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37
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 ; 해외 사이버교육 현황 분석과 교양기초 사이버강좌 우수모델 제시 연구 책 임 자 : 공동 연구원(갑) : 유홍준(성균관대) 정태인(성균관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Transcript of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Page 1: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해외 사이버교육 황 분석과

교양기 사이버강좌 우수모델 제시

연구 책 임 자

공동 연구원(갑)

유홍준(성균관대)

정태인(성균관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이 연구는 기초교양교육강화사업의 일환으로 대교협 부설 한국교양

기초교육원의 2차년도 위탁연구개발지원에 의해 수행된 것입니다

본 연구의 모든 저작권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 있으며 연구에 제

시된 정책대안이나 의견 등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공식적인 의견

이 아닌 연구진의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연구결과개요 보고서연구결과개요 보고서11

- 3 -

2차년도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연구결과개요 보고서

연구책임자 소속 성균 학교 직 교수 성명 유홍

연구과제명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연구결과

개 요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

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

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

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활용방안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 제시를 해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

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의 우수 모델은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 활용될 여지가 크다

이외에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사이버 강좌의 컨텐

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 제공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 강화 필요성을 제기하 다

참고

건의사항

- 4 -

1 색인어 및 초록

색인어 사이버강좌 이러닝 디드러닝 해외 학 해외 사이버교육

록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

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보고서연구결과 보고서22

- 7 -

연구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

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

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을 해서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로 스탠포드 학의 SCPD MIT 학의 CAES 카네기 멜론

학의 OTE 코넬 학의 eCornell 캘리포니아 Fresno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를 정리하 고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 활용 사례

로는 미국의 SREB 미국의 UT Canadian Virtual University Universitas 21 Global 국

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등의 경우를 정리

하 다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을 해서는

MIT의 OCW와 You Tube의 EDU Wikiversity의 경우를 정리하 고 SLOAN-C 연례

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

업의 효과성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을 분석하 다

한편 방문 면 자료 분석은 미국의 컬럼비아 학교 MIT 하버드 학교 뉴욕주립

학교 뉴욕시립 학교 메사추세스주립 학교 뉴욕 학교 일본의 교토 학교를 정리

하 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

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태인 것을 확인하 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

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

하는 경향이 뚜렷한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목 편성을 시

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을 제시하기 해 사이버 강좌에서 활용되고 있는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

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 8 -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을 강

화할 필요성을 제시하 다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이 연구는 기초교양교육강화사업의 일환으로 대교협 부설 한국교양

기초교육원의 2차년도 위탁연구개발지원에 의해 수행된 것입니다

본 연구의 모든 저작권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 있으며 연구에 제

시된 정책대안이나 의견 등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공식적인 의견

이 아닌 연구진의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연구결과개요 보고서연구결과개요 보고서11

- 3 -

2차년도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연구결과개요 보고서

연구책임자 소속 성균 학교 직 교수 성명 유홍

연구과제명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연구결과

개 요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

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

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

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활용방안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 제시를 해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

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의 우수 모델은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 활용될 여지가 크다

이외에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사이버 강좌의 컨텐

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 제공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 강화 필요성을 제기하 다

참고

건의사항

- 4 -

1 색인어 및 초록

색인어 사이버강좌 이러닝 디드러닝 해외 학 해외 사이버교육

록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

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보고서연구결과 보고서22

- 7 -

연구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

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

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을 해서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로 스탠포드 학의 SCPD MIT 학의 CAES 카네기 멜론

학의 OTE 코넬 학의 eCornell 캘리포니아 Fresno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를 정리하 고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 활용 사례

로는 미국의 SREB 미국의 UT Canadian Virtual University Universitas 21 Global 국

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등의 경우를 정리

하 다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을 해서는

MIT의 OCW와 You Tube의 EDU Wikiversity의 경우를 정리하 고 SLOAN-C 연례

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

업의 효과성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을 분석하 다

한편 방문 면 자료 분석은 미국의 컬럼비아 학교 MIT 하버드 학교 뉴욕주립

학교 뉴욕시립 학교 메사추세스주립 학교 뉴욕 학교 일본의 교토 학교를 정리

하 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

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태인 것을 확인하 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

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

하는 경향이 뚜렷한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목 편성을 시

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을 제시하기 해 사이버 강좌에서 활용되고 있는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

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 8 -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을 강

화할 필요성을 제시하 다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3: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연구결과개요 보고서연구결과개요 보고서11

- 3 -

2차년도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연구결과개요 보고서

연구책임자 소속 성균 학교 직 교수 성명 유홍

연구과제명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연구결과

개 요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

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

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

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활용방안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 제시를 해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

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의 우수 모델은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 활용될 여지가 크다

이외에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사이버 강좌의 컨텐

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 제공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 강화 필요성을 제기하 다

참고

건의사항

- 4 -

1 색인어 및 초록

색인어 사이버강좌 이러닝 디드러닝 해외 학 해외 사이버교육

록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

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보고서연구결과 보고서22

- 7 -

연구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

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

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을 해서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로 스탠포드 학의 SCPD MIT 학의 CAES 카네기 멜론

학의 OTE 코넬 학의 eCornell 캘리포니아 Fresno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를 정리하 고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 활용 사례

로는 미국의 SREB 미국의 UT Canadian Virtual University Universitas 21 Global 국

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등의 경우를 정리

하 다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을 해서는

MIT의 OCW와 You Tube의 EDU Wikiversity의 경우를 정리하 고 SLOAN-C 연례

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

업의 효과성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을 분석하 다

한편 방문 면 자료 분석은 미국의 컬럼비아 학교 MIT 하버드 학교 뉴욕주립

학교 뉴욕시립 학교 메사추세스주립 학교 뉴욕 학교 일본의 교토 학교를 정리

하 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

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태인 것을 확인하 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

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

하는 경향이 뚜렷한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목 편성을 시

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을 제시하기 해 사이버 강좌에서 활용되고 있는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

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 8 -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을 강

화할 필요성을 제시하 다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4: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3 -

2차년도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연구결과개요 보고서

연구책임자 소속 성균 학교 직 교수 성명 유홍

연구과제명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내실화 연구 (Ⅱ)

연구결과

개 요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

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

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

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활용방안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 제시를 해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

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의 우수 모델은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 활용될 여지가 크다

이외에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사이버 강좌의 컨텐

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 제공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 강화 필요성을 제기하 다

참고

건의사항

- 4 -

1 색인어 및 초록

색인어 사이버강좌 이러닝 디드러닝 해외 학 해외 사이버교육

록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

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보고서연구결과 보고서22

- 7 -

연구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

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

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을 해서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로 스탠포드 학의 SCPD MIT 학의 CAES 카네기 멜론

학의 OTE 코넬 학의 eCornell 캘리포니아 Fresno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를 정리하 고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 활용 사례

로는 미국의 SREB 미국의 UT Canadian Virtual University Universitas 21 Global 국

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등의 경우를 정리

하 다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을 해서는

MIT의 OCW와 You Tube의 EDU Wikiversity의 경우를 정리하 고 SLOAN-C 연례

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

업의 효과성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을 분석하 다

한편 방문 면 자료 분석은 미국의 컬럼비아 학교 MIT 하버드 학교 뉴욕주립

학교 뉴욕시립 학교 메사추세스주립 학교 뉴욕 학교 일본의 교토 학교를 정리

하 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

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태인 것을 확인하 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

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

하는 경향이 뚜렷한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목 편성을 시

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을 제시하기 해 사이버 강좌에서 활용되고 있는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

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 8 -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을 강

화할 필요성을 제시하 다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5: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4 -

1 색인어 및 초록

색인어 사이버강좌 이러닝 디드러닝 해외 학 해외 사이버교육

록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 으로 하 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

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연구결과 보고서연구결과 보고서22

- 7 -

연구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

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

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을 해서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로 스탠포드 학의 SCPD MIT 학의 CAES 카네기 멜론

학의 OTE 코넬 학의 eCornell 캘리포니아 Fresno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를 정리하 고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 활용 사례

