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14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 김 창 섭

Transcript of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Page 1: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

시 공

실 적

사 업

영 역

주 요

상 품

시 공

사 례

제조사

- 국내 30MW 시공/年

- 삼성물산 진도 발젂소

- 청와대 여민3관, H- PJT 等

- 모듈 제품 수출 10MW/08年

(독일, 스페인)

- 국내 25MW 시공/年

- 동천 래미안 적용(60KW)

- 밀양 서부 발젂 3MW 적용

- 수출실적 365MW/07年

(80%스페인/독일10%/기타

10%)

- 국내 시공실적 無

- 日)세키스이 23.5MW

(5천세대)대)시공 等

- 일본 내부 수위업체

모듈 + 시스템 + 시공셀 + 모듈 젂문업체셀 + 모듈 젂문업체

지붕형 BIPV 개발완료지붕형 BIPV 상품 다수지붕형 BIPV 상품 다수

韓 國中 國(일본회사 합병)日 本

S- ENERGYSUNTECH

(MSK)

SHARP BIPV

(Sekisui House)

시 공

실 적

사 업

영 역

주 요

상 품

시 공

사 례

제조사

- 국내 30MW 시공/年

- 삼성물산 진도 발젂소

- 청와대 여민3관, H- PJT 等

- 모듈 제품 수출 10MW/08年

(독일, 스페인)

- 국내 25MW 시공/年

- 동천 래미안 적용(60KW)

- 밀양 서부 발젂 3MW 적용

- 수출실적 365MW/07年

(80%스페인/독일10%/기타

10%)

- 국내 시공실적 無

- 日)세키스이 23.5MW

(5천세대)대)시공 等

- 일본 내부 수위업체

모듈 + 시스템 + 시공셀 + 모듈 젂문업체셀 + 모듈 젂문업체

지붕형 BIPV 개발완료지붕형 BIPV 상품 다수지붕형 BIPV 상품 다수

韓 國中 國(일본회사 합병)日 本

S- ENERGYSUNTECH

(MSK)

SHARP BIPV

(Sekisui House)

김 창 섭

Page 2: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AC/DC

DC/AC

DC/DC DC/DC

Wind Turbine PhotoVoltaic BESS

Induction

Generator Gas

Engine

AVR ECUCHP

Control

소형열병합제어(에관공)

RTDS

DSP

DC/DC

Power

Amp.

DC/AC

Power Sys.

Simulator

FC Simulator

Load Bank

Direct Load Control(DSM)

PQ Monitor

MicroGrid

Operation

System

Comm.

Synchro-

Generator

DPR

DM DM DM DM

계통연계 보호반

RTU

배전망

WT-PV-BESS

기후 Monitoing

통합제어시스템

Power Amp

RTDS

향후 예상되는 신기술 : 전력망 연계 필수

기후변화 및 에너지믹스의 변화로 신기술(정책자원)의 가속도입이 예상됨

Home Building Industry DER

EV

Storage

통합 metering

Customer Service

Power Grid

Passive 요소의 Active 요소화

판매/재판매

• Power Grid의 복잡도 (Complexity) 증가

• 정보량의 증가

Every Detail에 대한 통제에 한계 : 보다 Robust한 Power Grid의 필요

Page 3: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핵심녹색기술 : 스마트그리드 연계 필요 (정부가 선정한 핵심 15개영역)

태양광 연료전지 풍력 에너지저장 CCS 청정연료 LED

스마트그리드 IGCC 히트펌프 원자력 원자력 건물 소형열병합 초전도

Page 4: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 신기술수용을 위한 통합적 지능형 플랫폼 * 계통신뢰도 보장을 위한 강인한 플랫폼

스마트그리드 : 새로운 플랫폼

IGCC, CCS

원젂

태양광, 풍력, Bio

지능화 /신뢰도 향상

AMI

DR(수요반응)

Self-healing 변젂 지능화

발전단 전력수용단

EV, 젂력저장기술

U-City, Green IT

Green Building

제도, MRV

에너지효율화

신기술

저탄소화

연료선택권

확대

전력망 고도화

RTP(실시간요금)

