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38
<10.16873/tkl.2019. 82. 8> 한국문학논총 제82(2019. 8) 485~521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1) 김 민 옥 ** 차 례 1. 들어가는 말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글쓰 기 교육의 관련성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 기 수업 모델과 실제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 5. 나오는 말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포노 사피엔스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는 주체로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 기 교육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에 올라 있는 콘텐츠가 충분히 학생들의 비판적분석적 사고 , 문제해결능력,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읽기 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 이 연구는 2019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 조교수

Transcript of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Page 1: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lt1016873tkl2019 82 8gt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1)김 민 옥

차 례

1 들어가는 말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글쓰

기 교육의 관련성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

기 수업 모델과 실제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

5 나오는 말

국문 록

이 연구의 목적은 포노 사피엔스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는

주체로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

기 교육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에 올라 있는 콘텐츠가 충분히 학생들의 비판적분석적 사고

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읽기

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 연구는 2019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 조교수

48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

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

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

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글쓰기 교육 효과성을 분

석하였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

의적 사고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고 문제해결능력도 소폭 상승하였다 특히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다 아울러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

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웹 미디어 콘

텐츠와 텍스트 읽기의 결합 WTL을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주제

에 관한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포노 사피엔스로 불리는 학생들이 이미 총체적 감

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

가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글

쓰기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주제어 웹 미디어 콘텐츠 포노 사피엔스 학습연계글쓰기 맥루한 세

상을 바꾸는 글쓰기 글쓰기 교육 효과성 문제해결능력 창의

적 사고력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87

1 들어가는 말

영국의 대표 대중매체인 lt이코노미스트gt는 lsquo스마트폰의 행성rsquo이라는

표지 기사를 실으면서 lsquo포노 사피엔스rsquo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내용을 기

사화하였다 이 기사에서는 디지털 문명을 이용하는 신인류 포노 사피엔

스에 대한 정의1)를 내리면서 스마트폰 없이 살 수 없는 새로운 인류 문

명의 시대가 왔음을 제시하고 있다 포노 사피엔스 세대 또는 Z세대 디

지털 세대라 불리는 이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한 대인관

계 형성은 물론이고 교육 및 학습 여가와 취미 생활에 이르기까지 삶의

광범위한 영역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는 중이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

한 특징 중 하나는 무엇보다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선택과 변화를 이끌

어 낸다는 점2)에 있으며 이것을 주체적으로 사용하는 세대의 등장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체계와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면서 근본적으로는 글

쓰기 교육 방법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포노 사피엔스는 무엇보다 다양하게 생성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

인하고 콘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

1)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소통할 수 있고 정보 전달이 빨라져 정

보 격차가 점차 해소되는 등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되고 스마트폰 없이 생활하는

것이 힘들어지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등장한 용어다 영국의 경제주간지 lt이코

노피스트gt가 lsquo지혜가 있는 인간rsquo이라는 의미의 호모사피엔스에 빗대어 포노 사피

엔스(지혜가 있는 폰을 쓰는 인간)라고 부른 데서 나온 말이다(최재붕 985172포노 사

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2) 김양은은 ldquo이 같은 사회적 흐름은 무엇보다 수용자가 이용자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미디어 영역뿐만 아니라 교육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미디어 환

경은 이용자들의 역할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단지 만들어진 정보나 지식을 받아

들이던 수용자의 개념에서 스스로 정보를 찾아내고 형성하는 이용자로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미디어 영역에서 개인 미디어의 성장을 의미한다 개인이 미디어를

생산하게 된다는 것은 미디어에 대한 활용 및 이해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은 이

전보다 더욱 커지고 있다rdquo라고 지적하고 있다(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

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쪽)

48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문자 텍스트에만 집착하지 않으며 인류의 문명

을 창조해 가는 혁명적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혁명적 도구를

통해 포노 사피엔스는 통칭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

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한다 따라서 글쓰기 교육에서 웹 미디어3)

콘텐츠를 활용하는 현상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변화일지도 모른다 맥루

한은 미디어를 인간의 육체나 정신이 확장된 것4)으로 바라보면서 미디

어는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고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몸의

감각을 사용하는 데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주체5)라고 말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는 글쓰기 능력의 기초가 되는 비판적middot분석

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 교양교육에서도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소통과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현대는

웹과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텔레마틱 사회6)이기에 웹 미디어 콘텐츠는

소통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밖에 없고 이는 소통을 중시하는 대학 글쓰

기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동안의 대학 글쓰기 교육은 문자 텍스트(인쇄 매체)를 중심으로 한

사고력 형성을 바탕으로 이를 학술적으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두었고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 역시 이 틀을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하지만

3) 우리는 미디어를 주로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받아

들인다 이는 전통적인 소통 방식만을 가리키는 것인데 이 연구에서 말하는 웹

미디어는 스마트폰으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료를 포함하는 의

미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논자에 따라 웹 미디어와 유사한 용어로 디지털 미디

어 뉴 미디어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4) 이 말은 어떤 미디어 혹은 기술이든 그것은 인간의 확장물 중 하나라는 뜻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웹 미디어는 기존 인쇄 매체보다 보다 더 광범위한 확장물이

라 할 수 있다

5) 마셜 맥루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8-30쪽

6)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81쪽 재인용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89

최근에는 시대와 사회의 특성에 맞는 소통 방식을 고려한 글쓰기 교육

을 위한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많이 진행된 상태다 지금까지 이루

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를 대략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 글의 구성과 생산에 대한 이론 안에서 웹 미디어의 등장

으로 글쓰기 교육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실현이 가능한 방향으로 나

아가야 한다는 황성근의 논의7)를 시작으로 SNS를 통한 글쓰기를 놀이

와 소통으로 인식하고 대학 교양 교육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을 벗어나서 글쓰기 교과 내용에 현재 SNS의 개방 공유 참여 평등 정

신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김윤선의 논의8)가 이루어졌다 이런 논

의와 더불어 디지털 플랫폼의 한 종류인 블로그를 활용하여 글쓰기에

대한 피드백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주민재의 논의9) 디지털 뉴미디어

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물망형 대화를 통해 원형극장식 담론을 형성하여

문주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을 모색해야 한다10)는 사실을 강조하고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구체적인

방법과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민춘기의 논의11) 차세대 플랫폼인 퍼

포먼스를 활용하여 인문 교양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김겸

섭의 논의12) 폐쇄형 SNS를 활용하여 대학 글쓰기 수업을 했을 때 대학

7)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208-

243쪽

8)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240-297쪽

9)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한 교수

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2014 137-165쪽

10)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181-212쪽

11) 민춘기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

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131-172쪽

49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 이지연의 연

구13) 미디어 교육 모형에 기초하여 글쓰기 교육모형을 개발한 이란의

논의14) 디지털을 기반으로 협력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연구

한 이지영의 논의15)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논의만이 디

지털 매체를 글쓰기의 도구가 아닌 사고력의 도구로 활용하고 디지털

매체를 통해 피드백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논의의 핵심은 주

로 학생들이 실제 글쓰기를 수행할 때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디지털 매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고 글쓰기의

소통 방식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논의들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적 차원의 고민을 하고 있다는

데서는 의미가 있지만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이라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든 글

을 쓴다는 행위 자체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매체에서 글을 쓰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떤 매체16)를 통해

사고력을 확장하고 거기서 생성한 사고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 낼 수

12)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4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03-137쪽

13)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753-786쪽

14)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

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8 282-290쪽

15)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구985173 9권 2

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9-41쪽

16) 기존 글쓰기 교육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기본적 읽기와 쓰기 발견과 이해 해석

과 창조 소통 다른 텍스트와 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다 하지

만 디지털 환경으로의 변화는 소통하는 복합양식적 텍스트를 지향하도록 만들

었으며 매체를 통한 교육 매체에 대한 교육 매체언어 의미구성도 포함하게 되

었다(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33-34쪽)는 논의를 참고한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매체를 통한

교육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1

있는가도 중요하기 때문에 특정 디지털 매체를 도구로 활용한 글쓰기

수행보다는 어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와

더불어 사고력과 분석력을 확장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는

일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다양하게 생산된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의 결합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

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한 lt세상을 바꾸는 글

쓰기gt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의 결합 WTL을

적용17)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교육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글쓰기 수업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

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이다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쓰기 교육의 련성

웹 미디어 콘텐츠는 웹(인터넷)상에 있는 여러 매체들(동영상 글 사

진 음악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웹 미디어 발달은 기존 미디어 환경

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미디어 글18) 자체의 변화도

가지고 왔기에 미디어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미

17) 현재는 과거와는 달리 양질의 웹 미디어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글쓰기 능력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18) 미디어 글이란 일반적으로 미디어에서 생산하는 글을 의미하며 미디어의 종류

에 따라 신문 글과 방송 글 잡지 글 웹 미디어 글로 나뉜다(황성근 앞의 논문

212쪽)

49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디어 즉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화의 핵심은 상호 텍스트성에

있19)는데 이러한 디지털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읽기와

쓰기를 요구한다 맥루한이 지적했듯이 현재는 전통적인 매체인 서적이

전자문화적 매체로 이행하는 시기20)이다 이러한 매체적 이동은 단순히

우리가 일정한 지식을 습득하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지식 습득

방식만을 변화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 확장으로 이어지고 글

쓰기 플랫폼의 다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맥루한은 의사소통에서 중심점을 형성하는 것은 매체이며 이를 둘러

싼 여러 주체는 이 매체에 철저히 규정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델에 따

르면 매체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주체의 전달행위의 특성이

결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다rdquo21)란 명제를 통해 맥루한은 이러한 새로

운 의사소통 모델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모델에서 미디어는 메

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이지만 맥루한은 오히려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라

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그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주요 매체를 연구

