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공학 솔루션

100
연소 공학

Transcript of 연소공학 솔루션

연소 공학

연소 공학 1

연소_개요

• 열의 발생을 수반하는 화학반응– 연료 또는 가연성 물질이 산화– 에너지가 빛, 불꽃이나 화염의 형태로 발산

• 조연성 물질– 가연성물질의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물질

– 산소 외에 불소, 염소, 질소산화물

• 단순 산화 반응– 반응이 완만– 발열을 수반해도 열 발산이 발열보다 빨라서 온도

상승이 거의 없음– 빛도 수반하지 않음

연소 공학 2

연소_개요

• 연소의 조건– 장상적인 연소 현상은 연소 3 요소인 가연물,

산화제, 활성화 에너지가 주어져야 이루어진다

– 가연성물질과 산화제가 적당한 비율, 농도로 혼합

– 주위 온도가 연소반응을 유지할 수 있도록충분히 높아야 지속적인 연소를 유지

– 기체의 분해 연소인 경우 온도뿐만 아니라압력도 착화하기 위한 중요한 변수

연소 공학 3

연소_개요

1.1 상태방정식– 기체의 압력, 온도 체적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

–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기체분자 사이의 힘을 무시

• 기체분자의 체적을 무시

uPV NR T= /uR R MW=

PV mRT= MW =가스 분자량

8315 /uR J kmol k= −

P RTρ=Pv RT=

연소 공학 4

연소_개요

1.2 열역학적 상태 방정식

– 온도와 압력 등의 열역학적 상태량과 에너지와의 관계.

– 내부에너지와 엔탈피• 압력과 온도와 연관시켜 표현하고 미분하면

v T

u udu dT dvT v∂ ∂⎡ ⎤ ⎡ ⎤= +⎢ ⎥ ⎢ ⎥∂ ∂⎣ ⎦ ⎣ ⎦

p T

h hdh dT dPT P∂ ∂⎡ ⎤ ⎡ ⎤= +⎢ ⎥ ⎢ ⎥∂ ∂⎣ ⎦ ⎣ ⎦

vv

uCT∂⎡ ⎤≡ ⎢ ⎥∂⎣ ⎦

pp

hCT∂⎡ ⎤≡ ⎢ ⎥∂⎣ ⎦

연소 공학 5

연소_개요

• 이상기체의 경우

– 내부에너지 : 온도만의 함수

– 엔탈피 : 온도만의 함수

– 그러므로

0T

uv∂⎡ ⎤ =⎢ ⎥∂⎣ ⎦

0T

hP∂⎡ ⎤ =⎢ ⎥∂⎣ ⎦

( )ref

T

ref vTu T u C dT− = ∫( )

ref

T

ref pTh T h C dT− = ∫

연소 공학 6

연소_개요

1.3 증발 잠열

(Latent Heat of Vaporization)

– 연소 과정에서 액상의 연료는 연소되기 전에 미리 증발되어 기체 상태가 되어야 한다.

– 증발 잠열은 정압 과정을 통해서 주어진 온도에서 액체의 단위질량이 완전히 증발하는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된다.

( ) ( ) ( ), , ,fg vapor liquidh T P h T P h T P≡ −

연소 공학 7

연소_개요

1.4 열역학 제 1 법칙

–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밀폐 시스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경로함수, 시스템 경계에서만 발생

1 2 1 2 1 2Q W E −− = Δ

1 2Q1 2W

1 2E −Δ 2 1( ) : , , E E− 내부 운동 포텐셜에너지의합

21( )2

E m u v g z= + +

연소 공학 8

연소_개요

1.5 연소 반응– 연소 준비기간

• 모든 연료는 연소 전 용융, 증발, 열분해 과정

– 연소반응• 준비기간 후에 기상반응/표면반응 혹은 그 양자 모두에 의

해 진행

• 실제 연소반응은 매우 복잡– 수십에서 수백의 반응이 병행 또는 순차로 발생

• 그러나 화학반응은 유동, 혼합, 열전도, 확산 등의 현상에비하면 매우 빠른 것이 일반적

– 대략적인 성질만 알면 반응 기구를 상세히 알지 못해도 연소현상을 논의 가능

연소 공학 9

연소_개요- 기상반응(반응기구)

• 반응의 기구– 수소, 탄소

(Graphite), 메탄 등이 완전 연소할 때의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총괄반응식으로표현된다.

