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40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pp.7~46 1) |목차|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결과분석 5. 논의 및 결론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상담활동가들의 성장 경험을 본질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 상담활동가 개인들이 경험했던 다양한 주관적 인 감정과 생각 , 느낌 등에 대한 의미를 밝히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 연구참여자는 총 11명으로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여성단체에서 3년 이상 활동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자와 함께 일을 했거나 활동배경을 잘 알 고 있는 사람들로 선정하였다 . 자료는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했으며 부족하거나 의문 이 있는 경우는 추가 면접 또는 전화 , 메일 등을 통해서 보완하였다 . 자료분석은 지오 르지 방식을 택하였다 .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성장경험은 19의 하위 구성요소와 9개의 구성 요소로 범주화되었다 . 참여자들의 성장경험 구성요소는 모순 인식 , 나의 문제로 환원 , 피해자에 대한 이해 , 연대 , 성찰 , 새로운 정체성 확립 , 합리적 판단 , 변화참여 , 자기 돌봄 등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 반성폭력상담활 동가의 성장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 우선 참여자들은 구체적인 피해자지원 활동을 통하여 사회의 모순적 상황에 대한 각성을 경험하게 되고 눈뜸의 * 이 글은 지영경의 석사학위논문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재구성한 것임 . ** 주저자 , 경성대학교 양성평등 성상담실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및 사회복지대학원 여성학과 [email protected] 부산지역 반 反 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을 중심으로 지영경 ** ·공미혜 ***

Transcript of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Page 1: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pp.7~46

1)

|목차|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결과분석

5. 논의 및 결론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상담활동가들의 성장

경험을 본질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상담활동가 개인들이 경험했던 다양한 주관적

인 감정과 생각, 느낌 등에 대한 의미를 밝히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11명으로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여성단체에서

3년 이상 활동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자와 함께 일을 했거나 활동배경을 잘 알

고 있는 사람들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했으며 부족하거나 의문

이 있는 경우는 추가 면접 또는 전화, 메일 등을 통해서 보완하였다. 자료분석은 지오

르지 방식을 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성장경험은 19의 하위

구성요소와 9개의 구성 요소로 범주화되었다. 참여자들의 성장경험 구성요소는 모순

인식, 나의 문제로 환원, 피해자에 대한 이해, 연대, 성찰, 새로운 정체성 확립, 합리적

판단, 변화참여, 자기 돌봄 등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 반성폭력상담활

동가의 성장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우선 참여자들은 구체적인

피해자지원 활동을 통하여 사회의 모순적 상황에 대한 각성을 경험하게 되고 눈뜸의

* 이 글은 지영경의 석사학위논문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재구성한 것임.

** 주저자, 경성대학교 양성평등 성상담실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및 사회복지대학원 여성학과 [email protected]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을 중심으로

지영경**·공미혜***

Page 2: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8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단계로 이행해나간다. 그러나 이들은 과중한 업무와 역량부족으로 인한 좌절감을 겪

기도 하며 자신의 문제와 연결하는 경험을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참여자는 피

해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특히 참여자들의 대리외상 경험은 소진과 일

의 단절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비슷한 처지의 동료들 간의 유대감을 발달시키고 자매

애와 연대감을 통해 극복해가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새김의 단계로 이행하는 토대

가 되기도 한다. 이들은 피해자가 상처를 치유하도록 돕는 과정에 오히려 이들로부터

지지를 받으며 자신의 활동을 다진다. 또한 인간에 대한 고민을 통해 자신과 조직에

대한 성찰을 되새기며 여성주의자로서 또는 상담 전문가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

하기도 한다. 이러한 새김의 가치는 참여자로 하여금 구체적인 여성억압의 실상을 알

리기 위한 성폭력 인식전환 활동을 열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참여의 단계로 이행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참여자들은 상담활동을 통해 사람을 편견 없이 바라보고

개인의 다름을 인정하는 합리적인 판단을 할 만큼 성장의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무

엇보다도 자신의 욕구를 이해하고 자신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도 중요한 가치임

을 알고 실천하게 된다. 이 연구는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반성폭력상담활동가의 성장

경험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앞으로 반성폭력 상담활동가들

의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반성폭력운동, 상담활동가, 성장경험,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

1. 문제제기

반성폭력운동 상담활동가들은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

까? 이 질문은 반성폭력운동을 하며 늘 머릿속을 떠도는 생각이었다. 대

부분의 상담활동가들은 자신이 해왔던 일과 조직, 사람, 자신을 다각도로

바라보고 있으며 아직 해결되지 않은 마음의 잔재를 안고 고민하며 살아

간다. 그러면서 상담활동가들은 대부분 활동하기 전과 활동하고 난 후의

자신의 변화를 성장으로 인지한다.

여성운동으로서 성폭력 상담은 가장 개인적인 것을 정치적인 것으로

만들었으며 여성차별과 억압의 사회구조적 이해를 통해 상담자와 피해자

Page 3: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9

가 함께 의식적인 성장을 이루어가는 것이 특징이다(변혜정, 2006). 또한

성폭력 상담은 개인의 문제에서 출발하지만 세상의 편견을 바꿔나가고

성폭력이 없는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활동이기에 지속적인 운동성을

지켜나가기 위해 노력한다. 구체적인 피해자가 존재하고 그 사람을 위해

활동하기에 상담원들은 때론 힘들고 좌절하지만, 피해자로부터 또는 동

료들로부터 힘을 받으면서 활동을 이어나간다. 이와 같이 성장의 개념은

인간이 역경을 통해서 부정적인 영향만을 받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렇듯 반성폭력운동은 여성운동으로 시작되었으며 상담을 매개로

활동이 펼쳐졌음(김민예숙, 2011)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상담활동

가들의 긍정적인 활동보다는 소진이나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성폭력 상담활동가에 관한 선행연구의 주제들

은 주로 상담자의 대리외상 경험(권해수, 2011; 권해수 김소라, 2006), 소

진(이명신 외, 2016; 임수진 김혜숙, 2011; 정미진 송다영, 2010), 좌절(안

은주, 2015), 스트레스 및 관련 요인연구(김민선, 2013; 박지영, 2008; 최

순선, 2015), 대리 외상 관련 변수(강방글 외, 2013; 김보경, 2012; 신혜섭,

2013; 안은주, 2016), 대리외상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치료프로그램(김은

영, 2016) 등으로 요약된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상담이 상담원

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결과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물론 성폭력 상담이 상담활동가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대처방안을 구

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이들의 지속적인 활동에 필요한 연구이기도 하

다. 그렇지만 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상담을 통한 전반적인 성장경험을 파

악해보는 것은 이들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최

근 들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상담원들의 성장을 분석한 연구가 나타나

고 있는데 안은주(2016)는 ‘상담자의 대리외상 후 성장과정’이라는 연구

에서 참여자들이 피해자 경험을 통해 사회적 공감을 인식하고 전문가 집

Page 4: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10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단과 연대하여 역할을 확장하는 과정을 밝히고 있다. 이미정(2014)은 기

독교인이 상담과정에서 자기성찰과 내담자에 대한 연민과 수용의 자세를

배우는 성정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주요 활동의제로 삼아 1992년에는 성폭력상담소를 부설기관으로 개소

했으며 1995년에 성폭력상담소는 독립기관으로 분리되어 성폭력 상담을

전담하고 있다(부산여성단체연합, 2007). 그 후 여러 기관에서 성폭력을 상

담하는 부설기관이 설치되어 현재 부산지역에는 6개의 성폭력 관련 상담소

가 운영되고 있으며 2개의 피해자 보호시설이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여

성가족부, 2017). 그러나 지금까지 반성폭력운동에 관한 연구는 특정 지역

에 편중되어 있는 경향이며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

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상담활동

가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성장에 초점을 두고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여기서 상담활동가는 주로 여성단체나 성폭력상담소 등에서 성폭력

피해여성을 상담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성주의 상담에서 상담

은 넓은 의미의 여성주의 ‘활동’의 하나이며(김민예숙, 2011; 안은주,

2015) 성장은 여성주의 정체성을 발달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Downing

& Roush, 1985). 이 연구를 통해 반성폭력 상담활동가들이 지속적인 활동

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

축적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1) 상담활동가의 성장의 개념과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이론

상담자의 성장은 상담자가 가져야 할 개인적인 자질 향상과 상담에

Page 5: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11

있어 요구되는 전문가적 다양한 기술을 숙련하는 두 가지 면에서 보아

야 하며, 이는 상담자의 생애발달 과정 전반에서 이루어진다(김세일,

2013). 스코볼트와 로너스태드(Skovholt & Ronnestad, 1992)도 상담자의

발달은 생애과정 전반에서 끊임없는 수련과 상담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

지고 개인의 발달과 전문가로서의 발달이 종합적으로 발달해가는 것으

로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강조하며 만약에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

문성 발달은 이행이 되지 않거나 정체된다고 하였다(이미정, 2014: 3-4).

