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차 베트남의풍습과...

70
들어가기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 12 주차 |

Transcript of 12주차 베트남의풍습과...

  • 들어가기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 12주차 |

  • 01 명절과 축제

    학습내용

    02 전통 의례

    03 주요 종교와 전통 신앙

  • 01 베트남 명절과 축제를 알아간다.

    학습목표

    베트남 전통 의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학습한다.

    02

    종교과 전통신앙을 통해 베트남의 정신적 세계를 이해한다.

    03

  • 알아보기 | 1. 명절과 축제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 12주차 |

  • 명절과 축제

    1 일반적 특징

    조상의 은덕을 감사

    가족과 이웃의 공동체적 유대감 형성

    농업 위주의 생활방식

    중국의 영향 - 한국과 비슷함

  • 명절과 축제

    2 공통점

    조상의 은덕을 기림

    조상에 대한 공경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역할

    나라를 수호한 영웅

  • 명절과 축제

    3 의례와 공연

    조상이나 국가적 영웅들에게 향, 술, 차 및 음식을 바치는 것

    의례

    축제의 놀이 500여 개의 명절과 축제가 있는 ‘축제의 나라’

    공연

  • 설날-뗏

    1 의미와 기간

    음력 12월 23일부터 1월 7일까지 약 보름간 지속

    한국의 음력설, 중국의 춘절(春節)

    베트남에서 ‘가장 큰 명절’

  • 설날-뗏

    2 주요 활동

    개인 조상, 마을 신에게 제사

    제사

    지난 해를 마감하고 새해를 맞이함 - 설날 이전에 해야 하며, 설날 이후에는 청소 금기

    청소

  • 설날-뗏

    2 주요 활동

    북부지방 - 복숭아 꽃

    남부지방 - 살구 꽃

    장식

  • 설날-뗏

    2 주요 활동

    북부지방 - 바나나, 자몽, 오렌지, 감, 레몬

    남부지방 – 야자, 망고, 망고스틴, 파파야, 무화과

    제단 - 5 종류 과일, 떡, 과자

    과일은 충만한 복을 기원하는 상징

  • 설날-뗏

    2 주요 활동

    화재의 위험으로 정부가 금지하기도 하지만 전통행사로 계속 지켜오고 있음

    폭죽 놀이

  • 설날-뗏

    3 기타 활동

    나무를 심거나 농사를 시작

    개경

    행운을 빌며 새해에 새로 튼 싹을 따는 행위

    새싹 따기

    이외에도 장수 기원하기, 글 쓰기, 봄 소풍 등의 활동이 있음

  • 설날-뗏

    4 음식

    찹쌀, 콩, 돼지고기 등을 바나나 나뭇잎에 싸서 불에 찌는 떡과 같은 음식

    반쯩

  • 설날-뗏

    5 유의 사항

    어린이들이 세배는 안하지만 세뱃돈은 받음

    세뱃돈

    불과 라이터를 빌리는 것은 금기 다른 집의 복과 행운을 모두 가져간다고 생각

    불(火)

  • 추석-뗏쭝투

    1 의미

    어린이를 위한 명절 한국의 추석, 중추절(仲秋節)

  • 추석-뗏쭝투

    2 장식

    별 모양이나 짐승 모양의 등불을 집 안팎에 걸어둠

    등불

  • 추석-뗏쭝투

    2 장식

    박사 - 과거에 급제한 사람의 칭호 어린이들이 학업이나 학문에 힘쓸 것을 권유

    종이 박사 인형

  • 추석-뗏쭝투

    3 행사

    어린이들은 함께 노래하며 연등행진을 함

    연등행진

  • 추석-뗏쭝투

    3 행사

    액을 몰아내고 복을 가져다 주는 의미

    사자춤

  • 추석-뗏쭝투

    3 행사

    남녀가 서로 노래를 주고 받는 풍습

    쫑꾸언

  • 추석-뗏쭝투

    4 음식

    보름달 모양의 떡

    반재오

  • 추석-뗏쭝투

    4 음식

    월병(月餠)이라고 함

    달콤한 맛으로 어린이들이 좋아함

    반느엉

  • 기타 명절

    1 개천절 – 조또훙브엉

    음력 3월 10일

    베트남 정부는 공휴일로 지정

    베트남 시조 훙브엉에게 제사

  • 기타 명절

    2 부란

    음력 7월 15일 - 염라대왕이 죽은 사람의 영혼에 복을 내리는 날

    반다(쌀을 튀겨 만든 튀밥)

