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111)170Ⅱ-2(2)OK 2011.11.25 4:21 AM 페이지86 mac01...

4
86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처용가’는 향찰로 기록된 신라의 향가로, 이후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궁중의 악곡으로 공연되었고, 무 용이나 민속의 형태로도 오랜 기간 전승된 작품이다. 향가로서의 특징과 주술성, 구비 전승 시의 성격 변화 등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선정 취지 향가는 중세 전기의 가장 대표적인 문학 갈래로 한자를 이용한 차자 표기 문학이다. ‘처용가’는 이러한 향가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향찰로 기록 된 문학과 한문 문학과의 다른 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제재로 선정되었 다. 이 작품에 대한 학습을 통해 배경 설화와 관련지어 이 작품을 해석하고, 축사(逐邪) 및 벽사진경( 邪進慶)의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게 것이다. 또 한 이 작품이 후대에 어떻게 전승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문학의 전승 과정 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작품 연구 •갈래: 8구체 향가 •연대: 신라 헌강왕(875~885) •표현: 대유법, 영탄법 •성격: 축사(逐邪)의 노래, 주술적 •주제: 아내를 범한 귀신을 쫓아냄. 아내의 부정을 체념함. •의의 - 벽사 진경(僻邪進慶: 간사한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함.)의 소박한 민속에서 형성된 무가(巫歌: 무속의 노래)이다. 무격 신앙과 관련하여 생각 할 때 처용은 제웅(역신을 쫓기 위하여 음력 정월에 동구 밖에 내던져 액을 면하게 한다는 볏짚 인형. 처용과 제웅은 발음 및 축사의 기능이 같으므로 처용을 곧 제웅이라고도 한다.)과 연결시킬 수 있다. - 의식무, 또는 연희의 성격을 띠고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까지 계속 전승 되었다. - 고려 속요에도‘처용가’가 있어 향가 해독(解讀)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구성 - 전절(1구~4구): 역신(疫神)의 침범 - 후절(5구~8구): 처용의 관용(체념) 핵심 정리 1. 작품 구조도 2. 처용가에 나타나는 주술성(呪術性) 노래와 더불어 춤을 추어 역신(疫神)을 쫓아냈다는 점, 처용의 화상(畵像)이 역신을 물리치는 기능을 한다는 점, 처용의 이야기가 처용희(處容戱)나 처용 무(處容舞)로 전승되어 잡귀를 쫓기 위한 의식인 나례(儺禮)로 연희되었다는 점 등으로 보아 애초부터 어느 정도 주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노래라고 볼 수 있다. 3. 향가‘처용가’와 고려가요‘처용가’의비교 향가‘처용가’는 고려 가요‘처용가’로 계승되는데, 고려 가요인‘처용가’도 처용이 역신을 몰아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처용의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고, 역신에 대한 분노가 절실하게 나타나 있는 점이 향가‘처용 가’와 다르다. 후에 춤과 노래가 질병을 몰아내는 주술적 양식으로 바뀌었는 데, 이러한 변모는 향가‘처용가’가 역신을 물리치는 주술적 효력을 발휘하 자, 무당들이 굿에 적합하도록 고쳤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처용 역신 대립 화해 남의 아내를 빼앗음. 감복해서 물러남. 아내를 빼앗김. 관용

Transcript of (080~111)170Ⅱ-2(2)OK 2011.11.25 4:21 AM 페이지86 mac01...

Page 1: (080~111)170Ⅱ-2(2)OK 2011.11.25 4:21 AM 페이지86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미륵좌주(彌勒座主) 미륵보살. 나립(羅立)

8 6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처용가’는 향찰로기록된신라의향가로, 이후 고려시대와조선시대에궁중의악곡으로공연되었고, 무

용이나 민속의 형태로도 오랜 기간 전승된 작품이다. 향가로서의 특징과 주술성, 구비 전승 시의 성격 변화

등에주목하여작품을감상해보자.

