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2, No. 4, pp. 153~175, 2013.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 서 선 진 ** 박 경 옥 *** < 요 약 >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 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핵심어 : 교수학습과정안, 특수교사, 교수설계, 초점집단 면담 * 본 연구는 2012년 국립특수교육원 연구비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됨. ** 건양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Transcript of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Page 1: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2, No. 4, pp. 153~175, 2013.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서 선 진** ㆍ 박 경 옥***

< 요 약 >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

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ㆍ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핵심어 :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사, 교수설계, 초점집단 면담

* 본 연구는 2012년 국립특수교육원 연구비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됨.

** 건양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Page 2: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54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학교 교육에서 수업에 대한 관심은 꽤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어 왔다. 수업은 교육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상황이자 활동을 의미하고 교사의 전문성이 발휘되는 학교교육의 핵심

이다(조규진, 김도기, 김명수, 2011). 따라서 수업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교사의

주요 업무 중 으뜸이 되면서, 동시에 양질의 교육제공을 통해 높은 성과를 얻고자하는 것

이 학교 교육의 당면과제이다. 양질의 수업을 찾아서 살피고 그 수업이 갖는 특징을 이해

하는 것은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좋은 수업을 수행 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러나 수업설계

분야의 연구자들은 학생의 수업 참여를 독려하고 향상시키는 좋은 수업에 대한 한 가지

지표로써 교수ㆍ학습과정안1) 작성을 강조하고 있다(정한호, 2010; Johannessen, 2003;

Merrill, 2002; Newman, Marks, & Gamoran, 1996). 교수ㆍ학습과정안은 수업단계에

따라 수업 자료와 교수전략, 학습내용, 교육평가, 그리고 학생활동에 대한 피드백, 그리고

각 단계별로 예상되는 학생들의 활동을 체계화한 수업 설계도이다(김경희, 조연순, 2008;

장명덕, 2006; Merrill, 2002).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

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구상하고, 교실환경, 학생 수준, 매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업을 보다 짜임새 있게 구조화할 수 있다(김경희, 조연순, 2008;

장명덕, 2006; 전병운, 2011; Rowland, 1993). 따라서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은 학습

할 내용과 학생을 연결해주는 틀을 만드는 것이고, 잘 고안된 교수ㆍ학습과정안에 따라

수업을 적절히 운영하는 것은 학생이 수업에 몰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교수ㆍ학습과정안에 대한 인식은 사뭇 흥미롭다. 그간의 연구를

통해 보면 교사들은 수업을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교수ㆍ학습

의 과정으로 보고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의 중요성과 그 이점에 대한 긍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으나, 막상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과정을 어려워하고 있다(박경옥, 서선진, 오영

석, 박남수, 2012; 윤근영, 2007; 정한호, 2010; Silber, 2007). 이와 관련하여 박기용

(2009)은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위한 필수 요소로 교수설계 모형의 필요성

은 알고 있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함을 지적하였고, 정한호(2009)는 교사들이

교수설계 모형에 근거하여 수업 목표 달성을 위해 고민하기 보다는 기 작성된 동료의 교

수ㆍ학습과정안, 인터넷 자료, 교사용 지도서 등에 의존하여 일률적인 교수ㆍ학습과정안을

1) 이 연구에서는 ‘수업지도안’이나 ‘수업안’보다는 교수-학습의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교사-학생-환경

간의 동시 다발적 상호 유기성과 체계성과 시계열적인 계획서의 의미를 포함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Page 3: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55

작성하고 있다고 하였다. 교사들이 수업설계나 교수ㆍ학습과정안에 대해 이상의 실제를

보이는 것은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겠으나 교과 지도의 방법보다는 교과 지식 습득에

집중하며(조경원, 2004),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를 따라하지 않는

경향이나(Carr-Chellman, Marra, & Roberts, 2003), 교수설계를 정형화하는 것을 바람직

하지 않다고 보는 시각(Rose, 2002)과 함께 형식적인 업무로 인식(박기용, 2007; 홍은숙,

1999)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특수교육의 교수설계 과정에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수교사들 역시

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교수설계 활동이 중요함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실제 교수설계 활동의 수행이 쉽지 않음을 보고하고 있다(박경옥 외, 2012). 상당수의 특수

교사는 교수설계를 할 때 학생들의 흥미, 연령, 선호도에 맞는 활동 선정과 개별화된 교수

적 지원을 위한 학생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고, 학생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교육

목표의 설정 및 목표-활동 간 연계의 어려움으로 학생의 성취결과에 확신을 갖지 못한다고

하였다. 일반교육과 비교하여 학생 특성과 교육적 배치 등에 있어 독특한 맥락을 가지는

특수교육의 상황을 고려할 때, 이상의 어려움은 특수교사들에게 더 심각하게 다가갈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교사들이 갖는 교수ㆍ학습과정안과 관련된 경험과 인식은 좀 더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과 관련된 특수교사들의 구체적인 경

험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은 특수교육이 가진 일

반교육과의 공통점과 차별적 요인을 찾아내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요구와 관심에 걸맞은 지원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최근 이루어진 연구(박경옥 외, 2012; 서선진, 박경옥, 2012)에서 밝혀진 대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설계가 아직 장애학생이 있는 교실 수업의 맥락이나 학생 특성

을 교수ㆍ학습과정안에 제대로 표상해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이러한 요구를 뒷받침

해줄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실 수업과 관련하여 특수교사들의 교수설계 및 교수ㆍ학습과정

안 작성 경험을 질적으로 고찰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수업 전문성이 뛰어나

다고 추천받은 숙련된 특수교사들의 성찰적 진술을 통해 현장에서 인식하는 특수교육의 교수

ㆍ학습과정안이 지닌 고유한 성격과 당면과제를 알아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수교사들이 가진 교수ㆍ학습과정안 관련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구는

앞으로 특수학교(급) 교수ㆍ학습과정안의 개선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

가 될 뿐 아니라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한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자료

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련된 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특수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설계의 현황 및 당면과제는 무엇인가? 둘째, 숙련된 특수

교사들이 인식하는 효율적인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위한 개선방향은 무엇인가?

Page 4: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56

Ⅱ. 연구 방법

1. 면담대상

특수교사들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활동과 관련 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숙련

된 특수교사 7명을 목적 표집하였다. 숙련된 특수교사가 시행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기술해낼 수 있다면 예비교사 및 초임교사를 비롯하여 교수설계

에 관심이 많은 다른 경력직 교사들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으리라고 보았다(Moallem,

1998). 숙련된 특수교사의 선정 방법은 Leinharde(1990)가 제시한 7가지 준거를 적용

하였다. 현직 특수교사이면서 (1) 특수교육이나 교육학(교과교육 포함) 분야의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2) 학급관리나 학생 훈육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은 교사; (3) 적어도

7년 이상의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 (4) 동료교사나 학생들의 평판이 좋은 교사; (5) 교육

과정과 학교 조직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교사; (6) 학교장으로부터 우수한 평정을 받은

교사; 그리고 (7) 교실관찰이나 연구 수업 등에서 능력이 뛰어나다고 평가된 교사이다. 위

준거 중 5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교사를 지역교육청이나 학교 관리자 또는 동료 교사들로

부터 추천을 받아 1차로 10명의 교사를 모집하였다. 이 중에서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의사를 밝힌 숙련된 교사 7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수업

연구대회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받거나) 지역교육청에서 수업 컨설팅 교사로 수년간 활

동을 해온 교사들로, 수업 관련 연수 및 강연 경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정보는 <표 2-1>과 같다.

