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보고서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

121
2017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보고서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 2017. 6

Transcript of 2017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보고서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

  • 2017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보고서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

    2017. 6

  • 제 출 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에 대한 특정평가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7년 6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임 기 철

  • 연구진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특정평가

    KISTEP 연구진 김종란 부연구위원(연구책임자)

    외부 연구진 박기환 중앙대학교 교수

    유승준 한국바이오협회 센터장

    이주훈 경희대학교 교수

  •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요 약

  • iii

    요 약

    1. 사업 선정 사유

    ◦ 2016년 과기분야 출연(연) 기관평가 ‘미흡’ 등급 기관으로, 연구부문 성과가 미흡하여 선정*

    * 기관평가 미흡(이하)사업에 대한 심층분석 강화(2017년 실시계획)

    - 사업 추진과정에서의 문제점(성과 창출, 사업추진·관리체계 등)에 대한

    분석 및 향후 발전 방향 제안 필요

    2. 사업개요

    ◦ 사업목적- 김치 종주국으로서의 위상 제고와 글로벌 김치문화 창진을 위해, 김치관련

    R&D를 종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김치산업 활성화 및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반기술을 개발

    ◦ 사업기간 : 2014년 ~ 2016년(3년)◦ 사업내용

    - 김치의 생리대사 활성조작 기작과 김치유래 미생물의 기능적 특성 구명

    - 김치미생물의 위생안전성과 산업적 활용방안 등 김치산업 선도를 위한

    차별화 기술개발

    - 장내 유해세균 저해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산업화 소재 발굴

    - 생리대사활성 조절 김치 유산균 개발 및 우수성 구명

    - 김치의 위생안전성 강화 기술 개발

    - 상품김치의 원산지 식별 기술 개발

  • iv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및 예산 개요 (2016)

    ※ 주요사업 내 세부과제개편 등으로, 2016년 기준 주요사업별 과제·예산내역을 기재

    * 특정평가 대상사업

    ** 예산: 정부연구비(직접비)

    주요사업명 세부과제사업기간

    예산(백만원)**

    2016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

    개발*

    김치 유래 미생물의 바이오소재화 기술개발 ’14~’16 760.2 (570)

    김치의 우수성 구명 및 생리대사 네트워크 조절기술 개발 ’14~’16 1,105.2 (750)

    김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안전성 강화기술 개발 ’15~’16 1,189.7 (1,009)

    국내유통 상품김치의 원산지 식별을 위한 품질관리체계 구축 ’16~’16 1,513.3 (1,195)

    합계 4,568.4 (3,524)

    김치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기술

    개발

    김치원료 수급안정화를 위한 원료 종합처리 시스템 ’13~’16 1,392.8 (800)

    김치문화의 자원화 및 산업화 기술개발 ’13~’16 1,326.3 (900)

    김치산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중소기업 지원 ’14~’16 2,041.4 (1,260)

    합계 4,760.5 (2,960)

    김치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혁신기술

    개발

    중소·증견김치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종균

    산업화 기술개발’13~’16 1,059.3 (710)

    김치종균 대량생산기술 및 공급시스템 개발 ’15~’16 1,110.7 (570)

    중소기업형 고품질 DIY 김치세트 생산기술개발 ’14~’16 845.0 (570)

    김치의 품질표준화 및 고부가가치화 기술개발 ’12~’16 856.0 (805)

    합계 3,871.0 (2,655)

    김치사업

    융합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김치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융복합 플랫폼 구축 ’14~’16 498.9 (347)

    연구기획사업 ’10~’16 781.7 (170)

    합계 1,279.6 (517)

    2016년 주요사업 총액 (총 정부연구비(직접비)) 14,480.0 (9,656)

  • v

    요 약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 (평가대상사업) 개요 (2014~2016)

    사업명사업기간

    예산(백만원)

    2014 2015 2016 합계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

    개발

    김치 유래 미생물의 바이오소재화

    기술개발’14~’16 831.7 859.2 760.2 2,451.1

    김치의 우수성 구명 및 생리대사

    네트워크 조절기술 개발’14~’16 1,343.0 1,152.3 1,105.2 3,600.5

    김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안전성

    강화기술 개발’15~’16 - 1,858.5 1,189.7 3,048.2

    국내유통 상품김치의 원산지 식별을

    위한 품질관리체계 구축’16~’16 - - 1,513.3 1,513.3

    합계 2,174.7 3,870.0 4,568.4 10,613.1

    ※ 신임 기관장 선임 및 ’16~’19 연구역량발전계획서(2017) 수립에 따라 2016년 수행중인 전 과제를 종료하고,

    2017년 주요사업으로 신규기획

    3. 주요 평가이슈

    □ 평가이슈 및 주안점

    ◦ (이슈 1)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세계김치연구소(이하, 김치(연))의 연구개발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 (이슈 2) 사업 성과의 우수성 분석- (사업성과의 달성도) 대상사업의 목표달성 현황 분석

    - (사업성과의 우수성) 유관과제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성과의 질적 우수성 점검

    ◦ (이슈 3) 사업 추진·관리의 적절성 및 체계성- (사업목표의 적절성) 기관의 고유임무와의 부합성 검토

    - (사업 추진·관리 체계의 적절성) 전략목표·성과목표와 사업 대응체계 및

    사업추진관리 체계 검토

  • vi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4. 평가결과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김치(연) 주요사업의 투자포트폴리오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3~2015년에

    수행된 김치분야 R&D내 대표사업들과 비교분석한 결과, ‘김치(연) 연구

    운영비지원’, ‘식품(연) 연구운영비지원’,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은

    원재료수급개발분야를 제외하고 거의 전 분야에 걸쳐 투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외 사업들은 사업별 중점 투자영역에 차별성이 있음*

    * 2013~2015년에 김치분야 R&D로 추출된 과제에 해당하는 사업 중 총 투자금액 20억 이상, 10순위까지에

    해당되는 사업으로 미래부의 ‘김치(연) 연구운영비지원’, ‘식품(연) 연구운영비지원’, 농식품부의 ‘고부가가

    치식품기술개발’, ‘농림축산식품연구센터지원’, ‘농생명산업기술개발’, 농진청의 ‘차세대바이오그린21’, ‘농업기초

    기반연구’, ‘농업기후변화적응체계구축’, 식약처의 ‘식품 등 안전관리’, 범부처사업인 ‘Golden seed 프로

    젝트’가 포함됨

    (단위:백만원, %)

    [그림 1] 김치분야 R&D대표사업들의 기술분야별 투자포트폴리오 (2013~2015)

  • vii

    요 약

    (단위:백만원, %)

    [그림 2] 김치분야 R&D대표사업들의 핵심기술·기반별 투자포트폴리오 (2013~2015)

  • viii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 투입금액 1,2순위에 해당되는, 김치(연)와 식품(연)의 주요사업은 투자영역,

    사업내 비중 등이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연차별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핵심기술·기반별 중점분야와 시계열적 차별성이 있으며, 향후 김치분야

    R&D에서 김치(연)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차별화 필요*

    * 식품 및 소재개발(바이오신소재)분야는 동 기간 내 투자가 이루어졌고, 인프라(기업지원, 산업지원) 분야가

    중복적이나 이는 출연(연)의 중요한 임무에 해당되므로 양 기관 모두 활성화하여야 할 분야임. 향후 기관의

    전문화와 김치산업 내에서의 역할 강화를 위하여 김치(연)에서 주도하는 기관 간 협력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그림 3] 출연(연)의 주요사업(김치(연), 식품(연))과 그 외 대표사업들의 기술분야,

    핵심기술·기반별 투자포트폴리오 (2013~2015)

  • ix

    요 약

    [그림 4] 김치(연), 식품(연)의 기술분야, 핵심기술·기반별 연차별 투자현황 (2013~2015)

  • x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사업성과의 우수성 분석[사업성과의 달성도 점검]

    ◦ 성과 지표별 목표치 대비 달성도는 논문, 특허, 기술이전 성과 모두 미흡**1) 논문: SCI(E) 게재건수는 53.0%(9건/17건), 표준화된 순위보정영향력지수(이하, mrnIF)≥80 저널에 게

    재된 논문은 66.7%(4건/6건), 연도별 피인용횟수≥7에 해당하는 논문은 25.0%(1건/4건)

    2) 특허: 국내특허등록건수는 35.7%(5건/14건), SMART등급≥BB인 특허는 40.0% (2건/5건)

    3) 기술이전: 기술이전건수 0%(0건/1건)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의 성과지표별 달성도 (2014~2016)

