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38
과학영재 발굴 육성 종합계획 과학영재 발굴 육성 종합계획 ('13~'17) ('13~'17)

Transcript of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Page 1: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13~'17)('13~'17)

2013. 12

Page 2: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목 차

Ⅰ. 추진 배경 ················································ 1

Ⅱ. 현황 및 한계점 ····································· 3

Ⅲ. 비전 및 중점 추진전략 ······················· 6

IV. 세부 추진계획 ······································· 7

V. 추진체계 및 실천계획 ························ 30

[참고자료] ·············································································· 34

Page 3: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 -

Ⅰ. 추진 배경

□ 창조경제 시대를 이끌어나갈 창의적 과학인재 육성 필요

○ 혁신적 기술과 창의적 아이디어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창조경제로 경제 전략 패러다임이 전환

※ "창조경제란 토지, 노동, 자본으로 구성되는 전통적인 경제체제와 달리 사람의

아이디어에 중심을 두고 이루어지는 것이다.”(존 호킨스(John Howkins)

※ 창의성이높은국가가 1인당GDP와국가경쟁력도높음(’11년, Martin Prosperity Institute)

○ 예측이 어려운 복잡한 사회 현안의 대두와 新기술 중심의 융합

가속화에 따라 이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재의 전략적 육성이 필요

-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성, 도전정신과 융합

역량을 갖춘 핵심 인재에 대한 국가·사회적 수요 증대

□ 우수 인재 확보는 국가 과학기술 혁신 역량 강화의 핵심

○ 미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 선진국들은 핵심 인재 확보를 위해

국가의 역량을 집결

- 과학기술 분야의 유능한 인재 발굴·육성이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정책 과제로 부상

※ 해외 영재교육 사례

- (미 국) 연방 정부 차원의 영재교육법을 제정하고, 44개 주에서 다양한 분야 영재교육

실시. 대학 영재교육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연구 및 교육 활발히 운영

- (이스라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별도 행정조직 운영 및 IASA(Israel Arts & Science

Academy) 설립·운영 등

- (싱가포르) 초·중등학교 대상 GEP(Gifted Education Program)과 SBGE(School Based

Gifted Education) 프로그램 운영

* 영재교육 대상자: 미국 1~30%(주마다 상이), 이스라엘 5%, 싱가포르 1%, 중국 0.01~2% 등

○ 우리나라도「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계획」및「창의적 인재육성 방안」

수립 등을 통해 과학영재 등 우수 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

Page 4: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 -

□ 과학영재가 세계적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는 전주기적 과학

영재 육성체계 확립 필요

○ 그간 영재교육 수혜자 및 영재교육기관 확대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과학영재 발굴·육성에는 한계

- 성장단계별로 과학영재교육이 단절적으로 운영되는 등 연계가 미흡

- ‘스펙쌓기’ 위주의 영재교육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 발굴

및 과학영재의 융합·도전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

○ 타고난 잠재력과 재능 계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전주기적 과학영재 발굴·육성 체계로의 구축이 필요

◇ 이에,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08~'12)」이 종료됨에 따라,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13~'17)」수립을 통해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적 과학영재 육성을 추진하고자 함

<타 계획과의 관계>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은 영재교육 진흥법 제3조에

의거하여국가영재교육전반에걸친중장기목표및

추진과제를 반영하여 수립하며,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은과학영재에특화된비전및추진과제를제시

※ 과학기술기본법 제25조 제1항에 근거하여 수립 추진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안)」수립 자문위원회(4회), 현장의견수렴(2회) 등

Page 5: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3 -

II.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 과학영재교육기관 및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서의

우수한 성과 등을 통해 과학영재 발굴·육성의 저변 확대

○ 영재교육기관 설치 확대를 통한 과학영재교육 수혜자 증대

<표> 과학영재교육 수혜율('08~'13) <표> 과학영재교육기관별 현황('13.10월 기준)

구분영재학교․

과학고

영재교육원영재학급 계

교육청 대학

기 관 수* 25 214 47 2,389 2,650

학 생 수 5,263 22,961 6,639 66,377 101,240명

비 율 5.20% 22.68% 6.56% 65.56% 100.00%

○ 과학영재의 연구역량을 조기에 배양하기 위한 연구 프로그램 등

영재교육 프로그램 도입

- 과학고·과학영재학교 R&E(Research&Education)를 지원하고,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URP(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을 통해 지속 지원

<표> 과학영재학교·과학고 R&E 및 학부생 연구프로그램(URP) 운영 현황('09~'13)

구분 연도 2009 2010 2011 2012 2013

R&E과제수(개) 102 153 136 180 258

학생수(명) 417 688 585 731 1,063

URP과제수(개) 105 151 51 307 204

학생수(명) 253 337 109 625 609

○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서의 성과 등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영재

교육의 우수성과 발전 가능성을 전파

<표>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참가 결과('08~'13.11월)

연도 수 학 물 리 화 학 정 보 생 물 천 문 지구과학 중등

2008 4위/97국 3위/82국 4위/66국 7위/76국 3위/57국 1위/19국 1위/7국 1위/51국

2009 4위/104국 2위/69국 4위/68국 2위/83국 6위/56국 5위/17국 2위/20국 6위/46국

2010 4위/97국 11위/80국 2위/68국 13위/83국 5위/60국 1위/19국 2위/19국 2위/33국

2011 13위/101국 1위/84국 1위/70국 17위/80국 6위/58국 1위/21국 1위/35국 2위/42국

2012 1위/100국 4위/81국 1위/72국 11위/86국 3위/59국 1위/22국 1위/17국 불참

2013 2위/97국 1위/83국 1위/77국 3위/80국 7위/60국 8위/19국 1위/27국 (12월 개최)

Page 6: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4 -

2. 한계점

○ 과학영재교육 연계 체계 구축 및 영재교육기관 특성화 미흡

- 성장 단계별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비율의 차이가 크며, 고교

단계 영재교육 및 대학교육과의 연계가 부족

※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비율: (초) 2.06%, (중) 1.79%, (고) 0.61%

- 영재 선발 방식의 타당성 및 신뢰성 제고 필요

※ 잠재적 영재 발굴 확대를 위해 교사 관찰·추천제가 도입('09)되었으나, 과학영재

교육기관에서의 정착은 미흡(교사 관찰·추천제 실시기관 비율(‘12): 48.35%)

○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전문성 부족

- 분과 지식 및 선행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해 과학영재의

창의·도전 정신 및 융합 역량 함양 기회가 저조

※ 초등과정은 수학, 과학, 정보반(총 3개반), 중등과정은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정보(총 6개반) 운영이 일반화

- 교육 프로그램 외 과학영재의 심리상담 및 진로탐색 등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부족

- 과학영재교육기관별로 담당 교원에 의한 자체 교육과정 운영으로

인해 전문화된 영재교육 지원이 미흡

※ 80%의영재교육기관에서교육과정은담당교원에의해구성운영(KAIST 보고서, 2010)

Page 7: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5 -

○ 과학영재교육 체계적 지원 환경 조성 미흡

- 과학영재교육 지원 기관 간 기능 및 역할 전문성 부족

※ 시도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KEDI 영재교육센터 등 지원

기관의역할이전문화되지않아체계적지원이미흡

- 시·도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연수 지원이 취약

- 교원 및 교수 중심의 과학영재 담당 인력 구성으로, 전문적이고

다양한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한계

- 과학영재에 대한 추적관리 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과학영재교육의

성과 및 효과성 검증이 미흡

◈ 제1차 계획('08~'12)의 시사점

구분 제1차 계획('08~'12) 과제 및 한계 제2차 계획(‘13~’17)에의 시사점

내용

Ÿ 과학영재교육기관 및 수혜자 확대

-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영재학교 확대

- 수혜율 목표치 초과달성(’12년 1.46%)