로는 미국의 SREB 미국의 UT Canadian Virtual University Universitas 21 Global 국

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등의 경우를 정리

하 다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을 해서는

MIT의 OCW와 You Tube의 EDU Wikiversity의 경우를 정리하 고 SLOAN-C 연례

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

업의 효과성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을 분석하 다

한편 방문 면 자료 분석은 미국의 컬럼비아 학교 MIT 하버드 학교 뉴욕주립

학교 뉴욕시립 학교 메사추세스주립 학교 뉴욕 학교 일본의 교토 학교를 정리

하 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

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태인 것을 확인하 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

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

하는 경향이 뚜렷한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목 편성을 시

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을 제시하기 해 사이버 강좌에서 활용되고 있는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

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 8 -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을 강

화할 필요성을 제시하 다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6: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연구결과 보고서연구결과 보고서22

- 7 -

연구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

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

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을 해서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로 스탠포드 학의 SCPD MIT 학의 CAES 카네기 멜론

학의 OTE 코넬 학의 eCornell 캘리포니아 Fresno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를 정리하 고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 활용 사례

로는 미국의 SREB 미국의 UT Canadian Virtual University Universitas 21 Global 국

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등의 경우를 정리

하 다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을 해서는

MIT의 OCW와 You Tube의 EDU Wikiversity의 경우를 정리하 고 SLOAN-C 연례

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

업의 효과성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을 분석하 다

한편 방문 면 자료 분석은 미국의 컬럼비아 학교 MIT 하버드 학교 뉴욕주립

학교 뉴욕시립 학교 메사추세스주립 학교 뉴욕 학교 일본의 교토 학교를 정리

하 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

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태인 것을 확인하 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

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

하는 경향이 뚜렷한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목 편성을 시

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을 제시하기 해 사이버 강좌에서 활용되고 있는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

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 8 -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을 강

화할 필요성을 제시하 다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7: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7 -

연구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

국과 일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

를 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 다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을 해서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로 스탠포드 학의 SCPD MIT 학의 CAES 카네기 멜론

학의 OTE 코넬 학의 eCornell 캘리포니아 Fresno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를 정리하 고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 활용 사례

로는 미국의 SREB 미국의 UT Canadian Virtual University Universitas 21 Global 국

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등의 경우를 정리

하 다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을 해서는

MIT의 OCW와 You Tube의 EDU Wikiversity의 경우를 정리하 고 SLOAN-C 연례

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

업의 효과성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을 분석하 다

한편 방문 면 자료 분석은 미국의 컬럼비아 학교 MIT 하버드 학교 뉴욕주립

학교 뉴욕시립 학교 메사추세스주립 학교 뉴욕 학교 일본의 교토 학교를 정리

하 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

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태인 것을 확인하 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

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

하는 경향이 뚜렷한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목 편성을 시

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수 교양기 사이버 강좌 모델을 제시하기 해 사이버 강좌에서 활용되고 있는

SQSA 강의-수업 방식을 제시하 고 운 시스템 모델로는 창원 학교와 성균 학교

의 사이버교육 련 사이트를 모델로 제시하 다

- 8 -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을 강

화할 필요성을 제시하 다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8: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8 -

교양기 사이버 강좌의 발 을 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랙션을 강

화할 필요성을 제시하 다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9: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9 -

목 차

I 연구의 목 과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II 이론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0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0: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1 -

I 연구의 목 과 내용

본 연구는 해외 학 교양기 교육 역에서의 사이버교육 운 황을 악하여 그 시사 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를 잘 운 하기 한 우수 모델을 제

시하는 것이 연구목 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학의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교육 운 실태를 확인하

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 당시 국 55개 학교에서 확보한

기 자료와 국 10개 학교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들에 한 심층면담 자료 등의 분석을 통해

악된 사이버교육 황 분석에서 각 학별로 유사성과 더불어 차별 인 특성이 동시에 발견

되었다 따라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강좌 운 은 왕도(王道)가 있기 보다는 각 학별 상황

조건성(contingency)을 반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 다

사이버 강좌를 운 하는 학들에서 강의실 확보라는 공간 문제가 사이버교육 확 의 요한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사이버 강좌의 면 폐지는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하

다 따라서 문제로 제기된 을 심으로 하여 사이버 강좌의 교육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

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오래된 강의 콘텐츠의 업그 이드 강의에서의 소통문제에 한 불만을

더욱 낮추기 한 튜터 활동 강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의 개발 운 과정에 지원을 제공하는

이러닝 문 교수설계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교육 운 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주요 학에서는 사이

버교육을 어떤 에서 근하고 있으며 운 실태는 어떤지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사이버교육

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이에 덧붙여서 바람직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함으

로써 사이버교육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목 을 달성하기 해 국내외 련 보고서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 고 미국과 일

본에서 사이버교육이 상 으로 활발하다고 알려진 학들을 심으로 8개교를 방문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 다 더불어 사이버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

되는 우수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II 이론 논의

1 사이버교육의 등장과 확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반 이후 컴퓨터 매개 통신시스템에 기반을 둔 원격교육 는 사이

버(가상)교육이 확 발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법 등 련 법제의 정비와 함께 사이버

학들도 설립되어서 운 되기 시작했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원격교육 기 으로서 사이버 학 혹은 디지털 학들이 거 설립되면서 2012년 재 20

개에 달하는 사이버 학이 운 되기에 이르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 인 학들에서도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1: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2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을 확 하고 있으며 부가 으로 가상 캠퍼스를 설립해서 교실에

출석하지 않고도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 다

학에서 강의하는 개별 교수자에게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E-learning)이란 강의실에서 면

면으로 이루어지던 통 인 방식의 강의를 인터넷 기반으로 옮긴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학교육에 이러닝이 도입된 배경에는 더 큰 아젠다(agenda)가 놓여있다 그것은 국가경쟁력 강화

와 인 자원의 효과 인 계발을 해 학교육의 개 이 필요하고 이것을 시행하는 하나의 축이

이러닝이라는 이다 즉 수요자(고객) 심의 자기주도 학습으로의 환 수월성 비용

비 효과를 강조하는 교육 지식기반사회에 응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반 등에서 사이

버교육(이러닝)이 도입되고 강조된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미국 독일 일본을 포함한 선진 국가에서 먼 시작된

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어느 나라보다도 앞선 우월한 인터넷 인 라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

닝의 도입을 학경쟁력 강화의 한 방편으로 삼았던 경향이 있다

통 인 교육방식인 강의실에서의 교육은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할 수 있고 의

식 으로 무의식 으로 이런 시각 신호를 받아들여 학습 내용과 수 등을 조정해 갈 수

있는 이 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반해 사이버 상에서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시각

신호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떤 학생이 잠자고 있는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있

는지 강의를 듣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화상을 통해 개별 학생들을 볼 수 있는 기법이 도입된다

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강의실에서 직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찰하는 것보다는 그 효과가 떨

어지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에 한 찰 내용이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기계 인 수단을

통해서 여과되기 때문에 즉각성(spontaneity)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서로 물리 공간 으

로 떨어져 있다는 것은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집단(학 )의 반 인 분 기를 형성하는데 부정

인 향을 미치고 교수자와 학생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처럼 사이버교육이 제약 을 가지고 있다면 왜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이 확 되고 있는

것인가 많은 교수자들이 사이버교육의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기회

를 요하게 여기는 이 우선 요하게 작용한다 이러닝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의 상

당수는 그것을 실행하기 해 자신들이 들인 집 인 노력으로 인해 반 인 교수법이 개선되

고 학생들에 한 심이 더 높아졌다고 말한다

더불어서 재 학습을 받는 세 는 자연스럽게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장한 세 이며

활동 무 한 컴퓨터 네트워크 심이라는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쉽

게 수용되는 학습 내용의 상당 부분은 통 인 미디어 즉 종이에 기록된 정보가 아니라 처음부

터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통 인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사라

지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학습방법의 장 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세 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 학생들이 효과 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도구들을 제

공하는 것은 매우 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이버교육 혹은 이러닝에 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통 인

면 면 강의 방식을 완 히 체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극 으로 활용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시도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2: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3 -

