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40
- 1 -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남 장 근 연구위원 ( 성장동력산업실) 1. 개관 (1) 정밀화학산업의 정의 정밀화학산업은 석유화학산업 등으로부터 생산되는 기초화학제품을 합성 하여 추출한 중간체 및 원제를 합성가공하여 섬유, 자동차, 전기 ·전자, 반도체 등 타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가공형중간형 화 학산업으로서, 대표적인 소재산업임. - 동 산업은 자본지식기술 집약적 화학산업으로서 중소기업형태로도 전문화가 가능한 성격을 갖고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특히 타 산업 에 핵심소재 및 부자재로 사용되어 연관산업의 고기능화, 고부가가치화 에 기여하고 있음. (2) 정밀화학산업의 특성 부가가치적 특성 정밀화학산업은 기술수준에 따른 부가가치율의 변화가 급격한 산업임. - 예를 들어, 나프타 1드럼이 연료로 쓰일 경우에 비해 합성수지로 변환되 면 약 4배의 부가가치 상승을 보이나, 정밀화학 제품으로 변환되면 101만 배의 부가가치 상승 유도가 가능함. - 따라서, 일정수준의 기술축적 없이는 자체개발이 곤란한 생산형태를 보 이는데, 개발초기 단계에는 기초기술에 의한 노하우 확보에 주력하다가 양산단계에 들어서면 scale-up을 위한 기술축적이 필요하게 됨. 선도산업으로서의 특성

Transcript of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Page 1: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 -

정 화학산업 기 분석

남 장 근 연구 원 ( 성장동력산업실)

1. 개

(1) 정 화학산업의 정의

○ 정 화학산업은 석유화학산업 등으로부터 생산되는 기 화학제품을 합성

하여 추출한 간체 원제를 합성․가공하여 섬유, 자동차, 기· 자,

반도체 등 타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가공형․ 간형 화

학산업으로서, 표 인 소재산업임.

- 동 산업은 자본․지식․기술 집약 화학산업으로서 소기업형태로도

문화가 가능한 성격을 갖고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특히 타 산업

에 핵심소재 부자재로 사용되어 연 산업의 고기능화, 고부가가치화

에 기여하고 있음.

(2) 정 화학산업의 특성

□ 부가가치 특성

○ 정 화학산업은 기술수 에 따른 부가가치율의 변화가 격한 산업임.

- 를 들어, 나 타 1드럼이 연료로 쓰일 경우에 비해 합성수지로 변환되

면 약 4배의 부가가치 상승을 보이나, 정 화학 제품으로 변환되면 10~

1만 배의 부가가치 상승 유도가 가능함.

- 따라서, 일정수 의 기술축 없이는 자체개발이 곤란한 생산형태를 보

이는데, 개발 기 단계에는 기 기술에 의한 노하우 확보에 주력하다가

양산단계에 들어서면 scale-up을 한 기술축 이 필요하게 됨.

□ 선도산업으로서의 특성

Page 2: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 -

○ 정 화학산업은 타 산업의 주요 원․부자재로서 련산업의 품질고 화

와 부가가치 제고 신상품 개발에 결정 향을 주는 산업임.

- 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는 향후 최 기술과제인 경량화, 공해방지

체연료 개발 등 다양한 부문에서 화학기술이 선도하고 있음.

- 자산업에 있어서도 1차 기술격차인 부품기술에서는 세계 최고 수 에

있지만, 2차 기술격차인 소재기술의 경쟁력 확보는 화학기술의 연구개발

성과에 달려 있으며, 섬유산업에서도 품질고 화, 신상품개발을 한

요한 요소가 화학공업의 기술수 에 의해 좌우됨.

□ 생산설비 특성

○ 생산설비 형태 업계 경쟁구도 면에 있어 정 화학산업 설비는 형

인 제품 심형이며, 소량 다품종 형태에 맞는 유연성 높은 소규모의

설비로서, 독립형(batch)이 많고 체 인 수 에서 탄력 운용이 가능

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

- 표 인 화학산업인 석유화학산업은 콤비나트형 산업이며, 자본집약

규모 장치산업으로서 규모의 경제에 의한 이득을 추구해야 하므로

량생산 설비가 유리한 반면, 정 화학은 다품종 소량생산체제의 표

인 기술집약 산업으로 시장규모가 작아 기시장 확보가 시되는 산

업임.

□ 기술 특성

○ 정 화학산업은 지식·기술 집약형 산업으로서 소기업 형태로도 문화가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염료, 안료, 도료, 착제 등 다양한 품목을 타

산업에 핵심소재로 제공하여 연 산업의 고기능화,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

고 있음.

○ 개별제품마다 독특한 기술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기술 상호간의

유사성이 어 모방생산이 어려우며, 제품수명 주기가 짧아 지속 인 기

술 연구개발 투자, 그리고 과학 노하우의 축 이 경쟁력의 건이

Page 3: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 -

되는 특성을 보임.

- 따라서, 선진국(歐美日)의 기술 세계시장 독 경향이 매우 큰 산업

임.

□ 표 성장산업으로서의 특성

○ 최근 들어 IT, BT, NT 등 이른바 신성장산업군과의 연계에 따른 융합기

술 출 으로 말미암아 정 화학산업의 범 를 차 확 다양화시키

고 있으며, 미래 첨단산업의 구 을 한 ‘가교산업’으로서 정 화학산업

의 역할이 증 되어 가고 있음.

□ 산업입지 특성

○ 선진국 경험으로 볼 때, 정 화학산업의 특성상 기 과학 연구 경

노하우의 축 과 리가 가능하며 기술습득이 용이한 학 연구소 근

처에 집 화되어 조성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음.

(3) 정 화학산업의 분류

□ 생산량 차별성에 따른 분류

○ 정 화학산업은 통상 으로 양 인 측면에서 량 소품종, 부가가치 화

학산업인 Commodities Chemicals에 응하여 소량 다품종,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Fine Chemicals로 불리고 있음.

- 이는 다시 질(차별성) 인 측면에서 의의 Fine Chemicals와 고도의,

는 독자 기술이 강조되는 Specialty Chemicals로 분류할 수 있음.

- 의의 Fine Chemicals는 의약 혹은 농약 원제 간체 등과 같이 제

품 혹은 성능상 차별성이 상 으로 낮고 합성기술 주의 화학제품으

로서 통상 순수화합물 상태로 구성됨.

- 이에 반해, Specialty Chemicals는 제품 성능의 차별성이 높고 배합기

Page 4: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4 -

석유화학산업 가공산업 최종제품

원유

나프타

LPG,휘발유,등유,경유,

중유 등

합성수지

합섬원료

합성고무

기타제품

플라스틱가공업

섬유산업고무산업

자동차부품건설자재섬유제품타이어 등

정밀화학무기화학

제품

기초원료

중간원료

정밀화학산업

정밀화학산업

의약의약 국민 보건 및 후생에 기여국민 보건 및 후생에 기여

염료, 안료염료, 안료 섬유, 식음료, 건축, 선박, 자동차 산업 등섬유, 식음료, 건축, 선박, 자동차 산업 등

도료, 잉크도료, 잉크 건설,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 기계 산업 등건설,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 기계 산업 등

화장품 , 향료화장품 , 향료 국민 보건, 식음료, 연초, 의약 산업 등국민 보건, 식음료, 연초, 의약 산업 등

계면활성제계면활성제 섬유, 건축, 식품, 종이, 피혁 산업 등섬유, 건축, 식품, 종이, 피혁 산업 등

접착제접착제 금속, 플라스틱, 목재,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 등금속, 플라스틱, 목재,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 등

사진용화합물사진용화합물 전기전자, 의료, 인쇄 산업 등전기전자, 의료, 인쇄 산업 등

농약농약 농업농업

분야분야 전방연쇄효과전방연쇄효과

술 주의 화학제품으로서 배합된 완제품 는 복합물질로 구성됨.

<그림 1> 정 화학산업의 치 연 산업

<그림 2> 생산량 특성 차별화에 의한 화학산업의 구분

Page 5: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5 -

Fine Chemicals소량생산

제품, 성능의 차별정도가낮음

합성기술 위주

순수화합물 상태로 판매

의약, 농약 원제 및 중간체 등

Commodities대량생산제품, 성능의 차별정도가낮음석유화학 중간체,산 ⋅ 알카리등 기초화학원료

Specialty Chemicals소량생산

제품, 성능의 차별정도가 높음

배합기술 위주

배합된 완제품 또는 복합물질로판매섬유유연제, 도료, 향료, 윤활유,각종 가공제 등

Pseudo Commodities대량생산

제품, 성능의 차별정도가 높음

합성섬유, 카본블랙, 화약 등

제품, 성능의 차별 정도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 회, 『산업기술백서(2002년 )』.

- 오늘날에는 기술의 고도화 특성화, 고부가가치 창출력 등의 개념이

확산되는 한편으로 건강 웰빙에 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Specialty Chemical 분야에 한 심이 높아지고 있음.

□ 목 에 따른 분류

○ 정 화학산업을 그 목 에 따라 분류하면, 국민 후생 보건에 기여함을 목

으로 하는 생리활성 life care 화학산업, 통신․imaging 기능성

colloid(교질) 등 신기술 융합 상에 따라 사회 ․산업 needs에 부응하기

한 기능성 화학산업으로 별됨.