<표 2-1> 면담 대상자 기본 정보

기호 소속 지역 성별 교육 경력 학력

T1 특수학급, 초등 대전 여 14년 3개월 특수교육 학사, 상담심리 석사

T2 특수학교, 초등 충남 여 7년 4개월 교육학사(특수교육 복수전공)

T3 특수학급 ,초등 인천 여 18년 4개월 특수교육 학사, 석사

T4 특수학교, 초등 서울 여 22년 3개월 특수교육 학사, 석사

T5 특수학교, 중등 전북 여 26년 11개월 특수교육 학사, 석사

T6 특수학급, 초등 충남 여 18년 4개월 특수교육 학사, 석사

T7 순회학급, 중등 충남 여 17년 3개월 특수교육 학사, 석사

2. 자료 수집

숙련된 특수교사들이 공통의 경험을 가진 동료교사들과 만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Page 5: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57

관련 경험을 공유하면서 다양한 교수학습설계 사례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과 통찰력을 생성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초점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 방식을 활용하였다(Hatch,

2002).

특수교사들과의 초점집단 면담은 면담의 질문 작성 방법(Corbin & Strauss, 2008)에

근거하여 소개 및 도입질문, 전환질문, 핵심질문, 종결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소개 및 도입

질문에서는 이 연구 목적을 소개하고 면담 참여자들에게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사적 경험을 반추할 수 있게 참여자들이 준비해 온 교수ㆍ학습과정안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면담에 앞서 연구자들은 면담 참여자들의 주제 관련 맥락을 마련하기 위하여 미

리 교수ㆍ학습과정안 한 부를 가져올 것을 요청하였고, 면담 시 이를 스크린 화면에 띄워

개별적으로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정이나 주안점 등을 설명할 때 활용하거나 교사들 간

에 서로 질문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핵심질문은 4가지 연구 주제에 부합하는 질

문으로 구성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보충 질문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면담질문은 좀 덜

정형화된 반구조화된 질문의 형식을 활용하여, 참여교사들이 자유롭게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초점집단 면담의 질문은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정에 대해 일반적인 사항과 함께 특정 단위수업에 대하여 수업

계획의 과정과 수업계획 시 주안점, 수업계획 시 어려운 점 및 수업계획의 문서화 과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인 면담 질문은 <표 2-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2> 초점집단 면담의 질문 내용

내용범주 구체적인 질문

수업 계획의

과정

∙ 오늘 진행한/또는 준비해오신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수업(차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시겠습니까?

∙ 해당 수업(교사가 언급한 수업)을 계획할 때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어떤 과정을

거쳐 수업을 계획하셨나요?

∙ 수업 계획의 단계별로 어떤 세부 과정을 거치는지 설명해주시겠습니까?

수업 계획의

주안점∙ 수업을 계획하실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수업 계획의

어려운 점

∙ 해당 수업을 계획하면서 난제라고 생각하시는 것은 무엇인가요?

∙ 일상적으로 수업을 계획할 때 누군가 도움을 주었으면 좋겠다고 여기는 부분

이나 요소가 있다는 무엇일까요?

수업 계획의

문서화

∙ 단위수업을 위한 교수ㆍ학습 과정안 작성은 얼마나 자주 하시나요?

∙ 선생님의 교수ㆍ학습 과정안 작성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주시겠습니까?

∙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작성할 때 가장 공을 들이는 것은 무엇입니까?

∙ 교수ㆍ학습 과정안 작성 과정에서 어려운 점은 무엇일까요?

Page 6: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58

3. 연구 절차

1) 초점 집단 면담 실시

면담은 다양한 지역에서 온 교사들이 접근하기 편리한 역사 주변 회의실에 모여 총 2회

에 걸쳐 이루어졌고, 모든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진행하였다. 면담별 평균 시간은 약 2

시간이었다. 면담장소에는 교사와 연구자들이 서로를 바라볼 수 있도록 원형으로 자리를

배치하였고 참여자들의 목소리가 잘 들릴 수 있는 곳에 2대의 녹음기를 설치하였다. 자연

스러운 면담 진행을 위해 간단한 다과를 준비했다.

연구자 1인이 면담의 주 사회자로서 진행을 맡았고, 면담에 들어가기 전에 참여자들에

게 본 연구의 목적과 면담의 필요성 및 면담 실시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

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에게 면담에서 제공된 정보나 의견은 연구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

지 않을 것임을 밝히고, 면담 녹음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 녹음을 실시하였다. 면담과정은

연구자가 준비한 반구조화된 질문에 의거하여 참여 교사들이 자연스럽게 교수ㆍ학습과정

안 작성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가능한 한 참여

교사들 간에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이 유지될 수 있도록 면담의 흐름을 이끌었고, 교사들의

답변에 상세화된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에 확인 질문(probe questions)을 통해 구체적인

정보를 얻었다.

면담이 끝나고 연구자는 면담 시 언급되었던 내용 중 주요 내용을 종합ㆍ정리하고 그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였으며, 이후에 참여자들에게 추가할 내용들이 있는지를 물어보고

최종 의견을 수렴하였다. 녹음을 진행하기 전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면담자 정보(이름,

나이, 근무지, 경력, 교수ㆍ학습 관련 경험 기술 등)를 간략하게 파악할 수 있는 면담자

정보 기록지에 자신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2) 전사

면담자료의 전사는 일차로 전사 경력이 풍부한 특수교육과 학부 출신 졸업생 1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후 연구자 2인이 개별적으로 녹음된 면담 파일을 들으면서 전사본의 내용

과 표현, 화자 등을 확인하였으며, 추가 점검이 필요한 부분은 연구자들이 함께 확인하고

수정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연구자는 면담 진행 과정에서 기록했던 면담 내용이나 관련

메모 등을 함께 참고하였다.

이후 참여자 확인(member check)을 위해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에게 면담 전사본을

이메일로 발송하였고, 이 중 1인의 교사가 일부 내용의 삭제를 요청한 부분이 있어 이를

반영, 최종 전사본을 완성하였다. 최종 전사본은 A4 용지 52쪽 분량으로, 총 1827줄이다.

Page 7: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59

3) 자료 분석

완성된 전사본을 토대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안한 지속적 비교 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사용하여 면담을 통해 얻어진 정보의 범주를 만들고 범주간의 연

결성을 찾아 주제를 이끌어냈다. 먼저 면담에 참여하였던 두 명의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개방형 코딩을 실시하였고, 여러 차례 코드 간의 연속적인 비교를 통해 범주를 구성하였다.