하였다

맥루한은 인간의 매체 역사를 구술문화 문자문화 전자문화 세 가지

로 구분하였다 구술문화에서는 구두가 주요한 매체 역할을 했으며 문

19)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7-198쪽

20) 맥루한 앞의 책 124-130쪽 참고

21) 맥루한은 공개 석상에서 이 말의 뜻을 감각양식의 상호 작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그는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환경의 생성 과정을 lsquo발화- 외재화-바

깥쪽으로 생성되는 나이테rsquo로 비유하였다 여기서 발화는 내부의 사고를 밖으로

확장하고 드러내는 언어 사용을 말하며 외재화는 기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몸을

벗어나 그것을 확장하여 외부에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미디어로 통칭되

는 인간의 기술적 산물 전체는 모두 외재화의 과정이다 맥루한은 이것을 나무

의 나이테에 비유했다 결국 발화는 인간의 신체와 언어의 문제를 외재화는 인

간 신체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디어들의 메시지가 인간과 사회

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마치 나무가 자신이 속한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그 흔적으로 나이테를 남기는 과정과 유사함을 포착한 것으로 이해된

다(위의 책 비평판 편집자 서문 15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48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

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

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

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글쓰기 교육 효과성을 분

석하였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

의적 사고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고 문제해결능력도 소폭 상승하였다 특히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다 아울러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

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웹 미디어 콘

텐츠와 텍스트 읽기의 결합 WTL을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주제

에 관한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포노 사피엔스로 불리는 학생들이 이미 총체적 감

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

가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글

쓰기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주제어 웹 미디어 콘텐츠 포노 사피엔스 학습연계글쓰기 맥루한 세

상을 바꾸는 글쓰기 글쓰기 교육 효과성 문제해결능력 창의

적 사고력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87

1 들어가는 말

영국의 대표 대중매체인 lt이코노미스트gt는 lsquo스마트폰의 행성rsquo이라는

표지 기사를 실으면서 lsquo포노 사피엔스rsquo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내용을 기

사화하였다 이 기사에서는 디지털 문명을 이용하는 신인류 포노 사피엔

스에 대한 정의1)를 내리면서 스마트폰 없이 살 수 없는 새로운 인류 문

명의 시대가 왔음을 제시하고 있다 포노 사피엔스 세대 또는 Z세대 디

지털 세대라 불리는 이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한 대인관

계 형성은 물론이고 교육 및 학습 여가와 취미 생활에 이르기까지 삶의

광범위한 영역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는 중이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

한 특징 중 하나는 무엇보다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선택과 변화를 이끌

어 낸다는 점2)에 있으며 이것을 주체적으로 사용하는 세대의 등장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체계와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면서 근본적으로는 글

쓰기 교육 방법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포노 사피엔스는 무엇보다 다양하게 생성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

인하고 콘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

1)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소통할 수 있고 정보 전달이 빨라져 정

보 격차가 점차 해소되는 등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되고 스마트폰 없이 생활하는

것이 힘들어지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등장한 용어다 영국의 경제주간지 lt이코

노피스트gt가 lsquo지혜가 있는 인간rsquo이라는 의미의 호모사피엔스에 빗대어 포노 사피

엔스(지혜가 있는 폰을 쓰는 인간)라고 부른 데서 나온 말이다(최재붕 985172포노 사

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2) 김양은은 ldquo이 같은 사회적 흐름은 무엇보다 수용자가 이용자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미디어 영역뿐만 아니라 교육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미디어 환

경은 이용자들의 역할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단지 만들어진 정보나 지식을 받아

들이던 수용자의 개념에서 스스로 정보를 찾아내고 형성하는 이용자로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미디어 영역에서 개인 미디어의 성장을 의미한다 개인이 미디어를

생산하게 된다는 것은 미디어에 대한 활용 및 이해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은 이

전보다 더욱 커지고 있다rdquo라고 지적하고 있다(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

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쪽)

48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문자 텍스트에만 집착하지 않으며 인류의 문명

을 창조해 가는 혁명적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혁명적 도구를

통해 포노 사피엔스는 통칭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

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한다 따라서 글쓰기 교육에서 웹 미디어3)

콘텐츠를 활용하는 현상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변화일지도 모른다 맥루

한은 미디어를 인간의 육체나 정신이 확장된 것4)으로 바라보면서 미디

어는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고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몸의

감각을 사용하는 데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주체5)라고 말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는 글쓰기 능력의 기초가 되는 비판적middot분석

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 교양교육에서도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소통과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현대는

웹과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텔레마틱 사회6)이기에 웹 미디어 콘텐츠는

소통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밖에 없고 이는 소통을 중시하는 대학 글쓰

기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동안의 대학 글쓰기 교육은 문자 텍스트(인쇄 매체)를 중심으로 한

사고력 형성을 바탕으로 이를 학술적으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두었고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 역시 이 틀을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하지만

3) 우리는 미디어를 주로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받아

들인다 이는 전통적인 소통 방식만을 가리키는 것인데 이 연구에서 말하는 웹

미디어는 스마트폰으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료를 포함하는 의

미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논자에 따라 웹 미디어와 유사한 용어로 디지털 미디

어 뉴 미디어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4) 이 말은 어떤 미디어 혹은 기술이든 그것은 인간의 확장물 중 하나라는 뜻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웹 미디어는 기존 인쇄 매체보다 보다 더 광범위한 확장물이

라 할 수 있다

5) 마셜 맥루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8-30쪽

6)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81쪽 재인용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89

최근에는 시대와 사회의 특성에 맞는 소통 방식을 고려한 글쓰기 교육

을 위한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많이 진행된 상태다 지금까지 이루

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를 대략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 글의 구성과 생산에 대한 이론 안에서 웹 미디어의 등장

으로 글쓰기 교육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실현이 가능한 방향으로 나

아가야 한다는 황성근의 논의7)를 시작으로 SNS를 통한 글쓰기를 놀이

와 소통으로 인식하고 대학 교양 교육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을 벗어나서 글쓰기 교과 내용에 현재 SNS의 개방 공유 참여 평등 정

신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김윤선의 논의8)가 이루어졌다 이런 논

의와 더불어 디지털 플랫폼의 한 종류인 블로그를 활용하여 글쓰기에

대한 피드백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주민재의 논의9) 디지털 뉴미디어

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물망형 대화를 통해 원형극장식 담론을 형성하여

문주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을 모색해야 한다10)는 사실을 강조하고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구체적인

방법과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민춘기의 논의11) 차세대 플랫폼인 퍼

포먼스를 활용하여 인문 교양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김겸

섭의 논의12) 폐쇄형 SNS를 활용하여 대학 글쓰기 수업을 했을 때 대학

7)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208-

243쪽

8)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240-297쪽

9)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한 교수

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2014 137-165쪽

10)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181-212쪽

11) 민춘기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

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131-172쪽

49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 이지연의 연

구13) 미디어 교육 모형에 기초하여 글쓰기 교육모형을 개발한 이란의

논의14) 디지털을 기반으로 협력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연구

한 이지영의 논의15)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논의만이 디

지털 매체를 글쓰기의 도구가 아닌 사고력의 도구로 활용하고 디지털

매체를 통해 피드백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논의의 핵심은 주

로 학생들이 실제 글쓰기를 수행할 때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디지털 매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고 글쓰기의

소통 방식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논의들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적 차원의 고민을 하고 있다는

데서는 의미가 있지만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이라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든 글

을 쓴다는 행위 자체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매체에서 글을 쓰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떤 매체16)를 통해

사고력을 확장하고 거기서 생성한 사고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 낼 수

12)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4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03-137쪽

13)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753-786쪽

14)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

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8 282-290쪽

15)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구985173 9권 2

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9-41쪽

16) 기존 글쓰기 교육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기본적 읽기와 쓰기 발견과 이해 해석

과 창조 소통 다른 텍스트와 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다 하지

만 디지털 환경으로의 변화는 소통하는 복합양식적 텍스트를 지향하도록 만들

었으며 매체를 통한 교육 매체에 대한 교육 매체언어 의미구성도 포함하게 되

었다(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33-34쪽)는 논의를 참고한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매체를 통한

교육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1

있는가도 중요하기 때문에 특정 디지털 매체를 도구로 활용한 글쓰기

수행보다는 어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와

더불어 사고력과 분석력을 확장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는

일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다양하게 생산된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의 결합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

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한 lt세상을 바꾸는 글

쓰기gt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의 결합 WTL을

적용17)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교육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글쓰기 수업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

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이다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쓰기 교육의 련성

웹 미디어 콘텐츠는 웹(인터넷)상에 있는 여러 매체들(동영상 글 사

진 음악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웹 미디어 발달은 기존 미디어 환경

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미디어 글18) 자체의 변화도

가지고 왔기에 미디어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미

17) 현재는 과거와는 달리 양질의 웹 미디어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글쓰기 능력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18) 미디어 글이란 일반적으로 미디어에서 생산하는 글을 의미하며 미디어의 종류

에 따라 신문 글과 방송 글 잡지 글 웹 미디어 글로 나뉜다(황성근 앞의 논문

212쪽)

49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디어 즉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화의 핵심은 상호 텍스트성에

있19)는데 이러한 디지털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읽기와

쓰기를 요구한다 맥루한이 지적했듯이 현재는 전통적인 매체인 서적이

전자문화적 매체로 이행하는 시기20)이다 이러한 매체적 이동은 단순히

우리가 일정한 지식을 습득하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지식 습득

방식만을 변화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 확장으로 이어지고 글

쓰기 플랫폼의 다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맥루한은 의사소통에서 중심점을 형성하는 것은 매체이며 이를 둘러

싼 여러 주체는 이 매체에 철저히 규정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델에 따

르면 매체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주체의 전달행위의 특성이

결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다rdquo21)란 명제를 통해 맥루한은 이러한 새로

운 의사소통 모델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모델에서 미디어는 메

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이지만 맥루한은 오히려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라

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그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주요 매체를 연구

