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4/2...

61
제권제호 4 2 ISSN 1976 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Transcript of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4/2...

제 권 제 호4 2

ISSN 1976 109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목 차/ /

수공예 프로그램에 의한 시설 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방요순 김희영,

1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수행능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정도 과 상관관계 연구: MAL MBI

김지영 임애진 김성례 한윤희 한승협 박용광 감경윤, , , , , ,

11

외래환자들의 복지용구 사용현황 및 교육 필요성

박수정 신중일,

19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위한 문헌고찰

채경주

27

전산화와 전통적인 인지지각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이현숙

3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서론.Ⅰ

년 우리나라 세 이상의 인구는 총 인구의2000 , 65

를 차지하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년7.2% , 2018

에는 로 고령사회 년에는 로 초 고령14.3% , 2026 20.8%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통계청( , 2006).

이렇게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노인 문제를

개인의 책임 차원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사회

문제로 인식하게 하였다이영숙 예를 들면 지( , 2008).

속적인 부양 장기 의료서비스로 인한 개인과 가족, ,

사회 및 국가의 증가된 노인부양 부담이 이에 해당한

다 노인부양은 여성의 사회진출 및 핵가족화로 인해.

가족 내적인 부양에서 사회적 부양으로 변화되어 시

설보호를 요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장미림( , 2006).

노인의 시설 보호란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설

에서 생활함으로써 부양문제를 해결하는 부양의 한

형태를 말한다.

시설에 입소하는 노인은 입소 시 주거지의 변화로

인해 여러 감정들을 겪게 되는데 특히 시설 생활 증

후군 이라는 우울 증상을(syndrome of facility residence)

보일 수 있다 이는 가족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고립.

된 상태에서 수동적인 삶을 영위한다는 피해의식에서

비롯되는 우울증상의 하나로서 거주지 이전에 대해.

혼동 불안 외로움 불면 위축 의존성 상실감 피로, , , , , , , ,

안절부절 등을 느끼게 되며 심하면 자살에까지 이르

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순이 우울은 노인의 신( , 2002).

체적 건강문제나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며박(

인옥 김진세 이강준 정인과 인지기능에도 영, , , , 1998)

수공예 프로그램에 의한 시설 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방요순 김희영,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이 연구는 수공예 프로그램 제공에 의한 시설 노인의 우울과 인지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서 자발적이

고 의미 있는 자가 관리적 방법으로서 수공예 활동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양로시설의 세 이상 노인 명으로 주 회 회 기준 분 총 회의 수공A 65 34 , 4 (1 50 60 ), 32∼

예 활동이 제공되었다 프로그램 제공 전 후에 대상자의 우울은 한국형 노인우울. , 척도(Korean Form

를 인지수준은 한국형 간이정신 상태 검사 를 인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 (MMSE-K) ,

지기능은 르윈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 개정판(Revised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종결 후 대상자들과 프로그램의Cognitive Assessment: LOTCA) .

소감을 이야기하였고 이를 기록하였으며 우울과 인지수준 및 인지기능에 대해 재평가하였다.

연구결과수공예 프로그램 참여 후 대상자의 우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지기능 중 특히 지남력 시지,

각 공간지각 사고조직력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 (p<.05).

결론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수공예 여가프로그램은 시설 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

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각 수공예 프로그램의 종류와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서.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적용을 활성화 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수공예 여가 우울 인지 시설노인, , , ,

교신저자 김희영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0 11 05 : 2010 11 15∥ ∥

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향을 미친다최순영 인지기능은 노인의 정신기( , 2001).

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남력 기억력단기 장기 주, ( , ),

의집중 및 계산능력 언어기능 이해 및 판단기능 상, ,

태를 말한다 이정애와 정향균 은(Hodges, 1994). (1993)

인지기능 장애를 가진 시설 노인의 가 우울증을34%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여 시설 노인의 인지와 우,

울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따.

라 인지와 우울은 치료적 개입도 공통되는 점이 있어

하나의 치료로 공통적인 효과를 얻기도 한다이정식( ,

이원혜 이우경과 오홍석, , 2006).

수공예는 수예 및 공작을 이용한 생산적이고 창조

적인 과정을 거쳐 물건을 만드는 실용 예술의 하나로

서 종류는 크게 가죽공예 구슬공예 금속공예 도기공, , ,

작 모자이크 목재작업 미술작업 실 공예 원예작업, , , , ,

등으로 나뉜다홍재란 김행란 양경희 양영애 채수( , , , ,

경과 최혜숙 수공예는 세기 정신과 환자 치, 2005). 19

료를 위해 제시된 이래로 꾸준히 정신보건 및 신체장

애 재활영역에서 인지 정서 신체기능 치료를 목적으, ,

로 제공되어 왔다(Bissell & Mailloux, 1981; Horqhaqen,

Josephson & Alsaker 2007; Taylor & Manquno, 1991).

특히 정신보건 영역에서 수공예는 부정적 자기신념을

바꾸고 삶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을 하도록 돕는다,

또한 내적 만족감을 제공하고 자신(Reynolds, 1997).

감을 찾도록 도우면서 문제해결과 학습능력을 증진시,

키고 이를 통해 스스로의 삶에 대한 조절 능력을 향상

시킨다 수공예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를(Creek, 2002).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는 지역사회 명. Janis(1992) 103

의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수공예를 실시한 결과

우울증상의 유의한 감소를 보고하였고 와, Rebeiro

은 명의 여성에게 퀼트공예를 제공하였고Cook(1999) 8

지속적인 작업 참여를 통해 능동성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으며 는 명의 여성에게 뜨, Reynolds(2000) 39

개공예를 제공한 후 정신적정서적 이완과 신체적 이/

완 자신감 향상 및 활동 수준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

였다 과 는 지역 암치료센터에. Sandra, Sussan Lee(2004)

서 포스터 모노프린트 만다라 그리기 등을 제공하였, ,

을 때 암 환자와 가족의 스트레스와 불안이 줄어들고

긍정적 감정을 가지게 되었음을 보고하였으며 Scipio,

과 는 정신장애인Kisner, Vitiello, Silverman Salls(2005)

들을 대상으로 실 잦기 베 짜기 팔수 있는 제품 만들, ,

기 앙고라 털 사용하기와 같은 수공예 활동이 자존감,

과 자기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은 정신적 신체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Johnson(2005) ,

대상으로 수공예 활동인 스크랩북 만들기를 시행하고

인지기능이 향상되었다고 하여 우울과 인지의 관리에

수공예 활동이 유용함을 보고하였다 이처럼 수공예는.

인지 정서 신체적 기능 증진에 도움이 됨이 지속적으, ,

로 보고되어왔으나 대상이 다양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시설노인과 같은 제한적 환경에 노출된 대상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었다 국내의 경우 수공예 활동.

에 관한 체계적인 접근의 부재로 아직까지 선행연구

를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수공예 활

동에 의한 시설노인의 우울과 인지의 변화를 알아보

고 시설노인의 우울 및 인지 증진을 위한 자발적이,

고 의미 있는 방법으로 수공예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 방법.Ⅱ

연구 대상 및 절차1.

이 연구는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광주2010 8 3 10 4

광역시 양로시설에 거주하는 세 이상 노인 명으A 65 34

로 하였다 대상 노인은 수공예 여가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를 듣고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하였고 보,

행 및 이동에 장애가 없으며 시력과 청력이 여가활동

프로그램 참여에 지장이 없었다 대상 시설은 거주 전.

용시설로 노인을 위한 정규 프로그램은 시행하지 않,

으며 시행하였던 비정규 프로그램은 종결되어 연구기

간 동안 진행된 타 프로그램은 없었다 프로그램 제공.

은 프로그램에 대해 사전 교육을 받은 작업치료사 3

명 물리치료사 명이 하였으며 회 기준 분으, 1 , 1 50 60∼

로 주 회 주간 총 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일정4 , 8 32 .

표를 프로그램 시작 전 배포하였으며 시작 시간이 되,

면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프로.

그램 종결 후 소감을 이야기하였고 이를 기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작업치료사 명이 노인의 우, 2

울과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3

연구 도구2.

한국형 노인우울척도1)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는 노인 우울척도KGDS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Yesavage, Brink, Lum, Huang, Adey & Leirer,

는 우리나라 노인에 적합하도록 정인과 곽동일1983) , ,

조숙행과 이현수 가 개발하였다 의 점(1997) . Yes/No 1

척도로서 우울증세가 심할수록 점수가 높다 총 문. 30

항으로 점에서 점 사이는 경도의 우울증 점에서0 18 , 19

점 사이는 중등도의 우울증 점 이상은 심도의 우21 , 22

울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도(Yesavage et al., 1983).

구는 사고 인지 신체 사회적 측면이 골고루 반영되, , ,

어 있어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우울현상을 쉽게 알 수

있다 반분신뢰도는 이며 내적 신뢰도는 이다. 0.79 0.72

정인과 등( , 1997).

한국형 단순 정신 상태 검사2)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는 노인들의 인지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MMSE-K

구로 과 가 개발한Folstein, Folstein McHugh(1975)

를 권용철과 박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종한 이 노인 문맹자가 많은 우리나라를 고려하(1989)

여 수정 보완한 것으로 각 하위항목의 점수 배분은

지남력 점 기억등록 점 주의력 및 계산능력 점10 , 3 , 5 ,

기억회상 점 언어기능 점 및 이해판단 점인 총3 , 7 2 30

점으로 되어있다 무학의 경우 지남력 점 주의집중. 1 ,

과 계산 점 언어기능 항목에 점을 부여하여 각각2 , 1

만점이 넘지 않는 범위로 가산하였다권용철과 박종(

한 인지 장애의 평가기준은 기존연구에서 제, 1989).

시된 절단점 을 이용하였고 점 이상은(cut-off point) 24

정상 점은 경도 인지장애 점 이하는 중증, 18 23 , 17∼

인지장애로 정의하였다오민아 신윤오 이태용과 김( , ,

정선 도구 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이었다, 2003). 0.86 .

르윈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 개정판3) (Revised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는 지남력 시지각 공간지각 운동실행 시LOTCA , , , ,

각운동조직력 사고 조작력의 개 영역이고 각 영역의, 6

하위항목은 지남력 개 시지각 개 공간지각 개 운2 , 4 , 4 ,

동실행 개 시각운동조직력 개 사고조직력 개로3 , 7 , 7

모두 개이다 각 항목은 점에서 점까지의 분류검26 . 1 5

사와 점에서 점까지의 지남력 검사를 제외한 나머1 9

지 항목들을 점에서 점까지로 채점하였다 검사자1 4 .

간 신뢰도는 이었고 검사도구의 신뢰도는0.82 0.97 ,∼

이었다 평가 전 평0.89 (Katz, Itxkovich & Elazar, 1989).

가의 목적과 내용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후 대상자

가 가능한 편안한 상태에서 검사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하위영역의 끝에 과제가 완성되었는지 질.

문하고 완성되었다고 하면 완성된 상태를 점수화하여

검사지에 기록하였다.

수공예 프로그램4)

프로그램은 구성원간의 친밀감 향상 및 능동적 상

호 작용을 통한 우울 경감과 집중력 및 순서기억 자,

신감 증진 및 창의성 향상을 통한 인지증진을 목표로

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치료의 수공예와 창조. ‘

적 매체에서 과 가 소개한 활동’ Carol Margaret(2007)

중에서 그룹으로 적용 가능하며 해당 시설 내에서 자

가 시행이 가능한 활동을 선택한 후 대상자들에게 제

시하여 설문지 조사를 통해 나타난 선호도에 따라 4

가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동은 와이어 공예 종이. ,

공예 요리하기 모자이크 활동으로 각 활동의 난이도, ,

는 시설노인의 신체 및 인지 상태를 고려하여 소요시

간이 시간을 넘지 않는 단순하게 구성하였다 프로그1 .

램을 진행하는 작업치료사 명 물리치료사 명의 협3 , 1

의 하에 한국문화를 고려하여 요리하기 등의 재료와

방법을 표 과 같이 수정하였다 각 활동은 총 회기1 . 32

로 회기 씩 주 동안 시행되었으며 회기 당4 8 50 60∼

분 동안 실시되었다 각 활동을 시작할 때마다 방법과.

순서를 대상자에게 설명하였으며 매 단계마다 시범,

을 보이고 단계를 잊어버리거나 이해하지 못한 대상

자들에게는 옆에서 재차 구두 암시를 주거나 다시 설

명하였다 마지막 회기에서는 대상자들이 전 회기의.

작품을 감상하며 소감을 주고받았다.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자료 분석3.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을 이용하여SPSS Win 12.0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우울 인지상태 및. , ,

기능은 기술분석을 수공예 여가프로그램 참여 전 후, ,

의 우울 및 인지기능 변화에 대해 를 실시Paired t-test

하였다.

회기 활동 명 목표 방법 재료

1 4∼

와이어공예

비즈 옷걸이(

만들기)

구성원 간 친밀감

향상

은색 와이어에 플라스틱 비즈 개를 끼운다8 .

길이에서 와이어를 한번 구부리고 다25cm

시 플라스틱 비즈 개를 끼운다 길14 . 35cm

이에서 와이어를 다시 구부리고 플라스틱

비즈 개를 끼운다 와이어 끝에서 세 네바8 . ,

퀴 돌려 꼬임을 만들고 와이어를 휘어 옷걸

이의 고리 부분을 만든다.

지름 의 은0.2cm

색 와이어 플1m,

라스틱 비즈 각

개20

5 8∼와이어공예

바구니 만들기( )

집중력 및 순서기

억 자신감 향상,

와이어를 길이에서 한번 구부려 둥글게2cm

말아 바구니의 형태를 만든다 높이가. 10cm

되면 니퍼로 남은 와이어는 잘라낸다.

지름 의은색0.4cm

와이어 니퍼3m,

9 12∼와이어공예

비누곽 만들기( )

집중력 및 순서 기

억 자신감 향상,

와이어를 길이로 나눈다 의 와이60cm . 60cm

어 네 개를 가로로 두 개 세로로 두 개로 겹

치게 하여 비누곽의 바닥을 만든다 상자 모.

양으로 접어 올리고 윗부분에는 다시 60cm

의 와이어 하나를 감아 비누곽을 완성한다.

지름 의금색0.3cm

와이어 니퍼3m,

13 16∼종이공예

부채 만들기( )

집중력 및 창의성

향상

플라스틱 부채 살에 풀칠을 하여 한지 위에

놓는다 부채살 위에 한지를 다시 놓고 풀이.

잘 붙도록 누른 뒤 여분의 한지를 잘라낸다.

플라스틱 부채

살 한지 풀, ,

17 20∼

종이공예

정리 상자 만(

들기)

집중력 및 창의성

향상 자신감 향상,

하드보드지로 원하는 크기의 상자의 도면을

그려 커터로 오린다 도면을 세워 상자를 만.

들고 스카치테이프로 고정한다 상자위에 풀.

로 색지를 붙인다.

색지 빨강 파랑( , ,

초록 노랑색 각,

매 하드보드1 ),

지 커터 풀 스, , ,

카치테이프

21 24∼요리하기

수제비 만들기( )

집중력 및 구성원

간의 친밀감 향상

냄비에 멸치육수를 낸다 밀가루와 계란으로.

반죽을 한 후 끓는 육수에 감자와 썰어 넣고

반죽을 떼어 넣는다.

밀가루 감자 멸, ,

치 계란 가열, ,

도구 냄비,

25 28∼요리하기

컵케익만들기( )

자존감 및 구성원

간의 능동성 함양

종이컵에 컵 케익 믹스와 계란을 넣고 섞는

다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한다. .

컵 케익 믹스 계,

란 전자레인지,

29 31∼모자이크

벽화 꾸미기( )

구성원간의 친밀감

향상

명을 한조로 하여 색종이를 손가락 크기5 6∼

로 잘라 도화지에 붙여 그림을 완성 시킨다.색종이 도화지 풀, ,

32 전시회

자신감 향상 정서,

적 지지 구성원간,

의 능동적 상호작

용 및 탈 우울

전 회기의 작품 감상

표 수공예 여가프로그램1.

항목 구분명(%)

남(n 12)= 여(n 22)=

연령

65 72∼ 2(16.5) 5(22.5)

73 80∼ 4(33.1) 5(22.5)

81 86∼ 4(33.1) 7(32.5)

87 90∼ 1( 8.3) 5(22.5)

교육수준

무학 5(41.5) 18(81.0)

초등학교 5(41.5) 1( 4.5)

중학교 2(17.0) 3(13.5)

시설

입소기간

년1∼ 1( 8.3) 4(18.2)

년 년2 4∼ 4(33.1) 6(27.3)

년 년5 8∼ 4(33.1) 8(36.3)

년9 ∼ 3(25.0) 4(18.2)

배우자유무 배우자 없음 12(100.0) 22(100.0)

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2.

변수 구분빈도(%)

남(n 12)= 여(n 22)=

우울상태

(KGDS)

경도 우울증

점(0 18 )∼5(41.5) 18(81.0)

중등도 우울증

점(19 21 )∼5(41.5) 1( 4.5)

심도 우울증

점 이상(22 )2(17.0) 3(13.5)

인지상태

(MMSE-K)

정상

점 이상(24 )3(25.0) 2( 9.1)

경도 인지 장애

점(18 23 )∼9(75.0) 17(72.8)

중도 인지장애

점 이하(17 )0( 0.0) 3(18.1)

KGDS(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한국형 노인우울척도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한국형 단순 정신 상태 검사

표 대상자의 우울과 인지3.

5

연구 결과.Ⅲ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대상 노인 명은 전원이 모든 회기에 참여하였다34 .

그 중 남성은 명 여성 명 으로 여성12 (35.2%), 22 (64.8%)

이 많았고 연령은 세 이상 세 이하 남성 명65 72 2

여성 명 세 이상 세 이하 남성(16.5%), 5 (22.5%), 73 80

명 여성 명 세 이상 세 이하 남4 (33.1%), 5 (22.5%), 80 86

성 명 여성 명 세 이상 세 이하4 (33.1%), 7 (32.5%), 87 90

남성 명 여성 명 이었다 학력은 남성1 (8.3%), 5 (22.5%) .

이 무학 명 초등학교 명 중학교 명5 (41.5%) 5 (41.5%), 2

이었고 여성이 무학 명 초등학교(17.0%) 18 (80.0%), 1

명 중학교 명 이었다 시설 입소기간은(4.5%), 3 (13.5%) .

남성 년 이하 명 년 이상 년 이하 명1 1 (8.3%), 2 4 4

년 이상 년 이하 명 년 이상 명(33.1%), 5 8 4 (33.1%), 9 3

이었고 여성은 년 이하 명 년 이상(25.0%) , 1 4 (18.2%), 2

년 이하 명 년 이상 년 이하 명4 6 (27.3%), 5 8 8 (36.3%),

년 이하 명 이었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 모두9 4 (18.2%) .

배우자가 없었다표( 2).

대상자의 우울과 인지2.

대상자의 우울은 경도 우울증이 남성 명 여5 (41.5%),

성 명 이었고 중도 우울증은 남성 명18 (81.0%) 5 (41.5%),

여성 명 이었으며 심도 우울증은 남성 명1 (4.5%) 2

여성 명 이었다 인지 정상은 남성 명(17.1%), 3 (13.5%) . 3

여성 명 이었고 경도 인지장애는 남성(25.0%), 2 (9.1%)

명 여성 명 이었으며 중도 인지장애9 (75.0%), 17 (72.8%)

는 남성 명 여성 명 이었다표0 (0.0%), 3 (18.1%) ( 3).

수공예 프로그램에 의한 우울 변화3.

대상자의 우울은 프로그램 참여 전 점에17.29±6.22

서 참여 후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5.00±2.87

인지 수준으로 나누었을 때 경도 우울증은(p<.05). 21

명 에서 로 중등도 우울증은 명(61.8%) 32(94.1%) , 4

에서 명 로 심도 우울증은 명 에(11.8%) 2 (5.9%) , 9 (26.4%)

서 명 으로 나타났다표0 (0.0%) ( 4).

참여 전

(n 34)=

참여 후

(n 34)=값t

우울상태(KGDS) 17.29 ± 6.22 15.00 ± 2.87 2.121*

경도 우울증

점(0 18 )∼21(61.8%) 32(94.1%)

중등도 우울증

점(19 21 )∼4(11.8%) 2(5.9%)

심도 우울증

점 이상(22 )9(26.4%) 0(0.0%)

KGDS(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한국형 노인우울척도

*P<.05

표 수공예 프로그램에 의한 우울 변화4.

인지기능

(LOTCA)

참여 전

(n 34)=

참여 후

(n 34)=paired-t

지남력 12.85 ± 2.20 13.18 ± 1.46 1.046-

시지각 10.71 ± 2.71 11.82 ± 2.80 2.020-

공간지각 10.68 ± 2.25 11.91 ± 2.89 2.421*-

운동실행 9.94 ± 1.72 11.15 ± 2.40 3.549*-

시각운동

조직력19.65 ± 3.63 21.15 ± 3.99 2.246*-

사고조직력 18.79 ± 3.00 20.58 ± 2.79 2.621*-

LOTCA(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P<.05

표 수공예 프로그램에 의한 인지 변화5.

