Ó X ¹ ÿ ; ¯ ì X 2X À à 2 ßx : ® ³image.kookmin.ac.kr/thesis/2002/212752.pdf$ R ³ ¤ 5 ý...

53
석사학위논문 배드민턴 클리어와 드롭 동작에 관한 운동학적 비교 분석 (A Kinematic Analysis on Clear & Drop Motion of Badminton)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2001

Transcript of Ó X ¹ ÿ ; ¯ ì X 2X À à 2 ßx : ® ³image.kookmin.ac.kr/thesis/2002/212752.pdf$ R ³ ¤ 5 ý...

석사학위논문

배드민턴 클리어와 드롭 동작에 관한

운동학적 비교 분석

(A Kinematic Analysis on Clear & Drop Motion of Badminton)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김 혁

2001

배드민턴 클리어와 드롭 동작에 관한

운동학적 비교 분석

(A Kinematic Analysis on Clear & Drop Motion of Badminton)

지도교수 박성순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2001년 12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김 혁

2001

김 혁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1년 12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심사위원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제한점 ······································································································4

4.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동작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 ··············································································6

2. 경기내용과 기술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10

Ⅲ. 연구방법 ···········································································································14

1. 연구대상자 ··········································································································14

2. 실험 및 분석 장비 ····························································································14

3. 실험 과정 ············································································································17

4. 자료 처리 방법 ··································································································20

Ⅳ. 연구결과 ···········································································································23

1. 국면별 소요시간 ·································································································23

2. 신체중심의 변위 ································································································24

3. 속도 변인 ············································································································28

- I -

1) 라켓헤드의 속도 ····························································································28

2) 신체중심의 수직 속도 ··················································································30

3. 각도 변인 ············································································································32

1) 손목 각도 ········································································································32

2) 팔꿈치 각도 ····································································································34

3) 어깨 각도 ········································································································36

4) 상체 전경 각도 ······························································································37

5) 임팩트 순간 라켓헤드의 각도 ···································································38

Ⅴ. 결론 및 제언 ·································································································39

참고문헌 ····················································································································41

ABSTRACT ··········································································································45

- II -

표 목 차

표Ⅱ-1. 타구별 동작시간 ··························································································10

표Ⅱ-2. 기술별 두 선수의 타점높이 ······································································11

표Ⅱ-3. 기술빈도 ········································································································12

표Ⅱ-4. 특정 타구에 대한 반구 유형 ····································································13

표Ⅲ-1. 연구 대상자의 특징 ····················································································14

표Ⅲ-2. 실험 및 분석장비 ························································································15

표Ⅳ-1. 국면별 소요시간 ························································································23

표Ⅳ-2. 신체중심의 변위 ··························································································25

표Ⅳ-3. 신체중심의 Z변위 ·······················································································27

표Ⅳ-4. 클리어와 드롭시 라켓헤드의 속도 ··························································28

표Ⅳ-5. 클리어와 드롭시 신체중심의 수직 속도 ···············································30

표Ⅳ-6. 클리어와 드롭시 손목의 각도 ··································································33

표Ⅳ-7. 클리어와 드롭시 팔꿈치의 각도 ······························································34

표Ⅳ-8. 클리어와 드롭시 어깨의 각도 ··································································36

표Ⅳ-9. 클리어와 드롭시 상체의 전경 각도 ························································38

표Ⅳ-10. 클리어와 드롭시 라켓헤드의 각도 ························································38

- III -

그 림 목 차

그림Ⅲ-1. 실험 장비의 배치도 ················································································18

그림Ⅲ-2. 동작의 이벤트 구분 ················································································19

그림Ⅲ-3. 인체관절 중심점의 좌표화 순서 ··························································21

그림Ⅳ-1. 클리어시 신체중심의 수직변위 ····························································26

그림Ⅳ-2. 드롭시 신체중심의 수직변위 ································································26

그림Ⅳ-3. 클리어시 라켓헤드의 속도 ····································································29

그림Ⅳ-4. 드롭시 라켓헤드의 속도 ········································································29

그림Ⅳ-5. 클리어시 신체중심의 수직속도 ····························································31

그림Ⅳ-6. 드롭시 신체중심의 수직속도 ································································32

그림Ⅳ-7. 클리어시 손목의 각도 ············································································33

그림Ⅳ-8. 드롭시 손목의 각도 ················································································34

그림Ⅳ-9. 클리어시 팔꿈치의 각도 ······································································35

그림Ⅳ-10. 드롭시 팔꿈치의 각도 ··········································································35

그림Ⅳ-11. 클리어시 어깨의 각도 ··········································································37

그림Ⅳ-12. 드롭시 어깨의 각도 ··············································································37

- IV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배드민턴 경기는 공기의 저항과 기후, 온도, 습도에 따라 수많은 변화를 받는 새

의 깃털로 특수하게 만들어진 셔틀콕을 사용하는 경기로서(노희덕外, 1998) 속도가

매우 다양하게 변화하고 방향도 갑작스럽게 변화하기 때문에 경기중 달리기, 도약,

몸의 회전 및 굴곡과 신전 등이 요구되며 또한 민첩성, 순발력, 지구력 등의 전문적

인 체력이 필요하다(이상경, 1992). 따라서,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고도의 기

술과 체력을 요구하는 격렬한 스포츠라고 말할 수 있다. 또, 배드민턴 경기는 바운

드 없이 상대편의 셔틀콕을 넘기는 경기이므로 테니스의 변화성과 탁구의 스피드한

점을 혼합, 가미한 경기로도 볼 수가 있다(김태운外, 1995).

스매시를 할 때 셔틀콕의 속도는 테니스 경기에서 가장 빠른 서브보다 훨씬 더

빠른 속력인 300km가 넘기도 한다(Adrian과 Cooper, 1995). 야구나 골프를 포함한

모든 구기종목에서 가장 빠른 속도이기도 하다. 배드민턴 경기의 재미는 이 셔틀콕

이 지니는 특성에 있는 것이다. 라켓으로 강하게 쳐낸 셔틀콕은 처음에는 맹렬한 스

피드이나, 조금 날아가면서 셔틀콕이 공기의 저항을 받게 되면서 스피드는 점점 줄

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치는 각도에 따라 스피드나 날아가는 코스에 여러 가지로 변

화를 줄 수가 있다. 재빠른 손목의 스냅 팔놀림 등으로 셔틀콕의 날아가는 코스에

변화를 주는 것이 배드민턴 경기의 특성이며, 어떤 구기종목보다도 다양한 스트로크

에 의한 스피드의 변화가 극심한 스포츠 경기이다.

배드민턴 경기에서는 다양한 스트로크에 의해 다양한 플라이트가 생긴다. 하이클

리어는 셔틀콕이 높이 오르고 상대방의 백 바운더리 라인에 거의 수직으로 낙하하

는 플라이트이며, 드롭은 네트에 닿을 것 같은 아슬아슬한 높이로 치고, 셔틀콕이

- 1 -

코트를 넘으면 급속히 상대측 코트의 전진에 떨어지는 플라이트이며, 스매시는 셔클

콕을 오버헤드 스트록으로, 높은 위치에서 상대방 코트를 향해 빠른 속도로 강타하

는 공격법이다. 드라이브는 네트 윗면의 아주 가까운 높이에서 수평을 유지하며 상

당한 스피드로 셔틀콕이 비행하는 상태를 말한다. 헤어핀은 네트를 사이에 두고 아

래쪽에서 가볍게 넘긴 셔틀콕이 상대방 네트의 밑에 수직으로 떨어지게 하는 플라

이트이다(김태운外, 1995).

특히, 배드민턴 스트로크 중 하이클리어는 배드민턴의 스트로크 중에서 가장 기본

적인 것으로 셔틀콕을 상대방 코트의 엔드 라인 근처까지 날아가도록 치는 타법으

로 셔틀콕을 보다 멀리, 높게 타구하여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셔틀콕의 비행 시간이

길어 수비를 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노희덕外, 1998).