    불교의 종교적 행사

  • 기타 명절

    3 단오 - 뗏도안응오

    농번기 이후 잠깐의 휴식

    발효된 찹쌀과 과일을 먹어 액운을 물리칠 수 있음

    음력 5월 5일 - 한국과 같음

  • 지역축제

    1 흐엉 사원 축제

    음력 1월 15일부터 2월 18일까지 절경을 가지고 있어 ‘천국으로 향하는 사원’

    아름다운 석회암에 위치한 사원

  • 지역축제

    1 흐엉 사원 축제

    불교에 도교, 샤머니즘이 포함

    베트남 종교의 총체적인 상황

  • 지역축제

    2 림 축제

    1월 13일 - 무술(武術)의 성지

    제사의식 뒤풀이로 무술시합, 깃발시합 등

    하노이 주변 킨박 지역

  • 지역축제

    2 림 축제

    배나 경치 좋은 언덕에서 노래

    꽌호 민요

  • 지역축제

    2 까옹 축제

    다낭 지역 축제로서 일종의 풍어제

    까옹은 ‘고래’를 의미

  • 지역축제

    4 후에 축제

    베트남 - 프랑스의 문화 축제로 시작

    1992년 시작된 현대 축제

  • 지역축제

    4 후에 축제

    2년마다 개최되는 세계적 축제로 수많은 관광객이 참여 - 한국, 중국, 일본, 태국, 캄보디아도 참여

    1992년 시작된 현대 축제

  • 알아보기 | 2. 전통 의례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 12주차 |

  • 결혼

    1 청혼 - 지얌응어 전통적인 베트남 사회에서 양가의 부모가 결혼 결정 쩌우까우를 예물과 함께 신부의 집으로 보냄

  • 결혼

    2 약혼 - 레안호이 청혼 이후에 신랑 측은 음식을 가지고 신부측 부모와 조상에게 예를 갖춤 6개월에서 1년 정도 세우 음식을 보냄

  • 결혼

    3 결혼식 - 레끄어이 결혼식 날에는 신랑이 신부의 집으로 가서 신부의 조상에게 예를 올림 결혼 예식은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돈과 선물로 축하함

  • 장례

    1 조문 - 레비엥 베트남에서 장례식은 매우 중요한 의식 장례복식 - 하얀색 또는 검정색 계통, 자녀는 하얀색(하얀머리띠)

  • 장례

    2 장례행렬 - 레드아당 고인의 관을 앞 세우고 가족들이 선두에 섬 친구나 이웃 등이 천천히 뒤를 따라감

  • 알아보기 | 3. 종교와 전통신앙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 12주차 |

  • 주요 종교

    1 개요 베트남인의 주요 종교는 조상숭배의 성격이 강한 불교 불교, 유교, 도교, 샤머니즘의 혼합신앙

    융통성 - 종교간 비교적 갈등이 적은 편임

  • 주요 종교

    2 불교 2세기부터 베트남에 포교 시작

    리왕조 - 불교를 보호하고 장려

    15세기 이후 유교의 장려로 불교가 쇠퇴하기도 하였음

    18세기 응웬 왕조이후 국민 종교로 뿌리내림

  • 주요 종교

    3 유교 리왕조때 유교를 공식 인정 - 문묘 설립 과거를 통해 유교가 발전하고, 학자들이 등장

    현재 유교는 조상숭배신앙(제사)의 형태로 일상생활에 남아있음

  • 주요 종교

    4 도교 민간 신앙과 결합 - 신선사상, 부적, 점 또는 풍수지리사상 유교의 경직성과 독단성을 비판으로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명맥’만 유지

  • 주요 종교

    5 기독교

    16세기 전후 베트남 유입 사회주의 체제 이후 억제 당하였으나 개방 이후 다시 활발 - 약 500만 명

    가톨릭

    19세기말 미국 선교사를 통해 전파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현재 약 50만 명