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수공예 프로그램에 의한 인지 변화4.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대상자의 인지 변화를 하위

영역별로 알아보았을 때 공간지각은 점에서10.68±2.25

점 운동실행은 점에서11.50±2.89 , 9.94±1.72 11.15±2.40

점 시각운동조직력은 점에서 점, 19.65±3.63 21.15±3.99 ,

사고조직력은 점에서 점으로 유18.79±3.00 20.58±2.79

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남력 시지각은 유의한(p<.05). ,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5).

수공예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5.

마지막 회기종결 후 대상자와의 면담에서 수공예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을 묻고 이에 따른 대상자의 응

답을 표 에 제시하였다6 .

논의.Ⅳ

본 연구는 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수공예 활동에 의

한 시설노인의 우울과 인지의 변화를 알아보고 자발,

적이고 의미 있는 중재방법으로 수공예 활동의 유용

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시설 노인 중 경도 우울증은, 21

명 에서 로 중등도 우울증은 명(61.8%) 32(94.1%) , 4

에서 명 로 심도 우울증은 명 에(11.8%) 2 (5.9%) , 9 (26.4%)

서 명 으로 경감되었다 이는 프로그램의 과제0 (0.0%) .

수행 과정에서 구성원간의 친밀감과 능동적 상호 작

용을 촉진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매 회기를 종결할.

때마다 그 완성품에 의한 성취감과 자부심을 통해 우

울이 경감되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마지막 회기.

인 전시회에서 대상자들의 소감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에 대해 즐거움을

얻었고 완성된 수공예품에 의해 더 능동적으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우울을

경감시킬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과 은 수공예가 과제집중Crepeau, Cohn Schell(2003) ,

사회적 기술 자기 효능감 자존감을 높일 수 있다고, ,

보고하였다 는 수공예가 긍정적 마음 성. Baker(2005) ,

취감과 자부심 신체적 및 정신적 변화를 일으킨다고,

하여 수공예로 인한 긍정적 정서 변화가 가능함을 언

급함으로서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시설 노인의 인지 하위영역에서,

공간지각 운동실행 시각운동조직력 사고조직력이, , ,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이는 프로그램이 물체(p<.05).

의 모양과 구조 및 기능을 살피고 정해진 방법과 과

정에 따라 물체를 다루고 조작하면서 인지의 각 하위

기능들을 자극하였던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프로그.

램에서 느끼는 즐거움은 대상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여 익숙한 지식 및 기술을 확성화 시킨다 이에.

7

는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때는 즐겁게 접Creek(2002)

근하는 것이 중요하며 반복과 적용을 통해 목표를 달,

성하게 한다고 보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

다 다만 대상자들의 소감에서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

과 관련된 인지영역의 언급을 살펴보았는데 세밀한,

부문에 대한 시지각적 처리와 순서 및 도구 사용의·

기억이 어려웠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프로그램 진행.

자들의 반복과 구두 암시를 통해 시설 노인을 보조하

여 과제를 완성하였다 따라서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

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취약한 인지기능에 대

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단순하고도 반복적인 동작

으로 구성된 활동을 선택하여야 하며 복잡한 활동 제,

공시 이를 보조할 수 있는 대체전략을 강구해야할 것

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시설 노인은 총 회기 동안의 수공예32

활동 프로그램에 빠짐없이 참여하였다 이는 프로그.

램이 쉽고 재미있어 자발적인 수행이 가능하였고 실,

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을 만들기 때문에 대상자

들의 내적 동기를 자극하였던 것으로 생각한다 대상.

자들은 종결 후에도 계속 하고 싶은 의사를 표현하여,

수공예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은 즐거움을 주는 창조적 활동을 통해 기Gordon(1961)

쁨을 느끼게 되면 적극적으로 창조적 잠재력을 사용,

할 기회를 찾게 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주장을 지지

하였다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자발적.

인 참여를 유도하여 노인의 일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

하는 여가시간을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며 나아,

가 삶의 만족을 통한 궁극적인 의미의 건강을 획득하

도록 돕는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

은 시설 노인의 우울감을 경감시키고 인지를 향상시

키는데 긍정적인 변화를 제공하였다 또한 대상자들.

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자가 프로그램으

로서의 활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다만 프로그램의 활.

성화 및 효과에 대한 표준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수공

예 활동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각 활동의 중,

재적 효과를 검증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대상자의 특.

성에 맞게 각 활동을 적용하여 맞춤형 중재를 고안해

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결론.Ⅴ

본 연구를 통해서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은 시설 노

인의 우울감을 경감시키고 인지를 향상시키는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구성된 활동이.

시설 노인의 내적 동기를 자극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 자가 프로그램으로서 활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설 노인의 우울 및 인지증진을.

위한 자가 프로그램으로서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참고문헌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한국판, . (1989). Mini Mental State

의표준화연구 제 편Examination(MMSE-K) : 1 MMSE-K

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28(1), 125-135.

김순이 시설거주노인의생활양식분석요양원. (2002). -

거주 노인 대상으로. 한국 노년학회지, 22(2), 61-74.

오민아 신윤오 이태용 김정선 를 이, , , . (2003). MMSE

용한 도시지역 노인들의 인지기능검사 성적. 충남

의대잡지, 30(2), 101-113.

이영숙. (2008). 노인의 여가활동실태 및 여가 프로그

램 만족도 대전 대전대학교. : .

이정식 이원혜 이우경 오홍석 시설거주 노인, , , . (2006).

우울증과 인지기능 저하. 노인정신의학회지, 10(1),

20-27.

이정애 정향균 농촌지역노인들의우울및인지, . (1993).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6(3), 412-429.

장미림. (2006). 집단 미술치료가 시설 노인의 우울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경산 영남대학교. : .

정인과 곽동일 조숙행 이현수 한국형 노인우, , , . (1997).

울검사 표준화 연구. 노인 정신의학회지, 1(1), 61-72.

최순영 만성 요통 여교사에 대한 운동 프로그. (2001).

램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 7(2), 169-187.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계. 서울 통계청: .

홍재란 김행란 양경희 양영애 채수경 최혜숙, , , , , . (2005).

작업치료를 위한 수예 및 공작. 서울 계축문화사: .

Baker, W. (2005). Art and crafts for recovery.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h t t p : / / www. t oyd i r e c t o r y . c om/mon t h l y / j u-

ly2002/arts-for-recovery.asp

Bissell, J. C., & Mailloux, Z. (1981). The use of crafts

in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physically disabl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5(6),

369-374.

Carol, T. M. A., & Margaret, D. (2007). Crafts and cre-

ative media in therapy third edition. Ohio: Slack

incorporated.

Crepeau, E. B., Cohn, E. S., & Schell, B. A. B. (2003).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20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Press.

Creek, J. (2002). Occupational Therapy and mental

health(3rd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Gordon. (1961). Synectics. New York: Harper and Row.

Hodges, J. R. (1994). Cognitive assessment for

clinicians. USA: Oxford University Press.

Horqhaqen, S., Josephson, S., & Alsaker, S. (2007). The

use of craft activities as an occupational therapy treat-

ment modality in norway during 1952-1960.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14(1), 42-56.

Janis, M. C. (1992). Treating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Use of Diaries in Cognitive Therapy.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13(1), 9-29.

Johnson, K. The therapeutic value of scrapbooking,

http://www.seniority.co.uk/contributions/home-

andhobbies artsandcrafts

Karen, L. C., Staffan, J., Josephsson, S., & Mark. L.

(2005). Creating connections to life during life-threat-

ening illness: creative activity experienced by elderly

people and occupational therapist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2(3), 98-109.

Katz, N., Itxkovich, M., Averbuch, S., Elazar, B. (1989).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battery brain-injured patient: reli-

ability and valid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3(3), 184-192.

Rebeiro, K., & Cook, J. (1999). Opportunity, not pre-

scription: An exploratory study of th experience of oc-

cupational engagement.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 176-187.

Reynolds, F. (1997). Coping with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through creative needlecraft.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8), 352-356.

Reynolds, F. (2000). Managing depression through nee-

dlecraft creative activities: a qualitative study. The

Arts in Psychotherapy, 27(2), 107-114.

Sandra, M. W., Susan, C. M., & Lee, A. S. (2004).

Testing the efficacy of a creative-arts intervention with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6(3), 214-219.

Scipio, A. J., Kisner, J. L., Vitiello, A. V., Silverman,

L., & Salls, J. (2005). The craft is back at angora

gardens. Occupational therapy in practice, 10(13),

20-22.

Taylor, E., & Manquno, J. (1991). Use of treatment ac-

tivities in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Journal

Occupational Therapy, 45(4), 317-322.

Yesavage, J. A., Brink, T. L., Lum, O., Huang, V.,

Adey, M., & Leirer, V. O.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9

Abstract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cognition

in elderly at institution according to craft activity program

Bang, Yo-Soon, Ph.D., OTR, Kim, Hee-Young, MPH, OT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wanJu University

Objective : To determine if craft activity reduces depression and increase cognition in the elderly at an

institution.

Method : A total of 34 elderlies(65 years or older) at an institution were assigned to a program of

craft activity. Subjects underwent evaluation of depression using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and LOTCA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were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Result : After the program, KGD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the MMSE-K scores

and some areas of LOTC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rogram(p<.05).

Conclusion : A craft activity program is useful to improve a depression and cognition in elderly at an

institution. Therefore identifying the effect of each craft program will be helpful to find out

the efficient strategies about practical using of craft activity program.

Key Words : Art and Craft, Leisure, Depression, Cognition

서론.Ⅰ

뇌혈관장애 라고도 불리는(cerebral vascular accident)

뇌졸중 은우리나라뿐만아니라전세계적으로사(stroke)

망의주된 요인이다 의 보고에의하면뇌졸. WHO(2007)

중은세계에서두번째사망원인이며우리나라의경우도

대사망원인중의하나로그발생빈도가점차증가하고3

있다 또한통계청 의사망원인통계연보에의하면. (2008)

연도별사망원인순위 위를차지하고있다 생존자들의2 .

대부분은 어느 정도의 신경학적 회복을 경험하지만 약

의환자는일상생활활동에서도움을필요로한30 60%∼

다김창환과김세주 진단장비가첨단화됨에따라( , 1995).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수행능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정도

과 상관관계 연구: MAL MBI

김지영*, 임애진**, *, 김성례***, *, 한윤희****, *, 한승협 박용광*****, ******, *, 감경윤*******, *,********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부산성모병원**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김해시장애인종합복지관****

파크사이드 재활의학병원*****

창원산재병원******

동의의료원*******

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의 사용량과 질을 평가하는 검사도구인 Motor

와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을 평가하는 간 상관관Activity Log(MAL) Modified Barthel Index(MBI)

계 연구를 통하여 환측 상지의 수행능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년 월 월까지 부산 경남 지역에서 재활치료를 받은 뇌졸중환자로 편마비로 진단받은 명2010 2 6 , 91∼

을 대상으로 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 의 점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MAL MBI . MAL MBI

상관분석을 하였다Pearson .

연구결과

점수와 환측 상지의 사용량 및 움직임의 질에서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 등급에MBI . MBI

따른 의 점수는 각 등급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세손마비와 비우세손마비의 점수MAL , MAL

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환측 상지의 수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사용량과 움직임의 질을 평가하는 은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평가와 치료계획을 세우MAL

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 MAL, MBI

교신저자 감경윤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0 11 03 : 2010 11 18∥ ∥

1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뇌졸중에의한사망률이급속히감소되고있지만재활치

료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신용일 등( , 1996).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는 운동기능장애 인,

지 및 지각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등의 많은 장애, ,

를 동반하게 되고 기본적인 일상생활활(Reed, 1991),

동을 타인에게 의존해야함에 따라 자존감 상실과 우

울증으로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된다정미정( , 2000).

특히 일상생활활동은 대부분 상지와 손으로 이루어진

다는 점을 생각할 때 손을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보,

조수단을 통하여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뇌졸

중 환자의 절망감은 무엇보다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환측 상지 기능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고 상지기능 증진에 무

엇보다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김미영( , 1994).

김선희 장문영과 권혁철 은 운동기, (2003) Fugl-Meyer

능평가(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 FMA)

와 을 이용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하여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의 운동 기능회복정도

와 일상생활활동을 검사해 보았을 때 의 점수와, FMA

의 운동 항목 점수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FIM (motor)

음을 보고하였다 이는 운동기능의 회복정도가 좋을.

수록 운동능력이 요구되는 일상생활활동을 독립적으

로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는 환측 상지의 경우(Manual Function Test, MFT)

의 자조능력과 관련된 모든 항목 중 식사하기 씻FIM ,

기의 세부항목과 상관관계를 보이고 건측 상지의 경

우에는 두 가지 세부항목을 제외한 다른 모든 항목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었다채경주와 이한(

석 한태륜 김진호 이성재와 김상범, 1996; , , , 1992).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손기능평가MFT, Jebsen-Taylor (Jebsen-Taylor Hand

퍼듀 페그보드 평가Function Test), (Purdue Pegboard

동작의 수행시간과동작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Test),

는 그리고 강제유도WMFT(Wolf Motor Function Test),

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의효과를알아보기위하여일상생활과제수행시환측

상지의 사용량과 질적인 면을 평가하는 MAL(Motor

등이 있다김훈주Activity Log) ( , 2009).

정혜영 김경미와 장문영 의 연구에 의하면 조, (2009)

사된 뇌졸중 작업치료 관련 문헌 편 중에서 중재21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 중 활동과 참

여에 대한 평가도구는 가 사용되었고 그 중 가46.38% ,

장 많이 사용된 도구는 바델지수 와(Barthel Index, BI)

로 각각 씩을 차지하였다MAL 18.75% .

국외 연구사례를 보면 에서 뇌졸중 환자의 상CIMT

지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 높은 빈도로 사용됨에MAL

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임상치료사들에게는 인식과

사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러한 환측의 상지기능을 평가하는 은 일상생MAL

활활동 항목으로 구성되고 환자와의 인터뷰 형식으로

이루어지지만 기능적 독립성측정에는 이용할수 없다,

이(Uswatte, Taub, Morris, Vignolo & McCulloch, 2005).

에 편리함과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로 많이 사용, ,

되고 있는 수정된 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이종하 와의상관성을조사함으로써 일상생MBI)( , 1995)

활활동의 독립성 정도에 대한 근거를 마련한다면 환측

상지 수행능력 평가를 통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정

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의 사용량과 질을 평가하는 검사도구인 과 일상MAL

생활활동의 독립성을 평가하는 간 상관관계 연구MBI

를 통하여 환측 상지 수행능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의 독립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Ⅱ

연구 대상 및 기간1.

본 연구는 년 월 월까지 부산 경남 지역의2010 2 6 ,∼

병원과 복지관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환자로,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91 .

대상자의 선정 조건은 다음과 같으며 일반적 특성

은 표 에 제시하였다1 .

가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 받은 환자.

나 연구내용을 이해하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

다 영역 중 상하지 영향을 받지 않는 대. MBI ․소변

조절 영역에서 최소보조 이상인 환자

라 영역 중 하지 동작의 영향을 받는 계단 오. MBI

르내리기 보행 영역에서 최소보조 이상인 환자,

분류 세부특성 대상자수(%)

성별남성 50(54.9)

여성 41(45.1)

연령

대30 6(6.6)

대40 20(22.0)

대50 25(27.5)

대60 26(28.6)

대 이상70 14(15.4)

발병원인뇌출혈 38(41.8)

뇌경색 53(58.2)

마비부위좌측편마비 39(42.9)

우측편마비 52(57.1)

우세손오른손 82(90.1)

왼손 9.(9.9)

우세손

마비유무

우세손마비 45(49.5)

비우세손마비 46(50.5)

유병기간 개월( ) 27.91 ± 27.92

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N 91)=

13

연구도구2.

1) MAL(Motor Activity Log)

는 앨라바마 대학에서 의 효과를 측정하MAL CIMT

기 위하여 등 에 의해 고안된 평가도구로Taub (1993)

써 실제 일상생활스위치 올려 불 켜기 서랍열기 양, ( , ,

말 신고 벗기 등에서 환측 상지를 얼마나 질적 양적) ,

으로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구조화된 인터뷰형식

의 평가도구이다 결과측정은 크게 두 가지로 환측 상.

지를 얼마나 질적으로 사용하는 지에 대한 상지활동

의 질 과 얼마나 양적으로(Quality of Movement, QOM)

많이 사용하는지에 대한 환측 상지 사용량(Amount of

으로 분류된다 각각의 과 점수Use, AOU) . QOM AOU

는 각 항목 당 점에서 점까지 점 척도로 되어 있0 5 6

고 각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으로 나타낸다, .

은 내적 일치도 이고 검사자간 신뢰도MAL .88 .95∼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로 신뢰도가 높은 검사.90, - .94

도구이다(Uswatte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등 에 의해 신뢰도와Uswatte (2005)

타당도가 연구된 을Motor Activity Log-14 item version

사용하였다.

2) MBI(Modified Barthel Index)

등이 년 개발한 를Barthel 1965 Barthel Index Shah,

와 가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Vanclay Cooper(1989) ,

상생활 평가 도구이다 가지의 구체적인 일상생활. 10

활동을 신변처리 동작 개항목과 가동능력 개 항목7 3

으로 나누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단계로 점수화하고5

있으며 총점은 점이다 점은 완전 의존성100 . 0 24 , 25∼

점은 최대 의존성 점은 부분 의존성49 , 50 74 , 75∼ ∼ ∼

점은 약간 의존성 점은 최소 의존성 점90 , 91 99 , 100∼

은 완전 독립성을 나타낸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 .89,

검사자간 신뢰도 로 알려져 있다.95 (Granger, Albrecht,

& Hamilton, 1979).

분석방법3.

의 상관관계 계수Pearson (Pearson’s correlation co-

를 이용하여 과 의 점수간의 상관관efficient) MAL MBI

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등급에 따른 점수의, MBI MAL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을 사용하였다ANOVA) .

또한 우세손 마비와 비우세손 마비에 따른 의MAL

점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 표본 검정을 사용하t

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SPSS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12.0 .

연구 결과.Ⅲ

와 의 상관관계1. MBI MAL

와 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표 와 같이MBI MAL 2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총점과. MBI MAL

의 세부 영역인 과 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QOM AOU

은 는 으로 높은 상관관계를QOM r .579, AOU r .546= =

나타냈다.

영역MAL QOM AOU

총점MBI .579** .546**

**p<.01

표 와 의 상관관계2. MBI MAL

1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등급에 따른 점수의 차이2. MBI MAL

의 등급에 따른 의 점수에 대한 차이가 있MBI MAL

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표 과 같다 등급은 총3 . MBI 5

개로 나뉘는데 대상자가 없었던 완전 의존성 등급을,

제외한 개의 등급은 각 등급별로 의 과4 MAL QOM

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AOU

였다(p<.01).

이 네 등급 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에서 최대 의존성LSD . QOM

등급과 부분 의존성 등급은 모든 등(severe) (moderate)

급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약간 의존성(p<.05)

과 최소 의존성 등급 간 차이에 있어서(mild) (minimal)

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또한(p>.05). AOU

에서도 역시 최대 의존성 등급은 모든 등급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부분 의존성 등급은 최소 의(p<.05),

존성 등급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약간 의존(p<.05).

성 등급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그(p>.05).

리고 최소 의존성 등급과 약간 의존성 등급 역시 유

의한 차이를 보지 못하였다(p>.05).

우세손마비와 비우세손마비에 따른3.

점수의 차이MAL

우세손마비 집단과 비우세손마비 집단에서 평MAL

균점수는 우세손마비 집단이 비우세손마비 집단보다

영역MAL 등급MBI점수MAL

LSD† F P평균 표준편차±

QOM

severe 2.50 ± 0.707 a

20.627 .000**moderate 23.65 ± 12.054 b

mild 38.00 ± 12.104 c

minimal 46.48 ± 12.742 c

AOU

severe 1.50 ± 0.707 a

13.731 .000**moderate 17.39 ± 12.350 b

mild 28.05 ± 13.636 b,c

minimal 38.76 ± 13.524 c

post hoc tested by Least Significant Difference(LSD)†

**p<.01

표 등급에 따른 점수의 차이3. MBI MAL

영역MAL 우세손마비 비우세손마비/ 점수 t p

QOM우세손마비 37.82 ± 15.74

2.175 .032*비우세손마비 30.83 ± 14.93

AOU우세손마비 32.84 ± 15.66

4.304 .000**비우세손마비 19.91 ± 12.82

*p<.05, **p<.01

표 우세손마비와 비우세손마비에 따른 점수의 차이4. MAL

15

높게 나타났다표 에서는 우세손마비 집단이( 4). QOM

로 비우세손마비 집단의 보다37.82±15.74 30.83±14.93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였다

점수 역시 우세손마비 집단이(p<.05). AOU 32.84±15.66

로 비우세손마비 집단의 에 비해 크게 차이19.91±12.82

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함을 보였

다(p<.01).

