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11
66 제1부 기본 개념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사람은 누구인가? 3.2 가격규제 3.3 수량규제 3.4 세금 3.5 보조금 3.6 결론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사람은 누구인가? 어떤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면 소비자와 생산자가 재화를 사고파는 것으로부터 얻는 편익을 측정할 방법이 필요하다. 경제학자들은 이런 편익을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라는 개념을 이용해 측정한다. 소비자잉여 소비자잉여(consumer surplus)는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 (수요곡선의 높이로 측정됨)과 소비자들이 실제로 지불해야 하는 가격 간의 차이이다. 소비자 잉여는 주로 화폐 금액으로 측정된다. 소비자잉여를 이런 방식으로 정의하는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경제학자처럼 생각해보자. 어 떤 사람이 사막에서 물 없이 길을 잃어 극도로 갈증을 느끼고 있고, 주머니에는 1,000달러가 있 다고 해보자. 그가 우연히 사막 가운데 있는 편의점을 발견했는데, 거기서 닥터 페퍼(Dr Pepper, 탄산음료의 일종)를 팔고 있다. 이 사람은 그 음료수를 사는 데 얼마를 지불하려고 할까? 1,000 달러 전부를 지불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다. 2장에서 배운 탄력성의 개념을 적용하면, 음료수에 대한 이 사람의 수요는 거의 완전비탄력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사람은 가격에 거의 관계없 이 닥터 페퍼 한 병을 사려고 할 것이다. 이 가게에서 닥터 페퍼 한 병에 1달러를 받는다고 하자. 목마른 이 사람은 닥터 페퍼에 1,000달러를 지불할 용의가 있었지만 시장가격인 1달러만 내면 된다. 거래 후 그는 음료수와 주머니에 남은 돈 999달러를 갖게 된다. 이 999달러, 즉 자신이 지 불할 용의가 있었던 금액과 실제로 지불한 가격 간의 차이, 이것이 이 사람의 소비자잉여이다. 한 사람만 있는 이 예를 이용해 소비자잉여를 전체 시장의 수요곡선으로 확장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파이크플레이스마켓의 예로 돌아가서 이제는 사과 시장에 대해 생각해보자. 그림 3.1 의 시장수요곡선은 주어진 가격에서 소비자들이 사과를 몇 파운드나 사려고 하는지 보여준다. 사과의 시장가격이 파운드당 3.50달러라고 가정하자. 시장수요곡선 상의 각 점이 사과 1파운드에 대한 여러 사람의 지불용의금액을 나타낸다면, 앞의 목마른 사람의 경우에서처럼 각 사람의 소비자잉여를 측정할 수 있다. A점에 있는 사람은 사과 1파운드에 5달러까지 지불할 용의가 있다. 가격이 파운드당 3.50달러라면 그 사람은 사과 를 사고 소비자잉여 1.50달러도 챙길 것이다. B점에 있는 사람은 파운드당 4.50달러까지 지불 할 용의가 있으므로 소비자잉여 1달러를 얻으며, C점에 있는 사람은 소비자잉여 0.50달러를 얻 는다. D점에 있는 사람은 사과 1파운드에 대해 3.50달러를 지불할 용의가 있는데 1파운드에 시 장가격 3.50달러를 지불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 사람에게는 소비자잉여가 없다. 1 E점에 있는 사람은 사과를 사지 않을 것이다. 그는 파운드당 3달러만 지불할 용의가 있는데 이것은 시장가 1 몇 년 전에 다른 대학으로 스카우트된 경제학자가 있었다. 그를 유혹하기 위한 거래의 일부로 새로운 학교는 연봉을 대폭 인상했다. 그가 가을학기에 새 대학에 왔을 때 학장은 그가 오기로 결정해서 기쁘다고 말했다. 이 경제학자는 그 학교가 정말로 기쁘게 생각한다면 그가 돈을 충분히 요구하지 않은 셈이라고 답했다. 그는 새 학교에 소비자잉여 를 남겨주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소비자잉여 소비자가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고)금액과 실제로 지불하는 금액의 차이

Transcript of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Page 1: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66 제1부 기본 개념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사람은

누구인가?

3.2 가격규제

3.3 수량규제

3.4 세금

3.5 보조금

3.6 결론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사람은 누구인가?

어떤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면 소비자와 생산자가 재화를 사고파는 것으로부터

얻는 편익을 측정할 방법이 필요하다. 경제학자들은 이런 편익을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라는

개념을 이용해 측정한다.

소비자잉여

소비자잉여(consumer surplus)는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

(수요곡선의 높이로 측정됨)과 소비자들이 실제로 지불해야 하는 가격 간의 차이이다. 소비자

잉여는 주로 화폐 금액으로 측정된다.

소비자잉여를 이런 방식으로 정의하는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경제학자처럼 생각해보자. 어

떤 사람이 사막에서 물 없이 길을 잃어 극도로 갈증을 느끼고 있고, 주머니에는 1,000달러가 있

다고 해보자. 그가 우연히 사막 가운데 있는 편의점을 발견했는데, 거기서 닥터 페퍼(Dr Pepper,

탄산음료의 일종)를 팔고 있다. 이 사람은 그 음료수를 사는 데 얼마를 지불하려고 할까? 1,000

달러 전부를 지불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다. 2장에서 배운 탄력성의 개념을 적용하면, 음료수에

대한 이 사람의 수요는 거의 완전비탄력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사람은 가격에 거의 관계없

이 닥터 페퍼 한 병을 사려고 할 것이다. 이 가게에서 닥터 페퍼 한 병에 1달러를 받는다고 하자.

