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상수도유수율제고사업의경제성평가및...

170
지방상수도 유수율제고사업의 경제성평가 및 민자유치방안 연구 보고서 2007. 12 정동회계법인

Transcript of 지방상수도유수율제고사업의경제성평가및...

  • 지방상수도 유수율제고사업의 경제성평가 및

    민자유치방안 연구 보고서

    2007. 12

    정 동 회 계 법 인

  • 정 동 회 계 법 인

    대표이사 이 동 욱

    정 동 회 계 법 인

    책임연구원 김 창 훈

    연구원 양 희 찬

    연구원 남 기 영

    연구원 주 미 진

    환 경 관 리 공 단

    연구원 한 정 규

    연구원 이 국 양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중

    본 보고서를 『지방상수도 유수율제고사업의 경제성 평가 및 민자유치방안 연

    구용역』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7년 12월 14일

  • 목 차

    Ⅰ. 용역의 개요

    1. 용역의 배경 및 목적 ······································································································2

    2. 용역의 범위 및 수행 방법 ····························································································2

    (1) 용역의 범위

    (2) 용역의 수행방법

    II. 지방상수도 유수율 적정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1. 유수율 현황 ······················································································································5

    (1) 유수율의 정의

    (2) 상수도 생산량의 분류

    (3) 유수율 현황

    2. 유수율 산정의 문제점 ··································································································10

    (1) 현황 및 기초자료 미흡

    (2) 유수율 분석의 정확도 저하

    (3) 노후된 송․배수관 정비 미비

    (4) 종합적인 계획 미비 및 유지관리 인력․시설 부족

    3. 유수율 제고향상을 위한 기술적 방안 ······································································13

    (1) 기초자료 조사․분석

  • (2) 관망도 작성 및 전산화 도입

    (3) 블록시스템 구축

    (4) 노후수도관 교체 및 정비계획

    (5) 누수량 저감계획

    4. 유수율 적정산정 방안 ··································································································49

    (1) 생산 및 사용수량의 정확한 계측

    (2) 유수율 분석 체계의 개선

    (3) 향후 개선 방안

    5. 유수율 적정산정을 위한 관리방안 ············································································52

    (1) 수량계측관리

    (2) 구역유량관리

    (3) 원격모니터링 감시시스템 구축

    Ⅲ. 지방상수도 유수율 제고사업의 경제성 분석

    1. 경제성분석의 의의 ········································································································59

    (1) 경제성분석의 의의

    (2)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의 비교

    2. 경제성 분석 방법 ··········································································································62

    (1) 경제성분석기법

    (2) 경제성 분석기법의 비교

  • (3) 경제적 타당성 분석시 제요소의 적용에 대한 고려

    3. 정읍시 유수율 제고 사업 경제성 분석 ····································································77

    (1) 정읍시 유수율 제고사업의 개요

    (2) 경제성분석의 가정

    (3) 경제성분석 결과 요약

    (4) 정읍시 경제성 분석결과 시사점 및 제언

    (5) 민간투자활성활를 위한 국고지원 비율 산정

    Ⅳ. 상수도에 적합한 민자유치 방안 연구

    1. 사업종류별 적정한 민자유치 방안 ············································································84

    (1) 민간투자사업의 개념

    (2) 민간투자사업의 유형

    (3) BTL과 BTO의 비교

    (4) 상수도 유수율제고사업의 특성과 민간투자 사업유형

    2. 하수도 분야 민자유치 산업에 대한 검토 ································································87

    (1) 하수도사업 민간투자 관련 법령 등

    (2) 하수도 민간투자사업 추진 관계기관

    (3) 하수도 민간투자 사업 추진 내역

    (4) 하수도 민간투자 사업 추진 방향

    (5) 하수도 민간투자 사업 추진 절차

  • 3. 지방상수도 유수율 제고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민자유치 방안 ························119

    (1) 지방상수도 유수율 제고사업의 특성과 민자유치 방안

    (2) 수도법에 의한 민간위탁

    (3) 민간투자법에 의한 민간위탁

    (4) 수도법에 의한 민간위탁과 민간투자법상 민자유치 비교

    (5) 유수율 제고사업의 특성에 따른 민자유치 방안의 선택

    (6) 유수율 제고사업 민자사업 추진 방안

    Ⅴ. 첨부 자료

    1. 민간투자법에 의한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137

    2. 경제성 평가 서식 ········································································································165

  • - 1 -

    I. 용역의 개요

  • - 2 -

    I. 용역의 개요

    1. 용역의 배경 및 목적

    지방상수도의 수도관 및 취·정수시설 등 수도시설이 노후화 되어 시설운영 효율저

    하, 녹물발생 및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수돗물 불신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수도

    관 누수로 인하여 매년 57백억원(2005년말 기준)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나,

    수도요금 현실화 곤란 및 상수도 관련 부채누적(2005년 기준 1조9,017억원) 등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재원확보가 곤란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

    수도시설의 적기개량을 통한 경제적 편익제고를 위하여 유수율제고사업의 경제성

    분석 및 상수도사업의 민자유치 등 예산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2. 용역의 범위 및 수행방법

    (1) 용역의 범위

    상기 용역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용역의 구체적인 수행범위는 다음과 같다.

    1) 지방상수도 유수율 적정산정방안 연구

    § 환경부 통계자료상 발표 유수율과 ‘05년 11월 감사원 감사결과 지적된 통계유

    수율과 차이 원인 분석

    § 국내 수도사업의 유수율이 낮은 원인을 조사·분석하고 관련선진기술 조사를

    통한 국내적용이 용이한 기술자료 제시

    2) 유수율 제고사업의 경제성 분석

    § 유수율제고사업의 경제성 분석기법 정립

    § 정읍시 유수율제고사업 경제성 분석

    § 민간투자활성화를 위한 적정 국고지원비율 검토

  • - 3 -

    3) 상수도에 적합한 민자유치 방안 연구

    § 사업종류별 적정한 민자유치 방안 검토

    § 하수도분야 민자유치사업과의 비교 검토

    § 상수도 분야 민자유치 세부추진 계획 수립

    (2) 용역의 수행방법

    본 연구용역의 연구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3가지 방법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1) 문헌연구

    § 유수율제고 사업의 현황조사 및 분석

    § 국내외 관련 문헌 조사 분석

    § 상수도 분야의 GIS, 블록시스템, 누수와 노후관, 유수율 분석방법, 누수원인

    등에 대한 문헌조사

    § 유수율제고 사업의 일반적 내용 고찰

    § 경제성분석에 대한 내용 고찰

    2) 지방상수도 현장 조사 및 설문조사

    § 방문조사를 통한 유수율제고 사업에서의 의견청취

    § 설문조사를 통한 전국 지자체에서의 유수율제고 사업의 현황 조사

    3) 자문회의

    § 전문가 회의를 통한 유수율제고 사업에서의 현장 상황분석

    § 자문회의를 통한 관련 사업이해관계자의 의견 청취

    § 종합적으로 분석된 점을 중심으로 합리적 대안 제시

  • - 4 -

    II. 지방상수도 유수율

    적정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 - 5 -

    II. 지방상수도 유수율 적정산정방안에 대한 연구

    1. 유수율 현황

    (1) 유수율의 정의

    유수율이란 공급된 총 수돗물량 중 실제 수도요금으로 부과된 양(유수수량)의 비

    를 말한다.

    유수율(%) = 유수수량 / 생산량 * 100

    (2) 상수도 생산량의 분류

    정수장에서 생산되는 생산량은 유효수량과 무효수량으로 구성되고 유효수량은 다

    시 유수수량과 무수수량으로 구분되어지며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다.

    생산량 유효수량 유수수량 요금, 분수량, 기타

    무수수량 계량기 불감수량, 공공수량, 사업소 수량

    부정사용량

    무효수량 누수량

    조정 감액수량

    인정 오차수량, 기타

    1) 유효수량

    유효수량은 정수장에서 생산된 물의 총생산량 중 급․배수관에서의 누수 등으로

  • - 6 -

    유실된 양을 제외한 것으로 실제로 수용가에서 쓸모 있게 쓰여진 물의 양을 말한

    다.

    가. 유수수량

    유수수량이란 상수도 공급량 중 요금수입의 대상이 되는 요금수량 즉 분수량,

    기타 공원녹지, 공공화장실, 공사용수 등 요금으로 징수되는 수량이다.

    나. 무수수량

    생산된 물이 유효하게 사용되었으나 요금으로 징수되지 않아 수입이 없는 수량

    이다.

    2) 무효수량

    무효수량은 정수장에서 생산된 물의 총생산량 중 요금 징수시 조정에 의한 감액

    수량, 누수량 등의 수량을 말한다.

    (3) 유수율 현황

    ‘05년도말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060개 급수구역 내에 전체인구의 90.7%인 44,671

    천명이 상수도를 공급받고 있으며, 년간 생산․공급되는 수돗물 총량은 6,002백만㎥으

    로 이 가운데 수도요금으로 부과된 유수수량은 4,761백만㎥(79.3%)이고, 누수량이 845

    백만㎥(14.1%)에 이르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막대한 실정이다.