고찰.Ⅳ

뇌졸중은 흔히 신체 한 쪽의 편마비를 야기하는데

근육의 약화나 마비 비정상적인 근긴장도 협응문제, , ,

연합반응 근골격계 문제 감각장애 등으로 인해 환측, ,

사지의 운동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특히 뇌졸중 환자.

의 가 발병초기에 상지장애를 보이고 발병 후85% , 3

개월 이후에는 에서 상지장애가 남게 된6 55 75%∼ ∼

다(Olsen, 1990).

상지운동능력 저하는 착탈의 동작 식사 동작 등 일,

상생활활동에 어려움을 주므로 기능적 독립성을 저하

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또한 상지기능장애는 임상.

적으로 뇌졸중에 수반되어 나타나는 장애의 가장 근

본적인 원인이 되고 편마비 환자가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고 사회로 복귀하는 데 있어 커다란 장벽을 제

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Page et. al., 2002).

들에 있어 주요한 목표는 독립적 생활이며 이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일상생활활동에 있어.

서 대부분이 상지와 손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생각

할 때 손을 사용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다

른 보조수단을 이용하거나 건측 상지를 이용해야 하

는 뇌졸중 환자의 어려움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

는 것은 기능 제한과 장애 측정에 있어 중요하며 기능

적 예후를 예측하거나 효과적인 재활 치료를 위해 필

수 사항이다 평가는 기능적이고 포괄적이어야 하며.

건강과 기능 장애와 관련된 요인들이 그 결과에 서로

연관을 가지면서 이를 다양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

다 일상생활활동에 대한(Stucki, Ewert & Cieza, 2003).

평가는 장애인이 갖는 제한된 기능에 대하여 포괄적이

고객관적으로평가할수 있을뿐 아니라 그통계적분

석을 보다 용이하게 하려면 공식화된 기능평가의 방법

이 필요하다(Gresham, Phillips & Labi, 1980).

현재 재활의학 영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평가방법으로는 과 등FIM MBI

이 있다 은 저작권자에게 사용료를 지불해야하고. FIM

소정의 교육을 받아야 하는 등 국내에서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그러나 는 저작권 시비와 사용료. BI

의 지불이 없는 장점이 있다정한영 등 또한( , 2007).

다른 평가도구에 비해 평가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처리의 용이함 등의 이유,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이종하( , 1995).

환측 상지기능 평가 방법은 에 의해 고안된Carroll

와Upper Extremity Function test(UEFT) MFT, Box and

손기능평가 등이 있다채경주Block test, Jebsen-Taylor (

와 이한석 그리고 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 1997). CIMT

하여 일상생활 과제 수행 시 환측 상지의 사용량과

질적인 면을 평가하는 이 있다김훈주MAL ( , 2009).

은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환측 상지기능 평가이MAL

지만 기능적 독립성 측정에는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국내 임상에서는 사용이 많(Uswatte et al. 2005)

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 MAL MBI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을 이용MAL

한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측정에 대한 근거를 마련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와 의 은MBI MAL QOM r .579, AOU=

는 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는r .546 .=

환측 총점이 화장실 사용 항목을 제외한MFT ADL

항목 전반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정진화와 송창

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2005) .

바탕으로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평

가할 때 환측 상지의 사용량과 움직임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이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평가와 치료계MAL

획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의 등급에 따른 의 점수 차이를 살펴보면MBI MAL

각 등급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임상에.

서 일상생활활동의 환측 상지 수행에 대한 동작으로

구성된 적용은 간단한 환자 인터뷰 방법을 이용MAL

하여 환자의 일상생활 활동의 독립성을 알아보는데

의미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우세손마비와 비우세손마비에 따른 환측 상지의 사

용량과 수행의 질에도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최유임,

등 의 가 우세손이 환측인 대상자들의 일상(2009) CIMT

생활활동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결과와 유사하

다 이는 우세손마비 환자의 경우 발병 전의 우세손. ,

확립으로 익숙한 우세손의 사용이 많고 또 그만큼 사

용을 많이 할수록 기능적으로 향상을 보인다 그리고.

비우세손마비 환자의 경우 건측인 우세손만으로 보조

도구를 이용하거나 보상작용 습득으로 일상생활활동

이 가능하여 환측인 비우세손 사용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일상적인 활동에서의 사용기회 감소로 인해

환측 상지는 학습된 비사용과 비대칭적인 자세패턴,

구축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기능적인 제한이 더욱 심

해지는데 비우세손마비일 때 이러한(Ryerson, 2001),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 선정 시 하지 기능과

관련된 일상생활 영역의 독립성을 제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모든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화

하기에 어려움이 남는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수가 충.

분히 크지 못하기 때문에 등급 별 점수의 표MBI MAL

준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

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에 대한 고려가

없는 것 또한 제한점으로 남는다.

결론.Ⅴ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의 사용

량과 질을 평가하는 검사도구인 과 일상생활활MAL

동의 독립성을 평가하는 간 상관관계 연구를 통MBI

하여 환측 상지 수행능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독립

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년 월 월까지. 2010 2 6∼

부산 경남 지역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환자로, ,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91 ,

의 상관관계 계수를 이용하여 과 의Pearson MAL MBI

점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점수와 환측 상지의 사용량 및, MBI

움직임의 질에서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MBI

의 등급에 따른 의 점수는 각 등급별로 유의한MAL

차이가 있었다 우세손마비와 비우세손마비의 점. MAL

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뇌졸중 편.

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사용량과 움직임의 질을 평가

할 수 있는 은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평가와 치료MAL

계획을 세우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의 유용성을 확보하고MAL

임상적 활용을 위해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고 점, MAL

수에 근거 한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정도를 표준화하

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미영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에 대한 고찰. (1994).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 19-26.

김선희 장문영 권혁철 편마비 환자의 환측, , . (2003).

상지 운동기능 향상이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 미치

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1(2), 65-75.

김지혁. (2002). 편마비 환자에 대한 비 환측 상지고정

술 적용효과. 김해 인제대학교: .

김창완 김세주 뇌졸중 후 운동 기능 회복에, . (1995).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1), 55-61.

김훈주. (2009).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강

제유도운동치료 와 인지지각 훈련의 병행효(CIMT) -

과 김해 인제대학교. : .

류인태. (2007). 가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편마비측 손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경기 용인대:

학교.

박소연 유은영 한국작업치료사의평가도구사, . (2002).

용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2), 99-108.

신용일 김연희 서정환 김유창 뇌졸중 환자, , , . (1996).

의 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FIM . 대한재활의학회지,

20(4), 836.

이종하. (1995). 뇌졸중 환자에서 과 의 비교FIM MBI .

서울 경희대학교: .

정미정. (2000).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의 삶의 질 서울 경희대학교. : .

정진화 송창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 (2005).

수행능력과 시지각 기능 및 상지 운동 기능간의 상

관성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251-264.

정한영 박병규 신희석 강윤규 편성범 백남종 등, , , , , .

17

한글판 수정바델지수의 개발뇌졸중 환자 대(2007). :

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31(3), 283-297.

정혜영 김경미 장문영 뇌졸중환자의작업치료, , . (2009).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 79-95.

채경주 이한석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의 정상, . (1996).

인 표준치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5(1),

52-57.

최유임 정민예 정보인 유은영 강제유도운동, , , . (2009).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1), 77-90.

통계청. (2008). 사망원인통계연보 서울 통계청. : .

한태륜 김진호 이성재 김상범 편마비 환자, , , . (1992).

에서 수부기능 평가의 의의. 대한재활의 학회지,

16(4), 423-430.

Granger, C. V., Albrecht, G. L., & Hamilton, B. B.

(1979).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

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60(4), 145-154.

Gresham G. E., Phillips T. F., & Labi M. L. (1980).

ADL Status in Stroke: Relative merits of three stand-

ard index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61, 355-358.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21, 247-251.

Page S. J., Levine P., Sisito S., Bond Q. & Johnston M.

V. (2002). Stroke patients and therapists opinion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linical

Rehabilitation, 16(1), 55-60.

Reed, K. L. (1991). Quick Reference to Occupational

Therapy. Marylnad:Aspen Publishers Inc.

Ryerson, S. D. (2001). Hemiplegia In D. A. Umphered

(Ed.), Neurological Rehabilitation (4th edition., pp.

741-879). St. Louis, MO: Mosby.

Shah, S., Vanclay, F., & Cooper, B. (1989).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

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2,

703-709.

Stucki, G., Ewert, T., & Cieza, A. (2003). Value and ap-

plication of the ICF in rehabilitation medicin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5(11-12), 628-634.

Tabu, E., Miller, N. E., Novack, T. A., Cook, E. W.

Fleming, W. C., Nepomuceno, C. S., et al. (1993).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 347-354.

Uswatte, G., Taub, E., Morris, D., Vignolo, M., &

McCulloch, K.(200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upper-extremity motor activity log-14 for measuring

real-world arm use. Stroke, 36, 2493-2496.

WHO. (2007). The top ten cause of dea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Abstract

Independency of ADL according to the ability of affected upper extremity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L and the MBI

Kim, Ji-Young*,**, O.T., Lim, Ae-Jin*,***, O.T., Kim, Sung-Rye*,****, O.T., Han,

Yun-Hee*,*****, O.T., Han, Seung-Hyup******, O.T., M.S., Park,

Yong-Kwang*,*******, O.T., Kam, Kyung-Yoon*,********, Ph.D.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I

**Busan St. Mary’s Medical Center

***Busan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Kimhae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arkside Rehabilitation Hospital

******Changwon WCI Hospital

*******Dong-Eui Medical Center

********Life-Redesign Research Center, Inje Univers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c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affected upper extremity, through stud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or Activity Log(MAL), which measures the Amount Of

Used(AOU) and Quality Of Movement(QOM) of affected upper extremity of hemiplegic pa-

tients,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MBI), which measures the independency of ADL.

Method : Of the patients with stroke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who were given rehabilitation

treatment between February and June, 2010, 91 hemiplegics were subjected to the MAL and

the MBI assessmen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L and the MBI scores.

Result : A high level of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AOU and QOM of affected upper ex-

tremity and MBI scor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among the MAL

scores of each MBI levels.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L scores were also showed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 paralysis.

Conclusion : In assessing the ADL of hemiplegic patients with stroke, the MAL which assesses the AOU

and the QOM of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evaluating their

ADL and establishing treatment plans.

Key Words : Stroke, ADL, MAL, MBI

서론.Ⅰ

산업발전과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장애의 발생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고 국가적으로도 장애의 범주를

확대해 나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 재활은 국가.

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전략이 필요로

한다보건복지가족부 또한 노인들의 평균 수명( , 2010).

이 크게 연장되고 만성질병과 노인 장애인의 수가 증,

가하면서 선전적 또는 후천적 장애 인구도 점차 증가

하고 있어 효과적인 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장애 인구는 년 실태조사 결과 재2005

가 장애인이 천여 명 시설 장애인 약 천명을2,101 , 48

합한 천여 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것은 전체2,149

인구의 로 추정된다 이중 를 차지하는 재3.09% . 7.8%

가 장애인을 위한 재활서비스의 제공은 장애인구 증

가 현상으로 보아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변용찬 등( ,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에 대한 치료는 보험체2005).

계 여건상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 중심의 의료재활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속적 재활 치료를 받는 비율도,

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이규범과 임32.3% (

재영 이런 상황은 퇴원 이후 지속적인 관리를, 2004).

위한 다양한 재활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장애인과 그 가족들은 퇴원 후 치료에 대한.

외래환자들의 복지용구 사용현황 및 교육 필요성

박수정 신중일*, **

서라벌대학 작업치료학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재활센터 작업치료실**

목적본 연구는 외래환자들을 중심으로 복지용구 선택 및 교육에 대한 전문가의 개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부산에 위치하는 재활병원 외래 환자로 명을 대상으로 설문2010 9 1 9 30 60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이용자들의 기본정보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지용구와 사용 만, ,

족도 복지용구 전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3 .

연구결과

연구결과 설문 응답자 명이 사용하고 있는 복지용구는 지팡이 보행차 미끄럼방지용60 (75%), (35%),

품 이동변기 수동휠체어 욕창예방매트리스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용(31.6%), (25%), (8.3%), (6.6%) .

하고 있는 복지용구의 이용만족도는 연구대상자의 가 복지용구 사용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65%

다 복지용구 전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항목에 대해 전체 대상자중 가 복지용구 전문교육. 78.4%

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교육이 필요한 복지용구로는 보행차 수동휠체어 보행보조차 지, , ,

팡이 순으로 응답 했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복지용구 교육 내용에 대한 항목에는 복지용구 선택에.

대한 교육 복지용구 작동방법 훈련 보호자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 .

결론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복지용구 이용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지침서 개발을 실시하고 작업치료의,

교육영역을 넓혀 실질적인 임상 치료과정에 한 부분으로 정착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

교신저자 박수정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0 11 2 : 2010 11 15∥ ∥

2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두려움으로 퇴원을 기피하게 되어 재원 기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거나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악순환,

이 반복되면서 장애인 보호자 병원 모두가 어려움에, ,

처해있다김병식( , 2001).

장애인 재활은 신체 및 정신의 일부분에 남아있는

기능을 최대한으로 개발시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 ,

교육적 직업적으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정상적,

인 사람과 동등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급성기 환자(Dancan, 2003).

의 입원치료 이후 지속적인 재활을 위한 재활서비스

가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입원 치료 후 완전히 퇴원,

하는 것이 아니라 타 병원에 다시 입원하는 장애인이

많으며 이러한 현상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이일영( ,

의료보험 수가 또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돌아가2001).

기 위한 재활치료의 다양한 부재로 지속적인 재활을

위한 국가적 지지 또한 부족한 현실이다.

년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2008

이나 질병 등으로 목욕이나 집안일 등 일상생활을 혼

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신체활동 가사지,

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노후 생활의 안정과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사회보험제도이다보건(

복지부 특히 복지용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 2008).

는 기타 재가급여의 경우 요양보호가 필요한 고령자

및 장애인들에게 생활 자립도를 높이고 사회참여를

촉진시켜 자기실현이 가능한 것을 목표로 실시되었다

양영애 등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으로 인해( , 2008).

복지용구에 대한 공적 급여가 확산되고 있으며 복지

용구는 장애인의 독립성을 증진시키고 케어자의 부담

을 경감시켜 주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복지( , 2008).

용구란 심신장애 및 만성질환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

인 또는 장애인의 일상생활의 편의 및 기능훈련을 도

모하고 보호자케어자의 수발부담을 경감시켜주기, ( )

위한 제품으로 정의한다장현숙 등 복지용구의( , 2006).

사용자는 이용대상이 되는 본인과 가족 한층 더 나아,

가 재활을 돕는 전문 인력도 포함된다 복지용구 선택.

은 고령자 및 장애인 또는 케어자의 자기결정으로 이

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성과 표준화가 필수적이며 지속

적 관리 서비스를 필요로 하다양영애 등( , 2009).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급여 대상이 되는 복지용구

는 구입 전용 개 품목과 대여가 되는 개 품목으로10 6

구분된다 구입전용품목에는 가격이 저렴하면서 다른.

사람이 사용한 제품에 대한 거부감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동변기 목욕의자 보행차 보행보조차 안전, , , ,

손잡이 미끄럼방지용품 간이변기 지팡이 욕창예방, , , ,

방석 자세변환용구가 포함된다 대여 또는 구입 대상, .

이 되는 개 품목은 비교적 고가이면서 재사용에 문6

제가 없는 것들로 수동휠체어 전동침대 수동침대 욕, , ,

창예방 매트리스 이동욕조 목욕리프트가 있다보건, , (

복지가족부, 2008).

복지용품 선택은 장애인의 신체 상태와 잔존기능을

최대한 고려하고 보호자의 능력을 반영해야 하며 이,

용 목적 조작을 하는 보호자의 상황 등을 파악한 다,

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이용 환경을 고려해.

적절한 기능을 갖춘 기종을 선택하야 한다 복지용구.

의 선택이나 사용은 생활환경을 고려하여 본인 가족, , ,

재활 전문가의 입장으로 검토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복지용구 지원을 통한 이용자의 독립성 증가는

사회적 참여를 증가시키고 생활권이 넓어지며 가족,

을 포함해 삶의 질을 높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잘못된 방향의 복지용구 선택은 결과적으로 본인과

가족의 웰빙 을 저해하게 되므로 주의가 필(well-being)

요하다양영애 등( , 2009).

복지용구 교육은 용구의 제품 특성을 이해하고 대,

상자의 요구나 장애를 파악할 수 있으며 용구가 사용,

될 환경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에 의

해 이루어져야 한다 특(Bialkowska & Januszko, 1999).

히 재활을 가장 가까이에서 돕는 작업치료사 물리치,

료사는 복지용구 사용 및 관리를 위한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복지용구 사용법 관리 방법 소독 절차 보. , , ,

호자 교육 등의 과정은 복지용구의 효과적인 상용 및

위험 상황에 노출 되는 것을 예방해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재활의 과정에서 효과적

인 재활서비스의 한 부분으로 복지용구 선택 및 교육

에 대한 전문가의 개입 기반을 마련하기 재활병원의

외래 통원 환자 중 복지용구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

들을 중심으로 복지용구 이용 현황과 필요한 교육과

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 특성 빈도 명( ) 백분율(%)

성별남 41 68.3

여 19 31.7

나이 평균 표준편차± 42.6 ± 5.64

교육

수준

중졸이하 12 20.0

고졸 24 40.0

대졸이상 24 40.0

진단명

뇌졸중 35 58.3

척추손상 11 18.3

근골격계질환 8 13.4

기타 6 10.0

치료

기간

년 미만1 6 10.0

년1 3∼ 33 55.0

년 이상3 21 35.0

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N 60=

21

연구 방법.Ⅱ

연구 대상 및 연구기간1.

본 연구는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부산2010 9 1 9 30

에 위치하는 재활병원 외래환자 명을 대상으로 실60

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언어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

하며 현재 복지용구를 사용하고 있는 외래환자를 선,

정하였다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하고 동의한.

경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사전 훈,

련을 받은 작업치료 전공자들로 직접 면담을 통해 설

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과정 및 연구 도구2.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급여대상이

되는 복지용구로 구입 전용 개 품목과 대여가 되는10

개 품목을 기준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6 .

용으로는 이용자들의 기본정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지용구와 사용 만족도 복지용구 전문 교육의 필요,

성에 대한 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용자들의3 .

기본정보에는 연령 성별 학력 진단명 치료기간에, , , ,

대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지용구와 사용만,

족도에 대한 항목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지용구와

사용 시 만족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복지용.

구 전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항목은 전문적 교육의

필요성 문항과 특히 교육이 필요한 복지용구 종류 이,

용자들이 원하는 교육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분석 방법3.

자료 분석은 을 사용하였다 이용SPSS 16.0 version .

자의 기본정보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시행하

였고 복지용구의 사용 만족도와 전문교육의 필요성,

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Ⅲ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연구에참여한대상자는총 명으로남자는60 41(68.3%)

명 여자는 명이었다 평균연령은 세이고, 19(31.7%) . 42.6 ,

교육수준은 중졸이하가 고졸과 대졸이상이 각각20%,

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진단명은 뇌졸중이 명40% . 35

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척추손상과 근골(58.3%)

격계 질환이 있었다 재화치료를 받은 기간은 년에서. 1

년 미만이 명 으로 가장 많았고 년 이상 장기3 33 (55%) 3

환자 또한 명 로 나타났다표21 (35.0%) ( 1).

복지용구 사용 여부와 만족도2.

복지용구 사용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복지용구 종16

을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사용 중인 복지용구에 대해.

복수응답을실시한결과구입전용품목의경우 개의10

복지용구중지팡이를사용하는빈도가 명 로가45 (75%)

장 많았다 그 외 보행차 미끄럼방지용품. (35%), (31.6%),

이동변기 순으로 나타났다 대여 또는 구입품목(25.5%) .