- life care 화학산업은 그 자체가 최종 소비제품인 화합물로 의약․화장품․

농약․기타 생리활성물질 등을 일컬음.

- 기능성 화학산업은 지, 반도체, 환경, 통신 등 신기술산업에 응용되는 고

기능성 산업으로서 포토닉 소재, 지 소재, colloid 소재 등 각종 첨단 화

학소재 등을 포함함.

□ 제품에 따른 분류

○ 정 화학산업은 통상 으로 의약, 염․안료, 도료․잉크, 화장품․향료, 계

Page 6: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6 -

면활성제, 착제, 사진용 화합물, 농약 제품 등을 통칭하며 기타 신물질

로서 인세라믹, 2차 지 제품 등을 포 함.

○ <표 1>은 정 화학산업의 각 제품별 정의 HS 코드상 분류를 보여주고

있음.

<표 1> 정 화학 제품별 정의 HS상 분류

Page 7: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7 -

분야 특성 HS/K

의약

인체 는 동물의 병에 한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방

등을 목 으로 사용되는 물질

로서 완제의약품, 원료의약품,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의약부

외품으로 구분됨

2941(항생물질), 3001(장기요법용의 선과 기타

기 )

3002(인 , 동물의 피, 면역 청, 기타 액분

획물, 백신, 독소, 미생물 배양체 변성한 면역

물품), 3003(의약품), 3004(의약품-소매용으로

포장한 것), 3006(의료용품)

염․

안료

염료는 천연색소의 분자구조를

합성 혹은 변환시켜 섬유, 피

, 모피, 지류 등과 같은 피염

물에 염착, 일 마찰 등

외부요인에 탈락 내지 변색되

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물질이

며,

안료는 염료와는 달리 피염물

에 직 으로 염착되지 않고

물리 방법( 착 등)에 의해

피염물에 색소로 부착되어 고

유한 색을 내는 물질을 말함

3201(식물성 유연엑스, 탄닌과 그들의 염, 에테

르, 에스테르, 기타 유도체)

3202(합성유기유연제,무기유연제,조제유연제,유

연 처리용의효소계조제품) 3203(식물성 는

동물성 착색제, 이들의 조제품)

3204(합성유기착색제와 이들을 기제로 한 조제

품, 합성유기형 증백제 합성유기물)

3205( 이크안료 이들을 기제로 한 조제품),

3206(기타 착색제와 조제품 ,무기의 루미노퍼),

3207(조제안료,조제유백제,조제그림물감,법랑,유

약,유약용의 슬립, 액상라스터와 이와 유사한

조제품)

3212(비수매질에 분산시킨 안료( 속분, 속

이크 포함), 페인트, 에나멜 제조에 사용되는

액상, 페인트)

도료

잉크

도료는 유동상태로 물건의 표

면에 확산, 고착되어 상품의

내구성 부가가치를 향상시

키는 물질이며,

잉크는 안료와 매질을 긴 히

분산시키는 균질한 물질을 말

3208(페인트와 바니시, 휘발성 유기용제에 용

해한 에틸 합체와 천연 합체), 3209(페인

트와 바니시-수성매질에 분산하거나 용해한

것)

3210(기타 페인트와 바니시, 피 가공용의 조

제 수성안료), 3215(잉크)

화장

품․

향료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

피부 두발의 건강성을 목

으로 도찰, 도포, 기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인체에 한 작용이 경미한 것

을 말하며,

향료는 크게 fragrance와 flavor

로 나뉘며 화장품, 비 , 방향

제 등에 요한 원료로 사용되

는 먹지 않는 향료를

‘fragrance’라 하며 인체의 후각

과 미각을 병용하여 평가하는

물질을 ‘flavor‘라 함.

3301(정유와 지노이드, 정유의 콘센트 이트,

정유의 애큐어스 솔루션-추출한 올 오 진),

3302(방향성 물질의 혼합물 당해 방향성물

질의 하나 이상을 기제로 한 혼합물)

3303(향수 화장수), 3304(미용 는 메이크

업용 제품류, 기 화장품류, 매니큐어용 페디큐

어용품), 3305(두발용제품류)

3306(치간 청결용사(덴털 로스) 치열 교정용

페이스 등)

3307(면도용품류, 인체용 탈취제, 탈모제, 기타

화장품류, 실내용 방취제)

Page 8: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 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

물질을 통칭함

3402(유기계면활성제,조제계면활성제,조제세제,

조제청정제)

물체와 물체의 표면을 부착시

키는데 사용되는 물질을 통칭

3505(덱스트린과 기타 변성 분, 이들을 기제

로 한 루)

3506(조제 루와 기타 조제 착제)

사진

용화

합물

빛에 노출되었을 때 변화하는

정도의 차이로 피사체를 해상

시키는 재료를 통칭함

3701(평면상의 사진 이트와 사진필름, 평면

상의 인스턴트 린트필름)

3702(롤상 사진필름), 3703(사진인화지, 지,

직물)

3707(사진용의 화학조제품 사진용의 단일물

품)

농약

농작물을 해하는 균, 곤충, 응

애, 선충, 바이러스, 조류, 잡

등의 방제에 사용되는 기피제

유인제 농작물의 생리기능

을 증진 혹은 억제하는 약제를

총칭함

3808(살충제, 살서제, 살균제, 제 제, 발아억제

제, 식물 성장조 제, 소독제 등)

기타

3403(조제윤활제, 방직용재료, 가죽․모피등의

오일링처리, 가지처리용 조제품)

3507(효소 따로 분류되지 아니한 조제효소)

3809(완성가공제, 염색 진용․염료고착용의

염색캐리어, 드 싱, 매염제 등)

3811(안티녹제, 산화억제제, 검화억제제, 도

향상제, 부식방지제 등)

3812(고무가황 진제, 고무․ 라스틱용의 복

합가소제와 산화방지조제품)

3814(유기혼합용제와 시 , 조제한 페인트제거

제 는 바니시 제거제)

3815(반응개시제, 반응 진제 매조제품)

3818( 자공업에 사용하기 하여 도 처리된

화학원소와 화학화합물)

3822(진단용 조제시약 실험실용 조제시약)

3824(조제 결제 따로 분류되지 않는 화학

품과 화학공업)

2. 세계 정 화학산업의 주요 트 드

(1) 세계 정 화학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 정 화학산업의 구조개편

○ 최근 세계 정 화학산업의 구조개편 움직임은 기본 으로 선진국과 선진국,

Page 9: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9 -

선진국과 개도국간 분업구조상의 특징을 반 하고 있음.

○ 세계 정 화학산업의 국제분업구조는 지역간 기술수 개발력의 격차

는 경쟁력상의 격차를 반 하여 선진국간에는 주로 수평 분업이, 그리고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에서는 수직 분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에도 당

분간은 이러한 지역간 분업구조는 지속될 망임.

- 선진국들은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간체, 신물질 분야 등 부가가치가 높

은 부문에 특화하고, 기술 차별화에 따른 수평 분업이 활발히 이루

어지고 있음.

-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는 기본 으로 선진국이 개도국에 핵심원료, 기술, 자

본 등을 제공하고 개도국은 이를 바탕으로 일부의 원제 범용제품을 생

산하는 수직 분업 계를 유지해 오고 있는바, 등한 입장에서의 력

계는 어려운 실정임.

○ 최근 세계 정 화학산업의 구조개편 움직임은 크게 보아 인수․합병(M&A)

과 략 제휴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

○ 기업의 인수․합병과 특정사업부문의 매각처분 등을 통한 구조개편 략은

이미 1980년 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는 략임.

- 의약산업을 로 들면, 세계 기업들간의 합병으로 탄생된 락소스

미스클라인(GSK; GlaxoSmithkline Plc.)사와 노바티스(Novartis)사는 연구

개발 투자비와 매출액에서 선두를 지키고 있음.

○ 1990년 들어서는 M&A 략보다는 략 제휴가 주된 구조개편 략으

로 자리잡기 시작함.

○ 략 제휴의 목 은 독자 인 경 권을 유지하면서도 합작사업을 통해 세

계 1~2 의 선도기업 치를 확립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 실 이 악

화되고 있는 사업을 타사의 사업과 통합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치를 일거에

부상시키려는 데 있음.

Page 10: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0 -

- 따라서, 이들 략 제휴의 상이 되는 사업의 범 는 상 으로 강 을

가지고 있는 분야만이 아니라 열 에 있는 사업까지 포 하고 있음.

○ 특히, 신물질 창출 등 정 화학분야의 기술개발에는 막 한 연구개발 자

이 소요되지만, 성공하게 되면 세계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특징을 갖

고 있어 선진 화학기업들은 지속 으로 연구자 을 투입하고 있으며, 국

제 인 제휴연구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 최근 들어서는 의약, 농약, 화장품 등 생리활성물질분야의 기술개발이 가

속화되고 있어, 이들 분야에서 신제품의 개발을 한 제휴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신개념 제품의 출 가속화

○ 기존 통 인 정 화학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 외에 바이오․나노 등

새로운 개념을 목하여 신제품을 창출하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음.