    또한 유수수량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가정용이 2,906백만㎥으로 유수수량의 61.2%

    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업용, 업무용, 욕탕용, 전용공업용, 기타 순으로 유수

    수량이 분배되어 있다.

    (단위 : 백만㎥)

    구 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생 산 량 5,840 5,798 5,812 5,791 5,696 5,723 5,909 6,002

    유수수량 4,129 4,258 4,342 4,367 4,395 4,489 4,633 4,761

    유수율(%) 70.7 73.4 74.7 75.4 77.2 78.4 78.4 79.3

    누 수 량 1,056 934 859 804 700 781 839 845

  • - 7 -

    각 광역지자체별 유수율의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7개 특․광역시 중 인천, 울산을

    제외하면 80% 이상의 유수율을 보이고 있으나 9개 도지역 중 경기도를 제외하면 평

    균 이하의 유수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강원, 전북, 전남, 경남의 경우는 60%대의

    낮은 유수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광역시를 제외한 160개 일반 시․군의 유수율 현황을 살펴보면 4개 시

    (고양, 안산, 이천, 계룡)만이 90%이상의 높은 유수율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의 56.9%

    인 91개 시․군이 70%이하의 유수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91개 시․군 중 군지역이

    62개로 군지역의 유수율 현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유수율 개선사업이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유수율 50%미만인 지자체는 13개

    시․군으로 이중 군지역이 11개로 나타났으며, 이는 군지역의 특성상 예산이 부족하

    여 유수율 개선을 위한 사업비의 투자가 어렵고, 급수지역이 분산되어 있어 수도관로

    길이가 길어지므로 누수량 증가 등으로 유수율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위 : 개소)

    구 분 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유수율(%) 75.1 86.1 63.5 78.7 71.4 61.6 65.2 71.5 61.6 73.5

    총 계160(83)

    31(4)

    18(11)

    12(9)

    16(9)

    14(8)

    22(17)

    23(13)

    20(10)

    4(2)

    90%이상4(-)

    3 - - 1 - - - - -

    70~90%미만65(21)

    233(1)

    7(4)

    4(2)

    4(2)

    4(2)

    13(7)

    3(1)

    4(2)

    60~70%이하37(24)

    4(3)

    8(5)

    2(2)

    6(3)

    27(5)

    6(6)

    2 -

    50~60%이하41(27)

    1(1)

    3(2)

    3(3)

    4(3)

    7(5)

    9(8)

    410(5)

    -

    50%미만13(11)

    -4(3)

    -1(1)

    1(1)

    2(2)

    -5(4)

    -

    < ( )는 군지역 개소수 임[2005 상수도통계(2006, 환경부)>

  • - 8 -

    구분 생산량(천톤/년) 유수량(천톤/년) 유수율(%)

    환경부 통계자료(A) 1,088,842 814,447 74.8

    실제자료(B) 1,170,818 812,377 69.4

    차이(B-A) 81,976 2,000 5.4

    한편, 감사원이 2004년 1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환경부·건설교통부·행정자치부 등

    3개 정부부처와 서울시 등 167개 지자체, 한국수자원공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광역 및

    지방 상수도 개발과 유수율(有收率) 제고 사업 등에 대한 감사’ 결과에 따르면, 환경

    부는 각 시·군으로부터 상수도 관련 각종 통계자료를 보고 받아 상수도 관련 정책수

    립에 활용하고 있지만, 환경부에서 작성·발표하고 있는 「2003년 상수도통계」자료를

    전국 167개 시·군의 정수장 운영일지와 비교 분석한 결과, 81개 시·군에서 수돗물 생

    산량은 연간 81,976천 톤 적게, 유수율은 5.4% 높여 환경부에 보고한 것으로 밝혀져

    상수도 통계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 지방정수장에 설치되어 있는 566개 유량계 중 65개(11.5%)만이 「유량계

    설치 및 관리기준(수도법시행규칙)」에 적합했으며, 나머지 501곳(88.5%)은 기준 미달

    이었다. 특히 시·군은 유수율 제고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도록 되어 있으나 2004년 말 현재 승인을 받은 곳이 한 곳도 없으며, 수도관 관리

    부실 등으로 통영시 등 32개 시·군은 오히려 매년 유수율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한편, 이와 같이 유수율 측정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 파악을 위하여 전

    국 167개 지방상수도를 상대로 설문조사1)를 실시한 바, 설문에 응답한지자체에서 제

    시한 유수율 차이 발생 주요원인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1) 전체 설문조사 응답수는 120개 수도사업소임.

  • - 9 -

    답 변 내 용답변

    비율

    유량계 설치 등 기계설비의 부족 혹은 설치 기준 미충족 등 설비의 문제 37.3%

    정확한 유수율 산정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발생한 단순 실수 11.9%

    유수율 산정 관련 생산량, 유수량 등 관련 자료 관리의 불철저에서 오는

    자료 관리상 문제32.8%

    유수율 측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등 11.3%

    측정된 유수율의 보고과정상의 착오 등 보고과정상의 문제 3.4%

    기타 사유 제시 3.4%

    또한, ‘98년 70.7%이었던 유수율이 ’05년 79.3%로 8.6%로 증가하였으나 이 값은 외

    국의 유수율과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낮은 것으로 향후 유수율 향상을 위해서 많은 노

    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 분 동 경 오사카 뮌 헨 파 리

    유수율(%) 88.3 84.0 86.4 87.1

    년 도 1998 1997 1996 1995

  • - 10 -

    2. 유수율 산정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일선 지자체에서의 유수율 및 생산량 분석은 환경부에서 매년 제시하

    는 “상수도 통계작성지침”에 따라 주기적으로 작성하고 있으나 설문조사결과 분석에

    서 검토한 바와 같이, 일부 지자체의 경우 체계적인 자료에 의한 유수율 산정보다는

    항목에 따른 주먹구구식 산정으로 신뢰성이 저하되어 있는 현실이다.

    또한 유수율 현황에서 살펴보았듯이 지자체에서 유수율이 낮은 이유는 어느 한가

    지 원인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상수도 계획, 사업시행, 유지관리 등의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 현황 및 기초자료 미흡

    지방상수도의 유지관리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관망도, 용수공급 및 사용량 등의

    자료가 부정확하여 정확한 상수도 수요예측 및 계획이 어렵고, 관망도의 부정확에 따

    른 급수구역내의 적정 수압 계산 및 관리가 곤란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과도한 수압

    에 따른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유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관망분석을 통한 급수구역을 지형, 표고별로 분

    할하고, block system을 구성하여 적정 수압이 유지되도록 관리가 되어야 하나, 현실

    적으로 관망도에 표기되지 않은 관들이 많이 존재하고, block system 구축이 미미하

    여 적정 수압유지 등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가급적 관망구성내용, 상수도 통계, 상수도시설물자료 등을 자세히 수집하

    여 D/B화 한 후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유량계측의 정확도 저하

    유수율 분석 및 계획수립을 위해서는 생산량 및 사용량 분석을 위한 정확한 유량

    계측이 필수적이나 현재 대부분의 계측장비는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 - 11 -

    또한 유수율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은 생산량, 유수수량, 계량기 불감수량,

    누수량이라 할 수 있으나 이러한 값들에 대한 정확한 계측이 되지 않은 상태로 유수

    율이 산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생산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유량계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정

    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정수장 유량계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 조사대상

    유량계 1,425개 중 수도법에 의해 1년에 1회 이상 교정을 한 경우는 577개(40.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년에 1번 교정한 경우는 126개, 지자체 자체수행 및 교정기관이 아닌 곳에

    서 교정한 경우는 240개이며 교정을 수행하지 않은 유량계도 482개(33.8%)나 있다

    특히 관리주체별 유량계 교정 수행현황을 살펴보면 특․광역시는 조사대상 유량계

    의 95.6%가 1년에 1회 이상 교정을 하고 있으나 도지역에서는 경기도와 제주도를 제

    외하고는 50%이하의 교정율을 나타내고 있어 유량측정의 신뢰성에 의문이 드는 실정

    이다.

    또한 배․급수관에서 계량기를 통하지 않고 부정관을 사용한 도수행위, 계량기를

    고의로 훼손하는 행위, 계량기 작동을 방해하는 행위 및 계량기 설치를 반대로(역설

    치)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분 계 분기1회 반기1회 1년1회 2년1회자체수행

    미수행1년1회이상

    2년1회

    교정수(개) 1,425 43 36 498 126 144 96 482

    비율(%) 100 3.02 2.53 34.95 8.84 10.10 6.74 33.82

    한편 “정수장의 유량계 실태조사 및 정비계획수립(2006, 환경부)” 연구에서 전국

    100개 유량계에 대한 비교유량 측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허용오차(±2%)를

    준수하는 유량계가 76개로 나타났다. 이중 오차범위를 초과한 24개의 유량계 중

  • - 12 -

    54.1%인 13개가 500mm이하로 나타나고 있으며, 교정을 하지 않는 12개 유량계의

    83.3%인 10개가 오차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측정 또는 교정검사를 주기적으로 하고 있는 서울시의 경우에는 측정대

    상 7개 모두가 오차범위를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꾸준한 점검만이 유량계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36개 유량계에 대한 비교측정을 실시하려고 하였으나 기준 유량계 설치

    공간부족, 유량계 고상, 상태불량, 배관 부식 및 비만관, 저유속(0.3m/sec 이하) 등의

    사유로 비교유량 측정시험을 못하였는데 이를 감안할 경우 오차범위를 초과한 유량계

    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3) 노후된 송․배수관 정비 미비

    2005상수도 통계(2006, 환경부)에 의하면 우리나라 수도관 총연장은 129,844㎞이

    며, 이중 도수관이 1,494㎞로 1.2%, 송수관은 6,038㎞로 4.6%이며 , 배․급수관은

    122,312㎞로 94.2%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관 중 설치 후 16년 이상 경과된 관은 45,461㎞(35.0%)이며, 11~15년에는 29,272

    ㎞(22.5%), 10년 이내에는 55,111㎞(42.5%)이다.