복지용구 빈도 명( ) 백분율(%)

구입

전용

품목

개(10 )

지팡이 45 75.0

보행차 21 35.0

미끄럼방지용품 19 31.6

이동변기 15 25.0

목욕의자 12 10.0

보행보조차 9 15.0

안전손잡이 7 11.7

욕창예방 방석 5 8.3

자세변환용구 2 3.3

간이변기 0 0.0

대여

또는

구입

품목

개(6 )

수동휠체어 5 8.3

욕창예방 매트리스 4 6.6

수동침대 0 0.0

전동침대 0 0.0

이동욕조 0 0.0

목욕리프트 0 0.0

표 복지용구 사용여부복수응답2. ( )

만족도 빈도 명( ) 백분율(%)

매우만족 8 13.3

만족 31 51.7

보통 12 20.0

불만족 9 15.0

표 복지용구 사용 만족도3. N 60=

항목 빈도 명( ) 백분율(%)

복지용구

전문

교육

필요성

매우 필요함 21 35.0

필요함 26 43.4

보통 5 8.3

필요하지 않음 8 13.3

교육이

필요한

복지용구

보행차 20 33.4

수동휠체어 17 28.3

보행보조차 12 20.0

지팡이 11 18.3

이용자들

이 원하는

복지용구

교육

복수응답( )

복지용구선택교육 46 76.7

작동방법 훈련 33 55.0

보호자 용구

사용 교육25 41.7

복지용구

수리보수 교육17 28.3

기타 5 8.3

표 복지용구 전문 교육의 필요성4. N 60=

2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개의복지용구중가장많이사용하는품목은수동휠체6

어 와 욕창예방매트리스 로 나타났다표(8.3%) (6.6%) ( 2).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지용구의 이용만족도에 대한

문항에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매우만족이 명8 (13.3%),

만족이 명 로 연구대상자의 가 복지용구31 (51.7%) 65%

사용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통이라고 답.

한 이용자는 명 불만족이라고 답한 이용자는12 (20%),

명 로 조사되었다표9 (15%) ( 3).

복지용구 전문 교육의 필요성3.

복지용구 전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항목에 대해

이용자 중 명 이 매우 필요하다 명 이21 (35%) , 26 (43.4%)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것은 전체 대상자중 가. 78.4%

복지용구 전문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이다 특.

히 교육이 필요한 복지용구에 대한 문항에 대해 보행

차 수동휠체어 보행보조차 지팡(33.4%), (28.3%) (20%),

이 순으로 응답했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복지용(18.6%) .

구 교육 내용에 대한 항목에는 복지용구 선택에 대한

교육을 명 이 선택하였으며 그 외 복지용구46 (76.7%)

작동방법 훈련 보호자 교육 순으로 나타(55%), (41.7%)

났다표( 4).

고찰.Ⅳ

복지용구는 심신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수행이 어려

운 장기요양수급자들의 자립적 생활과 편의를 도모하

여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돕는

23

용구이다 즉 복지용구는 활용 가능한 생활의 지원으.

로 여러 가지 장애나 자신의 존재감 자신감을 잃은,

사람이 다시 가정이나 지역 안에서 역할 수행을 도와

사회참여를 지원한다(Corcoran et al., 2002; Martin,

자립적 생활과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복지1998).

용구의 효과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것은 전,

문가들의 교육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복지용구에 대한 전문가 교육은 급성기 재활에서 가

정으로 돌이가기 전 지역사회 재활을 연결하는 중요

한 요소로 성공적인 재활을 이끄는 필수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지용구의 활용이 단편적이.

고 체계적이지 못해 불필요한 복지용구를 보유하고

있거나 구입한 용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의 과정 중 급성기 입원치료 이

후 외래재활을 받고 있는 이용자들에게 효과적인 재

활서비스의 한 부분으로 전문가를 통한 복지용구 선

택 및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복지용구는 이용자들이 쉽게 구입할

수 있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해 공적 급여가

확산된 노인장기요양법 제 조 기타재가급여로 지정23

된 종을 기준으로 실시되었다16 .

년 재활보조기구 지급기준 및 개선방안 정책보2009

고서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보장구 지급 현황을 살펴

보면 년 지급건수는 건 년 건2005 49,141 , 2006 69,341 ,

년 건 년 건으로 매년 증가추세2007 96,844 , 2008 89,318

를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의자차 보조기 휠체어 전, , , ,

동휠체어 전동스쿠터 정형외과용 구두 등 장애인보, ,

장구의 지급건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 조사한 복지용구 사용빈

도는 지팡이 보행차 미끄럼방지용품 이동변기 수동, , , ,

휠체어 욕창예방매트리스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외래 환자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재활기능이 높은

이용자를 중심으로 실시되어 항목별 차이점이 있다.

년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만족도 조사결과 복지2009

용구 구입 및 대여서비스의 이용자 특성을 살펴보면

명의 이용자중 종류의 복지용구를 사용하는 이용168 1

자가 명 종류의 복지용구를 사용하는 이용69 (41.1%), 2

자가 명 종류 이상의 복지용구를 사용하는52 (31%), 3

이용자가 명 로 나타났다권진희 강임옥 한47 (28.7%) ( , ,

은정 이들의 복지용구 구입 및 대여 서비스의, 2009).

대한 만족도는 전체의 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79.8%

났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의 이용자가 만족한 것. 65%

과 비슷한 결과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복지용구 만.

족도를 위한 세부항목으로 적절한 직원의 전문A/S,

성 구입과정에 대한 설명 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본 연구에서 복지용구 전문교육의 필요성 항목 중 복

지용구 선택과 작동 훈령방법에 대한 내용을 필요로

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전문가를 통한 복지용구 교육은 장애인 및 케어자

와 제품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역할로 전문성을 가

지는 중간 사용자로써 실시되어야 한다양영애 등( ,

일본에서는 케어매니저 복지용구 전문 상담원2009). , ,

사회복귀 요법 치료사 등의 전문 직종으로 자리 잡아

효과적인 복지용구 사용을 돕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

러한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들이 시작되고 있지만

아직은 복지용구와 재활용품의 추천과 교육에 작업치

료사들의 역할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복지용구를.

위한 전문 교육은 이용자들의 복지용구 선택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 복지용구의 작동 훈련방

법과 케어자들을 위한 훈련 이용자들을 위한 훈련으,

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복지용.

구 사용을 위한 전문 교육을 위해 지침서의 개발은

필수적이며 이러한 노력들이 더 많은 이용자들에게

효과적인 복지용구 선택의 기회를 넓히고 작업치료,

사의 중요한 역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Ⅴ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재활의 과정에서 효과적인 재

활서비스의 한 부분으로 복지용구 선택 및 교육에 대

한 전문가의 개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급성기 입원

후 외래 통원 환자 중 복지용구를 사용하고 있는 이

용자들을 중심으로 필요한 교육과정을 살펴보고자 하

였다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부산에 위치. 2010 9 1 9 30

하는 재활병원 외래환자 명을 대상으로 사용하고60

있는 복지용구와 사용 만족도 복지용구 전문 교육의,

필요성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 중인 복지용구에 대해 복수응답을 실시한 결

2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과 지팡이 보행차 미끄럼방지용품 이동변기 수동휠, , , ,

체어 욕창예방매트리스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용, .

하고 있는 복지용구의 이용만족도는 연구대상자의

가 복지용구 사용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65% .

지용구 전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항목에 대해 전체

대상자중 가 복지용구 전문교육이 필요하다고78.4%

응답하였으며 특히 교육이 필요한 복지용구로는 보행

차 수동휠체어 보행보조차 지팡이 순으로 응답 했다, , .

이용자들이 원하는 복지용구 교육 내용에 대한 항목

에는 복지용구 선택에 대한 교육 복지용구 작동방법,

훈련 보호자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복지용구 이용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지침서 개발을 실시하고 작업치,

료의 교육영역을 넓혀 실질적인 임상 치료과정에 한

부분으로 정착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진희 강임옥 한은정, , . (2009). 년 노인장기요양2009

서비스 만족도 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김병식. (2001). 장애및지역사회재활사업의이해 재활,

간호사업과정교재.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원 훈련부.

박시운. (2001). 재활장애인의 지역사회중심재활에 대

한 요구도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 고급과정, , 서울:

국립재활원.

보건복지가족부. (2008).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시행

현황.

보건복지가족부. (2008). 노인장기요양보험과 지역보

건복지서비스 통한연계지침.

보건복지가족부 국립재활원 지역사회재활추. (2010).

진단.

양영애 등, . (2008). 노인작업치료 판 서울 계축문화사3 , :

양영애 유성진 허진강 정의정, , , . (2009). 복지용구 판

매사.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서울 메디컬 코리아, : .

이규범과임재영 지역사회장애인의보건의료재. (2004).

활서비스이용실태. 대한재활의학회지, 28(2), 175-181.

이일영. (2001). 지속적 재활의 필요성과 국내현황 재,

활서비스 체계 확립을 위한 방안모색, 서울 국립재:

활원.

장현숙 진영란 배성권 남소영, , , . (2005). 노인용품 및

주거시설 등에 관한 수요공급 추계분석. 서울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Bialkowska, J., & Januszko, L. (1999).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nervous system damage.

neurol Neurochir pol, 33,1311-1316.

Corcoran, M.. A.., Gitlin, L. N., Levy L., Eckhardt, S.,

& Earland, T. V., et al., (2002). An Occupational

Therapy Home-Based Intervention to Address

Dementia-Related Problems Identified by Family

Caregivers. Alzheimer's Care Quarterly, 3(1), 82-90.

Dancan, P. W. (2003).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r-

apeutic exercise in subacute stroke, Stroke, 34, 2173-2180.

Martin, C. (1998). Assistive Technology-the old people's

perspective, In I. Placencia & E. Ballabio(ed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uropean citizen.

Technology for Inclusive Design and Equality (pp.

113-117) Amsterdam: IOS Press.

25

Abstract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welfare medical device and necessity of

education for outpatients

Park, Su-Jong*, Shin Joong-I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orabol Colleg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ring up the intervention base line that education and selection

of welfare medical device for outpatients.

Method : Between first day to last day of September of 2010, a survey was fulfilled to 60 outpatients

that attends a rehabilitation hospital lies on the Busan. The survey contents are as follow:

Client's foundation data; What type of welfare medical device does he/she use and

satisfaction.; Necessity of technical education about welfare medical device.

Result :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shows up as follow :

cane(75%), walker(35%), non-slip pad(31%), bed pan(25%), wheelchair(8.3%), preventing pres-

sure ulcer mattress(6.6%). 65% of this surveyed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to welfare

medical device and 78.4% responded necessity of technical education. Especially, walker,

wheelchair, four-wheeled walker, cane selection of welfare medical device, operation, of

care-giver training.

Conclusion : It is necessary for welfare medical device users to make effective training guideline. Enlarge

a course of stud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establishment of substantial clinical therapy

process.

Key Words : Welfare Medical Device, Technical Education.

서론.Ⅰ

우리나라는 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인구 중65

를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이며 년에는8.7% , 2019 14.4%

로 고령사회 년에는 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2026 20%

진입할 전망이다통계청 현대사회에서 노인의( , 2004).

건강하고 독립적인 생활의 중요성은 고령사회 진입과

가족단위의 변화로 인하여 더욱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의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만성질

환을 가진 노인수가 증가하는 것이다진복수 등( ,

노인의 대표적 만성질환인 치매의 유병률은 연2000).

령의 증가에 비례하여 전체의 세는0.9%, 75 79 5.1%,∼

세 이상에서는 로 급속하게 증한다한국보건사80 8.8% (

회연구원 치매는 노령인구의 행동장애를 일으, 1994).

키는 질환 중 가장 발병률이 높으며 현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치매환자수가 년에는 만명 년에2010 26 , 2020

는 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최진영 대39 ( , 1998).

부분의 치매는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악화되는 퇴행성

질환이며 치료가 어렵고 장기적인 치료를 요하므로,

일단 발병하면 치매노인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부양

하는 가족들에게도 많은 부담과 고통을 주기 때문에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황희숙( , 1998).

치매는 전반적인 지적 기능이 지속적으로 감퇴되는

것으로 기억 언어 시공간 개념화 판단력 등의 기능, , , ,

의 감퇴로 인하여 독립적인 생활영위와 자조활동의

수행이 어려워진다 또한 치매노인은 시공간개념과.

판단력 균형능력 등의 감소로 인하여 보행에도 어려,

움을 호소하게 된다 특히 시공간개념과 판단력 균형. ,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위한 문헌고찰

채경주

경복대학 작업치료과

목적

치매는 전반적인 지적 기능이 지속적으로 감퇴되는 것으로 기억 언어 시공간 개념화 판단력 등, , , ,

의 기능의 감퇴로 인하여 독립적인 생활영위와 자조활동의 수행이 어려워진다 또한 치매노인은 시.

공간개념과 판단력 균형능력 등의 감소로 인하여 보행에도 어려움을 호소하게 된다 특히 시공간개, .

념과 판단력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의 감소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져 낙상을,

야기 시키는 심각한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의 전반적인 낙상 위험 요인과 예방.

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검토하여 증가하는 치매노인인구의 건강하고 독립적인 생활과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요약

치매는 노인에게 있어 가장 많은 신경정신학적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낙상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과 일 여가생활 등을 수행하는데 가장 치명적인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

으로 이러한 낙상으로 인하여 치매노인은 심리적인 장애뿐 아니라 이동 및 신체적 기능장애 조기,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에 대한 중재는 가옥구족의 변경 다양한. , ,

보조도구의 활용 등을 통하여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것이다 또한 인지기.

능의 향상 및 동기부여는 낙상을 예방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치매환자에게 있어서 낙상은 매우 다.

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낙상예방을 이한 좀 더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주제어 치매 낙상 예방 작업치료 중재, , ,

교신저자 채경주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0 11 10 : 2010 11 20∥ ∥

2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능력 및 보행능력의 감소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져 낙상을 야기 시키는 심각한 원인

이 된다.

낙상은 치매노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이며 치매노인의 조기사망 신체손상, , ,

비가동성 사회심리학적 기능장애 요양원으로 입원시, ,

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낙상은 치매노인에게 있어.

심리적인 영향을 주어 전반적인 생활의 질을 감소시

킬 수 있고 신체적, ․기능적 손상뿐만 아니라 사고로

인한 사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치매노(Sattin, 1992).

인에게서 발생하는 낙상은 의료 및 재활서비스의 욕

구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이숙자( , 2000).

낙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데 세 이후, 75

에 낙상이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세 사이에 최, 80 84∼

고조에 이르며 세 이상에서는 생존률이 감소하고85

활동의 제한이 많기 때문에 빈도수가 감소하게 된다

연령증가 낙상 경험 운동성 손상 하(Runge, 1993). , , ,

지근력 감소 낙상과 관련된 행동 등이 포함되는 낙상,

위험요인은 치매노인의 활동을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낙상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을 제한할 뿐만 아

니라 사회참여와 운동성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치

매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의 전반적인 낙상 위

험 요인과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검토하

여 증가하는 치매노인인구의 건강하고 독립적인 생활

과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론.Ⅱ

낙상이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영향1.

노인성 치매는 노인에게 기억력과 아울러 다른 지적

능력의 감퇴가 오는 것을 일컫는데 나이가 들면 누구,

나 생길 수 밖에 없는 상태라는 개념에서 였으나 현재,

는 정신적인 노화과정에서 오는 기억력 및 정신기능의

감퇴라는 다른 특별한 질병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치매는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능력 감정 및. , , ,

성격 전두엽기능 계산능력 판단력 주의력 등 뇌 기, , , ,

능의 여러 영역이 전반적으로 침범되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치매는 하나의 질환이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인지기능 손상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생활에

대한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상태를 지칭한다김성윤( ,

노인성 치매의 약 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이1999). 50%

고 혈관성치매가 그리고 두 가지가 함께 발, 10 15%,∼

생하는 경우가 이다 치매가 진행하면서 증상이 점10% .

차 악화되어 기억을 포함한 인지장애와 언어장애 외에

정신증상과 대 ․소변조절 옷 입기와 식사하기 등의 기,

본적 일상생활 유지까지 어려워진다오병훈 초( , 1997).

기에는 단기기억장애가 발생하고 갑작스런 실인증과

계산 및 요약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며 병,

이 진행될수록 문제해결 능력과 판단력 등의 인지장애

와 실행증 등으로 인하여 자조활동 및 일 여가활동이,

줄어들고 정서적인 혼란 상태가 심화되며 말기에는,

대뇌피질의 심한 손상으로 대동작 움직임과 운동 협응

기능이 거의 소실되어 일상생활기능이 전적으로 의존

하게 된다 노년기에 보행능력의(Binder, et al., 2001).

감소로 쉽게 입게 되는 낙상은 외적인 충격없이 일상

생활을 수행하는 동안 비의도적으로 균형이나 안전성

을 잃으며 신체의 일부분이 바닥에 닿은 것으로 정의

된다 낙상은 세 이상 노인의 사고(Lord, et al., 1993). 65

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이지만 낙상이(Burker, 1995),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기록되지 않은 것은 노인이

낙상 후 여러 가지 합병증으로 사망하기 때문이며 실,

제로 낙상으로 인한 사망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인에서의 낙상은 골절 뇌손상 등 각종(Fife, 1987). ,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고 치료를 위해 입원을 하게 만,

들며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중요한 보건문,

제이다 세 이상 노인 중 가 낙상을 경험하며. 65 20.2% ,

그 중 가 보행하는 동안에 낙상이 발생하며 그63.1% ,

밖에 계단 내려가기 일어서기 방향전환의 순으로 낙, ,

상이 발생한다권오윤 치매노인의 대부분은 대( , 1997).

뇌피질의 심한 손상으로 인하여 운동기능이 손상되고

균형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계단 오르내리기와 방향전

환 보행 등의 대동작기능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낙상의 발생이 현저히 높다고 볼 수 있다통(

계청 낙상으로 인한 노인의 사망은 건물에서, 2005).

추락 침대, ․의자 ․계단 등에서 넘어짐 빙판에서 미끄,

러짐 헛디딤 등으로 보고되었다 낙상은 노화와 골다, .

공증이 나타나는 노인에게 있어 골절을 유발시키게 된

29

다 주로 호발부위는 전완과 고관절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대부분의 고관절 골절은(Griffin, et al., 1992).

다양한 내적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즉 고관절 골밀도.

감소 관절 주위 근육 및 지방조직 감소 낙상시 보호, ,

신전반사 지연 등이 낙상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의 영

향 요인이 된다정낙수 낙상 시에는 여러 가지( , 2001).

보호반사반응이 나타나는데 팔을 쭉 펼치거나 균형을

회복하기위한 여러 가지 동작을 취하게 되는데 이러,

한 동작들이 낙상시의 손상을 최소화시킨다 만약 이.

때 치매노인이 근육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보호반

사반응이 나오지 않거나 약물복용으로 둔해진 상태라

면 더 많은 신체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골절 시 손.

상은 낙상높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서 있.

는 상태에서의 갑작스런 낙상이나 침대에서의 낙상은

낮은 높이의 의자나 화장실에서의 낙상보다 심각한 손

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타일바닥이나 콘크리트 목재, ,

바닥 같은 딱딱한 표면에서의 낙상은 카페트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는 바닥보다 더 많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낙상으로 인한 고관절 등의 골절 이후 노인은 사고

이전 보행능력의 를 회복하고 기초적 일상생활활60%

동 의 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의(BADL) 50% (IADL)

수준으로 회복된다 신체손상을 동반하지 않은 낙25% .

상의 경험도 두려움으로 인한 일상생활활동 및 기동

성에 영향을 준다 즉 최근 낙상한 노인의 가. 40 73%∼

낙상에 대한 공포로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을 나타낸

다 그러므로 낙상은 근력의 감소와(King, et al., 1995).

균형능력의 저하로 인하여 보행능력의 저하가 나타나

는 치매노인에게 있어 건강유지와 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낙상의 예방은 치매.

환자에게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말 할 수

있다.

치매노인의 낙상의 위험요인2.

보행능력의 감소로 쉽게 입게 되는 낙상은 외적인

충격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동안 균형이나 안정

성을 잃으며 신체의 일부분이 바닥에 닿는 것으로, ,

개인적 또는 내적요인과 환경요소와 같은 외적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내적요인1)

낙상의 내적요인에는 연령증가 낙상 경험 균형손, ,

상 근력약화 보행속도 감소 등이 포함된다, , (Davis, et

이외에도 심혈관계 신경계 근골격계 배설al., 1999). , , ,

계 등의 다양한 기관과의 연령과 관련된 생리적 요소

의 변화와 만성질환이 내적요소로 작용한다(Edword,

et al., 1998).

눈은 주위환경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데,

치매노인의 낙상은 근거리 물체를 자세히 파악하지 못

하는 문제와 비슷한 색의 물건을 구별하지 못하는 시

각식별장애 시야범위의 감소 조명의 변화에 따른 적, ,

응의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다(Pinto, et al., 1997).

또한 활동수준 신경학적 증상 유, ․무 근력 관절, ,

유연성 등은 균형과 운동성 에 대한 임상적(mobility)

지시인자는 기능적 수행과 관련이 있다.

전정계와 시각 고유수용성 감각 등의 피드백은 균,

형 및 안정성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감각계피드백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자세

동요 가 증가하며 낙상을 경험한 치매(postural sway) ,

노인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세동요가 높게 나

타난다정낙수 등( , 2001).

치매노인은 연령에 따른 근골격계의 저하로 인해

자세변화가 발생하며 이는 몸통 및 경부의 전방 굴곡,

신체 중심점의 이동 등에 영향을 주어 균형 상실과

낙상의 위험을 높인다 약화된 하지의 근력은 보행속.

도와 보폭 등을 감소시켜 정상인에 비해 다리를 끄는

보행형태를 나타낸다(Alexander, 1996).