작품선정취지

향가는 중세 전기의 가장 대표적인 문학 갈래로 한자를 이용한 차자 표기

문학이다. ‘처용가’는 이러한 향가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향찰로 기록

된 문학과 한문 문학과의 다른 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제재로 선정되었

다. 이 작품에 대한 학습을 통해 배경 설화와 관련지어 이 작품을 해석하고,

축사(逐邪) 및 벽사진경( 邪進慶)의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또

한 이 작품이 후대에 어떻게 전승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문학의 전승과정

에대한이해를높일수있을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8구체 향가

•연대: 신라 헌강왕(875~885)

•표현: 대유법, 영탄법

•성격: 축사(逐邪)의 노래, 주술적

•주제: 아내를범한귀신을쫓아냄. 아내의부정을체념함.

•의의

- 벽사 진경(僻邪進慶: 간사한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함.)의 소박한

민속에서 형성된 무가(巫歌: 무속의 노래)이다. 무격 신앙과 관련하여 생각

할 때 처용은 제웅(역신을 쫓기 위하여 음력 정월에 동구 밖에 내던져 액을

면하게 한다는 볏짚 인형. 처용과 제웅은 발음 및 축사의 기능이 같으므로

처용을곧제웅이라고도한다.)과 연결시킬수있다.

- 의식무, 또는 연희의 성격을 띠고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까지 계속 전승

되었다.

- 고려 속요에도‘처용가’가있어향가해독(解讀)의 계기를마련해주었다.

•구성

- 전절(1구~4구): 역신(疫神)의 침범

- 후절(5구~8구): 처용의관용(체념)

핵심정리

1. 작품구조도

2. 처용가에나타나는주술성(呪術性)

노래와더불어춤을추어역신(疫神)을 쫓아냈다는점, 처용의 화상(畵像)이

역신을 물리치는 기능을 한다는 점, 처용의 이야기가 처용희(處容戱)나 처용

무(處容舞)로 전승되어 잡귀를 쫓기 위한 의식인 나례(儺禮)로 연희되었다는

점 등으로 보아 애초부터 어느 정도 주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노래라고

볼수있다.

3. 향가‘처용가’와고려가요‘처용가’의비교

향가‘처용가’는 고려 가요‘처용가’로 계승되는데, 고려 가요인‘처용가’도

처용이 역신을 몰아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처용의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고, 역신에 대한 분노가 절실하게 나타나 있는 점이 향가‘처용

가’와 다르다. 후에 춤과 노래가 질병을 몰아내는 주술적 양식으로 바뀌었는

데, 이러한 변모는 향가‘처용가’가 역신을 물리치는 주술적 효력을 발휘하

자, 무당들이굿에적합하도록고쳤기때문이라고추측하고있다.

처용 역신

대립

화해

남의아내를빼앗음.

감복해서물러남.

아내를빼앗김.

관용

(080~111)170Ⅱ-2(2)OK 2011.11.25 4:21 AM 페이지86 mac01 T

Page 2: (080~111)170Ⅱ-2(2)OK 2011.11.25 4:21 AM 페이지86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미륵좌주(彌勒座主) 미륵보살. 나립(羅立)

서울 기■

라라 東京明期月良

밤 드리■

노니다가 夜入伊遊行如可

드러 자 보곤■

入良沙寢矣見昆

가로리■

네히러라. 脚烏伊四是良羅

두 른 내해엇고■

二 隱吾下於叱古

두 른 누기핸고. 二 隱誰支下焉古

본 내해다마■

本矣吾下是如馬於隱

아■

엇디 릿고■

. 奪叱良乙何如爲理古

“삼국유사(三國遺事)”

8 7[2] 중세 문학

■ 기 밝은.

■밤 드리 밤이 늦도록.

■자 보곤 잠자리를 보니.

■가로리 다리가.

■내해엇고 내 것이고.

■내해다마 내 것이었지만.

■아 빼앗긴 것을.

■엇디 릿고 어찌하리오.

이 작품은 신라 제49대 헌강왕 때 동해 용왕의 아들인 처용이 지었다는 8구체 향가로, 현전하는 향가의 마지막 작품이

다. 일반적으로 처용이라는 사람이 자신의 아내를 침범한 역신을 물러나게 하였다는 점에서 주술적 노래로 본다.

신라 제49대 헌강왕 때, 대왕이 개운포에 놀러 나갔는데 갑자기 짙은 구름과 안개가 끼어 사방을 분간하기 어려웠다.