    개신교

  • 주요 종교

    6 이슬람 15세기 이후 메콩 삼각주의 짬족이 힌두교에서 이슬람으로 개종 현재 10만여 명의 신도에 100여 개의 모스크가 있음

  • 민속신앙

    1 특징 자연숭배신앙

    농업문화의 소산

    음양의 조화

    다신(多神)성

  • 민속신앙

    2 자연숭배신앙 베트남 여신 - 천신(天神), 지신(地神), 수신(水神)

    동식물 - 호랑이, 악어, 코끼리 등

    가상의 동물 - 용(龍)

  • 민속신앙

    3 조상숭배신앙 조상의 죽은 날을 중시 - 제사와 제단 준비

    이외에도 성황신, 반랑국의 훙왕 숭배 등이 있음

  • 평가하기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 12주차 |

  • 평가하기

    베트남의 명절에 대해 바른 설명은? Q1.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조상보다는 나라를 수호한 영웅을 기념하는 편이다.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한국의 명절과는 다르다. 무역업과 상업 위주의 생활방식과 연관되어있다.

    1

    2

    3

    4

  • 평가하기

    베트남의 명절에 대해 바른 설명은? Q1. ①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정답

    베트남의 명절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해설

  • 평가하기

    베트남의 설날에 대해 바르지 않은 설명은?

    Q2. 베트남에서 가장 큰 명절이다. 복숭아꽃, 살구꽃으로 장식하여 기념한다. 5가지의 과일을 제단에 두어 충만한 복을 기원한다. 설날에는 청소를 통해 과거를 잊는 풍습이 있다.

    1

    2

    3

    4

  • 평가하기

    베트남의 설날에 대해 바르지 않은 설명은?

    Q2. ④ 설날에는 청소를 통해 과거를 잊는 풍습이 있다 .

    정답

    청소는 설날 이전이며, 설날 이후에는 복이 나간다는 이유로 청소를 금기시 한다.

    해설

  • 평가하기

    베트남 추석과 관련이 있는 것은? Q3. 폭죽놀이 1 2

    3 4 연등행진

    ③ 연등행진 정답

    추석 때 어린이들은 함께 노래하며 연등행진을 한다.

    해설

    반쯩 반다

  • 평가하기

    다음 중 한국의 단오와 같이 농번기 이후 잠깐의 휴식을 갖는 명절은?

    Q4. 부란 1 2

    3 4 조또붕흐엉

    ② 뗏도안응오 정답

    뗏도안응오는 한국의 단오와 같으며 발효된 찹쌀과 과일을 먹어 액운을 물리치는 풍습이 있다.

    해설

    뗏도안응오 뗏쭝투

  • 평가하기

    다음 중 가장 최근에 시작된 현대 축제는?

    Q5. 까옹 축제 1 2

    3 4 림 축제

    ② 후에 축제 정답

    후에 축제는 1992년 시작되었으며, 베트남-프랑스의 문화 축제로 시작되어 현재 세계적 축제로 발전했다.

    해설

    후에 축제 흐엉 사원 축제

  • 평가하기

    베트남의 의례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Q6. 결혼식 날에는 신부가 신랑의 집으로 가서 예식을 행한다. 청혼 때는 쩌우까우를 예물과 함께 신부의 집으로 보낸다. 약혼 때는 1년 정도 세우 음식을 보낸다. 장례식 때는 하얀색 또는 검정색 계통의 옷을 입는다.

    1

    2

    3

    4

  • 평가하기

    베트남의 의례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Q6. ① 결혼식 날에는 신부가 신랑의 집에 가서 예식을 행한다.

    정답

    결혼식 날에는 신랑이 신부의 집으로 가서 신부의 조상에게 예를 올린다.

    해설

  • 평가하기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에 대해 바른 설명은?

    Q7. 베트남에는 불교, 도교, 유교의 복합적인 종교적 특징이 나타난다.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모든 종교는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기독교도는 주로 북부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베트남 종교간 갈등이 매우 큰 편이다.

    1

    2

    3

    4

  • 평가하기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에 대해 바른 설명은?

    Q7. ① 베트남에는 불교, 도교, 유교의 복합적인 종교적 특징이 나타난다 .