2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특징

사이버교육은 통상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와 병행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닝을 간

단하게 정의하면 lsquo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수 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rsquo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러닝이라는 용어는 기본 으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자매

체를 활용해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을 강조하기 한 개념이다 이런 에서 이러닝

은 기본 으로 원격교육의 한 형태에 속한다 단순한 측면의 이러닝은 교실 혹은 강의실에서 진

행되는 수업을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닝을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 포장함에 있어 이러닝에서의 학습은 기존의 수동 인 지식 달 수용이라는 틀

을 깨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히 능동 인 지식을 창출하는 보다 역동 인 과정으로 제시되게

되었다 즉 교수자가 제시하는 정보를 학생이 일방 으로 받아들여 보다 많은 정보를 암기하거

나 소유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자가 독립 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 이러닝이 지향하고 있는 학습의 이상 인 모습이다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론 으로 볼 때 이러닝 교육의 가능성은 크게 확산되

고 있다 더구나 인터넷의 웹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실시간 지향 방향

학습 과정이 부각되면서 그 강 도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러닝의 개념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닝은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

지는 정보기술(IT) 하부구조 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자매체를 기반으로 학

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으로 원격교육에서 교육 매체는 방송이나 통신 등을 망

라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의미는 원격교육과는 달리 학습의 교육 인 라가 주로 인터

넷이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한 이러닝은 디지털 매체를 이

용한 학습정보나 교수내용의 달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학습과정 체를 포함한 넓은 개념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의 교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나 학습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디

지털 매체라는 특징 외에도 교수-학습 과정 반이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특

징을 갖는 것이다

이러닝은 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월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방향 이고 유연한 상

호작용을 가능 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범하게 보 되

는 등 사회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닝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거의 모든 곳에서 학습이 가능해지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방향 커뮤니 이션이

거의 무한정으로 활성화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닝은 이런 에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제약을 획기 으로 해체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의 신이 강화될수록 이러닝

은 원격교육의 핵심 인 교육 형태로서 상을 차지해갈 것으로 망된다

결국 이러닝은 원격교육의 핵심 특징으로서 교육과 학습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한편

다른 학습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학습상의 교류와 커뮤니 이션을 활성화하는 장 을 갖는 것으

로 평가된다

사이버 환경을 심으로 운 되는 이러닝이 실제 운 상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면서 기존의

면 면 교육의 특성과 목하는 소 lsquo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rsquo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3: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4 -

있다 블 디드 러닝은 다양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수업 달 매체를 혼합한다는 의미이다(Bersin 2004) 수업 달 매체의 혼합이란 수업

을 해 비디오와 온라인 시뮬 이션 등의 혼합을 의미한다 둘째는 수업방법의 혼합을 의미한

다(Driscoll 2002 Rossett 2002) 수업 방법의 혼합이란 강의식 수업과 코칭의 혼합 혹은 자기주

도 개별화 수업과 강의식 수업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이러닝과 면

면 수업의 혼합을 의미한다(Osguthorpe amp Graham 2003 Kerres amp de Witt 2003) 넷째는 이들

모든 것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즉 이들 한 가지의 혼합이 이루어지든 는 모든 요소의 혼합

이 이루어지든 모두를 블 디드 러닝으로 보는 것이다

블 디드 러닝은 모든 것을 온라인에서 진행한다는 경직된 교수학습 운 환경을 탈피하여 학

습공동체의 상황과 요구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학습 방법 환경을 선택하여 활

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닝으로부터 블 디드 러닝으로의 선회는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이다 기술이 제공하는 것은 역

시 도구일 뿐이며 학습이라는 목 이 기술이라는 도구에 종속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이

런 측면에서 블 디드 러닝은 기술을 도구의 수 에서 리하고 활용하는 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II 해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황

1 기존의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자료 분석

해외 학의 사이버교육(이러닝) 황을 개 으로 살펴보기 해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하

으며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학에서의 이러닝 활용 사례 인터넷에 공개된 학습자료

황(OER Open Educational Resource) 이러닝 학습에 한 미국의 최근 연례보고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1) 사이버교육(이러닝) 담부서 운 을 통한 활용 사례

학개 을 시도한 일부 해외 학의 경우에 개 의 핵심을 이러닝에 맞추어 면 으로 사이

버캠퍼스로 환하거나 부수 으로 사이버 학을 설립하는 등 이러닝을 극 으로 도입하여

운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학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이러닝 담부서를 두

어 부분 인 변화를 꾀하는 사례도 있다 학교의 제도 인 정비와 더불어 내부 으로 이를 추진

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학 수업 과정을 온라인에서 제공하기 해 교수와

학생 지원을 담당하는 문조직으로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이러닝을 부분 으로 도입하고 있

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김형주이 석 2005)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4: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5 -

(가) 스탠포드 학의 SCPD(Stanford Cent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PD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포함한 기업체 엔지니어 리자 공학계열의 학습 희망

자를 상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학습자 요구에 따라 스

스로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 모듈 시스템 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선택의 폭 확 기

업과의 긴 한 력 다양한 강의 달 방법 등을 활용하여 450개의 기업 정부기 과 트

십 체제를 구축 하여 매년 5000명 이상이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나) MIT 학의 CAES(Center for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ES는 원격교육 매체 연구 기술지향 교육미디어 제작 달 평생학습 제공 서비스를

한 MIT의 사이버교육 허 역할 수행 기존 학 과정 수업의 질 제고를 목 으로 설립되었다

연구 교육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을 구축하여 재학생뿐만 아니라 기업의 엔지니어

리자 등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CAES는 Knowledge update 시스템을 통한

학습 모듈을 활용하여 토픽 심의 짧은 웹 기반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원격 기업훈련에 합하

도록 개발하고 학습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 다

(다) 카네기 멜론 학의 OTE(Offic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카네기 멜론 학의 OTE는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문 인력과 재학생의 복습 재교육을 목

으로 설립되었다 비 리로 운 되며 오 러닝 이니셔티 를 통해 모든 학습자에게 강좌를 공

개하는 등 MIT와 유사한 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부분 자격증 과정으로 운 하고 온라인 강

의와 더불어 오 라인 강의 수강을 병행한 후 자격증이나 학 를 수여함으로써 질 리를 한다

강좌는 주로 컴퓨터 기반 화상강좌 시스템을 통해 동 상 형태로 제공한다 기존의 경쟁력 있는

오 라인 강좌를 온라인 과정으로 개발하 고 학 인지도와 맞물려서 성공 으로 운 되고 있

(라) 코넬 학의 eCornell

eCornell은 질 높은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문분야에 한 교육기회를 마련하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있다 교수 직원 학생 기업체 문인력 정부기 비 리단체를 상으로

인 자원 리 서비스 리 의학 교육을 주로 제공한다 eCornell은 학습자 요구를 수용하는 역

동 학습시스템을 개발하고 우수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동 학습을 한 가상 커뮤니티를 활

성화하는 등 다양한 학습자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마)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의 디지털 캠퍼스

캘리포니아 Fresno 주립 학은 학내 강좌에 한 온라인 수업지원 양질의 콘텐츠 확보 체계

지원체제 구축 학부 학원 수업의 질 향상을 목 으로 이러닝 지원센터인 디지털 캠퍼스

를 구축하 다 직원 교수 교육 학생 오리엔테이션 교재개발 지원 강의내용의 디지털화 멀

티미디어 학습지원 이러닝 시스템 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교수자의 참여 유도를

한 다양한 인센티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고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아닌 방향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5: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6 -

콘텐츠 제공으로 수업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바) 텍사스 오스틴 학의 DEC(Distance Education Center)

DEC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등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 수용을 목 으로 하는 평생교육기