또한 김민예숙(2013)은 여성주의 상담에서 상담의 인지적인 부분과

상담기술이 중요하게 다루어지지만, 여성주의 의식을 함께 지니고 있어

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상담자들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상

담의 이론과 기술을 연마하는데 그쳐선 안 되고 사회구조적인 맥락을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동시에 우리가 사는 사회의 성역할과 젠더분석,

권력분석, 여성심리 연구, 상담자의 여성의식향상 등을 끊임없이 성찰

해나가야 하며 그럴 때 여성주의 상담가로서 성장할 수 있음을 강조하

고 있다.

브라운(Brown, 1994)은 여성주의 상담에 대한 정의에서 “여성주의 상

담은 여성주의의 정치적 철학과 분석으로 제공된, 그리고 다양한 문화의

여성주의 학문에서 여성들과 젠더에 관한 심리학에 근거한 상담의 실제”

라며 상담자와 내담자를 둘러싸고 있는 정치사회적 환경에서 여성주의적

저항과 사회적 변화에 이르게 하는 전략과 해결을 포함한다고(박진아,

2000: 7) 지적했다. 이처럼 여성주의 상담은 내담자의 의식 전반에 영향

을 미치지만 상담활동가들 역시 상담을 통하여 자신의 의식세계 및 가치

관, 활동의 내용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성장과 연결되기도

한다.

반성폭력 상담활동가들이 상담을 통해서 어떠한 성장과정을 거치는가

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이론이 유용하다. 반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수준에 따라 상담에 미치는 효과가

Page 6: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12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다를 수밖에 없기에 이들에게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의 의미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성주의 정체성은 한 개인이 여성이나 남성으로서의 자기 자신을 인

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과 일치하는 방법으로 역할

을 수행하고 세계를 재정의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여 전

통적인 성역할에 얽매이지 않고 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능력을 개발하여 개인의 성장을 지속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여

성주의 정체성은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발달시켜

가면서 자신의 새로운 삶을 계획하고 실현해가는 것이다(박애선, 1993).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모델은 흑인 정체성 발달모델을 토대로 다우닝

과 러쉬(Downing & Rush, 1985)가 개발한 것으로 이후 워렐과 리머

(Worell & Remer, 1992)가 4단계로 수정한 것이다.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

은 높은 단계로 올라갈수록 보다 바람직한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된

다. 다우닝과 러쉬(1985)에 의하면 여성주의 정체성의 높은 단계는 여성

들의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여성주의 정

체성이 마지막 단계에 이르면 여성은 개인의 성장에 필요한 새로운 태도

를 지니게 되는데 그 특성으로는 자기감정에 충실하게 되며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스스로 즐겁게 사는 법을 터득하면서 자신의 숨어 있는 힘을 발

견하게 된다고 한다(공미혜 류순덕, 2004).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의 단계

별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박진아, 2000; 워렐과 리머,

2015).

1단계는 수용성(Acceptance)으로 이 단계에서의 여성은 자신에 대

한 억압적인 사회구조와 성차별, 편견 등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스스로

부정한다고 한다. 전통적인 성규범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 동의하

며 남성들이 여성들보다 우월하거나 낫다고 믿는다. 이 단계의 마지막

에서는 위험, 변화에 대해 자신을 개방, 수용하는 준비성이 나타나며,

자신과 세계에 대한 개방성이 증대하게 된다. 이러한 준비성과 개방성

Page 7: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13

은 다음 단계로의 이행하게 하며 개인의 자존감과 자아발달의 향상에

도 영향을 미친다.

2단계는 눈뜸(Revelation)이며 이 단계에서의 여성은 사회가 성차별적

인 구조이며 자신을 억압해 온 것을 지각하고 분노하며 자신 역시 그러한

구조에 동의하며 지내온 것에 죄책감을 느낀다. 또한, 여성의 가치를 인

정하기 시작하면서 오히려 남성을 적대시하기도 한다. 수용성에서 눈뜸

으로의 진전은 도외시할 수 없는 모순이나 몇 가지 위기 상황이 돌발적

또는 지속화되면서 이행되는데 여성 개개인들이 의식세계 변화의 필요성

이 점진적으로 쌓여가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 단계에서는 의

식향상의 경험이나 여성운동 참여 등을 통해 모순적 상황을 경험하게 되

며 해방감을 느끼는 진전을 이룬다. 하지만 여성적 가치의 중요성을 제대

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일부는 이분법적으로 남성을 부정하고 여성만 인

정하는 여성 우월로 왜곡되기도 한다.

이어서 3단계는 새김(Embeddedness)이며 이 단계의 여성들은 가부장

적 질서 속에 살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이 젠더의식을 발전시키는 데 어려

움을 느낀다는 것을 이해한다. 이 때문에 남성중심의 문화에서 빠져나오

려 하며 여성들 집단 내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새김의 경험은 비슷한 여

성들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발달시키고 이 유대감이 자기를 개방할 수 있

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여성들의 억압에 대해 다양하게 표출하며

새로운 참조체계와 정체성을 갖게 되면서 자기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전의 정체성과 새로운 정체성의 갈등은 간혹 초기 단계로 복귀

시키기도 한다. 이 단계 후기에는 남성들과 조심스럽게 인간관계를 맺기

도 하며 다음 단계 이행에 영향을 준다.

4단계는 참여(Commitment)로 이 단계에서 여성은 자신의 긍정적인 가

치를 증대시키고 전통적인 성역할을 초월하여 자신의 삶을 선택할 수 있

으며, 남성을 고정화하거나 편견 없이 개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단계

의 여성들은 사건을 억압과 연관 지어 수용하고 정확하게 원인을 볼 수

Page 8: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14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있다. 그리고 세상과 ‘융통성 있는 평화협정’을 갖고 여성주의 실현을 위

해 사회변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앞으로의 미래를 위해 개인적

인 만족, 효과적인 사회변화의 가능성, 자신의 특별한 재능을 고려하여

자신의 목표를 신중하게 선택한다. 이 단계에서는 사회정의를 향한 변화

에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최고수준의 성장에 이르게 된다.

여성주의 정체성 단계는 위의 4단계로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도 하지만

활동을 통해서 몰랐던 부분, 혹은 여전히 반복되는 모순적 상황에 대한

분노 등으로 인해 눈뜸과 새김의 단계를 오르내리는 나선형의 구조로 진

행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담활동가들은 참여의 단계로 전진하거나 이전

단계로 회귀할 수도 있지만 마지막 단계인 적극적인 참여의 정체성을 가

질 때 비로소 여성 개인으로서의 가치와 정체성을 더욱 확고하게 할 수

있다고 본다(워렐과 리머, 2015). 이 연구에서는 김민예숙(2013)과 박애선

(2003)이 제안한 바와 같이 성장을 개념을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과 연계

하여 단계가 높아질 때 ‘성장’으로 보고자 한다.

2) 여성주의 정체성과 성장 관련 선행연구

상담활동가들의 여성주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는 의외로 많지 않다. 박

진아(2000)의 연구에 의하면 여성단체의 상담기관이 전통적 상담기관보

다 여성주의 상담을 더 많이 실시하고 있으며 여성단체의 상담기관 상담

자가 일반 상담기관의 상담자보다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수준이 높은 것

으로 밝혀졌다. 이는 일반 상담기관 상담자들이 여성내담자들에게 가부

장제 사회의 전통적 여성의 성역할을 적용하여 상담을 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박진아(2000)는 여성주의 상담에서 새로운 여성정체성 획

득은 전통적인 가부장제의 순응적인 여성역할을 벗어나는 눈뜸의 단계와

새로운 여성정체성을 찾는 새김의 단계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단체 상담기관에서는 상담활동가들이 새김의 단계를

Page 9: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15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의식화 집단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안은주(2015)는 성폭력상담소 활동가들이 경험한 좌절과 대처과정을

탐색하였는데 참여자들은 대처전략으로 ‘적응’보다는 ‘변화’를 선택하는

경향이 짙고,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힘쓰고 있으며 내담

자에게 역량강화를 도모하듯이 자신에게도 이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성주의 의식이 높으면 소진경험 가능성이 낮다는 기

존의 연구(정미진 송다영, 2010)와 같은 맥락으로 보이며, 참여자들의 좌

절과 대처과정은 여성주의 상담활동가로 성장하는 과정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정미진 송다영(2010)은 여성인권 지원단체 활동가들의 여성주의 의식

이 소진에 미치는 정도와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여성주의 의식향상에 필

요한 교육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내담자와의 부

정적 관계가 높거나 업무역할이 모호한 경우, 역할 갈등이 크거나 업무량

과 조직 내 관계, 임금 수준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소진 수준이 높았으

나 여성주의 의식과 연령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아진다고 보고하였다. 그

들은 결론에서 여성주의 의식향상을 위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요구와

보수교육 등을 통한 상담의 전문성 확보와 명확한 업무분담이 필요하다

고 주장하였다.