○ IT, BT 등 신기술의 강력한 향력은 그 자체의 기술로도 신산업을 유발

시키고 있으며 미래 산업에 있어서의 요성이 나날이 부각되고 있음.

- 이에 더하여, 기술간 역이 붕괴되면서 나타난 융합기술 한 정 화학

산업에 향을 미치고 있는바, 정 화학산업에 련되는 산업의 범 는

더욱 확 되어 가는 추세에 있음.

○ 21세기 이후의 기술 발 산업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분야인 환경

에 지 련산업에 있어서도 정 화학산업의 비 은 매우 커지고 있

음.

- 지구온난화 공해 유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체에 지 소재, 태양

지를 비롯한 각종 고성능 지, 생분해성 고분자와 같은 환경친화

신소재의 개발 가속화 등은 기술 으로 도 받고 있는 매우 요한 분야

들로서, 정 화학산업이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첨단 기간산업임을 보여

주고 있음.

Page 11: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1 -

□ 수요패턴의 변화

○ 기술개발에 따른 신제품의 등장과 아울러 소득․생활수 향상 등의

향으로 범용 품에 한 수요 신장세는 둔화되고 있는 반면, 고

고기능제품에 한 수요는 높은 증가세를 보임.

- 특히, 환경문제에 한 심 고조로 무공해 공해제품에 한 수요

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IT, BT 등의 발 에 따라 자정

보, 항공우주, 의약 등 첨단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첨단 화학소재 제품

의 시장수요가 증하고 다양화 되어가고 있음.

<표 2> 정 화학산업의 수요패턴 변화

의 약

-선진국의 의료복지비용 감소 약가억제 정책에 의한 경 악화로 치료제의 성

장 둔화

-퇴행성 질환, 심 계질환, 당뇨병, 악성 종양, 바이러스감염 등의 수요 증

염․안료-합성수지의 발 으로 분산, 반응성 염료 고 고기능안료의 연구개발 활발

- 공해성 염,안료의 연구개발 활발

도 료

-다양화, 고 화, 고내구력 요구

- 공해, 무공해, 자원 약형 도료의 수요 증

-산업발 에 따른 산업용, 공업용 도료 상 증

화장품․

향료

-자극성, 천연원료 등 자연 지향성 제품, 신기능성 제품선호

-2000년 이후는 노화지연제품 심의 신기능성 기 화장품의 수요 증가 기

-천연향료 사용이 감소하고 조합향료 사용 증가

-생활수 향상으로 향수산업의 발달로 수요 증가

계면활성

-수요의 다양화, 고 화, 환경문제 등의 향으로 공해성, 안정성이 부각

-환경문제 무독성 제품 요구 증

착제

-환경, 신소재출 , 소비자의 개성화, 노동력 부족에 따른 기능화 자동화 제품

요구

-핫멜트, 고기능 착제 등이 두

사진용

화합물

-처리시간 단축 원가 감을 한 신제품의 요구 증

- 자공업의 발 과 새로운 장비개발에 따른 신제품 필름의 요구 증

농 약

-인건비 상승에 따른 편리성 추구

-환경친화형 제품 요구 증가 독성물질 기피

-제품의 라이 사이클 단축

매 -공해문제로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새로운 공정개발이 요구됨

(2) 정 화학산업의 신기술․신제품 개발 추이

□ 개

Page 12: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2 -

○ 정 화학산업이 일반 화학산업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특징은 해당 제품

이 특정한 성능을 지니도록 고안된 것이라는 임.

- 이 특징은 더 강화되고 있는바, 최근 정 화학산업 제품에 해 요

구되는 기능은 더 고성능으로 변해가고 련 산업에서 요구되는 재

료의 기능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되는 요소기술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음.

- 이에 따라, 물질의 기능과 특성을 매우 까다롭게 주문하는 소비자의 기

호를 만족시켜야 하는 역할을 강요받고 있음.

○ 선진국은 핵심기술 첨단기술 기반의 간체 신물질 개발을 통하여

지식재산권의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의약품, 신소재 등을 심으

로 신기능 특수기능의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 <표 3>은 정 화학산업 신기술 개발과 련된 장단기 유망분야를 나타내주

고 있음.

<표 3> 정 화학산업의 향후 유망분야

분 야 단기 ․장기

의약

난치성 치료제(당뇨병/암/고 압), 진

단시약, generic 의약품, 표지화합물

합성 등

방 노인성 치료제(치매/ 염/간질

환/성기능 개선제 등), 표지화합물 합성

염․안료 반응성 분산 염료자․의료용, 생물산업 련 복합다기

능성 염료, 환경친화형 염․안료

도료․잉크우 탄, 에폭시, 폴리에스텔, 아크릭,

BASE의 고성능 공해 도료

고 수성도료, UV ALC EB 도료, 기능

성 도료, power coating 등 환경친화형

도료

화장품․향

료미백제 등 선진국형 수요제품

노화방지 화장품, 주름방지제, 발모제 등

고령화 사회형 제품, UV 차단제

계면활성제 환경 합형 생계면활성제 분해성 계면활성제

착제환경 친화형 수성․무용제형 hot

melt형 제품기 자, 통신산업용 등 기능성 착제

사진용

화합물환경친화형 공해 제품

기․ 자가 목된 무공해 사진 상

제품

농약

환경친화형 생분해성, 독성 고활

성 합성농약, 불소화합물, 미생물 농

생물계 농약(미생물 농약, 천 등), 유

자 도입작물과 연계된 합성농약(제 제,

살균제)

매석유정제 정 화학제품 제조용

매, 청정용 매 신 에 지 생성 등 에 지 련 매

첨가제 환경친화형 공해 첨가제 구지속형 고기능성 첨가제

Page 13: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3 -

○ 재, 선진국들의 신기술 신제품 개발 추세를 부문별로 보면 다음과

같음.

□ 신약 life care 소재 부문

○ 선진 다국 의약기업들은 주로 신약개발을 해 막 한 자 을 투입하

고 있으며, 매출액 비 연구개발비 투자비율이 15~20%의 높은 수 을

보이고 있음.

○ 미국의 경우 기술개발 비용의 제품 역별 배분 분포를 보면, 추신경

계, 감각기 용 약이 48%, 항암․내분비계․ 사질환용 의약이 44%를 차

지하고 있음.

- 신약 개발단계별 기술개발비의 비 을 보면, 물질합성 추출, 효능

검색 약리시험, 그리고 임상시험 기술분야 등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

고 있음.

○ 특히, 2001년 2월 HGP와 미국 셀 라社가 인간지놈지도 완성 발표를

환 으로 하여 신약개발에 있어 새로운 장이 열렸다고 볼 수 있음.

- 앞으로 진행될 기능유 체학 연구, 비교유 체학 연구, 단백질체학 연구

등으로부터 발생할 각종 DB 기술의 발 에 따라, 의약품의 치료범

와 그 종류가 무한히 다양해질 것으로 상됨.

○ 아울러, 생물학 화학 정보와 IT와의 융합을 통해 생물정보과학

(Bioinformatics)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새로운 신약개

발 방법론이 제시되기 시작하여 기존의 신약개발 기간이 크게 단축될 것

으로 상되며, 이는 다양한 지식 기술에 의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연구개발의 요성이 확 됨을 의미함.

○ 한편, 화장품의 경우 최근 선진국의 기술추구 분야는 치유개념

(cosmeceutical)을 도입한 고기능성 제품개발 기술과 환경친화 (천연원료

사용) 제품개발 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Page 14: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4 -

- 미국, 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화장품 선진국들은 련 학회에서 주

하는 교육 로그램뿐만 아니라, 학 내의 화장품 련학과 교육

로그램을 설치하여 화장품 산업의 기술발 을 한 인력양성과 산학

동을 지원․육성하고 있음.

□ 통신․imaging 소재 부문

○ 북미지역은 1998년에 시작된 장분할 다 화 방법(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메트로/액세스망을 구성하고, 가입자 구간

에서 연결망을 실 인 수 으로 검토하여 수동 통신망(PON; Passive

Optical Network), 버스구조 방식의 LAN인 이더넷(Ethernet) 등을 추진

이며, 이를 해 가격의 소재부품 개발 기술 쪽에 치 하고 있음.

○ EU의 경우는 BT, FT 등의 분야에 문성을 가진 20개의 사업자들이 참

여한 EURESCOM에서 연구되고 있는 로젝트 의 하나인 FAN(Future

Access Networks)에서 xDSL, PON 등 다양한 액세스 기술의 경제성, 서

비스 요구사항, 상호 운용성, 진화방향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한 연

구를 진행하여 망구축 기 장비 표 화를 시도하고 있음.

○ 일본의 경우에는 총리가 직 장하는 ‘IT 략본부’(고도정보통신 네트

워크사회 추진 략본부, e-Japan Program)가 2001년에 발족함.

- 이를 기반으로, 5년 후에는 세계 최강의 IT 국가로 변모한다는 목표 아

래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일본열도 IT화 기본계획’으로 고기능의 유

연하고 안 한 차세 정보통신환경을 기반으로 정보와 지식을 창조, 유

통, 공유할 수 있는 고도정보통신사회를 조기 실 하고자 가입자망의

변화에 힘쓰고, 이를 한 차세 소재개발에 산․학․연의 연구가 활발

함.

