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14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1) 주 기 중 * · 박 병 화 **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Manufacturing Flexi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 Evidence from Manufacturing Firms in Daegu Gyeongbuk Ju, Ki Jung · Park, Byeong Hwa 국문 요약

Transcript of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Page 1: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Vol. 14, No. 2, 2015.10, pp. 51~64

5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1)주 기 중* · 박 병 화**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Manufacturing Flexi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 Evidence from Manufacturing Firms in Daegu・Gyeongbuk

Ju, Ki Jung · Park, Byeong Hwa

국문요약

불확실한경영환경속에서기업은생존과성장을위해다양한전략적대안을모색하고있는가운데,

제조 유연성은 생산운영관리 관점에서 환경으로 부터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관심을받고있다. 본연구는제조유연성, 기술혁신, 경영성과의구조적관계를연구모형과가설로제안

하고, 대구와 경북지역에 소재하는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연구모형에서는 기술혁신을

제품혁신과공정혁신으로 구분하였고, 경영성과는 제조 유연성과 직접적인 관련성이높은시장성과와

제조성과로구성된 2차요인으로설정하였다. 본연구의실증분석결과제조유연성은경영성과에직접

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혁신 및 공정혁신과 같은 기술혁신을 매개할 때 경영성과가

더나아진다는것을확인하였다. 또한제품혁신과공정혁신도경영성과에긍정적인영향을주고있었다.

본 연구의결론에서는제조기업의상황에서불확실한경영환경에효과적이고효율적으로대응하기위

해서는환경변화에민첩하게적응할수있는제조유연성을확보하는것이필요함을강조하였고, 제조

유연성은 기술혁신과 경영성과를 개선하는 중요한 활동이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주제어 : 제조 유연성, 제품혁신, 공정혁신, 시장성과, 제조성과

* 대구테크노파크 기술사업화팀 연구원, 주저자, (Senior Researcher, Technical Commercialization Team, Daegu

Technopark, Primary Author),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53-757-4137** 한남대학교 비즈니스통계학과 조교수, 교신저자,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usiness Statistics, Han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42-629-7518

Page 2: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52 주 기 중․박 병 화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Abstract

While firms in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s seek for various strategic alternatives in

order to survive and develop, manufacturing flexibility receives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manage uncertainty in business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operations manage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manufacturing flexi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by empirically analyzing manufacturing firms in

Daegu-Gyeongbuk, Korea. In the research model, technological innovation is subdivided into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and firm performance, a second order factor, is formed by two

first order factors such as market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manufacturing flexibility.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manufacturing

flexibility directly influences firm performa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uch as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y and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positively affect firm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re is a need for manufacturing flexibility in order to promptly

respond to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nd manufacturing

flexibility can be a critical source for improving technology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KeyWords : Manufacturing Flexibility,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Market

Performance, Manufacturing Performance

Ⅰ. 서 론

오늘날의기업들은불확실한경영환경에직면하고있으며, 이러한불확실성은글로벌화로인해넓어지

고예측이어려워진경쟁시장, 기술개발및기술변화의가속화에따른제품수명주기의단축, 고객요구의

다양화와높아진기대수준등에기인한다. 기업들이불확실한경영환경에서생존과성장을보장받기위

해서는불확실성의수준과방향을예측하고, 기업의상황과역량에적합한전략을수립하고전개해나가

야한다. 따라서학계와실무에서는기업이처한경영환경의불확실성에대처하고상대적경쟁우위를확

보하기위한다양한전략적대안들이제시되고있으며, 그중제조유연성은원가절감, 품질경영, 시간기

반 경쟁과 더불어 생산운영관리 측면에서 효과적인 대안으로 강조되고 있는 개념이다(오세구, 2010).

기업에서유연성은외부환경의변화에효과적으로대처할수있는능력을말하는데(Gupta and Goyal,

1989), 제조 유연성이란생산운영과관련된자원을활용하여다양한원천으로부터발생하는불확실성에

효과적이고효율적으로대응할수있는역량(Zhang et al., 2003), 변화하는환경이요구하는대로생산자

원을전개하거나재배치하는능력(Duguay et al., 1997)으로정의되고있다. 기업들간의경쟁이심화되고

환경이 주는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제조 유연성의 중요성은 커지게 된다(최규상․오중산, 2010). 제조

Page 3: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5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유연성을갖춘기업은생산운영에서요구되는다른경쟁우선순위예를들면원가절감, 시간기반경쟁, 품

질향상등에영향을주게되어전반적인생산운영역량을높이는계기로이어질수있다(정재진․박준철,

2005).