치매노인의 보행과 균형손상은 강한 낙상 예측 인자

이며다른노인에비해보행속도가현저히저하된것으

로 나타났다 알츠하이머형 치매(Alexander, et al., 1998).

는 보행실조와 균형 및 보행에 영향을 주는 감각계 피

드백의변화로짧은보폭으로느리며 동시입각기가증,

가된 보행패턴을 나타낸다 이처럼 불안정하고 비정상.

적인 보행은 낙상의 위험이 높다(Alexander, 1996).

치매노인과 같은 인지손상이 현저한 경우뿐 아니라

노화에 의한 인지기능의 감소는 낙상의 위험을 증가

시킨다 낙상의 두려움이 있는 치(Binder, et al., 1996).

매노인의 활동 제한은 질환이나 연령에 따른 노화요

인으로 인한 신체능력의 저하를 심화하며 낙상예방,

에 도움이 되는 가능한 활동 수행까지 심화하며 낙상,

3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예방에 도움이 되는 가능한 활동 수행까지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활동제한은 결국 활(Burker, et al., 1995).

동 부재로 인한 근력 및 낙상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

다 신체능력의 감소는 균형에 영향을 주고 이 때문. ,

에 낙상이 발생하면 활동제한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형성된다(Murphy, et al., 2001).

낙상과 주거 안전에 관한 태도적인 요인은 주거환

경조절 에 대한 조언을 수용하는 것에 큰(modification)

영향을 준다 낙상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술을 치.

매노인에게 교육시키기 위하여서는 환경뿐 아니라 행

동적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치매노인은건강상태의급성변화와이에따른약

물복용의영향으로낙상이발생할수있다(Schoenfelder,

진정제 항정신성 약물 이뇨제 고혈압 약et al., 2004). , , , ,

알코올등의자세조절이나대뇌관류및인지기능에영향

을 미치는 모든 약물은 낙상을 유발할 수 있다(Hanlon,

1993).

환경적 요인2)

치매노인에게 있어서 많은 낙상은 가정 특히 침실,

목욕탕 계단에서 발생하는데, (Tideiksaar, et al., 1997),

병원이나 노인 요양원에서도 가장 많이 낙상이 발생

하는 곳은 침대나 침실이다.

낙상의 외적요인으로서 낙상의 기회를 증가시키는

환경적 위험에는 주위에 일상생활에서의 환경적 장애

물 즉 너무 낮거나 높은 침대 의자 화장실 변기 흐, , , ,

린 조명 양탄자 미끄럽거나 젖은 마루바닥 난간이, , ,

없는 계단 등이 포함된다 또한(Murphy, et al., 2001).

놀랍게도 보조기구가 낙상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는

데 침대 난간이 있는 침대의 경우 난간이 내려 있는,

줄을 모르고 치매노인이 의지하다가 낙상하는 경우,

휠체어 사용 시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아서 낙상하

는 경우도 있으며 지팡이와 보행 보조도구도 규격에,

맞지 않을 경우 낙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작업치료사는 주거환경의 안전성 평가와 낙상

예방을 위한 조절을 실시한다 즉 양탄자의 들뜸 전기. ,

줄 바닥의 잡동사니 안전손잡이의 설치 유, , ․무 바닥,

재 재질 등의 낙상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을 평가한다.

치매노인의 낙상 예방을 위한 의학적 처치3.

현재 치매노인이 복용 중인 모든 약물의 효과와 부

작용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조사를 실시하고 약물의

강도는 가능한 한 적게 해야 한다 특히 복합약물은. ,

약물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야 한다 특히 진정제와. ,

수면제 성분 정신의약품 등은 치매노인의 각성상태,

를 저하시키고 운동성을 제한시켜 낙상위험을 증가시

키므로 세밀하게 조사해야 한다(Murphy, et al., 2001).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방안4.

낙상예방을 위한 보조기구 및 보호 장비사용1)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신발이나 보호관절

패드와 같은 보호장비 각종 보행기구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치매노인의 보행시 보행에 필요한(Binder, 2001).

보조도구로는 허리에 착용하는 보행벨트 를(gait belt)

사용할 수 있는데 보호자는 한 손으로는 보행벨트를

잡고 한손으로는 어깨를 잡아 치매노인의 균형을 유

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안전을 유지하기위해 절대로.

밀거나 끌면 안되고 피로함을 호소하거나 균형이 불

안정해지면 보행을 중지한다.

치매노인의 경우 보호장구의 착용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능력이 부족하거나 착용 중에도 벗으려는 행동을

하나 치매에 걸린 노인이 전부 다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심한치매노인이 경미한 치,

매노인 보다 더 인내심 있게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치.

매에 걸린 노인은 위험한 행동을 하거나 보행의 안정

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낙상의 위험이 높으므로 고관

절을 보호하는 보호장구의 착용은 절대적으로 필요하

다정낙수 등( , 2001).

지팡이와 보행기 는 환자의 균형이나 보행능(walker)

력을 증가시키고 낙상의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안,

되었으며 이러한 보조도구들은 기저면을 넓혀서 안정,

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시각적 도움을 줄 수 있다, .

휠체어는 보행 장애가 있거나 보행이 불가능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크기 재료 디, ,

자인 등이 결정되며 휠체어를 처방할 때는 재활팀원,

이 참여하여 결정을 해야 한다 치매노인을 위한 보행.

보조 도구는 환자에게 알맞은 것이 선택되어야 하고

그림 낙상예방운동1. 1-1

그림 낙상예방운동2. 1-3

31

환자의 보행이나 균형능력을 개선하고 주위환경에 알

맞도록 처방되어야 하며 올바른 사용법을 배워 효과,

를 극대화시켜야 한다.

낙상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2)

하지에 근력이 약하거나 보행이나 균형에 문제가,

있는 치매노인은 보행훈련과 균형훈련은 물론 저강도

의 하지근력 강화운동과 체중부하 운동이 효과적이

다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은 침대 의자 화장. , ,

실 등의 일상생활이동 훈련뿐만 아니라 근력 협응, ,

골밀도 관절의 유연성과 운동성 고유 감각수용기능, , ,

자세조절력 향상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을 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낙상에 대한 공포심을 없앨 수 있어서 자세의,

불안정이 감소될 수 있다 많은 연구에서 치료적 운동.

은 낙상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근거를 제

시했으며 특히 운동은 다양한 내적, ․환경적 그리고

행동적 낙상 위험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전술에 포함

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Gillespie, et al., 2003).

양로원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월간의 발목3

근력 강화와 보행 프로그램은 균형 및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Schoenfelder, et

치매센터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개월al. 2004). 4

간의 운동프로그램은 치매환자의 보행 유지능력에 효

과를 보였다 근력 강화 균형 재교육 지구력 훈련 등. , ,

을 이용한 건강프로그램은 성공적으로 낙상과 낙상위

험요소를 감소시켰다 또한 지역(Gardner, et al., 2000).

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들에게 집단운동 프로그램

은 균형 향상과 낙상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Campbell, et al., 2001). 6

간의 운동 프로그램은 균형 향상과 낙상 없는 일상생

활활동 수행에 대한 자기 신뢰가 증가되는 결과를 얻

었다(Jansson, et al., 2004).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적용3)

치매노인들의 낙상을 예방하기위하여 규칙적인 운

동을 실시하여 뼈와 근육을 강화하여 낙상을 예방해

야한다 정상보행이 어려운 치매노인의 경우 보조기.

를 사용한 보행을 교육하며 간단히 따라 할 수 있는,

운동을 실시한다.

낙상예방운동(1) 1-1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한쪽다리를 쭉 뻗은 후 발목

을 앞으로 미는 동작을 회씩 회 실시한다30 3 .

낙상예방 운동(2) 1-2

동일한 자세로 발목을 몸쪽으로 당기는 동작을 30

회씩 회 실시한다3 .

낙상예방 운동(3) 1-3

의자뒤에서서한쪽다리를그림과같이가볍게들고

양팔은쭉뻗은상태에서균형을잡는다 초간실시한다. 30 .

낙상예방운동(4) 1-4

왼손은 의자를 살짝 잡고 오른쪽 무릎을 도 각도90

로 올리고 초간 균형을 유지한다 이 때 왼손은 허30 .

리춤에 살짝 댄다 좌우측 각각 회 반복한다. 3 .

낙상예방운동(5) 2

고양이 동작과 같이 엎드린 상태에서 머리를 굴곡 ․

신전시키면서 허리를 구부렸다 ․폈다를 반복한다 이.

동작은 허리 아랫부분을 강하게 해주며 목 어깨 척추,

의 유연성을 길러준다.

낙상예방운동(6) 3

플라맹고댄스를 이용하여 발목을 강화시켜 준다.

3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치매노인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노인들이 넘어져서 다

치는 이유 중 가장 큰 원인은 약한 발목 때문이다 이.

운동은 발목을 강화시켜서 몸의 균형과 평형을 잘 유

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낙상예방운동(7) 4

달리기는 심폐지구력을 높이고 근력 및 지구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치매노인들의 낙상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큰운동 효과 뒤에는.

부상과 장애의 가능성이 잠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항

상 인식하고 안전을 유념하면서 실시한다.

낙상예방운동(8) 5

걷기는 안전하게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운동이지만 걷는 것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걷, .

기 전에 반드시 부상을 막기 위한 준비운동을 꼭 실

시하여야 한다 특히 장시간 동안 걸을 때나 기온이. ,

낮을 때에는 주의하여야 한다 걷기 운동을 할 때에는.

걷기 전에 계산해 둔 목표심박수를 유지하며 걸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처음에는 심박수를 수시로 체크,

하여 어느 정도로 걸으면 목표 심박수로 걸을 수 있

는지 알아두어야 한다 걸을 때에는 등을 펴고 몸 안.

쪽의 근육을 당겨서 걷도록 하며 보폭을 넓혀서 허리,

아래쪽의 근육을 많이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뒤꿈치.

부터 착지하여 발바닥 전체로 몸을 지탱하고 맨 나중

에 발끝이 닿도록 한다.

치매노인의 정서 및 인지 행동4)

낙상예방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건강한 노인을 대상

으로 낙상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치매노인의 낙.

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낙상 두려움과 이로 인한 활

동 기피 행동을 평가하고 인지 행동 치료와 다양한

치료적 활동을 제공하여 사회참여를 유지하도록 한

다 또한 치매노인은 주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감소.

로 시공간 개념화 기억력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의, , ,

감소로 인한 낙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감소 된 인,

지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치매노인을 독려하고

보상적인 방법을 이용한 일상생활을 훈련한다 또한.

치매노인을 보호하는 보호자들에게 치매노인의 정서

적 ․인지기능의 특성을 이해시키고 이에 알맞은 보조

방법을 훈련하도록 한다.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적절한 신발의 선택5)

신발은 발에 잘 맞아야 하며 신발 바닥은 미끄럽지,

않고 보행하는 장소의 표면 재질에 따라 달라지는 마

찰력과의 관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신발 굽의 높.

이와 재질에 따라 발바닥의 감각입력이 저하되거나

자세와 체중의 중심선이 변동되는 영향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이러한 장비들을 선택하고 사용법을 익히.

는 훈련은 치매노인과 치료사의 협력이 요구된다 고.

관절 보호 장구는 고관절 골절예방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으므로 노인시설이나 병원의 치매환자들에게 많

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치매노인의 낙상 예방을 위한 환경학적 프로그램6)

치매노인의 낙상의 외적 위험요인에 대한 접근방법

으로 주거환경을 안전하게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한

다 예를 들어 치매노인은 너무 어둡거나 직접적인. ,

조명에 대한 적용이 저하되므로 발고 넓게 퍼지는 간

접조명을 사용하며 실외활동에서는 선글라스를 착용,

하도록 한다 또한 바닥 복도 계단 등에 걸려 넘어. , , ,

질 수 있는 모든 물건은 제거하여 위험을 감소시킨다

바닥 표면은 미끄럼 방지 시설을(Binder, et al., 2001).

하고 보행시 걸릴 수 있는 양탄자의 모서리를 들뜨지

않게 처리하며 주거환경의 동선에 맞는 안전 손잡이

를 설치한다 가구들은 치매노인이 지지해도 넘어지.

지 않도록 견고하고 안전한 이동과 이용이 가능하도

록 충분히 낮게 조절한다노영섭 특히 낙상사( , 1997). ,

고가 빈발하는 목욕탕 등의 건축 장애물 제거와 안전

장치 설치뿐 아니라 치매노인에게 낙상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의 교육이 필요하다.

작업치료사는 주거 환경조절과 적응을 통해 낙상을

감소시킨다 작업치료 접근법은 가정과 지역사회의.

환경적 변화와 환경과의 상호작용 치매노인의 작동,

과 행동적 적응 등이 포괄적으로 포함된다.

결론.Ⅲ

치매노인의 낙상은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 참여를

33

제한하고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며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문제이다 대부분의 낙상은 다양한 내적.

및 외적 위험 요인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므로 치매노

인 낙상에 대한 예방은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급속한 고령화와 가족 형태의 변화를 통해 양로원

입소노인과 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이

러한 치매노인들의 건강과 독립적인 생활 유지 그리

고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각 치매노인의

개별적 낙상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이에 맞는 실질적

예방 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낙상의.

예방은 치매노인 개인의 건강유지와 독립적 활동을

통한 삶의 질을 증진시키며 낙상과 관련된 사회적 부,

양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오윤. (1997). 지역사회 노인의 전도 발생특성과 운

동훈련이 전도 노인의 근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구 계명대학교: .

김성윤 치매의 치료 인지 및 비인지 증상. (1999). : . 제

차 대한의사협회 종합학술대회29 , 31-34.

노영섭. (1997). 행복한노후를위하여. 서울 한림출판사: .

박은영 이종하 복합운동프로그램이노인의낙상, . (2005).

관련체력에미치는효과. 운동과학회, 14(2), 181-192.

오병훈 치매의 정신사회적 치료. (1997). . 노인정신의

학, 1(1), 56-60.

이숙자. (2000). 노인의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운동프

로그램의적용효과. 경희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장문영 이윤주 노인의 균형유지 능력과 시지, . (1999).

각 능력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 7(1), 68-74.

정낙수 최규환 노인낙상의 원인과 예방, . (2001). . 한국

전문물리치료학회, 8, 107-117.

진복수 전미연 집단회상요법이 치매노인의 심, , (2000).

리적요인에미치는영향. 한국노년학, 20(1), 183-194.

최진영 한국판 치매검사 의 표준화 및. (1998). (K-DRS)

최근연구. 한국치매협회 제 회 학술심포지움 및 정7

기총회, 77-9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노인의 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황희숙. (1998). 노인의 치매에 대한 인식정도와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 계명대학교: .

통계청. (2004). 고령자 통계. 서울 통계청: .

통계청. (2005). 고령자 사망원인 분석. 서울 통계청: .

Alexander, N. B. (1996). Gait Disorders in olderadult.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44, 434-445.

Binder, B. R., & Wagner, M. B.. (2001). Functional per-

formance in older adults. (2nd ed.). Philadelphia: F.

A. Davis Company.

Burker, E. J., Wong, H., Sloane, P. D., Mattingly D.,

Preisser J., & Mitchell, C. M. (1995). Predictors of

fear of falling & dizzy and nondizzy elderly.

Psychology of Aging, 10, 104-110.

Campbell, A. J., Roberson, M. C., Gardner, M. M., Norton,

R. N., Tilyard, M. W., & Buchner, D. M. (2001).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general practice pro-

gramme of home based exercise to prevent falls elderly

women. British Medicine Journal, 315, 1065-1069.

Davis, J. W., Ross, P. D., Nevitt, M. C., & Wasnich, R.

D. (1999). Risk factors for falls and for serious injuries

on falling among older Japanese women in Hawaii.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47, 792-798.

Edword, B. J., & Lee, S. (1998). Gait disorders and falls

in a retirement home: A pilot study. Annals of

Long-Term Care, 6, 140-143.

Fife, D. (1987). Injuries and deaths among elderly persons.

Amercan Jounal of Epidemiology, 126, 936-943.

Gardner, M. M., Roberson, M. C., & Campbell, A. J.

(2000). Exercise in preventing falls and fall related in-

juries in order people: A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4, 7-17.

Gillespie, L. D., Gillespie, W. J., Robertson, M. C.,

Lamb, S. E., Cumming, R. G., & Rowe, B. H. (2003).

Intervention for preventing falls in elderly people.

Cochrane Database Systemic Review, 4, CD00034.

Griffin, M. R., Ray, W. A., Fought, R. L., & Melton, L.

J. (1992). Black-white differences in fracture rat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6, 1378-1346.

Hanlon, J. T. (1993). Drug-related falls in older adults.

3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Topic of Geriatric Rehabilitation, 136, 1378-1346.

Jansson, S., & Söderlund, A. A. (2004). New treatment pro-

gramme to improve balance in elderly people an evalua-

tion of an individually tailored home-based exercise pro-

gramme in five elderly women with a feeling of

unsteadiness. Disability Rehabilitation, 26(24), 431-1443.

King, M. B., & Tinetti, M. E. (1995). Falls in communi-

tiy dwelling older person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43, 1146-1154.

Lord, S. R., Caplan G. A., & Ward J. A. (1993).

Balance, reaction time and muscle strength in exercis-

ing and non exercising older women: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74(8), 837-839.

Murphy, S., & Tickle-Degnen, L. (2001). Participation in

daily living tasks among older with fear of falling.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 538-544.

Pinto, M. R., Medici, S., Zlotnicki, A., Bianchi, A., Van

Sant, C., & Nappli, C. (1997). Reduced visual acuity

in elderly people: The role of ergonomics and

gerontechnology. Age Aging, 26, 339-344.

Runge, J. W. (1993). The cost of injury.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11(1), 241-254.

Sattin RW.(1992). Falls among older persons: A public

health perspective, Annu Rev. Public Health, 13, 489-508.

Schoenfelder, D. P., & Rubenstein, L. M. (2004). An ex-

ercise program to improve fallrelated outcomes in eld-

erly nursing home resid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17(1), 21-31.

Tideiksaar R., (1997). Falling in old age: Its prevention

and treatment. 2nd. ed. New York: Springer.

Tinetti, M. E., Speechley, M., & Ginter, S. F. (1998).

Risk factor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9(26), 1701-1707.

Abstract

A Literature Review a Program of Inervention for Prevention of Falling

in The Patients with Dementia.

Chai, Kyoung-Ju, M.P.E., O.T.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Bok College

Objective : This study i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falling in the patients with

dementia. In this article was to review risk factor and intervention that minimize risk of fall-

ing in the patients with dementia. Risk factors for are classified as intrinsic or extrinsic.

Summary : The dementia is the most disabling neuropsychiartric disorder of adulthood. The dementia is pro-

gressive and irreversible syndrome characterized by loss of Cognitive function in many domains,

altered behaviors and inability to performance of functional acivities includ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ork and leisure. Falls are the most serious health problems in the patients with dementia. They

are a major cause of premature death, physical injury, immobility, psychosocial dysfunction.

Consequently, prevention of falling is important about patients with dementia quality of life as well

as decrease of social resource. The external approach for falling is home modification of architectural

barrier by occupational therapist. The various assitive devices and equipments used for prevention.

Beside, emotional and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help prevention. Falling is due to complex

cause and therefore, prevention is required comprehensive approach.

Key Words : Dementia, Falling, Prevention,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서론.Ⅰ

현대 산업사회의 발전을 통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

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이전에 비해 현

저히 증가하였으며 전체 사회에서의 노인인구의 비중

이 보다 커졌고 이는 노인의 삶에 대한 질적 향상의,

필요성을 강하게 보여준다이현숙 등 현대 의학( , 2003).

의발전으로뇌졸중의조기사망률은점차감소하고있

고 많은환자들이신경학적회복을경험하지만약, 30∼

의 환자는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도움을 필요로 하60%

고 있다김창환과 김세주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 1995).

영향을미치는요인들로는환자의연령 뇌손상의범위, ,

전산화와 전통적인 인지지각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이현숙

신성대학 작업치료학과

서론

인지장애는 치매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중독성 노출 각종 뇌 대사성 질환 등에 서 발생될 수 있, , , ,

으며 일상생활활동 운동기술 주의력과 집중력 기억력 시공간 처리능력 언어 문제해결 및 추론, , , , , , ,

분별 및 계획능력 등과 같은 여러 영역의 장애를 수반할 수도 있다 또한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참.

여하는 의욕과 동기 및 운동기능의 습득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성공적인 재활치료를 위하여 초

기부터 정확하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입증된 표준화된 인지기능 검사가 필요하다.

본문

뇌손상에 대한 인지지각력 평가는 전통적인 검사방법과 컴퓨터 검사방법으로 구분된다 시행이 간편.

