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70
| 조철근 이달석 오은주 | ISSN 2383-9430 2020. 7 2020 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연구자료 20-02

Transcript of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Page 1: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 조철근 이달석 오은주 |

ISSN 2383-9430

2020. 7

2020 하반기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2020 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연구자료 20-02

2020. 720

20

하반

기국

제 원

유 시

황과

유가

전망

연구

자료

20

-02

Page 2: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년 상반기 국제 원유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위축과 이동제한 등으로 휘발유, 경유, 항공유를 중심으로 석유수요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전에 없던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남.

- 세계 석유수요는 OECD와 비OECD 수요가 모두 5백만b/d 이상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0.7백만b/d 감소한 88.4백만b/d를 기록함.

- 세계 석유공급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감산 참여국들

(OPEC+)의 감산 공조와 미국·노르웨이 생산의 감소세 전환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백만b/d 감소한 96.3백만b/d를 기록함.

- OECD 상업용 석유재고(2020년 5월 기준)는 3,216백만 배럴로 전년 동월에 비해

282백만 배럴 증가하였으며, 과거 5년(2015~2019년) 평균에 비해서는 259백만

배럴 많은 양임.

국제 원유가격은 두바이유 기준으로 2020년 1분기에 $50.42/배럴, 2분기에

$30.73/배럴을 기록하여, 지난해 4분기의 $62.05/배럴에서 빠른 속도의 하락세를

보임.

- 2020년 상반기 유가($40.73/배럴)가 지난해 평균 유가($63.53/배럴)보다 현저히

낮게 형성된 요인은 코로나19에 의한 세계 석유수요의 감소 및 OPEC+ 감산 공조

체제의 일시적 와해로 인한 공급 과잉과 그에 따른 석유재고 증가를 들 수 있음.

- 반면에 리비아의 정세 불안에 따른 원유생산 차질, 미국 제재로 인한 이란 및

베네수엘라의 생산 감소, 미국 연준(Fed)의 금리 인하 등 코로나19에 대응한

주요국의 경기부양책은 유가의 추가 하락을 억제함.

- 원유 선물시장의 투기성 자금은 3월부터 6월까지 꾸준히 유입됨에 따라 유가가

저점을 통과한 4월 하순 이후의 유가 반등에 기여한 것으로 보임.

요 약

Page 3: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기준유가 시나리오에서 두바이유 가격은 2020년 하반기에 $39.25/배럴(연간

$39.91/배럴), 2021년 상반기에 $44.17/배럴로 전망됨.

- 2020년 하반기 유가는 세계 석유수요가 회복되기 시작하고 OPEC+의 감산 체제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상승 추세를 보이겠지만 누적된 석유재고 부담 등으로

상반기($40.73/배럴)보다 약간 낮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전제: 세계 경제성장률 –4.9%(연평균), 세계 석유수요 5.6백만b/d↓(전년

동기 대비), 비OPEC 공급 5.9백만b/d↓(전년 동기 대비), OPEC 원유생산(NGL

제외) 24.7백만b/d, 달러-유로 환율 $1.13/€

- 2021년 상반기 유가는 OPEC+의 감산 완화와 비OPEC 공급의 증가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세계 석유수요가 본격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2020년 평균 유가보다

$4~5/배럴 높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전제: 세계 경제성장률 5.4%(연평균), 세계 석유수요 8.7백만b/d↑(전년

동기 대비), 비OPEC 공급 1.6백만b/d↓(전년 동기 대비), OPEC 원유생산(NGL

제외) 27.1백만b/d, 달러-유로 환율 $1.15/€

- 세계 석유수요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거나 OPEC+의 감산 준수율이 예상보다

낮아질 경우 유가는 추가 상승하거나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

(단위: $/배럴)

시나리오2020년 2021년

1/4(실적) 2/4(실적) 3/4 4/4 연간 1/4 2/4 상반기

기준유가

50.42 30.73

38.23 40.27 39.91 43.27 45.06 44.17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단기유가예측모형에 의한 전망치(2020년 7월 전망)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시나리오별 원유가격 전망(두바이유 기준)

Page 4: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CONTENTS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 2

1. 2020년 상반기 동향 ‥‥‥‥‥‥‥‥‥‥‥‥‥‥‥‥‥‥‥‥2

(1) OECD 석유수요 ‥‥‥‥‥‥‥‥‥‥‥‥‥‥‥‥‥‥‥‥‥‥‥ 4

(2) 비OECD 석유수요 ‥‥‥‥‥‥‥‥‥‥‥‥‥‥‥‥‥‥‥‥‥‥ 6

2.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전망 ‥‥‥‥‥‥‥‥‥‥‥‥ 9

(1) OECD 석유수요 ‥‥‥‥‥‥‥‥‥‥‥‥‥‥‥‥‥‥‥‥‥‥‥10

(2) 비OECD 석유수요 ‥‥‥‥‥‥‥‥‥‥‥‥‥‥‥‥‥‥‥‥‥‥11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16

1. 2020년 상반기 동향 ‥‥‥‥‥‥‥‥‥‥‥‥‥‥‥‥‥‥‥‥‥‥16

(1) 비OPEC 석유공급 ‥‥‥‥‥‥‥‥‥‥‥‥‥‥‥‥‥‥‥‥‥‥18

(2) OPEC 석유공급 ‥‥‥‥‥‥‥‥‥‥‥‥‥‥‥‥‥‥‥‥‥‥‥22

2.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전망 ‥‥‥‥‥‥‥‥‥‥‥‥26

(1) 비OPEC 석유공급 ‥‥‥‥‥‥‥‥‥‥‥‥‥‥‥‥‥‥‥‥‥‥27

(2) OPEC 석유공급 ‥‥‥‥‥‥‥‥‥‥‥‥‥‥‥‥‥‥‥‥‥‥‥30

Ⅲ. 재고 동향 ‥‥‥‥‥‥‥‥‥‥‥‥‥‥‥‥‥‥‥‥‥‥‥‥‥‥‥33

1. 미국 재고 동향 ‥‥‥‥‥‥‥‥‥‥‥‥‥‥‥‥‥‥‥‥‥‥‥‥33

2. OECD 재고 동향 ‥‥‥‥‥‥‥‥‥‥‥‥‥‥‥‥‥‥‥‥‥‥‥35

(1) 원유 재고 ‥‥‥‥‥‥‥‥‥‥‥‥‥‥‥‥‥‥‥‥‥‥‥‥‥‥35

(2) 석유제품 재고 ‥‥‥‥‥‥‥‥‥‥‥‥‥‥‥‥‥‥‥‥‥‥‥‥36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39

1. 2020년 상반기 원유가격 동향 ‥‥‥‥‥‥‥‥‥‥‥‥‥‥‥‥‥39

(1) 원유가격 변동 추이 ‥‥‥‥‥‥‥‥‥‥‥‥‥‥‥‥‥‥‥‥‥39

(2) 원유가격 변동 요인 ‥‥‥‥‥‥‥‥‥‥‥‥‥‥‥‥‥‥‥‥‥41

2.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원유가격 전망 ‥‥‥‥‥‥‥51

(1) 원유가격 영향 요인 ‥‥‥‥‥‥‥‥‥‥‥‥‥‥‥‥‥‥‥‥‥51

(2) 시나리오별 원유가격 전망(두바이유 기준) ‥‥‥‥‥‥‥‥‥‥‥57

(3) 해외 기관의 원유가격 전망 ‥‥‥‥‥‥‥‥‥‥‥‥‥‥‥‥‥‥59

참고문헌 ‥‥‥‥‥‥‥‥‥‥‥‥‥‥‥‥‥‥‥‥‥‥‥‥‥‥‥‥‥‥61

제목 차례

Page 5: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표 1> 2020년 상반기 세계 석유소비 실적 ‥‥‥‥‥‥‥‥‥‥‥‥‥‥‥‥‥‥‥ 2

<표 2> 코로나19 월별 신규 확진자 수 ‥‥‥‥‥‥‥‥‥‥‥‥‥‥‥‥‥‥‥‥‥ 2

<표 3>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 전망 ‥‥‥‥‥‥‥‥‥ 10

<표 4> IMF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 14

<표 5> 주요 기관의 세계 석유수요 증가 전망 ‥‥‥‥‥‥‥‥‥‥‥‥‥‥‥‥‥ 15

<표 6> 2020년 상반기 세계 원유생산 ‥‥‥‥‥‥‥‥‥‥‥‥‥‥‥‥‥‥‥‥ 16

<표 7> 2020년 상반기 비OPEC 원유생산 ‥‥‥‥‥‥‥‥‥‥‥‥‥‥‥‥‥‥ 19

<표 8> 2020년 상반기 OPEC 원유생산 ‥‥‥‥‥‥‥‥‥‥‥‥‥‥‥‥‥‥‥ 25

<표 9> 대OPEC 원유수요 추이 ‥‥‥‥‥‥‥‥‥‥‥‥‥‥‥‥‥‥‥‥‥‥‥ 26

<표 10>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세계 원유생산 전망 ‥‥‥‥‥‥‥‥‥ 26

<표 11>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비OPEC 석유공급 전망 ‥‥‥‥‥‥‥ 28

<표 12> 주요 기관별 비OPEC 석유공급 증가 전망 ‥‥‥‥‥‥‥‥‥‥‥‥‥‥ 29

<표 13>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OPEC 원유생산 전망 ‥‥‥‥‥‥‥‥ 30

<표 14>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대OPEC 원유수요 전망 ‥‥‥‥‥‥‥ 31

<표 15> 주요 기관별 대OPEC 원유수요 증가 전망 ‥‥‥‥‥‥‥‥‥‥‥‥‥‥ 32

<표 16> OECD 상업용 석유재고 변화 추이 ‥‥‥‥‥‥‥‥‥‥‥‥‥‥‥‥‥‥ 38

<표 17> 주요 원유의 2020년 상반기 가격 ‥‥‥‥‥‥‥‥‥‥‥‥‥‥‥‥‥‥ 40

<표 18> 감산 참여국(OPEC+)의 2020년 감산이행 ‥‥‥‥‥‥‥‥‥‥‥‥‥‥ 45

<표 19> 미국 주요 셰일오일 유전지대의 시추리그 수 변동 ‥‥‥‥‥‥‥‥‥‥‥ 47

<표 20> 미국 셰일오일 유전지대의 원유생산 ‥‥‥‥‥‥‥‥‥‥‥‥‥‥‥‥‥ 48

<표 21> OPEC+의 2020~22년 감산합의 내용 ‥‥‥‥‥‥‥‥‥‥‥‥‥‥‥‥ 53

<표 22> 세계 석유수급 밸런스(기준유가 시나리오) ‥‥‥‥‥‥‥‥‥‥‥‥‥‥ 56

<표 23> 시나리오별 원유가격 전망(두바이유 기준) ‥‥‥‥‥‥‥‥‥‥‥‥‥‥ 58

<표 24> 해외 주요 기관의 원유가격 전망 ‥‥‥‥‥‥‥‥‥‥‥‥‥‥‥‥‥‥ 59

표 차례

Page 6: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CONTENTS

[그림 1] 2020년 상반기 지역별 석유수요 순증감 ‥‥‥‥‥‥‥‥‥‥‥‥‥‥‥‥ 9

[그림 2] 2020년 상반기 비OPEC 지역별 석유공급 증감 ‥‥‥‥‥‥‥‥‥‥‥‥ 22

[그림 3] 미국의 상업용 원유 재고 변동 추이 ‥‥‥‥‥‥‥‥‥‥‥‥‥‥‥‥‥ 33

[그림 4] 미국의 상업용 휘발유 재고 변동 추이 ‥‥‥‥‥‥‥‥‥‥‥‥‥‥‥‥ 34

[그림 5] 미국의 상업용 중간유분 재고 변동 추이 ‥‥‥‥‥‥‥‥‥‥‥‥‥‥‥ 35

[그림 6] OECD 상업용 원유 재고 변동 추이 ‥‥‥‥‥‥‥‥‥‥‥‥‥‥‥‥‥ 36

[그림 7] OECD 상업용 석유제품 재고 변동 추이 ‥‥‥‥‥‥‥‥‥‥‥‥‥‥‥ 37

[그림 8] 원유가격 변동 추이(2018.1~2020.6) ‥‥‥‥‥‥‥‥‥‥‥‥‥‥‥‥ 39

[그림 9] 세계 석유수급 및 석유재고 변동 추이 ‥‥‥‥‥‥‥‥‥‥‥‥‥‥‥‥ 42

[그림 10] 미국의 원유생산과 시추리그 수 ‥‥‥‥‥‥‥‥‥‥‥‥‥‥‥‥‥‥ 47

[그림 11] NYMEX 원유선물의 비상업 순매수 및 유가 ‥‥‥‥‥‥‥‥‥‥‥‥‥ 51

그림 차례

Page 7: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K O R E A E N E R G Y E C O N O M I C S I N S T I T U T E

국제 원유 시황과유가 전망

2020 하반기

Page 8: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2

2020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한 각국의 방역조치로 경제활동이 위축됨에 따라 OECD와 비OECD 모두 큰

감소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10.7백만b/d 낮은 88.4백만b/d를 기록함.

- OECD 수요는 미주와 유럽이 큰 감소폭을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5.7백만b/d

감소한 41.7백만b/d를 기록함.

- 비OECD 수요도 전년 동기 대비 5.1백만b/d 감소함.

2020년 상반기 석유수요는 OECD가 12.1% 감소하고 비OECD가 9.8% 감소하였으며

세계 석유수요는 10.9% 감소함.

