송과 관련해서 다음의 여러 새로

운 기술들이 개발되어야 함.

・ 두꺼운 빙하에 위치한 대륙붕 자원 개발을 위한 해수면・수중 장비

・ 탄화수소 자원 전용 수송선

・ LNG 수송을 위한 특수 터미널 등

‒ 러시아 북부지역 내 개발 및 수송 관련 인프라 및 사회간접시설 확충

4.8. 국제관계

¡ 러시아 대외 에너지정책은 세계 에너지 강대국으로서 위상을 유지・강화하고, 리스크 절감, 러시아 연료에너지 기업의 효과적인 대외경제 활동 증대를 지향하고

있음.

‒ 이를 위해 러시아 에너지 수출시장의 다변화와 수출구조의 최적화에 역점을 두

고 있음.

‒ 연료에너지 산업 발전과제를 해결하고, 급변하는 세계 에너지시장에서 러시아

에너지 자원의 기존 및 신규 소비자들과의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함

으로써 국익을 지속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음.

‒ 이를 위한 필수조건으로 러시아의 주요 에너지 자원, 그 가공제품, 서비스 등의

해외시장에서 경쟁력 제고, 판매시장 및 수출노선 다각화를 위한 수송 인프라

확충 등이 있음.

¡ 전략적 목표 달성과 연료에너지 산업의 발전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존하는 또한

미래 발생할 수 있는 대외 도전들 속에서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이 필수적임.

‒ 해외에서 러시아 기업의 입지를 강화하고, 세계 에너지시장으로 진입 시에 러시

아 기업(외국인합작기업 포함)의 공정하고, 호혜적인 환경 보장

‒ 에너지시장의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여건 조성을 위해 주요 시장참여자들과

대외 에너지 정책을 상호 조율하는 메커니즘 조성 및 개선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에너지 정책은 러시아 석유・가스 산업에서 지정학적 및 기술적으로 중요한 북극해와 북부지역 대륙붕 내 탄화수소 개발을 근간으로 함”

Page 43: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41

‒ 유라시아경제연합을 포함한 다자협력체 활동에서 에너지 자원과 에너지 서비

스・기술의 자유로운 이동 및 투자를 보장하고, 에너지 관련 조세제도, 지하자원

개발・이용 관련 규정 및 정책 등에 있어서 공동 원칙을 합의하며, 특히 유라시

아경제연합 내 에너지 공동시장(석유, 석유제품, 천연가스, 전력)을 형성함.

¡ 상기 과제 해결에 필요한 대책은 다음과 같음.

‒ 에너지부문에서 유라시아경제연합, 독립국가연합, 유럽연합, 상하이협력기구, BRICS,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APEC, UN ESCAP 등 다

자협력체 참가국, 흑해, 카스피해, 북극지역, 북미지역, 라틴아메리카지역 국가, 그리고 기타 국제기구 및 다국적 기관 등과의 협력 방향 및 모델 구축

‒ 유럽 가스시장 변화에 대한 러시아의 시장참여와 상호이익 증대를 위해 EU와

건설적인 대화 추진

‒ 러시아 에너지 자원에 대한 아시아 소비국들과 긴밀한 에너지 대화를 추진하고, 균등하면서 상호호혜적인 협력 시스템 구축

‒ 에너지 문제에 관한 국제협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국제법에서 에너지 자원

수출입국과 수송국 간 균등한 이익을 보장하는 원칙 강화

‒ OPEC, 가스수출국포럼, 기타 자원수출국 등과 세계 석유・가스 시장 안정과 예

측 제고를 정책적 협력 확대

‒ 원자력 기술 및 서비스 수출에 대한 외교적・경제적 지원

‒ 연료에너지 자원의 세계시장 변화에 대한 국가 모니터링 체계 개선

‒ 수출 다변화를 위한 조세, 관세, 통관 제도 개선

‒ 해외에서 러시아 기업의 에너지 자원 채굴, 가공, 판매 등과 관련된 자산 취득시

지원

‒ 러시아 기업의 전력 수출입 증대를 위한 국제적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 지원

‒ 차세대 에너지(수소에너지, 핵융합・원자력에너지, 가스하이드레이트, 조력에너지, 전력저장장치, 지능형제어시스템 등)기술 개발 관련 국제 프로젝트 참여 지원

