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28
군사연구 제133집 109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 - 심하전투를 중심으로 - 최형국 * 1) < 목 차 > Ⅰ. 머리말 Ⅱ. 임란 이후 여진의 성장과 조선의 방어대책 모색 Ⅲ. 여진기병에 대한 조선의 대응전술 Ⅳ. 심하전투를 통한 전술 변화 Ⅴ. 맺음말 # 본 논문은 필자의『朝鮮後期 騎兵의 馬上武藝 硏究』 ,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의 일부를 수정ㆍ보완한 것임을 밝힌다. * 수원문화재단, 문학박사(역사학-군사사 전공) 주요논저 :『朝鮮武史』, 인물과 사상사, 2009. ;「朝鮮後期 陣法 鴛鴦陣의 軍士武藝 特性」 『軍史』78호, 2011. ;「朝鮮後期 倭劍交戰 변화 연구」『역사민속학』25호, 2007. 외 다수 E-mail : [email protected]

Transcript of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 군사연구 제133집…109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 심하전투를 중심으로 -

    최 형 국*1)

    < 목 차 >

    Ⅰ. 머리말

    Ⅱ. 임란 이후 여진의 성장과 조선의 방어대책 모색

    Ⅲ. 여진기병에 대한 조선의 대응전술

    Ⅳ. 심하전투를 통한 전술 변화

    Ⅴ. 맺음말

    # 본 논문은 필자의『朝鮮後期 騎兵의 馬上武藝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의 일부를 수정ㆍ보완한 것임을 밝힌다.

    * 수원문화재단, 문학박사(역사학-군사사 전공)

    주요논저 :『朝鮮武史』, 인물과 사상사, 2009. ;「朝鮮後期 陣法 鴛鴦陣의 軍士武藝 特性」

    『軍史』78호, 2011. ;「朝鮮後期 倭劍交戰 변화 연구」『역사민속학』25호, 2007. 외 다수

    E-mail : [email protected]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10…군사연구 제133집

    국문초록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군 전술변화의 양상을 대북방 전쟁 과정을 통해서 살펴

    보았다.임란 이후 편찬된 병서인『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과『연

    병지남』(練兵指南)을 구체적으로 살피면서 전술변화에 따른 군사 개개인의 전투

    방식의 변화까지도 확인하였다.또한 심하전투의 분석을 통하여 전술적 한계를

    짚어 보았다.특히 병서의 내용 중 진법이나 군사 개개인의 익히는 무예의 경우

    는 기병을 방어하는 역할이 대폭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이를 통하여 임진

    왜란 이후 일본군을 상대하기 위하여 급속하게 보병 위주로 변화된 조선군의 전

    술체제가 다시금 대북방 기병전력을 방어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

    다.또한 단순한 포수 위주의 보병전술이 아닌 살수와 기병전력을 보강하여 거기

    보(車騎步)통합전을 통한 전술 다양화를 모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조선군 전술,『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

    『연병지남』(練兵指南),심하전투(사르후 전투),기병방어,

    거기보 통합전,무예사,군사사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11

    Ⅰ. 머 리 말

    조선은 임진왜란이라는 전대미문의 전쟁을 거치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많은 변

    화를 겪었다.특히 전쟁과 직결되어 있는 관방(關防)체제를 비롯한 국방상의 변화

    는 가장 급격한 형태로 나타났다.이는 임란이전까지 조선군의 주적은 북방의 여

    진족으로 설정하여 핵심 전법(戰法)을 비롯한 국방상의 대응전력을 이에 맞춰 관

    방체제가 유지되었기 때문에 일본군의 전면전적 성격의 전쟁은 조선군 관방 개념

    의 근간을 바꿀만한 중차대한 문제였다.

    대표적으로 조선전기의 전술체제는 오위진법(五衛陣法)을 중심으로 한 기병전

    술이 중심이었다.그러나 오위체제는 임란시 일본군의 전술이 조총과 단병접전술

    을 바탕으로 한 보병 중심 전술체제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다.이러

    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조선은 임란 중 明의 병서인『기효신서』(紀效新書)

    를 군영에 보급하면서 보병 강화전술로 변화하게 된다.1)임란 중 새롭게 창설된

    군영인 훈련도감(訓鍊都監)의 (포수)砲手․(사수)射手․살수(殺手)로 대표되는 삼

    수병 체체제는 보병중심 전술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이었다.

    그러나 임란을 거치며 변화된 조선군의 보병중심 전술체제는 정묘․병자호란

    (丁卯․丙子胡亂)등 북방 민족인 여진족과의 전쟁을 거치면서 또 한번의 전술적

    혼란을 야기시켰다.2)특히 임란을 거치면서 대폭 축소 운영된 기병 전력문제로

    인해 대북방 전략운용에 큰 공백이 생겨났다.이는 조선전기의 방어전략의 기준

    1) 壬辰倭亂 당시 日本軍의 短兵接戰術에 대항하기 위하여 명나라에서 입수한『紀效新書』에 대

    한 연구 및 조선군 전술 변화사는 다음의 논문을 참고하였다. 朴起東,『朝鮮後期 武藝史 硏

    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盧永九,「宣祖代 紀效新書의 보급과 陣法 논의」

    『軍史』34호, 군사편찬연구소, 1998 ; _____,「壬辰倭亂 이후 戰法의 추이와 武藝書의 간행」

    『한국문화』27집, 2001, ; 沈勝求,「壬辰倭亂 中 武藝書의 편찬과 의미」『한국체육대학교 논

    문집』26집, 한국체육대학교, 2003. ; _____,「한국 무예사에서 본『武藝諸譜 」『한국무예의

    역사․문화적 조명』, 국립민속박물관, 2004, ; 정해은,「임진왜란기 조선이 접한 단병기와『무

    예제보』의 편찬」『軍史』51호, 2004, ; 崔炯國,「조선후기 倭劍 交戰 변화연구」『역사민속

    학』25호, 역사민속학회, 2007. ; _____,「朝鮮後期 陣法 鴛鴦陣의 軍士武藝 特性」『軍史』78

    호, 2011, 참조.