□ 기능성 colloid(교질) 소재 부문

○ 기술선진국인 미국, 일본 유럽국가들이 정부차원에서 나노기술 련

분야에 규모 집 투자를 함으로써, 나노기술이 목된 기능성 Colloid

소재 분야도 함께 성장하고 있음.

Page 15: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5 -

○ 정보산업용 각종 paste 제품의 경우 미국 Dupont사, 일본 Shin-Etsu사 등

이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으며 CMP slurry 세라믹 코 등은 미국

Dupont사, Rohm&Haas사, 일본 Shinko사, 스미토모(住友) 속 등이 선두

기업임.

○ 친환경 Colloid 소재기술의 경우는 아직 크게 범용화되지는 못하고 있으

나 꾸 한 기술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어, 환경정책 강화추세와 발맞추어

성장할 분야로 망되고 있음.

(3) 환경규제의 확

○ 1990년 들어 국제기구(OECD)의 환경규제 움직임이 한층 강화되어, 구

체 인 국제 약으로 나타나기 시작함.

- 선진국들은 이미 국제 인 규제에 하여 기술선 을 해놓은 상태로서

기술 으로 뒤떨어진 후발국가들의 추격을 따돌리는 수단으로써 국제

약 등 국제 인 규제를 극 활용하고 있는 추세에 있음.

3. 국내 정 화학산업의 좌표

(1) 국내 정 화학산업의 상

○ 오랜 역사를 가진 선진국들은 다국 기업을 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세계시장을 독 하고 있으나, 30년 후의 역사를 가진 국내 정 화학산업은

비교 내수시장이 큰 의약, 농약, 염·안료 업종에서 수입 체를 한 범용

제품 완제품 주로 성장 발 함.

○ 이 염료·안료, 도료, 계면활성제 등 범용화학제품의 제조기술 수 은 상

당부문 선진국 수 에 도달했지만, 고도의 기술과 막 한 연구비가 투자되

는 정 화학산업의 핵심기술인 원제, 간체 특히 자정보용 화학소재는

선진국 제품의 수입의존도가 매우 큰 실정임.

○ 생산비 은 제조업 비 3% 반 를 유지하고 있으며, 석유화학산업의

Page 16: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6 -

생산에 근 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부가가치의 경우는 제조업 부가가치 비 4%를 상회하고 있으며, 1999년

이후 매년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 이는 아직 성과는 크지 않지만, 국내 정 화학산업이 차 기술집약 이

고 고부가가치를 지향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임.

○ 그러나, 제조업 수출액 비 비 은 1% 반으로 매우 낮은 수 을 보

이고 있음.

- 이는 국내 정 화학산업이 선진국들로부터 핵심원료를 수입하여 이를 가

공, 완제품 는 일부 원제 간체를 생산하여 수출하는 수직 분업

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데 기인하는바, 선진국에 비해 경쟁력이

크게 취약한 것이 그 원인이 되고 있음.

<표 4> 국내 정 화학산업의 상

1995 2000 2001 2003 2005연평균

증가율

생산액

(10억원)

제조업(A) 364,821 564,832 583,792 677,371 854,234 8.9

정 화학(B) 11,924 19,756 20,861 22,485 26,503 8.3

B/A 3.3 3.5 3.6 3.3 3.1 -

부가가치

(10억원)

제조업(A) 159,448 219,425 221,859 255,813 314,441 7.0

정 화학(B) 6,179 9,670 10,341 11,714 13,1154.2 7.8

B/A 3.9 4.4 4.7 4.6 4.2 -

수출액

(백만달러)

제조업(A) 125,058 172,268 150,439 188,527 280,194 8.4

정 화학(B) 1,184 1,789 1,821 2,343 2,617 8.3

B/A 0.95 1.04 1.21 1.24 0.93 -

자료 : 한국정 화학공업진흥회, 『정 화학공업 통계』, 2006. 6.

세청, 『무역통계연보』.

(2) 국내 정 화학산업 업계 기 동향

○ 국내 정 화학산업계는 green chemistry, nano-technology, 화학기술과 생

명과학/정보기술과의 목을 통해 기능성 화학물질 기존제품의 성능

개선 신공정 개발을 확 해 가고 있음.

Page 17: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7 -

- 그동안, 범용 주의 양 성장 략을 채택함에 따라 신물질 창출 련 기

술의 부족으로 첨단분야 진출이 어려운 기술개발력의 열세를 보이고, 특히,

자부품용 정 화학소재는 거의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음.

- 한, 국내 자재료 업계는 주로 해외 업체와의 합작 는 기술도입을 통

한 사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체 기술력 특히 재료의 원천기술에서 한계에 부

딪치고 있음.

○ 세계 최고 수 의 반도체 공정 기술을 확보하고 있음으로 인해 이를 나

노기술 개발에 최 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은 조성되어 있으며 나노기술

의 단계라 할 수 있는 MEMS 기술 개발이 산업계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신물질 연구는 me-too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못한 상태로 Human

Genome에 근거한 신약개발은 아직 보단계에 있으며 structural

genomics, functional genomics를 이용한 BT사업도 벤처 수 에서 진행

되고 있어 유 자, 단백질 수 의 체계화된 형태의 연구와 거리가 먼 실정

임.

○ 국내 의약산업은 소기업 는 형기업 심의 산업조직이 형성되어

경쟁력 제고를 한 기업의 체질이 상 으로 취약한 편이지만, 최근에

는 기업들의 의약산업 진출과 기존 기업들의 기술개발력이 향상되면서

업계의 신의약품에 한 투자가 확 되고 있고 정부에서도 연구 개발사

업에 한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임.

- 국내 의약산업의 R&D 투자비율은 매출 비 4~5% 수 으로, 선진국

수 에 비해 조한 상태임. 그러나, 재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품목이

10여개에 달하고 있고 항생제, 항암제, 궤양 치료제, 심장순환계 등의

분야에서 많은 후보물질을 도출하여 신약개발 에 있음.

○ 농약의 경우 세계 다국 기업들은 연구개발비로 매출액 비 약 10%

정도를 투입하고 있으나 국내 농약업계의 경우 평균 으로 매출액의 2%

내외를 투자하는데 그치고 있음.

Page 18: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8 -

- 앞으로 신농약 개발은 보다 환경 친화 이고 인체에 무해한 농약, 소량

사용이 가능한 농약 그리고 고부가가치를 가져다 수 있는 농약 등 특

성화를 띠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

○ 한편, 국내 화학소재산업의 경우 사업 기 주로 해외업체와의 합작 는

기술도입을 통해 사업이 추진되었음. 따라서 자체기술력, 특히 재료의 원

천기술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음.

- 자재료분야에 있어서는 시장규모가 큰 아이템 주로 사업이 이루어져

주로 웨이퍼, 리드 임, 포토마스크 심으로 국내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음.

- 유기재료 한 정보 자부품 정보 자제품의 생산에 핵심이 되는 재

료로서 일부업체에서의 극 개발노력에도 불구하고 원천물질에 한

기술경쟁력 미흡으로 이에 한 국산화는 상당한 어려움에 처해 있음.

○ 화장품산업의 특징은 제약업계가 내수 증가의 한계성과 시장개방에 따

른 성장 탈피를 해 다각화 사업추구의 일환으로 유사업종으로서

환이 수월한 화장품사업과 건강식품사업에의 진출이 활발하다는 을 들

수 있음.

- 제약업계의 화장품진출은 이미 장업계에서 기반을 구축한 동아제약과 동

성제약을 비롯해 보령장업, 유한양행, 진약품, 부 약품, 종근당 등 제

약업체들이 화장품사업부 설치나 독립법인의 설치 등 업활동 개를

본격화하는 경향임.

○ 화학공정 측면에서는 국내의 나노기술과 련하여 NRL, SRC, ERC, 창의

연구진흥사업, 국가지정연구실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하여 연구기

반 구축노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1990년 후반이후 기 지원이 시작되

었으나 연구기반 구축은 미흡한 형편임.

- 측정․분석 혹은 장비제작 등 기반연구 성격의 단독과제보다는 소재합

성, 소자제작과 연구를 병행하는 과제형태로 추진되고 있음.

Page 19: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19 -

- 측정․분석과 련하여 상용장비를 이용한 나노구조, 나노물성, 국소성분

분석, 분석 표 화 기술(기기 검증법, 표 차, 인증표 물질) 등을 개발

하고 있으며, 측정장비 제작 면에서는 stage 기술, 진공용 무진동 발열

베어링, AFM 탐침 부착, SPM 부품 제작, 미세응력센서 제작, 극 정

치제어 기술 등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 한편, 2001년 8월에는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발 계획을 수립하여 국가차

원에서 생물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산업(생물산업) 발 을 추

진하고 있으며 생물공학기술개발의 목표는 2005년까지 세계시장의 7%,

기술수 을 선진국 수 으로 제고시키는 것임.

- 그러나 지 까지의 BT지원은 신약, 유 체 연구, 단백질체 연구 등 기

분야에 집 되었으며, 이 분야는 기술특성상 연구개발 기간이 길며 연

구개발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선진국과 동등하게 경쟁하기에는 다소 어

려움이 있음.

