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19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축제 프로그램 분석 을 통하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해양신도시 개발사업의 시작인 마산서항지구 장소자산을 활용하고자 하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개최된 3년간의 창원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2010년부터 2012년 3년간의 축제 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가고파국화축제가 창원 지 역의 문화축제에 그치지 않고 전 국민의 지지를 얻는 동시에 외국인 관광객을 보다 많이 유치하 기 위해서는 축제의 질적 성장과 더불어 무학산과 마산 어시장 등 지역의 다양한 문화관광자원과 의 연계를 통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의 도입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주제어 | 가고파국화축제, 지역축제, 장소자산, 축제프로그램 ** ***

Transcript of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Page 1: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장소자산을 활용한 창원 가고파국화축제

활성화 방안*

- 축제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양 진 연(Yang, Jin-Youn)**⦁선 종 갑(Sun, Jong-Gab)***⦁고 호 석(Ko, Ho-Seok)****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축제 프로그램 분석

을 통하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해양신도시 개발사업의

시작인 마산서항지구 장소자산을 활용하고자 하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개최된 3년간의 창원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2010년부터 2012년 3년간의 축제 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가고파국화축제가 창원 지

역의 문화축제에 그치지 않고 전 국민의 지지를 얻는 동시에 외국인 관광객을 보다 많이 유치하

기 위해서는 축제의 질적 성장과 더불어 무학산과 마산 어시장 등 지역의 다양한 문화관광자원과

의 연계를 통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의 도입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주제어 | 가고파국화축제, 지역축제, 장소자산, 축제프로그램

Ⅰ. 서 론

주 5일 근무제의 도입과 2014년 대체 공휴일제의 도입으로 여가시간의 증대와 함께 여가생활

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됨에 따라 지역에서 개최되는 이벤트나 축제에 대한 관심 속에 지

역을 방문하는 관광객도 급증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는

이벤트나 지역축제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으로 지

역간의 접근성이 매우 용이해진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들은 다양한 이벤트나 축제를 개최해 외부관광객을 방문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주민의 화합, 지역경제의 활성화,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해 노력

하고 있다(양길승, 2009; 고계성, 2012). 그런데 최근 지역축제는 관광객의 관심과 욕구, 호기심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이 부족하고 축제들 간의 프로그램 차별화 부재, 프로그램의 주제 일치성 부족

으로 인한 프로그램의 질적 저하로 방문객의 불만과 재방문율 감소하는 등 이는 지역축제의 부

* 본 연구는 2013년 가고파국화축제 상설전시장 기본계획 보고서를 수정·보완하여 이루어졌음.** 대구대학교 관광축제연구소 연구원. [email protected].*** 경남대학교 경상대학 관광학부 교수, jksun@kyungnam,ac.kr**** 경남대학교 경상대학 관광학부 조교수, [email protected]

Page 2: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실 경영으로 이어져 세수의 낭비 등 큰 문제가 되고 있다(김철원·이석호, 2001; 이장주·양희재,

2005; 이승곤·한지훈, 2005; 변충규·하환호, 2012; 고호석, 2013).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는 최근 이벤트나 축제 개최 ‘장소’에 대한 관심이 집중

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차별화가 어려운 지역 축제의 이미지에 지역 고유의 장소는 차별화를 통

한 이미지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지자체의 차별화된 고유 장소자산의

개발을 통한 마케팅 전략은 지역정체성 제고 및 지역 경제 활성화 견인과 특성화하고 조화된 지

역 문화유산개발과 그 이미지 창출에 따른 사회적 연대감과 대중적 자부심을 이끄는데 도움이

된다. 즉, 지역축제의 장소 자산을 통한 축제 프로그램 모색은 차별화가 어려운 지역축제에 새로

운 지역 이미지 형성과 새로운 즐거움을 가져다 줄 것이다. 그런데 지자체의 고유 자산인 장소자

산의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축제의 장소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창원(옛 마산)은 국화시배지라는 역사적 의미가지고 있다. 그리고 창원은 지금 해양신도시 계

획아래 마산서항이라는 워터프론트 공간을 계획중에 있다. 따라서 축제 장소가 가지고 있는 특징

과 축제 장소의 매력성을 극대화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재구성

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축제 프로그

램 분석을 통하여 축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범위는 해양신

도시 개발사업의 시작인 마산서항지구 장소자산을 활용하고자 하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개최

된 3년간의 창원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축제

인류학에서의 축제(祝祭)는 축(祝)과 제(祭)가 어우러진 문화형식이라 정의하였다(류정아,

2003). 인간에게 축제는 신에게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祭)를 통해 그들의 공동체를 더욱 결

속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의 역할을 하였다(문화관광부, 1996). 우리나라의 축제 기원은 종교적

제천의식의 성격이 강하다. 예를 들어 고대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나라의 무

천(舞天)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축제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박경민, 2013). 제(祭)를 올리는 기

간 동안 사람들은 하늘과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다 같이 음주가무(祝)를 즐겼는데 이러한 행위는

정치적, 사회·문화적 성격이 포함되어있다(문화관광부, 2007).

서양에서의 축제는 festival로 라틴어의 festivali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성일(聖日)을 의미하

며 태양신을 위한 태양제를 예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축제는 종교의식

에서 출발한 행위임을 알 수 있다. 현대적 의미의 축제로 event는 라틴어의 e(밖으로)와 venir(오

다)의 뜻을 가진 의미로 evenire의 파생어인 eventus에서 유래되었다. 즉, 기존의 것과 다르게 무

언가 발생되는 일로 해석된다. 이처럼 축제는 개인 또는 공동체에 특별한 의미가 있거나 결속력

을 주는 사건이나 시기를 기념하여 의식을 행하는 행위로 이해된다(김대범, 2012). 그런데 이러한

축제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쳐 제의(祭儀)적, 정치적 성격은 사라지고 유희적, 상업적 성격의 축

제로 변화하게 되었다(박경민, 2013).