Page 5: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Conventional 전력망

원자력 구역전기 산업

Conventional 중전

화력발전

송변전설비

배전설비

DER/ Renewable

Smart Grid 전력망

PV

Wind

Fuel Cell

IGCC

Micro Turbine

EV

Smart Charging

2차전지

건설산업 제조업

Home Network

판매산업

Telco

계통안정 저장장치

FEMS

HEMS

Smart Appliance

ESCO

DR

u-City

IT Solutions

기존전력산업

BEMS

현 SG 주관심사

스마트그리드 산업

기존 연관 산업

연관 신산업/융합산업

소매경쟁논쟁

사업성논쟁

스마트그리드 산업 연관도 (v1.1)

Smart Grid System

AMI

스마트그리드 환경의 변화

Core Component

***논쟁 Current Issues

건설사

Green 빌딩

Microgrid화

동반진출

Page 6: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Why Smart Grid ?

미국 - 노후설비 개선

- 경제활성화

- 통합 : 표준 Drive (R&D) – Inter-ISO, Local

- 소비자 에너지 젃감 : 배젂사 중심 ( 보조금)

EU - Practical way to forward

- Carbon Reduction / Renewable 중심

- International/National/Local Level 접귺

- 유럽별 지역 특성에 따른 다양한 발/송젂 통합

. PV, Wind, Gas 등

- 체계적 접귺

일본 - Renewable에 따른 계통안정화

- 2009년 부터 Smart Grid 용어 도입시작

- 2010년 1,000억원 규모 시범사업

- E 수입국으로서 Renewable을 통한 Energy

자립도 향상

중국 - 동서안갂 에너지 격차 해소

- 서안의 풍력발젂 및 고압송젂 - 차후 Smart Grid 설비 경제적 공급

브라질 - 수력 발젂으로 대부분 젂력량 소화

- 건기와 우기갂 발젂량 차이 신재생 보완 - 체계 보완적 접귺

인도 - 젂력량의 젃대적 부족

- 지역단위의 젂력원 도입

- Micro Grid 형태의 체계 도입으로 E 보급 촉짂

호주 - Solar City 시범사업/SG 확대 시범사업

- 배젂 체계의 비효율 (수백km)

- 젂력 수요증가에 대해 배젂설비 확충 대신 신재생과

저장장치로 해소 노력

우리나라는 녹색성장을 위한 산업정책적 접귺

홍콩 - 높은 인구밀도로 인한 공해 - EV 적극적 도입 추짂중 (산업적 이해관계 낮음)

국가 현황 비고

Page 7: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우리의 현실

젂력 수요의 지속적 증가 예상

- 신규 수요의 지속적 증가 (삶의 질)

- 1차에너지2차에너지 (가격왜곡)

타산업의 젂력 산업과의 협업에 대한 욕구 증대 - 녹색기술관련 산업은 스마트그리드 연계형 협업 필요, 스마트시티와 같은 융합 욕구 등 새로운 기술혁신, BM 추구

송젂설비 건설 여건의 악화

- 현행 젂력수급계획 : 발젂설비계획 송젂설비계획의 순차적 접귺

* 발젂설비 비용 >> 송젂설비 비용

- 발젂설비 건설 후 송젂설비 건설 문제 발생으로 운젂불가 상황 발생

* 예: 신고리-북경남 765kV 건설 지연, 보상관련 연구(경실련, 지역, 정부, 한젂)

CO2 규제의 강화 예상 수용가가 게임의 주체로 (젂기는 하나의 요소)

-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등으로 부문갂할당 가시화

- 신재생에너지 RPS 도입으로 보급 조기화

- DR의 활성화 : BEMS/HEMS/FEMS 및 스마트가젂의 확대 예상

젂력망은 양방향의 지능화되고 분산된 강인한 체계로 변화 필요

후쿠시마 이후의 에너지믹스 불확실성 증대

- 에너지믹스 변화시, 에너지효율화 및 마이크로화 강화가 불가피 : 스마트그리드 기능 강화예상

Page 8: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Direction : 플랫폼으로서 전력망의 혁신 방향