클리어 시에는 셔틀콕을 최대한 높이, 멀리 쳐서 셔틀콕이 공중에 떠 있는 시간을

최대화시키고, 엔드 라인 바로 전에 떨어지도록 한다. 반면 드롭은 상대방 코트의

네트 가까이에 셔틀콕을 떨어뜨리는 스트로크이다. 이렇게 가장 멀리 보내는 스트로

크와 가장 짧게 보내는 스트로크는 언뜻 유사성이 없어 보이지만 실제 경기 상황에

서는 유사한 폼으로 동작이 수행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플라이트를 중심으로한 경기 내용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김효성(1990)은 90년 세계선수권대회에 참가한 한국대표선수들의 경기 내용을 분석

하 는데 기술별 총 시도수는 다음과 같이 드롭(16.2%), 하이클리어(12.3%), 스매시

(10.4%), 언더클리어(9.7%)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신대건(1994)은 1992년 Yonex

코리아 오픈 배드민턴 선수권대회의 남자단식 경기의 준결승 및 결승경기의 내용을

분석하 는데 시도수를 살펴보면 언더클리어(16.9%), 헤어핀(14.9%), 드롭(11.4%)등

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 분석은 남·여 경기냐, 단식 경기냐, 복식 경기냐,

아니면 혼합복식 경기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발표된 배드민턴에 관한 다른 논문들을 살펴보면 플라이트에 변화를 주

는 스트로크의 동작 분석에 관한 논문은 주로 스매시(황경숙, 1981 ; 안상우, 1990 ;

- 2 -

한상민, 1998 ; 최성진, 1999)에 관한 논문만이 있는 실정이다. 이외에 배드민턴의

기술과 관련된 역학적 연구는 서브 동작에 관한 연구(이상경, 1993), 기술 동작분석

(박순복, 1986)등이 있다. 이외에 다른 논문들을 살펴보면 기술분석(김병식, 1984 ;

이재복, 1985 ; 김문수, 1991 ; 정명희, 1993 ; 김봉섭, 1994 ; 김지현, 2000)에 관한

논문, 심리와 관계된 논문(김주호, 1984 ; 양문석, 1986 ; 강병진, 1997 ; 김운백,

1999 ; 김양수, 2000), 체력에 관계된 논문(김기수, 1983 ; 소병광, 1989 ; 강신준,

1998 ; 박준병, 2000)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도 동호인과 관련된 논문(김용

진, 1996 ; 고지근, 1998 ; 이종완, 2000), 상해 요인에 관련된 논문(김 자, 1991 ;

임봉규, 1999 ; 이재연, 2000)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클리어와 드롭 동작은 실제로 배드민턴 경기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기본 스트로크이지만 이에 관한 동작분석에 관한 논문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3차원 상분석을 이용하여 클리어와 드롭의 운동학적 특성을 알아보려

는데 있다. 또한 이러한 기초 자료를 통하여 개인별 평균치와 표준 편차를 구하는

한편, 피험자간의 비교와 피험자 실험 횟수별 동작 경향을 비교 분석하여 드롭과 클

리어의 기술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여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상 분석을 이용하여 드롭과 클리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비

교하고 분석하여, 동작과 관련된 운동학적인 변수를 조사하고 각각의 특성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변인을 연구 목적으

로 설정하 다.

- 3 -

1) 각 국면별 스윙 소요시간, 신체 중심의 위치, 라켓 헤드의 속도, 신체 중심의

속도 변화를 분석하 다.

2) 어깨, 손목, 팔꿈치의 각도를 측정하여 클리어와 드롭 동작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3) 드롭과 클리어 동작의 임팩트시 각도를 살펴보았다.

3. 연구의 제한점

피험자는 고등학교 남자 우수선수 3명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둔다.

1) 본 실험에서 언급되는 클리어와 드롭은 타구 위치의 좌우에 따른 분류로 나눌

때 포핸드 스트로크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타구 위치의 높이에 따른 분류로

나눌 때 오버헤드 스트로크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 다.

2) 시합 상황이 아닌 연습상황에서 촬 하 다.

3) 라켓은 모델, 크기, 무게 및 줄의 장력을 통제하지 않았다.

4.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스트로크(stroke) : 코트 바닥으로 떨어지려는 셔틀을 받아치는 동작이나 타구

방법.

2) 포핸드 스트로크(forehand stroke) : 라켓을 쥐고 있는 쪽(오른손 잡이는 오른

쪽)으로 치는 경우.

3) 오버헤드 스트로크(overhead stroke) : 머리보다 높은 위치에서 타구를 포착하

여 치는 방법.

4) 사이드암 스트로크(sidearm stroke) : 어깨로부터 무릎 정도까지의 높이에서 셔

틀콕을 잡아 옆으로 치는 타법.

- 4 -

4) 플라이트(flight) : 셔틀콕의 날아가는 상태.

5) 임팩트(impact) : 라켓헤드가 볼과 접촉하는 시점.

6) 백 바운더리 라인(back boundary line) : 코트를 구획하는 후방의 흰 선. ‘엔드

라인’ 또는 ‘백 라인’이라고도 함.

- 5 -

Ⅱ. 이론적 배경

앞에서 언급한데로 배드민턴에 관한 논문들의 대부분은 경기내용이나 기술분석에 관

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동작분석에 관한 논문은 스매시와 서브에 관한 논문이

몇편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인은 앞서 발표된 동작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위주로 살

펴보고 기타 본 연구자의 연구에 도움이 되는 논문도 살펴보고자 한다.

1. 동작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

1) 스매시

스트로크의 기법은 선수가 네트 넘어 상대편 코오트의 지면으로 셔틀콕을 리턴하

여 경기에 승리할 수 있는 연속적이고 동시적인 운동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선

수가 스트로크의 기법을 실리적으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경기규칙을 터득해

야 하고 경기에서 물리적으로 일어나는 셔틀의 모양과 공중비행의 특징, 라켓의 디

자인과 무게, 환경의 기후적인 온도와 습도 등과 같은 조건을 파악하여 고려해야 한

다. 일반적으로 선수에 의해 사용되는 스트로크의 기법은 속도와 힘, 정확성과 유연

성이 뒤따라야 하며 급변하는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자율적인 동작을 형성하는데

있다(오성기, 1995)

스매시는 머리 위의 높은 위치에서 빠른 스피드로 상대방 코트로 셔틀콕을 때리

는 가장 공격적인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타점이 높고, 네트와 가까울수록 위력적인

스매시가 되는데, 강력한 스매시를 위해서는 체중의 이동, 높은 점프를 위한 강한

각근력, 적절한 타점 등이 요구된다(노희덕外, 1998). 스매시 동작에 있어서 해부학

적인 연구를 고찰해 보면, Gowitzke와 Waddell(1979)은 스매시할 때의 주된 힘은

어깨 관절에서 팔의 내측회전과 요골 척골 관절에서 전완의 회내에 의한 것이라 했

- 6 -

다. 또한 이 두 가지 운동이 타구되기 약 0.02초 전에 시작되어 접촉 후 0.01초까지

계속되며 동시에, 팔꿈치에서는 접촉 전에 수축에서 신전으로 바뀌는 동작이 일어난

다고 했다(천 진, 1998)

Hensely(1975)는 스매시에 대해 연구를 했는데, 수평면에서의 신체중심은 앞으로

움직이고, 수직운동은 위, 아래 패턴을 따른다고 했다. 또한, 가장 효과적인 스매시

는 신체중심이 최고점에 오르고 난 뒤 신체중심이 밑으로 내려가려고 할 때 이루어

지는 것이고, 라켓의 최대속도는 라켓이 최고지점에 이르러 밑으로 떨어지기 시작한

직후에 일어나며, 최대속도에 다다른 라켓은 최고지점 바로 아래에서 셔틀콕을 때리

게 된다고 했다. 이것은 속도와 궤적을 만드는 데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Cooper,

Adrian과 Glassow, 1982).

우리나라에서도 스매시의 동작분석에 관한 내용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황

경숙, 1981 ; 안상우, 1990 ; 한상민, 1998 ; 최성진, 1999).

안상우(1990)는 배드민턴 스매시 동작을 운동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16mm 카

메라 1대를 사용, 숙련자와 미숙련자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스매

시 동작시 라켓이 셔틀콕에 임팩트 되는 순간의 고관절각과 견괄절각은 숙련자가

미숙련자보다 크게 나타났는데, 그 차는 각각 남자가 13.1˚, 7.95˚, 여자가 19.95˚,

9.45˚로 나타났고, 라켓 속도도 숙련자가 미숙련자보다 빠르게 나타났다고 하 다.