    관종별로는 주철관 46,584㎞(35.9%), 합성수지관 25,205㎞(19.4%), 스텐레스관 19,216

    ㎞(14.8%)의 순으로 나타나며, 강관이 7,641㎞(5.9%), 아연도강관이 3,567㎞(2.7%)를 차지

    하고, 기타 콘크리트, 동관, 시멘트관 등이 27,631㎞(21.2%)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상수도 보급이 본격화된 70~80년대에 설치된 급수관은 관부식이 심하고 재

    질이 약한 아연도 강관과 PVC관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수용가별로 여러가닥의 다발

    관을 매설하여 누수 및 적수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노후관 정비사업시 노후관 평가에 따른 개량 대상을

    선정하지 않고, 단순히 매설년도와 누수다발 지역만을 대상으로 노후도를 평가하여

    사업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수도 공사시 기존의 수도관을 폐쇄 또는 철거해야하나 확

    실한 마감처리 등이 되지 않아 불용관으로 상수가 흘러들어 누수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 - 13 -

    (4) 종합적인 계획 미비 및 유지관리 인력, 시설 부족

    또한, 효율적인 유수율제고를 위해서는 관망정비 및 시설진단, 수도정비기본계획,

    유수율제고사업, 물수요관리 종합계획 등이 체계적인 계획하에 종합적으로 추진되어

    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각각의 사업이 개별적으로 시행되어 체계적인 계획수립

    이 어려운 상태이며, 각 지자체에서는 지방상수도의 유수율 제고사업에 의한 지방상

    수도 운영 효율화보다는 상수도시설 확충사업에만 치중하고 있으며, 유수율 제고에는

    상대적으로 관심과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지방상수도의 유수율은 블록시스템 구축 또는 관망정비 사업 후에는 관망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누수탐사, 유수율 분석, 압력제어 등)가 필요하나, 특히 현재의 소

    규모 지자체 지방상수도의 경우 유수율 분석 및 관망관리를 위한 시설(유량계, 수압

    계 등)이 부족하며, 그 시설의 각종 데이타를 분석하고 유지관리를 담당할 전문적인

    인력도 부족한 바, 이 역시 지방상수도의 유수율 제고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어렵게

    하고 있는 한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3. 유수율 제고향상을 위한 기술적 방안

    환경부에서는 수돗물 공급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수 및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수도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토록 함으로써 상수도 유수율을 제고하고, 경영의 효율

    화를 도모하고자 “상수도 유수율제고 업무처리 규정(2001. 환경부훈령)”을 제정하여

    유수율 제고사업이 체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2004년 정읍시와 한국수자원공사간의 협약을 체결하여 유수율제고 시범사업을 시

    행하고 있으며, 그외 일선 지자체에서는 훈령에 따른 유수율제고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계획에 따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6년 수도법 개정시 관망진단 등이 추가되어 유수율제고 사업의 많은 부분이 중

    복됨에 따라 유수율제고에 대한 계획을 “수도정비 기본계획 수립지침(2006. 환경부)”

    에 대부분 포함시켜 상수도시설 전반에 대한 정비와 함께 유수율 향상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조정하였다.

  • - 14 -

    그러나 유수율제고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향은 큰 변화가 없게 조정되

    어 일선 지자체에서는 큰 혼란 없이 기존에 수립한 계획을 연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

    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유수율제고 업무처리 규정” 및 “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지침”에서 제시된 유수율제고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검토하기로 한다. 동 지침에

    따르면, 체계적으로 유수율 향상을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흐름

    으로 사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 - 15 -

    ① 기초자료 조사분석 및 계획수립 ∙기초자료조사

    ∙자료분석

    ∙계획수립

    ② 현장 세부조사

    ∙시설물 조사

    ∙관로 조사

    ∙밸브류 조사

    ∙급수전 및 수용가 조사

    ③ 관망도 전산화(CAD) ∙관망도 전산화(CAD)

    ④ 블록시스템 구축계획 ∙블록시스템 구축

    ∙설계 및 시행

    ⑤ 관망감시체계구축 ∙유량의 원격검침

    ∙수압의 원격감시

    ∙수질모니터링

    ⑥ 블록시스템 관리 ∙유량/수압/수질측정

    ∙배수관망 해석

    ∙블록별 등급화

    ⑦ 유수율 제고 방안

    ∙생산량 분석

    ∙공급량 감소

    - 노후관교체/불용관정비

    - 누수탐사 및 복구

    - 수압조절

    ∙부과량 증대

    - 노후 및 고장 계량기 교체

    - 계량기 적정구경 선정 및 교체

    (1) 기초자료 조사․분석

    유수율 향상을 위해서는 기초자료가 충실해야 사업 추진을 위한 자료분석, 사업우

    선순위 결정, 사업방향 등을 결정하고, 가시적인 사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최우선 고려사항은 지방상수도의 유수율 향상을 위한 부정확한 각종 자료

  • - 16 -

    들을 재조사하고 보완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1) 기초자료 조사․분석

    ▣ 사회 및 인문현황(장래인구 및 용수추정)

    ▣ 장래개발계획을 고려한 용수수요량 조사

    ▣ 기존 상수도관망도, 수도시설물 조사

    ▣ 도시계획, 하수도계획 및 도시계획도로

    관련계획

    ▣ 지하매설물 관리대장 및 지적도

    ▣ 수도요금 관리자료

    ▣ 민원대장

    ▣ 기타 관망도 작성에 필요한 제반자료

    블록시스템구축의 급수계통

    파악

    블록시스템구축의 급수계획

    분석

    유수율 산정

    수요량 산정

    2) 현장세부조사

    가. 시설물조사 : 취․정수장, 배수지 등 주요 상수도시설물의 현황 파악

    나. 급수전 및 수용가 조사 : 급수전 조사는 계량기의 위치, 계량기 구경, 설치년도

    및 계량기 상태 등 계량기에 대한 세부 현황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계량기 현황

    및 문제계량기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하며, 수용가조사는 수용가의 급수형태, 급

    수여건, 인구수 등 수용가의 물사용 현황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수용가 현황 파

    다. 밸브류조사 : 밸브의 실제 설치지점을 현장확인하여 밸브 종류, 구경, 재질, 회

    전방향, 회전수, 이상유무 등을 조사

    라. 관로조사 : 기 제작된 관망도를 바탕으로 밸브류 조사, 급수전 및 수용가 조사

    와 병행하여 관로 매설지점을 개략적으로 확인하여 매설위치 및 매설환경 등

    을 조사

  • - 17 -

    ▣ 시설물조사

    ▣ 급수전 및 수용가조사

    ▣ 밸브류조사 및 탐사

    ▣ 관로조사

    조서작성

    조사결과

    분석

    ∙각종조서를관망도와연계가능토록 DB화

    ∙유수율제고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향후 유지관리 및 각종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

    (2) 관망도 작성 및 전산화 도입

    1) 관망도와 전산화 도입의 필요성

    관망도는 배급수시스템에서의 관로와 각종 밸브 등 시설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

    한 것으로 수도관리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로 누수발생, 수용가 관리, 각종 개량 및

    교체공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기타 지하매설물 공사 등에도 매우 중요

    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관로 및 시설정보의 정확성은 관련공사 및 시설유지의

    신뢰성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관망도는 현장 세부조사를 통하여 조사된 자료와 관로, 밸브류 및 급수전

    의 각종 정보 등이 입력되어야 하며 입력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시한 지하시설물

    (상․하수도) 관리범용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기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관망도가 종이로 작성되어 있어 수정사항이 발생할

    경우 그 수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유지관리 등에 지장을 초래

    하므로 수정이 수월하도록 전산화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관망과 관련하여 관망대장, 시설대장, 관로공사대장, 민원대장 등이 복잡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이를 GIS의 DB자료와 연계된 사항에서 출력, 검색 등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운영하면 보다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NGIS 사업이 시작되어 7대 지하시설물에 상수도분야

    를 포함시켜 수치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000년 3월 기준으로 66개 지자

    체에서 GIS가 구축되었으며, 상수도관련 GIS 활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지자체는

  • - 18 -

    35개로 조사되었다.