하였다

맥루한은 인간의 매체 역사를 구술문화 문자문화 전자문화 세 가지

로 구분하였다 구술문화에서는 구두가 주요한 매체 역할을 했으며 문

19)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7-198쪽

20) 맥루한 앞의 책 124-130쪽 참고

21) 맥루한은 공개 석상에서 이 말의 뜻을 감각양식의 상호 작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그는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환경의 생성 과정을 lsquo발화- 외재화-바

깥쪽으로 생성되는 나이테rsquo로 비유하였다 여기서 발화는 내부의 사고를 밖으로

확장하고 드러내는 언어 사용을 말하며 외재화는 기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몸을

벗어나 그것을 확장하여 외부에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미디어로 통칭되

는 인간의 기술적 산물 전체는 모두 외재화의 과정이다 맥루한은 이것을 나무

의 나이테에 비유했다 결국 발화는 인간의 신체와 언어의 문제를 외재화는 인

간 신체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디어들의 메시지가 인간과 사회

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마치 나무가 자신이 속한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그 흔적으로 나이테를 남기는 과정과 유사함을 포착한 것으로 이해된

다(위의 책 비평판 편집자 서문 15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87

1 들어가는 말

영국의 대표 대중매체인 lt이코노미스트gt는 lsquo스마트폰의 행성rsquo이라는

표지 기사를 실으면서 lsquo포노 사피엔스rsquo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내용을 기

사화하였다 이 기사에서는 디지털 문명을 이용하는 신인류 포노 사피엔

스에 대한 정의1)를 내리면서 스마트폰 없이 살 수 없는 새로운 인류 문

명의 시대가 왔음을 제시하고 있다 포노 사피엔스 세대 또는 Z세대 디

지털 세대라 불리는 이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한 대인관

계 형성은 물론이고 교육 및 학습 여가와 취미 생활에 이르기까지 삶의

광범위한 영역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는 중이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

한 특징 중 하나는 무엇보다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선택과 변화를 이끌

어 낸다는 점2)에 있으며 이것을 주체적으로 사용하는 세대의 등장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체계와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면서 근본적으로는 글

쓰기 교육 방법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포노 사피엔스는 무엇보다 다양하게 생성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

인하고 콘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

1)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소통할 수 있고 정보 전달이 빨라져 정

보 격차가 점차 해소되는 등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되고 스마트폰 없이 생활하는

것이 힘들어지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등장한 용어다 영국의 경제주간지 lt이코

노피스트gt가 lsquo지혜가 있는 인간rsquo이라는 의미의 호모사피엔스에 빗대어 포노 사피

엔스(지혜가 있는 폰을 쓰는 인간)라고 부른 데서 나온 말이다(최재붕 985172포노 사

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2) 김양은은 ldquo이 같은 사회적 흐름은 무엇보다 수용자가 이용자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미디어 영역뿐만 아니라 교육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미디어 환

경은 이용자들의 역할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단지 만들어진 정보나 지식을 받아

들이던 수용자의 개념에서 스스로 정보를 찾아내고 형성하는 이용자로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미디어 영역에서 개인 미디어의 성장을 의미한다 개인이 미디어를

생산하게 된다는 것은 미디어에 대한 활용 및 이해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은 이

전보다 더욱 커지고 있다rdquo라고 지적하고 있다(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

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쪽)

48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문자 텍스트에만 집착하지 않으며 인류의 문명

을 창조해 가는 혁명적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혁명적 도구를

통해 포노 사피엔스는 통칭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

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한다 따라서 글쓰기 교육에서 웹 미디어3)

콘텐츠를 활용하는 현상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변화일지도 모른다 맥루

한은 미디어를 인간의 육체나 정신이 확장된 것4)으로 바라보면서 미디

어는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고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몸의

감각을 사용하는 데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주체5)라고 말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는 글쓰기 능력의 기초가 되는 비판적middot분석

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 교양교육에서도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소통과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현대는

웹과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텔레마틱 사회6)이기에 웹 미디어 콘텐츠는

소통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밖에 없고 이는 소통을 중시하는 대학 글쓰

기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동안의 대학 글쓰기 교육은 문자 텍스트(인쇄 매체)를 중심으로 한

사고력 형성을 바탕으로 이를 학술적으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두었고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 역시 이 틀을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하지만

3) 우리는 미디어를 주로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받아

들인다 이는 전통적인 소통 방식만을 가리키는 것인데 이 연구에서 말하는 웹

미디어는 스마트폰으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료를 포함하는 의

미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논자에 따라 웹 미디어와 유사한 용어로 디지털 미디

어 뉴 미디어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4) 이 말은 어떤 미디어 혹은 기술이든 그것은 인간의 확장물 중 하나라는 뜻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웹 미디어는 기존 인쇄 매체보다 보다 더 광범위한 확장물이

라 할 수 있다

5) 마셜 맥루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8-30쪽

6)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81쪽 재인용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89

최근에는 시대와 사회의 특성에 맞는 소통 방식을 고려한 글쓰기 교육

을 위한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많이 진행된 상태다 지금까지 이루

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를 대략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 글의 구성과 생산에 대한 이론 안에서 웹 미디어의 등장

으로 글쓰기 교육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실현이 가능한 방향으로 나

아가야 한다는 황성근의 논의7)를 시작으로 SNS를 통한 글쓰기를 놀이

와 소통으로 인식하고 대학 교양 교육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을 벗어나서 글쓰기 교과 내용에 현재 SNS의 개방 공유 참여 평등 정

신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김윤선의 논의8)가 이루어졌다 이런 논

의와 더불어 디지털 플랫폼의 한 종류인 블로그를 활용하여 글쓰기에

대한 피드백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주민재의 논의9) 디지털 뉴미디어

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물망형 대화를 통해 원형극장식 담론을 형성하여

문주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을 모색해야 한다10)는 사실을 강조하고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구체적인

방법과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민춘기의 논의11) 차세대 플랫폼인 퍼

포먼스를 활용하여 인문 교양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김겸

섭의 논의12) 폐쇄형 SNS를 활용하여 대학 글쓰기 수업을 했을 때 대학

7)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208-

243쪽

8)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240-297쪽

9)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한 교수

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2014 137-165쪽

10)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181-212쪽

11) 민춘기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

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131-172쪽

49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 이지연의 연

구13) 미디어 교육 모형에 기초하여 글쓰기 교육모형을 개발한 이란의

논의14) 디지털을 기반으로 협력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연구

한 이지영의 논의15)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논의만이 디

지털 매체를 글쓰기의 도구가 아닌 사고력의 도구로 활용하고 디지털

매체를 통해 피드백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논의의 핵심은 주

로 학생들이 실제 글쓰기를 수행할 때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디지털 매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고 글쓰기의

소통 방식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논의들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적 차원의 고민을 하고 있다는

데서는 의미가 있지만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이라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든 글

을 쓴다는 행위 자체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매체에서 글을 쓰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떤 매체16)를 통해

사고력을 확장하고 거기서 생성한 사고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 낼 수

12)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4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03-137쪽

13)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753-786쪽

14)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

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8 282-290쪽

15)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구985173 9권 2

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9-41쪽

16) 기존 글쓰기 교육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기본적 읽기와 쓰기 발견과 이해 해석

과 창조 소통 다른 텍스트와 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다 하지

만 디지털 환경으로의 변화는 소통하는 복합양식적 텍스트를 지향하도록 만들

었으며 매체를 통한 교육 매체에 대한 교육 매체언어 의미구성도 포함하게 되

었다(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33-34쪽)는 논의를 참고한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매체를 통한

교육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1

있는가도 중요하기 때문에 특정 디지털 매체를 도구로 활용한 글쓰기

수행보다는 어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와

더불어 사고력과 분석력을 확장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는

일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다양하게 생산된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의 결합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

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한 lt세상을 바꾸는 글

쓰기gt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의 결합 WTL을

적용17)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교육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글쓰기 수업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

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이다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쓰기 교육의 련성

웹 미디어 콘텐츠는 웹(인터넷)상에 있는 여러 매체들(동영상 글 사

진 음악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웹 미디어 발달은 기존 미디어 환경

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미디어 글18) 자체의 변화도

가지고 왔기에 미디어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미

17) 현재는 과거와는 달리 양질의 웹 미디어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글쓰기 능력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18) 미디어 글이란 일반적으로 미디어에서 생산하는 글을 의미하며 미디어의 종류

에 따라 신문 글과 방송 글 잡지 글 웹 미디어 글로 나뉜다(황성근 앞의 논문

212쪽)

49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디어 즉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화의 핵심은 상호 텍스트성에

있19)는데 이러한 디지털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읽기와

쓰기를 요구한다 맥루한이 지적했듯이 현재는 전통적인 매체인 서적이

전자문화적 매체로 이행하는 시기20)이다 이러한 매체적 이동은 단순히

우리가 일정한 지식을 습득하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지식 습득

방식만을 변화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 확장으로 이어지고 글

쓰기 플랫폼의 다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맥루한은 의사소통에서 중심점을 형성하는 것은 매체이며 이를 둘러

싼 여러 주체는 이 매체에 철저히 규정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델에 따

르면 매체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주체의 전달행위의 특성이

결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다rdquo21)란 명제를 통해 맥루한은 이러한 새로

운 의사소통 모델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모델에서 미디어는 메

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이지만 맥루한은 오히려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라

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그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주요 매체를 연구

하였다

맥루한은 인간의 매체 역사를 구술문화 문자문화 전자문화 세 가지

로 구분하였다 구술문화에서는 구두가 주요한 매체 역할을 했으며 문

19)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7-198쪽

20) 맥루한 앞의 책 124-130쪽 참고

21) 맥루한은 공개 석상에서 이 말의 뜻을 감각양식의 상호 작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그는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환경의 생성 과정을 lsquo발화- 외재화-바

깥쪽으로 생성되는 나이테rsquo로 비유하였다 여기서 발화는 내부의 사고를 밖으로

확장하고 드러내는 언어 사용을 말하며 외재화는 기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몸을