                           (단위: 건, %)성과지표

    2014 2015 2016 합계

    목표 실적 달성률 목표 실적 달성률 목표 실적 달성률 목표 실적 달성률

    논문

    SCI(E) 게재 2 0 - 7 2 28.6 8 7 87.5 17 9 53.0

    mrnIF ≥ 80 - - - 1 1 100.0 5 3 60.0 6 4 66.7

    연도별 피인용횟수 ≥ 7 - - - - 1 - 4 0 0.0 4 1 25.0

    특허국내특허(등록) - - - 6 0 0.0 8 5 62.5 14 5 35.7

    SMART등급 ≥ BB - - - 1 0 0.0 4 2 50.0 5 2 40.0

    기술이전 - - - - - - 1 0 0.0 1 0 0.0

    제품

    개발

    프로바이오틱스

    시제품- - - - - - 1 1 100.0 1 1 100.0

    심혈관계질환예방김치 - - - 1 1 100.0 1 0 0.0 2 1 50.0

    기술

    개발신속검출기술 - - - 1 2 100.0 1 1 100.0 2 3 100.0

    기술

    혁신

    면역항원 개발 - - - 1 2 100.0 1 0 0.0 2 2 100.0

    항비만 소재개발 - - - 1 1 100.0 1 2 100.0 2 3 100.0

    위해물질 저감화 기술 - - - - 1 - 1 0 0.0 1 1 100.0

  • xi

    요 약

    [사업성과의 우수성 비교]

    ◦ 김치분야 R&D 전체의 연구 성과와 비교한 결과, 김치(연) 주요사업의 성과가 미흡

    - 논문, 특허, 기술이전, 징수액 등의 양적·질적 성과의 면에서 대표사업 및

    김치(연) 주요사업을 제외한 김치분야 R&D전체 대비 모두 미흡*

    *1) 김치(연) 주요사업을 제외한 김치분야 R&D전체 성과 대비 김치(연) 주요사업 성과는 논문 7.1%(억원당

    0.02/0.28건), 특허 40%(억원당 0.02/0.05건), 기술이전 20%(억원당 0.01/0.05건), 징수액 20%

    (억원당 0.1/0.5백만원) 수준에 불과

    2) 김치(연) 주요사업을 제외한 김치분야 R&D전체의 논문성과와 비교 시, 평균 IF는 2.26이나, 김치(연)

    주요사업의 성과는 1.86에 불과하며 평균 mrnIF는 51.73 대비 36.63에 불과

    3) 특허의 경우, SMART등급 BB이상의 비율은 평균수준이며, 특허의 기술이전률은 40.0%로 김치분야

    R&D전체 평균(20.4%)보다 높은 편

    김치분야 R&D 의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성과 수준 (2013~2015)

                              (단위:건, 백만, %)

    부처 사업

    투입현황(시설장비비제외)

    논문(SCIE게재 기준)

    특허(국내특허등록 기준)

    기술이전 징수액

    과제수 금액비중

    (금액)건수 억원당

    평균IF

    평균mrnIF 건수 억원당

    SMARTBB이상비율

    기술이전률

    건수 억원당 금액 억원당

    미래부김치(연) 연구운영비지원 27 30,919 28.5 6.5 0.02 1.86 36.63 5.0 0.02 40.0 40.0 4 0.01 32 0.10

    식품(연) 연구운영비지원 8 11,934 11.0 16.8 0.14 1.80 42.29 7.3 0.06 33.3 33.3 2 0.02 55 0.46

    농식

    품부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 107 10,036 9.3 24.7 0.25 2.19 51.68 8.0 0.08 70.0 30.0 4 0.04 50 0.50

    농림축산식품연구센터지원 24 2,295 2.1 13.1 0.57 3.08 61.68 0.0 - - - 2 0.09 4 0.15

    농생명산업기술개발 22 2,008 1.9 3.8 0.19 1.75 53.41 0.0 - - - 0 - 0 -

    농진청

    차세대바이오그린21 37 3,972 3.7 21.5 0.54 1.74 52.15 10.0 0.25 54.5 0.0 1 0.03 30 0.75

    농업기초기반연구 32 2,667 2.5 30.0 1.12 2.36 49.98 0.0 - - - 0 - 0 -

    농업기후변화 적응체계구축 54 2,502 2.3 6.0 0.24 1.45 53.52 0.0 - - - 0 - 0 -

    식약처 식품 등 안전관리 12 3,386 3.1 2.5 0.07 0.68 24.08 0.0 - - - 0 - 0 -

    범부처 Golden seed프로젝트 104 10,357 9.6 8.5 0.08 2.26 65.53 0.5 0.00 0.0 0.0 5 0.05 13 0.12

    대표사업 합계 427 80,076 73.8 133.5 0.17 2.15 51.15 30.8 0.04 48.7 23.1 18 0.02 183 0.23

    김치(연) 연구운영비지원을

    제외한 전체672 77,512 71.5 218.8 0.28 2.26 51.73 39.2 0.05 40.4 17.3 38 0.05 386 0.50

    김치분야 R&D전체 총합계 699 108,431 100.0 225.3 0.21 2.24 51.17 44.2 0.04 42.6 20.4 42 0.04 418 0.39

  • xii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사업추진·관리의 체계성 및 적절성[고유임무와 사업 목표·내용의 부합성 검토]

    ◦ 2014~2016년의 3년간 김치(연)에서 수행한 주요사업(세부과제)은 대체로 기관의 전략목표·성과목표(임무)에 부합*

    * 1) 부합성 : 1.매우미흡, 2.미흡, 3.약간미흡, 4.약간부합, 5.부합, 6.매우부합의 6점 척도로 평가

    2) 연구기획사업을 제외한 12건의 세부과제 중 10건(83.3%)이 ‘약간부합’이상으로 판단

    - 주요사업을 구성하는 세부과제 중 2건은 ‘약간부합’에 미치지 못하므로

    향후 사업의 내용을 정리할 필요*

    * 1) ‘약간부합’ 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 과제: ‘김치종균 대량생산기술 및 공급시스템 개발’, ‘중소

    기업형 고품질 DIY 김치세트 생산기술 개발’

    2) ‘김치종균 대량생산 기술 및 공급시스템’과제의 경우 종균 확보,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기술을 개발

    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기술로 판단되나, 대량생산을 통해 기업에 보급하기보다 개발된 기술을 이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함

    김치(연)에서 수행한 주요사업의 세부과제별 임무부합성 및 우수성 평가

    (2014~2016)

    주요사업 세부과제세부과제별

    주요사업별 평균

    임무부합성

    우수성임무

    부합성우수성

    김치글로벌화를

    위한선도기술 개발

    김치유래 미생물의 바이오소재화 기술개발 (1-1) 5.50 3.67

    5.00 3.33 김치의 우수성 구명 및 생리대사 네트워크 조절기술 개발 (1-2) 6.00 4.33

    김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안전성 강화기술개발 (1-3) 4.50 3.00

    국내유통상품김치의 원산지 식별을 위한 품질관리체계 구축 (1-4) 4.00 2.33

    김치산업활성화를

    위한기반기술 개발

    김치원료수급안정화를위한원료종합처리시스템 (2-1) 4.75 1.67

    5.00 3.44 김치문화의 자원화 및 산업화 기술개발 (2-2) 5.25 3.67

    김치산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중소기업 지원 (2-3) 5.00 5.00

    김치의고부가가치화를

    위한혁신기술개발

    중소·중견김치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종균산업화 기술개발

    (3-1)6.00 3.67

    4.88 2.92 김치종균 대량생산기술 및 공급시스템 개발 (3-2) 3.75 3.33

    중소기업형 고품질 DIY김치세트 생산기술개발(3-3) 3.75 2.33

    김치의 품질표준화 및 고부가가치화 기술개발 (3-4) 6.00 2.33

    김치산업융합화를 위한발전방안연구

    김치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융복합 플랫폼 구축 (4-1) 5.25 4.67 5.25 4.67

    ※ 임무부합성 척도: 1.매우미흡, 2.미흡, 3.약간미흡, 4.약간부합, 5.부합, 6.매우부합

    우수성 척도: 1.매우미흡, 2.미흡, 3.약간미흡, 4.약간우수, 5.우수, 6.매우우수

  • xiii

    요 약

    [그림 5] 김치(연) 주요사업-세부과제별 부합성 및 우수성 (2014~2016)

    [그림 6] 연구비 금액별 김치(연) 수탁과제(정부, 민간)의 부합성 (2014~2016)

  • xiv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 수탁과제(정부, 민간)의 부합성을 6점 척도로 평가했을 때, 기관의 임무에

    ‘약간부합~매우부합’으로 평가된 과제는 48.4%에 불과*

    * 1) 약간부합~매우부합: 31건/64건, 약간미흡~약간부합: 17건/64건, 매우미흡~약간미흡: 16건/64건

    2) 부합도가 낮은 정부수탁과제는 ‘급속해동기를 이용한 냉동육의 해동 기술 연구’ (매우미흡), ‘토양방선균

    유래 천연물 제초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미흡), ‘핵과류 주요 병해충 방제용 길항미생물의 산업화