과거 많은 기업들은 FMS, JIT, CIM과 같은 새로운 첨단생산기술의 도입이 제조 유연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기대 하에 이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으나 그 결과로 실제 성과를 거두었다는 보고는

드문실정이다(Duimering et al., 1993; Slack, 1987). 이러한결과가나타난이유는제조유연성이첨단생

산기술의도입으로확보되는것이아니라기업의역량으로이해되어야하기때문이며(오중산, 2010), 따

라서 제조 유연성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기도 하였다(Oke et al., 2005). 특히

Camison and Lopez(2010)는제조유연성과경영성과의관계에서혁신의매개역할이중요하다는것을주

장하면서혁신의유형을공정, 제품, 조직으로세분화하여각각에대한제조유연성과경영성과에미치는

매개효과를검정하였다. 제조유연성은혁신이없이가능하지만제조유연성이없는혁신은불가능하다

는Bolwijn and Kump(1990)의주장은제조유연성이혁신에선행한다는것을잘설명하고있다. Menor

et al.(2007)의연구는제조유연성이제품혁신의매개역할을통해시장성과와재무성과로이어진다는것

을 발표하였다.

이러한선행연구들의주장을바탕으로본연구는제조유연성과경영성과간의관계를분석하는데있어

제품혁신과공정혁신의매개역할을포함하는구조방정식모델을연구모형으로제시하고대구와경북지역

제조기업을대상으로자료를수집하여실증적으로검정하였다. 구체적으로제조유연성이경영성과에미

치는영향과제조유연성이제품혁신과공정혁신이라는매개변수를통해경영성과에미치는영향을분석

하고, 제품혁신과공정혁신의매개역할이통계적으로유의한지를검정한다. 본연구의구성은서론에이

어 제조 유연성, 혁신, 경영성과 및각 개념간의 관계를 다룬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가 제안하는

연구모형과가설의당위성을설명한다. 실증분석은수집된자료를토대로통계적방법에의해검정하며,

그결과를바탕으로연구의결론과시사점을논의하고, 끝으로향후연구를위한본연구의한계점을제

시한다. 본연구의결과를통해불확실한경영환경하에서생존과성장을위해서기업은생산운영관점에

서의경쟁력강화에바탕이되는제조유연성확보의필요성을강조하고나아가제조유연성확보는기업

의생산운영역량을갖추는데시너지역할을할뿐아니라기술혁신과경영성과개선의촉진제가될것이

라는 의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유연성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Gupta and Goyal, 1989), 넓은 범위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Hyun and Ahn, 1992), 시간과 노력 그리고 성과 등 희생을

최소화하면서변화나변화에대처하는기업의능력(Upton, 1995) 등으로정의되고있음을볼때유연성

은 대체로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의미하고 있다(정재진․박준철, 2005).

생산운영관리관점에서제조유연성은고객의다양한요구에의해나타나는불확실성을해결하기위해

Page 4: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54 주 기 중․박 병 화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필요한자원을관리하는기업의능력으로정의할수있다(오세구, 2010). 유연성은원가, 품질, 납기(혹은

신뢰성)와 더불어 생산운영관리의 경쟁우선순위 요소로 거론되고 있다(Hayes and Wheelwright, 1984).

Hayes and Wheelwright(1984)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한 경쟁우선순위 요소로서의 제조 유연성은 크게

제품유연성과수량유연성으로구분된다. 제품유연성은기능, 형태, 색깔등의측면에서고객들의다양성

추구성향에 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수량유연성은 수요의 변화에 맞추어 생산용량을 통제할 수

있는능력을말한다. 만약기업이생산하는제품에서제품유연성이결여될경우고객을상실할수있으며,

수량유연성이부족할경우제품고갈과과잉재고가빈번하게발생하여재고와관련된비용의상승을유발

하게된다. Hayes and Wheelwright(1984)가제안한제품유연성과수량유연성은생산운영에서의제조유

연성을측정하는도구로상당기간관심을받아왔다(Flynn et al., 1999). 이후제조유연성은제품및수량

유연성외에도신속한설계변경, 제품믹스, 생산일정, 고객요구에적합한제품생산등으로개념의범위가

확대되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예를 들어, Boyer and McDermott, 1999; Frohlich and Dixon, 2001;

Krause et al., 2001).