우리나라의 지역축제는 199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각 지역의 특색을 가진 축제로 급속하게 성

Page 3: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장하였다(이애리·박정하·송래헌, 2010). 왜냐하면 지역축제는 지역주민의 애향심이나 역사의식을

고취시키며 단결과 단합, 공동체 의식 등을 통하여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지역의 관광 및 산업을

발전시켜 대외적 이미지 제고하는 등, 외부사회와의 다원적인 교류를 통해 실질적인 지역발전을

추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강형기, 1999; 문화관광부, 2006). 지역축제는 막대한 자본과 기반

시설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매력적인 관광상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강점 때문에 많은 지자체들

은 그 지역의 고유 역사나 문화, 자연자원 등을 소재로 지역축제를 관광상품으로 육성하고자 노

력하고 있다(홍장원·이윤정, 2008). 이렇듯 지방 자치 단체들은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지역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축제와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는데(정성호·주수현, 2009), 2012년 기준 국내

의 지역축제는 서울 113개, 경남 85개, 강원 78개, 경기 73개, 충남 63개, 충북 51개, 전북 48개,

경북 43개, 부산 39개, 전남 38개, 대구 29개, 인천 31개, 제주 28개, 광주·대전 14개, 울산 11개로

전체 758개로 집계되었다(문화체육관광부, 2012). 이 중 대표축제(강진 청자문화제, 진주남강유등

축제)로 평가받는 축제는 8억의 정부 지원을 받고 최우수축제는 3억, 우수축제는 1억5천만원, 유

망축제는 4천 2백만원의 지원을 받는 등 지역축제를 포함한 관광축제를 정부차원에서 적극 지원

하고 있다(이영기·이덕우·이충기, 2003; 문화체육관광부, 2012).

그러나 이러한 적극적인 정부지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지역축제는 관광객의 관심과 욕구,

호기심을 자극하는 프로그램 부족과 축제들 간의 프로그램 차별화 부재, 프로그램의 주제 일치성

부족으로 인한 프로그램의 질적 저하로 방문객의 불만과 재방문율 감소 등 지역축제의 부실적

경영으로 이어져 세수 낭비 등 큰 문제가 되고 있다(김철원·이석호, 2001; 이장주·양희재, 2005;

이승곤·한지훈, 2005).

예를 들어 대부분의 지역 축제는 지역축제의 소재유형(지역특산물, 전통문화, 역사인물, 문화예

술, 지역특성, 자연환경)을 중심으로만 축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대표축제나 최우수축제 등

의 축제 프로그램을 그대로 벤치마킹하는 등으로 인해 지역 축제와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 장소자산

장소자산(place asset)이란 한 장소가 가지고 있거나 혹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어 개발하였을 때

매력적으로 판매될 수 있는 유·무형의 문화자원을 말한다(Stopper, 1997). 또한 한 장소가 가지고

있는 장소의 요소 중 긍정적 요소, 즉 장소의 매력으로 기능하고 있거나 혹은 잠재성을 가지고

개발하였을 때 매력적으로 판매가 될 수 있는 유·무형의 자원이다(Kotler, Haider & Reing,

1993). 장소자산의 특성은 비복제성, 장소정체성, 비대체성, 영역배태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바꾸

어 말하면 영역자산, 경쟁자산, 지역 의존적 자산, 장소 배태적 자산, 향토 자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처럼 장소자산은 지역특성과 고유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그것을 개발하

거나 새로운 자원발굴이 요구된다(이종수, 2010).

장소자산이라는 용어는 영역자산(territorial asset)이라는 개념을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수용하면서 번역된 용어이다(안덕초·신현정·김용근, 2010). 지역의 장소자산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영향력 있는 자원은 첫째, 지역의 문인, 둘째, 지역의 역사적 학자, 선

비, 셋째, 지역의 기후나 문화 자원 등이다(이종수, 2010). 따라서 장소의 상품화를 통해 나타나는

지역간 경쟁에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고유의 영역자산 개발이 필수적이다. 장소와 관련된 자

원은 타 지역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해당지역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된다.

Page 4: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구 분 총 계 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진해구

면 적 (㎢) 744.26 211.22 82.09 240.23 90.58 120.14

<표 1> 창원시 행정구역별 면적

지역개발에서 지역주민의 삶의 양식이 변화하고 장소가 변화하듯 장소성 역시 시간에 따라 변

화할 수 있으며 특히 경쟁력있는 장소자산이 없는 경우, 기존 장소이미지가 약하거나 부정적인

경우 이를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다(유우익, 2004). 이때 이무용(2006)은 기존이미지 강화방법, 이

미지 변화방법, 새로운 이미지 창출방법 등으로 분류하여 잠재적 자산과 상대적 가능성 자산 그

리고 기존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전략을 도입함으로써 지역경제와 공동체의 활성화를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장소자산을 상품화하여 팔기 위한 장소 마케팅(Marketing places)의 전략은 네 가지로 나뉜다.

먼저 이미지 마케팅 활동, 매력물 마케팅 활동, 간접시설 마케팅 활동, 그리고 사람 마케팅 활동

으로 나눠진다(Kotler, 1993). 첫째, 이미지 마케팅 활동은 다양한 연출을 통해서 지역의 현재 있

는 것을 타인에게 보여주는 것으로 지역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를 과학

기술이나 연출을 통해 아름답게 포장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매력물 마케팅 활동은 지역주민

들 뿐 아니라 지역을 찾아오는 외부인들에게 지역 특성 및 이미지와 부합되는 매력물을 만들어

보여 주는 것으로 예컨대, 다양한 박물관의 형태가 여기에 해당된다. 셋째, 간접시설 마케팅 활동

은 교육, 환경, 은퇴한 노인들을 위한 거주 공간시설, 음식, 숙박 등 도시발전의 다양한 기능을 통

해 사람들을 유인하는 방법이다. 넷째, 사람 마케팅 활동은 지역의 순박함과 친절함의 판매를 통

해 외부인들을 끌어들이는 방법으로 진정성 마케팅의 기본은 인프라 확충, 서비스 정신과 친절이

며, 여행 장소의 숨겨진 이야기를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달려 있다(이종수, 2010).

본 연구에서는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장소자산을 입지, 관광환경, 마산서항 시설공간배치,

SWOT분석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1) 입지

① 위치

창원시는 부산광역시와 함께 한반도의 동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마산만과 진해만

이 위치하고 있고 북쪽으로는 함안과 밀양, 동쪽으로는 부산과 김해, 서쪽으로는 고성군이 위치하

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경남 중부 남해안에 자리하여 중서부 경남 및 호남지방을 연결하는 경전

선 철도 및 남해고속도로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영남내륙지역과 교류를 원활히 해주는 구

마고속도로 등이 지나고 있는 내륙교통요충지이며, 남해안 해상교통의 요지로 지방상공업 발전과

교육증대에 좋은 조건을 갖춘 유통 중심지이다. 창원시는 한반도의 동남단, 경상남도의 중부남단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산, 부산, 사천을 연결하는 동남임해 중화학공업지역내의 대규모 기계

공업단지로서 경남 중부지역 산업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창원시는 2010년 7월 1일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 전국 최초 성공적 행정통합 모델을 창조하여 동남 광역경제권 제

1의 성장거점도시로 도약하고 있는 도시이다.