√ 중학교 이전 단계에 영재교육 수혜자가 집중되어 있으며, 관찰·추천제 등 과학영재 선발 방법의 현장 정착이 미흡

☞ 과학영재교육 연계 강화 필요* 학교급별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구체화 및 고교, 대학 단계 활성화 필요

☞ 과학영재 선발 체계에 대한 개선

방안 도출 필요 * 영재교육원 학생,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대표단 등

Ÿ 과학영재교육기관 특성화 및 프로그램 효율화

- 심화·사사 중심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운영 및 영재교육기관 교육 프로그램 지원(R&E 등)

√ 분과·지식 중심의 속진형 프로그램 운영이 다수

☞ 과학영재교육기관 특성화 및 기관 간

연계 강화 필요

☞ 과학영재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필요

Ÿ 과학영재 교육인프라 확충

-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운영 등

√ 과학영재에 대한 추적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교육 효과성 검증 및 과학인재 관리에 한계

☞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제고

및 교류 확대 필요

☞ 과학영재교육 지원을 위한 기관,

인력 및 관리 시스템 개선 필요

Page 8: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6 -

III. 비전 및 중점 추진전략

비전

목표

◈ 전주기적 과학영재 양성 체계 구축 ◈ 과학영재의 융합·도전 역량 강화◈ 과학영재교육 질적 고도화

분야 전략 및 중점추진과제

과학영재

발굴 체계

잠재력을 갖춘 과학영재의 체계적 발굴

▸과학영재 발굴 확대 및 체계화

▸과학영재교육기관 특성화 및 교육 연계 강화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창의·융합형 과학영재교육 활성화

▸과학영재의 창의․융합 역량 강화

▸창업교육 및 인턴십을 통한 과학영재의 도전 역량 강화

▸과학영재 프로그램 전문성 제고

과학영재

지원

인프라

최적화된 과학영재교육 지원 기반 조성

▸과학영재교육 지원기관 전문성 제고

▸과학영재 담당인력 역량 강화

▸과학영재 진로 및 상담 프로그램 도입

▸과학영재교육 성과관리 체계 구축 및 공유 확산

Page 9: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7 -

IV. 세부 추진계획

전략 1 잠재력을 갖춘 과학영재의 체계적 발굴

◈ 전주기적 과학영재 발굴 체계를 구축하고, 과학영재교육기관 운영

특성화를 통한 수요자 맞춤식 과학영재교육 강화

AS-IS TO-BE

과학영재 연계체계 미흡전주기적 과학영재

발굴 및 연계 강화

세 부 추 진 과 제

1-1

과학영재 발굴

확대 및 체계화

▪재능과 가능성을 갖춘 과학영재의 적극적 발굴

▪과학영재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사이버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판별·선발 방식의 신뢰성 제고

1-2

과학영재교육기관

특성화 및 연계 강화

▪과학영재교육기관 교육 프로그램 특성화

▪과학영재교육기관 간 교육 연계 활성화

【현장 의견】

• 영재교육은 지속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함. 전체 영재교육

대상자는 확대되었으나 특정학년에만 집중되고 교육연계가 단절되어 효과가 미흡함.

지속적교육이이루어질수있는체계구축이시급함(시도교육청영재교육담당장학사)

• 영재교육기관이 획일화되어 운영되고 있어, 학생의 특성과 요구, 지역상황 등을

고려한 다양한 기관 운영과 특성화 방안이 요구됨(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수)

Page 10: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8 -

1-1 과학영재 발굴 확대 및 체계화

□ 재능과 가능성을 갖춘 과학영재의 적극적 발굴

○ 과학영재교육 수혜율 제고

- 과학분야에 잠재력과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에게 영재교육 기회를

확대(수혜율: ‘13년 1.56% → ’17년 2% 이상 목표)

- 초·중·고 학교급별 균형적인 과학영재 육성 체계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과학영재교육을 제공

<그림> 학교급별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비율

구분 교육목표 교육기관

고등학교 차세대 핵심리더로서의 융합탐구능력 신장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등

중학교 수·과학분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영재학급 및 과학영재교육원 등

초등학교(4-6학년)

수·과학분야 꿈과 끼 및 잠재성 발굴·계발영재학급 및 과학영재교육원 등

○ 지역별 과학영재 비율을 고려한 과학영재교육기관 설치

- 권역별 영재학급-과학영재교육원 연계 체제 구축을 위해 과소설치

지역을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원 설치 확대

※ 서울(3개원), 경기도(3개원), 광주․전남(3개원), 경남(3개원) 등 학생 수 대비

기관 수 차이가 큼

- 지역 내 학생 수 등을 고려한 영재학급 운영 기관 정비

※ 일정 규모이상의 학교는 단위학교 영재학급, 도서·벽지 등 소규모 학교는

지역공동 영재학급 또는 사이버 영재교육기관을 활용

Page 11: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9 -

□ 과학영재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사이버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 웹·앱 기반의 첨단 미래형 ‘사이버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도입

- 도서·산간지역 및 소규모 학교 등 영재교육기관 미설치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 대상으로 우선 운영

- 무학년제, 다양한 융합형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고도영재 발굴

및 학생의 맞춤식 교육 제공

- 사이버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학습 성과가 뛰어난 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중 캠프형 교육 프로그램 연계 지원

※ 지역별 과학영재교육기관과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운영 상호 보완

○ 사회적 취약계층 등 영재교육 소외 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별

프로그램 운영

- 사회적 배려 대상자의 영재학급, 영재교육원에서의 학습을 보조할

수 있는 ‘사이버 브릿지 프로그램’ 개발·운영

※ 민간 교육기부 등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보급

- 다문화 가정, 경제적 배려대상자 등을 대상으로 운영

◎ 사이버 브릿지 프로그램

: 영재교육 소외계층 중 잠재적 미성취 영재들에게 기초지식의 습득과창의성 계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향후 일반 영재교육기관에서 교육받을수 있도록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교육프로그램

Page 12: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0 -

□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판별·선발 방식의 신뢰성 제고

○ 과학영재교육대상자 ‘판별·선발 표준모델’ 개발·보급

- 과학영재의 인지적 능력과 열정, 과학적 호기심, 모험심 등

정의적 특성을 고려한 선발 모델 개발

- 교사 체크리스트, 예비교육, 수행관찰 도구 등을 활용하여 과학

영재 선발 방식을 정교화

○ 관찰추천위원회 및 담당교원의 관찰 추천제 연수 이수 강화

- 위원회 구성원 및 교원의 관찰·추천제 연수 이수를 통해 영재

선발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신뢰성을 제고

※ 관찰·추천제 연수: 과학영재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관찰·추천에

필요한 검사도구의 활용방법 등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원대상 연수

○ 영재학급 교육성과와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선발 연계

- 영재학급에서의 교육성과, 담당 교사의 관찰·추천 및 심층면접을

통해 영재교육원 학생을 선발

※ 해당 지역 영재학급에서 우수성이 검증되고 더욱 도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선발