을 지향한다 센터에서는 학 단 교육 정규 고등교육부터 기업 경력개발 교육과정까지 제

공하고 있다 DEC는 비 학 학 이수 과정 비 학 자격증 과정 경력개발 과정 middot 등 원격

교육 과정 노년교육 과정 제도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의 온라인 수강 비

재학생의 강좌 수강도 가능하고 학 과정은 텍사스주 학의 컨소시움 온라인교육기 인 UT

telecampus(텍사스 학 연합체)를 통해 이수한다 다양한 연령 의 학습자를 상으로 하는

상별 맞춤형 교육과정 풍부한 면 면 커리큘럼의 활용과 지속 인 확장이 성공요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외 일반 학들에서 학 내에 이러닝 담부서를 두어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는 경우에 애 의 도입 취지는 재학생의 학습을 보완해주는 것이거나 평생교육과

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학생의 교과 복습 등 반복 학습의 선택

권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졸업생을 포함하여 주변 주민들이나 문인력을 상으로

한 강좌를 제공하여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평생교육기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학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사이버교육(이러닝) 활용 사례

사이버교육이 확장되는 다른 형태는 한 국가 내의 여러 일반 학들 혹은 여러 나라의

학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학 과정 강좌를 제공하고 있는 형태이다

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이러닝 도입 사례는 미국의 SERB UT tele-campus 캐나다의 가상 학

등 세계 으로 여러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김형주이 석 2005)

(가) 미국의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al Board)

SREB는 미국 남부 16개 주에서 262개의 일반 학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102개의 학 과정

과 3200여개의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각 학의 이러닝 로그램을 검색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는 자캠퍼스(Electronic Campus) 포털 사이트를 운 하고 있다

(나) 미국의 UT(University of Texas) tele-campus

UT tele-campus는 텍사스 지역의 8개 주립 학 연합체이다 입학에서 졸업까지 모든 학사 업

무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한다 실제 입학과 교과 과정은 각 학교별 지침을 수하는데 같은 학

라도 각 학마다 입학기 부터 졸업학 에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각 학을 서로 비교해서 자

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아 그 학교에 입학 허가를 신청하며 최종 으로 허가를 받은 학에 입학

하여 과정을 이수하는 시스템이다

(다) 캐나다의 가상 학(Canadian Virtual University)

캐나다의 11개 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학 로그램에 한 학습자의 근성을 높이기

한 포털 사이트 역할을 수행한다 2200여 개의 과정과 280개의 학 자격과정을 운 하고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6: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7 -

있다

(라) 북미와 아시아지역 컨소시엄인 Universitas 21 Global

북미와 아시아 지역 학간 력 컨소시엄으로서 8개국 16개 학이 참여해서 교육 로그램

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력 연구지원체제 수립을 한 컨소시엄이다 2001년에

Thomson Learning사와의 력을 통해 창립하 고 재 50만 명의 학생과 4만 명의 교수진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도 운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 국제 컨소시엄인 NextEd Limited

국제 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의 이러닝 코스웨어(courseware)를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

게 하는 사례로서 1998년 홍콩에 본부를 두고 홍콩 국 말 이시아 호주 캐나다 유럽 뉴질

랜드 국 미국 등에 있는 학과 기업 훈련기 등이 컨소시엄을 설립한 것이 NextEd

Limited이다 이 시스템은 참여 학들이 제공하는 강좌를 수강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 스코틀랜드의 Interactive University

Interactive University는 Heriot-Watt 학과 국립경제발 국인 Scottish Enterpriserk가 력하

여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재 21개국에 트 십이 구축되어 있고 6만 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고 있다

(사) 캐나다와 멕시코 학간 컴소시엄

캐나다의 British-Columbia University와 멕시코의 Tec de Monterrey는 양자 간에 트 십을

구축하고 이러닝을 통한 공동 학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이 학들은 공동으로 교육공학 석사

학 과정의 이러닝 로그램을 개발하여 남아메리카와 기타 지역에도 공 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에서는 매년 120명의 교사들에게 장학 을 지원해서 이 로그램을 통해 학 를 취득하게

지원하고 있다

에서 살펴본 것처럼 동일 국가내 일반 학들 간의 네트워크나 몇몇 국가들 간의 네트워크

를 형성해서 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강의자료 공유 이러닝을 통한 학 교류를 하고 정보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이버교육이 확 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학들과 북

미의 학들은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해서 학간 일 일 교류방식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

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학교육과 연구 력을 더욱 강조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간 일 일 교

류보다는 다자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동으로 교육과 연구에 한 력을 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 그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김회수 외 2009)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7: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8 -

3)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강의자료 공개와 정보공유 황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KOCW(Korea Open Course Ware)는 해외 학들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의 다양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도입한 경우이다 OER의 표 인 사

례는 MIT의 OCW인데 이외 해외 학의 강의자료 공개 공유의 표 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가) MIT의 OCW

MIT의 OCW는 MIT World 로젝트를 통해 MIT의 강의 세미나를 디지털화하여 일반

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MIT의 모든 수업(교재 과제 기타 자료)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OER의 선두주자격인 MIT의 OCW는 2002년에 50개의 코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뒤 2012년

재 약 2000개의 코스를 인터넷에서 무상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IT의 OCW는 세계의

모든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MIT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방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세계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MIT OCW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학 나 수료증을 주지도 않

고 MIT 교수진과의 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해당 코스의 체 자료를 제공하지도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그래서 MIT의 OCW에는 강의노트 수업계획서 샘 테스트 미

디어 일 강의 일정 강좌 련 자료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행에 한 검토나 성

부여 기능은 없다(Bonks 2009) 특별한 승인이나 가입 차 없이 구나 강의자료를 다운받거나

동 상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 으로 강의 자료는 PDF 일로 구성되어 있으

며 각 강의에 해 과제나 시험문제 등도 함께 올라와 있어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 OCW는 구나 속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하는 반면에 강좌를 듣는

학생들을 리해 주지 않으며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학 나 그 밖의 증명서를 발 해 주지는 않

는다 한 강의자료 이외에는 사이트에서 특별히 교수진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도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발 으로 필요한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스스로 이에 한 궁

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학 을 부여하지 않는 콘텐츠이지만 한 달에 1백만 명 이상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

다 속하는 사용자는 MIT 학생이 32 순수한 자기주도 인 학습자가 48 그리고 17의 교

육자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사용자의 증가와 자발 인 참여에서 알 수 있듯이 MIT OCW는

참여 공유 개방 력을 선도하 으며 그 후 한국의 KOCW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콘

텐츠의 개방과 공유를 유도하 다

학 강좌이긴 하지만 학생만을 한 학습 공간은 아니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이 이 사이트를

방문하는데 특히 고등학생 혹은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한 Highlights for High

School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이들을 해 유용한 강의 자료나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한 국

어 타일랜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지속 으로 제공하고 있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8: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19 -

(나) You Tube의 EDU와 Wikiversity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 에 힘입어 OER은 속도로 확산되어가고 있는데 OER을 제공하는

사이트 표 인 것이 YouTube의 EDU와 Wikiversity라 할 수 있다 YouTube EDU는 2009

년 3월 개설되어 노트르담 펜실바니아 버지니아텍 미시간 주립 캠 리지 밴더빌트

에모리 조지아 스텐포드 오 건 주립 학 MIT 학 등 많은 학들의 주요 강의와

학교소개 동 상을 제공하고 있다

Wikiversity는 학습공동체로서 이 공동체는 지식의 발견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목 으로

학습자원을 학습하고 공유하도록 도와주는 자연스러운 방식을 지향한다 Wikiversity는 학습자

료 학습 로젝트와 연구에 이바지하는 키미디어 재단의 로젝트로서 등학교에서 학까

지 교육의 모든 수 유형 형태로 사용되며 교수 훈련과 비공식 학습을 포함한다

Wikiversit를 통해 교사 학생 연구자는 OER과 력학습 공동체를 이룬다 학 를 주지는 않지

만 일부 과목은 시험이 실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해외 학은 MIT의 OCW를 필두로 강의 자료의 공개가 활성화되고 비 리 목 으로

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에서의 강의자료를 시작으로 유튜 등 다양한 동 상 공개

사이트를 통해 양질의 강의 자료 공개와 공유가 기하 수 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4) SLOAN-C 연례보고서(2011)를 통한 미국 학에서 이러닝 황