○ 안 ․ 해성 검증 측면에 있어 생물산업제품, 정 화학제품 수출 시에

OECD 기 을 만족하는 안 ․유해성평가기 의 시험자료를 통해 안

성이 증명되어야 하나 재 국내 기 은 OECD 기 을 충분히 만족하지

는 못하고 있는 실정임.

- 국내의 안 ․ 해성과 련된 시험․평가기 으로는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학시험 연구원, 생활용품연구원, 산업기술시험원 등과 기술표 원

산하 7개 시험연구기 등이 있으며 특히 산업자원부의 산지원을 받은

안 ․유해성 련기 은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학물질 안 성 평가센터'

와 한국화학시험연구원의 '유해성 시험평가 지원센터'가 있음.

- 민간 연구기 으로는 활발한 안 ․ 해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LGCI 안 성센터’를 표 으로 들 수 있음.

(3) 국내 정 화학산업의 경쟁력

□ 기술경쟁력

Page 20: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0 -

○ 국내 정 화학 산업은 범용제품 일부 원제의 생산기술은 선진국 수

에 도달해 있지만, 가장 핵심 인 기술인 신물질 창출 고품

formulation기술 등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능력은 기술 기반이 매우

취약함.

○ 한편, 정 화학의 기술개발은 기술도입과 도입기술의 개량을 바탕으로 범

용제품 주로 추진되어 왔으나 선진국의 핵심기술 이 기피에 따른 핵

심기술 자체 확보의 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1990년 들어 업계와 정부

에서 활발한 연구개발 활동을 개하고 있음.

- 국책연구소를 비롯해서 업계에서는 의약품, 농약, 염․안료, 매 등의

연구조합을 결성하여 특정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자체 연구

개발 투자도 수행하고 있는데 지 까지 의약 농약 등 몇 가지 분야에

서 성과를 거두고 있음.

○ 국내 정 화학의 기술수 은 미국 정 화학 기술수 을 100으로 볼 때 국

내 기술수 은 의약 60, 소재 60, 염․안료 77 등으로 아직은 조한 편

임.

<표 5> 미국과 한국의 부문별 기술수 비교(미국=100)

의약 화장품 염․안료 매 화학소재

60 60 77 15 60

- 제품 리기술인 제품수 평가, AS 부문, 제품용도 평가 등의 면에서도

경쟁력이 매우 취약함.

○ 기업의 경쟁규모도 부분 세한 규모로서 표 연구개발 집약산업인

정 화학산업의 특성을 반 하지 못함.

○ 정 화학의 표 부문인 의약의 경쟁력을 경쟁요소별로 보면, 기술개

발, 정보화, 표 화 등의 수 은 선진국의 60~70%, 아웃소싱은 80%, 그

리고 디자인 품질 리는 약 90% 수 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의약산업의 기술경쟁력은 다음과 같음.

Page 21: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1 -

- 연구직 비율은 의약, 농약의 경우 약 6~8%로 미국 25%, 일본 20% 내외

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수 임.

- R&D 투자비율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아직 선진국 수 에

크게 미달하는 실정임.

- 의약산업의 경우 임상시험과 독성시험이 수익률 달성에 매우 요하지만

국내 세한 규모의 기업 입장으로서는 실험에 들어가는 비용(임상시

5~10%의 확률에 1억~5억 달러의 비용이 필요)을 투자하기도 힘든 실

정임.

- 약효검색 등 신약개발 기반기술은 그동안 G-7 과제 등의 수행을 통해 항

생제,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고 압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등 많은 분야

에서 개발기술이 축 되어 있는 상태이나, 최근에 신약개발에 많이 활용

되고 있는 HTS 기술, 물질다양성 화학-생물 정보 리 기술, 유 공학

기법을 활용하는 신약개발 기반기술 등은 취약한 상태임.

- 물질합성기술은 1970년 부터 의약품원료 국산화, 신규제조방법 개발 등

으로 상업화한 경험이 풍부하며, 정부의 G-7 과제수행 등을 통하여 선진

국 수 의 물질합성 기술을 이미 확보한 상태로 볼 수 있음.

- 최근 신약개발의 새로운 략으로 두된 다수의 다양한 물질확보 분야

(조합화학기술) 리(화합물은행), 고효율 약효검색(HTS) 평가기술

은 국내에서 도입단계로서 극 인 육성책이 필요함.

- 특히, 국내의 신약, 신농약의 발 에 따른 방사성 동 원소 화합물(표지

화합물)의 수요가 증할 것에 비하여 표지화합물 합성에 한 기반기

술의 확립이 실히 요구되고 있음.

- 임상 연구기술 측면에서, 국립독성연구소, 한국화학연구원, 그리고 몇

개의 기업부설 연구소 등에서 그동안 KGLP 인증을 획득하여 시설

기술을 확보한 상태이나, 그 규모나 기술 인 측면에서 아직 선진국 수

에 못 미치는 상태임.

Page 22: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2 -

- 제제화 기술은 1990년 이 에는 국외 개발 의약품의 단순복제기술이

주류를 이루어 왔으나, 1990년 이후 국내 특허제도의 변화 고유의 신

제제 개발에 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재는 많은 개량 신약들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임.

- 임상시험기술은 재 국내 개발신약 10여개 품목이 임상시험단계에

진입하고 있어 이 분야의 기술이 진 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아직도

보단계의 수 임.

- 마 능력의 경우, 지 까지 국내의 제약업체들은 국내 내수 주의 성

장을 해온 결과 세계시장에 한 마 능력은 매우 부족한 상태에 있

음.

○ 한편, 농약산업의 경우 신물질 농약인 가디안, 피안커 등을 개발하여 시

하고 있으며 국책연구사업으로 개발 인 농약 원제가 4개에 달하는 등

국내 농약 개발연구는 가시 성과를 거두고 있음.

○ 신소재 부문은 미국에 비해서는 45%, 일본 유럽에 비해서는 60% 수

이며,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는 평균 10년 정도 되는 것으로 평가됨.

- 반 으로 생산기술에서 선진국 수 의 기술체제를 갖추고 있지 못하고

문 생산체계 부족으로 선진국과 격차가 존재함.

- 고분자 신소재의 경우 엔지니어링 라스틱, 고분자 복합재료, 고강도 섬

유, 고분자 분리막, 의료용 고분자 등 미래지향 인 소재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나 성과는 그리 크지 않음.

○ 기업 차원에서는 기술향상 제품의 고성능화와 기능화를 꾀하고 있으

나, 신소재에 한 기 기술 부족 문성 부족으로 인해 경쟁력 확보

가 어려움.

- 설비 공정기술 축 이 안 되어 으로 기술도입에 의존하고 있으므

로, 국내창출 신소재의 생산에는 한계성이 있음. 이의 극복이 우선 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임.

Page 23: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3 -

<표 6> 국내 신소재의 기술수 비교

품 목기술수 (미국 : 100) 기술격차

(년)비 고

유 럽 일 본 한 국

- 분자제어 소재

- 정 가공 소재

- 표(계)면작용 소재

- 환경보 소재

- 기능 소재

- 분리기능 소재

- 생체기능 소재

- 경량구조체 소재

- 선진복합재료

80

95

100

100

80

80

75

70

60

90

80

90

80

90

90

70

70

60

50

65

65

55

25

35

25

35

45

7

5

5

7

15

10

10

15

15

PE, PS계

페인트, 착제

분해성

생체 련

탄소복합

평 균 80 75 45 10

□ 가격 비가격 경쟁력

○ 한편 가격 비가격경쟁력 측면에서도 국내 정 화학산업은 선진국에 비

해 상당한 열 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고부가가치제품으로 분류되는 의

약품의 경우 수출가격이 미국의 50~60 수 에 있으며 기타 정보화, 표

화 등의 경쟁력에서 선진국의 반수 에 불과함.

<표 7> 정 화학산업의 가격 비가격경쟁력 평가(미국=100)

경쟁력 가격 정보화 표 화 품질 리 아웃소싱

지수 50~60 55 50 55 55

□ 문제

○ 석유화학 등 범용화학 제품에 비해 상 으로 기술집약 이고 부가가치

가 높은 정 화학 소재가 체 화학산업에서 차지하는 비 은 2001년 기

생산액의 25.6%, 부가가치 창출의 33.8%에 불과하여 선진국의 60~

80%보다 히 낮은 후진 구조임.

○ 정 화학산업의 제품화 기술은 선진국과 경쟁가능한 수 이나 원제․ 간

체 핵심기술, 신물질․신소재 창출 산업화를 한 안 성 검색 등 기

반기술은 매우 낮은 수 으로 고부가가치 시장확보에 주요 장애요인이

Page 24: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4 -

되고 있음.

- 를 들어, 유기합성기술 외국에서 농․의약 원제를 도입하여 제품화

하는 제제기술은 선진국과 거의 등한 수 이나, 표지화합물 합성, 스크

리닝, 안 성 검색 등 기반기술은 뒤지고 있으며(미국의 65% 수 ), 사진

용 화합물, 매 등의 기술수 은 선진국의 20%( 매의 경우는 7%)에

불과함.

○ 향후 잠재 인 기술수 을 나타내는 지표인 매출액 비 연구개발투자비

의 비 도 선진 다국 기업의 5~20%에 비해 국내 기업은 2~4%로 낮

은 수 임.