‒ 상호 대체 또는 경쟁력 있는 러시아 연료 수출에 관한 정책 공조

‒ 환경보호 및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국제협력에 적극적 참여

‒ 경제성 있고 환경적으로 안전한 해상 석유・가스 자원 개발과 북극지역 에너지

자원의 수송 위한 북극항로 개발 관련 국제적 협력 확대

‒ 러시아연방 에너지 정책의 투명성 제고, 에너지 전략 및 계획 수립에 있어서 공

조(협력 로드맵 개발, 통계/자료 협력 증대 등)

‒ 국제거래소, 특히 아시아지역 내 국제거래소에서 러시아 원유 및 석유제품 거래

“러시아 대외 에너지정책은 세계 에너지 강대국으로서의 위상을 유지・강화하고, 리스크 절감, 러시아 연료에너지 기업의 대외경제활동 효율성 증대 지향”

Page 44: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42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추진

¡ 이러한 대책들은 국제 에너지시장에서 러시아의 에너지 강대국으로서 역할 유지

와 에너지 안보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임.

5. 시행방안

¡ 본 장에서는 연료에너지산업 발전, 국가 에너지거버넌스 추진 방향 및 과제 등

과 관련하여 과제 해결과 목표 달성을 촉진하는 대책들이 명시되어 있음.

‒ 이러한 대책들은 확정된 것은 아니며, 관련 기업과의 협의 하에 필요에 따라 수

정・보완될 것임. 충분한 국내・외 투자 유치를 기반으로 에너지산업의 지속적 발

전을 위한 가격・조세 정책이 마련・추진될 것임.

¡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대책들은 다음과 같음.

1) 국내 에너지 시장거래

‒ 반독점규제 메커니즘 개선

‒ 시장 모든 참여자의 에너지 수송인프라(파이프라인, 전력망, 난방 네트워크)에

대한 투명하고 공정한 접근성 보장

‒ 유라시아경제연합 내 생산자 간 경쟁 촉진, 러시아 에너지시장과의 통합, 에너

지 자원의 역내 시장거래 증대

2) 에너지 가격 및 관세 정책

‒ 향후, 가스 및 전력 산업에서 정부에 의해 결정된 가격 및 관세율의 상한선 내

에서 가격과 관세율의 장기적 조정 추진

‒ 가스 및 석탄 가격의 국내 및 해외 시장간 차이 해소와 국내 시장에서 가스와

석탄 간 경쟁 환경 조성

‒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보조금 지급과 적정 수준의 1인당 에너지소비량 보장을

전제로 가스, 전력, 난방 산업에서 지역간 및 개별소비자 간의 교차 보조금의 2단계 폐지 추진

‒ 반독점정책 추진과 국내시장의 투명성 증대를 위해 에너지 거래소 가격 기능 강화

‒ 연료에너지산업의 가격형성 투명성 증대를 위해 거래서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주요 연료에 대한 러시아 가격지수 형성

‒ 송전회사의 투자 수익 및 운영 벤치마킹, 합리적인 전압별 요금제 시행 등을 기

반으로 열・전력 요금형성 체계개선, 에너지 공급서비스 요율 책정방식 개선

‒ 열공급 서비스의 ‘기준가격’ 도입, 열 생산원가를 반영한 가격형성 방식으로 전환

‒ 국내기업의 가격변동 위험 헤징과 투자유치를 위한 다양한 계약방식(선물, 옵션,

“연료에너지산업 발전과 국가 에너지거버넌스 추진 방향에 있어서 관련 대책들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기업과의 협의를 통해 수정 가능”

Page 45: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43

스왑 거래 등) 개발

※ 상기와 같은 대책과 메커니즘들은 국제 연료가격, 러시아 내 인플레이션과 루

블화 환율 전망을 전제로 중기에 소비자물가지수를 1~2%p 상승시킬 수 있음.

※ 연료에너지 산업에 대한 상기 과제해결과 발전전략 목표치 달성을 위해 충분

한 대내・외 투자 유치가 요구됨.