SLOAN-C(Sloan Consortium)는 원래 Alfred Sloan Foundation이라는 비 리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등교육기 의 사이버 교육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교와 교수자들이 교육의 품질 확장

성 제공 범 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해 만들어진 의체이다 지 까지 사이버(온라인) 교

육과 련된 다양한 워크샵 출 물 간행 등의 활동을 해 왔으며 미국 내 온라인 교육 련 주요

데이터와 비 을 제공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련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

는데 2011년 11월에 발간된 9번째 연례보고서의 제목은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11이다

보고서 작성을 한 기 조사를 한 설문지는 미국 내 약 2500개 학의 교무업무 담당 최

고행정가들에게 배부되고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는 실제로 온라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견해라기보다는 교육행정 문가의 견해를 더 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개별 기 에서 온

라인교육 련된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고 있고 일회성의 설문이 아니라 거의 10년째 일 된 조

사가 이루어진 을 고려할 때 설문결과는 미국 내 사이버교육과 련된 가장 신뢰할만한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2011년 보고서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데 여기서 온라인수업은 어도 수업

내용의 80 이상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통상 면 면 만남이 없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가) 학교육에서 사이버교육의 략 요성

사이버교육이 응답 기 의 장기 략의 핵심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는 내용인데

2011년에는 담당자의 약 69가 그 다고 응답하 다 이 수치는 2009년에는 51 2010년에는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19: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0 -

63로 꾸 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 형태와 련해서 공립 학들에서 온라인교육의

략 요성은 80에 근 할 정도로 매우 높고 그 다음으로 리 사립 학(약 70 수 ) 비

리 사립 학(50 반)으로 높다 즉 공립 학들이 학 교육기회의 확 와 비용 감을 한

요한 수단으로 사이버교육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다

(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과 규모

미국의 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숫자는 체 재 학생 규모와 비교할 때

속하게 증가해 왔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온라인 수강자의 증가 비율은 체 학생의 증가 비

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증가 추세는 2011년에 처음으로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 다

2010년 가을 학기에 약 610만 명의 학생이 어도 하나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 다 이 숫자

는 년 비 약 56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체 학생수가 1 미만 성장한 것에 비교하면 온라

인수강 학생 수는 약 10 증가한 것으로서 매우 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02년에 처음으로 데

이터가 수집된 이래 2번째로 낮은 증가치이기도 하다 한편 체 학생의 약 31가 어도 하나

의 강좌를 온라인으로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

설문에 응답한 부분의 담당자들은 일 성 있게 온라인 교육의 효과가 면 면 교육의 그것과

같거나 더 우수하다고 응답하 다 2003년에 처음으로 이 문항이 설문에 포함되었고 이때 약

57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교육의 품질이 면 면 교육과 비교할 때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답변하 고 이 수치는 꾸 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67에 도달하 다 하지만 여 히 약 13의

답변자는 온라인 교육이 면 면 교육에 비해 더 열악하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목할 만하다

흥미로운 은 온라인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 의 응답자들이 그 지 않은 기 의 응답자들

과 비교할 때 온라인 교육의 품질 효과에 해 훨씬 더 정 인 평가를 했다는 것이다 한

온라인 교육의 우월성을 주장한 사람의 비율은 열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과 비교할 때

더 낮으며 약간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조 더 열악하다고 생각하

는 사람의 비율보다 더 낮다 결국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차 늘어나 체 으로

볼 때는 온라인 교육의 정 인 측면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품질에 해 부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는 정 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태도와 비교해 매우 강한 것으

로 평가된다

(라) 교수들의 사이버교육 수용 여부에 한 행정 문가의 인식

지난 8년 동안 교수들에 의한 온라인 교육의 수용 수 은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행정 문가

들은 인식하고 있다 2011년 설문 결과에서도 13이 채 안 되는 응답자들만이 자신들의 학에

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사이버교육의 가치와 정당성을 받아들 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

한 수치는 지난 8년간 거의 변동이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의 형태와 한 련이 있는데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0: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1 -

리 사립 학의 응답자들에게서 정 인 응답(교수들의 온라인 교육 수용)이 가장 높이 나온

반면 비 리 사립 학 응답자들로부터는 부정 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마) 온라인 수업 비를 한 훈련 교육 제공

오 라인에서의 면 면 수업과 비교할 때 온라인에서의 수업방식은 보다 더 다양하고 상이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 방법에 교수자들이 익숙해지고 강좌를

성공 으로 운 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필요를 증 시켰다 하지만 교수자들에게 훈련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이들 기 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근 방법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부분의

기 들은 다양한 멘토링과 훈련 방안을 히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 의 6만이 온라인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을 한 공식

인 훈련 멘토링 로그램이 없다고 보고했다 가장 보편 인 훈련 방법은 내부 으로 훈련

코스를 제공(72)하는 것과 비체계 인 멘토링 (58) 방법이었으며 규모가 작은 학일수록 기

내부보다는 외부로부터의 훈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2 해외 학 사이버교육 련 방문 면 자료 분석

아래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주요 학에서 사이버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실제로 방문

면 하여 확인한 내용을 정리한다

1) 미국 학교

(가) 컬럼비아 학교

기본 으로 온라인수업이 없다 다만 공을 정하지 않은 문리 (liberal arts) 학생들이 1학년

때 모두 들어야하는 수업들이 있는데 이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 오백여명의 수강생이 수업을 듣

고 한번은 20여 명씩 나 어서 세미나를 듣는 형식으로 운 된다 이때 오백여명에게 제공되는

수업의 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해서 온라인에 올려 으로써 수강하는 학생들이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나) MIT 학교

2001년도에 세계에서 선도 으로 자신들의 강의 컨텐츠를 무료로 인터넷에 개방하기 시작

한 MIT OCW를 운 하고 있으며 재 세계에 약 20여 개국이 컨소시엄으로 OCW에 참여하

고 있다 한국도 KOCW로 이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MIT에는 기본 으로 온라인 수

업이 제공되는 셈이지만 학부생들이 이 온라인 수업을 듣고 학 인정을 받게 되어 있지는 않다

보통 온라인수업은 복습 과거 시험문제 풀어보기 기타 참고용의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몇 학과에서 최근 몇 과목을 시범 으로 온라인수업을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이라고 한다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1: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2 -

(다) 하버드 학교

하버드 학의 경우에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촬 해서 온라인에 올리는 lecture

video는 상당히 보편 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강좌가 온라인에 수업 컨텐츠를 탑재하고 있어

서 기술 으로 온라인으로 수업 이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온라인만 듣고 공식 으로 학 을

부여하는 즉 수업이수가 가능한 코스는 없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과 오 라인 수업

이 연계되어 있어서 교수는 연구실에서 수강학생들은 각자의 기숙사나 여타의 공간에서 화상

채 식으로 인터 션 하면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가능하다

(라) 뉴욕주립 학교(SUNY at Stony Brook)

스토니 룩의 경우 본 캠퍼스 이외에 맨하튼과 한국 인천 송도에도 분교 형태의 캠퍼스를 운

하고 있지만 공식 으로 학 이수가 되는 온라인 수업은 운 하고 있지 않다

(마) 뉴욕시립 학교(CUNY)

뉴욕시립 학의 경우에 학부과정에는 온라인 용 강좌가 없고 직장인들의 평생교육과

정 일부에 온라인과 결합된 수업이 제공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바) 메사추세스주립 학교(UMASS at Amherst)

메사추세스 주립 학의 주요 캠퍼스인 UMASS at Amherst(학부생수는 약 21500명임)의 경우

에 주립 학의 특성상 온라인강좌의 제공이 활발한 편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학 에서도 경

제 기로 인해 주정부의 산지원이 폭 삭감된 주립 학들의 경우에 교육재정을 감하기

한 시도의 일환으로 온라인강좌 개발에 극 인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UMASS at Amherst의

경우에는 경제 기 이 인 2004년경부터 온라인 러닝에 한 임시 연구 원회(Ad Hoc

Committee On-line Learning ACOL)를 구성하여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 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좌유형을 통 인 강좌 온라인강좌 그 간의 하이 리드 강좌로 구분할 것을 제안

