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13
2017 주택관리사 문제집 건축구조 PART Chapter 01 구조 총론 Chapter 02 토질 및 기초구조 Chapter 03 철근콘크리트구조 Chapter 04 철골구조 Chapter 05 지붕 및 방수구조 Chapter 06 벽체 및 외부구조 Chapter 07 각종 마감공사 Chapter 08 적산과 견적

Transcript of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Page 1: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2017 주택관리사 문제집

건축구조

P A R T

Chapter 01 구조 총론

Chapter 02 토질 및 기초구조

Chapter 03 철근콘크리트구조

Chapter 04 철골구조

Chapter 05 지붕 및 방수구조

Chapter 06 벽체 및 외부구조

Chapter 07 각종 마감공사

Chapter 08 적산과 견적

Page 2: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18 PART 01 건축구조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력벽 구조는 자중과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및 수평방향의 하중을 벽체가 부담하도록

설계된 구조이다.

② 가구식 구조는 가늘고 긴 부재를 강하게 고정 접합하여 뼈 를 만드는 일체화된 구조를 말한다.

③ 벽식 라멘구조는 바닥과 벽을 고정하여 일체구조로 만든 구조이다.

④ 조적식 구조는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을 접착재료로 쌓아 만든 구조이다.

⑤ 조립식 구조는 부재를 규격화하여 미리 공장에서 생산 및 가공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이다.

확인문제 ☑ 제17회 기출

01CHAPTER

구조 총론

2017 주택관리사 문제집

제1절 구조형식 분류

시설

주제 01 구조의 분류 ★ 제1, 4, 17회 기출

구조를 종합적으로 구분하여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구 분 종 류

1. 구성양식

(1) 가구식구조:가늘고 긴 부재를 이음, 맞춤 방식으로 접합한다. 횡력에 응하기

위하여 가새구조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목구조가 표적이다.

(2) 조적식구조:벽돌이나 돌을 쌓아 올리고 이 틈 사이에 시멘트 모르타르 등으로

접착하는 방식이다. 횡력에 약한 구조이다.

(3) 일체식구조: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처럼 구조물을 일체화 하

는 구조이다.

(4) 입체식구조:지붕구조, 장스팬구조를 긴 뼈 를 접합하거나 얇은 재료를 이용해

입체적으로 공간을 만드는 구조를 말한다. 입체트러스구조 같은 형식이다.

2. 시공방법

(1) 습식구조:시공과정 중 물을 사용한다. 철근콘크리트구조, 조적식구조는 보통

습식구조에 속한다.

(2) 건식구조:시공과정 중 고력볼트, 용접 등을 이용한다.

(3) 조립식구조: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한다.

(4) 현장식구조:현장에서 구조물을 생산한다.

Page 3: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01P A R T

19CHAPTER 01 구조 총론

② 가구식 구조는 가늘고 긴 부재를 접합하여 뼈대를 만드는 구조로 부재 접합부에 따라 구조강성이 결정된다.

가구식 구조는 목구조, 순수 철골구조 등을 이음, 맞춤 등을 통해 구성하는 것으로, 목조주택이 대표적인

가구식 구조가 된다. ②

시설

주제 02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특성 ★ 제12회 기출

1. 복합재료이다.

2. 철근은 인장력을 부담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부담한다.

시설

주제 03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구조 ★ 제9회 기출

압축력이 크게 걸리도록 만든 구조(인장력 최소화)

1. 프리텐셔닝(pretensioning):강선을 미리 긴장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2.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인장력이 발생하는 부분에 시스관(빈 파이프)을 배

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은 후 강선을 긴장하여 구조

물을 만든다.

시설

주제 04 아치구조 ★ 제9회 기출

개구부의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조적재를 곡선형으로 쌓은 것으로 압축력만 작용되

도록 한 구조이다. 아치돌 또는 아치벽돌을 쐐기형으로 만든다.

시설

주제 05 트러스(truss)구조 ★ 제9회 기출

1. 부재(部材)가 휘지 않게 접합점을 핀으로 연결한 골조구조

2. 곧은 강재(鋼材)나 목재[이것들을 부재(部材)라고 한다]를 삼각형을 기본으로 그물 모양으로

짜서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방법

3. 체육관, 강당, 축사, 기차역사 등에 많이 사용된다.