<표> 영재교육원 학생 선발방식

영재학급 수료자 영재학급 비수료자*

영재학급에서의 교육성과를 주로 활용 사이버 영재교육기관에서의 교육성과 활용

교육성과 + 교사추천 + 심층면접 교육성과** + 심층면접

* 국외 거주 등으로 영재학급 참여기회가 제한되었거나 영재성이 뒤늦게 발현된 학생

** 3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교육 참여 결과 활용

<그림> 교육성과를 활용한 과학영재 선발 제도

Page 13: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1 -

1-2 과학영재교육기관 특성화 및 교육 연계 강화

□ 과학영재교육기관 교육 프로그램 특성화

○ 과학영재 교육 수요의 다양성을 고려한 ‘핵심 창의탐구 심화 프로그램’ 운영

- 교육성과를 고려하여 학생에 적합한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 제공

<표> 과학영재 프로그램 특성화(안)

구분 교육 특징

핵심 프로그램

(영재학교/사사교육)▪탁월한 역량 계발 극대화를 위한 맞춤식 사사교육 또는

정규학교 형태 교육

창의탐구 프로그램

(영재교육원)▪융합역량 및 도전정신 강화를 위한 창의적 탐구활동

중심의 교육

심화 프로그램

(영재학급)▪과학․수학분야 심화 및 창의성 계발을 위한 다양한

체험·경험 중심의 교육

○ 과학영재교육원의 대상 학생, 교육 프로그램, 설치기관의 차별화

- 영재학급은 일반학생 대상 선발, 과학영재교육원은 영재학급에서

교육을 이수한 학생 대상으로 특성화

- 영재학급은 통합형 심화과정 중심, 영재교육원은 선택형 융합주제

탐구 중심의 운영으로 특화

<표> 영재학급·과학영재교육원 운영 체계(안)

구 분 영재학급 과학영재교육원

대상일반학생 중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학생 선발영재학급에서 교육성과가 있는

학생 선발

특징영재 발굴 및 창의성 계발

(해당분야 심화 및 기능습득)창의․융합 탐구역량 계발(탐구 프로젝트 프로그램)

운영기관 초․중․고등학교 중심 대학, 출연(연) 등

Page 14: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2 -

○ 영재교육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캠프형 영재교육원’ 도입·운영

- 방학기간을 활용한 기숙형 집중캠프, 학기 중 주말 단기캠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캠프형 영재교육기관 모델 도입

< 캠프형 영재교육 해외 사례 >

◎ 미국의 대학부설 영재교육기관의 경우 학기 중 지역적 접근이 불가능함에따라 방학기간 중 집중적(3~4주)으로 이루어지는 캠프 교육 프로그램이활성화(Johns Hopkins 대학의 CTY Program, Purdue 대학의 GERI Program)

□ 과학영재교육기관 간 교육 연계 협력 활성화

○ 과학영재학교·과학고 및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AP과정 운영 확대

- 과학영재학교-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공동 개발·운영 중인 AP과정

(Advanced Placement, 대학과목 선이수제)을 과학고로 확대 운영

※ 4개 과학영재학교-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공동 AP과정 개발('12년, 12과목)

- AP 지원센터를 통해 교육과정 관리 및 담당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등을 지원

○ 고교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대학 연계 심화교육 기회 확대

-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서 과목을 이수한 후,

대학 진학 후 학점을 인정받는 고교-대학 연계 심화 교육 확대

※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는 우수 학생을 대상으로 Honors Program을

통해 일정 학점을 KAIST에서 이수할 수 있도록 운영

○ 영재학급 및 과학영재교육원 간 교육 연계 강화

- 시·도별로 해당 지역의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공동으로 구성함으로써 교육 연계 강화

※ 영재학급의 심화과정 및 영재교육원에서의 창의·사사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과학영재의 교육 단절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교육 지원을 도모

- 시·도별 과학영재교육기관 간 학생 및 교원 교류 활성화

※ 과학영재교육원에서 해당 시․도 영재학급의 학생대상 공개교육 운영

※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원들의 주기적 워크숍 개최 활성화

Page 15: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3 -

전략 2 창의·융합형 과학영재교육 활성화

◈ 과학영재의 융합 역량 및 도전 정신을 고취하는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하고,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강화

AS-IS TO-BE

순수과학 분야 분과·지식

중심의 영재교육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형 영재교육

세 부 추 진 과 제

2-1

과학영재의 창의․융합

역량 강화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융합·탐구 중심 교육과정 신설·확대

▪대학단계 창의·융합 함양 역량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핵심 융합역량 제고를 위한 SW 교육 강화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대표 선발 및 교육과정 개선

2-2

창업교육 및 인턴십을

통한 과학영재의

도전 역량 강화

▪과학영재 대상 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도입·운영

▪과학영재의 아이디어 구현 및 인턴십을 통한 도전·실무역량 제고

2-3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전문성 제고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표준 마련

▪다양한 전문기관 인프라를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지원 활성화

▪과학영재교육 온라인 지원 시스템 구축·운영

【현장 의견】

• 아직 변화가 많은 어린 학생임을 고려했을 때 특정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와 소통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이 필요(고등과학원 교수)

• 영재는 다재다능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자신의 능력을 여러 방면에서 발달

시키고 싶은 욕구 때문에 한 두 개의 특정분야를 선택하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또래 보다 도전적인 성향이 강함(영재교육 전문가)

Page 16: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4 -

2-1 과학영재의 창의․융합 역량 강화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융합·탐구 중심 교육과정 신설‧확대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등에 ‘융합영재교육원’ 지정

- KAIST 등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등에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형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융합영재교육원 운영

※ KAIST 시범운영('15) 후 운영성과를 바탕으로 확대 추진

- 학기 중 주말 캠프교육, 방학 중 집중교육 형태로 실제 사회문제

해결, 미래예측 등에 대한 융합프로젝트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운영

※ 미래기술융합, 창의적 문제발견 및 해결 등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되, 일부 과정은 개별맞춤식으로 개설․제공

○ 과학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교육과정을 탐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으로 개편 운영

- 복수 과목 이수제, 융합트랙 개설, 주제중심 프로그램 등 다양한

유형의 융합형 교육과정 도입·운영

※융합형교육과정가이드라인제공을통해영재교육원및영재학급의교육과정개선을유도

<표> 영재교육원·영재학급 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유형(안)

유 형 내 용

<유형1> 기존 교육과정 내 융합

프로그램 도입 강화

수학, 과학, 정보 등의 기존 교육과정 내에 융합교육관련 프로그램을 일정비율* 이상 개설·운영* 미래부지정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13년 현재 10% 내외운영

<유형2>

복수과목 이수제, 융합트랙

개설

수학+물리, 생물+정보 등 복수로 과목을 이수하거나,

수학, 과학, 정보 외 별도의 융합트랙을 개설·운영

<유형3>

주제 중심 프로그램 운영 주제별 트랙을 개설하고, 학생을 통합 선발하여 운영

○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에 융합교과 도입 및 연구경험 기회 강화

-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에 융합 교양교과 신설 및 적용*

* 융합형교육과정교양교과개발및시범운영('14∼'15)→확대적용('15년이후)

※블록타임제, 협동학습등을활용한실험및프로젝트중심의융합형과목운영확대

Page 17: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5 -

- R&E(Research&Education) 지속적 추진 및 창의·융합 아이디어 중심의

I&D(Imagination&Development) 도입을 통해 연구활동 프로그램 다양화

<과학영재학교·과학고 연구활동 프로그램 운영 예시>

학년 연구활동 프로그램

1학년 도전적 아이디어 개발 중심의 I&D (Imagination&Development)

2학년 과학기술 분야 중심의 R&E (Research&Education)

