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 다. 특수염색...

6
Kor J Oral Maxillofac Pathol 2013;37(6):327-332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강경림 1) , 김조은 2) , 조영아 1) , 윤혜정 1) , 이재일 1) , 홍삼표 1) , 홍성두* 1)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병리학교실 1) , 구강악안면방사선학교실 2) <Abstract> Clear Cell Adenocarcinoma of the Soft Palate: a Case Report Kyung Rim Kang 1) , Jo Eun Kim 2) , Young Ah Cho 1) , Hye Jung Yoon 1) , Jae Il Lee 1) , Sam Pyo Hong 1) , Seong Doo Hong 1)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1) and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2) ,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lear cell adenocarcinoma (CCA) is a rare malignant neoplasm of salivary gland that represents only 1% of all salivary gland tumors. CCA is histopathologically characterized by monotonous, glycogen-rich, round to ovoid clear cells intermixed with hyalinized stroma. However, other salivary gland tumors such as mucoepidermoid carcinoma, acinic cell adenocarcinoma, oncocytoma, epithelial-my- oepithelial carcinoma, and myoepithelial carcinoma should be ruled out to diagnosis CCA. We herein report a case of CCA involving the soft palate in a 56-year-old femal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CCA in the differential diagnoses of clear cell tumors. Key words:Clear cell adenocarcinoma, Salivary Gland Neoplasms, Palate * Correspondence: Seong Doo Hong,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101 Daehak-ro, Jongno-gu, Seoul, Korea. Tel: 02-2072-2625,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Nov 11, 2013; Revised: Nov 14, 2013; Accepted: Nov 21, 2013 Ⅰ. 서론 투명세포선암종(Clear cell adenocarcinoma)은 극히 드물 게 발견되는 타액선의 악성종양이다. WHO에서는 투명세포 선암종을 H&E 염색에서 투명하게 보이는 세포들로 이루어진 상피성 종양으로 정의하고 있다 1) .발생 비율은 보고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체 타액선 종양의 약 1% 미만으로 생각된다 2,3) . 남녀에서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며, 40대 이후에 주로 발생 한다. 호발 부위는 소타액선으로, 절반 가량이 구개 부위에서 발견된다 2,4) . 조직학적으로는 원형에서 다각형에 이르는 투명 한 세포질을 갖는 세포들이 sheet, cord 혹은 nest 형태로 배 열되어 있으며, 핵의 다형성은 매우 드물게 관찰된다. 세포 사이에서는 유리화된 기질(hyalinized collagen stroma)이 종 종 발견되며, 이러한 기질조직으로 이루어진 격벽에 의해 세 포들이 분리되어 존재하는 모습도 관찰된다. 투명한 세포질을 갖는 세포들은 다양한 종류의 종양에서 발견되므로, 감별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WHO 역시 투명한 세포로 구성된 다른 타액선 종양들을 모두 배제함으로써 투명 세포선암종을 최종 진단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1) . 본 연 구에서는 56세 여자 환자의 연구개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 과 그 진단과정을 보고하고자 한다. Ⅱ. 증례보고 56세 여자 환자가 연구개 중앙에 위치한 병소의 진단과 치 료를 위하여 서울대학교치과병원으로 의뢰되었다. 병소는 4~5개월 전에 발생하였으며, 연구개에 돌출되어 있는 직경 2 cm 가량의 연조직 종괴였다. 병소를 인지할 당시에는 통증 이 없었으나 최근 간헐적 통증이 시작되었다고 보고되었다.

Transcript of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 다. 특수염색...

Page 1: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 다. 특수염색 결과 대부분의 종양 세포들이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에서는 양성,

Kor J Oral Maxillofac Pathol 2013;37(6):327-332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강경림1), 김조은2), 조영아1), 윤혜정1), 이재일1), 홍삼표1), 홍성두*1)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병리학교실1), 구강악안면방사선학교실2)

<Abstract>

Clear Cell Adenocarcinoma of the Soft Palate: a Case Report

Kyung Rim Kang1), Jo Eun Kim2), Young Ah Cho1), Hye Jung Yoon1), Jae Il Lee1), Sam Pyo Hong1),

Seong Doo Hong1)

Department of Oral Pathology1) and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2),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lear cell adenocarcinoma (CCA) is a rare malignant neoplasm of salivary gland that represents only 1% of all salivary gland tumors.

CCA is histopathologically characterized by monotonous, glycogen-rich, round to ovoid clear cells intermixed with hyalinized stroma.