목마른 이 사람은 닥터 페퍼에 1,000달러를 지불할 용의가 있었지만 시장가격인 1달러만 내면

된다. 거래 후 그는 음료수와 주머니에 남은 돈 999달러를 갖게 된다. 이 999달러, 즉 자신이 지

불할 용의가 있었던 금액과 실제로 지불한 가격 간의 차이, 이것이 이 사람의 소비자잉여이다.

한 사람만 있는 이 예를 이용해 소비자잉여를 전체 시장의 수요곡선으로 확장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파이크플레이스마켓의 예로 돌아가서 이제는 사과 시장에 대해 생각해보자. 그림 3.1

의 시장수요곡선은 주어진 가격에서 소비자들이 사과를 몇 파운드나 사려고 하는지 보여준다.

사과의 시장가격이 파운드당 3.50달러라고 가정하자.

시장수요곡선 상의 각 점이 사과 1파운드에 대한 여러 사람의 지불용의금액을 나타낸다면,

앞의 목마른 사람의 경우에서처럼 각 사람의 소비자잉여를 측정할 수 있다. A점에 있는 사람은

사과 1파운드에 5달러까지 지불할 용의가 있다. 가격이 파운드당 3.50달러라면 그 사람은 사과

를 사고 소비자잉여 1.50달러도 챙길 것이다. B점에 있는 사람은 파운드당 4.50달러까지 지불

할 용의가 있으므로 소비자잉여 1달러를 얻으며, C점에 있는 사람은 소비자잉여 0.50달러를 얻

는다. D점에 있는 사람은 사과 1파운드에 대해 3.50달러를 지불할 용의가 있는데 1파운드에 시

장가격 3.50달러를 지불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 사람에게는 소비자잉여가 없다.1 E점에 있는

사람은 사과를 사지 않을 것이다. 그는 파운드당 3달러만 지불할 용의가 있는데 이것은 시장가

1 몇 년 전에 다른 대학으로 스카우트된 경제학자가 있었다. 그를 유혹하기 위한 거래의 일부로 새로운 학교는 연봉을

대폭 인상했다. 그가 가을학기에 새 대학에 왔을 때 학장은 그가 오기로 결정해서 기쁘다고 말했다. 이 경제학자는

그 학교가 정말로 기쁘게 생각한다면 그가 돈을 충분히 요구하지 않은 셈이라고 답했다. 그는 새 학교에 소비자잉여

를 남겨주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소비자잉여

소비자가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고)금액과 실제로 지불하는

금액의 차이

Page 2: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67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격의 아래이기 때문이다. 전체 시장의 소비자잉여를 알고 싶다면 A, B 등 사과를 구입한 각 개

인의 모든 이득을 더하면 된다.

모든 이득을 더하고 나면 파이크플레이스마켓 전체의 총소비자잉여는 수요곡선 아래쪽이면서

가격 위쪽인 부분의 면적, 즉 그림 3.1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삼각형의 면적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잉여 삼각형의 밑변은 판매량이다. 이 삼각형의 높이는 시장가격(3.50달러)과 수요

폐색가격(demand choke price), 즉 수요량이 0으로 감소하는 가격(파운드당 5.50달러)의 차이다.2

이 예에서 수요곡선은 재화 1단위에 대한 지불용의금액이 각기 다른 소비자를 모아 놓은 것

을 나타낸다. 지불용의금액이 높은 사람들은 곡선의 왼쪽 위에 위치하며, 지불용의금액이 낮은

사람들은 곡선을 따라 오른쪽 아래에 있게 된다. 같은 논리가 개별수요곡선에도 적용된다. 개

별수요곡선은 추가적인 재화 1단위에 대해 지불용의금액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과 구매자가 자신이 구매하는 사과 첫 1파운드에 대해서는 5달러를 지불할 용의가 있으나 두

번째 파운드에 대해서는 4달러, 세 번째 파운드에 대해서는 3.50달러만 지불하려고 할 수 있다

(사과 저장 능력에 한계가 있거나, 시간이 좀 지나면 사과 먹는 데 단순히 물리게 되거나 할 수

있다). 시장가격이 파운드당 3.50달러라면 그는 사과를 3파운드 살 것이다. 소비자잉여는 첫 번

째 파운드에 대해서는 1.50달러, 두 번째 파운드에 대해서는 0.50달러, 세 번째 파운드에 대해

서는 0이어서 총합이 2달러가 된다. 모든 사과 구매자에 대해 이런 계산을 해서 각 사람들의 소

비자잉여를 모두 더하면 그림 3.1의 삼각형과 동일한 형태의 소비자잉여를 얻게 된다.

2 이런 종류의 계산을 완벽하게 정확히 하려면 두 가지 기술적 사항을 알아야 한다. 첫째, 이 영역은 수요곡선이 직선

이어야만 삼각형이다. 우리가 직선인 수요곡선을 사용하는 것은 편리함 때문인데, 현실에서 수요곡선은 곡선인 경

우가 많다. 둘째, 총소비자잉여를 달러 단위로 계산하는 것은 소득의 한계효용이 일정할 때에만 정확하다. 효용에

관한 내용은 4장에서 논의한다. 소득 1달러가 소득이 높을 때보다 소득이 낮을 때 훨씬 더 가치가 있다면, 소비자잉

여 각 1달러가 사람들의 행복에 동일한 영향을 준다고 확언할 수는 없다.