    2) 관망도의 작성

    수도시설을 유지관리하는데 있어서 관망도를 100% 보유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정

    비․관리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현재는 이러한 관망도의 갱신이나 정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고자 도시시설물전산관리의 일환으로 관망도를 GIS의 활용시스템에 편

    입하여 보다 광범위한 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관망도의 작성은 관로의 위치나 대상시설물의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망도 작성시 작업의 내용과 관망도 작성시 작업순서

    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 업 수 행 내 용

    자료 수집

    도관분할 및 복사 청사진

    각종자료이기

    구경, 급수관, 급수전

    부설년도 이기

    관종, 관경, 매설심도

    연장, 부설년도 조사

    관로탐지기 이용

    관로탐사

    제수변탐지기 이용

    제수변탐사

  • - 19 -

    작 업 준 비 및 계 획

    현 장 시 설 물 조 사

    시 설 물 조 사관 로 탐 사 변 류 조 사 및 탐 사

    송배수관로

    급수관로

    정수장

    배수지

    가압장

    제수변

    공기변

    이토변

    외 업 도 에 이 기

    현 장 조 사 및 탐 사

    매 물 변 류 탐 지 기금 속 , 비 금 속관 로 탐 지 기

    관 망 도 작 성

    문 제 점 도 출

    도 면 CAD 화

    종 합 분 석 및 보 고 서 작 성

    금 속 , 비 금 속관 로 탐 지 기

    신 설 변 류 도 출

    3) 전산화 시스템 구축의 기본 방향

    관망정보에 전산화 시스템 도입은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 절약 및 편리함과 신속성

    을 도모하는 것으로 지역의 상황과 특성에 맞게 활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음

    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가. 효율적인 상수도시설 관리를 위해 GIS와의 연계추진을 목표로 한다.

    나. 시설물이나 누수량 등을 빠르고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통계적 기법을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 신뢰도 향상문제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전산화 시스템 도입은 지하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모든 상수도관망의 현황을

  • - 20 -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새로운 관망의 매설, 제거 및 기타 공사로 인하여 변경되

    는 자료들의 전산화와 이미지 입력 등 전반적인 모든 상하수도관망을 한 곳에서 관리

    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다.

    또한 전산화 시스템 도입에 따라 DB를 구축하게 되면 이를 통한 관망관리의 효율

    성이 증대될 것이므로 DB 구축시에는 자료 활용이 가능하도록 다음사항을 고려할 필

    요성이 있다.

    가. 기본 수집정보를 활용한 주요 대장 작성

    나. 기본 수집정보를 활용한 관망진단 항목의 기초기술진단의 산정이 가능

    다. 수도정비기본계획의 기본정보 제공이 가능

    라. 서비스지표의 산출이 가능

    관망도 작성 흐름도 관망도와 조서 DB화 구축 예

    CAD도면에 내업도 내용 드로잉 작업

    내업도 작성(관망도 작성용)

    관로연장 측정 기입(CAD상에서)

    현장도면 작성

    외업도 작성(현장용)

    밸브대장 번호부여,기입

    관로번호부여,기입

    관로조서 작성

    출력

    수용가 급수전조사 내용관로탐사 내용밸브류 조사 내용지하정보수집 내용

    외업도 내용 옮김

    급수전 정보관로 정보밸브류 정보

    관망도 작성 완료

    실시시

  • - 21 -

    4) 전산화 시스템의 이용

    전산화 시스템 도입에 따라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업무를 보

    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효율화만이 아니라 주민들 입장에서도 창구에

    서의 열람업무시간이 단축된다든지, 알기 쉽고 깨끗한 칼라지도를 신속히 입수할 수

    있게 되는 등 이점이 있어 주민 서비스 향상에도 큰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지도에 다양한 정보를 결부시켜, 지도를 매개로 해서 정보를 종합화함으로

    써 서로간의 소통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한다. 요컨대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

    로 검토․분석할 수 있게 하고 행정판단이나 정책결정, 사업계획의 입안 등을 보다

    합리적으로 진행하도록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게 한다.

    상수도관망의 전산화와 이를 활용하는 것은 관망도 작성→D/B의 입력→관리시스

    템의 개발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도나 종이상의 정보가 효율적으로 전산 관

    리되어 운영된다면 수도시설의 유지관리 및 누수방지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다.

    상수도분야에서의 관망도 작성 및 이를 전산화하여 도시의 GIS시스템과의 연계운

    영을 모색할 수도 있으며, 최소한 상수도분야만이라도 관망도의 전산작업을 통하여

    상수도관리시스템을 통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상수도관망만을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축하기보다는 도시의

    시설물전반에 걸쳐 GIS작업을 수행하여 이것을 도시정보시스템(UIS : Urban

    Information System)으로 구축하여 여기에 상수도분야를 포함하는 방법을 택하는 사

    례가 많다. 관망도 작성 및 전산화 시스템 구축으로 유수율향상에 직접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나 기본적인 체계구축을 통한 유수율 향상을 꾀할 수 있으므로 상기사

    항에 유의하여 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5) 전산화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 방안

    상수도 관망에 전산화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 중에서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것이 자료의 신뢰도 문제이다. 자료의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 경우, 막대한

  • - 22 -

    예산과 인력이 낭비됨은 물론 향후의 상수도시설의 신뢰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

    서 이러한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력과 예산의 확충은 물론 체계적

    이고 과학적인 검정절차와 아울러 전반적인 시스템의 규격화와 체계화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가. 검수시스템의 활용

    검수시스템의 활용은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검수시스템

    은 크게 조사탐사 현장검수와 데이터 검수로 구분할 수 있다.

    나. 인력관리

    관망도 작성과 전산화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해당 지자체 수도담당자에 대한 교

    육과 필요한 인력 및 기술의 지원 방안도 강구하여야 하며 이를 장기적인 관점에

    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블록시스템 구축

    유수율제고 측면에서 블록시스템의 도입은 필수요소라고는 할 수 없으나 블록시스

    템이 갖는 이점 중에서 중요한 부분인 배수시스템의 효율적 운영관리를 가능하게 함

    으로써 유수율제고를 위한 일련의 과업들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하는데 있다. 블록시

    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현재의 대규모의 급수구역의 현황 조사 및 자료 분석 완료 후

    블록형태로 분할하여 블록별로 진단 및 평가를 하는 블록시스템구축 사업을 진행하여

    야 하며, 블록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기본적인 구성원칙은 다음과 같

    다.

    가. 관로의 독립성(기능분리, 지역성, 세분화)

    나. 관로의 연대성(망상화, 중치화, 연락화)

    다. 관로의 단순성(관로의 생략, 통합, 규격화)

    1) 블록시스템 구축 계획

    배수관망의 블록화가 도입된 초기에는 복구하기 쉬운 배수관망을 형성한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구축하였으나, 최근에는 이에 부가하여 유지관리를 효율적이면서 용이

  • - 23 -

    하게 할 수 있는 관망의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블록시스템은 전체 관로체계를 대·중·소의 단위구역으로 나누어 적정수압 및 수량

    이 유지되도록 관리하고 개별 블록에 대하여 상시 유량 감시 또는 야간최소유량을 측

    정하여 누수징후를 조기에 발견함으로서 누수저감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되는 단

    위구역을 말하며, 이러한 블록체계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가. 급수구역내의 공급계통 및 수요, 지형특성 등을 단순화함으로써 구역내 급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합리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나. 블록으로 구분함으로써 비상시 사고대책이 용이하고 및 급수중단 등의 영향

    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다. 블록별 유량측정 등의 감시체제 구축 및 활용으로 사고나 누수 등을 조기 발견

    하여 대처할 수 있다.

    라. 모든 관로를 관경 등에 따라 그 기능을 분산하고, 배수지관 블록으로의 주입점

    을 규제함으로서 배수 블록내에서 적절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다.

    마. 지역에 따른 필요수량 및 수질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장래의 확장계획

    에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수장 유출유량계

    취수,정수장

    하천

    M

    M M

    대 블 록(정수장계통)

    중블록(배수지,주 유량계)(1,500 - 5,000전)

    소블록(500-1,000전)

    주관로

    주관로

  • - 24 -

    2) 블록시스템 구축시 고려사항

    블록시스템 구축시 관로현황자료 및 관망도의 정립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 이루어

    져야 시행착오 없이 유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블록시스템 구축시에는 다음과 같은 관리방법을 계획, 검토하여 재해대책이나 평

    상시의 유지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가. 수량관리

    나. 압력관리

    다. 수질관리

    또한 블록시스템 계획시 도면상에서의 블록분할 및 계획에만 치중하여 현장 확인

    을 소홀이 하는 경향이 있으나, 무엇보다도 블록고립 등 계획 수립시 현장확인이 가

    장 중요하다. 블록시스템의 구성 순서를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25 -

    3) 블록시스템구축 기본계획

    가. 블록분할기준

    블록분할 기준은 지형적인 요소 및 용도지역 요소를 종합하여 블록내의 적정 수

    압의 유지와 유지관리 용이성을 고려하여 대·중·소블록으로 분할하는 것이 일반적

    이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26 -

    가) 대블록 : 시설 및 급수구역, 표고, 지형지물, 도로, 하천 등에 따라 정수장의

    송수계통 급수구역

    나) 중블록 : 가압장 및 배수지 시설에 의한 구분(5,000전)

    다) 소블록 : 급수전 500~1,500전 규모

    등고선에 의한 지역구분 일반적으로 30~50m

    배수 본관의 설정

    지형물의 분할 우선순위 : 1) 주요하천 2) 국도-> 철도

    용도지역에 의한 분할 도시계획구역 용도지역

    소블록 규모적정성 급수전 500 - 1,500전

    NO

    주인입관 설정

    YES

    주인입관은 원칙적으로 2점으로 함

    소블록 배수지관망의 설정

    기존관을 적절하게 이용하고, 필요시 신설관 부설을 계획

    소블록 관망계산 등압성(블록내 압력차, 유속, 체류시간)

    계산값이 기준치를만족하는가?