(단위: 백만b/d)

구분2019년 2020년

1/4분기 2/4분기 상반기 1/4분기 2/4분기 상반기

OECD 47.7 47.0 47.3 45.4 38.0 41.7

비OECD 51.4 52.3 51.8 48.6 44.9 46.8

합계 99.0 99.3 99.2 94.0 82.9 88.4

전년 대비 증감

OECD -0.6 -0.4 -0.5 -2.3 -9.1 -5.7

비OECD 1.0 0.9 0.9 -2.8 -7.4 -5.1

합계 0.4 0.5 0.5 -5.1 -16.4 -10.7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구분 1월~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누적

전세계 85,198 714,449 2,335,467 2,893,622 4,244,787 5,744,555 16,018,105

미국 66 164,554 875,289 730,475 820,168 1,587,475 4,178,027

멕시코 2 1,092 16,705 69,713 133,145 164,379 385,036

브라질 1 4,578 73,583 420,278 869,755 1,026,318 2,394,513

페루 - 950 32,981 121,740 126,694 97,519 379,884

칠레 - 2,449 12,436 79,973 181,141 67,593 343,592

콜롬비아 - 798 5,413 22,025 66,807 145,752 240,795

이태리 888 100,851 101,852 29,073 7,772 5,428 245,864

1. 2020년 상반기 동향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표 1

2020년 상반기 세계 석유소비 실적

표 1

코로나19 월별 신규 확진자 수

표 2

Page 9: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3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구분 1월~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누적

스페인 54 104,213 110,916 24,246 9,842 23,150 272,421

영국 18 22,123 143,080 107,605 39,139 -13,284* 298,681

프랑스 57 44,493 83,892 23,054 12,764 16,268 180,528

독일 57 61,856 97,206 22,363 12,777 11,010 205,269

러시아 2 1,834 97,563 297,176 244,581 165,564 806,720

터키 - 10,827 106,762 45,514 35,510 26,560 225,173

한국 2,931 6,855 979 703 1,332 1,350 14,150

일본 230 1,723 12,135 2,763 1,742 10,789 29,382

중국 79,328 2,886 1,703 184 652 1,601 86,381

인도 3 1,248 31,799 149,093 384,697 818,682 1,385,522

방글라데시 - 49 7,054 37,505 97,193 79,377 221,178

파키스탄 2 1,623 14,134 53,737 139,841 63,776 273,113

사우디 - 1,453 19,949 61,982 103,052 78,537 264,973

이란 388 41,107 52,162 55,293 76,255 58,829 284,034

이라크 7 623 1,373 4,176 40,972 60,422 107,573

카자흐스탄 - 325 2,880 7,653 10,961 59,901 81,720

UAE 21 590 11,318 21,967 14,350 10,316 58,562

쿠웨이트 45 221 3,474 22,452 19,332 17,785 63,309

이집트 1 608 4,659 18,181 43,305 24,829 91,583

남아공 - 1,326 4,024 25,617 113,297 289,936 434,200

주: * 영국이 집계방식 변경(7월 3일)에 따라 중복 집계를 수정하여 마이너스 수치 공식 발표 자료: World Health Organization(7월 26일 기준)

코로나19 확산은 2월까지는 중국 등에 국한되었으나 3월부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하였고 5월 이후로는 유럽 지역은 확산세가 둔화된

반면, 인도, 중·남미, 러시아 및 중동 등 비OECD 지역에서 확진자 수가 빠르게

증가함.

- 유럽과 미국이 5월부터 봉쇄조치를 완화하고 경제활동을 재개함에 따라

석유수요가 전월보다 반등하기 시작하였으나 7월 들어 미국, 인도, 남아공 등에서

확진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향후 석유수요 회복 속도에 불확실성이 증대됨.

Page 10: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4

(1) OECD 석유수요

2020년 상반기 OECD 석유수요는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경제활동 및 여행제한 조치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백만b/d 감소한 41.7백만b/d를 기록함.

- 1분기에는 1월 중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19의 확산이 미국과 유럽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3백만b/d 감소함.

- 2분기에는 미주와 유럽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됨에 따라 석유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9.1백만b/d 급감함.

- 상반기 중 월별 석유수요 감소폭(전년 동월 대비)은 2월 1.3백만b/d, 3월 3.9백만b/d

및 4월 12.5백만b/d로서 4월의 수요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로나19 방역조치가

완화되기 시작한 5월에는 8.5백만b/d로 전월에 비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폭이

축소됨.

- 1월∼5월 중 석유제품별 전년 동기 대비 수요 감소 정도는 휘발유 2.18백만b/d

(15.3%↓), 항공유·등유 1.32백만b/d(29.5%↓), 경유 1.34백만b/d(9.7%↓), 중유

0.34백만b/d(17.8%↓), 납사 0.17백만b/d(5.1%↓), LPG·에탄 0.11백만b/d(1.8%↓)

등으로 나타남.

OECD 지역별 상반기 석유수요는 미주, 유럽 및 아시아·오세아니아 모든 지역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미주와 유럽의 수요 감소가 두드러짐.

- 미주 지역의 상반기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3.1백만b/d(12.2%) 감소한 22.3백만b/d

이며 주요국별 수요 감소폭은 미국 2.54백만b/d, 멕시코 33만b/d, 캐나다 17만b/d

등임.

ㆍ 1분기는 캐나다와 멕시코가 전년보다 각각 2만b/d 및 13만b/d 감소하였고 미국은

99만b/d 감소함에 따라 미주 지역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1.1백만b/d 감소함.

ㆍ 2분기 수요는 미국 4.1백만b/d, 멕시코 53만b/d, 캐나다 35만b/d 등 각국의

수요 감소폭이 전분기보다 심화됨에 따라 미주 지역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5.2백만b/d 감소함.

Page 11: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5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ㆍ 월별로는 4월의 수요 하락폭이 전년 동월 대비 7.1백만b/d로 가장 컸으며 5월

4.8백만b/d, 3월 2.2백만b/d 순으로 수요 감소가 크게 나타남.

※ 미국의 4월∼6월 ISM 구매자관리지수(PMI)는 41.5→43.1→52.6(제조업 부문) 및

41.8→45.4→57.1(서비스업 부문)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6월 발표된 실업률은

11.1%로 전월보다 2.2%p 하락함.

ㆍ 1월∼5월 중 제품별 수요는 휘발유 1.62백만b/d(15%↓), 항공유·등유

0.59백만b/d(29.4%↓), 경유 0.55백만b/d(10.1%↓), 중유 0.16백만b/d(28.1%↓)

순으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남.

ㆍ 코로나19 대응 봉쇄조치가 완화되기 시작한 이후인 5월부터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휘발유 등 제품 수요가 반등하기 시작하였으나 멕시코는

코로나19 확산 통제에 난항을 겪는 중임.

※ 구글 이동성 지수(Mobility index)는 소매판매 및 여가시설, 대중교통, 공원, 회사,

자택 등 장소 유형별로 방문 빈도와 머무는 시간 등을 반영하여 국가별 이동성

정도를 수치화한 측도임.

- OECD 유럽 지역 상반기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1.94백만b/d(13.8%) 감소한

12.2백만b/d를 기록함.

ㆍ 1분기 수요는 70만b/d 감소에 그친 반면, 코로나19 대응 방역조치가 강화된

2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94백만b/d 감소함.

ㆍ 독일,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및 영국 등 주요 5개국에서의 석유수요 감소폭은

1.27백만b/d로 OECD 유럽 지역 수요 감소폭의 3분의 2를 차지함.

ㆍ OECD 미주 등과 마찬가지로 4월의 수요 감소가 가장 컸으며(4.3백만b/d↓), 3월

1.16백만b/d 감소, 5월 3.1백만b/d 감소 등으로 보고됨.

※ OECD 유럽의 4월∼6월 구매자관리지수(PMI)는 제조업의 경우 33.4→39.4→47.4

로 상승하였고 서비스 부문은 12.0→30.5→48.3으로 크게 개선 중임.

Page 12: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6

ㆍ 1월∼5월 중 제품별 수요는 항공유의 수요 감소가 타 지역들보다 큰 폭으로

나타났고(0.52백만b/d, 35.7%↓), 수송용 유류인 경유와 휘발유도 각각

0.64백만b/d(10.1%↓), 0.38백만b/d(19.3%↓) 감소함.

ㆍ OECD 지역 중 가장 엄격한 봉쇄조치를 취하였던 유럽 지역은 5월 들어 코로나19

확산세가 둔화됨에 따라 독일, 프랑스, 이태리 및 스페인 등에서 석유수요가

반등하고 있음.

※ 효과적인 코로나19 확산 통제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 독일의 이동성 지수는 최근

이미 전년 동기 수준을 회복하였고, 프랑스, 이태리 및 스페인은 금년 초 수준을

회복한 반면, 봉쇄조치 시행 시점이 다소 늦었던 영국은 회복속도가 더디게

나타남.

-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상반기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59백만b/d(7.6%)

감소한 7.2백만b/d를 기록하여 OECD 미주 및 유럽 보다 감소율이 작게 나타남.

ㆍ 일본의 상반기 석유수요는 35만b/d(9%) 감소한 반면 한국은 5만b/d(2%) 감소에

그침.

ㆍ 1분기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5백만b/d 감소하였고, 2분기에는 감소폭이

0.7백만b/d로 확대됨.

ㆍ 1월∼5월 중 제품별 수요는 항공유가 가장 큰 감소폭인 0.21백만b/d(20.8%↓)를

나타냈고 휘발유와 경유도 각각 0.18백만b/d(12.1%) 및0.15백만b/d(7.6%)로

감소하였으나, 미주와 유럽에 비해 수요 감소율은 현저히 낮음. 단, 납사 수요는

OECD 전체 납사 수요 감소의 70%에 해당하는 0.12백만b/d(5.1%↓) 감소함.

(2) 비OECD 석유수요

2020년 상반기 비OECD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5.1백만b/d(9.8%) 감소한

46.8백만b/d를 기록함.

- 1분기는 코로나19 확산이 처음 시작된 중국에서 석유수요가 1.3백만b/d 감소하고,

Page 13: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7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인도 등 기타 아시아 지역에서도 0.9백만b/d 감소함에 따라 비OECD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2.8백만b/d(5.5%) 감소함.

- 2분기는 중국이 경제활동 정상화로 수요가 소폭 증가한 반면, 인도 등 기타

아시아, 중남미, 중동, 구소련 지역 등에서는 코로나19 확산 및 경제활동의 급격한

축소로 석유수요가 크게 감소함에 따라 비OECD 전체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7.4백만b/d(14.1%) 감소함.

지역별로는 기타 아시아 지역에서 수요 감소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남미, 중동,

중국 및 아프리카 등에서도 석유수요가 현저히 감소함.

- 아시아 지역의 상반기 수요는 25.3백만b/d로서 전년 동기 대비 2.63백만b/d(9.3%)

감소하였으며, 이중 중국의 수요 감소는 0.58백만b/d, 인도 0.7백만b/d 로서 아시아

지역 석유수요 감소의 절반 가량을 차지함.

ㆍ 1분기는 중국 1.3백만b/d, 인도 0.18백만b/d 등 아시아 지역 수요가 2.2백만b/d

감소하였고, 2분기에는 중국의 수요가 0.1백만b/d 증가하였으나 기타 아시아 지역

수요가 3.1백만b/d(인도는 1.2백만b/d) 감소함에 따라 수요 감소폭이 3.0백만b/d로

심화됨.

ㆍ 중국은 3월 이후 코로나19 확산세가 통제되면서 휘발유 소비가 5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는 중이며, 경유 소비는 최근 5월과 6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가 개선됨에 따라 향후 반등이 기대됨.

※ 중국의 Caixin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4월 49.4에서 5월과 6월에 각각

50.7 및 51.2로 상승하였으며 서비스업 PMI는 4월 44.4에서 55.0(5월) 및

58.4(6월)로 크게 개선됨.

※ 월별 산업생산지수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은 –1.1%(3월), 3.9%(4월),

4.4%(5월)로서 코로나19 통제 이후 성장세를 기록 중임.

ㆍ 인도는 코로나19 대응 봉쇄조치가 내려졌던 3월∼4월에는 석유수요가 전년 대비

각각 0.7백만b/d 및 2.1백만b/d 감소하였으나 5월부터는 봉쇄조치 완화와 더불어

석유수요가 반등하면서 전년 대비 감소폭이 1.05백만b/d(5월) 및 0.54백만b/d

(6월)로 축소됨.

Page 14: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8

※ 단, 인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봉쇄조치가 완화된 이후 급증(<표 2>

참조)함에 따라 Assam 및 Guwahati州가 봉쇄조치를 연장하는 등 향후 경제 회복

정도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된 상황임.

- 남미 지역은 1분기 0.3백만b/d, 2분기 1.4백만b/d 감소하여 상반기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8백만b/d(13.8%) 감소한 5.3백만b/d를 기록함.

ㆍ 브라질의 석유수요는 4만b/d 감소(1분기) 및 46만b/d(2분기) 감소함.

ㆍ 브라질의 산업생산지수는 4월에는 전년 대비 27.3% 감소하였고 5월에는 21.8%

감소하는 등 2분기 중에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크게 나타남.

- 중동 지역의 상반기 수요는 0.7백만b/d(9.1%) 감소한 7.4백만b/d로서 분기별

감소폭은 1분기 0.2백만b/d, 2분기 1.2백만b/d로 나타남.

ㆍ 사우디는 1분기 GDP가 전년 대비 1% 하락한데 이어 6월 PMI가 47.7을 기록하여

전월 대비 0.4 포인트 하락하고 신규 확진자 수도 5월 이후 급등하는 등 2분기 경제

실적이 전분기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상됨.

- 아프리카 지역 상반기 수요는 전년 대비 0.5백만b/d 감소한 3.8백만b/d를 기록함.

ㆍ 남아공은 봉쇄조치를 3단계 수준으로 완화하였음에도 IHS Markit이 발표하는 제조업

PMI가 4월 35.1에서 5월 32.5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임.

- 구소련 지역의 상반기 수요는 4.3백만b/d로서 전년 대비 0.3백만b/d(6.3%)

감소하였으나 타 지역에 비해 감소율이 작게 나타남.

ㆍ 러시아의 석유수요는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1만b/d 증가하였으나 2분기에는

41만b/d 감소함(상반기 평균 15만b/d 감소).

ㆍ 러시아의 산업생산지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4월 6.6%, 5월 9.6%를

기록하였으며 신규 확진자 수가 5월 정점(약 30만명)이후 줄어들어 2분기 말부터

봉쇄조치 완화를 시작함.

Page 15: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9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 비OECD 유럽 지역의 수요는 전년보다 0.1백만b/d 감소한 0.7백만b/d를 기록함.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2020년 하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에 따른 경제활동 회복으로

금년 상반기보다는 증가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5.8백만b/d(5.7%) 감소한

95.2백만b/d로 예상됨.

- OECD 석유수요는 3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8백만b/d 하회하지만 4분기에는

2.1백만b/d로 감소폭이 줄어듦에 따라 하반기 수요는 전년 대비 3.0백만b/d(6.0%)

감소한 45.1백만b/d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비OECD 지역은 중국의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남미, 기타 아시아 및

아프리카 등에서의 코로나19 확산 지속 가능성에 따라 석유수요는 전년 보다

2.7백만b/d(4.9%) 감소한 50.2백만b/d로 전망됨.

2021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2020년 상반기보다는 8.7백만b/d 증가하지만

코로나19 펜데믹 이전인 2019년 상반기 수요를 2.1백만b/d 하회한 97.1백만b/d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OECD 석유수요는 전년도인 2020년 상반기 대비 4.3백만b/d 증가한 46.0백만b/d로

전망되며 지역별로는 미주 2.45백만b/d, 유럽 1.55백만b/d, 아시아·오세아니아

0.3백만b/d 수요 증가가 예상됨.