하여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전통적 검사로는 면접검사인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등과 지필검State Examination(MMSE-K),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사인 복합형 검사Korean-Wechsler Adult Inrelligence Sclae(K-WAIS), Bender-Gestalt test(BGT),

인 등이 활용되고 있다 컴퓨터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

를 이용한 인지평가는 검사자극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표준화되어 있으며 검사자의 검사 태도나 제, ,

반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점과 반응시간의 정확한 측정 반응이 정확하게 기록,

되고 복잡한 채점 체계의 자동화 전문가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컴퓨터를, , .

이용한 인지평가 방법에는 Swedis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PES), Seoul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CNT), Standard Progressive Matrics(SPM), Cognitrone, Signal

등이 있다Detection .

결론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고령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치매 다양한 뇌질환의 증가와 소아 및 청장년,

의 외상성 뇌손상의 증가로 인하여 환자들의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이해와 재활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인지기능 장애는 뇌손상 후 사회로의 복귀에 큰 걸림돌이 되는 장애이다 다양한. .

인지평가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검사 도구를 선택하고 이를 토대로 한 정확한 인,

지지각 수행능력의 측정은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운동기술 기능회복을 위한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

계획함에 기초선을 제공하여 환자의 재활 도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인지지각 수행 능력 평가도구,

교신저자 이현숙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2010 11 10 : 2010 11 20∥ ∥

3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운동기능 인지기능및지각기능 심리적환경적요인등, , ․

이 있다한태륜 황기철 인지장애는 치매( , 1997; , 2004). ,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중독성 노출 각종 뇌 대사성, , ,

질환 등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인지의

한 영역에만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나 일상생활활동, ,

운동기술 주의력과 집중력 기억력 시공간 처리능력, , , ,

언어 문제해결 및 추론 분별 및 계획능력 등과 같은, ,

여러 영역의 장애를 수반할 수도 있다(Gontkovsky,

인지기능은 뇌졸중 환McDonald, Clark & RuWe, 2002).

자의기능적회복을예측할수있는중요한요인으로이(

성란 적절한인지평가를통하여조직화된인지재, 2003)

활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을 향상시키고

독립성을 획득하게 한다(Zorowitz, Gross & Polinski,

인지기능 장애는 뇌손상 후 사회로의 복귀에 큰2002).

걸림돌이 되는 장애이며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

는 의욕과 동기 및 운동기능의 습득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성공적인 재활치료를 위하여 발병 초기부터

정확한인지기능의평가가필요하다(Diamond, Felsenthal,

Maccinocci, Butle & Lally-Cassadyl, 1996) 또한 뇌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수반되는 인지기능장애에 대한 진단적

평가 치료대책 예후판정등은정신의학적측면뿐만아, ,

니라법률적 사회경제적측면에서도큰 관심의대상이,

되고 있다정인형과 강민희( , 1995).

인지기능의 각 영역을 객관적이면서 정량적으로 평

가하기 위해서는 시행절차가 일정하고 타당도와 신,

뢰도가 입증된 표준화된 검사가 필요하다하규섭 등( ,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질적 뇌손상을 감2002).

별할 수 있는 기법들이 많이 발달되어 뇌파검사 자기,

공명영상 뇌전산화단층촬영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등, ,

의 뇌기능 검사들이 개발되었으나 상당수의 환자들이

뇌영상 검사 상 아무런 이상 소견이 없고 뇌의 기질,

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도 기억력 감퇴 주의력 저,

하 언어 기능 및 공간지각 능력의 저하와 같은 인지,

기능 장애가 발생되어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장애를

객관적으로 밝힐 수 있는 검사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뇌영상 검사가 뇌의 특정부위 손상과 기능적 장애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에 반하여

신경 인지(Davis, Taveras, Roberson & Ackerman, 1976),

기능 검사는 다양한 과제에서 보이는 고등신경계의 기

능을 토대로 대뇌기능장애의 유무를 확인하고 손상부

위를 밝힐 뿐만 아니라 장애 정도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있다 이러한검사(Butters & Jones, 1983).

를통하여환자의인지적 행동적강점과약점을밝혀내,

고그러한능력들을재활프로그램계획및치료에활용

하고자 최근 인지재활 분야가 중요시 되고 있다(Levin,

뇌손상환자를대상으로한실증적인연구에서도1994).

는BGT(Bender-Gestalt test) 86%(Lack, Harrow, Colbert &

지능검사지표는Levine, 1970), Wechsler 74%(Wechsler,

로 높은 진단 적중률이 보고되고 있다1981) .

뇌손상에 대한 인지지각력 평가는 전통적인 검사방

법과 컴퓨터 검사방법으로 구분된다 시행이 간편하여.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전통적 검사로는 면접

검사인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등과 지필검사인(NCSE) Korean-Wechsler Adult Inrellig-

복합형 검ence Sclae(K-WAIS), Bender-Gestalt test(BGT),

사인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등이 있다 는 의 신경Assessment(LOTCA) . LOTCA Luria

학적 이론과 의 발달이론 평가과정 임상경험을Piaget ,

바탕으로 고안되었다(Inhelder & Piaget, 1964).

지필검사에 의존한 신경심리검사도구는 검사 및 결

과해석에소요되는시간이길고검사의일관성유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산화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다박종(

익 등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는 자극의 제시, 2004).

가일정하고 표준화되어있으며 검사자의검사태도나, ,

제반환경에의한영향을최소화할수있고 반응시간의,

정확한측정 다양한반응양상을일괄기록 복잡한채점, ,

체계의 자동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Wilson &

McMillan, 1992; Gur et al., 2001; Ballard, 1996; Ferris,

최근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Flicker & Reisberg, 1988).

전산화된신경인지기능검사들이 개발되고있다 개인.

용 컴퓨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컴퓨터의 장점을 인지

기능 검사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년대 중반부터 있1980

어왔으며 컴퓨터를이용한신경인지기능검사가기존,

검사의 단점을 보완해 주고 있어 새로운 검사방법으로

주목받고있다정종학등 컴퓨터( , 1994; Averbuch, 1989).

를 이용한 인지평가는 검사자극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표준화되어 있으며 검사자의검사태도나제반환경에,

의한영향을최소화할수있다는점과반응시간의정확

37

한 측정 반응이 정확하게 기록되고 복잡한 채점 체계, ,

의자동화 전문가의시간과 비용을절감해준다는장점,

이 있다 컴퓨터를(Ballard, 1996; Ferris et al., 1988). 이용

한 인지평가 방법에는 Swedis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PES), Seoul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SCNT), Standard Progressive Matrics(SPM), Cognitrone,

Signal Detectio 등이 있다n .

최근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그리고 뇌졸중 치매 등,

으로 인한 인지기능장애는 뇌손상 환자의 운동기능이

회복되더라도 재활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이고 어,

떤 일을 계획하고 판단하며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하며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는데,

많은 장애를 초래한다 뇌 기능에 따른 인지 평가는.

재활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수요가 급격하게 늘

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지식도 많이 요구되고 있고 정,

확하고 간편한 인지기능검사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

속되며 이에 따른 많은 방법들이 고안 사용되고이성, (

아 등 있다, 2000) .

본 연구에서는 뇌손상 후 인지기능장애를 객관적으

로 측정하는 인지지각기능 평가도구 중 전통적인 방

법과 전산화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정확.

한 인지지각 수행능력의 측정은 환자의 일상생활활

동 운동기술 및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치료 프로,

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기초선을 제공해 환자의 재

활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본론.Ⅱ

전통적인 인지지각 기능 검사도구1.

면접형 검사1)

(1)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는 등 이개발 인지상태를검사하MMSE Folstein (1975) ,

는전통적인방법으로시행이간편하여임상적으로널리

이용되고 있다 신경심리학적 검사도구인. Wechsler

과같은다른검사도구뿐아니라Adult Intelligence Scale

뇌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병변 정도와 상관관계가 높고

검사자간의 신뢰도가 높은(Fillenbaum, Heyman,

장점이있는반면에 단일합산Wilkinson & Haynes, 1987) ,

으로평가되는방식으로민감도가낮고 임상가가(63%),

인지기능의이상유무는알수있으나인지기능이상의

본질이무엇인지는알수없으며 인지기능중단일항목,

에 이상이 국한된 경우 다른 항목에서 보상될 수 있기

때문에비정상적인인지항목이있음에도정상으로판정

될 수 있다는 단점 이 있다(Aron, Barry & David, 1986) .

(2)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권용철과 박종한 이 우리말로 번안하여 표준(1989)

화한 것으로 신뢰도와 진단적 타당도가 높으며 임상,

에서 치매 노인을 진단할 뿐 아니라 인지기능 장애의,

유무를 판단하는 데도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는 시간에 대한 지남력 점 장소에 대한 지MMSE-K 5 ,

남력 점 기억등록 점 기억회상 점 주의집중 및5 , 3 , 3 ,

계산 점 언어기능 점 이해 및 판단 점으로 합계5 , 7 , 2

점이다 점수는 교육 유무에 따른 교정점수로 환산30 .

하였고 점 이상을 확정적 정상 점 이하를 확, 24 ‘ ’, 19 ‘

정적 치매 점을 치매 의심으로 삼을 것박종’, 20 23 ‘ ’ (∼

한과 권용철 을 제안하였다, 1989) .

(3)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강연욱 등 이 원문을 가능한 한 그대로(1997) MMSE

번역하여 개발한 것으로 시간에 대한 지남력 점 장소5 ,

에 대한 지남력 점 기억등록 점 기억회상 점 주의5 , 3 , 3 ,

집중 및 계산 점 언어기능 점 시각적 구성 점으로5 , 8 , 1

합계 점이다 교육 유무에 대한 교정점수가 없다30 . .

(4)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등 이 의문제점을보완하여개발Kiernan (1987) MMSE

하였다 선별측정접근이라는진행방식으로빠르고간편. -

하며 각 인지영역의 독립적 측정 방식을 통해 특이도,

민감도 를높였으며 한인지영역에국한된(84.4%), (96%) ,

인지장애도 검출할 수 있다(김창윤 이광원과 박인호, ,

한태륜 김진호 성덕현과전민호1994; , , , 1992; Jeffrey, Kaye,

Cherl & James, 1990고보고되고있다 일반적인인지상태) .

인지남력 집중력 언어능력을반영(Orientation), (attention),

한 이해력 복창력(comprehension), (rep 기억력etition),

계산력 논리력을반영하는유사성(memory), (calculation),

판단력 항목을 검사한다(similarity), (judgement) .

3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지필형 검사2)

(1) Korean-Wechsler Adult Inrelligence Sclae(K-WAIS)

는 의 한국판 표준K-WAIS WAIS-R(Wechsler, 1981)

화 검사로 염태호 등 이 표준화하였다(1992) . K-AWIS

지능검사는 상식 이해 산수 공통성 숫자 어휘 등, , , , , 6

개의 언어성 검사와 바꾸어 쓰기 빠진 곳 찾기 토막, ,

짜기 차례 맞추기 모양 맞추기 등 개의 동작성 검, , 5

사로 구성되어 있다.

(2) Bender-Gestalt test(BGT)

는 미세운동기능 및 구성능력을 평가하는 검사BGT

도구로 서로 다른 기하학적 도형이 그려져 있는 개9

카드 로 이루어져 있고 검사방법은 카드를 순(A, 1-8) ,

서대로 하나씩 대상 환자에게 보여주고 대상 환자 앞

에 놓여있는 종이 위에 도형을 그리게 한“8.5 X 11”

다 채점은 을 응용한 의 점수체계 방. Hutt-Briskin Lacks

식을 따랐는데 이 점수체계는, Rotation, Overlapping

difficulty, Slimplification, Fragmentation, Retrogression,

또는Perseveration type A., B., Collision Collision ten-

dency, Impotence, Closure difficulty, Motor in-

등 개의coordination, Angulation difficulty, Cohesion 12

수행오류와 수행시간이 분 이상 되는 경우로 구성15

되며 각 은 각각의 마다 점수를 책정하는, protocol sign

데 각 오류는 한번만 점수화(Hutt & Briskin, 1960;

한다Levin, 1994) .

복합형 검사3)

(1)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는 년 이스라엘의 재활병원LOTCA 1974 Lowenstein

에서 작업치료사 등 에 의해서 개발되Itzkovich (1993)

었고 성인 뇌졸중 뇌손상 정상인 등을 대상으로 표, , ,

준화 하였으며 기본적인 인지지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이다 이 도구는 지남력(Katz et al., 1989).

지각력(orientation), (per 시각운동조직력ception),

사고조작력(visuomotor organization), (thinking oper-

의 가지 영역과 하위 개 항목으로 구성되어ation) 4 21

있다.

지남력은 자기 자신을 주위환경과 관련지어 인식하

는 것으로서 집중력 지각력 및 기억력이 일관되어 믿,

을만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는 시(Lezak, 1995), LOTCA

간과 장소에 대한 지남력을 검사한다.

지각력은 가장 기본적인 인지영역으로서 해당 정보

를 찾으며 어떤 대상이 갖고 있는 대표적 특징들을 파,

악하고 서로 비교하여 적절한 가설들을 세우고 이 가,

설들을 기존의 정보와 비교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이다

의 지각력(Itzkovich et al., 1990; Luria, 1973). LOTCA

영역에서는 대상들의 명확한 식별에서 특별한 각도에

서 찍은 대상들의 식별 겹치는 사물들의 구별 공간관, ,

계의 인식 물건의 항상성 운동모방과 물건사용 및 상, ,

징적 행동의 실행의 개 하위항목을 검사한다6 .

시각운동조직력은 시각운동조직력에는 기하학적

모형 모사하기 차원 모델 재현하기 페그보(copying), 2 ,

드 구성하기 색깔 있는 블록 디자인하기 색깔 없는, ,

블록 디자인하기 퍼즐 재현하기 시계그리기의 개, , 7

하위항목을 검사한다.

사고조작력은 개념화 과정을 기초로 하여 사물의 추

상적 특징을 파악하고 단계적으로 식별하여 분류하는,

인지영역이다 이는 대상들의 개별적인 특성을 식별하.

고 이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기본적인 범주로 분류하

는 것을 포함한다 분류하기 구조적과 비구조적인 리. ,

스카 사물 분류하기 그림 이어가기 기하학적 도형 이, ,

어가기의 개 하위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5 . Piaget

따르면 두 개의 기본적인 사고작용은 분류와 배열이라

고 하였는데 이는 에서도 볼(Betty et al., 1996), LOTCA

수 있다 또한 평가하는 동안 관찰을 통하여 집중력과.

주의력 도 평가한다(attention/concentration) .

검사자간 신뢰도는 개의 하위검사가 이21 0.82 0.97∼

며 검사 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값으로, Cronbach alpha

지각력이 시각운동조직력이 사고조작력이0.87, 0.95,

총 검사 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로 양호하다0.85, 0.89 .

의 최대점수는 점이며 각 하위검사는 최소LOTCA 87

점 최대 점분류하기는 점으로 채점하도록 구성1 , 4 ( 5 )

되어 있고 검사자가 대상자를 직접 평가하고 기록한,

다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다중선택을 통하여 검.

사할 수 있다 평가결과는 기록지에 평가 재평가는. ,

다른 색깔로 표기한다 검사시간은 분이 소요. 30 45∼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회로 나누어 검사가 가능, 2 3∼

하다(Averbuch, 1989).

39

기타 검사4)

기억검사(1) Rey-Kim

기억력을측정하는 기억검사는김홍근Rey-Kim (1999)

이 와Rey-Audutory-Verbal Learning Test Rey-Osterrirth

를 표준화한 것이다 이 검사는Complex Figure Test . 10

개의 환산척도 기억지수 개, (Memory Quotient, MQ), 6

의 차이척도로 구성되어 있다김홍근( , 1999).

(2)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는 개의 자극 카드 세트와WCST(Wechsler, 1981) 4

개의 반응카드 세트 기록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64 2 , .

반응 카드는 하얀 판에 한 가지 색으로 하나에서 네

개의 똑같은 모양이 그려져 있으며 별 십자가 삼각, , ,

형 원의 네 종류의 모양이 있고 빨강 노랑 청색 녹, , , , ,

색의 네 가지 색이 있다 따라서 카드는 색 모양 수. , ,

로 분류되거나 범주화될 수 있다 피험자는 색 모양. , ,

수의 분류원칙을 추론으로 알아낸 후 연속적으로, 10

개의 반응을 정확하게 해야 한다 한 범주를 성공적으.

로 마치면 사전 설명 없이 다시 분류원칙을 알아내고

새로운 원칙에 따라 다시 카드를 분류해야 한다.

는 전두엽 기능에 민감한 검사로 인식되어 왔으WCST

며 추상적 개념 형성능력 사고의 틀 전환 능력 및 보, ,

속적 경향성 등과 같은 복잡한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데 적당한 도구이다.

주의력 검사(3)

주의력 평가에는 글자 지우기 검사(letter cancellation

지속적 주의력검사 기호 잇기 검사test), , (trail making

등이 있다test) .

전산화 인지지각기능 검사도구2.

1) Swedis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PES)

는 저농도의 화학 물질에 의한 중추신경장애SPES

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웨덴에서 개발

되었고 여러 연구를 통해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증명되었으며(Regren & Letz, 1992),

검사항목은 단순반응시간 선택(simple reaction time),

반응시간 글자색 맞추기(Choice reaction time), (Choice

숫자구분 숫자더word vigilance), (Digit Claasification),

하기 부호 숫자 짝짓기(Digit Addition), (Symbol Digit

숫자외우기 손가락 두드리기Substitution), (Digit Span),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Finger Tapping Speed) .

2) Seoul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CNT)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규섭 등 과(2002)

주 미래엔지니어링 맥스메디카가공동으로개발한전( ) ,

산화 인지기능검사(Seoul Computerized Neurocognitive

는 기존의수기검사로수행되던 숫Function Test: SCNT)

자따라하기검사를보다표준화된방법으로전산화하

였고 검사로알려진시각단기기억력, corsi block tapping

검사에언어성숫자따라하기와같이역방향검사를추

가하였다 수행방법이비교적복잡하고 검사자요인이. ,

많이 관여할 수 있는 언어청각학습검사를 보다 표준화

된방법으로전산화하였다 유사한검사구조를지닌시.

각도형학습검사를 새로 개발하고 이들 검사 모두에 대

한 표준화 자료를 마련 검사해석 뿐만 아니라 검사 간,

비교가가능하게 하였다 이검사는컴퓨터를이용하여.

주의력 기억력 고위인지기능 등을 평가할 수 있는, , 13

개하위검사로구성되어있으며 전체검사소요시간은,

평균 시간 정도 이다김연희 등 박종익 이현정2 ( , 2003; ,

과 고효정 배대석 이종범과 반영기 권준, 2004; , , 2005).

수 류인균 홍경수 연병길과 하규섭 의 연구에서, , , (2002)

는 전산화 인지기능검사의 기억력 검사들의 검사재검-

사 신뢰도는 타당도는 로 보0.405 0.873, 0.504 0.568∼ ∼

고하고 있다 류인균 권준수와 하규섭 은 전산화. , (2002)

고위인지기능 검사들의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0.543∼

이며 전산화 고위인지기능 검사들이 동일 영역을0.905 ,

평가하는 기존의 인지기능검사들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하규섭 등 은 전산화 인지기능평가 도구집을(2002)

개발 및 표준화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 연구를 통하여,

경계력 주의력유지 분리집중력 선택적주의력등 개, , , 4

의주의력요인과단기기억 언어학습등기억요인 개, ,

념형성 사고의 유연성 등 전전두엽 기능 그리고 전반, ,

적인 정보처리속도와 운동조절 등 모두 개의 요인으10

로구성되어있는것으로분석하였다 검사영역은크게.

기억력 검사 주의력 검사(Memory Test), (Attention Test),

고위 인지기능 검사(Higher-Order Cognitive Capacity

4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시운동 협응Test), (Visuo-Motor Coordination), 지능검사

가 있다 각 영역의 하위 항목은 다음(Intelligence Test) .

과 같다 기억력 검사 숫자 따라하기 검사; 1. : 1) (Digit

시각 단기기억력검사Span Test) 2) (Visual Span Test) 3)

언어지속검사(Auditory Contineous Performance Test :

조건언어지속검사CPT) 4) (Auditory Controlled CPT) ;

주의력 검사 시각지속검사 조건2. : 1) (Visual CPT) 2)

시각지속검사(Visual Controlled CPT) 3) Cross-Over

Test, 4) Modality Shift Effect Test 단어색채 검사5) -

고위인지기능검사 카드분류검사(Word-Color Test) ; 3. : 1) ,

언어기억검사 시각기억검사 개념형성검사 시운2) , 3) 4) ; 4.

동 협응(Visuo-Motor Coordination): 선로 잇기 검사1)

(Trail Making Test) 2) 수지력검사(Finger Tapping test) ;

지능검사5. (Intelligence 색채도형 지능검사Test): 1)

(Colored Progressive Matrics) 표준도형 지능검사2)

(Standard Progressive Matrics).