Slack(1991)은제조유연성은시장, 기술, 제품그리고고객등다양한원천으로부터발생하는경영환경

의불확실성하에서기업의성과를개선하는데중요한역할을한다는주장을제기하였다. Slack(1991)의

주장이제기된이후, 제조유연성과기업성과간의인과관계를밝히기위한연구들이활발하게진행되어

왔다(오중산, 2010; Chang et al., 2006; Gerwin, 1993; Oke et al., 2005; Pagell and Karuse, 2004; Upton,

1994; Zhang et al., 2003). 제조유연성과기업의성과간의인과관계에관한연구들은몇가지특징을지닌

다. 첫째, 제조유연성의차원을확대하는데관심을가져왔다. 기존의제품유연성과수량유연성이외기업

및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조 유연성은 다양한 차원에서 측정되고 설명하는데 관심을 가져왔다

(Chang et al., 2006; Gerwin, 1993). 둘째, 제조유연성을통해얻을수있는기업의성과에관심을가져왔

다. 제조유연성은생산운영관리관점에서의접근이기때문에제조분야와직접적인관련성이있는성과

를측정하는것이바람직하다는것이다(오중산, 2010; Pagell and Karuse, 2004; Zhang et al., 2003). 셋째,

제조유연성과경영성과의인과관계를보다명확하고구체적으로설명해줄수있는매개변수의탐색과

역할에관심을가져왔다. 제조유연성과경영성과의관계에서제품, 기술, 조직차원의혁신이나, 조직구

성원들이가지는만족과몰입등이주요매개변수로연구되거나다차원으로구성된유연성들이매개변수

로 연구되기도 하였다(오중산, 2010; 최규상․오중산, 2010; Camison and Lopez, 2010).

지금까지연구된선행연구들을토대로본연구는제조유연성과기술혁신그리고경영성과간의구조

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며, 제조 유연성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가설로 제시하였다.

<가설 1> 제조 유연성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변화하는시대에기업은혁신을지속적으로하지않고는경쟁의대열에서승자가되기어렵다(안

영진, 2010). 혁신에대해 Schumpeter(1934)는창조적파괴라고표현하였고, Shapiro(2002)는기업에게월

등한가치를주는기업의핵심역량이라고하였다. 혁신에관한연구는 Schumpeter(1934) 이래로지금까

지꾸준히연구되어온주제로환경불확실성이높아진오늘날에는무엇보다중요하게관심을받고있으며,

Page 5: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55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따라서이론적으로상당한성과를거두어왔다. 혁신은접근방법에따라구분되어질수있는데먼저속도

를기준으로점진적혁신과급진적혁신으로구분할수있고(Shapiro, 2002), 혁신의대상에따라제품혁

신, 공정혁신, 사회적 혁신, 시장혁신, 조직혁신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Schumpeter, 1934; OECD, 2005),

접근방법에 따라 탐색혁신과 활용혁신으로 구분되기도 한다(March, 1991).

Camison and Lopez(2010), Menor et al.(2007) 등의연구에의하면제조유연성은혁신을통해경영성

과에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는주장을실증분석을통해밝히고있다. 제조유연성은유형의재화즉제

품을생산하는것과깊은관련이있다. 따라서제조유연성은제품과공정을혁신하는데영향을줄것이

라는기대를할수있다. 이에본연구는제조유연성과직접적인관련성이높은제품및공정혁신을통해

경영성과로이어지는관계를살펴본다. 구체적으로제조유연성이제품및공정혁신에미치는영향과제

품및공정혁신이경영성과에미치는영향그리고제조유연성과경영성과간의관계에제품및공정혁신

의 매개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며, 이에 대한 가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가설 2> 제조 유연성은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제조 유연성은 공정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제품혁신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공정혁신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제품혁신은 유연성과 경영성과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7> 공정혁신은 유연성과 경영성과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이론적배경에대한검토를통해제시한본연구의가설을 <그림 1>과같은구조방정식모형의

연구모형으로 표시하였다.

