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30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 한국어 음운현상(2)

Transcript of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Page 1: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 한국어 음운현상(2)

Page 2: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2. 한국어의 주요 음운현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안다.

3. 한국어 주요 음운현상의 내용과 그

특징을 안다.

학습목표

Page 3: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 한국어 음운현상(2)

Page 4: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의 발생 이유, 유형과 종류 1

1)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예)

➀ 음절구조 제약: 음절말 평폐쇄음화, 자음군 단순화

➁ /ㄹ/ + /ㄴ/이 결합할 때

‘ㄹ’ 탈락: 놀+는 [노는], 아들/딸+님 [아드님, 따님] 유음화(/ㄴ/ → [ㄹ]): 줄넘기 [줄럼끼]

한국어에서 /ㄹ/+/ㄴ/은 나란히 있을 수 없다 (말소리 연쇄 제약)

❶ 구조적 제약

Page 5: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의 발생 이유, 유형과 종류 1

1)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❷ 이웃하는 소리들과의 상호작용

예) 아비 → [애비], 남비 → [냄비](움라우트), 피어 → 펴, 주어 → 줘(모음축약)

❸ 형태론적 조건

예) 잠자리 [잠자리] vs. 잠자리 [잠짜리] 공권력 [공궐력] vs. [공꿘녁]

❹ 기타

예) 소주 → [쏘주], 닦다 → [딱따], 맡아 [마타](*[마태]) vs. 같아 [가타] ~ [가태]

Page 6: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의 발생 이유, 유형과 종류 1

2) 음운현상 유형과 종류

음운현상의 유형

유형 내 용 예 규칙

대치 다른 말소리로 바뀜 국+물 [궁물]

A → B / C__D

탈락 있던 말소리가 없어짐 놀+는 [노는]

A → ø / C__D

첨가 없던 말소리가 새로 생겨남 내+물 [낸물]

ø → A / C__D

축약 두 말소리가 하나로 합쳐짐 놓+고 [노코]

A+B → C / D__E

Page 7: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의 발생 이유, 유형과 종류 1

2) 음운현상 유형과 종류

음운현상의 종류

❶ 대치

음운현상 예

자음

음절말 평폐쇄음화

밖 [박], 옷 [옫], 잎 [입], 낮 [낟], 꽃 [꼳]

비음화 국물 [궁물], 앞문 [암문], 국력 [궁녁], 압력[암녁]

순행적/역행적 유음화

달나라 [달라라], 찰나 [찰라] / 진리 [질리], 훈련 [훌련]

구개음화 같이 [가치], 굳이 [구지], 기름 [지름]

경음화 옆집 [엽찝], 먹기 [먹끼], 역사 [역싸], 국법 [국뻡]

Page 8: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의 발생 이유, 유형과 종류 1

2) 음운현상 유형과 종류

음운현상의 종류

❶ 대치

음운현상 예

모음

움라우트 아기 [애기], 어미 [에미], 고기 [괴기]

반모음화 피+어→ 펴, 갖추+어→ 갖춰, 보+아→ 봐

원순모음화 믈 > 물, 블 > 불, 플 > 풀, 프르다 > 푸르다

전설모음화 즛 > 짓, 아츰 > 아침, 거츨다 > 거칠다, 일즉 > 일찍

모음조화 종알종알 ⇔ 중얼중얼, 막아서 ⇔ 먹어서

Page 9: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의 발생 이유, 유형과 종류 1

2) 음운현상 유형과 종류

음운현상의 종류

❷ 탈락

음운현상 예

자음

자음군 단순화

값 [갑], 몫도 [목또], 앉다 [안따], 읽고 [일꼬]

/ㄹ/탈락 놀+는→ 노는, 울+니→ 우니, 솔+나무→ 소나무

/ㅎ/탈락 좋으니 [조으니], 놓아 [노아] / 은행~으냉, 결혼~겨론

모음

/ㅡ/탈락 끄+어서→꺼서, 울+으면→울면, 들+으로→들로

동음탈락 가+아서 → 가서, 서+어서 → 서서

/ㅣ/탈락 지+어 → 져 [저], 다치+어 → 다쳐 [다처]

Page 10: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의 발생 이유, 유형과 종류 1

2) 음운현상 유형과 종류

음운현상의 종류

❸ 첨가

음운현상 예

자음

/ㄴ/ 첨가 꽃잎 [꼰닙], 물약 [물략], 맨입 [맨닙], 할 일 [할릴]

/ㄷ/ 첨가 냇가 [내까], 빗발 [비빨], 잠자리 [잠짜리]

모음

반모음 첨가

되+어 [되여], 오십시오 [오십시요], 철수+아 [철수야]