3) 조세정책

‒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조세제도 확립

‒ 금융 안정성과 투자 매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기업의 재무 상태에 따라 세금

을 부과하는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연료에너지 기업에 대한 천연자원 로열티 철폐

‒ 연료에너지부문의 수익에 대한 국가와 기업 간(최적의 세율 결정) 및 에너지산

업과 기타 산업 간 합리적 배분

‒ 개발이 어려운 자원의 채굴, 소규모・고갈・미탐사 석유・가스 매장지대 개발 등에

대한 투자 유치

4) 러시아연방 및 연방주체 국가프로그램

‒ 연방예산, 통합예산, 예산외 자금, 법인 출자금 등의 사회경제발전을 위한 국가

정책의 우선지원 대상, 국가적 목표치 달성, 국가 안보 사업 등에 집중 투입

‒ 국가 전략적 목표(지표) 달성에 따라 국가프로그램에 자금 지원

‒ 국가프로그램 시행과 전략적 목표(지표) 달성에 대한 효율적 감독

5) ES-2035 목표 및 과제 이행과 관련해서 전력산업의 투자프로그램 추진, 정부 지분 50% 상회하는 국영전력기업과 주식회사 형태의 에너지 국영기업

소유・관리

6) 연방 및 지역차원의 연구개발단지에서 효과적인 민관협력, 혁신사업 활성

화, 투자유치 메커니즘 개발

7) 에너지산업 발전과제 해결을 위한 ES-2035의 1단계에 적합한 중기 행동계

획, 기대효과, 기한 등 명시

¡ ES-2035 실행에 있어서 필수적 요소는 과제 해결을 위한 충분한 투자재원 마련임.

‒ 중기에 연료에너지산업, 재생에너지, 중앙난방, 분산형 전원, 에너지절약 분야에

1.2~1.5배 투자 증대를 필요로 함. 전망 후반기(2031~2035년)에 연료에너지산

업에 대한 총 투자액은 기준기간(2011~2015년) 보다 12~35% 증대될 것임.

・ 전망 후반기에 에너지공급부문(재생에너지원, 중앙난방, 분산형 전원, 에너지

절약)에 대한 총 투자액은 기준기간 보다 2~3배 증대될 것임.

‒ 석유부문의 후반기 투자액은 보수적 시나리오에서는 기준기간 보다 6% 감소하

고,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14% 증대될 것임.

“기업의 재무상태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에너지부문에 대한 조세제도 개편”

“ES-2035 시행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는 제시된 과제 해결을 위한 충분한 투자재원 확보”

Page 46: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44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투자구조에서 탐사 및 채굴부문의 투자비중은 25~28%p 증가(63%에서

88~91%)하고, 가공부문 비중은 8~10%p 감소, 수송부문 비중은 18~19%p 감소할 것임.

・ 전체적으로 연료에너지산업에 대한 전체 투자에서 석유산업의 비중은 47%에서 39%로 감소함.

‒ 가스산업의 후반기에 요구되는 총 투자액은 기준기간 보다 52~58% 증가할 것임.

・ 투자구조를 살펴보면, 탐사・채굴부문 투자비중은 10~11%p 증가(32%에서

42~43%)하고, 가스 지하저장 및 가공부문 비중은 5~7%p 증가, 수송부문 비

중은 15~18%p 감소할 것임.

・ 연료에너지산업에 대한 전체 투자에서 가스산업 비중은 보수적 시나리오에

서는 28%에서 38%로,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33%까지 증가할 것임.

‒ 석탄산업의 경우에 후반기에 요구되는 총 투자액은 기준기간 보다 7~10% 증가

할 것임.

・ 연료에너지산업 투자에서 석탄산업 비중은 보수적 시나리오에서는 거의 변

화 없고,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3%에서 2%로 감소할 것임.

‒ 전력산업의 후반기에 필요한 투자액은 기준기간 보다 50% 이상 증대될 것임.

・ 투자구조에서 화력발전부문의 투자비중은 3~5%p 증가(33%에서 35~37%)하고, 원자력발전부문 비중은 2~5%p 증가, 수력발전 및 재생에너지원 발전부

문의 비중은 변화가 없고, 송전부문의 비중은 6%p 감소할 것임.