<그림 1> 연구모형

Page 6: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56 주 기 중․박 병 화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Ⅲ. 연구방법

1. 측정도구의 개발

본연구는제조유연성, 기술혁신, 경영성과의구조적관계를살펴보고있으며, 앞서서론에서는연구의

배경과목적을그리고이론적배경과가설에서관련된선행연구의검토를통해연구모형과가설을제시

하였다. 본연구에서제시한연구모형은구조방정식모형으로구성되어있으며, 따라서연구모형에제시된

각변수에대해선행연구에서신뢰성과타당성이인증된구조화된측정도구를개발하고, 본연구의목적

에 맞게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1․2차 요인 측정내용 관련연구

제조 유연성

F1 수량유연성

Camison and Lopez(2010)

Pagell and Krause(2004)

F2 제품유연성

F3 제품믹스

F4 고객요구 충족능력

제품혁신

I1 신제품 생산능력

Camison and Lopez(2010)

Damanpour(1991)

Prajogo and McDermott(2011)

I2 신제품 개발 및 출시속도

I3 제품범위 확장능력

I4 제품디자인과 기능 개선능력

공정혁신

I5 혁신적인 공정기술 도입과 습득

I6 최신 기술과 참신한 기술 활용

I7 새로운 공정과 기술의 신속한 도입

I8 생산기술과 공정 경쟁력

시장성과

(MKP)

P1 고객평가 만족

Camison and Lopez(2010)

Kristal et al.(2010)

Peng et al.(2008)

P2 클레임 감소

P3 시장점유율 만족

제조성과

(MAP)

P4 생산성 향상

P5 수익성 향상

P6 사업성과 만족

<표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관련연구

제조유연성은Camison and Lopez(2010), Pagell and Krause(2004)의연구에서제시된측정도구를활

용하였으며, 수량유연성과 제품유연성을 포함한 4개 문항을 이용하였다. 제품 및 공정혁신은 Camison

and Lopez(2010), Damanpour(1991), Prajogo and McDermott(2011)의연구에서신뢰성과타당성이인정

된측정도구를활용하였다. 제품혁신은신제품개발과제품개선및확장능력등을중심으로, 공정혁신은

새로운공정의도입과흡수를중심으로각각 4개문항으로구성하였다. 제안된연구모형에서경영성과는

시장성과와 제조성과로 구성된 2차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Camison and Lopez(2010), Kristal et

al.(2010), Peng et al.(2008)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시장성과는 고객평가와 지각된

Page 7: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57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시장점유율을중심으로, 제조성과는제품과관련된생산성및수익성을중심으로각각 3개문항으로구성

하였다. 본연구에사용된측정도구와관련선행연구를 <표 1>에제시하였다. 개발된측정도구는설문지

법의형태로자료를수집하였으며, 설문의각문항에동의하는정도가높은경우 5점, 낮은경우 1점으로

설계하였다.

2. 자료

본연구의실증분석을위한자료는 <표 1>에제시된변수별각문항에대해설문지법을이용하여수집

하였으며, 연구대상은대구와경북지역에소재하는제조업을대상으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6월부

터약 2개월간에걸쳐사전연락에의한전자설문, 전자우편및우편그리고조사의내용을숙지하고있는

조사원이 직접 방문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기업당 1개 자료를 수집한 관계로 본 설문지의

내용을이해하고정확하게응답할수있는중간관리자이상이응답하도록요구하였다. 수집된자료가운

데하나의번호에만집중적으로표시하거나응답의완성도가떨어지는자료그리고응답이중단된자료

등을 제외한 279개 자료가 실증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특성은 <표 2>와 같다.

구분 빈도(n) 비율(%)

직원수

50인 미만 96 34.4

50인 이상 - 300인 미만 58 20.8

300인 이상 - 500인 미만 67 24.0

500인 이상 58 20.8

업종

자동차부품 93 33.3

기계/금속 85 30.5

전기/전자 34 12.2

섬유/화학 17 6.1

기타 50 17.9

주 : n=279

<표 2> 자료의 특성

Ⅳ. 실증분석

1.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

연구모형의타당성과가설의검정에앞서수집된자료의신뢰도와타당성을분석하였으며, 확인요인분

석의결과와상관관계분석의결과를활용하여검정하였다. 먼저확인요인분석을통해하나의요인에적

재된 요인부하계수의 크기 및 통계적 유의성, 각 요인의 복합신뢰도, 평균분산추출계수를 확인하였다.

