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4

Transcript of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Page 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Page 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김용범(충주대학교)

공동연구자: 조대연(고려대학교)

공동연구자: 노현종(충주대학교)

Page 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이 연구는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의 위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

연구에 포함된 연구결과나 제언 등은 미래기획위원회의 공식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적인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Page 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내용 2

3. 연구방법 3

4. 기대 효과 4

Ⅱ 이론적 배경 6

1. 국내 입학사정관제 운영 현황 6

2. 해외 입학사정관 운영 사례 10

3.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역량 21

4. 요구분석 30

Ⅲ 연구방법 34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4

2. 조사도구개발 및 구성 37

3. 자료 분석 38

4. 내용 타당도 39

Ⅳ 결과분석 44

1. NGT 분석을 통한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및 미래비전 분석 44

2.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및 미래비전 설문 분석 결과 54

3. 입학사정관 직무역량기반 입학사정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76

Ⅴ 결론 및 제언 81

1. 결론 81

2. 제언 86

Page 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91

부 록 94

1.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델파이 조사도구 94

2.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및 미래비전 설문지 100

3. Content Validity Ratio 105

Page 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표 목차

<표 Ⅱ-1> 입학사정관제도 3단계 정착방안 7

<표 Ⅱ-2> 2007년 ~ 2010년 입학사정관 선도대학 9

<표 Ⅱ-3> 역량의 일반적 개념 22

<표 Ⅱ-4> 대학별 채용 공고상에 나타난 주요 직무 25

<표 Ⅱ-5> 입학사정관의 직무 26

<표 Ⅱ-6> 입학사정관 역량 관련 선행연구 종합 27

<표 Ⅱ-7> 입학사정관의 핵심직무역량 28

<표 Ⅲ-1> 전문가 패널 현황 35

<표 Ⅲ-2> NGT 참가 전문가 명단 35

<표 Ⅲ-3>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6

<표 Ⅲ-4> 델파이 조사도구 구성 37

<표 Ⅲ-5> 입학사정관 역량 및 정의 타당성 요약 40

<표 Ⅲ-6> 입학사정관 역량에 대한 타당성 40

<표 Ⅲ-7> 델파이 분석을 통해 재구성한 입학사정관 역량 및 정의 42

<표 Ⅳ-1> 입학사정관 역량 우선순위: 전체 NGT 45

<표 Ⅳ-2>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비전 관련 NGT결과 우선순위 50

<표 Ⅳ-3>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설문 54

<표 Ⅳ-4> 입학사정관의 미래비전 설문 56

<표 Ⅳ-5>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57

<표 Ⅳ-6>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60

<표 Ⅳ-7>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

석사 졸업 61

<표 Ⅳ-8>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

박사 이상 62

<표 Ⅳ-9>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석사졸업이하 66

<표 Ⅳ-10>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박사과정이상 67

<표 Ⅳ-11>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1

년 미만 68

<표 Ⅳ-12>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1

년 이상 69

<표 Ⅳ-13>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1년 미만 72

Page 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표 Ⅳ-14>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1년 이상 73

<표 Ⅳ-15> 입학사정관 역량 변인별 분석 74

<표 Ⅳ-16>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분석 결과 75

<표 Ⅳ-17> 2010 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 교육 및 세미나 계획 76

<표 Ⅳ-18> 2010 K대학 교육연수원 입학사정관 양성 프로그램 77

<표 Ⅳ-19> 입학사정관 교육프로그램 비교 78

Page 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그림 목차

[그림 Ⅱ-1] The Locus for Focus Model 33

[그림 Ⅳ-1]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59

[그림 Ⅳ-2]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석사졸업이하 64

[그림 Ⅳ-3]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박사과정 이상 65

[그림 Ⅳ-4]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1년

미만 71

[그림 Ⅳ-5]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1년

이상 72

Page 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1세기 들어 지식 정보화, 세계화 사회로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쉽게 모방

할 수 없는 무형자산 즉 지식, 정보, 기술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이를 창의

적이며 혁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에 맞추어 기업에서는 21세기형 인재선발을 위해 기존의 서류, 면접 중심의

채용의 틀에서 벗어나 여러 형태의 면접, 프리젠테이션, 합숙훈련과 같은 다

양한 방법으로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

대학의 경우 학생 선발 제도는 2008년 입시개혁안까지 대학이 독자적으로

실시하는 본고사와 국가에서 실시하는 국가고사, 고등학교 내신 성적의 조합

을 반복하는 양상을 보여 왔다(성태제, 2008). 현 정부는 이런 획일화에서 탈

피한 인재 선발을 위한 노력으로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 대학의 설립이념,

모집단위의 특성을 반영한 입학사정관 제도를 2007학년 10개 대학부터 시범

적으로 도입하였다.

입학사정관제도는 대학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대학의 학생선발 방법 등

에 대한 전문가를 채용하고, 이들을 활용하여 학생의 성적, 개인 환경, 잠재

력 및 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교육인적자원부, 2007).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해 대입전형의 실질적인 특성화

가 가능해지고 학생부를 비롯한 다양한 전형요소를 반영하여 잠재력 있는

학생선발 및 신입생의 사후관리를 통한 선발과 교육연계 강화 등의 기능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입학사정관제를 둘러싸고 ‘선발의 공정성’, ‘입학사정관의 자질’, ‘새

로운 사교육 탄생’ 등의 우려가 학계, 교육현장, 학부모 등을 통해 제기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한 학생선발에서 공정성을 확보

하고 입학사정관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인 정

착과 확대의 전제 조건이라 볼 수 있다. 평가의 공정성은 평가자의 전문성

확보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평가에서 선발에 이르는 일체의 모든 과정을

주관하고 이끌어내는 ‘행위의 주체’로서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입학사정관의 체계적인 전문성 교육 프로그램

이나 훈련시스템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유현주, 2009)

Page 1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따라서 정부와 대학은 입학사정관으로서 자격과 자질을 갖춘 사람을 양성

하여 선발함과 동시에 입학사정관에게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입학사정관의 직무에 기초한 역량의 도

출이 필수적이다.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은 연수과정의 개발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입학사정관의 선발 및 평가지표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을 파악하고 요구분석을 통해 현재 입학사정관들이 직무를 수행하

면서 필요로 하는 직무역량을 도출하는데 있다. 또한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확보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제 운영의 미래 비전과 전략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

용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가. 입학사정관제 운영 현황 및 해외사례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에 의하여 대학입학사정관제도가 2007년부터 10개

대학에서 운영되었으며, 2010년 대학입시제도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 시행되

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학교육협의회로부터 관련 자료를 통해 입학사

정관제도의 도입배경과 필요성 그리고 현재까지의 운영현황 및 문제점을 분

석하였다. 또한 해외의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사례를 문헌을 통해 분석한

다.

나.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에 대한 문헌 분석 및 전문가 의견 수렴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은 입학사정관으로서 전문성을 갖고 성공적인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지식과 기술,

지식과 태도, 기술과 태도, 또는 지식․기술․태도의 통합된 형태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파워로 표현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입학사정관이 전문가로서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성

과를 나타낼 수 있는 직무역량을 제안한다.

다.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요구분석

Page 1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3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에 대한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미래수준간

차이를 분석하고 Borich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여 조대연

(2009)이 제안한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군과 차순위 직무역량군을 도출한다.

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입학사정관 운영 미래 비전

국내외 입학사정관제의 운영현황 및 사례를 분석하고 입학사정관제 핵심

직무역량 파악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한국형 입학사정관

제의 안정된 장착을 위해 필요한 비전 및 전략을 제안한다.

3.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된 연구목적과 연구내용을 추진하는데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가. 문헌연구

국내 입학사정관제도의 운영현황을 위해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학교육협의회

의 자료 및 관련 선행연구를 수집, 정리, 분석하였다. 또한 입학사정관의 전

문성 및 업무수행능력을 기반으로 한 직무역량 관련 최근 문헌들을 심도 있

게 분석하였다. 연구자마다 역량에 대한 이해와 범주 그리고 수준이 다양하

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이들 연구결과를 재해석하여 의미 있는 직무단위가 될

수 있는 수준에서 역량을 도출하고 이들 역량의 공통점을 기반으로 그룹화

하여 역량군을 설정하였다. 또한 각 역량의 개념적 정의를 통해 직무역량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나.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타당도 검증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한국형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과 관련된 문헌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

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한 델파이 질문지를 입학사정관 12인에게 의뢰

하였다. 델파이 분석을 통해 입학사정관의 직무를 현재 한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의 실제에 맞게 재구성 하였다.

1) 델파이 설문 구성

문헌연구 결과를 기초로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발휘를 위해 갖추어야 할 직

무역량들로 델파이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진 협의회를 통해 설문지 초

Page 1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안을 마련하였다. 개발된 설문지의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확보하기 위

해서 2인의 대학교수와 입학사정관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았

다. 4인의 전문가로부터 이메일로 설문지에 대한 내용과 형식에 대한 피드백

을 제공받아 연구진 협의회를 통해 이를 반영하였다.

2) 조사대상, 표집 및 실시

본 연구는 현재 입학사정관으로 근무하는 12인을 선정하여 10일 동안 이메

일 또는 면대면 방식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 분석방법

델파이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타당도의 검

사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엄격한 의미

의 내용타당도 분석 및 통계치는 불가능 할 수 있다(Murphy &

Davidshofer, 1991). 그러나 몇몇 연구자들이 내용타당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Lawshe(1975)의 내용타당도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을 계산하는 공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다. 전문가 협의회

현직 입학사정관들이 참여한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하여 입학사정관의 직무

역량을 도출하고 입학사정관제도의 성공적 발전을 위해 필요한 전략을 제안

하였다.

라. 설문조사

입학사정관 역량의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직입학

사정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직무역량의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미래 중요도를 각각 파악하기 위하여 각 역량별 두개의 5점 척도

를 사용하였다.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조대연(2009)이 제안

한 과정을 따랐다.

4. 기대 효과

각 대학의 특성 및 전형의 특성에 따른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 정

착을 위해서 정부와 대학은 입학사정관으로서 자격과 자질을 갖춘 사람을

Page 1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5

양성하여 선발함과 동시에 입학사정관에게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학

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도출은 입학사정관의 양

성 및 연수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

량에 기초한 입학사정관의 선발 및 평가지표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도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미래 전략

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우선순위를 제시함으로써 정책적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Page 1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Ⅱ. 이론적 배경

1. 국내 입학사정관제 운영 현황

가. 입학사정관제

2007년 5월 교육인적자원부가 마련한 입학사정관제 지원계획에서는 입학사

정관(admission officer)을 직무상 대학 내 다른 행정조직으로부터 독립된 보

직으로 전형기관과 무관하게 연중 입학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로 정의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역할범위도 전형방법과 종류, 대학이 실시하는 주관적,

종합적 판단을 통한 신입생 선발에 대한 사회적 용인의 정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남보우, 2008).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9)는 입학사정관을 ‘대학이나

모집단위별 특성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으로 정

의하면서 이들의 주요 역할을 첫째, 고교 및 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관

련 정보와 자료를 축적·관리하고, 효과적 전형방법을 연구·개발하며, 둘째,

제출된 전형자료를 심사 평가하여 개별 지원자의 입학여부를 결정하고, 셋

째, 기존 전형방법을 통해 입학한 학생의 학업과 학교적응 정도를 관리하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성태제(2005)는 인간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는 지필검사와 같은 단일한 방

법에 의한 자료를 수집하여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 구술, 면접 등의 다

양한 방법을 통해 얻은 자료를 가지고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총평하는 것으

로 변화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의 추이로 볼 때, 입학사정관제

도는 대학입학전형을 다양화하고 대학의 학생선발에 대한 자율성을 부여하

여 우리나라 대입제도의 선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입학사정관 제도의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는데 입학사정관제는

대입정책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학생선발에서 개별적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학생을 평가함에 있어서 총체적 평가가 가능하고, 평가를 비롯한 학생선발에

서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대입 자율화의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정완용

(2008)과 남보우(2008)는 입시에 있어 대학자율화란 각 대학이 원하는 인재를

각 대학에 적합한 방법으로 자율적으로 선발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따라서 각 대학은 서로 다른 설립 이념과 교육목표 및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인재상을 정립하고, 대학의 특성에 맞는 인재를 외부 간

섭이나 규제 없이 자율적인 방법으로 선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의 자율

적 학생 선발은 기본적으로 교수나 입학사정관에 의해서 결정되며 주관적인

Page 1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7

△ 1단계: 입학사정관제도 내실화(2009년)

①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른 선도대학 육성

◦ 목표: 10여 개 선도대학에 집중 투자하여 내실화 도모

◦ 입학사정관의 기능: 선도대학의 경우 선발 학생의 10% 수준까지 입학

사정관이 서류․면접심사에 참여

◦ 지원방법: 10여 개 선도대학에 10~30억 원 집중 지원

※ 종전 30여 개 대학은 평가 후 계속 지원여부 결정

◦ 선정기준: 실적, ’09년 및 향후 운영계획을 양적ㆍ질적 평가

※ 입학사정관제도 선발 규모, 입학사정관 채용 및 참여 수준, 신뢰성 확보 등

② 입학사정관 전문 양성ㆍ훈련 프로그램 개설․운영

◦ 지원목적: 자질 있는 입학사정관 인력풀의 안정적 확보

◦ 선정방법: 공모를 통하여 5개 내외 기관 선정

※ 배출인력 수 및 교육대상은 대학 및 대교협과 협의 후 결정

△ 2단계: 입학사정관제도 확대(2010~2011년)

◦ 목표: 선도대학을 확대

◦ 입학사정관의 기능: 사정관이 합격의 결정에도 주도적으로 참여

◦ 전형자료의 내실화 지속: 학생부 기록 충실, 학교정보 공시, 진학교사

전문성 강화로 사교육 의존 없이 전형 대비

◦ 지원확대: 입학사정관제도를 활용한 학생 선발인원 및 입학사정관 채

용 확대를 위한 예산 지원 확대

판단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 선발 과정을 정량화와 명시화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대합 입학정책에 명확한 관점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선발

요소들이 학생선발을 하는 당위성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기에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은 입학사정관제도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나. 국내 입학사정관제 운영 현황

국내 입학사정관제 관련 정책은 ‘대입 3단계 자율화 방안’으로 1단계는 수

능등급제 보완, 대입자율화 조치, 대학책무성 강화이고 2단계는 수능 응시과

목 최대 네개로 축소, 3단계는 대입완전자율화로 이루어져 있으며(대통령직

인수위원회, 2008) 아래의 <표 II-1>과 같다.

<표 Ⅱ-1> 입학사정관제도 3단계 정착방안

Page 1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 3단계: 입학사정관제도 정착(2012년)

◦ 목표: 선도대학 이외의 대학까지 확산

◦ 한국형 입학사정관제도 정착: 대학의 특성 및 전형의 특성에 따른 한

국형 입학사정관제도 정착

◦ 대입자율화 실현: 2012년 입학사정관제도가 정착되면 본고사 부활 없는

대입자율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지속 지원: 2012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예산 지원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발표자료

2007년 시범사업 시행 시에는 입학사정관제를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 입

학사정관의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져야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대학의 입학관

계자들에게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를 위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나 고등

교육정책학회 등에서 한국형 입학사정관제도 구축을 위한 전문가 및 현업종

사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입학사정관제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세미나가 여

러 차례 개최되었으며, 2008년부터 입학사정관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

하였다.「2008년도입학사정관 지원사업」에 응모한 대학 중 지원자격 기준을

갖춘 40개 대학(기존에 선정된 10개교 포함)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고, 총

157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교육과학기술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8). 대교협은 대학, 고등학교, 학부모등이 참여하는 ‘대학입학전형위원회’

를 설치하였다.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2010학년도 대학입학 전형의 기본방향

을 대학 입학 자율화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정착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노

력하기로 하였다. 특히 ‘2010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의 주요 특징 중

에서 대학의 학생선발 관행과 문화를 학업성적 위주에서 벗어나 창의력과

잠재능력을 갖추고, 역경을 극복한 경험 등을 갖춘 인재들을 선발․육성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입학사정관 제도의 도입을 권장하고 있다. 현재

입학사정관 선도 대학은 2009년 선도대학으로 지원을 받은 15개 대학에

2010학년도에 신규로 선정된 대학 14개가 더해져서 총 29개의 대학으로 <표

II-2>와 같다.

Page 1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9

연도 신규대학 기존대학

2007년도

가톨릭대, 건국대, 경북대, 경희대, 서

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인하대, 중앙

대, 한양대

2008년도

건국대(충주), 건양대, 경원대, 고려대,

공주대, 동국대, 목포대, 배재대, 부산

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숙

명여대, 순천향대, 아주대, 울산과기

대, 이화여대,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

조선대, 충남대, 충북대, 충주대, 포항

공대, 한국외대, 한동대, 한림대, 홍익

대, KAIST

가톨릭대, 건국대, 경북대, 경희대, 서

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인하대, 중앙

대, 한양대

2009년도가톨릭대, 울산과기대, 카이스트, 포스

텍, 한동대

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성균

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

앙대, 한국외대

2010년도

경북대,경희대,광주교대,단국대,부산대,

서울여대,성신여대,숭실대,인하대,전남

대,전북대,진주교대,한림대,한양대

가톨릭대, 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

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울

산과기대, 이화여대, 중앙대, 카이스

트, 포스텍, 한국외대, 한동대

<표Ⅱ-2> 2007년 ~ 2010년 입학사정관 선도대학

이와 같이 입학사정관 지원사업이 진행되면서 입학사정관전형에 의한 인

원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10학년도 90개 대학 24,622명(4년제 대학 전체

입학정원의 6.5%)에서 2011학년도에는 105개 대학에서 37,628명(4년제 대학

전체 입학정원의 약 10%)을 선발하려 하고 있다. 전체 수시 모집에서 입학사

정관 비율이 15.0%로 수시모집 6명중 1명은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Page 1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2. 해외 입학사정관 운영 사례

해외사례를 분석하는 것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입학사정관제도가 한국적 입시제도의 문제(다양한 능력을 평

가하기보다는, 획일적인 학습능력만을 평가하는 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적 접근에서 미국과 일본의 제도를 원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입

학사정관제를 대학입시의 핵심적인 선발방식으로 채택하고 있는 국가의 제

도를 분석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제도는 그 나라의 독특한 사

회·문화적 전통을 배경으로 생성·유지·변화과정을 겪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발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제도를 살펴보는 것으로 우리가 지향하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시험을 거쳐 안정적으로 정착된 제도일지라도 이것이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선진국에서 도입한

제도가 우리나라에 정착되지 못하고 실패를 반복하는 선례는 무수히 많다.

이 때문에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여 의도한 효과를 적극적으로 창출하기 위

해서는 해외사례와의 지속적인 비교연구가 필수적이다. 동일한 제도의 도입

과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상반된 결과를 확인하고, 또 그 원인을 찾아 지속

적인 정책오차수정(error correction)을 실시해야하기 때문이다.

셋째, 사회문화적인 차이가 만들어내는 서로 다른 제도작동을 모두 수용

한다면 제도 도입 초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좋은 제도

가 사회문화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는 구조라고 그 제도자체의 효과성을

전적으로 부정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즉 차이를 인정하는 것은 어렵게 도입

한 제도의 포기 혹은 폐기라는 비효율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사

례를 지속적으로 탐색하는 것은 우리의 대학입시의 문제를 수면위로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제도에 문제가 없다면 우리가 바꾸어야할 것

은 무엇인가? 지속적인 해외사례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유도

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Page 1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1

가.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버클리 대학은 미국 고등교육에 힘쓴 영국의 주교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에서 명칭의 유래를 찾을 수 있고, 현재 미국 서부의 대표적인 명문

대학으로 꼽히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학교로 인정되고 있지만 특히

정치학을 비롯한 사회과학분야, 문학과 음악 등의 창조적 예술분야 등에서 우

수한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버클리 대학은 창조(creativity)와 혁신적인 사고

(innovative thinking)를 바탕으로 미국을 이끌어가는 차세대 인재를 길러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명성이 높은 대학답게 경쟁률도 매우 놓다. 2010년 자료에

따르면 경쟁률은 3:1 수준을 넘어서고 있는데, 이는 캘리포니아 지역뿐만 아

니라 캘리포니아를 제외한 다른 주의 지원자와 외국인 지원자들의 외부지원

자와 외국지원자들 포함한 것이다.

