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소스 S/W 동향

31
공공 공공 S/W 공공 공 공 공 공공공공공

description

공개 소스 S/W 동향. 김 두 현 건국대학교. 목차. 개요 정책 동향 기술 개발 동향 표준화 동향 한중일 OSS 활성화 포럼 동향. 개요. 공개 소프트웨어란 ?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개작하고 개작된 소프트웨어를 재 배포할 수 있도록 허용된 소프트웨어. 사례 리눅스의 경우 리누스 토발즈는 초기 버전인 10 만 여 라인 정도의 리눅스 커널을 인터넷을 통해 공개한 후 , 짧은 기간에 100 만 여 라인 정도의 리눅스 커널로 발전 시킴. 공개소스 SW 산업을 기반으로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공개 소스 S/W 동향

Page 1: 공개 소스  S/W  동향

공개 소스 S/W 동향

김 두 현

건국대학교

Page 2: 공개 소스  S/W  동향

목차

개요

정책 동향

기술 개발 동향

표준화 동향

한중일 OSS 활성화 포럼 동향

Page 3: 공개 소스  S/W  동향

개요공개 소프트웨어란 ?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개작하고 개작된 소프트웨어를 재 배포할 수 있도록 허용된 소프트웨어

사례

리눅스의 경우 리누스 토발즈는 초기 버전인 10만 여 라인 정도의 리눅스 커널을 인터넷을 통해 공개한 후 , 짧은 기간에 100 만 여 라인 정도의 리눅스 커널로 발전 시킴

산업의 고도화및

고부가가치화가속

소프트웨어산업의

중요성이 날로부각

그러나대부분

외산 소프트웨어사용

공개소스 SW산업을 기반으로

SW 개발의촉진 및 활성화가

요구

Page 4: 공개 소스  S/W  동향

개요

공개 소스 SW활성화

신흥 소프트웨어개발국이원천기술 확보를통해 대선진국기술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

신흥 소프트웨어개발국이원천기술 확보를통해 대선진국기술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

리눅스 기반의시장은 초기시장형성단계로선점시 경쟁력을확보할 수 있는대안으로 대두

리눅스 기반의시장은 초기시장형성단계로선점시 경쟁력을확보할 수 있는대안으로 대두

세계 소프트웨어시장을 소수의다국적 기업이독과점화로 시장진입이 어려움

세계 소프트웨어시장을 소수의다국적 기업이독과점화로 시장진입이 어려움

특정 벤더에 의한시장 독과점화개선 및 자국의기술 자립기반확보를 위해

특정 벤더에 의한시장 독과점화개선 및 자국의기술 자립기반확보를 위해

Page 5: 공개 소스  S/W  동향

공개소스 S/W 활용분야

Page 6: 공개 소스  S/W  동향

Widely accepted benefits of F/OSS adoptionReduced costs lead to affordable software for

individuals, enterprises and governments.Less dependency on imported technology and skills.Universal access through mass software roll out

without implications of costly licensing.Access to public information without barriers of

proprietary software and data formats.Lowered barriers to entry for software businesses.Participation in global networks of software

development.Reduced security risks due to extensive peer review

and access to source code.출처 : “Economical and Social Benefits of F/OSS, Report D09, Version 2.7, 12 July 2006, www.tOSSad.org

Page 7: 공개 소스  S/W  동향

Priority of F/OSS reasons from a government's point of viewprotection from coercion or threats from corporate

entities that develop and control the software upon which your government depends.

greater control of the software upon which your national security depends.

greater national economic potential for companies internal to your nation to develop, improve and support software without dependence on partnerships with corporations outside your country.

reduced litigation and international pressure regarding issues of "piracy".

cost savings 출처 : “Economical and Social Benefits of F/OSS, Report D09, Version 2.7, 12 July 2006, www.tOSSad.org

Page 8: 공개 소스  S/W  동향

각국의 정책 동향 – 국외 동향

국외 동향국외 동향

개발 촉진 정책강화

유럽 지역

수요 촉진 정책상대적으로 강화

동북아 , 중남미국가

공공부문 중심의공개소스 SW

도입확산을 위한법적 기반 마련

브라질 , 중국 ,이탈리아

공개소스 SW도입을 권고

영국 , 호주

Page 9: 공개 소스  S/W  동향

각국의 정책 동향 – 국외 동향 (cont.)