Hair et al.(2006), Hatcher(2003)에의하면확인요인분석에서자료가신뢰서및타당성을인정받기위해서

는요인부하계수가 0.60 이상이면서통계적으로유의하고, 복합신뢰도(CR)는 0.70 이상, 평균분산추출계

Page 8: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58 주 기 중․박 병 화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수는(AVE) 0.50 이상이어야 한다.

확인요인분석 과정에서 제품혁신의 I1(신제품 생산능력)과 공정혁신의 I8(생산기술과 공정경쟁력)이

신뢰성과타당성기준에충족되지못하여제거되었다. 이들두변수를제고한후의확인요인분석의결과

와CR 및AVE를 <표 3>에서보여주고있다. <표 3>에서부하량으로표시된열의수치는요인부하계수

를의미하며모두 0.60 이상이면서, t 값은유의수준 0.001에서요구하는기각역보다높은값을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CR은 0.80 이상으로내적일관성을확보한것으로나타났으며, AVE도 0.60 이상으로집중타

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요인분석결과의 적합도는 =193.997(96), =2.021,

RMR=0.055, GFI=0.923, AGFI=0.892, NFI=0.941, CFI=0.969, RFI=0.926, RMSEA=0.061로 나타났다.

한편, 변수간판별타당성이인정되기위해서는신뢰구간이나 차이그리고AVE를이용하는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는AVE를이용하는방법을적용하였다. 이 방법은두변수간의상관관계계수를구하고,

이를 AVE와 비교하여 상관관계계수가 AVE의 제곱근보다 작을 때(혹은 상관관계계수 제곱을 AVE와

비교하기도 함) 판별타당성을 인정하게 된다.

1․2차 요인 부하량 t 값 C.R. AVE

제조 유연성

F1 0.73 14.17

0.88 0.85 0.67F2 0.87 -

F3 0.86 18.56

F4 0.81 16.65

제품혁신

I2 0.88 18.7

0.87 0.87 0.70I3 0.88 -

I4 0.73 14.27

공정혁신

I5 0.84 15.82

0.87 0.87 0.69I6 0.81 -

I7 0.84 15.80

시장성과

(MKP)

P1 0.75 13.30

0.83 0.82 0.61P2 0.78 -

P3 0.80 14.33

제조성과

(MAP)

P4 0.85 -

0.85 0.85 0.65P5 0.74 14.13

P6 0.82 16.42

기업성과MKP 0.99 -

- 0.98 0.95MAP 0.96 14.26

주 : 는 Cronbach-alpha, C.R.는 복합신뢰도, AVE는 평균분산추출계수임.

<표 3> 확인요인분석에 의한 측정도구의 평가

Page 9: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5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변수 평균 표준편차 (1) (2) (3) (4)

제조 유연성 3.622 0.687 0.817

제품혁신 3.709 0.785 0.681 0.835

공정혁신 4.144 0.761 0.763 0.734 0.832

기업성과 3.605 0.704 0.785 0.757 0.790 0.975

주 : 대각선의 굵게 표시된 이탤릭체는 평균분산추출계수의 제곱근임.

<표 4>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판별타당성 검정

<표 4>는판별타당성검정을위해상관관계계수와 AVE제곱근을비교한결과이다. 대각선상에위치

한값이AVE제곱근이며이를상관관계계수와비교해본바 AVE제곱근보다높은값을보이는상관관계

계수는없는것으로나타나판별타당성이인정된다. 이상의결과로볼때본연구를위해수집한자료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인정되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 및 가설을 검정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연구모형의 타당성 및 가설의 통계적 유의성

본연구는가설검정에앞서구조방정식모형의적합성검토를통해제안된연구모형의타당성을확인하

였다. 구조방정식모형에서는모수가추정된다음모형이자료에얼마나잘일치하는가를검토하여야하

는데주로적합성을통해검토한다. 가장기본적인평가척도인 통계량은구조방정식모형의검정에서

유일하게 통계적 유의수준을 제공하는 검정방법이기는 하나 측정변수의수가 증가하면 가 증가하며,

표본크기에민감하게반응한다는점에서 를자유도로나눈값즉, 상대적적합지수로사용되기도하는

데이값이 2-3 수준일때적정적합이라고판단한다(Hatcher, 2003). 그 외에도RMR(0.10 이하), GFI(0.90

이상), AGFI(0.80 이상), NFI(0.90 이상), CFI(0.95 이상), RFI(0.90 이상), RMSEA(0.08 이하) 등사회과학