시설

주제 06 쉘(shell)구조

1. 쉘이란 원어는 조개껍질 등을 말하며, 조개껍질 단면에서 유래된 원통형 곡면의 형상

을 지닌 구조

Page 4: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20 PART 01 건축구조

2. 구조의 특징은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큰 간사이(스팬이라고도 한다)의

넓은 공간을 덮는 지붕 등에 적용

3. 면내의 힘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

시설

주제 07 절판구조

부재를 얇게 하여 꺽어서 만드는 구조형상

시설

주제 08 철골구조(강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해 가볍고, 유연성이 크고, 연성적 능력이 크기 때문에 내진구조

에도 적용

시설

주제 09 라멘구조 ★ 제10, 11회 기출

1. 보통의 라멘구조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부재절점이 강하게 접합으로 되어

일체화로된 구조를 라멘구조라 한다. ★ 제10회 기출

2. 벽식 라멘구조

보 없이 바닥과 벽체를 강하게 접합하는 일체식구조 ★ 제11회 기출

구조부재 분류와 구조계획이론제2절

시설

주제 01 건축부재

1. 기초

건물을 지탱하고, 이것을 지반에 안정시키기 위해 건물의 하부에 구축한 구조물을 말한다.

Page 5: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01P A R T

21CHAPTER 01 구조 총론

2. 벽(Wall)(칸막이벽) ★ 제10회 기출

벽은 두께에 직각으로 측정한 수평치수가 그 두께의 3배를 넘는 수직부재

3. 기둥(Column) ★ 제16회 기출

(1)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는 수직재(垂直材)로서 주로 압축력에 저항한다.

(2) 높이가 최소 단면치수의 3배 혹은 그 이상인 부재이다.

4. 바닥(Slab)

바닥에 걸리는 하중은 바닥 주위의 보에 분담되어 각 기둥으로 힘이 이동

5. 보(girder, beam)

(1) 큰보(Girder):기둥과 기둥 연결

(2) 작은보(Beam):큰보와 큰보 연결 

(3) 보의 헌치:전단력 보강 효과

6. 천장(天障, ceiling)

미화, 보온, 방음, 흡음 등을 위한 부분

시설

주제 02 건물의 안전성 확보

1. 안전성

ʻ외력(각종 외력의 조합) ≤ 내력(부재가 견디는 힘)ʼ

2. 하중의 종류 ★ 제1, 5, 7, 9회 기출

장기하중, 단기하중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중의 종류 하중 및 외력의 작용상태

장기 D(고정하중), L(활하중), 다설지역의 경우 S(적설하중)

단기 S(적절하중), W(풍하중), E(지진하중), 충격하중 등

Page 6: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22 PART 01 건축구조

참고

고정하중은 건물에 고정된 보나 기둥, 바닥 등의 무게, 활하중은 사람이나 가구 등의 무게를 말한다.

3. 하중(荷重, load)의 유형 ★ 제15 ~ 18회 기출

건축물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하중 또는 외력(external force)이라 하며, 이로 인해

건물 내부에 발생하는 힘을 내력( internal force) 또는 응력(應力, stress)이라 한다. 하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고정하중(固定荷重)

구조물의 수명기간 중 상시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자중은 물론, 벽, 바닥, 지붕, 천

장, 계단 및 고정된 사용 장비 등을 포함한 하중으로서 정하중(靜荷重, dead load)이라

고도 부른다(구조체와 이에 부착된 비내력부분 및 각종 설비 등의 중량에 의하여 구조물의 존치기간

중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연직하중).

(2) 활하중(活荷重)

풍하중, 지진하중과 같은 환경하중이나 고정하중을 포함하지 않고, 건물이나 다른

구조물의 사용 및 점용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으로서 사람, 가구, 이동칸막이, 창고의

저장물, 설비기계 등의 하중으로서 적재하중(積載荷重)이라고도 부른다.

(3) 적설하중(積雪荷重)

지붕면에 쌓인 눈의 중량, 물매가 작을 경우 흘러내리는 힘이 약해 눈이 많이 쌓이

며, 이때는 적설하중도 크게 산출된다.

(4) 풍하중(風荷重)

건물의 외벽 또는 지붕에 미치는 바람의 압력, 바람을 받는 벽면적이 클수록 풍하중

도 커진다. 풍하중은 구조골조용, 지붕골조용, 외장 마감재용으로 분류된다.