However, other salivary gland tumors such as mucoepidermoid carcinoma, acinic cell adenocarcinoma, oncocytoma, epithelial-my-

oepithelial carcinoma, and myoepithelial carcinoma should be ruled out to diagnosis CCA. We herein report a case of CCA involving

the soft palate in a 56-year-old femal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CCA in the differential diagnoses of clear cell tumors.

Key words:Clear cell adenocarcinoma, Salivary Gland Neoplasms, Palate

* Correspondence: Seong Doo Hong,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101

Daehak-ro, Jongno-gu, Seoul, Korea.

Tel: 02-2072-2625,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Nov 11, 2013; Revised: Nov 14, 2013; Accepted: Nov 21, 2013

Ⅰ. 서론

투명세포선암종(Clear cell adenocarcinoma)은 극히 드물

게 발견되는 타액선의 악성종양이다. WHO에서는 투명세포

선암종을 H&E 염색에서 투명하게 보이는 세포들로 이루어진

상피성 종양으로 정의하고 있다1).발생 비율은 보고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체 타액선 종양의 약 1% 미만으로 생각된다2,3). 남녀에서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며, 40대 이후에 주로 발생

한다. 호발 부위는 소타액선으로, 절반 가량이 구개 부위에서

발견된다2,4). 조직학적으로는 원형에서 다각형에 이르는 투명

한 세포질을 갖는 세포들이 sheet, cord 혹은 nest 형태로 배

열되어 있으며, 핵의 다형성은 매우 드물게 관찰된다. 세포

사이에서는 유리화된 기질(hyalinized collagen stroma)이 종

종 발견되며, 이러한 기질조직으로 이루어진 격벽에 의해 세

포들이 분리되어 존재하는 모습도 관찰된다.

투명한 세포질을 갖는 세포들은 다양한 종류의 종양에서

발견되므로, 감별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WHO 역시 투명한

세포로 구성된 다른 타액선 종양들을 모두 배제함으로써 투명

세포선암종을 최종 진단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1). 본 연

구에서는 56세 여자 환자의 연구개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

과 그 진단과정을 보고하고자 한다.

Ⅱ. 증례보고

56세 여자 환자가 연구개 중앙에 위치한 병소의 진단과 치

료를 위하여 서울대학교치과병원으로 의뢰되었다. 병소는

4~5개월 전에 발생하였으며, 연구개에 돌출되어 있는 직경

2 cm 가량의 연조직 종괴였다. 병소를 인지할 당시에는 통증

이 없었으나 최근 간헐적 통증이 시작되었다고 보고되었다.

Page 2: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 다. 특수염색 결과 대부분의 종양 세포들이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에서는 양성,

328

Fig. 1. Magnetic resonance images show a

well-defined soft tissue mass in the soft palate

with hyper-intense T2 (left) and low T1 (right)

signal.

Fig. 2. Grossly, the tumor exhibits irregular

surface with no capsule and lobulating growth

pattern. Focal necrosis is observed on the cut

surface.

환자는 고혈압과 당뇨병, 고지혈증으로 투약 중이었으며 그

외 다른 병력은 없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연구개 중앙부에 0.9 × 1.2 cm의 연조

직 종괴가 관찰되었다. 종괴 내부는 다소 불균일한 양상으로

T2 강조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T1 강조영상에

서는 낮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병소와 주변 조직과의 경계는

비교적 명확하였으며, 구개골 등의 주위 해부학적 구조물로의

침윤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1).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을

종합하였을 때, 소타액선에 발생한 양성종양을 의심할 수 있

었으며, 다형성선종(pleomorphic adenoma)의 임상진단 하

에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육안 검사 시 검체는 담황색의 연조직 종괴로, 수 개의 소엽

(lobule)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표면은 울퉁불퉁한 양상으로

뚜렷한 피막은 관찰되지 않았다. 검체의 단면 관찰 시, 내부에

국소적인 괴사 부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Fig. 2). 현미경

검사 결과, 종괴는 피막화 되어 있지 않고 주변 조직과의 경계

가 분명하지 않았다. 종양 조직은 대부분 투명한 세포질을

갖는 종양 세포들(clear cell)로 구성되어 있었다. 세포들은

전체적으로 시트 형태의 성장 양상(sheet-like growth

pattern)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었으나, nest 형태를 이루면서

성장하는 부분도 관찰되었다 세포는 원형에서 다각형에 이르

는 모양이었으며, 핵은 호염기성을 띠고 세포질 내에서 한쪽

으로 치우쳐 존재하였다(Fig. 3A). 세포의 유사 분열 및 핵의

다형성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종양 세포 사이에서 유리화

된 아교섬유(hyalinized collagen)로 이루어진 기질(stroma)

이 관찰되었으며(Fig. 3B), 특히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진 격벽

(fibrous septa)이 종양 세포들 사이에 명확히 존재하고 있었

다. 특수염색 결과 대부분의 종양 세포들이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에서는 양성, diastase-PAS에서는 음성

으로 나타났으며(Fig. 4), mucicarmine 염색에서도 전체적으

로 음성소견을 보였다.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는 cytokeratin

7과 p63에 양성을 보였으며, vimentin, S-100 및 smooth

muslcle actin 염색에 음성 소견을 보였다(Fig. 5).