분야에서적합도검정에서검토되어야하는주요지표들을확인하였다(괄호안의수치는권고기준임).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224.097(97), =2.310, RMR=0.077,

GFI=0.911, AGFI=0.875, NFI=0.932, CFI=0.960, RFI=0.916, RMSEA=0.069로나타나모든지수들이구조

방정식모형에서의 적합도 권고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모형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연구의가설검정결과는 <표 5>와같이나타났으며, 그결과를요약하면본연구에서제안하고있

는 7개가설모두유의수준 0.01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구체적으로살펴보면제조유연

성이경영성과에미치는영향력은 0.44(t=4.74), 제조유연성이제품혁신에미치는영향력은 0.72(t=11.88)

그리고 제조 유연성이 공정혁신에 미치는 영향력은 0.79(t=12.67)로 나타났으며, 모두 관측유의수준이

0.00으로 유의수준 0.01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유연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0.19(t=3.22), 공정혁신이경영성과에미치는영향력은 0.37(t=4.81)로두가설모두유의수준 0.01에서통

계적으로유의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제안하고있는두매개효과에대한가설도

Page 10: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60 주 기 중․박 병 화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에 대한 가설은 Sobel test(Preacher and Hayes, 2004)에

의해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조 유연성이 제품혁신을 통해 경영성과로 이어지는 경로의 매개효과는

0.14(Z=3.62), 제조유연성이공정혁신을통해경영성과로이어지는경로의매개효과는 0.29(Z=4.77)로두

매개효과공히유의수준 0.01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매개효과는제조유연성이경영성

과에미치는직접효과가통계적으로유의하고, 제품혁신과공정혁신을매개한간접효과또한통계적으로

유의한것으로나타나제품혁신과공정혁신은제조유연성이경영성과에미치는영향에서부분매개효과

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경 로 추정치 S.E. t 값 p 값

제조 유연성 → 기업성과 0.44 0.09 4.74 0.00

제조 유연성 → 제품혁신 0.72 0.06 11.88 0.00

제조 유연성 → 공정혁신 0.79 0.07 12.67 0.00

제품혁신 → 기업성과 0.19 0.05 3.22 0.00

공정혁신 → 기업성과 0.37 0.07 4.81 0.00

제조 유연성→제품혁신→기업성과 0.14 0.04 3.62* 0.00

제조 유연성→공정혁신→기업성과 0.29 0.06 4.77* 0.00

주 : *는 Sobel test(Preacher and Hayes, 2004)에 의한 Z 값( )

<표 5> 가설검정결과 및 추정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성

Ⅴ. 논의 및 결론

본연구는제조유연성이기술혁신과경영성과에미치는영향을구조방정식모형을이용하여검정하였

다. 제조유연성은제품및수량유연성외에도제품믹스및고객요구의충족능력등을포함하여측정하였

으며, 기술혁신은제품혁신및공정혁신과같이제조유연성에영향을직접적으로받는변수들을선정하

였다. 또한경영성과는제조유연성및기술혁신을통해생산된제품에대한시장의반응을의미하는시

장성과와제조분야의성과를의미하는제조성과로구성된 2차요인으로설정하였다. 본연구의실증분석

을 위해 대구와 경북지역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79개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지역중소제조기업을대상으로수집한자료에대해확인요인분석과상관관계분석을실시한결과

수집된자료는구조방정식모형을적용하기에충분한신뢰성과타당성을확보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집중타당성 및 내적일관성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변수간 판별타당성도 인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본연구에서제안한제조유연성, 기술혁신, 경영성과로이어지는연구모형을구조방정

식모형을통해검정한바, 모형의적합도가사회과학에서요구되는적합도수준에부합하는것으로나타

Page 11: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6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나 연구모형의 타당성이 인정되었다. 이는 이론적으로 설계한 연구모형이 측정한 자료에 의해 잘 설명

혹은뒷받침되고있음을의미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제안하고있는가설들은유의수준 0.01에서통계적

으로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이는제조유연성이경영성과, 제품혁신, 공정혁신에미치는영향과제품혁

신과공정혁신이경영성과에미치는영향그리고제품혁신및공정혁신의매개역할이유의함을의미한다.