・ 연료에너지산업 투자에서 전력산업 비중은 보수적 시나리오에서는 22%에서

20%로 감소하고, 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22%에서 25%로 증가할 것임.

‒ 재생에너지원의 후반기 투자액은 기준기간 보다 5~7배 증가할 것임.

・ 전체 에너지공급부문에서 재생에너지부문이 차지하는 투자비중은 4%에서

10~12%로 증가할 것임.

‒ 기타 부문에서 기준기간과 비교해서 후반기에 요구되는 투자금액은 다음과 같음.

・ 중앙난방 부문 3~17% 증가

・ 분산형 전원개발부문 3~4배 증가, 에너지수급부문에 대한 투자 총액에서 차

지하는 비중은 29%에서 34~49%까지 증가

‒ 경제 전체에 투자된 총액에서 에너지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기준기간에 25.9%에서 후반기에 16~19%까지 감소

¡ 러시아 기업에 대한 서방의 국제 자본・금융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제재 상황에서

자기자본 증대, 외부차입(우선적으로 러시아 금융기관), 주식발행 등이 활발히

“러시아 기업의 외부자금 조달에 대한 서방의 제재로 국영기업의 정부 출자와 러시아 금융기관을 통한 신용대출 중요성 증대, 그러나 이것도 국가 재정 악화와 금융시장 미발달로 어려운 상황”

Page 47: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45

이루어질 것임.

‒ 국가지원대책의 일환으로 법으로 명시된(수입대체, 위기대응, 극동지역 우선개

발 등) 경우에 연방예산으로 러시아 신용기관 및 국영금융기업(러시아 대외경제

은행)으로부터의 신용에 대한 이자상환 지원 및 보증이 제공될 것임.

‒ 추가 재원으로 세계 자본시장을 통한 차입금과 외국인투자자금이 있음.

‒ 투자 촉진을 위한 특별 투자계약, R&D 지원, 기타 연방법 및 규정에서 명시된

각종 지원책 등이 존재함.

¡ ES-2035의 1단계 실행을 위해 구체적인 목록과 시행시기, 기대효과 등이 포함

된 로드맵이 수립되고 있음.

6. 기대효과

¡ ES-2035 추진에 따른 주요 결과는 국가 연료에너지산업이 러시아연방의 사회경

제발전에 최대한 기여하며, 연료에너지산업의 천연자원 생산능력과 경제적 잉여

를 효과적으로 발휘하며, 질적으로 새로운 단계로 발전하는 것임.

¡ ES-2035의 낙관적 시나리오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음.

‒ 1차에너지 소비 17% 증가, 전력소비 36% 증가한다는 전망 하에 1차에너지 생

산은 22% 증가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연료가공부문이 빠르게 발전

하여 연료에너지에 대한 국내 수요를 안정적・지속적・효과적으로 충족시킬 것임.

‒ 발전연료 비용과 연료에너지산업 자체 소비되는 에너지 비용 감소를 통한 에너

지집약도(GDP 기준) 1.4배 감소

‒ 수출구조 다변화(지역별: 전체 연료 및 에너지 수출에서 아・태지역 비중 39% 달성, 제품별: 연료에너지 수출에서 LNG 포함 가스 비중 34%까지 증대)와 아・태지역으로의 수출량 2.5~3.1배 증가 등 에너지 자원의 수출량 20% 증대를 기

반으로 향후 20년간 에너지 자원 생산 및 판매부문에서 세계 3위권 유지

‒ 에너지 잉여 지역인 동부지역에 새로운 에너지집약형 생산시스템 구축

(2015~2035년 동안 연료에너지의 국내 총소비에서 시베리아 및 극동연방관구

의 비중을 21%에서 22~24%까지 증대)

¡ ES-2035의 낙관적 시나리오에서 산업별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음.