2020년 상반기 지역별 석유수요 순증감

그림 1

2.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전망

Page 16: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10

ㆍ 이는 2019년 상반기 석유수요(47.3백만b/d) 대비로는 1.3백만b/d 감소한 수준임.

- 비OECD는 중국, 기타 아시아 지역, 중동 및 구소련 지역 등에서 석유수요 회복으로

전년 대비 4.3백만b/d 증가한 51.1백만b/d의 석유수요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ㆍ 2019년 상반기 석유수요 51.8백만b/d 대비 0.76백만b/d 하회한 수준임.

(단위: 백만b/d)

구분2020년 2021년

3/4분기 4/4분기 하반기 연간 1/4분기 2/4분기 상반기

OECD 44.4 45.7 45.1 43.4 46.0 46.0 46.0

비OECD 49.8 50.5 50.2 48.5 50.8 51.4 51.1

합계 94.2 96.2 95.2 91.8 96.8 97.4 97.1

전년 대비 증감

OECD -3.8 -2.1 -3.0 -4.3 0.6 8.0 4.3

비OECD -2.8 -2.5 -2.7 -3.9 2.2 6.5 4.3

합계 -6.6 -4.6 -5.6 -8.2 2.8 14.5 8.7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기준안 전망

(1) OECD 석유수요

2020년 하반기 OECD 국가들의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3.0백만b/d 감소한

45.1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미주 지역은 석유수요가 상반기보다 1.8백만b/d 증가하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75백만b/d 하회하는 24.1백만b/d로 전망됨.

ㆍ 미국의 봉쇄조치 완화 이후인 6월과 7월 신규 확진자 수가 각각 약 87만 명 및

102만 명을 기록하고 멕시코도 5월 이후 확진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주 지역의

하반기 경제활동 정상화 및 석유수요 회복 정도에 불확실성이 확대됨.

- 유럽 지역 석유수요는 13.45백만b/d로서 상반기 대비 1.3백만b/d 증가하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하반기 수요를 0.95백만b/d 하회할 것으로 전망됨.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 전망

표 3

Page 17: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11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ㆍ EU 회원국 정상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큰 국가들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위해 8,59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 추진에 합의(7월 21일)함.

-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수요는 상반기 대비 0.25백만b/d 증가하나 전년보다는

0.3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2021년 상반기 OECD 국가들의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4.3백만b/d 증가한

46.0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 수준을

1.3백만b/d 하회할 것으로 예상됨.

- 미주 지역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2.5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 수요를 0.65백만b/d 하회할 것으로 전망됨.

ㆍ 통화 및 재정정책을 통한 경기부양과 더불어 세계 교역량, 민간 소비 및 투자

회복으로 경제성장률 및 석유수요가 강한 반등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OECD 유럽 지역 수요는 전년보다 1.5백만b/d 증가하지만 2019년 상반기 수요를

0.4백만b/d 하회하는 13.7백만b/d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ㆍ OECD 유럽은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수 감소 및 2020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경기부양책의 효과 등으로 인한 경기 반등이 예상되지만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등

관광산업 비중이 큰 국가들의 경기 회복은 느리게 나타날 것으로 보임.

-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3백만b/d 증가하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 수준을 0.25백만b/d 하회하는 7.6백만b/d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2) 비OECD 석유수요

2020년 하반기 비OECD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2.7백만b/d 감소한 50.2백만

b/d일 것으로 전망됨.

- 아시아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5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Page 18: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12

ㆍ 중국의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25백만b/d 증가하나 기타 아시아 지역의

수요는 0.75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ㆍ 중국은 경제활동 정상화를 배경으로 하반기 석유수요가 상반기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석유화학용 LPG, 납사 및 중유가 석유수요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의 연평균 석유제품별 수요는 항공유·등유가 전년보다 21만b/d(26.1%)

감소하는 반면, LPG·에탄(7만b/d↑), 납사(5만b/d↑), 중유(2.6만b/d↑) 등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의 2020년 GDP 성장률은 1%로서 전년도보다 5.1%p 하락이 예상됨.

ㆍ 인도 등 기타 아시아 지역은 석유수요가 전년 대비 0.75백만b/d 감소(상반기 대비

0.95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최근 인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

증가는 회복속도를 지연시킬 것으로 예상됨.

※ 인도의 2020년 GDP 성장률은 –4.5%로서 전년도보다 8.7%p 하락하고 아세안

5개국의 성장률은 전년보다 6.9%p 하락한 –2%로 전망됨.

- 남미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7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ㆍ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0.1%의 낮은 GDP 성장률을 보였던 남미 지역은

2020년에는 –9.4%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브라질의 경우 7월 신규

확진자 수가 월별 최고치인 102만 명을 넘어섬에 따라하반기의 석유수요 회복

정도는 제한될 것으로 보임.

- 구소련은 지역 경제성장률이 -5.8%로 예상되어 석유수요도 전년 동기 대비

40만b/d 감소할 것으로 보임.

ㆍ러시아의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34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중동 지역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70만b/d 감소할 것으로 보임.

Page 19: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13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 사우디는 2019년에는 0.3%의 경제성장을 하였으나 2020년에는 성장률이

–6.8%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됨.

- 아프리카의 수요는 경제성장률이 전년보다 하락함에 따라 전년 대비 45만b/d

감소가 예상됨.

ㆍ Sub-Sahara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은 2019년 3.1%에서 2020년 –3.2%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 주요국의 2020년 GDP 성장률은 –8.0%(남아공), -5.4%(나이지리아) 등임.

ㆍ 남아공은 봉쇄조치가 3단계 수준으로 완화된 상황에서 7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30만 명에 근접함에 따라 향후 봉쇄조치 강화와 그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이

우려됨.

2021년 상반기 비OECD 국가들의 총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4.3백만b/d 증가한

51.1백만b/d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아시아 석유수요는 28.3백만b/d로 예상되어 전년 동기 대비 약 3.0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ㆍ 아시아 지역 개도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7.4%이며 중국 8.2%, 인도 6.0%,

아세안 5개국 6.2% 등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ㆍ 중국은 차량 판매량 증가 및 세계 경기 회복에 따른 PDH 설비 가동 증가로 휘발유

및 LPG 수요가 증가하고 산업 활동 증가로 경유 소비가 늘면서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1.6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ㆍ 기타 아시아 지역은 수송 수요 및 건설 등 산업 활동 증가로 인한 휘발유 및 경유

소비 증가, 스팀 크래커(steam cracker) 가동을 위한 납사 수요 증가, 인도에서의

가정용 LPG 수요 증가 등으로 전체 석유수요가 전년 대비 0.7백만b/d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Page 20: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14

- 남미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45백만b/d 증가하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로는 0.4백만b/d 하회하는 수준인 5.8백만b/d로 전망됨.

ㆍ남미 지역 성장률은 전년도 -9.4%에서 2021년 3.7%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구소련의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35백만b/d 증가한 4.65백만b/d로 전망됨.

ㆍ러시아의 경제성장률은 전년도 –6.6%에서 4.1%로 상승이 예상됨.

- 중동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5백만b/d 증가한 7.9백만b/d로 예상됨.

ㆍ사우디의 경제성장률은 전년도 –6.8%에서 3.1%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아프리카는 석유수요는 전년도 수준인 3.8백만b/d로 예상됨.

(단위: %)

구분 2019년WEO 6월 전망 WEO 4월 전망 대비 차이

2020년 2021년 2020년 2021년

전세계 2.9 -4.9 5.4 -1.9 -0.4

선진국 1.7 -8.0 4.8 -1.9 0.3

- 미국 2.3 -8.0 4.5 -2.1 -0.2

- 유로 지역 1.3 -10.2 6.0 -2.7 1.3

- 일본 0.7 -5.8 2.4 -0.6 -0.6

신흥국 및 개도국 3.7 -3.0 5.9 -2.0 -0.7

- 아시아 개도국 5.5 -0.8 7.4 -1.8 -1.1

·중국 6.1 1.0 8.2 -0.2 -1.0

·인도 4.2 -4.5 6.0 -6.4 -1.4

- 중동/중앙아시아 1.0 -4.7 3.3 -1.9 -0.7

- 중남미 0.1 -9.4 3.7 -4.2 0.3

- 러시아 1.3 -6.6 4.1 -1.1 0.6

자료: IMF, World Economic Outlook, June 2020.

IMF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표 4

Page 21: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15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Ⅰ. 수요 동향 및 전망┃

해외 주요 기관들은 세계 석유수요가 2020년 하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5.1~8.8백만b/d 범위에서 감소하고 2021년 상반기에는 7.4~9.4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단위: 백만b/d)

구분 에너지경제硏 IEA EIA OPEC IHS

2020년 하반기 -5.6 -5.1 -5.8 -6.4 -8.8

2020년 연평균 -8.2 -7.9 -8.2 -9.0 -11.3

2021년 상반기 8.7 7.4 9.0 9.4 9.4

주: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IHS의 7월 전망치

주요 기관의 세계 석유수요 증가 전망

표 5

Page 22: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16

2020년 상반기 세계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3.9백만b/d 감소한 96.3백만b/d를

기록함.

- 비OPEC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석유수요 감소와 이로 인한 저유가로

석유업체들의 원유생산이 축소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0.8백만b/d 감소한

64.1백만b/d를 기록함.

- OPEC 공급은 OPEC+의 대규모 감산합의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1백만b/d 감소한

32.2백만b/d를 기록함.

ㆍ NGL(천연가스액)을 제외한 OPEC의 원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2.9백만b/d 감소한

26.9백만b/d를 기록함.

(단위: 백만b/d)

구분2019년 2020년

1/4 2/4 상반기 1/4 2/4 상반기

비OPEC 64.6 65.1 64.8 66.8 61.4 64.1

OPEC 35.6 35.1 35.3 33.6 30.8 32.2

- 원유 30.1 29.6 29.9 28.2 25.7 26.9

- NGL 5.5 5.5 5.5 5.4 5.2 5.3

합계 100.2 100.2 100.2 100.4 92.2 96.3

전년 대비 증감

비OPEC 2.6 2.3 2.5 2.2 -3.8 -0.8

OPEC -1.1 -1.5 -1.3 -2.0 -4.2 -3.1

- 원유 -1.1 -1.5 -1.3 -1.9 -3.9 -2.9

- NGL 0.0 0.0 0.0 -0.1 -0.3 -0.2

합계 1.6 0.8 1.2 0.2 -8.0 -3.9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OPEC+는 코로나19로 인한 석유수요 감소에 대응하고자 감산기간 연장 및 추가

1.5백만b/d 감산을 추진하였으나 러시아의 반대로 합의에 실패함(2020년 3월 6일).

1. 2020년 상반기동향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2020년 상반기 세계 원유생산

표 6

Page 23: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17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 사우디는 당초 3월 말 종료 예정이던 기존 합의 상의 감산기간을 연말까지로

연장하고 종전 1.68백만b/d(사우디 자발적 감산 포함 시 2.08백만b/d) 감산량에

1.5백만b/d를 추가하여 감산하는 내용의 계획안을 상정함.

- 그러나 러시아가 추가 감산으로 인한 미국 업체들의 반사 이익 가능성과

코로나19의 석유수요 영향 정도의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반대함.

- 합의 결렬 후 사우디가 4월 자국의 원유생산 목표량을 종전 9.7백만b/d에서

12.3백만b/d로 상향하고 원유 공식 판매가격을 인하하는 조치 등을 발표하면서

사실상 석유시장 ‘가격 전쟁’을 선언함.

- 감산합의 와해 및 사우디의 증산 발표로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미 트럼프

대통령이 석유시장 안정화를 위한 사우디-러시아 간 협상 복원 중재 노력을 시작함.

2020년 4월 9일 비상 회의에서 OPEC+ 산유국들은 감산체제 복원 및 전례 없는

대규모 감산안에 합의함.

- 감산 규모는 2020년 5월∼6월 중 9.7백만b/d, 7월부터 연말까지 7.8백만b/d 및

이후 2022년 4월까지 5.8백만b/d임.

※ 5월∼6월 중 감산할당량은 OPEC-10 6.1백만b/d,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

10개국 3.6백만b/d임.

※ 종전 합의에서와 동일하게 OPEC 13개국 중 미국의 제재를 받고 있는 이란과

베네수엘라, 군벌 LNA의 석유시설 봉쇄로 원유생산이 거의 중단된 리비아가

감산의무가 면제됨에 따라 OPEC 산유국 중 감산에 동참하는 회원국은

10개국(OPEC-10)임.

- 사우디, UAE, 쿠웨이트는 6월 중 기존 합의한 감산할당량 외에 추가적인

감산(1.18백만b/d)을 실시할 것을 밝힘(5월 12일).

- OPEC+는 6월 6일 개최된 회의에서 7월에도 5월∼6월 감산 규모를 유지할 것을

결정함.

Page 24: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18

※ 이에 따라 최종적인 감산계획은 5월∼7월 9.7백만b/d, 8월∼12월 7.8백만b/d,

2021년 1월∼2022년 4월 5.8백만b/d임.

- 5월∼6월 중 OPEC+의 실제 감산량은 8.6백만b/d(5월, 준수율 89%) 및 10.43백만b/d

(6월, 준수율 108%)로 보고됨.

※ OPEC-10이 5.2백만b/d(5월, 준수율 86%) 및 6.84백만b/d(6월, 준수율 112%)

감산하였고, 러시아 등 비OPEC 10개국은 3.4백만b/d(5월, 준수율 94%) 및

3.58백만b/d(6월, 준수율 99%) 감산함.

- 5월∼6월 중 OPEC-13의 원유생산은 24.09백만b/d(5월) 및 22.19백만b/d(6월)을

기록함.

※ 동 기간 중 OPEC-13의 원유생산은 2019년 12월 생산량 29.67백만b/d 대비

5.48백만b/d∼7.48백만b/d 감소함.

(1) 비OPEC 석유공급

2020년 상반기 비OPEC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0.8백만b/d 감소한 64.1백만

b/d를 기록함.

- 상반기 석유공급은 2019년 12월 공급량 대비로는 2.16백만b/d 감소함.

- 분기별 전년 동기 대비 증감은 1분기 2.2백만b/d 증가, 2분기 3.7백만b/d 감소로

나타남.

- 비OPEC 석유공급은 코로나19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1분기에는 66.8백만

b/d를 기록하여 전년도 12월 생산 대비 0.54백만b/d 증가하였으나 국제유가가

급락한 2분기에는 저유가로 인한 유정폐쇄 및 생산축소 등이 잇따르면서 1분기

대비 5.4백만b/d 감소한 61.4백만b/d를 기록함.