이 외에 상담활동가의 성장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보면 주로 상담활동

을 통해서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한 양적 연구가 많았으며 소진이

나 대리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강방글 외, 2013;

권해수 김소라, 2006; 김민선, 2013; 김보경, 2012; 김은영, 2016; 김인주

김도연, 2015; 박지영, 2008; 신혜섭, 2013; 이명신 외, 2016; 임수진 김혜

숙, 2011). 이상의 연구에 의하면 상담활동가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소진

되거나 좌절하거나 업무관리체계의 비효율성으로 업무가 가중되는 등 여

러 가지 위기 상황 등에 빈번하게 노출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교육훈련이

Page 10: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16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나 슈퍼비전, 다양한 연계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등을 통해 역량강화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상담활동가들은 대리외상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어 대리외상

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무

엇보다도 여성운동으로서 반성폭력 상담활동은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상담상황에서의

소진이나 업무 스트레스 또는 대리외상의 극복으로서의 성장을 다루고

있어서 한계를 보인다.

3. 연구방법

1) 현상학적 연구

질적 연구는 인간의 사회적 경험이 어떻게 만들어지며 그렇게 형성된

사회 경험이 어떻게 개인의 현실을 구축하게 되는가를 알아내는 것을 중

요한 기준으로 본다. 여성주의 비평이론가들은 지식이 연구자와 참여자

간의 상호협력 속에서 새로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질적 연구는 실제 현실

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이 연

구는 질적 연구의 한 유형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

하였다.

현상학은 존재론적, 인식론적 의문을 중시하는 철학이다. 현상학적 연

구는 하나의 개념이나 주제,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들이 경험한 체험의

공통적 의미를 기술한다(크러스웰, 2015). 현상학적 연구가 인간의 경험

과 그 의미의 분석이라는 지극히 주관적인 의식 차원에 관한 탐구라는 점

을 감안한다면 열정을 가지고 일상생활 내의 크고 작은 경험적 실체들을

소중하게 다루는 연구자의 가치관 전환이 필요하다(유혜령. 2015). 현상

Page 11: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17

학의 기본적인 목적은 현상에 대한 개인의 경험들을 보편적 본질에 대한

기술로 축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연구자는 개인들

이 경험한 현상을 확인하고 현상을 경험한 사람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

여 모든 개인에게 나타나는 경험의 본질에 대한 복합적인 기술을 전개한

다. 이러한 기술은 그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그것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를 포함한다(크러스웰, 2015).

특히 지오르지(Giorgi)는 후설 현상학의 근본 통찰을 사용한다. 후설 현

상학은 미리 제시된 어떤 선입견에도 구애받지 않고 탐구하고자 하는 사

태 자체로 돌아가서 이론을 수립함을 목표로 한다. 지오르지에 따르면 ‘사

태 자체’로 돌아간다 함은 “사람들이 구체적인 실제 생활에서 다양한 현상

들을 체험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일상적인 세계”(1985: 8)로 돌아감을 의미

한다. 그리고 경험과학으로서 현상학의 과제는 사람들이 일상적인 세계

에서 살아가면서 겪는 다양한 ‘일상적인 경험’의 본질구조를 탐구하는 데

있다(이남인, 2014: 32-34).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오르지의

기술적 현상학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차용하고자 하였다.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 연구참여자의 선정 및 절차

질적 연구로서 연구주제에 대한 충분하고 풍부한 설명을 위해서는 자

료가 포화상태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자료가 충분히 수집되어

더 이상의 새로운 자료가 나타나지 않고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사례가

다 조사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김귀분, 2005). 이러한 포화상태, 즉,

충분함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다면 질적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

보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연구 주제에 대한 많은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 포함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정보와 풍부한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참여자

Page 12: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18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선정기준을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다.

첫째,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의 성격을 지닌 성폭력상담소나 피

해자지원기관에서 활동한 사람들이어야 한다. 이 연구는 반성폭력 상담

활동가로서 운동과 상담을 동시에 적절하게 펼쳐 온 사람들의 경험에 중

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둘째, 최소 3년 이상의 활동 경험을 가진 사람들로

다양한 연령대와 활동 경력을 가진 사람들이어야 한다. 이런 선정기준을

마련한 것은 너무 짧은 경력으로는 다양한 경험을 이야기할 수 없으며 연

령에 따라 참여자들이 살아온 생애 전반에서 상담활동 경험이 다르게 받

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심층면접의 경우 연구자와의 친밀감

정도에 따라 면접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참여자와 연구자 간의 친밀

감 형성을 충분히 고려하였다. 따라서 연구자와 함께 활동하였거나 연구

자가 익히 알고 있는 여성단체의 활동가들을 포함하였다. 이들은 비슷한

시기에 반성폭력 상담활동을 함께 하였기에 연구자와 이미 신뢰관계가

형성되어 있어 보다 심도 깊은 인터뷰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에 부합한 참여자들을 직접 선정하기도 했으며 주

위 사람들로부터 추천을 받기도 하였다. 우선 연구에 적합한 참여자들에

게 직접 전화를 하여 연구의 의의와 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의사를

묻고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11명 연구참여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나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부산지역 내에서 성폭력 관련단체에서 근무한 상담활

동가로 성폭력 상담원 교육을 이수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모두 여성이며

학력은 대학 졸업생 5명,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생 2명, 석사과정 수료생

또는 졸업생 3명, 박사수료생 1명으로 활동경력은 3년에서 19년까지로 다

양하다. 이들이 활동을 했던 곳은 성폭력피해자를 지원하는 상담소, 여성

단체, 피해자 지원센터 등이며 연령은 29세에서 53세까지이다.

Page 13: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19

구분 성별 연령 학력 활동경력(년)

참여자 1 여 29세 학사졸업 3

참여자 2 여 30세 학사졸업 5

참여자 3 여 51세 석사 재학 중 19

참여자 4 여 43세 석사수료 14

참여자 5 여 35세 학사졸업 7

참여자 6 여 42세 석사수료 14

참여자 7 여 43세 학사졸업 5

참여자 8 여 45세 석사 재학 중 7

참여자 9 여 36세 석사졸업 8

참여자 10 여 30세 학사졸업 4

참여자 11 여 53세 박사수료 15

<표 1> 연구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2) 자료수집 방법

심층면접을 진행하기 전에 참여에 동의한 연구참여자들에게 연구주제

및 참여에 관한 동의서와 인터뷰 질문지를 메일로 먼저 보내서 연구주제

에 대하여 미리 생각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었다. 직접 만나서 진행

하는 심층면접은 2017년 9월부터 2017년 10월까지였으며 면접시간은 70

분에서 130분 정도를 소요하였다. 추후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참여

자는 다시 만나 심층면접을 실시하거나 전화 또는 이메일을 통해 추가사

항을 요청하였다. 참여자들 중 부득이한 사정으로 국외에 있어 이메일로

교신하여 응답을 회신한 경우도 한차례 포함되어 있다.

심층면접은 참여자가 근무하는 사무실이나 별도의 장소에서 실시하였

다. 참여자들에게는 면접에 대한 소정의 답례 대신 간단한 식사나 차를

제공하는 것으로 양해를 구하였다. 모든 면접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취되었으며 녹취자료는 연구목적 이외에는 쓰이지 않음을 알리고 녹취

Page 14: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20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는 참여자가 거부하면 중단할 수 있음을 재차 고지하였다. 연구자는 면접

시 참여자들에게 먼저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했으며

몇몇 참여자는 미리 동의서를 써오기도 했다. 연구자는 참여자에게 면접

용 질문서에 너무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도록

했으며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궁금한 것을 추가 질문하는 형식으로 면접

을 진행하였다. 또한 면접 중 몸짓이나 표정 등 비언어적인 부분은 별도

로 노트에 기록하였으며 참여자 역시 면접질문지를 토대로 미리 노트에

글을 써와서 면접에 임하기도 하였다.

면접내용은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의 맥락을 잘 이어가고 참여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생생한 진

술을 살리기 위해 가급적 이틀 이내에 직접 필사하였다. 참여자들에게 필

사한 원본을 다시 메일로 보내어서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으며 추가사항

이나 삭제를 요청하는 부분에 관한 확인 작업을 가졌다.

(3)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질적 연구는 연구자가 참여자와 직접 만나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윤리

적 문제가 민감하게 다루어져야 한다(윤택림, 2013). 참여자의 동의를 받

기 위해 연구 목적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밝히고 이를 수용한 참여자들

에게 연구목적과 연구참여동의서, 인적사항질문지, 면담질문지를 메일로

1차 발송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에게 연구결과가 어떤 식으로 사용되는지

명확하게 언급하고 참여자의 인적사항이나 개인정보, 자료는 연구목적

외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익명으로 처리되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면

접내용이 녹음된다는 점과 녹음된 내용의 필사는 연구자 본인이 진행함

을 알렸다. 필사본은 다시 참여자에게 보내져 확인 후 연구할 것이며 면

접 이후 추가로 궁금한 사항은 다시 만나서 묻거나 전화나 메일 등 참여

자가 원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필사본 중 연구자

료로 사용되기를 원하지 않는 부분은 삭제할 수 있음을 미리 알렸다.

Page 15: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21

(4) 자료의 분석과정

현상학적 연구과정은 현상 확인, 연구의 구조화, 자료수집, 자료 분석, 보

고서 작성의 과정을 거친다. 현상학적 연구의 분석방법은 학자마다 다양하

다. 그 중에서 지오르지에 의해 제시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참여자들 개인

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참여자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자세하게 파

악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김분한 외, 1999). 따라서 이 연구는 반성

폭력 상담활동가들 개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에 집중해서 그 성장경험의 의

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지오르지의 분석방법을 토대로 하였다.