    경제적인가?

    NO

    YES소블록 설정

    NO

    YES

    YES

  • - 27 -

    나. 관망해석

    관망해석은 관망에서의 수리적 거동을 분석하여 관망의 성능을 평가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관망해석을 통하여 관로내 물흐름 및 수압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향

    후 구역계량지역(DMA, District Meter Area)을 구분하고 유량계, 압력계, 감압밸

    브 등 설비의 설치지점 선정 및 관망의 운영관리 방향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결과

    블록시스템구축안검토

    절점데이터 생성(좌표,표고,사용량,절점)

    관망레이어축 출

    관로데이터 생성(관경,연장,절점)

    모델보정

    관망해석

    등고 및 표고레이어축 출

    유량측정, 수압측정자 료

    급수구역내 사용량

    시설물현황(배수지,가압장,밸브류)

    관로 및 절점DB 구 축

    모델구축

  • - 28 -

    다. 블록고립 현장 확인

    가) 소블록 분할에 따른 구역고립을 현장 확인하여 도상 계획한 블록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한 확인 및 평가

    나) 관망도상에 표기되지 않는 관로를 구역고립을 통해 현장 확인

    라. 블록고립 시설계획

    가) 블록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관로 및 시설물 정비 대상을 작성하고 블록구축에

    적용하여 관망감시와 통제체계를 구축하는데 활용

    나) 블록구축에 필요한 대상의 위치를 선정(주관로, 비상관로, 유량계, 경계밸브)

    다) 관로 및 시설물 정비 대상의 위치를 선정(신설‧순환‧교체‧확장‧연결관로, 수

    압계, 공기밸브, 이토밸브)

  • - 29 -

    4) 블록시스템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

    가. 유량관리

    배수관망의 블록화를 통하여 블록의 주입점에 유량계를 설치하면 블록내로 유입

    되는 수량을 계측할 수 있고 이를 블록내의 사용량과 비교하여 누수조절이나 방

    지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즉, 실시간 관망해석이 가능하게 되므로 간접유량측정법에 의한 최소야간유량을

    비교분석하여 누수방지작업의 효율성을 높일수 있으며 대·중·소 블록 배수구역별

    로 유량계측 설비를 설치할 수 있어 배수량 분석의 체계화가 가능하게 된다.

    나. 수압 및 수질관리

    관망내의 압력과 누수량과의 관계는 비례하게 되므로 유수율 관리와 안정적인 수

    돗물 공급서비스를 위해서는 관망내 압력관리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을 것

    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수율을 향상시키고 급배수관의 파열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배수

    관망내의 수압을 적정한 범위로(1.5kgf/cm2~4.5 kgf/cm

    2)유지하기 위하여 블록시

    스템내부에서는 수용가의 직결급수시스템까지 고려한 적절수압과 고압지역에서는

    감압밸브에 의한 적정수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력제어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마산시의 경우 블록분할을 통한 블록별 압력관리를 통해 균등압력을 유지

    하게 됨에 따라 20% 이상의 유수율을 향상시킨 사례를 살펴보더라도 유수율 향상

    을 위해서는 수압관리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블록시스템 구축은 수압관리를 통제함과 동시에 수질관리도 효과적이 될 수 있

    다. 블록시스템 구축시 물의 흐르는 경로가 단순화되어 수질변화의 추적이 용이하

    게 되어 수질사고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으로써 적수, 정체수의 배제를 계

    획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무효수량의 원인이 되는 조정감액수량을 줄임으로

    써 요금수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 - 30 -

    (4) 노후수도관 교체 및 정비계획

    노후관이란 관로의 재질, 제원, 유효두께와 같은 물리적인 강도저하와 통수능력,

    수압 및 펌프능력 감소, 에너지 소모량 증대와 같은 수리적인 조건, 내부부식, 기자재

    용출에 의한 수질의 영향 및 균열, 파손에 의한 누수 등으로 민원이 자주 야기되는

    등 관로자체의 기능을 상실한 관이라 할 수 있다.

    노후된 관은 공급의 안정성과 수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파손에 따른 재산피해

    및 복구시 교통방해를 유발하며, 많은 양의 물이 버려지는 등 여러 문제점을 유발한

    다.

    상수도관은 수돗물의 수송기능과 더불어 수질유지 기능 등을 담당하고 있으며, 시

    간이 경과하거나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그 기능이 점차 약해지는 등의 문제점

    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내․외부압력, 매설환경, 부식 등의 여러 가

    지 요소들이 있으며,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각각의 원인에 따른 개량계획의 수립

    및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관로개량계획 수립시 관로에 대한 진

    단 실시 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고 매설 경과년수, 관종별 및 사고다발지역 또

    는 민원발생지역을 노후관 정비사업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 노후관 개량사업을 수행하는데 매설년도의 비중은

    크게 차지하지 않으며, 주로 관의 노후화 정도, 교통하중의 증가, 내․외면 부식, 접합

    부의 형식 및 관로 주변의 토양의 움직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관망개량을 수행하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가. 관 재질이 건강상 위해 요인이 있는 관(예 : 석면콘크리트관)

    나. 내부 보호피막을 입히지 않은 관

    다. 민원의 발생이 많은 지역의 낡은 관

    라. 누수가 많은 관

    마. 납 조인트 연결형식의 낡은 관

  • - 31 -

    미국과 일본의 경우 노후관 선정에 수치적인 기준은 세우지 않고 있다. 이것은 노

    후관에 대한 수치적인 기준이 어렵다기 보다는 무의미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

    타내 주고 있는 것이며 이는 노후관의 분류가 상대적 개념이기 때문이다. 즉, 겨울

    철 동파나 고압, 워터햄머 작동에 의한 파열이 아닌 이상 관은 점진적으로 노후현상

    이 축적되는 것이므로 어느 일정한 수치를 지나치는 순간 노후관이 되는 것이다.

    노후관 개량사업도 일차적으로 가장 민원이 많고 사고가 잦은 관, 누수가 많이 발

    생하는 관을 대상으로 삼고, 그 다음으로는 점차 선정기준을 완화시키며 사업을 수행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후관의 의미를 정리한다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은 출수불량, 누수사고, 적수, 이물질에 대한 민원, 아연도강관, 무수율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 관 노후화의 요소

    관은 매설한지 20~30년이 지나면 부식과 스케일로 인하여 통수능력이 저하되고

    관망의 수리학적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분

    분이다.

    수도관이 노후화되어 부식되면 관내 잔류염소의 과다소비, 잔류염소의 소진으로

    인한 미생물의 재성장 등으로 2차 오염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수도관내에서의 부식,

    스케일 형성 등은 녹물뿐만 아니라 통수단면을 감소시켜 출수불량을 야기하기도 한

    다.

    수도관의 노후화를 최대한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시설 및 지역의 특성(관종,

    토양, 매립지, 해안가 등) 등에 따라 현 상태에서 노후화를 촉진시키는 요소, 그 중에

    서도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소를 찾아내서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

    요하며, 관의 노후화를 촉진시키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 32 -

    구 분 노후화 요소

    설계 및

    시공

    • 관경, 관종, 관접합

    • 기초공, 되메움 토양, 매설년수

    하 중 • 매설지역, 도로폭, 내부수압

    운 영 • 무수율, 누수․파손기록, 부식방지

    부 식• 외부요소 : 토양비저항, PH, Redox전위, 함수율, 황화물, 염화물

    • 내부요소 : C값

    2) 노후관이 미치는 영향

    노후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가. 건강상의 문제

    부식에 의하여 수돗물 중에 인체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 증가하며 관로의

    관체, 결합제 혹은 도료에서 카드뮴, 아연, 동 등의 금속이 용출하는 것이 대표적

    이다.

    유럽에서는 수돗물 중에 아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미국 보스톤시에서

    는 수돗물이 산성을 띄어 경도와 알카리도가 낮아 아연관에서 아연의 용출이 현

    저하게 나타났다.

    ‘75년의 조사에서 15.4%가 미국 기준치인 0.05㎎/ℓ를 초과한 기록이 있으며, 보

    스톤 시민의 혈중 아연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시에서는 가솔린 중의 아연

    의 감소, 가정에서의 아연도료의 배제, 수도수중의 아연농도를 저하시키는 등 아

    연중독 방지계획이 실시된 바 있다.

    나. 수돗물 이용상의 문제

    적수(red water), 청수(blue water), 착색수(colored water), 탁수(turbid water), 녹

    물(rusty water)이라 불리는 적수는 사회적으로 수요자에게 대단히 민감한 사항이

  • - 33 -

    되며, 그 주된 원인은 관의 부식이며, 물의 외관을 해치고, 맛과 세탁물에 장애를

    일으키며, 계량기 기능저하 뿐만 아니라 배수관을 막히게 하는 원인이 된다.

