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미생물의세계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yungpook/... · 2016. 9....

28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1. 미생물의 중요성 Microorganism : micro + organism Microbes by Charles S. Sedillot, 1879 - 주먹 속의 미생물 : count 1 by second for 33 years - What are they doing, and why are they there? - 분해자 -> 물질의 순환 - 산소 생성 (광합성) - 자연환경의 균형유지 (ecosystem) 자연환경의 균형유지 (ecosystem) - 병원성 (14세기 흑사병, AIDS, etc) ☞ 미생물은 생명체다! - 성장을 위한 영양분의 흡수, 소화 소화산물의 배설 - 소화산물의 배설 - 독립적 생식능력 -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능력 생물계 구성원의 공통특징 - 자극에 대한 반응능력

Transcript of Chapter 1. 미생물의세계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kyungpook/... · 2016. 9....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1. 미생물의 중요성

    Microorganism : micro + organism Microbes by Charles S. Sedillot, 1879

    - 한 주먹 흙 속의 미생물 : count 1 by second for 33 years- What are they doing, and why are they there?

    - 분해자 -> 물질의 순환

    - 산소 생성 (광합성)

    - 자연환경의 균형유지 (ecosystem)자연환경의 균형유지 (ecosystem)

    - 병원성 (14세기 흑사병, AIDS, etc)

    ☞ 미생물은 생명체다!

    - 성장을 위한 영양분의 흡수, 소화

    소화산물의 배설- 소화산물의 배설

    - 독립적 생식능력

    -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생물계 구성원의 공통특징

    - 자극에 대한 반응능력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생명체로서 미생물의 특징

    - 성장을 위한 영양분의 흡수, 소화

    - 소화산물의 배설

    립적 생식능력- 독립적 생식능력

    -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능력

    - 자극에 대한 반응능력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인간과 미생물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2. 미생물의 기원

    A t L h k 네덜란드 상인Anton van Leeuwenhoek : 네덜란드 상인- 1673, 초기현미경 발명- 1683, 세균언급 논문발표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혈액세포 현미경관찰사진실물 현미경

    현미경관찰 스케치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Where were microbes from?

    - spontaneous generation (자연발생설)spontaneous generation (자연발생설)

    - 반박 : Francesco Redi(1626 - 1697) -> 구더기 발생에 관한 논문

    종이 수건Open

    미생물자연발생설 큰생명체는 불가능하지만 미생물은 가능하다* 미생물자연발생설 : 큰생명체는 불가능하지만 미생물은 가능하다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미생물자연발생설 : 큰생명체는 불가능하지만 미생물은 가능하다

    - 1748 John Needham : 건초 고기 -> 끓인 후 방치 -> 미생물생성 확인1748, John Needham : 건초, 고기 > 끓인 후 방치 > 미생물생성 확인

    - 반박 : Louis Pasteur (1861년)- 실험 1 : 공기를 솜으로 filtering -> 솜에서 미생물 발견- 실험 1 : 공기를 솜으로 filtering -> 솜에서 미생물 발견

    멸균하지 않은 솜

    - 실험 2 :

    멸균한 배양액

    결론은 ?

    배양액 가열 후 방치배양액 가열 후 방치

    배양액 가열 후 잘라냄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프랑스 파리 파스테르연구소

    Louis Pasteur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3. 미생물의 종류

    - Microbes are extremely diverseinhabit most environment on earth- inhabit most environment on earth

    1) Bacteriadiverse shape habitat- diverse shape, habitat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2) Virus- diverse shape, habitat

    Coronavirus

    Bacteriophage Rhabdovirus

  • 3) P t (원생동물)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3) Protozoa(원생동물)

    - differs substantially from bacteria and viruses in structural component

    - nuclei, ultramicroscopic cellular body

    a : amoeba Naegleria fowleri

    인간 수막염

    b t t

    d

    b : protozoan, trypanosome

    아프리카 수면병

    c : protozoan, Giardia lamblia b

    인간 설사병

    d : 집신벌레

    a c

  • 4) Al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4) Algae

    - implies a large group of photosynthetic organisms

    - plant-like(photosynthetic pigment) but considered microbes(unicellular)

    - two group, diatoms(규조류) and dinoflagellates(쌍편모조류)

    - several freshwater species, but most found in marine environment

    - trap sunlight’s energy -> convert it to carbohydrates’ energy- trap more energy, use more CO2, produce more O2 than all land plants do

  • 5) F i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5) Fungi

    - major decomposers of organic matter on earth

    - distinguished from other microbes by physical structure and

    the way of obtaining nutrients

    -> break down the organic matter by the secreted enzyme and absorb

    the molecular particles

    -> other microbes take up small molecules directly from the environment

    - fungi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society in various ways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Microbes is… by David Perlman, Univ. of Wisconsin

    1 The microbe is always right your friend and a sensitive partner;1. The microbe is always right, your friend, and a sensitive partner;

    2. There are no stupid microbes;

    3 Microbes can and will do anything;3. Microbes can and will do anything;

    4. Microbes are smarter, wiser, and more energetic than chemists,

    engineers, and others; andengineers, and others; and

    5. If you take care of your microbial friends, they will take care of your future

    Just guess if there are no more microbes on the earth !!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5. 미생물 분류 및 명명법