벗어나 그것을 확장하여 외부에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미디어로 통칭되

는 인간의 기술적 산물 전체는 모두 외재화의 과정이다 맥루한은 이것을 나무

의 나이테에 비유했다 결국 발화는 인간의 신체와 언어의 문제를 외재화는 인

간 신체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디어들의 메시지가 인간과 사회

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마치 나무가 자신이 속한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그 흔적으로 나이테를 남기는 과정과 유사함을 포착한 것으로 이해된

다(위의 책 비평판 편집자 서문 15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48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문자 텍스트에만 집착하지 않으며 인류의 문명

을 창조해 가는 혁명적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혁명적 도구를

통해 포노 사피엔스는 통칭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

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한다 따라서 글쓰기 교육에서 웹 미디어3)

콘텐츠를 활용하는 현상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변화일지도 모른다 맥루

한은 미디어를 인간의 육체나 정신이 확장된 것4)으로 바라보면서 미디

어는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고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몸의

감각을 사용하는 데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주체5)라고 말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는 글쓰기 능력의 기초가 되는 비판적middot분석

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 교양교육에서도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소통과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현대는

웹과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텔레마틱 사회6)이기에 웹 미디어 콘텐츠는

소통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밖에 없고 이는 소통을 중시하는 대학 글쓰

기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동안의 대학 글쓰기 교육은 문자 텍스트(인쇄 매체)를 중심으로 한

사고력 형성을 바탕으로 이를 학술적으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두었고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 역시 이 틀을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하지만

3) 우리는 미디어를 주로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받아

들인다 이는 전통적인 소통 방식만을 가리키는 것인데 이 연구에서 말하는 웹

미디어는 스마트폰으로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료를 포함하는 의

미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논자에 따라 웹 미디어와 유사한 용어로 디지털 미디

어 뉴 미디어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4) 이 말은 어떤 미디어 혹은 기술이든 그것은 인간의 확장물 중 하나라는 뜻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웹 미디어는 기존 인쇄 매체보다 보다 더 광범위한 확장물이

라 할 수 있다

5) 마셜 맥루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8-30쪽

6)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81쪽 재인용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89

최근에는 시대와 사회의 특성에 맞는 소통 방식을 고려한 글쓰기 교육

을 위한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많이 진행된 상태다 지금까지 이루

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를 대략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 글의 구성과 생산에 대한 이론 안에서 웹 미디어의 등장

으로 글쓰기 교육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실현이 가능한 방향으로 나

아가야 한다는 황성근의 논의7)를 시작으로 SNS를 통한 글쓰기를 놀이

와 소통으로 인식하고 대학 교양 교육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을 벗어나서 글쓰기 교과 내용에 현재 SNS의 개방 공유 참여 평등 정

신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김윤선의 논의8)가 이루어졌다 이런 논

의와 더불어 디지털 플랫폼의 한 종류인 블로그를 활용하여 글쓰기에

대한 피드백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주민재의 논의9) 디지털 뉴미디어

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물망형 대화를 통해 원형극장식 담론을 형성하여

문주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을 모색해야 한다10)는 사실을 강조하고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구체적인

방법과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민춘기의 논의11) 차세대 플랫폼인 퍼

포먼스를 활용하여 인문 교양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김겸

섭의 논의12) 폐쇄형 SNS를 활용하여 대학 글쓰기 수업을 했을 때 대학

7)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208-

243쪽

8)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240-297쪽

9)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한 교수

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2014 137-165쪽

10)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181-212쪽

11) 민춘기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

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131-172쪽

49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 이지연의 연

구13) 미디어 교육 모형에 기초하여 글쓰기 교육모형을 개발한 이란의

논의14) 디지털을 기반으로 협력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연구

한 이지영의 논의15)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논의만이 디

지털 매체를 글쓰기의 도구가 아닌 사고력의 도구로 활용하고 디지털

매체를 통해 피드백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논의의 핵심은 주

로 학생들이 실제 글쓰기를 수행할 때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디지털 매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고 글쓰기의

소통 방식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논의들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적 차원의 고민을 하고 있다는

데서는 의미가 있지만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이라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든 글

을 쓴다는 행위 자체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매체에서 글을 쓰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떤 매체16)를 통해

사고력을 확장하고 거기서 생성한 사고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 낼 수

12)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4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03-137쪽

13)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753-786쪽

14)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

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8 282-290쪽

15)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구985173 9권 2

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9-41쪽

16) 기존 글쓰기 교육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기본적 읽기와 쓰기 발견과 이해 해석

과 창조 소통 다른 텍스트와 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다 하지

만 디지털 환경으로의 변화는 소통하는 복합양식적 텍스트를 지향하도록 만들

었으며 매체를 통한 교육 매체에 대한 교육 매체언어 의미구성도 포함하게 되

었다(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33-34쪽)는 논의를 참고한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매체를 통한

교육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1

있는가도 중요하기 때문에 특정 디지털 매체를 도구로 활용한 글쓰기

수행보다는 어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와

더불어 사고력과 분석력을 확장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는

일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다양하게 생산된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의 결합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

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한 lt세상을 바꾸는 글

쓰기gt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의 결합 WTL을

적용17)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교육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글쓰기 수업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

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이다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쓰기 교육의 련성

웹 미디어 콘텐츠는 웹(인터넷)상에 있는 여러 매체들(동영상 글 사

진 음악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웹 미디어 발달은 기존 미디어 환경

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미디어 글18) 자체의 변화도

가지고 왔기에 미디어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미

17) 현재는 과거와는 달리 양질의 웹 미디어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글쓰기 능력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18) 미디어 글이란 일반적으로 미디어에서 생산하는 글을 의미하며 미디어의 종류

에 따라 신문 글과 방송 글 잡지 글 웹 미디어 글로 나뉜다(황성근 앞의 논문

212쪽)

49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디어 즉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화의 핵심은 상호 텍스트성에

있19)는데 이러한 디지털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읽기와

쓰기를 요구한다 맥루한이 지적했듯이 현재는 전통적인 매체인 서적이

전자문화적 매체로 이행하는 시기20)이다 이러한 매체적 이동은 단순히

우리가 일정한 지식을 습득하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지식 습득

방식만을 변화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 확장으로 이어지고 글

쓰기 플랫폼의 다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맥루한은 의사소통에서 중심점을 형성하는 것은 매체이며 이를 둘러

싼 여러 주체는 이 매체에 철저히 규정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델에 따

르면 매체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주체의 전달행위의 특성이

결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다rdquo21)란 명제를 통해 맥루한은 이러한 새로

운 의사소통 모델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모델에서 미디어는 메

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이지만 맥루한은 오히려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라

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그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주요 매체를 연구

하였다

맥루한은 인간의 매체 역사를 구술문화 문자문화 전자문화 세 가지

로 구분하였다 구술문화에서는 구두가 주요한 매체 역할을 했으며 문

19)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7-198쪽

20) 맥루한 앞의 책 124-130쪽 참고

21) 맥루한은 공개 석상에서 이 말의 뜻을 감각양식의 상호 작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그는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환경의 생성 과정을 lsquo발화- 외재화-바

깥쪽으로 생성되는 나이테rsquo로 비유하였다 여기서 발화는 내부의 사고를 밖으로

확장하고 드러내는 언어 사용을 말하며 외재화는 기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몸을

벗어나 그것을 확장하여 외부에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미디어로 통칭되

는 인간의 기술적 산물 전체는 모두 외재화의 과정이다 맥루한은 이것을 나무

의 나이테에 비유했다 결국 발화는 인간의 신체와 언어의 문제를 외재화는 인

간 신체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디어들의 메시지가 인간과 사회

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마치 나무가 자신이 속한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그 흔적으로 나이테를 남기는 과정과 유사함을 포착한 것으로 이해된

다(위의 책 비평판 편집자 서문 15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89

최근에는 시대와 사회의 특성에 맞는 소통 방식을 고려한 글쓰기 교육

을 위한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많이 진행된 상태다 지금까지 이루

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글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를 대략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우선 미디어 글의 구성과 생산에 대한 이론 안에서 웹 미디어의 등장

으로 글쓰기 교육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실현이 가능한 방향으로 나

아가야 한다는 황성근의 논의7)를 시작으로 SNS를 통한 글쓰기를 놀이

와 소통으로 인식하고 대학 교양 교육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을 벗어나서 글쓰기 교과 내용에 현재 SNS의 개방 공유 참여 평등 정

신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김윤선의 논의8)가 이루어졌다 이런 논

의와 더불어 디지털 플랫폼의 한 종류인 블로그를 활용하여 글쓰기에

대한 피드백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주민재의 논의9) 디지털 뉴미디어

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물망형 대화를 통해 원형극장식 담론을 형성하여

문주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을 모색해야 한다10)는 사실을 강조하고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구체적인

방법과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민춘기의 논의11) 차세대 플랫폼인 퍼

포먼스를 활용하여 인문 교양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김겸

섭의 논의12) 폐쇄형 SNS를 활용하여 대학 글쓰기 수업을 했을 때 대학

7)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208-

243쪽

8)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240-297쪽

9)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한 교수

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2014 137-165쪽

10)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9권 제1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181-212쪽

11) 민춘기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

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131-172쪽

49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 이지연의 연

구13) 미디어 교육 모형에 기초하여 글쓰기 교육모형을 개발한 이란의

논의14) 디지털을 기반으로 협력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연구

한 이지영의 논의15)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논의만이 디

지털 매체를 글쓰기의 도구가 아닌 사고력의 도구로 활용하고 디지털

매체를 통해 피드백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논의의 핵심은 주

로 학생들이 실제 글쓰기를 수행할 때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디지털 매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고 글쓰기의

소통 방식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논의들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적 차원의 고민을 하고 있다는

데서는 의미가 있지만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이라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든 글

을 쓴다는 행위 자체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매체에서 글을 쓰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떤 매체16)를 통해

사고력을 확장하고 거기서 생성한 사고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 낼 수

12)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4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03-137쪽