따라서 좋은 스매시 동작을 위해서는 셔틀콕을 앞에서 처리하면서 허리의 힘을 이

용하여 체중을 실은 힘의 합성동작을 해야 한다고 제언하 다.

한상민(1998)도 스매시 동작을 숙련자집단과 미숙련자집단으로 분류해서 3차원

상분석을 통하여 상지분절 속도, 임팩트시의 속도, 임팩트시 상완과 전완과의 각도,

임팩트시 라켓헤드와 손목간의 각도, 상지분절의 각속도, 상지분절의 각가속도등을

분석하 다. 임팩트시 속도에서는 숙련자집단이 미숙련자집단에 비해 빠른 속도를

나타내며 좌·우, 상·하로의 움직임이 적었다고 하 고, 임팩트시 상완과 전완과의

각도, 라켓헤드와 손목간의 각도에서는 두 집단이 모두 신전되었으나 임팩트 직후

- 7 -

숙련자집단은 손목의 빠른 굴곡운동이 일어났다고 하 다. 또, 상지분절의 각속도에

서는 숙련자집단이 임팩트시에 최대속도를 나타낸 반면 미숙련자집단은 백스윙에서

최대속도를 보 고 임팩트시에는 감소되었고, 이동궤적에서는 숙련자집단이 미숙련

자집단에 비해 허리의 회전이 더 이루어졌고 임팩트시 타점의 위치는 숙련자집단이

머리 위 수직 전방이고 미숙련자 집단은 머리 위 수직 후방에서 이루어졌다고 하 다.

스매시 동작은 상지의 움직임이 주가 되어 타구해 보내고자 하는 장소를 향하여

셔틀콕이 최대속도로 스트레이트 코스로 날카롭게 낙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백 스

윙시에는 허리를 중심으로한 윗몸을 우측으로 외전시킴에 따라 견관절을 들어 올리

며 주관절을 굴곡하고 손목을 과신전하며 상지를 충분히 외전시켜서 포핸드 스윙시

의 거리를 길게 이동하여 최대의 거리를 최대속도로 스윙하여 셔틀콕의 속도를 빨

리 할 수 있게 한다. 포핸드 스윙에서는 상지 각 관절을 신전시켜 위로 올라가면서

회전반경을 길게하여 타점을 높이고 임팩트시의 셔틀콕의 비행속도를 크게 해야한

다. 이때 임팩트전까지 과신전되어 있던 손목은 강하게 굴곡시켜 셔틀콕의 비행속도

를 더해줄 수 있어야 한다. 팔로우 드루에서는 임팩트 후에 등허리를 약간 굴곡시키

면서 팔을 충분히 스윙한다. 이때 손목은 계속 강하게 굴곡시킨 후에 몸앞에서 라켓

을 정면으로 갖고 온다(박순복, 1986)

2) 서브

서브는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방어적인 요소가 강한 스트로크

이다. 강력한 공격 서브를 할 수 있는 테니스나 배구와는 달리 배드민턴의 서비스는

회전의 금지, 오버핸드(overhand), 오버웨이스트(overwaist)등 공격적인 요소는 거의

금지되고 있다. 이것은 공중 랠리이면서 더욱이 한 번에 반구해야만 하는 배드민턴

의 특성상 서버가 일방적으로 유리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노희덕外,

1998).

이상경(1992)은 3가지 롱 하이, 드라이브, 숏서브에 대한 동작을 인체관절과 궤적,

- 8 -

소요신간, 속도변화, 각도변화로 나누어 운동학적 변인에 관하여 분석을 하 다. 내

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체관절과 궤적에 관한 내용으로는 백 스윙 시에 움직 던 상완과 전완 및 라켓

헤드는 포핸드 스윙시 그 궤적대로 다시 움직이며 이러한 현상은 세 종류의 서브에

서 공통적이다. 관절과 라켓의 이동궤적은 롱 하이 서브와 다른 두 서브 사이에 차

이가 많다. 즉 롱 하이 서브의 포핸드 스윙시 어깨가 내려오지만 드라이브 서브와

숏 서브시에는 어깨가 올라간다. 팔꿈치와 손목 관절은 롱 하이 서브 시 위로 올라

가고 고정되는 반면 다른 서브에서는 그런 현상이 거의 없고 드라이브 서브와 숏

서브의 이동 궤적은 매우 유사하다. 관절이 움직이는 폭은 롱 하이, 드라이브, 숏 서

브 순으로 줄어든다.

동작의 소요 시간 가운데 백 스윙은 서브 유형별로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롱 하

이 서브가 가장 길고 숏 서브가 가장 짧다. 백 스윙 시간이 짧으면 후반부 포워드

스윙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다. 포핸드 스윙 시간은 드라이브 서브와 숏 서브 시에

남녀 간의 차이가 있다.

속도변화를 살펴보면 관절과 라켓의 속도 변화 양상이 포핸드 스윙 중반부까지

서브 종류에 관계없이 비슷하다. 롱 하이 서브와 숏 서브의 속도 변화 양상은 유사

하고 속도는 롱 하이 서브가 숏 서브의 약 2배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실시한 서브는 그 종류에 관계없이 팔꿈치 각도와 손목의 각

도가 일정한 형태로 변화한다.

서브에서 훌륭한 임팩트를 위한 1차적인 요건은 셔틀콕을 가진 왼팔의 높이, 백스

윙이 끝났을 때의 오른팔의 위치와 높이 등이 일정하게 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 서브를 할 경우 셔틀콕의 타점이 달라지고 스윙의 타이밍과 속도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효과적이고 안정된 서브를 구사할 수 없다.

좌우 양팔의 상대적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매우 쉽다. 손을 벌리고 선 자세

에서 셔틀콕을 자연스럽게 낙하시킨다. 이 때 팔을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여서는 안

- 9 -

된다. 그렇게 되면 셔틀콕과 라켓의 만나는 시간이 맞지 않아서 정확한 임팩트가 이

루어 질 수 없다.

2. 경기내용과 기술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천 진(1998)은 배드민턴 경기 중 셔틀콕의 움직임에 따른 선수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여 선수의 운동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여자 단식 경기중 세계랭킹 3

위 선수와 복식 60위 선수의 경기를 대상으로 하여 3차원 상분석을 실시하 다.

이 운동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두 선수의 동작시간, 이동거리, 이동경로,

타점위치, 이동가속도로 정하여 득권, 득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중 경기내용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표보고자 한다.

기술별 동작시간은 실점이나 실권하지 않고 셔틀콕이 왕복할 때의 체공시간을 의

미하며 <표Ⅱ-1>에 나타난 것과 같다. 여기서, H선수의 동작시간이라 함은 셔틀콕

이 L선수의 라켓에 맞을 때부터 자신의 라켓에 맞을 때까지의 동작시간이 H선수의

동작시간이다. 그러므로 H선수가 타구한 셔틀콕의 체공시간은 L선수의 동작시간이

된다. 동작시간이 길다는 것은 그만큼 수비나 공격을 준비할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

로 스매시와 같이 빠르게 올 때는 동작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표Ⅱ-1. 타구별 동작시간 (단위 : Sec)

H선수 L선수 t p

롱서브 1.91±0.08 1.83±0.05 3.690 0.002

드롭 1.01±0.08 0.98±0.06 0.667 0.514

클리어 1.08±0.08 1.07±0.10 0.233 0.818

언더드리븐클리어 1.06±0.26 1.13±0.10 -0.577 0.582

위의 기술 중 롱서브에서만 동작시간의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 10 -

연구에서 살펴보려는 드롭과 클리어에서는 1초 전후로 그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

았다.

타점위치는 라켓에 셔틀콕이 접촉될 때의 공간상의 위치를 나타내며, 어떤 지역을

공략했는지를 알 수 있고, 또한 그 때의 타점 높이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코

트위에서 본 타점위치와 코트 옆에서 본 타점위치로 나누어 분석하 다. <표Ⅱ-2>

은 코트 옆에서 본 타점위치를 통하여 두 선수의 타점높이를 비교한 것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나타내었다.