② 행정구역

2010년 7월 1일 통합 창원시 출범으로 창원・마산・진해시를 통합한 행정구역 면적은 현재

744.26㎢로 경상남도 전체 면적의 7.1%를 차지하고 있으며, 행정구역은 의창구・성산구・마산합포구・마산회원구・진해구 5개구를 중심으로 2개 읍, 6개 면, 54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Page 5: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구 분 내 용

축 제가고파국화축제, 진해 군항제, 창원페스티벌, 천주산진달래축제, 만날제, 불꽃낙화&미더

덕축제, 어시장 축제, 문창제놀이, 삼진줄다릭, 마산오광대놀이, 창원남산상봉제

산·계곡광려산, 구룡산, 기타산, 대암산, 마금·천마산, 무학산, 백월산, 불모산, 비음산, 서북산,

시루봉, 여항산, 용추계곡, 용추폭포, 장복산, 적석산, 정병산, 천자봉, 천주산, 팔용산

공원

용지공원, 국화공원, 남산공원, 평산공원, 상남공원, 반송공원, 가음정공원, 대원레포츠

공원, 삼동공원, 올림픽공원, 내동공원, 중앙체육공원, 가음정체육공원, 장미공원, 젊은

이의 광장, 대방녹지공원, 상남분수광장, 삼정자전통놀이공원, 진동근린공원, 만날공원,

서항공원, 구항공원, 산호공원, 자산솔밭공원, 양덕삼각지녹지, 팔룡근린공원, 제황산공

원, 풍호공원, 장복산공원, 흰돌메공원, 진해해변공원(진해루)

해안·섬 소쿠리섬, 수도, 수치해안, 연도, 우도, 잠도, 초리도, 해안관광도로

유원지/

생태계

돝섬해상유원지, 마금산온천, 봉암갯벌생태학습장, 봉암수원지, 서원곡유원지, 주남저수

지, 진해파크랜드, 창원의 집

체험/예술

마을

광리차문화학교, 구복예술촌, 단비도예마을, 미천팜스테이, 부재산방, 양촌마을폐교미술

전시장, 염색체험, 진해예술촌, 창동예술촌

명물거

낙엽거리, 대정주물럭거리, 바다장어거리, 벚꽃거리, 북마산가구거리, 불종거리,신마산통

술거리, 오동동복요리거리, 오동동아구요리거리, 오동동통술거리, 진동민물장어거리

기타

관광지

마산항야경, 삼포로 가는 길 노래비, 안민도로, 양촌온천, 진해카페리, 팔용산돌탑, 하늘

마루

<표 2> 창원시 주요 관광자원 현황

구 분 대표 도입시설 면적(㎡)

상징공간 추모광장, 상징광장, 추모의 거리 등 45,359㎡

문화예술공간 커뮤니티센터, 마산항박물관,뮤직가든 등 58,638㎡

<표 3> 마산 서항지구의 공간별 개요

구 성 비 (%) 100 28 11 32 12 16

읍 면 동 (개) 62 8 7 19 13 15

자료 : 창원시 통계연보 2011년, 마산항 서항지구정비기본계획.

2) 관광환경

① 관광자원 현황

창원시를 대표하는 관광자원으로는 가고파국화축제, 진해 군항제 등과 같은 축제행사와 마금산

온천, 주남저수지 등 주변의 자연경관 및 기념물과 같은 다수의 관광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자료 : 창원시청 문화관광 홈페이지(2013)

3) 축제 개최지의 공간별 시설배치 현황

현재 개발중인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대상지인 마산 서항지구는 크게 5개의 주제공간으로 구

분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각각의 명칭은 상징공간, 문화예술공간, 중심공간, 레포츠공간, 해양생태

체험공간으로 나누어 계획하고, 세부 공간별 주제에 따른 건축물, 친수시설물 등이 조화롭게 어우

러지도록 계획되고 있다.

Page 6: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중심공간 중앙광장, 수상무대, 안전체험센터 43,058㎡

레포츠공간 물놀이장, 미로원, 풋살장, 게이트볼장 등 44,646㎡

해양생태체험공간 썬큰광장, 해안생태체험원, 피크닉장 등 23,854㎡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

• 국화시배지로서의 역사성

• 접근성

• 연계관광자원 풍부

• 마산서항으로서 바다인접

• 항만의 역사성 풍부

• 해양오염, 침수 및 재해

• 마산지역의 도시경제 침체

• 축제장소로서 협소한 공간적 제약

• 축제장소의 임시성

• 관광객 수용시설 미흡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 통합시 출범에 따른 도시규모 확대

• 해양신도시 건설 계획에 따른 입지위상 및 도시공간 구조변화

• 마산서항 개발에 의한 축제활용 공간 확대

• 관광수요 증가 및 방문객 증가

• 국제회의 도시로서 국제회의 유치 및 전시산업 발전

• 공업화에 따른 수질오염 축적

• 해양신도시 건설에 따른 해양경관 저해

• 기후변화에 따른 침수 및 재해

• 주변대도시의 관광객 유치 과당경쟁

다음은 마산 서항지구의 시설 배치계획도는 아래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시설배치 계획도

4) 마산서항 장소자산 SWOT분석

마산 서항이 가고파국화축제 개최장소로서의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케팅 전

략 수립과 가고파국화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

기 위하여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부적으로 마산 서항이 가지고 있는 국화축제 장소로서의

장점과 약점, 외부적으로 기회와 위협요인을 한눈에 보기 쉽게 도표화 하였으며, 그 내용은 아래

의 <표 4>와 같다.

<표 4> 가고파국화축제 개최장소로서의 SWOT 분석

Page 7: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3. 축제프로그램

프로그램이란 이벤트 혹은 지역 축제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를 일컫는 것으로서 물리적

측면과 활동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김계섭, 1995).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일련의 의도적

인 행위, 이벤트, 혹은 표현들로 구성되어 행사에 제공되는 활동을 후원하고 정당화하는데 이용되

는 계획안이나 이론의 내용을 구체화하여 참가자들에게 전달할 목적으로 이루어진다(이준엽ㆍ유

정림·조현민·조태영, 2005).

