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50

Transcript of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Page 1: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

Page 2: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2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Page 3: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두 번째 문학 여행을 떠나다

형식, 재현, 수용은 신라 향가이면서 고려 가요로도 불렸던‘처용가’의 주

인공‘처용’을 주제로 한 문화제의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4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단원을열며

역신을 몰아내는 주술 세계의 주인공 처용은 세월이 흐르자 궁중 무악의

주인공이 되었다. 그러자 주술의 세계에서 문학과 예술이 어우러진 새로운

세계가 열리기 시작했다. 한편 문학 양식은 고유한 속성을 유지하면서도 시

대의 변화에 따라 내용·형식에서 다채로운 변화를 보였다.

이 단원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임진왜란 이전의 조선 전기 시대에 이르기

까지의 주요 작품을 함께 감상하면서, 이 시기의 한국 문학이 어떤 변화 과

정을 겪으면서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했는지 공부해 보기로 하자.

수용⋯ 이게 처용의 모습이라고?

형식⋯ 맞아. 왠지 이국적인 느낌이 들지? 설명을 보니 아라비아 상인

이었다는 설도 있던데.

재현⋯ 그건 신라 시대에 서역과 문물 교류가 있었다는 걸 뜻하겠지.

수용⋯ 처용이 향가의 주인공이 된 건 그의 모습이 역신을 몰아내는

데 효험이 있었기 때문이래. 주술적 의미는 고대 시가의 공통

적인 속성인 듯해. 고려 가요로도‘처용가’가 있잖아.

형식⋯ 신라 향가가 고려 가요로 연결되는 점이 흥미로운걸. 향가에서

고려 가요로 이어지는 형식적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재현⋯ 둘 사이의 차이점에 주목하는 건 어떨까? ‘처용가’는 고려 가

요에 와서 궁중 음악에 쓰였다고 하잖아. 극적인 구성도 갖게

되고 말이야.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6

Page 4: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1) 서경별곡

(2) 한림별곡

(3) 국선생전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1) 시조세편

(2) 만복사저포기

이시기의세계문학

(1) 아라비안나이트

(2) 도연초

●문학담당층과그들이생산·향유하는문학의상관관계에대해이해해보자.

● 구비 전승되어 왔던 구술 문학이 정제된 형식과 언어미를 갖는 기록 문학으로 정착되는 과정의 문학사적

의미를평가해보자.

●고려가요와경기체가, 가전체등의고려시대주요문학작품들과, 시조와전기적고전소설등의조선전기

주요한작품들을읽고감상해보자.

생각다듬기

단원을열며 47*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7

Page 5: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48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1. 이 시기문학갈래의전개와구현양상을이해한다.

2. 대표적인작품을통해한국문학의전통과특질을이해한다.

3. 이 시기의문학작품에반영된역사의식을이해한다. 01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학습목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7세기 중엽 이후 한국 문학은 대표적인 서정 양식인

향가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러다가 고려의 성립 이후 향가는 일부 그

명맥만을 유지하게 되었고, 국문 문학은 다시 구비 전승의 영역으로 돌아간

다. 그래서 현전 고려 가요의 대부분은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면서 구비 전승

되다가 조선조 훈민정음 창제 이후 몇몇 문헌에 정착되어 전하는 것이다. 이

시기 문학은 문인 귀족, 불교 승려, 사대부 계층 등에 의해 그 예술적 수준이

높아졌다. 따라서 이 시기 문학은 불교를 중심으로 한 한문학 중심의 시대로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려 전기까지의 지배층은 호족들이나 그들이 천거한 인물들이 중심이 되

었으나, 무신란 이후 최충헌 정권이 들어선 이후에는 사대부 문인들이 대거

등용되어 비로소 유학을 공부한 사대부들이 지배층으로 등장할 수 있었다.

이들이 새롭게 지배층으로 성장하면서 유학의 영향력은 점차 강화되어 갔

다. 게다가 13세기 말 안향이 주자학을 전파하면서 고려 말의 유학은 성리학

으로 자리를 잡아 갔다. 이러한 고려 시대 신흥 사대부들에 의해 창작된 작품

이 바로‘한림별곡(翰林別曲)’이다. 또한 현실의 문제를 다루는 유학의 특성

상, 유학자들은 구체적 사물과 현상에 관심을 가졌고 그 결과 사물을 의인화

한 가전체(假傳體) 문학이 탄생하였다.

이시기의한국문학

고려 시대의 시가 문학은 한문학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속요(俗謠)’라고

불리는 고려 가요와 경기체가로 요약할 수 있다. 고려 가요는 인간의 감정과

욕망을 너무나 진솔하게 노래한 까닭에, 조선 시대에 들어서‘남녀상열지사

(男女相悅之詞)’라고 평가 절하되기도 했다.

내용을 살펴보면‘서경별곡(西京別曲)’, ‘동동(動動)’, ‘만전춘(滿殿春)’,

‘정석가(鄭石歌)’, ‘이상곡(履霜曲)’, ‘가시리’등은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솔

직하게 드러내고 있다. 또한‘쌍화점(雙花店)’같은 작품에서는 남녀의 불륜

이시기의시가문학

▲ 고려에주자학을들여온안향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8

Page 6: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49*

이 시대를 대표하는 서사 양식으로는 고려 중기 이후 문인들이 창작한 가

전체를 들 수 있다. 주로 어떤 사물을 역사적 인물처럼 의인화하여 그의 가계

와 생애, 개인적 성품, 업적과 허물을 기록하는 전기(傳記) 형식을 빌렸기 때

문에, ‘실제의 전〔實傳〕’과 구별해서‘가전(假傳)’이라 부르는 것이다.

인간 세계의 질서와 생활을 우의적으로 보여 준다는 점에서 가전은 작자의

이념과 가치관이 뚜렷한 문예 양식이다. 그런데 의인화 과정에서 그려지는

인물의 모습이나 이야기의 구성에서는 뚜렷한 소설적 성장을 보여 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술을 의인화한 임춘의‘국순전(麴醇傳)’과 이규보의

‘국선생전’, 돈을 의인화한 임춘의‘공방전(孔方傳)’, 거북이를 의인화한 이

규보의‘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 대나무를 의인화한 이곡의‘죽부

인전(竹夫人傳)’, 종이를 의인화한 이첨의‘저생전(楮生傳)’, 지팡이를 의인화

한 석식영암의‘정시자전(丁侍者傳)’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의인화의 전통은 조선조에 들어와서 심성을 의인화한 소설인 임제

의‘수성지(愁城誌)’, 꽃을 의인화한 가전체인‘화사(花史)’등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경기체가 양식과 마찬가지로 완강한 형식이나 난삽하고 현학적인 문

체 때문에 소수 계층만이 짓고 즐기는 데 그쳤다.

과 여성들의 욕망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 밖에도‘상저가(相杵歌)’,

‘사모곡(思母曲)’등의 민요적 속성을 가진 노래들, ‘처용가(處容歌)’같은 무

가 계열의 노래들, ‘정과정’같은 개인 창작 가요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다음으로 무신란 이후 신흥 사대부에 의해 등장한 경기체가(景幾體歌)가 있

다. 주요 작품으로는 한림 제유의‘한림별곡(翰林別曲)’, 안축의‘관동별곡

(關東別曲)’과‘죽계별곡(竹溪別曲)’이 있다. 언어나 미적 특질은 조금 다르

지만 3음보의 분연체 형식과 후렴구의 존재는 고려 가요와 흡사한 특징을 보

여 준다. 경기체가는 고려 후기에 등장하여 16세기까지 지속되었으며 완강한

정형성과 표현 특성으로 인해 독특한 평가를 받았다.

이시기의서사문학

❶고려가요의내용을유형별로나누어살펴보자.

❷가전이후대소설의발전에미친영향을설명해보자.

짚고가기

▲“악장가사”에 실려 전하는 고

려가요‘사모곡’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9

Page 7: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50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서경(西京)이 아즐가서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1)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 2) 아즐가 닷곤 쇼셩경3) 고 마른4)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 므론5) 아즐가 여 므론 질삼뵈 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 6) 아즐가 괴시란 우러곰7) 좃니노이다8)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 9)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 10) 아즐가 긴히 그츠리잇가11)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 를12) 아즐가 즈믄 를 외오곰13) 녀신 14)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신(信)잇 15) 아즐가 신(信)잇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1) 셔울히 마르는 서울이지마

는.

2) 닷곤 닦은데.

3) 쇼셩경 소성경(小城京). 평

양을가리키는듯하다.

4) 고 마른 사랑합니다마는.

5) 여 므론 여의기보다는.

6) 괴시란 ‘사랑하신다면, 사

랑하시니까, 사랑하시는 곳’등

으로풀이됨.

7) 우러곰 울면서. 울며불며.

8) 좃니노이다 따르겠습니다.

9) 디신 떨어진들.

10) 긴히 끈이야.

11) 그츠리잇가 끊길 것입니

까?

12) 즈믄 를 천년을.

13) 외오곰 외따로. 홀로.

14) 녀신 살아간들.

15) 신(信)잇 믿음이야.

고려 가요의 형식적 특징을 이해하

고, 이별 노래의 전통을 살펴보면서

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서경별곡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0

Page 8: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1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내여 아즐가 내여 노 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럼난디16)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녈 예17) 아즐가 녈 예 연즌다18)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건넌편 고즐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타 들면 아즐가 타 들면 것고리이다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16) 럼난디‘바람난지, 음탕한

지, 욕심이많은줄’등으로풀이

됨.

17) 녈 예 떠나가는배에.

18) 연즌다 얹었느냐.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1

Page 9: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52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서경별곡’은 여음과 후렴이 노랫말의 중간이나 각 연 끝에 삽입되어

있는 연장체 형태의 고려 가요이다. 이별에 직면한 화자는 임에 대한 애절

한 사랑을 드러낸다. 사랑을 위해서라면 삶의 근거지와 생활 방편마저 포

기하고, 어떤 것도 임과 자신의 사랑을 단절할 수 없을 것이라 믿는 화자

는 자신의 사랑과 욕망에 충실한 인물이다. 이러한 격정적이고 능동적인

애정의 모습은‘가시리’에 나타난 체념적 정서와 좋은 대조를 보인다. 그

뿐만 아니라 사랑과 이별 사이에서 망설이거나 주저하기보다는 솔직한 행

동을 택하는 화자의 주체적인 모습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공감을 불러일

으킨다.

감상의길잡이

‘서경별곡’은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서경별곡’과고려가요의

형태적특징

넓고깊게이해하기

화자의태도및목소리

‘서경별곡’의 둘째 단락은‘정석가’의 제6연과 동일한 내용이다. 고려

가요에서는 이처럼 비슷한 표현들이 여러 작품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은 민간에서 불리던 고려 가요의 노랫말이 궁중 음악으로

채택되어 궁중 연희에서 불리는 과정에서 송도적(頌禱的) 기능이 추가되었

기 때문이다.