- 북미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의 생산이 감소하면서 전년도 12월 생산 대비 1.4백만b/d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3만b/d 소폭 증가함.

Page 25: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19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 남미 지역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21만b/d 증가한 5.35백만b/d를 기록함.

ㆍ남미의 상반기 석유공급은 2019년 하반기 대비로는 20만b/d 감소한 수준임.

ㆍ 브라질의 석유공급은 2019년 12월 기준 3.22백만b/d에서 2020년 1분기

3.15백만b/d로 소폭 감소한 후 2분기에는 2.98백만b/d로 추가 감소함.

- 북해 지역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28만b/d 증가한 3.65백만b/d를 기록함.

ㆍ 2019년 12월 3.64백만b/d를 공급한 북해 지역의 석유공급은 2020년 1분기

3.66백만b/d, 2분기 3.70백만b/d를 보이며 타 지역에 비해 감소폭이 적게 나타남.

- 구소련 지역은 전년 동기 대비 61만b/d 감소하였고, 비OPEC 중동 및 아프리카도

각각 3만b/d 및 7만b/d 감소함.

ㆍ 구소련 지역은 2019년 12월 14.75백만b/d에서 2020년 1분기 14.79백만b/d로

소폭 증가하였다가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이 OPEC+ 감산합의를 5월부터 이행함에

따라 2분기 석유공급은 13.23백만b/d로 크게 감소함.

- 중국의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5만b/d 증가한 반면, 기타 아시아 지역은

25만b/d 감소함.

(단위: 백만b/d)

구분2019년 2020년

1/4 2/4 상반기 1/4 2/4 상반기

OECD 28.0 28.2 28.1 29.9 27.0 28.5

비OECD 31.9 31.6 31.8 32.3 29.8 31.1

바이오연료·부산물 4.6 5.3 5.0 4.5 4.5 4.5

합계 64.6 65.1 64.8 66.8 61.4 64.1

전년 대비 증감

OECD 2.0 2.1 2.0 1.9 -1.2 0.4

비OECD 0.4 0.0 0.2 0.4 -1.8 -0.7

바이오연료·부산물 0.2 0.2 0.2 -0.1 -0.8 -0.5

합계 2.6 2.3 2.5 2.2 -3.8 -0.8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2020년 상반기 비OPEC 원유생산

표 7

Page 26: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20

지역별 공급은 OECD 유럽 및 아시아·오세아니아, 남미 등에서 전년도 상반기 대비

증가한 반면, 구소련, 기타 아시아, 비OPEC 중동 및 아프리카는 감소하였고 OECD

미주는 동일한 수준을 기록함.

- 북미 지역의 공급은 전년도 상반기 대비 3만b/d 증가한 24.3백만b/d를 기록함.

ㆍ 미국의 석유공급은 2019년 12월 17.92백만b/d, 2020년 1분기 18.02백만b/d를

기록하였으나 2분기에는 저유가로 인한 경제성 악화 및 원유저장시설 부족으로

16.11백만b/d로 급감함.

※ 미국의 원유생산은 2019년 12월 마지막 주 12.90백만b/d에서 2020년 3월 2주

13.1백만b/d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이후 감소세가 지속되며 6월 마지막 주 기준

11.0백만b/d를 기록함.

※ 미국 셰일 타이트 오일 생산은 2019년 12월 8.22백만b/d에서 2020년 2월

8.24백만b/d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0년 6월 6.84백만b/d로

하락함.

※ 동 기간 미국의 원유시추기 수는 677(`19년 마지막 주)→683(`20년 3월 둘째

주)→188(’20년 6월 마지막 주)로 급격히 감소함.

ㆍ 캐나다 석유공급은 2019년 12월 5.84백만b/d에서 2020년 1분기 5.69백만b/d,

2분기 4.88백만b/d로 감소함에 따라 2020년 상반기 중 감소폭이 약 1백만b/d로

나타남.

※ 캐나다의 석유공급 감소 중 절반 가량은 알버타 주 bitumen 생산 감소에 기인함.

ㆍ 멕시코는 2019년 12월 1.97백만b/d에서 1분기 2.01백만b/d로 증가하였다가

OPEC+ 감산합의 이행에 따라 2분기에는 1.92백만b/d의 석유공급을 기록함.

※ 멕시코는 풋 옵션을 이용한 원유 헷징 거래를 통해 저유가 시기에도 원유생산 및

수출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

Page 27: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21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 북해 지역의 공급은 전년도의 낮은 생산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28만b/d 증가한 3.65백만b/d를 기록함.

ㆍ 영국의 석유공급은 2019년 12월 1.14백만b/d에서 1분기 1.14백만b/d, 2분기

1.10백만b/d로 큰 변화가 없었고, 노르웨이의 상반기 석유공급(2.04백만b/d)도

전년도 말 대비 적은 감소폭(3만b/d)을 보임.

- 구소련 지역의 공급은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의 감산이행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만b/d 감소함.

ㆍ 러시아의 석유공급은 2019년 12월 기준 11.61백만b/d에서 금년 1분기

11.64백만b/d로 소폭 증가한 후 2분기에는 OPEC+ 감산합의 이행에 따라

10.35백만b/d로 감소함.

※ 금년 1월 10.42백만b/d를 기록한 러시아의 원유생산량은 감산이행이 시작된

5월 이후 8.61백만b/d(5월) 및 8.50백만b/d(6월)로 크게 감소함.

ㆍ 카자흐스탄의 원유공급도 OPEC+ 감산합의에 따라 금년 1월 1.66백만b/d에서

1.47백만b.d(5월) 및 1.32백만b/d(6월)로 감소함.

- 남미 지역은 석유공급이 전년 동기 대비 21만b/d 증가함.

ㆍ 1분기 중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에서 공급이 증가하였다가 2분기에는

석유공급이 직전 분기 대비 57만b/d 감소함.

ㆍ 2020년 상반기 석유공급이 2019년 상반기보다 증가한 이유는 작년 상반기

중 브라질의 원유생산이 생산시설에서의 기술적 문제 등으로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였기 때문임(기저효과).

- 비OPEC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의 공급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만b/d 및 3만b/d

감소함.

- OECD 아시아·오세아니아 및 중국을 포함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호주와

중국의 석유공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2만b/d 증가함.

Page 28: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22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2) OPEC 석유공급

2020년 상반기 OPEC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3.12백만b/d 감소한 32.23백만

b/d를 기록함.

-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2.92백만b/d 감소한 26.93백만b/d를 기록하였고 NGL

생산은 0.2백만b/d 감소한 5.29백만b/d를 기록함.

- 1월∼3월 중 OPEC 산유국 전체의 원유생산은 평균 28.60백만b/d를 기록함.

ㆍ 동 기간 중 감산에 참여한 OPEC-10의 원유생산은 25.11백만b/d이며 감산 실적은

1.21백만b/d(감산 준수율 103%) 수준으로 보고됨.

※ 동 기간 중 OPEC-10의 감산 목표량과 생산 목표량은 각각 1.17백만b/d 및

25.15백만b/d임.

- 기존 합의에서의 감산기간이 3월말로 종료됨에 따라 4월 OPEC 원유생산은

30.75백만b/d로 1분기 대비 2.15백만b/d 증가함(OPEC-10의 생산량은

28.05백만b/d로서 2.94백만b/d 증가).

2020년 상반기 비OPEC 지역별 석유공급 증감

그림 2

Page 29: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23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 4월 9일 타결된 OPEC+ 감산합의에 따라 대규모 감산이 진행된 5월∼6월 중

OPEC의 원유생산은 23.14백만b/d를 기록함.

ㆍ OPEC-10의 원유생산은 20.67백만b/d를 기록하여 감산 실적은 6.01백만b/d를

나타냄(감산 준수율 99%).

※ 동 기간 중 OPEC-10의 감산 목표량과 생산 목표량은 각각 6.08백만b/d 및

20.60백만b/d임.

회원국별 상반기 원유생산은 적도기니를 제외한 모든 산유국에서 감소하였고 리비아,

이란, 사우디 및 베네수엘라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남.

- 사우디의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37만b/d 감소한 9.54백만b/d를 기록함.

ㆍ 2019년 12월 9.65백만b/d에서 3월 OPEC+ 감산합의 실패 후 4월 중 11.90백만b/

d까지 생산량을 증가시켰지만 이후 OPEC+ 감산합의에 따라 생산량을 축소하여

5월 8.50백만b/d, 6월 7.55백만b/d를 기록함.

ㆍ 4월 감산합의 상의 5월∼7월 사우디의 생산 목표량은 8.49백만b/d임(기준 생산

11백만b/d 대비 약 2.5백만b/d 감산).

- 이란의 원유생산은 미국의 제재가 지속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58만b/d 감소한

1.99백만b/d를 기록함.

ㆍ 이란의 원유생산은 미국의 제재복원 방침 발표 직전(2018년 4월) 3.82백만b/

d였으나 이후 제재 강화와 함께 2019년 12월 기준 2.1백만b/d로 내려앉았고 금년

상반기에는 1.99백만b/d로 추가 감소함.

ㆍ OPEC은 미 제재를 사유로 이란을 감산대상국에서 제외함.

- 이라크의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37만b/d 감소한 4.35백만b/d를 기록함.

ㆍ 감산합의 상의 이라크 5월∼7월 원유생산 목표량은 3.59백만b/d(감산할당량

1.06백만b/d)이나 5월 4.17백만b/d, 6월 3.71백만b/d를 생산함.

Page 30: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24

ㆍ 이라크는 2019년 감산 준수율은 –60%로 줄곧 목표 생산량을 초과하여

생산하였으나 금년 5월∼6월 중 감산 준수율은 45%(5월) 및 89%(6월) 등으로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ㆍ 그러나 이라크의 5월∼6월 중 실제 원유생산이 생산 목표량을 초과함에 따라

미이행한 감산 분에 대하여 8월∼10월 중에 추가 감산키로 함.

- 리비아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84만b/d(80%↓) 감소한 21만b/d를 기록함.

ㆍ 리비아는 2020년 1월 18일 무장세력 LNA가 석유시설을 봉쇄함에 따라 원유생산이

2019년 12월 1.14백만b/d에서 13만b/d(’20년 2월)→8만b/d(’20년 4월)→10만b/d

(’20년 6월)로 급감함.

ㆍ 리비아는 내전 상황 악화 및 석유시설 봉쇄를 사유로 OPEC 감산대상국에서 제외됨.

- 베네수엘라는 미국의 제재와 국내 정치적 불안 및 경제 위기가 지속되면서

원유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35만b/d 감소한 0.63백만b/d를 기록함.

ㆍ 베네수엘라도 미 제재를 사유로 OPEC 감산대상국에서 제외됨.

- UAE와 쿠웨이트의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만b/d 및 11만b/d 감소함.

ㆍ 2019년 12월 기준 원유생산량은 3.39백만b/d(UAE) 및 2.71백만b/d(쿠웨이트)

였으나 금년 1분기와 2분기 생산은 3.27백만b/d→2.91백만b/d(UAE), 2.73백만b/d

→2.45백만b/d(쿠웨이트) 등으로 감소함.

- 나이지리아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5만b/d 감소한 1.66백만b/d를 기록함.

ㆍ 나이지리아는 2019년 12월 기준 1.65백만b/d였으나 1분기 1.73백만b/d, 2분기

1.58백만b/d로 원유를 생산함.

ㆍ 5월∼7월 감산할당량이 42만b/d였으나 5월과 6월에 평균 7만b/d 초과 생산함에

따라 이라크 등과 마찬가지로 금년 8월∼10월 기간 중에 미이행 감산 분을 추가

감산키로 함.

Page 31: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25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 알제리의 상반기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8만b/d 감소한 0.94백만b/d를

기록하였고 가장 최근인 6월 생산량은 목표 생산량 0.82백만b/d보다 적은

0.80백만b/d를 기록함.

- 앙골라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1만b/d 감소한 1.32백만b/d를 기록하였으나

5월∼6월 생산량이 목표 생산량 1.18백만b/d를 초과한 1.23백만b/d로 나타나면서

감산 미이행 분에 대한 추가 감산을 하반기 중 실행하기로 함.

- 가봉의 원유생산은 전년보다 2만b/d 감소하였고 적도기니의 생산은 전년과 동일함.

(단위: 백만b/d)

구분2019년 2020년 증감

(B-A)상반기 (A) 1/4분기 2/4분기 상반기 (B)

사우디 9.91 9.77 9.31 9.54 -0.37

이란 2.57 2.02 1.96 1.99 -0.58

이라크 4.71 4.57 4.13 4.35 -0.37

UAE 3.10 3.27 2.91 3.09 -0.01

쿠웨이트 2.70 2.73 2.45 2.59 -0.11

나이지리아 1.71 1.73 1.58 1.66 -0.05

리비아 1.05 0.33 0.09 0.21 -0.84

알제리 1.02 1.02 0.87 0.94 -0.08

콩고 0.34 0.30 0.30 0.30 -0.04

베네수엘라 0.98 0.77 0.50 0.63 -0.35

앙골라 1.43 1.39 1.26 1.32 -0.11

적도기니 0.11 0.12 0.10 0.11 0.00

가봉 0.22 0.19 0.21 0.20 -0.02

OPEC 원유 합계 29.86 28.21 25.66 26.93 -2.92

OPEC NGL 5.49 5.41 5.17 5.29 -0.20

OPEC 합계 35.35 33.62 30.83 32.23 -3.12

주: 2017년 5월 25일 OPEC 가입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2020년 상반기 대OPEC 원유수요(Call on OPEC)는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석유수요의 급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5백만b/d 감소한 19.1백만b/d로 나타남.

2020년 상반기 OPEC 원유생산

표 8

Page 32: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26

- 세계 석유수요는 10.7백만b/d 크게 감소한 반면, 비OPEC 공급은 0.8백만b/d

감소에 그침.

(단위: 백만b/d)

구분2019년 2020년

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1/4분기 2/4분기

대OPEC 원유수요* 29.0 28.7 29.5 28.5 21.8 16.4

세계 원유수요 99.0 99.3 100.8 100.8 94.0 82.9

주: * 세계 수요에서 비OPEC 공급량과 OPEC NGL을 차감한 수치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2020년 하반기 세계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10.6백만b/d 감소한 90.3백만b/d로

전망됨.

- 비OPEC 공급은 저유가로 인한 북미, 남미 등에서의 생산 감소와 OPEC+

감산합의에 따른 러시아 등 산유국들의 감산이행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백만b/d

감소한 60.5백만b/d로 전망됨.