축제의 핵심은 프로그램에서 얻어지는 체험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방문객의 체험요인은 일탈감,

지적체험, 대인교류, 자연 친화, 모함 이색체험, 창의적 체험 등 체험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체험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한다고 하였다(손선미, 2006). 그리고 축제 프로그램은 축제의 본질이며, 지

역주민이나 축제참가자들에게 참여하고자 하는 매력물을 제공하는 역할과 축제 개최목적이나 주

제를 나타내는 안내서 역할을 하며, 체험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으로서 축제 주관자와 관광객을

커뮤니케이션해 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축제 프로그램을 분류해보면 문화관광부(2006)에서는 체험행사 프로그램,

전시행사 프로그램, 공연행사 프로그램, 부대행사 프로그램으로 손선미(2006)는 관람 프로그램, 수

동적 프로그램, 적극적 프로그램, 교류 프로그램, 구매 프로그램, 시식 프로그램으로 송재일·손대

현(2004)은 기획 프로그램, 공연 프로그램, 전시 프로그램, 체험 프로그램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

다. 그리고 축제프로그램의 구성 유형은 2가지로 체험형과 관람형으로 구분되며 체험형은 체험행

사와 체험 경연행사, 관람형은 전시행사, 공연행사, 부대행사로 구분된다.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축제 프로그램이 독창성, 정체성, 주제성, 지역성, 교육성, 역사성, 참여성 등으로 구성될 때 축제

는 성공할 수 있다(양길승, 2009).

그런데 1996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역축제를 평가하고 우수축제를 지원함으로써 지역 축

제의 프로그램 내용은 더욱 다양해지고 질적 수준도 향상된 것이 사실이지만 축제의 양적인 팽

창으로 인하여 유사소재, 개최시기의 중복성의 문제(최영준, 2013) 등, 국내의 지역축제 프로그램

은 대부분 비슷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지역에서만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다른 곳

에서도 체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지역의 특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성공한 타 지역

의 프로그램을 그대로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등 문제점이 들어나고 있다(양길승,

2009).

이처럼 과열된 지역축제의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 그리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지역축

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특히 프로그램의 차별화

가 무엇보다 시급하다(장병주·정구점, 2011).

Ⅲ.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분석 및 평가

창원 가고파국화축제는 2012년 유망축제로 평가받은 지역축제로 옛 마산(창원)은 우리나라 국

화재배의 역사가 담긴 곳으로 1960년 회원동 일대에서 여섯 농가가 전국 최초로 국화 상업재배

를 시작한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다가 1976년 국내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을 시작하였다.

국화재배는 현재 전국 재배면적의 13%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간 40만불의 외화를 획득하는 등 자

타가 인정하는 우리나라 국화산업의 메카이다. 창원지역은 국화재배에 알맞은 토질과 온화한 기

Page 8: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분야별 행사명 내 용

대표프로그램

(Killer Program)

기네스 기록경신 -2009년 세계기네스 등재작 기록경신(55송이증가)

-국화명작전시

-70포기 5.300송이 특수작, 1줄기 다색다형 국화전시

국화명작 전시

국화 특별전

기타주제

프로그램

국화산업홍보관 -국화홍보관, 국화품종관, 국화상품관, 기업관 운영

-국화분재, 야생화, 국화아카데미, 국화관련 작품전시

-국화아트상품, 압화, 화훼장식관, 공예작품전시

-다향축전(헌다례, 어린이 차예절, 들차경연 등)

국화작품관

국화예술체험관

국화다향제

방문객참여,

체험프로그램

국화문화제 -전국백일장, 전국시낭송대회, 꽃촬영대회 등

-소망 등 달기(페스티벌존), 소망트리, 기원문쓰기

-천연염색, 국화비누, 비즈공예, 친환경 수세미 등

-국화주, 국화차, 국화한방음료, 국화음식 등

-국화상감공예, 국화바람개비만들기, 국화공예작 등

소망기원행사

국화상품제작

국화식품 시식회

기타체험행사

타 축제와

관련된 프로그램

국화분재관 -국화분재 수출작목반 특별전시회 개최

-시민 국화 아카데미반 분재, 입국 출품

-옛추억 한마당, 국화캐릭터, 문신조각작품 등

-악세사리, 국화비누, 국화화장품, 국화차, 국화주 등

-국화 모형탑 설치, 시민자발적 참여 국화거리 조성

-제1, 2전시관 운영(희귀박과 채소터널, 국화꽃동산)

국화아카데미관

토피어리전시관

국화상품전시체험전

국화시티조성

부(副)전시장 조성

야간 프로그램 등

특이사항

국화LED조명전 -기네스관, 포토존, 꽃동산, 테마관 야간특수조명설치

-페스티벌존 소망 등거리, 주전시장 화합등불벽조성

-국향콘서트, 가을음악회, 프린지공연, 세계민속공연

반딧불 브릿지

소망등터널

분 야 내 용

개막행사 전야제(주제공연, 합포만 뮤직 불꽃쇼), 개장행사, 폐장행사

국향대전 국화작품(7개 분야, 7,500점), 꽃생산 연출 87,000본

후, 첨단 양액재배 기술보급 등으로 뛰어난 품질을 자랑하는 창원국화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홍

보하고 국화소비 촉진을 위해 2000년부터 마산 국화축제를 개최하였으며, 2013년 현재 12회 창원

가고파국화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현재 창원지역의 대표축제로서 인식되고 있는 ‘가고파국

화축제’는 우리나라 최초 국화상업재배 시배지로서 지역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근간으

로 독창적이며, 차별화된 우수한 축제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분석 및 평가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3년간 개최되었던 가고파

국화축제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첫째, 구성내용별 비교, 둘째, ‘분야’와 ‘항목’ 비교, 셋째, ‘체험

형’과 ‘관람형’으로 비교·분석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축제 프로그램 평가와 진단

을 제시하고자 한다.

1. 2010-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구성내용

본 분석에서는 축제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을 아래와 같이 각 년도별 국화축제 평가보고서에

분류되어 있는 분류기준을 중심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도별 분류의 차이가 있다.