지오르지의 자료 분석절차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남인, 2014). 첫

째, 연구자는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자료 전체를 반복적으로 읽

고 참여자의 표현 그대로의 경험을 표현한 본래의 의미단위를 파악한다.

둘째, 연구자료 전체를 다시 천천히 읽어가면서 연구 주제인 현상에 중점

을 두고 다양한 의미단위를 구별해나간다. 셋째, 반복되는 같은 의미단위

들은 하나의 의미단위로 바꿔가면서 확인하고, 확정된 의미단위들 각각

을 다른 의미단위들 및 전체적인 의미와 관련지으면서 의미를 분석해나

가고, 이를 통해 참여자의 언어로 표현된 의미단위들을 확보한다. 넷째,

참여자의 언어로 표현된 의미단위들을 연구자의 자유변경과정을 통해 일

반적인 이론적 언어로 표현된 의미단위로 바꾸는 과정을 거친다. 다섯째,

지금까지의 분석과정을 통해 드러난 의미단위들을 종합하면서 현상의 본

질구조를 파악하여 일목요연하게 기술한다.

참여자들로부터 받은 필사본을 연구자가 평가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자유롭게 여러 번 읽으면서 전체적인 내용의 의미를 숙지하였다. 또한 기

술한 내용이 모호할 경우 다시 참여자에게 그 의미를 묻거나 메일을 보내

어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그 다음 본질적인 의미단위에서 참여자의 말

로 표현되어 그들의 경험을 나타내는 부분이 될 수 있는 것을 구분하여

주제화하였다. 이후 의미단위에 대하여 연구자의 자유변경과정을 통하

여 학술적이고 이론적인 언어로 기술하기 위해 숙고하는 과정을 거쳤다.

Page 16: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22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의미단위들을 종합적으로 살피면서 그

현상의 본질적인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여 정리요약 하였다. 결과해석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와 관련 동료가 함께 분석에 참여했으며

연구자의 편견을 벗어나도록 노력하였다.

4. 결과분석

참여자들의 진술 중 학술적 용어로 전환된 의미단위들 중 동일한 의미

끼리 묶어서 82개의 의미단위요약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의미단

위요약을 보다 상위 개념인 19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분류한 뒤 마지막으

로 총 9개의 구성요소로 구분했으며 이는 다음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여성주의정체성 단계

구성요소 하위구성요소

눈뜸

모순인식

사회적 부당함에 맞섬혼란스러운 활동반성폭력운동 제도화의 인식혼란과 갈등분노

나의 문제로 환원나의 개인적인 문제로 인식역량 부족 인식

피해자에 대한 이해 피해자에 대한 인식 변화

새김

연대동료의 지지피해자의 지지

성찰자신에 대한 성찰조직에 대한 성찰

새로운 정체성 확립여성주의 정체성 확립전문가 정체성 확립

참여 및 자기돌봄

합리적 판단타인의 입장 이해전반적인 이해의 폭 확장

변화 참여성폭력 인식변화 활동잘못된 사회통념 바로잡기

자기돌봄스트레스 해소방법 실천자신의 욕구 인정

<표 2> 참여자의 여성주의 정체성 성장경험

Page 17: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23

1) 모순인식

(1) 사회적 부당함에 맞섬

반성폭력상담 활동에서 피해자지원 경험은 가장 중심적인 영역이다.

참여자들은 활동하기 전 여성문제에 관심이 있었거나 아니면 자원 활동

이나 실습 활동을 통해 반성폭력 활동을 접하게 된다. 피해자지원 경험은

참여자들에게 성차별 사회구조에 대해 인식을 하며 여성주의 정체성 발

달에 있어 눈뜸의 단계로 이행하게 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한다.

참여자들은 성차별 사회와 부딪히는 사건들에 빈번하게 노출되고 사회구

조 속에서 여성폭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경험하면서 모순을 인식하고

수용성 단계에서 눈뜸의 단계로 이행한다.

참여자들의 활동경력은 3년에서 19년까지로 연차별, 시기별로 차이는

있다. 2000년대 이전 시기에는 성폭력이 사회적으로 이슈는 되었지만 상

담이 현재와 같이 활성화되지는 않았었다. 당시에는 성폭력 사건 지원을

하면서 적극적인 문제제기와 여론화 활동, 피해자 지원 시설을 만들어내

는 일들이 수행되었으며 반성폭력 단체들이 조직적으로 대응하고 해결해

가는 과정이 많았다. 참여자 11은 피해자들이 자신의 상황을 말하고 드러

낼 수 있는 환경들을 조성하기 위한 이슈화 활동을 하며 피해자 지원체계

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모순을 제시한다.

장애인 성폭력 사건이 발생해서... 학생이었는데 그 마을 전체가 문화마을인가

이랬어. 문화마을에서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없다. 계속해서 한 동네에서 침묵하

고 막 그랬단 말이에요. 자기 마을 깨끗한 문화마을이라고 얘기하면서 얘를 돌

볼 수가 없는 거야...(중략)... 2002년도에 우리 쉼터 만들어서 다시 걔들을 데리

고 왔지... (참여자 11)

2000년대 이후에는 성폭력 피해자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보다 촘촘한

활동이 펼쳐졌다. 참여자들은 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도 불구하고

Page 18: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24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자신을 드러내고 싸워가는 피해자들과 함께 성폭력 피해를 근절하기 위

해서는 목소리를 내고 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함을 인지한다.

그리고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의 잘못된 시각이 있음을 인지하고 먼저

피해자들이 법적인 과정에서 마주치는 장벽들을 돌파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특히, 성폭력 상담은 법적으로 고소절차가 진행되는 사

례가 많기 때문에 경찰이나 검찰, 법원 내에서의 활동도 많았다. 이러한

경험은 사회가 피해자 인권의식이 낮고 오히려 피해자를 비난하는 모순

적 상황을 각성하게 하여 부당함에 문제를 제기하는 구체적인 활동으로

이어지게 하였다. 참여자 7은 피해자와 동행하여 참여한 재판에서 판사

임에도 불구하고 성폭력특별법에 대한 이해가 낮아 부당함에 맞섰던 법

정에서의 경험을 밝히고 있다.

성폭력 특별법이라든지 우리가 따냈는데 결과적으로 내가 써먹기도 했잖아. 법

원에서 억수로 진짜 지랄 맞은 재판장이 나보고 나가라면서 했는데 내가 안 된

다 법에도 있다고 했는데, 나가라 하면서 이랬는데 나왔다가 다시 들어갔어요.

법에 있으니까. (참여자 7)

(2) 혼란스러운 활동

참여자들은 반성폭력 상담활동을 시작하면서 높은 의욕으로 출발하지

만 시간이 흐르면서 대부분은 자신의 일을 점검하거나 돌아볼 여유가 없

어지는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과중한 업무가 가장 큰 원인이며 반

복되고 늘어나는 실무와 활동의 가치 사이에서 상담활동가들에게 혼란을

야기하는 계기가 된다. 참여자 3은 실무와 활동의 가치에서 느꼈던 혼란

스러움과 활동의 의미를 잃게 되었던 경험을 말하고 있다.

조직도 커지고 일이 많아지면서 점점 힘들어지는 것을 건강하게 풀지 못했어.

일에 늘 치여서... 자신에 대해서도 그리고 서로에 대해서도 잘 몰랐던 거 같

애...(중략)...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법을 잘 몰랐고, 개인과 조직을 조화롭

게 하는 그런 인식과 기술이 부족했었어. (참여자 3)

Page 19: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25

(3) 반성폭력운동 제도화의 인식 혼란과 갈등

여성운동가들의 요구에 의해 국가가 책무를 받아들이고 실질적 지원

하기 시작하면서 반성폭력 운동이 제도화의 길로 들어서기는 했지만 그

변화 과정에 놓였던 상담활동가들은 인식의 혼란과 함께 활동의 중심을

고민하게 된다. 제도화 경험은 상담활동가들에게 눈뜸의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이행을 위해 새로운 정체성을 가지게 할 외적 요인으로 작용하기

도 했으나 참여자의 경력에 따라 고민 지점과 논의점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참여자 3은 제도화를 거치면서 정부기관의 가치관

과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참여자 9는 반성폭력 단체의 운동과

상담의 가치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어서 시기별로 차이점을 나타낸다.