□ 입학사정방법

버클리 대학은 학생 개인, 가족정보, 고등학교 교육이력, 학교생활 이외의

과외활동, SAT 등 시험성적, 자기학업 성적 기록 등 13개의 섹션으로 구성된

입학원서를 제출하도록 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학생들의 능력을 골고루 평가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출된 자료를 중심으로 각 평가요소에 대해

입학사정관은 1~5점을 부여하여 학생을 선발하게 된다.

□ 입학관련 조직 및 인원

버클리 대학의 입학관련 조직은 '학생관리부(student affair)' 내의 하부조

직으로 'office of undergraduate admission'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이

조직에는 홍보와 입학허가를 총괄하는 Assistant Director 3명과 입학사정을

Page 2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담당하는 admission officer 3명,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administrative officer

1명, 편입을 담당하는 Transfer Specialist 2명이 근무하는 등 총 60명의 Full

time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입학사정 시기에는 이들 외에 30

명 정도를 6~8개월가량 계약직으로 고용함으로써 입학사정업무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높이려 하고 있다.

□ 입학사정관의 담당업무

입학사정관은 별도의 담당 지역이 있어 평상시에는 담당 지역 내 고등학

교의 교육과정, 학생, 학부모, 지역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고, 입학사

정 시기에는 담당지역 출신 학생에 대한 사정을 담당한다. 즉 지역별로 전문

성을 높임으로써 우수한 지역인재의 발굴에 힘쓰고 있다. 담당지역 고등학교

의 교육과정과 학생의 이수과목, 부모의 배경 등에 대한 정보가 지원한 학생

과 부합하는지를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지원학과와의 적성이나 학업성취

역량 등을 광범위하게 고려하여 학생을 선발한다. 입학사정관들은 담당지역

이외에도 자신들의 전공영역을 바탕으로 지원자들의 잠재적 능력을 확인하

고, 전공 선택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입학 후 학업성취도를 높이

고, 졸업 이후 사회진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 University of Massachusetts

University of Massachusetts(이하 U-Mass)는 1863년 Amherst 지역의 농과

대학으로 시작하여, 1947년 종합대학으로 발전하였다. 1962년과 1964년에는

Worcester와 Boston에 각각 캠퍼스를 설립하였고, 1991년 University of

Lowell과 Southeastern Massachusetts University를 각각 Lowell 캠퍼스와

Dartmouth 캠퍼스로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대학은 질 높은 교육프로

Page 2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3

그램을 통하여 지식발전을 통한 국부의 증진을 도모하는 선도대학으로 잘

알려져 있다.

□ 입학사정방법

U-Mass의 입학사정방식은 각각의 캠퍼스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공통

적으로는 고등학교 성적 및 생활기록부와 SAT/ACT 성적, 입학원서 등을 전

형 자료로 활용한다. 또한 이를 통해서 학생들의 재능, 경험, 관심 등과 지역

사회 및 대학에의 적용가능성 등을 고려한다. 특히 U-Mass는 다른 지역보다

Massachusetts 지역인재 양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 입학관련 조직 및 인원

입학사정을 담당하는 조직은 입학업무를 지원하는 행정부서와 별도로 구

성되어 다른 대학과 차별성을 지닌다. 이러한 분리는 입학사정업무만을 특화

시켜 공정하고 객관적인 학생선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입

학사정 담당 조직의 경우 Director 1명과 Assistant Director 8명을 중심으로

하고, 약간 명의 Temporary Reader를 고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

다. 입학사정관의 자격은 특정전공을 고려하기보다는 전공과 관계없이 채용

하며, 학사정도의 학력을 요구하고 있다.

□ 입학사정관의 담당업무

입학사정 관련 조직은 매년 9~11월 중에 대학을 방문하는 입학예정자들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명회와 상담을 실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주변지역에 위

치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는 직접 홍보활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한 이러한 설명회와 상담을 바탕으로 11월 이후 지원자를 받아 서류심사

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학생을 선발한다.

Page 2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다. Amherst College

Amherst College는 1793 설립된 Williams College의 재정위기를 계기로

일부 교수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1821년 출범한 학부중심의 인문대학(liberal

arts college)이다. 특히 이 학교는 <웹스터사전>의 저자 Noah Webster 등이

재능 있고, 신앙심이 깊은 남학생을 양성하는 선교활동의 일환으로 설립되었

고, 1975년부터 여학생을 받아들여 남녀공학이 되었다. Amherst College는

연간 1,600명의 젊고 유능한 인재들이 입학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최고의 인

문대학으로 명성이 높다. 2000년 지원자 5,352명 중 합격생 비율은 19%인

1,041명 이었으나 2008-2009년에는 약 15%의 합격률을 기록하면서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 입학사정방법

Amherst College는 입학정원의 95%를 SAT/ACT 성적 등 학업성적 또는

시험점수에 의해 선발하고, 나머지 5% 정도는 비학문적 요소, 즉 비교과활

동, 리더십, 특별활동, 수상경력, 사회봉사 등에 의해 선발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그러나 특징적인 것은 SAT나 ACT 등 시험에 의해 선발하는 경우

라도 비학문적 평가영역이 우수하지 못하면 입학을 불허하며, 수준이 낮은

학교 출신 지원자들의 발전 가능성을 고려하여 선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

다. 2009년 합격자들의 SAT Score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

하고 있지만 특히 Critical Reading은 800점 만점에 평균 726점의 학생들이

입학허가를 받았고, Writing의 평균 724점을 기록하는 등 인문대학의 특성을

드러내는 입학기준을 중시한다.

□ 입학관련 조직 및 인원

Page 2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5

Amherst College는 입학 및 재정보조 업무(Admission & Financial Aid)를

담당하는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업무가 온라인 지원

으로 시작하여 필요한 경우 직접 인터뷰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2010년 현재 입학업무(admission) 담당직원은 Director 1명, Senior Associate

Director 1명, Associate Dean 8명, Admission Fellow 1명 등 22명이 맡고

있다. 이들 중에는 입학지원자들의 학교 방문을 주선하는 코디네이터와 입학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업무, 입학과정을 관리하는 스텝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재정보조업무(financial aid)는 7명의 전문 인력이 담당하고 있다.

□ 입학사정관의 담당업무

Amherst College의 입학사정관들은 학기 중 대부분의 시간을 지원자들의

서류심사에 할애한다. 잡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와 학교방문 코디네이터 업

무를 동시에 수행하지 않고, 서류심사의 질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서류심사

이외에 지원자들에게 학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양한 신입생 모집

방법을 개발하는 업무도 담당한다.

라.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케임브리지에 있는 연구

중심 공과대학을 모체로 한 종합사립대학이다. 보통 약칭으로 MIT를 많이

사용한다. 이 대학은 지질학자인 W. B. Rogers가 과학의 진흥과 개발을 목적

으로 1861년 설립하였고, 1865년에는 세계 최초의 공과대학으로 개교하였다.

설립 이래 공학, 이학, 건축학 분야에서 수많은 과학자들을 배출하였다. 1980

년대 들어와서는 이공계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의 학부 육성에도 힘을 기

Page 2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울이고 있으며, 하버드대학이나 보스턴 대학 등 인근 대학들과 활발하게 교

류하고 있다. 특히 이 대학은 학부 졸업생 가운데 72%가 대학원을 진학하여

연구중심 대학으로서 명성이 높다. 2010년 현재 신입생 합격비율은 10.1%이

다.

□ 입학사정방법

MIT는 두 부문으로 구성된 입학원서를 접수한다. Part 1은 지원자 개인의

신상정보를 나타내는 지원서이고, Part 2는 지원자의 학업성취를 나타낸다.

입학지원서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 것처럼 지원자를 평가하는 기준 또한 두

부분으로 구분한다. 한 부문은 Numeric Index라고 하는 학문적 요인에 대한

측정이고, 다른 한 부문은 Personal Rating 이라는 비학문적 요인이다.

Numeric Index에는 SAT/ACT, GPA, Class/School Rank 등이 포함되고,

Personal Rating은 수상실적, 비교과활동, 개인의 인성과 적성, 삶의 열정 등

에 관한 평가를 포함한다.

□ 입학관련 조직 및 인원

입학사정을 총괄하는 Dean 아래에 Associate Dean 6명, Associate

Director 5-6명, Assistant Director 4-5명이 상근한다. 그 외에 6개월 계약의

Part Time Reader가 4명, Student Work가 24명 이상 근무하며, 지원자의 인

터뷰를 도와주는 동문봉사자(Alumni Volunteer)들이 2,500명 이상 있다. 즉

입학사정업무를 상시적으로 담당하는 직원과 일시적인 필요에 의해서 고용

되는 직원들로 구분되며, 다른 대학과 차별적인 것은 졸업생들의 자원봉사가

활발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 입학사정관의 담당업무

MIT 입학사정관들은 평소 출판, 커뮤니케이션, 정보관리 등의 업무를 수

행하지만 입학시즌에는 입학희망자들의 지원서를 검토하는 것에 비중을 많

이 둔다. 특히 MIT는 학교중심이 아닌 학생중심의 선발과정을 추구한다. 같

은 학교, 같은 지역의 학생들과 비교하면서 지원서를 평가하는 방식이 아니

고, 지원자 개개인의 실력을 평가한다. 즉 학력차별을 인정하지 않고, 지원자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Page 2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7

마. Stanford University

1891년 개교한 Stanford 대학은 철도건설업자이자 캘리포니아 주지사와

상원의원을 지낸 Leland Stanford가 그의 아들을 기리기 위해 설립하였다.

연구중심의 사립대학으로 2010년 기준 문리·공학·지구과학·교육·경영·법학·의

학 등 7개 단과대학에서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특히 물리학, 경제

학, 공학, 철학, 영어, 심리학, 정치학 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1940년과 50년대 Frederick Terman은 학생들과 졸업생들이 HP, Yahoo 등

여러 하이테크 회사를 창업하도록 독려하였고, 그 결과 메인 캠퍼스 주위에

실리콘밸리가 생겨 미국의 IT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 입학사정방법

Stanford 대학의 입학사정방법은 수학능력의 우수성, 지적평가, 그리고 지

원자 개인부문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이것은 다시 학력부문과 비학력부분

의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학력부문은 SAT/ACT, TOEFL(비영어권

학생의 경우) 등과 같은 공인인증시험과 고등학교 성적을 평가하는 것이다.

비학력부문은 고등학교 선생님의 추천서인데, 이 추천서는 지원자를 가르쳤

던 선생님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최대 2명의 선생님이 추천하도록 하

고 있다. 또 다른 비학력부문으로 지원자의 에세이 작성인데, 이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특정 주제 중 1개의 주제를 선택하는 일반에세이와 학교 측에서 3

개의 질문을 주면 이를 포함하여 작성하는 단문에세이 두 종류이다. 한편 필

수적이지는 않지만 부가적으로 자신의 독특한 예술적 재능을 별도의 지원서

를 통해 학교에 제출할 수 있다.

Page 2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 입학관련 조직 및 인원

Stanford 대학의 입학관련 조직은 매우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학교본

부에 입학관련 조직을 두기 보다는 지역별로 입학상담소를 개설하여 운영하

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은 미국 내뿐만 아니라 멕시코, 영국, 캐나다 등지에

도 있다. 이 때문에 입학사정관의 명칭은 Territory Manager이고, 전세계 모

든 지역의 인재를 받아들이려 노력하고 있으며, 2010년 현재 25명의 입학사

정관이 지역별 담당하고 있다.

□ 입학사정관의 담당업무

Stanford 대학의 입학사정관들은 지역정보수집과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미

국내외에 여러 기관들과 자신들의 입학 및 재정지원을 설명하기 위한 공동

프로그램을 기획·제공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다.

바. Oregon State University

OSU는 1862년 설립된 오래건주 최초의 지역학교인 코밸리스 아카데미가

발전한 것으로 오래건주에서 역사가 가장 깊은 대학이다. 1890년부터 여학생

의 입학을 허가함으로써 미국에서 3번째 남녀공학을 실시한 대학이다. 1961

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고, 현재는 10개 단과대학과 대학원이 있다. 이

학교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교수 1인당 학생 수가 매우 적다는 것이다. 2000

년대 초반에도 1인당 학생 수는 7명에 불과했다. 학생들은 오래건주 출신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공립학교 출신 백인 학생이 대부분이다. 신입생으로 들

어와 졸업에 이르는 학생은 약 43%에 불과하다.

Page 2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9

□ 입학사정방법

OSU는 지원자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학문적 잠재력을 평가요소에 적극적

으로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입학사정은 학문적 요소와 비학문적 요소를 동

시에 고려한다. 학문적 요소로는 다른 학교에서 공히 인정되는 SAT/ACT를

제출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SAT나 ACT 시험에서 작문성적이 반드시 포함

된 성적을 제출해야한다는 것이다. 비학문적인 요소로는 창조력, 진취성, 역

동성, 리더십, 인내력, 봉사정신, 지적 호기심, 개인적으로 타고난 능력과 재

능, 중요한 문제를 극복하였던 경험과 능력 등 다양한 요소들을 반영한다.

이러한 OSU의 입학사정방법을 ‘전체적인 사정법(holistic assessment)’이라고

하는데 이는 고등학교 커리큘럼 평가, 공인시험성적, 자기소개서(insight

resume), 내신등급 등 4개의 영역이다.

□ 입학관련 조직 및 인원

OSU의 입학관련 조직과 인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왜냐

하면 오래건주의 7개 캠퍼스와 OSU-Cascades가 상호 연계된 입학업무를 추

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OSU에는 입학관련 전담 조직이 있는데, 입학사정관

의 장을 ‘Chief Admissions Officer’라고 부른다. 그 아래에는 다수의

Admission Director가 있으며, 이들은 오래건주 내와 외부지역을 맡아 입학

홍보 등의 활동을 벌인다.

□ 입학사정관의 담당업무

OSU의 입학사정관들의 주요 임무 중 핵심은 오래건 지역의 학생들에게

대학입학의 꿈을 심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OSU Fall Visitation Program

을 합동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활동을 ‘가을 투어(fall tour)'라고 부른

다. 입학사정관들은 9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6주 동안 오래건지역에 있는 고

등학교를 방문하면서 고등학생들에게 홍보를 하고, 상담도 병행한다.

사. 해외사례분석의 시사점

미국의 6개 대학의 입학사정제도를 분석하여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는

Page 2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것은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분석한 6개 대학은 미국을 대표하는

주립대학과 사립대학이고, 인문대학과 공과대학 등으로 특성화된 대학이기

때문에 미국 입학사정제도의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다. 미국의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

안할 수 있다.

첫째, 단기간에 성장해온 제도가 아니기 때문에 입학사정업무를 담당하는

인력들은 해당업무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의

업무는 지원자들을 평가하는 업무에 치중한다. 즉 부가적인 행정업무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적격자를 가려낼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많은 인원을 고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도 고려하고

있다. 입학사정시즌에는 파트타임 비정규직 인력을 늘리고, 심지어는 동문조

직을 활용하는 경우도 주목할 만하다.

둘째, 연구중심 대학의 경우 입학사정제도는 학부중심의 대학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구중심 대학들은 대학소재지의 지원자뿐만 아니라 다른 지

역, 그리고 외국의 학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입학사정관련 조직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크며 심지어는 지역사무실까지 운

영한다. 이는 비용문제보다 더 좋은 인재를 발굴하고 유치하는 것이 목적이

기 때문이다.

셋째, 입학사정 방식의 다양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단계를 통해

가능한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은 우리에게 시사 하는 바가 크다.

Page 2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21

3.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역량

가. 전문성과 역량

1) 전문성과 역량

일반적으로 전문성이란 하나의 직업내 요구되는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

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자질, 능력, 가치관을 포괄하는 것으로 직무수행

및 전문가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가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국립국

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은 전문성을 전문적인 성찰 또는 특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Webster Dictionary는 좀 더 구체적으로 전문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

고 있다: 인지적 차원과 생리적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것.

Herling(1998)은 전문성을 특정영역에서 최고의 성과자들에 의해 일관되게

보이는 나열된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Swanson & Holton(2001)은 전문성을

직무수행자가 특수한 영역에서 할 수 있거나 기대된 성과에 대한 최적의 수

준으로 정의하였다. 오헌석 외(2009)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개념적 정의를 종

합하여 전문성이란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과 훈련을 통해 뛰어난 기술

과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업무의 고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수행력을 포함한 잠재역량이라고 정의하였다. 이 정의의 핵심어는 기술과 지

식 그리고 잠재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성과 역량의 관계는 전문성이 역량보다 넓은 개념으로(김진실, 2007),

오늘날 전문성 향상은 역량의 바탕위에 실현될 수 있다. Swanson &

Holton(2001) 역시 하나의 역할수행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하며 이 전문성은

역량의 지원속에서 발휘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미국 ASTD(America

Standard for Training & Development)에서 WLP(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전문가에 대한 역량모델링 연구에서도 역량습득이 곧 전문성으

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역할수행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1973년 McClelland를 시작으로 많은 학자와 실천가들에 의해 지금까지

역량 개념은 다양하게 정의되어왔다. 그러나 오늘날 인적자원개발 영역에서

는 다양한 개념정의를 통해 공통분모를 추출할 수 있다. 주요한 학자들의 역

량정의를 정리하면 아래 <표Ⅱ-3>과 같다.

<표Ⅱ-3>에서처럼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개념이 진화하면서 일반적으로 역

량은 작업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우수한 직무성과를 이끄는 개인의 잠재적 또

는 내적 특성으로 정의되었다(Lucia & Lepsinger, 1999). 즉 역량은 작업현장

Page 3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학 자 역량의 정의

Klemp(1980) 직무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적 특성

Boyatzis(1982) 직무에서 효과적이고 탁월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인 특성

McLagan(1982) 직무나 역할 수행에서 뛰어난 수행자와 관련된 개인의 능력특성

Bartram(1990)

*KEDI

특정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

력, 작업환경에 의해 부과되는 자연적인 강제상황에서 적응할 수 있

는 능력

Fletcher(1991) 규정된 기준에 따라 업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Cuion(1991)개인의 내적인 특성으로 다양한 상황 하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면

서 비교적 장시간 지속되는 행동 및 사고방식

Corbin(1993)

바람직한 목표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이 알아야 할 것

(What one should know)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What one

should be able do)을 포함하는 능력

Dubois(1993)삶에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사용되거나 소유하고 있는

개인의 특성

Spencer & Spencer

(1993)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 중에서 준거에 따르는 효과적이고 우수한 수

행의 원인이 되는 내적인 특성

Parry(1996)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주요한 부분들에 영향을 주고, 업무 성과와

관련성이 높고, 조직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성과기준에 대비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교육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는 지식

과 기술, 태도의 집합체’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Mirabile(1997) 우수 성과자와 평균 성과자를 구분해 주는 지식, 기술, 특성

Green(1999)직무 목표 달성에 사용되는 측정 가능한 업무 습관 및 개인적 기술

에 대한 증거 자료

Lucia & Lepsinger 업무에서 효과적이거나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적 특

에서 업무수행자의 성과향상과 매우 밀접한 개념이다. Spencer &

Spencer(1993)는 역량이란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준거나 기준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는 원인이 되는 개인의 특성, 기술, 속성,

지식과 동기 등의 결합체로 정의했다. 역량의 활용영역도 다양하다. 예를 들

면, Carroll & McCrackin(1998)은 역량을 핵심역량, 리더십 및 관리역량, 그

리고 기능역량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기능역량은 하나의 특정 직무를 수행하

는데 있어 요구되는 직무기능중심능력을 의미한다. Mansfield(2004)는 사람들

이 일터에서 수행해야 하는 직업적 기준으로서의 결과, 현재 사람들이 행하

는 직무, 그리고 개인적 자질이나 특성 등 역량의 3가지 용법(usage)을 소개

하였다. 최근 오헌석(2007)은 역량이 개인의 특성을 강조하는 사람중심 관점

과 특정 직업에서 기대되는 성과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요구되는 기

능을 수행하는 능력이라는 차원에서 직무중심 관점으로 구분하였다.