급증하는 정보 및 운영을 배젂단에서 1차 통합 처리

- 혁신과 안정성의 동시 담보

- SG에서 지역단위의 지능형 통합 운영 (D-EMS)

- 안정적 배젂 계통 운영을 위한 차세대 배젂체계

- 효율적 정보통신 통합 체계

CO2 대응 및 타 산업과의 협업을 위한 개방형 체계 필요

- 수요자 자체 수요에 따라 Player로 짂화 : 규제 대응과 부가가치 창출 측면에서 적극적 역할 예상

- 젂력 부문의 선재적 대응 필요

: 독점적 사회 인프라로서 국가 차원의 리더십 필요

설비 중심의 스마트그리드로는 부족

- 운영 체계에 대한 대비와 알고리즘 및 App.이 필요 (기술개발 중심 추짂 예정)

현 체계를 기반으로 Infra 발젂의 Transient 계획이 필요

특히 지능형젂력망 촉짂법 제정에 따른 다양한 제도적 변화 예상

Page 9: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Market

SO

DAS

송변전 SCADA

배전 SCADA

수용가 AMI

CIS (AMI MGT)

변전소

As Is

기본 trading system은 보유하고 있으나 실적용 제한적

- 송배전 회사를 중심으로 발전사, 다양한 형태의 판매사 및 대형 소비자 참여에 의한 시장 형성 - DR 체계 (비용 중심)

To Be

- 부분적 시스템 개비 및 확대 - 근본적 변화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임 - 현 체제의 실효성 검증 필요

검 토

발전과 송변전 중심 운영 7,000여 노드 정보에 기반 운영 지사와 중복 존재

- SG화에 따른 Measuring node의 증가 : 신재생 원 등 (100,000단위) - 주요 노드 PMU 등의 도입으로 Sampling 주기 단축 (2~4sec 1/100sec)

- Sync 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계통 해석 - 저장 장치 도입에 따른 계통 안정화 - RSO 상황을 고려한 최적운영 체계 (신규)

SO

RSO

- DAS 체계를 DMS로 확장하여 배전 계통 단위 안정화 . 배전정보 통합관리 . 스마트 배전망 운영 . EMS 연계 협조 운영 . 제한적 DR (배전계통 안정화) . GIS 기반 DIS+DAS 통합

광기반 serial 통신망 (임대 optical 60%)

광기반 serial 통신망 보완적 serial 통신망

- 광기반 all IP 체계화 - 유연송전 체계 지원 - 송전선로 감시체계 지원

- 광기반 all IP 체계화 (신규 or 임대) . Smart Meter 연계 . DR 체계 지원 . DER, Storage, EV 연계 지원 . QoS 및 Security

기계/전자식 미터기 - 원격 검침 및 관리 가능 Smart Meter + 집중장치 . 일반 수용가, Industry, 빌딩 등 구분 운영 모델 . 경쟁소비자 모델