13)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753-786쪽

14)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

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8 282-290쪽

15)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구985173 9권 2

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9-41쪽

16) 기존 글쓰기 교육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기본적 읽기와 쓰기 발견과 이해 해석

과 창조 소통 다른 텍스트와 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다 하지

만 디지털 환경으로의 변화는 소통하는 복합양식적 텍스트를 지향하도록 만들

었으며 매체를 통한 교육 매체에 대한 교육 매체언어 의미구성도 포함하게 되

었다(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33-34쪽)는 논의를 참고한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매체를 통한

교육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1

있는가도 중요하기 때문에 특정 디지털 매체를 도구로 활용한 글쓰기

수행보다는 어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와

더불어 사고력과 분석력을 확장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는

일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다양하게 생산된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의 결합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

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한 lt세상을 바꾸는 글

쓰기gt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의 결합 WTL을

적용17)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교육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글쓰기 수업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

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이다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쓰기 교육의 련성

웹 미디어 콘텐츠는 웹(인터넷)상에 있는 여러 매체들(동영상 글 사

진 음악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웹 미디어 발달은 기존 미디어 환경

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미디어 글18) 자체의 변화도

가지고 왔기에 미디어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미

17) 현재는 과거와는 달리 양질의 웹 미디어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글쓰기 능력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18) 미디어 글이란 일반적으로 미디어에서 생산하는 글을 의미하며 미디어의 종류

에 따라 신문 글과 방송 글 잡지 글 웹 미디어 글로 나뉜다(황성근 앞의 논문

212쪽)

49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디어 즉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화의 핵심은 상호 텍스트성에

있19)는데 이러한 디지털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읽기와

쓰기를 요구한다 맥루한이 지적했듯이 현재는 전통적인 매체인 서적이

전자문화적 매체로 이행하는 시기20)이다 이러한 매체적 이동은 단순히

우리가 일정한 지식을 습득하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지식 습득

방식만을 변화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 확장으로 이어지고 글

쓰기 플랫폼의 다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맥루한은 의사소통에서 중심점을 형성하는 것은 매체이며 이를 둘러

싼 여러 주체는 이 매체에 철저히 규정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델에 따

르면 매체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주체의 전달행위의 특성이

결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다rdquo21)란 명제를 통해 맥루한은 이러한 새로

운 의사소통 모델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모델에서 미디어는 메

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이지만 맥루한은 오히려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라

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그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주요 매체를 연구

하였다

맥루한은 인간의 매체 역사를 구술문화 문자문화 전자문화 세 가지

로 구분하였다 구술문화에서는 구두가 주요한 매체 역할을 했으며 문

19)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7-198쪽

20) 맥루한 앞의 책 124-130쪽 참고

21) 맥루한은 공개 석상에서 이 말의 뜻을 감각양식의 상호 작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그는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환경의 생성 과정을 lsquo발화- 외재화-바

깥쪽으로 생성되는 나이테rsquo로 비유하였다 여기서 발화는 내부의 사고를 밖으로

확장하고 드러내는 언어 사용을 말하며 외재화는 기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몸을

벗어나 그것을 확장하여 외부에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미디어로 통칭되

는 인간의 기술적 산물 전체는 모두 외재화의 과정이다 맥루한은 이것을 나무

의 나이테에 비유했다 결국 발화는 인간의 신체와 언어의 문제를 외재화는 인

간 신체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디어들의 메시지가 인간과 사회

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마치 나무가 자신이 속한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그 흔적으로 나이테를 남기는 과정과 유사함을 포착한 것으로 이해된

다(위의 책 비평판 편집자 서문 15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6: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49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 이지연의 연

구13) 미디어 교육 모형에 기초하여 글쓰기 교육모형을 개발한 이란의

논의14) 디지털을 기반으로 협력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연구

한 이지영의 논의15)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논의만이 디

지털 매체를 글쓰기의 도구가 아닌 사고력의 도구로 활용하고 디지털

매체를 통해 피드백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논의의 핵심은 주

로 학생들이 실제 글쓰기를 수행할 때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디지털 매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고 글쓰기의

소통 방식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논의들은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적 차원의 고민을 하고 있다는

데서는 의미가 있지만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이라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어떤 플랫폼에서 글을 쓰든 글

을 쓴다는 행위 자체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매체에서 글을 쓰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떤 매체16)를 통해

사고력을 확장하고 거기서 생성한 사고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 낼 수

12)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4

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03-137쪽

13)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753-786쪽

14)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

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8 282-290쪽

15)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구985173 9권 2

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9-41쪽

16) 기존 글쓰기 교육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기본적 읽기와 쓰기 발견과 이해 해석

과 창조 소통 다른 텍스트와 융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했다 하지

만 디지털 환경으로의 변화는 소통하는 복합양식적 텍스트를 지향하도록 만들

었으며 매체를 통한 교육 매체에 대한 교육 매체언어 의미구성도 포함하게 되

었다(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33-34쪽)는 논의를 참고한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은 매체를 통한

교육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1

있는가도 중요하기 때문에 특정 디지털 매체를 도구로 활용한 글쓰기

수행보다는 어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와

더불어 사고력과 분석력을 확장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는

일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다양하게 생산된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의 결합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

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한 lt세상을 바꾸는 글

쓰기gt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의 결합 WTL을

적용17)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교육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글쓰기 수업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

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이다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쓰기 교육의 련성

웹 미디어 콘텐츠는 웹(인터넷)상에 있는 여러 매체들(동영상 글 사

진 음악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웹 미디어 발달은 기존 미디어 환경

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미디어 글18) 자체의 변화도

가지고 왔기에 미디어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미

17) 현재는 과거와는 달리 양질의 웹 미디어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글쓰기 능력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18) 미디어 글이란 일반적으로 미디어에서 생산하는 글을 의미하며 미디어의 종류

에 따라 신문 글과 방송 글 잡지 글 웹 미디어 글로 나뉜다(황성근 앞의 논문

212쪽)

49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디어 즉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화의 핵심은 상호 텍스트성에

있19)는데 이러한 디지털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읽기와

쓰기를 요구한다 맥루한이 지적했듯이 현재는 전통적인 매체인 서적이

전자문화적 매체로 이행하는 시기20)이다 이러한 매체적 이동은 단순히

우리가 일정한 지식을 습득하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지식 습득

방식만을 변화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 확장으로 이어지고 글

쓰기 플랫폼의 다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맥루한은 의사소통에서 중심점을 형성하는 것은 매체이며 이를 둘러

싼 여러 주체는 이 매체에 철저히 규정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델에 따

르면 매체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주체의 전달행위의 특성이

결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다rdquo21)란 명제를 통해 맥루한은 이러한 새로

운 의사소통 모델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모델에서 미디어는 메

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이지만 맥루한은 오히려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라

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그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주요 매체를 연구

하였다

맥루한은 인간의 매체 역사를 구술문화 문자문화 전자문화 세 가지

로 구분하였다 구술문화에서는 구두가 주요한 매체 역할을 했으며 문

19)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7-198쪽

20) 맥루한 앞의 책 124-130쪽 참고

21) 맥루한은 공개 석상에서 이 말의 뜻을 감각양식의 상호 작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그는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환경의 생성 과정을 lsquo발화- 외재화-바

깥쪽으로 생성되는 나이테rsquo로 비유하였다 여기서 발화는 내부의 사고를 밖으로

확장하고 드러내는 언어 사용을 말하며 외재화는 기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몸을

벗어나 그것을 확장하여 외부에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미디어로 통칭되

는 인간의 기술적 산물 전체는 모두 외재화의 과정이다 맥루한은 이것을 나무

의 나이테에 비유했다 결국 발화는 인간의 신체와 언어의 문제를 외재화는 인

간 신체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디어들의 메시지가 인간과 사회

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마치 나무가 자신이 속한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그 흔적으로 나이테를 남기는 과정과 유사함을 포착한 것으로 이해된

다(위의 책 비평판 편집자 서문 15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7: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1

있는가도 중요하기 때문에 특정 디지털 매체를 도구로 활용한 글쓰기

수행보다는 어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그와

더불어 사고력과 분석력을 확장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는

일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다양하게 생산된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의 결합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

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한 lt세상을 바꾸는 글

쓰기gt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의 결합 WTL을

적용17)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교육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글쓰기 수업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

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이다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쓰기 교육의 련성

웹 미디어 콘텐츠는 웹(인터넷)상에 있는 여러 매체들(동영상 글 사

진 음악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웹 미디어 발달은 기존 미디어 환경

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미디어 글18) 자체의 변화도

가지고 왔기에 미디어 혁명이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미

17) 현재는 과거와는 달리 양질의 웹 미디어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글쓰기 능력으로 이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18) 미디어 글이란 일반적으로 미디어에서 생산하는 글을 의미하며 미디어의 종류

에 따라 신문 글과 방송 글 잡지 글 웹 미디어 글로 나뉜다(황성근 앞의 논문

212쪽)

49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디어 즉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화의 핵심은 상호 텍스트성에

있19)는데 이러한 디지털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읽기와

쓰기를 요구한다 맥루한이 지적했듯이 현재는 전통적인 매체인 서적이

전자문화적 매체로 이행하는 시기20)이다 이러한 매체적 이동은 단순히

우리가 일정한 지식을 습득하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지식 습득

방식만을 변화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 확장으로 이어지고 글

쓰기 플랫폼의 다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맥루한은 의사소통에서 중심점을 형성하는 것은 매체이며 이를 둘러

싼 여러 주체는 이 매체에 철저히 규정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델에 따

르면 매체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주체의 전달행위의 특성이

결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다rdquo21)란 명제를 통해 맥루한은 이러한 새로

운 의사소통 모델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모델에서 미디어는 메

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이지만 맥루한은 오히려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라

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그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주요 매체를 연구