2000년대 중반으로 넘어오면서 상담소와 정부의 파트너 관계로 이야기되면서

적응이 좀 어려웠어. 단편적으로 보면 예전에는 구청이나 시청에 항의하고 싸

웠던 문제였는데, 이때가 되니까 왜 싸우냐고, 왜 관계를 잘하지 못하냐고 비난

받았던 것 같아. 처음에는 이게 뭐지 했던 게, 시간이 지나면서 제도화라는 말이

나오고, 그것 때문에 힘이 들었구나 싶더라. 또 정부와 함께 하는 일들이 많아지

니까 ‘내가 뭘 하는 거지’라는 의문 때로는 자괴감이 있었어. 파트너 관계를 통

해 피해자지원체계를 잘 만드는 거니까 라는 생각과 현실적으로는 아주 다른

정부 기관의 가치와 문화를 접하면서 오는 갈등?... (참여자 3)

상담은 상담소에서 더 잘하고 운동단체는 운동을 더 잘하자. 나누자. 명실상부하

게. 그때 제가 들어갔어요. 그 역사적 흐름에 제가 들어갔어요... (중략)... 나올 때

쯤 생각할 때는 같이 가야되는 것에 고민을 계속 해야 되는. 왜냐면 상담은 강화될

수 있으나 운동성은 약해진다는 거. 운동성은 강화됐으나 상담을 할 줄 몰라. 그런

데 둘이 같이 가기는 어려워. 뭐 이런 한계가 또 오는 거라. (참여자 9)

(4) 분노

참여자들은 눈뜸의 단계를 거치면서 차별적 사회구조에 분노하게 된

다. 참여자 11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차별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으

Page 20: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26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로서 느끼는 점이 없었지만 가장 취약한 계층인 여성장애인관련 단체에

서 상담활동을 하며 “몰랐던 부분을 많이 알게 되고 저항성을 가지고 되

게 분노하게 되었다”라고 언급한다. 특히 억압당하는 집단에 대한 불공평

하다는 생각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며 이는 다음 단계로

성장하도록 이끄는 동력이 된다.

2) 나의 문제로 환원

(1) 나의 개인적인 문제로 인식

참여자 중에서는 과거 성폭력 피해의 외상 경험이 있지만 적절한 치유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 상담활동에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들은 외

상을 가진 채 대리외상을 겪음으로써 외상의 경험이 떠올라 피해자와 동

일시되거나 자신의 치유되지 않은 감정으로 인해 피해자에게 과도하게

감정이입이 되었다고 한다. 참여자1은 이러한 상황을 잘 언급하고 있다.

내가 치유가 안 된 상태에서 만나니까 이게 이입을 너무 많이 하니까 내가 힘들

어지는 거예요. 그래서 걔네를 더 오랫동안 상담을 하고... 케어를 할 수 있는 부

분도 내가 나가떨어졌던 거 같애요...(중략)... 그래서 ‘상담을 못 하겠다’라고 얘

기를 했었죠... (참여자 1)

또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피해자의 모습이 자신과 대비되

면서 자존감이 낮아짐과 불안함을 경험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혼란을

느끼게 되어 일을 그만두는 경우도 있었다. 아래 참여자 2는 상담활동 현

장에서 피해자와 자신을 비교하며 좌절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나는 그 얘기를 이때까지 아무에게도 하지 못했거든요. 그러니까 뭔가 대비되

는 느낌 있잖아요. 나는 그때 그 사건을 해결하지 못했고. 그러니까는 이제 이

사람이 되게 부럽고 대단하고 하면서 그거에서는 상담가로서 지지를 해주고 이

Page 21: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27

렇게 되는데... 근데 나는 이거를 뭔가 동일시가 되면서 나와 비교가 되는 거죠.

그때 그러고 나니까는 상담을 잘 못하겠더라고요. (참여자 2)

상담활동가들은 직접적인 성폭력 피해경험이 없어도 대리외상을 통해

변화되기도 한다. 특히 피해자의 자살은 심리적 충격이 매우 큰 사건으로

참여자 8과 같이 상담활동가에게 자존감이나 역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

게 된다. 외상경험이 없던 참여자 11은 방관자로서 상담만 하고 지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미디어매체에서 폭력사건을 다루면 ‘나의 일‘처럼 여겨

지고 화가 난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건 지원하면서 분명한 피해임에도 불구하고 처벌되지 못하는 법적인 현실.

분노하고 슬퍼하고 그랬었죠. 직접적으로 만난 사람, 전화상담한 사람도 있지

만 그 사이 자살한 내담자들. 그런 현실하고 마주할 때의 힘겨움이라든지... 나

의 어떤 역량을 되돌아보게 되고 자책하거나 죄책감에 빠지거나 굉장히 그렇게

외상인 거죠. 대리외상, 그런 순간들 이런 것들이 아쉽고 힘들었던. (참여자 8)

(2) 역량 부족 인식

참여자들은 자신의 피해경험뿐만 아니라 사건지원을 하면서 자신의

역량부족으로 인해 죄책감을 느끼고 자존감이 낮아지는 경험을 한다. 참

여자 10은 신입 때 담당한 사건이 자신의 노력과는 다르게 진행되면서 느

꼈던 자책감을 말하고 있다.

신입 실무자 때에 성폭행 사건의 초기부터 재판 이후까지 길어진 사건을 담당

한 적이 있어요. 저 나름대로는 성폭력 피해자의 입장에서 이리 뛰고 저리 뛰고

하였지만, 결론적으로는 피해자의 정신적인 고통을 제때에 이해하지 못했을 뿐

더러, 재판의 결과 또한 무죄판결이 났어요. 더 오랜 경험을 가진 전문가가 대면

상담을 하여 사건을 직접 진행했더라면 최소한 무죄판결은 면했을 거라는 생각

이 자꾸만 떠올라 죄책감이 들었고, 사건으로 인해 예민해진 피해자가 어느 순

간 저의 능력을 탓하기 시작하자 자존감이 많이 낮아졌어요. (참여자 10)

Page 22: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28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3) 피해자에 대한 이해

(1) 피해자에 대한 인식 변화

피해자에 대한 인식변화는 성차별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들이 비슷한

처지와 상황에 놓여 있음을 이해하고 여성들의 삶의 맥락에 대한 구체적

인 이해가 필요함을 인지하는 것이다. 참여자들은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

자를 만나면서 실제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운동가로 탈바꿈하게

된다. 참여자 10은 현장에서 일하면서 피해자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

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저는 만약 성폭력 피해자가 가해자의 집에 따라가거나 모텔에 따라갔다면 피해

자에게도 잘못이 어느 정도는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었어요. 활동가들과 이야

기를 하다 보면 가끔씩 의견이 충돌하는 경우가 있었고. 그 당시에는 그것이 개

인의 가치관 차이라고 생각하여 직장을 그만두어야 할지까지 고민을 했었어요.

여성주의 상담이 그만큼 저에게는 불편했고, 어쩌면 여성주의 운동은 사회 대다

수의 사람들에게는 아주 불편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중략)...이후에는 일반

인들을 대상으로 성폭력 편견을 깨는 교육까지 진행하게 되어 여성주의 관점,

피해자 중심에서 생각할 수 있게 되었어요. (참여자 10)

4) 연대

(1) 동료의 지지

참여자들은 활동이 어렵고 힘들 때 동료의 지지와 연대감을 통해 극복

한 경험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상담으로 인한 대리외상이 비슷한 처지인

동료와 함께 정서적 유대감을 발달시키며 극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자신과 비슷한 고민을 하는 사람을 찾아서 새로운 사회적 관

계를 맺거나 기존의 동료들과 함께 더 깊은 연대감으로 관계를 발전시키

기도 한다. 아래 참여자 2는 동료들 간의 지지로 인해 어려움을 극복한 경

Page 23: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29

험을 제시하고 있고 참여자 6은 마음 맞는 친구들과 함께 여성학을 공부

하면서 자기도 모르게 내적 치유를 받는 경험을 했다고 고백한다.

상담하면서 상담가로서 활동가로서 실무자로서 활동을 할 때는 힘들었죠. 제가

많았잖아요. 굴곡이(손짓으로)... 정말 000모임 정말 좋았어요. 서로 한참 그 시

기에 힘들어하고 있었던 사람들이 모인 것도 좋았지만, 그게 저한테는 생각하는

훈련을 해준 계기가 되었고. 또 하나는 함께 일하던 팀원들과 야근 마치고 차 마

시러 가서 우리가 팀으로서 어떻게 발전을 할 것인가를 이야기를 많이 했고...

(참여자 2)

우리 같이 공부했던 언니하고 동생이 있는데 3명이 여성학을 공부했는데 3명이

같이 교회를 간 거예요. 맨날 우리끼리 하고 그러면서 이제 좀 교회에서 내적

치유 뭐 이렇게 얘기하거든요. 멋도 모르는 데 가서 내적 치유를 받고. 훈련을

한 2-3년 쭉 받고. 이렇게 하면서 그러면서 6개월 뒤에 돌아가야겠단 마음이

드는 거예요. (참여자 6)

(2) 피해자의 지지

성폭력 상담은 피해자의 경험이기도 하지만 보편적인 여성들의 경험

이기도 해서 보이지 않는 서로의 연대감이 기저에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연대감은 여성들 간의 긍정적인 가치를 증대시키고 자매애를 구체적으로

느끼게 하며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 참여자

8은 피해자의 지지를 받고 느꼈던 자매애가 힘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

다고 한다.