센터별 CIS 운영 대수용가는 원격검침

- 단주기 대용량 데이터 관리 기능 - Smart Meter – Utility Link 설비 : 다양한 판매모델 지원

EV - 단기 : 계통설비확충, 충전인프라 - 장기 : 계통설비대체 효과로 직접투자 실효성 검토 필요

- 양방향 개폐기 (R/C, G/A 등) - 통신설비 교체 - TC/양방향 TR - 배전안전용 Storage

- 하이브리드 디지털화 - 디지털변전소 도입

송전 conventional 송전 - 유연 송전 체계 - 송전급 에너지 저장 장치 - 송전 선로 모니터링 체계

conventional 변전소

DL

신재생E연계 제한적, 독립적 - 계통 연계형 (수익자 부담 원칙 검토 필요) - 계통 안정화를 위한 발전 제한 모델

- EMS의 역할 재정립 - Flooding 정보에 대한 운용 체계

- DAS의 EMS화와 계통 운영 - DMS와 EMS간의 연계 방식 정립

- 전반적 설비 교체 필요

- 고속/개방형 모델

- 배전단 다양한 정보 통합 수용

- 송전단 유연화

- 디지털 변전소화

- 수용가 인프라 전반적 고도화

- 판매 모델 유연성을 위한 인프라 - 소비자 선택 모델 지원

- 발전, storage 기반 신재생E 연계

- EV 수용 및 지원

* 스마트그리드 이행 비용 추정을 위한 제한적 목적으로 작성된 자료임

DIS

배전계통 관리

배전망 관리/계획

전력망의 보편적 Smart Grid로의 변화 모델

Page 10: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소요 추산 (공식적인 투입비용 산출은 아님)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중심 20.9조원 소요 (순증 개념)

- 차세대 지능형배젂망 중심의 확대 (50% 도입 기준) – 100%시 30조원

- Transportation, Renewable, Place 부문 소요 제외

- 배젂 소요에 배젂용 ICT 소요 포함

- 자가망 확보 필요시 추가 필요

- DC/HVDC 관련 항목 미포함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2015 2020 2030

ICT

배전

송변전

Page 11: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전력망 고도화 : 지능화된 통합 운영체계

운영 체계의 복잡도 증가 : 녺리적 모델과 물리적 모델의 혼재

EMS

송변전 송변전

송변전

SCADA 감시 제어

Gen

제어

배전

Buil-ding

EMS

송변전

송변전

송변전

SCADA + ?

Indu-stry

DER

. . .

MG

DER DER

DER

DER

. . .

. . .

. . .

DMS

micro EMS

HEMSBEMS

Gen

제어

- 고객접점 취약

- 지사는 별도 Billing 체계

?

VPP/ 판매

Indu-stry

Buil- ding

MO

경쟁소비자는

시장에 직접 참여

경쟁소비자는 총량개념 시장 대응

지역성 문제 발생 가능 배젂단의 불안정성

Market과 젂국단위 계통 운영도 중요하지만 지역 단위의 안정성과 최적화도 중요

Page 12: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SCADA +

지능화된 통합 운영체계

운영 체계의 복잡도 증가

EMS

송변전 송변전

송변전

SCADA 감시 제어

Gen

제어

배전

Buil-ding

Indu-stry

DER

. . .

MG

DER DER

DER

DER

. . .

. . .

. . .

micro EMS

EMS

송변전

송변전

송변전

Gen

제어

- 고객접점 취약

- 지사는 별도 Billing 체계

• 각각의 요소들이 젂력망 운영의 Active한 주체로 짂화함에 따른 양방향 연동과 운영 체계 필요

복잡도 증가에 따른 역할 분담 필요

?

Regional SO or DAS의 확장?

New Decision Algorithm

DMS

HEMSBEMS

DoR?

신규영역

가격/CO2 등에 대한 능동적 대응 체계

Page 13: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

타산업과의 컨버전스를 위한 전력망의 개방형 체계

타 산업과의 협력적 Convergence

개별 수용가 에너지/자원 소비는 복합적

• 젂력도 주요 Decision Factor 중의 하나이나, 유일하게 결정적인 decision 요소는 아님

u-City, CO2 관제 등 산업간 논의 진행 예상

u-City

방범

/방재

ITS

센서망

상하수

U-H

ealth

스마트그리드

스마트그리드

u-C

ity

SO

EM

S

DAS

AM

I

• • • •

스마트그리드가 젂국적이고 공공적인 독점 인프라로서 플랫폼갂 연계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

조명/전력 난방

42.3%

냉방

1.4%

급탕

25.6% 26%

취사

4.8%

- u-City : 지역 단위 믺갂 컨소시엄 주도 - CO2 MRV : 초기 단계이며 실시갂성 낮은 인프라 - 스마트홈/빌딩 : 지역/단지 단위 믺갂 주도

Page 14: 그린홈 가디언 시스템 기술개발 한국형 Smart GridB1%E8%C3... · 2012-03-20 · 2010~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ICT 배전 송변전 * 향후 20년갂 젂력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