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7
353 www.kosac.or.kr RESEARCH ARTICLE . 우리나라 미용 직업 교육은 1928년 최초로 설립된 경성미용 학교에서 미용학원 형식으로 시작되어 1953년 정화고등기술학 교가 설립되었고 1961년 미용사면허제도가 도입되어 표준화된 미용교육이 시작되었다(강나희, 2010). 1991년 강릉 영동대학 에 최초로 미용학과가 개설되었고(이수진, 2010) 2000년 부산 미용고등학교에서 미용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강복란, 2010). 또한 1995년 고용보험제가 시행되면서 고용노동부에서 실업자 의 직업능력 개발과 취업에 관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외 에도 서울시나 여성가족부, 사설 기관 등 미용 관련 교육을 담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들의 최초·재교육 시 교육기관 활용도 연구 김여정, 리순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Utilization by the Current Beauty Artists’ First Education and Reeducation by Beauty Artists and Workers at Beauty Shops and the Skin Care Centers Yu-Jung Kim, Shunhua Li*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beauty curriculums, which based on the existing dat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such a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public of Korea, Seoul which can receive educational support, schools for paid private education and support scholarships, and private institutions for paid private education and learning program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survey compared beauty artists, workers at beauty shops and workers at the skin care centers among the 193 current beauty artists about the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first education and reeducation. As a result, the utilization of private institution was the highest with 52.8% at the first education, their burden on education fees in carrying it out was the highest with 38.9% in factors of difficulties and the utilization of the company at reeducation was the highest with 30.1%. In the study of the awareness about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was the highest with 28.5% and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public of Korea was the lowest in the survey. The survey about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about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the highest with 84.4% of those questioned were ‘necessary’. For the vitalization of educational support and reducing the burden of educational fee, it is necessary to be exposed to a lot more information about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xpanded curriculums of reeducation. Keywords: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First Education, Reeducation, Utilization Kor. J. Aesthet. Cosmetol., Vol. 10 No. 2, 353-359, May 2012 *Corresponding author: Shunhua Li,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1 Hwayang- dong, Gwangjin-gu, Seoul 143-701, Korea Tel.: +82 10 5566 7820, Fax: +82 2 457 0269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March 27, 2012; Revised April 21, 2012; Accepted May 17, 2012; Published May 30, 2012

Transcript of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Page 1: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김여정,리순화.pdf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353www.kosac.or.kr

RESEARCH ARTICLE

Ⅰ. 서 론 우리나라 미용 직업 교육은 1928년 최초로 설립된 경성미용

학교에서 미용학원 형식으로 시작되어 1953년 정화고등기술학

교가 설립되었고 1961년 미용사면허제도가 도입되어 표준화된

미용교육이 시작되었다(강나희, 2010). 1991년 강릉 영동대학

에 최초로 미용학과가 개설되었고(이수진, 2010) 2000년 부산

미용고등학교에서 미용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강복란, 2010).

또한 1995년 고용보험제가 시행되면서 고용노동부에서 실업자

의 직업능력 개발과 취업에 관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외

에도 서울시나 여성가족부, 사설 기관 등 미용 관련 교육을 담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들의 최초·재교육 시 교육기관 활용도 연구김여정, 리순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Utilization by the Current Beauty Artists’ First Education and Reeducation by Beauty Artists and Workers at Beauty Shops and the Skin Care CentersYu-Jung Kim, Shunhua Li*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beauty curriculums, which based on the existing dat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such a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public of Korea, Seoul which can receive educational support, schools for paid private education and support scholarships, and private institutions for paid private education and learning program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survey compared beauty artists, workers at beauty shops and workers at the skin care centers among the 193 current beauty artists about the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first education and reeducation. As a result, the utilization of private institution was the highest with 52.8% at the first education, their burden on education fees in carrying it out was the highest with 38.9% in factors of difficulties and the utilization of the company at reeducation was the highest with 30.1%. In the study of the awareness about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was the highest with 28.5% and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public of Korea was the lowest in the survey. The survey about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about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the highest with 84.4% of those questioned were ‘necessary’. For the vitalization of educational support and reducing the burden of educational fee, it is necessary to be exposed to a lot more information about the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xpanded curriculums of reeducation.