이후 연구자들이 개별적으로 작업한 내용을 교차 분석하고 의미를 도출ㆍ합의하는 과정을

거쳐 코딩과정에서 추출된 대주제와 하위주제 간의 관계를 재정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개의 대주제와 6개의 중주제, 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표 3-1>에 요약하였다.

4) 질적 검증을 위한 노력

면담 과정 및 자료 분석의 질적 검증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첫째, 면담용

질문이 교사들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경험을 이끌어내는데 적합한지를 검증 받기 위해

오랜 기간 관련 분야의 연구를 해온 특수교육과 교수 2인에게 검토를 의뢰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와의 충분한 관계형성을 위하여 면담이 시작되기 전 해당 교사들과 수업에 대한

이야기를 할 기회를 마련했었고, 교사들이 자신의 경험을 자연스럽게 풀어낼 수 있도록

충분한 면담 시간과 편안한 환경 등을 준비하였다. 셋째, 모든 면담자료는 완전 전사를 하

였으며, 현장기록과 오디오 자료를 비교 검토하는 과정을 거쳤다. 면담내용에 대한 객관적

이고 일관성 있는 관점을 확인하기 위해 총 6회의 연구자 협의회를 통해 전체 부호화 과정

을 함께 진행하였다. 넷째, 참여교사들의 의견을 명확히 전달하고 그들이 의견이 온전히 반영

될 수 있도록 전사 기록 및 연구 결과를 연구 참여자들에게 점검하는 확인과정(member

check)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자료 수집 및 분석의 모든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 연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감사 자료(audit trail)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분석의 엄격성을 높였다.

Ⅲ. 연구 결과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어떤 경험과 인식을 하고 있

었는지를 정리해보면 크게 2가지의 대주제, 6가지 중주제로 나눌 수 있다<표 3-1 참조>.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수업간의 괴리와 교수설계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고, 교수ㆍ학습과정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함을

아쉽게 생각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

Page 8: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60

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

함을 강조하였다. 면담을 통해 도출된 주제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표 3-1> 면담자료 분석에 따른 주제

대주제 중주제 소주제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

정안의 당면

과제

일상 수업과 보여주는

수업 간의 괴리

정신적 표상 수준의 일상적인 수업계획

특별행사와 같은 보여주기에 초점을 맞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흐름과 맥이 없는 분절적

인 교수설계

연간교육계획과는 무관한 제재를 선택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작성

다른 수업관련 자료와의 연계 미흡과 목표-활동간 통일성의 부족

특수하지 않은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정안

일반교육과의 차별성이 드러나지 않은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정안의 형식과 내용

특수교육 배치가 고려되지 않은 차별성 없는 교수설계

교사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지식, 경험 및 지원의 부족

교수설계에 대한 교사의 낮은 자기 효능감

지원 없이 교사 개인의 역량에만 의존하는 교수설계의 부담감

특수교육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ㆍ학습과

정안의 개선

방향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경험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경험을 통한 교사 개인의 역량 강화

교수설계 관련 경험 공유 및 수업 컨설팅 지원의 필요성

특수교육적 맥락을 잘 반영

할 수 있는 교수설계 논의

확대

특수교육적 특성이 반영된 교수ㆍ학습과정안 및 교수설계 기준 개발의 필요성

1. 특수교육 교수설계의 당면 과제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교수설계가 이루어지고 있긴 하나 그 실행과정에서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을 언급하였다.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수

업이나 공개수업 간의 괴리와 연속성을 갖기 보다는 연 단위의 분절적인 수업설계, 그 형

식과 내용면에서 일반교육의 틀에 의존하고 있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면,

그리고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지식, 경험, 지원의 부족을 당면 과제로 꼽았다.

1) 일상 수업과 보여주는 수업 간의 괴리

Page 9: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61

(1) 정신적 표상 수준의 일상적인 수업 계획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매일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하면서 구체적인 계획서의 형태로 교

수설계의 내용을 남기기보다는 정신적인 표상(mental representation)의 수준에서 수업

을 계획한다고 보고하였다. 대개 학급 수준의 교육내용을 결정하면서 연간계획, 월간계획

및 주간계획서까지는 작성하고 있으나 개별 차시는 별도의 문서작업 없이 교사의 머릿속

에서 수업의 내용 및 활동을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 것인지에 대하여 구상

하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아마도 고백하건데 선생님들이 단위수업 한 시간, 한 시간을 하면서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준비해

서, 여기에서 준비라는 것은 서류상의 준비에요. 그렇게 준비해서 수업을 준비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고요. 그나마 머릿속에서 구상을 해서 매일매일 머릿속에나마 수업을 계획한

다면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고요.” (T7)

“저는 오늘 나가서 무엇을 할까를 계획을 할 때 그냥 한 시간 수업을 위한 지도안2)은 안 해요.

아니 못해요. …(중략)… 목표를 분명하게 지도안을 작성하지는 않지만, 그냥 주안에 학습 목표와

활동 내용만큼은 기술할 수 있는 정도로 하죠. 주안에 기술할 수 있는 수준으로 써 넣으면서 ‘아,

오늘 이거 해야지’ 하는 정도에서 출발을 하거든요.” (T4)

(2) 특별행사와 같은 보여주기에 초점을 맞춘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매일 이루어지는 수업은 주로 정신적 표상의 수준에서 계획하고,

보통 교내 공개수업이나 수업실기대회와 같은 일명 행사로서의 수업을 준비할 때 비로소

구체적인 계획을 담은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 때 교사들 스스로

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수업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수업이고, 이는 일상적인

수업과는 별개인 교사 활동 중 특별한 무언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작성하는] 기회는 공개수업 아니면 잘 하지 않지 않지요. 지도안을 평소 수

업에서는 짜지는 않게 되거든요. 매번 지도안을 어떻게 짜겠어요! 저희도 주안 정도만 짜지. 그런

데 무언가 [특별한 수업]를 해야겠다고 하면 달라져요. 지도안을 짜는 거랑. 수업을 어떻게 풀어

가야겠다는 고민을 더 하지요. 평소 수업과 지도안을 짜는 수업하고는 다르니까요.” (T2)

“제가 속한 ○○교육지원청 같은 경우는 4~5년 전부터 특수교사 공개수업이나 수업실기대회 같은

붐이랄까요? 장학사님이 압박을 많이 해서 특수교사들이 수업공개를 해야 되고, 수업실기대회를

2)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사용하고 있으나, 면담 발췌문에는 해당 교사가 사용한 표현

을 그대로 살려 ‘지도안’, ‘과정안’, ‘수업안’ 등이 혼용되고 있다.

Page 10: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62

나가야 하고, 수업 연구를 해야 되고. 뭐 그런 분위기가 이루어졌는데. 아무래도 공개하는 수업이

고 보여주는 수업이면 저희가 생활하는 수업과 조금 차원이 다르잖아요. 교수ㆍ학습과정안은 다른

무언가를 위한 준비지요.” (T3)

2) 흐름과 맥이 없는 분절적인 교수설계

(1) 연간교육계획과는 무관한 제재 선택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작성

앞서 언급했던 대로 교수ㆍ학습과정안은 특별하게 준비하는 수업을 위해 작성하므로 교육

과정, 진도표와 같은 문서와는 무관하게 제재나 내용이 선택되고 계획되는 사례가 많음을

지적하였다. 연간ㆍ주간 지도계획에 맞춰 진행하기보다는 교사가 자신 있는 주제나 학생

흥미 중심의 활동이 계획됨으로써 수업 연계성을 고려하지 못하거나 본래 수업 목적이 훼손

되는 상황을 개탄하였다.