<표 5> 2010년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구성표

자료: 2010년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표 6> 2011년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구성표

Page 9: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전시행사 국화분재, 수목분재, 야생화, 국화 아카데미 시민 특별전 등

기획행사 국화소재 관광기념품 및 디자인 개발

문화행사경연행사(가요제, 예술제, 플라워경연대회), 공연행사(국악, 민속공연

등)

참여/판매행사 국화 아트 상품, 음식, 공예제작 체험/국화 절화, 국화관련 상품

특별행사 국화산업 홍보관, 화훼장식관, 농경생활 세트장‘국화촌’조성

야간행사 국화작품 LED조명전, 소망등달기, 해상 불꽃쇼

분 야 내 용

개막행사 전야제(개막식), 개장행사, 폐장행사

국향대전 국화작품(7개 분야, 7.492점), 꽃생산 연출 83.000본

전시행사 국화분재, 수목분재, 야생화, 국화 아카데미 시민 특별전 등

문화행사 경연행사(가요제, 플라워경연대회), 공연(콘서트, 전통공연, 프린지 등)

참여/판매행사 국화 아트 상품, 음식, 공예제작, 체험/국화 절화, 국화관련 상품

특별행사 국화산업 홍보관, 화훼장식관, 체험부스조성

야간행사 국화작품 LED조명전, 소망등달기, 합포만 뮤직 불꽃쇼

년도 개막행사 국향대전 전시행사 기획행사 문화행사참여/판매

행사특별행사 야간행사

2010 -

기네스기록

국화명작전시

국화특별전

국화분재관

토피어리전시

국화상품전시

국화아카데미

국화시티조성

부(副)전시

국화문화제

국화예술

체험

소망기원행사

국화상품제작

국화식체험

기타체험행사

국화산업홍보

국화작품관

국행다향제

국화LED조명

반딧불브릿지

소망등 조성

2011

전야제

개장행사

폐장행사

국화작품

꽃연출

국화분재

수목분재

야생화

국화아카데미

시민 특별전

국화소재관광

기념품 및

디자인개발

경연행사

공연행사

국화아트상품

국화식체험

국화공예체험

국화정화체험

국회관련상품

국화산업홍보

화훼장식관

농생생활관

(국화촌)

국화LED조명

소망등 조성

해상불꽃쇼

2012

전야제

개장행사

폐장행사

국화작품

꽃연출

국화분재

수목분재

야생화

국화아카데미

시민 특별전

-경연행사

공연행사

국화아트상품

국화식체험

국화공예체험

국화정화체험

국회관련상품

국화산업홍보

화훼장식관

체험부스조성

국화LED조명

소망등 조성

합포만불꽃쇼

자료: 2011년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표 7> 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구성표

자료: 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2. 2010-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비교분석

본 분석에서는 축제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을 아래와 같이 분야별, 항목별로 구분하고 분야별

행사는 개막행사, 국향대전, 전시행사, 기획행사, 문화행사, 팜여/판매행사, 특별행사, 야간행사로

분류하고자 한다.

<표 8> 2010∼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비교분석표

자료: 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본 분석에서는 축제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을 아래와 같이 체험형 행사와 관람형 행사로 구분

Page 10: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년도 평가 진단

2010

장점세계기네스 등재 기록 경신 지속적인 기록 등재시도는 축제의 의미와 적합

지역상권 먹거리 지도 배부 체험을 마친 관광객대상으로 배부해야 함

단점

축제장소이전에 따른 혼란 돝섬에서 부두로 축제장 이전에 따른 혼란 많음

기네스 등재 작품 홍보부족 기네스 등재에 대한 대외 홍보부족으로 효과 미흡

축제장 기초 하부시설 문제 축제장이 비로 인해 관광객 관람의 어려움 있음

자연 재해 대비 부족 태풍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 부족함

임항선 철로 철거문제 임항선 철거를 통해 축제장 재정비 필요

축제기간 꽃 유지 어려움 꽃을 유지하기 힘든 시설(급수문제, 햇빛문제 등)

축제장 인근 주차문제 심각한 주차문제가 대두됨

축제관련 상품 산업화방안 축제관련 상품의 상업화 고려 필요함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부재 기존 프로그램 활용으로 인한 흥미도 하락

정확한 축제평가 부재 사후관리 차원에서 축제의 정확한 평가가 필요

가족중심 프로그램 부재 축제의 가장 큰 참가 단위인 가족프로그램부족

2011

장점

유망축제 유망축제로 등재됨으로 우수축제의 목표 수립

세계기네스 기록 갱신 지속적인 기록 등재시도는 축제의 의미와 적합

스토리텔링기법 도입 마산과 국화와의 연계 스토리텔링기법 첫 시도

관광 산업형 축제 시도 “축제도 하나의 경쟁형 상품이다” 산업형축제 시도

단점

행사목표/구성 변화 없음 행사목표나 구성적 내용 변함없음

문제점 개선되지 않음 해마다 반복되는 문제점들이 개선되지 않음

프로그램 다양성 부족 프로그램의 다양성결여 새로운 프로그램개발시급

국화 관련 다양한 상품 부족 축제 경험을 기념할 기념품 및 상품 개발 시급

국화 산업 클러스터 조성 국화산업화를 위한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 필요

행사명 프로그램 유형

체험형

체험행사 체험, 채취, 굽기, 견학, 썰기, 시식회, 배워보기, 만들기 등

참여(경연)

행사선발대회, 씨름대회, 노래자랑, 각종 경연대회 등

관람형

전시행사 홍보관, 작품전시관, 지역특산물 전시판매 등

공연행사전통민속공연, 길놀이, 국악공연, 농악공연, 방송국공개방송,

가요공연, 초청공연, 퍼레이드 등

부대행사개ㆍ폐막식, 관광순환이벤트, 학술대회, 사인회, 먹거리 장터,

퍼포먼스 등

하고 체험형 행사는 체험행사와 참여(경연)행사 프로그램, 관람형 행사는 전시행사, 공연행사, 부

대행사 프로그램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자한다.

<표 9> 축제프로그램의 구성 유형

자료: 양길승(2009), 재인용.

3.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평가 및 진단

축제의 프로그램은 축제에 참가하는 지역주민 및 관광객에게 특색있는 그 지역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축제를 통하여 관광객의 만족과 소비 창출을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등 중요한 전략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프

로그램 구성과 분석을 바탕으로 <표 10>과 같이 평가와 진단을 시도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지역

적 특성에 대한 평가, 독창성에 대한 평가, 프로그램 수에 대한 평가, 주제 일치성에 대한 평가,

연계관광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로 나누어 평가해보고자 한다.