    생산 공정 개발’ (미흡) 등이며, 민간수탁은 김치와 전혀 관계가 없는 식품의 성분분석에 관한 과제들임

    [사업추진·관리방식의 적절성 검토]

    ◦ 기관의 고유임무와 전략목표·성과목표, 사업의 대응관계가 매우 복잡하며, 사업수행에 따라 달성할 수 있는 전략목표·성과목표가 불명확

    - 개별 주요사업이 1:N의 대응관계로 다수의 전략목표·성과목표로 분산되어,

    사업 수행뿐 아니라 성과관리에도 비효율적 구조

    [그림 7] 김치(연)의 고유임무와 전략목표·성과목표 및 사업의 체계 (2016년 기준)

  • xv

    요 약

    ◦ 연구수행 주체(담당부서)를 기준으로, 한 부서가 여러 전략목표 및 분산된 사업을 담당하거나, 다수의 부서가 동일한 세부과제를 관할하는 등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고, 부서별 기능의 전문성 약화우려

    [그림 8] 전략목표·성과목표 및 사업별 담당부서의 수행체계 (2016년 기준)

    - 또한, 각 주요사업에 관련된 핵심기술·기반으로 비교 시, 부서별로 다중의

    기술영역(기술분야, 핵심기술·기반)을 담당하고 있어 연구인력의 전문성

    저해 및 사업 수행의 비효율화가 우려*

    * 기능성식품 및 소재개발, 발효핵심, 제조공정설비(2개 부서), 산업지원(5개 부서), 기업지원(3개 부서)

    에서 수행하는 등 부서별 중점 핵심기술·기반영역의 구분이 분명치 않음

  • xvi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그림 9] 주요사업의 핵심기술·기반별 담당부서 체계 (2016년 기준)

    5. 권고사항

    ◦ 식품(연)과의 차별화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되 김치산업 육성에 관하여 연구역량을 고도화·집중화할 수 있는 투자전략 수립 필요

    - 인프라(기업지원, 산업지원)분야에 있어, 기관의 전문성과 김치산업 내 역할

    강화, 협력적 네트워킹을 통하여, 김치(연)이 주도하는 양상의 기관 간

    협력체계 마련 필요

  • xvii

    요 약

    - 김치(연)에 투입·구축된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산학연의

    니즈와 협력 이슈를 발굴하고, 연구영역을 확대·다변화하는 방안 등을

    고려할 필요

    ※ 예) 매년 개최 중인 워크샵 또는 산학연 전문가 자문 등 다양한 창구를 통해, 산학연 니즈와 협력이슈를

    발굴하고 이를 사업으로 기획하는 체계를 마련 (종균banking화, 절임류(발효식품) 대상 연구 등

    연구영역 확대·다변화 고려)

    ◦ 궁극적 미션인 ‘김치 세계화’를 위해, 전반적으로 미흡한 성과목표 달성은 물론 국외 유수기관 수준의 우수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

    - 연구기관으로서의 정착 및 R&D본질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관의

    핵심 고유영역을 선택·집중하여 내부역량을 강화하고, 국내외 산학연 개방형

    협력이 필요한 영역에 대해서는 공동연구를 활성화하는 등 구체적인 역량강화

    전략 제시 필요

    ※ 김치(연)이 벤치마킹 하고 있는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등 해외 우수 연구소 수준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장기적, 구체적 로드맵 마련 필요

    - 성과목표 달성이 미흡하고, 사업의 내용과 연관도가 낮은 실적을 인정하는

    등 성과관리 체계가 전반적으로 부실하므로 체계적이고 철저한 성과 관리·

    운영 방안 마련 필요

    ◦ 연구역량이 축적단계에 있는, 설립 10년 미만의 성장형 기관이므로, 고유임무에 부합하는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하고, 연구역량의 빠른 정착을 위한

    연구 몰입도 제고 방안을 시급히 마련*

    - 연구심의위원회, 자문위원회 등에서 산학연계의 전문가를 외부위원으로

    구성하고, 참여를 정례화 하는 등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수탁과제의 임무

    부합성이나 연구 우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마련

    * 정규 연구인력이 담당하고 있는 과제수와 연구비 규모를 분석 시, 박사급 인력의 경우 1~10건(평균 5.3건),

    8.9억~65.2억(평균 29.1억), 석사급 인력의 경우 1~8건(평균 2.9건), 7.8억~55.9억(평균 24.1억)에

    해당하는 과제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016년도 기준, 참여율 미반영, 주요사업 및 수탁과제를

    포함)

  • xviii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 기관의 전략목표·성과목표와 주요사업의 체계를 단순화하고, 담당부서의

    주도적인 역할 및 책임을 전략목표·성과목표 및 사업의 대응구조에 맞추는

    등 부서·연구인력별 역할의 차별성, 전문성 강화 방안 필요

    ※ 동 평가기간 동안, 김치(연)은 ’16~’19 연구역량발전계획서(2017)를 수립하며, 전략목표·성과목표와 주

    요사업(세부과제)간 대응체계를 보다 단순·명확하게 하였으나, 전담 부서-담당 목표-관련 사업의 체계를

    분명하게 하여 부서별 책임소재와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조화 할 필요가 있음

  • xix

    목 차

    Contents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요 약 ··································································································································ⅰ

    제1장 서 론 ························································································1

    제1절 상위 정책 및 사업의 개요 ··········································································3

    제2절 평가 방향 및 주요이슈 ·············································································15

    1. 평가의 틀 ·················································································································15

    2. 평가이슈 및 분석방법 ·····························································································17

    제3절 보고서 구성 ·······························································································19

    제2장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21

    제1절 식품분야, 김치분야 R&D의 정부투자현황 ···············································23

    1. 식품분야와 김치분야 R&D의 정부투자현황 ························································23

    2. 부처별, 연구개발단계별, 연구수행주체별 투자규모현황 ····································24

    3. 김치분야 R&D의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별 투자규모현황 ························26

    제2절 김치(연) 주요사업의 투자포트폴리오 ························································32

    1. 김치(연) 주요사업의 포트폴리오 ···········································································32

    2. 김치분야 R&D내 타 사업들과의 비교분석 ·························································37

    제3장 사업 성과의 우수성 ·····························································47

    제1절 사업 성과의 달성도 점검 ··········································································49

    1. 성과지표별 달성도 ··································································································49

    2. 성과내용의 정성적 평가 ·························································································51

    제2절 사업 성과의 우수성 비교 ··········································································54

    1. 김치분야 R&D와 김치(연)의 성과 우수성 비교 ·················································54

  • xx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제4장 사업추진·관리의 체계성 및 적절성 ···································59

    제1절 고유임무와 사업의 부합성 검토 ·······························································61

    1. 주요사업의 임무부합성 ···························································································61

    2. 수탁과제의 임무부합성 ···························································································64

    제2절 사업추진·관리방식의 적절성 검토 ····························································66

    1. 사업의 관리 및 추진 체계 ·····················································································66

    2. 연구인력의 사업 수행 체계 ···················································································67

    제5장 결론 및 권고사항 ·································································71

    제1절 분석결과 요약 ····························································································73

    1.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74

    2. 사업 성과의 우수성 ································································································75

    3. 사업추진·관리의 체계성 ·························································································77

    제2절 권고사항 ·····································································································78

    1. 연구역량 고도화·집중화 위한 투자전략 수립필요 ··············································78

    2. 우수성과 창출방안 마련 ·························································································78

    3. 연구몰입도 제고방안 마련 ·····················································································79

    4. 사업의 추진체계 및 담당부서 역할의 명료화 ·····················································79

    참고문헌 ····························································································80

    부 록 ·······························································································81

    1. 세계김치연구소 주요 현황 ············································································83

    2. 세계김치연구소 주요 지적사항 ·······································································87

    3. 김치분야 R&D의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 분류 기준 ····························89

  • xxi

    목 차

    표 목 차

    김치산업 활성화 및 세계김치연구소의 설립·운영에 관한 정책적 근거 ························5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11)과 김치산업진흥 기본계획(’12) ··········································7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및 예산 개요 ·········································································12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 사업의 세부과제별 내역 ································13

    김치(연) 및 김치(연) 주요연구사업에 대한 외부지적사항(요약) ····································14

    식품분야 및 김치분야 R&D 정부투자현황 ····································································24

    부처별 식품분야 및 김치분야 R&D 투자현황 ·······························································24

    연구시설·장비구입 및 유지비를 제외한 김치분야 R&D의 연구수행주체별 투자현황 ·······26

    김치분야 R&D의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 분류체계(요약) ······································27

    김치분야 R&D의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별 정부투자현황 ·····································28

    김치분야 R&D의 핵심기술·기반별 – 연구개발단계별 정부투자현황 ····························29 김치분야 R&D전체 중 김치(연)에서 수행한 주요사업의 핵심기술·기반별 투입규모 ·····33