표Ⅱ-2. 기술별 두 선수의 타점높이 (단위 : cm)

H선수 L선수

롱서브 56.91±12.28 80.35±8.77

하이클리어 274.84±12.67 256.36±36.89

언더드리븐클리어 58.52±24.53 96.90±41.98

드롭 231.75±42.68 256.66±32.69

헤어핀 56.73±31.18 31.93±19.17

<표Ⅱ-2>에서 보는 바와 같이 H선수는 하이클리어의 타점 높이가 드롭보다

43.09cm 높고 L선수는 하이클리어와 드롭의 타점 높이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경기의 실제 상황에서 어떤 타점 높이에서 효과적인 스트로크가 나오느냐

는 것은 쉽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이지만 이론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서 스트로크가

행해져야 다양한 강도와 각도의 스트로크를 구사할 수 있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기에서는 L선수가 더 우수한 드롭의 경기능력을 보인다고 할 수 있겠

고, H선수는 헤어핀의 타점 높이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두 선수가 구사한 기술빈도를 분류하여 조사한 내용을 살펴보면 위의 내용과 일

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Ⅱ-3>은 두 선수가 구사한 기술빈도 중 클리어와 드

롭, 헤어핀에 대한 내용으로 다음과 같다.

- 11 -

표Ⅱ-3. 기술빈도 (단위 : 회)

H선수 L선수

클리어빈도 12회(33%) 12회(29%)

실패수 1회(14%) 1회(9%)

드롭빈도 11회(30%) 16회(39%)

실패수 2회(29%) 4회(36.5%)

헤어핀빈도 8회(21%) 5회(12%)

실패수 4회(57%) 4회(36.5%)

위에서 언급한데로 H선수는 헤어핀에서 L선수는 드롭에서 타점 높이의 우위를

바탕으로 다른 스트로크 보다 헤어핀과 드롭을 더 많이 구사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또, 많이 시도한 것에 비례하여 실패율도 높았다. L선수는 헤어핀을 구사할 때

더 낮은 위치에서 기술을 구사한 것이 효과적인 공격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

수를 많이 하게 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이계산(1997)은 여자 단식 경기를 대상으로 하여 선수들의 득권 현황, 서브 특성,

특정 타구에 대한 반구 유형과 상대편의 특정 타구에 대한 반구 시간 등을 분석하

다. 이중 특정 타구에 대한 반구 유형을 살펴보면 <표Ⅱ-4>에서와 같이 하이클리

어에 대해서는 A는 하이클리어, 드롭샷으로, B는 주로 드롭샷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헤어핀에 대해서는 A가 주로 하이클리어로 반구한 반면, B는 헤어

핀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드롭에 대해서는 A, B 모두 헤어핀, 하이

클리어 순으로 반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경기에서 발생하는 많은 스트로크 중에 클리어와 드롭의 비율

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단식 경기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드롭과 헤어

핀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기를 정석으로 이끌기 위해서

는 드롭과 헤어핀 등의 교란 타구를 이용하여 상대의 클리어에 의한 리턴을 받아

스매싱으로 공격하는 전법이 바람직하다(오성기, 1995).

- 12 -

표Ⅱ- 4. 특정 타구에 대한 반구 유형 (단위 : 회)

A B

하이클리어

하이클리어 20 드롭 28(4)

드롭 14(2) 하이클리어 14

스매시 2(1) 스매시 4(1)

드라이브 1 드라이브 1

계(37) 계(47)

헤어핀

하이클리어 7 하이클리어 6(1)

푸시 1 헤어핀 7(4)

헤어핀 1 푸시 1(1)

드라이브 1 드라이브 1

계(10) 계(15)

드롭

헤어핀 18(3) 헤어핀 9(4)

하이클리어 12 하이클리어 4(1)

드라이브 2 드롭 1

푸시 1

계(33) 계(14)

( )안은 실수 횟수

배드민턴은 단식경기이냐 복식경기이냐 또 남자 경기이냐 여자 경기이냐 아니면

혼합복식 경기이냐에 따라서 경기 내용이 틀려지고 사용되는 스트로크 빈도도 틀리

게 나타난다. 따라서 위의 두 선행연구는 여자 선수들의 단식 경기를 분석한 것으로

두 논문만으로 배드민턴의 스트로크 유형에 대해 파악한다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클리어와 드롭은 배드민턴 경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스트로크라는 점과

효과적인 경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스트로크의 수행이 우수해야 한

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 따라서 클리어와 드롭에 대한 동작 분석은 꼭 필요하다 하

겠다.

- 13 -

Ⅲ.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3명의 고등학교 남자 배드민턴 선수의 클리어와 드롭 동작을 3차

원적으로 분석하여 각 동작을 비교하 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 방법으로서 연

구 대상자 선정, 실험설계, 실험장비, 실험장면, 실험방법, 분석 국면 및 모형,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 선정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고등학교 2, 3학년 배드민턴 선수 3명을 대상으로 했으

며, 모두 주니어 대표 선수들로서 선수경력이 7년에서 8년의 숙련자들로서 대상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표Ⅲ-1. 연구 대상자의 특징

연구대상자 연령(세) 신장(cm) 체중(kg) 운동경력(년)A 18 184 69 7

B 18 184 70 7C 19 184 75 8

M 18.3 184.0 71.3 7.3

2. 실험 및 분석장비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장비는 <표Ⅲ-2>와 같이 크게 상 분석 장비로서, 그 주요

장비의 특성 및 용도는 다음과 같다.

1) 상 분석 도구

- 14 -

본 연구에서 이용한 기자재는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 방법을 이용하

기 위한 3차원 상분석용 촬 기자재이다. 실험장비의 특성 및 용도는 다음과 같다.

(1) 고속 비디오 카메라(High-speed Video Camera HSC-180)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상 분석을 위하여 줌렌즈가 장착된 Peak사의 모델명 HSC

180-NM 고속 카메라 2대를 사용하 으며, 이 고속 비디오 카메라의 특징은

S-VHS 비디오 텝입을 사용하여 고해상도로 촬 할 수 있으며 촬 속도는 초당 60

프레임과 180프레임으로만 사용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카메라의 최대 촬

속도인 초당 180프레임의 속도로 촬 하 으며 노출시간은 1/10000초까지 조절할

수 있다.

표Ⅲ-2. 실험 및 분석장비

구 분 명 칭 모 델 명 제 조 회 사

촬 장비

고속 비디오 카메라 HSC 180 - NM Peak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AG-5700 Panasonic

모니터 PVM-9041Q Sony

시간 코드 발생기 SR-50 Horita

통제점 막대 V-TEK

상 분석

자료처리장비

컴퓨터 IBM PC-586DX IBM

모니터 PVM-1942Q SONY

VCR AG-7350 Panasonic

(2) 녹화기(Video Cassette Recoder)

고속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 된 상은 Panasonic AG-5700 VCR을 통하여 S-VHS

비디오 테입에 기록된다. 이 녹화기는 카메라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비디오 테입을 갈아 끼

- 15 -

울 때 카메라가 흔들릴 위험이 없다.

(3) 실험용 모니터(Monitor)

실험시 촬 상황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Sony사의 PVM-9041Q 모니터를 이용하 다. 이

모니터는 비디오 카메라와 연결시켜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 되는 장면을 볼 수 있게 해준

다.

(4) 시각 코드 발생기

녹화된 비디오 테이프에 시각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Horita사의 SR-50 시각 코드

발생기를 사용하여 화면에 시각코드를 시 : 분 : 초 : 필드로 만들어 비디오 상과

합하여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로 녹화하 다.

(5) 통제점 틀

3차원 상분석법에 필요한 통제점 틀은 통제점군(control points)의 공간좌표 설

정을 위하여 32개의 통제점을 가지고 있는 정육면체형으로서 오브젝트 공간(object

space) 내에서 최대한 선형성을 살릴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6) 비디오 테이프(Video Tape)

S-VHS용 비디오 테이프가 스윙 상황을 녹화하기 위해 사용하 으며 분량은 120

분용이다.

2) 자료 분석 도구

(1) 비디오 디지타이징 시스템

- 16 -

촬 된 S-VHS 비디오 테입프의 분석을 위해 Panasonic사의 AG-7350 비디오 분석

기를 사용하 다. 이 비디오 분석기는 죠그셔틀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VHS와 S-VHS용

비디오 테입프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그래버(DT2861)가 내장된 컴퓨터와 연

결하여 모니터에 나타난 통제점과 인체관절점등을 좌표화할 수 있으며, 각 프레임을 두 필

드(field)로 분리하여 상에 나타나게 할 수 있어 실제 촬 한 상보다 두 배의 속도로 분

석이 가능하다. 비디오 카메라로 촬 된 상을 S-VHS VCR(Panasonic AG-7350)과 14"

S-VHS 모니터( Sony PVM-1454Q)를 이용하여 디지타이징을 하 으며, 권 후(1993)가 개

발한 프로그램(KWON3D 2.1)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2) 컴퓨터

586펜티엄 컴퓨터를 비디오 디지타이징 시스템에 연결시켜서 좌표화 하 으며 분석용 계

산 프로그램은 별도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3차원 좌표와 모든 변인들을 계산하 다.