    정답

    베트남의 주요 종교는 불교, 도교, 샤머니즘의 복합적 특성과 기존의 샤머니즘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해설

  • 정리하기

    베트남의 풍습과 종교 12주차 |

  • 명절과 축제

    1 베트남의 명절과 축제는 가족과 이웃의 공동체적 유대감을 형성한다.

    2 농업 위주의 생활방식과 중국의 영향으로 한국과 비슷한 면이 많다.

    3 500 개의 명절과 축제가 있는 ‘축제의 나라’이다.

  • 설날-뗏

    1 베트남에서 가장 큰 명절로 가족들이 모두 모여 조상에게 제사를 드린다.

    2 폭죽놀이, 개경, 새싹 따기 등의 활동을 통해 설날을 축하한다.

    3 어린이들은 세뱃돈을 받기도 하며 ‘반쯩’이라는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 추석-뗏쭝투

    1 한국의 추석, 중추절과 같은 날을 기념하며 어린이를 위한 명절이다.

    2 등불과 종이박사 인형을 장식하며 어린이들은 함께 노래하며 연등행진을 한다.

    3 이외에 사자춤과 남녀가 서로 노래를 주고 받는 ‘쫑꾸언’ 등의 행사가 있다.

  • 추석-뗏쭝투

    4 보름달 모양의 ‘반재오’라는 떡과 ‘반느엉’이라는 월병을 만들어 먹는다.

  • 기타 명절과 지역 축제

    1 ‘조또붕흐엉’은 베트남의 개천절로 시조인 훙브엉에게 제사를 드린다.

    2 ‘부란’은 불교적 행사이며 ‘뗏도안응오’는 한국의 단오와 같다.

    3 이외 흐엉사원축제, 림축제, 까옹 축제, 후에 축제 등이 있다.

  • 전통의례

    1 결혼은 청혼-약혼-결혼식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2 장례식에는 하얀색 또는 검정색 계통의 옷을 착용한다.

  • 종교와 전통신앙

    1 베트남의 종교는 불교, 유교, 도교, 샤머니즘의 혼합신앙적 특징을 갖는다.

    2 가톨릭은 16세기 전후 베트남에 유입되어 현재 약 500만의 성도를 갖고 있다.

  • 종교와 전통신앙

    3 이슬람교는 메콩 삼각주의 짬족이 힌두교에서 개종하여 추종하고 있으며, 10만여 명의 신도를 갖고 있다.

    슬라이드 번호 1슬라이드 번호 2슬라이드 번호 3슬라이드 번호 4슬라이드 번호 5슬라이드 번호 6슬라이드 번호 7슬라이드 번호 8슬라이드 번호 9슬라이드 번호 10슬라이드 번호 11슬라이드 번호 12슬라이드 번호 13슬라이드 번호 14슬라이드 번호 15슬라이드 번호 16슬라이드 번호 17슬라이드 번호 18슬라이드 번호 19슬라이드 번호 20슬라이드 번호 21슬라이드 번호 22슬라이드 번호 23슬라이드 번호 24슬라이드 번호 25슬라이드 번호 26슬라이드 번호 27슬라이드 번호 28슬라이드 번호 29슬라이드 번호 30슬라이드 번호 31슬라이드 번호 32슬라이드 번호 33슬라이드 번호 34슬라이드 번호 35슬라이드 번호 36슬라이드 번호 37슬라이드 번호 38슬라이드 번호 39슬라이드 번호 40슬라이드 번호 41슬라이드 번호 42슬라이드 번호 43슬라이드 번호 44슬라이드 번호 45슬라이드 번호 46슬라이드 번호 47슬라이드 번호 48슬라이드 번호 49슬라이드 번호 50슬라이드 번호 51슬라이드 번호 52슬라이드 번호 53슬라이드 번호 54슬라이드 번호 55슬라이드 번호 56슬라이드 번호 57슬라이드 번호 58슬라이드 번호 59슬라이드 번호 60슬라이드 번호 61슬라이드 번호 62슬라이드 번호 63슬라이드 번호 64슬라이드 번호 65슬라이드 번호 66슬라이드 번호 67슬라이드 번호 68슬라이드 번호 69슬라이드 번호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