괴이하게 여겨 물으니, 옆에 있던 일관(日官)이“이는 동해 용왕의 조화이므로 마땅히 용왕을 위하여 좋은 일을 하여 그

마음을 풀어 주셔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왕이 용왕을 위하여 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명하자, 곧 안개가 걷히고 구

름이 개었으므로 그곳을 개운포라고 이름 지었다. 동해 용왕이 기뻐하여 아들 일곱을 데리고 나타나 왕에게 사례하고는

아들을 하나 보내어 정사(政事)를 보좌하게 하였는데, 이름을 처용이라 하였다. 왕은 미녀를 골라 아내를 삼게 하고 급간

벼슬을 주어 머물게 하였다. 어느 날 밤 처용이 밖에 나갔다가 밤늦게 돌아와 보니 아내에게 역신이 침범해 있었다. 처

용은 그 광경을 보고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났다. 그러자 역신이 감복하여“내가 공의 아내를 흠모하여 지금 잘

못을 범하였는데, 오히려 노하지 않으시니 감격하여 아름답게 여기는 바입니다. 이후로는 맹세코 공의 그림만 보아도 그

집에는 들어가지 않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처용의 정체

“삼국유사”에는 처용이 동해 용왕의 일곱째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그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신라의 역사를 고려하여 상수리 제도에 따라 서라벌에 와 있던 지방 호족의 아들로 보는 견해가 있고, 처용탈의 눈과 코

가 크다는 특징을 고려하여 당시 신라와 교역하던 아랍인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또‘처용가’및 배경 설화에서 역신을

물리친 기능을 한 데 주목하여 능력이 뛰어난 무당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

들여다보기|‘처용가’의 배경 설화

01 처용가(處容歌) 처용(處容)

김완진(金完鎭) 옮김

역신의침범

처용의관용

맥락읽기 Q&A

① 이 시의 배경은? ⇡ 시간적 배

경: 밤, 공간적배경: 서울

②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을 알

수 있는 시구는? ⇡ 가로리 네히

러라(역신이아내를침범한상황)

③ 상황에 대한 태도로 보아 알

수 있는 화자의 인물됨은 어떠한

가? ⇡ 초극적 인물, 슬픔을 달관

하는경지에이른인물

④ 아내를 빼앗긴 역신에 대한 시

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는? ⇡ 체

념적, 관용적

현대어풀이

서울밝은달밤에

밤늦도록놀고지내다가

들어와잠자리를보니

다리가넷이로구나.

둘은내것이지만(내 아내이지만)

둘은누구의것인고

본디내것이다마는(내 아내이지만)

빼앗긴것을어찌하리오.

갈래 정리_̀̀향가(ppt), 역신의 정체와 신라 처용가의 의미 고찰(황병

익)(hwp), 향가의기원성과소통방식(이동근)(hwp) 활용

공간적배경

신라의도읍지였던경주

이미 다른 사람의 여인이 되어 버린 상황에 대한

체념으로 보기도 하며, 자신의 아내까지도 대상에

게바치는관용으로해석하기도한다.

사건의 정황(역신

과 아내의 동침 모

습을 표현함). 대유

법, 영탄법

시간적배경

내아내의다리

역신의다리

동침대상에대한의

문제기를통해상황

에대한화자의인식

이드러냄.

참고|향찰표기의특징

향찰은 한자의 음과 의미를 빌려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까지도 전면적으로 기록하는 표기 체계이다. 향찰 표기는 한자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한문과는 전혀 다를

뿐더러 한문을 읽듯이 의미만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절묘하게 이용하여 우리말 문장을 소리 나는 그대로 적어 둔 것이기 때문이다.

향찰은한자를빌려쓸수밖에없었던상황에서우리의선조들이고안해낸가장정밀하고도종합적인표기체계라할수있다.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87 mac01 T

Page 3: (080~111)170Ⅱ-2(2)OK 2011.11.25 4:21 AM 페이지86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미륵좌주(彌勒座主) 미륵보살. 나립(羅立)

2 ‘처용가’의 향가로서의 특징을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작품은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차자 표기(借字表記)인‘향찰(鄕

札)’로기록되어있다. 향찰로기록한문학이한문문학과다른점을말해보자.