    2) 임진왜란 이후부터 17세기까지 조선군 전술 변화와 관련된 연구는 李弘斗,「胡亂 이후 조선군

    의 전술 변화」『군사사연구총서』2, 군사편찬연구소, 2002. ; 盧永九,「인조초~병자호란 시기

    조선의 전술 전개」『한국사학보』 제41호, 고려사학회, 2010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위의

    선행연구의 경우 거시적인 전술사 관점에서 접근하여 군사 개개인의 무예 변화 및 움직임의

    변화까지는 세세하게 짚어내지 못하고 있다.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12…군사연구 제133집

    처럼 적 기병을 아군 기병이 직접적으로 상대하는 이른바 맞불전략 대신 임란이

    후 강화된 보병전력으로 이를 막아내야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군은 강화된 보병전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보병으로 기동력이 빠

    른 기병을 상대하는 대기병전술을 빠르게 보급하게 된다.대표적으로 임란 중에

    살수의 강화를 위하여 보급한『무예제보』(武藝諸譜)의 보충판인『무예제보번역

    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에 추가된 무예는 대기병 방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그리고 明의 장수인 (척계광)戚繼光이 지은 병서 중『기효신서』에서 대기

    병 전술이 보강된『연병실기』(練兵實紀)를 조선에서 재해석해서 펴낸『연병진

    남』(練兵指南)의 전술운용 방식은 이러한 전장의 환경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연병지남』의 경우는 대형 화포를 중심으로 보병들이 이를 사수하면서 기

    병의 공격을 막아내는 전술을 핵심적으로 담고 있기에 임란이후 급변하는 전술체

    제를 잘 담아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수가 강화된 보병중심의 대기병 방어전략은 심하전투(深河戰

    鬪)3)와 병자호란 등 대북방 전쟁에서 심각한 한계를 노출하게 된다.특히 심하전

    투의 경우 조총으로 무장한 조선군을 비롯한 보병 위주의 조명(朝明)연합군이

    후금의 철기병들에게 야전에서 완벽하게 노출되면서 전멸에 이르는 상황이 발생

    하게 된다.당시 임란을 거치면서 급속하게 증강된 포수 위주의 보병 전법은 철

    기(鐵騎)로 무장한 후금의 기동전력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보병전술 중 살수(殺手)와 포수(砲手)의

    대기병 방어전술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게 되었다.또한 적 기병에 대한 직접적인

    방어능력을 향상을 위한 기병 강화병력 증강 노력이 지속되어 숙종대 이후부터

    지방의 특수 기병대가 창설되는 등 기병전력 향상을 위한 실제적이 배경이 되었

    다.4)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임란 이후 17세기 조선군의 전

    3) 深河전투는 ‘사르후(薩爾滸, Sarhu)전투’라고도 하며, 후금의 수도인 허투알라와 무순의 중간에

    있는 지역에서 발생한 전투이다. 실록을 비롯한 연대기 자료에서 ‘深河之役’이라는 단어를 사용

    하기에 본고에서는 심하전투로 사용한다.(燃藜室記述 卷21深河之役.)

    4) 肅宗代 새롭게 창설된 地方 특수기병에 대한 연구는 다음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姜信曄,「朝鮮

    後期 親騎衛」『慶州史學』13호, 慶州史學會, 1995, ; 姜錫和,「朝鮮後期 咸鏡道의 親騎衛」

    『韓國學報』89, 一志社, 1997. ; _____,「朝鮮後期 平安道의 別武士」『韓國史論』41,國史編纂

    委員會, 1999, ; 崔炯國「朝鮮 肅宗代 地方 騎兵部隊 創設과 馬上武藝의 變化」『역사와 실학』44,

    歷史實學會, 2011. 참고.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13

    술변화 흐름을『무예제보번역속집』과『연병지남』등 당대에 편찬된 병서의 구체

    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특히 선행연구에서 부족하였던 전투에 직접

    적으로 활용된 군사 개개인의 전투방법의 운용까지 미시적으로 접근하여 보다 면

    밀하게 변화상을 짚어보고자 한다.이러한 미시적 접근을 통해 전통시대 전술변

    화의 방식이 각각의 군사들의 움직임 혹은 무기체계의 변화를 통해서도 이뤄진다

    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또한 병자호란 이전에 발생

    한 심하전투의 경우는 당대를 대표할 만한 전술적 변화를 담고 있기에 이를 중심

    으로 조선군과 후금(後金)의 전술 운영 비교를 통해 이후의 변화 양상을 이해하

    고자 한다.이를 통해 조선후기 조선군 전술의 변화 요인 및 특성을 밝혀내어 이

    후 군사사 연구 부분에서 보다 미시적인 연구가 더욱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자 한다.

    Ⅱ. 壬亂(임란) 이후 女眞(여진)의 성장과 조선의

    방어대책 모색

    조선초기부터 조선군의 주적(主賊)으로 규정된 여진족은 임진왜란이 발생하는

    동안 만주 지역을 중심으로 누르하치(努爾哈赤)가 이끄는 건주위 여진부족이 지

    속적으로 세력을 확대해나가고 있었다.여진족은 임란 이전부터 이미 명나라의

    간섭에 대항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의 부족 연맹체제를 만들고 있었는데,그 중

    누르하치의 경우는 명(明)과 군사적인 연합을 바탕으로 여타의 여진족과 대립적

    위치에 있었다.5)

    누르하치의 정치적 배경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누르하치가 속한

    건주위 여진은 당시 명나라의 요동총병이었던 이성량(李成梁)과 군사적으로 밀접

    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이는 몇몇의 여진족 세력 중 명나라와 대립적 관계에 있

    5) 壬亂 이후 朝鮮의 북방관계사 연구는 다음의 연구를 참조하였다. 韓明基,『임진왜란과 한중관

    계』역사비평사, 1999. pp.224~226; 신명호,「광해군의 대후금 외교정책 분석」『 軍事史 硏

    究叢書』第2輯, 國防部軍史編纂硏究所, 2002. pp.243~300.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14…군사연구 제133집

    었던 아타이(阿臺)를 이성량이 이끄는 명군과 건주여진이 연합군을 형성하여 토

    벌했던 사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명군과 연합작전을 전개할 정도로 다른 여

    진족 집단보다 명나라와 굳건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던 건주여진은 이러한 관계

    를 바탕으로 명나라의 상인들과 독점적 교역을 하는 등 국력을 강화할 수 있었

    다.이후 누르하치는 명나라로부터 좌도독용호장군이라는 직책을 받으며 주변의

    여진부족과는 다른 정치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6)

    건주여진의 독점적 세력 강화를 막기 위해 해서위를 중심으로 한 여진족 9부

    연합군의 공격시도가 있었지만 건주여진은 이를 막아내면서 오히려 주변에 산재

    해 있던 군소의 여진족들을 자신의 세력으로 흡수하였고,이러한 군사적 수단을

    통해 세력을 강화하였다.이후 독자적인 세력을 키운 건주여진은 1605년에는 국

    호를 건주국(建州國)으로 선포하였고,1608년에는 대명단교를 선언하면서 독립국

    가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7)

    건주여진의 세력이 강성해지고 있었던 사실이 조선에 알려진 것은 임진왜란때

    였다.조선은 세조(世祖)이후부터 국경지역에서 여진족과 지속적인 군사분쟁이

    발생하여 적대적인 관계에 있었다.그러나 임진왜란 개전초기에 宣祖가 몽진하게

    된 상황이 벌어지자,누르하치의 사신이 조선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해 왔다.조선은 이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군사적으로 강성해진 건

    주여진 세력을 인식하게 되었다.8)

    조선의 경우 건국 초부터 기병 군사력이 강한 여진세력의 결집을 막기 위해 기

    미정책을 취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여진을 견제하고 있었다.그러나 임

    진왜란이 끝나고 난 후 조선은 더 이상 전쟁을 지속할 수 없는 정치․사회적 여

    건에 놓이게 되었다.따라서 여진족들 간의 세력통합 분쟁과 조선 국경에 대한

    위협을 군사적으로 견제하지 못하였다.9)

    6) 徐正欽,「明末淸初 누르하치의 對明關係와 그 性格」『歷史敎育論集』18, 1993. pp.144~151.