하였다

맥루한은 인간의 매체 역사를 구술문화 문자문화 전자문화 세 가지

로 구분하였다 구술문화에서는 구두가 주요한 매체 역할을 했으며 문

19)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7-198쪽

20) 맥루한 앞의 책 124-130쪽 참고

21) 맥루한은 공개 석상에서 이 말의 뜻을 감각양식의 상호 작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그는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환경의 생성 과정을 lsquo발화- 외재화-바

깥쪽으로 생성되는 나이테rsquo로 비유하였다 여기서 발화는 내부의 사고를 밖으로

확장하고 드러내는 언어 사용을 말하며 외재화는 기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몸을

벗어나 그것을 확장하여 외부에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미디어로 통칭되

는 인간의 기술적 산물 전체는 모두 외재화의 과정이다 맥루한은 이것을 나무

의 나이테에 비유했다 결국 발화는 인간의 신체와 언어의 문제를 외재화는 인

간 신체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디어들의 메시지가 인간과 사회

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마치 나무가 자신이 속한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그 흔적으로 나이테를 남기는 과정과 유사함을 포착한 것으로 이해된

다(위의 책 비평판 편집자 서문 15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8: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49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디어 즉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화의 핵심은 상호 텍스트성에

있19)는데 이러한 디지털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방식의 읽기와

쓰기를 요구한다 맥루한이 지적했듯이 현재는 전통적인 매체인 서적이

전자문화적 매체로 이행하는 시기20)이다 이러한 매체적 이동은 단순히

우리가 일정한 지식을 습득하는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지식 습득

방식만을 변화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 확장으로 이어지고 글

쓰기 플랫폼의 다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맥루한은 의사소통에서 중심점을 형성하는 것은 매체이며 이를 둘러

싼 여러 주체는 이 매체에 철저히 규정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모델에 따

르면 매체가 어떠한 속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주체의 전달행위의 특성이

결정된다 ldquo미디어는 메시지다rdquo21)란 명제를 통해 맥루한은 이러한 새로

운 의사소통 모델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의사소통 모델에서 미디어는 메

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이지만 맥루한은 오히려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라

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그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주요 매체를 연구

하였다

맥루한은 인간의 매체 역사를 구술문화 문자문화 전자문화 세 가지

로 구분하였다 구술문화에서는 구두가 주요한 매체 역할을 했으며 문

19)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7-198쪽

20) 맥루한 앞의 책 124-130쪽 참고

21) 맥루한은 공개 석상에서 이 말의 뜻을 감각양식의 상호 작용이라고 설명한 바

있는데 그는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환경의 생성 과정을 lsquo발화- 외재화-바

깥쪽으로 생성되는 나이테rsquo로 비유하였다 여기서 발화는 내부의 사고를 밖으로

확장하고 드러내는 언어 사용을 말하며 외재화는 기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몸을

벗어나 그것을 확장하여 외부에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즉 미디어로 통칭되

는 인간의 기술적 산물 전체는 모두 외재화의 과정이다 맥루한은 이것을 나무

의 나이테에 비유했다 결국 발화는 인간의 신체와 언어의 문제를 외재화는 인

간 신체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디어들의 메시지가 인간과 사회

에서 나타나는 과정은 마치 나무가 자신이 속한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그 흔적으로 나이테를 남기는 과정과 유사함을 포착한 것으로 이해된

다(위의 책 비평판 편집자 서문 15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9: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3

자문화에서는 서적이 전자문화에서는 웹 미디어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는 것이다 구두라는 매체는 일회성과 공간적 제약성 청각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 매체가 가지는 이러한 고유성은 인간의 여러 지각들 중 특정

한 지각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지

각성 가능성들 중에서 특정한 가능성만을 실현한다 말하자면 구술문화

에서 인간은 청각적 지각을 유별나게 잘 사용하는 존재가 된다 이에 반

해 문자문화에서 서적은 시각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구술문화에서 청각

을 가장 중요한 지각으로 훈련했던 인간은 시각적 매체인 서적을 맞닥

뜨린 순간 강한 지각적 충격을 받는데 이 충격은 인간이 지금까지 스스

로 규정해 온 청각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깨뜨리고 다시금 자신이 가

지는 다양한 지각적 가능성들 중 다른 지각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문자문화에서 인간은 시각을 가장 중요한 지각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이는 인간이 청각적 인간에서 시각적 존재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서적은 개인주의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시각적 활동을 장려한다

시각은 항상 자신을 중심점으로 해서 세계를 원근법적으로 바라보게 만

들기 때문에 세계의 중심은 시각적 주체에게 있으며 이 주체는 모든 것

을 자신의 시각을 통해 파악한다

이러한 문자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문화로 이행한다 전자문화

는 다양한 지각을 활성화시키며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게 하여 시각만

을 절대화하던 인간을 총체적 지각의 인간으로 훈련시킨다22) 전자문화

에 길든 인간은 시각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지각을 중요시한다 왜냐하

면 전자문화의 웹 미디어가 인간을 그런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웹 미디어에 노출된 학생들에게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문자 문화적 매체는 그리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학생들은 이미 문자 문화적 매체가 아니라 전자 문화적 매체와 친숙하

며 이 매체의 고유한 속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태다

22) 위의 책 165-180쪽 참고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0: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49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만약 이러한 맥루한의 논의가 의미가 있다면 전자문화 시대를 살아가

는 학생들에게 문자 텍스트만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수업 모델이

과연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오히려 학생

들을 총체적인 지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존재라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오

직 시각만을 중심으로 하는 서적 중심의 학습 모델의 한계를 지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우리를 웹 미디어 콘텐츠와 수업의 결

합 방식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인도한다

그렇다면 웹 미디어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

을까 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를 보면 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다

물론 강의라는 전통적인 방식 또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수업 모델은 이 점에서 유튜브라는 웹 미디어의 환경과 동일

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23)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학생

들은 학습 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며 강의자는 일방적으로 자신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여기서 학생들은 강의자의 의도를 파악

해야 전달하는 내용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

은 교수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이에 반해 유튜브는 강의자의 의도가 기존 수업방식보다 적게 반영된

다 오히려 유튜브는 시청자가 댓글을 통해 참여하면서 그것을 통해 전

달되는 내용을 댓글 담론을 통해 이해하고 구성한다 시청자는 단순히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는

능동적 주체인 것이다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이 시청자를 단순히 수

동적 주체로 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로서 함께 참여하게 만

들기 때문이다

23) 맥루한은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를 구분하여 제시했다 여기서 뜨거운

미디어는 단일한 감각을 고밀도로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데이터로 가득 찬 상

태를 말한다 이는 이용자가 채워 넣거나 완성해야 할 것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강의는 뜨거운 미디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뜨거운 미디

어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게 허용하기 때문이다(위의 책 58-61쪽 참고)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1: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5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유튜브 시청은 이런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 물론 수업 시간에 유튜브가 활용된다 하더라도 그 동영상은 학

생들 스스로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일방적인 의도에 따라 채

택된 것이지만 상영되는 동영상이 어떠한 것이든 간에 중요한 것은 유

튜브라는 미디어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징이다 학생들은 교수자가 일

방적으로 선택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지만 유튜브라는 고유한 특징

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남아 있다 그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시

청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비록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댓글을 남기거나 lsquo좋아요rsquo를 투표할 수 없다 해도 이 미

디어 자체는 학생들에게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능동적 학습주체라는 의

식을 심어 준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상영되는 유튜브 동영상은 학생들에

게 특별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문자 텍스트를 읽을 때와는 달리 학생들

은 상대적으로 이러한 동영상에 주목하기 마련이다 이는 무엇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전자문화에 길든 학생들

에게 효과적인 학습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

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으며 능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

해 받아들인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확장하여 글쓰

기라는 행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대부분의 대학은 글쓰기 기초 과목과 글쓰기 심화 과정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한 학기에 글쓰기 기초와 심화 과정을 통합한 교과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진행되는 lt세상을 바꾸는 글쓰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2: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49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기gt는 글쓰기 심화 과정24)에 해당된다 이 강좌의 수업 목적과 강좌 목

표 운영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24) 현재 대학별로 개설된 기초 글쓰기 과목은 크게 lsquo기초 글쓰기 전공기반 글쓰기

기초-심화 글쓰기rsquo로 나눌 수 있다(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

소 2016 102쪽) 부산외국어대학의 경우는 1학기 글쓰기 기초 2학기 글쓰기

심화로 나누어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lsquo기초-심화글쓰기rsquo 유형에 해

당되는데 기초 글쓰기 교육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다양한 글

쓰기로의 능동적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한 것이다(김민옥

「수용자 중심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및 효과」 985172한국문학논총985173 제78집 한국문

학회 2017 374쪽 재인용)

수업 목적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는 기능적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우리의

삶 세계관 인식 태도 그리고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논리적인 글

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과 문화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

하고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소양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를 소논문 형식에 맞춰 표현해 내는 것을 한 학기 동안

훈련한다

-학생들이 자기를 둘러싼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읽기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재해석하여 얻은 가치관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자기 인식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

는 데도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lsquo대중문화 젠더 사랑 세대갈등

이방인 돈 성장과 분배 환경과 윤리rsquo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텍

스트 읽기와 문제해결 중심의 토론을 병행하여 비판적 사고력 문

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증진하며 특정 영역에 시선이 갇히는 것이

아닌 전체를 사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강좌 목표

-이 강의는 lt나를 바꾸는 글쓰기gt의 심화형 수업이다 lt나를 바

꾸는 글쓰기gt를 통해 이루어진 나의 성찰을 바탕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발견하고 더 나아가 세상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를 문화middot예술 젠더 소수자 계급 경제 그

리고 과학 분야로 나누어 사고하도록 설계했다

-각 분야와 관련한 읽기 자료(웹 미디어 콘테츠+텍스트)를 비판적

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을 글쓰기로 표현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학

생들은 세상을 입체적으로middot종합적으로 사유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확장하며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이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7

이 강좌의 수업 진행 시 가장 중점을 둔 사항 중 하나는 WTL(학습연

계글쓰기 writing to learn)를 도입하여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해결안을 찾을 수 있도록 사고를 유도한 점이다 전공연계글쓰기(WAC)