Ⅲ. 고찰

투명세포(clear cell)가 나타나는 종양의 종류는 매우 다양

하다. 악안면 영역에서는 타액선 기원의 많은 종양들이 투명

Page 3: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 다. 특수염색 결과 대부분의 종양 세포들이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에서는 양성,

329

Fig. 3. Histopathologic examination

shows clear cells arranged in sheets (A).

Hyalinized fibrous tissue separates the

sheets of polygonal clear cells, which

have eccentrically located nuclei. Few

mitotic figures are seen (B).

Fig. 4. PAS staining results before (A)

and after (B) diastase treatment show the

presence of cytoplasmic glycogen.

Fig. 5.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Tumor cells are positive for

cytokeratin 7 (A) and p63 (B), and

negative for vimentin (C), S-100 (D) or

smooth muscle actin (E).

세포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치성 종양이나 전이 암종도 유

사한 형태의 투명세포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양들

을 감별진단 하는 것은 병리 의사들의 지속적인 관심사가 되

어 왔다. 특히, 투명세포가 관찰되는 대표적 종양인 신세포암

종(renal cell carcinoma)의 악골 전이는, 악골의 원발 병소와

항상 감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일찍이 1966년 Jacobs 등이

신세포암의 하악골로의 전이를 보고한 바 있으며5), 유사한

보고는 Quinn 등에 의해 계속되고 있다6). 악성흑색종

(malignant melanoma)의 일부도 투명세포를 포함한다. 그 중

에서도 전이성 풍선세포흑색종(metastatic balloon cell

Page 4: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 다. 특수염색 결과 대부분의 종양 세포들이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에서는 양성,

330

melanoma)은 큰 투명세포 혹은 세포질 내 과립을 함유한 종

양 세포가 특징으로, 전체 병소가 이들 세포로만 구성된 경우

도 있다. 이들 세포들은 멜라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

현미경 상에서 투명하게 관찰되나 HMB45, S-100 염색 등에

서 양성을 보여 종양 세포들이 멜라닌세포 기원임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PAS와 mucicarmine 염색에서 음성을 보여 투

명세포의 세포질 내 물질들이 당원(glycogen)이나 점액이 아

님을 알 수 있다7).

조직학적으로 투명세포를 특징으로 하면서 타액선에서 기

원하지 않는 종양들 중 악안면 영역에 나타날 수 있는 병소는

대부분 치성 종양으로 대표되는데, 석회화 상피성 치성종양

(calcifying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투명세포 치성암

종(clear cell odontogenic carcinoma) 등이 이에 해당한다8).

그러나 본 증례는 연구개에 발생한 것으로, 악골 및 치아와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치성 종양의 일종인 석회

화 상피성 치성종양과 투명세포 치성암종의 가능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타액선 기원의 종양 중 투명세포를 보이는 것으로는 점액표피

양암종(mucoepidermoid carcinoma), 선포세포암종(acinic cell

adenocarcinoma), 상피-근상피암종(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근상피암종(myoepithelial carcinoma) 등이 있다9).

점액표피양암종은 가장 흔한 대·소타액선의 악성종양이며, 대

개의 점액표피양암종에서 투명세포들은 전체 종양 세포의 10%

가량을 차지하나, 드물게는 종양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2,10). 이러한 투명세포들의 일부는 점액을 함유하고 있어

mucicarmine 염색에서 선명한 붉은 색으로 관찰된다. 투명세

포와 동시에 표피양 세포(epidermoid cell)들도 존재하는 것

이 점액표피양암종의 특징으로, 본 증례에서는 명확한 표피양

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또한 mucicarmine 염색에 투명세

포들의 세포질이 염색되지 않아 점액표피양암종을 배제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최근의 분자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투

명세포선암종에서 EWSR1-ATF1 gene fusion이 관찰된 바 있

다11). EWSR1-ATF1 fusion은 일반적으로 점액표피양암종에서

는 발견되지 않으므로, 투명세포선암종의 감별진단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반면에 점액표피양암종에서는 MECT1 과

MAML2 oncogene의 fusion이 발견되었으며12), 이는 투명세

포선암종에서 발견되지 않아 감별진단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으로 생각된다. 선포세포암종은 타액선의 선포와 유사한

분화를 보이는 악성종양으로 종양세포는 풍부한 세포질과 호

염기성 과립을 보인다. 이들은 주로 당원으로 PAS와 diastase-

PAS 염색에 모두 양성을 보이나13) 본 증례의 투명 세포들은

이에 모두 염색되지 않았으므로 선포세포암종 역시 배제될

수 있었다.