3. 실험과정

1) 실험과정

실험절차는 연구 대상자의 각 스윙 동작을 완전히 포함하는 범위 내에 통제점 틀

을 세우고 2대의 비디오 카메라 #1과 #2는 좌표 기준점으로부터 각각 8m 떨어진 곳

에 렌즈 중심의 높이가 1.5m가 되도록 삼각대 위에 수평상태로 설치한 후에 통제점

틀이 카메라 필드 안에 들어오도록 줌렌즈를 맞추고 또한 카메라의 촬 속도를

180field/s로 하고 노출시간을 결정하 다. 2대의 비디오 카메라를 작동 시켜 통제점

틀을 3-4분동안 촬 한 후 통제점 틀을 제거하 다. 연구 대상자의 복장은 반바지와

반팔티로 하고, 인체 관절에 백색 테이프로 표식을 하고, 스윙 동작에는 지장이 없

- 17 -

그림Ⅲ-1. 실험 장비의 배치도

도록 하 다. 피험자들은 충분히 워밍업을 한 다음 한 사람씩 피험자의 신호에 의해

서 촬 에 들어간다. 한 사람당 클리어와 드롭을 10번씩 친다. 촬 도구의 배치는

<그림Ⅲ-1>과 같다.

피험자들이 환경변화에서 오는 각 조건에 적응하도록 사전 연습을 본 실험 전에

충분히 실시하도록 하고 동작을 실시한 후 피험자 자신과 연구자가 불만족스러울

경우 재실시 하 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클리어와 드롭 동작을 3개의 이벤트와 2개의 국면으로 구간을 구분하

net

5 . 1 8 m

- 18 -

다.

(1) 제 1이벤트-스타트(Start)

라켓을 머리 위쪽으로 올리는 동작을 취하면서 몸이 점프 준비를 하고 있는 자세

(2) 제 2이벤트-백스윙(Backswing)

라켓헤드와 몸의 중심이 후방으로 충분히 이동된 시점

(2) 제 3이벤트-임팩트(Impact)

백스윙으로부터 라켓헤드와 몸의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그 힘이 셔틀콕에 최대의

힘을 발휘하는 시점.

제1국면 제2국면

(ST) (BS) (IP)

그림Ⅲ- 2. 동작의 이벤트 구분

- 19 -

4. 자료 처리 방법

본 연구의 통제점 좌표화와 인체관절 중심점의 좌표화, 동조, DLT방법에 의한 3

차원 좌표 계산과 스무딩은 권 후(1993)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 다.

1) 통제점 좌표화와 인체 관절 중심점의 좌표화

인체모델은 신체분절들을 서로 연결된 강체(rigid body)의 연결 시스템으로 정의

하고 23개의 인체관절점과 1개의 셔틀콕으로 정의하 다.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점

들의 위치와 명칭은 <그림Ⅲ-3>와 같다. 신체분절의 무게중심위치에 대한 인체분절

자료(body segment parameter)는 Plagenhoef(1983)의 자료를 이용하 다.

좌표화는 통제점 좌표화와 인체과절 중심점 좌표화로 나누어 처리하 다. 통제점

좌표화는 총 32개의 통제점을 5번 반복하여 좌표화한 후 컴퓨터에 파일로 저장하

으며 관절의 중심 위치는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좌표화 하 다.

2) 통제점 및 인체관절점의 수치화

수치화 작업은 비디오 디지타이징 시스템을 이용하고 수치화의 대상은 통제점 틀

의 통제점들과 인체관절 중심점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셔틀콕

을 치는 진행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며,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Z축에서 Y축으로의 벡터의 외적을 X축으로 정의하고 상분석 축을 설정하

다.

- 20 -

1. R. FINGER

2. R. WRIST

3. R. ELBOW

4. R. SHOULDER

5. L. FINGER

6. L. WRIST

7. L. ELBOW

8. L. SHOULDER

9. R. TOE

10. R. HEEL

11. R. ANKLE

12. R. KNEE

13. R. HIP

14. L. TOE

15. L. HEEL

16. L. ANKLE

17. L. KNEE

18. L. HIP

19. UPPER HEAD

20. LOWER HEAD

21. NOSE

22. RACKET NECK

23. RACKET TOP HEAD

24. RACKET RIGHT

25. RACKET LEFT

26. SHUTTLECOCK

그림Ⅲ-3. 인체관절 중심점의 좌표화 순서

- 21 -

26

3) 3차원 좌표의 계산

3차원 좌표는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 방법으로 계산하 다. DLT 방

법이란 상 화면에 기록된 상이 실제계측이 이루어지는 2차원 평면상의 좌표계인

상평면 좌표계와 피사점이 위치한 공간상의 좌표계인 실공간 좌표계에 기록된 좌

표 사이의 선형방정식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공간 좌표값을 미리 알고 있는

통제점 틀을 활용하여 DLT 변환식 계수들을 계산하고, 계산된 DLT 변환식 계수와

동조된 2차원 좌표로부터 인체 관절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 다.

3차원 좌표값을 산출시 디지타이징 오차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노이

즈(Noise)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노이즈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무딩

(smoothing)이 행하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방법에

의해 스무딩하고 cut off frequency는 20Hz로 하여 3차원 좌표값들을 계산하 다.

- 22 -

Ⅳ.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경기의 스트로크 중 클리어와 드롭 동작에 관련된 운동

학적 변인들에 의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배드민턴 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제 시합에서의 상황과 같은 환경을 조성

하여 연습장면을 촬 하고 3차원 상분석을 통하여 드롭과 클리어 동작 국면을 백스

윙, 임팩트 자세로 구분하여 동작의 소요시간, 관절의 각도, 신체 중심의 변화를 분석하

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면별 소요시간

클리어와 드롭 동작 수행시 국면별 소요시간의 제1국면은 준비자세에서 점프한 후에

라켓헤드와 몸의 중심이 후방으로 충분히 이동된 백스윙까지의 시점을 말하며 제2국면

은 백스윙으로부터 라켓헤드와 몸의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그 힘이 셔틀콕에 최대

의 힘을 발휘하는 임팩트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표Ⅳ-1. 국면별 소요시간 (단위 : 초)

국면

대상

clear drop

제1국면 제2국면 전체국면 제1국면 제2국면 전체국면

A 0.20 0.14 0.34 0.22 0.17 0.39

B 0.23 0.12 0.35 0.09 0.16 0.25

C 0.21 0.13 0.34 0.20 0.14 0.34

M 0.21 0.13 0.34 0.17 0.16 0.33

- 23 -

위의 <표Ⅳ-1>는 각 국면별 소요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A 선수는 드롭이 클이어

보다 길게 나타났다. 제1국면에서는 0.02초 제2국면에서는 0.03초 길게 나타나

전체적으로 0.05초 길게 나타났다. B 선수의 경우에는 클리어 0.35초 드롭 0.25초로

동작 수행시간에 많은 차이를 볼 수 있는데 이는 드롭 동작의 제1국면의 소요 시간이

0.09초로 매우 짧아 백 스윙 국면에서 충분하게 라켓을 뒤로 이동하지 않은 결과로 백

스윙 국면이 매우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C 선수는 클리어와 드롭 모두 소요 시간이

0.34초로 같게 나타났다. A, B, C 선수의 소요시간을 평균적으로 보면 제1국면에서는

클리어 0.21초 드롭 0.17초, 제2국면에서는 클리어 0.13초 드롭 0.16초로 나타났다. 전체

국면은 클리어 0.34초 드롭 0.33초로 전체국면에서의 소요시간은 별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A, C, 선수의 경우에는 선수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제1국면이나 제2국면시 소요