‒ 석유산업:

・ 국내・외 시장경기가 안정적인 상황에서 매장량 및 회수율 증대, 개발이 어려

운 석유자원 및 대륙붕에서의 석유 채굴 증대

・ 對아・태지역 수출량 1.8~2.2배 증가하는 경우에 2020년경 원유 수출량 7~8%

“난관적 시나리오에서 1차에너지 소비 17%, 전력소비 36%, 1차에너지 생산 22% 증가, 에너지집약도 1.4배 감소, 전체 연료/에너지 수출에서 아태시장 비중 39% 전망”

Page 48: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46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증가, 2035년경 24% 증가를 위해 가스콘덴세이트를 포함한 석유의 안정적인

채굴

‒ 정유산업:

・ 원유 정제량이 2020년에 2억7,700만 톤, 2035년에 2억4,000만 톤까지 감소하

는 경우에 선진기술(친환경 고등급 자동차 연료생산, 정제율 72%에서 90%까

지 증대, 경질석유제품 생산비중 58%에서 73~74%까지 증대) 도입을 통한 효

율 증대

‒ 가스산업:

・ 국내・외 시장 경기가 호전되는 상황에서 Obsko/Tazov만 지역의 가스 채굴량

1.4~1.6배 증대, 야말반도, 동시베리아지역, 극동지역, 해상지역에서 새로운

생산기지 건설

・ 가스 수출량 1.5배 증가: 수출시장별(LNG 포함, 아・태시장으로의 수출량 8~9배 이상 증대, 수출량 14Bcm에서 128Bcm까지 증대), 제품별(LNG 생산량 5배 이상 증가, 생산/수출량 14Bcm에서 74Bcm까지 증대)

・ 6개의 석유・가스화학 클러스터 건설: 채굴된 가스의 가공 및 기술집약적 고

부가가치 제품 생산이 가능한 북서지역, 볼가지역, 서시베리아지역, 카스피지

역, 동시베리아지역, 극동지역

‒ 석탄산업:

・ 사하(야쿠티야) 자치공화국, Tyva 자치공화국, 자바이칼州, 시베리아・극동지

역 내 다른 지역 등의 경기 호황 시에 우선적으로 아・태지역으로 석탄수출

을 1/3 이상(1억5,300만 톤에서 2억600만 톤까지) 증대시킬 수 있는 신규 석

탄생산센터 건설, 또한 주변국에 전력수출을 위한 전력-석탄단지 건설

‒ 전력산업:

・ 전력소비 36% 증가, 전력화(electrification) 가속

・ 우선적으로 비화력 발전소의 설비용량 1.5배 증대를 통해 비효율적・노후화된

발전설비 가동 중단

・ 동부지역으로의 송전량 증대(5~8배, 320억~740억kWh까지)

‒ 원자력 및 핵연료 사이클 부문:

・ 구소련시대에 건설된 원전 교체를 포함한 원전 설비용량의 1.7배 증대

・ 전력생산에서 원전 비중 4%p 증대

‒ 재생에너지원 발전량 10~14배 증대

‒ 연료에너지산업에서 1단계 추진기간 말에 국산제품 비중을 60%까지, 2035년에

는 85% 이상 증대

“전체 전망기간 동안에 가스수출 1.5배, 아태시장으로 수출 8~9배, LNG 생산/수출 5배 증가, 그리고 6개 석유가스화학 클러스터 건설”

Page 49: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47

‒ 연료에너지산업의 국산 설비 및 자재, 국내 건설사 등의 평균 수주량 75% 증가

(2011~2014년 평균대비)

‒ 경제회복 이후 단기에 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액 1.2~1.5배 증대

¡ 보수적/낙관적 시나리오에서 다음과 같은 대내・외 위험요인들이 고려되었음.

‒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 및 글로벌화 심화(셰일가스, LNG, 현물거래, 재생에

너지원)

‒ 서방의 주요 기술・장비 도입과 판매시장에 대한 잠재적 접근 제한 등의 제재

‒ 국제 탄화수소 가격의 폭락과 미래 불확실성

‒ 러시아 경제침체 및 성장세 둔화: 연료 및 에너지에 대한 국내 수요 정체, 경제

전체 및 연료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활동 감소

¡ 만약 이러한 대내・외 위험요인들로 인해서 낙관적 시나리오에서의 목표치 달성

이 어렵게 된다면, 2015~2035년 동안 연평균 GDP 증가율은 낙관적 시나리오에

서 전망치 보다 1.6배 하락, 2035년 GDP는 낙관적 시나리오 전망치 보다 22% 감소할 것임. 즉, 이것은 낙관적 시나리오에서 보수적 시나리오로의 전환을 뜻함.