Keywords: Beauty, Educational Institution, First Education, Reeducation, Utilization

Kor. J. Aesthet. Cosmetol.,Vol. 10 No. 2, 353-359, May 2012

*Corresponding author: Shunhua Li,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1 Hwayang-dong, Gwangjin-gu, Seoul 143-701, KoreaTel.: +82 10 5566 7820, Fax: +82 2 457 0269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March 27, 2012; Revised April 21, 2012;Accepted May 17, 2012; Published May 30, 2012

Page 2: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김여정,리순화.pdf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354 www.kosac.or.kr

Kor. J. Aesthet. Cosmetol.,Vol. 10 No. 2, 353-359, May 2012

당하는 기관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며 직업 능력 개발 계좌제

교육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김민경, 2011).

국가 기술자격 시험은 2008년 6월 공중위생 관리법 개정에

의하여 미용사(종합), 미용사(일반), 미용사(피부)로 자격을 분

리하여 시행하고 있고(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미용 인적자

원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 학문적 체계를 갖춘 교육환경과

체계적인 교육 훈련이 무엇보다 중요한 실정이다(이계숙과 나

영순, 2004).

미용 인력은 이직률이 약 80%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아(이정

림, 2007; 장미화, 2003; 조판래, 1990) 이는 종업원에 대한

장기적 재투자인 교육 훈련을 소홀하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김종근, 1997; 정재학, 1994). 뷰티살롱 미용사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미용교육 중 재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고희경,

2012; 김선희, 2002; 류은주와 오강수; 2010; 임남주, 2008;

장영혜, 2004) 피부미용 경영자의 교육에 관한 연구(정보연,

2010), 피부 미용사 직업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신미숙과 송재

호, 2010)에서 미용교육이 강조되었다.

현재 미용 교·강사, 피부샵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

관련 연구가 미흡하며 특히 미용 교육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조

사 및 종사별 교육기관에 대한 활용도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 교육을 시행하는 교육기관 현황을 알아

보고,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을 통해 최초교육과 재교육 시 미용 교육기관 활용도를 조사하

여 그에 따른 교육기관 인지도, 관련 정보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향후 미용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과

미용교육을 지도하는 교·강사, 미용교육을 받고자 하는 미용

인들에게 참고적 자료로 활용 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본 연구는 미용교육을 주관하는 기관과 그 교육을 시행하는

교육기관의 자료, 문헌 고찰 및 인터넷 자료를 통하여 미용 교

육기관 현황 및 미용교육 대상, 교육 내용, 교육비용에 대해 알

아보았다.

1. 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하는 미용교육

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하는 미용교육은 고용노동부 승인을 받

은 기관으로 직업학교, 여성개발원 및 그 산하기관, 사설 미용

학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과정 중 재직

자를 대상으로 하는 미용교육은 사업주 훈련과정, 근로자 수강

지원과정, 능력개발 카드제과정이 있고(표 1) 실업자를 대상으

로 하는 미용교육은 내일배움카드제(구 직업능력 개발계좌제,

표 2), 신규실업자 훈련, 전직실업자 훈련, 여성가장 훈련 등이

있으며(고용노동부, 2011) 교육비는 고용노동부로 부터 지원을

받는다(보건복지부 뷰티산업선진화지원센터, 2010).

2. 여성가족부에서 지원하는 미용교육

여성가족부 여성 인력 개발 정책 중 미용교육은 경력 단절 여

성을 대상으로 하는 능력 개발 및 취업 지원에 속하며 전업주부

특화 직종의 인력 개발 확대에 목적을 둔다(여성가족부, 2011).

이 사업을 위한 교육기관은 2008년 12월 6일 시행한 ‘경력 단

절 여성 경제 활동 촉진법’에 따라 설치된 지원센터로 2011년

현재 전국에 90개 여성 새로 일하기 센터(새일센터)가 설치되

어 지정 운영 중이다(표 3).

3.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미용교육

서울시 지정 취업 교육기관은 현재 여성능력개발원을 중심

으로 서울시 내 15개 인력개발센터가 운영 중이며 서울시, 노

동부, 여성가족부, 중소기업청, 창업진흥원, 지자체 등 정부 기

관의 지원으로 다양한 일자리 창출 공모사업 및 자체 유료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여성의 경제 참여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

다(서울여성능력개발원, 2011).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기관별

사업계획에서 교육비용은 대부분 무료(재료비 별도)로 이루어

지고 있다(표 4).

