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관념사례

22
경영혁신 고정관념의 사례 A531082 김종욱 A572033 최규성 A631018 고해마루 A731105 김형균

Transcript of 고정관념사례

Page 1: 고정관념사례

경영혁신

고정관념의 사례

A531082 김종욱

A572033 최규성

A631018 고해마루

A731105 김형균

Page 2: 고정관념사례

대학 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

Page 3: 고정관념사례

대학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1

수업의 질과 상관없이 모든 수업

의 등록금은 같은가

솔직해지자. 우리는 질 좋은 수업을 듣고 싶다. 그런데

질이 안 좋은 수업도 내는 돈은 같다. 대학강의에도 시장

원리를 도입해 보자.

Page 4: 고정관념사례

대학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1

수업의 질과 상관없이 모든 수업

의 등록금은 같은가

그 동안의 강의평가는 강의의 질을 높이는데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실질적인 학생들의 수요를 파악해 강의에

차등적인 가격을 부여한다면 질 높은 수업의 보장과 학

생들의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하지 않을까

강의평가, 수강신청시의 경쟁률, 수강신청시의 조기 마감 등의 요소를

고려해 등급별로 가격을 책정한다.

Page 5: 고정관념사례

대학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1

수업의 질과 상관없이 모든 수업

의 등록금은 같은가

수업에 등급이 생긴다면 강사들은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학생들은 강의 선택의 폭이 더 넓어

질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제한적으로 나마 등록금의 액수를 선택

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6: 고정관념사례

대학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1

수업의 질과 상관없이 모든 수업

의 등록금은 같은가

Conclusion

이제 대학 강의에도 경영원리를 도입하

자!!!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고정관

념을 버리는 것이다!!!

Page 7: 고정관념사례

대학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2

왜 학점수와 상관없이 정규학기

등록금은 일괄적인가

사례: 한 학생이 등록금은 이미 다 지불했는데 신청, 정

정 기간이 지난 뒤 수업이 폐강되어 3학점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Page 8: 고정관념사례

대학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2

왜 학점수와 상관없이 정규학기

등록금은 일괄적인가

계절학기처럼 정규학기도 취득학점에 비례하여 등록금

을 내자

Page 9: 고정관념사례

대학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2

왜 학점수와 상관없이 정규학기

등록금은 일괄적인가

학점에 따른 등록금의 장점

1. 소비자인 학생들이 합리적인 가격을 지불한다는 생

각을 갖게 되고 등록금에 대한 저항이 줄어들 것이다.

2. 등록금을 다 모으지 못해서 휴학을 하는 학생이 줄어

들게 될 것이다. 적은 학점이나마 수업을 신청하여 학

교 재정에 보탬이 될 수 있다.

Page 10: 고정관념사례

대학등록금에 대한 고정관념2

왜 학점수와 상관없이 정규학기

등록금은 일괄적인가

Conclusion

교양만 8과목인데 등록금은 똑같이 낸다

고???

이제 우리는 우리가 강의를 들은 만큼 등

록금을 내서 학자금 대출의 부담을 줄여

야 한다!!!

Page 11: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

Page 12: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1

지하철 문은 왜 전부 다 열리나

지하철을 타면 사람이 없는데도 역마다 모든 문이 개방

이 된다. 이러면 낭비가 아닐까?

Page 13: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1

지하철 문은 왜 전부 다 열리나

노선, 역마다 지하철 이용객의 수가 판이하게 다르다.

출처: 매일경제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0&no=238337

Page 14: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1

지하철 문은 왜 전부 다 열리나

심야시간에는 그저 몇 명만 태운 지하철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Page 15: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1

지하철 문은 왜 전부 다 열리나

사람이 없을 시에는 4개의 문 중 2개만 이용해도 되지 않을

까????

Page 16: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1

지하철 문은 왜 전부 다 열리나

평소의 지하철 이용객 수에 대한 자료(시간 별, 노선 별)

를 바탕으로 승객의 수가 적을 시, 이용하는 문의 수를

줄인다.사용하지 않는 문을 명확히 표시하여 타거나 내리는 승

객들의 혼란을 없애야 한다.

Why?

비용절감

Page 17: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1

지하철 문은 왜 전부 다 열리나

Conclusion

평소 생각 없이 당연히 열리는 것이라 생

각했던 4개의 지하철 문!!!

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생각을 바꿈으

로써 지하철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age 18: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2

지하철은 왜 인원제한이 없는가

엘리베이터의 법칙을 아는가. 안에 사람이 타고있어 탈

공간이 없어 보이는데도 엘리베이터에는 사람이 계속

들어간다.

Page 19: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2

지하철은 왜 인원제한이 없는가

아침 출근 지하철. 분명 내가 타고 있는 칸은 사람이 꽉

찼는데도 사람들은 물밀듯이 들어온다.

Page 20: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2

지하철은 왜 인원제한이 없는가

지하철에 사람이 많이 타면 사람들 사이에 눌리거나 넘

어지거나 호흡곤란으로 위험해질 수가 있으며, 지하철

속도가 평소보다 더욱 느려진다

Page 21: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2

지하철은 왜 인원제한이 없는가

그래서 지하철에 인원제한을 두자. 엘리베이터처럼 무

게를 측정하여 인원을 제한하거나, 타는 사람수를 제는

센서를 문에 부착하여 적정인원수 이상이 타면 더 이상

탈수 없게 만들자.

Page 22: 고정관념사례

지하철에 관한 고정관념2

지하철은 왜 인원제한이 없는가

Conclusion

당연하게도 지하철에 몸을 밀고 들어가

면 탈수 있었다는 편견은 버려!!!

인원제한을 둠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빠

르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