‘서경별곡’의 경우에도 2~3개의 서로 다른 독립적인 노래가 합성되어

한 편의 노래로 완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고려 가요는 유사한 정감과 성

격을 가진 노래들이 궁중 음악의 노랫말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합성, 개작,

윤색 등을 거쳐 다채로운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어떤 일이 있어도 임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원하고 임을

좇겠다는의지를보인다.

1단락

(1~8행)

2단락

(9~16행)

3단락

(17행~28행)

화자의태도

여성의목소리

아무리 오랜 세월을 헤어져 있어도 임에 대한 사랑은 변

치않을것임을다짐한다.남성의목소리

사랑과질투의감정이섞인현실적인모습을보여준다. 여성의목소리

화자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2

Page 10: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3*

다음 물음에 답하면서 시적 상황을 파악해 보자.1

1단원에서 학습한‘찬기파랑가’와 이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조건〉에 따라

비교해 보자.2

•‘향가’와‘고려가요’라는문학적형식이지닌형태적특성에주목하여

비교할것.

•비교할항목을정하여제시한다음, 비교내용을제시할것.

•비교 항목 중에‘창작 및 향유층’을 포함하고, 앞에서 비교한 내용과

연계하여설명할것.

조건

도움닫기

(1) 서정적 주체는 지금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가?

(2) 서정적 주체의 성별을 알 수 있는 근거를 각 연에서 찾아보자.

(3) 각 연의 중심 내용을 적고, 서정적 주체의 태도와 어울리지 않는 내용을

지적해 보자.

1연

2연

3연

연 중심내용 중심내용에서벗어난부분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3

Page 11: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54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다음 고전 시가 두 편은‘서경별곡’과 마찬가지로 이별을 소재로 하고 있다.

이별에 대처하는 (가)와 (나)의 서정적 주체가 지닌 태도를‘서경별곡’의 경

우와 비교해 보자.

3

(가) 前腔 하노피곰도 샤

어긔야머리곰비취오시라.

어긔야어 됴리

小葉 아으다 디리.

後腔全 저재녀러신고요.

어긔야즌 드 욜셰라.

어긔야어 됴리.

過篇 어느 다노코시라.

金善調 어긔야내가논 졈그 셰라.

어긔야어 됴리

小葉 아으다 디리.

—‘정읍사’

(나) 가시리가시리잇고나

리고가시리잇고나 .

⋯ 위 증즐가大平聖代(대평 )

날러는엇디살라 고

리고가시리잇고나 .

⋯ 위 증즐가大平聖代(대평 )

잡 와두어리마

선 면아니올셰라.

⋯ 위 증즐가大平聖代(대평 )

셜온님보내 노니나

가시 도셔오쇼셔나 .

⋯ 위 증즐가大平聖代(대평 )

—‘가시리’

멀리뛰기

도움 자료

(가) 백제 정읍의 어느 행

상인의아내가남편이무사

히 귀가하기를 바라며 읊

은, 현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다.

(나) 사랑하는 임과의 이

별에서오는정한을노래한

고려가요이다.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4

Page 12: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5*

정읍사

가시리

서경별곡

작품 서정적주체의태도

이 작품에 나타난‘강’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고, 우리 문학에 나타난‘강’

의 다양한 이미지와 비교해 보자.4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5

Page 13: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元淳文1) 仁老詩2) 公老四六3)

원 문 인노시 공노 륙

李正言4) 陳翰林5) 雙韻走筆6)

니졍언 딘한림 솽운주필

沖基對策7) 光鈞經義8) 良鏡詩賦9)

튱긔 광균경의 량경시부

위 試場ㅅ 景10) 긔 엇더 니잇고.

시 경

(葉) ⋯琴學士11)의 玉筍門生12) 琴學士의 玉筍門生

금 옥 문 금 옥 문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 제1장

5

10

한 림 제 유

1) 원 문 유원순의문장.

2) 인노시 이인로의시.

3) 공노 륙 이공로의사륙변려

문(四六騈儷文).

4) 니졍언 정언(正言) 직의 이

규보(李奎報).

5) 딘한림 한림(翰林)인 진화

(陳華).

6) 솽운주필 운을 맞추어 거침

없이써내려감.

7) 튱긔 유충기의 대책문

(對策文). 대책문은과거시험의

한과목임.

8) 광균경의 민광균의 경서 해

석.

9) 량경시부 김양경의시부.

10) 시 ㅅ경 과거시험장의모

습.

11) 금 당시에과거시험관

으로. 금의(琴儀)를가리킴.

12) 옥 문 수많은쟁쟁한제

자들. 기라성같은문인.

무신란이후에지방에서중앙정계로

진출한신흥사대부들이다.

한림제유(翰林諸儒)

경기체가에 반영된 사대부의 현실

인식에초점을맞추어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한림별곡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6

Page 14: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

唐唐唐 唐楸子13) 莢남긔14),

당당당 당츄 조협

紅실로 紅글위15) 요이다.

홍 홍

혀고시라16) 밀오시라 鄭少年17)하

뎡소년

위 내 가논 갈셰라.

(葉) ⋯削玉纖纖18) 雙手ㅅ 길헤19) 削玉纖纖 雙手ㅅ 길헤

샥옥셤셤 솽슈 샥옥셤셤 솽슈

위 携手同遊ㅅ 景20) 긔 엇더 니잇고.

휴슈동유 경

— 제8장

5

10

13) 당츄 호두나무.

14) 조협남긔 쥐엄나무에.

15) 홍글위 붉은그네.

16) 혀고시라 당기시라. 당겨라.

17) 소년 유희를즐기던방탕

한젊은이.

18) 샥옥셤셤 옥을 깎은 것 같

이부드러운.

19) 솽슈ㅅㅅ 길헤 두손길에.

20) 휴슈동유ㅅㅅ 경 손을 마주

잡고노는모습.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7

Page 15: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넓고깊게이해하기

각장의내용과세계관

58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한림별곡’은 무신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이

상 세계와 문화적 자부심을 표현하기 위해 창작한 작품이다. 신진 사대부

는 고려 말 과거 시험을 통해 정치에 입문한 문인 관료를 말한다.

크게 전대절(1~4행)과 후소절(5~6행)로 나누어져 있으며, 3음보와 4음

보의 공존 속에 후렴구를 동반하고 있다. 각 연은 사대부들이 가장 이상적

으로 생각하는 사물이나 대상들을 나열하고, 그것을 장면화하여 감흥을

표출하고 있다.

감상의길잡이

‘한림별곡’은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경기체가의구조

‘한림별곡’을 비롯한 경기체가

는 객관적 사실이나 사물을 나열

하는 부분과, 여기에서 비롯된

감정을 표현하는 부분이 결합된

형식이다. 이러한 형식적 구속력

은 사대부들의 이상과 자긍을 드

러내는 효과적인 미학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그러나 경기체가는 고려 시대

를 거쳐 조선 중기까지 간간이 창작되었고, 작품도 20여 편에 지나지 않는

다. 또한 이들 작품들은‘~景 긔 엇더하니잇고’라는 장르 지표의 표현을

제외하고는 상당한 일탈과 파격을 보여 준다.

전대절3음보 / 나열

(확장)

1행 ─

2행 ─

3행─

4행 ─

후소절4음보 / 종합

(장면화)

5행 ─

6행 ─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소재 주제 세계관

서적(書籍) 지식수련과학식에대한자긍심

명필(名筆) 유행서체와필기구등명필찬양

명주(名酒) 상류계층의주흥(酒興) 예찬

화훼(花卉) 화원(花園)의 경치예찬

음악(音樂) 흥겨운주악(奏樂)의 흥취예찬

누각(樓閣) 후원(後園)의 경치감상

추천( 韆) 그네뛰기의흥겨운광경과풍류생활예찬

시부(詩賦) 문장가·시인등의명문장찬양문사들의

학문에대한기개와

의식세계반영

극단적인향락의

생활상과풍류과시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58

Page 16: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제1장과 제8장 중 하나를 택한 후, 각 장별 내용을 참고하여 이 작품이 향유

되었을 당시의 상황이나 장면을 추리하여 써 보자. 2

멀리뛰기창작활동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9*

다음 활동을 통해 이 작품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1

•제시된부분외에도개연성이있을만한내용을함께상상해볼것.

•서술은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의 시선

에비치는모습을이야기식으로구성할것.

•분량은 600자내외로할것.

조건

도움닫기

(1) 제1장에서 나열된 내용을 서로 연관되는 항목끼리 이어 보고, 이렇게 사물

을 나열한 의도를 써 보자.

(2) 제1장과 제8장의 소재를 각각 찾아보고, 그 중심 내용을 정리해 보자.

•유원순 사륙변려문

•이인로 대책문

•이공로 문장

•이규보, 진화 시(詩)

•유충기 경서해석

•민광균 시(詩)와부(賦)

•김양경 운을맞추어쓴글

나열된내용연결 나열한의도

제1장

제8장

장 소재 중심내용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59

Page 17: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60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국성(麴聖)1)의 자(字)는 중지(中之)2)니, 관향(貫鄕)3)은 주천(酒泉)4) 고을

사람이다. 어려서 서막(徐邈)에게 사랑을 받아, 막(邈)이 이름과 자를 지어

주었다. 그의 먼 조상은 본시 온(溫)이라는 고장의 사람으로 항상 힘써 농

사를 지으면서 자급하면서 살고 있었는데, 정(鄭)나라가 주(周)나라를 칠

때에 포로가 되어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였으므로, 그 자손의 일파가 정

나라에서 살게 되었다. 그의 증조(曾祖)는 역사에 이름이 나타나지 않았

고, 조부 모(牟)5)는 살림을 주천으로 옮겨, 이때부터 주천에서 살게 되었

다. 아버지 차( )6)에 이르러서 비로소 벼슬길에 나아가 평원독우(平原督

郵)의 직을 역임하였고, 사농경(司農卿)7) 곡(穀)씨의 딸과 결혼하여 성(聖)

을 낳았다.

성은 어렸을 때부터 도량이 넓고 침착하여, 아버지의 손님이 그 아비를

보러 왔다가도 성을 유심히 보고 그를 사랑하였다. 손님들이 말하기를

“이 아이의 도량이 출렁출렁 넘실넘실 만경(萬頃)의 물결과 같아서, 가라

앉히더라도 더 맑아지지 않으며, 뒤흔들어도 탁해지지 않으니 우리는 그

대와 더불어 이야기하기보다는 성과 함께 기뻐함이 좋네.”

성이 자라서, 중산에 사는 유영(劉伶)8), 심양에 사는 도잠(陶潛)9)과 벗

이 되었다. 이들은 서로 말하기를,

“하루라도 이 친구를 만나지 못하면 심중에 비루함과 인색함이 생긴

다.”라고 하며, 만날 때마다 해가 저물도록 같이 놀고, 서로 헤어질 때는

항상 섭섭해하였고, 기쁨을 잊고 문득 마음이 황홀해서 돌아왔다.

국가에서 조구연(糟丘椽)10)을 시켰으나, 미처 나아가지 못하였고, 또 나

라에서 청주종사(淸州從事)로 불러, 공경들이 계속하여 그를 조정에 천거

했다. 위에서 명하여 공거(公車)를 보내서 부른 다음 목송(目送)11)하여 말

하기를,

5

10

15

20

25

1) 국성 맑은 술. 술을 의인화

한호칭.