3) Standard Progressive Matrics(SPM)

컴퓨터를 이용한 신경인지기능 평가 총집인 Vienna

에 포함되어 있는 표준도형검사 은 제Test System (SPM)

시된 일련의 도형간의 관련성을 유추해내는 능력을 평

가하도록고안된검사로 유동지능및논리적추리력을,

측정하며 를 전산화한 것이Raven's Progressive Matrices

다 총 문항처음 문항은 연습으로 난이도에 따라. 60 ( 2 )

부터 까지 각 문항씩 된 다섯 로 구성되SET A E 12 SET

어 있고 컴퓨터 화면 상단에 제시되는 큰 그림의 빈,

공간에 들어갈 조각을 하단의 보기에서 찾아내는 것이

다 결과에는정답수 와 의. (raw score) SET A, B, C, D, E

점수 나이를 보정한 검사시간이 산출된다, IQ, .

인식력검사4) Cognitrone( )

인식력검사는 주의력 지각력 인지적 유연성 형태, ,

지각 단기기억 및 스트레스 인내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과제로 컴퓨터 화면 하단에 제시된 1

개의 도형과 같은 그림이 상단에 있는 개의 도형 중4

에 있는 지를 비교하여 가능하면 신속하게 있음 혹“ ”

은 없음 을 판단하여 해당 반응키를 누르는 것이다“ ” .

총 문항으로 되어 있고 이 중 같은 그림이 있는200 ,

경우가 문항 없는 경우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80 , 120

다 검사시간은 보통 성인의 경우 약 분 정도가. 15 50∼

소요되며 반응의 정확성 정확한 혹은 반응의, , Yes No

수와 평균반응 시간이 자동적으로 산출된다.

신호탐지검사5) Signal Detection( )

신호탐지검사는 신호탐지 이론에 입각하여 주의집

중력 스트레스 인내력 감각예민도 신호 탐지능력, , , ,

주요시야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로 컴퓨터 화면에

점이 무한적으로 명멸하다 근접한 개의 점이 정사각4

형을 만들 때 피검자가 이를 탐지하여 반응키를 누르

는 것이다 총 문항으로 되어 있고 전체반응 수 시. 60 ,

간 내 정반응 수 지연반응 수 무반응 수 오반응 수, , , ,

평균반응 시간이 자동적으로 산출된다.

고찰.Ⅲ

인지기능이란 우리의 일상생활 환경 속에서 일어나

는 일들을 이해하는 능력 상황을 판단하고 결정을 하,

며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말한다

인지 영역에는 집중력 기억력의(Najenson et al., 1984). ,

기본적인 영역이 있고 고위수준의 기획력과 이를 체계

화시키는 능력 문제해결 능력(organizaion), (problem

추상화능력등이포함되며감각 언어 시지각solving), , ,

의 통합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 지각기(Wheatley, 1995).

능은 인지능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으로(Itzkovich

내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는 감각정보et al., 1993)

를통합하는능력을말한다 인간의 삶(Siev et al., 1986).

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능적 능력일상생활활(

동이라 할 수 있다 일상생활활동은 연령) . (Hunt, 1979),

신체질환 인지기능장애(Report, 1986), (Ferm, 1974;

등의 여러 인자에 의해Little, 1986; Pfeffer et al., 1982)

영향을 받으며 일상생활에 있어서 인지지각력은 독립

적인 수행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Allen, 1985;

남명호 등 신일수 등Katz, 1994; , 1991; , 1987).

그동안 인지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객관적이고 표

준화된 여러 가지 인지상태 검사법이 개발되어 왔다

(Aron et al., 1986).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 는 년 이스라nitive Assessment(LOTCA) battery 1974

엘의 재활병원에서 고안되어 작업치료 영Lowenstein

역에서 비교적 널리 쓰이고 있는 기본적인 인지기능

41

에 대한 평가도구로(Cermark et al., 1995; Itzkovich et

의 신경학적 이론과al., 1990; Katz et al., 1989) Luria

의 발달이론 평가과정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고Piaget ,

안되었다(Inhelder & Piaget, 1964; Golden, 1984).

기본적 인지기능이란 우리가 주위환경과 일상적으

로 접하면서 생기는 일들을 처리함에 있어서 필요 불

가결하다고 생각되는 인지기능을 말한다 만약 인지.

기능 장애가 있을 경우 어떤 일을 계획하고 판단하며

적절하게 수행함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므로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김윤태 등( , 1997).

는 인지지각 기능의 각 영역을 세분화하여LOTCA

검사할 수 있어 분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인지장애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

이 검증된 도구이다 따라서 는 인지기능의 변. LOTCA

화에 대한 객관적인 추적검사가 가능하고 다른 인지,

기능 검사를 위한 선별검사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과 평가로 얻은 정보를 통해 치(Katz et al., 1989)

료계획을 세움으로써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도록 하

며 기능적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지각장애 항목이 많을수록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떨

어진다 뇌졸중과 외상성 뇌손상 및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은 발병률이 높을 뿐 아니라 초기 치료 후에도,

운동 감각 언어 및 인지 등 뇌 기능에 장애를 남기는, ,

경우가 많다 뇌졸중 환자에서 나타나는 인지와 지각.

능력 손상은 재활치료과정을 어렵게 하고(Siev et al.,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1986),

을 미친다 뇌졸중 및 뇌손상 환(Cermark et al., 1995).

자들은 장기입원을 하고 장기간의 재활치료를 받게,

되고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치료하는 환자들 중 가

장 큰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뇌졸중 환(Allen, 1985).

자의 예후 예측에 있어 인지지각 기능 검사의 유용성

이 알려져 왔는데 뇌손상에 따른 인지지각 기능의 저

하는 환자의 기능수준과 사회복귀에 영향을 미치며,

언어나 몸짓으로 가르쳐 주는 것을 따라하지 못하거

나 심한 인지지각 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재활치료를

통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기 어렵다(Diamond et al.,

는 발병한 지 년 미만 뇌졸중1996). Appelros(2005) 1

환자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인지손상은253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비롯한 기능적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그 평가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인지지각력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독립적인.

수행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운동기능(Zoltan, 1996),

의 회복이 가능한 환자에게서도 인지와 지각 기능의

손상은 재활을 어렵게 하는 요소가 되며 뇌병변 환자,

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인지기능장애는 사회 및 직

업에 복귀하는데 가장 중요한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김연희 등( , 2003).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지각 손상의 영향과 재활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뇌손상을 받았을 때의 인지지

각 검사기술 정도가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는

데 뇌손상을 입은 인지지각 장애가 있는 환자는 운전,

수행능력에서도 장애를 보였으나 인지지각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환자는 운전을 잘하는 경향을 보여

뇌손상 후 인지장애가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의 운전 수행능력을 비교예측할 수 있었다- (Sivak et

이와 같이 정확한 인지지각 수행능력의 측al., 1981).

정은 환자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

하는 데에 중요하다(Cicerone et al., 2000).

인지지각기능 평가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방법과 최

근 컴퓨터의 발전으로 전산화된 방법이 있다 전통적.

평가 방법은 면접형 지필형 복잡형 등으로 구분할, ,

수 있다 국내에서는 등 이 개발한. Folstein (1975)

를 번안하여 번역하여 를MMSE MMSE-K, K-MMSE

각각 사용되고 있다 면접형 검사는 신경심리학적 검.

사도구인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Wechsle,

과 같은 검사도구 뿐 아니라 뇌 전산화 단층촬영1981)

상의 병변 정도와 더 상관관계가 높고 검사자간의 신

뢰도도 높은 장점이 있다 지(Fillenbaum et al., 1987) .

필형 검사인 는 지능지수 측정에 표준화가 잘K-WAIS

되어 있고 검사의 척도구성이나 신뢰도가 우수(Lezak,

하나 검사가가 필요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1995) , ,

언어적 의사소통이 원활해야 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피검사의 순응도나 집중도에 문제가 있을 때에

는 실시가 불가능한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다(James,

인지지각 기능과 임상적 변화를 객관적으로 평1984).

가하기 위한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는 작업치료 영역에서 널리 사용(LOTCA)

되는 복합형 검사로 뇌졸중 뇌종양 뇌손상 등의 다, ,

양한 뇌질환을 동반한 성인과 세 이상의 아동에게6

4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적용 가능하며 의 신경생리학 의 발달이, Luria , Piaget

론 임상경험 뿐만 아니라 평가과정도 고려되어 개발,

되었고 인지지각 기능의 각 영(Itzkovich et al., 1993),

역을 세분화하여 검사할 수 있어 분화된 정보를 제공

하여 인지장애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도구이다 따라서. LOTCA

로 얻은 정보를 통해 치료계획을 세움으로써 독립적

인 일상생활활동의 수행과 기능적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초기 평가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진행과정을.

추후 관찰하는 도구로 사용함에 신뢰할 수 있으나 단,

순기억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적어도 개월의 간2

격을 두고 평가하는 것이 적당하다(Katz, Itzkovich &

Elazer, 1989).

는 인지기능의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추적LOTCA

검사가 가능하고 다른 인지기능 검사를 위한 선별검,

사로서도 이용할 수 있으며(Katz, Itzkovich & Elazer,

검사항목이 다양하게 구성되었을 뿐만 아니라1989),

면접형과 지필형 그리고 동작검사와 고위수준의 사고

영역까지 인지지각기능의 전반적인 부분을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는 미국 등의 여. LOTCA

러 나라에서는 표준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현,

재 우리나라에서는 표준화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어서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상황에 맞는 표준화가 필요-

하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평가 방법이 발전하

고 있다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컴퓨터.

의 장점을 인지기능 검사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1980

년대 중반부터 있어 왔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신경심,

리 검사는 기존의 검사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해 주고

있어 새로운 검사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정종학 등(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평가는 검사자극이 일정1994).

하게 유지되며 검사자에 의한 변인을 통제할 수 있,

고 반응이 정확하게 기록되고 전문가의 시간과 비용, ,

을 절감해준다는 장점이 있다(Ballard, 1996; Ferris et

전산화 평가인 의 지능지수는al., 1988). SPM WAIS-R

검사상의 전체 지능지수와 에서 의 정도의 높0.75 0.85

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전체 지능지수WAIS-R

추정치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은 기계적 또는. SPM

학습된 지식보다 정신운동속도와 적극적인 문제해결

이 요구되는 과제로 구성되어 있는 동작성검사로서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Capruso & Levin, 1995)

연구에서 지능지수와 전체 지능지수의SPM K-WAIS

상관관계가 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보고하0.67 (

규섭 등 되었고 이는 이 뇌손상 환자들과, 2002) , SPM

같이 지적 능력이 저하된 집단에게 신뢰할만한 정보

를 제공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서 인지지각 평가 시

이 지능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검사도구SPM K-WAIS

로 쓰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은. SPM Vienna Test

의 일부로서 국내에 도입되어 있으며 한국 성System ,

인을 대상으로 한 표준화 연구최인석 등 와 간( , 1998)

이지능검사로서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가 있다. SPM

이 간이지능평가도구로서 널리 이용되는 이유는 문화

적 교육적 배경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비언어적,

도구라는 점 시간제한이 없기 때문에 빨리 반응하지,

못하는 신체적 결함이 있는 환자나 뇌손상 환자 또는,

동기의 문제를 지닌 환자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는 점 그리고 검사 성적이 성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점 등이다.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고령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치매 및 다양한 뇌질환의 증가와 소아 및 청장년의

외상성 뇌손상의 증가로 인하여 환자들의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이해와 재활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인지기능 장애는 뇌손상 후 사회로의 복귀에 큰.

걸림돌이 되며 재활치료 프로그램 참여에의 의욕과

동기 및 운동기능의 습득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성공적인 재활치료를 위하여 초기부터 정확한 인지기

능 평가가 필요하다(Diamond, Felsenthal, Maccinocci,

따라서 각 도구의 장단Butler & Lally-Cassady, 1996).

점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검사 도구를 선택하

고 이를 토대로 한 정확한 인지지각 수행능력의 측정,

으로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운동기술 기능회복을 위, ,

한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꾀한다면 성공적인 환자의

재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 , . (1997).

로 한 타당도 연구K-MMSE . 대한신경과학회지,

15(2), 300-308.

43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의 표, . (1989). MMSE-K

준화 연구제 편 의 개발- 1 : MMSE-K . 신경정신의학회

지, 28, 125-135.

권준수 류인균 홍경수 연병길 하규섭 한국, , , , . (2002).

성인 기억력 평가를 위한 전산화 도구의 개발과 표

준화. 신경정신의학회지, 41(2), 347-358.

김연희 고명환 서정환 박성희 김광석 장은혜, , , , , .

주의력 향상에 중점을 둔 한국형 컴퓨터 인(2003).

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7(6),

830-839.

김연희 장은혜 이상진 박지원 고명환 박성희 등, , , , , ,

기억력 훈련을 위한 컴퓨터 인지치료프로그(2003).

램의 개발. 대한재활의학회지, 27(6), 667-674.

김창윤 이광원 박인호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 . (1994).

검사의임상적용을위한연구 세이상인환자들을. 60

대상으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33, 1329-1341.

김창환 김세주 뇌졸중 후 운동기능 회복에, . (1995).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1), 55-61.

김홍근 기억검사 해설서. (1999). Rey-Kim . 신경심리,

대구.

남명호 김봉옥 윤승호 재활치료를 받은 뇌졸, , . (1991).

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15(3), 295-308.

류인균 권준수 하규섭 한국 성인 고위인지기, , . (2002).

능 평가를 위한 전산화 도구의 개발과 표준화. 신경

정신의학회지, 41(3), 538-550.

박종익 이현정 고효정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 . (2004).

검사를 이용한 해독된 알코올 환자의 신경심리기

능. 신경정신의학, 43(5), 570-576.

박종한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의 표, . (1989). MMSE-K

준화 연구제 편 구분점 및 진단적타당도- 2 : . 신경정

신의학회지, 28, 508-513.

배대석 이종범 반영기, , . (2005).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의 이해와 해석 서울 하나의학사. : .

신일수 김병숙 장순자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 . (1987).

장애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재활의학회지, 11(2),

258-265.

신정빈 조경자 신정순 장애자의일상생활동작, , . (1987).

평가에 대한 검토. 대한재활의학회지, 11(1), 10-21.

염태호 박영숙 오경자 김정규 이영호, , , , . (1992). K-WAIS

실시요강. 한국가이던스 서울.

이성란. (2003).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점수가 일상

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 대구대학교. : .

이성아 유은영 채경주 정상인과 뇌졸중 환자, , . (2000).

의 인지기능 비교를 위한 기초연구. 대한작업치료

학회지, 8(1), 93-102.

이현숙 박창일 박은숙 신지철 세 이상 여성, , , . (2003). 65

노인의 인지지각 기능이 수단적 일상생활동작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1(12),

43-64.

정인형 강민희 두부외상후정신장애감정환자에, . (1995).

관한임상적연구. 신경정신의학지, 43(6), 1693-1705.

정종학 김창윤 사공준 컴퓨터를 이용한 유기, , . (1994).

용제 폭로 근로자의 신경행동학적 장애검사. 대한

산업의학회지, 6(2), 219-241.

정희 조경자 신정빈 나은우 뇌졸중 환자에, , , . (1990).

있어서 지각기능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4(1), 121-127.

최인석 김재진 정인원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 . (1998).

검사를 이용한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의신경인지기

능평가. 신경정신의학회지, 37(2), 306-317.

하규섭 권준수 류인균 공석원 이동우 윤탁, , , , , . (2002).

한국 성인 인공지능 평가를 위한 전산화 검사도구

의 개발과 표준화 과정 및 요인분석. 신경정신의학

회지, 41(3), 551-562.

하규섭 권준수 류인균 한국 성인 주의력 평, , . (2002).

가를 위한 전산화 도구의 개발과 표준 화. 신경정신

의학회지, 41(2), 335-346.

한태륜 김진호 성덕현 전민호 뇌졸중 환자, , , . (1992).

에 있어서 검사와 기능적 회복과Mini-Mental Status

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6,

118-122.

한태륜 뇌졸중 환자의 예후 측정. (1997). . 대한재활의

학회지, 21(5), 817-824.

황기철 상상연습이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2004).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한작업치료

학회지, 12(1), 1-14.

Allen, C. K. (1985). Occupational therapy for psychi-

atrics diseas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cog-

nitive disabilities. Boston: Little Brown.

4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Appelros, P. (2005). Characteristics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1 year after stroke: Lacunar infarction

predicts cognitive decline.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13, 491-495.

Aron, N., Barry, S. F., & David, F. (1986). Bedside cog-

nitive screening instrument. J Nerv Mental Dis, 174,

73-83.

Averbuch, S. (1989). Developmental norms for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Uppublished Master Thesis. New York Univercity.

Ballard, J. C. (1996). Computerized assessment of sus-

tained attention : A review of factors affecting vigi-

lance performance. J Clin Exp Neuropsychol, 18,

843-863.

Butters, N., & Jones, B. P. (1983).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In : The Clinical Psychology Hand book.

Pergamon Press.

Capruso, D. X., & Levin, H. S. (1995). Neuropsychiaric

Aspects of Head Trauma. In :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6th ed. (pp. 207-220).

Baltimore: Williams & Wilkins.

Cermark, S. A., Kate, N., & McQuire, E., et al. (1995).

Performance of americans and israeils with cere-

brovascular accident on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9(6), 500-506.

Cicerone, K. D., Dahlberg, C., Kalmar, K., Langenbahn,

D. M., Malec, J. F., & Berquist, T. F., et al. (2000).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recom-

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rch Phys Med

Rehabil, 81, 1596-1615.

Davis, K. R., Taveras, J. M., Roberson, G. H., &

Ackerman, R. H. (1976). Some limitation of computed

tomography in the diagnosis of neurological disease.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27, 11-12.

Diamond, P. T., Felsenthal, G., Maccinocci, S. N.,

Butler, D. H., & Lally-Cassady, D. (1996). Effect of

cognitive impairment on rehabilitation outcime. Am J

Phys Med Rehabil, 75, 40-43.

Edamans, J. A., & Licoln, N. B. (1989). The relation be-

tween perceptual deficits after stroke. Br J Occup

Ther, 52, 266-270.

Ferm, L. (1974). Bhavioral activities in demented geri-

atric patients. Gerontol Clin, 16, 413-420.

Ferris, S. H., Flicker, C., & Reisberg, B. (1998). NYU

computerized test battery for assessing cognition in ag-

ing and dementia. Psychopharmacology Bull, 24,

699-702.

Fillenbaum, G. G., Heyman, A., Wilkinson, W. E., &

Haynes, C. S. (1987). Comparison of two screening

tests in Alzheimer's diseas: The correlation and reli-

ability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Modified Blessed test. Arch Neurol, 44, 924-927.

Golden, C. J. (1984). Rehabilitation and the Luria -

Nebraska Neuropsychological Battery. In B.A

Eldelstein & E.T conture(Eds). Behavioral assessment

and rehabilitaion of the traumatic brain - demaged.

(pp. 83-120). New York: Plenum Press.

Gontkovsky, S. T., McDonald, N. B., Clark, P. G., & RuWe,

W. D. (2002). Current ditrctions in computer-assisted cog-

nitive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17, 195-199.

Gur, R. C., Ragland, J. D., Moberg, P. J., Bilker, W. B.,

Kohler, C., & Siegel, S., J. et al. (2001). Computerized

neurocognitive scanning : . The profile of schizoⅡ -

phrenia, Neuropsychopharmacology, 25, 777-788.

Hutt, M. l., & Briskin, G. J. (1960). The clinical use of

the Reviced Bender Gestalt Test. New York: Grune &

Stratton.

Hunt, A. (1979). Some aspects of the health of elderly

people in England. Health Trends, 11, 21-23.

Inhelder, B., & Piaget, J. (1964). The early growth of

logic in the child. New York: W.W. Morton.

Iregren, A., & Letz, R. (1992). Computerized testing in

neurobehavioral toxicology. Applied psycholog, 41(3),

247-225.

Itzkovich, M., Elazar, B., & Averbuch, S. (1993).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Manual. New Jersy: Maddak Inc.

James, R. P. (1984). A correlational analysis beween the

Raven's Progressive Matrics and WISC-R performance

45

scale. Volta Revie, 7, 336-341.

Jeffrey, A. K. Kaye., Cherl, L. G., & James, V. H.

(1990). Plasticity in the aging brain. Arch Neural, 47,

1336-1341.

Katz, N., Itzkovich, M., & Elazer, B. (1989).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battery brain-injuried pati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Am J Occup Ther, 43, 184-192.

Lack, P. B., Harrow, M., Colbert, J., & Levine, J.

(1970). Further evidence concerning the diagnostic ac-

curacy of the Halstead organic test battery. J of

Clinical Psychology, 26, 480-481.

Laks, P. B. (1984). Bender Gestalt screening for brain

dysfunction. New York: John Wiley.

Levin, H. S. (1994). A guide to clinical neuro-

psychological testing. Arch Neurol, 51(9), 854-859.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ittle, A. G., Hemsley, D. R., & Volans, P. J. (1986).

Cognitive ability as a predictor of self-care perform-

ance and change in the elderly. Int J Geriatr

Psychiatry, 1, 107-119.