상피-근상피암종의 경우에도 투명한 세포들이 관찰되나,

이러한 투명세포들은 호산성의 입방 세포 형태로 나타나는

도관세포들을 둘러싸며 성장한다. 또한 상피-근상피암종의

투명세포들은 근상피세포성 분화를 보이며, 도관 구조가 쉽게

관찰되지 않고 투명한 세포들이 다수를 이루어도 면역조직화

학검사를 통하여 근상피세포 분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세포질의 양이 적은 일부 종양 세포들이 p63 염색

에서 양성을 보여 근상피세포와 공통점이 있었으나, 동시에

vimentin 음성을 보였고 도관 세포의 증식이 전혀 동반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상피-근상피암종을 배제할 수 있었다. 마찬

가지로 근상피암종을 구성하는 종양 세포들 역시 주로

vimentin에 양성을 보이므로 배제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투명세포선암종은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저등

급의 타액선 악성종양으로 임상적 감별은 매우 어려우나 병리

의는 항상 투명세포선암종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

다. 이 선암종은 투명한 세포질을 특징적으로 보이며 따라서

유사한 특징의 다른 암종들과 감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특수염색과 면역조직화학검사를 통해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분자병리학의 발전으로 유전자 수준에서 변이를 찾아

낼 수 있는 방법도 발견되었다.

Ⅳ. 참고문헌

1. Barnes L EJ, Reichart PA, Sidransky D: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Head and neck tumour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2. Ellis GL, Auclair PL: Atlas of Tumor Pathology: Tumors

of the Salivary Glands. Washington, DC: Armed Forces

Institute of Pathology 2008.

3. Sicurella F, Stival P, Brenna A: Clear cell carcinoma of

Page 5: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 다. 특수염색 결과 대부분의 종양 세포들이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에서는 양성,

331

minor salivary gland of the tongue. Acta

Otorhinolaryngol Ital 2004;24:157-160.

4. Milchgrub S, Gnepp DR, Vuitch F, et al: Hyalinizing clear

cell carcinoma of salivary gland. Am J Surg Pathol

1994;18:74-82.

5. Jacobs H, Ruben MP, Lyon J: Renal-cell carcinoma

metastatic to the mandible and gingiv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6;22:649-653.

6. Quinn JH, Kreller JS, Carr R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to the mandible: report of case. J Oral Surg

1981;39:130-133.

7. Mowat A, Reid R, Mackie R: Balloon Cell Metastatic

Melanoma - an Important Differential in the Diagnosis

of Clear-Cell Tumors. Histopathology 1994;24:469-472.

8. Weinreb I: Hyalinizing clear cell carcinoma of salivary

gland: a review and update. Head Neck Pathol

2013;7:20-29.

9. Rodriguez MS, Reija MF, Rodilla IG: Primary clear cell

carcinoma of parotid gland: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J Oral Maxillofac Pathol 2013;17:101-105.

10. Auclair PL, Goode RK, Ellis GL: Mucoepidermoid

carcinoma of intraoral salivary glands.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grading criteria in 143 cases. Cancer

1992;69:2021-2030.

11. Antonescu CR, Katabi N, Zhang L, et al: EWSR1-ATF1

fusion is a novel and consistent finding in hyalinizing

clear-cell carcinoma of salivary gland. Genes

Chromosomes Cancer 2011;50:559-570.

12. Martins C, Cavaco B, Tonon G, et al: A study of

MECT1-MAML2 in mucoepidermoid carcinoma and

Warthin's tumor of salivary glands. J Mol Diagn

2004;6:205-210.

13. Eversole LR: On the Differential-Diagnosis of Clear-Cell

Tumors of the Head and Neck. Oral Oncology

1993;29B:173-179.

Page 6: 연구개 소타액선에 발생한 투명세포선암종의 증례보고 · 다. 특수염색 결과 대부분의 종양 세포들이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에서는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