<표 Ⅱ-3> 역량의 일반적 개념

Page 3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23

(1999) 성

Herling(2000)최소한도로 효율적이고 동시에 결과에서 효과적인 개인에의 일관되

게 보인 행동

Schippmann et al

(2000)

특정 과업이나 활동에서의 성공적 수행, 또는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

에서의 적절한 지식

송영수(2000)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수행자가 보통이하 수준의 사람들과 차별

되는 공통된 특성

김태기 외(2002)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준거에 따른 효과적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인 특성

현 주 외(2004)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출처:오헌석(2007), 조대연 외(2007)의 일부를 수정ㆍ보완함

이와 같이 다양한 역량의 활용영역 가운데 본 연구는 직무관련역량에 초점

을 둔다. 최근 역량관련 연구들에서도 개인적 차원의 사회심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업무관련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며 2000년대 들어서 미국에서도 직무

중심 역량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역량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역량

들이 기능적인 직무관련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Deist &

Winterton, 2005).

역량모델링은 역량을 체계화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역량모델링은 역량

을 체계적으로 조직화 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역량모델링은 매우 다양

한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안이환, 문미경, 김병선(2009)은 역량모델링의 방

법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새롭게 역량모델을 개발(starting from scratch)'하는 방법과 ’검증된 역량

모델을 이용하여 개발 (starting with a validated competency model)'하는 방

법이 있다1) 새롭게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방법은 조직의 어떤 직무, 기능,

역할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에 적합하다. 많은 시간을 요하는 방법이며,

조직 및 역할에 구체적이며 맞춤형라는 장점이 있다. 현직자 및 업무에

정통한 사람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또는 업무현장 관찰 등을 통해 역

량모델 개발대상이 되는 조직의 내부 자료를 가지고 역량모델을 개발한

다. 검증된 역량모델을 이용하여 개발하는 방법은 새롭게 역량모델을 개

발하는 방법과 매우 유사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터뷰 및 관찰로 얻

을 수 있는 조직 내부 자료가 아닌 타당성이 검증된 역량모델을 활용하

여 역량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한다는 점이다. 이 방법은 시간절약이

1) Lucia, A.D., & Lepsinger, R.(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Jossey-Bass/Pfeiffer, San

Francisco

Page 3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라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한 직무나 직위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

Lucia & Lepsinger(1999)는 자료수집방법결정, 인터뷰와 FGI(Focus Group

Interview) 실시, 대상자 업무관찰 실시, 그리고 자료 분석을 통한 잠정적 역

량모델개발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역량모델링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인터뷰와 FGI 그리고 직접관찰을 통

해 행동지표들을 추출한다. 특히 중대사건이나 일화 등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해 우수성과자들이 저성과자 또는 일반성과자들과 차이가 나는 행동을 도

출해 낸다.

그러나 안이환, 문미경, 김병선(2009)에 의해 지적되었듯이 이 방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기존 선행된 역량지표들이 있을 경우 인

터뷰, FGI, 직접관찰로 이어지는 방법론은 효율성 차원에서 높은 점수를 받

기 어렵다고 하겠다. 한 예로 조대연(2009)은 교사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연구에서 기존 교사의 직무역량에 관한 문헌들을 종합 정리하여

잠정적 역량모델을 제안하고 설문을 통한 검증작업을 진행하여 현재 보유역

량과 미래 요구되는 역량간 차이를 통해 공통역량과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입학사정관의 직무 및 역량

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델파이 연구를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여 전문

가 협의회 및 설문 연구를 통해 역량모델링을 실시하고자 한다.

2) 입학사정관의 직무 및 역량

미국의 입학사정관 연합체 중에 하나인 AACRAO(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iate Registrars and Admissions Officers)에서 출간한 가이드인

‘College Recruiters' Quick Guide(2005)'에 의하면 입학사정관의 직무를 다음

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고등학교 방문 (Visiting high schools)

- 대학박람회 혹은 지역사회에서 주최하는 프로그램에서 대학 설명회

(Representing the institution at a college fair or community sponsored

program)

- 캠퍼스 방문자를 위한 정보 제공(Providing an information session for

campus visitors)

- 고등학교 혹은 대학 상담원과의 관계발전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high school or college counselors)

Page 3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25

대학명 주요업무

건국대, 성신여대대학입학정책연구 (입학사정관제)

기타 대학 입학관련 업무

고려대입학관련 심사, 분석, 통계, 홍보 업무

영어의사소통 및 문서작성 능력

동국대 입시기획, 전형개발, 입학사정, 입시통계 부석 및 홍보 등

부산대입학전형(시행, 분석, 제도, 연구 및 개발)관련 업무

입학사정관 전형 업무

- 지원자 인터뷰/예약 (Conducting students interviews/ appointments)

- 학생과 학부모의 전화통화 (Speaking with students and families over the

phone)

- 다양한 관계자들과 후속적인 대화제공 (Providing follow-up

communications to various constituencies)

미국의 UC버클리의 경우 입학사정관의 역량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제시

하고 있다(UC Berkeley, 2004).

- 입학자격요건,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이해

- 버클리 대학의 전공 및 커리큘럼에 대한 이해

- 자료의 분석 및 해석 관련 지식 보유

- 높은 수준의 정확성과 작은 부분도 놓치지 않는 꼼꼼함

- 뛰어난 작문 및 의사소통 기술

- 다양한 고객에게 복잡한 정책을 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

- 고객 중심 서비스 기술

- 컴퓨터 능력- MS윈도우, MS 오피스, 인터넷 검색, 이메일

- 출장 및 초과근무 가능한자

반면 한국의 경우 대학들이 입학사정관 직무에 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지 않다. 각 대학이 입학사정관 채용 시 규정한 바에 따르면, 입학사정관

의 역할은 크게 입학서류 검증 및 평가, 전형제도 연구개발, 입학 홍보와 상

담 등에 있다(정일환, 2008). 채용공고를 낸 대학들 중 입학사정관의 담당 업

무를 명확하게 밝힌 대학을 중심으로 입학사정관의 주요 직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Ⅱ-4> 대학별 채용 공고 상에 나타난 주요 직무

Page 3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이화여대

입학전형 평가 및 분석

입학전형 정책 기획 및 연구개발

입학관련 정보 DB구축 및 통계 분석

아주대입학서류평가, 면접, 통계분석, 자료조사 및 연구

입학 홍보 및 상담

구분 주요역할 비고

학생모집활동

교육청 및 고교 방문을 통한 현황 파악

및 정보 수집고교와 대학으로 나누어 구분

대학 자체의 별도 프로그램 운영

설명회, 캠퍼스 투어, 여름과학

캠프 그리고 입학관련유관기관

단체 방문 등

홈페이지 관리입학관련 정보 접근이 용이한 웹

사이트의 관리

지원자 평가

평가자료 구성 정량적 정성적 평가 자료의 구성

평가기준 설정평가의 기본원칙을 구현할 수 있

도록 평가 기준 설정

평가결과의 분석과 활용 평가결과의 분석을 통한 피드백

이와 관련하여 유현주(2009)는 입학사정관의 직무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사

항을 다음의 <표Ⅱ-5>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Ⅱ-5> 입학사정관의 직무

* 유현주(2009)의 내용을 표로 재구성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9)에서는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을 주관하는 기관으

로서 입학사정관의 역량에 관해 지금까지 개최된 각종 세미나, 워크숍, 컨퍼

런스의 내용과 문헌을 고찰하여 다음 열 가지로 정의한 바 있다.

- 전형자료 분석 및 평가능력

- 대입전형 분석 및 전형설계 능력

-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 대학 행정의 이해

- 자료수집, 통계 처리 능력

- 의사소통 및 홍보상담 능력

- 리더십 및 팀워크 증진 능력

- 고교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Page 3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27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대교협

(2008)

유현주

(2009)

정일환

(2008)AACRAO

UC

Berkeley

①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 √

②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

③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

는 능력√ √ √

④ 지원자 인터뷰 능력 √ √

⑤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

⑥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 √

⑦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 √ √

⑧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 √

⑨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해 √ √

⑩ 자료의 수집 능력 √

⑪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

는 능력√ √ √ √

⑫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 √

⑬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 √

⑭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 √

⑮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 √

⑯ 프리젠테이션 능력 √

⑰ 프로그램 기획 능력 √ √ √

⑱ 행사 수행 능력 √ √

⑲ 홈페이지 관리 능력 √

⑳ 학생, 학부모 상담 능력 √ √

㉑ 리더십 √

㉒ 팀워크 √

㉓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 √

㉔ 고객중심 서비스 능력 √

㉕ 작문 및 의사소통 기술 √

- 국내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해

본 연구에서는 입학사정관제와 관련된 상기 문헌을 고찰 하여 다음의 <표

Ⅱ-6>과 같이 종합하였다.

<표Ⅱ-6> 입학사정관 역량 관련 선행연구 종합

본 연구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제시한 10가지 역량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의 몇 가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전형자료의 분석 및 평가능력과 관련하

Page 3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직무역량 역량정의

①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자료를 선별하여 정량적, 정

성적 평가 자료를 구성하는 능력

②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명료하고 타당한 평가기준을 설정

하는 능력

③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

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전형자료의 신빙성과 내용의 진정성을 평가하여 신뢰성을

검증하고 전형자료의 의미를 밝혀낼 수 있는 능력

④ 지원자 인터뷰 능력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평가하는

능력

⑤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

식을 분석하는 능력

정량적인 자료와 정성적인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의

대입전형을 분석하는 능력

⑥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대학별, 전공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을 설계하는

능력

⑦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고등학교의 다양한 학교활동과 교육과정, 특별활동 프로

그램을 반영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⑧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

정에 대한 이해

각 대학의 전공별 요구되는 인재상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⑨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

책적 이해

국내외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각

대학의 실정에 맞추어 토착화하는 능력

⑩ 자료의 수집 능력

지원자가 제출하는 각종 데이터와 학교가 제공하는 데이

터, 매년 누적적으로 보유하게 되는 각종 입학관련 데이

터의 수집 능력

⑪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데

이터를 분석하는 능력

데이터별로 적절한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하는 능력

⑫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분석한 자료를 의미 있는 정보로 도출하는 능력

여 유현주(2009)의 입학사정관의 역할구분을 활용하여 1)평가 자료를 선별하

고 구성하는 능력, 2)평가 기준의 설정능력, 3)전형 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

여 평가하는 능력 이렇게 세 가지 항목으로 구체화하였다. 대입전형 분석 및

전형설계 능력은 1)분야별 인재 상에 창의적인 전형 설계, 2)대입전형의 다양

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두 가지로 나누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할 때, 여기서는 입학사정관의 핵심직무역량을 다음 <표Ⅱ

-7>과 같이 구체화하여 정리하였다.

<표Ⅱ-7> 입학사정관의 핵심직무역량

Page 3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29

능력

⑬ 대학행정조직의 이해대학의 구성원으로써 대학의 행정조직의 실태와 업무흐름에

대한 이해

⑭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대학 내 행정시스템 및 대학입학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⑮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대학의 장점과 교육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

으로 알리는 방안에 대해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능력

⑯ 프리젠테이션 능력 전형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능력

⑰ 프로그램 기획 능력대학 자체의 별도 프로그램(설명회, 캠퍼스 투어, 캠프 및

강연회 등) 기획 능력

⑱ 행사 수행 능력 행사 진행을 위한 준비 및 운영 능력

⑲ 홈페이지 관리 능력입학관련 정보를 습득하기에 가장 접근이 용이한 웹 사이

트의 효과적인 관리 능력

⑳ 학생, 학부모 상담 능력학생과 학부모에게 입학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진로를 상

담하는 능력

㉑ 리더십 조직 내 의견을 조율하고 업무를 분장하여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리더십

㉒ 팀워크 조직 내 협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팀워크

㉓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입학전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고도의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㉔ 고객중심 서비스 능력학생과 학부모 및 고교담당자의 요구에 반응하는 서비스

능력

㉕ 작문 및 의사소통 기술 뛰어난 작문 실력 및 원활한 의사소통 기술

Page 3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3. 요구분석2)

가. 요구와 요구분석

일반적으로 요구는 현재 상태(What is)와 바람직한 상태(What should be)-

중요도 또는 필요도-의 차이를 의미한다(Queeney, 2000). 또한 개인, 조직 또

는 사회 차원에서 바람직한 상태와 현재의 상태에서 나타나는 불일치를 의

미하기도 한다(권대봉, 1999).

요구분석(Need Analysis)과 요구사정(Need Assessment)의 개념이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많은 부분 혼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요구분석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요구분석은 현재수준과 바람직

한 수준사이의 차이를 규명하고 이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해결순위를 결

정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과정이다(조대연, 2006). 한편 Leigh, Watkins,

Platt & Kaufman(2000)은 결과를 중심에 두고 그 결과의 현재수준과 바람직

한 수준의 차이를 규명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요구분석이라고 하였

다. 이는 Kaufman 등이 강조한 투입과 과정에서의 요구분석은 의미가 축소

된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그 이유는 요구가 성과 또는 결과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Cook, 2005).

그러나 많은 요구분석에서 결과만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권대봉(1999)은 현

재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와의 차이를 발견하기 위한 모든 분석활동을 요구

분석이라고 하였다. 즉 결과 뿐만 아니라 투입과 과정상에서 요구가 발생할

수 있고 그 요구의 우선순위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의미 있는 노력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교육요구는 현재의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과의 차이로 정의할 수 있으

며, 측정할 수 있는 교육요구는 학습을 통해 변화할 수 있는 지식, 기술 그

리고 태도를 의미한다(Sork, 2001). 교육에서 요구분석은 조직의 요구를 파악

하고, 교육으로 제공되고 있는 수준을 파악하는 논리적인 단계인 것이다

(Patton & Pratt, 2002).

나. 설문을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순순위 결정 과정

성공적인 요구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접 관찰하는 방법, 업무 매뉴얼과 서류 등 문서검토 방법, 내용전문가를

인터뷰 하는 방법,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업무와 지식, 기술, 능력과 그 외에

2)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 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4,에서 요약 정리하였

음.

Page 3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31

요구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질문지 방법 등이 있다. Witkin

& Altschuld(1995)는 요구분석을 위한 자료수집방법을 크게 현존 자료분석,

의사소통을 통한 방법 그리고 분석적 과정을 통한 방법 등 3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그러나 이들 자료수집 방법 가운데 설문기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성인교육훈련 관련 요구분석 연구

물 가운데 74.3%가 설문기법만을 사용하였다(조대연, 2006).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설문기법을 통해 수집된 요구분석 자료들은 우선순위

를 결정하는 과정에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조대연(2006)의 연구에 따르면

분석 대상 연구물 가운데 70% 이상이 우선순위 제시 노력을 하지 않았으며

우선순위를 제시한 연구들 가운데 상당수가 문항들의 응답평균점수 나열 수

준이었다.

최근 조대연(2009)은 설문을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5가지 과정을 제안하였다. 이는 다양한 요구항목들 가운데 최우선위군과 차

순위군을 결정하여 의사결정자에게 합리적인 설득을 위한 합리적 과정이라

고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연구방법에서 언급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과

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기법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표본 t 검정이다. 요구분석에서 종속표본 t 검정의 사용은 요구

의 개념 정의인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간 차이를 검정하는 것이다. 요구

분석에서 t 검정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종속된 두 수준간 차이가 ‘0’인지를

확인한다. 즉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현재수준의 평균값과 바람직한 수준의

평균값의 차이가 같다는 영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는가의 여부

를 결정하기 위한 노력이다. 따라서 요구분석에서 t 검정은 현재수준과 바람

직한 수준의 평균 차이가 크면 클수록 t 값은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영

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t

검정 결과는 두 수준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다시 말해 바람

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가 0 이 아닌지-를 판단하며 t 값이 클수록 그

차이가 커지는 경향성이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단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a라는 항목의 바람직한 수준 평균이 4이고 현재수준 평균이 2라고 하

자. 또 다른 b 항목의 바람직한 수준 평균이 3이고 현재수준 평균이 1이라고

하자. t 값을 도출하기 위한 공식에서 n 값등 다른 값들이 동일하다면 이 경

우 두 항목은 같은 t 값을 갖는다. 즉 t 검정은 두 수준 평균사이의 단순 차

이만을 고려할 뿐 차이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한 판단은 어렵다. 따라서 우

선순위를 제시하기 위하여 t 검정의 활용은 많은 제한이 있다.

둘째, Borich의 우선순위 결정 공식이다. 보리치의 우선순위 결정 공식은

Page 4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다음과 같다.

요구도 = {∑(RL-PL)} X RL

N

RL : 필요 수준

PL : 현재 수준

RL : 필요 수준의 평균

N : 전체 사례수

RL(Require Level)은 필요 수준으로 조직의 구성원들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는 정도이며, PL(Present Level)은 조직의 구성원들이 현재 진

행되고 있는 교육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정도이다. RL는 조직의 구성원들

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정도의 평균값이다. N은 전체사

례수를 말한다. 따라서 보리치의 우선순위 결정 공식에 의하면 두 상태의 단

순한 차이를 통해 요구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수준과 필요 수준의

차를 모두 합한 값(∑(RL - PL))에 필요 수준의 평균을 곱한 값(RL)을 전체

사례수(N)로 나눈 값을 통하여 요구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따라서

보리치의 계산에 의하면 필요 수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현재 수준에 대

한 인식이 낮을수록 요구도의 값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Model이다. 이 모델은 요구되는 바람직한 수준

과 현재 수준에서 존재하는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바람직한 수준

의 중요성,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불일치 정도에 기인하여 설명할 수

있다(Mink et al., 1991). 즉 바람직한 수준의 중요성을 세로축으로, 현재수준

과 바람직한 수준의 불일치정도를 가로축으로 구분하여 4사분면으로 나누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제1사분면은 바람직한 수준의 중요성이 높으

며,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불일치 정도 또한 높으며 제2사분면은 바람

직한 수준의 중요성 낮지만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불일치가 높다. 제3

사분면은 바람직한 수준의 중요성이 낮으며,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불

일치 또한 낮다. 제4사분면은 바람직한 수준의 중요성이 높지만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불일치가 낮은 분면을 말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수준의 중

요성이 높지만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불일치 정도 또한 높은 제1사분

면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Page 4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33

[그림Ⅱ-1] The Locus for Focus Model

Page 4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가. 델파이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초안의 수정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해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기법은 일련의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판단을 추출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합의를 도출해 내는 기법(박도순, 2001)으로 본 연구와 관련

된 선행연구들이 부족한 상황에서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이론

적 배경에서 도출한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종

성(2001)은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는 데 있어 주의할 점으로 추정하려는 문제

를 가능한 좁고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 패널선정, 절차 반복에 따른 패널

의 이탈 방지 등을 지적하였고, 이러한 주의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

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전개하였다.

첫째, 추정하려는 문제에 대한 좁고 구체적인 정의 문제 부분의 경우, 본

연구에서 추정하려는 것은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이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

해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초안을 작성하였기 때문에 추정의 범위는 상당히

좁혀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패널 선정의 경우 사실상 델파이 기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즉, 연구문제와 관련된 분야 전문가들의 대표성, 적절성, 전문적 지식과 능

력, 참여의 성실성, 적정한 인원수가 고려되어야 한다. 전문가들의 대표성 및

적절성, 그리고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반영하기 위해서 8개 대학의 입학사정

관 중 석·박사 학력 이상, 경력 1년 이상을 선정하였다. 되도록 장기간 경력

자를 선정하고자 하였으나, 입학사정관제도 도입시기가 3년 남짓이고, 각 대

학에서 활성화된 시기가 오래지 않아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의 델파이 패널 선정 기준을 통해 최종 선정된 12명의 패널 현황은

아래의 <표Ⅲ-1>과 같다.

조사 방법은 델파이 질문지를 각 패널에게 이메일로 발송한 후 이메일로

수집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는 2010년 5월 20일 ~ 6월 10일까지 진행

되었으며, 전체 패널 12명 모두 회신하여 회수율은 100%였다.