- OPEC 공급(NGL 포함)은 OPEC+ 감산합의 이행에 따른 원유생산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4.7백만b/d 감소한 29.8백만b/d로 전망됨.

(단위: 백만b/d)

구분2020년 2021년

3/4분기 4/4분기 하반기 연간 1/4분기 2/4분기 상반기

OPEC 29.1 30.5 29.8 31.0 31.8 32.9 32.4

비OPEC 60.2 60.8 60.5 62.3 62.2 62.8 62.5

합계 89.4 91.3 90.3 93.3 93.9 95.7 94.8

전년 대비 증감 -10.9 -10.3 -10.6 -7.3 -6.5 3.5 -1.5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기준안 전망

2021년 상반기 세계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1.5백만b/d 감소한 94.8백만b/d로

전망됨.

대OPEC 원유수요 추이

표 9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세계 원유생산 전망

표 10

2.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전망

Page 33: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27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 비OPEC 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1.6백만b/d 감소한 62.5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ㆍ 미주 지역과 러시아 등 구소련 산유국들의 원유생산 감소로 전년보다 감소함.

- OPEC 공급(NGL 포함)은 전년 동기 대비 0.2백만b/d 증가한 32.4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세계 석유공급에서 OPEC이 차지하는 비중은 35.3%(’19년 상반기)→34.2%(’19년

하반기)→33.5%(’20년 상반기)→33.0%(’20년 하반기)→34.1%(’21년 상반기)로서

’21년 상반기 중 상승이 예상됨.

(1) 비OPEC 석유공급

2020년 하반기 비OPEC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5.9백만b/d 감소(̀20년 상반기

대비 3.6백만b/d 감소)한 60.5백만b/d로 전망됨.

- 북미 지역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저유가가 지속되어 전년 동기 대비 2.7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ㆍ 미국은 하반기 유가가 부분적으로 회복되면서 상반기 중 생산이 중단되었던

유정들이 재개될 것으로 보이지만 석유회사들의 금년 자본지출 예산 삭감으로 시추

활동이 크게 위축된 탓에 원유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Dallas 연방 준비 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생산이 중단된 유정이 재개되기 위해

필요한 WTI 유가 수준은 배럴당 $23-$36로서 현재 유가 수준을 하회하지만,

새로운 유정을 시추하기 위해서는 유가가 이보다 더 높은 $45-50대로

상승해야 함.

ㆍ 캐나다의 석유공급은 현재 거의 정체된 시추 활동으로 인해 2020년 4분기에

가서야 반등할 것으로 예상됨.

Page 34: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28

- 남미 지역 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40만b/d의 감소가 예상됨.

ㆍ 브라질은 국제유가의 부분적 회복 및 신규 생산설비(Atapu 유전 내 P-70

FPSO)에서의 생산 개시로 암염하층 원유생산이 증가하겠지만 전년 대비로는

20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북해 지역은 4분기 중 노르웨이와 영국의 원유생산 반등세에 전년도 하반기

기저효과가 더해져 전년 동기 대비 30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ㆍ 노르웨이는 Johan Sverdrup 유전에서의 생산증가가 예상됨.

- 구소련 지역 공급은 러시아, 카자흐스탄 및 아제르바이잔의 감산합의 준수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2.1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ㆍ 감산합의 상의 하반기 원유생산 목표량은 8.99백만b/d(러시아), 1.4백만b/d

(카자흐스탄), 0.59백만b/d(아제르바이잔) 등임.

-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은 석유공급이 전년 동기 대비 10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비OPEC 중동의 공급은 전년보다 10만b/d 감소하고 비OPEC 아프리카는 20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단위: 백만b/d)

구분2020년 2021년

3/4분기 4/4분기 하반기 연간 1/4분기 2/4분기 상반기

생산량 60.2 60.8 60.5 62.3 62.2 62.8 62.5

전년 대비 증감 -5.6 -6.1 -5.9 -3.3 -4.6 1.4 -1.6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기준안 전망

2021년 상반기 비OPEC 공급은 1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4.6백만b/d 감소하고

2분기는 1.4백만b/d 증가하여 전년도 상반기 생산량보다 1.6백만b/d 감소한

62.5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비OPEC 석유공급 전망

표 11

Page 35: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29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 북미 지역 공급은 1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2.78백만b/d 감소하고 2분기는 12만b/d

증가함에 따라 전년도 상반기 평균 생산량보다 1.3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ㆍ 미국은 2021년 1분기에도 큰 폭의 생산증가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캐나다는 1분기 중 알버타 주 오일샌드 지역에서의 생산 증가로2019년도의

생산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됨.

- 남미 지역 공급은 유가회복으로 브라질의 원유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0만b/d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ㆍ 브라질의 암염하층에서의 원유생산 증가세는 2021년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북해 지역 공급은 전년과 동일한 3.65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구소련 공급은 러시아 등의 감산할당량이 2020년 하반기보다 줄어들면서

원유생산은 증가하지만 2020년 1분기에 기록했던 높은 생산량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변화는 60만b/d 감소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됨.

-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수준과 동일할 것으로 전망됨.

- 비OPEC 중동·아프리카의 공급은 각각 10만b/d 증가 및 10만b/d 감소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세계 주요 기관들은 2020년 하반기 비OPEC 공급이 전년 동기 대비 3.7~5.8백만b/d

감소하고, 2021년 상반기에는 0.4~2.0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단위: 백만b/d)

구분 에너지경제硏 IEA EIA OPEC IHS

2020년 하반기 -5.9 -5.2 -3.7 -5.8 -4.5

2020년 연평균 -3.3 -3.0 -2.2 -3.3 -2.6

2021년 상반기 -1.6 -1.1 -0.4 -2.0 -1.4

주: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IHS의 7월 전망치

주요 기관별 비OPEC 석유공급 증가 전망

표 12

Page 36: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30

(2) OPEC 석유공급

2020년 하반기 OPEC 공급(NGL 포함)은 전년 동기 대비 4.7백만b/d 감소한

29.8백만b/d로 전망됨.

- 원유생산은 2020년 상반기 대비 2.3백만b/d 감소하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4.5백만b/d 감소한 24.6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NGL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20만b/d 감소한 5.2백만b/d로 예상됨.

- OPEC+ 감산합의 상의 하반기 중 OPEC-10 산유국 월별 원유생산 목표량은

7월에는 5월∼6월과 동일한 20.60백만b/d, 8월부터 12월까지는 21.82백만b/d임.

(단위: 백만b/d)

구분2020년 2021년

3/4분기 4/4분기 하반기 연간 1/4분기 2/4분기 상반기

원유 24.0 25.3 24.6 25.8 26.5 27.6 27.1

NGL 5.1 5.2 5.2 5.2 5.3 5.3 5.3

합계 29.1 30.5 29.8 31.0 31.8 32.9 32.4

전년 대비 증감 -5.3 -4.2 -4.7 -3.9 -1.8 2.1 0.1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기준안 전망

2021년 상반기 OPEC 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0.1백만b/d 증가한 32.4백만b/d로

전망됨.

- 원유생산량은 2020년 하반기 대비 2.5백만b/d 및 전년 동기 대비 20만b/d 증가한

27.1백만b/d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NGL 생산은 전년 상반기와 동일한 5.3백만b/d로 예상됨.

- OPEC+ 감산합의 상의 2021년 OPEC-10 산유국의 원유생산 목표량은 23.03백만b/d임.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OPEC 원유생산 전망

표 13

Page 37: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31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Ⅱ. 공급 동향 및 전망┃

회원국별로는 최근까지 생산 감소세를 보인 이란과 베네수엘라가 5월∼6월의 낮은

생산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리비아는 석유시설 봉쇄 상황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 원유생산이 증가하고, 감산에 동참 중인 나머지 10개국은 합의된

감산계획에 따라 원유를 생산할 것으로 전망됨.

- 이란의 원유생산은 2020년 하반기는 상반기 대비 5만b/d 감소한 1.95백만b/d를

기록하고 2021년 상반기에도 동일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 베네수엘라는 금년 하반기 및 내년 상반기에 걸쳐 금년 상반기 대비 35만b/d

감소한 30만b/d의 생산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 이라크의 2020년 하반기 원유생산은 OPEC+ 감산합의 이행 및 5월∼6월 감산

미이행 분에 대한 추가 감산으로 인해 상반기 대비 약 70만b/d 감소하고, 2021년

상반기에는 감산 규모 완화와 더불어 감산 준수율 하락이 예상되어 2020년 하반기

대비 약 50만b/d 증가할 것으로 보임.

- 나이지리아 원유생산량은 2020년 하반기는 상반기 대비 18만b/d 감소하고 2021년

상반기에는 다시 16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사우디, 쿠웨이트 등 나머지 OPEC 산유국은 2020년 하반기에는 원유생산이 상반기

대비 1.8백만b/d 감소(단, 5월∼6월 대비로는 증가)하고 2021년 상반기에는 금년

하반기 대비 1.5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대OPEC 원유수요는 2020년 하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0.5백만b/d 증가한

29.5백만b/d, 2021년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0.2백만b/d 증가한 29.3백만

b/d로 전망됨.

(단위: 백만b/d)

구분2020년 2021년

3/4분기 4/4분기 하반기 연간 1/4분기 2/4분기 상반기

대OPEC 수요 28.9 30.2 29.5 24.3 29.3 29.3 29.3

주: NGL 제외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기준안 전망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대OPEC 원유수요 전망

표 14

Page 38: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32

주요 기관들은 2020년 하반기에는 대OPEC 원유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4.0백만b/d

감소하거나 0.3백만b/d 증가하고, 2021년 상반기에는 8.5~11.4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단위: 백만b/d)

구분 에너지경제硏 IEA EIA OPEC IHS

2020년 하반기 0.5 0.3 -1.4 -0.5 -4.0

2020년 연평균 -4.6 -4.7 -5.3 -5.6 -8.3

2021년 상반기 10.3 8.5 9.7 11.4 10.4

주: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IHS의 7월 전망치

주요 기관별 대OPEC 원유수요 증가 전망

표 15

Page 39: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33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Ⅲ. 재고 동향┃

2020년 상반기 미국의 상업용 원유 재고는 3월까지 과거 5년 평균 수준을 중심으로

등락하다가 4월부터 석유소비 및 원유수출이 하락하면서 전년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과거 5년 평균 수준을 크게 상회함.

- 상반기 미국 내 원유공급은 생산이 12.28백만b/d, 수입이 6.21백만b/d로 총

18.49백만b/d인 반면, 정제시설 투입과 수출은 각각 14.61백만b/d와 3.30백만b/d로

총 17.91백만b/d에 달하여 공급을 하회함.

- 상업용 원유 재고는 2020년 1월 초 431백만 배럴에서 4월 중순 504백만 배럴을

넘어서고 6월 중순 541백만 배럴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6월 말에

534백만 배럴을 기록함.

자료: www.eia.gov

- WTI 실물 인도지점인 오클라호마 주 쿠싱(Cushing) 지역의 재고는 1월 초 35.5백만

배럴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6월 말에 45.6백만 배럴을 기록함.

ㆍ쿠싱 지역의 5월 초 재고는 2017년 5월 말 이후 최고치인 65.4백만 배럴을 기록함.

1. 미국 재고 동향

Ⅲ. 재고 동향

미국의 상업용 원유 재고 변동 추이

그림 3

Page 40: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34

2020년 상반기 미국의 휘발유 재고가 3월에는 과거 5년 평균치를 하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4월 중순에는 역대 최고 수준인 263백만

배럴을 기록함.

- 미국 휘발유 재고는 1월 초 252백만 배럴에서 3월 중순 239백만 배럴로 감소한 후

4월 중순까지 263백만 배럴로 반등하였으나 다시 하락세로 반전하여 6월 말에는

257백만 배럴을 기록함.

ㆍ 상반기 휘발유 생산은 8.33백만b/d로 전년 동기 대비 15.6% 감소하였으며, 수출과

소비는 각 0.61백만b/d, 7.83백만b/d로 전년 동기 대비 12.5%, 15.6% 감소함.

자료: www.eia.gov

2020년 상반기 미국의 중간유분 재고는 4월 중순까지 과거 5년 평균 수준을

하회하였으나 이후 높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6월에 주춤함.

- 중간유분 재고는 1월 초 139백만 배럴에서 3월 말 122백만 배럴까지 감소한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6월 말에는 174백만 배럴을 기록함.

미국의 상업용 휘발유 재고 변동 추이

그림 4

Page 41: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35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Ⅲ. 재고 동향┃

ㆍ 상반기 중간유분 생산은 4.86백만b/d로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하였으며, 수출과

소비는 각 1.20백만b/d, 3.63백만b/d로 전년 동기 대비 5.9%, 10.1% 감소함.

자료: www.eia.gov

(1) 원유 재고

2020년 상반기 OECD의 상업용 원유 재고는 3월까지 과거 5년 평균 수준을

하회하였으나 석유수요 증가세 둔화로 4월과 5월에 각각 전년 동월 대비 7.5%, 8.7%

증가하면서 과거 5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함.

- OECD 원유 재고는 1월 1,076백만 배럴로 시작하여 증가하다가 5월 1,251백만

배럴을 기록함.

ㆍ 5월의 OECD 상업용 원유 재고는 역대 최고 수준인 1,251백만 배럴을 기록하면서

과거 5년 동월 평균 대비 약 77백만 배럴(6.6%) 증가함.

미국의 상업용 중간유분 재고 변동 추이

그림 5

2. OECD 재고동향

Page 42: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36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상반기 OECD 원유 재고는 미주 지역과 유럽 지역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반면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은 감소하였음.

- 미주 지역 재고는 1월을 제외한 2월부터 5월까지 각 월별로 전년 동월 대비

2~12% 상회하였으며, 1월 605백만 배럴에서 5월 709백만 배럴로 증가함.

- 유럽 지역 재고는 1월과 4월, 5월 모두 전년 동월 대비 4% 상회하였으며, 1월

352백만 배럴에서 2월 341백만 배럴로 감소한 후 5월 370백만 배럴까지 증가함.

-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재고는 1월부터 4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3~26%

하회하였으나, 1월 118백만 배럴에서 5월 173백만 배럴까지 증가함.

(2) 석유제품 재고

2020년 상반기 OECD 석유제품 재고가 1월과 2월에는 과거 5년 평균치와

유사하였으나, 이후 코로나19 방역조치에 따른 이동제한으로 인해 대폭 증가하였음.