시간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제1국면의 소요 시간은 각각 다르게 나타

났지만 제2국면의 소요 시간은 드롭 동작 수행시 A, B, C선수 모두 0.03, 0.04, 0.01 초

가 더 길게 나타났다. 이는 좀더 높은 지점에서 셔틀콕을 임팩트하여 좀 더 나은 효과

를 보기 위하여 좀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신체중심의 변위

실제 시합에서 드롭이나 클리어 스매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시에는 시간상의

이득을 얻어 좀더 빠르게 동작을 취하기 위하여 점프에 이어서 동작을 수행하는 경

우가 많다. 따라서 신체 중심의 변위를 살펴본다는 것은 배드민턴의 특성을 살펴보

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피험자 별로 신체중심의 이동 경로를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무게 중심이 변화하는 양상을 살펴 보고 임팩트시

신체 중심의 높이가 어떤 상태인가를 알아 볼 수 있다. 동작 수행시 신체 중심을 어디

에 두고 동작을 수행 하는냐에 따라 타구의 특성도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좀더 낳은

- 24 -

수행을 하려면 좀더 높은 위치에서 타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도 그러한 양상

이 나타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신체중심의 전후(Y), 수평(X), 수직(Z) 변위는 <표Ⅳ-2>와 같다. <표Ⅳ-2>의 수치는

각 국면별로 최대값에서 최소값의 차이를 구한 값으로 수치가 적다는 것은 그만큼 움

직임이 적다는 것이고 값이 크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후(Y) 변위는 연구 대상자의 전후 움직임이고, 수평(X) 변위는 연구 좌우 움직임이

며, 수직(Z)변위는 연구 대상자의 위, 아래로의 움직임을 말한다. 백스윙의 수평(X)변

위는 클리어 평균 3.3cm, 드롭 평균 1.5cm로 나타났으며, 전후(Y)변위는 클리어 평균

6.9cm 드롭 평균 10.8cm, 수직(Z)변위는 클리어 평균 20.9cm 드롭 평균 19.9cm로 나타

났다. 임팩트의 수평(X)변위는 클리어 평균 1.6cm, 드롭 평균 1.7cm로 나타났으며, 전후

(Y)변위는 클리어 평균 4.0cm 드롭 평균 11.8cm, 수직(Z)변위는 클리어 평균 4.3cm 드

롭 평균 4.5cm로 나타났다.

표Ⅳ-2. 신체중심의 변위 (단위 : cm)

변인

대상자

clear drop

back swing impact back swing impact

X Y Z X Y Z X Y Z X Y Z

A 0.3 0.8 21.0 0.1 0.4 4.7 1.8 7.0 36.5 1.3 6.9 2.9

B 6.2 7.9 22.3 0.6 3.5 3.2 0.8 8.6 8.4 1.4 16.1 2.5

C 3.4 12.0 19.4 4.2 8.0 4.9 0.4 16.7 14.7 2.5 12.4 8.0

M 3.3 6.9 20.9 1.6 4.0 4.3 1.5 10.8 19.9 1.7 11.8 4.5

클리어와 드롭의 백스윙과 임팩트에서의 수평(X) 변위는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전후(Y) 변위는 백스윙과 임팩트에서 드롭이 3.9cm, 7.8cm

더 크게 나타났다. 수직(Z) 변위는 동작 수행시 점프를 하는 관계로 가장 많

- 25 -

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수직(Z) 변위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 본 것이

<표Ⅳ-3>과 <그림Ⅳ-1>, <그림Ⅳ-2>이다.

<표Ⅳ-3>은 신체 중심의 Z변위의 값을 이벤트 별로 나타낸 것이고, <그림Ⅳ-1>은

클리어시 신체중심의 Z변위를 나타낸 것이며, <그림Ⅳ-2>는 드롭시 신체중심

의 Z변위를 나타낸 것이다. 클리어에서는 A, B, C 세 선수 모두 점프에이어 백스윙

그림Ⅳ -1. 클리어시 신체중심의 수직변위

그림Ⅳ -2. 드롭시 신체중심의 수직변위

- 26 -

을 거쳐 임팩트 순간에 일정하게 감소하다가 이후 완만하게 떨어지는 변화의 양상을

볼 수 있다. 신체 중심의 변화가 커다란 편차 없이 일정하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드롭에서는 스타트부터 임팩트까지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선수에 따라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일정한 형태의

변화를 볼 수가 있다.

<표Ⅳ-3>를 보면 클리어와 드롭 모두 백스윙에서 평균 141.6cm, 138.6cm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고 임팩트 순간에 평균 137.9cm, 136.8cm로 높이가 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클리어의 백스윙과 임팩트에서 드롭보다 3cm, 1.1cm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신장이 모두 184cm로 같기 때문에 신장

비에 따른 값을 따로 표시 하지 않았다.

백스윙에서 신체중심이 최고점에 오르게되고 임팩트 순간에 신체중심이 내려 오

면서 셔틀콕을 치게 된다. Hensely(1975)는 스매시에 대해 연구를 했는데, 가장 효

표Ⅳ-3. 신체중심의 Z 변위 (단위 : cm)

국면

대상

clear drop

start back swing impact start back swing impact

A 115.9 136.9 132.6 111.2 147.7 149.2

B 120.2 142.5 140.2 121.4 129.8 130.8

C 125.9 145.3 140.9 123.7 138.4 130.4

M 120.7 141.6 137.9 118.8 138.6 136.8

과적인 스매시는 신체중심 이 최고점에 오르고 난 뒤 신체중심이 밑으로 내려가려

고 할 때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 다. 이를 볼 때 클리어와 드롭에서도 비슷한 양

상을 볼 수 있다 하겠다.

- 27 -

3. 속도변인

1) 라켓헤드의 속도

배드민턴에서 타구의 종류를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셔틀콕과 라켓헤드가 임

팩트되는 순간의 각도도 중요하지만 라켓헤드의 속도에 어떻게 변화를 주느냐

도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표Ⅳ-4>는 이벤트별로 라켓헤드의 속도를 나타낸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클리어에서의 스타트와 백스윙 국면의 평균값은 각각 5.35m/s와

9.54m/s로 드롭의 6.59m/s 와 9.96m/s에 비해서 작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러나 임팩트 순간에 클리어는 26.28m/s 드롭은 17.97m/s로 드롭의 속

도가 확연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표Ⅳ-4. 클리어와 드롭시 라켓헤드의 속도 (단위 : m/s)

국면

대상

clear drop

start back swing impact start back swing impact

A 4.05 10.73 27.87 5.27 10.28 18.71

B 4.89 7.47 29.65 8.71 8.65 17.41

C 7.12 10.43 21.31 5.78 10.96 17.79

M 5.35 9.54 26.28 6.59 9.96 17.97

<그림Ⅳ-3>은 클리어의 라켓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A, B, C 세 선

수 모두 스타트에서부터 백스윙 국면까지 일정한 속도로 증가하다가 백스윙

국면의 전후에서 속도가 줄어들고 다시 임팩트 순간까지 일정하게 속도가 증

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에 <그림Ⅳ-4>은 드롭의 라켓헤드 속도를 살펴

본 것으로 두 번에 걸쳐서 속도의 감속이 발생하는데 백스윙을 전후로 하여

- 28 -

한번의 속도 감속이 있고 이어 임팩트 순간의 전후에도 또 한번의 속도 감속

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Ⅳ -3. 클리어시 라켓헤드의 속도

그림Ⅳ -4. 드롭시 라켓헤드의 속도

- 29 -

2) 신체중심의 수직 속도

신체중심의 수직변위(Z)에 많은 변화가 있다는 것은 앞에서 살펴 보았다. <표Ⅳ-5>

는 각이벤트 마다의 속도를 나타낸 것으로 클리어의 경우에는 스타트에서 백스윙

으로 넘어가면서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A 선수는 2.00m/s에서

0.31m/s로, B 선수는 2.14m/s에서 0.54m/s로, C 선수는 1.90m/s에서 0.86m/s로 감소

하 다. 반면에 드롭에서 A선수는 2.83m/s에서 1.06m/s로, B 선수는 1.77m/s에서

1.42m/s로, C 선수는 1.71m/s에서 1.00m/s로 감소하여 클리어가 드롭보다 더 감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Ⅳ-5. 클리어와 드롭시 신체중심의 수직 속도 (단위 : m/s)