Page 4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35

번호 근무기관 학력 총 경력

1 경원대 수석입학사정관 석사 4년 6개월

2 건국대학교 입학사정관 석사 21년 4개월

3 고려대학교 수석입학사정관 박사 20년

4 고려대학교 수석입학사정관 박사 6년

5 고려대학교 수석입학사정관 박사 7년

6 고려대학교 입학사정관 석사 12개월

7 동국대학교 입학사정관 석사 9년 8개월

8 서강대학교 입학사정관 석사 5년

9 서울시립대학교 책임 입학사정관 박사 7년

10 서울시립대학교 입학사정관 석사 3년 5개월

11 성신여자대학교 책임입학사정관 박사 20년

12 홍익대학교 책임입학사정관 박사 16년 7개월

구분 소속 부서 성명

입학

사정관

고려대학교 입학사정관실 석창훈

고려대학교 입학사정관실 김근식

서울시립대학교 입학처 김천웅

서울시립대학교 입학처 임예혁

성신여자대학교 입학사정관실 윤수정

<표Ⅲ-1> 전문가 패널 현황

나. 전문가 협의회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 진행된 NGT는 2010년 6월 24일(목) 오후 6시부터 2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NGT에 참가한 전문가는 아래 <표 III-2>와 같이 현직 입학사정

관 5명으로 구성되었다.

<표 Ⅲ-2> NGT 참가 전문가 명단

Page 4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남 54 47.8

여 59 52.2

연령

20-29세 19 16.8

30-39세 53 46.9

40-49세 22 19.5

50-59세 15 13.3

60-69세 3 2.7

무응답 1 0.9

학력

고졸 - -

전문대졸 - -

대졸 16 14.2

대학원졸(석사) 67 59.3

대학원졸(박사) 30 26.5

입학사정관 경력1년 미만 46 40.7

1년 이상-2년 미만 53 46.9

다. 설문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설문 연구를 위해 총 113명의 응답 내용이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연

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다음의 <표 III-3>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을 살펴보면, 성별에 있어서는 남자 54명(47.8%), 여자 59명(52.2%)으로 조사

되었다. 연령에 있어서 30세 이상-40세 미만이 53명(46.9%)으로 가장 많았으

며, 40세 이상-50세 미만이 22명(19.5%), 20세 이상-30세 미만이 19명(16.8%),

50세 이상-60세 미만이 15명(13.3%), 60세 이상-70세 미만이 3명(2.7%) 순으로

조사되었다. 학력에 있어서는 대학원 석사 졸업이 67명(59.3%)으로 가장 많

았으며, 대학원 박사 졸업이 30명(26.5%), 대학교 졸업이 16명(14.2%) 순으로

조사되었다. 입학사정관 경력은 1년 이상-2년 미만이 53명(46.9%)으로 가장

많았으며, 1년 미만이 46명(40.7%), 2년 이상-3년 미만이 9명(8.0%), 5년 이상

이 2명(1.8%), 3년 이상-4년 미만이 1명(0.9%) 순으로 나타났다.

<표 III-3>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Page 4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37

변 인 항 목 문항수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5

인구통계학적변인연령, 학력, 총 근무기간, 입학사정

관 근무기간4

합 계 29

2년 이상-3년 미만 9 8.0

3년 이상-4년 미만 1 0.9

4년 이상-5년 미만 - -

5년 이상 2 1.8

무응답 2 1.8

계 113 100

2. 조사도구개발 및 구성

가. 델파이 조사도구개발 및 구성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 및 구성된 델파이 조사도구를 살

펴보면 다음 <표Ⅲ-4>와 같다. 델파이 조사도구는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부분, 조사대상자의 배경을 파악하기 위한 인구통계학적 변인

등 크게 2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부분은 본 연구의 이

론적 배경에서 도출한 총 25개 역량으로 구성하여 아래 <표Ⅲ-4>와 같이 델

파이 설문을 작성하였다. 이후 델파이 기법을 통해 총 23개의 직무역량이 설

문조사도구에 포함되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기본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

하여 연령, 학력, 총 근무기간 및 입학사정관 근무기간으로 구성하였다.

<표Ⅲ-4> 델파이 조사도구 구성

Page 4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나. 설문조사도구개발 및 구성

델파이 연구를 통하여, 직무역량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고 전문가들로부터

명목집단기법(NGT : Nominal Group Technique)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판

단을 얻고자 하였다. 전문가 협의회와 델파이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를 바

탕으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설문조사도구를 개발 및 구성하였다(설문조사

도구는 부록 참조 바람).

3. 자료 분석

가. 델파이 자료 분석

델파이 패널로 선정된 1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

다. 델파이 조사에 활용된 질문지(부록 1 참조)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자가 개발한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으로 구성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은 설문지

에 설정한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및 직무역량 정의에 대한 타당성 및 수정

의견 등이었다. 델파이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

용타당도의 검사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엄격한 의미의 내용타당도 분석 및 통계치는 없다고 할 수 있다(Murphy &

Davidshofer, 1991). 그러나 몇몇 연구자들이 내용타당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Lawshe(1975)의 내용타당도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을 계산하는 공식에 따르면,

내용타당도의 비율 (CVR) = Ne - N/2

N/2

이다. 여기서 Ne는 특정문항이 내용을 잘 측정한다고 응답한 수이고(‘약간

타당함’ 과 ‘매우 타당함’ 으로 응답한 경우), N은 전체 응답자수를 말한다.

내용타당도 비율은 특정 문항이 내용을 잘 또는 적절하게 측정한다고 응답

한 비율에서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값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그 수치를 해

석할 수 있다.

- CVR < 0 일 경우: 응답자의 수의 절반 이하가 ‘매우 타당하다’ 또는 ‘ 약

Page 4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39

간 타당하다’ 라고 응답한 경우

- CVR = 0 인 경우: 응답자 절반은 ‘매우 타당하다’ 또는 ‘ 약간 타당하다’

라고 응답하고 나머지 절반은 그렇지 않은 경우

- CVR = 1 인 경우: 응답자 모두가 ‘매우 타당하다’ 또는 ‘ 약간 타당하다’

라고 응답한 경우

- 0 < CVR < .99 일 경우: ‘매우 타당하다’ 또는 ‘ 약간 타당하다’ 라고 응

답한 숫자가 절반 이상이 되나 모두는 아닐 경우

이렇게 계산된 CVR의 결과로 문항의 제거 여부가 결정되어지는데 참여하

는 전문가의 응답자 수에 따라 최소한 요구되어지는 CVR의 값이 다르다. 이

를 통해 어느 정도 이상의 전문가들이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하거나 우연하

게 적절하다고 응답의 일치를 본 문항은 제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

는 12인이므로 최소 CVR값은 .56을 기준으로 한다. 전문가 응답자의 수와

최소 CVR 값은 <부록 3>에 제시하였다.

나. 설문 분석

설문지 분석은 SPSS/WIN 1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

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이 활용되었다. 첫째,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간 직무역량의 Gap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직무역량요구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Borich의 요구도 계산방법을

활용하였다. 셋째, 조대연(2009)이 제안한 우선순위 결정과정에 따라 The

Locus for Focus Model과 Borich 요구도 값을 통해 최우선순위 직무역량과

차순위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주요 배경변인별(학력과 경력) 역량 요

구분석에 차이를 분석하였다.

4. 내용 타당도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문헌분석 결과 도

출된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문항들의 평균은 4.16이었으며, 표준편차의 평균

은 2.88이었다. 6개의 역량을 제외한 19개 항목의 역량은 4.0이상의 평균을

보였으며,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이해하는 능력, 자료 수집 능력, 행사

수행 능력, 홈페이지 관리 능력, 고객중심서비스 능력, 작문 및 의사소통 능

력은 3점대의 평균을 보였다.

Page 4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평균 표준편차 CVR의 평균 최빈값

역량의 타당성 4.16 2.88 0.57 5

번호 역 량 평균값 SD CVR 비고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4.42 1.14 0.83 유지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4.58 0.87 1.00 유지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4.17 0.95 0.67 유지

4 지원자 인터뷰 평가 능력 4.42 1.12 0.67 유지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3.75 1.34 0.17 제거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4.17 1.03 0.67 유지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4.17 1.19 0.67 수정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4.50 1.17 0.83 유지

9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해 4.42 1.48 0.67 유지

10 자료의 수집 능력 3.75 1.96 0.17 수정

11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 4.08 2.26 0.33 수정

12 분석 자료에 대한 정보 도출 능력 4.17 2.28 0.67 유지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4.33 2.52 0.67 유지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4.08 2.88 0.67 유지

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4.33 3.05 0.67 유지

16 프리젠테이션 능력 4.25 3.39 0.67 유지

<표Ⅲ-5> 입학사정관 역량 및 정의 타당성 요약

내용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12인 전문가의 의견을 기준으로 CVR값이 0.56

이하인 문항을 수정, 삭제하거나 다른 문항과 통합하였다. 다음 <표Ⅲ-6> 과

같이 각 문항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CVR값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CVR값

이 0.56 이하의 문항은 총 9개로 집계되었으며, 그 중 7문항은 제거하였고 2

개 문항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또한 남은 문항 중 2문항

은 전문가가 공통되게 기술한 내용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표Ⅲ-6> 입학사정관 역량에 대한 타당성

Page 4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41

17 프로그램 기획 능력 4.33 3.57 0.83 수정

18 행사 수행 능력 3.83 4.09 0.17 제거

19 홈페이지 관리 능력 3.83 4.30 0.33 제거

20 학생, 학부모 상담 능력 4.17 4.46 0.50 제거

21 리더십 4.33 4.74 0.50 제거

22 팀워크 4.25 4.99 0.83 유지

23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4.42 5.21 0.67 유지

24 고객중심 서비스 능력 3.67 5.78 0.17 제거

25 작문 및 의사소통 기술 3.55 6.31 0.00 제거

전문가들의 구체적 의견을 살펴보면, 5번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

하는 능력’은 대입전형을 분석하는 능력이라는 표현보다는 세밀하게 들어가

전형요소에 따른 분석으로 함이 적절하다는 의견에 따라 다양한 전형요소의

분석으로 수정한 의견과, 다양한 방식에 대한 정의가 모호하다는 의견이 있

었다. 매우 낮은 CVR값과 전문가의 상반된 의견으로 5번은 직무역량에서 삭

제하였다.

7번의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의 역량정의에 대해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중 학교현황, 교육여건 등의 환경적 요인을 포함해야 한다

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어서 ‘고등학교의 다양한 유형과 교육여건에 대한 분

석 및 교육과정, 학교활동의 프로그램을 반영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로 수정하였다.

10번 ‘자료의 수집 능력’은 자료를 단순히 수집하는데 그치지 않고 관리하

는 것도 포함하여 필요충분조건이 성립한다는 몇몇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

에 따라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으로 수정하였다.

11번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 에 대한 정의는 타당

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였다. 몇몇 전문가들이 통계기법을 사용하는 능력은

기본적 업무수행능력이나 보편적 직무역량으로 설정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자료를 검토하고 자료의 특성 및 적절성을 평가하여 데이

터를 처리 분석하는 능력’으로 제안하였기에 수정 및 보완하였다.

16번 '프리젠테이션 능력‘ 의 정의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수정함을 제안

하였다. 전형에 대한 프리젠테이션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프리젠테이션

이 업무상 필요하므로 ’의견 및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프리젠테이션

수행 능력‘ 으로 수정하였다.

Page 5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직무역량 역량정의

① 평가자료를 선별하고 구

성하는 능력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자료를 선별하여 정량적,

정성적 평가 자료를 구성하는 능력

②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명료하고 타당한 평가기준을 설정

하는 능력

③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

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전형자료의 신빙성과 내용의 진정성을 평가하여 신뢰성

을 검증하고 전형자료의 의미를 밝혀낼 수 있는 능력

④ 지원자 인터뷰 능력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평가하는

능력

⑤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대학별, 전공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을 설계하

는 능력

⑥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

한 이해

고등학교의 다양한 유형과 교육 연건에 대한 분석, 학

교활동과 교육과정,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반영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⑦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

정에 대한 이해

각 대학의 전공별 요구되는 인재상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⑧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

책적 이해

국내외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각

대학의 실정에 맞추어 토착화하는 능력

18번 ‘행사 수행 능력’은 행사 기획과 행사 수행을 별도의 역량으로 구분

짓는 것이 의미가 없으며, 경계가 모호하다는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제거하

였다. 대신, 17번 프로그램 기획 능력을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으로 수

정하였다.

19번 ‘홈페이지 관리 능력’ 의 역량정의는 적절하나 입학사정관의 보편적

인 직무역량으로 명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또한 CVR값

도 매우 낮은 편이므로 제거하였다.

20번 ‘학생, 학부모 상담 능력’에서 다수의 전문가들이 공통으로 ‘학생 및

학부모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나 홍보, 행사수행, 프리젠테이션,

의사소통 등 역량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업무이지 역량이 아니라는 의견에

따라 제거하였다.

24번 ‘고객중심 서비스 능력' 과 25번 ’작문 및 의사소통의 기술‘ 의 경우

앞의 내용과 중첩되는 면이 있으며, 중첩되지 않은 부분은 입학사정관의 역

량으로 보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에 따라 제거하였다.

CVR을 통한 타당성 검증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입학사정관의 직무

역량을 다음 <표Ⅲ-7>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표Ⅲ-7> 델파이 분석을 통해 재구성한 입학사정관 역량 및 정의

Page 5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43

⑨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지원자가 제출하는 각종 데이터와 학교가 제공하는 데이

터, 매년 누적적으로 보유하게 되는 각종 입학전형에 도

움이 되는 관련 데이터의 수집하고 관리하는 능력

⑩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는 능력

자료를 검토하고 자료의 특성 및 적절성을 평가하여 데

이터를 처리 분석하는 능력

⑪ 분석결과를 의미있는 정

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분석한 자료를 의미 있는 정보로 도출하는 능력

⑫ 대학행정조직의 이해대학의 구성원으로써 대학의 행정조직의 실태와 업무흐

름에 대한 이해

⑬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대학 내 행정시스템 및 대학입학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

적인 이해

⑭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대학의 장점과 교육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

으로 알리는 방안에 대해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능력

⑮ 프리젠테이션 능력 정보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프리젠테이션 능력

⑯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대학 자체의 별도 프로그램(설명회, 캠퍼스 투어, 캠프

및 강연회 등) 기획, 준비 및 운영하는 능력

⑰팀워크 조직내 협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팀워크

⑱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입학전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고도의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Page 5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Ⅳ. 결과분석

1. NGT 분석을 통한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및 미래비전 분석

본 연구에서는 입학사정관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과 미래 입학사정관제도가 정착되었을 때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문가들로부터 명목집단기법(NGT : Nominal Group

Technique)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판단을 얻고자 하였다. NGT는 현직의 입학

사정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NGT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은 4단계 과정을 통해 실시되었다.

① 1단계(Generating Ideas) : NGT 실시 전 참가 전문가들에게 공문과 문자를

통해 NGT에서 토의해야 할 주제에 대해 생각하고 메모해 올 수 있게 요

청. NGT를 시작하면서 3분 정도 전문가들이 생각(또는 메모)해 온 각자의

아이디어를 독립적으로 기록․정리할 수 있도록 함.

② 2단계(Recording Ideas) : 참가 전문가들이 개별적으로 갖고 있는 아이디어

를 라운드 테이블 방식을 활용하여 1인․1회․1개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기

록자는 벽면을 이용하여 집단 구성원들의 아이디어를 기록. 이때 어떠한

토론이나 피드백도 허락되지 않음.

③ 3단계(Discussing Ideas) : 기록된 아이디어를 명료화하고 평가하기 위해 참

가 전문가들의 토론을 실시. 이때 내용 또는 의미가 비슷한 아이디어는 참

가자의 전원 동의를 구해서 제외 또는 수정하고 아이디어의 범위를 고려

하게끔 유도함. 필요에 따라서 범위가 너무 작은 아이디어들은 묶고 범위

가 큰 아이디어는 작은 단위로 나누는 작업을 진행함.

④ 4단계(Voting on Ideas) : 위 단계에서 정리된 아이디어들을 놓고 참가 전

문가들이 각자 우선순위를 매김. 그런 다음 종합적으로 그룹 내에서 이 결

과에 대해 통합된 의견을 도출.

경력 1년 이상의 현직 입학사정관을 선정한 후 NGT 실시기법에 따라 참여

협조에 대한 유선 연락과 함께 이메일로 안내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NGT 실시 전 전문가 집단에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구

체적인 질문을 제시하고 아이디어를 준비해 올 것을 요청하였다. 아래 질문

Page 5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45

순위 내용 우선순위 Rating

1 고등학교 교육 과정 이해 ●●●●●●●●●●●●●●●●●

2 입학사정관 직업 윤리 ●●●●●●●●●●

3 학생부에 기재된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 ●●●●●●●●

4 대학에 대한 애정 ●●●●●●●

4 학교내 전공에 대한 이해 ●●●●●●●

6 창의력 ●●●●●●

6 새로운 전형개발을 위한 연구 능력 ●●●●●●

8 통계분석능력 ●●●

9 기획력 ●●

10 의견수렴시, 의견 조정 능력(리더십) ●●

10 대입전형을 분석하는 능력 ●●

에 대해 Brainstorming 방식으로 진행되어 자유발언을 통한 아이디어 도출과

우선 순위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입학사정관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입학사정관

의 직무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입학사정관제도가 정착되었을 때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모습을 제

시해 주십시오.

NGT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의 업무를 통해 입학사정관의 역량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

도록 하였다. 입학사정관의 업무에 대한 Brainstorming을 통해 학생선발, 입학

홍보, 전형계발 및 설계, 사업계획, 입학사정관의 교육, 대학구성원으로서의

역할, 평가방법의 피드백, 학생 선발 후 사후 관리가 제시되었다.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스티커를 나누어주고 벽면에 있는

아이디어들 가운데 중요도 1,2,3,4,5순위를 결정하여 1순위는 5개, 2순위는 4

개, 3순위는 3개, 2순위는 1개, 1순위는 1개의 스티커를 개인별로 붙이도록 하

였다. 이러한 업무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입학사정관의 역량에 전문가의

의견에 대한 우선순위 결과는 아래 <표 IV-1>과 같다.

<표 IV-1> 입학사정관 역량 우선순위: 전체 NGT

Page 5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12 자기관리능력 ●

12 팀워크 ●

12 커뮤니케이션 능력 ●

12 새로운 전형 개발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 ●

각 직무역량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고등학교 교육과정 이해: 입학사정관 전형 설계 및 계발 시에 타당한

전형이 되려면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

임. 각 고등학교별로 내실이 어느 정도인가를 평가하고, 현장 교사들이 지적

하는 사항을 수렴해야 함. 예를 들어, 일선 교사들은 평가서라든가 추천서를

세세히 요구하는 것 대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음. 실제 고등학교 교사들의 업

무량이나 수업현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현실임

□ 입학사정관 직업 윤리: 입학사정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도덕성. 항상

일관되게 직업윤리를 가지고 학생을 선발해야 함.

□ 학생부에 기재된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 학생선발을 위해 학생부의 의

미를 이해하는 능력이 요구됨. 학교생활기록부의 다양한 정보가 있는

데, 그 의미를 하나하나 파악하는 능력. 예를 들어, 교과 비교과, 수업

시수 등의 상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함.

□ 대학에 대한 애정: 소속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은 학생선발의 근간

이 됨

□ 학교 내 전공에 대한 이해: 재직 대학의 학과 및 전공에 대한 이해. 모

집단위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 지식의 습득이 필요함

□ 창의력: 전형 계발을 할 때 창의력이 필요. 기획이나 선발 등에서 창의

력을 발휘해야 하고 창의력이 없으면 창의력이 있는 인재를 선발하기

어려움.

□ 새로운 전형 계발을 위한 연구 능력: 연구 능력은 직무교육을 통해 습

Page 5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47

득하기 어려움. 따라서 연구능력을 갖춘 입학사정관을 채용해야 함.

□ 통계 분석 능력: 수치로 된 통계 자료 분석 능력

□ 기획력: 워크숍 주제선정 등 실시에 대한 기획 및 준비 능력

□ 의견 수렴 시 의견 조정능력(리더십): 서로 의견이 다를 때 상대방의 주

장에 대한 건설적인 토론이 되어야 좋은 아이디어를 살릴 수 있음. 토

론 시 갈등 해결 능력이 필요함. 협의와 합의를 이끌어내는 능력이 요

구됨.