“제 수업인데요. 사실 아이들 IEP 보고 교육목표를 정하고 단원을 정해서 이 제재가 나온 것이 아

니라 제가 저 활동을 좋아해서 매년 써먹고 하는데, 제가 제일 잘하는 것이니까, 애들이 좋아하는

거니까, 이걸 어디에 끼워 맞춰 볼까 하고 단원을 찾아서 하고 일반교육과정을 수정하고 개별화교육

계획에 끼워 맞춰서 나온 계획이에요.” (T3)

“수업공개를 하고 하면 많이 참관도 해야 하잖아요. 이럴 때 선생님 진도나 이런걸 보면 너무나

자기 취향으로 뽑아서 “짠”하고 보이기 쉬운(활동으로 준비하게 되고) 교육과정 무시, 진도표 무시

이렇게 수업하는 경우도 참 많아요. 이건 참 많이 부끄럽고 반성해야할 부분이라 생각해요.” (T7)

(2) 다른 수업관련 자료와의 미흡한 연계와 목표-활동간 통일성의 부족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수업을 계획할 때 장애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에 대해서 보고하고 있으나 막상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상황에서는 다른 주요 특수교육이나 수업 관련 자료와는 무관한 경우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고 하였다. 특히 일부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의 경우 교육과정이나 개별화교육

계획이 교수설계와는 잘 연계되지 않는 사례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생이나 저경력자들과 이야기 할 때 무엇이 제일 문제냐 하면 이걸 (수업활동) 왜하는지, 목표가

없는 거예요. …(중략)… 선생님들이 많이 질문하는 것이 몇 차시로 할지예요. 교육과정으로 돌아가서

이 과목이 주당 몇 시간인지 확인하도록 하지요. 근데 교육과정을 전혀 보지 않은 상태에서 연간[교육

계획]을 짜지 않는데 그냥 주제 학습식으로, 통합교과로 미화되어서, 이게 맥이 없는 거예요.” (T4)

“이게 현장에서 느끼다보면 IEP와 [교수ㆍ학습]과정안이 또 다른 한 장의 문서로만 존재할 뿐, 이게

Page 11: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63

이렇게 교육과정에 녹아서 뭔가는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자괴감이 들었었거든요.” (T2)

3) 특수하지 않은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정안

(1) 일반교육의 교수ㆍ학습과정안과 차별성이 드러나지 않은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과 내용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정안은 일반교육과 달라야한다고 강하게 주장하였다.

특수교육에서 행해지는 수업 설계는 일반교육과는 그 대상이나 내용,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그 차이가 반영되는 것이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의 교수ㆍ학습과정안에

일반교육과의 차별성이 부각되지 않음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지도안을 짤 때 교과의 특성이 드러나야 하고 그다음에 특수교육을 하는 입장이니, 지체장애학생

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안의 특성이 드러나는 건가? 아니면 정신지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거면 그

런 특성을 여기서 충분히 드러내고 있는가? 그것을 고려해서 여기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가?

이런 것을 보게 되는 거잖아요. 그래서 장애유형, 정도 이런 걸 여기 안에 녹여 내는 것, 그리고

교과의 특성까지 같이 살려 내야 하는 것, 장애유형을 고려하다보면 이게 국어, 사회 같기도 하고

어떤 날은 실과 같기도 하고 그래서 교과의 특성이 드러나지 않다는, 이런 평가를 받게 되잖아요.

그래서 그런 것들 과정안을 짜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이 있었고.” (T4)

“이번에 일반학교에서 계시던 교장선생님이 와서 수업협의회에 들어와서 하시는 말씀을 듣다보니

까 너무 설명식이다, 강의식수업이다, 근데 저희는 말을 할 수 있는 얘가 한명도 없는 거예요. 근

데 제가 틀에 맞추면 아이들에게 질문을 던져놓고 기다려줘야 되고 이론적 밑바탕이 있잖아요. 근

데 기다린다고 해도 나올 수 있는 대답은 아니고 하다보니까. 일반 초등학급 수업평가 모형이 정

말 잘 되어 있거든요. 저희는 그걸 조금 따와서 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아이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수업을 하고 나서 내 자신이 평가 할 수 있는 것 내가 속으로 느끼는 것 말고 직접 느낄 수 있는

게 특수에 맞게 있었으면 좋겠다. 있긴 있어요. 잘 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이들하고 상호작용이

다를 수가 있잖아요. 저희가 할 수 있는 것들이 변형되어 규격화라고 할지는 모르겠지만요.” (T2)

“지도안에 의사소통 촉진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지도전략을 넣었거든요. 그게 그냥 구체적으로

이랬을 때 아이별로 상황별로 작성한 건 아니고 그냥 일반적인 수준에서 작성을 했어요. 그런데

그걸 지도안에 포함했을 때 수업을 보는 사람들은 아! 이 학생들에게 어떤 문제행동이 돌발될 수

가 있고 의사소통에 상당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을 나타냈구나 생각을 할 수가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기본적인 거지만 지도안에 우리는 특수교육설계에 있어서는 그런 부분이 언급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고요. 그것이 우리의 특수성이지 않나요?” (T3)

Page 12: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64

(2) 특수교육 배치가 고려되지 않은 차별성 없는 교수설계

특수교사들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의 차이를 지적하고 이것이 교

수설계에도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의 주요 서비스 제공

환경 즉,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맥락이 다름에 대해 인식하고 이것이 수업설계에도 반영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라는 환경이 학생의 구성 및 특성의 차이 뿐

아니라 교사의 수업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 인적자원과 활용 가능한 교수적 자원의 규모나

범위, 가용 한도도 차이가 있다는 점이 특수교육 내부에서도 차별화된 교수ㆍ학습과정안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피력하고 있다.