○ 한편, 환경 련 국제규제가 강화되고 화학물질에 한 유해성 안 성

에 한 검증․ 리에 한 규제 등이 증 되고 있으나, 이러한 국내외

여건변화에 한 기업의 정보수집 처 능력이 미흡하며 표 화, 품

질 리 분야에서도 선진기업들에 비해 열 에 있음.

4. 정 화학산업의 종합 평가 단기 망

(1) SWOT 분석

□ 기회

기회

◦정 화학 제품 수요의 고성장화․다양화

◦화학기술의 첨단기술(IT, BT, NT, ET)과의

복합화, 융합화에 따른 “신화학” 시 의 도

래와 신기술 개발기회의 확

◦국내 화학산업의 구조변화에 따른 투자기

회의 확 : 범용 분야(석유화학, 무기화학)

의 성숙화와 투자부진으로 정 화학에의

투자기회 증

◦시장개방의 가속화: 선진 다국 기업 진출

에 의한 자립성장의 가능성

◦화학기술 신 개발경쟁의 가속: 선진기업

의 기술개발 가속화에 따른 국내외 기업간

기술격차의 상존 확 가능성

◦선진국 주의 기술규제, 환경규제의 강화

□ 강 약

Page 25: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5 -

구분 강 약

기 기술

◦정부의 강력한 Drive 정책

◦국민의 높은 교육수 에 따른 질 높은

인력자원 보유

◦기 연구의 기피

- 핵심 원천기술 미확보로 외 경

쟁력 약세

◦장기 인 기 연구환경 미흡

- 업체구조의 세성과 기술개발 투

자 능력 부족

응용기술

◦다년간 축 된 다양한 연구개발 노하

우 보유

- 범용제품 일부 원제생산 기술수

은 선진국 수

◦모방 기술개발 주의 연구개발로 핵

심기술기반 취약

- 고품 배합․가공, 신물질 창출기술

생산/ 마

기술

◦범용제품의 생산기술 축 에 따른 산

업화 활용기술 보유

◦제품 리 기반기술 취약으로 경쟁력

◦ 소한 국내시장에 따른 내수한계

시설

장비

◦정 화학 련 인 라 시설 구축을

한 정부지원

◦스크리닝, 안 성, 신뢰성평가센터 등

공공 인 라시설 보유 운

◦업체의 세성으로 련 고 인 라

시설 보유 미흡

인 자원

◦국민의 높은 교육수 에 따른 질 높은

인력자원 보유

◦근면하고 성실한 국민성

◦미래에 비한 첨단분야 우수 인력확

보의 불균형 우려

- 화학산업 이공계 기피 상

◦ 장경험이 풍부한 문인력 부족

□ 시사

○ 우리나라 정 화학산업은 발 단계상 성장단계에 치하고 있어 양 으

로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고, 폭넓은 생산기반의 구축과 생산기술을 축

하여 범용제품 일부 원제의 생산기술은 선진국 수 에 도달함.

- 그러나, 핵심원료 부문( 간체 등)의 수입의존도가 높고 신물질 창출 등

원천기술과 핵심기술인력의 부족, 그리고 업체규모의 세성으로 인한

기술개발 투자 능력 등의 부족으로 기술 후진성 만성 무역 자를

지속하고 있음.

○ 최근 시장개방화의 가속화, 화학기술 신 개발경쟁의 가속화, 그리고 선

진국의 기술 환경규제의 강화 등 환경변화는 우리나라 정 화학산업

의 지속 발 과 질 고도화에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WTO DDA 상에 따른 무역 투자장벽 완화는 선진 다국 화학기

업의 진출에 따른 발 가능성을 갖는 반면, 취약한 국내 기업들의 자립

성장에 요인으로 작용함.

Page 26: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6 -

- 최근 선진국들의 기술변화는 화학기술과 생명공학/정보기술의 목,

nano-technology, green chemistry 등 보다 고도의 “신화학기술”로 이행

하고 있고, 선진국의 기술 환경규제로 국내외 기업간 기술격차의

확 가능성이 상존함.

○ 그러나, 우리나라 정 화학산업은 높은 수요증가를 토 로 성장단계를 지

속하고 화학기술과 첨단기술(IT, BT, NT, ET)과의 융합화 추세로 기술개

발의 여지가 확 될 수 있다는 , 그리고 국내 화학산업의 구조변화에

따른 투자기회의 확 등 발 의 기회도 충분함.

- 특히 석유화학, 무기화학 등 범용 화학분야의 성숙화와 투자부진 양상은

상 으로 고성장․고부가가치 분야인 정 화학에의 투자동기를 확 할

것으로 기 됨.

○ 우리나라 정 화학산업의 발 가능성을 평가하면 양 인 측면에서는 높

은 수요성장을 바탕으로 생산 수출의 고도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망

됨.

○ 그러나, 기술발 과 산업구조의 고도화, 그리고 무역 자의 완화 등 질

발 가능성은 약 극복, 요인에의 효과 처, 그리고 기회요인의

효과 활용이 건이 될 것임.

- 특히 질 발 가능성은 효율 기술개발시스템의 구축, 기술개발 인

라 구축 기술인력의 양성 혹은 확보, 정부의 극 기술개발 지원 등

기술개발 련 소 트웨어 측면과 화학산업의 구조변화에 따른 정 화

학에의 투자동기 역량을 얼마나 잘 결집하느냐가 크게 좌우될 것임.

(2) 국내 정 화학산업의 발 가능성 경제․사회 향

□ 산업발 의 진 장애요인

○ 정 화학산업 발 의 진 요인으로는 구조변화에 따른 투자기회 확 , 다양

한 연구경험 노하우 축 , 정부의 R&D지원 강화 등을 들 수 있고 이로

인한 산업의 고성장이 이루어질 경우 향후 10년 후에는 세계 정 화학시장

Page 27: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7 -

의 3%를 유할 것으로 기

○ 반면 장애요인으로는 선진국의 견제와 개도국의 추격으로 nut-cracked 상

에 처할 험성과, R&D 투자 감소, 환경규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장애요인

들이 진요인보다 우월할 경우 국내 정 화학산업의 경쟁력은 약화되고

성장세에 머물 것임.

○ 따라서 기 장애요인들에 히 처하고 진요인들을 활성화시켜 선

순환구조를 가져올 수 있는 구조 정착에 힘써야 할 것임.

<그림 3> 정 화학산업 발 의 진 장애요인

향․신물질 ․기능성화학소재의

조기 개발 정착

발 모습

․세계 정 화학시장 3%

발 모습

세계 정 화학시장 2.2%

․범용화학제품의 경쟁력 약

․신물질․기능성화학소재

개발 가능성 지연

□ 정 화학산업의 성장세 지속

□ 국내 화학산업의 구조변화에 따른 투자기회

□ 다양한 연구경험과 Know-how 축

□ 신물질․신화학소재 창출 가능성 기

□ 정부의 R&D 지원 강화

□ 로벌 마 지원

□신시장 개척의 어려움

-선진국 견제

-개도국 추격

□R&D 투자 감소

□선진국 심의 환경규제

고성장

20072004 2012

성장

□ 발 가능성

○ 재 국내 정 화학산업은 성장단계에 있으며, 향후에도 선순환 구조가

정착된다면 신기술의 발 과 고부가가치화의 추구로 고성장을 지속할

Page 28: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8 -

망임.

- 최근 정 화학소재가 IT, 자동차 등 수요산업 경쟁력 원천으로 두되고

있음.

○ 범용제품의 성숙화에 따라, 석유화학 등 화학 기업 심으로 정 화학

산업에 한 심이 증 되고 있음.

- LG화학, 제일모직, SK Chemical : 자정보용 소재시장에 진입

- SK, 한화석유화학 : 의약 등

○ 자정보 소재 등 일부 분야의 경우 국내산업의 성숙으로 노력 여하에 따라

단기간에 가시 성과를 보일 수 있음.

○ 범용제품 일부 원제 생산기술은 선진국 수 이며 다양한 연구 노하우

문인력이 축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음.

□ 경제․사회 향

○ 국가 사회․문화 으로 통합 정보 가 제품의 출 과 건강문제의 근본

해결 등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임.

- 신기술(BT, NT)과 융합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보유한 화학물질의 보 이

가능하여 련 산업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와 신규 수요 창출, 내수 경제

의 안정화를 기 할 수 있음.

- 양방향 TV 내장 개인 컴퓨터, 고성능 휴 용 개인 단말기, 화상 화기

등 고기능의 가 제품 출 으로 새로운 디지털 문화시 가 도래하게 될

것임.

- 효과 이고 렴한 질병 치료를 통하여 인간수명이 격히 연장되면서,

노인층의 사회활동이 새로운 시각과 의미에서 고려되고 활용되는 사회

문화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

Page 29: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29 -

○ 수출 증 수입 체 효과, 기술료 경감 등이 가능하여 국내 제조업의

산업화 진 활성화가 가능할 것임.

(3) 국내 세계 정 화학산업 단기 망

□ 국내 정 화학산업 망

○ 국내 정 화학산업은 체 화학산업 내에서 상 으로 고부가가치를 창

출하며 비교 고성장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2000년 반 경에는 무역

수지의 균형 혹은 흑자도 가능할 것으로 기 됨.