무료 교육 외에 여성능력개발원 및 그 산하기관에서 일부 유

료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데 그 비용은 저렴하게 운영되고 있다

(표 5).

4. 교육과학기술부 주관의 학교 미용교육

교육과학기술부 주관 미용 교육기관은 미용고등학교, 미용고

등기술학교, 대학교, 대학원,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학위인정기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KHIDI 정책개발단 화장

품 산업팀, 2008) 교육비는 유료이다(표 6). 이·미용 관련 학

교 교육기관 현황 조사에 의하면 미용교육 담당 교육기관 수가

미용고등학교에 22개, 미용고등기술학교에 4개, 산업학교에 5

개, 고등학교학력인정이 14개, 학점은행제 전문학사 13개, 학

점은행제 학사 21개, 2년제 대학에 97개, 4년제 대학교에 26

개로 나타났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011년 전국 미용

관련 고등학교 47개소는 전문계(특성화) 17개, 가사(특성화) 4

개, 통합 3개, 각종 학교 7개, 고등기술학교 1개, 학력인정 15

개로 이루어지며 2011년 6월까지 법인 전환된 특성화고등학교

형태의 학력인정 평생 시설 중 법인 소유의 학교 학생을 대상

으로 입학금과 수업료 모두를 지원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이자영 등, 2012). 30개 미용대학교의 교육현황을 분석

한 결과 모든 대학교에서 피부미용, 헤어, 메이크업, 네일 전공

이 운영되고 있다(임미혜와 김미현, 2009).

Page 3: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김여정,리순화.pdf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355www.kosac.or.kr

미용 종사자의 교육기관 활용도 연구

표 1.고용노동부에서교육비를지원하는재직자과정의교육과정

분류 사업주 훈련과정 근로자 수강지원과정 능력개발카드제과정

정의사업주가 훈련비용을부담하는 직업훈련

자비로 훈련 과정 수강,수강료 일부를 환급 받음

직업능력개발카드 신청, 교부받아 훈련과정 수강

대상 고용보험 가입 재직근로자고용보험 가입재직근로자

고용보험 가입비정규직

내용고용노동부장관으로부터 인정받은교육훈련을 직접 또는 훈련 기관에

위탁하여 실시

근로자가 자율적으로고용노동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훈련과정 수강

비정규직 근로자가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훈련과정 수강

비용훈련비용 단가×훈련시간

(대규모기업은 80%)

1년 100만원5년간 300만원 한도 내

정규직 50%, 비정규직 80%까지 환급

1년 100만원5년간 300만원 한도 내수강료의 80%를 지원

표 2.고용노동부에서교육비를지원하는실업자과정의교육과정

분류 내일배움카드제(실업자 대상)

정의실업자에게 일정한 금액(200만원 한도)을 지원, 그 범위 이내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직업 능력 개발 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훈련 이력 등을 개인별로 통합 관리하는 제도

대상 현재 구직 중에 있는 전직 실업자(고용보험가입 이력이 있는 자) 및 신규실업자(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는 자)

내용 노동부가 인정한 적합훈련과정 중에서 선택

비용1인당 계좌 한도는 200만원, 자비부담률 40%2010년 7월 15일부터 음식, 이·미용 서비스 등 훈련생의 수요가 높은 분야에 대해 자비 부담 비율 20%에서 40%로 상향 조종(고용노동부, 2010) 유효기간 발급일로부터 1년, 발급횟수 취업 전 1회

표 3.여성가족부새로일하기사업의교육대상및내용과비용

분류 내 용

대상교육을 희망하는 여성, 새일센터에 배치된 전문 직업상담원으로부터 개별 직업 상담교육훈련 완료 후 직장 적응을 위한 새일여성인턴제 또는 취업 연계 서비스를 제공

내용주요 교육 과정은 여성이 취업하기 용이한 사회서비스 직종,

녹색 관련 직종 중 고령자 과정, 지역산업 유망직종 등 경력 단절 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비용 무료(재료비, 교재비 별도)

표 4.서울시지원교육사업의교육대상및내용과비용

분류 숨은 재주 띄우기 지역일꾼 이끌어내기 시민 제안 평생학습 프로그램 사업

대상 서울시 거주 미취업 여성

내용잠재 능력을 향상 취업의지를고취시키고 사회 참여 촉진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사회 참여 촉진평생학습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지역 사회에 활용

비용 무료(재료비, 교재비 별도)