2) 중지 곤드레만드레.

3) 관향 시조가난땅.

4) 주천 중국춘추전국시대의

주(周)나라에 있던 땅 이름. 이

곳의 물로 술을 빚으면 술맛이

좋다고함.

5) 모 보리를의인화한것.

6) 차 흰술을의인화한것.

7) 사농경 한나라 때 9경의 하

나로, 미곡(米穀)과 전적(田籍)

을맡아보았음.

8) 유영 위진시대죽림칠현(竹

林七賢)의한사람. 술의덕을찬

양한‘주덕송(酒德頌)’을 지었

음.

9) 도잠 술을 즐겼던 당(唐)나

라시인도연명의본명.

10) 조구연 아전 직책. 원래는

술지게미를 산처럼 쌓은 더미를

뜻함.

11) 목송 상대방을 눈길로 바

라보며배웅함.

가전문학에반영된작자의현실인

식을염두에두고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국선생전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0

Page 18: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61*

“저 군이 주천의 국생(麴生)인가? 짐(朕)이 그대의 향기로운 이름을 들

은 지 오래다.”

이보다 앞서 태사(太史)가 임금께 아뢰기를, “지금 주기성(酒旗星)이 크

게 빛을 낸다 하더니.”이렇게 아뢰고 나서 얼마 안 되어 성이 이른지라,

임금이 또한 이로써 더욱 기특하게 여겼다. 임금은 즉시 곧 주객 낭중(主

客郞中) 벼슬을 시키고, 이윽고 국자 좨주(國子祭酒)12)로 올려 예의사(禮

儀使)13)를 겸하게 되었다.

무릇 조회(朝會)의 잔치와 종조(宗祖)14)의 제사, 천식(薦食)15), 진작(進

酌)16)의 예(禮)가 임금의 뜻에 맞지 않음이 없는지라. 이에 임금은 그의

그릇이 듬직하다 하여 승진시켜 승정원 재상으로 있게 하고 후설(喉舌)17)

의 직에 두고, 우례(優禮)18)로 하여 매양 들어와 출입할 적에도 교자(轎

子)19)를 탄 채로 전(殿)에 오르라 명하며, 이름을 부르지 않고 국 선생(麴

先生)이라 일컬었다. 임금의 마음이 불쾌함이 있어도 성이 들어와 뵈면

임금은 비로소 크게 웃으니 무릇 사랑받음이 모두 이와 같았다.

원래 성은 성질이 구수하고 아량이 있었다. 날이 갈수록 사람들과 친근

해졌고 특히 임금과는 조금도 스스럼없이 가까워졌다. 자연 임금의 사랑

을 받게 되어 항상 따라다니면서 잔치 자리에서 함께 놀았다.

5

10

15

12) 국자좨주 벼슬이름. 원래

는 나라의 제사에 올리는 술을

뜻함.

13) 예의사 예의범절을 맡아

보는관리.

14) 종조 역대임금들.

15) 천식 신에게 바치는 새로

수확한과일이나농산물.

16) 진작 임금에게 나아가 술

잔을올림.

17) 후설 중책을맡은재상. 원

래는목구멍과혀를뜻한다.

18) 우례 융숭한대접.

19) 교자 높은 벼슬아치가 타

던가마.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1

Page 19: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62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성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다. 곡(酷)20)과 포( )21)와 역( )22)이다. 이들

은 그 아비가 임금의 사랑을 받는 것을 믿고 방자하게 굴었다. 중서령(中

書令) 모영(毛潁)23)이 임금에게 글을 올려 탄핵했다. 그 글은 이러했다.

“행신(倖臣)24)이 폐하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는 것을 천하 사람들은 모

두 병통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제 국성이 조그만 신임을 받고 조정에 쓰

이고 있어 요행히 벼슬 계급이 3품에 올라서, 많은 도둑을 궁중으로 끌

어들이고 사람들을 휘감아서 해치기를 일삼고 있사옵니다. 이것을 보고

모든 사람들이 분하게 여겨, 소리치고 반대하며 머리를 앓고 가슴 아파

합니다. 이 자야말로 국가의 병통을 바로잡는 충신이 아니옵고, 실상 만

백성에게 해독을 주는 도둑이옵니다. 더구나 성의 자식 셋은 제 아비가

폐하께 총애받는 것을 믿고, 제 마음대로 세상에 횡행하고 방자하게 굴

어서 모든 사람들이 다 괴로워하고 있사옵니다. 바라옵건대 이들에게

모두 사형을 내리셔서 모든 사람들의 입을 막으시옵소서.”

이에 성의 아들 셋은 즉시 독약을 마시고 자살했다. 성도 죄를 받아 서

인으로 폐해졌다. 한편 치이자( 夷子)25)도 성과 친하게 지냈다 해서 수레

에서 떨어져 자살했다.

처음에 치이자는 우스갯소리를 잘해서 임금의 사랑을 받았다. 자연 국

성과 친하게 되어, 임금이 출입할 때에는 항상 수레에 실려 다녔다. 어느

날 치이자는 몸이 곤해서 누워 있었다. 성이 희롱하여 물었다.

“자네는 배는 크지만 속이 텅 비었으니 그 속에 무엇이 있는가?”

치이자가 대답했다.

“자네들 수백 명은 넉넉히 용납할 수가 있지.”

이들은 이렇게 항상 서로 우스갯소리를 하며 지냈다.

성이 이미 벼슬을 그만두자 제 고을〔제군(齊郡)〕과 격 마을〔격주( 州)〕26)

사이에서 도둑들이 떼 지어 일어났다. 이에 임금은 이들을 토벌하라는 명

을 내렸다. 하지만 적임자가 쉽게 물색되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다시 성

을 기용해서 원수로 삼아 토벌하도록 했다. 성은 부하 군사를 몹시 엄하

게 통솔했고, 또 모든 고생을 군사들과 같이했다. 수성(愁城)에 물을 대어

한 번 싸움에 이를 함락하고 나서 거기에 장락판(長樂阪)을 쌓고 회군하

였다. 임금은 그 공로로 성을 상동후(湘東侯)에 봉했다.

“신은 본래 가난한 집 자식이옵니다. 어려서는 가난하고 천한 몸이라

이곳저곳으로 팔려 다니는 신세였습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폐하를 뵙게

되자, 폐하께서는 마음을 놓으시고 신을 받아들이셔서 할 수 없는 몸을

5

10

15

20

25

30

20) 곡 텁텁한술맛의형용.

21) 포 진한술.

22) 역 쓴술.

23) 모영 붓을의인화한이름.

24) 행신 간사한신하.

25) 치이자 술항아리. 원래는

말가죽으로만든술주머니를뜻

함.

26) 제고을〔제군〕과격마을〔격

주〕제고을의‘齊’와배꼽을뜻

하는‘臍’, 격 마을의‘ ’과 가

슴을 뜻하는‘膈’은 음이 서로

같음.

평원독우와청주종사

평원독우의‘郵(우)’를‘憂’로

바꾸면‘근심 없이 하는 벼슬’

이란뜻이다. ‘평원’은격마을

에있으므로, 펑원독우는격상,

곧명치부위에머물러숨이막

히게하는좋지못한술을말한

다. 청주종사의‘靑州’를‘淸酒’

로바꾸면, ‘술마시는것을일

로 삼아 한다.’는 뜻이다. ‘청

주’는제마을에있으므로, 청주

종사는 배꼽 아래까지 잘 넘어

가는좋은술을가리킨다.

자료꾸러미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2

Page 20: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63*

건져 주시고 강호의 모든 사람들과 같이 용납해 주셨습니

다. 하오나 신은 일을 크게 하시는 데 더함이 없었고, 국가

의 체면을 조금도 더 빛나게 하지 못했습니다. 저번에 제

몸을 삼가지 못한 탓으로 시골로 물러나 편안히 있었사온데,

비록 엷은 이슬은 거의 다 말랐사오나 그래도 요행히 남은 이

슬 방울이 있어, 감히 해와 달이 밝은 것을 기뻐하면서 다시금

찌꺼기와 티를 열어젖힐 수가 있었나이다. 또한 물이 그릇에 차면

엎어진다는 것은 모든 물건의 올바른 이치옵니다. 이제 신은 몸이 마

르고 소변이 통하지 않는 병으로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사옵니다. 바라

옵건대 폐하께서는 명령을 내리셔서 신으로 하여금 물러가 여생을 보내

게 해 주옵소서.”

그러나 임금은 이를 승낙하지 않고 중사(中使)를 보내어 송계(松桂), 창

포(菖蒲) 등의 약을 가지고 그 집에 가서 병을 돌봐 주게 했다. 성은 여러

번 글을 올려 이를 사양했다. 임금은 부득이 이를 허락하여 마침내 고향

으로 돌려보냈다. 그는 천수(天壽)를 다하고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우는 현(賢)27)이다. 그는 벼슬이 이천 석에 올랐다. 아들이 넷인

데 익( )28), 두( )29), 앙( )30), 남( )31)이다. 이들은 도화즙을 마셔 신선

이 되는 법을 배웠다. 또 성의 조카들에 주( )32), 만( )33), 염( )34)이

있었다. 이들은 모두 평(萍)씨에 속하였다.

사신(史臣)은 말한다.

“국씨는 원래 대대로 내려오면서 농가 사람들이었다. 성이 유독 넉넉한

덕이 있고 맑은 재주가 있어서 당시 임금의 심복이 되어 국가의 정사에

까지 참여하고, 임금의 마음을 깨우쳐 주어, 태평스러운 푸짐한 공을 이

루었으니 장한 일이다. 그러나 임금의 사랑이 극도에 달하자 마침내 국

가의 기강을 어지럽히고 화가 그 아들에게까지 미쳤다. 하지만 이런 일

은 실상 그에게는 유감이 될 것이 없다 하겠다. 그는 만절(晩節)35)이 넉

넉한 것을 알고 자기 스스로 물러나 천수를 다하였다. 주역에‘기미를

보아서 일을 해 나간다.’36)라고 한 말이 있는데 성이야말로 거의 여기

에 가깝다 하겠다.”

5

10

15

20

25

27) 현 탁주를 현자에 비유한

것임.

28) 익 빛깔이있는술.

29) 두 막걸리.

30) 앙 발효 도중에 곡물과 누

룩을 더 섞어 알코올 도수를 높

인술.

31) 남 과일주.

32) 주 술이름.

33) 만 골마지. 술이나간장등

물기많은음식에생기는곰팡이

같은흰물질.

34) 염 신술, 초가다된술.

35) 만절 나이가 들어 늙었을

때.

36) 사태나현상을미리짐작하

여파악하고행동에옮긴다는뜻의

‘견기이작(見機而作)’을가리킴.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3

Page 21: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64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국선생전’은 임춘의‘국순전’과 함께 술을 의인화한 가전 양식이다.