많은 그녀들, 각자 조금은 다른 방식이지만 그들 내부 깊은 곳에 있는 삶에 대한 의

지와 열정은 소진의 위기에서도 나를 버텨내게 한 큰 힘이 되었다. 피해경험자들

을 만나면서 그녀들의 아픔과 고통을 함께 나눌 수 있었던 것, 누군가의 삶의 경험

에 들어가 그녀들과 함께 웃고, 울고, 분노하고, 고개 끄덕여지는 공감을 통해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여성으로서의 연결감을 느낄 수 있었다. (참여자 8)

Page 24: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30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5) 자신과 조직에 대한 성찰

(1) 자신에 대한 성찰

상담은 내담자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거울과도 같다. 참여

자들은 성폭력피해자와 상담하면서 자신이 가진 트라우마, 열등감, 가치

관, 성에 대한 관점 등과 대면하기도 하고 여성으로서의 삶을 돌아보게 된

다. 이들은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여성으로 젠더의식을 발전시키는 어려

움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스스로가 의식형상을 위해 노력하는 성찰적 태도

가 중요함을 언급하고 있다. 참여자들은 여성으로 살아왔던 경험, 자신의

몸에 대한 새로운 인식, 자기개방을 통한 여성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화하

고 있었다. 참여자 9는 상담활동을 통해서 사회와 나, 인간관계 속에서의

나, 여성 그리고 인간으로서 나에 대한 성찰을 입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나 스스로를 돌아보면서 나는 지금 여성으로서 어디에 위치 지어져 있고 그런

가... 그 뿐만 아니라 내 개인의 역사 속에서 상담 활동을 할 때는 내담자를 보면

서 그게 또 나를 보게 되잖아요. 상담하면서. 내가 가졌던 어릴 때의 트라우마

라든지 내가 가지고 있는 열등감. 나를 들여다보는 시간이 많았던 거 같아요. 그

게 상담덕분이라고 생각해요. 상담 없이 운동했으면 오만덩어리가 됐었을 거

같아요. 내 잘났다 생각하고...(웃음). (참여자 9)

(2) 조직에 대한 성찰

상담활동가들은 자신보다는 타인, 나보다는 조직이 우선인 삶을 살아

왔지만 모순되게도 그 조직에 대해 성찰하면서 후회감을 보이고 있었다.

그 후회감은 자신이 역할을 다하지 못한 것, 조직 안에서 활동의 중심을

견지하면서 구성원간의 소통, 활동내용에 대한 점검, 미래의 비전 등을

충분히 논의하지 못한 점들이었다. 조직에 대한 성찰의 모습은 ‘과연 상

담활동가들을 둘러싼 조직이 여성주의적인가’라는 고민을 하게 한다. 반

성폭력 상담활동가들에게 성폭력 없는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은 중

Page 25: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31

요한 가치이지만 자신이 몸담은 조직에서 여성주의를 실현하는 것 역시

중요하기 때문이다. 참여자 3은 그러한 맥락에서 조직 내 여성주의 실현

을 하지 못했던 것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다.

조직이 너무 상부 중심이고 상명하달식으로 지시적이라는 것이. 조직을 사람들

이 좀 더 다양하게 얘기할 수 있고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지 못했다는 것이

좀 후회되지. 사람들에게 상처를 많이 줬어. 내가 주기도 하고 주는 걸 지켜보기

도 하고. 그런 조직이 되는 것에 나도 일조했다는 후회가 나중에 컸어. (참여자 3)

참여자들은 조직이 제대로 운영되려면 개인의 신념과 열정뿐 아니라 구

성원 간에 건강한 소통과 논의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참여자 9는 제

도화된 상황이지만 조직이 운동의 의미를 잃거나 잊지 않도록 소통하고 여

성주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세밀한 작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려면 소통이 잘 되어야겠지요. 그리고 역량 강화를 많이 해야지요. 사람에

대한 투자를 얼마나 하는가? 여성운동단체들이...(중략)... 몸이 힘들면 정서를

무장시켜 있게 만들어야 되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 많이 고민 못한 게 있었죠. 그

러려면 운동에 대한 마인드 있어야 되요. 여성운동적 관점에서 상담활동가도

키우고 자원봉사자도 키우고. 큰 틀은 운동이라 생각하고 도구로 상담을 쓸 수

있는 거예요. 그 도구로 사람을 만나는 거지요. (참여자 9)

6) 새로운 정체성 확립

(1) 여성주의 정체성 확립

참여자들은 여성주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끊임없이 학습하며 성찰하

고 여성주의 가치 실현을 위해 자신의 자질을 높여나가고 있었다. 여성주

의 정체성이 높아지면 자아성찰감도 함께 높아지는데 참여자 8은 정체성

발달을 통해 여성주의의 가치가 삶의 신념이 되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Page 26: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32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여성주의 가치는 상담가로서 자신을 끊임없이 점검하게 하고 여성으로서 살아

간다는 것은 어떠한 것인지를 일깨워주는 신념이 되었죠. (참여자 8)

(2) 전문가 정체성 확립

또한 참여자는 상담활동가로서 받았던 훈련이 실제 현장에서 효과를

보는 과정을 경험하며 전문가로서의 성장한 점과 이에 대한 자존감을 언

급하기도 한다. 참여자 11은 가해자 변호사와 싸우기 위해 엄청난 훈련을

받았고 그 결과 가해자 기소율이 높아진 것에 대해 상당한 자긍심을 보

이고 있다.

전국에 9명의 전문가들이 있는데 우리 같은 전문가들이 매달 모여서 사례발표

하고 피드백 받고... 엄청 나게 트레이닝 받았기 때문에 그러한 분석보고서가

나오고 장애인에 대한 기소율이 높아졌고... 그런 거는 ‘우리가 일조를 했다 ’라

는 생각을 해요. (참여자 11)

7) 합리적 판단

(1) 타인의 입장 이해

참여자들은 여성들 간의 유대감을 발달시켜가면서 자기개방의 경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험들은 인간 본연의 가치, 그 인간 자체를 인정하

는 것의 중요함을 인식하도록 하여 판단의 폭을 확장한다. 참여자 4는 자

신이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고 한다.

삶의 장면에서 결국은 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이야기해주고 말해주

고 그런 것들은 이제 좀 더 많아지는 부분이에요. 그 사람의 입장에서 출발해서

이해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게 맞는 거 같아요. (참여자 4)

Page 27: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33

(2) 전반적인 이해의 폭 확장

구체적으로 참여자들이 사람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게 된 것은 자

신이 힘들고 고통스러웠던 경험과 인간으로부터 상처를 받은 피해자들을

만나면서 느낀 경험에 근거해서 나온 것들이며 이는 새로운 사유의 출발

이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해, 참여자들은 상담활동을 통해서 이전의 이분법

적인 사고를 변화시킬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들은 개개인의 삶의 경험과

맥락이 다르고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자신만의 경험과 맥락으로 접근하는

것이 또 다른 관계의 단절을 가져온다는 것을 인식한 것이다. 참여자들은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접근하고 다가가는 것이 필요한지

를 알게 되면서 다른 사람의 말을 듣게 되었고 인식의 확장을 통해서 어떻

게 이들과 함께 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포용적인 태도로 변모되었다고 한

다. 참여자 2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된 과정과 변화의 모습

을 보여주고 있다.

너는 너고 나는 나. 내 일 아니니까 내 바운더리 안의 사람들만 내 사람, 이 바깥

사람들은 신경을 안 쓰고 그랬는데. 근데 이제 그래도 일을 하면서는 같이 함께

가자하는 이런 마음들이 있으면서 같이 움직이고 하다 보니까 저절로 잘 모르

는 사람한테도 관심이 간다고 해야 되나... 사람이 하는 행동에 대한 포용하는

정도가 넓어졌다고 해야 되나. (참여자 2)

참여자들은 한 개인의 삶을 들여다보고 인간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면

서 전략적으로 어떻게 말을 해야 하고 대화를 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

게 되었다고 한다. 이들은 무엇보다도 여성주의 실현에 대한 구체적인 방

법과 전략 등에 민감하게 되고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역할을 스스로 모색하고 실천하고 있었다. 참여자 3은 그러한 고민

들이 어떻게 옮겨지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가 인간들을 이렇게 만들었다, 나름의 그거는 내리긴 했지만 그래

Page 28: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34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도 가부장제 사회가 또 이렇게 만들었구나 라는 걸로 그게 이제 여성주의 의식으

로서 넘어간 거지. 그러면서 좀 더 성장하게 되고. 남자라는 인간을 보는 데 있어

서 좀 더 객관화하고 구조적으로 바라보는 그런 것들도 만들어줬던 거 같애...

(참여자 3)

8) 변화 참여

(1) 성폭력 인식변화 활동

참여자들에게 성폭력 인식전환 활동은 성폭력의 사회구조적인 문제점

을 알리고 이를 변화시키는 노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실제적인 행동

이다. 이러한 경험들은 참여자들의 활동 방향에 대한 모범적인 예시가 되

고 있으며 사회를 변화시키는 창조적인 사업을 전개하는 자원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활동은 궁극적으로 상담활동가들을 위한 적극적인 훈련의

과정이며 참여 단계의 중심적인 요소가 된다. 참여자 5는 성폭력을 근절

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 전개를 펼치며 열정적으로 활동한 모습과 이에 대

한 만족감을 보여주고 있다.