– 실제로는 중간 과정에서 수십 수백 반응을 거처 최종 과정에도달한 것이다.

2 2 21/ 2H O H O+ =

2 2C O CO+ =

4 2 2 22 2CH O CO H O+ = +

연소 공학 10

연소_개요- 기상반응 (반응기구)

• 반응 과정• 열해리 : 2000K이상에서 급격히 발생

가스 온도 감소

• 화학평형 ; 가스 조성이 일정치에 근접

– OH+H2 → H2O+H [연쇄이동반응]

– H+02 → OH+O [연쇄분지반응]

– O+H2 → OH+H [연쇄분지반응]

– H+02+M → HO2+M [기상정지반응]

– H, 0, OH → 안정분자 [표면정지반응]

2 2 21/ 2H O H O+ =

연소 공학 11

연소_개요- 기상반응 (반응기구)

• 연쇄개시반응– 연쇄반응이 시작되기 위해서 안정분자로부터 연쇄

담체를 창조하는 반응

2 2 2H O HO H+ → +

2 2 2 2H O H O+ →

2 2 2H O H O O→ +

2 2 2H O OH→

연소 공학 12

연소_개요- 기상반응 (반응속도)

• 반응 속도

– 반응에는 단 분자 반응, 2 분자 반응, 3 분자반응이 있고, 이들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단 분자 반응

2 분자 반응

3 분자 반응

A B→ +⋅⋅⋅⋅⋅⋅⋅⋅

A B C+ → +⋅⋅⋅⋅⋅⋅⋅⋅

A B C D+ + → +⋅⋅⋅⋅⋅⋅⋅⋅

연소 공학 13

연소_개요- 기상반응 (반응속도)

• 반응속도(생성물의 몰 농도의 증가율)

단 분자 반응속도

2 분자 반응속도

3 분자 반응속도

비례상수 k l, k2 , k3는 반응속도 상수

• 압력에 무관하며 온도만의 함수이다

1[ ] [ ]d B k Adt

=

2[ ] [ ][ ]d C k A Bdt

=

3[ ] [ ][ ][ ]d D k A B Cdt

=

연소 공학 14

연소_개요- 기상반응 (반응속도)

• 반응속도 상수– 절대온도 T의 지수함수인 Arrhenius 함수

f : 빈도인자

E : 활성화 에너지 [J/mol]

R : 일반가스 상수 [= 8.3l4J/(mol-K)]

n : 상수로서 -2~2 의 범위에서 0.5 간격의 값

exp( )n Ek fTRT

= −

연소 공학 15

연소_개요- 표면반응 (반응기구)

– 표면반응은 Char 즉 고정탄소의 산화반응이다.

– 표면 부근에는 공기중의O2, N2, H2O 와 연소에 의해서 생성된 CO, CO2

– 열해리 및 반응 도중에 생긴 산소원자 (0) 가 존재한다

– 그 중에 O2, 0, CO2, H2O 는 다음과 같은 반응을 하여 탄소를 산화시킨다.