    김치분야 R&D내 대표사업의 투자현황 ··········································································38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의 성과지표별 달성도 ·······························50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의 성과지표별 평가결과 ···························52

    김치분야 R&D의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성과 수준 ····················································55

    김치분야 R&D를 수행한 출연(연) 성과의 양적, 질적 수준 비교 ································57

    김치(연) 주요사업의 세부과제별 임무부합성 및 우수성 평가 ·······································62

  • xxii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그 림 목 차

    [그림 1-1] 김치산업의 범위와 개념 ··································································································8

    [그림 1-2] 김치 생산 및 수출입 장기 전망 ·····················································································9

    [그림 1-3] 한국의 김치 교역액 추이 ······························································································10

    [그림 2-1] 김치분야 R&D의 연구개발단계별 연구비 비중 ···························································25

    [그림 2-2] 김치분야 R&D의 연구수행주체별 연구비 비중 ···························································25

    [그림 2-3] 김치분야 R&D의 핵심기술·기반별 연구개발단계의 연구비 금액(백만원) ··················30

    [그림 2-4] 김치분야 R&D의 핵심기술·기반별 연구개발단계의 연구비 투입 비중(%) ················31

    [그림 2-5] 김치(연) 주요사업의 기술분야-연구개발단계별 투자포트폴리오 ·································34

    [그림 2-6] 김치(연) 주요사업을 제외한 김치분야 R&D와 김치(연) 주요사업의 기술분야-

    연구개발단계별 투자포트폴리오 ····················································································35

    [그림 2-7] 김치(연) 주요사업을 제외한 김치분야 R&D와 김치(연) 주요사업의 핵심기술·

    기반별 투자포트폴리오(a) ·····························································································36

    [그림 2-8] 김치(연) 주요사업을 제외한 김치분야 R&D와 김치(연) 주요사업의 핵심기술·

    기반별 투자포트폴리오(b) ·····························································································36

    [그림 2-9] 김치분야 R&D 대표사업들의 기술분야별 투자포트폴리오(금액(백만원)) ···················40

    [그림 2-10] 김치분야 R&D 대표사업들의 기술분야별 사업내 투입 비중(%) ·····························41

    [그림 2-11] 김치분야 R&D 대표사업들의 핵심기술·기반별 사업내 투입 비중(%) ····················42

    [그림 2-12] 김치(연)외 김치분야 R&D 대표사업과 김치(연)주요사업의 핵심기술·기반별

    투자포트폴리오 비교(금액(백만원)) ············································································43

    [그림 2-13] 출연(연)의 주요사업(김치(연), 식품(연))과 그 외 대표사업들의 기술분야,

    핵심기술·기반별 투자포트폴리오 ················································································44

    [그림 2-14] 김치(연), 식품(연)의 기술분야, 핵심기술·기반별 연차별 투자현황 ··························46

    [그림 4-1] 김치(연) 주요사업-세부과제별 부합성 및 우수성 ·······················································63

    [그림 4-2] 연구비 금액별 김치(연) 수탁과제(정부, 민간)의 부합성 ·············································65

    [그림 4-3] 김치(연)의 고유임무와 전략목표·성과목표 및 사업의 체계 ········································67

    [그림 4-4] 전략목표·성과목표 및 사업별 담당부서의 수행체계 ···················································68

    [그림 4-5] 주요사업의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별 담당부서 체계 ··········································69

    [그림 4-6] 김치(연)의 신규 전략목표·성과목표 및 사업의 체계 ··················································70

  •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서 론

    제 1 장

  • 3

    제1장 서 론

    제1장 서 론

    제1절 상위 정책 및 사업의 개요

    본 특정평가의 대상 사업인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은 세계김치

    연구소(이하, 김치(연))의 기관고유임무로 기획된 주요사업의 일부로서, 김치 종주국으로의

    위상을 높이고, 글로벌 김치문화를 창진하기 위하여, 김치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관의 주요사업에 대한 평가에 앞서, 기관과 김치 산업의 이해를 위해 상위 정책과 간략한

    산업동향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김치(연)은 2008년 10월, 김치종주국 위상 회복을 위한 세계 최고수준의 절임류(발효

    식품) 연구기관을 육성하자는 정부방침(국무회의)에 따라 설립이 추진되었고(’08.10.,

    국무회의), 2009년 12월 한국식품연구원(이하, 식품(연))의 김치세계화전략단 조직을 분리,

    연구기능을 확대하여 지식경제부 산하의 식품(연) 부설기관으로서 설립되었다(’09.12., 산업

    기술연구회 제 132회 이사회). 2011년 7월 공포된 ‘김치산업진흥법’에 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

    수립·시행(제4조)에 관한 내용과 김치(연) 설립에 대한 근거(제13조)가 포함됨으로써 김치

    산업진흥 및 연구지원에 관한 정책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 설립 필요성(2009년 12월, 산업기술연구회 제 132회 이사회)

    ◦ 김치를 농식품 시장개방에 대응한 수출전략상품으로 육성, 산업화 첨병 역할 등 『Brand Korea』상품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적 지원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실정임

    ◦ 이를 위해서는 김치의 국가 R&D사업을 선도, 김치 세계화를 위한 홍보, 마케팅 등 산학연 네트워크의 종합컨트롤 타워로서 다목적 기능 역할을 수행 할 식품(연)의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설립이 필요

  • 4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 세계김치연구소 설립 추진 경과2008.10. 김치종주국 위상 회복을 위한 세계최고 수준의 절임류(발효식품) 연구기관 육성 의결

    (국무회의)

    2009.7. 농림수산식품부 세계김치연구소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 및 입지선정

    2009.12. 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 설립승인(산업기술연구회)

    2010.1. 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 설립(지식경제부 소관)

    2010.3. 세계김치연구소 개소

    2012.10. 청사 준공 및 기관이전(경기도 성남시 → 광주광역시)2014.6. 소관 연구회 변경 (산업기술연구회 → 국가과학기술연구회)2016.11. 세계김치연구소 3대 소장 취임

    ※ 「김치산업진흥법」 제정(법률 제 10884호, 2012년 1월 시행) - [제1조 (목적)] 이 법은 김치의 품질향상과 김치문화의 계승·발전 등 김치산업의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김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김치의 세계화를 촉진하며 농어업의 부가가치를

    높여 농어업인의 소득증대와 국가경제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4조 (종합계획의 수립) 제 1항]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김치산업의 진흥과 김치문화의 계승·

    발전을 위하여 5년마다 김치산업진흥종합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 [제13조 (세계김치연구소) 제1항] 국가는 김치종주국의 위상제고, 김치의 연구·전시·체험 등을

    위하여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세계김치

    연구소를 설립한다.

    - [제13조 (세계김치연구소) 제2항]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김치연구소의 설립과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비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

    2011년 ‘김치산업진흥법’이 제정됨으로써 김치산업 활성화 및 세계김치연구소(이하, 김

    치(연))의 설립과 운영·관리에 대한 체계적 지원에 대한 법적 근거가 확립되었다. 김치산

    업의 진흥과 김치문화의 계승·발전을 위하여 김치관련 기술의 개발 및 보급, 김치의 품질

    향상과 세계화촉진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김

    치산업관련 연구개발 및 통계조사를 실시,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

    다. 2012년 ‘제1차 김치산업 진흥 기본계획’에서 김치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김치원료의 안정적 공급, 김치의 안전성 확보, 연구개발 선진화 및 실용화, 인

    력양성 체계화, 김치가치의 재인식 및 홍보, 김치 수출 및 세계화 등의 주요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 5

    제1장 서 론

    김치산업 활성화 및 세계김치연구소의 설립·운영에 관한 정책적 근거

    구분 김치산업 진흥법 (‘11)

    주요내용

    ◇ 김치산업 종합계획 수립 (제4조)

    - 5년마다 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 수립·시행

    ◇ 경영지원 (제6조, 제7조)

    - 김치사업자에 대한 경영개선 및 농어업과의 연계강화 위한 사업지원

    ◇ 연구개발 및 통계조사 (제8조, 제9조)

    - 김치 제조기술 등의 연구개발 지원 및 김치산업관련 통계조사 실시

    ◇ 교육훈련 및 전문인력 육성 (제11조, 제12조)

    - 김치 제조기술 등의 보급·전수, 김치문화의 계승·발전을 위한 교육훈련 실시 및 전문인력 양성

    ◇ 세계김치연구소 설립 (제13조)

    - 세계김치연구소 설립 법적 근거 마련 및 기관 운영·관리를 위한 지원

    ◇ 김치산업 활성화 촉진 (제14조~제20조)

    -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국제규격화 추진

    - 김치의 포장·규격출하, 판로확대, 수급 조절 및 가격안정 도모를 위한 김치자조금의 적립 지원, 국민적

    관심제고 및 세계화 도모

    ◇ 품질향상 및 인증 (제21조~제23조)