윈도 기반인 중앙 부처 및 산하 기관의 정보시스템 운영체제를 리눅스로 전면 전환할 것임을 발표

윈도 기반인 중앙 부처 및 산하 기관의 정보시스템 운영체제를 리눅스로 전면 전환할 것임을 발표

일본

공개 소프트웨어가 갖는 시스템 안정성 및 보안성 때문에 전자정부 프로젝트에 공개 소프트웨어 도입을 장려

공개 소프트웨어가 갖는 시스템 안정성 및 보안성 때문에 전자정부 프로젝트에 공개 소프트웨어 도입을 장려

독일

정부 조달시 리눅스 관련 제품을 채택할 것을 권고

정부 조달시 리눅스 관련 제품을 채택할 것을 권고

공개 소프트웨어를 보안성 측면에서 도입을 권고

공개 소프트웨어를 보안성 측면에서 도입을 권고

중국 미국

국외동향국외동향

Page 10: 공개 소스  S/W  동향

유럽

출처 : “Economical and Social Benefits of F/OSS, Report D09, Version 2.7, 12 July 2006, www.tOSSad.org

Page 11: 공개 소스  S/W  동향

유럽

Page 12: 공개 소스  S/W  동향

EDOS EDOS stands for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Open Source software. EDOS is a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as a STREP project under the IST activities of the 6th Framework Programme. The project involves universities - Paris 7, Tel Aviv, Zurich and Geneva Universities -, research institutes - INRIA - and private companies - Caixa Magica, Nexedi, Nuxeo, Edge-IT and CSP Torino.

The project aims to study and solv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open source software packages.

http://www.edos-project.org/xwiki/http://www.edos-project.org/xwiki/

Page 13: 공개 소스  S/W  동향

CALIBRE CALIBRE is an EU FP6 Co-ordination Action project, involving

the leading authorities on libre/open source software. CALIBRE brings together an interdisciplinary consortium of 12 academic and industrial research teams from France, Ireland, Italy, the Netherlands, Poland, Spain, Sweden, the UK and China.

The two-year project will:establish a European industry open source software

research policy forum foster the effective transfer open source best practice

to European industry integrate and coordinate European open source

software research and practice

http://www.calibre.ie/http://www.calibre.ie/

Page 14: 공개 소스  S/W  동향

tOSSad (towards Open Source Software adoption and Dissemination) The main objective of the tOSSad project is to start integrating

and exploiting already formed methodologies, strategies, skills and technologies in F/OSS domain in order to help governmental bodi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MEs to share research results, establish synergies, build partnerships and innovate in an enlarged Europe

Main tOSSad coordination activities are: F/OSS study F/OSS national programs F/OSS usability study F/OSS curriculum development http://www.tossad.org/http://www.tossad.org/

Page 15: 공개 소스  S/W  동향

tOSSad (towards Open Source Software adoption and Dissemination) Main curriculum development items are as follows

Courses and curricula about using the most popular F/OSS desktop applications - F/OSS office automation software, mail applications, Web browsers, Wiki's, etc. - even on proprietary operating systems.

Courses and curricula about F/OSS server application & management - Linux operating system – Application Server (Tomcat), Web Server (Apache), databases, middleware, and related system applications.

Courses and curricula about F/OSS software development tools – IDE (Eclipse), Versioning System and related tools.

Courses and curricula about how to develop and take advantage of F/OSS software from the software engineering of F/OSS. They are related to ongoing research on methodologies and tools for F/OSS development, and aim to train software developers able to build, customize and consult on F/OSS applications, being active members of the F/OSS development community.

Use of F/OSS software in computer science courses and curricula, as a cheap and powerful mean to help understanding the computer science concepts.

http://www.tossad.org/http://www.tossad.org/

Page 16: 공개 소스  S/W  동향

OSS2007 Conference The goal of OSS 2007 is to provide an international forum

where a diverse community of professionals from academia, industry and public administration can come together to share research findings and practical experiences. The conference is also meant to provide information and education to practitioners, identify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to be an ongoing platform for technology transfer.

http://oss2007.dti.unimi.it/

Page 17: 공개 소스  S/W  동향

미국

출처 : “Use of Free and Open-Source Software (FOSS) in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The MITRE Corporation, 2002

Page 18: 공개 소스  S/W  동향

국내 동향

우리나라공개소스 SW 확산의

장애요인

우리나라공개소스 SW 확산의

장애요인

- 기술 지원 체계 미흡

- 전문 인력 부족

- 기술 지원 체계 미흡

- 전문 인력 부족

공급 측면공급 측면

- 높은 시장 진입 장벽

- 성공 사례 부족

- 호환성 결여

- 높은 시장 진입 장벽

- 성공 사례 부족

- 호환성 결여

수요 측면수요 측면

Page 19: 공개 소스  S/W  동향

국내 동향 (cont.)