C + 02 → CO2

C + 1/2 O2 → CO

C + O → CO

C + CO2 → 2CO

C + H2O → CO + H2

연소 공학 16

연소_개요- 표면반응 (반응기구)

– 표면반응에서 생긴 생성물 중에서 CO2 의일부는 다시 표면반응에 참여하지만,

– CO 와 H2 는 표면에서 이탈하여 확산하면서기상반응에 의해 CO2 와 H2O로 산화된다

• CO + 1/2 O2 →CO2

• H2 + 1/2 O2 → H2O

• CO + H2O → CO2 + H2

연소 공학 17

연소_개요- 표면반응 (반응속도)

– 표면반응속도• 단위 표면적당의 탄소의 소비율로 나타냄

– 표면부근에 산소가 충분히 존재하는 경우

• : 괄호속 분자의 탄소 표면에서의 분압 [Pa],

• : 표면반응 속도상수 [kg/(m3. s Pa)]

2( )c s sm k p O=&

spsk

연소 공학 18

연소_개요- 표면반응 (반응속도)

– 산소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CO2 에 의한 산화가 일어나는 경우

– 표면반응 속도상수

• Ts : 표면 온도

• R : 일반 가스상수 [8.314 J/(mol-K)]

• Fs : 빈도인자

• Es : 활성화 에너지

2( )c s sm k p CO=&

exp( )ss s

s

Ek FRT

= −

연소 공학 19

연소형태_확산화염

– 연료와 연소용 공기를 별개로 공급

– 연료류와 공기류의 경계에서 확산과 혼합

– 연소가능한 혼합비가 형성된 곳부터 연소를 시작

– 연소형태는 연소 위치에따라 다름(비균일 연소)

– 화염면은 형성되나 화염은 전파하지 않음

연소 공학 20

연소형태_확산화염

– 화염 전파가 없어 안전하고 사용이 용이

– 혼합에 걸리는 시간과 거리가 필요• 화염이 길게 늘어나는 단점

– 부분 예혼합 연소• 확산 연소의 단점을 극복하는 연소법

• 연료를 직접 공급하는 대신에 과농 가연한계 부근의 농후한 혼합기체를 만들어 공급

연소 공학 21

연소 형태_예혼합화염

– 연료/공기를 미리 혼합하여 연소기에서연소

– 연소기 내부에서 연료/공기 혼합비가 변하지 않고 균일하게연소(균일연소).

– 고온의 반응면(화염면)이 형성되어 스스로 화염 전파

연소 공학 22

연소 형태_예혼합화염

• 화염 전파– 혼합비가 너무 높거나 낮아도 발생 않음

– 가연 농도범위• 화염이 전파되는 혼합비의 범위

• 온도와 압력 또는 화염이 전파하는 방향에 의해서도 변함

• 희박 가연한계 농도(LFL) : 혼합비의 하한

• 과농 가연한계 농도(UFL) : 혼합비의 상한

연소 공학 23

연소 형태_예혼합화염

연소 공학 24

연소 형태_훈소_자연발화

• 훈소(Smoldering)– 공기중에 존재하는 산소와 고체 표면간에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느린 연소 과정

– 연료의 표면에서 반응이 일어나고 산소는표면으로 확산

– 표면에서는 작열(growing)과 탄환(charring) 현상이 일어난다.

• 자연발화– 공기 중에 노출된 연료가 서서히 산화반응

이 일어나는 연소과정

연소 공학 25

연소형태_층류/난류 연소

• 층류 연소(Laminar Combustion)– 기체의 흐름이 층류

– 유동마찰, 열 및 물질의 이동과 같은 혼합 현상이미시적인 분자 레벨에서 발생

– 형성되는 화염을 층류화염(Laminar Flame)

• 난류 연소– 기체의 흐름이 난류

– 거시적인 교란, 소용돌이에 의해 규모가 크고 빠른속도로 혼합 발생.