    - 김치의 품질향상, 소비자 보호 등을 위한 품질인증 실시

    김치산업의 발전은 식품산업의 육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2008년 식품산업 육성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며 ‘식품산업진흥법’이 시행되고, 2012년까지 식품산업 매출

    150조 및 수출 100억불 달성을 목표로 하는 식품산업 종합대책이 마련되었다. 2009년에

    국가 17대 신성장동력으로 ‘고부가 식품산업’이 선정되었고, 기능성 식품, 유비쿼터스 식품

    시스템, 친환경 안심식품, 웰빙 전통식품의 4대 전략품목을 포함하는 ‘고부가 식품산업’

    기술로드맵이 마련되었다(농림수산식품부, 2009). 식품산업 육성 정책으로 식품 산업의

    성장기반을 통해 전통·발효식품 시장이 급성장하였고 천일염 산업화 및 고추장·된장·인삼의

    CODEX 규격 채택(2009)으로 세계화의 기반을 마련하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 하지만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전문인력 양성 인프라의 확충 필요성, 농어업과의 연계 방안 강화 필요성,

    한식 세계화 및 전통발효식품 육성, 기능성식품 육성 등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필요성, 소비자

    보호 및 식품 안전관리 강화의 필요성 등이 대두됨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2011년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이 마련되었다.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12~’17)에서 추진하는 주요

    정책 중 전통발효식품의 육성, 수출 확대 및 한식 세계화 등이 김치산업과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다. 2013년에는 ‘신식품 정책’이 수립되며 국민 식생활 개선, 농식품 관리 강화,

    농식품 안전 기반 구축, 국내 농산물 수요 확충, 식품산업의 경쟁력 증대, 외식산업 선진화

    및 한식 진흥 등의 분야에 중점 과제들이 추진되었다. 신식품 정책에서, 김치분야에서는

    R&D 지원 강화, 품질관리 컨설팅, 소비저변 확대, 수출시장 확대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세계김치연구소, 2016b: 420-423).

  • 6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2012년에 수립된 김치산업진흥기본계획에서 제시하는 주요 정책과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약재배가 어려운 중소업체를 대상으로 원재료 공동구매를 확대하고,

    저온저장시설을 지원하거나, 가격 상승시 도매시장에 우선 방출하는 상시 사전비축제 물량을

    김치업체에도 제공하는 등 김치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우수원료의 사용과 HACCP 인증 획득을 위한 시설 현대화 지원 및 위생관리 자문 등 중

    소업체의 위생·안전관리를 강화하기로 한다. 또한, 수입김치에 대한 유통이력관리 및 배

    추김치 원료의 원산지 표시대상 원료를 확대하는 등 김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셋째, ‘식품 R&D 개편방안’과 연계하여 김치를 집중 투자품목에 포함하여 비중을 확대하는

    등 고부가가치 식품기술개발 사업과 연계·강화하고, 김치(연)의 기능을 강화하여 김치산업의

    핵심 기술 및 민간연구소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장기과제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농식품부와 농진청, 민간연구소 등의 참여를 통해, 김치(연)에서

    김치산업의 세부분야별 로드맵을 구축하고 통합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김치 연구기관간 협

    의회를 구성·운영토록 하여, 연구개발(R&D)선진화 및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넷째,

    중소업체를 대상으로 품질·경영 관리 컨설팅을 지원하거나, 기술교육을 실시하고, 김치업체

    인력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등 체계적인 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다섯째,

    김치의 역사와 문화적 다양성에 관한 자료를 DB화하고, 지역별 다양한 김치를 발굴, 한식

    우수성·기능성 연구사업의 지속추진을 통해 김치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등

    김치의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영상매체나 학교교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홍보를

    활성화 하고자 한다. 여섯째, 박람회 참가 등 마케팅 활동의 지원, 주요 수출국의 현지인

    중심의 제품 개발, 장거리 수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통기한을 연장하거나, 포장용기를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수출기반을 지원하고, 한식세계화 사업과 연계하여 김치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등 김치수출 및 세계화를 추진하는 정책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 7

    제1장 서 론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11)과 김치산업진흥 기본계획(’12)

    구분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11) 김치산업진흥 기본계획(‘12)

    비전

    ◇ 농어업을 견인하는 글로벌 식품산업 육성

    - 식품산업 매출: (‘09)131조원 → (’17)245

    - 농식품 수출: (‘09)48억불 → (’17)200

    - 식품분야 고용: (‘09)176만명 → (’17)200

    ◇ 김치를 세계적인 고부가가치식품으로 육성

    목표

    ◇ 식품산업 인프라 확충으로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도약

    ◇ 농어업과 식품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선순환 구조

    정착

    ◇ 해외 시장개척 및 전략품목 육성으로 신시장 개척

    ◇ 소비자 보호 강화로 우리 농식품 신뢰도 제고

    ◇ 김치시장규모: (‘11)2.4조원 → (’16)3.0

    - 상품김치비중: (‘11)49% → (’16)60

    ◇ 김치수출: (‘11)1.0억불 → (’16)2.0

    ◇ 1인당 김치소비량: (‘06~10)31kg

    → (’11)31유지

    주요정책과제

    ◇ 식품산업인프라 확충

    - 식품 R&D 확대

    - 국가 식품 클러스터

    - 식품인력 교육

    - 통계·정보관리강화

    - 민간 투자 유도

    - 농식품 기업지원 센터

    - 원료공급체계 구축

    ◇ 농어업과의 연계강화

    - 지역전략식품육성

    - 농공상 융합형기업 육성

    - 우수 식재료 소비촉진

    및 외식산업 육성

    - 품목별 가공산업 활성화

    - 1인 기업 창업지원

    ◇ 김치 원료의 안정적 공급

    - 중소업체의 원재료 공동

    구매 확대

    - 저온저장시설 지원

    - 상시비축제 개선

    ◇ 김치의 안전성 확보

    - 김치 원재료의 안전관리

    강화

    - 중소업체 위생·안전관리

    강화

    - 수입김치 원산지 및 위생·

    안전관리 강화

    ◇ 연구개발(R&D)선진화

    및 실용화

    - 고부가가치 식품기술개발

    사업과 연계강화

    - 세계김치연구소 기능 강화

    - 김치연구기관간 협의회

    (가칭)구성

    ◇ 인력양성 체계화

    - 중소업체대상 품질·

    경영관리 컨설팅 지원

    - 문제 해결형 기술교육 실시

    - 김치업체 인력 역량 강화

    지원◇ 글로벌 경쟁력 강화

    - 농식품 수출확대

    - 한식 세계화

    - 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 전통발효식품 육성

    - 기능성식품 육성

    - 연관산업 활성화

    ◇ 소비자 정보 제공 및

    보호

    - 소비자 정보제공 강화

    - 녹색 식생활 교육

    - 인증제도 개편

    -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 유통단계 안전관리 강화

    ◇ 김치가치 재인식 및 홍보

    - 김치가치 재인식

    - 매체별·대상별 맞춤형

    홍보 실시

    ◇ 김치 수출 및 세계화 추진

    - 수출홍보·마케팅 강화

    - 수출 기반지원 강화

    - 잠재 소비층 확대 추진

    김치란 배추·무 등 엽근채소류를 주원료로 하여 절임과 고춧가루·마늘 등의 양념채소와

    가공품·젓갈 등과의 혼합 공정을 거쳐 그대로 또는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뜻한다(이용선

    외, 201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발효식품으로서 2001년 국제식품규격(Codex)에

    등록되었고, 2006년 미국의 건강전문지(Health)에 일본의 ‘낫또’, 인도의 ‘렌틸콩’, 그리스의

    ‘요구르트’, 스페인의 ‘올리브유’와 함께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 8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김치산업진흥법(2011)에서는 김치산업을 ‘김치를 생산, 가공, 제조, 조리, 포장, 보관,

    수송 또는 판매하는 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으로 지칭하고 있다. 김치산업은

    김치 제조업을 중심으로 후방연관산업과 전방연관산업을 포함한 전체를 그 범위로 하고

    있으며, 김치 후방산업이란 주로 배추, 무, 마늘, 고추, 젓갈, 소금 등의 원부재료 산업과

    김치 포장, 김치 유산균 관련 미생물, 제조설비 관련 산업 등의 파생산업을 포함한다. 김

    치 전방산업이란 김치의 유통, 외식 및 급식, 김치 저장 및 보관 냉장시설, 김치를 활용

    한 문화관광,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등이 포함된다(세계김치연구소, 2016b:

    419).(그림 1-1 . ‘김치산업의 범위와 개념’ 참고)

    [그림 1-1] 김치산업의 범위와 개념

    ※ 자료출처: 세계김치연구소, 2016b: 419

  • 9

    제1장 서 론

    국내 김치산업의 시장 규모는 약 2조 1,950억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산 김치의

    경우 1조 9,836억원(90.4%), 수입 김치는 2,114억원(9.6%)에 해당한다(세계김치연구소,

    2016a: 35). 김치의 국내 생산량은 2015년 기준 약 129만 7천톤의 규모이나, 2025년에

    107만톤으로 연평균 2%씩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세계김치연구소, 2016b: 70).