(5) 지진하중(地震荷重)

건물의 기초나 주각에 미치는 지진의 힘, 건물이 무거울수록 지진하중은 크게 작용

된다.

(6) 그 밖의 하중

① 토압 및 지하수압하중:건물의 지하부분에 미치는 지반의 토압과 지하수 등에

의한 수압하중

② 충격하중, 진동하중:엘리베이터, 기계, 차량 등의 움직임에 의한 하중

③ 온도하중:열팽창 또는 수축에 의한 하중

Page 7: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01P A R T

23CHAPTER 01 구조 총론

시설

주제 03 설계기준의 종류 ★ 제10회 기출

구 분 강도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

개념

강도 개념(강도설계법)

소요강도 ≤ 설계강도

하중증가계수 × 하중 ≤ 강도감소계수 × 강도

응력 개념(응력설계법)

실제응력 ≤ 허용응력도

실제응력 ≤ 안전율*재료응력도

안전확보 사용하중에 하중계수 고려한다. 허용되는 응력으로 규제한다.

설계하중 극한하중 사용하중

재료특성 소성 범위 탄성 범위

주안점 안전성 사용성

시설

주제 04 강도설계법의 소요강도 조합

고정하중과 활하중이 작용 1.2D + 1.6L

시설

주제 05 아파트의 등분포활하중

기본 등분포활하중(단위:kN/㎡)은 다음과 같다. ★ 제12, 13, 19회 기출

주 택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5.0

발코니출입바닥활하중의 1.5배

최 5.0kN/㎡

(단위:kN/㎡)

시설

주제 06 내진설계 ★ 제10회 기출

1. 내진설계란 구조물의 지진력에 견디도록 구조물의 강성을 확보하는 기술

2. 평면을 정형으로 계획하여 비틀림 현상을 억제

3. 제진이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지진력에 응하는 힘을 구조물 내에서 발생시키거

나 흡수하는 기술

4. 피로티형구조는 내진설계에 불리

5. 지반액상화 현상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지중구조물과 기초를 일체화

Page 8: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24 PART 01 건축구조

01CHAPTER

기출 및 예상문제

2017 주택관리사 문제집

01공동주택 기본등분포활하중의 최소값으로서 공용실은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에 비해 몇 배나 크게 산출되는가?

① 1배 ② 2배 ③ 2.5배

④ 3배 ⑤ 3.5배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 = 2.5

주 택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5.0

발코니출입바닥활하중의 1.5배

최대 5.0kN/㎡

(단위:kN/㎡)

02 ★ 제9회 기출

구조형식에 의한 건축물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전단벽식구조는 보와 기둥이 없이 슬래브와 벽체로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② 쉘 구조는 곡면판재(플레이트)의 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하중을 면내응력으로 전달

하는 구조이다.

③ 입체트러스구조는 선형부재들을 입체적으로 조립하여 각 부재가 축 방향력을 받게 하는

구조이다.

④ 현수구조는 구조물을 케이블로 매달아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로 케이블에서 인장응력이

지배적인 응력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⑤ 아치구조는 부재내의 인장력으로 수직하중을 전달하는 구조이다.

해설 아치구조는 인장력이 아닌, 압축력을 받는다.

Page 9: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01P A R T

25CHAPTER 01 구조 총론

정답 01. ③ 02. ⑤ 03. ② 04. ⑤ 05. ⑤

03 ★ 제4회 기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장점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량생산에 유리하다.

② 각 부품의 접합부 일체화에 유리하다.

③ 기계화 시공으로 공기단축에 유리하다.

④ 현장 작업공정 감축에 유리하다.

⑤ 원가 절감의 이점이 있다.

해설 프리캐스트구조는 주요 부재는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접합부 처리를 하는데, 일체식 구조와

달리 접합부를 별도로 접합하므로 일체화할 경우 불리한 구조이다.

04 ★ 제1회 기출

다음 중 일체식 구조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아치구조 ② 쉘구조 ③ 현수구조

④ 철골구조 ⑤ 철골 ․ 철근콘크리트 구조

해설 일체식구조란 콘크리트구조물처럼 기둥과 보, 바닥판과 같은 골조가 일체로 접합되는 것을 말한다.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가 있다.