    7) 崔韶子,「淸과 朝鮮」『梨花史學硏究』22輯, 梨花史學硏究所, 1995. pp.185~187.

    8)『宣祖實錄』卷30, 宣祖 25年 9月 甲戌. 당시 누르하치가 보낸 사신의 壬亂 참전 이유는 日本

    軍이 朝鮮을 거쳐 明으로 進軍할 경우 만주 또한 전쟁터가 되기에 미리 朝鮮에서 日本軍을 막

    아내기 위함이라는 이유를 달았다. 그러나 朝鮮은 이러한 제의가 오히려 화근이 될 것이라는

    柳成龍의 의견을 수용하여 건주여진의 참전을 막게 되었다.

    9)『宣祖實錄』卷34, 宣祖 26年 10月 庚戌. 壬辰倭亂 과정에서도 女眞族과의 마찰이 있었으나, 日

    本軍과의 전쟁으로 인해 이를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회유책을 통해 관계를 개선하려 했

    다. 이러한 이유로 女眞族은 두만강과 압록강 사이를 오가며 朝鮮의 정보를 입수했으며 이는

    훗날 丁卯·丙子胡亂의 패배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15

    그러나 여진족의 세력이 계속해서 확대됨에 따라 조선에서도 이를 방어하는 군

    사정책을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이때 선조(宣祖)는 여진 방어정책의 기본 틀을

    전투를 회피하는 쪽으로 결정하고,전통적으로 조선이 사용해 왔던 청야전술과 산

    성방위전략을 근간으로 하는 방어 전략을 세워 나갔다.10)국경 근처에는 무성한

    풀밭에 불을 놓아 적의 움직임을 쉽게 살필 수 있게 하였고,여진족 기병을 상대

    하기 위하여 항왜군(降倭軍)을 국경지역으로 적극 편입시키는 한편 첩자를 적절히

    활용하여 여진족의 동태를 수시로 파악하기도 하였다.11)한편 여진족의 주력 병종

    이 기병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직접적 대응책으로 조선군의 기

    병을 확대하는 정책도 추진되었다.이를 위하여 포수,사수,살수의 보병으로 편성

    된 훈련도감에 기병을 추가로 설치할 것을 선조가 직접 지시하기도 하였다.12)

    이러한 선조대의 건주여진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통해 국경지역에서는 별다른 군

    사적 충돌은 발생하지는 않았다.그러나 선조 40년에 건주여진이 조선과 국경지대

    를 접하고 있는 해서여진 계통의 부족인 忽溫을 군사적으로 제압하면서부터 건주여

    진과 직접적으로 국경을 접하게 된 조선은 적극적인 대비책을 세워야만 했다.13)광

    해군대(光海君代)에 이르러서도 훈련도감에 창설되었던 기병부대에 전마를 공급하

    고 마상무예 훈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였지만,14)이미 임란을 계기로 주력 병종이

    포수를 중심으로 한 보병 위주로 집중되면서 기병은 쉽게 전력화 될 수 없었다.15)

    임란 이후 보병 중심으로 변화된 조선군 편제에서 여진기병에 대한 직접적인

    방어를 기존의 청야수성전 뿐만 아니라 강화된 보병력을 통해 대처하고자 하였

    10) 韓明基,『임진왜란과 한중관계』역사비평사, 1999. pp.228~229.

    11)『宣祖實錄』卷68, 宣祖 29年 10月 丙午, “焚草一事 最爲切急 此非尋常之虜 帶甲十萬 決難支

    吾 關西士卒有幾, 豈不寒心 彼虜善射慣戰 長於馳擊 我兵單弱怯懦 爭鋒於原野 其勢必敗, 而平

    地之城, 亦恐難守 須令擇山城入據之 小小鎭堡土兵 不過十餘 有無不關 而適足爲虜人所資 皆令

    疊入於堅城大鎭 淸野以待 必據險邀截 而非火器不可 … (中略)… 若於此時 差出應瑞之代 使應

    瑞 率其麾下降倭及高彦伯陣中降倭 往鎭于關西某處 如有事變 可以得志矣 大抵用兵, 必先料敵

    而能爲制勝者也 如欲料敵 必用間牒 更令邊將 詳探虜情亦可矣 凡防備之事 輕且急者 則言送于

    金大來 大且難決者 則隨後議啓 而又必與兵判同議.”

    12)『宣祖實錄』卷182, 宣祖 37年 12月 壬戌, “且都監只訓錬步卒 更無馬兵 古之用兵者 騎步迭用

    隨其所遇 而運用取勝 雖倭賊 未嘗無騎馬者 都監只訓鍊步卒 甚是爲欠 今宜爲竝鍊馬兵之計 旣

    有別武士 射手等名稱 未審此人等 皆有其馬乎 猝遇倉卒 可能騎馳而出者乎 若不然, 馬不可不養

    於都監也 或百匹 或五十匹 可以場馬捉出 分授精勇武士 別爲一隊 常習騎射 騎搶 擊刺等技 編

    於行伍 其於戰陣 不爲無助 議處 言于都監.”

    13)『宣祖實錄』卷216, 宣祖 40年 9月 癸卯.

    14)『光海君日記』卷106, 光海君 8年 8月 己未.

    15) 盧永九,『朝鮮後期 兵書와 戰法의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pp.107~108.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16…군사연구 제133집

    다.이는 임란 때 일본군이 사용한 조총과 단병접전술로 무장한 보병으로 개전초

    기 조선과 명나라의 기병전술을 무력화시킨 전술사적 경험에서 나온 결정이었다.

    Ⅲ. 女眞騎兵(여진기병)에 대한 조선의 대응전술

    여진의 군사적 발호를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을 막기 위해 특별히 창설된 훈련도감

    의 삼수병체제로 대응하는 것은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삼수병체제는 임란 중 조선

    군이 일본군의 핵심전력인 조총수와 도창수로 구성된 보병전술을 방어하기 위하여

    『기효신서』의 보병체제를 빠르게 흡수하여 만들어낸 전술체제였기 때문이다.16)

    따라서 여진에 대한 대기병방어 문제는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 새롭게 보병무예

    를 강화하면서부터 준비되었다.임진왜란 중 편찬된『무예제보』(武藝諸譜)의 경

    우 일본군의 단병접전술에 대항하기 위해 보병무예 육기가 한교(韓嶠)에 의해서

    완성되었으며,임란 이후 1610년에는『무예제보』를 보강하기 위해 훈련도감 도

    청 최기남이『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을 편찬하게 된다.17)『무예

    제보번역속집』에 수록된 보병무예는 과 같다.