    [그림 1-2] 김치 생산 및 수출입 장기 전망

    ※자료출처: 세계김치연구소, 2016b: 71

    2015년도 기준 연간 김치 수출액은 7,354만 6천달러(832억원)로서 3년째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김치 수출 대상국 수는 2000년에 전체 수출 비중의 90%를 차지하던

    일본을 포함하여 27개국 규모였으나, 2005년에 31개국, 2010년에 54개국, 2015년에는

    미국, 대만 등의 동남아 및 중동지역 등 66개국으로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세계김치연구소, 2016a: 37-38, 세계김치연구소, 2016b: 44). 김치 수출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5년까지 3만톤을 초과하였으나, 2005년 기생충 파동으로 인하여 2015년에는

    2만3천여톤 규모로 감소하였다. 김치 수입은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1년 400톤에서 2015년 22만 4천톤으로 크게 증가하였고(세계김치연구소, 2016b:

    44), 연간 국내 김치 소비량을 160만톤 내외로 추정할 때, 전체 소비량의 약 14%에 달

    한다(세계김치연구소, 2016b: 327).

  • 10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그림 1-3] 한국의 김치 교역액 추이

    ※자료출처: 세계김치연구소, 2016a: 37

    김치산업의 당면과제로 다음의 사항들을 꼽고 있다. 우선, 서구식 식단으로 인한 쌀 소비

    감소와, 샐러드와 같은 다양한 채소류 반찬의 섭취율 증가, 염장식품으로서의 과도한 소

    금섭취에 관한 부정적 인식 등으로 인해 김치 소비가 둔화되고 있어 김치 소비기반 확대

    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둘째로, 안정적인 김치의 수급과 가격 안정, 기업 경영 안정을 위

    하여 김치 제조에 필요한 원부재료 농산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

    어야 한다. 원재료 수급 불안정은 김치 산업 전체에 영향을 주게 되어 국내 소비시장과

    수출시장 모두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김치의 수급 및 김치산업의 안정적인 시장

    유지를 위해서는 배추, 무, 고춧가루, 마늘 등 원부재료의 안정적 공급이 중요하므로, 이

    를 위한 품종개발, 농산물 재배기술, 저장·유통기술 등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로, 김치

    포장·제조 설비 및 김치개발 등 관련 기술 분야에의 R&D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식품 포

    장 기술은 미래 유망 기술 중 하나로 기능성·지능형 친환경 포장기술을 통한 경제적 효

    과는 수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치는 발효식품이기 때문에 김치 맛을 유

    지하고, 저장·유통기한을 연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포장 기술을 개발함으

    로써 내수와 수출시장이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김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

    처리, 절임, 세척, 탈수, 혼합, 포장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에 관한 제조설

    비·공정을 자동화, 표준화함으로써, 소비자의 요구나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세계김치연구소, 2016b: 427-429). 종합적으로, 다양한 소비

  • 11

    제1장 서 론

    자의 수요를 반영한 소비자지향적인 제품의 개발, 글로벌화에 따른 원활한 김치 교역을

    위한 포장 및 저장·유통 기술 등의 R&D, 원산지 의무표기 및 급식 김치 등의 품질관리

    강화, 김치 발효용 종균과 김치 유래 유산균에 관한 미생물 산업의 육성, 품질표준화 및

    원료 수급안정화, 관련 법·제도의 개선 등이 그 중점과제라 할 수 있다. (이용선 외, 2011)

    김치의 세계화(Kimchi Glocalization)는 글로벌화와 현지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으로,

    ‘김치를 세계인이 알고, 즐길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 발전시킴과 동시에, 현지의 문화를

    수용한 김치문화를 창조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김재환 외, 2013). 김치를 세계적으로

    알리고, 김치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우수한 ‘김치상품’뿐만이 아니라 그

    문화적 배경과 의미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 컨텐츠와 함께 마케팅

    하려는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김치의 세계화를 위하여 한식세계화 사업과 연계하여 김

    치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등 김치수출 및 세계화를 추진하는 정책과제들을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소비자에게 있어, 한식 중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갖는 품목은 불고기/갈비의 구이류,

    비빔밥과 함께 김치로 조사되었다고 한다(이민아, 2008). 한식의 세계 상품화 전략으로

    국내외 소비자에게 한식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마케팅 및 홍보

    전략과, 한식에 담긴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연계하고, 소비자의 생활양식 변화로 인한

    Home Meal Replacement 시장을 겨냥하는 한식 상품화 R&D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이민아, 2008). 김치의 세계화도 한식 세계화라는 큰 틀 내에서, ‘김치’ 품

    목에 맞는 전략을 통해 세계화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치(연)은 2016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실시한 기관종합평가 자체평가와 과기분야

    출연(연) 상위평가를 통해 5단계 등급 중 ‘미흡’등급을 받았다. 특히 연구부문 성과목표달

    성도가 64.63%로 저조하여, 연구부문 주요사업의 일부가 평가대상사업으로 선정되었다.

    평가 대상사업은 ‘김치의 세계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로, 김치(연)의 고유임무로 기획된

    주요연구사업의 일부이다. 본 사업은 김치의 생리대사 활성조작 기작과 김치유래 미생물의

    기능적 특성을 구명하고,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산업화, 김치 유산균의 우수성 구명,

    김치의 위생안전성 강화기술, 원산지 식별 기술 등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12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및 예산 개요 (2016)

    주요사업명 세부과제사업기간

    예산(백만원)**

    2016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

    개발*

    김치 유래 미생물의 바이오소재화 기술개발 ’14~’16 760.2 (570)

    김치의 우수성 구명 및 생리대사 네트워크 조절기술 개발 ’14~’16 1,105.2 (750)

    김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안전성 강화기술 개발 ’15~’16 1,189.7 (1,009)

    국내유통 상품김치의 원산지 식별을 위한 품질관리체계 구축 ’16~’16 1,513.3 (1,195)

    합계 4,568.4 (3,524)

    김치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기술

    개발

    김치원료 수급안정화를 위한 원료 종합처리 시스템 ’13~’16 1,392.8 (800)

    김치문화의 자원화 및 산업화 기술개발 ’13~’16 1,326.3 (900)

    김치산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중소기업 지원 ’14~’16 2,041.4 (1,260)

    합계 4,760.5 (2,960)

    김치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혁신기술

    개발

    중소·증견김치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종균

    산업화 기술개발’13~’16 1,059.3 (710)

    김치종균 대량생산기술 및 공급시스템 개발 ’15~’16 1,110.7 (570)

    중소기업형 고품질 DIY 김치세트 생산기술개발 ’14~’16 845.0 (570)

    김치의 품질표준화 및 고부가가치화 기술개발 ’12~’16 856.0 (805)

    합계 3,871.0 (2,655)

    김치사업

    융합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김치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융복합 플랫폼 구축 ’14~’16 498.9 (347)

    연구기획사업 ’10~’16 781.7 (170)

    합계 1,279.6 (517)

    2016년 주요사업 총액 (총정부연구비(직접비)) 14,480.0 (9,656)

    ※ 주요사업 내 세부과제개편 등으로, 2016년 기준 주요사업별 과제·예산내역을 기재

    * 특정평가 대상사업

    ** 예산: 정부연구비(직접비)

  • 13

    제1장 서 론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 사업의 세부과제별 내역

    세부과제명주요내용 및 전략목표·성과목표

    (’13~’16 경영성과계획서) 사업기간

    예산총액 (직접비)

    ‘14 ’15 ’16 총액

    김치 유래 미생물의

    바이오소재화

    기술개발

    ▪김치 우수성의 과학적 구명 연구 - 기능성 김치유래 미생물의 장기능 개선 효과 구명

    - 김치미생물의 고부가가치 산업화 응용 기술 개발 ’14-’16831.7

    (600)

    859.2

    (600)

    760.2

    (570)

    2,451.1

    (1,770)전략목표 1. 미래선도바이오기술확보

    성과목표 1-2.바이오소재화

    김치의 우수성 구명 및

    생리대사 네트워크

    조절기술 개발

    ▪김치 우수성의 과학적 구명 연구 - 김치의 생체 생리대사활성 조절 메커니즘 구명

    - 기능성 강화 김치 소재개발 ’14-’161,343.0

    (900)

    1,152.3

    (900)

    1,105.2

    (750)