05 ★ 제10회 기출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허용응력도 설계법이란 부재에 작용하는 실제 하중에 의해 단면 내에 생기는 응력이 그

재료의 허용응력 범위 내가 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다.

② 강도 설계법이란 부재의 설계강도가 계수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

는 방법이다.

③ 허용응력도 설계법은 재료가 탄성거동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④ 강도설계법은 서로 다른 하중의 특성을 하중계수에 의해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⑤ 허용응력도 설계법에서는 부재의 안전율 확보를 위하여 강도저감계수를 사용한다.

해설 강도저감계수를 사용하는 것은 강도설계법이다.

Page 10: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26 PART 01 건축구조

06 ★ 제13회 기출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용도별 기본 등분포 활하중이 가장 큰 곳은?

① 거실 ② 주방 ③ 화장실

④ 발코니 ⑤ 침실

해설 발코니의 등분포활하중이 가장 큼

07 ★ 제15회 기출

건축구조와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조내력이란 구조부재 및 이와 접하는 부분 등이 견딜 수 있는 부재력을 말한다.

② 라멘(Rahmen)구조는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③ 캔틸레버(Cantilever) 보는 한쪽만 고정시키고, 다른 쪽은 돌출시켜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 구조이다.

④ 고정하중은 구조체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수직하중으로 구조부재에 부착된 비내력부분과

각종 설비 등의 중량은 제외된다.

⑤ 활하중은 건물의 사용 및 점용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으로 사람, 가구, 이동칸막이, 창고의

저장물, 설비기계 등의 하중을 말한다.

해설 고정하중에서 구조부재에 부착된 하중은 포함한다. 즉, 비내력벽은 구조내력을 받는 부분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철거가 가능한 부재이다. 그러나, 구조기준에서는 비록 구조내력부재는 아니지만 구조부

재에 부착이 되어 지속적으로 수직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고정하중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08 ★ 제12회 기출

건축물에 작용하는 활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활하중은 구조체 자체의 무게나 구조물의 존재기간 중 지속적으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말한다.

② 활하중은 등분포 활하중과 집중 활하중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③ 활하중은 신축 건축물 및 공작물의 구조계산과 기존 건축물의 안전성 검토시 적용된다.

④ 하중을 장기하중과 단기하중으로 구분할 경우 활하중은 장기하중에 포함된다.

⑤ 공동주택의 경우 발코니의 활하중은 거실의 활하중보다 큰 값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설 활하중은 적재하중이라고 하는데, 주로 가구 또는 사람처럼 이동이 가능한 하중이다. 이동이 곤란한

구조물의 자체 하중 등은 고정하중이라고 한다.

Page 11: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01P A R T

27CHAPTER 01 구조 총론

정답 06. ④ 07. ④ 08. ① 09. ⑤ 10. ⑤ 11. ③

09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중 포스트텐션 방식에 대한 특성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프리텐션 방식에 비해 장스팬에 적합하다.

② 프리텐션 방식에 비해 역학적 특성이 우수하다.

③ 쉬스관이 필요하다.

④ 주로 현장식에 의존하여 생산한다.

⑤ 쉬스관 안에 그라우팅을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해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중 포스트텐션 방식에 쉬스관 안에 그라우팅을 하는 것은 선택적이다.

즉, 그라우팅이라는 것은 녹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그라우팅을 하게 되면 재긴장이 어렵다. 이에

따라 재긴장을 목적으로 할 경우라면 그라우팅을 하지 않을 것이고, 재긴장의 필요성이 낮고 부식방

지가 필요한 경우라면 그라우팅을 한다. 그래서, 필수적이지 않고 구조물에 따라 선택적이다.

10철근콘크리트의 구조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라멘 구조는 기둥과 보를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형식이다.

② 벽식 구조는 기둥이 없이 벽과 슬래브를 연결하는 구조형식이다.

③ 플랫 슬래브 구조는 내부에 보가 없이 슬래브를 직접 기둥에 연결하는 구조형식이다.

④ 프리캐스트 구조는 벽, 기둥, 보 및 슬래브 등 주요 부재를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연결하

는 구조형식이다.

⑤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는 포스트 텐션 방식으로 할 수 없다.

해설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는 포스트텐션 또는 프리텐션 방식으로 할 수 있다.

11 ★ 제10회 기출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부재절점이 강접합으로 된 구조형식은?