수요폐색가격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없고 수

요량이 0이 되는 가격 수준, 역

수요곡선의 수직축 절편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과

실제로 지불해야 하는 금액 간의 차이이다. 시장수

요곡선은 주어진 가격에서 소비자들이 얼마나 구매

하려고 하는지를 보여준다. A점에 있는 소비자는

사과 1파운드에 5달러를 지불할 용의가 있다. 시장

가격이 3.50달러일 때 이 사람은 소비자잉여 1.50달러를 얻는다. 마찬가지로, 시장가격이 3.50달러

일 때 B, C, D점의 소비자는 소비자잉여를 각각 1달러, 0.5달러, 0달러 얻는다. E점의 소비자는 사

과를 하나도 구입하지 않는다. 총소비자잉여는 수

요곡선 아래쪽이면서 가격의 위쪽인 영역으로 그림

에서 음영 표시된 삼각형 CS의 면적으로 나타나는

데, 이 삼각형은 밑변이 총판매량이고 높이는 가격

과 수요폐색가격 간의 차이이다.

그림 3.1 소비자잉여 정의하기

AB

CD

D

E

사과 수량(파운드)

1

2

$5.505

4.504

3.503

1 3 42 5

시장가격

수요폐색가격

A의 소비자잉여 = 1.50달러

총소비자잉여 CS

가격($/파운드)

0

Page 3: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68 제1부 기본 개념

생산자잉여

소비자가 시장 거래에 참여해 잉여를 얻는 것처럼 생산자도 잉여를 얻는다. 생산자잉여

(producer surplus)는 생산자가 자신의 재화를 팔 용의가 있는 가격(공급곡선의 높이로 측정됨)

과 실제로 그 재화를 팔아서 받는 가격 간의 차이이다. 파이크플레이스마켓 사과 시장의 공급

곡선(그림 3.2)은 주어진 가격에 생산자들이 사과를 몇 파운드나 팔려고 하는지 알려준다. 공급

곡선의 각 점이 서로 다른 사과 판매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면, V사는 파운드당 2달러의 가격

에 사과를 공급할 용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시장가격 3.50달러로 사과를 팔 수 있

기 때문에 V사는 1.50달러의 생산자잉여를 얻는다.3 W사는 파운드당 2.50달러에 사과를 팔 용

의가 있으므로 1달러의 생산자잉여를 얻고, X사는 0.50달러의 생산자잉여를 얻는다. Y사는 사

과 1파운드를 3.50달러에 팔 용의가 있으므로 잉여를 얻지 못한다. Z사는 시장에서 제외된다.

시장가격인 파운드당 3.50달러가 Z사의 판매용의금액(4달러)보다 낮기 때문이다. 시장 전체의

총생산자잉여는 공급곡선 상의 모든 판매자의 생산자잉여를 합한 것이다. 이 합은 공급곡선의

위쪽이면서 시장가격의 아래쪽인 부분, 즉 그림 3.2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삼각형 PS의 면적과

같다. 이 삼각형의 밑변은 판매량이다. 이 삼각형의 높이는 시장가격(3.50달러)과 공급폐색가격

(supply choke price), 즉 공급량이 0이 되는 가격(파운드당 1.50달러) 간의 차이이다. 여기서 공

급폐색가격은 1.50달러로, 어느 판매자도 이 가격 밑으로는 판매하려 하지 않는다.

이 특정 공급곡선은 판매용의금액이 다른 생산자들을 모두 모아 놓은 것을 나타낸다. 총생산

량이 늘어남에 따라 추가적인 생산물을 생산하는 데 드는 기업의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 개별

생산자의 공급곡선에도 똑같은 논리가 적용된다. 이 경우 기업은 1단위를 추가로 팔기 위해 더

3 소비자잉여를 ‘이윤’이라고 부르고 싶은 유혹을 참기 바란다. 여기서는 그렇게 부르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이 책의 뒤에서 ‘이윤’은 경제학에서 명확한 의미를 가지며 소비자잉여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생산자잉여

생산자가 판매할 용의가 있는

(최저)가격과 실제로 받는 가격

의 차이

공급폐색가격

생산하려는 기업이 없고 공급

량이 0이 되는 가격 수준, 역공

급곡선의 수직축 절편

생산자잉여는 생산자가 재화를 팔 용의가 있는 가격과

생산자가 실제로 받는 가격 간의 차이다. 시장공급곡선

은 주어진 가격에서 판매자들이 사과를 몇 파운드나 공

급하려고 하는지 보여준다. V점의 판매자는 사과를 파

운드당 2달러 가격에 판매할 용의가 있다. 시장가격이

3.50달러일 때 이 판매자는 1.50달러의 생산자잉여를

얻는다. 마찬가지로 시장가격이 3.50달러일 때 W, X,

Y점의 판매자는 생산자잉여를 각각 1달러, 0.50달러, 0달러 얻는다. Z점의 판매자는 사과를 하나도 팔지 않는

다. 총생산자잉여는 공급곡선의 위쪽이면서 가격의 아

래쪽인 영역, 즉 음영으로 표시된 삼각형 PS의 면적으

로 나타난다. 이 삼각형은 밑변이 총판매량이며 높이가

시장가격과 공급폐색가격 간의 차이이다.

그림 3.2 생산자잉여 정의하기

VW

XY

S

Z

사과 수량(파운드)

1

22.50

1.50

5

43.50

3

1 3 42 5

시장가격판매자 V의생산자잉여

= 1.50달러

총생산자잉여 PS

가격($/파운드)

0

공급폐색가격

Page 4: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69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시장가격과 생산자가 각 단위를 팔기 위해서

받아야 하는 최소가격 간의 차이를 합한 것이다.