판사라든지 검사, 변호사 모니터해가지고 반인권적인 발언을 한 거라든지 시간

을 어긴다든지 이런 걸 다 모니터해서 책 내고 언론에 내고... 그런 것들을 이제

법조계에 경각심도 줄 수 있었고 뿌듯했던 거 같애요... (참여자5)

9) 자기돌봄

(1) 스트레스 해소방법 실천

참여자들은 지금까지 힘든 일을 해오면서 스스로를 양육하는 방법을

발견하기도 한다. 참여자 11은 “여행이나 독서, 자신에게 선물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며 참여자 1은 “추석이나 설날

Page 29: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35

때 상담일지 쓰러 사무실에 갔다”며 이제는 “내 시간을 가지려고” 노력한

다고 말한다.

(2) 자신이 원하는 욕구 이해

참여자들은 참여의 단계로 들어서면서 개인의 성장에 필요한 새로운

태도를 지니게 되며 자기감정과 욕구를 충실하게 수용하게 된다. 대개 상

담활동가들은 자신의 욕구나 감정은 이기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자신에

대해 돌봄을 소홀히 한 경향이 있다. 여성주의의 가치는 여성으로서의 자

신,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끊임없이 돌아보며 성찰해가는 과정이 중요한

특성이라고 본다. 무엇보다 여성으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자신을 받

아들이며 인정하지 않고서는 세상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참여자들

은 자신이 바로 서고 즐겁고 행복할 때 사회와 세상도 건강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는 것임을 알게 된 것이다. 참여자 4는 자신을 인정하며 스스

로 즐겁게 사는 법을 터득한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 부족한 나 자신에 용기가 생겼던 거 같애요. 그러면서 치유가 되고 마음이

편해졌어요...(중략)... 그런 나의 부족하고 못난 모습에 대해서 아, 그게 그냥

나지, 숨기지 않고 내가 나를 받아들이는 게 가능하면서 좀 치유가 됐어요.

(참여자 4)

5.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상담활동

가들의 성장경험을 본질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상담활동가들이 경험했

던 다양한 주관적인 감정과 생각, 느낌 등에 대한 의미를 밝히고자 현상학

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모두 11명으로 부산지역에서

Page 30: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36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여성단체에서 3년 이상 활동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자와 함께 일을 했거나 활동배경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로 선

정되었다. 자료는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했으며 부족하거나 의문이 있는

경우는 추가 면접 또는 전화, 메일 등을 통해서 보완하였다. 자료분석은

지오르지 방식을 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성장경험은 19의 하위구성요소

와 9개의 구성 요소로 범주화되었다. 참여자들의 성장경험 구성요소는 모

순인식, 나의 문제로 환원, 피해자에 대한 이해, 연대, 성찰, 새로운 정체성

확립, 합리적 판단, 변화 참여, 자기 돌봄 등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구성요

소를 통해 반성폭력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의미

를 지닌다.

우선 참여자들은 구체적인 피해자 지원활동을 통하여 사회의 모순적

상황에 대한 각성을 경험하게 되고 눈뜸의 단계로 이행해나간다. 그러나

이들은 과중한 업무와 역량부족으로 인한 좌절감을 겪기도 하며 자신의

문제와 연결하는 경험을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참여자는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특히 참여자들의 대리외상 경험은 소진과 일의 단절을 야기하기도 하

지만 비슷한 처지의 동료들 간의 유대감을 발달시키고 피해자와 자매애

를 통해 극복해가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새김의 단계로 이행하는 토대

가 되기도 한다. 이들은 피해자가 상처를 치유하도록 돕는 과정에 오히려

이들로부터 지지를 받으며 자신의 활동을 다진다. 또한 인간에 대한 고민

을 통해 자신과 조직에 대한 성찰을 되새기며 여성주의자로서 또는 상담

전문가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기도 한다.

이러한 새김의 가치는 참여자로 하여금 구체적인 여성억압의 실상을

알리기 위한 성폭력 인식전환 활동을 열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참여

의 단계로 이행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참여자들은 상담활동을 통해 사

람을 편견 없이 바라보고 개인의 다름을 인정하는 합리적인 판단을 할 만

Page 31: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37

큼 성장의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욕구를 이해하고 자

신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도 중요한 가치임을 알고 실천하게 된다.

다음은 반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단계에서 나타난

몇 가지 사항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들은 상담활동을 통해 눈뜸, 새김, 참

여의 단계로 이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리외상 경험으로 이전 단계로 회

귀하거나 일을 중단하기도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대부분 피해자 지원활동의 경험을 통해 눈뜸의 단계

로 이행한다. 참여자들 중 일부는 상담활동 이전부터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운동을 해온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단순히 여성문제에 관심이

있었거나 성폭력상담원교육을 통해 자원 활동을 한 경우 또는 대학생 때

실습을 한 후 활동을 시작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참여자의 대부분은

피해자 지원활동을 하면서 눈뜸의 단계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였다. 이들

은 성폭력 사건을 통해 사회구조 속에서 여성폭력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

는지 보게 되고 그러한 사건에 빈번하게 노출 되면서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느끼게 되면서 적극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 박

애선(1993)의 연구에 의하면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의 이행과정은 여성의

준비성과 자신의 독특하고 개인적인 삶의 맥락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

다. 이렇게 참여자들의 사회구조의 모순적 상황에 대한 각성은 성폭력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제기와 연결되는 눈뜸 단계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보

여주고 있다.

하지만 피해자지원 활동의 경험은 과중한 업무로 참여자들을 힘들게

한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실무와 활동의 가치를 혼란스러워하는데

자신의 업무를 적절하게 통제하고 활동의 가치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개

인적 노력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조직의 중재가 뒷받침되어야 할 부분

이다. 이 때문에 참여자들이 소진하여 일을 그만두거나 이전 단계로 다시

회귀할 수도 있으므로 의식향상을 위한 학습이나 재교육 등을 이 시점에

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정미진 송다영(2010)의 연구에서도 여성주의

Page 32: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38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의식이 높을 경우 소진을 경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밝히고 있

다. 이명신 외(2016)의 연구에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개인의 소진은 개

인적인 대처전략보다는 조직적 차원에서 해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과중한 업무에 대한 진단, 활동가들의 발언권 강화, 상호 의사소통 등

의 조직적 대처가 소진을 예방하는 중요한 전략이라는 것이다.

둘째, 참여자들은 직접 피해자를 만나는 과정에서 대리외상을 경험하

며 자존감, 신뢰, 힘, 친밀감 등에서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들은 이

과정에서 자신의 상처를 재인지하지만 치유되지 못한 채 활동하면서 결국

불안과 소진으로 활동을 정리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참여자들이 눈뜸

의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이행하는 데 있어서 대리외상의 문제해결이 얼

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성폭력상담을 수행하는 단체나 기관들은 대부분 자체적

으로 대리외상의 예방 및 개입을 다루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강방글 외,

2013). 대리외상의 문제를 상담활동가 스스로가 해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대리외상의 경험을 개인의 문제로 생각하

고 자신의 역량 부족으로만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었다. 이들의 심리 정

서적 안정과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서라도 대리외상에 대한 예방과 개입

을 위한 단체나 기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상담활동가의 보수

교육에 반드시 이 부분을 재고하여 교육과정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참여자들은 변화를 선택해 가는 과정에서 주위 집단의 지지와 연

대를 구축하고 있으며 자신과 조직에 대한 성찰과정을 통해 새김의 단계

로 나아가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여성들과의 유대

감을 발달시키거나 자매애를 통해 역량을 강화하면서 성장하고 있었다.

이들은 피해자들의 적극적인 대처모습에서 오히려 힘을 얻기도 하고 자

기개방을 통해 여성들 간의 긍정적 가치를 발견하며 끈끈한 연대감을 구

축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참여자들은 우리 사회 속에서 여

성이 젠더의식을 발전해가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인지하며 자신의 발전

Page 33: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39

을 위해 성찰적 태도가 중요함을 알게 된다. 즉, 여성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화하고 여성에게 필요한 참조체계를 고찰하며 새로운 정체성의 확립을

위해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이는 조직에 대한 성찰로 이어져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여성주의적 가치를 실현하도록 고민하는 계기가 된다.

넷째, 참여자들은 성폭력 인식전환 활동을 통해 여성 억압의 실상을 알

리는 창조적인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사회변화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들

은 잘못된 사회통념에 도전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때로는 그들

의 편견에 맞서는 고통스러운 경험도 하지만 이를 통해 인간을 편견 없이

바라보는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단계로 나아가기도 한다. 또한 이들은 사

회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자신의 목소리로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보이기도 했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참여의 단계에서 자신의 욕구를 인정하며 자기 돌

봄을 실현하고 있었다. 피해자뿐 아니라 상담활동가들도 반성폭력 운동

의 주체가 되어야 하므로(변혜정, 2006) 이들의 안녕과 행복은 지속가능

한 활동에 필수적인 요인이기 때문이다. 피해자 지원활동을 하면서 사회

를 변화시켜나가는 것이 중요하지만 자아실현 없이 헌신적으로 운동한다

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담활동가들에게 반성폭력 운동은 궁극적

으로 자신을 돕는 일이며 행복하고 즐거운 일이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반성폭력 상담활동가들의 성장경험은 자신과 사회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하지만 피해여성의 특수한 경험과 맥락을 중심에 두면서

자신도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이었다.