하고 있고 온라인강좌가 가능하도록 기술 인 인 라를 갖출 것을 제안하 다

특히 교양교육 원회(General Education Council)에 해서도 온라인교육을 극 권유한바 있

다 실제 이 학에서는 졸업 이수학 에 일부 학 을 온라인강좌 수강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

어있다 특히 미국 학의 특성상 입학생들의 도 탈락비율이 높기 때문에 도 탈락한 학생들

을 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해서 학으로의 복귀를 보다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UMASS at Amherst는 인근에 있는 리버럴아트(liberal art)칼리지인 에머스트컬리지

(Amherst College 학부생 총 수 1700명) 인근의 다른 리버럴아트 컬리지들(학부 학생수

2600명의 Smith College 2200명의 MHC 1400명의 Hampshire College)과 학 교류 정을 맺

고 있고 실제로 학생들의 수업 편의를 해서 캠퍼스간의 셔틀버스도 운 을 하고 있지만 정

을 맺은 총 5개교 에서 UMASS at Amherst의 온라인 교육 수강으로 학 을 인정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2: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3 -

(사) 뉴욕 학교(NYU)

뉴욕 학교의 경우에는 맨하탄 본교 외에 국 상하이 동의 아부다비에 분교를 개설해서

운 하고 있지만 온라인강좌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2) 일본 학교

(가) 교토 학교

일본의 명문 학 의 하나인 교토 학교는 OCW를 운 하는 만큼 온라인 강좌에 한 심

이 높은 학교이고 OCW 홈페이지도 운 하고 있다 사 조사에 따르면 교양기 교육과정에

도 온라인 수업이 열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학부생들에게 교양기 역에서 제공되는 실질

인 100 사이버강좌는 없는 것으로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되었다 OCW에 탑재하는 온라인 강

좌는 오 라인 수업을 동 상으로 촬 하여 일반에 공개한 수 이고 재학생들의 경우에는 온라

인 강좌만을 수강하여 학 을 이수하는 경우가 아니라 오 라인 수업의 보완물로 활용되는 것

으로 확인된다

3) 소결

미국과 일본의 경우 모두 사이버강좌 운 방식이나 련 정책에 해 일반화해서 결론을 내리

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명성이 높은 주요 사립 학들의 경우에는 사이버강좌를 정규강좌로 운

하기 보다는 오 라인 수업의 보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

복습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동 상으로 촬 하고 련 자료 교안을 홈페

이지에 탑재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운 하고 있다 이런 에서 본격 인 이러닝의 형태라기 보

다는 블 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규모 주립

학교의 경우에는 특히 로벌 경제 기 이후의 교육비 감을 목표로 하여 사이버강좌의 정규과

목 편성을 시도하는 수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학의 경우건 해외 학의 경우이건 간에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개별 학 나름의 필

요성과 정책 단에 따라 사이버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면 가능한 양질의 콘텐츠를 교육성

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교양기 역의 사이버

강좌 운 에서 특징있는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IV 우수 교양기 사이버강좌 모델

사이버 강좌는 자유로운 수강 시간 여유로운 수강 인원 반복 수강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한 굳이 학교에 나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최 의 강 이며 이것은 학 측에서도 강의실 부

족이라는 인 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력 인 해결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 등으로 인해

온라인 강의는 어도 우리나라의 여러 학에서 요한 교육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유홍

정태인 2012)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3: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4 -

그러나 한국 학교들의 사이버 강좌 황 분석에서 이미 확인된 것처럼(유홍 정태인

2012) 다수의 온라인 강의는 한번 만들어진 동 상이 매학기 반복될 뿐이고 강의 컨텐츠가 노후

화되어서 기존의 통 인 교실강의에 비해 교육의 질이 높아졌다고 보기 어렵고 이에 한 수

강생들의 불만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더한 아이러니는 온라인 교육의 본질 인 장 으로 지

되어 온 교수자와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소통이 실제로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서 인터랙션의

부족함이 다른 요 불만 요인이라는 이다 여기에다가 많은 수강 학생들이 단순히 수강의

시공간 편리함이나 학 받기의 수월성 등을 이유로 해서 사이버강의를 선택하며 이는 사이버

강의의 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교육자들은 10년 후의 명문 학은 연구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창조

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을 지향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학일 것이라 상한다 비명문 학들은

명문 학에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원식으로 지식을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달

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MIT Yale등의 학들에서부터 우

수한 강의 컨텐츠가 무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 고 이는 세계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에게도 커다란 자극이 되고 있다 명문 학에서 만들어진 강의 컨텐츠에 의존하여 학습자들을

교육하는 비명문 출신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능력과 함께 졸업하는 명문 학

출신 학생들을 넘어서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한편 가공된 지식을 단순히 달하는 교육으로는 명문 학이 될 수 없고 미래사회에 처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지식으로 무장된 인재보다는 지식의 문제 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석 인 학습태도가 필수 이며 명

문 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 이고 창의 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창의 동이 가능하고 을 이루어 함께 새로운 문제 을 설정하고 해결하는 능력은 소통의

가치가 강조되는 시 에 요구되는 학교육의 핵심 인 교육 방향이므로 사이버교육에서도

이러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그런 에서 방향소통이 가능한 사이버강의를 통해 통 인 교실에서의 오 라인 강의보

다 창의성 개발과 비 학습이 더 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통 인 교실강의를 체하는 온라인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합한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정립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오 라인 강의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강의 달방식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수한 컨텐츠와 강의에 한 수요가 증 하고 있는 시 에서 우수

한 사이버 강좌 모델을 발굴하여 제시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1 자기주도 토론(self-question self-answer) 기반 모델

사이버 강좌가 교육 효과성을 가지려면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장 을 잘 활용해야 한

다 그런 에서 강의실보다 더 자유로운 학습 환경에서 창의성을 추구하는 요한 방편인 질

문 던지기나 토론하기같은 교육기법이 제 로 활용되는 강좌 모델이 부각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버 교육에 창의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해서 운 하고 있는 강좌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4: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5 -

를 우수 온라인 교육 모델의 하나로 소개하려고 한다 재 성균 학교 아이캠퍼스(i-campus)

에서 교양과목으로 운 되고 있는 생명의 과학은 창조 동의 인재상을 추구하는

self-question self-answer (SQSA)이라는 토론수업 방식을 결합하여 개설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가 매우 높아서 학 이러닝 강좌의 한 모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

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의 궁극 인 목 이 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지식에서 생되는 의문 과 호기심

을 갖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SQSA 방식을 통해 창의

인 문제 제시(self-question)를 기반으로 하여 동료들과 함께하는 토론을 거쳐 스스로의 결론

(self-answer)을 도출해 가는 자기주도 인 학습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강좌는 미래형 인재들

이 간직해야할 창조 동과 학문 비 능력과 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강의목 의 하

나로 규정하고 있다 창의 문제 제시(SQ)의 상은 배운 지식에서의 문제 새로운 방향을 제

시할 수 있는 논 생명과학과 자신의 공분야와의 융합 인 논제들 동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요하고 구체 인 생명과학 지식들이다

1) 교과목 ldquo생명의 과학rdquo

본 연구의 상 교과목인 생명의 과학은 학부 학 핵심균형교양 에서 기 자연과학 역

에 속한 과목(GEDN012 3학 )으로 매학기 280-300여 명의 수강생들을 상으로 하는 100 온

라인강의이다 2006년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재 1 2학기 모두 개설되고 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들은 공학습 배경에 계없이 모두 수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의

수강비율은 체로 11 이다 본 강의는 크게 매주 2시간 정도의 길이로 진행되는 동 상 강의와

SQSA토론수업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교재는 『생명과학 강의노트 』(이우성 성균

출 부)이다 평가는 출석 10 간고사와 기말고사 각 35에 덧붙여 SQSA가 20이다

(가) 학습 목표

공과 선행 학습배경에 계없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생명과학에 한 기 지식과 함께