변인

대상

clear drop

start back swing impact start back swing impact

A 2.00 0.31 1.01 2.83 1.06 0.59

B 2.14 0.54 1.12 1.77 1.42 1.17

C 1.90 0.86 1.30 1.71 1.00 1.62

M 2.01 0.57 1.14 2.10 1.16 1.13

<그림Ⅳ-5>, <그림Ⅳ-6>은 클리어와 드롭 동작 수행시 신체중심의 속도가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낸 것으로 보는 바와 같이 점프하는 순간에 가장 높은

수치가 나타나고 백스윙 국면으로 가면서 가장 낮은 속도를 보이다가 다시 임

팩트 순간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클리어는 백스윙에서 임팩트 국면으

로 넘어가면서 속도가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리고 A, B, C 선수

모두 편차가 있기는 하나 비슷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

는 클리어 시의 동작 수행에는 세 선수 모두 매우 비슷한 신체중심 속도를 가지고

자연스럽게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드

- 30 -

롭은 세 선수 모두 다른 형태의 곡선을 그리고 있다. A 선수의 경우에는 스타트 국

면에서 2.83m/s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고 임팩트 이후에 속도가 0.59m/s로 급

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볼 수 있고, B 선수의 경우에는 스타트에서 1.77m/s 임팩트

에서 1.17m/s로 다른 선수에 비해서는 편차가 별로 나지 않는 형태로 동작이 수행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 선수의 경우에는 임팩트 이후에 1.62m/s로 오히려

속도가 갑자기 증가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따라서 드롭의 경우에는 개인에 따른

개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겠고, 어떤 일정한 형태를 찾는 다는 것

이 어렵다고 볼 수 있겠다.

그림Ⅳ -5. 클리어시 신체중심의 수직속도

- 31 -

그림Ⅳ -6. 드롭시 신체중심의 수직속도

4. 각도변인

본 연구에서는 클리어와 드롭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손목과 팔꿈치 어깨의

각과 상체의 전경각 그리고 임팩트 순간의 라켓 헤드의 각도를 살펴 보았다.

1) 손목각도

손목각은 손과 전완이 이루는 각을 말하는 것으로 <표Ⅳ-6>에서 보는 바와

같다. 스타트에서는 클리어가 평균 172.3°로 드롭의 161.9°보다 높게 나왔으

며 백스윙에서는 클리어가 130.2°드롭에서는 120.5°로 역시 클리어에서 더

높은 각을 유지 하 고, 임팩트에서는 드롭이 167.4°로 클리어의 154.0°보다

높은 수치가 나왔다. 임팩트 순간에 각도가 크다는 것은 신전이 되었다는 것

을 의미하는 것이다. 배드민턴에서는 손목을 쓰지 않으며 라켓 헤드의 속도가

낮아지고 임팩트시에 강한 힘을 전달해야 하는 순간에 적절하게 쓰이지 못하

게 된다.

- 32 -

표Ⅳ-6. 클리어와 드롭시 손목의 각도 (단위 : deg)

변인

대상자

clear drop

start back swing impact start back swing impact

A 165.7 132.0 154.2 161.0 120.7 161.7

B 171.6 135.5 151.9 148.7 120.5 171.7

C 179.7 123.1 155.8 176.0 120.2 168.8

M 172.3 130.2 154.0 161.9 120.5 167.4

<그림Ⅳ-7>과 <그림Ⅳ-8>을 살펴보면 클리어의 경우에는 백스윙에서 가장

낮은 각도를 보이다가 임팩트 순간에 신전이 되면서 임팩트 이후에도 값이 커

지면서 계속 신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라켓을 멀리 보내기 위하여

손목을 계속 사용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판단되며, 반대로 드롭의 경우에

는 백스윙에서 임팩트 순간에 최고의 값을 보이다가 임팩트 이후에 각도가 작

아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각도를 적게 하여 셔틀콕을 네트 가까이로 보

내려는 동작으로 보인다.

그림Ⅳ -7. 클리어시 손목의 각도

- 33 -

그림Ⅳ -8. 드롭시 손목의 각도

2) 팔꿈치 각도

팔꿈치 각도는 상완과 전완이 이루는 각으로 <표Ⅳ-7>에서 보는 바와 같다. 스타트

에서는 클리어가 평균 78.6°드롭이 평균 83.7°로 나타났고, 백스윙에서는 클리어가

평균 101.2°드롭이 평균 114.8°로 나타났으며 임팩트에서는 클리어가 평균 160.5°

드롭이 160.9°로 나타났다. 스타트와 백스윙에서는 드롭에서 더 높게 나왔으며 임팩트

는 클리어와 드롭에서 비슷한 수치가 나왔다.

표Ⅳ-7. 클리어와 드롭시 팔꿈치의 각도 (단위 : deg)

변인

대상자

clear drop

start back swing impact start back swing impact

A 84.8 107.3 163.0 85.0 115.6 156.6

B 92.8 110.4 167.4 107.2 126.9 165.4

C 58.1 85.8 151.2 58.8 101.9 160.7

M 78.6 101.2 160.5 83.7 114.8 160.9

- 34 -

클리어와 드롭에서 팔꿈치의 각도가 비슷한 값으로 임팩트 되는 순간 신전되었다. 황

경숙(1981)은 임팩트 순간 팔과 라켓은 최대로 뻗는 자세로 나타났다고 하 다. 안상우

(1990)의 연구에서도 임팩트 순간 각도가 크게 나타난다고 하 다.

그림Ⅳ -9. 클리어시 팔꿈치의 각도

그림Ⅳ -10. 드롭시 팔꿈치의 각도

<그림Ⅵ-9>와 <그림Ⅵ-10>을 보면 클리어의 백스윙때 각도가 많이 작아지

- 35 -

고 임팩트시에 다시 증가하는 폭이 커지는 것으로 보아 역시 임팩트시에 신전

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드롭시에는 클리어와 비교하여 백스윙에서부터 임

팩트까지의 각도가 증가하는 폭이 클리어보다는 적은 것으로 보여 손목각과는

반대로 각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다.

3) 어깨 각도

어깨 각도는 상완과 상체가 이루는 각으로 <표Ⅳ-8>에서 보는 바와 같다.

스타트에서는 클리어가 평균 81.5°드롭이 평균 81.4°로 거의 같은 각도가 나왔고,

백스윙에서는 클리어가 평균 126.5°드롭이 평균 116.2°로 나타났으며 임팩트에서는

클리어가 평균 145.9°드롭이 140.7°로 나타났다.

표Ⅳ-8. 클리어와 드롭시 어깨의 각도 (단위 : deg)

변인

대상사

clear drop

start back swing impact start back swing impact

A 82.7 124.2 142.5 75.8 123.5 135.9

B 101.8 134.1 154.6 103.0 109.0 141.4

C 60.1 121.3 140.7 65.5 116.2 144.9

M 81.5 126.5 145.9 81.4 116.2 140.7

어깨 관절의 각도는 클리어와 드롭이 변화하는 양상이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으며 배드민턴 스트로크는 어깨 각도에 의한 향이 중요한 변수가 아니

라고 판단된다. <그림Ⅵ-11>, <그림Ⅵ-12>를 보면 선수별로 스타트나 백스

윙, 임팩트에서에 각도는 다르지만 개인별로는 클리어나 드롭 관계없이 일정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손목각과 팔꿈치각에 비해서는 특별한 양상이 나

타나지 않았다.

- 36 -

그림Ⅳ -11. 클리어시 어깨의 각도

그림Ⅳ -12. 드롭시 어깨의 각도

4) 상체 전경각도

상체 전경각도는 상체와 전후(Y)축이 이루는 사이각을 수평(X)축에서 투

한 각도이다. <표Ⅳ-9>는 상체의 전경각도를 이벤트별로 나타낸 것으로 내용

은 다음과 같다. 스타트에서는 클리어 평균 89.1°드롭 평균 90.6°로 나타났

고, 백스윙에서는 클리어 평균 90.3°드롭 평균 88.1°로 나타났으며, 임팩트에

- 37 -

서는 클리어 평균 85.0°드롭 평균 80.7°로 나타났다.

표Ⅳ-9. 클리어와 드롭시 상체의 전경각도 (단위 : deg)

변인

대상

clear drop

start back swing impact start back swing impact

A 97.9 90.6 81.0 92.2 85.9 76.3

B 82.6 87.1 83.6 92.4 88.1 78.9

C 86.9 93.2 90.3 87.2 90.4 87.4

M 89.1 90.3 85.0 90.6 88.1 80.7

5) 임팩트 순간 라켓헤드의 각도

라켓헤드의 각도는 라켓과 전후(Y)축이 이루는 사이각을 수평(X)축에서 투

한 각도이다. <표Ⅳ-10>은 임팩트 순간 클리어와 드롭의 라켓헤드의 각도

를 나타낸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선수는 클리어시 84.1°드롭시 84.