    『武藝諸譜飜譯續集』에 수록된 보병무예와 그 특징18)

    특징 종류 武藝의 특징 비 고

    拳法보병들이 무기를 들지 않고 맨손으로 익히는 무예로 다른 병장기를 익히기 전에 수족을 원활케 사용하기 위해 배우는 것

    -

    靑龍偃月刀날 길이 2척, 자루길이 4척의 자루가 긴 칼로 크게 휘둘러 적을 베는 기법이 많은 무예

    -

    夾刀棍전장길이 7척의 봉 끝에 5촌길이의 아주 짧은 칼을 달아 주로 적을 때리는 기법이 많은 무예

    鉤槍圖 附錄

    倭劍두 사람이 마주서서 외날 刀를 가지고 공격과 방어를 펼치는 교전형 무예

    新書倭劍圖, 日本國圖

    * 附 日本考, 倭船, 寇術, 倭刀, 切意, 跋文 *附 : 책 후반부의 부록

    16) 崔炯國,「조선후기 倭劍交戰 변화연구」『역사민속학』25호, 역사민속학회, 2007. pp.97~102.

    17)『武藝諸譜飜譯續集』에 나타난 武藝의 특징과 軍士 戰法的 변화는 다음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나영일 외,『조선 중기 무예서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pp.46~61.

    18)『武藝諸譜飜譯續集』에 실린 拳法, 靑龍偃月刀, 夾刀棍, 倭劍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도식화

    하였다.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17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임진왜란시 일본군의 신전법을 극복하기 위하여『무예제

    보』는 일본군을 효과적으로 상대하기 위한 무예로 구성되었다.이러한 이유로

    『무예제보』의 속편에 해당하는『무예제보번역속집』역시 일본군의 공격을 물리

    치기 위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무예서에는 무예뿐만 아니라 일본(日本)에 대한 자세한 정보들을 군사들이

    보다 쉽게 접하게 하기 위해서 신서왜검도(新書倭劍圖),일본국도(日本國圖)의 그

    림을 수록하는가 하면,일본고(日本考),왜선(倭船),구술(寇術),왜도(倭刀)등의

    설명을 따로 붙이는 등,일본군의 전술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돋보인다.

    여기서 새롭게 추가된 무예 중 래도곤(夾刀棍)과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는 당

    시에 보병 뿐 만 아니라 기병에게도 효과적인 무예로 인식되고 있었다.19)구체적

    으로 협도곤의 제작방법 및 재원에 대해서 소개하는 부분에는 “북방(北方)의 오

    랑캐들을 막을 때 철기병(鐵騎兵)들이 일제히 돌격할 때에 장창을 쓰면 걸핏하면

    부러지기 때문에 오로지 대봉(大棒)및 도곤(刀棍)만을 사용하는 것이 제압하여

    이기는 방법이다.”20)라고 소개하며 북방의 기병에 대항하기 위한 무예로 소개하

    고 있다.특히 협도곤을 익히는 도해 뒤에 의 구창도를 함께 실어 놓아

    “그 용법이 협도곤과 같다.”라고 하며 기병을 방어하는 무예로 이를 적극 활용

    한 것으로 보인다.

    구창과 같이 가지가 아래로 달린 창은 주 용도가 대기병 전술에서는 말 위에

    탄 기병을 가지로 걸어 떨어뜨리는 것이었고,공성전의 경우에는 성밖에서 성을

    방어하는 군사를 끌어내리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21)그리고 청룡언월도는 긴

    자루를 이용하여 보병뿐만 아니라 기병을 상대하거나,적의 기병이 타고 있는 말

    의 목이나 다리를 베는데 사용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는 대기병용 무예이기도

    하였다.

    19) 나영일 외,『조선 중기 무예서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p.58.

    20)『武藝諸譜飜譯續集』夾刀棍, 夾刀棍 製. “至於防胡 則鐵騎齊突之際 長槍動見損折 故專用大捧

    及刀棍 是亦因敵制勝之法也.”

    21) 이러한 창날에 옆으로 걸 수 있는 가지가 달린 槍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騎兵과의 전투에서

    步兵이 효과적으로 사용한 무기 중 하나였다. 특히 서양의 갑옷의 경우 작은 고리로 연결된

    사슬갑주(chain mail armor)를 입은 騎兵을 상대할 때 갑옷의 고리에 이 무기를 걸어 기병을

    말에서 끌어내렸다. (Koichi Shinoda,『武器と 防具 中國編(BUKI-TO-BOUGU)』, Dulnnyouk

    Publishing CO, 2001. pp.118~119.)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18…군사연구 제133집

    『武藝諸譜飜譯續集』에 실린 鉤槍圖

    이러한 전술과 무예의 변화는 북방의 국제정세와 깊은 연관이 있다.1608년에

    건주여진이 대명단교를 선언하면서 조선에 대한 군사적 압박 또한 급속히 증가되

    고 있었다.이에 따라 조선정부는 군사편제 및 훈련을 기병방어 쪽으로 선회하는

    전략적 조취를 취하게 된다.

    대기병 방어전략은 임란을 거치면서 완성된 보병방어 체제가 내포하고 있었던

    결점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 것이었다.22)따라서 기병방어법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병서의 보급 및 보병의 기병방어 훈련은 변화된 전술을 적용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었다.

    병서의 보급은 척계광의 보병위주 전술체제를 담은『기효신서』이후에 정리된

    기병방어체제를 포함하는『연병실기』의 도입과 이를 조선식으로 변화시킨『연병

    지남』의 간행으로 이어졌다.23)특히『연병지남』은 임란시『기효신서』의 보병

    22) 李弘斗,「胡亂 이후 조선군의 전술변화」『군사사연구총서』2, 군사편찬연구소, 2002.

    pp.205~231.

    23) 戚繼光의『紀效新書』의 경우는 논과 저습지가 많은 중국의 남부해안지방을 중심으로 만들어

    진 전법으로 왜구를 상대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었다. 주요 전투에서 승리를 했던 福建省, 浙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19

    용 여섯가지 무예를 정리한『무예제보』와 함께 한교가 편찬업무를 담당하여 군

    사훈련의 실전성을 담보하게 하였다.

    이러한 국방정책의 흐름을 병서에 수록된 개인무예의 변화 측면으로 살펴보면

    그 실질적인 변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대표적으로『연병지남』를 통해서 새롭

    게 추가된 전투방식은 이러한 변화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연병지남』의 핵심

    전술은 보병을 주력으로 하는 거·기·보 삼군(三軍)의 연합 합동작전으로 보병이

    거마진(拒馬陣)을 치고 전차(戰車)를 보호하면서 일정한 진을 이루는 것이다.24)

    그리고 화약무기를 발사하면서 이후에 돌격해 들어오는 적의 기병을 아군의 기

    병이 방어하는 방식이었다.『연병지남』에 수록된 다음 내용을 살펴보면 여진기

    병에 대한 조선군의 새로운 방어전술체제를 알 수 있다.