Page 11: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의 발생 이유, 유형과 종류 1

2) 음운현상 유형과 종류

음운현상의 종류

❹ 축약

음운현상 예

자음

유기음화 좋+고 [조코], 입학 [이팍], 맏형 [마텽]

모음

모음축약 아이 → 애, 요사이 → 요새, 보이다 → 뵈다

Page 12: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 한국어 음운현상(2)

Page 13: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1) 표준발음법

비음화 (1) : 장애음의 비음화

제18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먹는[멍는] 국물[궁물] 깎는[깡는] 키읔만[키응만] 몫몫이[몽목씨] 긁는[긍는] 흙만[흥만] 닫는[단는] 짓는[진:는] 옷맵시[온맵씨] 있는[인는] 맞는[만는] 젖멍울[전멍울] 쫓는[쫀는] 꽃망울[꼰망울] 붙는[분는] 놓는[논는] 잡는[잠는] 밥물[밤물] 앞마당[암마당] 밟는[밤:는] 읊는[음는] 없는[엄:는] 값 매다[감매다]

[붙임] 두 낱말을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다.

책 넣는다[챙넌는다] 흙 말리다[흥말리다] 옷 맞추다[온마추다] 밥 먹는다[밤멍는다] 값 매기다[감매기다]

Page 14: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장애음의 비음화의 내용과 특징

비음화 (1) : 장애음의 비음화

❶ 현상의 내용: 선행 음절의 종성 장애음([ㅂ ㄷ ㄱ]) 이 후행 음절의 초성 비음(/ㅁ ㄴ/) 앞에서 각각 [ㅁ ㄴ ㅇ]으로 발음된다.

입력 출력 환경

ㅂ ㅁ

비음(ㅁ ㄴ) 앞 ㄷ ㄴ

ㄱ ㅇ

Page 15: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장애음의 비음화의 내용과 특징

비음화 (1) : 장애음의 비음화

❷‘장애음+비음’은 한국어 말소리 연쇄 제약에 위배. 비음화는 불가능한 이러한 연쇄를 가능한 연쇄로 바

꾸는 작업. 방법: 역행동화(regressive assimilation)를 통한 [+비음성]의 확산(spreading).

앞자음의 발음

[ㅇ]

[ㄴ]

[ㅁ]

앞자음

뒷자음

비음

Page 16: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장애음의 비음화의 내용과 특징

비음화 (1) : 장애음의 비음화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장애음 ㅂ ㄷ ㄱ

↓ ↓ ↓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 한국어 자음분류표 >

(예: 잡는 [잠는], 집만 [짐만], 닫는 [단는], 옷만 [온만], 먹는 [멍는], 국민 [궁민])

Page 17: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장애음의 비음화의 내용과 특징

비음화 (1) : 장애음의 비음화

❸ 예외 없이 적용되며, 단어 경계를 넘어서서도 적용되는 매우 강한 음운현상(18항 [붙임]).

예: 책 넣는다[챙넌는다] 옷 맞추다[온마추다] 밥 먹는다[밤멍는다]

※ 한국인의 영어 발음 ‘good morning [군모닝],

nick name [닝네임]’도 비음화에 의한 발음임.

Page 18: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생각해 봅시다 (1)

• 우리가 아는 언어 중에 장애음의 비음동화

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지 찾아보고 한국

어에 나타나는 장애음의 비음동화가 언어

보편적인지, 아니면 한국어의 특수한 현상

인지 생각해 보자.

Page 19: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1) 표준발음법

비음화 (2) : /ㄹ/의 비음화

제19항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담력[담:녁] 침략[침냑] 강릉[강능] 항로[항:노] 대통령[대:통녕] [붙임] 받침 ‘ㄱ, ㅂ’ 뒤에 연결되는 ‘ㄹ’도 [ㄴ]으로 발음한다.

막론[막논→망논] 백 리[백니→뱅니] 협력[협녁→혐녁] 십 리[십니→심니]

Page 20: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ㄹ/의 비음화의 내용과 특징

❶ 현상의 내용: 후행 음절의 초성 /ㄹ/이 선행 음절의 종성 비음(/ㅁ ㅇ/) 또는 장애음(/ㅂ ㄱ/) 뒤에서 [ㄴ]으로 발음된다(예: 강릉[강능], 막론[망논]).

입력 출력 환경

ㄹ ㄴ 비음(ㅁㅇ)/ 장애음(ㅂㄱ)

비음화 (2) : /ㄹ/의 비음화

Page 21: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ㄹ/의 비음화의 내용과 특징

❷ ‘비음+유음’ 또는 ‘장애음+유음’은 한국어 말소리 연쇄 제약에 위배.