표 5.서울시지원여성능력개발원의유료과정예

과정명 기간 비용(원)

네일 아카데미 자격증 2시간씩 주 2회, 3개월 60,000

비만탈출 전신관리 전문가 3시간씩 주 2회, 3개월 120,000

피부미용사 자격증 실기대비 3시간씩 주 2회, 2개월 120,000

메이크업 아티스트 자격증 3시간씩 주 1회, 3개월 60,000

헤어컷 디자이너 3시간씩 주 2회, 3개월 120,000

Page 4: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김여정,리순화.pdf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356 www.kosac.or.kr

Kor. J. Aesthet. Cosmetol.,Vol. 10 No. 2, 353-359, May 2012

5. 사설기관의 미용교육

사설기관 미용교육은 미용학원, 미용협회나 전문 제품회

사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보통 국가 기술자격증 과정과

기초교육 그리고 재교육(심화교육) 과정으로 나뉜다(강복란,

2010). 미용학원에서 진행하는 교육과정 중 경락이론 및 실기

인 경우 K학원에서는 48h에 80만원, A학원에서는 미용기기 사

용법이 추가되어 72h에 120만원, N학원에서는 발관리와 아로

마테라피를 추가하여 30h에 110만원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었

다(김은정, 2009). 일부 미용 종합학원에서는 고용노동부의 승

인을 받아 실업자에게 교육비를 지원하는 내일배움카드제를 통

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

다. 미용협회에서는 숙련도에 따라 등급을 구분하여 민간자격

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의약산

업단 뷰티·화장품팀, 2009) 교육비용은 유료이다. 전문 제품

회사에서는 재교육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헤어샵과

피부샵의 경우도 직장 내에서 사원들에게 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연구 기간

2011년 3월 28일부터 4월 30일까지 5주간 서울시의 피부관

리실, 헤어샵, 미용학원의 종사자 및 미용고등학교, 미용대학의

교·강사를 대상으로 회수한 215부 설문지 중 네일아트, 메이

크업 응답자 22명은 제외하고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193명을 중심으로 통계·분석하였다.

2. 연구 방법

현직 미용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작성하여 일반적 특성, 인지

하고 있는 교육기관, 최초교육 시 어려움의 요인을 조사하였고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들의 최초교육 목적, 재

교육 시 활용한 교육 기관을 조사하였다. 또한 최초교육과 재

교육시 교육기관 활용도를 조사하고 교육기관 관련 정보의 필

요성 및 교육기관 인지도, 인지의 경로를 알아보았다. 설문지

는 이계숙(2001), 김선희(2002), 김종임(2003), 장영혜(2004)

등의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재작성 하였고 일반특성에 관한 설

문(8개 문항), 미용 교육기관에 관한 설문(3개 문항), 미용 최초

교육에 관한 설문(9개 문항), 미용 재교육에 관한 설문(10개 문

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설문지에서 교육기관으로 학교와 사설

기관은 유료인 경우이며 노동부 교육비 지원의 시행 기관으로

포함하지 않았다.

3. 자료 분석 및 통계 분석

SPSS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현직 미용인의 미용 교육기관 인지

도, 최초교육 시 어려움의 주요 요인, 최초교육과 재교육 시 미

용 교육기관 활용도, 미용 교육기관에 대한 정보 필요성 및 인

지 경로에 대해서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직 미용인의 받

은 미용 최초교육 목적과 재교육에 활용된 미용 교육기관에 대

해서 종사별 응답에 대한 차이검정을 위해서 교차 분석 및 카이

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 현직 미용인의 일반적 특성

현직 미용인의 성별의 비는 ‘여자’가 95.3%로 높게 나타났으

며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여성가족부나, 서울시 등의 교육비지

원 교육을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현직 미용인

의 전공 여부는 ‘타 전공’이 59.1%로 ‘미용전공’보다 높았는데

이는 김명해(2006)의 연구에서 미용직업을 선호한 가장 큰 이

유를 ‘전문인으로서 발전가능성이 있는 직업이여서’ 라고 높게

응답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표 7).