3학년 자율탐구 활동

대학단계 창의ž융합 역량 함양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 대학단계 핵심리더 양성을 위한 ‘(가칭) Top Fusion 프로그램’ 신설*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 등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연구하는 융합형 교육 실시

*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을 대상으로 시범도입 후 일반 대학으로 확산

○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URP*)을 개선 확대하여 자기 주도적 창의

융합 연구역량 기회를 제공 (교육부 협력)

* URP: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 이공계 전공과제, 창의·융합과제, 도전과제 등으로 구분*하여

맞춤형 지원을 강화

* 이공계 학생 중심의 ‘이공계 전공과제’,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창의·융합

과제’, 도전적 아이디어를구체화하는 ‘도전적 연구(전환과제)’로 구분하여지원

- 고교 단계 R&E 및 I&D 우수 수행자에 대해서는 창의·융합과제 등

학부생 연구활동 프로그램을 우선 지원하는 방안 검토

Page 18: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6 -

< (가칭) Top Fusion 프로그램 운영(안) >

○ (목적)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를 대상으로 과학융합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과학영재의 지속적 융합연구역량 강화

※ 미국의 Singularity University는 미래 전문가 양성을 위해 첨단 과학기술의 통합, 융합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10대 기술 분야의 최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과학과 기술을 바탕

으로미래를예측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연구하는 10주간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운영형태) 방학 중 4주 프로그램으로 학생을 선발하여 미래 사회에 가장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프로젝트 실시

- 학생전원이 4주 동안 기숙사 생활을 하며 강의와 토론수업 진행, 특강, 팀별

프로젝트 진행

○ (참여인력/기관) 학계의 세계적으로 저명한 교수들, 벤처 기업인들, 과학자들로 구성.

글로벌 마인드가 있고 미래 사회 예측에 대한 통찰력이 있는 전문가로 구성

Page 19: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7 -

핵심 융합역량 제고를 위한 SW 교육 강화

○ 정보영재 발굴 및 활용을 위한 ‘(가칭)SW영재교육원’ 지정*

* ('15) SW영재교육원 프로그램 개발 → (‘16) SW영재교육원 개소

- 온라인 상으로 SW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SW산출물을

공유‧확산

- 과정 수료 후 SW 산출물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학생에게 수료증 제공

○ 영재학급 및 과학영재교육원의 온라인 SW 교육 프로그램 신설·운영

- 컴퓨터 프로그래밍 관련 융합프로젝트 신설을 통해 SW를

활용한 문제해결 능력 배양을 지원

※ 개방형 SW교육센터(공개 SW협회 웹사이트)와의 연계를 통한 교육 실시

- 주말·방학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SW 창의캠프 운영

○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의 정보 과목 운영 확대(교육부 협력)

- 정보과목 운영을 확대하되, 개인의 관심과 능력에 따라 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수준별 학습 과정 제공

※ 과학영재학교를 대상으로 시범도입하고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과학고로 확대 추진

< SW 영재교육 관련 해외 사례 (이스라엘) >

◎ 이스라엘 영재학교인 IASA(Israel Arts&Science Academy)의 경우, 모든 학생이매 학기 컴퓨터 과목을 필수로 수강하되, 3~5단계로 구분하여 본인의 수준에적합한 단계의 강좌를 수강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등과의 연계를 통해 SW AP과정 개발·운영

Page 20: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8 -

□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대표 선발 및 교육과정 개선

○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올림피아드 대표 선발 방식 적용

- 재능과 열정이 있는 학생들의 올림피아드 교육 기회를 강화하여

관련 분야 핵심 인재 양성 저변을 확대

<그림> 올림피아드 대표 선발 개선방안(안)

○ 올림피아드 대표학생 교육과정에 분야별 창의·융합 역량을 강화

하기 위한 프로그램 도입·운영

2-2 창업교육 및 인턴십을 통한 과학영재의 도전 역량 강화

과학영재 대상 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도입·운영

○ 순수 학문 이외에 기업가정신, 국내·외 과학기술 전공자들의

창업사례 등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신설

- '중등기술창업교육패키지(STEP; Sci-Tech Entrepreneurship Program)'

개발 및 영재학교 우선 적용

※ 영재학교 실시 후 과학고, 영재교육원 영재학급 등 확대 추진 검토('16)

<표> 중등기술창업교육패키지(STEP) 구성(안)

구 분 내 용 (예시)

정규수업 ‘기업가정신’ 과목 개설·운영

방과후․주말․방학프로그램 기술창업캠프 (진로체험, 모의창업대회 등) 운영

특별활동 I&D (Imagination&Development) 과제, 창업동아리 지원

* I&D(Imagination&Development):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학생연구활동

- 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영재의 도전정신을 고취하고,

기술경영인 등 다양한 진로 모델을 제시

Page 21: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19 -

○ 창업으로 연결 가능한 학생들의 도전적 아이디어에 대해 건전한

경쟁과 상호 교류를 촉진하는 ‘청소년 기술창업올림피아드’ 신설

※ 국내대회 개최 이후, 이스라엘·미국 등 청소년 기술창업 강국의 대회 참가를

유도하여 국제대회로 확대 추진

과학영재의 아이디어 구현 및 인턴십을 통한 도전‧실무역량 제고

○ 과학영재의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가칭) excel start-up 프로그램’ 신설

- 대학생들이 고안한 제품이나 서비스로 쉽게 창업할 수 있는 가벼운

창업(lean startup)* 지원 프로그램 운영

* 가벼운 창업(lean startup) : 빠른 시제품(rapid prototype)제작 및 고객 피드백을

통한 시장검증 및 개선이 특징

-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시범 적용 후, 일반 대학으로 확산 추진

< 아이디어 창업 관련 해외 사례(핀란드) >

◎ 핀란드 알토대학 디자인 팩토리의 경우 29명의 운영인력이 학생들의아이디어가 창업 등 실제 성과로 이어지도록 교육 및 지원을 제공.다양한 전공의 학생 10명씩 벤처 조직형태로 팀을 이뤄 활동하며, 일반회사와 정부기관 등과의 연계 활동도 활발히 수행

○ 과학 분야 우수 고등학생 및 대학(원)을 대상으로 한 ‘(가칭) 리더 인턴십

(Leader Internship) 프로그램’ 신설

- 과학 분야 우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등을 활용하여 대학 및 출연(연)

에서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심화 연구활동 기회 부여

- 이공계 우수 대학(원)생이 기업의 실제적인 제품 개발 프로젝트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업 연구소 인턴십 프로그램 신설

< 인턴십 관련 해외 사례 (미국) >

◎ RSI(Research Science Institute)

: 전 세계의 뛰어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MT에서 개최하는 여름연구 프로그램으로 6주간 특강과 연구 프로젝트 수행

◎ Microsoft Intern to MACH program

: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이 방학기간 중 2~3개월간 제품 연구개발에 참여하여기업가로서의 전문적인 지식을 체험하는 프로그램

Page 22: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0 -

2-3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전문성 제고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표준 마련