<표 10> 2010∼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평가 및 진단표

Page 11: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국화브랜드화 시급 국화브랜드화를 통한 산업화 추진 필요

2012

장점기네스 3년연속 기록 갱신 지속적인 기록 등재시도는 축제의 의미와 적합

지역 상권과 연계활동시도 지역상권의 협업을 통한 축제연계활동 시도는 의미있음

단점

스토리텔링 작년과 동일 작년과 스토리텔링기법이 동일 변화필요

프로그램 작년과 동일 새로운 프로그램개발 없이 작년과 동일 변화필요

전시장 연출능력 부족 전시장 연출 능력 떨어짐(매력성, 창의성 결여)

지역연계 관광 상품 부재 축제장과 연계된 지역 관광 상품 부재

축제장 먹거리와 관련문제 먹거리, 가격, 위생 등 먹거리관련 문제 많음

국화프로그램 만족도 낮음 국화축제인데 국화 관련 프로그램 만족도 낮음

상품품질 만족도 낮음 축제장 내 전반적 상품 품질 만족도 낮음

기네스 등재 작품 홍보부족 기네스 등재에 대한 대외 홍보부족으로 효과 미흡

축제장 기초 하부시설 문제 축제장이 비로인해 관광객관람의 어려움 있음

자연 재해 대비 부족 태풍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 부족함

임항선 철로 철거문제 임항선 철거에 대한 사고의 전환필요(꽃차활용)

축제기간 꽃 유지 어려움 꽃을 유지하기 힘든 시설(급수문제, 햇빛문제 등)

가족중심 프로그램 부재 축제의 가장 큰 참가 단위인 가족프로그램부족

다문화/소외계층 참여부족 다문화/소외계층 참여를 통한 21C형 축제로 발전

국화브랜드화 시급 국화브랜드화를 통한 산업화 추진 필요

국화 산업 클러스터 조성 국화산업화를 위한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 필요

축제 법인화 필요 산업형축제로 발전하기 위한 법인화 시급자료: 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1) 지역적 특성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옛 마산(창원)은 우리나라 국화재배의 역사가 담긴 곳으로 1960년 회원동 일대에서 여섯 농가

가 전국 최초로 국화 상업재배를 시작한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다가 1976년 국내 처음으

로 일본에 수출하고 있다. 현재 전국 재배면적의 13%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간 40만 불의 외화를

획득하는 등 자타가 인정하는 우리나라 국화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았으며 창원은 국화재배에 알

맞은 토질과 온화한 기후, 첨단 양액재배 기술보급 등으로 뛰어난 품질을 자랑하는 마산국화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홍보하고 국화소비 촉진을 위해 2000년부터 마산국화축제(창원 가고파국화축

제)를 개최하게 되었다.

시인 이은상의 가고파시에서 <가고파>의 바다는 이은상이 태어나고 살았던 마산 앞바다 합포

만(合浦灣)으로, 가고파는 마산을 상징하는 단어이다. 따라서 가고파국화축제는 마산을 상징하는

상징어 가고파와 최초의 상업용 국화재배의 시배지로서의 지역특산품인 국화를 소재로 한 산업

형 축제의 형태이다. 그러나 가고파국화축제는 국화작품 전시위주의 축제로서 지역특성에 대한

평가부분에서 지역의 역사, 문화, 산업, 해양부문의 특성반영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개선의 노

력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2) 독창성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축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축제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성으로 차별성을 나타내는 것이 필수

적이다. 따라서 그 지역의 역사 문화적 배경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독창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요구되는데 가고파국화축제는 전국 국화축제 사례와 비교 분석에서 체험, 경연, 전시, 공

연, 부대행사 등에서 축제프로그램 내용이 유사하였다. 따라서 창원 지역의 특성을 살리고 역사,

해양, 산업, 관광자원 등을 중심으로 한 축제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3) 프로그램 수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가고파국화축제의 최근 3년간 축제 유형별 프로그램 수에 대한 평가에서 <표 11>과 같이 프

Page 12: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구분

체험형 관람형계

체험행사 경연행사 전시행사 공연행사 부대행사

건수비율

(%)건수

비율

(%)건수

비율

(%)건수

비율

(%)건수

비율

(%)건수

비율

(%)

2010 17 31 8 15 13 24 7 16 9 20 54 100

2011 11 21 6 12 13 25 13 25 9 17 52 100

2012 14 32 5 12 9 20 8 18 8 18 44 100

평균 14 28 6 13 12 23 9 20 9 18 50 100

구분

체험형 관람형 주제(소계) 비주제(소계) 총계

주제 비주제소

계주제 비주제

계건수

비율

%

비율

%

비율

%

2010 24 1 25 20 9 29 44 81 10 19 54 100

2011 14 3 17 15 20 35 29 56 23 44 52 100

2012 17 2 19 19 6 25 36 82 8 18 44 100

평균 18 2 20 18 12 30 36 73 14 27 50 100

로그램의 유형별 개최 건수 평균은 체험행사 28%, 경연행사 13%, 전시행사 23%, 공연행사 20%,

부대행사 18%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관광 우수축제의 프로그램 유형별 개최 건수 평균과 비교해

보면 체험행사 40%, 경연행사 12%, 전시행사 18%, 공연행사 14%, 부대행사 16%의 순으로 나타

났으며 최근 3년간 체험형 프로그램이 41%, 관람형 프로그램이 51%로 나타나 문화관광우수축제

프로그램의 체험형 프로그램 52%, 관람형 프로그램 48%와 비교시 구성비의 차이가 나타난다. 구

체적으로 체험행사는 약 12%가 (-)차이, 경연행사는 유사, 전시행사는 5%의 (+)차이, 공연행사

6% (+)차이, 부대행사는 유사한 결과로 따라서 향후 축제 프로그램 구성에는 전시행사 및 공연행

사는 약 5% 줄이고, 장소자산을 활용한 차별화된 국화축제의 체험 프로그램 행사를 15% 가량

확대하는 방안 제안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표 11> 가고파국화축제 프로그램 수 비교분석

자료: 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4) 주제 일치성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가고파국화축제의 최근 3년간 축제프로그램 성격에 대한 평가는 <표 12>에서와 같이 평균은

주제관련 프로그램이 73%, 비 주제관련 프로그램이 27%로 나타났는데 문화관광 우수축제와 비

교하면 주제관련 프로그램 64%, 비 주제관련 36%의 구성비로 나타나 가고파국화축제는 축제프

로그램 주제 관련성 부문에서 구성되어 잘 이루어져 있음으로 나타났다.

<표 12> 가고파국화축제 주제 일치성 비교분석

자료: 2012년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5) 연계 관광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가고파국화축제와 연계한 관광프로그램은 방문객들이 체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데 필수

적이라 할 수 있다. 축제를 개최하는 목적이 관광객을 유치하여 소비를 유도하고 그로 인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있다고 볼 때 연계관광 프로그램은 중요한 요소이다. 가고파국화축제의

경우 2013년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방문객 축제장소 평균체류 시간 3시간 이내,

Page 13: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축제와 지역관광연계, 숙박지역 부산 등 인근 대도시 선택에 매우 높은 비중이 나타났다. 가고파

국화축제의 관광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지역 관광자원과 연계, 도시 관광 연계 등에서 부

족하다고 평가되었다. 따라서 향후 가고파국화축제의 프로그램 전략시 장소자산이라는 차별화된

요소를 중심으로 관광지와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제언한다.

