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주택시장의 성장과...

20
5. 주택시장의 성장과 공동주택계획(1987~1996) 5-1. 경제호황과 주택시장의 성장 - 1980년대 말의 호황 (3저현상 : 저달러, 저금리, 저유가) - 1988경제호전과 무역수지 흑자로 인한 통화팽창으로 부동산 붐이 재연되면서 땅값과 주택가격이 급등 - 19884주택가격의 안정을 위해 200만호 건설계획수립 5-2. 주거단지 개발 주체의 다원화 - 민간합동개발방식의 도입과 지방공사의 설립 - 1987이후로 공공기관이 개발한 택지개발지구에 다수의 민간건설업체들이 개별단지를 건설하는 개발방식이 보편화 강의의 내용과 사진 등은 대한건축학회에서 2010년에 편찬한 건축텍스트북-주거론”(기문당)에서 인용하였음.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27

Transcript of 5. 주택시장의 성장과...

5. 주택시장의 성장과 공동주택계획(1987~1996)

5-1. 경제호황과 주택시장의 성장

- 1980년대 말의 호황 (3저현상 : 저달러, 저금리, 저유가)

- 1988년 경제호전과 무역수지

흑자로 인한 통화팽창으로

부동산 붐이 재연되면서

땅값과 주택가격이 급등

- 1988년 4월 주택가격의 안정을

위해 200만호 건설계획수립

5-2. 주거단지 개발 주체의 다원화

- 민간합동개발방식의 도입과

지방공사의 설립

- 1987년 이후로 공공기관이 개발한 택지개발지구에 다수의

민간건설업체들이 개별단지를 건설하는 개발방식이 보편화 됨 • 본 강의의 내용과 사진 등은 대한건축학회에서 2010년에 편찬한

• “건축텍스트북-주거론”(기문당)에서 인용하였음.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27

- 지자체에 의한 택지개발 확대

→ 대규모 주거단지 개발의 주체가 다양화됨

→ 주택단지의 현상설계에 의해 다양한 단지계획 기법이 시도됨

5-3. 대규모 택지개발의 증가와 상품경쟁

- 수도권 5개신도시 개발 추진

: 1989년4월 27일 발표,

30만호 규모

: 성남 분당(97334호),

고양 일산(69000호),

안양 평촌(42164호),

부천 중동(42500호),

군포 산본(42039호)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28

- 1993년(200만 호 건설계획 종료)이후에도 대도시권 주변지역의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 주거단지 개발방식이 주택공급의

수단으로 자리잡음

: 경기 고양시, 용인 수지, 수원 영통, 부산 해운대 등

- 녹도축, 보행자전용로 등 도시차원의 생활공간 계획이 보편화됨

- 촉박한 개발일정과 주택분양의 문제점

- 주택상품 경쟁이 치열해 짐

: 업체들의 상품경쟁이 단지계획이나 주거동 건물계획보다는

단위주택 내부설계와 마감재

고급화에 치중됨으로써 계획

기법의 발전에 영향을 주지 못함

: 민간업체들의 계획력은 급신장함

일산 신도시 보행전용도로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29

5-4. 고밀화, 초고층화

- 한정된 택지에 건설량을 늘려야 한다는 압박으로 인해

정부는 인동거리규제 완화와 같은 고밀개발을 장려하는 조치를 시행

(고층아파트 : 15층 → 20~30층)

- 전반적인 주거단지의 환경이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

: 옥외 공간량의 증대보다는 개발밀도가 증대함

초고층 아파트단지(분당 시범아파트)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0

5-5. 재개발, 재건축의 확대와 도시환경의 악화

- 합동재개발사업에 의한 불량주택지 재개발 확대

- 재건축에 의한 아파트단지개발사업 확대

(1993년 노후아파트 재건축 허용기준 완화)

- 도시 공공환경에 대한 배려없이 개발지역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면서 도시경관의 파괴와 도시기반시설의 부족을

초래하여 전반적인 도시환경의 악화를 초래함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1

6.수요분화와 주택계획의 동향

- 1960년대부터 표준적인 핵가족의 보편적인 생활양식의 수용(3LDK or

4LDK) → 1980년대 말부터 주택수요의 다원화

6-1. 1980년대 : 새로운 주택수요에 대한 의식과 시도들

▪ 장애인용 아파트 – 개포주공 1단지 1층, 1981년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2

▪ 병합형 주택 – 성남 하대원 주공아파트, 1981년

▪ 그러나 이러한 사례는 시장의 수요나 사회적 요구라기보다는,

정책적인 배려로서 단편적이고 불완전한 시도였음

(장애인용 아파트는 상점으로 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병합형 주택은 소유권 통합이 어려운 상황임)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3

▪ 3대가족 거주형 or 부분임대를 통한 2가구 거주형 아파트

– 목동신시가지 아파트(계획안), 1984년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4

▪ 융통형 아파트 – 상계신시가지 2단지, 1986년

(입주후 변경가능 → 입주전 선택, 입주후 변경 불가능)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5

▪ 3대가족형 아파트 – 상계신시가지 14단지와 19단지, 1987년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6

▪ 반주문식 아파트(Easy Order System)

– 부산 구서동 2차 선경아파트, 1987년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7

6-2. 1990년대 : 수요분화와 주택계획의 전개

▪ 원룸주택

– 다품종 소량생산

- 지하철역 주변의 자투리 땅에 10여호 규모로 개발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8

▪ 주상복합 아파트

- 1982년 상업지역에 주택공급을 목적으로 함

- 대형화, 고급화로 1980년대 말부터 고급수요계층 수용(vs 고급연립주택)

- 계속적인 제도적 완화 조치

▪ 이러한 ‘특수주택형’은 틈새시장을 대상으로 하며,

본질적으로 수요량에서 한계가 있음.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39

7. 상품경쟁과 주택계획의 동향

- 1989년, 수도권 5개 신도시개발 – 분당, 일산, 평촌, 산본, 부천

7-1. 전용공간의 고급화, 충실화

▪ 내부 마감재와 가구의 고급화,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 설비

▪ 발코니 면적의 확대 (소위 ‘침실 확장형 발코니’)

- 거실 앞 발코니 폭을 더욱 깊게 설정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40

▪ 전면폭의 증대

– 중소형 단위 주택에서도 소위 ‘전면 3칸 설계’가 유행됨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41

7-2. 새로운 주거공간의 모색

▪ 마당형 발코니

-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매개공간

- 단독주택의 ‘마당’의 성격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42

▪ 최상층의 복층화 – 옥상층과 연계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43

▪ 1층의 복층화 – 지하층과 연계

▪ 가변형 아파트 – 고양능곡 지구, 1994년

- 수납벽체용 가구 적용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44

▪‘안방의 남향배치 및 부엌과 식사실의 북향배치’의 파괴

- 저녘 시간에 사용되는 안방보다는 낮시간의 활용도가 높은 자녀방,

노인방 및 부엌, 식사실의 환경을 중시함

- 가장 중심의 전통공간활용의 변화조짐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45

7-3. 옥외공간의 상품소요화

▪ 조경요소(분수, 개울 등), 보행전용공간, 주차장의 지하화

住居論 Ⅳ.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흐름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