다양한 기업 및 개발자 커뮤니티를 통하여 개발되기 때문에 호환성이 부족하다는 인식 ☞ ETRI 와 민간기업 컨소시엄을 통해 표준 리눅스 스펙인 “ 부요 (Booyo)”를 개발

공개 소프트웨어 확산의 가장 큰 현실적장애 요인은 특정기술과 제품을 명시하는 시장 진입 장벽 .☞ 2004 년 12 월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에서 “ 전자정부사업 공개소프트웨어 도입 권고안” 통과

전문기업 및 전문인력부족으로 제대로 된기술지원을 받을 수 없다는 인식☞ 정부는 리눅스를 중심으로전문인력을 양성하고 ,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내에 “ 공개소프트웨어 기술지원센터” 를 설치

성공 사례와 우수한 상용 소프트웨어가 부 족하다는 인식 . ☞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 “ 시범 사업” 을 통하여 기술적 안정성 입증 솔루션을 알리기 위해 “ 공개 기반 기업과 제품정보 가이드” 발간

제약 요인 해소를 위한 주요 정책

첫 째첫 째 둘 째둘 째

셋 째셋 째 넷 째넷 째

Page 20: 공개 소스  S/W  동향

커뮤니티

국내국내

국외국외

sourceforge.net - 대표적인 커뮤니티로 현재 130만명의 개발자와 11 만 개 이상의 개발 프로젝트를 운용중 . 아파치 , 파이션 , KDE 등 수많은 주요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음 .

sourceforge.net - 대표적인 커뮤니티로 현재 130만명의 개발자와 11 만 개 이상의 개발 프로젝트를 운용중 . 아파치 , 파이션 , KDE 등 수많은 주요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음 .

아직까지 질의응답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 활동이 국내에서만 머무르고 국제적인 활동에 동참하거나 기여하는 부분이 매우 미진 .다양하고 성숙한 기술의 발전을 위해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국내 개발자 커뮤니티의 육성이 시급 .

아직까지 질의응답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 활동이 국내에서만 머무르고 국제적인 활동에 동참하거나 기여하는 부분이 매우 미진 .다양하고 성숙한 기술의 발전을 위해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국내 개발자 커뮤니티의 육성이 시급 .

커뮤니티를 통한 많은 참여자로 안정적인 소프트웨어를 생산 가능많은 기능들을 분담하여 개발함으로 단시간에 다양하고 성숙한 기능을

생산 커뮤니티 활동은 훌륭한 인력 양성의 장이 될 수 있으며 , 기술

확보로 창업의 기회 가능

Page 21: 공개 소스  S/W  동향

기술 로드맵

<2005 년 가트너에서 보고된 공개 소프트웨어 기술 로드맵>

Page 22: 공개 소스  S/W  동향

가상 인프라 환경 (VINE) - ETRI

Static & Over-ProvisioningStatic & Over-Provisioning

Just in case!Just in case!

Service 0

Service 1

Service 2

On-demand Provisioning On-demand Provisioning

Just in time!Just in time!

Virtualized Resource Pool

Virtual Server 0

Virtual Server 2

Virtual Server 1

Service 0

Service 1

Service 2

Raw system

Page 23: 공개 소스  S/W  동향

서버에서 중앙공급PC 마다 설치

패키지 패키지 SWSW

Client PC

SOD ServerSOD Server

Client PC

SW 온디맨드

SW SW 온디맨드 서비스

불법복제방지

관리비용감소

인스톨불필요

SW 가 필요할 때마다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서비스

Page 24: 공개 소스  S/W  동향

SW 스트리밍 기술Client Server

ApplicatioApplication n

ManagerManager

ApplicatioApplication n

ManagerManager

StreaminStreaming g

ManagerManager

StreaminStreaming g

ManagerManager App Repository Disk Control

Licensing & Billing

Session Control Network Status

30% streamed

70% remained

Streamed Application

100% Installed

DiskDiskDiskDisk

CPUCPU

Local Application

Disk

OOSSOOSS

Virtual PagingVirtual PagingVirtual PagingVirtual Paging

ServerServer 의 의 DiskDisk 를 를 Local DiskLocal Disk 로 사용로 사용ServerServer 의 의 DiskDisk 를 를 Local DiskLocal Disk 로 사용로 사용

InternetInternetInternetInternet

인터넷을 시스템 버스로 사용

30% Streamed

Page 25: 공개 소스  S/W  동향

WAS, JBOSS & EclipseJBoss

공개 SW 기반의 J2EE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이며 J2EE 와 거의 호환됨 미국의 대표적인 호텔체인점인 “라 퀀터 인스”는 새로운 온라인 예약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금까지 사용해온 BEA 시스템의 웹로직 어플리케이션 서버 대신에 공개 SW WAS인 JBoss 를 채택

Eclipse자바 개발 공용환경을 사용하기 편리하게

구현하였음 단일 프로그래밍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개발툴을 함께 사용할 수 있음

Page 26: 공개 소스  S/W  동향

표준화 동향

시스템 자원 관리의 규격인

DTMF 의 CIM 과 WBEM 표준 서비스 가용성에 대한 규격인 AIS, 문서 포맷의 표준인 ODF 등이 있음

리눅스 배포판 간 바이너리 응용의 호환 성을 증대 , H/W 와 S/W 의 이질성으로발생하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이식의 복잡성의 감소