‘국선생전’에서 이규보는 술을 의인화한 인물을 선생이라 일컫고 매우 긍

정적으로 그리고 있다. 주인공‘국성’은 벼슬을 통해 임금의 마음을 기름

지게 하는 충신의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또한 그는 성안 사람들을 괴롭히

는 도적을 평정하는데, 여기서 도적은 곧 근심을 말하므로 술이 근심을 다

스리는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이규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술’이라는 사물을 통해 제시한 것이니, 그의 적극적이고 낙관적인 현실

인식을 엿볼 수 있다.

감상의길잡이

‘국선생전’은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우의(寓意)의전통과가전문학

넓고깊게이해하기

‘국선생전’의짜임

우의(寓意)의 표현 방식은 세상사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빗대어 말함으로써 그 비판과 풍자의 효과를 배가하는 문학적 장치이다.

우리 문학에서 우의의 전통은 통일 신라 시대 설총의‘화왕계’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고려 후기, 사물을 의인화하여 세상사의 모순을 풍자한 가

전 문학은 우의의 문학 양식이 뿌리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현실

의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은 증대하였으나 이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신진 사대부들은 사물의 의인화라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자신의 세계 인식을 드러내었던 것이다.

‘국선생전’은‘도입–전개–비평’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각 부분의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성의가계와신분도입

•국성의인품과행적

•국성의세아들과친구의죽음, 국성의내쫓김.

•국성의도적토벌과귀향후의죽음

전개

국성의생애에대한사관(이규보)의 평가비평

주요내용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4

Page 22: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3)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65*

‘국선생전’을 읽고 등장인물을 다음의 기준에 따라 구분해 보자. 2

(1)

(2)

역사적인물 유영,

허구적인물 국성,

사실적인물 도잠,

비유적인물 치이자,

긍정적인물 국성,

부정적인물 국혹,

도움닫기

다음 활동을 통해 중심 내용을 파악해 보자.1

(1) 주인공이‘국 선생’으로 예우된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2) ‘좋은 술’과‘나쁜 술’을 각각 비유한 말을 찾아보자.

(3) ‘국성’의 성격과 교우 관계는 어떠했는지 말해 보자.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5

Page 23: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6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가족 관계를 가계도로 나타내 보자.4

이 글과 같은 가전체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를 문학 형식과 내용의 영향 관계

를 중심으로 서술해 보자.3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6

Page 24: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67*

가전 문학의 갈래적 특징과 서술 방식을 참고하여 작품을 창작하려고 한다.

‘연필’을 소재로 하여‘필선생전’을 지을 때, 제시된 표를 완성해 보자.5

주제독자에게교훈을주거나현실을풍자

하는주제를생각해보자.

‘전’을 짓게 된 동기나 인물의 계보

등을상상하여써보자.

인물의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있었던일들을차례대로서술해보자.

역사가의입장에서인물의일생을평

가하는글을써보자.

도입부

전개부

결말부

필선생전 유의점

멀리뛰기

창작활동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7

Page 25: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68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02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학습목표|

성리학이 가장 발달한 시기인 조선 전기의 작품들은 대부분 자연이나 심성

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훈민정음의 창제는 국문 문학이 본격적

으로 성장하는 중요한 문학사적 계기가 되었다. 이 시대의 새로운 지배 계층

인 양반 사대부들은 시조와 가사를 통해 유교 이념과 함께 자연과 사회의 관

계에 대한 성찰을 노래하였다.

조선 전기 문학 중에는 개인적인 목적의‘수기(修己)’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목적의‘치인(治人)’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작품도 많다. 이들 작품은 유학이

라는 새로운 이념을 전파하여 새로운 중세 질서를 구축하려는 노력의 산물이

다. 그리고 정치 현실에 대한 사대부들의 의식을 전형적으로 표현한 작품들

도 창작되었다. 송순의‘면앙정가( 仰亭歌)’나 이황의 연시조인“도산십이곡

(陶山十二曲)”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밖에 서사 양식에 대한 사대부들의

관심 또한 커지면서 인간이나 현실의 문제를 다양한 이야기로 표현하는 소설

문학이 발전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김시습의“금오신화(金鰲新話)”이다.

이시기의한국문학

조선 초기의 대표적 시가 양식으로는 유교 사상을 통치 이념으로 내세우는

‘악장’이 등장한다. 이는 좁은 의미의 개념으로서 유학의 원리를 기본으로

하면서 조선 왕조의 무궁한 발전을 송축하고 기원하는 목적을 수행하는 시가

양식을 일컫는다. 대표작으로는‘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이 있다.

조선 초기를 거치면서 시조와 가사가 이 시대의 주류 양식으로 떠올랐다.

시조는 고려 말에 형식이 완성되어 조선 시대 이후 대표적인 시가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시조는 담백하고 절제된 언어와 정제된 형식으로 사대부의 이념

과 미의식을 잘 드러내었을 뿐만 아니라, 한시로는 표현하기 힘든 우리 고유

의 정감과 흥취를 노래하였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우탁, 이현보, 이황, 권호

문, 정철, 신흠, 황진이 등이 있다. 그중 사대부의 작품은 자연 속에서 심성

을 기르자는 교훈을, 기녀들은 연인에 대한 애틋한 정을 노래하고 있다.

이시기의시가문학

1. 훈민정음의창제가우리문학에미친영향을이해한다.

2. 초기시조와가사문학의특징과양상을이해한다.

3. 이 시기의대표적인소설작품을감상하고이해한다.

▲ 이황이세운도산서원

▲ 악장의대표작인‘월인천강지곡’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8

Page 26: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69*

가사의 첫 작품은 정극인의‘상춘곡(賞春曲)’이라고 알려져 있

다. 강호 자연을 노래하면서도 뛰어난 표현을 보여 주고 있어, 송

순의‘면앙정가’, 정철의‘성산별곡(星山別曲)’등 후대 작품에 많

은 영향을 끼쳤다. 이 밖에도 유배 가사인 조위의‘만분가(萬憤

歌)’, 정철의 연군가인‘사미인곡(思美人曲)’과‘속미인곡(續美人

曲)’, 기행 가사인‘관동별곡(關東別曲)’등은 국문 문학이 지닌 언

어의 아름다움과 다채로운 미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❶이 시기에 시조와 가사가 융성할 수 있었던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해 알아

보자.

❷김시습의“금오신화”가지닌국문학사적의의를정리해보자.

짚고가기

이 시기는 고소설이 본격적인 성취를 보여 주는 단계로, 그 대

표적인 작품이 김시습의“금오신화”이다. 부당한 사회 현실에 굴

복하지 않고 저항적인 삶을 살았던 만큼, 김시습의 작품에는 자

아를 억압하는 세계의 모순적 현실이나 현세적 삶의 욕망과 좌절

등이 전기적(傳奇的) 수법이나 우의(寓意)의 형태로 그려져 있다.

5편의 단편으로 되어 있는“금오신화”에서‘취유부벽정기(醉遊浮

碧亭記)’,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

記)’는 애정의 성취와 비극적 결말을 보여 준다. 여기서 자유로운 애정을 가

로막는 봉건 사회의 견고한 신분 질서에 대한 작자의 문제의식을 엿볼 수 있

다. 또한‘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과‘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는 비현실적

인 공간을 배경으로 높은 수준의 철학적 담론과 현실 비판을 다루어 지식인

으로서 작자의 이상과 좌절을 담고 있다.

이 밖에도 이 시기에는 전기적(傳奇的) 모티프를 특징으로 하는 소설이나,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같은 환몽 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몽유록계 소설이

등장하여 소설사의 지평을 넓히며 서사 문학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시기의서사문학

▲ 송순의가사‘면앙정가’의배경인면앙정

▲ 우리나라 한문 소설의 효시인

김시습의“금오신화”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69

Page 27: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70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춘산(春山)에 눈 노기 람 건듯 불고 간 업다.

져근듯 비러다가 리 우희 불니고져.

귀 밋 무근 셔리를 녹여 볼가 노라.

우 탁

내 언제 무신(無信) 야 님을 언제 속엿관듸

월침삼경(月沈三更)1)에 온 지 전(全)혀 업다.

추풍(秋風)에 지는 닙 소 야 낸들 어이 리오.

황 진 이

고려 말의 문신. 원나라를 통해 들어

온 정주학(程朱學) 서적을 처음 해독

하고 후진에게 가르치는 등, 경사(經

史)와역학(易學)에통달하였다.

우탁(禹卓, 1263~1342)

중종때의송도(松都) 기녀로, 기생이

름은 명월(明月). 빼어난 미모에 시조

와한시, 서화, 음률에도조예가깊어

유명인사들과폭넓게교류하면서많

은일화를남겼다.

황진이(黃眞伊)

문학과 음악의 통일성을 가진 고전

시조의 전통을 이해하고, 우리말의

풍부한표현력을느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시조세편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0

Page 28: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1

산전(山前)에 유대(有臺) 하고 대하(臺下)에 유수(有水)로다

떼 많은 갈매기는 오명가명 하거든

어떻다 교교백구(皎皎白驅)2)는 멀리 마음 하는고.

— 언지(言志) 제5

춘풍(春風)에 화만산(花滿山) 고 추야(秋夜)에 월만대(月滿臺)라.

사시가흥(四時佳興)3)이 사람과 한가지라.

하물며 연비어약(鳶飛魚躍)4) 운영천광(雲影天光)5)이야 어느 끝이 있으리.

— 언지(言志) 제6

도산십이곡이 황

조선 중기의 학자. 대표적인 성리학

자로선조 2년인 1569년에귀향하여

도산서원에서교육과학문에힘썼으

며, 국문 시가로“도산십이곡(陶山十

二曲)”을지었다.

이황(李滉, 1501~1570)

1) 월침삼경 달도없는깊은밤.

2) 교교백구 희고 깨끗한 말.

성현이타는말.

3) 사시가흥 사계절의 아름다

운흥취.

4) 연비어약“시경(詩經)”에

나오는구절. ‘물고기가뛰고소

리개가 난다’는 뜻으로 우주 자

연의오묘한이치를일컬음.

5) 운영천광 도산서원에있었

던 대(臺)의 이름. 구름 그림자

와 하늘빛이란 뜻으로, 만물이

하늘의운행조화를얻은이치를

가리킴.

**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1

Page 29: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72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시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시기에 본격적으로 형성되고 발

전하였다. 전체적으로는 무너진 고려 왕조에 대한 회고와 한탄의 정조로

부터, 자연과의 합일, 이상적 사회의 실현과 같은 철학적 주제에 이르기까

지 다양한 주제들을 노래하였다. 시조라는 장르가 태동·발전하는 시기이

지만, 그 미학적 특질이 상당히 수준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후 시조가

융성하는 계기가 마련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우탁, 황진이, 이

황의 작품을 중심으로 늙음, 애정, 자연과의 조화 등 다양한 층위의 작품

을 살펴보았다.