비음화는 제약 충족을 위한 음운적 행위

❸ 예외 없이 적용되고, 순행동화 또는 상호동화로 나타난다.

순행동화: 담력 [담녁], 강릉 [강능] 상호동화: 막론 [막논] [망논], 협력 [협녁] [혐녁]

비음화 (2) : /ㄹ/의 비음화

Page 22: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생각해 봅시다 (2)

• 학자들은 19항, 그 중에서도 [붙임] 조항에 대해서 엄격히 말하면 동화가 아니라고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제19항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담력[담:녁] 침략[침냑] 강릉[강능] 항로[항:노] 대통령[대:통녕] [붙임] 받침 ‘ㄱ, ㅂ’ 뒤에 연결되는 ‘ㄹ’도 [ㄴ]으로 발음한다.

막론[막논→망논] 백 리[백니→뱅니] 협력[협녁→혐녁] 십 리[십니→심니]

Page 23: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1) 표준발음법

구개음화

제17항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곧이듣다 [고지듣따] 굳이 [구지] 미닫이 [미다지] 땀받이 [땀바지] 밭이 [바치] 벼훑이 [벼훌치] [붙임]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

굳히다 [구치다] 닫히다 [다치다] 묻히다 [무치다]

Page 24: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구개음화의 내용과 특징

구개음화

❶ 현상의 내용: 치조파열음(/ㄷ ㅌ/)이 문법형태소 /ㅣ/ 앞에서 각각 경구개파찰음 [ㅈ ㅊ]으로 발음.

입력 출력 환경

ㄷ ㅈ /ㅣ/ 앞

ㅌ ㅊ

Page 25: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구개음화의 내용과 특징

구개음화

❷ /ㅣ/ 모음의 특성이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에 영향을 미쳐 경구개음으로 발음하게 하는 동화현상. 자연언어에 매우 보편적인 현상.

예: divide → divi[ʤ]ion quest → ques[ʧ]ion

❸ 뒤에 오는 /ㅣ/가 조사나 접사와 같은 문법형태소일 때만 일어나고 실질형태소와 결합하거나 형태소 내부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 문법형태소 + 실질형태소 형태소 내부

밭+이랑[바치랑] 밭+이랑[반니랑] 느티나무

끝+이다[끄치다] 홑+이불[혼니불] 어디

갇+혀[가쳐] 맏+형[마텽] 티끌

Page 26: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생각해 봅시다 (3)

/ㅣ/ 모음과 경구개음은 어떤 관계인지 알아보자.

/ㅎ/ 구개음화는 /ㅎ/이 [ㅅ]으로 발음된다.

/ㅅ/은 치경음인데 왜 구개음화라고 하는지 생각해

보자.

Page 27: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생각해 봅시다 (3)

구개음화에 나타나는 모습은 ‘ㄷ ㅌ +ㅣ = ㅈ, ㅊ’이다. 이를 바탕으로 아래 (가)의 <표준발음법>의 [다만1]과 (나)의 전설모음화를 설명해 보자.

(가) <표준발음법>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

로 발음한다. 가지어→가져[가저] 찌어→쪄[쩌] 다치어→다쳐[다처]

(나) 전설모음화

즛 > 짓, 아츰 > 아침, 거츨다 > 거칠다, 일즉 > 일찍 business 비즈니스 [비지니스]

Page 28: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1) 예

원순모음화

㉮ 믈 > 물, 블 > 불, 플 > 풀, 프르다 > 푸르다

㉯ 업으면 [어부면], 앞으로 [아푸로], 기쁘다 [기뿌다]

㉰ 아버지~아부지, 어머니~어무이, 파리~포리, 밟다~볿다

Page 29: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원순모음화의 내용과 특징

원순모음화

❶ 현상의 내용: 평순모음이 원순모음으로 바뀌는 현상

㉮: /ㅡ/ > /ㅜ/(역사적 변천) ㉯: 사람/경우에 따른 발음 ㉰: 남해안 방언 <공통점> 평순모음이 원순모음 [ㅜ]나 [ㅗ]로 발음. 모음에 선행하는 자음은 모두 양순음.

입력 출력 환경

/ㅡ/를 포함한 평순모음

ㅜ, ㅗ 양순음(ㅂ ㅍ ㅃ ㅁ) 뒤

Page 30: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bufs/heoyong/09.pdf · 1. 음운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와 음운현 상의 유형을 안다.

1 음운현상 1: 대치 2

2) 원순모음화의 내용과 특징

원순모음화

❷ 양순음의 특성(= 입술관련 성질)이 /ㅡ/를

비롯한 평순모음에 영향을 미쳐 원순모음으

로 발음하게 하는 동화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