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s-space.snu.ac.kr/bitstream/10371/129750/1/000000067145.pdf · 2019. 11. 14. ·...

110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Transcript of Disclaimers-space.snu.ac.kr/bitstream/10371/129750/1/000000067145.pdf · 2019. 11. 14. ·...

  •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legalcod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세기 조선 사대부의 다문화 를 통한18-19 ( )茶文化

    경관 향유방식에 관한 연구

    다산 정약용의 를 중심으로- -茶詩

    년 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조경학전공

    양 유 선

  • 제1장 서론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연구의 배경2. 연구의 목적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1. 연구의 범위2. 연구의 방법

    3절 선행연구 고찰1. 전통조경과 차 문화에 관한 연구2. 조선시대 다시(茶詩)와 다화(茶畵)에 관한 연구3. 옛 글과 그림 해석을 통한 경관에 관한 연구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18-19세기 조선 사대부의 차와 경관1절 18-19세기 조선의 시대상황1. 18-19세기 조선의 시대상황2. 다양한 취미 및 문화의 발달

    2절 18-19세기 조선 사대부의 다문화(茶文化)1. 18-19세기 조선 사대부의 다문화 이해2. 차를 매개로 한 사대부의 문화교류, 다회(茶會)

    3절 18-19세기 조선 사대부의 다문화와 경관문화

    제3장 다산 정약용의 茶詩를 통해 본 차와 경관문화 이해1절 다산 정약용의 다문화(茶文化) 이해1. 다산 정약용의 삶과 사상2. 다산 정약용과 차(茶)3. 차를 함께 즐긴 이들 (交遊)

    2절 다산 정약용의 茶詩를 통해 본 차와 경관문화 이해1. 다산 정약용의 이상적 주거공간과 경관2. 다산 정약용의 茶詩를 통해 본 차와 경관문화

    3절 다산 정약용의 茶詩에 나타나는 다문화와 유형1. 풍류와 교류의 기능2. 수양(修養)의 기능3. 약용(藥用)의 기능

    제4장 다산 정약용 茶詩 속 다문화(茶文化)를 통해 본 경관 향유방식1절 분석의 틀2절 다산 정약용의 茶詩 속 물경(物景)1. 즐거움과의 만남; 풍류와 교류2. 동경하는 유인(幽人)의 삶; 수양(修養)3. 두 유형의 茶詩속에서 나타나는 특징

    3절 다산 정약용의 茶詩 속 정경(情景)1. 상징적 의미2. 감각적 향유

    4절 소결: 정약용의 茶詩를 통해 본 경관 향유방식의 특징

    제5장 결론[참고문헌]부 록[부록 01] 다산 정약용의 茶詩 속 핵심어 뜻풀이[부록 02] 다산 정약용의 유형별 茶詩, 물경, 정경 분석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