구체적으로제조유연성은그자체만으로도시장성과및제조성과로구성된경영성과에긍정적인영향

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경영환경이불확실한오늘날에는제조유연성이시장의요구

에신속하게반응할수있을뿐아니라생산의효과및효율과도밀접한관련성이있다는것을설명하고

있다. 제조유연성은제품혁신과공정혁신에도긍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제조기업

이보유한생산수량의조절능력과다양한기능을가진제품의생산능력그리고제품믹스및고객맞춤화

능력은혁신적인새로운제품의생산뿐아니라출시속도, 공정능력개선, 신기술의도입과학습능력에도

긍정적인영향을주는것으로이해할수있다. 따라서제조유연성은제품과공정의혁신을위한바탕이

되는기업의중요한능력이라는것을확인하였다. 제품및공정능력은경영성과에긍정적인영향을주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이는제품혁신과공정혁신이시장의요구에신속하게반응할뿐아니라동시에제조

성과를향상시킬 수있음을보여주고있다. 그리고제품및 공정혁신은제조유연성과경영성과 사이에

매개효과도통계적으로유의한것으로나타났다. 즉, 제조유연성이제품혁신과공정혁신을매개로경영

성과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연구의결과는경영환경의불확실성이높아질수록생산운영영역에서제조유연성의확보가무엇보

다 중요하다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시장 범위의 글로벌화,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산업간 파급효과, 높아진 고객의 다양성 추구성향은 예측을 어렵게 하여 기업이 제품의 수요와

공급을일치시키는것을어렵게하며, 수요와공급의불일치는기업으로하여금불필요한비용을감당하

도록한다. 따라서제조유연성은시장의요구에신속하게반응할뿐아니라경영환경의변화에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생산운영 영역에서 무엇보다 강조되는 전략적 개념이라는

것을보여준다. 특히본연구의결과에서도알수있듯이제조유연성은시장및제조성과를직접적으로

개선할뿐만아니라제품혁신과공정혁신을가능하게하며, 나아가이들기술혁신을통해경영성과를향

상시키는데 기여하므로 기업은 제조 유연성을 개선하는데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본연구에서논의된연구모형과가설에대한검정및결론이가지는의의에도불구하고향후보다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제조기업이 영위하고 있는

산업별로 요구되는 제조 유연성의 개념이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제조 유연성에 대한 개념은 ‘world

class manufacturing'을위해필요한개념을제안한 Hayes and Wheelwright(1984)의 연구이래로지금

까지상당한연구성과를거두고있으며, 따라서제조유연성은연구자에따라매우구체적으로세분화하

여연구하고있다. 즉, 산업별제조유연성개념의적용이달라져야하며, 이는특정산업군에속한기업에

게보다구체적인결과와실무적제안을해줄수있을것으로기대한다. 둘째, 매개변수의확장이필요한

데, 본 연구에서는기술혁신이제조유연성과직접적인관련성이높다는점에서제품혁신과공정혁신만

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혁신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미 기술혁신 외에도 작업자, 작업장, 조직 등을

아우르는 관리혁신의 개념이 연구되고 있으며, 시장혁신, 사회적 혁신 등 혁신의 범위가 넓게 연구되고

Page 12: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62 주 기 중․박 병 화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있는실정이다. 제조유연성은초기에는기술혁신만으로도기대하는성과를줄수있겠으나시간이지남

에따라 다양한혁신영역으로확대되지않으면 역시변화하는환경에적응하기 어려울수있다. 따라서

혁신영역의 확장도 같은 맥락에서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는 점을 밝혀둔다.

Page 13: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6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참 고 문 헌

서창적․백종현, 2002, “외주활동이 제조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 13(1):

33-55.

안영진, 2010, “한국 기업들의 혁신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생산관리학회지 , 21(1): 45-61.

오세구, 2010, “제조 및 제품개발역량이 유연성 및 경쟁능력에 미치는 영향”, 생산성논집 , 24(2): 75-107.