– 형성되는 화염을 난류화염(Turbulent Flame)

연소 공학 26

연소형태_층류/난류 연소

•분류 속도에 따른 분류 확산화염의 형태

연소 공학 27

이론 공기량 계산

• 연료 중 연소에 의해 다량의 열을 발생하는 성분원소는 수소(H2), 탄소(C), 황(S)

[kg/kg] [mN3/kg] [kg/kg] [mN

3/kg] [kg/kg] [mN3/kg]

C 12.011 C+O2=CO2 32.76 32.76 2.66 1.87 11.48 8.89 3.66 1.37

H 1.008H+ ¼O2

=H2O14l.8 120 7.94 5.56 34.21 26.48 8.94 11.12

S 32.06 S+O2=SO2 9.26 9.25 1.00 0.7 4.31 3.33 2.00 0.7

O 16.00 O- ½O2=O 0 0 -1.00 -0.7 -4.31 -3.33 0 0

N 14.006 N= 1/2N2 0 0 0 0 0 0 1.00 0.8

* 고 · 저발열량은 연료원소가 기준 물질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산출하였음

연소생성물량고발열량

[MJ/kg]

저발열량

[MJ/kg]

필요산소량 필요공기량

표 2.1 연료구성원소의 완전연소표

원소완전연소반

응원자량

연소 공학 28

이론 공기량 계산

• 연료에 포함된 산소– 다른 원소의 연소에 사용됨으로써 필요 산

소량과 공기량을 감소

– 필요산소량과 필요 공기량을 (-)로

• 질소

– 일반적 연소에는 관여하지 않고 그대로 생성물로 배출

연소 공학 29

이론 공기량 계산

성분명 산소 질소 탄산가스 아르곤 수소

분자식 O2 N2 CO2 Ar H2

분자량 31.998 28.012 44.009 38.948 1.008

질량분율[wt%] 23.2 75.47 0.046 1.28 0.001

체적 분율[vol%] 20.95 78.09 0.03 0.93 0.01

몰 분율 0.2095 0.7905

몰 비 1 3.773

표 2.2 표준건조공기의 조성 ( 평균분자량 = 28.97)

주 ) 이외에 네온 , 헬륨 , 크립톤 , 크세논이 포함되어

있으나 함유율은 0.001% 이하임

대기질소 기준

연소 공학 30

이론 공기량 계산

• c, h, s, o, n, a– 연료에 포함된 탄소, 수소, 연소성 황, 산소, 질소,

회분의 질량분율[㎏/㎏]

• 1 ㎏의 연료가 완전 연소하는 데에 필요한 질량과 체적기준 이론산소량

0

0

2.66 7.94

1.87 5. 6

(

5

)

( ) 3N

[kg/kg] [m /kg]

O c h s o

O c h s o

= + + −

= + + −

연소 공학 31

이론 공기량 계산

• 1.87 ?– 탄소 1 k㏖(12.01㎏)을 연소시키는데 산소 1 k㏖

(31.998 ㎏) 소요• 31.998/12.01=2.66427…..

• 산소 2.66 ㎏=2.66427/31.998 x 22.4 =1.8651…

• 5.56 ?– 수소 1 k㏖(2.016㎏) 을 연소시키는데 산소 1/2 k㏖

(15.999 ㎏) 소요• 15.999/2.016=7.936011….

• 산소 7.36 ㎏= 7.936/31.998 x 22.4 =5.5554….

연소 공학 32

이론 공기량 계산_탄소

3

3

3

31.998 22.412.011 12.01131.998 1 22.4 112.011 0.232 12.011 0.209544.009 22.43.6612.011 12.011

31.998 0.7612

2.66 1.87

11.48 8.89

1

.01

.8

1

7

:

:

kg kg Nm kg

kg kg Nm kg

kg kg Nm kg

⎛ ⎞= =⎜ ⎟⎝ ⎠

⎛ ⎞× = × =⎜ ⎟⎝ ⎠

⎛ ⎞= =⎜ ⎟⎝ ⎠

×

산소량

공기량:

생성량:

연소가스량 38 22.4 0.79053.66 1.870.232 12.011 0

12.48.209

8 95

.8kg kg Nm kg⎛ ⎞+ = × + =⎜ ⎟⎝ ⎠

O2 N2 CO2 N2

12.011 31.99 106.25 44.009 106.25

2.66 8.83 3.67 8.83kg

12.01 22.4 84.3 22.4 84.3

1.87 7.02 1.87 7.02 용량단위

(mN3) 1.00

8.89mN3/kg 8.89mN

3/kg

중량단위

(kg) 1.0011.48kg/kg 12. 48kg/kg

탄소소요 공기 연소 가스

연소 공학 33

이론 공기량 계산_수소

3

3

3

15.998 11.22.016 2.01615.998 1 11.2 12.016 0.232 2.016 0.2095

18.014 22

7.94 5.6

34.2 26.