Ⅳ. 가고파국화축제 활성화 방안

본 연구에서 가고파국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측면은 장소자산, 축제프로그램 평가 등으

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가고파국화축제 고유 콘텐츠 개발이다. 가고파국화축제는 단순히 창원지역을 알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창원이라는 지역 브랜드를 부각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 또한 재방문 의

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타 지역축제와 차별화할 수 있고 지역문화를 반영하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야 하며, 수많은 프로그램을 나열하는 방식의 편성이 아니라 특성화된 콘텐츠를 선택하여 집중적

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Target별 콘텐츠 차별화이다. 사람들이 느끼는 편익은 일반적으로 기능적 편익과 심리적

편익으로 구분하며 이는 개인별로 다른 형태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가고파국화축제의 주 방

문객은 크게 관광객과 국화산업 관련 종사자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축제를 방문하기 때문에 일괄적인 콘텐츠로는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다. Target별로

기능적, 심리적으로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방안이 강구되

어야 할 것이다.

셋째, 테마별 공간 구성이다. 대규모 행사일수록 축제 콘텐츠의 테마 간에 구분이 되지 않을 경

우 방문객의 행사 몰입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방문객에게 심리적인 불편함을 줄 수 있다. 특

히 이벤트 공간과 판매 공간이 뒤섞여 있을 경우에는 심지어 전체 행사 이미지를 하락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체험, 공연, 전시, 판매 등의 각 테마 별로 공간을 구분하여 방문자의 동선을 편리

하게 하고 전반적인 행사 분위기가 정돈되어야 한다.

넷째, 축제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축제의 질적 성장 추구이다. 스토리텔링은 단순하고

재미없는 정보를 독특하고 흥미있게 가공하여 관광객들에게 오래도록 기억하게 하는 특성도 지

니고 있다. 스토리텔링은 용어 그대로 스토리(story)와 텔링(telling)의 결합으로 이야기+하기(말하

기)라는 뜻으로 축제의 고유한 특성과 독특한 주제를 이야기로 창작하여 이를 다시 다양한 미디

어로 가공해 내어 관광객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체험의 깊이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

에서 축제의 주제를 이야기로 창작하여 표현하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면 축제의 가치를 높여주

고 축제방문객에게 오랜 기억유지와 만족도를 높게 해 줄 것이다.

다섯째,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유도이다.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는 무상 제공되는

노동력과 지역주민 참여로 대부분의 지역 이벤트가 유지됨으로 인한 ‘인건비 절감 효과’를 모색하

여 이벤트 투자요인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역 주민들이 지역축제를

통해 얻는 관광수익이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이해를 시키기 위해서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앞

장서서 이벤트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잠재성이 있는 시민단체나 대학, 고등학교에 지역축제의 중

요성 및 긍정적인 효과를 교육, 안내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

하여야 한다.

Page 14: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마지막으로, 창원시 지역관광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기존의 축제평가에서 제시되었던

주변과 연계한 관광프로그램이 부족하여 가고파국화축제 관광객이 짧은 시간 축제를 관람하고

인근 대도시(부산 등)로 관광목적지 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그 성과가 적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창원시의 다양한 관광자원 및 시티투어와 연계하고 도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축제와

연계하여 방문객이 축제관람 후 지역에 체제를 연장시킬 수 있는 관광 인프라를 조성해야 할 필

요성이 있다. 따라서 축제와 연계된 관광프로그램 구체적인 제시와 축제 프로그램화함으로써 축

제기간 도시전역 관광 극대화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고파국화축제를 단순히 일회성 방

문이 아닌 1박 이상의 체류성 방문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방문객 유치, 관광 수입 증대 등의 직·간

접적인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내 관광자원 개발을 통해 관광 패키지 상품

을 개발하거나 인근지역과의 공동 마케팅을 실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장소자산을 활용한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연구의 범위는 2010년부터 2012년 3개년에 걸친 국화축제 프로그램의 분석 및 평가를 중심

으로 연구하였다.

가고파국화축제는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여 체험하는 축제로서 많은 수익을 창출하여 지역경

제 활성화를 통해 창원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창원의 다양한 문화를 풍요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창원지역을 꽃의 도시로 이미지 부각 및 화훼산업 발전으로 경제적 파급효과

창출하고, 명품 축제 브랜드 확산을 통해 대규모 관광객 유치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모하고자

할 것이다.

특히 축제 장소자산으로서의 마산 서항지구 지역개발 및 활성화 전략과 축제를 연계하는 사례

도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이미지 확

보 및 산업유치, 중·장기 활성화 창원에서 마산항 제1부두를 활용한 상설전시장 조성 등 소프트

웨어 측면을 고려한 축제의 중·장기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임석회(2007)의 연구에서 장소자산과 지역축제와의 관계 연구결과 경북지역의 축제는 인접한

지역에서 유사한 주제와 영역자산(장소자산)을 가지고 동시다발적으로 개최된다는 문제점을 제시

하며 이러한 결과 축제의 장소성과 지역의 정체성을 고려한 축제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하였다.

따라서 축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장소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축제프로그램 개발과 축제 개최시기

의 분산, 영역자산(장소자산)개발과 활용 등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가고파국화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대표적인 지역유망축제로서 가고파국

화축제가 창원지역,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축제로 발돋움하기 위해 축제 브랜드의 강화 전

략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가고파국화축제를 대표 브랜드화 시키기 위해서는 일관된 커뮤니케이

션 전략으로 이미지를 강화시켜야 하며, 산업형 축제로서 국화산업화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확대

하고 이를 국내·외적으로 전략적 제휴 및 홍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축제활용 필요성이 대두되

고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국내․외 관계자를 대상으로 창원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통합브랜드 개발방안

및 인식도에 대한 질적․양적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가고파국화축제’ 뿐만 아니라, 창원지역의

지역축제인 ‘진해군항제’, ‘창원페스티벌’, ‘마산가고파 큰잔치’ 등 다양한 지역문화행사를 통합․관

Page 15: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 논문투고일 2014. 01. 07

■ 논문 최종심사일 2014. 02. 01

■ 논문게재확정일 2014. 02. 22

리하여 가고파국화축제가 단순히 시기별, 계절별 이벤트성 행사가 아닌 창원지역의 다양한 역사,

문화, 풍물, 관광과 연계한 4계절 문화축제로 승화할 수 있는 계기를 모색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고 사료된다.