감상의길잡이

초기시조들을어떻게볼것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가창과시조사의전개

넓고깊게이해하기

‘도산십이곡’의구성

시조사의 전개는 흔히 작자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렇게

노랫말 중심으로 보면 시조사를 이끈 담당층으로서 자연스레 사대부 남성

들에게 초점을 맞추게 된다. 그러나 시조는 기본적으로 시이면서 노래이

기 때문에 음악적 성격과 떼놓고 생각할 수 없다. 음악적 측면의 기여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사대부 남성들의 시조 창작과 향유

에 함께 관여하면서 시조 문화를 꽃피우는 동반자 역할을 수행했던 기녀

들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작자와 가자(歌者)로서의 역할에 주목한

다면, 기녀 등 여성 가자의 역할이 지니는 시조사적 의미에 대해서도 주목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도산십이곡’은 전6곡(언지)과 후6곡(언학)의 총 12곡으로 이루어져 있

다. 전6곡은 자연에 동화된 생활 자세를 표현한 것이며, 후6곡은 학문과

수양에 정진하는 태도를 표현한 것이다.

자연에동화된생활을하면서사물을대할때일어나는감흥을노래함.전반부(언지)

학문과수양에힘쓰는마음을노래함.후반부(언학)

자연을멀리하는현실세태에대한비판언지제5

대자연의웅장함에도취된화자의모습언지제6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2

Page 30: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3*

(1) 각 작품에 설정된 계절이 함축하는 바를 정리해 보자.

제시된 시조 작품들의 시간적 배경을 중심으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1

춘산에눈노기 람 겨울

내언제무신 야 쓸쓸함과외로움을깨닫게하는상황

춘풍에화만산 고 봄, 가을

작품명 계절적배경 계절이함축하고있는의미

(2) 위 활동을 바탕으로 세 친구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세 친구의 의견 중에서

적절하지 않은 의견을 찾아 바르게 고쳐 보자.

세 작품 모두에 공통적으로 설정된 계절적 배경은 마치 연

극의 무대 배경처럼 삶의 어떤 조건이나 상황을 의미하고 있는 것 같

아. 황진이의 시조에‘월침삼경(月寢三更)’이라는 말이 나와. 이것이

굳이‘달도 저문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를 말하려는 건 아닐 거

야. 마찬가지로‘추풍’역시 계절이 가을이라서 사용한 단어도 아니

겠지.

그건 갈래 관습이라기보다는 자연에 대한 중세 사람들의 사

고방식이나 가치관을 드러낸 것이라고 생각해. 이황의 시조에‘춘풍’

과‘추야’는 각기‘화만산’과‘월만대’에 대응하잖아? 때가 되면 일

이 이루어지는, 자연의 이법을 말하는 논리인 거지. 이렇게 인식하고

사는한, 자연은정복의대상이아닌순응의대상이되는거야.

자연을 순응의 대상으로 본다고 했지? 그러나 봄, 여름, 가

을, 겨울로 이어지는 계절의 변화처럼 인간의 삶이 태어나서 자라고

번성하며 늙어 죽게 되는 순응성이 우탁의 시조에는 나타나지 않아.

오히려적극적으로맞서이겨내려는태도, 그러니까“셔리를녹여볼

가 노라.”같은표현이이작품의핵심이라고생각해.

도움닫기

재현

형식

수용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3

Page 31: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74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다음〈자료〉는 본문에 제시된 것과 같은 주제를 가진 우탁의 또 다른 시조이

다. 그러나 두 작품은 주제의 발상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 차이를 다

음 도식을 활용하여 설명해 보자.

2

이황의‘도산십이곡’과 아래의 시조를 비교해 보고, 작품에 나타난 자연의 모

습과 화자의 인식에서 엿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3

잔들고혼자안자먼뫼흘 라보니

그리던님이오다반가옴이이리 랴.

말 도우움도아녀도 내됴하 노라.

—윤선도, ‘만흥(漫興)’제3수

한손에가시를들고또한손에막대들고늙는길가시로막고오는백발막대로 치렸더니,백발이제먼저알고지름길로오더라.

공통점

차이점

‘도산십이곡’ ‘만흥’제3수

나문제

( )

해결수단

( )

문제해결실패의원인

( )

원인

( )

➞ ➞

도움 자료

6수의 연시조로, 산속에서

자연을벗삼아살아가는인

생의유유자적한멋을노래

한작품이다.

문학(2)02(044~093)-ok 2011.7.6 6:22 PM 페이지74

Page 32: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5*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은 시조 작품을 10편 이상 모아 각 시조의 종장을 빈칸

에 적어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4

(1) 종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2) 이를 통해 볼 때, 시조의 종결 구조가 갖는 특징은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멀리뛰기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5

Page 33: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7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전라도 남원(南原)에 사는 양생(梁生)은 일찍이 어버이를 여읜 뒤 여태

껏 장가를 들지 못하고 만복사(萬福寺) 동쪽 골방에서 홀로 세월을 보내

고 있었다. 고요한 그 골방 문 앞에는 배나무 한 그루가 우뚝 서 있었는

데, 바야흐로 봄을 맞이하여 꽃이 활짝 피어 온 뜰 안 가득 백옥의 세계

를 환하게 밝혀놓았다.

그는 달 밝은 밤이면 언제나 객회(客懷)1)를 억누르지 못하여 나무 밑을

거닐곤 했는데, 어느 날 밤 그 꽃다운 정서를 걷잡지 못하고 문득 시 두

수(首)를 지어 읊었다.

한 그루의 배꽃나무 외로움을 달래 주나

휘영청 달 밝으니 허송하기 괴롭구나.

푸른 꿈 홀로 누운 호젓한 들창가로

어느 집 이쁜 님이 퉁소를 불어 주네.

외로운 저 비취는 제 홀로 날아가고,

짝 잃은 원앙새는 맑은 물에 노니는데

기보(棋譜)2)를 풀어 보며 인연을 그리다가

등불로 점치고는 창가에서 시름하네.

시(詩)를 다 읊고 나자 별안간 공중에서 이상한 말소리가 들려온다.

“진정으로 자네가 좋은 배필을 얻고자 하는데 그 무엇이 어려울 게 있

으리요?”

이 소리를 듣고 난 양생은 속으로 상당히 기뻐하였다.

그 이튿날은 마침 3월 24일이었다. 해마다 이날이 되면 그곳 마을의 많

5

10

15

20

김 시 습

1) 객회 객지에서 느끼게 되는

울적하고쓸쓸한느낌.

2) 기보 바둑이나장기두는법

을적은책.

조선 전기의 학자. 생육신의 한 사람

이며, 유(儒)·불(佛) 정신을 아우르는

사상과탁월한문장으로이름을떨쳤

다. 금오 산실에서 한국 최초의 한문

소설“금오신화”를썼다.

김시습(金時習, 1435~1493)

비현실적인 설정을 바탕으로 남녀

간의애정을다룬전기소설이다. 작

품에 나타난 사건의 현실적 의미를

이해하면서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만복사저포기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6

Page 34: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7*

은 청춘 남녀들이 으레 만복사를 찾아가 향불을 피우고는 각기 제 소원을

비는 풍습이 있었다.

이날 양생은 저녁에 기도가 끝나자 법당에 들어가서 소매 깊이 간직하

고 갔던 저포(樗蒲)3)를 꺼내어 불전(佛前)에 던지기 전에 먼저 소원의 기

도를 하였다.

“자비로운 부처님, 오늘 저녁엔 제가 부처님과 함께 저포 놀이를 하려

고 합니다. 만약에 제가 지면 법연(法筵)4)을 차려서 부처님께 갚아 드릴

것이고, 만일 부처님께서 지시면 반드시 제 소원인 어여쁜 아가씨를 얻

게 해 주시옵소서.”

축원을 마치고는 즉시 저포를 던지자, 과연 그는 소원대로 승리를 얻게

되었다.

그는 매우 기뻐서 다시금 불전에 꿇어앉아 말씀을 드렸다.

“부처님이시여, 꽃다운 인연은 이미 정해졌으니 부디 소홀히 하시지나

마시옵길 간절히 바라옵나이다.”

그는 불좌(佛座) 뒤에 깊숙이 앉아서 동정을 엿보았다.

얼마 안 되어 과연 아가씨 하나가 들어오는데, 나이는 한 열 대여섯 살

쯤 되어 보이고, 새까만 머리에 화장을 곱게 한 얼굴이 마치 채운(彩雲)5)

을 타고 내려온 월궁의 선녀와 같고 자세히 보면 볼수록 너무나도 곱고

얌전하였다.

그녀는 백옥 같은 손으로 등잔에 기름을 부어 불을 켜고 향로에다 향을

꽂은 뒤 세 번 절을 하고는 꿇어앉아 슬피 탄식하였다.

“아아, 인생이 박명하다고는 하나 어찌 이와 같을 줄 알았겠는가?”

그녀는 품안에 간직하였던 축원문을 꺼내어 삼가 불탁(佛卓) 위에 얹어

놓고는 또다시 흐느껴 울었다.

이 모습을 엿보고 있던 양생은 방탕한 정서를 걷잡지 못하여 갑자기 불

좌 뒤에서 튀어나오며 말했다.

“아가씨, 당신은 도대체 누구며, 방금 불전에 바친 글월은 무엇이오?”

양생은 그녀의 대답을 기다리지도 않고 곧 불전에 바친 글월을 집어 들

었다.

○○ 고을 ○○ 동리에 사는 소녀 ○○는 외람됨을 무릅쓰고 부처님께

말씀드리옵니다. 이마적6) 변방이 허물어져 도적들이 노리더니 표독한 왜

구(倭寇)가 침입해 와, 봉화를 자주 들고 전투를 계속했습니다. 왜구가 건

5

10

15

20

25

30

3) 저포 주사위같은것을나무

로 만들어 던져서 그 끗수로 승

부를 겨루는 것으로, 윷놀이와

비슷하다.

4) 법연 부처 앞에 절하는 자

리.

5) 채운 상서로운구름.

6) 이마적 지나간 얼마 동안의

가까운때.

여인이죽어있는상태임을짐작

할수있는내용을추측해보자.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7

Page 35: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78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물을 파괴하고 백성을 노략해 가자, 친척과 노복이 동서남북 사방으로 정

처 없이 분산되었습니다. 이제 버드나무같이 가냘픈 소녀의 몸이라 먼 길

피난하기가 여의치 못하여 심규(深閨)7)에 숨어들어 금석 같은 굳센 정절

더럽힘이 없었건만, 야속한 우리 부모 이 여식의 수절을 과히 그르지 않

다 여겼기에 벽지(僻地)에 옮겨두어 초야(草野)에 묻혀 살기를 속절없이

3년이라. 달 밝은 가을밤, 꽃피는 봄 동산, 들 구름 흩날리고 흐르는 물이

처량할 제 그윽한 골짜기에 평생 박명 한숨에 겨워 때때로 임을 그려 채

란(彩鸞)8)의 외로운 춤을 슬퍼하였는데, 세월이 흘러 흘러 계절이 바뀌니

서러운 간장 다 녹이고 혼백마저 흩어졌나이다. 자비하신 부처님이시여!