○ 국가 수준의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프로그램 운영 기준 개발·보급

-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대상별

(초, 중, 고), 기관별(영재학급, 영재교육원, 영재학교) 권장 수준 제시

< 국가수준 영재교육 기준 관련 해외 사례 >

◎ 미국영재학회(NAGC)은 최소(minimum)기준·모범(exemplary) 기준을 권고하고

있으며, 영국아동학교가족부(교육부)에서는 국가수준의 영재교육과정 기준 제정

○ 운영 표준에 따른 주기적인 평가 및 컨설팅 실시로 프로그램

운영의 내실화 도모

※ <예> 3년 단위의 기관운영 평가와 1년 단위의 특정영역별 평가(선발, 교육과정, 학생관리등)를통해과학영재교육기관프로그램운영의질적수준제고

○ 과학영재교육 학사관리 매뉴얼을 개발·배포하여 기관 운영

효율성 제고

- 공통양식 활용을 통해 영재교육기관 간 운영 연계 강화 기반을

마련하고 교육기관별 부적응 학생에 대한 지원 방안을 제시

다양한 전문기관 인프라를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지원 활성화

○ 출연(연), 과학관, 박물관 등 다양한 기관의 자원과 전문성에

기반한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확대

- 출연(연) 순환형 캠프 프로그램 등 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창의과학 3Ex(Exploring-탐구, Experiment-실험, Experience-체험) 1 Stop 시스템: 대전시

교육청과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연계하여 학교와 학생이 대덕연구단지 출연기관을 방문

하여 3Ex(탐구, 실험, 체험)을 실시하면인증서를발급하는창의적체험활동프로그램

※ 항공우주연구원은 방학 중 학생들과 교원들을 대상으로 항공우주 현장체험 캠프를

실시하고있음.(www.karischool.re.kr)

Page 23: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1 -

- 무한상상실 등 과학관, 박물관 인프라를 활용한 체험형 영재

교육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 전문기관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해외사례>

◎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관 Exploratorium

: 과학에 흥미있는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제공. 만5세~14세 아동

들을 위한 과학 관련 다양한 주제의 1일 프로그램, 만9세~11세 여학생을 위한

Girls Science Institute, 과학관에 전시된 내용을 실제 현장에 직접 찾아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아보는 excursions 프로그램, 온 가족이 함께 하는 프로그램 등

다양한 체험형 교육활동 등을 실시.

◎ 미국 항공박물관 우주로켓센터(U.S. Space & Rocket Center)

: 우주항공과 로켓에 관심있는 과학영재들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만9세~11세를

위한 Space camp, 만12세~14세를 위한 Space Academy, 만15~18세를 위한

Advanced Space academy를 통해 우주체험 교육을 실시.

과학영재교육 온라인 지원 시스템 구축·운영

○ GED*와 연동하여 과학영재교육 포털 시스템 ‘(가칭)GEDS(Gifted

EDucation in Science)' 구축·운영

* Gifted Education Database: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 시·도별 과학영재교육기관 설치 현황 등 과학영재교육 관련 정보 공개

- 과학영재교육 교수학습자료를 등록하고 우수 자료를 공유 및 확산

- 학생, 학부모, 교원 등 다양한 구성원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자료 제공(연구물, 교육자료, 상담, 사례 등)

< 영재교육 온라인 지원 관련 해외 사례 >

◎ 미국 NAGC(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http://www.nagc.org)

: 지난 50년간 영재교육과 관련된 각종 자료 및 탑재하여 누구나 영재교육에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

◎ NASA Education material, Berkeley WISE center

: 과학 심화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누구나 등록하고 활용할 수 있는 open source형태로 운영

Page 24: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2 -

전략 3 최적화된 과학영재교육 지원 기반 조성

◈ 과학영재 프로그램·기관·인력 운영의 표준 제시 및 전문성을 강화

하고, 과학영재 진로 지도 및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

AS-IS TO-BE

체계적 과학영재교육

지원 미흡

과학영재교육 지원환경의

효율화·전문화

세 부 추 진 과 제

3-1

과학영재교육 지원기관

전문성 제고

▪지역별 특화된 과학영재교육 지원 전담기관 구성·운영

▪과학영재교육지원기관 역할 분담 및 전문성 강화

3-2

과학영재 담당인력의

역량 강화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전문성 강화 및 운영전담교원 배치

▪대학 및 연구기관 전문인력의 과학영재교육 참여 활성화

▪이공계 인력을 활용한 영재교육 담당 교원 다양화

3-3

과학영재 진로 및 상담

프로그램 도입

▪이공계 진로 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

▪올림피아드 참가자 대상 이공계 진로 지도 강화

▪온라인 진로·상담 시스템 구축·운영

3-4

과학영재교육 성과관리

체계 구축 및

공유 확산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현황 및 추적 관리 강화

▪과학영재 교육·연구 성과 평가 및 관리 강화

▪과학영재교육 성과 공유 및 국제협력 강화

【현장 의견】

• 영재교육이 시행된 지 10년이 지난만큼 영재들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리와 어떤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필요함(충북대 교수)

• 지역별 영재교육의 특성을 살리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영재교육 관계자

간 협력이 필수적임. 국가 차원에서는 이와 같은 협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 강구가 필요함.(교육청 영재교육장학관)

Page 25: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3 -

3-1 과학영재교육 지원기관의 전문성 제고

□ 지역별 특화된 과학영재교육 지원 전담기관 구성·운영

ㅇ ‘(가칭)시·도과학영재교육지원센터’ 설치·운영

-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관련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교육자료 개발 및 교원 연수 등을 지원

※ 학생 선발 및 지역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교원 워크숍, 학부모 연수 및

상담 프로그램 등을 운영

- 시·도별 과학영재교육 전문가 및 교원 등으로 센터 인력을 구성

하고, 지역 소재 대학 및 교육청 등에 설치·운영

※ 지역 영재교육지원센터와 연계하여·운영 가능

<표> 시·도 과학영재교육지원센터 운영방안(안)

ㅇ 시·도별 과학영재교육 정책 협의체 구성·운영 활성화

- 시·도별 과학영재교육기관 관계자 간 협의회 등을 정례화하여

과학영재교육 정책 수립의 실효성 제고

※ (사례) 대전의 경우, 시·도교육청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간 협의회를

구성하여 주기적으로 운영

- 각 시·도별 특색 있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교류 및 협력

사업 기획·발굴

Page 26: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4 -

□ 과학영재교육 지원기관 역할 분담 및 전문성 강화

○ 과학영재교육지원기관의 특성에 따라 운영지원기관 및 교육지원

기관으로 역할 재정립

○ 기관 간 상시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유기적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영

- 협의체를 구성하여 정례적인 협력방안 모색 및 역할 분담

<표> 과학영재교육 지원기관 체계도

○ 과학영재교육연구원(KAIST) 및 영재교육연구원(KEDI)의 설치 목적과

전문성을 고려하여 운영 특화 및 연계·협력 강화

<표>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운영 특화 방안(안)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KEDI 영재교육연구원

▪과학영재교육에 특화된 정책연구 수행

▪과학영재교육 분야 교원 연수 지원

▪과학영재교육 교육 프로그램 개발

▪대학 연계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AP과정 등) 개발 및 지원센터 운영

▪영재교육에 대한 기초·정책연구 수행

▪영재교육기관 관리자 및 시·도교육청 담당자·교원 연수 지원

▪영재교육 선발도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기관 평가 및 컨설팅 실시·홍보

- 영재교육연구원 간 연구성과 및 정보 교류를 위한 포럼 등을

공동 개최하고, 상시 협력체계를 구축

Page 27: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5 -

3-2 과학영재 담당인력의 역량 강화

□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전문성 강화 및 운영전담교원 배치

○ 과학영재교육 심화연수센터 설치·운영

- 과학영재 담당 교원에 대해 첨단과학 동향, 융합교육 등에 대한

전문연수 확대 실시

※ (’15)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교원을 대상으로 우선실시 →(’16)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확대