“제가 특수학교에 오래 있다가 특수학급에 나와 보니까요, 조금 수업이 지도안이나 수업모형이 좀

달라야 되지 않나 그런 생각을 했었는데 너무 다 특수학교(에서) 전체 수업을 하는 수업지도안이

더라고요. 특수학급에서 수업을 하더라도 제가 여러 날아다니는 지도안들을 모아 봐도 이거 가지

고 우리가 특수학급에서 평상시 수업을 할 수 있나 싶을 정도로 그래서 좀 우리가 특수학급 애들

을 개별 지도안을 즉, 잘된 지도안이나 아니면 개발을 해서 그거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를 해보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T6)

4) 교사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지식, 경험 및 지원의 부족

(1)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교사의 낮은 자기 효능감

특수교사들은 교사 양성과정이나 이때까지의 직무 연수 과정에서도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과 관련된 실제적인 사항에 대해 배운 적이 거의 없다고 하였다. 보통 이전에 작성된 교수ㆍ학습과정안을 통해 그리고 본인 또는 다른 동료교사들이 전해준 체험적 노하우에 의존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지식과 경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

약화는 특수교사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자신감을 저하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교육 장학사님 주도하에서 이루어지면서 일반적인 수업계획과 양식에 기초한 공개수업 쪽으로

많이 흘러 왔거든요. 물론 거기서 배운 것도 많아요. 그리고 일반교육 [교수ㆍ학습과정안] 내용에도

어느 정도 각론은 있겠다 싶은데, 점점 내 생활로서의 수업으로서는 거리가 멀어진다는 생각이 드는

거예요. 아직도 교육과정은 오리무중이고 막상 내일 수업 뭐하지 다음 주 수업 뭐하지 어떻게 챙겨

가지고 어떻게 수업해야할지는 정말 준비성도 부족하고 헷갈리고 자신도 없는 부분인데…” (T1)

“초임이나 저경력 선생님들은 수업계획을 어떻게 하는지 그 과정을 되게 궁금해 하거든요. 결과물

[교수ㆍ학습과정안]은 잘 짰다고 하긴 하지만 그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이 사람들은 죽을 것 같아요.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해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 또 여기서는 뭘 봐야하는지 모르겠

다고 해요.” (T4)

Page 13: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65

(2) 지원 없이 교사 개인의 역량에만 의존하는 교수설계의 부담감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분야가 일반교육처럼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참고할만한 자료가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의 공유가 잘 되어 있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였다. 특수교사들은 수업 계획을 잘 세우고 싶지만, 융통성의

원리라는 미명하에 별다른 지원 없이 교사에게만 과도하게 부과된 책무성이 부담스럽다고

지적하였다.

“교수설계를 할 때 처음 하는 게 단원분석이잖아요. 내가 가르쳐야할 단원을 내가 정확하게 파악

하고 분석하고 어떻게 요리할 것인지 단원을 분석하는 게 어려운데, 저는 이것을 작성하면서 어려

웠던 게 대상학생을 고려하면서 단원을 분석하는 것, 소스가 별로 없더라고요. 예를 들면 선생님들

도 단원의 개관을 적어보셨을 텐데 교재관, 학생관, 지도관 이런 거 작성할 때 소스가 없다는 것,

그래서 난 이런 소스를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일반 선생님들은 단원 분석을 할 때

교사용 지도서보면 너무 자세하게 나오거든요. 그리고 일반 선생님들은 한학기동안 내가 뭘 가르

쳐야 하는지 시기별로 단원별로 나와 있어요. 그래서 그 소스가 너무 많기 때문에 별로 문제가 없

는데, 우리는 소스가 없어요. 그래서 이거를 내 머리를 쥐어짜거나 내가 알고 있는 다른데서 가져

와야 하거나 그래서 이게 사실 말잔치인데 혼자서 하기 어렵다는 거죠.” (T3)

“어제 교생실습을 다녀온 대학생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어요. 선배 현장교사로서 무엇이 실습에서

제일 어려웠냐고 물어 봤었거든요. 그랬더니 특수학급에 나갔던 학생이었었는데, 학생 수준이 너무

천차만별이었다. 그래서 수준을 조절해서 수준별 자료를 제작해서 수업하는 게 정말 어려웠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그 부분을 100% 공감한다, 이런 것들이 다 일반 교육에서는 너무나 많은

자료들이 나와 있는데, 특수학교 특수교사들은 우리 교사들의 몫이잖아요. 그리고 교사가 재구성해서

사용하라 이런 문구를 너무나 많이 쓰죠. 우린 연수를 받아도 여전히 우리 교사 몫이에요.” (T5)

2. 특수교육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지원 방안

1)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경험을 통한 교수 전문성의 신장

(1)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통한 교사 개인 역량의 강화

특수교사들은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하여 대체로 두려움이나 자신감 없음, 혹은

어려운 과정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막상 제대로 고민한 수업설계의 과정을 거치

고 나면 자신이 교사로서의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정신적인 표상 수준을

넘어 보다 가시적인 형태의 교수설계 및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을 통해 일련의 수업 과정에

대해 깊이 탐구하게 되고, 자료를 찾으며 고민하고 주변의 조언을 구하는 등 교수설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와 성과물을 가지게 됨을 언급하였다.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Page 14: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66

보다 많은 특수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을 보다 자주 작성하는 경험을 통해 교수 전문

성을 신장시키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저는 왜 이렇게 교장선생님들이 세안을 짜봐야 하나 얘기를 하셔서 왜 그럴까 생각을 했어요.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그냥 잘됐든 잘 못됐든 수업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되는 거

예요. 이게 맞는지 틀리는지 다른 선생님에게 한번 물어보게 되고 그래서 내용보다는 그런 과정에서

많은 도움이 됐던 거 같아요.” (T6)

“예전에 실천특수교육을 다시 재발행하면서 그 담당자가 선생님들이 제일 원하는 게 뭘까 고민을

하면서 얘기를 했을 때, 제게 지도안을 줘라, [교사들에게] 지도안을 제시해주는 게 좋다. 그때 제

가 필요했던 거 같아요. 지도안을 제시해주면 선생님들도 보고 할게 있지 않겠냐, 굉장히 허접하나

그래도 매달 한 차시 분의 지도안을 썼어요. 그래도 볼게 있지 않을까 1년을 했어요. 그게 정말

부담스럽기도 했지만 그것을 쓰다보니까 이거 맨날 해야겠구나 생각은 정말 많이 들었거든요.…(중략)… 그런데 이게 왜 필요하느냐 얘기할 수도 있고. 한 차시 분이 되게 중요한데 매일매일 보

여주는 수업 지도안이 아니라 매일매일 수업이 중요한 거지, 굳이 이렇게 형식화해서 할 필요가

있느냐, 꼭 보여주는 수업해야하냐 …(중략)… 근데 저는 반대로 내가 화려하게 수업을 한번 해봤

더니 그 다음 수업은 조금 나아지더라고요. 그게 있어요. 아이디어를 고민 고민해서 하다 보니 조금

나아지는 거예요.” (T4)

“연습이 돼 있어도 한번 짜고 나면 성장하는 그런 느낌은 있는 것 같아요. 분명 그건 있는 건 같

아요. 매 수업을 짜지는 못해도, 1년에 사실 공개수업을 연 4회 정도 기본적으로 하게 되어있는데

그게 참 부담스럽기도 하지만, 그게 생기고 나서 많이 배워요.” (T2)

“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후배교사들한테 우리가 인생을 살 때 목표의식을 갖고 사는 사람들하고

아무 생각 없이 사는 사람들하고 삶의 질이 다르다. 그것처럼 우리가 수업을 할 때 뭔가 계획한

틀을 가지고 수업을 한 사람하고 그렇지 않는 사람의 수업의 질은 정말 달라질 것이다. 약안은 정말

간단하잖아요. 한 장 뽑아서 그죠? 그렇게라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구요.” (T7)