Page 16: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참 고 문 헌>

강형기(1999), “지방문화와 지역축제: 지역축제, 어떻게 성공시킬것인가?”, 지방행정, 48, 29-36.

고계성(2012), “섬 관광지 매력평가에 따른 관광자원 개발 유형 연구”, 지역산업연구, 35(1),

167-188.

고호석(2013), “지역축제의 인지된 효과가 지역사회 애착도 및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지역산

업연구, 36(1), 265-284.

김계섭(1995), “이벤트관광의 프로그램 개선방안”, 관광학연구, 18(2), 59-86.

김대범(2012), “지역축제의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해남 명량대첩 축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철원·이석호(2001), 『문화관광축제 육성방안』, 한국관광연구원.

류정아(2003), 『축제인류학』. 서울: 살림.

문화관광부(1996), 『한국의 지역축제』.

문화관광부(2006), 『문화관광축제의 변화와 성과』.

문화관광부(2007), 『문화관광축제의 변화와 성과』.

문화체육관광부(2012), 『시도별 지역축제 개최계획』.

박경민(2013), 지방근린공원의 지역축제 지원을 위한 공간설계: 경기도 이천시 설봉공원을 대상으

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변충규·하환호(2012), “문화관광형시장 방문객의 관광동기와 세분시장 특성에 관한 연구”, 지역산

업연구, 35(2), 269-288.

손선미(2006), 『관광이벤트론』. 대왕사.

송재일·손대현(2004), “지역축제 방문자의 자녀교육열에 따른 행사프로그램 만족 차이 연구”, 관

광ㆍ레저연구, 16(2), 71-84.

안덕초·신현정·김용근(2010), “장소자산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 연구: 춘천시 사

북면 원평리를 중심으로”, 농촌관광연구, 17(1), 67-89.

양길승(2009), “전남지역 해양관광축제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3(2), 225-242.

유우익(2004), 『장소의 의미: 유우익의 국토기행』. 삶과 꿈.

이무용(2006),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 홍대지역 클럽문화 장소마케팅의 문화

정치』. 서울: 논형.

이승곤·한지훈(2005),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의 만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19(2), 299-313.

이애리·박정하·송래헌(2010), “지역문화 축제의 선택속성의 중요도에 대한 지각차이 및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여 서동연꽃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호텔관광연구, 39,

291-307.

이장주·양희재(2005), “진도영등축제프로그램 차별화방안”, 문화관광연구, 5(1), 29-52.

이종수(2010), “장소자산 스토리텔링 성공요인 분석”,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집, 319-334.

이준엽·유정림·조현민·조태영(2005), “축제프로그램 체험성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7(2),

193-212.

이영기·이덕우·이충기(2003), “지각된 환경단서가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수안보 온

천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7(1), 85-104.

Page 17: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임석회(2007), “영역자산의 장소판촉과 향토축제의 유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3), 271-289.

장병주·정구점(2011), “축제방문객의 지각된 가치가 전반적인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0 울산세계옹기문화엑스포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47, 85-104.

정성호·주수현(2009), “부산불꽃축제의 산업연관효과분석-제4회 부산불꽃축제를 중심으로”, 홍보

학연구, 13(1), 36-57.

최영준(2013), “지역축제 서비스품질과 이미지,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충성도에 대한 영향: 부산

불꽃축제를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창원시(2010), 제10회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창원시(2011), 제11회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창원시(2011). 창원시 통계연보.

창원시(2012), 제12회 가고파국화축제 평가보고서.

창원시(2013), 창원시청 문화관광 홈페이지:

http://culture.changwon.go.kr/jsp/main/main.jsp

홍장원·이윤정(2008), “지역축제를 통한 연안지역 해양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월간해양수산, 285,

37-54.

Kotler, P., Haider, D. H. & Reing, I.(1993). Marketing P laces: Attracting Investment,

Industry,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 (The Free Press : Macmillan, Inc.).

Stopper, M.(1997). "Regional economies as relational assets", in Lee, R. & Wills, J(eds.),

Geographies of Economies, Amold: London.

Page 18: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A Study on Gagopa Chrysanthemum Festival Activation in

Changwon through the Place Asset: Focused on Festival

Program

Yang, Jin-Youn* · Sun, Jong-Gab** · Ko, Ho-Seok***

ABSTRAC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enhances the municipality’s brand value

through Gagopa Chrysanthemum Festival in Changwon Kyungnam as the local

cultural festival and maximize the economic value through the efficient

linkage of the local cultural festival and the chrysanthemum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s. Specifically, the 2010 Festival

program for three years from 2012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ivation of

the Changwon Gagopa Chrysanthemum Festival propose ways. Also, Gagopa

Chrysanthemum Festival attracts foreign tourists as well as all the people’s

attention without ceasing with a local festival in Changwon district, we need

to introduce the chain marketing strategies with various provincial cultural

tourism resources like Muhak Mountain and Masan fish market along with

qualitative development.

Keywords : Gagopa Chrysanthemum Festival, Local Festival, Place Asset, Festival

Program

* Resercher, Tourism Festival Institute of Daegu University, [email protected]** Professor, Dept. of Tourism, Kyoungnam University, [email protected]*** Professor, Dept. of Tourism, Kyoungnam University, [email protected]

Page 19:  · 2019-02-17 · !"#$%&'($ ")*$+ ⦁,-.!/*$&')$% 0#1+ ⦁ 23!4)&5) /6)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마산서항지구라는 장소자산을 활용하여 창원 가고파국화축제의

1. 주저자

양진연(Yang, Jin-Youn) : [email protected]

현재 대구대학교 관광축제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대구대학

교 교육대학원 관광경영교육학 석사와 동대학교 일반대학원 관광경영

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호텔/관광마케팅, 인사

관리, 해양관광, 컨벤션산업 등에 관심이 많다.

2. 공동저자

선종갑(Sun, Jong-Gab) : [email protected]

현재 경남대학교 관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요 연구 관심분야

는 MICE산업, 축제 및 메가 이벤트 분야이다.

3. 공동저자

고호석(Ko, Ho-Seok) : [email protected]

현재 경남대학교 관광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종대학교 호텔관

광경영학과에서 관광경영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

다. 주요 관심분야는 관광이벤트, 지역축제, 관광마케팅 등이다. 그

의 논문은 관광학연구, 관광연구, 호텔관광연구, 동북아관광연구, 관

광레저연구, 호텔경영학연구 등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