    다. 누수나 파손사고의 영향

    부식이 원인이 되어 누수나 파손사고가 발생하면 도‧송수 불량은 물론이고 단수

    에 의한 배수서비스의 저조뿐만 아니라 외부에 커다란 피해를 주기도 한다.

    라. 경제적 손실

    부식의 진행과 함께 관내에 스케일 침착이 일어나 관 폐쇄에 의한 통수능력 저

    하와 가압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 또한 누수 등으로 관리비가 증대되고 관로의

    사용연한 단축으로 교체 비용 등 경제적 부담이 발생한다.

    3) 노후관의 개량 개념

    관의 역할은 위생적인 물을 수용가에까지 안정적으로 수송하는 것이나 관로 노후

    화로 인해 적수, 파손, 출수불량, 누수 등의 문제가 야기되기 때문에 이들 문제에 대

    응하기 위해서는 관로를 개량해야 한다.

    과거에는 관로의 교체, 갱신 또는 라이닝의 여부를 관로의 포설년도, 상태 및 적수

    의 발생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으나 배수시스템의 관로개량은 관로의 상태보다는 성

    능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하며 따라서, 설정된 서비스수준으로 관로 시스템의 성능을

    맞추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관로개량을 하는데 있어서의 기본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다.

    가. 예방적 갱신

    종래의 관로개량에는 적수, 출수불량, 누수발생 등의 원인으로 광범위하게 걸쳐있

    는 관로를 갱신한다는 소위 대중요법적, 사고대응적인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관로개량은 보다 안정된 배수를 목표로 하는 입장에서 장래의 관로의 장

    애,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한다기 보다 예방보전을 중시한 관점에서 해야 한다.

  • - 34 -

    나. 관로기능의 향상

    관로개량은 관로기능의 회복외에 필요에 따라서 관로에 뛰어난 기능을 부여하고

    관로기능의 증진을 꾀하는 방향에서 해야 한다. 특히 지진 등의 비상시에 수도가

    생명수와 같은 기능을 완수할 수 있도록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 네트워크의 정비

    오래된 도시에서는 그 지하에는 수도관뿐만 아니라 다른 공급시설, 하수도, 지하

    철 등이 매설되어 있고, 상호 복잡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은 역사적으

    로 거듭 쌓여진 것인데 유지관리하는 입장에서 어려운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많

    다.

    따라서 관로개량을 단순히 개개의 관로개량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아니고, 네트워

    크로서 수도의 안전성, 확실성, 경제성을 향상하는 방향에서 갱신을 고려해야 한

    다.

    한편 관로개량 공사의 방법은 비구조적 방법과 구조보강력 방법의 2가지 방법으

    로 나눌 수 있다. 비구조적 방법은 주로 기존관로의 적수문제나 유속계수(C값)의

    개선방향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써 관세척 및 피복공사(Cleaning and lining)가 이

    에 속한다. 구조보강적 방법은 기존관로에 다소의 균열이나 접합부 불량 등의 누

    수요인이 있어 신관과 같이 영구적으로 개량하는 방법으로 중구경관 이상에 적합

    하며 다음의 방법들이 있다.

    가) 노후관 교체

    나) 파이프 인 파이프 (Pipe in pipe)공법

    다) 파이프 재생 (Pipe rebirth)공법

    라) 호스 라이닝 (Hose lining)공법

    4) 노후관 개량 순서

    관로갱신 계획의 수립에 있어서는 우선 정보수집을 해서 관로의 진단을 한 다음

    진단결과나 관로의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개량 우선순위나 공법선택을 하게 된다.

  • - 35 -

    관로개량은 기초조사 및 진단, 갱신우선순위 결정, 공법의 선택 및 사업실시의 4단

    계로 나누어서 생각하는 것이 적당하다.

    가. 기초조사 및 진단

    가) 정보수집

    관로정보를 이용한 관로기능의 진단 및 평가를 실시하여 관로의 현재 상태나 기

    능의 파악 및 장래 변화를 예측하고 관로를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기 위하여 관로

    정보를 수집․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최소한 다음과 같은 자료를 수집하여야 한

    다.

    구 분 정 보 항 목

    관로정보• 관로번호, 구경, 연장, 부설년도, 관종, 관두께, 접합방식• 부식, 외면손상 상황, 관체강도, 내외면 도장 종류• 녹의 성상 및 관내폐쇄 현황, 도장 및 접합부 노후 상황

    매설환경정보• 포장종별, 교통량, 토피, 지하수위, 부등침하 유무• 매설지반의 물리적 특성, 토양의 부식성, 누전류의 유무

    수리․수질정보 • 유량, 수질, 수압, 유속, 유속계수, 유향 등

    사고민원정보 • 발생지점, 원인, 누수상황, 보수방법, 소요시간 등

    사회적 정보 • 급수가구(인구), 사용수량, 시가지 특성, 다량급수처 등

    나) 관로진단

    관로진단은 정수시설로부터 최적으로 처리된 물을 실소비자에게 안전한 수질,

    안정적인 수량 및 적정한 수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현재 상태를 과학적으로 진

    단하고 개선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기술진단의 대상을 그 성격에 의해 구분하면 시설물의 물리적 성능과 수도사업

    자의 운영관리 성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 36 -

    구 분 설 명

    물리적 성능• 상수도관망 = 관로시설 +관로부속시설(각종밸브, 소화전,

    이음관 등) +배수지 +기계, 전기, 계측설비

    운영관리 성능• 수량, 수질, 수압을 위한 운영관리성, 수리성능, 서비스

    품질 등

    관로진단은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관로의 건전성이나 내구성을 파악할 필

    요가 있다. 이 방법에는 관로의 샘플을 직접 채취하여 관체의 부식상황, 녹 발생

    상황, 토양의 부식성 등의 조사를 하는 직접 진단법과 과거의 사고이력이나 정보

    의 통계처리결과로 부터 관로의 상태를 추정하는 간접진단법이 있으며, 관로진단

    법을 보다 정확하게 하는데는 직접진단법을 따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데 이 방법

    은 굴삭이나 관로의 다수로 인하여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모든 관로에 적용하

    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관로진단은 우선 간접진단법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후에 더 상세한 상황

    파악이 필요할 때에는 직접진단을 이용하는 2단구조의 적용이 합리적이라고 판단

    된다.

    나. 우선순위 결정

    관로개량 우선순위의 결정은 관로진단결과 이외에 관로의 중요도, 관로개량 및

    시공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할 필요가 있다.

    결국 갱신되어지는 관로가 어떤 종류의 지역에 어느 정도의 배수를 하고 있는

    가, 또 적수 및 출수불량의 상황이 어떤 상태이고, 개량함에 따라 어느 정도 개선

    되는가 혹은 시공의 난이도 및 경제성은 어떠한가라는 점이다.

    시공비가 매우 비싸고 개량에 긴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개량 우선순위는

    당연히 뒤쳐지게 된다.

  • - 37 -

    다. 개량공법의 선정기준

    개량공법의 선정은 갱신의 목적을 충분히 확인한 뒤에 가장 경제적인 공법을 선

    택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관로 매설지역의 제반 상황과 사고기록을 참조하여

    갱신공법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예로써 부식성이 강한 토질에 매설되어 빈번한 누수 및 부식에 의한 이음매 파

    손의 기록이 있는 관은 외부강도의 강화를 꾀할 수 있는 갱신공법을 선택하거나

    관로의 위치를 변경하며 신관 포설로 대체해야 할 것이다.

    가) 경제성 분석에 의한 기준

    관로개량에는 크게 관 교체와 보수로 대별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로

    개량을 위한 가장 경제적인 공법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각 공법에 대한 직접, 간접

    비용을 평가한 뒤 경제성이 가장 최적인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관 교체방법을 택

    한 경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예상될 수 있다.

    - 도로시설물 및 공사지역내의 기존시설물의 보수와 복구 등 신관자재비 등

    예산의 과다

    • 공사기간중의 교통장애

    • 여타 지하매설물의 훼손 등

    • 공사기간의 장기화에 따른 주거생활의 불편

    - 기존 지관교체 작업에 따른 공사비 가중 및 불편 또는 지관교체가 불가능한

    경우 보수의 실제비용은 관경과 파손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나) 구경에 의한 기준

    수도관로는 본관처럼 대형관에서 지관에 사용되는 소구경관까지 그 종류가 다양

    하다. 관 갱신 공사시에는 이들 관로의 구경에 따라서 공사비가 달라지기 때문에

    본 절에서는 소구경관(ø300mm이하), 중‧대구경관(ø400mm이상)에 대해서 상대비

    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 38 -

    - 소구경관 (ø300mm이하)

    소구경관은 관부식에 따라 중‧대구경관 보다 용이하게 관 단면이 축소되기

    때문에 관로의 노후화에는 적수나 저압으로 인한 출수불량이 원인이 되기

    쉽다. 따라서 소구경관 갱신에는 녹의 제거나 통수능력의 향상을 주목적으

    로 한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수용가의 배수관이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

    로 갱신공법은 수용가의 배수관을 막지 않으면서도 최단 기간내에 공사를 끝

    내야 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소구경관의 갱신에는 에폭시수지 라이닝 공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

    다. 그러나 최근에는 에폭시 라이닝 갱신공법은 관체의 균열, 부식, 연결이

    음매 등이 취약하여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므로 영구적이라기보다는

    일시적인 대책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므로 선진국에서는 관체의 내구성이

    문제가 있는 소구경관의 갱신은 특히 긴급한 사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는 일반적으로 관 교체를 행하는 추세이다.