OECD 상업용 원유 재고 변동 추이

그림 6

Page 43: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37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Ⅲ. 재고 동향┃

- 석유제품 재고는 1월 1,518백만 배럴에서 2월 1,475백만 배럴로 감소한 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5월 역대 최고 수준인 1,621백만 배럴을 기록함.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상반기 OECD 석유제품 재고는 미주 지역과 유럽 지역, 그리고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모두 전년 동기 평균 수준을 상회하였음.

- 미주 지역 재고는 1월 757백만 배럴에서 2월 724백만 배럴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세를 보이면서 5월 819백만 배럴까지 증가함.

- 유럽 지역 재고는 1월 574백만 배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5월 625백만 배럴을

기록함.

-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재고는 1월 187백만 배럴에서 4월 171백만 배럴까지

감소한 후 5월 177백만 배럴을 기록함.

2020년 5월 기준 원유와 석유제품 재고를 합한 OECD 총 석유재고는 3,216백만

배럴로 전월보다 82백만 배럴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월보다 282백만 배럴 증가함.

OECD 상업용 석유제품 재고 변동 추이

그림 7

Page 44: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38

- 5월 기준 OECD 총 석유재고는 과거 5년 평균에 비해 258백만 배럴(8.7%) 증가함.

- 5월 기준 OECD 총 석유재고 일수는 84.5일로 전월 대비 2.1일 증가하였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7.4일 증가함.

(단위: 백만 배럴)

구분2019년 2020년

5월 1월 2월 3월 4월 5월1)

원유1,150.6 1,075.7 1,086.5 1,151.9 1,230.5 1,251.2

(0.6%) (-2.1%) (1.0%) (6.0%) (6.8%) (1.7%)

휘발유380.9 418.3 404.9 421.3 424.6 422.5

(1.5%) (4.6%) (-3.2%) (4.1%) (0.8%) (-0.5%)

중간유분540.5 582.5 559.8 552.3 593.9 631.7

(0.8%) (5.2%) (-3.9%) (-1.3%) (7.5%) (6.4%)

연료유115.7 124.2 124.7 132.3 132.0 137.1

(2.9%) (8.4%) (0.4%) (6.2%) (-0.2%) (3.8%)

총석유제품2)1,439.3 1,517.7 1,474.8 1,503.6 1,556.8 1,621.3

(2.5%) (2.7%) (-2.8%) (2.0%) (3.5%) (4.1%)

총석유재고3)2,933.4 2,925.6 2,896.0 2,993.7 3,133.9 3,215.6

(1.7%) (0.5%) (-1.0%) (3.4%) (4.7%) (2.6%)

주: ( )안은 전월 대비 증가율

1) 잠정치

2) 휘발유, 중간유분, 연료유 및 기타 제품 포함

3) NGL, 정제원료 등 포함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OECD 상업용 석유재고 변화 추이

표 16

Page 45: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39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1) 원유가격 변동 추이

2020년 두바이유 분기별 가격은 1분기에 $50.42/배럴, 2분기에 $30.73/배럴로

지난해 4분기의 $62.05/배럴에서 빠른 속도의 하락세를 보임.

- 두바이유 상반기 평균가격은 $40.73/배럴로 전년 동기의 가격($65.45/배럴)보다

37.8% 하락하였고 전년 평균가격($63.53/배럴)보다 36.0% 하락함.

2020년 상반기 중 두바이유 가격은 브렌트유 가격에 비해서는 $1.37/배럴 낮고 WTI

가격에 비해서는 $3.91/배럴 높은 수준이었음(<표 17> 참조).

- 전년 평균가격 대비 상반기 중 두바이유 가격 하락폭은 $22.80/배럴로 브렌트유

($22.06/배럴)와 WTI($20.22/배럴)에 다소 크게 나타남.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배럴

두바이 브렌트 WTI

18.1.2

3.12

5.21

7.27

10.4

12.12

19.2.21

5.2

7.10

9.17

11.25

20.2.4

4.14

6.22

자료: www.petronet.co.kr

1. 2020년 상반기원유가격 동향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원유가격 변동 추이(2018.1~2020.6)

그림 8

Page 46: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40

(단위: $/배럴)

유 종2019년 2020년 변동

(B-A)평균(A)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평균(B)

두바이 63.53 64.32 54.23 33.71 20.39 32.41 40.80 40.73 -22.80

브렌트 64.16 63.67 55.48 33.73 26.63 28.53 40.77 42.10 -22.06

WTI 57.04 57.53 50.54 30.45 16.70 30.47 38.31 36.82 -20.22

자료: www.petronet.co.kr

1분기 두바이유 가격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석유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감산 참여국들(OPEC+)의 공조 체제 와해로 전분기($62.05/

배럴)보다 $11.63/배럴 하락한 $50.42/배럴을 기록함.

- 1월 가격은 미군의 이란혁명수비대(IRGC) 사령관 살해 등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

고조에도 불구하고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월($64.91/배럴)과

비슷한 $64.32/배럴을 기록함.

- 2월 가격은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에 따른 각국의 이동제한 등으로 세계 석유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전월보다 하락한 $54.23/배럴에서 평균 가격이

형성됨.

- 3월 가격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이 시작된 가운데 OPEC+가

추가 감산합의에 실패(3월 6일)함에 따라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면서 $33.71/배럴을

기록함.

2분기 두바이유 가격은 와해되었던 OPEC+의 감산 공조 체제가 복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석유수요 감소폭이 확대되고 석유재고가 증가함에 따라

1분기에 비해 $19.69/배럴 하락한 $30.73/배럴을 기록함.

- 4월 가격은 OPEC+ 감산 공조 체제가 와해된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위축과 이동제한 등에 의한 석유수요 감소로 2002년 2월 이후 월평균 최저가격인

$20.39/배럴을 기록함.

- 5월 가격은 OPEC+가 코로나19에 대응한 새로운 감산합의(4월 10일)가 이행되기

시작하고 세계 석유수요도 4월을 저점으로 회복되는 조짐을 보이면서 전월보다

상승한 $32.41/배럴을 기록함.

주요 원유의 2020년 상반기 가격

표 17

Page 47: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41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 6월 가격은 OPEC+의 높은 감산 준수율과 7월 감산 목표량의 상향 조정, 그리고

세계 석유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반등세를 이어가면서 전월보다

$8.39/배럴 상승한 $40.80/배럴을 기록함.

(2) 원유가격 변동 요인

2020년 상반기 유가가 지난해보다 급락한 주요 요인은 세계 석유수요의 급격한 감소

및 OPEC+ 감산 공조 체제의 일시적 와해로 인한 공급 과잉과 그에 따른 석유재고

증가와 저장시설 부족을 들 수 있음.

- 반면에 리비아의 정세 불안에 따른 원유생산 차질, 미국 제재로 인한 이란 및

베네수엘라의 생산 감소, 미국 연준(Fed)의 금리 인하 등 코로나19에 대응한

주요국의 경기부양책은 유가의 추가 하락을 억제함.

※ 원유 선물시장의 투기성 자금은 3월부터 6월까지 꾸준히 유입됨에 따라 유가가

저점을 통과한 4월 하순 이후의 유가 반등에 기여한 것으로 보임.

(세계 석유수급 밸런스) 2020년 상반기의 세계 석유수급은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위축과 이동제한 등으로 휘발유, 경유, 항공유를 중심으로 석유수요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전에 없던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남([그림 9] 참조).

-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OECD 국가와 비OECD 국가의 수요가 모두 5백만b/d 이상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0.7백만b/d 감소한 88.4백만b/d를 기록함.

ㆍ 미국과 유럽의 감소폭이 각각 2.5백만b/d(12.5%)와 2.0백만b/d(13.6%)로 크게

나타난 반면, 중국의 감소폭은 0.6백만b/d(4.3%)에 그침.

ㆍ 중국을 제외한 인도 등 아시아 신흥국들의 수요 감소폭은 2.1백만b/d(14.2%)에 달해

비OECD 국가의 수요 감소를 주도함.

Page 48: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42

주: 2020년 2/4분기 데이터는 추정치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ly 2020.

- 상반기 비OPEC 공급은 OPEC+ 감산에 참여한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등구소련

지역의 감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0.8백만b/d 감소한 64.1백만b/d를 기록함.

ㆍ 미국의 원유생산은 상반기 중 급격한 감소세로 전환되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0.9백만b/d 증가하였고, NGL과 바이오연료를 포함한 미국의 총 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1.4백만b/d 증가함(EIA, July 2020).

- 상반기 OPEC 공급(NGL 포함)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감산 참여국의 높은 감산

준수율과 감산이 면제된 리비아, 이란 및 베네수엘라 생산의 지속적인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3.1백만b/d 감소한 32.2백만b/d를 기록함.

ㆍ NGL을 제외할 경우 OPEC의 원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2.9백만b/d 감소한

26.9백만b/d임.

- 세계 석유재고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함에 따라 1분기에 6.4백만b/d, 2분기에

9.3백만b/d 증가함.

세계 석유수급 및 석유재고 변동 추이

그림 9

Page 49: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43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 OECD 상업용 석유재고는 2020년 5월 3,216백만 배럴로 전년 동월에 비해

282백만 배럴(6.8%) 증가하였으며, 과거 5년(2015~2019년) 평균에 비해서는

259(8.7%)백만 배럴 많은 양임(IEA, MODS, July 2020).

ㆍ 미국의 상업용 석유재고는 2019년 7월 첫째 주 기준 1,462백만 배럴로 전년 동기

대비 163백만 배럴(12.5%) 증가하였는데, 과거 5년 평균에 비해서는 182백만

배럴(14.2%) 많은 양임(EIA).

※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상장된 WTI 선물가격이 4월 20일 사상 초유의

마이너스 가격(-$37.63/배럴)을 기록한 것은 재고 증가로 WTI 선물 인도지점인

쿠싱 지역의 원유저장 공간이 부족하였기 때문임.

⇒ Money Manager 등 투자자들이 WTI 5월물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보유 중인

매수 포지션의 청산이 필요한 상황에서, 일부 투자자가 저장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실물 인수를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마이너스 가격의 매도를 주문함.

(OPEC+의 감산) 2020년 3월 6일 열린 OPEC+ 장관급 공동감시위원회(JMMC)

회의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추가 감산안이 러시아의 반대로 무산됨에 따라

OPEC+ 감산 공조 체제가 3월과 4월에 와해되었다가 복원되는 상황이 발생함.

- OPEC+는 2019년 12월 회의에서 기존 감산량을 약 50만b/d 확대한 170만b/d로

결정하여 2020년 3월 말까지 적용하고, 사우디는 공식적 감산 외에 자발적인 추가

감산 40만b/d를 약속함.

ㆍ 2019년 OPEC+의 실제 평균 감산량이 감산 목표량(120만b/d)을 초과한 166만b/d

였고, 사우디는 50만b/d 넘게 자발적 감산을 하고 있었음.

ㆍ 2020년 OPEC+의 감산 준수율은 1월 123%(OPEC 143%, 비OPEC 76%), 2월

112%(OPEC 131%, 비OPEC 70%)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함.

- 사우디는 3월 6일 회의에서 코로나19에 따른 석유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 말까지 150만b/d 규모의 추가 감산을 추진하였으나 러시아의 반대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OPEC+의 감산 공조가 와해됨.

Page 50: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44

ㆍ 러시아는 코로나19의 석유수요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는 이르며, 추가 감산으로

미국 셰일오일 업체들의 시장점유율만 확대된다고 주장함.

ㆍ 추가 감산합의에 실패한 후, 사우디는 4월 자국산 원유의 판매가격을 $6~8/배럴

인하하고, 생산량을 확대키로 결정함에 따라 2014년∼16년 상황과 유사한 ‘가격

전쟁’이 유발됨.

- 사우디와 러시아는 3월 중순 이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와 압박으로

와해된 OPEC+ 공조 체제를 4월 12일에 복원하고 전례 없는 규모의 감산안에

합의함.

ㆍ OPEC+가 합의한 감산 규모는 2020년 5월∼6월 970만b/d, 2020년 7~12월

780만b/d, 2021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580만b/d임.

※ OPEC+ 산유국들이 다시 감산에 합의한 배경에는 미국의 중재와 압박 외에도

① 공급량 확대로 인해 저유가가 지속될 경우의 재정수입 급감 및 외환보유고

축소로 인해 초래될 국가 경제적 손해, ② 원유재고를 저장할 공간 부족에 따른

생산 확대의 제약 등이 고려됨.

ㆍ OPEC 회원국 중 미국의 원유수출 제재를 받는 이란과 정치·경제 위기로 생산이

감소하는 베네수엘라, 정정 불안으로 생산 차질을 빚고 있는 리비아는 종전과 같이

감산대상에서 제외됨.

- OPEC+의 감산 준수율은 OPEC 10개 회원국이 5월 86%, 6월 112%이며, 비OPEC

10개 감산 참여국이 5월 94%, 6월 99%를 기록함(<표 18> 참조).

ㆍ 6월 기준으로 사우디는 자국에 할당된 감산 목표인 250만b/d보다 94만b/d 많은

양을 감산하여 감산 준수율이 138%에 이르고, 러시아는 자국에 할당된 감산 목표인

250만b/d를 100% 준수함.

Page 51: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45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b/d)

국별 기준생산1)5~6월

감산목표2)5~6월

생산목표

5월

생산

6월

생산

5월 감산

준수율

(%)

6월 감산

준수율

(%)

사우디아라비아 11.00 2.508 8.49 8.50 7.55 100 138

이라크 4.65 1.061 3.59 4.17 3.71 46 89

UAE 3.17 0.722 2.45 2.50 2.40 93 106

쿠웨이트 2.81 0.641 2.17 2.20 2.10 95 111

나이지리아 1.83 0.417 1.41 1.52 1.44 74 93

앙골라 1.53 0.348 1.18 1.27 1.22 74 89

알제리 1.06 0.241 0.82 0.81 0.80 102 107

콩고 0.33 0.074 0.25 0.25 0.30 101 34

가봉 0.19 0.043 0.14 0.17 0.22 40 -77

적도기니 0.13 0.029 0.10 0.09 0.10 128 93

OPEC-10 합계 26.68 6.084 20.60 21.48 19.84 86 112

이란 3.32 - - 1.97 1.95 - -

베네수엘라 1.27 - - 0.56 0.30 - -

리비아 1.15 - - 0.08 0.10 - -

OPEC 합계 32.42 - - 24.09 22.19 - -

러시아 11.00 2.508 8.49 8.56 8.50 97 100

멕시코 1.73 0.100 1.63 1.59 1.63 165 100

카자흐스탄 1.71 0.390 1.32 1.42 1.32 73 98

오만 0.88 0.201 0.68 0.72 0.68 81 99

아제르바이잔 0.72 0.164 0.55 0.56 0.56 98 99

기타3) 1.11 0.253 0.85 0.92 0.87 74 94

비OPEC 합계 17.14 3.616 13.53 13.77 13.56 94 99

OPEC+ 합계 43.83 9.700 34.13 35.25 33.40 89 108

주: 1) 기준생산은 2018년 10월 생산(쿠웨이트는 9월)

2) OPEC 회원국 중 이란, 베네수엘라, 리비아는 감산 국가에서 제외

3) 바레인,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수단, 남수단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June 2020, July 2020.