- 대학 및 출연(연) 등에서의 연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과학

영재 담당 교원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및 현장 지원체제 구축

< 과학영재교육교사 연구센터 해외 사례(이스라엘)>

◎ Weizmann Institute의 Davidson Institute

- 이공계 대학인 Weizmann Institute 부설기관으로서 이스라엘 과학 및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 전문 연구자들과 교사가 팀을 이루어 특정학문영역 및 간학문적인

주제들에 대해 연구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거쳐 교사들의 첨단과학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

- 연중프로그램(안식년 교사) 및 방학 중 프로그램이 있으며 주기적인

세미나, 워크숍을 개최

○ 과학영재교육기관에 운영전담교원(코디네이터) 배치

- 영재교육기관 교원의 역할을 구분하여 운영 전담 교원(코디네이터)을

배치, 영재교육 및 기관 운영의 전문성을 제고

<표>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원 역할 구분

구분 역할 자격요건

영재교육

교원(강사)영재선발 및 교육과정 운영

영재교육 연수 이수자

이공계 전공자(연수 이수)

운영전담교원

(코디네이터)

영재선발, 교육과정 기획, 강사 선정

및 관리, 기관 운영

영재교육 3년 이상 경력자

영재교육전공 석․박사(연수 이수)

Page 28: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6 -

□ 대학 및 연구기관 전문 인력의 과학영재교육 참여 활성화

○ 영재교육 기부 및 재능 기부를 위한 전문 인력 풀(pool) 구성

- 지역 소재 산업체 전문 인력, 퇴직과학자 등으로 과학영재교육

지원 전문 인력 풀을 구성

- 시·도 과학영재교육지원센터 등에 매칭시스템을 구축하여 영재

교육기관별 전문 인력 수요 파악 및 강사 지원

○ 대학, 출연(연), 국·공립 연구소 전문 인력의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파견 및 겸임 제도 마련

- 영재 교육원, 영재학급, 영재학교 등에 파견하여 과학분야 전문·

심화 교과 또는 학생연구활동(R&E, I&D) 등 운영 지원

※ 대학 및 출연(연) 등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에 과학영재교육을 포함하도록 권고

□ 이공계 인력을 활용한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다양화

○ 이공계 전공자 및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 등 이공계 전문 인력을

초·중등 영재학급 강사로 활용(교육부 협력)

- 일정 시간 이상의 영재교육 연수과정 이수 후, 자격 심사를 거쳐

과학영재교육 강사 자격 부여

- 영재교육 담당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소규모 학교 및 도서·벽지

등 소외지역 등의 영재학급에 우선 적용

○ 교․사대 및 우수 이공계 대학 학부생의 과학영재교육 학습

지원 활동 활성화

- 예비 교사인 교․사대 학부생과 이공계 대학 학부생이 지역 소재

영재교육기관에 참여하여 질의·응답 및 수업 보조를 지원

* OO교대에서는 학부생 중 영재교육원 조교를 선발하여 영재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수업 참여도를 모니터링

Page 29: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7 -

3-3 과학영재 진로 및 상담 프로그램 도입

이공계 진로 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와 연계하여 미래유망직업군 발굴

및 과학영재 대상 이공계 진로 지도 지원

* 미래 과학기술 신직업 정보를 활용한 계층별 과학기술분야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운영('14년 구축 예정)

○ 과학기술인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지원

- 과학기술인협동조합, 교육기부센터 등과 연계하여 진로

멘토 활동을 지원

- 학생,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과학기술분야 직업군 및 직업선택

등을 소개하는 강연회 등을 개최하여 이공계 진로에 대한 이해도 제고

※ TED와 유사한 형태의 공개강연회를 개최하고,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를 보급

○ ‘대학생 멘토단’ 구성·운영을 통한 맞춤형 진로 상담 활동 지원

- 이공계 전공 대학(원)생 및 예비교원 등을 멘토로 선정하고, 일정

기간 교육 이수 후 학교 매칭을 통한 상담 활동 지원

□ 올림피아드 참가자 대상 이공계 진로 지도 강화

○ 학습경로 및 진로설계 정보 제공, 연수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올림피아드 참가자의 이공계 진로 선택 유도

※ 올림피아드 참가자 이공계 대학 진학률('08~'12): 평균 64%

○ 과학영재의 리더십, 도전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과학기술인과의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

□ 온라인 진로․상담 시스템 구축·운영

○ 학생, 학부모, 교원 등을 대상으로 이공계 진로 정보를 공유하고

상담받을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

Page 30: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8 -

- 과학기술분야 진로상담 전문가의 상시적인 진로 상담·컨설팅 및

원격 멘토링 제공

<진로상담 시스템 관련 해외 사례 (미국) >

◎ International tele mentor program(ITP, www.telementor.org)

: 온라인을 통한 학문 중심 멘토링으로 전세계의 전문직 성인과 학생을 맺어주는

프로그램. 1995년에 Hewlett-Packard에서생긴프로그램으로, 학급교사가개별혹은

소집단프로젝트와원하는멘토의요건을제시하면, ITP는 요구에적절한멘토들을

배정해 주고, 일정 기간동안 수업 프로젝트를도와주거나, 진로 설정, 연구 보고서

작성등을지원

3-4 과학영재교육 성과관리 체계 구축 및 공유 확산

□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현황 및 추적 관리 강화

○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현황 관리 시스템 구축

- 영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통계를 관리하는 GED(영재교육종합데이터

베이스, Gifted Education Database)와 연동하여 운영 추진

○ 과학영재 진학·취업 현황 등 추적 관리 및 분석 강화

- 대상자 현황 파악*을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및 정보 취합 및

분석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 대상자: 과학영재학교·과학고 졸업생,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자 및 국제과학올림피아드참가자, 대통령과학장학생등

- 과학영재 추적관리기관 지정 및 통합 DB 구축

※ 국가 과학기술인력 종합DB와 연계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운영

□ 과학영재 교육·연구 성과 평가 및 관리 강화

○ 과학영재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성과평가 관리 시스템 구축

- 과학영재의 창의성, 융합역량 향상 등 교육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보급

Page 31: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29 -

- 성장단계별 영재교육 연계 정도 등 영재교육기관 운영 성과

관리지표 개발 및 활용

○ 영재교육연구원 등을 통해 영재교육기관 전문가 컨설팅 제공

- 교육기관별 애로사항에 대한 맞춤형 진단 및 해결방안 제안

등을 통해 교육 및 기관운영의 성과 제고

○ 과학영재교육 백서 발간

- 과학영재교육과 관련된 통계, 사업성과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과학영재교육백서’ 발간

과학영재교육 성과 공유 및 국제협력 강화

○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이해 제고 및 성과 홍보 활동 활성화

- 과학영재교육 산출물, 교육자료 및 연구결과 발표 등을 발표

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과학영재 페스티벌’ 개최

- 과학영재들의 탐구·실험 교육 성과 등을 게재한 ‘과학영재 탐구

학술지’ 발간

○ 과학영재교육 국제협력 활성화

- ASEAN+3 역내 국가 간 과학영재 프로그램 교류 활성화

※ ASEAN+3 과학영재센터 등을 활용하여 국제컨퍼런스 공동 개최, 교사 연수,

캠프 프로그램 등 운영

※ 과학영재교육 현황, 국가별 역량 및 환경 분석, 자료수집 등을 통한 관련

기관과의 정보 공동 활용 체계 구축

-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 운영 모델 및

성과 사례 등을 전파

- 선진국과의 과학영재교육 공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류 추진

※ 국제 심포지엄·포럼 개최, 학생·교사 교류 프로그램 개설 및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국제학생 선발 지원 등