- 재까지 정 화학산업은 연평균 7% 의 성장률을 유지하여 왔으나 고

부가가치화와 생산성 향상으로 인해 향후 2012년까지 연평균 12.5%의 비

교 높은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망

○ 특히, 정 화학산업 내에서도 의약, 화장품, 매 등 첨단분야의 성장세가

높을 것으로 기 되고, 생산공정별로는 간체의 기술발 과 신물질창출

능력의 제고로 산업 내 고부가가치화 국제경쟁력이 크게 진 될 것으

로 보임.

○ 한, 재는 미미한 수 에 머물러 있는 생물분야의 속한 발 으로 화

학산업에서 차지하는 생명공학 분야의 비 은 크게 증가해갈 망임.

○ 한편, 기술 신시스템의 구축, 국내․외 기업간 략 제휴 등으로 효율

인 기술개발 략이 성공 으로 이루어져 갈 경우 수출도 향후 연평균

14~15%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상되며, 세계시장 유율은 재

1.8% 수 에서 2.5~3.0% 수 까지 상승할 것으로 망됨.

<표 8> 국내 정 화학산업의 망

2001 2005 2007 2012연평균증가율

(2001~2012)

생 산(조 원) 20.9 26.5 42.4 76.4 12.5

수 출(억 달러) 18.2 24.6 42.3 83.2 14.8

세계시장 유율

(생산 기 , %)1.8 1.9 2.2 2.5~3.0 -

기술수 (%) 60 65 80 90 -

Page 30: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0 -

□ 세계 정 화학산업 망

○ 세계 정 화학산업의 시장규모는 향후 연평균 5% 증가하여 2003년에는 1조

670억 달러, 2013년에는 1조 7,550억 달러 수 에 달할 것으로 망됨.

○ 선진 다국 기업들은 범용제품에 한 수요증가세 둔화 경쟁력 약화

에 따라 신물질ㆍ신소재 창출을 한 연구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는 바,

신물질의 창출에는 많은 시간과 막 한 자 이 소요되나, 개발에 따른

효과와 부가가치가 매우 높아 지속 인 투자와 함께 국제 인 제

휴연구도 더욱 활발히 추진될 망임.

○ 향후 정 화학산업은 기존의 화학기술 응용단계를 넘어서 IT, BT 등과

목하여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생산하는 첨단산업으로 발 할 것으로 기

됨.

<표 9> 세계 정 화학산업의 망

(단 : 억 달러)

품 목 1997 2000 2003 2008 2013 연평균증가율

의 약 3,073 3,700 4,500 6,200 8,542 6.6

농 약 302 330 360 410 460 2.7

염․안료 210 225 244 283 328 2.8

화 장 품 980 1,087 1,240 1,628 2,137 5.0

착 제 147 170 197 250 317 4.9

계면활성제 111 127 139 160 180 3.1

첨 가 제 348 403 467 541 627 3.7

매 85 96 108 131 159 4.0

사진용 화합물 600 608 620 636 652 0.5

도 료 230 257 274 318 369 3.0

체 7,900 9,190 10,680 13,690 17,550 5.1

5. 정책과제 발 략

(1) 정책과제

1) 선택과 집 에 의한 기술개발 추진

Page 31: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1 -

□ 기본 략

○ 후방 산업에 미치는 효과 성장 가능성이 큰 자소재 부문 등

의 기술을 선정하되, 국내 산업경쟁력과 시장규모 면에서 자생력이 있는

분야를 발굴, 집 육성할 필요가 있음.

□ 세부 기술개발 략

○ 수입의존도가 높은 IT산업용 첨단 정 화학 제품에 한 기술개발 지원

확 가 필요

- 반도체, LCD 등 자부품에 사용되는 정 화학 소재 수입에 의존하

고 있는 핵심소재를 개발 상 분야로 선정하여 부품․소재산업 육

성자 으로 지속 지원

- 시 : 자정보 재료용 기능성 색소, 고성능 도료․ 착제, LCD용 정

화학 소재 등

○ BT, NT를 활용한 의약, 신소재, 환경친화제품 등 신물질 창출을 한 연

구개발 산업화 진 필요

- 타산업에 비해 개발기반은 취약하나, 미래 성장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선

정하여 기․차세 기술개발사업으로 추진함이 요구됨.

- 시: 신물질 의약․농약 간체․원제, 천연 생리활성 화장품 소재

○ 고부가가치 환경친화형 정 화학 소재 연구개발 추진

- 국내의 범용화학 소재는 환경규제의 강화 국 등 후발국과의 가격경

쟁 심화로 차 국제경쟁력을 상실하고 있으므로, 고도기술을 기반으로

한 부가가치가 높은 환경친화형 정 화학 소재 산업을 으로 육성

할 필요가 있음.

Page 32: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2 -

- CFC 체물질 환경친화형 청정 기술개발 지원 확 : 특정물질사용

합리화기 운용방안을 개선, 체물질 기술개발 공정개체 지원 강화,

청정기술개발사업에 의해 정 화학 청정공정 제품화기술 개발 지원을

2) 기술개발 인 라와 효율 기술 신시스템의 구축

□ 신물질 창출 인 라 연계 시스템 구축

○ 신물질 창출에 필수 인 인 라 연계시스템 구축을 지원하여 시 지

효과를 극 화해야 함.

□ 실질 인 산․학․연 공동연구 강화

○ 정 화학산업의 산․학․연 공동연구를 효율 으로 추진하기 해 개발

사업의 연구책임자는 산업체의 연구자가 담당하되, 과제의 성격에 따라

학인력 는 문 연구기 의 연구원과의 공동연구 수행을 극 추진

할 필요

□ 핵심기술기반 확충의 세부방안

○ 핵심기술 확보에 한 지원 강화 : 합리 근법에 의한 신물질 창출이

가능하도록 물질 설계기술 련 기반의 확충을 추진

○ 공동 활용 하부구조의 확충 : 공통 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개별 기업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기술 기반요소를 공공부문에서 지원하여 활용, 동

체계의 구축

- 신물질합성, 신공정 개발 분야 등 실험실 으로 개발된 기술의 상업화

지원을 해 다목 범용 정 화학 시험생산 설비 설치 표지화합물

합성센터의 설립

- 확보된 다양한 화학소재를 효율 으로 활용하기 한 국내 산․학․연간

의 화학-생물 정보교류 시스템 구축

Page 33: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3 -

- 특정 제품군에 한 특별 산업연구조합 결성 집 지원

○ 성능 신뢰성 평가 하부구조의 강화 : 국산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한

성능평가 기 의 확충 육성 지원, 생리안 성 등에 한 각국의 제품

허가기 강화에 응할 하부구조의 정비

□ 정보 인 라의 구축

○ 기업 기업간(B2B), 기업 소비자간(B2C) 자상거래 구축

○ 자상거래 DB 표 화 동북아 시장( 국, 일본 등) 확 를 한 국가

간 네트워크화 추진

○ 미래기술 수요 측 시스템의 구축 : 속히 변해 가는 세계시장의 동향,

연구개발의 추세 등의 정보를 한 시기에 공 할 수 있는 정 화학

련 정보센터를 설립

- 정보 분석 평가 문인력의 양성

- 분야별 정 화학 문가 집단의 DB화

3) 인력의 양성

□ 문기술인력의 양성

○ 고 기술인력, 평가 문인력을 양성하기 한 기업 내 교육훈련 시스템

을 운 할 필요가 있음.

○ 산업인력의 해외연수 지원 확

○ 해외 우수 인력의 유치와 문기술인력 풀(pool)의 DB화

□ 부처별 인력 정책간의 조정 : 교육부와 연계 확

Page 34: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4 -

○ 교육부가 'BK(Brain Korea)21' 등의 제도를 통하여 지향하고 있는 학별

특성화 시책과 정 화학 기술개발 략이 연계되도록 함.

(2) 발 략

1) 산업조직의 효율화와 산업구조의 선진화

□ 기술개발 심산업으로의 구조조정

○ 정 화학의 기술발 수출산업화를 해서는 기업의 경 체제를 기술

개발 심으로 환함으로써, 기업체제 산업구조를 선진화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기업의 R&D투자와 연구원 비율의 확 , 기업간 공동

R&D 부분합병 유도, 기업별 연구분야의 문화 유도, 공공기 개발

기술의 산업체 이 을 한 채 의 구축 등이 필요함.

□ 소기업과 기업의 역할분담을 통한 세계 일류기업화

○ 소기업은 문화, 특성화 등을 통해 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틈새 시장

분야에 한 기술능력을 제고 : 기존의 공동연구․생산시설을 극 활용

하고, 필요시 정 화학 소기업 벤처기업 연구센터 혹은 용단지

조성 검토가 필요함.

○ 기업은 국산화가 미흡한 분야나 소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운 규모

개발연구에 한 투자를 확 : 특히 간체, 신물질, 고분자 신소재,

매, 첨가제, 환경분야 등에서 석유화학 기업의 정 화학에의 투자 유도

□ 업체구조의 개선

○ 구조조정과정에서 경쟁력이 취약한 기업은 사업을 환하여 고부가가치

분야로 진출하는 등 체질개선에 주력해야 할 것임.