.42.016 2.016

15.998 0.768 8.2.016 0

7

8.94 11

.23

2

2

.

:

:

kg kg Nm kg

kg kg Nm kg

kg kg Nm kg

⎛ ⎞= =⎜ ⎟⎝ ⎠

⎛ ⎞× = × =⎜ ⎟⎝ ⎠

⎛ ⎞= =⎜ ⎟⎝ ⎠

× +

산소량

공기량:

생성량:

연소가스량 311.2 0.790594 11.22.016 0

35.2095

.2 32.3kg kg Nm kg⎛ ⎞= × + =⎜ ⎟⎝ ⎠

O2 N2 H2O N2

2.016 15.99 53.12 18.005 53.12

7.94 26.34 8.94 26.34

2.016 11.2 42.1 22.4 42.1

5.6 21.05 11.2 21.05 용량단위

(mN3) 1.00

26.7mN3/kg 32.3mN

3/kg

중량단위

(kg) 1.0034.23kg/kg 35.23kg/kg

수소소요 공기 연소 가스

연소 공학 34

이론 공기량 계산_황

3

3

3

31.998 22.432.06 32.0631.998 1 22.4 132.06 0.232 32.06 0.209564.05 22.432.06 32.06

31.998 0.76832.06 0.2

0.99 0.70

4.30 3.31

1.99 0.7

13

0

.2

:

:

kg kg Nm kg

kg kg Nm kg

kg kg Nm kg

⎛ ⎞= =⎜ ⎟⎝ ⎠

⎛ ⎞× = × =⎜ ⎟⎝ ⎠

⎛ ⎞= =⎜ ⎟⎝ ⎠

× +

산소량

공기량:

생성량:

연소가스량 322.4 0.790532.06 0

99 5.30 0.70 3.31.2095

kg kg Nm kg⎛ ⎞= × + =⎜ ⎟⎝ ⎠

O2 N2 SO2 N2

32.06 31.99 106.25 64.05 106.25

0.99 3.31 1.99 3.31

32.06 22.4 84.3 22.4 84.3

0.7 2.63 0.7 2.63 용량단위

(mN3) 1.00

3.33mN3/kg 3.33mN

3/kg

중량단위

(kg) 1.004.30kg/kg 5.30kg/kg

황소요 공기 연소 가스

연소 공학 35

이론 공기량 계산

• 표준 건조공기중의 산소– 질량 분율 : 0.232[㎏/㎏]

– 체적 분율 : 0.210[m3/m3]

• 1 ㎏의 연료가 완전 연소하는 데에 필요한 질량과 체적 기준 이론 공기량

0 0

0 0

0.232 11.48 34.23 4.30( )

0.210 8.89 26.7 3.31( ) 3N

[kg/kg] [m /kg]

A O c h s o

A O c h s o

= = + + −

= = + + −

연소 공학 36

이론 공기량 계산

연 료 연소 반응

이론산소량

O。

[mN3/mN

3]

이론공기량

A。

[mN3/mN

3]

이론습연소

가스체적

[mN3/mN

3]

이론건연소

가스체적

[mN3/mN

3]

고발열량

Hh

[MJ/mN3]

저발열량

Hl

[MJ/mN3]