이 소녀를 불쌍히 여기시어 각별히 돌보아 주시옵소서. 인간의 한평생은

수명이 정해져 있고, 부부의 백년가약을 어길 수 없사오니, 아무쪼록 꽃

다운 배필을 점지해 주시기를 간절히 바라옵니다.

양생은 이 글월을 다 읽고는 얼굴에 기쁨을 가득 띄우고 말했다.

“아가씨, 당신은 도대체 어떤 사람이기에 이 밤에 여기까지 오셨소?”

그녀는 대답했다.

“저도 역시 사람입니다. 저를 의아한 눈으로 보지 마십시오. 당신은 다

만 좋은 배필을 얻으려는 것뿐이시겠지요?”

이때 만복사는 이미 퇴락(頹落)9)하여 승려들은 한쪽 구석진 골방으로

옮겨 가 있었고, 법당 앞에는 행랑만이 쓸쓸히 남아 있었으며, 행랑이 끝

난 곳에 좁다란 판자방이 하나 있었다.

양생은 그녀에게 그곳으로 들어가자고 눈짓을 하였다. 그녀도 별로 어

렵지 않게 생각하고는 그의 뒤를 따라 들어가, 문득 운우(雲雨)10)의 즐거

움을 누렸다.

바야흐로 밤은 깊어가고 달이 동산에 떠올라 그림자가 창을 비추는데,

갑자기 창밖으로부터 발걸음 소리가 들려왔다. 그녀가 문을 열고 내다보

니, 그녀의 수발을 드는 시녀(侍女)였다. 그녀는 반가워서 물었다.

“얘야, 어떻게 여기를 찾아왔느냐?”

아이가 말했다.

“예, 평소에는 문밖에도 나가시지 않던 아가씨가 가신 곳이 없어 허둥

지둥 찾아 이곳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말했다.

“응, 오늘 일은 결코 우연이 아닌 것 같구나. 높으신 하느님과 자비하신

5

10

15

20

25

30

7) 심규 여자가거처하는, 깊이

들어앉은집이나방.

8) 채란 아름다운 빛깔의 난새

의일종.

9) 퇴락 낡아서 무너지고 떨어

짐.

10) 운우 남녀 사이에 육체적

으로관계함.

양생의 질문과 아가씨의 답변에

서 긴장감을 느낄 수 있는 이유

는무엇인가?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8

Page 36: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79*

부처님께서 점지해 주신 덕에 고운 임을 맞이하여 백년해로의 가약을

맺게 되었다. 미처 알리지 못한 것은 예도에 어그러지나 꽃다운 인연을

맺게 된 것은 평생의 기쁨이니, 의아하게 생각지 말고 빨리 돌아가 주연

을 갖추어 오너라.”

시녀가 지시를 받고 물러간 지 얼마 안 되어 돌아와 뜰에서 잔치를 베

푸니, 밤은 벌써 사경(四更)11)이 가까웠다.

양생이 가만히 살펴보니 탁상에 놓인 기명(器皿)12)은 희맑고 무늬가 없

으며 술잔에서는 이상한 향기가 풍기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인간의 솜씨

가 아니었다.

그는 속으로 괴이하게 여겼으나, 그녀의 말씨와 웃음이 맑고 얼굴과 몸

가짐이 매우 얌전하여‘이는 아마도 어느 귀족 집 아가씨가 한때의 정서

를 걷잡지 못하여 황혼의 가약을 찾아온 것이겠지.’라고 생각하고는 마음

을 진정하였다.

그녀는 양생에게 술잔을 올리면서 시녀에게 권주가 한가락을 부르도록

명한 뒤 다시 말했다.

5

10

15

11) 사경 새벽 1시에서 3시사

이의시간.

12) 기명 살림살이에 쓰는 그

릇을통틀어이르는말.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79

Page 37: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80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이 아이는 옛날 곡조밖에 부를 줄 모른답니다. 당신이 저를 위하여 노

래를 하나 지어 이 아이에게 부르게 하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이에 양생은 흔쾌히 응낙하고는 곧 만강홍(滿江紅) 가락으로 한 곡조를

지어 시녀에게 부르게 하였다.

쌀쌀한 이른 봄날 비단 적삼 아직 엷어

향로불 꺼진 밤에 애태운 지 몇 번인고.

앞산 저문 빛은 그린 눈썹 흡사하고

저녁녘 저문 구름 일산처럼 퍼졌는데

비단 장막 원앙금에 짝지을 이 누구던고.

금비녀 반만 드리워 퉁소나 불어 보네.

애닯다 세월이란 이다지도 빠르던가

마음속 깊은 시름 답답하기 그지없네.

등불은 가물가물 낮게 부른 병풍 속에

눈물진 이 몸을 이뻐할 이 누구던가.

즐거울사 이 밤에

피리 불어 봄은 오고

쌓이고 쌓인 원한 후련히 가셔 주도록

가느단 금루(金縷) 가락에 술잔을 기울이네.

한스럽다, 그 옛날 생각하면 애닯아도

이 밤에도 수심을 안고 외로이 살 수밖에.

노래를 부르고 나자 그녀는 애조를 띠면서 말했다.

“당신을 좀 더 일찍 만나지 못한 것이 못내 한스럽지만 그래도 오늘 여

기에서 이렇게 만나게 되었으니 어찌 천행이 아니겠습니까? 당신이 저

를 진정으로 사랑해 주신다면 비록 미약한 몸이오나 당신과 함께 백년

고락을 누려 볼까 합니다. 그러나 당신이 저를 버리신다면 저는 이 날

이후로 영원히 자취를 감추겠나이다.”

양생은 이 말을 듣고 한편으론 놀랍고, 다른 한편으론 고맙게 생각되어

대답했다.

“당신의 진지한 마음에 어찌 공명하지 않겠소?”

그러고는 그녀의 태도가 범상치 않으므로 그는 유심히 동정을 살폈다.

마침 서쪽 산봉우리에 달이 걸쳐 있고, 먼 마을에서 닭 우는 소리가 들려

삽입 시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

는무엇인가?

5

10

15

20

25

30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0

Page 38: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81*

왔다.

이윽고 절에서 들려오는 새벽 종소리에 날이 새려고 하였다. 그녀가 시

녀에게 지시하였다.

“얘야, 주연을 거두어서 집으로 돌아가거라.”

시녀가 곧 어디론가 사라지자, 그녀는 양생에게 말했다.

“꽃다운 인연을 이미 이루었으니 저는 당신을 모시고 집으로 돌아갈까

합니다.”

양생은 쾌히 승낙하고는 그녀의 손을 잡고 앞을 향하여 걸었다. 둘이 저

자 복판을 지날 때에는 벌써 울타리 밑에서 개가 짖고 사람들이 길에 나

다녔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양생이 그녀와 함께 거니는 것을 보았다는 이가 한

사람도 없었다. 사람들은 다만,

“총각, 새벽에 혼자서 어딜 다녀오시오?”

하고 물을 뿐이었다.

“예, 어젯밤에 만복사에 갔다가 취하여 누웠다가 방금 동무를 찾아가는

길입니다.”

하고 양생이 그녀의 뒤를 따라 깊은 숲을 헤치고 가는데, 이슬이 길을 흠

뻑 덮어 갈 길이 아득하였다.

양생은 의아하게 생각되어 물었다.

“당신이 거처하는 곳이 어찌하여 이렇게 쓸쓸하오?”

“예, 노처녀의 살림살이가 으레 그렇죠.”

하고는 문득 옛 시 한 장(章)을 외워 농담을 붙였다.

축축이 내린 길가의 이슬

이슥한 밤 어찌 가지 않으리오만

이슬이 많아서 가지를 못했지요.

양생도 옛 시 한 장을 읊어 화답하였다.

어슬렁어슬렁 수여우는 다리 위를 지나네.

노나라로 뻗은 길 훤하여, 제나라 아씨 넋 잃고 달려가네.

두 사람은 서로 웃으며 함께 개녕동(開寧洞)으로 향하였다.

5

10

15

20

25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1

Page 39: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82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어느 한곳에 이르니 다북쑥이 들을 덮고 참천(參天)13)한 고목 속에 정쇄

(精灑)14)한 수간 초당이 나타났다. 양생은 아가씨가 이끄는 대로 따라 들

어갔다.

방 안에는 침구와 휘장이 잘 정리되어 있고, 밥상을 올리는데 모든 음식

이 어젯밤 만복사의 차림과 차이가 없었다. 양생은 퍽이나 기쁜 마음으로

이틀 동안을 유유히 보냈다.

시녀는 얼굴이 매우 아름답고 조금도 교활한 면이 없었다. 좌우에 진열

되어 있는 그릇들은 깨끗하고 품위가 있어 그는 간혹 의아한 마음을 금하

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은근한 정에 마음이 끌려 다시금 그런 생각

을 되풀이하지 않았다.

●“금오신화”에실린작품의줄거리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이생이라는 젊은이가 어느 날, 선죽교 근처를 지나다 최씨라는 아름다운 여인을 보고 사랑의 글을 써

서 담 너머로 던진다. 그 뒤 그들은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지만 이생 부모의 반대로 시련을 겪게 된다. 최

씨 부모의 노력으로 두 사람은 부부가 되고, 이생은 과거에 오른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서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고 최씨는 홍건적의 칼에 맞아 죽고 만다. 그런데 하루는 최씨가 이생을 찾아와 그들은 다시

행복한 날을 보낸다. 3년이 지난 어느 날, 최씨는 아직도 들에서 뒹구는 자기의 해골을 거두어 장사 지내

줄 것을 부탁하며 이생과 작별한다. 이생은 최씨의 말대로 장사를 지내 준 후 그 길로 병이 들어 세상을

하직한다.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홍생이 평양으로 가서 친구들과 같이 대동강에서 놀다가 술이 취한 후 부벽루에 올랐다가 기자의 딸

을 만나 밤새도록 시를 주고받으며 즐거움을 나누었다. 그런데 날이 새자 그녀는 시를 남겨 두고 홀연히

하늘로 올라가 버렸고, 시마저 회오리바람에 날아가 버렸다. 그 이후 홍생은 상사병을 얻어 죽게 되었다.

그의 시체는 며칠이 지나도 얼굴빛이 변하지 않았는데, 이는 기자 왕의 딸을 만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유학자인 박생이 하루는 글을 읽다가 깜박 조는 사이에 꿈속에서 염라국에 들어간다. 그곳에서 박생

은 수문장의 안내를 받아 염라왕을 만나게 된다. 박생은 염라왕과 질문을 주고받은 뒤, 염라국의 왕이 되

어 달라는 부탁을 받고 이를 승낙한다. 돌아오는 길에 박생은 수레에 올랐으나 수레가 넘어지는 바람에

놀라 꿈에서 깨어난다. 두서너 달 후에 박생은 병으로 죽게 되었는데, 신인(神人)이 나타나 이웃 사람에

게 박생은 염라왕이 될 것이라고 했다.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한생은 용왕의 초대를 받아 용궁으로 들어가서 용왕의 청에 따라 상량문을 지어 준다. 용왕은 한생의

뛰어난 시 솜씨에 감탄하고는 잔치를 후하게 열어 준다. 잔치가 끝난 후, 용왕의 허락을 받아 용궁을 구

경하는데, 그곳에는 기이한 물건들이 많았다. 구경을 마친 뒤 용왕에게 하직하고 나오려 하자 용왕이 선

물을 주었는데, 선물을 받고 나오는 도중 한생은 잠을 깬다.