미래 생활과 연결되는 생명과학의 핵심내용들을 강의한다 SQSA를 통해 생명과학과 계

되는 제반 융합학문 사회 과학 문제들을 분석한다 인문계 학생들에 필요한 과학 소양

과 함께 자연계 학생들에 필요한 인문과학 소양이 함양되기를 기 한다

(나) 진행 개요

각 수강생은 개인별로 하나의 SQ를 i-campus 토론방에 탑재함으로 토론방의 주인이 되며 주

인의 주도로 자기 문제(SQ)를 찾아 동료(손님)들과 약 2주간의 토론(댓 )을 기반으로 한 토

론내용을 토 로 주인이 독립 으로 결론(SA)을 도출한다 모든 수강생은 세 주인의 토론방(양

캠퍼스 주인들이 모두 포함되도록)에 손님으로 방문하도록 요구된다 학생이 원하면 3개 이상의

주인(SQ)에게 손님으로 방문할 수 있으나 리포트에는 3개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SQSA의 구체 인 일정은 간고사 이후에 시작되지만 학기 부터 모든 강의에서 좋은 SQ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 인 수강이 되어야만 한다 토론이 종료되면 주인은 자기가 작성한 SA를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5: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6 -

i-campus를 통해 공개한다 손님들은 공개된 SA를 기 으로 우수 주인을 추천한다 주인은 자기

의 토론방에서 성실히 토론에 참여해 우수 손님을 추천한다 최종 으로 모든 학생은 주인과

손님으로의 토론 내용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제출한다 토론이 지속 이고 활발하게 진행되도

록 손님이나 주인들의 댓 달기는 최장 3일을 넘기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주인이나 손님들은

화번호를 첫 댓 에 남기기를 권장하고 있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 기존 혹은 타인의 주제생각 은 참고만 하며 SQ주제로 사용하지 않는다

∙ 의문이 생길 수 있도록 분석 인 학습을 한다

∙ 손님 방문을 반부부터 시작하여 토론의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 교재의 해당분야를 집 으로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의문거리를 얻는다

∙ 많이 알아야 좋은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다

∙ 창의성도 앎에서부터 나온다

∙ 확실한 답이 있는 주제로는 토론이 불가능하다

∙ 깊이가 없는 흥미 유발성 주제는 자칫 가벼운 토론으로 멈추게 된다

∙ 나에게 흥미로워야 남에게도 흥미롭고 손님이 많아진다

∙ 인터넷을 통해 질문을 먼 얻지 않는다 (SQ선정 후 인터넷 조사를 한다)

∙ 인터넷을 통한 SQ 선정은 자칫 식상한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 동료들은 그들의 지 능력이 도 받을 수 있고 깊이가 있는 주제를 원한다

∙ 남의 생각을 그 로 옮기지 않는다 이 경우 최 의 평가 혹은 처벌을 받게 된다

∙ 참신하고 창의 인 질문과 결론은 우리 모두를 감동시킨다

(다) 효과 분석

강의평가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종합 인 의견은 매우 정 인 평가를 하고 있다 수강생

들의 일반 인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기주도 이 될 수밖에 없는 수업방식으로 처음 해보는 수업방식이다

② SQSA 학습방식은 창의력 향상과 비 학습태도를 갖게 한다

③ SQSA 학습방식은 창조 동을 추구하는 미래 인재상 형성에 합한 교육방식이다

④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 간의 토론은 색다른 경험이고 융합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⑤ 발표와 문제해결 능력에 자신감이 생겼다

⑥ 온라인상의 토론이 교실강의에서의 토론보다 장 도 있다

⑦ 생명에 한 많은 소양을 얻어간다

⑧ 나에게 숨어있는 잠재 문제해결 능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⑨ 졸업 후에도 SQSA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겠다

⑩ 한 간섭을 받고 싶다

⑪ 교양과목으로 SQSA는 상당한 학습량 부담을 다

⑫ 과학지식이 부족한 인문계 학생들을 분리하여 평가했으면 한다

⑬ 강의 방식이 모듈화되어 다른 강좌에도 용되면 좋겠다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6: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7 -

2) 제안하는 SQSA 강의모델

학의 경쟁력은 창의 인 지식의 생산능력에 비례한다 창의성을 추구하는 교육은 재의 교

수법이나 강의 컨텐츠의 한계를 극복해야 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SQSA 토론수업 방식은 바탕

지식을 근간으로 해서 창의 이고 비 인 사고를 유발하고 추리력과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서

자기주도 인 문제 해결 통합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수동 이 아닌 능동

인 학습태도를 유발시켜 학습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교수들의 체 인 의견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석학들도 종종 한국 학생

들이 질문을 하지 않아 놀랍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학(배울 學)은 있는데 문(물을 問)이 없

다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서부터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이 학에서까지 질문이

없는 수동 학습태도가 견지되는 상태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로 진출하게 된다 이런 교육으로

는 미래 사회에서 아무 역할을 못하는 름발이 인재로 락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토론 방식은 자기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효과 인 학습효과를 상한다 이런 토론수업은 지 흥분을 경험하게하고 답이나 결론에 도달

하는 지 가지치기와 다양한 지식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한다 이는 교과목의 바

탕학습에 포함된 기본내용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식의 창출 과정과 문제 에 근해

으로써 미래 지식에 도 하는 능력을 자연스 얻어가는 효과를 상할 수 있다

비 학습을 한 교육환경은 학습자들의 고도의 지 활동을 요구한다 교수자의 주요 역할

인 바탕강의에서는 강의 내용의 깊이와 연결성 수업 목 과 실생활과의 연 성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의지를 복 돋우며 지속시킬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 교육자는 지식의 단순

달 차원을 넘어서서 문제의식을 부각시켜 학습자들로 하여 지 호기심이 자극받고 창의 인

SQ가 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하다

ldquo생명의 과학rdquo 교과에서 모든 참고자료나 교재를 시험장에 지참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오 북

(open book)시험은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이해와 비 을 구하는 수업 방향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교육자로서도 학생들이 혼자서 질문을 극 으로 찾아 해결하는 경험을 다른 학문 활

동이나 사회생활에 용해 보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는 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들의 학문 잠재능력을 표출시키는 교육 효과를 변해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SQSA 수업 모델은 사이버 교육의 발 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SQSA

토론식 강의를 원하는 교강사들은 강의의 성격 수강생 수 등에 따라 제시된 SQSA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해서 각 과목의 특성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강의에서는 교강

사가 토론의 진행에 좀 더 근 하여 지도하고 안내하는 장 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SQSA에

합한 토론이 구 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은 사이버 교육을 시행하는 학들에서는 이

미 체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개선할 여지는 남아 있을 것이다1)

1) 재 이 SQSA-software 개발은 성균 학교 산학 력단을 통해 특허가 신청되고 있다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7: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8 -

2 사이버 강의 운 시스템 모델

사이버 강좌의 장 을 잘 활용해서 오 라인 강의를 뛰어넘는 교육 효과성을 가지기 해서

는 강의 운 시스템도 잘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유홍 박시종 정태인 2012)에 의

하면 국립 학인 창원 학교와 사립 학 에서는 성균 학교가 강의실 공간문제 등의 사정

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을 강조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해서 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의 비

이 큰 편이면서 운 시스템을 비교 잘 갖추고 있는 것으로 단되어 그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

하려고 한다

1) 국립 창원 학교

창원 학교 e-class 사이트는 강의실홈 학습하기 공지사항 자료실 질의응답 과제 시험 토

론 설문 나의자료실 수강생조회 성 확인 성 확인 쪽지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등의 기본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에서 강의 리 강의계획서 리 평가 리 메뉴는 하부에 세부메뉴를 두어 수업 련 모든

정보 확인 자료입력과 처리가 원스톱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에서 강의 리의 경우는 과목정보 학습목차 리 과제 리 시험 리 토론 리 설문

리 로젝트 리 수강생 리 게시 리 학습 황 출석 리 자료이월 등의 하부 메뉴를 두

고 있다 (그림 1 참조)

lt그림 1gt 창원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8: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29 -