Luria, A. R. (1973). The Working Brain. England:

Penguine Books.

Najenson, T., Rahmani, L., & Elazar, B., (1984). An ele-

mentary cognitiv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the cra-

niocerebrally injured patient. In B. A Edelstein & E.T.

Couture(Eds.), Behavioral assessment and re-

habilitation of the traumatically brain damaged(pp.

313-338). New York: Plenum.

Neistadt, M. E.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con-

structional and meal preparation skills. Arch Phys Med

Rehabil, 74, 144-148.

Pfeffer, R. I., Kurosaki, T. T., Harrah, C. H., Chance, J.

M., & Filos, S. (1982). Measurement of functional ac-

tivities in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J Gerontol,

37, 323-329.

Report of the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1986). Physical disability in 1986 and beyond. J Roy

Coll Physicians, 29, 160-194.

Siev, E., Freishtat, B., & Zoltan, B. (1986). Perceptual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the adult stroke patient: a

manual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New Jersey:

Slack, Inc.

Sivak, M., Olson, P. L., Kewan, D. G., et al. (1981).

Driving and perceptual/cognitive skills behavioral con-

sequences of brain demage. Arch Phys Med Rehabil,

62, 476-483.

Tsai, L. J., Howe, T. H., & Lien, I. N. (1983).

Visuospatial deficits in stroke patients and their rela-

tionship to dressing performance. J Formosan Med

Asso, 82, 353-359.

Wechsler, D. (1981). Wechsler Adult Inrelligence Sclae-

Reviced Manual. New York: Psychological Corporation.

Wheatley, C. J. (1995). Evaluation and treatment of cog-

nitive dysfunc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of physical dysfunction. (4th ed, pp. 241-252). Mosby.

Wilson, S. L., & McMillan T. M. (1992). Computer-based

assessment in neuropsychology. In : A Handbook of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Crawford JR: Parker

DM.

Zoltan, B. (1996).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3rd

ed). New Jersey: Slack.

Zorowitz, R. D., Gross, E., & Polinski, D. M. (2002).

Effects of problem-oriented willed-mevement therapy

on motor abilities for people with post stroke cogni-

tive deficits. Journal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24(3), 666-679.

4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4 / 2

Abstract

A Review of the Evaluation Tools for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Ability

Rhee, Hyeon-Sook MPH,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hinsung University

Introduction : Cognitive perceptual disability could develop as a result of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tox-

ic exposure as well as various brain metabolic diseases, and may accompany disabilities in

such domains as activities of daily living, motor skills, concentration and attention, memory,

visuospatial processing ability, language, problem solving and abstraction as well as classi-

fication and planning ability. After suffering from a stroke, cognitive perceptual disability hin-

ders the return to society and because it affects the ability to acquire motor skills as well as

the motivation and drive to participate in rehabilitation therapy program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accurate evaluation of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from the onset of the disease in

order for the rehabilitation therapy to be successful.

Body : For evaluation of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instruments available include interviews, pen-pa-

per test, combined interview/pen-paper test as well as computerized tests which are all con-

ventional testing methods that are widely implemented due to their ease of use. In compu-

terized evaluation, the stimulation of the examination is consistently maintained and stand-

ardized, and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 or the examining attitude of the examiner can be

reduced. It also includes advantages such as exact measurement of response time, automation

of complicated scoring system, accurate recording of responses, and reduction of time and

costs of using a specialist. Conventional evaluation tools include MMSE(MMSE-K, K-MMSE),

NCSE, K-WAIS, BGT, LOTCA and WCST whereas computerized evaluation tools include

SPES, SCNT, SPM, Cognitrone and Signal Detection.

Conclusion : By accurate determination of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ability using various stand-

ardized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evaluation tools in patients with cognitive perceptual dis-

ability, a program for functional recovery can be planned and through on this program, it will

not only bring about physical functional recovery for patients, but bring about improvement in

their cognitive perceptual abilities such as concentration and attention, memory, visuospatial

processing ability, language, problem solving and abstraction, classification and planning abil-

ity, as well as performance ability, which will promote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trau-

matic brain injury, and consequently contributing to the patient's prompt return to the society.

Key Words :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ability, evaluation tools

제 장 총칙1

제조 명칭1 ( )

본회는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이하 본학회 라( “ ”

한다라 칭하며 영문 표기는) , Society of Occupational

약칭 라한다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 OTAD) .

제 조 목적2 ( )

본 학회는 고령자와 치매관련 작업치료의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와 치매작업치료의 학술적 발전을 도모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조 사무소3 ( )

본 학회의 주 사무소는 학회장이 지정한 곳에 두는

곳을 원칙으로 한다.

제 조 사업4 ( )

본 학회는 제 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2

사업을 수행한다.

① 학술지 발간사업

② 고령자 ・치매전문작업치료사 양성교육에 관한

사업

③ 국내외 고령자 ・치매작업치료 관련 학문교류에

관한 사업

④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 장 회원2

제 조 구성5 ( )

학회의 회원은 정회원 명예회원으로 한다, .

제 조 회원의 자격6 ( )

본 학회의 회원 자격은 아래와 같다.

① 정회원 고령자와 치매에 관심이 있고 관련분야:

에 종사하거나 이에 상당하는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학회에 가입하여 회비를 납부한자

② 명예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현저한 공로가 있:

는 개인 또는 전체

제 조 회원의 권리 의무7 ( , )

본 학회의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와 의무를 진다.

① 회원은 학회의 운영규정을 준수하고 학회가 정,

한 입회금 회비 기타 교육 등에 참가할 경우, ,

학회가 정하는 부담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② 회원은 본 학회가 주관하는 학술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제 조 회원의 관리8 ( )

전항의 의무를 이행한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를

갖는다.

① 운영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발의권 의결권, ,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

② 운영규정 제 조의 사업수행에 참여할 권리를4

갖는다.

③ 학회가 발행하는 학회지나 각종 유인물 등을 제

공받는다.

④ 회원은 탈퇴 절차를 거쳐 탈퇴할 수 있다.

제 조 회원의 징계9 ( )

① 본 학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자는 이사회의 결의

에 따라 징계를 내릴 수 있다.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정관

년 월 일2008 4 24

제 장 임원3

제 조 임원의 종류10 ( )

본 학회의 임원은 이사와 감사로 나눈다.

① 회장 인1

② 부회장 인1

③ 이사 인 이내30

④ 감사 인2

제 조 임원의 자격11 ( )

임원의 자격은 학회 정관에 의한 회원의 의무를 성

실히 이행한 자로 한다.

제 조 임원의 직무12 ( )

① 회장은 학회를 대표하고 총회 및 이사회의 의,

장이 되어 회무를 총괄한다.

② 이사는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회의 각종 업

무를 의결 분장 운영하며 이사회 또는 회장으, ,

로부터 위임받은 업무를 수행한다.

③ 감사는 재산상황 이사회의 운영과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며 부당한 점이 있을 때 이사회, ,

총회에 그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제 조 임원의 선임13 ( )

① 학회의 회장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한다, .

② 임명직 이사는 회장의 추천에 의해 총회의 인준

을 받아야 한다.

제 조 임명직 이사의 해임14 ( )

임명직 이사가 다음 각 에 해당할 때는 총회의 의1

결을 거쳐 해임한다.

① 제 조의 규정에 의하여 징계 처분되었을 때9

② 학회의 목적에 반하는 행위를 한 때

③ 임원으로서 직무를 태만히 할 때

제 조 임원의 보선15 ( )

학회의 임원 중에서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결

원일로부터 월 이내에 보선하여야 한다 다만 학회2 . ,

의 업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의결

을 거쳐 차기 총회까지 그 보선을 연기할 수 있다.

제 조 임원의 임기16 ( )

① 회장 임명직 이사 감사는 각각 년으로 하며, , 3

연임할 수 있다 다만 제 조의 규정에 의하여. , 15

보선된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② 임원의 임기가 만료되더라도 차기임원이 선출

될 때까지는 그 직무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제 장 총회4

제 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17 ( )

① 학회는 최고 의결기관으로 총회를 둔다.

②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여 개최

한다.

③ 정기 총회는 연 회 정기학술대회 기간 중에 회1

장이 소집하고 임시총회는 정회원의 이상의, 1/3

요구가 있거나 감사의 요구에 따라 회장이 이,

를 소집한다.

④ 총회는 출석인원으로 성립되고 모든 의결은 참

석인원의 과반수로 의결한다.

제 조 총회의 의결사항18 ( )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학회 해산에 관한 사항

② 정관 변경에 관한 사항

③ 회장단 감사의 선출에 관한 사항,

④ 임명직 이사의 인준에 관한 사항

⑤ 예산 및 결산의 승인에 관한 사항

⑥ 주요 사업계획 승인에 관한 사항

⑦ 이사회에서 부의하는 사항

제 장 이사회5

제 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19 ( )

① 학회는 회무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하여 이사회를 두고 회장이 그 의장이 된다.

②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

며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

제 조 이사회의 개최20 ( )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구분한다.

1) 정기이사회는 매년 회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1

한다.

2) 임시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있을 때에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한다.

① 회장이 이사회의 소집이 필요하다고 요구

한 때

② 재적이사 분의 이상 또는 감사가 감사결3 1

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이사회의 소집을 요

구한 때

3) 이사회의 소집은 회의개최 일전에 그 회의의15

목적 의결사항 또는 보고사항 일시 및 장소 등, ,

을 기재한 서면에 의하여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 조 이사회의 의결사항21 ( )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총회에서 위임받는 사항

②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③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에 관한 사항

④ 예산 결산서 작성에 관한 사항

⑤ 총회에 부의할 안건에 관한 사항

⑥ 기타 주요 사항

제 장 편집위원회6

제 조 구성22 ( )

① 이사회에서는 본 학회의 학회지 발간을 위하여

편집위원회를 둔다.

② 편집위원회는 편집위원장 인 편집위원 인 이1 , 5

상으로 구성한다.

③ 본 학회 편집위원의 임기는 년으로 하고 논문3 ,

의 성격에 따라 임시 위원을 선정할 수 있다.

제 조 자격23 ( )

① 편집위원장은 학회 회원 중에 회장이 추천하여

이사회에서 의결한다.

② 편집위원은 학회 회원 중에 편집위원장의 추천

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제 조 임무24 ( )

① 편집위원회는 년에 회 학회지를 발간한다1 2 .

② 학회지의 발간 시기는 매년 월 일 월4 30 , 11 30

일을 원칙으로 한다.

③ 편집위원회는 논문투고 및 논문심사를 위한 규

정을 별도로 둔다.

④ 발행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회지 발행 업무

를 관할한다.

제 장 재정 및 회계7

제 조 재원25 ( )

학회의 재정은 다음 각 호의 수입금으로 충당한다.

① 입회비

② 회비

③ 교육비

④ 기타 수입금

제 조 자산관리 및 예산집행26 ( )

① 학회의 자산은 회장 책임 하에 금융기관에 예금

하고 관리 운영하며 승인 및 예산 규정에 따라,

집행하며 그 밖의 중요한 예산은 이사회의 의,

결에 따라 집행한다.

제 장 징계8

제 조 징계27 ( )

회원으로써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의 의결로써 경고 견책 자격정지 또는 그 이, , ,

상의 적응한 징계를 취한다.

① 본회의 명예를 훼손한 자

② 소정의 회비를 년간 체납한 자2

③ 회원으로써 부여된 의무를 태만하게 여기는 자

제 장 사무국9

제 조 사무국 및 직원28 ( )

본회의 사무를 집행하기 위해 사무국을 둘 수 있

으며 유급 또는 무급직원아르바이트 학생을 둘 수, ( )

있다.

제 장 보칙10

제조 학회해산1 ( )

본 학회를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총회에서 회원 4

분의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하여 해산한다3 .

제 조 학회 해산 시 재산처리2 ( )

본 학회가 해산할 때 잔여재산은 국가 지방자치단

체 또는 본 학회와 유사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에

기증한다.

제 조 서면결의3 ( )

본회의 의결사항 중 정관개정에 관한 사항은 서면

결의를 할 수 없다 다만 이외의 의결사항은 서면결의.

할 수 있다.

제 조 준용4 ( )

본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

인에 관한 규정과 보건복지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을 준용한다.

부 칙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에 의

한다.

본 회칙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2007 3 1 .

본 회칙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2007 9 8 .

본 회칙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2008 4 24 .

일반규정.Ⅰ

본 학회지의 논문의 편집 방향은 작업치료 관련 분야의 논문을 투고 받아 전공별 심사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게재함으로서 고령자 ・치매와 관련된 작업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고령자 ・치매치료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새로운 이론을 점검하여 작업치료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1. 본 학회지는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 ,

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는 고령자 ・치매작업치료와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① 노인관련 작업치료

② 노인관련 건강증진

③ 노인복지

④ 노인직업훈련

⑤ 일상생활환경

⑥ 인지 및 지각관련

⑦ 지역사회재활

⑧ 및 보조도구ADL

⑨ 노인주거환경

⑩ 연하장애

⑪ 교육관련

⑫ 기타 노인관련분야

3.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

할 수 없다.

4. 본 논문집은 년 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월 일 월 일까지 고령자2 , 3 31 , 10 31 ・치매작

업치료학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

5.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6.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 부를 기본으로 하면 별쇄본은 자비 부담으로 한다20 .

고령자・치매치료학회지 투고규정

년 월 일2007 9 8

7.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제 저자 및 교신저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하여야 한다1 .

8.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

송 한다.

9. 본 학회지에 게재되는 모든 원고에 대한 저작권은 고령자 ・치매전문작업치료학회가 소유한다.

투고규정.Ⅱ

1. 본 학회지는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의 논문 투고를 위해서는 미국심리학회 에서 발행한 규정집(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3. 제출된 원고는

⑴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글꼴160% 10,

은 신명조 용지의 여백은 기준으로 로 작성한다, A4 3cm .

⑵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⑶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

한다.

⑷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meter .

⑸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

⑹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 8×10cm

하여야 한다.

⑺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단 영, .( ,

문초록의 단어 수는 자 이내로 한다150 .)

⑻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 을 앞에 표기한다(family name) .

⑼ 원고의 전체 매수는 매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초과할 경우의 추가 비용은 저자가A4 15

부담한다.

4. 본문 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은 와과로 연결한다2 ‘ ( ) .

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체 공동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3 ,

제 저자명 뒤에 등 국내문헌 외국문헌을 붙인다1 ‘ ’( ), ‘et al.’( ) .

⑴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인인 경우1

예 홍길동 은 은) (2006) , Kim(2000)

- 저자가 인인 경우2

예 홍길동과 장길산 은 는) (2001) , Ann & Yu(2000)

- 저자가 인인 이상인 경우3

예 장길산 등 은 등 은) (2002) , Schmeidler (1988)

⑵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

헌은 가나다순 외국문헌은 순으로 작성한다, ABC .

예) 라고 하였다이상호 등 정창호 홍길동과 장길산( , 2002; , 2001; , 2003; Ann & Yu, 1980; Schmeidler…

et al., 1988).

5.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제시하는 순서는 국내문헌의 경우에는 가나다 순 외국,

문헌은 순으로 한다 국내문헌을 먼저 쓰고 외국 문헌을 그 다음에 제시한다 인의 경우에는 저자명ABC . . 2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한다 공동 저자가 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인‘ ( )’, ‘&’ . 6 6

까지만 나열하며 저자명 끝에 등 국내문헌 외국문헌을 붙인다 단 학술지명과 권수호수는 이탤‘ ’( ), ‘et al.’( ) . ( )

릭체로 변경하며 단행본과 학위논문의 경우 제목을 이탤릭체로 변경한다, .

(1)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 ( ). . , ( ), .

예) 홍길동 장길산 정창호 이상호 뇌졸중 환자의 직업재활에서 작업환경평가 고령자, , , . (2007). (1). ・치

매작업치료학회, 1(1), 1-12.

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cupational therapy's future. Am J Occup

Ther, 45, 300-310.

⑵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 . ( ). . : .

예) 홍길동 장길산 작업치료학 서울 서울출판사, . (2002). . : .

Ekman, L. L. (2002). Neurosic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⑶ 단행본의 장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개정판 쪽수 도시명(chapter): . ( ). . , ( , ). :

발행처.

예) Clark, F., & Larson, E. A. (1993). Developing an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ce of occupation.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44-57).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⑷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발행처: . ( ). . : .

예) 홍길동 가상현실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서울 서현대학교. (2007). . : .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5)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표기방식은 동일하다.

6.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편집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논문제목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인치 디스켓과 사본 부를 우편 혹은 전자메일로 보낸다3.5 1 .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크기는 줄간격은 로 작성하고 위, point 10, 160% , ․아래 ․좌 ․우의 여백은 용A4

지 기준으로 로 작성한다3cm .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저자명 저자소속 기관명_______ ______   

_______ 영문제목 영문 저자명 영문 학위명 영문 면허명______ ______ ______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 E-mail, , , )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수는 자 이내로 작성한다150 .

_______ 개 이상 개 이하의 주제어 를 첨부한다3 10 (Key Words) .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 을 앞에 표기한다예(family name) ( :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 , , , , ,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

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법을 사용한다meter .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매 이내로 작성한다, A4 15 .

고령자・치매치료학회지 저자 점검표

년 월 일2007 9 8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 )

않는다.

_______ 본문내 문헌 인용시 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하며2 ‘ ( )’, ‘&’ ,

인 이상의 경우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 저자명 뒤에 등 국내문헌 외국문헌을 붙인다3 1 ‘ ’( ), ‘et al.’( ) .

(1)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저자가 인인 경우 예 홍길동 은 은1 ) (2006) , Kim(2000)

∙저자가 인인 경우 예 홍길동과 장길산 은 과 는2 ) (2001) , Ann Yu(2002)

∙저자가 인인 이상인 경우 예 장길산 등 은 등 은3 ) (2002) , Schmeidler (1988)

(2)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헌은 가나다순 외국문헌은 순으로 작성한다, ABC .

예) 라고 하였다이상호 등 정창호 홍길동과 장길산( , 2000; , 2001; , 2003; Ann & Yu, 1980;…

Schmeidler et al., 2000).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1)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 ( ). . 학술지명 권수호수, ( ), 쪽수.

예) 홍길동 장길산 정창호 이상호 뇌졸중환자의직업재활에서작업환경평가, , , . (2007). (1). 고령자 ・치

매작업치료학회, 1(1), 1-12.

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cupational therapy's future. Am J

Occup Ther, 45, 300-310.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 ( ). 제목. 도시명 발행처: .

예) 홍길동 장길산, . (2002). 작업치료학. 서울 서울출판사: .

Ekman, L. L. (2002). Neurosic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3) 단행본의 장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chapter): . ( ). . ,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 , ).

시명 발행처: .

예) Clark, F., & Larson, E. A. (1993). Developing an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ce of occupation.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44-57).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4) : . ( ). 제목. 도시명 발행처: .

예) 홍길동. (2007). 가상현실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서울 서현대학교. : .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표기방식은 동일하다(5) .

_______ 국내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외국문헌인 경우에는 순으로 작성한다, ABC .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표 만들기 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한다_______ “ ” .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_______ .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_______ .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_______ , .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_______ .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_______ .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 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10cm ,

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한글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 ( ) .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 ( ) .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인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 .

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대한작업치료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 인( )

공동저자 인( )

인( )

인( )

인( )

본 저자점검표는 년 월 일부터 적용됩니다* 2007 3 1 .

본 저자점검표는 년 월 일부터 적용됩니다* 2007 9 8 .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 에서 발행한 규정집*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고 령 자 ․ 치 매 작 업 치 료 학 회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학 회 장 이미자 경복대학/

부 회 장 김한수 대구보건대학/

감 사 배주한 경북과학대학 최혜숙동남보건대학/ , /

학 술 이 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양영애인제대학교/ , /

총 무 이 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

기 획 이 사 김정자 군장대학 김행란 아주대학병원 정복희 호원대학교/ , / , /

국 제 이 사 박소연 한서대학교 백현희 군장대학 이인경 성덕대학/ , / , / ,

황기철 가야대학교/

홍 보 이 사 김환중 우석대학교 양경희 경복대학 이선명 마산대학/ , / , / ,

정상미 신성대학/

재 무 이 사 정현애 영남외국어대학/

정 보 이 사 채경주 경복대학 최정실 주성대학/ , /

편집위원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편 집 위 원 감경윤 인제대학교 송영화 동남보건대학 오명화동신대학교/ , / , /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이재신건양대학교 이정원여주대학/ , / , / ,

정민예 연세대학교 최혜숙 동남보건대학 허진강한림성심대학/ , / , / ,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4 2 ISSN 1976 1090-

발행일 년 월 일/ 2010 11 30

발행인 이미자/

발행처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우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 동 산 번지( ) 702-722 1 7

대구보건대학 작업치료학과

TEL: 053-320-1803

인 쇄 / 퍼시픽북스 편집부TEL: 02-2272-7177( ), FAX: 02-2272-7166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