의 한 유형인 WTL은 학생들의 학습핵심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

는 것은 물론이고 습득한 지식을 글쓰기로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인 학

습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이 과정에서 매주 주제와 관련된 실

습 노트를 제시하는데 이 실습 노트는 lsquo사고의 전개rarr 사고의 수용rarr사

고의 확장rsquo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활용해야 할 웹 미디어 콘텐츠를 반드시 미리 검색하

고 선별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제와 관련된 최근 자료

를 찾되 찾은 자료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저장하여 학생들이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E-class에 업로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반드시

강좌 운영

-입장하기 깊이 들여다보기 함께 고민하기 글 써보기를 lsquo접근 및

수용rarr분석 및 비판rarr성찰과 창작rsquo의 수업 모델에 맞춰 lsquo사고의 전

개rarr사고의 수용rarr사고의 확장rsquo의 WTL(학습연계글쓰기)을 병행

한다

-1교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고의 전개를 이끌고

WTL 실습지를 나눠 주어 생각 노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주별 텍

스트(읽기 자료)에 나온 개념을 설명하여 학생들이 그 문제를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질문과 답변 쓰기 읽기 자료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방법(WTL)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교시 WTL 실습지를 활용하여 글 써보기에 나온 문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로 이어지게 한다 1교시에서

진행한 WTL 실습지에 쓴 내용과 교수의 개념 설명을 들은 후에

텍스트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는 논평 그 주제에

관해 자신이 생성한 주제로 에세이 작성을 순환방식으로 운영한

다 격주로 팀을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고 토론 결과를 조별로 발표

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조별 토론 내용을 반영하여 A4 1매 이내

분량으로 lsquo생각해 볼 문제rsquo를 다시 작성하여 수업 종료 후 제출하

도록 한다 그리고 교수자는 이를 피드백하여 돌려주고 최종 글을

완성하도록 한다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49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교재에 나오는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 읽기를 병행해야 한다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에서는 주차별 수업 내용에 맞는 웹 미

디어 콘텐츠를 수업 시간 전에 미리 찾아 3-5분 길게는 10분 정도 활용

하였다 주차별로 활용한 웹 미디어 콘텐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차별 수업 내용 활용 매체 제목

비판적 사고 유튜브 그가 유죄인 까닭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영화 러빙 빈센트

대중문화와 언어의 힘 음악 형돈이와 대준이 박규 성인명작동요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TED

웹툰

토니 포터 맨 박스

웹툰 lsquo단지rsquo

사랑에 대한 또

하나의 명제세바시 강연 우리가 연애할 때 알아야 할 이야기들

이방인과 공존 EBS 지식채널 북극의 난민

세대갈등과 통합 유튜브 tvN 그 섬 파고다 Z적 생명체

돈과 나의 삶 TED마이클 노튼 어떻게 돈으로 행복을 사

는가

성장과 분배SBS CNBC

유튜브

장하준 정의로운 한국 자본주의는 가능

한가

그림으로 보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환경과 윤리애니메이션

EBS 지식채널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과정

환상적인 실험 1부

위와 같은 자료를 수업 도입부나 혹은 글쓰기 직전 학생들의 사고력

을 이끌어내고 확장할 때 주로 활용하였다 실제 수업 과정을 예로 들어

수업 모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499

학습

단계 서로를 비추는 거울 젠더

학습

목표

젠더를 이해하고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

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더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엇인

지 성찰해 보고 포토에세이 형식으로 표현해 본다

학습

과정 과정 실습과 피드백

도입

흥미유발

여성혐오남성혐오성소수자

혐오와 관련된 그림 제시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 시청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전개)

매트릭스에 성차별 성 혐오 관련 단어

찾아 넣기

전개

이론

수업 및

활동

985172맨 박스985173(토니 포터 저 김영

진 역 한빛비즈 2016) 텍스트

읽기

웹툰 lsquo단지rsquo 8컷 보기

젠더 젠더 퀴어에 대한 이론

설명

성 인식의 현주소 점검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수용)

적극적 경청과 질문하기(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무엇인가 남성이 바라보는 여

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여성이 바라

보는 남성에 관한 시각의 프레임 성 다

수자가 바라보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은 무엇일지 현재 우리가 지닌 성차에

대한 시각이 어떤 프레임에서 비롯된 것

인지)

마무리

실습

성찰하고 내 생각 글로 표현하

WTL 실습 노트 작성(사고의 확장)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

박스젠더 퀴어 박스rsquo 채우기 젠더 및

젠더 퀴어와 관련된 사진을 찍고 그에

관한 단상을 포토 에세이로 작성rarr교수

자 피드백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기본적으로 lsquo수용 웹 미디

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

정 3단계25)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

25) 이 과정은 Hobbs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이는데

Hobbs가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교육 모형 단계는 lsquo접근rarr분석과 평가rarr창작

rarr성찰rarr사회적 실천rsquo이다 이란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모

형을 lsquo매체 수용rarr매체 창작rarr피드백 첨삭과 고쳐 쓰기rsquo 3단계로 정리했다(이

란 앞의 논문 286쪽 참조)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6: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0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였다

단계 방법 WTL 실습

접근 및 수용웹 미디어

콘텐츠 시청

사고의 전개 새롭게 알

게 된 사실 쓰기단어 매트릭스 완성

분석과 비판

웹 미디어

콘텐츠+읽기

텍스트 접목

사고의 수용 프리 라이

팅(질문과 답변)

더블 엔트리 노트

(생각 노트) 작성

성찰 및 글쓰기

성찰을 통해

나만의 관점

세우기

사고의 확장 글쓰기 포토 에세이 작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업은 강좌 명 그대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

의 여러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글로 표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분석적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로 이어지게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미디어를 만들어 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5주차 수업 lsquo젠더 서로를 비추는 거울rsquo은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여

성 남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 문제의 원인

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결해 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젠

더라는 키워드를 통해 젠더를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 틀을 고민해 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lsquo맨우먼젠터 퀴어rsquo 박스 속에 들어 있는 것들이 무

엇인지 성찰한 후 그 성찰 결과를 포토에세이라는 글쓰기 형식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 번째 수업 도입부 lsquo접근 및 수용rsquo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논란 댓글 그림 등을

보여 준 다음 토니 포터의 lsquo맨 박스rsquo(TED 강연)를 8분 정도 시청하도록

한 후에 키워드(성 혐오)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내용을 적어 가도록 유도

했다 먼저 각자가 알고 있는 혹은 들어본 여성혐오 남성혐오 성 소수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7: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1

자 혐오 단어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다음 매트릭스26)에 넣어 보도록

했다 정중앙 묶음의 한가운데에 가장 먼저 떠오른 핵심어를 적어 넣

고 그 핵심어 둘레 8칸에 연관 혹은 연상되는 키워드를 먼저 채우도

록 한 다음 이 1차 키워드를 주변 8개 묶음의 핵심어로 보내도록 한

후에 다시 그것과 연관 혹은 연상되는 2차 키워드를 채우도록 했다

이런 과정에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27)

하는 것을 허용했다

두 번째 lsquo분석과 비판rsquo의 단계는 lsquo사고의 전개rsquo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에서 시청한 동영상과 관련된 토니 포터가 쓴 책의 한

부분을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웹 미디어 콘텐츠와 읽기 과정을 접목했

다 이 과정이 끝난 후 교재의 읽기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에 관해 교수

자가 15분 정도 강의(개념 및 배경 설명)를 진행하였다 해당 웹 미디어

26) 이때 활용한 단어 매트릭스는 백승권이 제시한 것에서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

입니다985173(매치미디치 2014)를 참조하였다

27)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으로 실시간 검색하면서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읽기-쓰기 간 상호작용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지영 앞의 논문 22쪽) 이는 미디어를 글쓰기의 도구로 사용하는 매체를

통한 글쓰기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학생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여

검색하는 행위를 할 때 적극성을 보였다 이때 교수자는 반드시 자료를 수집하

는 구체적인 방법과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8: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0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콘텐츠를 감상하고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즉 웹 미디어 콘텐츠

와 기존 인쇄 텍스트를 동시에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28)을 찾도록 유도했다 이때 유념해야 할 점

은 웹 미디어 콘텐츠가 만들어 내는 내용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도 고

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과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는 결국 수용

자가 구성한다는 점29)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이 수

용하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이고 이러한 문화는 개인의 정

체성 확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려 줘야 한다

이와 같이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이 단계는 이미 총체적 감각

의 전자 문화적 주체인 학습자가 본인이 습득해야 할 관련 지식에 보다

흥미 있게 접근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기존 인쇄 텍스트만을 활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

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ltWTL 학생 실습 사례gt

28) 이때 WTL 학습지를 더블 엔트리 노트 형식으로 준비하여 질문과 답을 한 면에

적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29) 이란 앞의 논문 83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19: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3

마지막 lsquo성찰 및 글쓰기rsquo 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진행된 수업 과정 속에

서 고민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수업을 듣기 이전과 이후에 가장 크게

달라진 점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준 다음 죽기 전에 꼭

버려야 할 lsquo나의 맨우먼젠더 퀴어 박스rsquo를 채우도록 하면서 사고의 확

장을 이끌었다 또한 이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찾아서 프린트해 오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을 활용하여 포토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분석과 비평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세계관을 투영하여 창의적인 미디어 텍스트를 생산

해 내는 것이다 물론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도록 하기 이전에 포

토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 수업을 간단하게 진행했으며

잘 쓴 포토 에세이의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게 글을 쓸 수 있

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lsquo접근 및 수용(사고의 수용)rarr분석과 평가(사고의 전개)rarr성찰과 창작

(사고의 확장)rsquo의 학습 과정은 글쓰기 주제가 달라지더라도 글쓰기 수업

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업 방식(강의식 수업)

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 모델을 적용했을 때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를

통해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학생들은 lsquo수업을 일방적으로

듣는다rsquo는 수동적 행위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친숙한 감각을 lsquo오감을 열