4 여기서는 또한 기업이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가정하고 있다. 8장과 9장에서는 이러한 경우 및 이와는

달리 기업이 가격 설정 능력을 갖는 경우에 대한 기업의 공급 행위를 살펴볼 것이다.

예제 3.1

중서부 한 도시의 신문 수요 및 공급곡선이 다음과 같이 주어져 있다.

Q D = 152 – 20P Q S = 188P – 4

Q D = Q S 152 – 20P = 188P – 4

156 = 208PP = $0.75

Q D = 152 – 20P= 152 – 20(0.75)= 152 – 15= 137

Q S = 188P – 4= 188(0.75) – 4= 141 – 4= 137

Q D = 152 – 20P0 = 152 – 20P

20P = 152P = 7.6

Q S = 188P – 40 = 188P – 44 = 188PP = 0.02

CS = A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7.60 – $0.75)

= (0.5) × 137,000 × $6.85 = $469,225

PS = B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여기서 Q는 하루 신문 1,000부 단위로 측정되며, P는 신문 1부당 달러로 측정된다.

a. 균형가격과 수량을 구하라.

b. 균형가격에서의 소비자잉여 및 생산자잉여를 계산하라.

풀이

a. 균형은 QD=QS일 때 발생한다. 따라서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같게 놓아 균형을 구할 수

있다.

Q D = 152 – 20P Q S = 188P – 4

Q D = Q S 152 – 20P = 188P – 4

156 = 208PP = $0.75

Q D = 152 – 20P= 152 – 20(0.75)= 152 – 15= 137

Q S = 188P – 4= 188(0.75) – 4= 141 – 4= 137

Q D = 152 – 20P0 = 152 – 20P

20P = 152P = 7.6

Q S = 188P – 40 = 188P – 44 = 188PP = 0.02

CS = A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7.60 – $0.75)

= (0.5) × 137,000 × $6.85 = $469,225

PS = B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따라서 신문 균형가격은 0.75달러이다. 균형수량을 찾기 위해서는 균형가격을 수요곡선이나

공급곡선 중 하나에 대입해야 한다.

Q D = 152 – 20P Q S = 188P – 4

Q D = Q S 152 – 20P = 188P – 4

156 = 208PP = $0.75

Q D = 152 – 20P= 152 – 20(0.75)= 152 – 15= 137

Q S = 188P – 4= 188(0.75) – 4= 141 – 4= 137

Q D = 152 – 20P0 = 152 – 20P

20P = 152P = 7.6

Q S = 188P – 40 = 188P – 44 = 188PP = 0.02

CS = A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7.60 – $0.75)

= (0.5) × 137,000 × $6.85 = $469,225

PS = B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Q가 하루 신문 1,000부 단위로 측정됨을 기억하자. 따라서 균형수량은 하루 137,000부이다.

b.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를 계산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첫째,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그려야 한다. 각 곡선에 대해 점 2개를 찾을 수 있다. 첫 번째 점은 균

형점으로, 균형가격(0.75달러)과 균형수량(137)의 조합이다. 두 번째 점은 수요와 공급의 폐

색가격이다. 이 점은 다음과 같이 QD와 QS를 0으로 놓고 P에 대해 풀어 구할 수 있다.

Q D = 152 – 20P Q S = 188P – 4

Q D = Q S 152 – 20P = 188P – 4

156 = 208PP = $0.75

Q D = 152 – 20P= 152 – 20(0.75)= 152 – 15= 137

Q S = 188P – 4= 188(0.75) – 4= 141 – 4= 137

Q D = 152 – 20P0 = 152 – 20P

20P = 152P = 7.6

Q S = 188P – 40 = 188P – 44 = 188PP = 0.02

CS = A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7.60 – $0.75)

= (0.5) × 137,000 × $6.85 = $469,225

PS = B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Page 5: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70 제1부 기본 개념

응용

기술혁신의 가치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라는 개념을 갖추면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신제품의

도입에 대해 약식으로 분석해볼 수 있다. 경제학자들은 한 사회의 생활 수준을 높이는 데 있어

기술혁신과 새로운 재화가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기술혁신의 가치에 대한 어떤 논의에서든

신제품이 소비자에게 얼마나 많은 편익을 주는지 계산할 방법이 필요하다.

신제품의 가치 측정을 위해 간단히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은 사람들이 신상품 구매에 쓴 돈을

그냥 합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소비자들이 자신이 물건을 사는 데 지불한 가격보다

제품의 가치를 훨씬 더 높이 평가하기 때문에 이 접근법은 정확하지 않다. 하지만 소비자잉여는

소비자들이 자신이 지불한 가격 이상으로 제품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려주기 때문에

신제품의 가치를 제대로 측정한다.

새로운 재화시장에서의 잠재적 소비자잉여의 크기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수요곡선의 기울

기이다―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수요곡선이 가파를수록 소비자잉여는 커진다. 이것은 수요곡

선이 가파르면 적어도 일부의 소비자(수요곡선의 왼쪽 윗부분에 해당하는 소비자)는 그 재화에

대해 매우 높은 지불용의금액을 갖기 때문이다. (가격-수량 수요곡선 그림으로부터 이 점을 볼

수 있다. 먼저 균형시장가격을 나타내는 수평선을 그린다. 다음으로 기울기는 다르지만 같은

따라서 수요폐색가격은 7.60달러이고 공급폐색가격은 0.02달러이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아래 그림과 같이 그려진다. 소비자잉여는 수요곡선의 아래쪽이면

서 가격의 위쪽인 부분(A영역)이다. 그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D = 152 – 20P Q S = 188P – 4

Q D = Q S 152 – 20P = 188P – 4

156 = 208PP = $0.75

Q D = 152 – 20P= 152 – 20(0.75)= 152 – 15= 137

Q S = 188P – 4= 188(0.75) – 4= 141 – 4= 137

Q D = 152 – 20P0 = 152 – 20P

20P = 152P = 7.6

Q S = 188P – 40 = 188P – 44 = 188PP = 0.02

CS = A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7.60 – $0.75)

= (0.5) × 137,000 × $6.85 = $469,225

PS = B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생산자잉여는 가격의 아래쪽이면서 공급곡선의 위쪽인 부분(B영역)이다.