2. 현직 미용인의 미용 교육기관 인지도 조사

현직 미용인이 인지하고 있는 교육기관에 대한 설문은 복수

응답으로 진행하였다. 인지도가 가장 높은 교육기관으로 ‘사설

기관’이 28.5% 그리고 ‘학교’, ‘제품회사’, ‘직장 내’ 순으로 나타

났다. 이는 송금선(2008)의 연구에서 현직 미용종사자가 교육

기관으로 ‘학원’을 79.37%로 높게 이용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교육비 지원이 가능한 ‘고용노동부’, ‘서울시’, ‘여성가족부’의 교

표 6.미용관련서울S대학교와J미용고등학교교육과정예

분류 서울 S대학교 미용예술학과 서울 J미용고등학교

대상 고등학교 졸업자 중학교 졸업자

전공교과목 공중보건과 위생, 인체 생리학, 아로마 테라피, 바디 트리트먼트

기초펌 헤어, 모발학, 기초 메이크업, 특수 분장 등고객관리, 면접준비, 미용사진영상

공중보건, 소독학, 인체 생리학, 피부관리, 특수관리, 발관리

퍼머넌트, 컬러링, 윙거/롤, 색체학, 아트메이크업

미용경영, 미용이론 등

비용(원) 2012년도 평균 등록금 7,960,600원 2012년도 입학생 등록금 757,330원

Page 5: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김여정,리순화.pdf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357www.kosac.or.kr

미용 종사자의 교육기관 활용도 연구

육은 각각 9.7%, 3.4%, 2.5%로 미용 교육기관으로서의 인지도

가 매우 낮았다(표 8).

3. 현직 미용인의 종사별 미용 최초교육 목적 비교

최초교육 목적이 전체적으로 ‘자격증 과정’이라는 응답이

58.0%로 가장 높았고 종사별로도 모두 ‘자격증과정’으로 나타

났다(표 9). 이정현(2010)의 연구에서 직업훈련교육 동기로 ‘자

격취득, 취업(창업)’이 67.7%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 결과

와 유사하게 취업과 창업에 있어서 필수적인 자격증이 갖는 중

요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4. 현직 미용인의 최초교육 시 어려움의 주요 요인

최초교육 시 어려움의 주요 요인으로 ‘교육비용 부담’이

38.9%로 높았으며 이는 김춘자(1999)의 연구에서 피부관리사

재교육의 불만족 이유를 비용부담(30.8%)으로 가장 높게 응답

한 결과와 유사하였다(표 10).

5. 현직 미용인의 종사별 재교육에 활용된 미용 교육기관 비교

종사별 재교육에 활용된 교육기관 비교에서 교·강사는 ‘학

교’로, 헤어샵 종사자는 ‘직장 내 교육’으로, 피부샵 종사자는

‘사설기관’으로 각각 가장 높았다(표 11). 피부미용사의 재교육

시, 김은정(2009)의 연구에서 미용학원 이용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헤어샵 종사자 재교육 시, 장

영혜(2004) 연구에서는 미용 관련업체를, 본 연구에서는 직장

내 교육(53.5%)을 교육기관으로 활용하여 결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장영혜와 유태순, 2005).

6. 현직 미용인의 최초교육과 재교육 시 미용 교육기관 활용도

비교

본 연구에서 현직 미용인은 최초교육 시 ‘사설기관’을 52.8%

로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김춘자(1999)의 연구에서 피부미용

사가 되기 전 이수한 교육기관으로 ‘미용학원’이 54.9%로 가장

높아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재교육 시에는 ‘제품회사’를 30.1%

로 가장 많이 활용하였는데 송금선(2008)의 연구에서 헤어샵

종사자 재교육시 사설기관을 가장 높게 이용한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교육, 재교육 모두 ‘노동부’, ‘서울

시’ 등 교육비 지원 가능한 교육기관의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2).

7. 현직 미용인의 미용 교육기관 관련 정보 필요성 및 교육기

관 인지의 경로

‘미용 교육기관 관련 정보 필요성’ 여부에 대한 문항에서 ‘필

요하다’가 84.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표 13). 이는 다수인의

욕구를 시간적, 공간적 개념을 초월하여 충족시키는 가장 효과

적이며 지속적인 방법으로 정보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박은

혜, 2001)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교육기관을 알게 된 경로로 ‘인터넷을 통해’ 라는 응답이

48.7%로 가장 높았다(표 14). 김명해(2006)의 연구에서 미용에

관한 정보 습득 경로로 42.7%가 대중매체를 꼽았는데 인터넷

은 대중들을 대상으로 시각적, 청각적, 문자적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쉽고 빠르게 교육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인터넷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교육정보를 지속

적으로 게시함이 요구되어 진다.