(2) 교수설계 관련 경험 공유 및 수업 컨설팅 지원의 필요성

교수설계와 관련하여 교사들은 자신이 충분한 지식이나 경험을 가지지 못함에 대해 언급

하며 교수설계와 관련된 교사연수나 컨설팅 등의 지원이 절실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수

설계에 대한 지원으로, 교사들이 교수설계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재교

구에 쉽게 접근하고 다양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장(場)이 마련되어야 하고, 질 높은

수업을 전개할 수 있는 수업 컨설팅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수업 교수설계 과정에 대해서 매뉴얼화 된 지도안도 좋은데요. 혹시 여유가 되면 수업모형하고도

Page 15: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67

연관되는 얘기일 것 같아요. 모형에서 역할극 모형이 있고 그렇듯이, 만약에 역할극 활동이 국어,

도덕 등 여러 상황에 쓰일 수가 있잖아요. 그런 어떤 대표적인 활동이나 놀이 같은 것이 이러한

수업에 이렇게 사용되면 좋다는 간단한 코멘트나 팁만이라도 주어질 수 있으면 수업 초심자 선생님

들한테 교수설계 할 때 많은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큰 힘이 되지는 않을 까 생각이 들었거든요.” (T4)

“수업을 할 때에는 교수적 수정 쪽에 많은 고민을 하는데 정작 수업할 때 저의 수업이 놓치는 부분

이 아이들의 문제행동인 도발적인 행동이 나타났을 때 그 부분을 중재하는 것이(것인데), 정말로

이건 경력이 쌓인다고 해도 모법답안이 쌓이는 것 같지 않아서 이게 문제행동 유형별로 거기에 적

절한 것들이 교수적 수정하고 융합돼서 그런 샘플 등을 다양하게 제시해 주면 현장 선생님들한테

그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했어요.” (T1)

“소소하게 우리끼리는 많은 자료를 제작하고 있고 산발적으로 많이 모아져 있어요. 근데 이걸 서로

쿨하게 개방하고 공유하는 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부끄러워서 못 내놔 하지 말고 그냥 나 부족하

지만 나중엔 더 잘 할거야 하고 말이죠.” (T5)

2) 특수교육의 맥락을 반영한 교수설계 연구 및 지원의 확대

(1) 특수교육 특성이 반영된 교수ㆍ학습과정안 및 교수설계 기준 개발의 필요성

특수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특수교육만의 독특한

요소가 있으며 그 요소가 교수ㆍ학습과정안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일반교육의

교수설계와는 달리 특수교육에서는 다양한 학생 수준이 있음이 교수설계에 반영되어야 하

고, 장애학생들을 교육하는데 필요한 문제행동 관리기법이나 의사소통 방법, 교수적 수정

방법, 보조인력 활용계획 등에 대한 언급 등이 특수교육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요

소로 언급되었다. 즉, 특수교사들은 일반교육의 보편성 안에서 특수교육적 특성이 반영된

교수설계 및 교수ㆍ학습과정안 기준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일반교육하고 우리[특수교육]는 함께 가야하는 될 그런 상황이고 그 속에서 우리들만의 특수성을

찾으려면 그게 교수ㆍ학습 과정안에 나타나는 부분이 학습목표인 것 같고요. 학습목표는 저는(제가)

가장 많이 (시간)소요(를) 하는 부분하고, 관심 있는 부분을 교수적 수정 쪽으로 체크를 했어요.

그런 것들이 수준별 지도내용에 녹아들어가야 되는 부분들인 것 같아서 그런 부분들에 대한 자료

들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요.” (T6)

“학교에서 수업 계획안 틀을 만들자고 할 때, 교감선생님께서 보조원 활용을 넣자고 하시더라고요.

그냥 한 아이의 옆에 붙어서 뭔가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보조원이 수업에 어떻게 참여해서 어떤 도움을

줄지에 대한 것도 고려해서 넣어주었으면 좋겠다고 하시더라고요. 이번에 저도 배웠어요.” (T4)

Page 16: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68

교사들은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교수ㆍ학습의 설계를 잘하기

위한 과정의 충실성과 함께 어떠한 교수설계가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고 보았다. 교수설계와 교수ㆍ학습 과정안과 관련된 평가기준이나 바람직한 수업 모형과

활동 형태, 또는 수업 내용에 대한 다양한 예시를 제시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공개

수업이나 수업심사대회를 대비한 세안만 지역교육청 교수-학습 지원센터에 공개하고 있

는데, 이벤트 형태의 교수ㆍ학습과정안만을 공개 대상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매일의 수업

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약안이나 연간, 월간, 주간 형태의 수업 계획서 등의

학급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예시를 포함한 교수ㆍ학습지원 매뉴얼의 개발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한 것이 그래도 우리가 물론 형식에 얽매여서 정말 본질적인 걸 놓

쳐서는 안 되지만 저는 형식과 내용은 함께 균형감 있게 가야 된다는 생각이 들고요. 그래도 뭔가

모범적인 (수업)안을 주는 건 중요하게 생각이 되고 개개의 학습 모형별로 학습모형에 적합한 교과,

그 교과에 적합한 교수설계 과정을 이렇게 여러 가지 제시를 해주면 선생님들이 비슷한 주제를 뽑아

쓰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 (T1)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짤 때에도 가수준, 나수준, 다수준을 나누는 것처럼 이러한 대단한 수업안도

있지만 우리가 평상시에 쓸 수 있는 약안은 이런 거다 수준별로 제시를 해줘야지, …(중략)… 수업

안이 정석이 있는 건 아니잖아요. 매뉴얼이지만 소재나 제재에 따라서 필요한 것을 취사선택을 할

수 있는 그런 것도 필요하다는 것도 알려줘야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T3)

Ⅳ. 논의 및 결론

숙련된 특수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

았더니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주제로 정리될 수 있다. 특수교육 현장의 교수설계 과정에

서 당면한 문제는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수업간의 괴리와

교수설계의 분절성 문제, 특수교육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교수ㆍ학습과정안의 형식이나

내용, 그리고 교사의 관련 지식, 경험 및 지원의 부족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수교사

들의 수업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강력한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 및 교수설계에 대한 지

원과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연구와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

방향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Page 17: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69

1.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 교수설계에 대한 논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수업은 매일 이루어지는 중요한 사태임에는 이견이 없으나, 그 계획

서인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것은 교사들에게 번거로운 업무로 인식되고 있다. 이

는 일반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과도 유사하지만(정한호,

2010; 조경원, 2004), 양질의 특수교육을 위한 수업 운영의 주요 과정으로서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것은 장애학생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한다는 차원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수업은 학습자와 교수ㆍ학습 자료, 인적ㆍ물적 환경 등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요소들이 관여되어 있고, 이 요소들을 교사가 총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관리했을

때 목표한 바를 성취하기에 유리하다(Wong & Wong, 2009). 수업이 이루어지기 전, 이러

한 요소들을 교사가 어떻게 배치하고 운용할 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구체적인 계획