    살수(殺手)한 대(隊)는 등패수(籐牌手)가 제 일쌍(一雙)이 되고 (선수)筅手는 제

    이쌍(二雙)이 된다.도곤수(刀棍)手 두 쌍이 그 다음을 이루고 파수(鈀手)한 쌍이

    맨 뒤에 선다.그리고 일댸(一隊)는 (양의진)兩儀陣으로 나누어 수레의 양쪽을 끼고

    등패수(藤牌手)와 선수(筅手)가 한 쌍이 되어 수레 앞에 선다.도곤수(刀棍手)한 쌍

    이 그 다음에 서고 당파수(鎲鈀手)한명이 수레의 뒤쪽 가운데에 선다.25)

    위의 사료를 보면 핵심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양의진(兩儀陣)이다.26)2열 종대

    형태의 양의진은 원양진의 변형형태로 1대를 둘로 나누는 것이 핵심인데,전차

    (戰車)를 중심으로 이를 방어하는 형상을 취하는 것을 보여준다.특히 전면에는

    방호력이 우수한 등패수를 배치하고 그 뒤로 낭선수와 도곤수를 배치하여 전거를

    江省, 廣東省 모두 이러한 지리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후 왜구와의 전투에서 많은 공을

    세운 戚繼光은 萬曆帝 年間의 초기 内閣大學士로서 커다란 권력을 행사했던 張居正의 도움으

    로 남방지방에서 북경으로 근무지를 옮기게 된다. 그런데 당시 가장 위협이 되었던 북방의 몽

    골 타타르족(韃靼)의 경우는 핵심병종이 보병이 아니라 기병을 중심으로 한 빠른 기동군 방식

    이었기 때문에 기존의『紀效新書』의 보병체제로는 이를 방어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새롭게

    騎兵과 戰車를 추가하여 대기병 방어체제를 구축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練兵實紀』의 체제

    였다. 朝鮮 또한 光海君代에 이르러 後金의 세력이 강대해지면서 이러한 기병방어전술을 받아

    들이게 된다.

    24) 盧永九,『朝鮮後期 兵書와 戰法의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pp.100~105.

    25)『練兵指南』「車騎步隊伍規式」, “殺手一隊 籐牌爲第一雙 筅爲第二雙 刀棍手二雙 次之 鈀手一

    雙居後 而以一隊 分作兩儀 陣夾車兩傍 牌筅爲一雙 車前 刀棍一雙次之 鈀手一名 居中在後.”

    26) 兩儀陣은 1장에서 언급한 鴛鴦陣의 변형 진법으로 隊將을 중심으로 좌우로 날개를 펼치듯 좌

    우로 각각 6명의 殺手들이 이동한 진형을 말한다. 이 진형의 특징은 12명의 소규모 부대를

    다시 둘로 양분하여 움직이는 것이기에 적을 포위하여 공격할 때 주로 사용되었다.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20…군사연구 제133집

    에워싸는 형태로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을 중심으로 기병을 방어하기 위해『연병지남』에 실린 발전된 원

    앙진(鴛鴦陣)을 그림으로 재구성해 보면 와 같다.

    아래의 그림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중앙의 전거다.이러한 방식으로 변형된 진

    에서는 원거리의 적을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거를 활용했으며 이를보호하는

    방식으로 살수대가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병지남』(練兵指南)의 일대(一隊)를 구성하는 步兵(殺手)의 원앙진(鴛鴦陣)27)

    이렇게 양의진 형태로 배치된 군사들이 전투가 발생하면 일정한 형식으로 전투

    에 참가하게 되는데,그 핵심적 움직임에 기병 공격을 전제로 한 방어기술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다음은 가장 소규모 살수 일대(一隊)가 전투가 발생하면 독립

    적으로 어떻게 싸우는지는 다음의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27) 본 진형도는『練兵指南』에 나오는 殺手 一隊의 모습을『武藝諸譜』(籐牌, 狼筅, 雙手刀, 鎲

    鈀),『武藝諸譜飜譯續集』(夾刀棍),『練兵實紀』(戰車)의 그림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앞

    의 설명처럼 戰車를 중심으로 좌우에 날개를 펴듯 兩儀陣形을 만들었다.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21

    신호포(信號砲)가 한번 울리면 북을 천천히 치며(點鼓)남백홍기(藍白紅旗)를 한번

    내렸다 올리고(點)28),삼면(三面)의 차기보(車騎步)세 장수(將帥)가 모두 인기(認旗)

    로 위에 응(應)한다.삼면(三面)의 차기보(車騎步)세 장수(將帥)영하(令下)에 북을

    빠르게 치고(擂鼓)천아성(天鵝聲)을 부르면 총통을 수레에 끼워 올리고 전차(戰車)

    의 군사(軍士)들은 함성을 지른다.수레를 미는 보병(步兵)도 함성을 지르며 출전한

    다.선수(筅手)는 (적 騎兵(기병)을 향해)거마창(拒馬槍)으로 들고,등패수(籐牌手)는

    칼을 들어 말 다리를 벤다.도곤수(刀棍手)는 말 머리를 때리고 혹은 말의 배를 찌르

    고,파수(鈀手)는 위로는 적기병(騎兵)의 목을 찌르고 아래로는 말의 눈알을 찌른다.

    결창(抉槍)은 자루를 뒤집어 곤봉처럼 사용하고,화병(火兵)은 거마작(拒馬柞)을 쥐

    고 두 수레 사이에 있으면서 두고 전차(戰車)가 나아가거나 물러날 때는 각각 책임

    을 다한다.29)

    위의 설명은『연병지남』의「차기보대조절목」(車騎步大操節目)중 전투가 발생

    하면 살수대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특히 이 내용에서도 살수대

    의 주 공격대상은 적 기병에 해당하며 총통(銃筒)을 중심으로 이를 보호하는 전

    술임을 알 수 있다.30)

    먼저,선수(筅手)31)는 창날을 앞쪽으로 세워 적 기병이 앞 열을 돌파하지 못하

    도록 하고,이후 돌파된 후에는 등패수(籐牌手)32)가 적이 타고 있는 말의 다리를

    베고,도곤수(刀棍手)33)는 말 머리 공격과 배를 찌르고,파수(鈀手)34)는 적 기병

    의 목 혹은 말 목을 찔러 방어하는 움직임을 취한다.그리고 예비 병력인 화병

    (火兵)또한 적 기병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거마작(拒馬柞)을 든다.

    28) 여기서 말하는 點鼓는 군사신호체계에서 북을 천천히 치는 것을 말한다. 이후 등장하는 擂鼓

    의 경우는 북을 빠르게 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군사용 깃발의 경우 點旗는 깃발이 땅에 닿

    지 않을 정도로 내린 후 깃발을 들어 올리는 신호방법이다. (崔炯國,「조선후기 군사신호체계

    연구」『학예지』15, 육군박물관, 2008. pp.21~22.)

    29)『練兵指南』「車騎步大操節目」, “擧號砲一聲 點鼓點藍白紅旗 三面車騎步三將 皆以認旗應上

    令下擂鼓天鵝聲 砲車住箚 戰車之兵吶喊 推車步兵吶喊出戰 筅手 拒馬架槍 牌手 持刀砍馬足 刀

    棍手 打馬頭或刺馬腹 鈀手 上戵賊喉 下戵馬眼 抉槍倒柄 如棍同用 火兵 持拒馬柞 在兩車之間

    隨車進退 各照責任.”

    30) 나영일 외,『조선 중기 무예서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pp.54~58.

    31) 筅手는 狼筅을 든 군사를 말한다.

    32) 籐牌手는 籐牌와 짧은 칼인 腰刀를 든 군사를 말한다.