감산 참여국(OPEC+)의 2020년 감산이행

표 18

Page 52: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46

- 감산에서 제외된 이란, 베네수엘라, 리비아 3국의 6월 생산은 OPEC+의 기준생산이

적용된 시점인 2018년 10월에 비해 3.39백만b/d 감소함.

- OPEC+는 6월 6일 열린 회의에서 5~6월 감산량을 7월까지 1개월 더 연장하여

유지하기로 합의하는 한편, 5~6월 중 생산한도를 초과한 나이지리아와 이라크

등에 대해서는 7~9월에 추가 감산을 통해 보충할 것을 요구함.

ㆍ 5~6월 감산량은 9.7백만b/d였으나, 7월 감산량은 감산을 거부한 멕시코에 대한

할당량 0.1백만b/d가 제외된 9.6백만b/d로 결정함.

※ 당초 4월 12일에 합의한 OPEC+의 7~12월 감산량은 7.8백만b/d

(미국 원유생산) 2020년 상반기 미국의 원유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로는 0.9백만b/d

증가하였으나, 1월 둘째 주를 정점으로 감소 추세로 전환됨([그림 10] 참조).

- 주요 셰일오일 유전지대인 이글포드, 퍼미안, 바켄(윌리스톤)을 포함한 미국

전역에서 가동 중인 시추리그(drilling rig) 수는 유가 하락과 투자 감소로 2019년 12월

말 677기에서 2020년 6월 말 188기로 감소함(<표 19> 참조).

- 미국의 원유생산은 2018년 12월 11,963천b/d, 2019년 12월 12,813천b/d, 2020년

4월 12,061천b/d를 기록함.

ㆍ 미국의 주간 원유생산 추정치는 2020년 6월 마지막 주에 11,000천b/d로 2019년

12월 마지막 주의 12,900천b/d에 비해 1,900천b/d 감소함.

- 미국의 셰일오일 업체들은, 2019년에 시추 활동이 감소하는 가운데 주로

미완결유정(DUC; drilled but uncompleted wells)의 완결을 통한 생산에 주력하였으나,

2020년 들어서는 시추 활동과 생산이 모두 급격히 감소하고 DUC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ㆍ 미국의 DUC 수는 2018년 12월 8,055개에서 2019년 12월 7,537개로 감소

하였으나, 2020년 6월에는 7,659개로 증가함(EIA).

Page 53: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47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주: EIA(www.eia.gov)와 Baker Hughes(www.bakerhughes.com)

(단위: 기)

구분 이글포드 퍼미안 윌리스톤(바켄) 기타 미국 전체

2018년 12월 71 486 56 272 885

2019년 6월 64 441 55 233 793

2019년 7월 57 443 47 229 776

2019년 8월 58 429 51 204 742

2019년 9월 56 414 53 190 713

2019년 10월 55 417 53 171 696

2019년 11월 54 404 51 159 668

2019년 12월(A) 64 405 52 156 677

2020년 1월 68 406 53 148 675

2020년 2월 65 411 53 149 678

2020년 3월 60 382 49 133 624

2020년 4월 33 246 27 72 378

2020년 5월 21 148 12 41 222

2020년 6월(B) 10 131 10 37 188

증가율(B/A)(%) -84.4 -67.7 -80.8 -76.3 -72.2

주: 매월 마지막 주 기준

자료: Baker Hughes(www.bakerhughes.com)

미국의 원유생산과 시추리그 수

그림 10

미국 주요 셰일오일 유전지대의 시추리그 수 변동

표 19

Page 54: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48

- 미국의 원유생산 증가는 셰일오일 유전지대들에서 손익분기가격이 가장 낮은

곳으로 알려진 퍼미안 지역이 주도하고 있음(<표 20> 참조).

(단위: 천b/d)

구분 2017년 6월 2018년 6월2019년

6월(A)

2020년

6월(B)증감(B-A)

이글포드 1,325 1,364 1,393 1,201 -192

퍼미안 2,405 3,277 4,171 4,270 99

바켄 1,033 1,266 1,428 1,003 -425

7개 셰일지대 5,348 7,198 8,450 7,725 -725

자료: EIA, Drilling Productivity Report, June 2017, June 2018, June 2019, June 2020.

(지정학적 리스크) 2019년 상반기 중 리비아의 정세불안에 따른 생산 차질, 2019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미국의 대이란 원유수출 제재와 양국 간 갈등 등은

유가의 추가 하락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함.

- 리비아 동부 군벌인 리비아국민군(LNA)이 1월 18일 리비아의 주요 수출항과

송유관을 봉쇄함에 따라 리비아의 원유생산이 급격히 감소함.

ㆍ LNA는 2019년 4월 이후 리비아통합정부(GNA)의 석유수입을 차지하기 위해 리비아

중앙은행이 위치한 트리폴리 장악을 시도해 왔음.

ㆍ 리비아 원유생산은 2019년 12월 114만b/d에서 2020년 2월 13만b/d, 2020년 6월

10만b/d로 감소함(IEA).

※ 리비아 국영석유회사(NOC)는 6월 7일 Sharara 유전(생산능력 30만b/d)의 생산이

6월 6일 재개되었다고 발표하였으나, 이틀 후인 6월 9일 무장 세력의 방해로

다시 동 유전으로부터의 수출에 대한 불가항력을 선언함(Reuters, 6.8, 6.10).

- 미군이 이란혁명수비대(IRGC)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함.

미국 셰일오일 유전지대의 원유생산

표 20

Page 55: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49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ㆍ 2020년 1월 1일 이라크의 친이란 시아파 시위대 수천 명이 바그다드 소재 미국

대사관을 공격하는 사태가 발생하였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태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하고 바그다드 대사관에 해병대 병력의 추가 배치를 명령함.

ㆍ 1월 3일 미군은 이란혁명수비대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바그다드 공항 인근에서 드론

공격으로 살해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에 대한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밝힘.

※ 이란은 미국의 솔레이마니 살해에 대한 보복으로 이라크 소재 미군기지에

미사일 공격을 하였으나 사상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짐(The Guardian, January

8, 2020).

ㆍ 1월 8일 미국이 이란에 대한 무력 사용을 자제하고 경제적 제재 조치를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함에 따라 군사적 충돌은 이어지지 않음.

- 이란의 지원을 받는 예멘 후티(Houthi) 반군이 6월 22일 사우디의 수도 리야드와

남부 2개 도시에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시도하였으나, 사우디의 요격으로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짐(EI, 6.24).

※ 예멘 내전에서 사우디는 이슬람 수니파인 Abed Rabbu Mansour Hadi 정부를

지원하고 있음.

- 미국과 중국은 2020년 1월 15일 최종적으로 1단계 무역 협상안에 서명함.

ㆍ 미국은 1,2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부과해온 관세를 15%에서 7.5%로

인하함(2월 14일).

ㆍ 중국은 4개 부문에서 향후 2년간 2천억 달러 상당의 상품을 구매하기로 하고,

75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10%였던 제품은 5%, 기존

5%였던 제품(원유 등)은 2.5%로 인하함(2월 14일).

(달러화 가치) 달러화 가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대폭적인 금리 인하와 양적완화 계획 발표 등에도 불구하고 보합세를 유지함에 따라

유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

Page 56: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50

- 미국 연준은 3월 3일 열린 공개시장위원회(FOMC) 긴급회의에서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방 기준금리를 1.0~1.25%로 0.5%p 인하한 데

이어, 3월 15일에는 기준금리를 0.0~0.25%로 1.0%p 더 인하함.

※ 연준이 기준금리를 0.5%p 이상 인하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

12월 이후 처음임.

-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미국은 3월 26일 상원에서 2조 2천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통과시켰고, 유럽연합(EU) 정상들은 7월 21일 7,500억 유로(8,59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 추진에 합의함.

ㆍ EU의 경기부양 기금은 경제적 피해가 큰 국가에 대한 보조금 3,900억 유로와

저리융자금 3,600억 유로로 구성됨(Reuters, 7.21).

- 유로화 대비 달러화 환율은 2019년 12월 평균 $1.1110/€에서 강보합세를 나타내며 2020년 상반기 평균 $1.1019/€을 기록함.

ㆍ 달러-유로 환율: $1.1112/€(1월) → $1.0910/€(2월) → $1.1072/€(3월) → $1.0870/€�(4월) → $1.0860/€(5월) → $1.1255/€(6월)

※ 달러 인덱스: 97.38(2019년 12월) → 98.84(2020년 3월) → 97.08(6월)

(투기성 자금) 원유 선물시장의 투기성 자금은 3월 초의 OPEC+ 공조 체제 붕괴와

석유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가 반등에 대한 기대 심리로 3월부터 6월까지 꾸준한

유입세를 보임([그림 11] 참조).

-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원유선물에 대한 헤지펀드 등 비상업(Non Commercial)

자금의 순매수 규모는 3월 3일 388천 계약에서 6월 28일 544천 계약으로 늘어남.

ㆍ 비상업(Non Commercial) 순매수 규모: 567.27천 계약(2020년 1월 7일) → 388.37천

계약(2020년 3월 3일) → 543.83천 계약(2020년 6월 30일)

Page 57: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51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주: 1계약=1천 배럴

자료: Nymex, CFTC

(1) 원유가격 영향 요인

(세계 경제) 세계 경제는 코로나19로 2020년에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이후 2021년에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나, 코로나19의 재확산, 미국·중국 간 긴장 고조, 금융

여건 악화 등 불확실성 요인이 상존함.

- 국제통화기금(IMF)은 2020년 7월 전망에서 코로나19에 따른 이동 제약과 교역

감소 등으로 2020년 성장률을 –4.9%로 전망하고, 2021년 성장률은 경제활동의

정상화와 더불어 +5.4%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함(<표 4> 참조).

- 선진국 경기는 2019년에 비해 크게 둔화되어 2020년 –8.0%, 2021년 +4.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ㆍ 미국의 성장률은 2019년 2.3%에서 2020년 –8.0%, 2021년 +4.5%로 선진국

그룹의 평균과 유사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NYMEX 원유선물의 비상업 순매수 및 유가

그림 11

2. 2020년 하반기 및 2021년 상반기 원유가격 전망

Page 58: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52

ㆍ 선진국 중 유로존 성장률은 2020년 -10.2%, 2021년 +6.0%로 되고, 일본의

성장률은 2020년 –5.8%, 2021년 +2.4%로 전망됨.

- 신흥국은 국가별 경제성장률이 큰 차이를 보일 것이나 전체적으로는 2020년

-3.0%, 2021년 +5.9%의 성장이 전망됨.

ㆍ 중국의 성장률은 2019년 6.1%에서 급격히 둔화되지만 인프라 투자 확대 등으로

2020년 +1.0%, 2021년 +8.2%의 성장이 예상됨.

ㆍ 인도의 성장률은 2019년 4.2%에서 2020년 -4.5%, 2021년 +6.0%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OPEC+ 감산 전략) OPEC+가 합의한 감산 목표(감산 거부한 멕시코 제외)는 2020년

7월 960만b/d, 2020년 8~12월 770만b/d, 2021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580만b/d임(<표 21> 참조).

- OPEC+의 감산 준수율은 향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석유수요

회복세가 예상보다 조기에 나타나고 유가가 상승할 경우 비OPEC 산유국인

러시아의 감산 준수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 Energy Intelligence는 러시아와 사우디의 2020년 경상수지균형을 위한 유가는

각각 $37/배럴, $64.80/배럴로 비교적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추정함(EI, June 12,

2020).

- OPEC+는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 하면서 기존의 감산 규모를 조정한 새로운

감산합의안을 마련할 가능성도 있음.

- 감산이 면제된 이란, 베네수엘라, 리비아 3국 중 리비아의 정세가 호전되고 2020년

하반기와 2021년 상반기에 리비아의 원유생산이 증가하여 감산 효과를 일부

상쇄할 가능성이 큼.

Page 59: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53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 b/d)

국별 기준생산1)5~6월

감산목표2)5~6월

생산목표

8~12월

감산목표

8~12월

생산목표

~2022.

4월

감산목표

~2022.

4월

생산목표

사우디아라비아 11.00 2.508 8.49 2.01 8.99 1.50 9.50

이라크 4.65 1.061 3.59 0.85 3.80 0.63 4.02

UAE 3.17 0.722 2.45 0.58 2.59 0.43 2.74

쿠웨이트 2.81 0.641 2.17 0.51 2.30 0.38 2.43

나이지리아 1.83 0.417 1.41 0.33 1.50 0.25 1.58

앙골라 1.53 0.348 1.18 0.28 1.25 0.21 1.32

알제리 1.06 0.241 0.82 0.20 0.86 0.15 0.91

콩고 0.33 0.074 0.25 0.06 0.27 0.05 0.28

가봉 0.19 0.043 0.14 0.04 0.15 0.03 0.16

적도기니 0.13 0.029 0.10 0.03 0.10 0.02 0.11

OPEC-10 합계 26.68 6.084 20.60 4.86 21.82 3.65 23.03

이란 3.32 - - - - - -

베네수엘라 1.27 - - - - - -

리비아 1.15 - - - - - -

OPEC 합계 32.42 - - - - - -

러시아 11.00 2.508 8.49 2.01 8.99 1.50 9.50

멕시코 1.73 0.100 1.63 0.08 1.65 0.08 1.65

카자흐스탄 1.71 0.390 1.32 0.31 1.40 0.23 1.48

오만 0.88 0.201 0.68 0.16 0.72 0.12 0.76

아제르바이잔 0.72 0.164 0.55 0.13 0.59 0.10 0.62

기타3) 1.11 0.253 0.85 0.21 0.90 0.15 0.96

비OPEC 합계 17.14 3.616 13.53 2.88 14.26 2.18 14.96

OPEC+ 합계 43.83 9.700 34.13 7.76 36.07 5.84 37.99

주: 1) 기준생산은 2018년 10월 생산(쿠웨이트는 9월)

2) OPEC 회원국 중 이란, 베네수엘라, 리비아는 감산 국가에서 제외/ 2020년 7월 감산목표는 감산을 거부한 멕시코 0.100백만b/d를 제외한 9.600백만b/d

3) 바레인,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수단, 남수단

자료: IEA, Oil Market Report, April 2020, July 2020.