없이는 학생이 학습목표를 성취한다는 것은 우연에 가까운 일이 된다. 특히 일반교육이

가지는 보편성과 특수성이 동시에 강조되는 특수교육에서의 수업은 개별학생이 가지는 교

육적 요구와 특성은 개별학생의 수만큼 이질적이다. 예기치 않은 문제행동 등이 발생할

수 있는 특수교육의 환경에서 이들의 학습 요구와 행동관리에 대해 철저하게 준비되지 않은

수업은 장애학생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물론 교사가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한다고 해서 반드시 양질의 교육으로 이어지

는 것은 아니지만, 수업 계획서인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것은 교사가 수업이라는

실체 자체를 고민하고 의도한 바를 성취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교사가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동안 교육내용 및 학생 요구와 특성을 고려한 여러

가지 교수 방법 및 전략을 고안하고 환경을 치밀하게 구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조규진 외, 2011; Rose, 2002;

Wong & Wong, 2009). 따라서 교수ㆍ학습과정안 자체가 목적이 되기보다는 교사가 수

업 계획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 과정을 성찰하고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그 과정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이 자연스럽게 완성될 수 있다.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

정안 작성을 번거로운 과제로 인식하는 주된 이유는 ‘그 구성요소 또는 형식이 복잡하기

때문’이라는 한 가지 이유로 언급되는데, 형식을 채우는 것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닌 구성

요소를 통해 수업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으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

집중해야 한다(조용개, 신재한 2011).

학습 목표의 성취와 철저한 수업 준비는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을 살펴본 연구에

서 공통적으로 드러난 좋은 수업의 요소 중 하나다(예: 김경옥, 임경원, 2012; 조규진,

외, 2011; 장승희, 2012). 교사는 인지하고 있는 좋은 수업의 특징을 학생이 수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가르치기 위한 내용과 활동으로 구성된 수업이

Page 18: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70

라고 하였다. 이는 직접적인 교수ㆍ학습의 활동을 제대로 운용하는데 필요한 여러 요인들을

잘 조정하고 구조화하는 치밀한 작업을 밑바탕에 두어야 함을 알고 있다는 의미다. 좋은

수업을 위한 철저한 수업계획의 증거는 바로 짜임새가 견고하고 이루고자 하는 바가 분명한

교수ㆍ학습과정안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잘 짜여진 교수ㆍ학습

과정안에 따라 이루어진 수업은 좋은 수업의 요소를 갖추고 있을 것으로 자주 언급되며, 교사

와 학생 모두가 만족하는 수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한층 높여준다(Brophy, 1999).

또한 철저한 수업 준비를 위해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것은 교과지식과 함께 교

수능력, 학생 및 학급 관리 능력 등 교사가 지닌 능력의 총합이라는 점에서(김승호,

2011; 박홍희, 2009),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은 그 과정 자체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교사의 일 자체가 복잡하고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교사 전문성의 정의를 명확히 규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하

더라도, 교사가 교육업무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자질, 능력,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아우르

는 개념으로 교사로서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강현영, 이

동환, 고은성, 2012; Shulman, 1986). 교사가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것은 실제적

인 상황(수업)에 대한 문제해결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 교사의 끊임없는 노력과

깊이 있는 자기성찰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노력과 성찰로 교사가 매번 원하는 바를 성취

하는 것은 아니지만, 숙련된 특수교사들이 언급한대로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여러 번 작성

해 본 경험은 결과적으로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갈고 닦으려는 과정으로 이어졌고, 이를

통해 특수교사로서의 수업 전문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교사의 수업 전문성

은 교사 자신의 자발적인 노력이 없이는 쉽게 성장하기 어렵다(박홍희, 2009). 교사가 교

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정에서 파생되는 도전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수업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하고, 관련 지식을 탐색하며 충분히 숙고하여

적용한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교사가 이러한 수업 전문성을 작추기 위해서는

우선 교수ㆍ학습과정안 뿐 아니라 교수설계 전반에 대해 교사가 가질 수 있는 다소 부정

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이 교사에게 부담되는 업무

가 아닌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과정으로 인지하고, 그 과정에 도전할

수 있는 의지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이 단발적으로 이루어지고 특수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에 자신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완성하는 과정이

특수교사에게 그리 익숙하지 않은 혹은 쉽지 않은 과제로 인지되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이렇게 특수교사가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는 것에 낮은 자기 효능감을 보이는 것은

교사들이 교수설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는 있으나 실제 중요하게 여기는 만큼 실행하지

못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박기용, 2007; 2010; 박경옥 외, 2012)와도 일맥상통한다. 특수

Page 19: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71

교사들은 교수설계의 실행이 잘 되지 않는 주된 이유로 다른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과 지

식 및 경험의 부족을 들었는데, 이는 특수교사가 교수설계 및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접근을 하지 못할 수 있음을 반증해준다. 또한 특수교사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적

극적인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숙련된 특수교사들의 보고와도 그 맥락을 공유할 수 있다.

의외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우수한 교수ㆍ학습과정안의 공유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필요한 관련 자료의 개발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박경옥 외, 2012). 특수교사들이 교수

설계 및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해 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이 부족

하다고 여기는 교육과정 및 교수ㆍ학습 관련 자료를 좀 더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교수설계

와 관련된 경험을 더 많이 가질 수 있는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지원이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교육청이나 국가 수준에서 특수교사들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자료의 수집과 보급, 실제적인 수업장학을 위한 지역적ㆍ인적 네트워

크의 구축, 교사들 간에 교수설계에 대한 경험적 노하우의 공유 및 확산 등이 교수설계에

대한 교사의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수업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현실적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행해지는 교사들의 교수설계 및 교수ㆍ학습과정안 관련 경험을 개선

하기 위한 좀 더 구체화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우선 학교 및 교육청 수준에서 특수교

사들의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특수교육의 교실

에서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수업 설계 및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예비 교사 양성 과정이나 대학교육에서의 수업능력 강화, 실질적인 내용을 담은 현직 교

사를 위한 직무 연수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해야 할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교수ㆍ학습과

정안을 작성하는 경험은 교사의 수업관련 역량을 높여줄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되므로(김승

호, 2011; 홍재영, 2012), 이 기회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해주는 것은 교사의

높은 자기 효능감을 넘어 교수 전문가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우수한 수업은 교육의 성과와 직결되고(Shulman, 1986), 우수한 수업은 수업 전문성이

높은 교사에 의해 이루어짐을 생각할 때, 교사가 수업 전문성을 발전시켜 가도록 지원해

주는 것은 교사 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할 것이다. 수업 전문성이 교사 개인의 의지에 따

라 시작되고, 유지될 수 있다고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기반이 조성되지

않을 경우, 그 의지와 노력이 쉽게 희석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교수설계와 관

련한 실질적인 지원시스템으로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위한 수업 전문가 워크숍과 같은

형태의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교수설계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경험할 멘토링 체제 활용,

Page 20: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72

자료 공유를 위한 시스템을 갖춰 나가야 할 것이다. 교과연구회 구성과 수업 전문가에 의한

컨설팅을 모임을 활성화하여 교사들 간에 경험과 노하우, 관심과 열정을 공유할 수 있는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형성,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특수교사들을 위한 현실적이고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교수ㆍ학습과

정안을 포함한 특수교육 교수설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최근 좋은 수업에 대한 연구(예: 김나현, 임경원, 2011; 이혜전, 노진아, 임경원, 2011;

장미순, 유현미, 신현기, 2013)를 시작으로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 수업의 참여관찰에서 도출된 요소가 아닌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

어 현실적 적용여부에 대한 검증을 남겨둔 상태이다. 그러므로 수업에 대한 관심을 좀 더

세분화 하여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포함하는 교수설계 과정 전반에 대한 탐구가 심화

되어야 한다. 특수교육 현장을 이해하고 교수설계의 이론을 수정, 확장시켜나가거나 현장

교사와 연결하여 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설계 과정에 대한 좀 더 구체화된 탐구 등

을 통해 학문적으로도, 실제적으로도 특수교육 교수설계에 대한 지식기반을 확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좋은 교수ㆍ학습과정안을 더 많이 발굴하고 지원하며 특수교육 맥락을 고려한

교수설계의 기준을 마련하는 등 특수교육 교수설계의 연구기반의 확대를 이루어야 한다.