Page 32: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30 -

V. 추진체계 및 실천계획

4-1 추진체계

□ 과학영재교육자문위원회 구성․운영

ㅇ 과학영재 발굴․육성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사업 기획을 추진하기 위해 ‘과학영재교육자문위원회’ 구성·운영

< 위원회 기능(안) >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국가 과학영재 발굴․육성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수렴·추진

1. 과학영재발굴․육성목표및정책방향의설정에관한사항

2. 당해 연도 과학영재관련사업계획에관한주요사항

3. 기타 위원장이필요하다고인정하는기관의주요정책에관한사항

□ 미래부-교육부 역할분담 및 연계 협력 강화

○ 영재교육 관련 부처의 역할 분담 및 연계․협력으로 과학영재

발굴․육성 정책 기획 및 추진 효과 극대화

< 미래부와 교육부 역할 및 연계방안(안)>

구분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역 할과학 분야 영재교육 총괄

(국가 영재교육 종합체계와 연계)

국가 영재교육정책 총괄

(과학, 언어, 예술 등)

연계협력

업무

과학영재교육 자료 개발 보급

과학영재 담당교원 전문성 신장 연수

과학영재 교육기관 지원 등

법 개정․제도 마련

영재교육 자료 개발, 교사 연수

학교 중심 영재교육 확산 등

(시․도교육청 연계 협력)

교육특징도전적 교육을 필요로 하는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창의․융합 교육 제공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잠재적 영재 발굴

관련기관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교·과학고 등

영재학교·과학고·

영재학급 및 시·도 영재교육원 등

담당인력 교수, 연구원 등 이공계 전문 인력 등 교사 및 이공계 인력 등

Page 33: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31 -

4-2 성과 점검

□ 과제 관리 계획

○ (협업체계 구축) 관계부처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주요 과제가 차질

없이 수행되도록 지원

○ (상시점검) 연도별로 세부 추진과제의 이행상황을 점검

○ (자문단 운영) 각 분야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구성하여

반기별로 추진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지속적 보완․발전 추진

4-3 추진 일정

추진 과제 소관부처 추진일정

1. 잠재력을 갖춘 과학영재의 체계적 발굴

1-1. 과학영재 발굴 확대 및 체계화

1-1-1. 재능과 가능성을 갖춘 과학영재의 적극적 발굴

- 과학영재교육 수혜율 제고 미래부 교육부 ‘13~’17년

- 지역별 과학영재 비율을 고려한 교육기관 설치 미래부 교육부 ‘15년

1-1-2. 과학영재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사이버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 첨단 미래형 사이버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도입 미래부 ‘15년

- 사회 취약계층 대상 사이버 브릿지 프로그램 운영 미래부 교육부 ‘15년

1-1-3.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판별․선발 방식의 신뢰성 제고

- 과학영재 판별․선발 표준모델 개발․보급 미래부 교육부 ‘14~’15년

- 관찰추천위원회·담당교원의 관찰·추천제 연수 강화 미래부 교육부 ‘14년

- 영재학급 교육성과와 과학영재교육원 선발 연계 미래부 교육부 ‘15년

1-2. 과학영재교육기관 특성화 및 교육 연계 강화

1-2-1. 과학영재교육기관 교육 프로그램 특성화

- 교육수요의 다양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운영 미래부 교육부 ‘14년

- 과학영재교육원 운영 차별화 미래부 ‘14년

Page 34: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32 -

추진 과제 소관부처 추진일정

- 캠프형 영재교육원 도입 운영 미래부 ‘15년

1-2-2. 과학영재교육기관 간 교육 연계 협력 활성화

- 고교-과기특성화 대학 AP 과정 운영 확대 미래부 교육부 ‘13년

- 과기특성화 대학 연계 심화교육 도입 미래부 ‘15년

- 영재학급-과학영재교육원 간 교육연계 강화 미래부 교육부 ‘15년

2. 창의·융합형 과학영재교육 활성화

2-1. 과학영재의 창의․융합 역량 강화

2-1-1.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융합․탐구 중심 교육과정 신설·확대

- 과기특성화대학 등에 ‘융합영재교육원’ 지정 미래부 ‘15년

- 과학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융합탐구역량 강화 미래부 교육부 ‘14년

-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 융합교육과정 도입 미래부 교육부 ‘13년

2-1-2. 대학단계 창의․융합 역량 함양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 핵심리더 양성을 위한 ‘Top Fusion’프로그램 신설 미래부 ‘15년

- 학부생 연구프로그램(URP) 개선․확대 미래부 교육부 ‘14년

2-1-3. 핵심 융합 역량 제고를 위한 SW 교육 강화

- (가칭)SW영재교육원 지정 미래부 ‘15년

- 영재학급 및 과학영재교육원 온라인 SW 교육프로그램 신설 미래부 ‘15년

-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의 정보과목 운영 확대 미래부 교육부 ‘15년

2-1-4.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대표 선발 및 교육과정 개선 미래부 ‘15년

2-2. 창업교육 및 인턴십을 통한 과학영재의 도전 역량 강화

2-2-1. 과학영재 대상 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도입․운영

- 중등기술창업 교육 패키지 개발 및 적용 미래부 교육부 ‘13년

- 청소년 기술창업 올림피아드 신설 미래부 ‘13년

2-2-2. 과학영재의 인턴십을 통한 도전․실무 역량 제고

- 아이디어 구현을 위한 ‘excel Start-up’ 프로그램 신설 미래부 ‘16년

- 우수 고교생 및 대학생 대상 ‘리더 인턴십’ 신설 미래부 ‘16년

2-3.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 제고

2-3-1.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표준 마련 미래부 교육부 ‘14년

2-3-2. 전문기관 인프라를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지원 활성화

미래부 ‘14년

Page 35: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33 -

추진 과제 소관부처 추진일정

2-3-3. 과학영재교육 온라인 지원 시스템 구축·운영 미래부 ‘16년

3. 최적화된 과학영재교육 지원 기반 조성

3-1. 과학영재교육 지원기관의 전문성 제고

3-1-1. 지역별 특화된 과학영재교육 지원 전담 기관 구성·운영

미래부 교육부 ‘15년

3-1-2. 과학영재교육 지원기관 역할 분담 및 전문성 강화

미래부 교육부 ‘13년

3-2. 과학영재 담당인력의 역량 강화

3-2-1.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강화

- 과학영재교육 심화연수 센터 설치․운영 미래부 교육부 ‘15년

- 과학영재교육 운영 전담교원 배치 미래부 교육부 ‘15년

3-2-2. 대학 및 연구기관 전문인력의 과학영재교육 참여 활성화

미래부 교육부 ‘14년

3-2-3. 이공계 인력을 활용한 영재교육 담당 교원 다양화 미래부 교육부 ‘14년

3-3. 과학영재 진로 및 상담 프로그램 도입

3-3-1. 과학영재 이공계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 운영

-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 연계한 진로 지도 지원 미래부 교육부 ‘14년

- 과학기술인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미래부 ‘14년

- 대학생 멘토단 운영 미래부 ‘15년

3-3-2. 올림피아드 참가자 대상 이공계 진로 지도 강화 미래부 ‘13년

3-3-3. 온라인 진로․상담 지원 시스템 구축 운영 미래부 ‘15년

3-4. 과학영재교육 성과관리 체계 구축 및 공유 확산

3-4-1.과학영재교육 대상자 현황 및 추적 관리 강화

- 과학영재교육 통계 지원 서비스 강화 미래부 교육부 ‘15년

- 과학영재대상자 추적관리 강화 미래부 ‘15년

3-4-2. 과학영재 교육․연구 성과 평가 및 관리 강화

- 과학영재교육 성과평가 관리 시스템 구축 미래부 교육부 ‘15년

- 과학영재교육 전문가 컨설팅 및 백서 발간 미래부 ‘14년

3-4-3. 과학영재교육 성과 공유 및 국제협력 강화- 과학영재교육 이해 제고 및 성과 홍보 활동 미래부 ‘14년

- 과학영재교육 국제 교류 활성화 미래부 ‘14년

Page 36: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34 -

참고 1 과학영재교육 관련 현황('13.10월 기준)