□ 대입전형을 분석하는 능력: 각 대학의 대입전형에 대한 상세한 이해 및

비교분석 능력이 필요함.

□ 자기관리 능력: 입시 전형 시기에 과다한 업무량을 소화할 수 있는 건

강이 제일 중요함. 전형시기를 고려하여 가족관리 및 자기 관리 능력이

필요.

□ 팀워크: 팀 내 협동을 전제로 한 팀 멤버십.

□ 커뮤니케이션 능력(고도의 한국어 능력): 1)말하기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되어야 홍보가 가능하고, 2)듣기 능력: 듣기 능력을 통해 학

생 면접에서 학생을 파악하고 내용의 진위를 파악 할 수 있음 3) 쓰기

능력: 언론사에 기사 쓰는 능력, 보고서 작성 능력

□ 새로운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 전형계발과 관련해서 데이

터 처리능력, 분석력. 이전까지 선발했던 학생들의 현존 데이터의 분석

□ 문장력: 홍보 책자를 제작하거나 보고서를 작성할 때 논리적인 쓰기 및

표현 능력이 필요함.

□ 평가와 관련된 전문 지식: 교육평가와 측정에 대한 기본 이론과 실제를

습득할 필요가 있음.

Page 5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 지도 능력: 신입 입학사정관의 현장훈련을 위한 티칭 스킬과 신입 입학

사정관 지도 능력

□ 대인 관계 역량: 대학에는 다양한 사람이 있으며, 그런 사람들과 원만

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인 관

계 역량이 필요함. 관계성에는 교직원, 교사, 학생에 이해를 포함하므로

팀워크와 다른 개념으로 보아야 함.

□ 대학 학과에 대한 진로 정보: 입학, 진학 상담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학

과에 대한 진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 보안: 정보를 공유하면서도 외부적으로 보안을 지켜야 하는 능력

□ 벤치마킹 능력: 타 학교의 입학사정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비교 분석 능력

□ 새로운 것에 대한 수용 능력: 홍보를 나갔을 때 청소년과의 공감대 형

성을 위해 신세대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

해, 청소년 문화에 대한 이해

□ 학부모들의 요구파악 능력: 수험생을 둔 학부모들의 대한 입시와 관련

된 정보, 대학 생활에 기대하는 부분을 파악하는 능력. 학부모에 대한

정보는 그동안 소홀했던 부분이었으나 학부모의 요구에 대한 이해는

학교의 대외이미지 및 평판 그리고 입학전형의 신뢰성 확보에 큰 영향

을 미칠 수 있음. 최근에는 학부모가 오히려 많은 정보를 가지고 질의

하기 때문에 전문가도 응답하기가 쉽지 않음

□ 학생에 대한 애정: 학생에 대한 애정이 있어야 학교에 맞는 인재를 선

발할 수 있음

□ 운전능력: 모 대학에서 입학사정관을 선발할 때 운전능력을 가진 사람

이 없어서 어려움이 있었음. 외근 및 출장이 많은 직종이라 기동능력이

필요함.

□ 행사 진행 능력: 예를 들어 입학사정관 교육이나 위촉 사정관 교수님들

Page 5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49

과 사정관 선생님들의 교육할 때, 입학설명회할 때 행사를 진행하는 능

□ 보고능력: 작성과 관련된 것이 아니고 상급자에게 본인이 준비한 것을

보고하는 능력이 필요함. 입학사정관 선생님들이 결재, 보고의 수용 및

태도 역량이 부족함.

□ 논리적인 사고력: 교육과정의 이해와 관련이 있음. 교육과정에 기초한

전형이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논리적인 사고력이 필요함. 필요한 학

생이 갖춰야 하는 능력과 평가 시스템, 즉 교육과정과 전형사이에 논리

적인 사고를 통해 연계시킬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함.

□ 행정절차에 대한 이해: 조직의 일원으로서 기안문작성, 결재라인, 내규,

주차권 등의 세세한 행정 절차에 대한 이해

□ 교내 다른 부서에 대한 업무 이해: 대학의 각기 다른 부서의 역할 및

업무에 대한 이해

□ 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 사회경제문화에 대한 관심과 지식. 개방성.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이해.

□ 편견과 차별을 배제하는 능력: 학력, 지연에 대한 편견 없이 공정성을

유지하는 능력.

둘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입학사정관제의 미래 비전에 대해 명목집단기법

(NGT)을 활용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NGT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4단계 절차에 따라 1단계부터 차례대로 4단계까지 실시되었

다. 4단계는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스티커를

나누어주고 벽면에 있는 아이디어들 가운데 중요도 1∼5순위를 결정하여 1순

위는 5개, 2순위는 4개, 3순위는 3개, 2순위는 1개, 1순위는 1개의 스티커를 개

인별로 붙이도록 하였다.

입학사정관제의 미래 비전 관련하여 향후 5년 후 입학사정관제의 모습을

중심으로 의견 제시하도록 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 결과는 다음 <표 IV-2>와

같다.

Page 5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순위 내용 우선순위 Rating

1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권한 강화 ●●●●●●●●●●●●●●●●●

2 학생 선발의 대학 자율화 ●●●●●●●●●●●●●●●●

3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책으로서의 입학사정관 ●●●●●●●●●●●●●●

4 입학사정관제도 정착을 위한 지속적 재정지원 ●●●●●●

5 공교육정상화를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 ●●●●●

6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의 사회적인

공감대형성●●●●

7선발과 대학생활의 잠재가능성 발현을 위한

교두보 역할●●●

7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성 강화 ●●●

9 입학사정관제에 지원하는 학생부담 경감 ●●

9 학생 선발 규모의 적정화 ●●

9 입학사정관제도 실시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 ●●

13 입학사정관 협의체 활성화 ●

<표Ⅳ-2>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비전 관련 NGT결과 우선순위

입학사정관제의 미래 비전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

과 같다.

□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권한 강화: 외부적인 요인이나 정부

의 정책에 의해 입학사정관제도를 도입하는 것보다는 입학사정관이 제

대로 역할을 잘 수행해서 대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교내의 인정

을 받아야 제도의 존재가치가 부각될 수 있음. 이에 무엇보다 입학사정

관의 전문성이 확보되는 것이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과 발전에 더욱

중요한 요소임. 미국의 경우는 higher education 의 student affair 전공

이 있을 정도로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음

Page 5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51

□ 학생선발의 대학자율화: 입학사정관제도의 취지는 대학의 자율화를 바

탕으로 함. 이에 대학의 인재상이나 대학이 요구하는 인재를 선발하는

도구로서의 입학사정관제도의 역할이 중요함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책으로서의 입학사정관: 공교육 정상화(활성화)

에 기여하는 정책이어야 함. 입학사정관제도를 선발전형으로서가 아니

라 교육 및 입시 패러다임 전환의 역할로 정착시켜야 함. 고등학교 교

육과정을 잘 이수한 학생이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정당하게 평가받을

수 있도록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입학사정관제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

□ 입학사정관 제도 정착을 위한 지속적인 재정 지원: 제도의 정착을 위해

법률적이나 행정적으로 예산이 뒷받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재정 지

원 측면에서 입학사정관제를 장기적으로 20년 이상 진행하고 정착시킬

수 있도록 장기적인 비전과 함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함.

□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 현재 사교육에 치중되어

있는 공교육의 왜곡된 모습을 바로잡아 공교육 정상화를 기반으로 입

학사정관제도의 정착과 발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 선발과 대학생활의 잠재가능성 발현을 위한 교두보 역할: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바탕으로 대학교육을 통해 학생의 성장과 잠재력을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고등학교 교육과 대학교육의 연계가 필요함. 선발

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선발과 대학생활의 잠재 가능성 발현을 위한

교두보의 역할이 되어야 함. 운동선수의 경우 투수의 발굴을 위해 스카

우트해 오듯이 대학교육에서도 학생을 선발해서 대학 내에서 잠재력을

발휘될 수 있도록 학생 선발의 시스템을 개선해야 함

□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의 사회적인 공감대형성: 정말 반드시

필요한 제도인지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입학사정관

제에 대한 신뢰가 구축되어 있지 않음. 미국의 경우 사정관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지 않지만 국내에서는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현실. 수치만이 아니라 정성적인 평가가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과

다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함. 따라서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평가 패

Page 6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러다임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이 필요함.

□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성 강화: 입학사정관의 양성시스템을

통해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함. 입학사정관 교육의 경우도 입학사정관의

재교육과 양성과정이 분리되는 것이 필요함. 입학사정관의 양성이 고등

교육의 전공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음

□ 입학사정관제도에 지원하는 학생부담 경감: 입학사정관제도가 학생입장

에서는 기존 입시제도에 비해 부담으로 작용될 수 있음. (성적만이 아

니라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등의 스펙을 쌓아야 하는 현실) 자연스럽

게 고교 생활 안에서 해결 가능한 범위에서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함으

로써 학생 부담을 경감할 필요가 있음. 입학사정관제도가 도입된 이유

는 사교육의 억제 차원에서 시작한 면이 있는데 공교육 정상화에 부흥

하는 입학사정관제도의 도입이 필요함.

□ 학생 선발 규모의 적정화: 현재 급작스러운 입학사정관 전형의 확대는

물리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임. 입학사정관 선발 정원이나 제도의

정착을 위해 수시는 입학사정관전형으로 가는 편임. Y대는 수시의 80%

이상, K대는 전체 선발 단위의 70%가 입학사정관제도로 선발하고 있

음. 이러한 급격한 학생규모의 상승에 대한 부작용을 염두에 두어야

함. 입학사정관제도의 확대는 사업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업을 위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 대학 브랜드 제고와 같은 목적으로 입학사정관

제도의 가치를 인식하지 않은 채 무작정의 확대는 지속가능성이 없음.

□ 입학사정관제도 실시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 그동안 입시 업무를 교수

가 담당하였으나, 교수는 수업과 연구에 집중하도록 하고 입학사정관은

학생 선발을 전담하도록 함. 이를 위해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

한 권한 강화가 필수적임. 또한 각 학교별 입학사정관제도 실시의 선택

과 집중이 필요함. 재정적인 지원이 없을 경우에도 특성화 대학, 순수

과학 분야(예: KAIST)와 자질 있는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과 교육대

학 같은 경우 입학사정관제도에 잘 부합하는 대학으로 선택과 집중의

타겟이 될 수 있음

□ 입학사정관 협의체 활성화: 입학사정관 협의회 조직이 설립되어 활성화

Page 6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53

되고 있음. 대교협이나 진학지도 협의회, 교과부와 입학사정관의 협의

체가 함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국제적인 교류차원까지 생각한다면 장

기적으로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에 기여할 것.

□ 입학사정관 전형의 수시전형에로의 통합: 현재 입학사정관의 전형이 정

시와 수시로의 구분 속에 혼재되어 있는 상태. 입학사정관 전형은 정성

적인 면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것인데, 정시보다는 수시에서 입학사정관

이 학생의 정성적인 것을 평가함으로써 입학사정관전형을 확대할 필요

가 있음. 또한 정해진 기간에 선발하고 인원이 크게 늘다보니 인력을

충원해도 한계가 있는 상황. 연중으로 지속적으로 준비하면 입학사정관

및 학생에게 바람직함

모든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입학사정관제도가 추구할 방향은 신뢰

를 바탕으로 한 사회의 공감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

한 다양한 배경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학적 안목을 가지고 활동하고 지속

적인 상담과 홍보 활동을 통해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

여 공감대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입학사정관의 신분 보장이 시급한 과제라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입학사정관

의 신분, 급여 및 대우 등과 관련하여 합리적인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다. 각

대학별로 입학사정관제 실시와 맞물려 적지 않은 인원을 선발하다보니 대부

분 계약직으로 선발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을 위해 대교협에서 교과

부 차원에서 입학사정관의 최소한 기준 자격 및 입학사정관의 처우과 관련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Page 6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항목 내용 비고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자료를 선별하

여 정량적, 정성적 평가 자료를 구성하는 능력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명료하고 타당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는 능력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

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전형자료의 신빙성과 내용의 진정성을 평가하

여 신뢰성을 검증하고 전형자료의 의미를 밝

혀낼 수 있는 능력

4. 지원자 인터뷰 능력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진행하

고 평가하는 능력

5. 대입 전형의 다양한 방

식을 분석하는 능력

정량적인 자료와 정성적인 자료를 포함한 다

양한 방식의 대입전형을 분석하는 능력추가(NGT

결과)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대학별, 전공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을 설계하는 능력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

한 이해

고등학교의 다양한 유형과 교육 연건에 대한

분석, 학교활동과 교육과정, 특별활동 프로그

램을 반영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

한 이해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

정에 대한 이해

각 대학의 전공별 요구되는 인재상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

한 이해

9.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

책적 이해

국내외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각 대학의 실정에 맞추어 토착화하

는 능력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지원자가 제출하는 각종 데이터와 학교가 제

공하는 데이터, 매년 누적적으로 보유하게 되

는 각종 입학전형에 도움이 되는 관련 데이터

2.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및 미래비전 설문 분석 결과

가.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및 미래 비전 설문 구성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설문은 앞의 델파이 분석을 통해 내적 타당도를 확

보한 18문항을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에서 주요 순위 안에 포함된 내용을

추가하여 23개 문항으로 아래의 <표Ⅳ-3>과 같이 구성하였다. 또한 현재 보

유한 수준과 필요수준을 각각 5점 리커트 척도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표Ⅳ-3>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설문

Page 6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55

의 수집하고 관리하는 능력

11.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는 능력

자료를 검토하고 자료의 특성 및 적절성을 평

가하여 데이터를 처리 분석하는 능력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분석한 자료를 의미 있는 정보로 도출하는 능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대학의 구성원으로써 대학의 행정조직의 실태

와 업무흐름에 대한 이해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대학 내 행정시스템 및 대학입학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대학의 장점과 교육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가

장 효과적으로 알리는 방안에 대해 전략적으

로 접근하는 능력

16. 프리젠테이션 능력정보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프리젠테

이션 능력

17.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대학 자체의 별도 프로그램(설명회, 캠퍼스 투

어, 캠프 및 강연회 등) 기획, 준비 및 운영하

는 능력

18. 팀워크 조직 내 협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팀워크

19. 리더십조직 내 의견을 조율하고 업무를 분장하여 업

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리더십추가(NGT

결과)

20.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입학전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고도의 윤리

성과 사회적 책무성

21.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

대학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추가(NGT

결과)

22. 자기관리능력출장 및 외근, 집중적 업무처리를 위한 체력

및 가족관계 관리추가(NGT

결과)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

전형계발과 관련해서 이전까지 선발한 학생들

의 정보와 통계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추가(NGT

결과)

입학사정관제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설문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도출된 주요 이슈 14개 문항으로 다음 <표Ⅳ-4>와 같이 구성하여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을 각각 나누어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Page 6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번 호 문 항

1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권한 강화

2 대학이 요구하는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대학의 자율권확보

3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에 중점을 두어 추진

4 입학사정관 제도 정착을 위한 지속적 재정 지원

5 공교육정상화를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

6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사회적인 공감대형성

7학생 선발과 대학생활의 잠재가능성 발현을 위한 교두보 역할

(고등학교 교육과 대학교육의 연계에 기여하도록)

8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성 강화

9입학사정관제도에 지원하는 학생부담 경감

(일반적인 고교 생활 내에서 해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시행)

10

학생 선발 규모의 적정화

(선발시기를 연중 수시로 확대하거나 적정한 수준으로 조절하여

급격한 선발규모의 확대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

11입학사정관제도 실시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

(학교별 특성화 유도하되 획일적인 실시의 지양)

12 입학사정관 협의체 활성화

13 학부과정에서의 입학사정관 양성

14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컨설팅

<표Ⅳ-4> 입학사정관의 미래비전 설문

나.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요구분석 결과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요구를 분석하고 미래 입학사정관제의

비전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직무역량과 관련하여 조대연(2009)이 제

안한 절차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의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

도 공식을 활용하여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HH분면에 속한 역량과 역량개수를 파악하였

다. 마지막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의 HH분면에 속한 역량 개

Page 6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57

항목

현재수준 필요수준 차 이요구

우선

순위평균표준

편차평균

표준

편차평균

표준

편차t 값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3.55 0.90 4.62 0.67 1.08 1.10 10.19* 5.06 2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3.34 0.89 4.66 0.62 1.32 1.15 11.82* 6.23 1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3.46 1.03 4.54 0.71 1.09 1.36 8.31* 5.02 3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3.44 1.01 4.49 0.67 1.04 1.21 8.83* 4.70 4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

하는 능력3.57 0.98 4.21 0.73 0.63 1.20 5.43* 2.69 8

6. 분야별 인재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3.30 1.00 4.25 0.75 0.96 1.25 7.82* 4.13 5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3.53 1.01 4.42 0.73 0.89 1.22 7.44* 3.95 6

수만큼 Borich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결과와 중복성을 확인하여 입학사정관의 최우선 순위 역량과 차순위 역량을

결정하였다.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의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

정을 실시하였다. t 검정의 결과는 아래의 <표Ⅳ-5>와 같다. 입학사정관 역량

에 대하여 대부분의 직무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총 23개 역량들 가운데 t 값이 가장 높은 역량은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t = 11.82)이며, t 값이 가장 낮은 항목은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t = 0.55)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 검정의 결과는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잠정적인 도움만을 주며 정

확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조대연, 2009). 따라서

Borich 요구도 공식에 의해 요구도 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요구도 값에 따

라서 우선순위를 결정 하였다. Borich 공식을 활용한 요구도 값과 그 우선순

위 결과 또한 아래 <표Ⅳ-5>에서 살펴 볼 수 있다.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한 결과 가장 높은 요구도 값은 ‘평가기준의 설

정 능력’의 6.23이었다. 그 다음 순으로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

력’의 5.06,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의 5.02 순으로 우

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Ⅳ-5>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Page 6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3.64 0.85 4.18 0.83 0.51 1.18 4.44* 2.15 11

9.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해 3.66 0.94 3.90 0.92 0.24 1.20 2.04* 0.94 17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3.41 0.98 4.13 0.83 0.73 1.21 6.19* 3.03 7

11.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

는 능력3.79 0.79 4.12 0.81 0.32 1.10 3.03* 1.35 15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3.61 0.94 4.16 0.75 0.55 1.24 4.53* 2.30 9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3.55 0.98 3.71 0.90 0.14 1.33 1.10 0.53 20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3.52 0.97 3.88 0.92 0.37 1.24 3.04* 1.44 14

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3.46 0.91 3.79 0.82 0.35 1.13 3.18* 1.33 16

16. 프리젠테이션 능력 3.83 0.89 3.95 0.85 0.13 1.09 1.25 0.53 21

17.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3.73 0.92 3.88 0.86 0.18 1.22 1.52 0.70 19

18. 팀워크 3.87 0.81 4.21 0.86 0.34 1.07 3.28* 1.47 13

19. 리더십 3.51 0.90 4.00 0.78 0.50 1.00 5.07* 2.02 12

20.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4.27 0.79 4.37 1.00 0.07 1.25 0.55 0.30 23

21. 소속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 3.94 0.99 4.06 1.01 0.11 1.30 0.83 0.44 22

22. 자기관리능력 3.86 0.86 4.06 0.93 0.21 1.10 1.96 0.87 18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3.67 0.99 4.21 0.86 0.54 1.22 4.57* 2.29 10

*p<.05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의 [그림Ⅳ-1]과 같다.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의 필요수준

평균은 4.16이며, 불일치 수준은 평균 0.54이다. 필요수준의 평균과 불일치

수준의 평균을 축으로 하여 4개 분면으로 구분하면, 제 1사분면의 영역이 필

요수준에 대한 인식이 높고, 불일치 수준이 높은 분면으로서 우선적으로 고

려되어야 할 역량들이다. 분석결과 제 1사분면에 포함되는 입학사정관 역량

은 총 8개로 확인되었다.