5

10

15

20

25

30

35

13) 참천 하늘을 찌를 듯이 공

중으로높이솟아서늘어섬.

14) 정쇄 매우맑고깨끗함.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2

Page 40: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83*

이 작품은“금오신화”에 수록된 5편 가운데 하나이다. 전쟁으로 인해 죽

은 여인과의 비극적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다. 전라도 남원에 사는 총각

양생은 일찍 부모를 여의고 결혼도 못한 채 만복사 동쪽 골방에 사는 고단

하고 외로운 처지였다. 양생은 만복사의 부처와 저포놀이 내기를 하여 자

신이 이기면 아름다운 배필을 맞게 해 달라고 하였다. 양생은 불전에 기도

하던 여인과 만나 정을 통한다. 그런데 그녀는 왜구의 침입 때 죽은 귀족

집안의 딸이었다. 이후 이별과 만남을 거듭하지만 비극적으로 끝난다.

작자는 왜 현실의 사랑을 버려두고 인간과 귀신의 비현실적 애정을 그

리고 있는가? 이 작품에 나타난 초월적 애정의 모습을 통해 작자가 현실

에 대해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감상의길잡이

‘만복사저포기’는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전기소설의환상성

넓고깊게이해하기

남녀의적극적인사랑이갖는의미

현실의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보여 준다는 점에서 보면“금오신화”는 일

부 현실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소설 속 비극적 사건이나 모티프는 곧

작자 개인의 삶이나 비극적인 역사의 은유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

지만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전기 소설들은 기본적으로 사람과 귀신의 애

정 같은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모티프를 중심에 두며, 이를 통해 규범과 질

서 속에 억압된 욕망을 해방하고자 하는 지향을 갖는다.

이 작품의 주인공 양생은 불우한 처지이지만 주어진 운명과 환경을 비

관하는 인물로 드러나지 않는다. 양생과 여성은 작품 속에서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의지에 따라 만나고 사랑한다. 비록 이승의 남자와 저승의 여자와

의 사랑을 그리고 있으나, 이러한 주체적인 애정의 추구가 갖는 의미는 특

별하다. 인간의 주체적 정감과 욕망은 늘 당대의 지배 규범이나 전쟁과 같

은 세계의 횡포에 의해 억압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계

와 맞서는 남녀 간의 애정과 그 형상은 그 자체로 긍정적이고 현실적이다.

그러나 작품의 결말에 주목한다면 전형적인 비극에 해당한다.

비극적사건, 작자의삶에대한비극적은유로해석될수있는가능성현실성

한시의삽입, 사람과귀신과의사랑낭만성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3

Page 41: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84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이 작품을‘국선생전’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정리해 보고, 그러한 변화가

서사 문학의 발달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보자.1

작가와

창작·향유층

소재

주제

구성

변화의의미

국선생전 만복사저포기

양생은만복사의부처와저포놀이내기를하여

자신이 이기면 아름다운 배필을 맞게 해 달라

고부탁한다.

죽은 사람인 하씨 여인은 명문거족의 규수인

데, 산 사람인 양생은 보잘것없는 집안 출신의

서생이다.

하씨 여인은 이미 전쟁으로 인해 목숨을 잃은

상태이지만, 현실적인 인간과 다름없이 양생과

애정을주고받는다.

하씨 여인은 왜구의 침입 때 목숨을 잃으면서

까지정조를지켰다.

불우한처지를비관하지않고적극적이고자발

적인 의지를 가지고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엿

볼수있다.

사랑을 좌절시키려는 세계의 횡포(제도, 인습,

전쟁 등)에 맞서저항하는삶의태도를엿볼수

있다.

‘만복사저포기’의내용요소 작가의삶의태도와사상(세계관)

다음은 이 작품의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작가의 삶과 사상(세계관)을 파악해

본 것이다. 빈칸을 채워 보자.2

도움닫기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4

Page 42: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85*

이 작품은 꿈을 다루고 있는 이야기이다. 꿈에 관한 아래의 이미지맵을 참조

하여 이 작품이 다루고 있는 꿈의 성격을 밝히고, 그것이 왜 문학의 보편적

주제로서 가치가 있는지, 다른 작품의 예를 통해 설명해 보자.

3

다음은 이 작품에 삽입되어 있는 시이다. 자신이 작가라고 가정하고, 사랑하

는 사람에게 이와 유사한 형식으로 화답하는 시를 써 보자.4

무의식

현실일탈

환상

소망

인생무상

축축이내린길가의이슬

이슥한밤어찌가지않으리오만

이슬이많아서가지를못했지요.

—아가씨의시

어슬렁어슬렁수여우는다리위를지나네.

노나라로뻗은길훤하여, 제나라아씨넋잃고달려가네.

—양생의시

•자신의심리를다른사물이나상황에빗대어표현한다.

•원시의정조와분위기를유지하도록한다.

조건

멀리뛰기

창작활동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5

Page 43: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문학 여행의 두 번째 여정을 마치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조 임진왜란 이전까지 한국 문학은 다양한 문학 담당층

이 등장하여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 모두에서 본격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

하였다. 지배 계층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그들이 주도하던 문학 형식들에 변

화가 생겼고, 경기체가, 악장, 시조, 가사 등의 시가 형식이 새로 등장하기도

하였으며, 가전체의 서사 양식들은 소설적 구성을 갖추어 나가기 시작했다.

형식, 재현, 수용은 이 시대의 문학 여행을 마치며 각자가 배우고 느낀 바

를 함께 나누었다.

8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단원을닫으며

자, 그렇다면 다음에는 어디로 떠나 볼까?

형식⋯ 신라 향가나 고려 가요는 모두 그 시대의 시가를 한데 아우르

는 이름이잖아? 그렇게 볼 때, 이 시대의 시가나 산문에서 독

특한 문학 형식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변화라

고 할 수 있어.

재현⋯ 경기체가나 시조, 악장 등을 보면서, 사회와 역사를 주도하는

세력이 문학도 주도한다는 생각이 들었어.

수용⋯ 이 시대에 와서 문학이 폭넓은 신분과 계층의 생활 이야기를

다루고 더욱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였는데, 그것은 더 많은 사람

들이 문학의 주체가 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말해 주는 거지.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6

Page 44: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더공부하기

>> 다른 친구들의 학습 과정 점검을 도와주자.

>> 중단원 학습 과정에서 익힌 지식을 작품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다시한번 검토해 보자.

>> 스스로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단원의 학습 내용을 처음부터 차분히정리해 보자.

13점이상

9~12점

8점이하

단원을닫으며 87*

::자기점검하기

문학지식

점검항목 점검내용 평가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에서 고려 시대부터 조선조

임진왜란 이전까지 한국 문학이 어떻게 성장하며 발

전했는지를 통시적 관점에서 학습하면서 이 시대의

한국 문학에 대한 다양한 문학사적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문학적기능과

수행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에서 한국 문학 성장·발전

기의 대표적인 작품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국 문학

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

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맥락을통한확장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고전 문학

작품에더많은관심을갖게되었으며, 다양한문화·

예술 양식을 통해 계승되어 온 고전 문학의 문학적

성취를다양한맥락에서체험하고수용할수있게되

었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7

Page 45: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그런데 이 오랜 동안에 셰에라자드는 샤푸리야르 왕의 씨를 받아 세 옥

동자를 두고 있었다. 마아루프의 이야기를 끝마치자 셰에라자드는 자리에

서 일어나 어전(御前)에 엎드리며

“오, 현세(現世)의 임금님, 현세에 다시없는 임금님, 저는 전하의 측녀

(側女)1)입니다. 이 천일 하고도 하룻밤 사이에 지난 옛날의 이야기며,

도움이 되는 옛날의 훈화 따위를 들려드렸습니다. 그러면 그 무엇인가

임금님에게 부탁의 말씀을 드려도 괜찮겠습니까?”

“오, 셰에라자드, 말해 보라. 무슨 부탁인지 들어주마.”

왕의 말에 셰에라자드는 유모와 내시들을 향하여 높은 목소리로,

“나의 아이들을 데리고 오너라.”

유모와 내시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왔는데, 셋이 다 사내아이로서, 하나

는 벌써 걷고, 둘째는 이제 겨우 기어 다닐 정도이고, 막내아이는 아직 젖

먹이였다. 셰에라자드는 아이들을 안아다가 왕의 앞에 놓고 또다시 엎드

려 절하며 말했다.

“오, 현세의 임금님. 이 아이들은 임금님의 핏줄을 받은 임금님의 씨들

입니다. 그러하오니 이 세 아이에게 주시는 선물로서 부디 참수(斬首)2)

의 운명을 피하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제 한 목숨을 빼앗으시

면 이 아이들은 어미 없는 고아가 되며, 여자는 많다 하되 어미의 손으

로 기르는 것만은 못하니까 말이옵니다.”

왕은 이 말을 듣자, 눈물을 흘리며 아이들을 가슴에 꽉 끌어안으면서 말

했습니다.

“알라께 맹세하고 말하건대 오, 셰에라자드. 나는 이 아이들이 태어나기

전부터 그대를 용서하고 있었다. 그것은 말이다. 그대가 깨끗하고, 정숙

하고, 영리하며, 신을 공경하는 마음도 두텁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

이다! 그대를 위시(爲始)하여, 그대의 부모와 조상과 자손에게도 알

라의 축복이 있으시기를! 전능하신 신도 굽어 살피소서. 나는 그대에게

위해(危害)가 되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을 것이다!”

김 병 철 옮 김

아라비안나이트

1) 측녀 첩.

2) 참수 목을자름.

[1] 다음은중세페르시아지역에서구전되던이야기들을모아놓은설화집의결말부분이다. 잘

읽고, 물음에답해보자.이시기의세계문학

88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5

10

15

20

25

30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8

Page 46: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셰에라자드는 왕의 손과 발에 입을 맞추고 더할 나위 없이 기뻐하며 말

했다.

“주여, 아무쪼록 임금님이 만수무강하시고, 위세(威勢)를 더욱 떨치게

해 주옵소서.”

그리고 또 덧붙이기를

“임금님께서는 계집 때문에 재난을 만나시어 큰 욕을 보셨으나, 그 옛

날의 코스로의 대왕들도 임금님보다 훨씬 지독한 재난과 슬픈 불행을

맛보셨습니다. 저는 오랫동안 교주와 왕후 군자 등 고귀하신 분들이 여

인으로 하여금 여러 가지로 욕을 당하신 이야기를 해 왔습니다만 이제

는 이 이야기에도 싫증이 나시어, 귀를 번거롭게 하시는 것도 지루하시

리라 믿습니다. 그러나 어쨌든 그중에는 지각이 있는 사람에게는 좋은

훈계가, 현자에게는 훌륭한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셰에라자드는 그렇게 말하고 입을 다물었다. 샤푸리야르 왕은 그녀가

한 여러 가지의 이야기를 듣고, 사려와 지각을 닦아 마음을 깨끗이 하고,

지혜를 되찾고, 전능하신 알라에게 오로지 진심으로 귀의(歸依)하여 스스

로 자기 마음에다 대고 말했다.