(석유수급 밸런스) 세계 석유수급은 2020년 하반기에 공급 과잉에서 공급 부족으로

전환되어 2021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2020년 상반기에 누적된

재고는 2021년 상반기가 지나도 해소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표 22> 참조).

OPEC+의 2020~22년 감산합의 내용

표 21

Page 60: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54

- 2020년 하반기에는 경제활동의 점진적인 정상화와 더불어 세계 석유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OPEC+의 감산 공조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약 4.9백만b/d의

초과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됨.

ㆍ 2020년 하반기 석유수요는 중국 등 아시아 신흥국 중심으로 회복세를 이끌 것으로

예상되는데, 수요 총량은 상반기보다 6.8백만b/d 높은 수준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5.6백만b/d 낮은 수준임.

※ 2020년 연간 석유수요는 전년 대비 8.2백만b/d 감소

ㆍ 2020년 하반기 비OPEC 공급은 러시아 등 감산 참여국들의 생산 감소와 더불어

미국을 비롯한 여타 산유국들의 생산 감소로 상반기에 비해 약 3.5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2020년 연간 비OPEC 공급은 전년 대비 3.3백만b/d 감소

ㆍ 2020년 하반기 대OPEC 원유수요는 29.5백만b/d로 2020년 6월 OPEC의 생산량인

22.2백만b/d보다는 7.3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2020년 연간 대OPEC 원유수요는 전년 대비 4.6백만b/d 감소

ㆍ 하반기 OPEC 공급은 8월 이후 감산 규모가 9.6백만b/d에서 7.7백만b/d로 축소되는

등의 이유로 상반기보다 2.8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2020년 연간 OPEC 공급은 전년 대비 3.9백만b/d 감소

ㆍ 2020년 하반기 세계 석유재고는 수요 초과 상태가 지속됨에 4.9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반기의 누적 재고를 해소하지 못하여, 2020년 연간으로는

1.5백만b/d 규모의 재고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 2021년 상반기에는 세계 석유수요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OPEC+의 감산 완화와 비OPEC 공급의 증가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초과 수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Page 61: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55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ㆍ 2021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는 코로나19의 영향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선진국들과

신흥국들에서 모두 급격한 증가세를 보임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8.7백만b/d의

증가가 예상됨.

ㆍ 2021년 상반기 비OPEC 공급은 2020년 4분기 이후의 증가세가 유지되겠지만

2020년 1분기까지 계속되었던 미국 셰일오일 생산 증가의 기저 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는 1.6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의 원유생산은, 2020년의 E&P 투자가 전년보다 4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Reuters, July 24, 2020) 시추리그 수도 사상 최저 수준으로 감소한

상태여서, 2021년 상반기 생산이 11.0백만b/d에 머물면서 전년 동기 대비

1.1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ㆍ 2021년 상반기 대OPEC 원유수요는 세계 석유수요의 빠른 회복과 OPEC+의 감산

체제 유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백만b/d 증가한 30.3백만b/d(NGL 제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ㆍ 2021년 상반기 OPEC 공급은 2021년 초부터 OPEC-10의 감산 규모가 약

1.2백만b/d 줄어들고 감산 면제국인 리비아의 생산도 증가하겠지만, 전년 상반기

공급에 비해서는 0.1백만b/d 증가에 그친 32.4백만b/d(NGL 제외 시 27.1백만b/d)로

예상됨.

ㆍ 2021년 상반기 중 세계 석유재고는 수요 초과로 2.3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2020년에 누적된 재고를 해소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됨.

Page 62: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56

(단위: 백만b/d)

구분2020년 2021년

1/4 2/4 3/4 4/4 연간 1/4 2/4 상반기

OECD 수요 45.4 38.0 44.4 45.7 43.4 46.0 46.0 46.0

비OECD 수요 48.6 44.9 49.8 50.5 48.5 50.8 51.4 51.1

세계 수요 94.0 82.9 94.2 96.2 91.8 96.8 97.4 97.1

비OPEC 공급 66.8 61.4 60.2 60.8 62.3 62.2 62.8 62.5

OPEC NGL 5.4 5.2 5.1 5.2 5.2 5.3 5.3 5.3

대OPEC 수요* 21.8 16.4 28.9 30.2 24.3 29.3 29.3 29.3

OPEC 공급(NGL포함) 33.6 30.8 29.1 30.5 31.0 31.8 32.9 32.4

세계 공급 100.4 92.2 89.4 91.3 93.3 93.9 95.7 94.8

재고 증감 6.4 9.3 -4.8 -4.9 1.5 -2.9 -1.7 -2.3

주: * 세계 수요에서 비OPEC 공급량과 OPEC NGL을 차감한 수치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기준안

(지정학적 리스크) 제재 부활에 따른 미국-이란 간 갈등, 베네수엘라의 정치·경제

위기, 사우디-이란 간 이슬람 종파 갈등은 단기적인 유가의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으나, 미국-중국 간 긴장 고조와 리비아 정세의 호전 등은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

- 2020년 6월 11일 리비아 내전 문제 해결을 위한 평화협상이 UN 주도로 재개됨에

따라 리비아 정세가 호전되고 원유생산도 일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

ㆍ 휴전이 성사되더라도 휴전 협정의 유지 여부와 손상된 석유시설 보수를 위해

요구되는 비용 등은 원유생산의 조속한 회복에 장애 요인이 될 수 있음.

- 2020년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국과 중국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세계 경기

침체의 우려가 커질 수 있음.

ㆍ 미국과 중국이 2020년 7월 22일과 24일에 각각 휴스턴 주재 중국 영사관과 청두

주재 미국 영사관의 폐쇄를 요구하며 본격화된 긴장이 미국 대선이 다가옴에 따라

더욱 고조될 가능성이 있음.

세계 석유수급 밸런스(기준유가 시나리오)

표 22

Page 63: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57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달러화 가치) 달러화 가치는 미국 연준(Fed)의 제로 금리 유지 및 양적완화 등으로

다소 상승(가치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나, 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로이터가 71개 기관(투자은행)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0년 12월과 2021년 6월의

유로화 대비 달러화 환율 전망치의 평균은 각각 $1.1347/€, $1.1480/€로 2020년 6월 평균 $1.1255/€보다 상승함(Reuters, August 3, 2020).

ㆍ 2020년 12월에 대한 전망의 최고치는 $1.2000/€, 최저치는 $1.0500/€이며, 2021년 6월에 대한 전망의 최고치는 $1.2200/€, 최저치는 $1.0200/€임.

(기후 여건) 미국 원유생산시설과 정제시설이 밀집된 멕시코 만의 허리케인 피해 여부

등도 유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임.

- 2020년 허리케인 시즌(6~11월)에 멕시코 만의 허리케인(풍속 74mph 이상)은

6~10개가 예상되고, 이중 3, 4, 5등급(풍속 111mph 이상)의 대형 허리케인은

3~6개가 예상되고 있음(NOAA, May 21, 2020).

※ 예년 평균으로 허리케인 발생은 6개, 3등급 이상은 3개

※ 멕시코 만 연안에는 미국 정제시설의 45%와 주요 수출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미국 총 원유생산의 15%에 해당하는 물량이 멕시코 만의 해상 유전에서

생산됨(Reuters, June 5, 2020).

(2) 시나리오별 원유가격 전망(두바이유 기준)

기준유가 시나리오에서 두바이유 가격은 2020년 하반기에 $39.25/배럴(연간

$39.91/배럴), 2021년 상반기에 $44.17/배럴로 전망됨(<표 23> 참조).

- 2020년 하반기 유가는 세계 석유수요가 회복되기 시작하고 OPEC+의 감산 체제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상승 추세를 보이겠지만 누적된 석유재고 부담으로

상반기($40.58/배럴)보다 약간 낮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Page 64: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58

ㆍ 코로나19에 의한 이동제한이 완화되고 미국-중국 간 긴장 등 지정학적 불안은 현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함.

ㆍ 주요 전제: 세계 경제성장률 –4.9%(연평균), 세계 석유수요 5.6백만b/d↓(전년

동기 대비), 비OPEC 공급 5.9백만b/d↓(전년 동기 대비), OPEC 원유생산(NGL 제외)

24.7백만b/d, 달러-유로 환율 $1.13/€

- 2021년 상반기 유가는 OPEC+의 감산 완화와 비OPEC 공급의 증가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세계 석유수요가 본격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2020년 평균 유가보다

$4~5/배럴 높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ㆍ 코로나19에 의한 이동제한이 현저히 완화되고 OPEC+가 당초 합의한 감산 규모(약

5.8백만b/d)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함.

ㆍ 주요 전제: 세계 경제성장률 5.4%(연평균), 세계 석유수요 8.7백만b/d↑(전년 동기

대비), 비OPEC 공급 1.6백만b/d↓(전년 동기 대비), OPEC 원유생산(NGL 제외)

27.1백만b/d, 달러-유로 환율 $1.15/€

(단위: $/배럴)

시나리오2020년 2021년

1/4(실적) 2/4(실적) 3/4 4/4 연간 1/4 2/4 상반기

기준유가

50.42 30.73

38.23 40.27 39.91 43.27 45.06 44.17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단기유가전망모형에 의한 전망치(2020년 7월 전망)

고유가 시나리오에서 두바이유 가격은 2020년 하반기에 $42.44/배럴(연간

$41.51/배럴), 2021년 상반기에 $52.68/€배럴로 전망됨. .

- 세계 석유수요가 빠른 속도로 회복되고 OPEC+가 감산 목표를 준수하는 가운데,

리비아 원유생산은 2020년 6월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를 상정함.

시나리오별 원유가격 전망(두바이유 기준)

표 23

Page 65: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59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Ⅳ.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ㆍ2 020년 하반기에 기준안 대비 석유수요 0.8백만b/d 증가, OPEC과 비OPEC의

원유공급 1.6백만b/d 감소

ㆍ 2021년 상반기에 기준안 대비 석유수요 1.7백만b/d 증가, OPEC과 비OPEC의

원유공급 0.8백만b/d 감소, 달러-유로 환율 5% 상승(평가절하)

저유가 시나리오에서 두바이유 가격은 2020년 하반기에 $33.84/배럴(연간

$37.21/€배럴), 2021년 상반기에 $33.17/€배럴로 전망됨.

- 세계 석유수요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OPEC+ 감산 준수율이 낮아지고 리비아

원유생산이 증가하는 경우를 상정함.

ㆍ 2020년 하반기에 기준안 대비 석유수요 1.0백만b/d 감소, OPEC과 비OPEC의

원유공급 3.1백만b/d 증가

ㆍ 2021년 상반기에 기준안 대비 석유수요 0.5백만b/d 감소, OPEC과 비OPEC의

원유공급 1.0백만b/d 증가, 달러-유로 환율 5% 하락(평가절상)

(3) 해외 기관의 원유가격 전망

주요 기관의 유가 전망은 브렌트유 기준으로 2020년 하반기에 $39~42/배럴,

2021년 상반기에 $42~48/배럴의 범위에 있음.

- 2021년 상반기 가격은 EIA가 $47.54/배럴로 상대적으로 높게 전망하였고, EIU는

이보다 약 $5/배럴 낮은 $42.50/배럴로 전망함.

(단위: $/배럴)

전망기관* 기준유종2020년 2021년

3/4 4/4 연간 1/4 2/4 상반기

EIA(’20.7.7)브렌트 40.00 43.00 40.50 46.07 49.00 47.54

WTI 37.84 39.50 37.55 42.07 45.00 43.54

IHS Energy(’20.7.17)브렌트 40.30 42.00 40.48 44.50 47.10 45.80

WTI 38.20 40.70 38.13 43.40 45.80 44.60

EIU(’20.7)브렌트 38.00 40.00 40.01 40.00 45.00 42.50

WTI 32.23 34.29 34.91 34.77 38.66 36.72

주: * ( )안은 전망 시점, EIA;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U;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해외 주요 기관의 원유가격 전망

표 24

Page 66: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60

로이터가 40개 기관(업체)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0년 하반기와 2021년 상반기

브렌트유 가격전망치의 평균은 각각 $42.21/배럴, $47.52/배럴로 나타남(Thomson

Reuters, July 31, 2020).

- 2020년 하반기와 2021년 상반기의 최고가격은 각각 OCBC가 전망한 $46.5/배럴과

BNP Paribas가 전망한 $57.5/배럴임.

- 2020년 하반기와 2021년 상반기의 최저가격은 각각 Nomisma Energia의

$38.3/배럴과 Standard Chartered의 $41.0/배럴임.

Page 67: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61 ┃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참고문헌┃

참고문헌

EI(Energy Intelligence), Oil Daily, 2020.

EI(Energy Intelligence), Oil Market Intelligence, April 2020, July 2020.

EI(Energy Intelligence), Petroleum Intelligence Weekly, 2020.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Drilling Productivity Report, June 2017, June 2018, June 2019, June 2020.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Short-Term Energy Outlook, July 2020.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World Commodity Forecast, July 2020.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Oil Market Report, February 2020, March 2020, April 2020, May 2020, June 2020, July 2020.

IHS Energy, Global Crude Oil Markets Outlook for Oil Market Fundamentals, July 2020.

IHS Energy, Outlook for Global Oil Prices and Refining Margins, July 2020.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World Economic Outlook, June 2020. July 2020.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Monthly Oil Market Report, July 2020.

Thomson Reuters, Inside Oil, 2020.

Baker Hughes, http://www.bakerhughes.com/

CFTC(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http://www.cftc.gov/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http://www.eia.doe.gov/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Monthly Oil Data Service, http://mods.iea.org/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http://www.noaa.gov/

Platts, https://www.platts.com/

Thomson Reuters, http://thomsonreuters.com/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www.who.int/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망, http//www.petronet.co.kr/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www.ecos.bok.or.kr/

Page 68: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Page 69: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자료 20-02

2020년 7월 일 인쇄 ㅣ 2020년 7월 일 발행

저 자 조철근·이달석·오은주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44543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밀리: (052)714-2028

등 록 1992년 12월 7일 제7호

인 쇄 디자인 범신 (052)245-8737

2020 하반기

Page 70: 0831 [에경연] 2020하반기 국제 원유 내지 · 2021. 1. 18. · 고유가 39.74 45.13 41.51 50.27 55.10 52.68 저유가 32.92 34.76 37.21 33.05 33.30 33.17 주: 에너지경제연구원

| 조철근 이달석 오은주 |

ISSN 2383-9430

2020. 7

2020 하반기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2020 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연구자료 20-02

2020. 720

20

하반

기국

제 원

유 시

황과

유가

전망

연구

자료

20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