Ⅴ. 결 론

미용 교육기관 현황 및 미용 교육과정을 조사한 결과, 고용노

동부나 여성가족부, 서울시에는 재직자, 실업자, 경력 단절 여

성을 대상으로 교육비 지원 미용교육이 있으며, 학교는 유료 교

육과 평생교육시설의 법인 소유 학교 장학금 지원이 있고, 사설

기관은 유료 교육 및 노동부 지원으로 시행하는 내일배움카드

제 대행 교육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3명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최초교육과

재교육 시 교육기관 활용도를 조사한 결과, 최초교육 시 ‘사설

기관’ 이용은 52.8%, 어려움의 요소로 교육비용 부담이 38.9%

로 가장 높았고, 재교육 시 ‘제품회사’ 이용이 30.1%로 가장 높

았다. 교육기관 인지도 조사 결과, ‘사설기관’이 28.5%로 가장

높게, 교육비 지원이 가능한 ‘고용노동부’는 9.7%, ‘여성가족부’

는 3.4%, ‘서울시’는 2.5%로 각각 낮게 나타났으며 ‘미용교육기

관 교육 관련 정보의 필요성’에서는 ‘필요하다’가 84.4%로 정보

노출이 매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비 지원 가능한 교육

이 인지가 낮은 것과 더불어 실업자나 경력 단절자 여성들을 대

상으로 범위가 제한적이고, 교육기관에서 재교육보다는 최초교

표 7.현직미용인의일반적특성

일반 특성 분류 빈도(%)

성별남자 9 (4.7)

여자 184 (95.3)

최종 학력고등학교 85 (44.0)

전문대 이상 108 (56.0)

전공 여부미용전공(고등학교, 대학교포함) 79 (40.9)

타 전공(고등학교, 대학교 포함) 114 (59.1)

근무 기관

교·강사 37 (19.2)

헤어샵 종사자 53 (27.5)

피부샵 종사자 103 (53.3)

합계 193 (100.0)

Page 6: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김여정,리순화.pdf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358 www.kosac.or.kr

Kor. J. Aesthet. Cosmetol.,Vol. 10 No. 2, 353-359, May 2012

육에 더 중점을 둔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비용 부담을 감소시키

고 교육비 지원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 정보의

대중 매체 노출과 재교육 교육내용, 교육과정 확대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시 지원 교육에 대한 조사에서 서울시로 제한을

두었으며, 네일아트, 메이크업, 두피관리실 등의 다양한 현직

미용인을 반영하지 못하는 제한점을 가진다.

표 10.현직미용인의최초교육시어려움의주요요인 빈도(%)

교육기관의 시설 부족,이동 거리, 불친절 교육내용 부실 교육비용 부담 교육시간 부족 강사 역량 부족 기타

53(27.5) 23(11.9) 75(38.9) 23(11.9) 10(5.2) 9(4.7)

표 11. 현직미용인의종사별재교육에활용된미용교육기관비교 빈도(%)

분류 교·강사 헤어샵 피부샵 p

학교 9 (39.1) 1 (2.3) 8 (17.0)

77.052 .000***

사설기관 8 (34.8) 0 (0.0) 21 (44.7)

직장 내 교육 0 (0.0) 23 (53.5) 4 (8.5)

제품회사 세미나 3 (13.0) 19 (44.7) 12 (25.5)

고용노동부 지원 0 (0.0) 0 (0.0) 2 (4.3)

서울시 지원 1 (4.3) 0 (0.0) 0 (0.0)

기타 2 (8.7) 0 (0.0) 0 (0.0)

***p<.001

표 12.현직미용인의최초교육과재교육시미용교육기관활용도 단위(%)

교육기관 학교 사설 직장 내 제품회사 노동부 서울시 기타

최초교육 26.9 52.8 4.7 0.5 14 1 0

재교육 15.9 25.7 23.9 30.1 1.8 0.9 1.8

표 13.현직미용인의미용교육기관관련정보필요성 빈도(%)

필요 보통 불필요

163 (84.4) 27 (14.0) 3 (1.6)

표 8.현직미용인의미용교육기관인지도 단위(%)

인지기관 학교 사설기관 직장 내 제품회사 노동부 여성가족부 서울시

인지도 24 28.5 15.4 16.5 9.7 3.4 2.5

표 9.현직미용인의종사별미용최초교육목적비교 빈도(%)