    - 중‧대구경관 (ø400mm이상)

    중‧대구경관의 주된 문제점은 관체 균열 또는 누수에 있으므로 중‧대구경

    관의 갱신공법은 관체 강도나 이음매 노후화를 보강하는 호스라이닝(Hose

    lining)공법이나 파이프삽입(Pipe in pipe)공법을 채택하고 있다.

    (5) 누수량 저감계획

    누수는 정수장에서 많은 돈을 들여 생산된 수돗물이 관로를 통하여 수용가까지 운

    반하는 과정 중에 수용가에서 사용되지 않고 없어지는 수량으로 관로, 밸브 등 기타

    시설물을 통하여 시설물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말한다.

    누수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누수발생시 지반침하

    나 수압저하에 의하여 보행자나 수용가에게 불편을 겪게 할 수 있으며, 사용되지 않

    는 무수수량이 발생되어 손실이 커지게 된다.

    또한 누수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누수부위 및 누수량은 커지게 되어 주위 수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주변 수용가의 주민은 출수불량 등의 불편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누수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생산된 수돗물이 사용되지 않는 손실이 커지게 된다.

  • - 39 -

    이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사업에는 누수지점을 탐사해서 처리하는 치료차원,

    누수를 발생하지 못하게 조치를 취하는 예방차원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또한, 누수는

    여러 원인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예방과 치료차원의 누수방지사업은 지속적

    으로 추진하여야하며, 필요시 전문탐사반을 투입하여 원인을 제거하여야 한다.

    누수는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지속적인 감시체계 및 원인 해결이 병행되어

    야 누수량 저감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1) 누수발생 원인

    누수발생의 원인은 관의 노후 및 부식, 외부충격, 부등침하, 시공 및 자재불량, 타

    공사에 의한 관파손, 고수압, 폐관처리 미비 등이 있다.

    따라서 누수발생 인자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누수의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구 분 설 명

    관의 부식 및

    노후화

    • 내식성 자재로 교체

    • 토질조건을 고려한 관종 선택

    고수압 • 수압조절, 감압밸브 등을 활용한 수압 저하

    토양의 이동• 내진설계를 통한 시공 및 충분한 다짐

    • 충분한 심도 유지

    도로의

    교통하중

    • 교통량이 적은 보도 등을 이용한 시공

    • 충분한 심도로 시공

    폐관 미비 • 관로 통폐합 등 정비공사시 폐관 철저 시행

    자재불량,

    토질조건

    • KS규격에 적합한 자재 사용

    • 자재 조달시 시험을 통한 반입

    • 토질조건을 고려한 관종선택

    시공불량• 염격한 공사관리

    • 정기적인 기술 및 정신교육

    타 공사 부주의 • 수도공사를 포함한 타 공사 시행시 상수관리자 참석

  • - 40 -

    가. 관의 부식 및 노후화

    노후관은 내외부의 부식부분이 침식되어 누수공이 발생되는 것으로 이것 또한

    분류하면, 외부적으로는 토질, 전식과 내부적으로는 관종, 수질 등에 의하여 누수

    가 발생되는 것이며 누수가 빈번히 발생되는 곳은 정밀분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누수빈발 등 사고원인 이력, 기타사유로 개량을 하여야 한다고 판단되는

    관로는 위치, 연장, 관종 및 노후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내식성자재로 교체하여

    야 한다.

    부설 교체의 판단기준은 누수다발 관로, 관종불량, 관로 및 급수전 다발 분기관

    로, 수압저하 및 단면부족 관로, 박스 및 하수관 내 관로, 사유지 통과 관로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나. 과다수압

    수압이 높고 낮음에 따라 누수율, 관의 파손빈도 등에 관계되며, 수압을 높이면

    누수량이 많아져 누수지역 탐지가 용이하게 된다.

    펌프나, 밸브의 개폐에 따른 Water Hammer 등의 수압변동에 따라 설계수압을

    초과하는 상황이 생길 경우 균열, 접합부 이탈 등 관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배수량은 계절, 기후 등에 따라 변동하는데 동수압도 상당히 변하게 된다.

    배수관의 동수압이 낮으면 원할한 급수에 지장을 끼치고 높으면 배수관이나 급수

    장치에서 누수의 발생도 많이 되고 동일개소에서의 누수량도 증가한다.

    수압의 조정은 과다 수압을 낮추어서 누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누수의 복

    원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누수량은 관내 수압에 비례하기 때문

    에 감압하는 것은 그만큼 누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누수방지에 아주 큰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과다수압지역에 감압밸브 설치, 가압장의 경우는 양정조절을 통하여 안

    정된 급수가 가능한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 토양의 이동

    토양의 이동은 흙의 함수율 변화나 온도변화에 따른 것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도

    동절기에서 봄이 되는 해빙기에 누수사고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함수율의 변화에 따를수록 팽창, 온도변화나 동결, 침하, 지진에 따른 변동 등에

  • - 41 -

    따른 토지의 움직임은 관의 파손, 계수의 어긋남, 국부적인 하중집중에 연결된다.

    또한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한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어 관 부설시 겨울철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심도로 부설하여야 한다.

    라. 도로의 교통하중

    대부분 충격이라 표현하는 원인으로써 심도가 낮거나 차량의 교통에 따른 진동

    과 하중이 관 손상의 주요인이다. 도로의 교통하중에 의한 지속적인 충격으로 수

    도관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 부설시 교통량이 적은 보도 등을 이용하여 시

    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득이하게 도로를 횡단할 경우는 상부의 충격하중으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충분한 심도로 시공하여야하며, 강판 등을 부설하여 하

    중을 노면에 넓게 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 폐관미비(잔존관)

    폐쇄 및 분리에 따른 잔존관 등에서 발생하는 누수로써, 노후된 수도관을 교체

    하면서 기존 노후관을 분기점에서 철저하게 폐쇄하지 않아 발생되는 잔존 수도관

    에서의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관을 교체하거나 폐전할 경우에는 배수

    관의 분기점에서 완전 철거 또는 철저한 폐쇄로 잔존급수관에서의 누수로 인한

    손실을 방지해야한다.

    바. 자재 및 시공기술 불량

    자재의 경우, 충분한 관종검토를 거쳐 선택되었기에 시공업체의 자재관리 및 시

    공기술이 부족하여 발생되는 누수로써, 수도 공사업체에는 정기적으로 기술 및 정

    신교육을 통하여 시공기술 불량에 따른 누수를 예방하여야 한다.

    사. 타 공사에 따른 손상

    지하에는 상․하수도, 전기, 통신, 도시가스 및 난방 등과 같은 매설물이 복잡하

    고, 지하매설물에 대한 부정확한 자료로 인하여 각종 도로공사 및 타 배관공사를

    위한 굴착시 상수도관의 파열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대규모 단수 등으로 주민생

    활에 직접 피해를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하수도, 가스 등의 공사 및 기타 시공에

  • - 42 -

    의한 수도관의 영향을 감시하기 위해 현장입회를 하여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

    여야하며, 정확한 관망도 작성, GIS를 이용한 관망의 전산화 등을 통하여 체계적

    인 관리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2) 누수의 분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누수량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는 수량 파악을 정확히 실시하고, 사업지역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할 수 있어야 하

    며, 누수를 형태별, 시설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는 것이 누수방지 대책 수

    립에 효과적이다.

    가. 누수형태별

    누수는 그 형태별로 지상누수와 지하누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지상누수는 가

    시누수라고도 하며 지상으로 누수되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발견이 용이하고

    신속하며 일반적으로 단기간에 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누수는 누수된 물이 지하로 스며들고 그 경로도 일정치 않기 때문에

    특별한 조사를 거치지 않고서는 발견할 수가 없고 따라서 누수가 발생한 시점에

    서부터 수리할 때까지의 기간이 장기화될 수 있다.

    나. 누수시설별

    관로에서 누수의 시설별 분류는 관로의 분류방법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배수본

    관 누수, 배수지관 누수, 급수관 누수 등으로 분류하며 포설된 관로가 더욱 세분

    되어 있는 경우는 누수분류도 같이 세분할 수 있다.

    급수 누수인 경우 수도계량기까지의 급수관의 누수와 수도계량기부터 급수전까

    지의 누수로 다시 세분된다.

    모든 누수는 가공된 수자원의 손실이라는 면에서는 동일하며 누수방지의 필요성

    도 동일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손실을 부담한다는 경제적인 면에서는 수도계량기

  • - 43 -

    의 상류와 하류의 누수는 다르다.

    즉 계량기 상류측에서의 누수는 수도사업소의 손실이 되고 수도요금의 상승요인

    이 되지만, 계량기를 통과한 후의 누수는 계량기 불감수량을 제외하면 사용수와

    같이 유효량에 포함된다.