Q D = 152 – 20P Q S = 188P – 4

Q D = Q S 152 – 20P = 188P – 4

156 = 208PP = $0.75

Q D = 152 – 20P= 152 – 20(0.75)= 152 – 15= 137

Q S = 188P – 4= 188(0.75) – 4= 141 – 4= 137

Q D = 152 – 20P0 = 152 – 20P

20P = 152P = 7.6

Q S = 188P – 40 = 188P – 44 = 188PP = 0.02

CS = A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7.60 – $0.75)

= (0.5) × 137,000 × $6.85 = $469,225

PS = B의 면적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DS

신문 부수(천 부)

0.750.02

$7.60

137

가격(신문 1부당 달러)

0

AB

Page 6: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71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점에서 이 가격과 만나 균형수요량이 같은 수요곡선을 여러 개 그린다. 수요곡선이 가파를수록

소비자잉여를 나타내는 삼각형이 커짐을 볼 수 있다.)

안경을 예로 들어 살펴보자. 경제학자 Jeol Mokyr는 그의 책 The Lever of Riches(부의 지렛대)

에서, 1280년경의 안경 발명으로 장인들이 전에 비해 세밀한 작업을 수십 년 더 오래 할 수 있

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안경을 1280년경의 ‘신기술’로 본다면, 안경에 대한 수요곡선이 어떤 모

습일지 시각화할 수 있다. 1280년 당시 많은 사람들이 안경 없이는 잘 볼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

에, 수요곡선은 필시 매우 가팔랐을 것이다. 즉 안경에 대한 지불용의금액이 매우 높은 일군의

사람들이 있었다. 이는 또한 수요가 가격에 특별히 민감하지 않음을 암시한다. 수요곡선은 이

후 700년 동안 아마도 계속 가파른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마침내 20

세기 후반부에 첫 상용 콘택트렌즈가 출시되었다.

2장에서 우리는 대체재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면 수요가 보다 탄력적으로 된다는 사실을 배웠

다. 이것은 안경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콘택트렌즈가 이용가능하게 되자 안경 수요는 가격에

대해 보다 탄력적으로 되었다. 이런 탄력성 변화가 안경의 존재로부터 사람들이 얻는 소비자잉

여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그림 3.3이 답을 보여준다. 안경 수요 D1이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1950년의 소비자잉여는 크다. 더 잘 보기 위해서는 안경 말고 다른 대안이 없었다. 소비자잉여

는 가격 위쪽이면서 D1 아래쪽인 부분, 즉 A+B의 면적이다. 가격이 P보다 훨씬 높아도 안경

을 사려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것이 비탄력적인 수요곡선이 의미하는 바이다.)

콘택트렌즈가 이용가능하게 되자 안경 수요는 D2와 같이 훨씬 더 탄력적이 되었다. 균형에서

전과 같은 수의 사람이 안경을 구입한다고 해도, 이제는 대안이 있기 때문에 안경 가격이 많이

올라가면 많은 사람들이 안경을 더 이상 구입하지 않게 된다. 그림은 콘택트렌즈가 출시된 이후

안경으로부터의 소비자잉여가 감소함을 보여준다. 전에 비해 완만한 새로운 수요곡선의 아래쪽

이면서 가격 위쪽인 부분은 B영역에 지나지 않는다.

콘택트렌즈가 이용가능하게 된 이후, 안경은 소비자들에게 전만큼 가치를 갖지 못한다. 시력

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안경이 시력을 교정할 유일한 방법이라면 안

D1은 인기 있는 대체재인 콘택트렌즈가 발명되기 전인

1950년의 안경 수요를 나타낸다. D1은 상대적으로 비

탄력적이며 총소비자잉여는 A+B로 크다. D2는 콘택

트렌즈가 출시된 이후의 안경 수요를 나타낸다. D2는

이제 상대적으로 탄력적이며 총소비자잉여 B는 상대적

으로 작다.

그림 3.3 소비자잉여와 수요의 탄력성

가격(안경 1개당 달러)

0 안경 수량(개)

P

Q

시장가격D2

D1

A

B

Page 7: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72 제1부 기본 개념

경을 사는 데 수천 달러를 내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300달러에 콘택트렌즈를 살 수 있게 되면

안경에 대해 지불하려는 금액에 한계가 생긴다. 200달러를 주고 여전히 안경을 살 수도 있지만

안경에 절대 1,000달러를 쓰려고 하지는 않을 것인데, 소비자잉여의 변화는 이런 변화를 나타

낸다. 안경이 시력을 교정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안경은 기적의 발명품이다(그래서 큰 소비자

잉여를 낳는다). 소비자잉여는 사람들이 재화에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금액에 의해 결정된다

는 점을 기억하자. 이 최대가격은 대안이 생기면 감소한다. 시력 교정을 위한 대안적 방법이 이

용가능해지면 안경은 실질적 필수품이라기보다는 선택사항 중 하나에 지나지 않게 되고, 안경

과 연관된 소비자잉여는 감소한다.