    33) 刀棍手는 칼과 곤을 든 군사를 말한다.

    34) 鈀手는 창 끝이 세 개로 갈라진 삼지창 형태의 鎲鈀를 든 병사를 말한다.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22…군사연구 제133집

    이러한 대기병 방어 움직임을 그림으로 살펴보면 과 같다

    『연병지남練兵指南』(練兵指南)「차기보대조절목」(車騎步大操節目)中

    살수대(殺手隊)의 기병(騎兵)방어35)

    물론 이러한 살수대 배치는 보병 단독으로 이뤄지지 않는다.『연병지남』「거

    기보대조절목」의 다음 훈련 순서는 전투중인 아군 살수대 뒤에 배치되어 있는

    기병이 측면으로 돌아나가 적을 공격하는 것이다.여기에서 각 병종마다 방어와

    공격이 빈틈없이 연결되면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후진의 마병(馬兵)이 좌우 날개가 되어 나뉘어,기병(騎兵)은 측면을 치며,뢰고(擂

    鼓)와 천아성(天鵝)聲 그리고 함성을 멈추지 않고 전진하여 앞의 복병(伏兵)이 있는

    곳까지 이른다.36)

    35) 본 자료에 사용한 그림은『武藝諸譜』(籐牌, 狼筅, 雙手刀, 鎲鈀),『武藝諸譜飜譯續集』(夾刀

    棍),『武藝圖譜通志』(騎槍)의 그림을 사용하였다.

    36)『練兵指南』「車騎步大操節目」, “後陣馬兵 爲左右翼 分出傍功 擂鼓天鵝吶喊不絶 進至前伏兵.”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23

    이렇게 좌우의 날개로 적의 측면을 공격하는 기병의 무기 또한 조선전기의 기

    사나 기창 위주의 무기사용과 대비해 볼 때 더욱 더 발전된 방식을 보이는데,다

    음의 사료를 보면 당시 기병의 단병무기 및 화약무기의 사용을 확인할 수 있다.

    騎兵(馬兵)한 隊는 적군이 멀리 있으면 말에서 내려 삼혈총(三穴銃)37)을 쏘거나

    혹은 화살을 쏜다.적군이 가까이 오면 말에 올라 좌익(左翼)과 우익(右翼)으로 나뉘

    어 원앙진(鴛鴦陣)대형으로 돌격한다.편곤(鞭棍)을 쓰기도 하고 장도(長刀)를 쓰기

    도 하며 언월도(偃月刀)를 쓰기도 하고 쌍도(雙刀)를 쓰기도 하고 鉤槍을 쓰면서 함

    성을 지르며 싸운다.또한 간혹 말 위에서 삼혈총(三穴銃)을 연달아 쏘기도 한다.양

    의진(兩儀陣)과 삼재진(三才陣)은 상황에 따라 변통한다.38)

    위의 설명에 따르면 전투시 기병이 사용하던 무기 중 화약무기로는 三穴銃이 사

    용되었고,단병무기로는 편곤,장도,언월도,쌍도,구창 등 다양한 무기가 사용되었

    음을 확인 할 수 있다.이러한 다양한 무기는『무예제보』에 실린 보병용 육기 이

    외에 기병이 효과적인 전투를 위하여 새로운 무기를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39)

    여기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기병들도 보병과 마찬가지로 13명 정도 되는 一隊

    병력이 원앙진을 펼치고 이후 전투 상황에 따라 兩儀陣과 三才陣으로 변화해 가

    면서 대형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이는 곧 기병의 활동성을 크게 증가시킨 것으

    로 볼 수 있는데,보병이나 戰車兵과의 연합작전을 통해 전투시 적 기병에 대항

    해 소규모 인원이 빠른 대처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거․기․보 통합전법을 통한 대기병 방어 보다는 전통적인 청야

    수성전술이 조선군의 핵심전술로 채택되었기 때문에 기병에 대한 수적인 증강이

    37) 三穴銃은 총구가 세 개가 달려 세 개의 총알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는 무기로 조선후기 기병

    이 전투시 가장 먼저 사용한 무기이다. 그러나 이 무기 역시 재장전의 시간이 길어 단발적 형

    태로 발사한 후 鞭棍을 비롯한 여타 短兵武器로 전환하는 체제였다.

    38)『練兵指南』「車騎步隊伍規式」, “馬兵一隊 敵遠下馬 放三穴銃 或射矢矣 敵近上馬 分爲左右翼

    以鴛鴦陣馳出 或用鞭棍 或用長刀 或用偃月刀 或用雙刀 或用鉤槍 吶喊作戰 亦或馬上輪放三穴

    銃 兩儀三才 臨時合變.”

    39) 새롭게 나타나는 鞭棍, 偃月刀, 鉤槍 등은 朝鮮前期에는 찾아보기 힘든 武器로 壬亂이후 騎兵

    에 대항하기 위하여 추가된 무기들로 보인다. 이중 鞭棍의 경우는 丙子胡亂 후 조선기병의 대

    표적인 필수무기로 발전하였으며, 正祖代에 이르러서는 선봉기병이 騎射나 騎槍이 아닌 馬上

    鞭棍을 들고 전투를 수행하였다. 馬上鞭棍에 대한 무예사적 연구는 다음의 논문 참조했다. 盧

    永九 외,『정조대의 예술과 과학』, 문헌과 해석사, 2000. pp.179~185; 최형국,「朝鮮後期

    騎兵 馬上武藝의 戰術的 特性」,『軍史』70號, 군사편찬연구소, 2009. pp.35~64.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24…군사연구 제133집

    쉽게 이루어질 수는 없었다.40)이는 기병의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보통 기병의 경우 보병대비 약 3배 이상의 유지관리비가 소요되었고,임란

    이 끝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기병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것이 재정적으

    로도 크게 부담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41)

    그러나 광해군대에는 명나라의 군사적 원조를 위하여 파병된 조선군이 심하전

    투에서 대패하였고,인조대의 정묘·병자호란까지 거치면서 기병의 중요성이 다시

    금 대두되었다.이후 북벌에 대한 문제제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기

    병에 대한 전반적인 재인식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Ⅳ. 深河戰鬪(심하전투)를 통한 전술(戰術) 변화

    광해군대 발생한 대표적인 전투 중 심하전투는 조선군의 패배와 항복으로 끝났

    다.조선군은 발호하는 여진족 세력인 후금의 빠른 기병전술에 휘말려 전멸하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당시 조선은 후금의 철기병을 막아내기 위하여 보병을 활

    용한 대기병 방어전술을 가지고 있었지만,수성전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성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포와 조총을 비롯한

    화약무기의 개발을 위해 기존의 조총청(鳥銃廳)을 화기도감(火器都監)으로 확대

    개편하고 포수 양성에 힘을 쓴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였다.앞서 언급한『연병지

    남』에 대기병 방어를 위한 보병 전술이 중점적으로 실린 이유 역시 이런 전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해될 수 있다.특히 구릉지대를 이용하여 거마

    작을 비롯한 대기병 방어물을 설치하거나 수성전을 하기 전에 야전에서 적의 예

    봉을 꺾는 방안 등 여진기병에 대한 다양한 방어전술이 논의되었다.42)

    40) 金鍾洙,『朝鮮後期 中央軍制硏究』도서출판 혜안, 2003. pp.89~91.