(2) 향가는 행의 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형식을 가진 시가이다. 다음의 작품들을 참

고하여, ‘처용가’의형식적특징에대해알아보자.

깊게이해하기

(가)

오늘 이에 산화(散花) 불러

솟아나게 한 꽃아 너는,

곧은 마음의 명(命)에 부리워져,

미륵좌주(彌勒座主)■

뫼셔 나립(羅立)■

하라.

- 월명사, ‘도솔가(兜率歌)’

(나)

생사(生死) 길은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彌陀刹)■

에서 만날 나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 월명사, ‘제망매가(祭亡妹歌)’

■미륵좌주(彌勒座主) 미륵보살. ■나립(羅立) 벌여 늘어섬. ■미타찰(彌陀刹) 불교도들의 이상향인 극락.

8 8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1 ‘처용가’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작품에나타난처용의인물됨은어떠한지말해보자.

(2) 이 작품의배경설화를고려하여이노래가어떤기능을가지고있는지말해보자.

다가서기

예시 답|자신의 아내를 범한 역신(疫神)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처용은 일상인의 생각과 감정

을뛰어넘는초극적인인물(또는슬픔을극복하는달관의경지에오른사람)이라할수있다.

예시답|처용의너그러운태도에역신이감복하여자신의정체를밝히고물러간점으로보아‘처용가’는축사(逐邪:

귀신이나 사악한 기운을 물리쳐 내쫓음.) 및 벽사 진경( 邪進慶: 사악한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아들임.)의 노래

로, 주술적(呪術的) 기능을가지고있다.

예시 답|향찰은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빌어서 우리말의 문장 전체를 그대로 적던 방법으로, 한문 자체의 문법에

구애 받지 않은 반면 한문 문학은 한문 자체의 창작 규범에 따라 이루어지며, 우리말을 중국말인 한문의 형식으로

표현한것이다.

예시 답|2-(2) 향가는

행의 수에 따라 4구체, 8

구체, 10구체로 나뉘는데

‘도솔가’는 4구체 향가이

며‘제망매가’는 10구체

향가이다. 4구체 향가는

민요의 형식을 이어받은

것으로보이며 10구체 향

가는 민요의 형식을 벗어

나 정형적 서정시로서의

형식미를 갖추었다고 할

수있다.

‘처용가’는 8구체 향가로

서 8구체 향가는 4구체

향가가 형식적으로 발전

하여 배수인 8구체를 이

룬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4구를 하나의 연으로

하여두연이이어진연장

체 형식의 4구 2연 형태

라고볼수있는것이다.

이끌기|1-(2) 처용의 너

그러운 태도에 역신이 감

복하여 자신의 정체를 밝

히고 물러간 점과 관련하

여 이 노래의 기능을 생

각해보도록지도한다.

참고|‘도솔가’의 배경

설화

경덕왕 19년 경자 4월

초하룻날에 해가 둘이 떠

서 10여 일간 없어지지

않았다. 일관은“인연 있

는 스님을 청하여 산화공

덕을 지으면 예방이 되리

라.”하였다. 이에 조원전

에 단을 깨끗이 모시고

청양루에 행차하여 인연

있는 스님을 기다렸다.

그때 마침 월명사가 천백

사의 남쪽 길로 지나가므

로 왕이 사람을 시켜 불

러들여 단을 열고 계청을

지으라고 명했다. 월명사

는“저는 다만 국선의 무

리에 속하여 오직 향가만

알고 범패 소리에는 익숙

하지 못합니다.”하였다.

왕은“이미 인연 있는 스

님으로 정하였으니 향가

를 지어도 좋다.”고 하였

다. 월명이이에‘도솔가’

를지어불렀다.

참고|‘제망매가’의배경설화

기록에 따르면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비는 노래로, 작가가 재(齋)를 올리며 이 노래를 지어 불렀더니 홀연히

바람이 불어 지전(紙錢)을 날려 서쪽(서방 극락세계 방향)으로 사라졌다고 한다. 이 지전은 죽은 자에게 주는

노자(路資)로 지금도 장송(葬送) 때 볼 수 있는 것이며 꼭 불교 의식에서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죽은 뒤의 세

계라고하여현세와다를것이없다고생각한데서나온의식이다.