이 예를 보고 기술혁신이 잉여를 파괴한다는 걱정이 든다면, 대체재가 그 자신의 잉여를 창

출한다는 점을 기억하기 바란다. 각 대체제마다 그에 대한 수요곡선이 있으며, 이 수요곡선의

아래쪽이면서 대체재 가격의 위쪽인 영역 역시 소비자잉여이다. 예를 들어 콘택트렌즈 발명은

안경이 주는 소비자잉여를 감소시키지만 새로운 콘택트렌즈 시장에서 대규모의 잉여를 창출

한다. ▒

응용

라식수술은 환자들에게 얼마의 가치가 있을까?

흔히 라식수술이라고 알려진 레이저 각막 회복 수술은 시력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안경과

콘택트렌즈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수술 시 의사는 시력 개선을 위해 레이저를 이용해 각막의

모양을 바꾸는데, 보통 환자들이 콘택트렌즈를 끼지 않아도 될 정도로 시력을 개선한다.

라식수술이 수술을 받는 환자에게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알고 싶다고 하자. AllAboutVision.

com에서 의뢰한 시장조사에 따르면 평판이 좋은 의사가 수술할 때 수술비는 2010년에 회당 약

2,150달러였다. 2010년에 800,000회의 라식 수술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새로운 수술의

가치에 대한 간단한 추정치는 수술 횟수에 비용을 곱하는 것이다(800,000×2,150달러, 즉 약

17억 달러). 하지만 독자들은 이러한 가치 척도가 수술이 소비자에게 주는 편익에 대한 정확한

척도가 아니라는 사실을 지금쯤은 이미 알아차려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지불한 가격보

다 수술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기 때문이다. 편익 전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소비자잉여, 즉

사람들이 지불하는 것 이상으로 받는 편익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이 계산을 시작하려면 라식수술에 대한 수요곡선이 필요하다. 안경과 콘택트렌즈가 라식수

술의 대체재이므로 수요곡선은 대체재가 없는 경우에 비해 더 완만할 것이다. 만약 라식수술이

시력 문제를 교정할 유일한 방법이라면 현재 미국에서 교정용 렌즈를 끼고 있는 거의 7,000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은 라식에 큰돈을 지불할 용의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안이 존재하기 때문

에 라식 가격이 너무 많이 오르면 많은 사람들이 라식을 택하지 않을 것이고, 이는 라식 수요곡

선이 그다지 가파르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라식수술에 대한 가상적이지만 현실적인 2010년의 수요곡선은 다음과 같다.

Q LASIK = 2,400,000 – 750 P LASIK

CS = 1 _ 2 × 밑변 × 높이

= 1 _ 2 × (판매량) × (수요폐색가격 – 실제가격)

Q LASIK = 0 = 2,400,000 – 750 P DChoke

750 P DChoke = 2,400,000

P DChoke = 2,400,000/750 = 3,200

CS = 1 _ 2 (판매량)( P DChoke – 실제가격)

= 1 _ 2 (787,500)($3,200 – $2,150)

= 1 _ 2 (787,500)($1,050)

= 4억 1,300만 달러

PS = area B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Page 8: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73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여기서 QLASIK은 라식수술 수요량이며 PLASIK은 눈 하나를 수술하는 가격이다. 회당 가격 2,150

달러를 대입하면 수요량으로 수술 787,500회를 얻는데, 이것은 2010년 추정치와 비슷하다. 수

요곡선이 그림 3.4에 그려져 있다. 이 수요곡선을 이용해 라식으로부터의 소비자잉여를 알아낼

수 있다.

소비자잉여는 수요곡선의 아래에 있지만 가격 위에 있는 삼각형의 면적이다.

Q LASIK = 2,400,000 – 750 P LASIK

CS = 1 _ 2 × 밑변 × 높이

= 1 _ 2 × (판매량) × (수요폐색가격 – 실제가격)

Q LASIK = 0 = 2,400,000 – 750 P DChoke

750 P DChoke = 2,400,000

P DChoke = 2,400,000/750 = 3,200

CS = 1 _ 2 (판매량)( P DChoke – 실제가격)

= 1 _ 2 (787,500)($3,200 – $2,150)

= 1 _ 2 (787,500)($1,050)

= 4억 1,300만 달러

PS = area B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이 수요곡선에서 수요폐색가격(PDChoke)은 QLASIK이 0일 때 나타난다. 즉 다음과 같다.

Q LASIK = 2,400,000 – 750 P LASIK

CS = 1 _ 2 × 밑변 × 높이

= 1 _ 2 × (판매량) × (수요폐색가격 – 실제가격)

Q LASIK = 0 = 2,400,000 – 750 P DChoke

750 P DChoke = 2,400,000

P DChoke = 2,400,000/750 = 3,200

CS = 1 _ 2 (판매량)( P DChoke – 실제가격)

= 1 _ 2 (787,500)($3,200 – $2,150)

= 1 _ 2 (787,500)($1,050)

= 4억 1,300만 달러

PS = area B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따라서 라식으로부터의 소비자잉여는 다음과 같다.