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rsquo는 능동적 인식을 갖는다 강의자

의 일방적 의사소통방식이 아닌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

용을 해석하고 확장하고 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스스로 자

신에게 친숙한 지각방식을 일깨우는데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자체

가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

적인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0: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0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처럼 웹 미디어 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을 수업의 능동적 참여자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능

동적 참여자가 된 학생들이 전자문화의 구조화된 학습방식에 의해 수용

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텍스트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사

고를 확장한 다음 글쓰기라는 또 다른 미디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쓰기 교육의 효과성

글쓰기 교육에 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표

본 대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과정은 까다로운 일이며 그 효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도 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변화

된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변화했다고 인식한 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가능

할 거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

쓰기 교육 모델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얼마만큼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0)을 실시하였다

1) 연구의 표본 구성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31)에 참여한 사전

30) 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은 2017년 2학기와 2018년 2학기 두 차례에 걸쳐 교수

학습센터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담당교수가 구성하고 사

전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모바일 매체(스마트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31) 이 자료는 2018년도 2학기 lt세상을 바꾸는 글쓰기gt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1: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5

조사와 사후 조사 표본을 보면 사전 조사 42명 사후 조사 33명이었다

사전 조사에 참여한 학생 중에는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50

를 차지하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9명(929)으로 가장 많았다 사후

조사 결과 역시 글로벌인문융합대학 소속 학생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545)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9)

lt표-1gt 사전 사후 조사 참여 학생 현황32)

구분사전 사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소속대학

영일중대학 14 333 11 333

글로벌인문융합대학 21 500 18 545

글로벌비즈니스대학 4 95 3 91

글로컬창의융합대학 2 48 1 30

글로벌IT대학 1 24 0 0

학년

1학년 39 929 31 939

2학년 3 71 2 61

소계 42 1000 33 1000

2) 진단도구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습자의 역량이 증진되기를 기대한 글쓰기 역량

과 하위 요소별 문항을 lt표-2gt와 같이 구성하였다

결과이다

32)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총 32명이며 빈

도 분석 결과 소속대학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이 가장 많았으며(500) 학년별

로는 1학년이 제일 많았다(938)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2: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0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표-2gt 글쓰기 역량 진단 척도의 하위요소별 문항구성

글쓰기 세부 역량 하위 요소 문항 수

문제해결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7

대안 개발 및 실행 7

문제해결자신감 5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

호기심 가지기 4

위험 도전 4

아름다움 3

분석적비판적사고력

체계성 5

진실 추구성 5

회의성 5

탐구성 2

3) 사 -사후 차이 검증( 응집단 t-검증)

(1)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

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모두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lt표-3gt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해결능력 385 395 1041 306

창의적 사고력 376 391 1869 072

분석적비판적사고력 384 400 2085 046

Plt01 Plt00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7

(2)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t=2435) 분석적 비판적 사

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t=2969) 회의성(t=2513) 탐구성(t=2207)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가 상승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t=1653) 문제해결 자신감(t=1059)도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lt표-4gt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값 p값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집 405 406 0006 707

대안 개발 및 실행 371 392 1653 108

문제해결 자신감 378 390 1059 298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46 356 866 393

호기심 가지기 383 406 2435 021

위험도전 388 398 944 353

아름다움 387 406 1694 101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56 391 2969 006

진실추구성 411 411 000 1000

회의성 395 417 2513 018

탐구성 373 402 2207 035

Plt01 Plt005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0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0

1

2

3

4

5

사전 사후

383406

호기심가지기

창의적사고력

00051015202530354045

사전 사후

356391

체계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95 417

회의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0

1

2

3

4

5

사전 사후

373402

탐구성

분석적비판적사고력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을 보면 창

의적 사고력에서 lsquo호기심 가지기rsquo 하위 요소가 사전 점수 383에서 406

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가 능동적 주체가 되어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시각에서 그 문제에 접

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33) 또한 분석적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09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 중 lsquo체계성rsquo은 사전 점수 356에서 사후 점수

391로 상승하였고 lsquo회의성rsquo은 395에서 417로 lsquo탐구성rsquo은 373에서 402

로 향상되어 거의 모든 점수가 올랐음을 알 수 있다 이 능력들이 향상

된 이유는 첫째 이 과목의 특성상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비판적

으로 탐구해야 할 키워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이 다양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들이

작성해야 할 글의 주제를 찾아 이를 확산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기 때문

이다

문제해결능력 중에서는 lsquo대안 개발 및 실행rsquo 부문과 lsquo문제해결 자신감rsquo

부문에서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lsquo문제 명료화 및 정보 수

집rsquo 점수도 소폭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는 WTL을 통해 스스

로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보는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

다 특히 기말 소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에서 꼭 해결했으

면 하는 문제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발견하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

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하나의 글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차차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생긴 결과로 파악된다

33) 2017년도 2학기 수업의 경우 교재 중심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동일한 항목으로 글쓰기 효과성 분석을 한 결과 값은 다음과 같다

글쓰기 세부역량별 하위 요소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세부역량  하위 요소 사전 사후 t p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효능감 358 366 837 409

호기심 가지기 350 368 1953 060

위험도전 384 390 614 544

아름다움 386 397 1200 239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

체계성 331 342 1130 267

진실추구성 414 400 -1249 221

회의성 395 388 -678 503

탐구성 339 365 2232 033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6: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1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이와 같은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학기말에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5gt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 학습 만족도34)(단위 명()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주제에 대한 흥미가 생겼나요25(76) 5((15) 3(9)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교수자가 선택한 웹 미디어 콘텐

츠가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27(82) 5(15) 1(3) 0 0

내용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전혀

아니다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생

각하나요

20(60) 11(335) 2(65) 0 0

내용교재의

읽기 자료

웹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읽기

자료

신문

기사기타

교수자가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내용을 이해

하기가 쉬웠나요

6(18) 15(45) 12(36) 0 0

내용주제

정하기

자료

수집하기

내용

생성 및

조직하기

표현하

기(글쓰

기)

고쳐

쓰기

글쓰기의 어느 단계에서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11(335) 11(335) 5(15) 6(18) 0

34) 교육 효과성 사후 조사를 실시할 때 동시에 진행함 총 참여 학생은 33명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7: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1

위 결과를 분석하면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35)고 답변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사

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

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

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5 나오는 말

본 연구는 다양하게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콘

텐츠 생산을 확산시키면서 새로운 문화집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포

노 사피엔스(디지털 세대 또는 Z세대)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

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

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

텐츠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

육에서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 콘텐츠가 글쓰기 능력의 기반이 되

는 문제해결능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창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35) 텍스트에 대한 분량과 글에 대한 밀도 높은 분석에 대해 압박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짧은 텍스트와 비언어적인 메시지에 대한 분석은 재미 요소를 더하면서도

학생들 자신의 생각과 연결고리를 빠르게 만들어 내는 흥미유발에 유용하다(임

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

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66쪽)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8: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12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충분

히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lsquo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

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rsquo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전통적

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총체적인 지각을 활성화하면서 웹 미

디어 콘텐츠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

을 기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

적 주체임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이미 그것이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방

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은 글쓰기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더 면밀히 드러나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

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며 상승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middot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대안개발 및

실행 문제해결 자신감도 소폭 상승했다

또한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어 콘텐츠

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

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사고력을 향상하거나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유용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를

정하거나 자료를 수집할 때뿐만 아니라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할 때도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29: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3

웹 미디어 콘텐츠가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지식 습득

과 사고력 향상의 매개체로 웹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

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

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글쓰기 수업

모델은 학술적 글쓰기를 비롯한 심화형 글쓰기 분야별 글쓰기 사고력

과 글쓰기 등의 교과목 수업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것으로 판단

된다

물론 지금까지의 논의만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글쓰기

수업 모델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

여 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글

쓰기나 웹상의 글쓰기와 같은 미디어 글쓰기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웹 미디어를 글쓰기 도구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텍스트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글쓰기 교육의 수용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방식을 구조화하는 주

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0: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14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참고문헌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12 103-137쪽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985172한국언론정보학보98517328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77-110쪽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6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9 240-297쪽

김화선이희영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985172대학교양교육연구985173 제1권 제1호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12

93-114쪽

라도삼 985172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

9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3 181-212쪽

______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 인식 분석」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1권 제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2 131-

172쪽

백승권 985172글쓰기가 처음입니다985173 매치미디치 2014

윤여탁 외 3인 985172매체언어와 국어교육98517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이 란 「미디어교육모델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985172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85173 18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8 7 282-290쪽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10권 제3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9 753-786쪽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985172리터러시연

구985173 9권 2호 한국리터러시학회 2018 5 9-4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1: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5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985172인문학연구985173 98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351-380쪽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

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985172교양교육연구985173 제8권 제4호 한국교양교

육학회 2014 8 137-165쪽

정희모 「글쓰기 과목의 목표 설정과 학습 방안」 985172다매체 시대의 한국

문학Ⅰ985173 국학자료원 2002

최재붕 985172포노 사피엔스985173 쌤앤파커스 2019 12-13쪽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985172수사학985173 5호 한국수사학회

2006 9 208-243쪽

맥루한 마셜 김상호 옮김 985172미디어의 이해985173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2: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16 한국문학논총 제82집

ltAbstractgt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36)Kim Min-Ok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lsquo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amp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amp activ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7

Introspection amp Creation Production of textrsquo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rsquo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18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Key Words Web Media Contents Phono Sapiens WTL McLuhan

Writing that Changes the World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Skills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논문 수 2019년 7월 20일

심사완료 2019년 8월 11일

게재확정 2019년 8월 19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5: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19

[붙임]

lt글쓰기 교육 효과성 분석 사전-사후 설문 항목gt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6: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520 한국문학논총 제82집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7: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521

Page 38: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2019-09-03 ·  한국문학논총 제82집(2019. 8) 485~521쪽 웹 미디어 콘텐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