오중산, 2010, “제조유연성과성과간의인과관계: 자동차부품산업과전자부품산업을대상으로한실증연구”,

경영학연구 , 39(2): 309-340.

정재진․박준철, 2005, “생산유연성, 전략유형이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 18(1): 319-338.

최규상․오중산, 2010, “생산요소관련제조유연성이제조성과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POSRI경영연구 ,

10(2): 146-176.

Bolwjin, P.T., and Kumpe, T., 1990, “Manufacturing in the 1990s: Productivity, Flexibility and Innovation”,

Long Range Planning, 23(4): 44-57.

Boyer, K.K., and McDermott, C., 1999, “Strategic Consensus in Operations Strategy”, Journal ofOperations

Management, 17(3): 289-305.

Camison C., and Lopez, A.V., 2010,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y

and Firm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30(8):

853-878.

Chang, S., Chen, R., Lin, R., Tien, S., and Sheu, C., 2006, “Supplier Involvement and Manufacturing

Flexibility,” Technovation, 26(10): 1136-1146.

Damanpour, F., 1991, “Organizational Innovation: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 555-590.

Duguay, C.R., Landry, S., and Pasin, F., 1997, “From Mass Production to Flexible/Agile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17(2): 1183-1195.

Flynn, B.B., Schroeder, R.G., and Flynn, E.J., 1999, “World Class Manufacturing: an Investigation of Hayes

and Wheelwright's Foundation”,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17(3): 249-269.

Frohlich, M.T., and Dixon, J.R., 2001, “A Taxonomy of Manufacturing Strategies Revisited”,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19(5): 541-558.

Gerwin, D., 1993, “Manufacturing Flexibility: a Strategic Perspective”, Management Science, 39(4): 395-410.

Gupta, Y.G., and Goyal, S., 1989, “Flexibility of Manufacturing Systems: Concepts and Measuremen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3(2): 119-148.

Hair, J.F., Anderson, R.E., Tatham, R.L. and Black, W.C.,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6th. ed.,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Hatcher, L., 2003, A Step by Step Approach to Using SAS for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C: SAS Publishing.

Page 14: :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제조 유연성, 기술혁신, 기업성과의 구조적 관계: 대구·경북지역 제조기업을

64 주 기 중․박 병 화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Hayes, R.H., and Wheelwright, S.C., 1984,Restoring our Competitive Edge: Competing through

Manufacturing, Wiley, New York, NY.

Hyun, J., and Ahn, B.H., 1992, “A unifying Framework for Manufacturing Flexibility”, Manufacturing

Review, 5(4): 251-260.

Krause, D.R., Pagell, M., and Curkovic, S., 2001, “Toward a Measure of Competitive Priorities for

Purchasing”,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19(4): 497-512.

March, J.G., 1991,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 Science, 2: 71-87.

Menor, L., Kristal, M.M., and Rosenweig, E., 2007, “Examining the Influence of Operational Intellectual

Capital on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Manufacturing and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9(4):

559-578.

OECD, 2005,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Oslo Manual,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 3rd e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Eurostat, Paris.

Oke, A., Burke, G., and Myers, A., 2007, “Innovation Types and Performance in Growing UK SMEs”,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27(7): 735-753.

Pagell, M. and Krause, D.R., 2004, “Re-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1(6): 629-649.

Peng, D.X., Schroeder, R.G., and Shah, R., 2008, “Linking Routines to Operations Capabilities: A New

Perspective”,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6: 730-748.

Prajogo, D.I., and McDermott, C.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31(7):

712-735.

Preacher, K.J., and Hayes, A.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731

Schumpeter, J.A.,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Shapiro, S.M., 2002, Innovation: A Blueprint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an Age of Change, McGraw-Hill.

Slack, N., 1987, “The Flexibility of Manufacturing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and

Production Management, 7(4): 35-45.

Upton, D.M., 1995, “What Really Makes Factories Flexible?”, Harvard Business Review, 73(4): 74-84.

Zhang, Q., Vonderembse, M.A., and Lim, J.S., 2003, “Manufacturing Flexibility: Defining and Analyzing

Relationships among Competence, Capabi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1(2): 173-191.

논문접수일:2015. 08. 17, 심사완료일:2015. 09. 04, 최종원고:2015. 0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