□ 연도별 현황

연 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과학영재교육대상자수

45,287 59,669 74,458 91,721 98,452 101,240

전국초중등학생수 7,617,800 7,387,047 7,262,715 7,012,196 6,721,176 6,481,492

비 율 0.59% 0.81% 1.02% 1.31% 1.46% 1.56%

□ 과학영재교육기관별 현황

구분 영재학교․과학고영재교육원

영재학급 계교육청 대학

기 관 수* 25 214 47 2,389 2,650

학 생 수 5,263 22,961 6,639 66,377 101,240명

비 율 5.20% 22.68% 6.56% 65.56% 100.00%

* 수학, 과학, 수·과학 3개 분야에 대하여, 이 중 1개 학급 이상 운영하는 기관수

□ 학교급별 현황

구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계

과학영재교육대상자수 57,374 32,246 11,620 101,240명

전 체 학 생 수 2,784,000 1,804,189 1,893,303 6,481,492

비 율 2.06% 1.79% 0.61% 1.56%

□ 영재교육 분야별 현황

구분 수학 과학 수·과학 발명 정보 외국어 음악 미술 체육 인문 기타 계

학생수 19,133 20,488 61,619 4,448 3,385 3,286 1,571 1,873 666 4,046 918 121,433

비율15.8 16.9% 50.7% 3.7% 2.8% 2.7% 1.3% 1.5% 0.5% 3.3% 0.8%

100%83% 17%

* 영재학교·과학고는 “수·과학”에 포함

* 영재교육 수혜율(영재교육 수혜자 수/전체 초·중·고학생 수): 1.87%

Page 37: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35 -

참고 2 과학영재교육기관 현황('13.11월 기준)

□ 과학고등학교 현황

* 대전과학고, 광주과학고는 2014년 3월부터 영재학교로 전환

□ 과학영재학교 현황

지역 학교명 위치 설립년도

전환년도 설립유형

서울 서울과학고 서울 1989 2009 공립경기 경기과학고 수원 1983 2010 공립부산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부산 1991 2003 법인대구 대구과학고 대구 1988 2011 공립계 4개교

□ 미래부 지정 과학영재교육원 설치 현황

ㅇ 서울 : 서울대, 연세대, 서울교대

ㅇ 수도권 : 인천대, 아주대, 강원대, 강릉대, 경원대, 대진대, 동국대(일산)

ㅇ 충청권 : 청주교대, 공주대, 충남대, 충북대

ㅇ 호남권 :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순천대, 목포대, 군산대

ㅇ 영남권 : 경남대, 경북대, 부산대, 울산대, 안동대, 경상대, 창원대

지역 학교명 위치 설립년도 설립유형

서울한성과학고 서대문구 1992 공립

세종과학고 구로구 2008 공립

부산부산과학고 연제구 2003 공립

부산일과학고 사하구 2012 공립

대구 대구일과학고 동구 2011 공립

인천인천과학고 중구 1994 공립

인천진산과학고 부평구 2013 공립

광주 광주과학고 북구 1984 공립

대전 대전과학고 유성구 1984 공립

울산 울산과학고 울주군 2006 공립

경기 경기북과학고 의정부 2005 공립

강원 강원과학고 원주 1993 공립

충북 충북과학고 청원 1989 공립

충남 충남과학고 공주 1994 공립

전북 전북과학고 익산 1991 공립

전남 전남과학고 나주 1992 공립

경북경북과학고 포항 1993 공립

경산과학고 경산 2007 공립

경남경남과학고 진주 1984 공립

창원과학고 창원 2011 공립

제주 제주과학고 제주 1999 공립

계 21개교

Page 38: 과학영재 과학영재 발굴발굴․․육성 육성 종합계획종합계획msip.go.kr/dynamic/file/afieldfile/mssw49/1261458... · 현황 및 한계점 1. 현황 과학영재교육기관

- 36 -

참고 3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역대 수상실적('13.11월 기준)

□ 수상실적

년도 수 학 물 리 화 학 정 보 생 물 천 문 지구과학 중등과학 물리토너먼트

1988 22위/49국

1989 28위/50국

1990 32위/54국

1991 17위/56국

1992 18위/56국 12위/37국 20위/33국 4위/55국

1993 15위/73국 11위/41국 13위/37국 6위/46국

1994 13위/69국 10위/49국 5위/41국 9위/50국

1995 7위/73국 9위/51국 21위/42국 21위/51국

1996 8위/75국 11위/56국 19위/49국 8위/57국

1997 11위/82국 26위/62국 4위/47국 24위/63국

1998 12위/76국 5위/56국 2위/51국 4위/62국 4위/33국

1999 7위/81국 6위/62국 1위/50국 4위/64국 4위/38국

2000 4위/82국 9위/64국 12위/53국 9위/70국 1위/38국

2001 4위/83국 15위/65국 1위/54국 3위/75국 1위/38국

2002 6위/84국 2위/66국 3위/57국 2위/77국 1위/40국 14위/18국

2003 6위/86국 1위/54국 4위/59국 1위/75국 5위/47국 10위/14국 2위/22국

2004 12위/85국 2위/73국 2위/68국 9위/78국 5위/40국 8위/18국 4위/30국 2위/21국

2005 5위/91국 12위/80국 1위/59국 5위/72국 2위/50국 3위/18국 4위/36국 9위/23국

2006 3위/90국 2위/91국 2위/67국 7위/77국 2위/55국 2위/19국 1위/30국 3위/24국

2007 3위/94국 3위/76국 4위/68국 19위/76국 1위/49국 1위/21국 2위/11국 4위/39국 2위/21국

2008 4위/97국 3위/82국 4위/66국 7위/76국 3위/57국 1위/19국 1위/7국 1위/51국 5위/21국

2009 4위/104국 2위/69국 4위/66국 2위/83국 6위/56국 5위/17국 2위/20국 6위/46국 1위/27국

2010 4위/97국 11위/80국 2위/68국 13위/83국 5위/60국 1위/19국 2위/19국 2위/33국 4위/23국

2011 13위/101국 1위/84국 1위/70국 17위/80국 6위/58국 1위/21개국 1위/35개국 2위/42개국 1위/21국

2012 1위/100국 4위/81국 1위/72국 11위/86국 3위/59국 1위/22개국 1위/17개국 불참 1위/28국

2013 2위/97국 1위/83국 1위/77국 3위/80국 7위/60국 8위/19개국 1위/27개국 (12월) 2위/26국

계 26회 22회 22회 22회 16회 11회 7회 8회 12회

* 국제올림피아드 총 134회 참가, 26회 종합 1위 달성

** 국제물리토너먼트 총 12회 참가, 3회 1위 달성

□ 국내 개최 현황

◦ 2000년(수학), 2002년(정보), 2004년(물리), 2006년(화학), 2007년(지구과학),

2008년(중등과학), 2010년(생물), 2012년(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