    - 새로운 생명체의 발견새로운 생명체의 발견

    - 미생물학의 발전

    - 체계적인 명명법 필요

    ☞ Carl von Linne1735 bi i l (이명법) 제안- 1735, binomial name(이명법) 제안

    - 특정개체가 속한 Genus(속)에서 이름 유추 + 설명적 형용사

    - 개체의 자라는 형태

    발견자의 이름- 발견자의 이름

    - 고전 영웅의 이름

    - 개체의 통속명

    - 1753, 5,900 식물종에 대해 이명법 적용

    - 1759, System Naturae(10th edt) -> 이명법체계를 동물에게 적용

    - 미생물 : category of Chaos -> Vermes(고질적 해충)로 분류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1) Prokaryotes and Eukaryotes

    - 1940년대 전자현미경 발명 -> 미생물에 대한 세부구조 관찰

    미생물에 따른 구조의 차이점 발견- 미생물에 따른 구조의 차이점 발견

    - 미생물을 prokaryotes(원핵생물) 과 eukaryotes(진핵생물)로 분류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2) Three Domains (세 영역에 의한 분류)

    1980년대 C l W (U i f Illi i ) > th d i t 개발- 1980년대 Carl Woese (Univ. of Illinois) -> three-domain system 개발

    - 현대분자생물학 및 생화학적 기술에 근거 (rRNA sequence 사용)

    1) Archaea(원시세균영역) : archaea(고세균) 포함) ( ) ( )

    2) Eubacteria(진정세균영역) : 전통적 세균 포함

    3) Eukarya(진핵생물영역) : 나머지 모두 포함

    - Archaea 와 Eubacteria의 차이점

    -> ribosome 내의 RNA 형태 (rRNA sequence)

    -> 세포벽의 구성성분 (seudo-)

    -> 특정항생물질에 대한 민감성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3) Nomenclature (명명법)

    - 주어진 개체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

    - 1700년대 Carl von Linne 처음 시작

    - 분류법과 밀접하게 관련

    - 분류체계 : species(종) > genus(속) > family(과) > order(목) > class(강) >분류체계 : species(종) > genus(속) > family(과) > order(목) > class(강) >

    phylum(문) > division(류) > kingdom(계) > Domain

    ☞ s i s☞ species- a group of closely related organisms- in microorganism : 70% identical of DNA or

    mutual content by experienced researchersmutual content by experienced researchers- plant and animal : a group of organisms that interbreed with one another

    and produce new members, which are similar to the parents and are fertile

    ex) 고양이, 사자, 호랑이 -> species

    ▶ 고양이속(genus)

    ▶ 고양이과(family) -> 고양이속(사자) + 팬더속(팬더)

  • 4) Binomial and common names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4) Binomial and common names- binomial name : name of genus + species modifier = one name- ex)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 미생물체가 속하는 속의 이름

    미생물을 발견한 과학자의 이름에서 따옴(1888, Theodor Eschrich)

    coli : 미생물을 처음 발견한 장소 colon (대장)에서 유래coli 미생물을 처음 발견한 장 colon (대장)에서 유래

    - 속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 나머지와 종수식어는 소문자

    - 항상 이탤릭체 혹은 밑줄

    - 동일한 글에서 중복 사용할 때 -> 2회째부터 속명의 첫글자는 첫자만 대문자로 표기

    ex) E. coli

    - 종의 정확한 이름은 binomial name 임종의 정확한 이름은 binomial name 임

    Escherichia coli ≠ Escherichia(속) + coli (종)

    ☞ common name- frequently used in conversation- Streptococcus pneumoniae -> Pneumococcus

    ☞ various strains and subspecies : added to the binomial☞ various strains and subspecies : added to the binomial- Escherichia coli O157:H7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5) Microbial measurements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5) Microbial measurements- micrometer (μm) 단위로 측정

    - 1 μm -> 1 inch => 파리 -> Empire State building

    - mycoplasma : smallest bacteria -> 0.15 μm diameter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6) Microscope- 1276, Rodger Bacon -> magnifying lens

    - 1620, Galileo Galilei -> 현미경 제작1620, Galileo Galilei > 현미경 제작

    - 1673, Anton van Leeuwenhoek -> 미생물 관찰

    - 200 배 확대

    ☞ Light Microscope(광학현미경)- eyepiece lens(대안렌즈)

    - objective lens(대물렌즈)

    - substage condenser(집광기)

    - 순환형 대물렌즈세트

    - 고배율의 경우 immersion oil 사용

    ->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 증가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Immersion oil 사용원리

  • O h f i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 Other types of microscope - fluorescence microscope

    - electron microscope

    - transmission EM (TEM) : 20,000,000 times magnification

    - scanning EM (SEM) : 100,000 times

  • Chapter 1. 미생물의 세계

    7) 미생물학의 범위

    - 기초미생물학 : 미생물분리 배양

    미생물세포학 세포구조- 미생물세포학 : 세포구조

    - 미생물생리학 : 기능

    - 미생물생태학 : 미생물과 서식지의 관계

    - “ 유전학 : 유전정보 확인 응용- “ 분류학 : 분류- 응용미생물학 -> - 산업미생물

    - 식품미생물

    - 토양미생물

    - 낙농미생물

    - 의학미생물

    - 환경미생물

    - 공중보건미생물

    8) 미생물학의 미래

    - 인류의 삶이 지속되는 한 주우우욱인류의 삶이 지속되는 한 주우우욱….- 신규미생물의 확인 및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