Q LASIK = 2,400,000 – 750 P LASIK

CS = 1 _ 2 × 밑변 × 높이

= 1 _ 2 × (판매량) × (수요폐색가격 – 실제가격)

Q LASIK = 0 = 2,400,000 – 750 P DChoke

750 P DChoke = 2,400,000

P DChoke = 2,400,000/750 = 3,200

CS = 1 _ 2 (판매량)( P DChoke – 실제가격)

= 1 _ 2 (787,500)($3,200 – $2,150)

= 1 _ 2 (787,500)($1,050)

= 4억 1,300만 달러

PS = area B = 1 _ 2 × 밑변 × 높이 = (0.5) × (137,000 – 0) × ($0.75 – $0.02)

= 0.5 × 137,000 × $0.73 = $50,005

이 계산은 2010년에 라식수술을 받은 사람들은 지불한 비용보다 4억 1,300만 달러 더 높게 라

식수술의 가치를 평가했다는 것을 뜻한다. 수술에 지불한 돈은 약 17억 달러지만 25% 더 지불

라식수술에 대한 수요곡선은 식 Q=2,400,000−750P로 나타

난다. 음영으로 표시된 삼각형은 라식 시장의 소비자잉여를

나타낸다. 실제가격(2,150달러), 폐색가격(3,200달러), 균형판

매량(787,500)을 이용해 삼각형의 높이(수요폐색가격−실제

가격)과 밑변(판매량)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총소비자잉여

식은 CS= 12 ×(판매량)×(수요폐색가격−실제가격)이며, 이

를 계산하면 약 4억 1,300만 달러의 소비자잉여를 얻는다.

그림 3.4 라식수술의 가치 측정하기

가격(수술 1회당

달러)

0 연간 수술 횟수

$3,200

787,500

2,150

소비자잉여

수요Q = 2,400,000 – 750P

Page 9: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74 제1부 기본 개념

할 용의가 있었던 것이다. 몇십 년 전만 해도 라식이 상품으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라식의

가치는 수술이 발명되고 시장이 세워진 다음에야 창출되었다. 이 예는 소비자들을 더 잘 살게

만들고 생활 수준을 높이는 데 있어 새로운 재화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같은 종류의 계산을 통해 시장의 생산자잉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다음 절에서 그러한 예를

볼 것이다. ▒

시장 조건의 변화에 따른 이득과 손실의 배분

우리가 정의한 생산자잉여와 소비자잉여의 좋은 점 중 하나는 어떤 변화가 생산자나 소비자에

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 2장에서 수행한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2장에

서 우리는 공급과 수요에 대한 충격이 가격, 수요량, 공급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학습했다.

이제 우리는 이런 충격이 생산자와 공급자가 시장 참여로부터 얻는 편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보일 수 있다.

그림 3.5는 도넛 시장의 원래 공급과 수요를 보여준다. 시장가격이 P1일 때 도넛 구매자의 편

익은 그들이 도넛 사는 데 지불한 가격보다 크다(소비자잉여 영역인 A+B+C+D에 나타남).

마찬가지로, 도넛 생산자가 도넛을 만드는 데서 얻는 편익은 그들이 도넛을 파는 가격보다 크다

(생산자잉여 영역인 E+F+G에 나타남).

이제 도넛 시장에 충격이 발생한다고 하자. 베리 종류의 작황이 좋지 않아 도넛에 채워 넣는

S1과 D는 원래의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이다. 시장가격이 P1

일 때 소비자잉여는 A+B+C+D영역이며 생산자잉여는

E+F+G영역이다.

도넛 생산비용이 상승하면 공급곡선이 S1에서 S2로 왼쪽

으로 이동하게 된다. 새로운 균형가격(P2)과 균형수량(Q2)

에서 소비자잉여는 A영역으로 축소되었다. 새로운 생산자

잉여는 B+E로 나타난다. 공급 이동이 생산자잉여에 미치

는 영향은 불확실하다. 이런 불확실성이 나타나는 이유는

균형수량 하락은 생산자잉여를 (F+G영역만큼) 감소시키

는 역할을 하는 반면, 균형가격 상승은 생산자잉여를 (B영

역만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림 3.5 공급 이동에 따른 잉여 변화

가격(도넛 1개당 달러)

0 일일 도넛 수량

P2

A

C D

E

F

G

Q2

S2 S1

D

P1생산비용 상승

변화 이전 소비자잉여변화 이후 소비자잉여변화 이전 생산자잉여변화 이후 생산자잉여

A + B + C + DA E + F + GB + E

상실된

생산자잉여

소비자잉여에서 생산자잉여로 전환되는 부분

상실된소비자잉여

Q1

B

Page 10: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75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젤리 가격이 올랐다. (제과점에서 사용하는 속이 진짜 과일을 함유한다고 가정한다!) 이 충격이

발생하면 도넛 생산비가 오르고, 공급자는 어떤 가격대에서도 전과 같은 양의 도넛을 공급하려

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넛 공급이 감소하는데, 이는 도넛 공급곡선이 S1에서 S2로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젤리 가격 충격에 대응해 도넛 균형가격은 P2로 상승하고 도넛 시

장에서 매매되는 도넛 수량은 Q2로 하락한다.

이 변화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균형가격 상승과 균형수량 하락

은 둘 다 소비자잉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림 3.5의 삼각형 A+B+C+D에 비해 삼

각형 A는 훨씬 작다. 이와 같은 가격 및 수량효과는 공급곡선이 안쪽으로 이동하면 소비자잉여

가 반드시 감소함을 보여주지만, 이런 변화가 생산자잉여에 미치는 충격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법칙이 없다. 공급 이동에 따른 균형수량 하락은 생산자잉여를 감소시키지만 가격 상승은 생산

자잉여를 증가시킨다. 이 상반되는 효과를 그림 3.5에서 볼 수 있다. 공급곡선 이동 전의 생산

자잉여 중 일부, 구체적으로는 원래 공급곡선과 새로운 공급곡선의 사이면서 수요곡선의 아래

쪽인 G+F영역이 사라진다. 하지만 가격 상승에 따라 전에는 소비자잉여였던 부분 중 일부가

생산자잉여로 전환된다. 이 전환된 부분이 B영역이다.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대한 이러

한 효과는 공급곡선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면 반대가 된다.