“코스로의 역대의 대왕조차도 나보다 몇 배 더 심한 일을 당하고 있으니

금후로는 어디까지나 목숨이 붙어 있는 한 과거의 죄책(罪責)을 나누어

지기로 하자. 이 셰에라자드라고 하는 여자는 보통이 아닌 재원(才媛)3),

세상 어디를 뒤져도 이만한 여자는 없을 것이다. 그러니 이 여자를 압제

와 살육에서 백성을 구해 내는 기틀로 삼으신 신을 칭송할지어다!”

왕이 옥좌에서 일어나, 그녀의 머리에 입을 맞추니 그녀와 함께 동생인

두냐자데도 크게 기뻐하였다.

5

10

15

20

이시기의세계문학 89*

3)재원 재주가뛰어난젊은여자.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89

Page 47: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아라비안나이트”는 중세 페르시아 지역에서 구전되던 이야기들을 모아놓은 설

화집이다. 우리가잘아는알라딘, 알리바바, 뱃사람신드바드와같은이야기들이

들어 있는 이야기 모음집이다. 인용된 부분은 작품의 결말부로, 셰에라자드의 용

기와지혜에감복한왕이회개하고그녀와결혼을결심하는대목이다.

1. 셰에라자드가 자신의 목숨을 구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또 이

를통해알수있는교훈은무엇인지토의해보자.

2. 셰에라자드가 왕에게 들려준 이야기를 통해 볼 때, 이 이야기의 전체적인

구성상의특징을알아보고, 그효과에대해말해보자.

■감상의길잡이

90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셰에라자드가자신의목숨을

구할수있었던이유

이를통해알수있는

교훈

이이야기의전체적인

구성상의특징

구성상의특징으로

얻는효과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90

Page 48: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벚꽃은 활짝 피었을 때, 달은 훤하게 밝은 보름달이 정취가 있는가? 빗

속에서 보이지 않는 달을 그리워하고, 좁은 방에 들어박혀 봄이 가는 것

도 모르고 지내는 것이, 직접 꽃이나 달을 보기보다 더욱 깊은 정취가 느

껴진다. 이제 막 봉오리가 터지려는 가지나, 벚꽃이 흩어진 마당이 오히

려 정취가 있다. 와카〔和歌〕1) 머리말에, “벚꽃 구경을 갔더니 이미 다 져

서”라든가, “사정이 있어 벚꽃 구경을 못 가고”라고 하면, “벚꽃을 보고”

라고 읊은 것보다 정취가 없을까? 꽃이 지고 달이 기우는 것을 아쉬워하

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특히 풍류를 모르는 사람이, “이 가지 저 가지 꽃

은 다 졌구나. 이젠 무엇을 볼꼬?”라고 하던가?

모든 일은 처음과 나중이 멋있다. 남녀 간의 사랑도 그저 만나 밀회를

나누는 것만이 의미 있는 것은 아니다. 못 만나서 그리워하고, 이루지 못

한 사랑을 탄식하며, 긴긴 가을밤을 혼자 지새우며, 멀리 있는 연인을 그

리며, 연인을 만나던 허름한 초막에서 옛날을 그리워하는 사람만이 사랑

의 정취를 안다고 할 수 있으리라.

천 리 멀리까지 비치는 보름달을 하염없이 보는 것보다, 오랫동안 기다

리다 새벽녘에야 겨우 올라오는 새벽달을 보는 것이 더욱 정취가 있다.

특히 깊은 산속 나뭇가지 사이로 보이는 푸른 달빛, 소낙비가 오고 구름

사이로 숨은 달은 더욱 감동적이다.

참나무나 상수리나무의 반짝이는

잎에 달빛이 빛날 때, 사무치는 그

리움을 나눌 친구를 생각하며, 교토

가 그리워지기도 한다.

대체로 달이나 꽃은, 꼭 눈으로

보아야만 하는 것인가? 봄에는 집

에 들어앉아, 달밤에는 잠자리에 누

워서, 벚꽃이나 달을 마음속에 그려

볼 때야말로 한없는 정취를 맛볼

요 시 다 겐 코김 충 영 · 엄 인 경 옮 김

도연초[2] 다음은일본중세수필의대표작이다. 잘읽고, 물음에답해보자.

속명은 우라베 가네요시〔卜部兼好〕.

출가후이름을음독한겐코〔兼好〕를

법명으로 삼았다. 그 당시‘와카〔和

歌〕사천왕’의한사람으로꼽힐정도

로이름난가인(歌人)이었고, “겐코법

사가집”이라는가집을남겼다. ‘일본

의 논어’라 일컬어지는 중세의 대표

적인수필“도연초”를저술했다.

요시다겐코(吉田兼好, 1293~1352)

이시기의세계문학 91*

1) 와카 일본에서 옛날부터 내

려온정형의노래.

5

10

15

20

25

30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91

Page 49: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수 있다. 멋을 아는 사람은, 깊이 빠지는 것

같지 않으며, 감상하는 모양도 담백하다. 교양

없는 사람들은 무엇이나 요란하게 즐긴다. 꽃

을 볼 때도 사람들을 비집고 바싹 다가가, 꽃

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술을 마시고 렌가를 짓

기도 하며, 흥에 겨운 나머지 꽃가지를 함부로

꺾는다. 여름에는 더위를 피한답시고 샘물에

손발을 마구 담그고, 눈〔雪〕을 볼 때도 뜰에

내려가 일부러 발자국을 남기는 등, 무엇이나

멀찌감치 두고 감상할 줄을 모른다.

그런 촌놈들이 가모〔賀茂〕축제를 구경하는 꼴이란 실로 가관(可觀)이

다. “행렬이 참 더디 오는군. 그동안 관람석에 있을 필요가 없지.”하며,

집 안에 마련된 방으로 들어가 먹고 마시며, 바둑을 두거나 쌍륙을 치며,

관람석에는 망보는 사람을 둔다. “축제 행렬이 지나갑니다.”하면, 모두

허둥지둥 관람석으로 나와 난간 밖에까지 몸을 내밀고, 하나도 빠짐없이

다 보려 든다. 그리고 행렬이 지나갈 때마다 이러쿵저러쿵 떠들어 대다

가, 행렬이 다 지나가면 다음 행렬이 올 때까지 또 먹고 마시며 논다. 그

들은 그저 축제 행렬만 보면 그만이다.

그러나 교토의 지체 높은 분들은, 행렬을 별로 눈여겨보지 않는다. 젊은

하인들은 윗사람들 시중드느라 바쁘고, 옆에서 모시는 사람은 꼴사납게

몸을 빼고 볼 수도 없으므로, 억지로 보려고 하지도 않는다.

주변이 온통 접시꽃으로 꾸며서 우아하고 아름다운데, 날이 밝을 무렵

이면 여기저기서 조용히 모여드는 수레 주인을 알고 싶어서, 누구일까 하

고 보노라면, 아는 소몰이꾼이나 하인이 보인다. 우아하게 꾸민 수레가

오가는 모양을 보고 있노라면 지루하지 않다.

해 질 무렵이 되면, 쭉 늘어섰던 수레와 꽉 찼던

사람들이 어디로 갔는지 곧 한산해진다. 사람들이

뜸해지면 관람석의 발이나 돗자리를 치우고, 어느

새 한산해지는 모양은, 이 세상의 덧없음을 보는

것 같아서 마음이 숙연해진다. 이러한 큰길 풍경

을 보아야, 축제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축제 관람석 앞을 오가는 많은 사람들 중에, 아

5

10

15

20

25

30

92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92

Page 50: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4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 · 2012-11-05 · 문학(2)02(044~093)-ok 2011.7.6 12:29 PM 페이지45

는 사람이 제법 많은 것을 보면, 세상 사람도 그다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사람들이 모두 죽은 다음에 내가 죽는다 해도, 그때는 곧 닥쳐올

것이다. 큰 그릇에 물을 담고 작은 구멍을 뚫으면, 구멍으로 새는 물이 지

금은 조금이지만, 계속 샌다면 물은 곧 다 없어지고 만다. 장안의 이 많은

사람들이 하루도 안 죽는 날이 없다. 그것도 어찌 하루에 한두 명뿐이겠

는가. 화장터나 공동묘지, 그 밖의 야산에 장례가 많은 날은 있어도 하나

도 없는 날은 없다. 그래서 관(棺)을 파는 사람은 관을 묵힐 틈이 없다.

나이나 건강에 상관없이, 불쑥 찾아오는 것이 죽음이다. 오늘날까지 죽음

을 모면하고 살아온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 그러니 어찌 잠시라도 이 세

상을 느긋하게 보낼 수 있겠는가?

마마코다테〔繼子立〕2)에서 쌍륙 돌을 늘어놓고, 잡히는 것이 어느 돌인

지 모르지만, 맞혀서 돌을 하나 치우면 다른 돌은 잡히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하나씩 차례로 치우는 사이에, 돌은 모두 치워진다. 세상살이도

이와 같다. 무사가 전쟁에 나갈 때는, 죽음이 닥친 것을 알고 집이나 자기

를 잊는다. 속세를 떠난 사람이 암자의 조용한 분위기에 젖어서, 죽음이

닥친 것을 남의 일처럼 생각하는 것은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 한적한 산

골이라고, 죽음이라는 적이 갑자기 달려들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까? 그

가 죽음을 앞에 두고 있는 것은, 싸움터로 나가는 무사와 같다.

2) 마마코다테 같은 수의 흑백

바둑돌을 둥글게 늘어놓고, 몇

번째 되는 돌을 치워 나가다가,

마지막으로하나남는돌이흑백

인가를맞히는놀이.

5

10

15

‘중세일본수필문학의백미(白眉)’로평가되는고전이다. 대부분한페이지를넘

지않는짤막한수필들이240여편실려있다. 지은이겐코는비록승려였지만이

수필들속에서떠오르는모습은자연적인간에가깝다. 그는자연과사계절, 여성

과 남성, 왕가와 신사, 무사들의 세계, 일상의 이런저런 사건들에 대해서 언급한

다. 제시된부분은절정에서약간비껴난때, 떠들썩한세속과거리를둘때, 진정

한멋을느낄수있다는독특한관점이반영된글이다. 이러한태도는세상만사를

덧없는것으로간주하고죽음과정면으로대결하려는태도와연결된다.

1. 이글에서글쓴이가세상사를대하는태도는어떠한지말해보자.

2. “그가 죽음을 앞두고 있는 것은, 싸움터로 나가는 무사와 같다.”라는 문장

의의미를파악해보자.

■감상의길잡이

이시기의세계문학 93*

문학(2)02(044~093)-ok 2011.7.6 12:30 PM 페이지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