    41) 騎兵의 경우 戰馬를 유지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 步兵보다 保人이 1명 더 추가되어야 하

    고 給料 부분에서도 말 먹이를 위해 콩 6-9斗를 추가로 지급해야만 했다. 또한 步兵의 경우

    는 주 갑옷이 皮甲을 사용하는 반면, 騎兵의 경우는 값이 비싼 鐵甲을 지급해야 했기에 전체

    적으로 일반보병 대비 3배 이상의 비용이 발생된다. (『承政院日記』123, 孝宗 3年 9月 20日 ;

    『承政院日記』128, 孝宗 4年 8月 4日)

    42)『備邊司謄錄』第2柵, 光海君 10年 允4月 19日.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25

    이렇게 다소 수세적인 형태의 방어전술을 구사하고 있던 조선은 명나라에 대한

    소위 ‘용조지은(再造之恩)’에 보답한다는 명분으로 출병한 심하전투에서 크게 패

    배하였다.43)특히 이 전투는 임란이후 변화된 조선군 전술체제의 약점을 보여준

    구체적 사례였다.심하전투의 패배는 보병 위주 화약무기체계의 한계를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는데,당시 이 전투의 상황을 분석해보면 이러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44)

    심하전투 당시 조선에서 파견된 군사의 규모는 대략 포수(砲手)3,500명,射手

    3,500명,살수(殺手)3,000명 등으로 구성된 총 병력 약 1만 명의 보병 중심 병력

    이었다.45)조선군 보병 1만의 병력은 강홍립(姜弘立)을 오도 도원수로,김경서(金

    景瑞)를 부원수로 삼고 1618년 9월 평양에 집결하였다.다음해 2월에는 모든 병

    력이 압록강을 건넜으며,이후 전시작전권은 명군으로 귀속되었다.

    그러나 명군과 함께 후금의 수도인 흥경노성(興京老城)을 향한 진군과정에서

    군량 공급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고,후금의 기병대와 산발적인 전

    투를 반복하면서 조선군의 사기가 많이 저하되었다.46)더욱이 눈보라가 치는 악

    천후 속에 강을 도하하면서 군사들의 군장과 의복이 모두 젖어 동사자가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체력저하 문제까지 발생하였다.47)

    같은 해 3월 4일 심하(深河)에 도착한 조선군은 후금군의 철기병 3만으로부터

    43) ‘再造之恩’의 의미는 임란 당시 명나라의 군사적 도움이 망해가는 조선을 다시 일어설 수 있

    게 해준 은혜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러한 논리에 따라서 명의 군사적 요청은 은혜에 보답하

    는 것이라는 정치적 명분이 되었다. 반대로 후금과의 관계에서는 어쩔 수 없는 명분론에 입각

    해서 파병한 것으로 후금과의 실리외교를 가능하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44) 深河戰鬪는 ‘사르후 전투(薩爾滸之戰)’라고도 불리며, 1619년 명나라와 후금과의 발생한 전투

    였다. 이 전투는 후금에 대항하기 위해 명나라, 조선, 주변 여진족까지 합세하여 연합작전을

    펼쳐 누르하치의 본거지인 허투알라(싱징, 赫圖阿砬 Hetuala)을 공격하던 중 심하지역에서 발

    생하였다. 당시 이 전투에서 명나라가 크게 패해 명나라가 쇠퇴했고, 조선군의 경우도 강홍립

    을 대원수로 하여 참전하였다가 거의 전멸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후 후금은 만주 지역을

    완전하게 차지했으며, 청나라를 건국하게 된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다.

    45)『光海君日記』卷130, 光海君 10年 7月 庚寅, “砲手三千五百名內 平安道一千名 全羅道一千名

    忠淸道一千名 黃海道五百名 射手三千五百名內 平安道一千五百名 全羅道五百名 忠淸道五百名

    黃海道一千名 射手三千名內 平安道一千名 全羅道一千名 忠淸道五百名 黃海道五百名 已上通 共

    一萬名.”

    46)『紫巖集』卷5, 雜著,「柵中日錄」2月 25日, “雪 三營踰渰水嶺 到亮馬佃 去鶯兒溝五十餘里 雪

    晴 風起 寒冽殊甚 卒有凍死者.”

    47)『光海君日記』卷137, 光海君 11年 2月 辛巳, “今朝又將過涉橫江 比鴨兒河深廣 少有雨水 渡涉

    極難 鴨兒河凡四渡 深沒馬腹 水黑石大 人馬艱涉 軍人各持行裝 未到半路 疲憊已甚 所齎之糧

    亦已垂盡 後運糧草 時未入來 前頭之事 極爲憫慮矣.”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26…군사연구 제133집

    기습을 받아 거의 궤멸상태에 이르렀다.이때 조선군은 빠른 철기병들을 맞아 화

    포를 쏘면서 저항하였으나 갑자기 모래바람이 덮쳐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황이 되

    었고,이후 조총의 재장전 시간보다 빠른 후금의 돌격기병전술에 휘말려 약 9천

    명의 전사자를 내고 항복하게 되었다.48)

    물론 당시 심하전투는 미묘한 정치상황을 배경으로 광해군의 항복밀지설이 제

    기되기도 하였으나,실제 조선군의 9할 정도의 전사자가 날 정도로 전투패배에

    따른 피해 상황은 심각한 수준이었다.49)

    앞서 설명했듯이 심하전투 패배의 가장 큰 원인은 기동력 있는 기병에 대하여

    포수가 주력이 되어 대응한 보병의 패배라고 판단된다.심하전투의 상황을 가장

    잘 서술한 이민환의「책중일록」(柵中日錄)에는 당시 전투상황을 이렇게 묘사하

    였다.

    적의 기병이 일제히 돌진하니 그 형세가 마치 비바람이 몰아치는 듯하였다.대포

    와 조총을 한번 쏜 뒤에 다시 장전하기도 전에 적의 기병은 벌써 우리 진영에 들어

    와 있었다.… (중략)… 중영(中營)에서 좌우 두 군영(軍營)까지의 거리는 천 걸음

    도 넘지 않았지만 너무 갑작스럽게 벌어진 일이라 달려가서 구해줄 겨를조차 없었

    다.석양 아래 화살은 빗발처럼 쏟아지고 기마(鐵馬)가 나아갔다 물러났다는 모습만

    보일뿐 흐릿하여 자세히 보이지 않았다.50)

    이 글을 남긴 이민환은 도원수 강홍립의 막료로서 심하전투때 함께 싸우다 패

    전하여 후금의 포로로 목책(木柵)속에 갇혀 있으면서 쓴 글로 당시 상황을 가장

    잘 서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기병을 통한 빠른 공격전술은 후금의 실생활 속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데,그가 남긴 저술 중「건주견문록」(建州見聞錄)에 “빨리 달릴 수 있는

    48)『光海君日記』卷138, 光海君 11年 3月 乙未 ;『練藜室記述』卷 21,「廢主光海君故事本末」.