수업설계는 무엇보다도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태나 현상에 대한 이해와 개선에 관

심을 두는 분야이므로(유영만, 1998), 교수설계의 주체가 되는 교사와의 협력이 필수적이

다. 교사들이 어떻게 수업설계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탐구와 함께 교수설계 과

정의 어려움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현장교사가 적극적

으로 참여하고 의견을 개진하는 것은 특수교육 수업설계에 관심이 있는 교사와 연구자가

적극적인 방식으로 수업설계의 과정과 결과물 모두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현장

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설계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의 수집과 체계적인 분석은 아직은 구체

화되지 않은 수업설계의 과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며 교사들의 교수 전문성을 신장

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가지는 제한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7명의 특수교사를 대

상으로 한 초점집단 면담 결과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대상자들은 수업 설계 전

문성을 검증한 후 대상 선정을 한 것이 아니라 교육경력과 수업 역량 측면에서 숙련된 교

사들의 교수설계 및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자기 성찰 및 사례 중심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특수교육의 교수설계 및 교수ㆍ학습과정안에 대한 인식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특수교사들이 실행하는 수업 아이디어 만들어 내는 과정

에서부터 실제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는 자

기진술이나 참여 관찰, 그리고 관련 자료 수집을 통해 보다 과학적 자료 분석과 해석을

할 수 있는 방법론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age 21: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73

참 고 문 헌

강현영, 이동환, 고은성 (2012).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조사.: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1(2), 173- 189.

김경옥, 임경원 (2012).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지적장애연구, 14(1), 103-124.

김경희, 조연순 (2008).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 단계별 학습활동과 교육적 의미 탐색. 초등교육연구,

21(1), 269-296.

김승호 (2011). 수업지도안의 이론적 배경 탐색. 초등교육연구, 24(3), 97-115.

박경옥, 서선진, 오영석, 박남수 (2012). 특수교사의 교수설계 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특수교육연구,

19(2), 104-129.

박기용 (2007). 교수설계 모형과 실천 간의 차이와 원인 분석. 교육공학연구, 23(4), 1-30.

박기용 (2010). 숙련된 교사의 교수설계 활동에 토대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26(3), 21-52.

박홍희 (2009). 교사의 생애발달 주기를 고려한 교사평가 연구. 교육연구논총, 30(2), 1-25.

방정숙 (2012).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1(2),

145-160.

서선진, 박경옥 (2012). 교육실습 중 경험한 수업설계 활동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및 수행실태에

대한 연구. 학습장애연구, 9(2), 143-166.

유영만 (1998). 수업체제설계(ISD): 탐구논리와 실천논리. 서울: 교육과학사

윤근영 (2007). 초등교사 발달 단계와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 초등교육학연구, 14(2), 59-76.

이혜전, 노진아, 임경원 (2011). 특수교육 수업분석 연구 동향. 특수교육연구, 18(1), 95-116.

장명덕 (2006). 초등 에비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 작성 전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91-205.

장미순, 유현미, 신현기 (2013).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지적장애연구, 15(1), 147-174.

장승희 (20012). 초등 도덕과에서 좋은 수업의 의미와 방향: 초등도덕과교육 강좌의 모의수업 사례를 중심

으로. 초등도덕교육, 38, 235-265.

전병운 (2011). 특수교사 수업평가 기준 개발. 지적장애연구, 13(1), 53-75.

정한호 (2009).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질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25(3), 157-191.

정한호 (2010). 수업참여 관점에서 바라본 수업지도안 분석 연구. 초등교육연구, 23(1), 261-281.

조경원 (2004). 중등교원 양성교육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학연구, 35(1), 1-19

조규진, 김도기, 김명수 (2011). 좋은 수업의 조건 탐색: 5G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4), 325-350.

조영개, 신재한 (2011). 교육실습, 수업시연, 수업연구를 위한 교실 수업 전략. 서울: 학지사.

홍은숙 (1999). 학생중심의 학습지도안 연구. 성결신학연구, 4(1), 225-239.

홍재영 (2012).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하여 경험한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특수교육

재활과학연구, 51(2), 73-99.

Brophy, J. (1999). Teaching, educational practices series. Monograph No. 1.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Page 22: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174

Carr-Chellman, A. A,. Marra, R. M., & Roberts, S. L. (2003). Round girls in square computers: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aesthetics of computer hardware. Tech Trends, 46(4), 4-10.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Johannessen, L. R. (2003). Strategies for initiating authentic discussion. The English Journal,

93(1), 73-79.

Hatch, J. A. (2002).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Leinharde, G. (1990). Capturing craft knowledge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9(2),

18-25.

Merrill, M. D. (2002).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50(3), 43-59.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Moallem, M. (1998). An expert teacher’s thinking and teaching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principle: An ethnographic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46(2), 37-64.

Newman, F. M., Marks, H. M., & Gamoran, A. (1996). Authentic pedagogy and student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0(4), 280-312.

Rose, E. (2002). Boundary talk: A cultur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nd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42(6), 14-22.

Rowland, G. (1993). Desig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41(1), 79-91.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Silber, K. H. (2007). A principle based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47(5), 5-19.

Strauss, A. L.,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Wong, H. K., & Wong, R. T. (2009). The first days of teaching: How to be an effective teacher

(4th ed.). Mountain View, CA: Harry Wong Publications.

Page 23: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 ㆍ학습과정안 작성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8-%BC%AD%BC%B...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175

<Abstract>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o, Seon Jin ㆍ Park, Kyoung O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 self-efficacy in writing lesson plans and often developed annual and

weekly lesson schedules, rather than daily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for special

occasions. Skilled teachers noted that lesson plan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ailed to mirror the uniqu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addressing student diversity.

There was a lack of coherence in lesson plans to curricula and other related papers

such as IEPs. However, skilled teachers admitted that establishing lesson plans was a

single core task of instruction and helped themselves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lesson plan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Key Words : special education teacher, lesson plans, skilled teacher, instructional design, focus

group interview

논문접수 : 2013. 10. 14 / 논문심사일 : 2013. 12. 19 / 게재승인 : 2013.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