분류 학교교육 자격증과정 기초과정 심화과정 p

교·강사 10 (27.0) 15 (40.5) 8 (21.6) 4 (10.8)

25.045 .000***헤어샵 10 (18.9) 41 (77.4) 1 (1.9) 1 (1.9)

피부샵 22 (21.4) 56 (54.4) 24 (23.3) 1 (1.0)

합계 42 (21.8) 112 (58.0) 33 (17.1) 6 (3.1)

***p<.001

표 14.현직미용인의교육기관인지의경로 단위(%)

친구 및 주변인 인터넷 현수막 및 정보지 기타

34.2 48.7 7.8 9.3

Page 7: 미용 교육기관 현황 조사 및 미용 교·강사, 헤어샵과 피부샵 종사자 …. 김여정,리순화.pdf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 Study on the Current

359www.kosac.or.kr

미용 종사자의 교육기관 활용도 연구

참고문헌

강나희. 피부미용 대체요법의 인식과 교육 형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고용노동부. 직업 능력 개발 계좌제: 이·미용, 음식 관련 분야

등 일부 직종 훈련비 자비 부담 비율이 20에서 40로 높아

진다. 노동부, pp1-3, 2010.

고희경. 헤어디자이너의 재교육에 따른 만족도 및 고객 재방문

에 관한 연구. 영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김명해. 헤어 美容關聯職業의 선호도와 滿足度에 영향을 미치

는 要因分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김민경. 미용관련 직업능력개발 계좌제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강복란. 직업훈련기관의 미용과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서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김선희. 뷰티살롱 미용사의 재교육 실태 조사.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2.

김은정. 피부미용관리사의 재교육과 직무만족에 관한 실태조

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김종근. 뷰티살롱의 교육 훈련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김종임, 메디컬 스킨케어의 재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피부미

용사 대상으로.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김종임. 메디컬 스킨케어 재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

미용학회지, 1: 9-18, 2003.

김춘자. 국내 피부관리사의 교육 및 업무 실태 조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류은주, 오강수. 미용실 재교육 실태 조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지, 16: 214-225, 2010.

박은혜. 공연예술단체의 정보화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보건복지부 뷰티산업선진화지원센터. 뷰티산업 지원 사업 자

료집 : 창업에서 해외진출까 지. 보건복지부, pp67-69,

2010.

송금선. 미용인의 재교육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8.

신미숙과 송재호. 피부 미용사들의 특성에 따른 직업 관련 요

인에 대한 연구-직업윤리, 직무 만족, 직업 태도를 중심으

로. 대한피부미용학회지, 8: 1-10, 2010.

이계숙, 나영순. 미용인의 재교육 필요성 인식정도 및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 111-122, 2004.

이수진. 미용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학과 선택 결정요인과 만족

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이자영, 전연숙, 이순영.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교과과정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9: 4-5, 2012.

이정림. 헤어 미용 직업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숙

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이정현. 미용교육기관 현황과 발전방안. 한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임남주. 헤어 디자이너의 재교육실태와 만족도. 고신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8.

임미혜, 김미현.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시니

어스파 교육과정 개발을 중심으로.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 397-407, 2009.

장미화. 미용사의 이직에 대한 관리자와 종업원의 시각차이 및

이직률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정보연. 피부미용 경영자의 운영 및 교육 현황에 대한 연구. 서

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장영혜, 미용환경 변화와 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장영혜, 유태순. 미용종사자의 재교육 실태조사 및 문제점. 한

국의류산업학회지, 7: 231-236, 2005.

정재학.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체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94.

조판래. 미용업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9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미용 관련 학교 학과 교과목 이수 규

정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pp23-24, 200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의약산업단 뷰티·화장품팀. 네일미

용 관련 협회 및 교육기관.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pp1-3,

2009.

KHIDI 정책 개발단 화장품 산업팀. 미용인력 교육기관.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pp11-12, 2008.

기타

교육과학기술부(2012). http://www.mest.go.kr/main.do

서경대학교(2012). http://www.skuniv.ac.kr

서울특별시 여성능력개발원(2011). 취업/창업정보. http://

wrd.seoulwomen.or.kr

여성가족부. 정책가이드(2011). http://www.mogef.go.kr

정암미용고등학교(2012). https://www.jeongarm.hs.kr: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