    3,600.5

    (2,660)전략목표 1.미래선도바이오기술확보

    성과목표 1-1.김치우수성의 과학적구명연구

    김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안전성 강화기술 개발

    ▪김치의 원료, 제조공정, 저장·유통·포장, 위생·안전성 등 고품질 상품 김치 생산기술 개발

    - 김치의 제조단계별 위해요소 저감 및 안전성 강화기술

    개발

    - 김치의 수출확대 및 국내 김치 소비확대

    ’15-’19

    (‘16

    종료)-

    1,858.5

    (1,600)

    1,189.7

    (1,009)

    3,048.2

    (2,609)

    전략목표 2. 환경변화 대응기술 사용화

    성과목표 2-4. 위생안전성 강화

    국내유통 상품김치의

    원산지 식별을 위한

    품질관리체계 구축

    ▪김치산업의 발전을 위한 융합·혁신기술 연구 개발 - 배추김치 원부재료의 지역, 계절, 국가별 특이마커

    발굴

    - 국내 유통 배추김치의 원산지 판별 및 이력추적관리

    시스템 구축

    ’16-’20

    (‘16

    종료)

    - -1,513.3

    (1,195)

    1,513.3

    (1,195)

    전략목표2. 환경변화 대응 기술 상용화

    (‘16년 신규사업으로 관련 합의된 성과목표 없음)

    합계 ‘16 종료2,174.7

    (1,500)

    3,870.0

    (3,100)

    4,568.4

    (3,524)

    10,613.1

    (8,124)

    ※ 신임 기관장 선임 및 ’16~’19 연구역량발전계획서(2017) 수립에 따라 2016년 수행중인 전 과제를 종료하고, 2017년

    주요사업으로 신규기획

    2016년 기관종합평가 자체평가에서 주요 연구성과의 달성도, 질적 우수성이 미흡하며,

    연구수행체계 전반에 대한 재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또한 2016년 국회(미래창조

    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김치(연)의 실적이 뚜렷하지 않으므로 존립의 이유와

    성과를 뚜렷이 할 수 있도록 하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따라서, 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기관 전체의 사업운영·관리체계가 필수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평가 대상사업 뿐만이

    아니라, 김치(연)의 사업추진·관리체계 및 김치(연)이 수행하고 있는 다른 사업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함께 이루어졌다.

  • 14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김치(연) 및 김치(연) 주요연구사업에 대한 외부지적사항(요약)(부록 2. 참고)

    사업명 지적사항 (요약) 출처

    김치(연) 및

    김치(연)

    주요

    연구사업

    ▪ 김치(연)은 5단계 등급 중 ‘미흡’등급 부여▪ 연구부문의 ‘성과목표에 대한 달성도(50% 비중)’이 64.63%로 저조 ▪ 김치(연)은 이번 평가결과를 토대로 연구수행체계 전반에 대한 재편이 절실히 필요▪ 바이오기술, 환경변화 대응기술 등 전문 R&D영역의 부진은 국가/기관 차원에서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점임

    ’16 기관

    종합평가

    자체평가

    (‘16.2 실시)

    ▪ 세계김치연구소가 설립된 지 7년, 국민들이 느끼는 김치연구소의 실적이 뚜렷하지 않음. 1년 예산의 규모를 고려하여 (140억~170억원 수준), 존립하는 이유, 성과를 뚜렷이 해야 할 필요가

    있음

    ‘16 국회

    (미방위

    국감)

  • 15

    제1장 서 론

    제2절 평가 방향 및 주요이슈

    1. 평가의 틀

    미래부에서는 국가 R&D사업의 심충분석·점검을 통해 사업 개선 및 발전 방안을 제시

    하여 재정 투입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특정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국가

    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성과평가법)’제 7조에 따라,

    장기간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 사업간 중복조정 또는 연계가 필요한 사업, 다수의

    중앙행정기관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 국가적·사회적 현안으로 대두된 사업, 그 밖에

    특정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업 등이 특정평가의 대상이 된다.

    ‘김치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은 2016년도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상위평가에서 ‘미흡’등급을 받은 김치(연)의 주요사업 중 일부로서, 성과 창출, 사업 추진·

    관리체계 등에 대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동

    평가의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었다.*

    * 기관평가 미흡(이하)사업에 대한 심층분석 강화(2017년 실시계획)

    2016년 2월에 시행된 기관종합평가 자체평가에서 전체적인 연구부문의 달성도가 저조

    하고, 바이오 기술, 환경변화 대응기술 등 전문 R&D영역에서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연구수행체계 전반에 대한 재편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사항에 따라 평가의

    주요방향으로 다음의 세 가지 쟁점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김치(연)이 국내 김치 연구를

    총괄적으로 추진하고, 김치산업을 지원·견인하는 역할을 고유임무로 하고 있는 출연(연)이니

    만큼, 김치분야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포트폴리오가 적절히 구성되어 있는지가 중요하다.

    둘째로, 김치분야 R&D를 집중적으로 수행하도록 인프라와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기관이

    므로, 김치연이 창출하고 있는 성과의 우수성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김치

    (연)이 고유임무에 부합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사업을 추진·관리하는 방식은 어떠

    한지 등 사업을 기획·추진하는 체계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동 평가에서는 다음의 기준으로 ‘김치분야R&D’를 범주화 하였다. 2013~2015년도 국가과학기술지식

    정보(이하, NTIS)에 등록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한 조사분석데이터에서, 과제의 연구목표와 내용에

    ‘김치’, ‘(김치)발효’,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김치유래)미생물’, ‘장내미생물’, ‘식품위생’, ‘안전성’,

    ‘품질관리’, ‘폐기물’, ‘원산지’, 주요 원재료인 ‘배추’, ‘무’를 포함하는 과제를 1차 추출하고, 김치의

    전후방산업에 유관한 과제로서 추출·정제하여 동 평가에 활용하였다.

  • 16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먼저 김치분야 R&D의 정부연구개발투자규모를 확인하였다.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김치분야 R&D의 범주를 설정하여 적용하였다. 농식품분야의

    정부연구개발투자규모와 식품분야 투자규모, 김치분야 R&D 투자규모, 부처별, 수행주체

    별, 연구개발단계별 규모 현황 분석 후, 투자 포트폴리오 비교를 위해 김치분야 R&D를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별

    로 김치분야 R&D내 대표적인 사업과 정부출연연구소(이하, 출연(연))간 투자현황을 비교·

    검토하였다.

    성과의 우수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먼저 2014~2016년에 걸쳐 수행된 동 사업의 목표

    대비 달성도와 질적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일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경우 ‘성과목표지표

    점검’을 통하여 성과의 목표·지표, 목표치를 사전에 협의하고, 그에 대한 달성도를 평가하는

    체제를 따르나, 동 사업의 경우 기관의 주요사업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13~’16 경영성

    과계획서(2014)를 통해 합의된 전략목표·성과목표 및 목표치를 기준으로 점검하였다.

    ※ 동 사업을 구성하는 세부과제 중 하나인 ‘국내유통 상품김치의 원산지 식별을 위한 품질관리체계 구축’은 2016년

    신규과제로 기획되어 합의된 성과목표 및 목표치가 없음

    또한 ‘김치’라는 소재는 전통식품이면서, 국내소비 위주의 식품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

    여 국제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 점을 감안하여 김치분야

    R&D로 범주를 좁혀 타 사업, 타 출연(연)의 성과와 비교·검토하였다. 2013~2015년을

    기준으로 정부투자금액 상위 10위에 해당하는 사업(3년간 총 투입액 20억원 이상)과 김

    치분야 R&D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출연(연)(식품(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

    (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연))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김치(연)이 연구사업을 관리·운영하는 체계를 검토하였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관의 고유임무(전략목표·성과목표)에 부합하는 사업을 기획·수행하는지의 여

    부를 주요사업과 수탁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기관이 달성하고자 하는 전략목

    표·성과목표와 이에 연계되는 사업의 대응 체계와, 이 체계속에서 실제 사업을 수행하는

    조직과의 관계를 위주로 검토하였다.