2) 사립 성균 학교

성균 학교 i-campus 사이트에는 운 자 메뉴에 수강생청강생 황 조편성 수업계획서

개인정보 강의올리기(웹페이지동 상) 과제생성 토론생성 시험생성 강의운 (과제토론

자료실 등) 설문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가 있다

각각의 메뉴에는 서 메뉴가 있는데 수강생청강생 황에는 수강생과 청강생 황이 있고

조편성에는 조편성과 조확인 개인정보에는 개인정보와 튜터리스트 과제생성에는 과제내용작

성 과제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과제부여하기가 있다 토론생성에는 토론내용작성 토론

묶기 과제일정계획 조별개별 토론부여하기가 있다 시험생성에는 문제생성 시험지묵기 학기

시험일정계획 시험부여하기가 있다

강의운 메뉴에는 추가게시 리생성 과목공지사항 과목QampA 과목자료실 사용자 추가게

시 과제평가 토론평가 시험채 진도 리 학생별학습활동 황이 있다 설문에는 설문지척

도 리 설문지 리 학기설문 리 설문응시 리의 서 메뉴가 있으며 마이페이지에는 쪽지함

과 교수알림게시 이 있다(그림 2 참조)

lt그림 2gt 성균 학교 사이버 강좌 사이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29: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30 -

V 이러닝 과목의 강의 개선 방향

사이버 강좌는 이미 여러 학에서 범 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

이 더 확 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 으로 학별 여건에 따른 정책 방향에 달려있지만 교수자

에 한 한 인센티 제공 사이버 강좌에 한 부정 인 평가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도 요한 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만들어진 강의를 되풀이해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로서의 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에서 이러닝이 교수자에게 주는 혜택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교수들은 강의실에서의 면 면 수업이 주는 즉각 이고 인 인 인터랙션을 요시하고 있으며

사이버 강좌를 비하고 운 하는데 따르는 기술 인 측면에 한 부담감이 많다 따라서 사이

버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한 인센티 가 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이러닝 형태의

강좌를 개설하는 교수자의 숫자는 지 까지 보 던 높은 신장세를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망된

다 교수자에 한 인센티 에는 인 지원과 더불어 사이버 교과목 개발 과정 반에 걸친

교수설계 문 인력의 지원을 생각해 볼 수 있다2)

한편으로 학생의 입장에서는 출석 수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 때문에 이러닝에 한

잠재 수요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나 취업 비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면서 시간 사용을 보다 효율 으로 할 수 있고 스 을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러닝 수업의 매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시 면 면 수업

에서 교수를 만나는 것이 주는 가치 역시 학생들에게는 요한 고려 상일 것이다

반 으로 보면 이러닝 수업에 한 수요가 공 에 비해서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다고 단

된다 왜냐하면 신규로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기 해 새로운 교수자를 확보하는 것이 사이버 강

좌를 수강하려고 하는 학생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보다 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학교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 에서 사이버 강좌를 확 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 인 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많은 강좌를 열기 해 공간 인 시설을 확충하

는 것은 규모 투자를 수반하기 때문에 사이버 상에서 강좌 규모를 확 하는 것이 매력 인

안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 인 자원의 활

용을 획기 으로 확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황을 분석했던 한 자료

에 따르면 2006년 재 4년제 학에서 제공하는 이러닝의 822가 lsquo교수강의형rsquo으로 교수자의

강의 동 상 주로 일방향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임병노 외 4인 2006) 즉

교수자의 강의 동 상을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형태로 제공하는 형식이 보편

화된 한국 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강의 심 수업모형으로 일 하는 국내 사이버 강

좌의 치우침 상은 학생이 경험하는 수업의 질보다는 비용-효과성만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운 당국의 이해 계가 맞물려 재 사이버 강좌가 제공되

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 히 많이 남아 있다 첫째 아직 미약한 수 에

2) 미국 학에서 교수설계자의 주된 임무는 개별 교수자의 수업 요구에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이버

강좌의 경우에도 이러닝 컨텐츠의 개발과 수업 리시스템 운 에 한 지원뿐만 아니라 한 교수-학습 략의

용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과 같은 수업의 질 향상을 한 지원을 제공한다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30: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31 -

머물러 있는 사이버 강좌의 컨텐츠 품질 개선과 이를 실 하는 시스템 통제 로세스의 강화이

다 둘째 신 인 학습 방법으로서의 사이버 강좌 제공이라는 측면이다 이러닝(혹은 블 디드

러닝)을 통해 학습자가 단순한 수용자가 되지 않고 참여자로 훈련받고 성장하며 잠재력을 최

한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자의 능력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의 가능

성을 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달 매체 혹은 경로의 변경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

한 가능성을 충분히 구 하지 못할뿐더러 보다 참여 인 학습자를 길러내는 데는 미진하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요한 은 사이버 강좌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인터

랙션이 제 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운 하는 것이다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31: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32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985172교육정보화백서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985172사이버 학설립운 지침98517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 자원부 2006 985172원격 학제도개선계획(안)985173

변 계 1999 985172교수학습 이론의 이해985173 서울 학지사

유홍 정태인 2012 ldquo교양기 교육에서 사이버 강좌 운 실태와 개선 방안rdquo 교양교육연구

6(3) 123-164

정 란 장은정 박정호이 민 2010 ldquo사이버 학 운 황 분석 질 리 방안 연구rdquo 교육과

학기술부

정인성 최성우 1998 ldquo열린원격교육과 정보통신공학 교육공학연구rdquo 14(1) 163-186

정인성나일주 2004 985172원격교육의 이해985173 교육과학사

조미헌 2002 ldquo교육방법의 이론 기반rdquo 허희옥 외(공 ) 985172컴퓨터교육방법 탐구985173 서울 교육과

학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ldquoe-러닝의 이해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2호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ldquo 학 e-러닝 도입의 해외 사례를 통한 학개 의 시사 rdquo 985172KERIS

이슈리포트 e-러닝 시리즈 04-0198517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85172차세 고등교육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985173 서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ldquo고등교육 e-러닝 강의자료(KOCW) 통합 연계체제 구축-지속 가능한

KOCW 유통 모델 수립 연구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ldquo고등교육 이러닝 성과분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2010-11rdquo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허희옥 조일 서순식 2006 ldquo유비쿼터스 융합 학습 환경의 설계 방안 탐색rdquo 2006년 추계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 회 279-290

홍순정 외 1997 ldquo우리나라 열린 원격교육의 황rdquo 사회교육학연구 3(2) 231-260

Allen I E amp Seaman J 2011 Going the distanc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2011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met 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Francisco CA Pfeiffer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rsquo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3(3)54

Harris D 1987 Openness and Closure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Falmer

Heo H 1999 ldquo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ers perception of

personal learning responsibilityrdquo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5(1)161-192

Holmberg B 1994 Open Universities ZIFF paper 92

____________ 1989 Theory and practice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32: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 33 -

Kerres M amp de Witt C 2003 ldquo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srdquo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101-113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Thi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Falmer

________(ed) 1993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Osguthorpe R T amp Graham C R 2003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27-233

Peters O 1998 ldquoFrom traditional to virtual a new information technologiesrdquo A paper

presented at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Paris

_________ 1993 Distance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esmond Keegan Routledge Studies in Distance Education

London New York 1994 pp 220 - 240

Rumble G 1989 ldquorsquoOpen Learningrsquo lsquodistance learningrsquo and the misuse of languagerdquo Open

Learning (June) 28-36

_________ amp K Harry(eds) 1982 The Distance teaching Universities London Croom Helm

Swan K 2003 ldquoLearning effectiveness what the research tells usrdquo In J Bourne amp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Practice and Direction Needham MA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13-45

Sewart D (ed) 1987 ldquoStaff development needs in distance education and campus-based

education Are they so differentrdquo London Croom Helm

Wedemeyer C A 1977 ldquo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rdquo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_________________ 1981 Learning at the back door Reflections on non-traditional learning in the

lifespa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Page 33: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사이버...RR 2013-22-468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Ⅱ); 해외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 연구 (II)

2013년 4월 일 인쇄

2013년 4월 일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함인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 - 803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23층

전화 02) 6919-3952

인 쇄 처 경성문화사

전화 02) 786-2999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