- 특히, 신의약, 정보 자용 화학소재, 청정 그린화학소재 등 첨단제품의 경

Page 35: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5 -

우, 사업화 기에는 국내시장 규모가 소할 뿐만 아니라 투자의 험부

담이 크므로 수요의 확보와 기술개발의 효율성 제고, 그리고 험부담의

분산을 해서도 동종기업간의 수직 력이나 결합뿐만 아니라 異種기

업간에도 력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시켜 가야 할 것임.

○ 아울러, 소기업들도 기술개발의 험부담이 작으면서 비교우 를 가진

가공기술 최종완제품 생산기술개발 등에 특화 는 문화함으로써

화학산업을 균형 으로 발 시키는 데 기여해야 할 것임.

□ 생산구조의 고도화

○ 우리나라 정 화학산업은 기술수 의 열 로 인해 범용제품 주로 구성

되어 있음.

○ 이러한 문제 을 해결하기 해서는 자원 약 이면서 기술집약 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정 화학제품의 생산비 을 확 해 가야

할 것임.

- 특히, 해외의존도가 높은 정 화학 간체와 신물질의 국산화는 첨단기술

수 의 제고는 물론 자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시 히 추진

해야 할 것임.

□ 국제화 략의 추진

○ 정 화학을 비롯한 첨단화학제품은 향후 우리나라 화학산업의 수출산업

화를 주도한 제품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사업화 기단계에

서부터 해외시장을 상으로 하는 제품개발, 매 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임.

- 특히, 특수 화학제품은 세계 으로도 수요시장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계시장을 목표로 하는 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

음.

○ 한, 우리나라 정 화학산업은 향후 수출의 지속 인 확 , 첨단기술

Page 36: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6 -

정 수익의 확보, 그리고 무역 환경보호의 강화 등 국제환경 변화에 능

동 인 응을 하기 해서도 기업경 의 국제화를 극 추진해야 할 것

임.

□ 략 제휴의 활성화

○ 국내 정 화학 산업의 세성을 탈피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해 형

화 기업체간 활발한 략 제휴 유도 : 기존 업체간의 인수합병

(M&A), 기업의 참여유도 등 구조개편을 통해 규모 확 기술집약

화를 추진해야 함.

○ 기존 업체간의 통합뿐만 아니라 분할 등 구조개편을 통해 규모 확

문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음.

○ 국내외 기업간 략 제휴의 활성화를 해 국제법률정보 제공, 특허분

쟁 재 련 법규․제도 보완이 요구됨.

○ 세계 일류기업과의 략 기술제휴의 활성화로 선진기술의 효과 습득

과 기술개발 투자의 효율성을 도모해야 함.

2) 기술개발 인 라의 구축과 효율 기술개발체제의 확립

□ 기술인 라 구축

○ 상업화 前단계 기술로 인 라 기술의 요성을 인식하며 이를 구축함.

- 인 라 기술은 상당수가 상업화에 직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인

라로 구축되어 있어야 하는 기술로 기업이 직 연구 개발하기는 곤란

한 연구 분야이므로, 정부주도의 산․학․연 연구가 필요함.

- 특히, 학 등에서 개발된 기 기술을 한 단계 더 발 시켜 상업화 가

능성을 탐지하는 연구 단계가 필요하며, 이는 국가에서 사용하는 기

연구비의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도 매우 요함.

Page 37: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7 -

세계 일류 기술

상업화 기술

상업화 전단계 기술

인프라 기술

기반 및 기초 기술

정부 기업 공동

기업 주도형산학연 연구

정부 주도형산학연 연구

정부 주도형학연 연구

<그림 4> 정 화학산업 단계별 발 략

자료 : 남궁 억 외, ‘7 주력기간산업 - 발 비 정책과제’, 한국산업기술평

가원, 2002.8.

○ 신물질․신소재 개발단계부터 제품의 안 성 신뢰성 평가단계에 이르

는 토털 인 라시스템 구축이 요구됨.

- 신물질 창출단계 : 분자설계기술 지원센터, 분자조합기술을 이용한 유기

물질 창출 지원센터, 화합물은행, 화학생물정보센터

- 안 성․효능 평가단계 : 화학물질 안 성평가센터, 고효율효능 검색센

터, 표지화합물 합성센터

- 상품화 시장의 안정 로 확보단계 : pilot plant, BGMP(Bulk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 원료의약품 제조 품질 리 기

) 시설 구축, 신뢰성 평가센터

- 생명과학, 자정보 소재 등 수요가 확 되고 있는 분야에 한 기반기

술의 확충 성능․신뢰성 평가를 한 하부구조 강화가 필요함.

Page 38: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8 -

- 생리안 성 등 각국의 제품 허가기 강화에 응하기 한 체제 구축

- 국산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해 성능평가기 의 국가간 상호인증제도 도

입 추진

□ 기술개발 투자의 강화

○ 우리나라 정 화학산업은 핵심기술의 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며,

R&D 투자 역시 극히 조하여 자체기술개발능력이 매우 취약한 상태에 있

음.

- 따라서, 화학 업체의 질 고도화와 고부가가치화를 해서 R&D 투자의

확 를 통해 기술개발체제를 구축해야 함.

○ 향후 민․ ․연간 공동의 기술개발체제 확립이 긴요하고 정부의 극

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임.

- 한, 이러한 기술수 향상 노력과 함께 외 인 기술 연구개발의 력

도 강화해야 할 것임.

- 외국과의 기술 력에 있어서는 선진국과의 첨단기술 분야의 기술공여 내

지는 정을 극 추진하는 한편, 국, 동남아 등의 개도국과는 라스틱

제품, 화장품, 합성제제 등 생활소비재형 업종의 범용기술을 공여하는 략

도 추진해야 할 것임.

□ 정보 인 라의 구축

○ 기업 기업간(B2B), 기업 소비자간(B2C) 자상거래 구축

○ 미래기술 수요 측 시스템의 구축 : 속히 변해가는 세계시장의 동향,

연구개발의 추세 등의 정보를 한 시기에 공 할 수 있는 정 화학

련 정보센터를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함.

- 정보 분석 평가 문인력의 양성

Page 39: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39 -

- 분야별 부품소재 문가 집단의 DB 구축

□ 효율 기술개발 체계의 구축

○ 산․학․연의 역할분담과 효율 연계 체제의 강화로 기술개발의 효율성

을 도모: 즉, 국내 가용물질 소재자원의 총체 활용을 한 산․학․

연간 략 제휴 제도 장치 도입이 필요함.

- 학과 출연연구소는 기 기반기술 연구와 산업화 前단계의 기술개

발에 치 하고 기업은 실용화 기술연구에 집 하는 것이 효율 이 될 것

임.

- 이러한 역할 분담을 토 로 상호간의 유기 인 력구축이 필요하고, 이

러한 과정에서 정부는 력구축에 한 인센티 수단의 개발과, 특히

기 연구나 기반기술연구에 한 자 지원에 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

함.

3) 문인력 양성

○ 정 화학산업이 발 하기 해서는 기술의 소화․수 단계와 이의 응용 개발

을 활성화하고 나아가서는 신기술의 개발단계에까지 도달하도록 해야 하

는데, 이러한 역할의 주체로서 연구개발 인력의 확충이 무엇보다 요함.

- 연구인력의 질 수 의 향상을 해서는 고등교육기 에서의 교육투자

를 확 하고, 기 연구 분야에 한 연구의 강화, 해외 고 인력의 유치

를 활성화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임.

- 한 첨단기술의 흡수 응용개량을 해서는 기존 기술인력의 재교육,

부문간 교류 등 인력활용의 극 화가 요구됨.

- 아울러, 기술 신의 진 은 타 산업과의 업화 등 기술의 융합화의 필요성

을 진시킬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공동기술개발 련기업간 상호

연수제도 등의 행을 정착시켜 감으로써 부문간 인력교류를 활성화해야

할 것임.

Page 40: 정밀화학산업 기초분석...- 8 - 분야 특성 HS/K 계면 활성 제 화학구조상 한 분자내에 친수 기, 친유기를 함께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 40 -

○ 고 기술인력, 평가 문인력을 양성하기 한 기업 내 교육훈련 시스템

운 이 필요함.

○ 문가 pool제를 도입하여 산업계, 학계뿐만 아니라 해외 문인력까지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인력정보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4) 환경친화 “green chemistry" 산업체제로의 환

○ 최근 환경에 한 심이 높아지면서 각 국은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부 선진국에서는 이를 무기화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음.

- 이러한 환경문제는 국제 인 문제로 확 되고 있음.

○ 환경친화 “green chemistry” 산업체제로의 개편은 지속 가능한 산업발

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원동력이 됨.

- 고기능성․고부가가치 환경친화형 green 화학소재의 개발은 green chemistry,

nano-chemistry, 화학과 생명과학 기술의 목 등 고도의 기반기술이 축

되어야 하는바, 이에 한 지속 이고 장기 인 연구투자 추진이 필요

함.

○ 청정기술공정을 도입하여 공해유발형 산업이라는 이미지에서 빨리 탈피

할 필요가 있음.

○ 기후변화 약, 화학․생물무기 지 약 등 국제 환경규제에 효율 으로

응하기 한 국제동향 악 정보분석 시스템 구축도 요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