Page 6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59

[그림Ⅳ-1]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Borich의 요구도 산출 공식에 의해 도출된 우선순위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영역에 포함되는 역량 수만큼 고려하여 비교

분석하면 다음 <표Ⅳ-6>과 같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

델 각각의 우선순위 도출 방법에 따라 총 7개의 역량이 공통적으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3개의 입학사정관 역량 항목 중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최우선순위 직무역량군이라 할 수 있다.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

하는 능력’, ‘지원자 인터뷰 능력’,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분야별 인재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

한 이해’가 최우선순위 직무역량군에 포함되었다. 또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가운데 한쪽에서만 요구도가 높았던 항목인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과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은 앞서 도출

된 7개 항목에 이어 고려해야 할 차순위 요구 역량이라 할 수 있다.

Page 6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항목

우선 순위 도출방법

Borich의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Focus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O O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O O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O O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O O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O O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O O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O O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O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 O

<표Ⅳ-6>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다.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결과

학력별로 ‘석사졸업’ 및 ‘박사과정 이상’으로 나누어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의

요구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학사정관 역량에 대하여 학력별로 대부

분의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석사 이하’ 학력을 살펴보면,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에 의한 요

구도 값 및 우선순위의 결과는 아래의 <표Ⅳ-7>과 같다. 총 23개 역량들 가

운데 t 값이 가장 높은 역량은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으로 11.37의 t 값을

보였으며, t 값이 가장 낮은 항목은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으로 0.54의 t

값을 보였다.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한 결과 가장 높은 요구도 값은 t 값이 가장 높

았던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의 6.82이었다. 그 다음 순으로 ‘평가 자료를 선

별하고 구성하는 능력’의 5.55,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

력’의 5.42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6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61

항목

현재수준 필요수준 차 이요구도

우선순위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

편차 t 값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3.48 0.90 4.64 0.67 1.18 1.06 9.78* 5.55 2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3.27 0.90 4.70 0.58 1.43 1.10 11.37* 6.82 1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3.44 1.08 4.58 0.72 1.17 1.43 7.19* 5.42 3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3.39 1.04 4.48 0.70 1.09 1.27 7.54* 4.95 4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

하는 능력3.48 0.98 4.22 0.73 0.71 1.23 5.08* 3.05 8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

인 전형 설계3.30 0.99 4.27 0.72 0.99 1.18 7.24* 4.27 5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3.65 0.96 4.41 0.75 0.75 1.17 5.64* 3.37 6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

한 이해3.56 0.88 4.20 0.79 0.62 1.17 4.67* 2.66 11

9.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

해3.59 0.97 3.90 0.95 0.30 1.22 2.16* 1.20 16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3.45 0.98 4.18 0.80 0.74 1.22 5.33* 3.14 7

11.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

는 능력3.81 0.80 4.20 0.82 0.39 1.08 3.17* 1.68 13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3.58 0.95 4.23 0.74 0.65 1.20 4.75* 2.78 10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3.51 1.02 3.73 0.93 0.21 1.37 1.34 0.80 21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3.52 0.98 3.84 0.99 0.32 1.31 2.17* 1.26 15

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3.49 0.93 3.76 0.82 0.30 1.08 2.43* 1.14 17

16. 프리젠테이션 능력 3.77 0.89 3.94 0.87 0.19 1.05 1.63 0.78 22

17.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3.70 0.96 3.89 0.87 0.22 1.18 1.65 0.87 20

18. 팀워크 3.88 0.81 4.23 0.89 0.36 1.08 2.87* 1.54 14

19. 리더십 3.47 0.88 4.01 0.81 0.55 0.93 5.18* 2.28 12

20.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4.27 0.81 4.38 1.01 0.08 1.27 0.54 0.35 23

21. 소속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 3.99 0.97 4.21 0.97 0.23 1.24 1.59 0.98 19

22. 자기관리능력 3.86 0.87 4.09 0.92 0.24 1.03 2.00* 0.99 18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3.60 1.02 4.26 0.87 0.67 1.22 4.81* 2.88 9

<표Ⅳ-7>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석사졸업

*p<.05

Page 7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항목

현재수준 필요수준 차 이요구도

우선순위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

편차 t 값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3.72 0.88 4.57 0.68 0.83 1.17 3.82* 3.78 5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3.52 0.87 4.57 0.73 1.03 1.24 4.50* 4.72 2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3.52 0.87 4.43 0.68 0.90 1.14 4.22* 3.97 4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3.59 0.91 4.50 0.57 0.90 1.05 4.61* 4.03 3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

하는 능력3.79 0.94 4.20 0.71 0.41 1.09 2.05* 1.74 10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

인 전형 설계3.31 1.04 4.20 0.85 0.90 1.45 3.33* 3.77 6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3.21 1.08 4.45 0.69 1.25 1.29 5.11* 5.56 1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

한 이해3.86 0.74 4.10 0.92 0.21 1.18 0.95 0.85 14

9.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

해3.83 0.85 3.90 0.84 0.07 1.13 0.33 0.27 18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3.28 1.00 4.00 0.91 0.69 1.20 3.10* 2.76 7

11.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

는 능력3.76 0.79 3.90 0.76 0.14 1.13 0.66 0.54 17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3.69 0.93 3.97 0.76 0.28 1.33 1.11 1.09 13

다음으로 ‘박사과정이상’ 학력을 살펴보면,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에

의한 요구도 값 및 우선순위의 결과는 아래의 <표Ⅳ-8>과 같다. 총 23개 역

량들 가운데 t 값이 가장 높은 역량은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로

5.11의 t 값을 보였으며, t 값이 가장 낮은 항목은 ‘소속 대학에 대한 자긍심

과 애정’으로 -0.78의 t 값을 나타냈다.

그리고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한 결과 가장 높은 요구도 값은 t검정 값

이 가장 높았던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의 5.56이었다. 그 다음 순

으로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의 4.72, ‘지원자 인터뷰 능력’의 4.03 순으로 우

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Ⅳ-8>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

박사 이상

Page 7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63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3.66 0.86 3.63 0.81 -0.03 1.21 -0.15 -0.13 21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3.52 0.95 4.00 0.69 0.48 1.06 2.46* 1.93 8

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3.38 0.86 3.87 0.82 0.48 1.27 2.05 1.87 9

16. 프리젠테이션 능력 4.00 0.89 3.97 0.81 -0.03 1.18 -0.16 -0.14 22

17.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3.79 0.82 3.87 0.86 0.07 1.33 0.28 0.27 19

18. 팀워크 3.83 0.80 4.13 0.78 0.31 1.07 1.56 1.28 12

19. 리더십 3.62 0.94 3.97 0.72 0.34 1.17 1.58 1.37 11

20.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4.28 0.75 4.33 0.99 0.03 1.21 0.15 0.15 20

21. 소속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 3.83 1.07 3.67 1.03 -0.21 1.42 -0.78 -0.76 23

22. 자기관리능력 3.86 0.83 4.00 0.98 0.14 1.27 0.58 0.55 16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3.86 0.92 4.07 0.83 0.21 1.18 0.95 0.84 15

*p<.05

학력별로 입학사정관 역량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우선

순위를 분석하였다. 석사졸업 이하의 결과는 아래의 [그림Ⅳ-2]와 같다. 석사

졸업 이하 입학사정관 역량의 필요수준 평균은 4.19이며, 불일치 수준 평균

은 0.59이다. 필요수준에 대한 인식이 높고, 불일치 수준이 높은 분면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역량들을 나타내는 제 1사분면에 포함되는 입학사

정관 역량은 총 10개로 나타났다.

Page 7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그림Ⅳ-2]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석사졸업이하

박사과정 이상의 결과는 아래의 [그림Ⅳ-3]과 같다. 박사 이상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의 필요수준 평균은 4.10이며, 불일치 수준 평균은 0.41이다. 제 1사

분면에 포함되는 입학사정관 역량은 총 7개로 나타났다.

Page 7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65

[그림Ⅳ-3]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박사과정이상

학력별로 Borich의 요구도 산출 공식에 의해 도출된 우선순위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영역에 포함되는 역량 수만큼 고

려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석사졸업이하에 해당되는 것은 다음 <표Ⅳ-9>와 같

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각각의 우선순위 도출 방법

에 따라 총 9개의 역량이 공통적으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3

개의 입학사정관 역량 항목 중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구라 할 수 있

다.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전형자료

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지원자 인터뷰 능력’, ‘대입전형의 다

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 능력’이 공통적으로

높은 요구를 나타냈다. 또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각

Page 7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항목

우선순위 도출방법

Borich의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O O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O O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O O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O O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O O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O O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O O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O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O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O O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 O O

각에서만 요구도가 높았던 항목은 앞서 도출된 9개 항목에 이어 고려해야 할

차순위 요구 역량이라 할 수 있다.

<표Ⅳ-9>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석사졸업이하

다음으로 박사과정 이상에 해당되는 결과는 다음 <표Ⅳ-10>과 같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각각의 우선순위 도출 방법에 따라 총

6개의 역량이 공통적으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3개의 입학사

정관 역량 항목 중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구라 할 수 있다. ‘평가 자료

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지원자 인터뷰 능력’,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분야별 인재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그리고 ‘고등학

교 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가 공통적으로 높은 요구를 나타냈다. 또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각각에서만 요구도가 높았던 항

Page 7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67

항목

우선순위 도출방법

Borich의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O O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O O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O O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O O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O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O O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O O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O

목은 앞서 도출된 6개 항목에 이어 고려해야 할 차순위 요구 역량이라 할 수

있다.

<표Ⅳ-10> 학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박사과정이상

라.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경력별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요구분석을 위하여 경력을 1년 미만과 1년

이상으로 나누어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력별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 직무

역량에 대하여 많은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1년 미만에서의 t 검정 및 Borich 요구도 값과 그 우선순위의 결과는

아래의 <표Ⅳ-11>과 같다. 총 23개 역량들 가운데 t 값이 가장 높은 역량은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t=10.39)이고, t 값이 가장 낮은 항목은 ‘윤리성과 사

회적 책무성(t=-0.19)’였다.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한 결과 가장 높은 요구도 값은 t 값 또한 가장

높았던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의 7.96이었다. 그 다음 순으로 ‘전형자료의 신

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의 6.25,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

력’의 5.56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7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항목현재수준 필요수준 차 이

요구도 우선순위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t 값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3.30 0.88 4.53 0.73 1.23 1.16 7.03* 5.56 3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3.05 0.83 4.73 0.58 1.68 1.07 10.39

* 7.96 1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3.11 0.97 4.51 0.76 1.39 1.38 6.64* 6.25 2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3.14 1.00 4.33 0.77 1.20 1.32 6.04* 5.22 4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

하는 능력3.25 0.92 4.07 0.75 0.80 1.30 4.05* 3.23 7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

인 전형 설계3.18 0.90 4.11 0.78 0.93 1.28 4.77* 3.83 6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3.39 0.95 4.31 0.82 0.91 1.25 4.81* 3.92 5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

한 이해3.61 0.75 4.07 0.91 0.43 1.28 2.23* 1.76 15

9.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

해3.27 0.73 3.87 0.87 0.57 1.21 3.12* 2.20 10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3.27 0.87 3.98 0.89 0.70 1.29 3.63* 2.80 8

11.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

는 능력3.52 0.70 3.98 0.88 0.49 1.24 2.58* 1.94 13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3.55 0.90 4.00 0.85 0.45 1.42 2.12* 1.82 14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3.18 1.02 3.61 0.87 0.42 1.48 1.85 1.51 16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3.09 0.91 3.76 0.93 0.66 1.27 3.43* 2.48 9

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3.09 0.86 3.64 0.83 0.57 1.35 2.78* 2.07 12

16. 프리젠테이션 능력 3.64 0.89 3.80 0.97 0.16 1.27 0.83 0.60 20

17.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3.55 0.90 3.78 0.93 0.25 1.35 1.23 0.94 18

18. 팀워크 3.84 0.78 4.07 1.10 0.20 1.32 1.03 0.83 19

19. 리더십 3.25 0.78 3.80 0.92 0.55 1.11 3.26* 2.07 11

20.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4.16 0.83 4.13 1.20 -0.05 1.57 -0.19 -0.19 23

21. 소속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 3.80 0.95 3.91 1.06 0.09 1.46 0.41 0.36 21

22. 자기관리능력 3.77 0.74 3.80 1.01 0.05 1.14 0.26 0.17 22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3.57 0.87 3.91 1.00 0.36 1.37 1.77 1.42 17

<표Ⅳ-11>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1년 미만

*p<.05

Page 7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69

항목

현재수준 필요수준 차 이요구도

우선순위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

편차 t 값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3.73 0.89 4.68 0.64 0.98 1.06 7.13* 4.68 2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3.56 0.88 4.61 0.66 1.05 1.13 7.09* 4.93 1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3.71 0.98 4.57 0.68 0.90 1.32 5.22* 4.18 4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3.64 0.96 4.58 0.58 0.93 1.13 6.35* 4.35 3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

하는 능력3.78 0.97 4.29 0.70 0.51 1.12 3.49* 2.22 11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3.40 1.06 4.31 0.73 0.95 1.23 5.85* 4.16 5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3.64 1.03 4.52 0.64 0.88 1.22 5.51* 4.04 6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3.66 0.94 4.25 0.77 0.56 1.13 3.79* 2.42 10

9.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해 3.93 0.99 3.89 0.96 -0.0

3 1.14 -0.23

-0.1

4 22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3.47 1.06 4.23 0.79 0.76 1.18 4.97* 3.28 7

11.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

는 능력3.97 0.81 4.20 0.77 0.22 1.00 1.69 0.94 15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3.64 1.00 4.28 0.65 0.64 1.11 4.45* 2.80 9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3.81 0.88 3.75 0.92 -0.0

7 1.19 -0.44

-0.2

6 23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3.81 0.90 3.95 0.93 0.15 1.22 0.96 0.61 19

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3.69 0.86 3.89 0.79 0.24 0.92 1.99 0.94 16

16. 프리젠테이션 능력 3.95 0.88 4.06 0.75 0.15 0.94 1.24 0.63 18

17.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3.83 0.93 3.97 0.81 0.17 1.13 1.15 0.68 17

경력 1년 이상에서의 t 검정 및 Borich 요구도 값과 그 우선순위의 결과는

아래의 <표Ⅳ-12>와 같다. 총 23개 역량들 가운데 t 값이 가장 높은 역량은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t=7.13)’이었으며, t 값이 가장 낮은 항

목은 ‘대학행정조직의 이해(t=-0.44)였다.

가장 높은 Borich 요구도 값은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의 4.93이었다. 그 다

음 순으로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의 4.68, ‘지원자 인터뷰 능

력’의 4.35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았다.

<표Ⅳ-12>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1년 이상

Page 7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18. 팀워크 3.90 0.80 4.30 0.66 0.43 0.84 3.91* 1.92 12

19. 리더십 3.69 0.91 4.13 0.65 0.45 0.92 3.71* 1.92 13

20.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4.37 0.74 4.52 0.84 0.12 0.97 0.94 0.56 21

21. 소속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 4.05 1.02 4.19 0.96 0.14 1.20 0.88 0.61 20

22. 자기관리능력 3.90 0.94 4.23 0.85 0.34 1.09 2.42* 1.51 14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3.71 1.08 4.39 0.70 0.69 1.11 4.73* 3.06 8

*p<.05

경력 1년 미만에서의 입학사정관 역량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

용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의 [그림Ⅳ-4]와 같다. 입학사정관 역

량의 필요수준의 평균은 4.03이며, 불일치 수준은 평균 0.61이다. 필요수준에

대한 인식이 높고, 불일치 수준이 높은 분면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제 1사분면에 포함되는 입학사정관 역량은 총 7개로 나타났다.

[그림Ⅳ-4]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1년 미만

Page 7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71

경력 1년 이상에서의 입학사정관 역량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

용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의 [그림Ⅳ-5]와 같다. 입학사정관 역

량의 필요수준의 평균은 4.25이며, 불일치 수준은 평균 0.50이다. 필요수준에

대한 인식이 높고, 불일치 수준이 높은 분면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제 1사분면에 포함되는 입학사정관 역량은 총 9개로 나타났다.

[그림Ⅳ-5]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의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

1년 이상

Borich의 요구도 산출 공식에 의해 도출된 우선순위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영역에 포함되는 역량 수만큼 고려하여 중복

성을 확인하였다.

경력 1년 미만에서의 결과는 아래의 <표Ⅳ-13>과 같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보인 역량들을 확

인한 결과 총 7개의 역량이 확인되었다. 즉 최우선순위 역량으로 ‘평가 자료

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지원자 인터뷰 능력’,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Page 8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항목

우선순위 도출방법

Borich의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O O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O O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O O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O O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O O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O O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O O

분석하는 능력’,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그리고 ‘고등학

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가 포함되었다.

<표Ⅳ-13>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 1년 미만

경력 1년 이상에서의 결과는 아래의 <표Ⅳ-14>와 같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각각의 우선순위 도출 방법에 따라 총 8개의 역

량이 공통적으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

하는 능력’,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지원자 인터뷰 능력’,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전형 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이 공통적으로

높은 요구를 나타냈다. 또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각

각에서만 요구도가 높았던 항목은 앞서 도출된 8개 항목에 이어 고려해야 할

차순위 요구 역량이라 할 수 있다.

Page 8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73

항목

우선순위 도출방법

Borich의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O O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O O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O O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O O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O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O O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O O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O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O O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 O O

<표Ⅳ-14> 경력별 입학사정관 역량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 1년 이상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을 학력과 경력별로 분석한 결과, 각각의 요구 최우

선순위, 차순위는 아래의 <표Ⅳ-15>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학력과 경력에

따라 요구 우선순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

하여 평가하는 능력’, ‘지원자 인터뷰 능력’,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는 모두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내고 있다.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는 학력별,

석사 이하에서만 높은 우선순위를 보였으며,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은 학력별에

서 석사이하, 경력별에서 1년 이상에서만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냈다.

Page 8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항목

학력별 경력별

석사 이하 박사 이상 1년 미만 1년 이상

최우선순위

차순위

최우선순위

차순위

최우선순위

차순위

최우선순위

차순위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O O O O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O O O O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O O O O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O O O O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

하는 능력O O O O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O O O O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O O O O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O

9. 국내 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해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O O O

11.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

는 능력

12.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O O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16. 프리젠테이션 능력

17.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18. 팀워크

19. 리더십

20.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21. 소속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

22. 자기관리능력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O O

<표Ⅳ-15> 입학사정관 역량 변인별 분석

Page 8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75

마.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분석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비전을 위해 앞으로 입학사정관제도의 성공적 정착

의 모습을 분석한 결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사회적인 공

감대 형성’이 평균 4.66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입학사

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권한 강화’가 평균 4.47,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이 평균 4.39를 나타냈다. 반면 ‘학부과정에서의 입학

사정관 양성’은 평균 2.79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표Ⅳ-16>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분석 결과

항목 평균 표준편차

1.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권한 강화 4.47 0.68 2. 대학 스스로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대학의 자율

권확보4.30 0.75

3.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에 중점을

두어 추진4.27 0.72

4. 입학사정관 제도 정착을 위한 지속적 재정 지원 4.35 0.79

5. 공교육정상화를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 4.39 0.74 6.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4.66 0.54

7. 학생 선발과 대학생활의 잠재가능성 발현을 위한

교두보 역할

(고교 교육과 대학교육의 연계에 기여하도록)

4.32 0.62

8.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성 강화 4.12 0.85 9. 입학사정관제도에 지원하는 학생부담 경감

(입학사정관 전형에 지원하기 위해 부가적 노력-

사교육, 스펙쌓기 등- 최소화)

4.22 0.68

10. 학생 선발 규모의 적정화

(선발시기를 연중 수시로 확대하거나 적정한 수준

으로 조절하여 선발규모의 확대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

4.19 0.74

11. 입학사정관제도 실시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

(학교별 특성화 유도하되 획일적인 실시의 지양)4.18 0.77

12. 입학사정관 협의체 활성화 3.90 0.87

13. 학부과정에서의 입학사정관 양성 2.79 1.16

14.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컨설팅 3.69 0.87

Page 8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프로그램명 내용 교육방법

제1차 직무연수

- 서류평가 실습

- 전형개발

- 입학전형 개요

- 모의 서류평가 등

실습

제2차 직무연수

- 면접평가(기초과정)

- 면접평가 기초과정

- 패널면접 등실습

제3차 직무연수

- 입학사정관제 일반(기본교육)

-입학사정관의 역할과 고민

- 대입입학정책이 이해

- 입학자료의 통계적 분석전략

- 학교생활기록부 이해

- 추천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 고교 특성화 교육현황

- 역량기반 면접 평가 기법

강의

제4차 직무연수

- 면접평가(기초과정)

- 면접기초

- 패널면접 등실습

제5차 직무연수

- 면접평가(심화과정)- 패널면접 심화실습 실습

제6차 직무연수

- 입학사정관제 일반(기본교육)

- 학생부 비교과 의미와 평가 방안

- 교육행정 정보시스템[NEIS] 의

이해

- 입학사정관 전형 추수 관리 방안

- 리더십 역량 평가 방안

- 입학사정관 윤리강령의 규범적

성격과 위상

-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의 이해와 활용

- 입학사정관 전형의 방향과 과제

강의

행정연수 - 입학사정관제 운영 방향 등 강연

제7차 직무연수 - 전형의 개발 및 설계 실습

3. 입학사정관 직무역량기반 입학사정관 교육 프로그램 분석

앞에서 연구된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을 통해 입학사정관의 역할수행에

있어서 매우 높은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 진행되는

입학사정관 양성 또는 재교육 프로그램이 각각의 직무역량을 고려하여 구성

되었는지 입학사정관 교육프로그램 가운데 2개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

상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입학사정관 직무연수 프로그램과 K대의 입학사

정관 양성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10년 대학교육협의회의 입학사정관

직무연수 프로그램은 다음 <표Ⅳ-17>과 같다.