CGL 규격은 리눅스를 통신장비와 같은 실시간성 , 고가용성 , 고신뢰성을 요구하는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규격 . DCL 규격은 리눅스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같은 중요업무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규격

프로그램과 디렉토리의 위치를 예견할 수 있 게 하고 ,

사용자로 하여금 설치된프로그램과 디렉토리의 위치를 예견할 수 있게 함

표준화 동향

LSB 규 격LSB 규 격 FHS 규 격FHS 규 격

CGL, DCL 규 격CGL, DCL 규 격 기 타 규 격 들기 타 규 격 들

Page 27: 공개 소스  S/W  동향

국내 표준 리눅스 규격 , 부요(Booyo)

표준 규격서인 동시에 규격 구현물인 표준판 . 사용상의 호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고 국외 배포판에 대등한 수준의 운영체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국내뿐만 아니라 , 국외 여러 나라에서도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자국의 운영체제를 확보함으로써 자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고 주요 시스템의 보안과 관련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자 추진중에 있음

예 ) 중국 RPLinux, 필리핀 Bayanihan, 태국 TLE Linux, 말레시아 Mimos Linux, 인도 CDAC Linux, 스페인 bnuLixEX 등

국내뿐만 아니라 , 국외 여러 나라에서도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자국의 운영체제를 확보함으로써 자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고 주요 시스템의 보안과 관련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자 추진중에 있음

예 ) 중국 RPLinux, 필리핀 Bayanihan, 태국 TLE Linux, 말레시아 Mimos Linux, 인도 CDAC Linux, 스페인 bnuLixEX 등

Page 28: 공개 소스  S/W  동향

한중일 OSS 활성화 포럼한국 , 중국 , 일본의 협력

2004 년 4월 중국 베이징에서 “동북아 공개소스 소프트웨어 포럼” 결성 , 그 이후 일본 , 한국을 순회하며 포럼을 개최2007 년 9월에 제 6회 포럼 개최 예정

특정 업체의 지배적인 구도에 대안적 방법을 동북아 3국이 공동으로 모색

3개의 분과 (Work Group) 로 구성WG1: 기술개발테스트WG2: 인력양성WG3: 표준화

Page 29: 공개 소스  S/W  동향

한중일 OSS 활성화 포럼2003 년 3월 1차 중국 북경 회의 (10 개항 )

이용의 우호적인 활성화에 노력리눅스 문자셋 표준화에 노력리눅스기반 데스크톱 , 오피스 개발에 노력임베디드 협력에 노력전자정부에서 리눅스 활성화에 노력중소기업 지원에 노력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벤더 지원에 노력동북아 아시아 세계 커뮤니티에 기여인력 양성에 노력정책연구 및 정보 교환

이용의 우호적인 활성화에 노력리눅스 문자셋 표준화에 노력리눅스기반 데스크톱 , 오피스 개발에 노력임베디드 협력에 노력전자정부에서 리눅스 활성화에 노력중소기업 지원에 노력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벤더 지원에 노력동북아 아시아 세계 커뮤니티에 기여인력 양성에 노력정책연구 및 정보 교환

Page 30: 공개 소스  S/W  동향

한중일 OSS 활성화 포럼2003 년 7월 2차 일본 회의

기술개발 및 평가 워킹그룹 , 인력양성 워킹그룹 ,

표준화 워킹그룹 등 3개의 워킹그룹 결정을 합의

기술개발 및 평가 워킹그룹 , 인력양성 워킹그룹 ,

표준화 워킹그룹 등 3개의 워킹그룹 결정을 합의

2003 년 7월 2차 일본 회의 이 후

워킹그룹별로 회의를 정기적으로 가져 , 기술개발 및 평가 워킹그룹 : 3 국 개발자가 참여하는

커뮤니티를 구성하여 공통 기반기술 개발을 준비 중 인력양성 워킹그룹 : 한•중•일 3국간 통용되는 공개

소프트웨어 인력양성 커리큘럼 , 경진대회 , 자격증 제도 마련 중

표준화 워킹그룹 : 한•중•일 문자에 대한 입력 방식 표준 구현 진행 중

워킹그룹별로 회의를 정기적으로 가져 , 기술개발 및 평가 워킹그룹 : 3 국 개발자가 참여하는

커뮤니티를 구성하여 공통 기반기술 개발을 준비 중 인력양성 워킹그룹 : 한•중•일 3국간 통용되는 공개

소프트웨어 인력양성 커리큘럼 , 경진대회 , 자격증 제도 마련 중

표준화 워킹그룹 : 한•중•일 문자에 대한 입력 방식 표준 구현 진행 중

Page 31: 공개 소스  S/W  동향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