  • 17

    제1장 서 론

    2. 평가이슈 및 분석방법

    【이슈 1】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 김치(연) 주요사업의 연구개발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분석

    ∙ 김치분야 R&D의 투자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으로 분류화하여 심층분석 (2013~2015년도 NTIS에 등록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세부

    과제별 조사·분석)

    ※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별 투자규모 현황 분석

    ∙ 투자 포트폴리오의 적절성 분석을 위하여, 김치분야 R&D과제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사업과의 투자현황 비교

    ※ 2013~2015년 국가연구개발투자규모 10순위 내에 포함되는 사업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검토

    < 분석방법 >

    구분 분석자료 및 데이터 비고 (활용목적)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데이터(2013~2015년도 사업 투입 내역)

    • 농림수산식품분야 R&D 투자현황조사• 식품분야 R&D 투자현황조사• 김치분야 R&D 투자현황조사 및 기술분야, 핵심기술·기반 분류화• 대표적인 사업들간 투자현황 비교분석• 대표적인 기관간 투자현황 비교분석

    【이슈 2】 사업 성과의 우수성 분석

    □ 동 사업의 목표대비 달성도 점검

    ∙ 2014년에 수립된 김치(연) ’13~’16 경영성과계획서상의 전략목표·성과목표와 목표치 대비 성과 달성도 점검

    ※ 일반 연구개발사업의 경우 성과목표지표점검을 통해 목표·지표와 목표치에 대한 합의 후 평가가 진행되나, 동

    사업은 기관의 주요사업으로 기획되었으므로 경영성과계획서 수립시의 성과목표와 목표치로 달성도를 점검함

    □ 김치분야 R&D내 성과 비교분석을 통한 김치(연)의 성과 우수성 검토

    ∙ 2013~2015년도 기준의 김치분야 R&D 범주 내의 유관사업들과의 비교를 통한 김치(연) 성과의 우수성 분석

    ※ NTIS에 등록된 사업성과의 누적 통계 및 질적 평가를 위한 IF, mrnIF, SMART 등급 등을 검토함

  • 18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 분석방법 >

    구분 분석자료 및 데이터 비고 (활용목적)

    성과의

    우수성

    분석

    • 동 사업 실적관련 자료(논문, 특허 관련 제반 문서) • 동 사업 성과 대비 달성도 점검• 2016년 과기분야 출연(연) 종합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상위평가보고서• 동 사업 성과의 질적 평가 및 정성적 의견 검토

    • 김치(연) 평가단에 의한 질적 우수성 검토보고서 • 동 사업 성과의 질적 평가 및 정성적 의견 검토• 김치(연) 연구심의위원회 의견 • 동 사업 성과의 질적 평가 및 정성적 의견 검토•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데이터

    (2013~2015년도 사업별 성과데이터)• 김치분야 R&D사업 성과 비교분석

    • 한국지식재산전략원 특허분석자료 • 특허의 SMART BB등급 이상 비율, 기술이전률

    【이슈 3】 사업추진·관리의 적절성 및 체계성

    □ 사업 목표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관의 고유임무(전략목표·성과목표)와의

    부합성을 분석

    ∙ 주요사업의 세부과제별 부합성과 성과의 우수성을 정성적으로 평가∙ 수탁과제에 대하여 발주처(정부·민간)와 연구비규모별 부합성을 정성적으로 평가

    □ 사업의 추진·관리체계가 기관의 전략목표·성과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한 체계를

    갖추었는지, 사업의 운영이 적절한지에 대한 분석

    ∙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기관의 임무(전략목표·성과목표)를 달성하기에 적절한 운영체계를 갖추었는지에 대한 분석

    < 분석방법 >

    구분 분석자료 및 데이터 비고 (활용목적)

    사업추진·

    관리의

    적절성 및

    체계성

    • 사업내역 및 예산자료(주요사업, 수탁과제) • 사업의 임무부합성 검토• 김치(연) 평가단에 의한 질적 우수성 검토보고서 • 주요사업 성과 우수성 검토시 참고• 김치(연) 연구심의위원회 의견 • 주요사업 성과 우수성 검토시 참고• ’13~’16 김치(연) 경영성과계획서(2014) • 기관의 고유임무, 전략목표·성과목표 검토• 2016년 과기분야 출연(연) 종합평가 자체평가보고서,

    상위평가보고서• 기관의 고유임무, 전략목표·성과목표 검토

    • 주요사업내 세부과제별 관련 전략목표·성과목표 조사자료 • 사업-전략목표·성과목표 간 체계 검토• 김치(연) 연구인력 구성내역 및 조직 자료 • 조직의 사업수행 체계 검토• 김치(연) 연구인력별 담당과제 내역 자료 • 연구인력의 업무현황 검토• 김치(연) 연구심의회, 자문위원회, 성과관리체계

    등 운영방안• 사업 기획·수행·관리체계 검토

    • 김치(연) 관계자 인터뷰 • 운영방안

  • 19

    제1장 서 론

    제3절 보고서 구성

    이후의 보고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개발투자 포트폴

    리오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김치분야 R&D의 범위를 선정하였다. 김치산업은 그 후방

    연관산업으로 원부재료 생산 및 이를 위한 농약, 비료, 농기계 등의 개발, 김치 제조설비,

    저장시설 관련 산업 등이 관련되어 있고, 전방연관산업으로는 유통, 외식(급식), 김치냉장고,

    문화관광,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수출 등을 포괄하는 산업으로 범위를 잡고

    있다.

    동 평가에서는 2013~201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한 조사분석데이터에서, 과제의

    연구목표와 내용에 ‘김치’, ‘(김치)발효’,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김치유래)미생물’,

    ‘장내 미생물’, ‘식품위생’, ‘안전성’, ‘품질관리’, ‘폐기물’, ‘원산지’, 김치의 주재료 중 ‘배

    추’, ‘무’를 포함하는 과제를 추출하고, 그 중 김치 전후방산업에 유관한 과제만으로 추

    출·정제하여 김치분야 R&D로 간주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농식품분야와 식품분야 대비 김

    치분야 R&D의 투자규모를 파악하고, 기술분야 및 핵심기술·기반으로 분류한 뒤, 영역별

    투자규모를 분석하였다. 전체 김치분야 R&D내 김치(연) 주요사업(김치(연) 연구운영비지원)의

    투자영역과 규모를 비교하고, 김치(연) 주요사업의 투자 포트폴리오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투자 금액순으로 10순위 내의 대표적인 사업들과 비교분석하였다. 10순위 내 사업

    중, 김치(연)과 함께 출연(연)의 연구운영비로 지원되는 식품(연)과의 차별성 유무를 검토

    하기 위하여 핵심기술·기반으로 분류하고, 연차별 변화추이와 상세 연구내용을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성과의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1절에서 평가대상사업(김치의 글로벌화

    를 위한 선도기술개발사업)의 목표치 대비 달성도를 조사하였다. 동 사업은 기관의 임무

    로 기획된 주요사업으로서, ’13~’16 경영성과계획서(2014) 수립 시 확인된 성과목표·지

    표와 목표치에 대비한 달성도를 검토하였다. 당시, 논문(SCIE 게재건수)과 국내외 특허(등

    록건수)는 Pass/Fail 지표로 간주하기로 하였으므로 전체적인 달성도에는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2016년 2월에 시행된 기관종합평가 자체평가에서 전체적인 연구부문의 달성도는

    64.63%로 저조한 실적을 나타내었고, 당시 달성도 점검결과와 전문가 정성평가결과를 종

    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바이오 기술, 환경변화 대응기술 등 전문 R&D영역에서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역량의 미흡은 국가와 기관차원에서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

    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던 바, 연구부분의 달성도와 질적 우수성을 위주로 재평가 하였다.

  • 20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2절에서는 ‘김치’ 및 발효과정을 통한 ‘김치유래소재’라는 우리나라 전통 소재를 연구대상

    으로 하기 때문에, 국제적인 파급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2013~2015년도에

    수행된 과제를 중심으로 김치분야 R&D전체의 성과들과 비교하여 김치(연)의 연구 우수

    성을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김치(연)이 사업을 추진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검토하였다. 1절에서는

    2014~2016년도에 김치(연) 연구운영비지원으로 기획된 주요사업의 목표와 내용을 검토

    하여, 기관의 고유임무(전략목표·성과목표)에 부합하는지를 6점 척도를 통해 정성적으로

    판단하였고, 이와 더불어 주요사업내 성과내용을 검토하여 우수성을 6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또한 김치(연)이 동 기간 수행한 수탁과제의 임무부합성을 연구비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2절에서는 기관의 전략목표·성과목표에 맞추어 주요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체계와,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부서별 역할 분담 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요약·정리하였고, 평

    가결과에 따른 권고사항을 통해 사업 및 기관의 연구부문 추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제 2 장

  • 23

    제2장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제2장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적절성

    제1절 식품분야, 김치분야 R&D의 정부투자현황

    본 절에서는 김치분야R&D의 규모를 추정하기 위하여 김치분야R&D를 추출하고 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농림수산식품분야와 식품분야 R&D속에서 차지하는 투자현

    황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 분석을 위하여 2013~2015년도에 수행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한 조사분석데이터를 참고하였다. (출처: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NTIS))

    ※ 농림수산식품분야 R&D 정부연구비: 과학기술표준분류의 농림수산식품분야(대분류)와 보건의료분야(대

    분류) 내 식품안전관리(중)을 포함한 범위로 규정함

    ※ 식품분야 R&D 정부연구비: 농림수산식품분야(대분류)내 ‘농수축산물 위생/품질관리(중)’, ‘식품과학

    (중)’, ‘식품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