① 아치구조 ② 절판구조 ③ 라멘구조

④ 벽식구조 ⑤ 입체트러스구조

해설 라멘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Page 12: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28 PART 01 건축구조

12다음은 트러스(truss)구조의 특성이다. 가장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부재(部材)가 휘지 않게 접합점을 핀으로 연결한 골조구조를 지칭한다.

② 곧은 강재(鋼材)나 목재[이것들을 부재(部材)라고 한다]를 삼각형을 기본으로 그물 모양으

로 짜서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방법이다.

③ 부재의 결합점[절점(節點)]은 보통 강성이 커서 회전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④ 하중도 절점에 작용하도록 공작되어 있으므로 트러스의 부재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과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것뿐이며 휘는 경우는 없으므로 재료의 낭비가 적다.

⑤ 짧은 막 를 조합해서 지간이 큰 공간을 걸치는 이점도 있다.

해설 보통 결합점에서는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한다. 즉, 트러스구조는 가늘고 긴 부재와 부재를

결합하는 곳을 절점이라고 하며, 이 절점을 핀 구조로 만들기 때문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

트러스구조는 불리한 휨이나 전단력을 받지 않고 축력(인장, 압축)만을 받을 수 있도록 제작된 구조로

본다.

13 ★ 제9회 기출

건축물 자체의 중량과 같이 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① 고정하중(사하중) ② 적재하중(활하중) ③ 적설하중

④ 지진하중 ⑤ 바람하중

해설 고정하중을 말한다.

14 ★ 제7회 기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물을 장기하중과 단기하중으로 나누었을 때 단기하중이 아닌 것은?

① 풍하중 ② 적설하중 ③ 지진하중

④ 구조물하중 ⑤ 충격하중

해설 장기하중은 장시간 재하되는 하중이다. 단기하중은 바람이나, 눈, 또는 지진처럼 일시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말한다. 따라서 지문상 구조물하중은 장기하중으로 분류된다.

15 ★ 제10회 기출

내진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Page 13: 건축구조 - 무료 배움의 꿈 인강드림 · 2017. 3. 28. · 해설 2.5배이다. 산출근거:5/2=2.5 주 택 1. 주거용 구조물의 거실 2.0 2. 공동주택의 공용실

01P A R T

29CHAPTER 01 구조 총론

정답 12. ③ 13. ① 14. ④ 15. ② 16. ⑤ 17. ③

① 내진설계란 구조물의 지진력에 견디도록 구조물의 강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말한다.

② 평면을 비정형으로 계획하여 비틀림 현상을 억제한다.

③ 제진이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지진력에 응하는 힘을 구조물 내에서 발생시키거나

흡수하는 기술을 말한다.

④ 필로티형 구조는 내진설계에 불리하다.

⑤ 지반액상화 현상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지중구조물과 기초를 일체화시킨다.

해설 평면을 정형으로 계획하여 비틀림 현상을 억제한다.

16다음은 철골구조(강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철근콘크리트 구조재료에 비해 가볍게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② 고층건물, 큰 경간구조에 이용된다.

③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경량이다.

④ 유연성이 크다.

⑤ 취성적 능력이 크다.

해설 연성적 능력이 크다. 즉, 연성과 취성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 연성적 재료라는 것은 어떤 충격을

가할 경우 변형이 어느 정도 지속되면서 서서히 파괴에 이르는 재료이다. 취성적 재료는 반대로

충격을 가할 경우 변형이 거의 없거나 짧은 변형과정 속에서 파괴되는 것이다. 유리와 같은 재료는

취성적 재료라고 하며, 강재 같은 경우는 연성적 재료라고 한다.

17 ★ 제19회 기출

건축물의 구조설계에 적용하는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설하중은 구조물에 쌓이는 눈의 무게에 의해서 발생하는 하중이다.

② 적재하중은 활하중이라고도 하며, 건축물을 점유 ․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하중이다.

③ 공동주택에서 발코니의 기본 등분포 활하중은 주거용 구조물 거실의 활하중보다 작은값을

사용한다.

④ 풍하중은 골조 설계용과 외장재 설계용 등으로 구분한다.

⑤ 고정하중은 설계에 적용하는 하중으로 장기하중이다.

해설 공동주택에서 발코니의 기본 등분포활하중은 주거용 구조물 거실의 활하중보다 높은 값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