<표Ⅳ-17> 2010 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 교육 및 세미나 계획

Page 8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77

차시* 세부 교육 내용

1

대학의 이념과 역사/ 대입정책의 역할과 위상

입학전형의 중요성과 방향/ 입학사정관제 정책 및 법규

대학입학정책의 이해/ 중등교육과정의 이해와 입학사정관제

2

대학입학전형에서 입학사정관제/ 국내외 입학사정관제도

주요 행정부서의 업무/ 단과대학 및 학과의 특성

입학업무의 이해/ 국내외 주요 대학의 입시정책

3

입학사정관의 역할 이해/ 교육평가 방법의 이해

고교-대학 연계 협력방안/ 고교생의 진로와 대입상담

고등학교 유형별 핵심적 사항/ 고교 유형별 학습성취도

4

입학홍보/ 입학선발과정 설계방법

입학전형의 개발/전형의 타당성과 변별력

전형자료의 평가기법/ 생활기록부와 자기평가서와 추천서

5

전형자료의 평가기법/ 잠재력과 소질 및 인성과 창의력

모의서류평가1/ 모의서류평가2

고등학교 방문 개별 조사 및 보고서 작성

6

고교입학진로상담1/ 대학입학진로상담2

모의 입학진로상담1/ 모의입학진로상담2

대입정책의 역할/ 입학사정관의 윤리성

- 서류평가 실습- 입학사정관 전형 설계 실제

- 모의 서류평가 등

국제세미나- 주요 국외대학 입학사정관제 운영

사례 등강연

제8차 직무연수

- 입학사정관 업무역량 강화

- 입학사정관제와 정성적 평가

- 입학사정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입학사정관협의회이 역할

- 안정적 입학사정관제 정착방안

- 입학사정관제 운영의 효과적인

컨설팅 모색

- 한국형 입학사정관 전형 개발을

위한 논의

강의

대학교육협의회의 입학사정관 직무연수는 현직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하

며 차수별 2박 3일로 구성되어 8차 128시간 진행되는 입학사정관 재교육 프

로그램이다. 입학사정관 양성기관인 K대 사범대학 교육연수원의 입학사정관

양성 프로그램은 입학사정관 희망자를 대상으로 140시간 시수로 구성되어있

다. K대 교육연수원의 프로그램은 다음 <표Ⅳ-18>과 같다.

<표Ⅳ-18> 2010 K대학 교육연수원 입학사정관 양성 프로그램

Page 8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7

면접전형의 이해와 실제

전형요소의 실제-현장평가/ 실기 및 인․적성검사

면접에서의 코칭 및 화법/ 교육적 리더쉽

8

전형모형 설계 및 개발

전형요소의 실제-수능/전형요소의 실제-논술고사

전형요소의 실제-비교과영역

9

전형 후 데이터 처리 및 피드백 방안

모의면접평가1/ 모의면접평가2

고등교육과 미래사회의 인재상/기업이 바라는 인재상

10

입학사정관제와 공교육 정상화 및 사교육 경감방안

고등교육의 혁신과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전형의 모색

다양한 전형자료와 평가를 통한 선발방법 사례 워크숍

11

교육관련 단체의 이해/ 고등교육 정책과 입학사정관제

학교방문 개별과제 발표 및 보고서 제출

입학사정관제 실천사례연구/ 입학사정관 윤리관련 토의

12

선진입학사정관제의 비교분석 /최종평가

한국형 입학사정관제 대안 모색 워크숍

한국 대학 입학전형의 미래 / 수료식

핵심직무역량

입학사정관 교육프로그램

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 직무연수

K대 입학사정관

양성과정

1. 평가 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자료를 선별하여 정량

적, 정성적 평가자료를 구성하는 능력

전형자료 분석/

입학사정관전형

정성적 평가방법의

이론적 근거

전형자료의

평가기법/ 잠재력과

소질, 인성과

창의력/

생활기록부와

자기평가서와 추천서

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명료하고 타당한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능력

전형자료 분석/

모의 서류평가

전형의 타당성과

변별력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전형자료의 신빙성과 내용의 진정성을 평가하여 신

뢰성을 검증하고 전형자료의 의미를 밝혀낼 수 있

는 능력

전형자료 분석/

모의

서류평가/학생부

비교과의미와

평가방안

생활기록부와

자기평가서와

추천서/

모의서류평가

위의 두 프로그램을 앞에서 연구된 입학사정관의 최우선순위의 직무역량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의 <표Ⅳ-19>와 같다.

<표Ⅳ-19> 입학사정관 교육프로그램 비교

Page 8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79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평가

하는 능력

면접평가(기초과정/

심층과정)/ 패널

면접/ 역량기반

면접 평가 기법

면접전형의 이해와

실제/ 면접에서의

코칭 및 화법/

모의면접평가

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정량적인 자료와 정성적인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의 대입전형을 분석하는 능력

- 학교생활기록부

이해

- 추천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전형요소의 실제-

수능, 논술고사,

비교과 영역

6. 분야별 인재 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대학별 전공별 인재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을 설

계하는 능력

-전형개발

- 전형의 개발 및

설계

- 입학사정관 전형

설계의 실제

전형모형 설계 및

개발/ 입학선발과정

설계방법/

입학전형의

개발/고등교육

혁신과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전형의 모색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고등학교의 다양한 유형과 교육여건에 대한 분석,

학교활동과 교육과정,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반영하

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고교 교육과정/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의 이해/

고교특성화 교육현황

중등교육과정의

이해와

입학사정관제/

고교-대학 연계

협력방안/ 고교생의

진로와 대입상담/

고등학교 유형별

핵심적 사항/ 고교

유형별 학습성취도/

고교방문

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지원자가 제출하는 각종 데이터와 학교가 제공하는

데이터, 매년 누적적으로 보유하게 되는 각종 입학

전형에 도움이 되는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

하는 능력

/ /

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

전형계발과 관련해서 이전까지 선발한 학생들의 정

보와 통계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분석 능력

입학자료의 통계적

분석 전략

전형 후 데이터 처리

및 피드백 방안

대학교육협의회의 입학사정관 연수과정은 현직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실

시하는 재교육인 만큼 각 차수별로 한두 가지의 직무역량에 대해 집중적으로

심도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인터뷰 진행 및 평가능력 직

무역량과 관련하여서는 STAR 기법, 역량과 행동지표, 심리측정 모형 탐색, 입

학사정관제 면접 발전 방안 등의 다양한 각도에서 심층적인 접근이 이루어지

고 있다. 반면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능력에 대한 교육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8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K대의 교육연수원의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의 경우는 3개월에 걸친 교육기

간동안 핵심직무역량의 대부분을 소화하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있으나, 입

학관련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능력과 관련된 통계기법의 활용에 해당하는 프

로그램은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자료의 수집 및 관리능력과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

석능력 두 가지 역량은 입학사정관 교육과정에서 크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여 처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은 단시간에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내용이기에 관련 연수프로그램

에서 다루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에 두 가지 역량이 포함되었으므로, 실제 입학사정

관의 직무연수 및 양성과정에서 이 부분을 강화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Page 8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81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대입제도와 공교육 살리기를 위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서 입학사정

관제도는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계속

확대되고 있다. 물론 입학사정관제 실시에 대한 여러 논란 역시 계속되고 있

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제는 그동안의 대학입시가 지식중심의 성적에 의한 한

줄 세우기로 발생하는 부정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

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정부와 대학은 입학사정관으로서 자격과 자질을 갖춘 사람을 양성하여 선

발함과 동시에 입학사정관에게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역량에 기반 한 연수과정의 개발은 입

학사정관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출된 역량목록은 입학사정관의 선발 및 평가 지표로도 활용

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을 규명하고 요구분석을 통해 우선

순위 직무역량을 도출함과 동시에 입학사정관제도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미

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의 절차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문

헌분석을 통해 입학사정관의 직무와 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조

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들이 참여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직

무역량 목록의 초안을 확정하였다. 다음으로 명목집단기법(NGT)을 실시하여

입학사정관에 대한 직무역량과 미래 비전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

다. 델파이 분석 및 NGT 결과를 토대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과 입학사정관의 미래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하

였다. 마지막으로 우선순위 군으로 도출된 직무역량을 기준으로 한국대학교

육협의회와 K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입학사정관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

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논할 수 있다.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입학사정관이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직무역량을 선정

하기 위하여 문헌분석을 실시한 결과 25개의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Page 9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직무역량에 기초하여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18개의 직무역량을 일차적으로 확정하였다.

직무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한 또 다른 방법은 현직 전문가 5명을 대상

으로 NGT를 실시하여 필요한 직무역량 목록과 함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

다. NGT 결과의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고등학교 교육과정 이해, 입학사정관

직업 윤리, 학생부에 기재된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 대학에 대한 애정, 학교

내 전공에 대한 이해, 창의력, 새로운 전형개발을 위한 연구 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NGT 결과는 델파이 분석 결과로 도출된 역량을 보완하여 설문문

항을 개발하는데 활용하였다.

델파이 분석과 NGT 결과를 통해 일차적으로 선정된 23개의 입학사정관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필요수준과 현

재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Boris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

델을 활용하여 조대연(2009)이 제안한 우선순위 결정과정을 통해 최우선순위

군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평가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

력’,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지원자 인터뷰 능력’, ‘대입 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분야별

인재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 설계’,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를 최

우선순위 직무역량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현직 입학사정관들이

위 8개의 직무역량을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재교

육 기회가 제공될 때 특히 강조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의 학력에 따른 직무역량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석사이하는 9개의 직무역량이 최우선순위 요구에 포함되었고

박사이상은 6개의 직무역량이 포함되었다. 즉 입학사정관의 학력에 따라서

직무역량의 요구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

식을 분석하는 능력’과 ‘전형개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은 석

사이하에서만 최우선순위 역량군에 포함되었다. 또한 ‘대학의 전공 및 교육

과정에 대한 이해’ 역량은 석사이하의 차순위 역량군만 포함되었다.

또한 입학사정관의 경력에 따른 직무역량 요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1년

미만의 입학사정관들 경우 총 7개의 직무역량이 최우선순위 역량군으로 포

함되었다. 반면 1년 이상의 입학사정관들은 8개의 직무역량을 최우선순위 역

량군으로 꼽았다. 차순위 역량군까지 포함한다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진다(차

순위 역량군 2개 포함). 즉 1년 이상의 입학사정관들이 1년 미만의 입학사정

관들 보다 요구하는 직무역량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신임 입학사정관 보다

입학사정관 업무에 적응하고 있는 입학사정관들이 점점 더 직무 성과향상을

Page 9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83

위하여 요구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6개의 직무역량은 경력에

관계없이 최우선 순위군에 포함되었다. 만약 경력을 고려하지 않고 입학사정

관 직무연수를 기획할 때 이들 6개의 직무역량은 반드시 강조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입학사정관의 학력과 경력을 고려했을 때, ‘분석결과를 의미 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 능력‘은 석사학

위 이하와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입학사정관들이 최우수선 순위 역량군으

로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입학사정관 연수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입학사정관들에게 맞춤형

연수의 필요성이 강조될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비전]

NGT 결과에 의해 도출된 미래 비전을 위한 전략의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권한 강화, 학생 선발의 대학 자율화, 공

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책으로서의 입학사정관, 입학사정관 제도 정착을 위한

지속적 재정지원,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 순으로 나타

났다. NGT 결과를 토대로 14개의 입학사정관제 미래 비전을 위한 전략 관

련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NGT 분석과 설문분석 결과를 비교하면 상위권 우선순위 그룹과 하위권

우선순위 그룹에 큰 차이는 없었다. 상위권 그룹내에서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NGT와 설문분석 결과 약간의 차이는 나타났다. 예를 들면, NGT

분석에서 1순위였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이 설문분석결과 6순위로 나타났다. ‘대학 스스로 인재를 선발할 수 있

는 대학의 자율권 확보’가 설문분석에서는 2순위였으나 NGT에서는 6순위

였다. 또한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에 중점을 두어 추진’이

NGT에서는 7순위였으나 설문분석 결과 3순위였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

고 입학사정관제도 미래 비전달성을 위한 전략의 상위권 우선순위에 포함된

항목들은 동일하였다.

특히 설문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제

도의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권한 강화’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에 중점을 두어 추진‘, ‘공교육정상화

를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순이었다. 이는 입학사정관제도가 현재 도입

단계이기 때문에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입학사정관

Page 9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의 전문성 함양이 필수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입학사정

관제는 우리나라의 대입 정책의 하나로 고등학교 공교육 정상화의 연계선상

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는 결과라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사

항들이 존재하며 이들을 해결하는 노력과 과정을 통해 확대 추진해야 할 것

이다. 특히 입학사정관제도의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현제 제기되고 있

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개선안을 도출하여 적용한 후 점

진적인 확대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입학사정관 직무역량기반 입학사정관 교육 프로그램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은 입학사정관의 직무수행 역량을 효

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입학사정관의 직무역

량에 기반해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직무역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 직무

연수 프로그램 및 K대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교육 프로그램

이 필요한 직무역량에 기초하여 설계되었는지를 살펴보는데 중요한 작업이

라 할 수 있다.

9개의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에 대해 분석한 결과 8개의 역량에 대하여 대학

교육협의회 및 K대학의 프로그램 모두 교육내용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단,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은 두 개 기관 모두 교육내용으로 포

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인 보완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같은 직무역량을 강조하고 있지만, 과목명 및 교육내용에 있어서 차

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에 대하여 한

국대학교육협의회는 전형자료의 분석을 강조하고 있고, K대는 전형의 타당

성과 변별력의 이론적 내용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

식을 분석하는 능력’에 대하여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제출 서류에 대한 이해

에, K대는 수능과 논술고사 등 전형요소의 비교를 강조하고 있다.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의 경우 대학교육협의회는 교육현황 및 정보시스템에

대한 이해에 K대는 이를 포함하여 고교-대학에 대한 연계적인 측면 또한 강

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형 개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 능력’은 대학

교육협의회는 입학자료의 통계적 분석 전략에 대해서, K대는 데이터 처리

및 피드백 방안에 대한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많은 교육내용이 최

우선순위 직무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직무역

Page 9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85

량에 기초하여 기관별로 강조점이 다른 직무역량에 대해서 표준화가 필요하

다.

Page 9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2. 제언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책 및 실천적 함

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교육과학기술부를 위한 제언]

교육과학기술부는 입학사정관제의 질적 내실화 및 안정적 정착, 입학사정

관 수의 확대 및 신분안정화, 전형 내용의 선진화,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신뢰성 확보, 고교 연계 활동 활성화 등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교육과학기술부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제의 신뢰할 수 있는 성과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분석 결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

학사정관제도의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가장 높은 이슈로 나타났다. 즉 입학

사정관제도의 미래 성공을 위해 입학사정관 전형의 결과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수능점수에 의한 한

줄 세우기식 선발에서 벗어나 입학사정관제가 본래의 취지대로 진행되고 있

음을 지속적으로 국민들에게 홍보해야 한다. 특히 초·중학교 학부모들에게

집중적으로 입학사정관제의 성과에 대해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입학사

정관제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홍보 앞서 현재 제기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

의 여러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해서 이를 개선한 후 긍정적 효과에 대한 적

극적 홍보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입학사정관제도

의 미래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권한 강화’가 두 번째

로 높은 이슈였다. 이는 NGT를 통한 전문가협의회에서 1순위에 놓이기도

하였다. 입학사정관들의 전문성이 확보되었을 때 이들의 입학사정에 대한 결

과에 신뢰를 가질 수 있고 더 많은 권한이 입학사정관들에게 부여될 수 있

다.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확보는 양성교육 및 재교육을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직무역량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양성프로그램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보완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입학사정관제도는 공교육정상화와 연계되어야 한다. 입학사정관제도

의 미래 분석 결과와 NGT를 통한 전문가 협의회에서도 이 이슈는 높은 순

Page 9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87

위에 놓였다. 입학사정관제도가 본래의 목적과 성과를 나타내기 위해 공교육

의 정상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공교육 정상화 범위 내에서 학습하고 활

동한 사항들만을 입학사정관제도의 전형사항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입학

사정관제에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사교육 시장이 형성될 조짐을 보이고 있

는 상황에서 입학사정관 전형에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적 노력 없이 정

상적인 학교생활만을 입학사정관 전형의 핵심으로 잡아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입학사정관제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제고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

할 수 있는 방향에 중점을 두어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비교적 높은 순위

에 놓였다. 결국 입학사정관제도는 공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고 또한

공교육정상화가 입학사정관제도의 성공에 핵심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과부는 공교육정상화와 입학사정관제도가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닌 함께 해

야 할 정책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선발에 있어 대학의 자율권을 점진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입학사정관제가 대학별 특수성을 반영하여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학생선발에 있어 자율권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

다. 동시에 학생선발의 책무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함께 수반되

어야 한다.

다섯째, 학생선발 시기와 규모의 적정화가 필요하다. 입학사정 시기가 2학

기 특정 월로 몰림에 따라 입학사정관들이 전문성을 바탕으로 입학사정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또한 정책적으로 입학사정관전형의 모집 숫자를 확대하

다 보니 현재의 입학사정관 인원으로 효과적인 사정관 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결국 점진적 선발 규모의 확대와 함께 입학사정관전형에 한

해 연중 수시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당분간 지속적인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각 대학들이 입학

사정관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정부주도의 정책적 실천단계라고 볼 수 있

다. 지속적인 재정지원과 함께 대학들이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해 긍정적인 평

가를 함으로써 재정지원이 없더라도 지속될 수 있도록 최소한 정착단계까지

는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연구 활성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

지 제안한 실천적 함의들의 핵심어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본 제도에 대한

성과 홍보, 그리고 공교육 정상화와의 연계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입학사정

관의 전문성과 신뢰에 대한 공감대 형성은 입학사정관제도의 성과창출에 달

려고 성과창출을 위해서 공교육 정상화와 연계되어야 한다. 이런 로드맵 속

Page 9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에서 윤활유는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연구 활성화이다. 입학사정관의 전문

성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에 대한 다양한 방안과 함께 양성 및 재교육 프

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입학사정관제의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각 대학의 사례발표대회 및 관심 있는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 발표

회 역시 매년 개최할 필요가 있다.