참여자들의 성장경험의 구성요소는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과 맥락을 함께

하며 좀 더 높은 수준의 여성주의 정체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박진아(2000)의 연구에서도 여성상담기관의 상담자들이 실제 피해여성

을 지원하고 성폭력의 인식 변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게 되면서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단계가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 즉, 반성폭력 운동은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상담활동가들은 자신의

Page 34: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40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정체성 발달을 위해 다각도로 고민하고 실천하고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반성폭력 상담활동가들의 성장경험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이들의 경험을 다루었다는 점

이다. 즉, 이 연구를 통해 상담활동가들의 성장 경험을 구체적으로 드러

냈으며 그 본질적 의미가 여성주의 정체성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대개 반성폭력운동에 관한 연구는 특정 지역

에 편중되어 있는 편이고 지역의 활동을 중심적으로 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 연구를 계기로 반성폭력 운동에 관한 지역 사례들이 더 늘어나

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포화상태를 고려하더라도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한정된 총11명

의 참여자로부터 수집된 자료로 분석되었고 이들의 활동 경력에도 차이가

있으며 중심적인 활동업무도 다양하게 나타나 표집의 한계를 보인다. 활

동 연차별로 분리하여 더 많은 사례를 축적한다면 상담활동가들의 성장경

험을 단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문제해결 방안도 보다 구

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부산지역의 반성폭력운동의 발전과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

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상담활동가들의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치

유적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상담활동가들의 대리외상에 관한 연

구는 활발하지만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담활동가들의 치유를 위해 적

용된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상담활동가들이 대리외상 후 성장해 갈 수

있도록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연구의 결과를 피드백하고 치유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반성폭력 상담활동이 여성주의 상담으로서 구현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결과 반성폭력 상담활동이 여성주의 정

체성 발달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나타났지만 상담현장에서 실제로

여성주의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은 다시 과제로 남게 되

었다. 성폭력상담은 여성주의 상담의 철학과 원리를 적용해나가는 것이

Page 35: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41

중요하기 때문에 성폭력상담과 여성주의 상담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가 필

요하며 구체적인 연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의 반성폭력 운동사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이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반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으로 접근하였지만 연구를 하

는 과정에서 다양한 지역을 중심으로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각 지역별 반성폭력 운동이 연구된다면 그 역사적 흐름이나 맥락

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앞으로 각 지역에 적

합한 반성폭력 운동의 비전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age 36: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42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참고문헌|

강방글. 2013. “성폭력 상담사의 대리외상에 대한 주관성 인식 유형 연구.” 정신보건

과 사회사업. 제41권 제3호. 118-147쪽.

공미혜 류순덕. 2004. “전화상담 여성자원봉사자의 여성주의 정체성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제5권 제1호. 43-59쪽.

권해수. 2011. “성폭력상담자의 대리외상 관련 변인 연구: 상담유형, 외상경험, 사회

적 지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2권 제1호. 415-430쪽.

권해수 김소라. 2006.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 외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

리학회지. 제18권 제3호. 495-518쪽.

김귀분. 2005.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현문사

김보경. 2012. “성폭력, 성매매상담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대리외상의 단계에서

의 외상 신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김분한 외. 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제29권 제6호. 1208-1220쪽.

김민선. 2013. “성폭력 상담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우울 : 전국

여성 아동폭력피해지원센터 종사자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민예숙. 2011. “미국과 한국의 여성주의상담 역사 비교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6권 제2호. 197-218쪽.

김세일. 2013. “청소년상담자의 성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김은영. 2016. “성폭력상담자의 대리 외상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박사학위논문.

김인주 김도연. 2015. “지각된 사회적지지, 탈중심화,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

치는 영향: 대리 외상을 경험한 성폭력 지원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상담

학연구. 제16권 제5호. 55-73쪽.

박애선. 1993. “여성주의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수준과 적응변인

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박지영. 2008. “여성폭력관련상담소 및 시설종자사의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및 관련

요인연구: 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8권.

141-164쪽.

Page 37: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43

박진아. 2000. “여성상담기관의 여성주의 상담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혜정. 2006. “반성폭력운동과 여성주의상담의 관계에 대한 연구: 상담지원자의 입

장에서.” 한국여성학. 22권 3호. 229-272쪽.

변혜정 조중신 현혜순. 2005. 성폭력 피해자 치유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여성

가족부.

부산여성단체연합. 2007. 부산여성단체연합 활동백서. 부산: 부산여성단체연합.

신상숙. 2008. “제도화 과정과 갈등적 협력의 동학 –한국의 반(反)성폭력 운동과 국

가정책.” 한국여성학. 제24권 제1호. 83-119쪽.

신혜섭. 2013. “성폭력 상담원의 대리 외상 관련 변수.” 생활과학연구. 제18권. 5-51쪽.

안은주. 2015. “성폭력상담소 활동가의 좌절과 대처 과정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

연구. 제54권 제1호. 37-72쪽.

안은주. 2016. “상담자의 대리외상 후 성장 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여성가족부. 2017. 2017년 여성가족부 권익운영지침. 서울: 여성가족부.

유혜령. 2015.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가족과 상담. 제5권 제1호. 1-20쪽.

윤택림. 2013.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아르케.

이남인. 2005. “현상학과 질적 연구방법.”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24권. 91-121쪽.

______. 2014. 현상학과 질적 연구. 서울: 한길사

이명신 외. 2016. “성폭력상담원의 소진 결정 요인 : 업무과중, 공감피로, 피해자중심

서비스(Victim-centered service)의 이차피해태도.” 비판사회정책. 제50호.

284-333쪽.

이미정. 2014. “상담수련과정에서 기독교인 상담사의 자기 발달 경험 연구.” 숭실대학

교 대학원 기독교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지연. 2004. “여성주의 상담의 적용실제와 방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

료. 제16권 제4호. 773-791쪽.

임수진 김혜숙. 2011. “자기효능감, 지각된 지지, 내재적 동기가 성폭력상담소 종사자

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6권 제4호.

461-475쪽.

전민주. 2012. “성문화(性文化) 운동가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

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ge 38: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44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정미진 송다영. 2010. “여성인권지원 단체 활동가의 여성주의 의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젠더와 문화. 제3권 제1호. 7-38쪽.

최순선. 2015. “성폭력 상담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우울 -전국

여성 아동폭력피해 지원센터 종사자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여성의전화 편. 1999. 한국여성인권운동사. 서울: 한울아카데미.

워렐 리머. 2015. 여성주의 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민예숙(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크러스웰.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외 역. 서울: 학지사.

Brown, I. S. 1994. Subversive Dialogue: Theory in Feminist Therapy. New York: Basic

Books.

Downing, N. H. & Roush, K. L. 1985. “From Passive Acceptance to Active

Committment: A Model of Feminist Identity Development.” Counselling

Psychology. Vol. 13. pp. 695-709.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Skovholt, T. M. & Ronnestad, M. H. 1992.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ling and Development. Vol. 70. No. 2. pp.

505-515.

Worell, J. & Remer, P. 1992. Feminist Perspectives in Therapy: An Empowerment

Model for Women. Chichester: Wiley.

Page 39: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여성학연구 제28권 제2호(2018.10.) 45

Abstract

A Study on the Growth Experiences of Counseling Activists Against Sexual Violence in

Busan area- Focused on Feminist Identity Development -

Ji, Young-Kyung(Counselling Center for Gender Equality, Kyungsung University)

Kong, Mee-Hae(Div. of Social Welfare, Sill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meaning of growth experiences of counseling activists who had carried out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in Busa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fic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tal 11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counseling activists who had worked as members of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organizations over three ea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open-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Giorgi’s research method. As a result, 82 semantic units were identified, and those units were divided into 16 sub-elements and finally 9 elements. Participants' growth experiences consisted of the perception of contradiction, return to my problem, understanding of the victim, solidarity, reflection, establishment of new identity, reasonable judgement, participation in social change, and self care. The growth experiences of counselling activists are ummarized as follows. Participants experience the awakening of the contradictory situation of society through concrete victim support activities and move on to the stage of Revelation. However, they are frustrated by

Page 40: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2019/05/09  · 한편, 부산지역에서 부산여성회는 1990년 출발 당시부터 반성폭력운동 을

46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their heavy workloads and lack of competence, and the experience connecting with their own problems. Through this process, the participant changes the perception about the victim. Particularly, the vicarious post-traumatic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may cause burnout and disconnection of the work, but they develop the bond between the peers in similar situations and overcome them through the sisterhood and solidarity. In addition, through the anxieties about human beings, they reflect on themselves and their organizations and establish new identities as feminists or counselors. The value of Embeddedness stage helps the participants to move to the stage of Participation, which enthusiastically engages in the conversion of sexual violence awareness to inform the reality of specific women's oppression. Participants experience their growth through the counseling activities to look at people without prejudice and to make a reasonable judg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which it dealt with the growth experiences of the counseling activists against sexual violence in Busa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for the ongoing activities of the counselors.

Key words: Movement against sexual violence, counseling activist, growth experience, feminist identity development

❙투 고 일 : 2018년 8월 27일

❙최초심사일 : 2018년 9월 26일

❙게재확정일 : 2018년 10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