•형식: 4구체

•성격: 주술적, 불교적

•주제: 산화공덕(散花功德)

•특징: 나라를 편안하게 하자는 뜻에서

부른노래임.

•형식: 10구체

•성격: 서정적, 애상적, 추모적, 종교적

•주제: 죽은 누이의명복을빌고추모함.

•내용: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빌면서 극락

세계에서왕생(往生)하기를염원함.

•사상적배경: 불교적윤회사상

•의의

- 숭고한 불교적 신앙심이 나타나 있는

노래

- ‘찬기파랑가’와 함께 향가 중에서 표현

기교와서정성이가장뛰어난작품

- 뛰어난 문학적 비유를 통해 인간의 고

통을종교적으로승화시킴.

죽은누이에대한안타까움

인생에대한무상감

불교에의귀의를통한극북

죽은누이

한부모

누이의요절을가리킴.

죽음앞에인간으로느끼는한계를드러냄.

감탄사

작품정리(ppt), 학습 활동예시답안(ppt) 활용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88 mac01 T

Page 4: (080~111)170Ⅱ-2(2)OK 2011.11.25 4:21 AM 페이지86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B%B3%84/%… · 미륵좌주(彌勒座主) 미륵보살. 나립(羅立)

8 9[2] 중세 문학

3 다음은 고려 시대에 궁중에서 공연되던‘처용가’의 일부이다. 제시된 부분을 읽어보고

처용의 성격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말해 보자.

■향가‘처용가’:

■고려시대‘처용가’:

4 ‘처용가’의 배경 설화를 참고하여, 처용이 역신을 꾸짖는 노래를 써 보자.

넓게생각하기

신라 서울 밝은 달밤에 새도록 놀다가

돌아와 내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아아, 둘은 내 것이거니와 둘은 누구의 것인가?

이런 때에 처용 아비 곧 보시면

열병신(熱病神)■

따위야 횟(膾)감이로다.

천금(千金)을 줄까? 처용 아비여,

칠보(七寶)를 줄까? 처용 아비여,

천금도 칠보도 다 말고

열병신을 나에게 잡아다 주소서.

- “악학궤범(樂學軌範)”

■열병신(熱病神) 열병을 일으키는 귀신.

조건 •‘처용가’의 8구체 향가 형식을 따를 것.

•마지막 8구의‘~엇디 릿고’에 화자의 태도를 담아 표현할 것.

예시답|

•갈래: 고려 속요

•주제: 역신을 몰아내는 처용의 위용과

기상

고려속요‘처용가’

처용의 모습과 역신에 대한 것이 자세

히 곁들여 있고, 역신에 대한 분노가 고조

되어있는비교적장형(長形)의 노래이다.

고려 속요‘처용가’는 향가‘처용가’와

마찬가지로 처용이 역신을 몰아내는 축사

의 내용을 지닌 일종의 무가로 처용의 모

습이 자세히 묘사되고, 역신에 대한 처용

의 분노가 절실하게 나타나 있어서 희곡

적 분위기가 강하다. 향가‘처용가’의 일

부분이 들어 있으며, 처용희의 일부로서

가창되었다.

역신(疫神)에 대한분노를직접적으로드러냄.

역신(疫神)에 대한분노를직접적으로드러냄.

처용이역신에대한분노를그대로표출하고있다.

처용은아내를범한역신에대해체념적·관용적태도를보이고있다.

예시답|서울밝은달아래

밤늦게노니다가

집에들어와보니

가랑이가넷이로구나

둘은내것인데

둘은누구것인가

제것아닌것을탐을냈으니

칼로절단한들엇디 릿고

이끌기|고려‘처용가’의

‘열병신(熱病神) 따위야

횟(膾)감이로다.’, ‘열병신

을 나에게 잡아다 주소

서.’등의 표현을 살펴보

며 역신(疫神)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를 생각해 보

도록유도한다.

문제은행(쪽지시험, 형성평가) 활용

(080~111)170Ⅱ-2(2)OK 2011.11.25 4:22 AM 페이지89 mac01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