[대학교육협의회를 위한 제언]

대학교육협의회는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및 입학사정관 양성 기관을 선

정하여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을 지원하고 각 대학 입학사정관제 컨설팅을 진

행하고 있다. 대학교육협의회는 기존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직무

연수를 지속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입학사정관에 대한 공정성 및 신뢰성을 확

보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교협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교육과정을 개발․

실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성공적

비전을 위한 핵심어 중 하나는 ‘전문성’이다.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가장 기본

적인 방법이 연수프로그램의 개발이다. 본 연구는 현재 입학사정관들이 필요

로 하는 직무역량의 우선순위군을 제안하였다. 이 역량들을 우선적으로 함양

할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 개발이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업무수행에

있어 고성과를 보인 입학사정관의 행동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

영해야 한다. 또한 전문성 향상은 단기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적

인 관점에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표준화된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제공될 필요가 있다. 현

재 7개 대학에서 입학사정관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2개의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우선순위 직무역량을 교육

내용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프로그램별로 세부 내용

에 있어 강조점이 달라 같은 역량이라도 그 발휘에 있어 다름을 보일 가능

성이 있다. 대학교육협의회에서는 표준화된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입학사정관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맞춤형 연수프로그램 개발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의 학력별 그리고 경력별 구분을 통해

우선순위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총 6개의 직무역량은 학력과 경력에 관계

없이 모든 현직 입학사정관들에게 필요한 직무역량이다. 이 직무역량들을 공

Page 9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89

통역량으로 규정하고 모든 양성 및 재교육과정에서 기본적으로 강조해야 한

다. 그러나 몇 개의 역량은 학력 및 경력별로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달랐다.

이는 맞춤형 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넷째,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성과홍보에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현

재 대학교육협의회의 입학사정관 홈페이지는 입학사정관제와 대학입시 정보

등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에게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입학사정

관제도 성과에 대한 홍보를 함께 전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과 학

부모의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신뢰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

육과학기술부와 협력하여 입학사정관제 성과와 관련된 연구를 진흥하고 이

를 국민들이 알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현직 입학사정관과 입학사정관제에 관심 있는 연구자들을 대상으

로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발표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입학사정관제로 입학한 학생들에 대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공유하고 국

민들을 대상으로 홍보하는 등의 보다 적극적인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현직 입학사정관들에게 노하우 공유의 장을 마련하고 성공적인

사례발굴은 각 대학과 국민들에게 입학사정관제도의 긍정적 모습을 알리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현재 각 대학에 제공하는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컨설팅의

개선이 필요하다. 대학교육협의회는 입학사정관제도의 성공적 정착과 실행을

위해 각 대학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입학

사정제도의 미래 분석에서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컨설팅은 다른 항목

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에 놓였다. 이는 현재 입학사정관제도 운

영에 대한 컨설팅이 현직 입학사정관들에게 크게 도움을 제공해 주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장중심의 맞춤형 컨설팅과 함께 인근학교의 입

학사정관들끼리 입학사정관제도와 자신의 업무수행 등을 주제로 동료컨설팅

을 실시해 볼 필요도 있다.

[일선 대학]

입학사정관제를 실시하고 있는 대학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입학사정관

전형의 비율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

제를 실시하고 있는 일선 대학에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제안할 수 있

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목록은 입학사정관 선발

Page 9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의 평가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앞으로 입학사정관의 선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입학사정관의 선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요소는 거의 없

다. 현재는 교육학 관련 석․박사 학위 소지자 등을 우대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23개 직무역량은 입학사정관의 능력에 기초한 공정한 선발 기준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각 대학이 설정한 인재상에 따른 창의적인 대입 전형 설계는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입학사정관 전형에 지

원하기 위해 또 다른 사교육 시장의 확장은 입학사정관제의 본래 취지와도

맞지 않다. 각 대학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범위내에서 학생들의 역량을

판단할 수 있는 전형을 설계함으로써 공교육정상화에 기여해야 한다.

셋째,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특히 고등학교의 교육현장 및 교육과정에 대

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경험이 풍부한 (명예)퇴직

교사들을 입학사정관으로 채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대학이 속한 교육청

과 MOU를 체결하고 역량 있는 교사들을 입학사정협력관으로 위촉하여 일

정기간 대학에 파견 근무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마련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넷째, 입학사정관제의 엄격하고 공정한 전형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입학사정관제의 미래 비전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어는 신뢰와 전문성

이었다. 즉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제의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부정적 요소를 철저하게 배제해야 한다. 정부에서 아무리 좋은 제도와

실천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더라도 각 대학에서 입학사정관제의 실천에 공

정하지 못한 요소가 들어났을 때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온 국민의 신뢰는

한순간 사라지게 될 것이다.

다섯째, 다양성을 강조한 입학사정관 전형이 설계․실천될 필요가 있다. 입

학사정관제의 가장 큰 의의는 점수에 따른 획일적 한 줄 세우기식 선발에서

벗어나 선발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데에 있다. 하나의 기준보다는 다양한 잣

대로 학생들의 잠재성을 평가하여 선발함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잠재성이

있는 다양한 학생들이 선발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age 9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91

참 고 문 헌

교육개혁위원회(1998). 21세기 한국교육의 발전지표. 서울 : 교육개혁위원

회.

교육인적자원부(2007). 입학사정관제지원계획발표. 보도자료.

교육과학기술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8). 입학사정관 지원사업 대상 40교

로 확대. 보도자료.

권대봉(1999). 기업현장 교육방법의 신입교사 계속교육에의 활용방안 분석.

교육학연구, 37(1). 323-346.

김진실(2007).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2007년도 서울

대학교 농생대 중등교육연수원 연수 참여자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29-57.

남보우(2008). 대입전형 자율화 시대의 입학사정관제 정착 방향. 제38차

KEDI 교육정책포럼: 자율화 시대의 대입전형제도 발전 방향 정책포

럼, 71-97.

대통령직인수위원회(2008). 대입3단계 자율화 방안. 발표문.

문흥안, 양성관, 문성빈, 김정희(2009).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발전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박도순(2001). 교육연구 방법론. 서울: 문음사.

성태제(2005).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성태제(2008). 교육평가의 기초. 서울: 학지사.

안이환, 문미경, 김병선(2009). 공기업 여성 중간관리자 리더십 프로그램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한국평생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오헌석(2007).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논총,

47, 191-213.

오헌석, 성은모, 배진현, 성문주(2009). 최고 수준 전문가와 보통 수준 전문

가의 특성 비교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0(4), 105-135.

유현주(2009). 역할에 기초한 입학사정관 전문성 훈련 프로그램. 한국교육

논단, 8(2), 131-153.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정완용(2008). 대학자율화의 기본방향과 추진전략. 제 24회 대학교육 정책포

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Page 10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정일환(2008). 입학사정관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방안 탐색. 한

국대학교육협의회. 연구보고 RR 제 2008-3-285호.

조대연, 김재현(2007). 사회적 자본을 통한 국가수준의 역량개발 가능성 탐

색: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인력개발연구, 9(2), 105-122.

조대연(2009). 교사 발달단계별 직무역량 요구분석: 서울초등교사를 대상으

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365-385.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9). 대학입학사정관제 안내책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kcue.or.kr/

Armour, K. M., & Yelling, M. (2002). Looking with 'fresh eyes': ways

forward for CPD in Physical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University of Exeter, 12-13 September.

Carroll, A., & McCrackin, J.(1998). The competent use of competency-based

strategies for selection and development.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11(3), 2-16.

Cook, S. (2005). Learning needs analysis: part 6 analysing the job. Training

Journal, 64-68.

Day, C.(1999). Developing teachers: the challenges of lifelong learning.

London: Falmer.

Deist, F. D. L., & Winterton, J.(2005). What is compete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8(1), 27-46.

Holleman, D.(2005). The College Recruiters' Quick Guide.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iate Registrars and Admissions Officers

(AACRAO).

Herling, R. W.(1998). “Expertise: the Development of an Operational

Defini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orraco, R.

J.(eds.).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p. 715~722

Lauren, B.(2005).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s Guide.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iate Registrars and Admissions Officers.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Leigh, D., Watkins, R., Platt, W. A., & Kaufman, R. (2000). Alternative

models of needs assessment: Selecting the right one for your

Page 10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93

organiz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1(1), 87-93.

Lucia, A. D., & Lepsinger, R.(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feiffer, San Francisco: Jossey-Bass

Mansfield, B.(2004). Competence in transition.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8(2/3/4), 296-309.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TX: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Murphy, K. R., & Davidshofer, C. O.(1991).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 New Jersey: Prentice-Hall.

Patton, W. D., & Pratt, C. (2002). Assessing the training needs of high-

potential manager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31(4), 465-484.

Sork, T. J. (2001). Needs assessment. In D. H. Poonwassie & A.

Poonwassie (Eds.), Fundamentals of adult education: Issues and

practices for lifelong learning. Toronto: Thompson Educational

Publishing.

Spencer, L., & Spencer, S.(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Swanson, R. A., & Holton, E. F.(2001). Found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Queeney, D. S. (2000).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In A. L. Wilson

& E. R. Hayes (Eds.), Handbook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new ed.) SF: Jossy-Bass.

UC Berkeley (2004).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freshman selection

criteria- Fall 2004, Printed material,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Witkin, B. R., & Altschuld, J. W. (1995).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Thousand Oaks, CA: Sage.

Page 10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부록 1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델파이 조사도구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설정을 위한 1차 델파이 질문지

1. 【직무역량 정의】에 대한 의견

아래 내용은 각 직무역량에 대한 정의를 한 내용입니다. 각 직무역량의 정의를 읽어

보시고 각각의 역량에 대한 정의가 얼마나 타당한지에 대해 해당 번호에 ✔표를 해

주십시오. 의견란에는 역량정의 중 수정되어야 할 부분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기

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직무역량별 역량정의

전혀

타당하

지 않음

별로

타당하

지 않음

보통약간

타당함

매우

타당함

직무

역량

1. 평가자료를선별하고

구성하는능력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자료를 선별하여 정량적, 정성적 평가자료를 구성하는 능력

2. 평가기준의설정능력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명료하고 타당한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능력

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전형자료의 신빙성과 내용의 진정성을 평가하여 신뢰성을 검증하고 전형자료의 의미를

밝혀낼 수 있는 능력

4. 지원자 인터뷰 능력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평가하는 능력

의 견 : (역량정의 중 수정해야 할 부분을 중심으로)

Page 10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95

직무

역량

5. 대입전형의다양한방식을

분석하는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정량적인 자료와 정성적인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의 대입전형을 분석하는 능력

6. 분야별인재상에따른

창의적인전형설계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대학별, 전공별 인재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을 설계하는 능력

7.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고등학교의 다양한 학교활동과 교육과정,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반영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

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각 대학의 전공별 요구되는 인재상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9. 국내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해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국내외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각 대학의 실정에 맞추어 토착화

하는 능력

의 견 : (역량정의 중 수정해야 할 부분을 중심으로)

Page 10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직무

역량

10. 자료의수집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지원자가 제출하는 각종 데이터와 학교가 제공하는 데이터, 매년 누적적으로 보유하게

되는 각종 입학관련 데이터의 수집 능력

11. 통계기법을사용하여

데이터를분석하는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데이터별로 적절한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

12. 분석결과를 의미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분석한 자료를 의미있는 정보로 도출하는 능력

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대학의 구성원으로써 대학의 행정조직의 실태와 업무흐름에 대한 이해

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대학 내 행정시스템 및 대학입학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의 견 : (역량정의 중 수정해야 할 부분을 중심으로)

Page 105: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97

직무

역량

15. 홍보전략을수립하는

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대학의 장점과 교육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알리는 방안에 대해 전략

적으로 접근하는 능력

16. 프리젠테이션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전형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능력

17. 프로그램 기획 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대학 자체의 별도 프로그램(설명회, 캠퍼스 투어, 캠프 및 강연회 등) 기획 능력

18. 행사 수행 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행사 진행을 위한 준비 및 운영 능력

19. 홈페이지 관리 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입학관련 정보를 습득하기에 가장 접근이 용이한 웹사이트의 효과적인 관리 능력

20. 학생, 학부모 상담 능력

역량정의타당성 1 2 3 4 5

학생과 학부모에게 입학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진로를 상담하는 능력

의 견 : (역량정의 중 수정해야 할 부분을 중심으로)

Page 106: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직무

역량

21. 리더십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조직내 의견을 조율하고 업무를 분장하여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리더십

22. 팀워크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조직내 협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팀워크

23.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입학전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고도의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

24. 고객중심 서비스 능력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학생과 학부모 및 고교담당자의 요구에 반응하는 서비스 능력

25. 작문 및 의사소통 기술

역량정의 타당성 1 2 3 4 5

뛰어난 작문 실력 및 원할한 의사소통 기술

의 견 : (역량정의 중 수정해야 할 부분을 중심으로)

Page 107: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99

다음은 자료의 분석을 위해 필요한 인적사항들입니다. 해당되는 곳에 ✔표를 해주시

거나, 직접 기재해 주십시오. 본 내용은 연구 결과 분석 외에는 활용되지 않을 것이

오니 안심하고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인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 ( )세

본인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학사 ②석사 ③박사 ④기타

본인의 총 직장 근무기간과 입학사정관으로서의 근무기간은 얼마나 되십니까?

총 근무기간 ( 년 개월),

입학사정관 근무기간 ( 년 개월)

【 끝까지 응답해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

※ 본 1차 조사를 종합 및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협의회를 진행할 예정입니

다. 바쁘시겠지만 끝까지 협조해 주시기를 다시 한 번 부탁드립니다.

Page 108: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부록 2 입학사정관 직무역량 및 미래비전 설문지

입학사정관 역량 및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비젼 분석

※ 이번 조사에 대하여 궁금하신 사항이나 의문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아래로 문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자: 김용범

◦ 전화번호: 02-3290-5353

◦ E-mail: [email protected]

Page 109: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01

현재수준직무역량 항목

필요 수준매우부족하다

다소부족하다

보통이다

다소양호하다

매우양호

하다전혀필요없다

거의필요없다

보통이다

약간필요하다

매우필요하다

① ② ③ ④ ⑤1. 평가자료를 선별하고 구성하는 능력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자료를 선별하여

정량적, 정성적 평가자료를 구성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2. 평가기준의 설정 능력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명료하고 타당한 평가기

준을 설정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3.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여 평가하는 능력

전형자료(학생부)의 신빙성과 내용의 진정성을

평가하여 신뢰성을 검증하고 전형자료의 의미를

밝혀낼 수 있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4. 지원자 인터뷰 능력

지원자를 평가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평가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5. 대입전형의 다양한 방식을 분석하는 능력

정량적인 자료와 정성적인 자료를 포함한 다양

한 방식의 대입전형을 분석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6. 새로운 전형개발을 위한 창의적 연구능력

대학별, 전공별 인재상에 따른 창의적인 전형을

설계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7.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현장에 대한 이해

고등학교의 다양한 학교활동과 교육과정, 특별활

동 프로그램을 반영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현

장에 대한 이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8.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각 대학의 전공별 요구되는 인재상과 역량을 파악

하기 위한 대학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9. 국내외 입학사정관 정책적 이해

국내외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지식을 습

득하여 각 대학의 실정에 맞추어 토착화 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0. 자료의 수집 및 관리 능력

지원자가 제출하는 각종 데이터와 학교가 제공

하는 데이터, 누적적으로 보유하게 되는 각종 입

학관련 데이터의 수집하고 관리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Ⅰ. 다음은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의 항목에서, 1) 현재 수준: 직무역량에 대한 나의 현재 보유 정도 2) 필요 수준: 성공적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도 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아래의 직무역량 항목을 먼저 보시고 <보기>와 같이 현재

수준과 필요수준 양쪽의 해당번호에 √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보기>

현재수준직무역량 항목

필요 수준매우부족하다

다소부족하다

보통이다

다소양호하다

매우양호

하다전혀필요없다

거의필요없다

보통이다

약간필요하다

매우필요하다

① √② ③ ④ ⑤ 1. 적절한 교수방법의 선택 및 활용 ① ② ③ √④ ⑤

Page 110: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현재수준직무역량 항목

필요 수준매우부족하다

다소부족하다

보통이다

다소양호하다

매우양호

하다전혀필요없다

거의필요없다

보통이다

약간필요하다

매우필요하다

① ② ③ ④ ⑤11. 자료를 검토하고 처리 분석하는 능력

자료를 검토하고 자료의 특성 및 적절성을 평

가하여 처리 분석하는 능력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2. 분석결과를 의미있는 정보로 표현할 수 있

는 능력

분석한 자료를 의미있는 정보로 도출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3. 대학행정조직의 이해

대학의 구성원으로써 대학의 행정조직의 실태

와 업무흐름에 대한 이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4. 대학입학절차에 대한 이해

대학 내 행정시스템 및 대학입학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5.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

대학의 장점과 교육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가

장 효과적으로 알리는 방안에 대해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6. 프리젠테이션 능력

정보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프리젠테

이션 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7.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능력

대학 자체의 별도 프로그램(설명회, 캠퍼스 투

어, 캠프 및 강연회, 워크샵 등) 기획, 준비 및

운영능력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8. 팀웍크

조직내 협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팀워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9.리더십

의견을 수렴 및 조정하여 업무를 추진하는 리

더십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20. 입학사정관의 직업 윤리와 사회적 책무성

입학전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고도의 윤리성

과 사회적 책무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21.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

대학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대학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22. 자기관리능력

출장 및 외근, 집중적 업무처리를 위한 체력

및 가족관계 관리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23. 전형계발을 위한 현존 데이터 분석

전형계발과 관련해서 이전까지 선발한 학생들

의 정보와 통계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분석

능력

① ② ③ ④ ⑤

Page 111: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03

Ⅱ. 다음은 입학사정관제도의 미래 비전을 위해 앞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의 항목에서,

1) 현재 수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수준 2) 필요 수준: 한국형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을 위해 앞으로 중점을 두어야 할 정도 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양쪽의 해당번호에 √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현재수준입학사정관제가 추구해야 할 방향 제시

필요 수준매우부족하다

다소부족하다

보통이다

다소양호하다

매우양호

하다전혀필요없다

거의필요없다

보통이다

약간필요하다

매우필요하다

① ② ③ ④ ⑤ 1.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신장을 통안 권한 강

화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2. 대학이 요구하는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대

학의 자율권확보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3.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에 중

점을 두어 추진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4. 입학사정관 제도 정착을 위한 지속적 재정

지원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5. 공교육정상화를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정

착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6.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입학사정관제도의 사회

적인 공감대형성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7. 학생 선발과 대학생활의 잠재가능성 발현을

위한 교두보 역할 (고등학교 교육과 대학교육

의 연계에 기여하도록)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8.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성 강화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9. 입학사정관제도에 지원하는 학생부담 경감

(일반적인 고교 생활 내에서 해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시행)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0. 학생 선발 규모의 적정화

(선발시기를 연중 수시로 확대하거나 적정한

수준으로 조절하여 급격한 선발규모의 확대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11. 입학사정관제도 실시의 선택과 집중이 필

요(학교별 특성화 유도하되 획일적인 실시의

지양)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2. 입학사정관 협의체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① ② ③ ④ ⑤ 13. 학부과정에서의 입학사정관 양성 ① ② ③ ④ ⑤① ② ③ ④ ⑤ 14. 입학사정관제도 운영에 대한 컨설팅 ① ② ③ ④ ⑤

Page 112: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Ⅲ. 다음은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 표시 또는 직접 칸에 기재하여 주십시오.

1. 재직기관:① 대학 ( ) ② 중고등학교 ( ) ③ 교육관련 기관 ( ) ④ 기타 ( )

2. 성 별:① 남 ( ) ② 여 ( )

3. 연 령:만 ( )세

4. 학 력:① 고졸 ( ) ② 전문대졸 ( ) ③ 대졸 ( ) ④ 석사학위 소지자( ) 박사학위 소지자 ( )

5. 경력: 입학사정관 경력 ( )년 ( )개월

Page 113: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105

전문가(명) 최소요구치

5 .996 .997 .998 .759 .7810 .6211 .5912 .5613 .5414 .5115 .4920 .4225 .3730 .3335 .3140 .29

부록 3 Content Validity Ratio

전문가 인원에 따라 유효한 CVR의 최소값

Page 114: 연구보고서(입힉사정관 미래위수정반영)-최종[1][1] 1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1224132620.pdf · 2010-12-24  · j 6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