    49) 深河戰鬪에 관한 光海君의 항복 밀지설은 일제시대 때부터 계속 진행되었다. 주화론자인 강홍

    립을 도원수로 임명한 문제부터 仁祖代에 만들어진 光海君 일기의 신빙성 문제 등 다양한 반

    대의견들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深河戰鬪의 전반적인 상황은 다음의 논문을

    참조했다. 韓明基,「한국 역대 해외파병 사례 연구 -1619년「深河 전투」참전을 중심으로-」

    『軍事史 硏究叢書 第1輯』, 國防部 軍史編纂硏究所, 2001. pp.9~18.

    50)『紫巖集』卷5, 雜著,「柵中日錄」3月 4日, “賊騎齊突勢如風雨 砲銃一放之後 未及再藏 賊騎已

    入陣中… (中略)… 自中營去兩營 不過千步 而倉卒之間 無暇赴救 夕陽下 但見射矢如雨 鐵馬進

    退 而恍惚難狀矣.”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군사연구 제133집…127

    말이 있고,여자들도 남자들처럼 채찍을 들고 말을 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십

    여세의 아이들도 말을 달리며 활을 쏠 수 있다.”51)고 평할 정도로 기마생활이 보

    편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그리고 당시 후금의 입장에서 심하 전투의 광경을

    서술한『황청개국방략』(皇淸開國方略)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명나라의 해개도(海蓋道)와 강응건(康應乾)이 이끄는 보병이 조선군(朝鮮軍)

    과 함께 부찰 들판에 진을 치고 있었다.그 병사들은 랑선(狼筅)과 장창(長槍)을 들

    고 등갑(藤甲)과 피갑(皮甲)을 입고 있었다.조선병(朝鮮兵)은 종이로 된 갑옷을 입

    고,투구는 버드나무 가지로 만들었으며,화기(火器)를 층층이 겹쳐서 (진을 이뤄)기

    다렸다.…(중략)… 명병(明兵)과 조선병(朝鮮兵)이 적에게 달려나가 화기(火器)를 발

    사하였다.갑자기 강한 바람이 일어 돌과 모래가 날렸는데,연기와 먼지가 거꾸로 적

    진영으로 몰아쳐 어둠에 싸였다.우리 군대가 이를 틈타 비 오듯 화살을 쏘아 크게

    깨뜨려 적의 군대 2만 명이 섬멸되었다.52)

    위의 사료에서도 역시 화기 중심의 조·명 연합군 보병이 후금의 기병과 상대하

    다가 전술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패배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심하전투에

    서의 대기병전술이 패배로 이어지자,이는 곧 화기중심 전술의 한계성을 인식하

    는 계기가 되었다.당시의 전투 경험을 각인한 조선에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전술들을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야전에서는 대규모의 기병을 상대하기 까다롭기 때문에 당시까지 고수해

    왔던 수성전 역시 다양한 전투 경험 속에서 다져진 공성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

    던 후금 앞에 전술적 가치를 잃어가고 있었다.그리하여 단순한 방어형 전술만으

    로는 이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팽배해졌다.53)

    51)『紫巖集』卷6, 雜著,「建州見聞錄」, “馬性 則五六晝夜 絶不吃草 亦能馳走 女人之執鞭馳馬 不

    異於男 十餘歲兒童 亦能佩弓箭馳逐 少有暇日 則至率妻妾畋獵爲事 蓋其習俗然也 …(中略)… 戰

    鬪 則甲騎成列衝突擊射 隱伏山谷 出人不意 掩襲廝殺 乃其長技 不尙首級.”

    52)『皇淸開國方略』卷6,「太祖于大屯之野」, “時明海蓋道康應乾步兵 合朝鮮兵 營于富察之野 其

    兵執狼筅長槍 被藤甲皮甲 朝鮮兵被紙甲 其冑以柳條爲之 火器層疊列待 …(中略)… 明兵及朝鮮

    兵 競發火器 忽大風驟作 走石揚沙 煙塵反搏 敵營昏冥晝晦 我軍乘之 飛矢雨發 又大破之 其兵

    二萬人殲.”

    53)『光海君日記』卷163, 光海君 13年 3月 庚午. 이 날의 기사를 살펴보면 심하전투가 끝나고 2

    년 후인 1621년에 후금은 명나라의 철옹성과 같던 심양성과 낙양성을 공성전을 통해 격파하

    였다. 당시 명나라에게 심양성과 낙양성은 남부를 방어하는 최후의 보루와도 같던 곳으로 최

    신의 성곽축성 기술을 이용하여 지었으며, 방어 또한 당시 최고의 사거리와 화력를 보유한 佛

    Prinect Color EditorPage is color controlled with Prinect Color Editor 4.0.70Copyright 2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http://www.heidelberg.com

    You can view actual document colors and color spaces, with the free Color Editor (Viewer), a Plug-In from the Prinect PDF Toolbox. Please request a PDF Toolbox CD from your local Heidelberg office in order to install it on your computer.

    Applied Color Management Settings:Output Intent (Press Profile): ISOcoated_v2_eci.icc

    RGB Image:Profile: eciRGB.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RGB Graphic:Profile: RGB2CMYK.ic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RGB/Lab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Image: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Device Independent CMYK/Gray Graphic:Rendering Intent: PerceptualBlack Point Compensation: no

    Turn R=G=B (Tolerance 0.5%) Graphic into Gray: yes

    Turn C=M=Y,K=0 (Tolerance 0.1%) Graphic into Gray: noCMM for overprinting CMYK graphic: yesGray Image: Apply CMYK Profile: noGray Graphic: Apply CMYK Profile: noTreat Calibrated RGB as Device RGB: noTreat Calibrated Gray as Device Gray: yesRemove embedded non-CMYK Profiles: noRemove embedded CMYK Profiles: yes

    Applied Miscellaneous Settings:Colors to knockout: noGray to knockout: noPure black to overprint: noTurn Overprint CMYK White to Knockout: yesTurn Overprinting Device Gray to K: yesCMYK Overprint mode: set to OPM1 if not setCreate "All" from 4x100% CMYK: yesDelete "All" Colors: noConvert "All" to K: no

  • 전 쟁 사

    128…군사연구 제133집

    그러나 광해군대에는 후금과의 관계를 적대적이라기보다는 실리적 우호관계로

    유지하려는 정치적 입장을 띄고 있어 실질적인 군사력 증강을 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이후 인조반정을 거치면서 집권세력이 후금에 대하여 적대관계

    로 돌아서면서 군사적 변화도 함께 일어나게 된다.54)이와 더불어 인조 집권 초

    에 발생한 李适의 난 때 반란군이 빠른 경기병 전술을 이용하여 도성을 함락시키

    고,이후 이를 진압하려 했던 토벌군의 선봉 또한 약 700명의 기병에 의해 붕괴

    되자 기병 양성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55)

    위와 같은 조선군의 기병양성에 대한 논의는 후금이 명나라 장수 모문룡 세력

    을 제거한다는 명분으로 조선을 침공한 정묘호란을 겪으면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