2°로 거의 같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B 선수는 클리어시 86.5°드롭시 84.6°

로 드롭이 1.9°작게 나타났으며, C 선수는 클리어시 92.4°드롭시 88.0°로

드롭이 역시 4.4°적게 나타났다. 클리어의 평균 값은 87.7°드롭의 평균값은

85.6°드롭이 평균 2.1°도 적게 나타났다.

표Ⅳ-10. 클리어와 드롭시 라켓헤드의 각도 (단위 : deg)

국면

대상

clear drop

impact impact

A 84.1 84.2

B 86.5 84.6

C 92.4 88.0

M 87.7 85.6

- 38 -

Ⅴ. 결론 및 제언

클리어와 드롭 동작은 경기중 득점으로 연결할 수 있는 중요한 공격기술로

여러 가지 기술 가운데 매우 비중있는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배드민턴 클리어와 드롭 동작을 주니어 대표 출신의 남

자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실시하도록 하여 이를 가지고 3차원 상 분석을 통

하여 국면별 소요시간, 신체중심의 변위, 라켓 헤드의 속도, 신체 중심의 속도,

손목의 각도, 팔꿈치의 각도, 어깨의 각도, 상체의 전경각도, 라켓헤드의 각도

등을 분석하여 운동학적 변인간에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배드민턴 기술향상에

이바지 하고자 하며 과학적인 설명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1. 신체중심의 수평(X), 전후(Y), 수직(Z) 변위에서 수평과 전후 움직임은 거

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직 변위는 클리어 평균 20.9cm, 드롭 평균 19.9cm로

많은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라켓헤드의 속도는 스타트와 백스윙에서는 드롭이 높게 나타나지만 임

팩트 순간에는 클리어 평균 26.28m/s, 드롭 평균 17.97m/s로 나타났다.

3. 신체 중심의 수직 속도는 백스윙 국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클리

어는 0.57m/s, 드롭은 1.16m/s로 나타났다.

4. 손목, 팔꿈치, 어깨각도의 변화 양상이 클리어와 드롭에 관계없이

비슷하다.

5. 상체 전경 각도는 임팩트시에 클리어 평균 85.0°드롭 평균 80.7°로 드

롭이 상체를 더 숙이면서 타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라켓 헤드의 각도는 임팩트시에 클리어 평균 87.7°드롭 평균 85.6°로

드롭이 클리어 보다 앞쪽에서 임팩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9 -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미비했던 점 또는 추후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

언을 하고자 한다.

1. 실험 상황이 아닌 실제 경기에서의 스트로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2. 소수의 피험자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탐색 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어 좀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3. 좀 더 과학적인 설계를 통하여 배드민턴 스트로크에 관련된 변인의 분서

과 이러한 변인의 상호관련성을 연구하여 효과적인 스트로크 기술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40 -

참 고 문 헌

강병진(1997). 배드민턴 선수들의 경기전 실제 불안과 회상 불안과의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신준(1998). 배드민턴 국가대표와 고교 우수선수의 체격·신체 구성성분 및 체

력의 비교 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고지근(1998). 생활체육 배드민턴 회원들의 활동실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기수(1983). 체력과 배드민턴 기능의 상관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문수(1991). 배드민턴 남자단식 경기내용에 관한 분석연구 : 국가대표 선수와 세

계정상급 선수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병식(1984). 배드민턴 남자 복식경기의 기술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봉섭(1994). 배드민턴 경기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 제25회 바로셀로나 올림픽여

자복식 결승 게임중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양수(2000). 감정상태(Mood state)가 배드민턴 선수의 운동수행 기능에 미치는

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용진(1996). 배드민턴 동호인의 활동실태와 Sports 부상에 대한 조사 연구 : 배

드민턴 연합회 동호인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운백(1999). 주의집중훈련이 여학생의 배드민턴 운동수행에 미치는 향. 단국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종우(1980). 테니스경기에 있어서 Stroke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

- 41 -

체육학회지. 1980년 제19호 (vol.8)

김주호(1984). 배드민턴 선수들의 불안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지현(2000). 배드민턴 경기기술 사용빈도에 따른 승패 요인에 관한 분석. 부산외

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태운 외 2인(1995). 최신 배드민턴 매뉴얼. 서울 : 태근문화사.

김효성(1991). 배드민턴 여자단식 경기 내용에 관한 분석 : `90세계선수권대회 여

자단식 경기를 대상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곽창수 외 5인(1989). 테니스 서브의 3차원적 상분석.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체육

과학연구과제종합보고서.

노희덕 외 2인(1998). 배드민턴. 서울 : 교학사.

박순복(1986). 배드민턴 기술동작 분석-Drive, Smash, Push를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준병(2000). 배드민턴 운동에 따른 중년 여성의 체력특성에 대한 연구. 충남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병광(1989). 운동선수의 기초체력과 전문기술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

여자중학교 배드민턴 선수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신대건(1994). Badminton 기술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 `92, `93, `94 Yonex Korea

open 선수권 대회 남자단식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상우(1990). 배드민턴 스매시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양문석(1986). LQ가 배드민턴 기술 및 경기성적에 미치는 향 - 남녀 중1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긍세(1977). 인체 힘의 변환계.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1977년 제14호

- 42 -

(vol.7)

이상경(1992). 배드민턴 서브 동작에 관한 운동학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재복(1985). 배드민턴 경기 여자단식 내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명희(1993). 국제배드민턴 혼합복식 경기중 기술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천 진(1998). 배드민턴 경기중 선수움직임의 역학적 분석을 통한 운동수행 능력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성진(1999). 배드민턴 스매시 동작의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의 운동학적 분석. 경

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상민(1998). 배드민턴 스매시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황경숙(1981). 배드민턴 스매시 동작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drian, M. J., & Cooper, J. M.(1995). Biomechanics of Human

Movement(second ed). Dubuque : Wm. C. Brown Communications Inc.

Barbara Ann Gowitzke(1976). Dynamic properties of rapid limb movement as a

func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bles. Microform Publications,

University of Oregon.

Downey, Jake(1993). Excelling at Badminton : A Practical Reference Manual

for Players and Coaches. Hodder & Stoughton.

Grice, Tony(1996). Badminton : steps to success. Human Kinetics

James Richard Poole(1972). Cinematographic analysis of the upper extremity

movements of world class players executing two basic badminton strokes.

Microform Publications, University of Oregon.

- 43 -

Mood, Dale; Musker, Frank F.; Rink, Judith E(1995). Sports and Recreational

Activities. Mosby, 11th Ed.

Vickers, Joan N Instructional(1990). Design for Teaching Physical Activities :

A Knowledge Structures Approach. Human Kinetics Books

Zakrajsek, Dorothy B.; Carnes, Lois A.; Pettigrew, Frank E(1994). Quality

Lesson Plans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Human Kinetics.

- 44 -

ABSTRACT

A Kinematic Analysis on Clear & Drop Motion of Badminton

Hyuk Kim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 Min University

Clear and drop motion which are the important attack skills take

essential roles to get sco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for improving skills on badminton

and providing scientific sourc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wasting time,

the variation of physical balance, the speed of racket head and physical

and the angle of wrist, shoulder, upper body and racket head.

1. There was hardly any movement in the changes of horizontality(X)

and the front and the rear(Y), but the changes of verticality(Z) presented

that clear's average gap was 20.9cm and drop's average was 19.9cm.

2. The speed of racket head appeared that drop was higher in the start

and backswing than clear, but at the moment of impact clear's average

was 26.28m/s, and drop's average was 17.97m/s.

- 45 -

3. The vertical speed of physical balance showed a difference in the

backswing such as 0.57m/s(clear) and 1.16m/s(drop).

4. The aspect of changes in the angle of wrist, elbow and shoulder is

similar regardless of clear and drop.

5. The angel of the upper body at impact were average 85.0°(clear) and

80.7°, so drop need more bending bat skill.

6. The angle of the racket head presented that clear's average was 87.

7°and drop's average was 85.6° at impact.

- 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