‒ 위험이 실현된다 할지라도 에너지 정책의 목표, 과제, 우선순위, 발전방향, 주요

대책 등을 수정하지 않고, 단지 제시된 몇몇 핵심지표의 달성 시기를 3~5년 정

도 지연시킬 것임.

‒ 낙관적 시나리오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에너지 프로그램과 프로젝트의

시행시점을 조정할 수 있게 했음.

¡ 두가지 시나리오 모두 러시아 경제 회복 및 이후 성장세 지속을 위해 연료에너지

산업의 천연자원 생산능력과 경제적 잉여 등의 효과적 활용에 기반을 두고 있음.

<결론>

¡ 전략계획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ES-2035의 주요 지표들은 연료에너지산업(석유, 가스, 석탄, 전력)의 발전전략과 종합계획안에서 구체화되고, 러시아연방 장기예

산 편성과 러시아연방 국가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됨.

‒ ES-2035 시행에 대한 감독활동은 매년 실시됨. 이는 연료에너지산업의 발전지

표, ES-2035 시행 실적에 대한 자료 수집 및 평가를 기반으로 이루어짐.

‒ ES-2035 시행과정에 관한 보고서는 러시아연방 정부에 제출됨.

참고문헌

러시아 에너지부,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стратегия России до 2035 года, 2015.9

“보수적・낙관적 시나리오 분석에서 국제 탄화수소 가격 폭락과 향후 불확실성, 세계 에너지시장에서 경쟁 및 글로벌화 심화 등의 위험요소 들이 고려”

“ES-2035 시행에 대한 감독 및 모니터링 작업은 매년 실시되고, 관련 보고서는 연방정부에 제출됨”

Page 50: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48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부록 1]

ES-2035의 주요 에너지 지표 전망(2035년)

¡ 2035년의 1차에너지 생산구조를 보면, 가스의 생산 비중이 2014년에 39.2%에서 45~46%, 비화석에너

지 자원 비중은 7.3%에서 8~9%로 각각 증대될 것임. 석유 비중은 현재 40%에서 33%로 감소하고,

석탄 비중도 12~13%로 감소할 것임.

< 1차에너지 생산구조 변화 전망(2035년) >

(단위: 백만toe)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1차에너지 소비구조에서 2035년에 가스 비중이 53~54%, 석유 비중은 17~18%, 비화석에너지 비중은

14~15%로 각각 전망됨.

< 1차에너지 소비구조 변화 전망(2035년) >

(단위: 백만toe)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Page 51: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49

2015 2020 2025 2030 2035

1차에너지 수요

(백만toe)

낙관적 1,007 1,044 1,105 1,150 1,185

보수적 1,006 1,027 1,073 1,110 1,130

증감률

(2014=100)

낙관적 100 103 109 114 117

보수적 100 102 106 110 112

석유 정제량

(백만 톤)

낙관적 286 277 250 250 240

보수적 283 255 240 235 225

증감률

(2014=100)

낙관적 97 94 85 85 82

보수적 96 87 82 80 76

가스 수요량

(Bcm)

낙관적 459 492 539 560 571

보수적 458 478 513 532 542

증감률

(2014=100)

낙관적 99 106 117 121 124

보수적 99 104 111 115 117

고체연료 수요량

(백만toe)

낙관적 162 159 166 173 177

보수적 163 160 161 167 165

증감률

(2014=100)

낙관적 98 96 100 104 107

보수적 98 97 97 101 100

전력 수요량

(TWh)

낙관적 1,062 1,111 1,197 1,310 1,440

보수적 1,062 1,109 1,181 1,255 1,320

증감률

(2014=100)

낙관적 100 105 113 123 136

보수적 100 104 111 118 124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에너지원 국내 수요 전망(2035년) >

Page 52: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50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에너지원별 수출구조를 보면, 전체 에너지 수출에서 차지하는 가스 비중이 2014년 25.9%에서 2035년에 33.1~34.4%까지 증대될 것임. 이중 LNG 수출이 대폭 증대될 것이며, 석탄 비중은 감소할 것

으로 전망됨.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에너지원별 수출구조 변화 전망(2035년) >