수요 이동의 효과에 대해서도 비슷한 분석을 할 수 있다. 수요가 안쪽으로 이동하면 균형가

격과 수량이 하락하는데, 이 둘 모두 생산자잉여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소비자잉여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하다. 균형수량 감소는 소비자잉여를 감소시키지만 이런 감소는 가격 하락에 의

해 상쇄된다. 공급이 이동한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하지만 방향은 반대이다), 수요곡선이 안

쪽으로 이동하면 전에는 생산자잉여였던 것 중 일부가 소비자에게 이전된다. 이러한 효과를 다

음의 응용에서 살펴본다.

응용

9/11은 항공산업에 얼마나 피해를 끼쳤는가?

테러리스트들이 2001년 9월 11일 미국을 공격한 이후 비행기 여행에 대한 수요가 대폭 감소하

였고, 이에 따라 항공산업은 큰 시련을 겪었다. 많은 의회 지도자들이 항공산업이 입게 된 손실

을 보상해주려고 했는데, 그 금액이 얼마인지에 대해서는 큰 논란이 있었다. 공급과 수요를 통

한 산업 분석과 소비자잉여 및 생산자잉여라는 도구를 이용해 9/11 이후 항공사들이 겪은 생산

자잉여 감소를 추정할 수 있다.

미국교통국 통계에 따르면 2000년 4사분기(10월부터 12월)에 약 1억 4,890만 건의 탑승이 있

었다(탑승의 정의는 승객 1명이 비행기를 타는 것이다).5 9/11 이후 처음 맞는 온전한 사분기

인 2001년 4사분기에는 탑승이 1억 2,360만 건에 불과해 전년도에 비해 17%가 감소했다. 교통

5 탑승(enplanement)은 항공업계에서 수량을 측정하는 여러 표준적인 척도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로스앤젤레스에

서 시카고까지 직항으로 왕복 여행을 하면 여행 중 비행기에 두 번 타게 되기 때문에 두 번의 탑승으로 간주된다.

수입승객마일(revenue passenger mile, 유료승객이 비행한 마일 수)과 같은 다른 수량척도를 사용해도 답은 매우 비

슷하다.

Page 11: 3.1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시장에서 이득을 보는 …제3장 공급과 수요를 이용한 시장 분석 69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4 기업의 생산자잉여는

76 제1부 기본 개념

국 데이터에 따르면 2000년 4사분기에 탑승당 항공사가 받았던 평균 항공료는 122.22달러였다.

2001년의 4사분기에 이 평균 수입은 104.82달러로 하락했다. 이와 같은 평균 수입 변화는 양 기

간에 걸친 가격 변화를 측정한다.

업계에 미친 피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생산자잉여를 계산해야 한다.6 9/11이 수요곡선을 안

쪽으로 이동시켰으며 편의상 공급곡선에는 변화가 없었다고 하자. 모든 가격대에서 소비자들이

전에 비해 비행기 여행을 더 적게 한다. 이러한 이동이 그림 3.6에 나타나 있다. 모형이 암시하

는 바와 같이 이에 따라 가격과 수량이 감소했다.

그림 3.6은 수요곡선이 이동할 때 생산자잉여가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9/11 이전에 생산자

잉여는 공급곡선의 위쪽이면서 가격의 아래인 A+B+C영역이었다. 9/11 이후 가격과 수량이

하락하고 생산자잉여는 C영역으로 떨어졌다. 그러면 항공사에 미친 손실은 A+B영역이다.

이 시장의 생산자잉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공급곡선식을 알아야 한다. 공급곡선이 선형이

라고 가정하면 두 균형점의 데이터를 이용해 역공급곡선식을 도출할 수 있다. 공급곡선의 기울

기는 균형수량 변화에 대한 균형가격 변화의 비다.

기울기 = P 2 − P 1 _ Q 2 − Q 1

= $122.22 − $104.82 __ 148.9 − 123.6 = 0.688

기울기를 알아냈으므로 균형점 중 하나(둘 다면 더 좋다!)를 이용해 공급폐색가격(공급곡선

의 세로절편)을 알아낼 수 있다.

122.22 = P SChoke + 0.688(148.9) 또는 104.82 = P SChoke + 0.688(123.6)

P SChoke = 122.22 − 102.44 P SChoke = 104.82 − 85.04

= $19.78 = $19.78

6 분석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정부가 직접 비용을 대주지 않은 강화된 보안규정에 따라 발생한 비용 상승이 공급에 미

친 소규모의 영향은 무시한다.

9/11 이후 비행기 여행 수요곡선은 D2000에서

D2001로 안쪽으로 이동했다. 2000년에는 균

형가격과 균형수량이 각각 122.22달러와 1억

4,890만 회의 탑승이었으며, 생산자잉여는 음

영 표시된 전체 부분인 A+B+C였다. 9/11 이후 균형가격과 균형수량은 각각 104.82달러와 1억 2,360만 회의 탑승이었으며, 생산자

잉여는 C영역으로 축소되었다. A+B영역이

항공사의 생산자잉여 감소를 나타내며 23억

달러를 상회했다.

그림 3.6 항공사와 9/11

가격(탑승 1회당

달러)

0 탑승 횟수(백만 회)

19.78

148.9123.6

$122.22

104.82AB

C

S

D2000D2001

변화 이전의 생산자잉여변화 이후의 생산자잉여

A + B + C C

공급폐색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