    다. 누수지역별

    누수방지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누수를 지역별 또는 구획별로 분

    류하고 관거 길이당 누수량과 수리건수 등을 기록하여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누수탐사

    누수탐사 방법은 면, 선, 점 개념의 접근방법 순으로 시행하며 각 지자체의 현시설

    및 인원구성의 여건, 중장기 계획 등에 의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면의 접근은 유량, 수압측정 등을 통하여 유수율이 저조하고 누수가 많은 지역을

    선정하는 개념이고, 선의 접근은 선정된 구역에 대해 변류청음, 수용가 청음, Leak

    hunter 및 상관식 누수탐지기 등을 사용하여 누수가 존재하는 관로로 접근하는 개념이

    며, 점의 접근은 선정된 관에 대해 노면음청 조사 등을 통해 정확한 누수지점을 포착

    하는 개념이다.

  • - 44 -

    면의

    접근

    징후조사 → 유량, 수압측정

    선의

    접근

    인력접근 → 수용가 청음 변류청음 하수도유량조사

    장비접근 → Leak Hunter 상관식누수탐사

    관로불확실시

    징후조사개념

    노선확인 → 관로탐사

    점의

    접근

    정밀탐사

    누수탐사 → 노면 음청 조사 상관조사 야간 음청조사

    확인조사 → 해머드릴 및 보링바에 의한 확인

    누수수리

  • - 45 -

    가. 면 개념의 접근 방법

    면 개념의 접근방법은 구역으로 접근한다는 측면으로 구역 또는 블록으로 구분

    이 되어야 함으로써 구역고립 및 관정비가 동시에 시행되어야 하며 유량은 3단계

    로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 분 투자비 작업시간 요인분석

    1단계

    (야간최소유량

    측정)

    • 유량계실 설치

    • 밸브수리, 교체, 신설• 야간시간대 • 누수요인

    2단계

    (일유입량

    측정)

    • 유량계실 설치

    • 밸브수리, 교체, 신설

    • 주 관로 부설

    • 주간시간대• 무수요인

    (누수요인)

    3단계

    (상시(영구)

    유량측정)

    • 유량계실 설치

    • 밸브수리, 교체, 신설

    • 주 관로 부설

    • 외곽관로 부설

    • 일시적(필요시간)• 무수요인

    (누수요인)

    나. 선, 점 개념의 접근 방법

    누수탐사는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 지점을 찾아내는 작업으로 어느 관로, 어느

    지점에서 한 곳으로 접근하는 방법이다.

    어떤 관로이냐는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방법과 기계에 의존하는 방법이 있으며,

    최종적인 점으로의 접근에서 기계에 의한 방법은 정탐율을 높이기 위하여 인력

    즉, 숙련된 기술자에 의존하여야 한다.

  • - 46 -

    4) 누수예방 및 감소대책

    상수도관은 지하에 매설되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므로 누수의 예방을

    위해서는 적정한 관종 선정, 관망의 정비, 배급수관의 순찰점검, 관의 부식방지, 노후

    관 교체 또는 갱생 및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누수방지사업의 시행이 필요하다.

    가. 관종 선정에 의한 누수방지

    가) 상수도 관로에 사용되는 관종은 각 관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용도로 선정

    되어야 한다.

    나) 중․대구경관 : 강관 및 주철관, T형 또는 십자형 분기관사용

    다) 소형관 : 각 지자체 특성에 맞는 관종 및 분기관 사용

    나. 관로구성에 의한 누수방지

    배수관은 block구성이나 관부설 형태에 따라서도 관로상의 누수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배수관로의 연장을 최소화함으로써 관로의 접합수

    를 줄이고 block간 분기부에 제수변을 설치하여 급수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구간 단

    수에 의해서 가능한 소량의 유량만 유출시키고 신속한 사고처리로 사고시 발생하

    는 누수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다. 노후관의 갱생 및 교체

    지하에 매설한 관은 오래되면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즉, ① 관의 부식에 기인하는 누수, ② 통수능력의 저하로 동력비의 상승, ③ 관

    의 연결지점에서의 누수, ④ 관 파열 등 사고의 다발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노후관에 대하여는 노후관 정비를 실시하여야 하며 노

    후관정비에는 갱생시키는 방법과 교체하는 방법등이 있으므로 노후관 정비계획을

    수립하여 대비하여야 한다. 관 교체는 교통소통에의 영향, 주위 상점에의 영향 등

    사회적 손실과 비용에 있어서도 갱생시 공사비는 교체시 공사비의 65% 정도인 것

    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관의 상태와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교체와 갱생중의 한 방

    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 - 47 -

    또한 현재 포설년도를 기준으로 노후관 판정을 내리고 있으나, 관별로 통수능력

    시험 등 정확한 조사 후 대상관의 선정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

    다.

    라. 배수관로의 점검

    누수예방과 조기발견을 위하여 배수관로를 유지관리지침에 따라 순찰해서 그 시

    설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도로상에서는 지하누수, 노면의 침하 및 각종 변실이나 전류의 점검외에 타관련

    공사에 의한 관로에의 영향 유무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누수발생을 미연에 방지하

    도록 하며 수도관이 노출되어 있을 때에는 이의 점검과 함께 그 부근의 누수유무

    를 조사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마. 관부식

    관거에서의 부식은 장소에 따라 내면부식과 외면부식으로 나눌 수 있다. 관의

    내면부식은 주로 관에서의 통수능력을 저하시키고 철관에서의 적수문제 등 수질

    오염을 유발하며 흙과 접촉하여 일으키는 외면부식은 누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다.

    이들 지하에 매설된 금속은 정도의 차는 있으나 부식을 면하기는 어려우며 특히

    볼트와 넛트류의 부식은 부식정도가 빨라 큰 문제를 야기시킨다.

    바. 관부설공사의 시공품질 향상

    누수율은 관거의 관부설 공사의 낮은 시공품질에 의한 영향이 크므로 관로 공사

    시에는 전문용역사에 의한 감리 및 감독을 철저히 하고 되메우기 작업전에 수압

    시험을 반드시 실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수압시험은 시공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또 D=50

    ㎜이하의 급수관에서 누수가 많이 발생하므로 신설급수관의 설치나 누수 수리 후

    에는 누수방지 담당부서의 검사와 승인을 받도록 한다.

  • - 48 -

    사. 옥내누수

    옥내누수란 수도계량기 통과 이후의 수용가 내부배관에서 발생되는 누수로 누수는

    수도계량기 통과 이전에 발생하는 옥외누수가 대부분의 누수원인을 차지하지만 옥내

    누수 또한 간과할 수는 없는 부분이다. 옥내누수가 발생하면 가정의 경제적 손실은

    물론 수용가 건물의 손상으로 붕괴의 위험도 초래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돗물 생

    산량의 증가를 초래하여 국가적으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옥내누수의 제거는 필수적이며 장래의 물부족을 대비한 물 절약의 일환으

    로도 꼭 제거하여야 하며 수도 생산량을 절감하여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여야 한다.

    옥내누수여부는 정기적인 검침에 의하거나 수용가 자체에서 확인하여야 하는데 수

    용가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간편하게 옥내누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 수용가의 수도 사용료가 전월보다 큰 폭으로 증가된 경우

    나) 물 사용량이 없어도 계량기가 작동하는 경우

    다) 물이 바닥으로 배어 나오는 경우

  • - 49 -

    4. 유수율 적정 산정방안

    매년 환경부에서 제시하는 상수도통계 작성지침에 따라 의무적으로 작성하고 있는

    유수율의 자료에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망도 및 블록시스템 구축과 함께 유

    량계 등 계측기의 정밀도 향상은 물론 실시간 유량측정 및 자료축척에 따른 분석이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및 감시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1) 생산 및 사용수량의 정확한 계측

    정확한 유수율 산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수량의 계측이 이루어져야하며 계측지점은

    크게 생산지점과 사용지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지점에서의 정확한 계측은 유수

    율 산정에 기초적인 data로서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다.

    1) 생산수량의 계측

    생산수량의 계측은 정수지 혹은 배수지 유출지점에 유량계를 설치하여 측정하여야

    하나 일부지자체에서는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고장, 설치위치의 부적정 등

    으로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생산량의 정확한 계측에 저해되는 요인으로는 유량계 전·후 직관부 미확보

    등의 설치조건, 유량계의 정밀도, 유량계 미봉인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지점의 선정 및 생산량 계측의 저해요소 등을 사전 조치하여

    정확한 유량측정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사용수량의 계측

    사용수량의 계측은 수용가 유입부에 계량기를 설치하여 측정하고 있으나 정확한

    계측에 저해되는 요소로는 부적정 구경 계량기 사용, 계량기 정밀도, 미감지율 등으로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미감지율은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미감지율은 계량기의 기종별 성능

  • - 50 -

    차, 구경별 성능차 및 사용년수에 의한 정밀도 저하 등에 의해 발생된다고 할 수 있

    으므로 이에 대한 상시점검으로 계량기 오차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정확한 계측을 위해서는 유입량을 계측할 수 있는 적정 구경 및 정밀 계량기

    설치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사항이다.

    (2) 유수율 분석체계의 개선

    현재 환경부 지침에 의한 유수율은 단순히 생산량에 요금으로 징수된 사용량을 기

    준으로 작성하고 있으므로 이를 세분화하고 산정방법들을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