(단위: 백만toe)

2015 2020 2025 2030 2035

총 수출량

(백만toe)

낙관적 928 975 1,102 1,105 1,104

보수적 921 886 942 957 945

증감률

(2014=100)

낙관적 101 106 120 120 120

보수적 100 96 102 104 102

원유 수출량

(백만 톤)

낙관적 237 252 266 266 276

보수적 235 239 257 248 242

가스 수출량

(Bcm)

낙관적 201 244 324 324 317

보수적 198 184 240 273 282

석탄 수출량

(백만toe)

낙관적 122 130 153 156 160

보수적 121 122 122 122 123

전력 수출량

(TWh)

낙관적 0 18 35 47 74

보수적 0 18 23 28 32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에너지원별 해외 수출 전망(2035년) >

Page 53: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51

[부록 2]

ES-2035의 에너지원별 전망(2035년)

1) 석유부문

¡ 전략적 목표는 다음과 같음.

‒ 2035년까지 연간 5억2,500만 톤 수준의 석유생산량을 안정적으로 유지

‒ 석유 수출은 2014년 2억3,100만 톤에서 2030~2035년에 2억7,400만 톤으로 증대, 이중 對아・태 지

역 수출은 2035년까지 2배 증가되어 1억1,000만 톤 달성

‒ 선진기술 도입으로 시설 현대화 및 석유산업 발전 달성

・ 원유 회수율을 2014년 현재 28%에서 2035년에 40%까지 증대

・ 전체 석유 생산구조에서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 비중을 17%까지 증대

‒ 고품질 친환경 자동차 연료생산으로 석유 정제율을 2014년의 72%에서 2035년에 90%까지 증대

‒ 수반가스 재활용 수준을 최소 95%로 끌어 올림.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석유 생산구조 변화 전망(2035년) >

(단위: 백만 톤)

Page 54: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52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2014년2020년 2025년 2035년

보수적 낙관적 보수적 낙관적 보수적 낙관적

북서 연방관구 28 35 35 31 31 28 34

볼가 연방관구 115 108 108 97 97 79 79

남부・크림 연방관구 10 18 18 17 17 15 15

북카프카즈 연방관구 2 2 2 1 1 1 1

우랄 연방관구 299 246 249 238 248 238 269

서시베리아 12 13 13 13 13 9 9

동시베리아 35 62 67 70 79 74 79

극동 연방관구 23 33 33 39 39 33 39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러시아 지역별 석유 생산 전망(2035년) >

(단위: 백만 톤)

< 석유 생산 및 수출 전망(2035년) >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석유 정제량 및 정제율 전망(2035년) >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Page 55: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53

2) 가스부문

¡ 전략목표는 다음과 같음.

‒ 야말반도, 동시베리아, 극동, 해상 대륙붕에서의 신규 가스생산 증대로 연간 가스 생산량이 2014년

639Bcm에서 2035년에 805~885Bcm으로 40% 증대

‒ 가스 수출은 2035년까지 36% 증대(낙관적 시나리오에서는 53%)

・ 이 중, 對아・태지역 수출은 2014년 14Bcm에서 2035년 128Bcm으로 8~9배 증가

‒ LNG 생산은 5배 이상 증대되어 14Bcm에서 74Bcm을 기록하고, 전체 가스 수출에서 LNG 수출 비

중은 23% 달성

‒ 비전통 가스, 심해 시추, 가스정제, 가스화학 부문에서 기술력 향상

‒ 단일가스공급시스템(UGSS) 확충, 특히 동시베리아 지역 및 對중국 수출용인 Sila Sibiri 가스관 사

업 추진에 따른 러시아 서부지역과 동부지역 가스수송망 연결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가스 생산 전망(2035년) >

(단위: Bcm)

2014년2020년 2025년 2035년

보수적 낙관적 보수적 낙관적 보수적 낙관적

서시베리아 546 544 606 592 679 650 683

유럽러시아 47 53 52 50 55 47 52

동시베리아 및 극동 41 47 57 89 106 111 135

기타 6 6 9 12 13 13 14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러시아 지역별 가스 생산 전망(2035년) >

(단위: Bcm)

Page 56: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54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 LNG 생산 및 수출 비중 전망(2035년) >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가스 수출 및 아・태시장 수출 비중 전망(2035년) >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Page 57: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55

3) 석탄부문

¡ 전략목표는 다음과 같음.

‒ 사하자치공화국, 티바자치공화국, 자바이칼州, 아무르州 등에서의 신규 석탄생산 센터 개발을 통해

석탄 생산량을 4억4,500만 톤(30%)으로 증대

‒ 연료탄의 선탄 물량을 2~2.5배 증대

‒ 낙관적 시나리오에서 석탄 수출은 약 33% 증대되고, 특히 아・태지역으로 석탄수출이 크게 증대 전망

< 석탄 생산(좌) 및 수출(우) 전망(2035년) >

(단위: 백만 톤)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2014년2020년 2025년 2035년

보수적 낙관적 보수적 낙관적 보수적 낙관적

도네츠크 분지 6 5 6 5 5 4 6

우랄 분지 2 0 0 0 0 0 0

페초라 분지 13 14 16 12 20 11 20

쿠즈네츠 분지 211 208 213 209 223 210 234

동시베리아 51 54 55 54 56 55 62

극동 34 36 38 36 60 40 70

칸스크아친스크 탄전 37 36 37 36 41 40 48

기타 4 5 5 5 5 5 5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러시아 지역별 석탄 생산 전망(2035년) >

(단위: 백만 톤)

Page 58: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56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4) 전력부문

¡ 전략목표는 다음과 같음.

‒ 2035년 전력 생산은 36% 증대되어 1.4조kWh, 전력 수출량은 5~8배 증대되어 320억~740억kWh 달성

(유라시아경제연합 회원국 간 전력 통합)

‒ 발전연료 소비 2035년까지 13% 절감

‒ 발전량 기준, 원전 비중은 2014년 17%에서 2035년 21%으로 증대

‒ 재생에너지원 발전량은 2014년 20억kWh에서 2035년 180억~270억kWh으로 10~14배 증대

< 러시아 발전원별 전력 생산량 전망(2035년) >

(단위: 10억kWh)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러시아 발전 설비용량 전망(2035년) >

(단위: 10억KW)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Page 59: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제15-4호 2015.12 57

5) 에너지 효율 증대

¡ 에너지 효율 증대는 ES-2035의 주요한 정책추진 과제 중에 하나임. 특히 경제 및 에너지 부문의 에

너지 효율 증대를 위해 정부는 세제우대 정책과 건물/기기 효율 등급제 등과 같은 효율 정책을 적극

적으로 추진할 것임.

‒ 러시아는 경제 및 에너지 부문에서 효율 개선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있음.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에너지 절약 잠재력 전망(2035년) >

(단위: 백만toe)

¡ 러시아 에너지부 Aleksandr Novak 장관은 G20 에너지 실무그룹 회담에서 러시아의 2035년까지 에

너지 효율 증대에 대한 총 투자규모가 2,4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10월 2일 발표함.

‒ 에너지 집약도는 2014년 대비 2035년에 1,6배, 전력 집약도는 2014년 대비 1.4배 각각 감축시키려

고 함.

‒ 또한, 에너지 효율 증대에서 수반가스의 효율적 이용 증대 프로그램과 전력설비 현대화가 크게 기여

할 것임.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에너지집약도(좌)와 전력집약도(우) 전망(2035년)>

(단위: %)

Page 60: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

단위 표기

Mcm: 1천m³MMcm: 1백만m³Bcm: 10억m³Tcm: 1조m³Btu: British thermal units

Mcf: 1천ft³MMcf: 1백만ft³Bcf: 10억ft³Tcf: 1조ft³MMBtu: 1백만Btu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국제협력본부 해외정보분석실

세계 에너지현안 인사이트

WORLD ENERGY ISSUE Insight

발행인 박주헌

편집인 양의석 [email protected] 052) 714-2244

편집위원 이성규, 노동운, 서정규, 마용선,

오세신, 정성삼, 신상윤, 김아름

문 의 김아름 [email protected] 052) 714-2065

Page 61: 정책자료 러시아 에너지전략-2035 - KEEI · 전략목표, 과제, 우선순위, ...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요소들이 실현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