수소 H2+½O2 = H2O 0.5 2.38 2.88 1.88 12.75 10.79

일산화탄소 CO+½O2 = CO2 0.5 2.38 2.88 2.88 12.63 12.63

메탄 CH4+2O2 = CO2+2H2O 2.0 9.52 10.53 8.52 39.72 35.79

아세틸렌 C2H2+ 5/2O2=2CO2+H2O 2.5 11.91 12.41 11.44 58.00 56.04

에틸렌 C2H4+3O2=2CO2+2H2O 3.0 14.29 15.29 13.29 62.95 59.03

에탄 C2H6+7/2O2=2CO2+3H2O 3.5 16.67 18.17 15.17 69.64 63.76

프로필렌 C3H6+9/2O2=3CO2+3H2O 4.5 21.44 22.94 19.94 91.82 85.93

프로판 C3H8+5O2=3CO2+4H2O 5.0 23.82 25.82 21.82 99.00 91.15

I-부틸렌 C4H10+6O2=4CO2+4H2O 6.0 28.59 30.59 26.59 121.3 113.4

n-부탄 C4H10+13/2O2=4CO2+5H2O 6.5 30.97 33.47 28.47 128.4 118.5

벤젠 C6H6+15/2O2=6CO2+3H2O 7.5 35.73 37.23 34.23 147.3 141.4

탄화수소CmHn+(m+n/4)O2

= mCO2+(n/2)H2Om+n/4 4.76(m+n/4) 4.76+1.44n 4.76+0.94n - -

산소 O2-O2=0 -1.0 -4.75 -3.76 -3.76 0 0

질소 N2=N2 0 0 1 1 0 0

수증기 H2O=H2O 0 0 1 1 0 -1.96

표 2.3 순수가스의 완전연소표

연소 공학 37

이론 공기량 계산

예제CmHn의 분자구조를 갖는 탄화수소의 연소에서 질량

기준 이론산소량 O0와 이론 공기량 A0를 구하라

풀이표 2에서 c= 12.01m/(12.01m + 1.01n),

h = 1.01n/(12.01m + 1.01n), s=o=n=a=0이므로

이론산소량 O0은

O0= (2.66×12.01m + 7.94×1.01n) / (12.01m + 1.01n) =8.00(4m+n) / (12.01m + 1.01n) [㎏/㎏]

이론 공기량 A0은

A0= O0/0.232= 34.5(4m +n) / (12.01m + 1.01n) [㎏/㎏]

연소 공학 38

이론 공기량 계산

다른 풀이 : 원소의 균형(질량 보존 이용)

( )3.773 3.773

22

, ,4 2

m n 2 2 2 2 2

C H O N C

O H O N

a b c a

b mca b

c nn na m b m c

+ + ++ →

=

= +

=

= + = =

탄소 균형:

산소 균형:

수소 균형:

따라서 이 므로 이를 대입하면

연소 공학 39

이론 공기량 계산

( )

( ) ( ) ( ) [ ]

3.773 3.7734 2 4

12 1.01

32 12 1.01 8.00 4 12.01 1.014

32 3.77

)

3 24

m n 2 2 2 2 2

C H O N C

H O

O

N

o

o

n n nm m m

m n

nO m m n m n m n

nA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질량 기준연료1kg 당 이론산소량은(연료의무게

kg kg

질량 기준연료 1kg 당 이론공기량은

( ) ( )

( ) ( ) [ ]

8.016 12 1.01

34.6 4 12.01 1.01

m n

m n m n

⎡ ⎤ +⎢ ⎥⎣ ⎦= + + kg kg

• 연료의 성분과 조성을 알고 있는 경우– 일반적 화학 방정식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편리

연소 공학 40

이론 공기량 계산

• 기체연료의 경우, 원소의 질량분율 c, h, s, o, n, a 보다 연료가스 중의 각 성분가스의 체적분율 {H2}, {CO}, {CH4} [㎥N /㎥N] 등을 사용하면 더 편리– (체적 분율=몰 분율)이므로

0

0 0 / 0.210 .522 4 2

2 4

2

0.5{H } 0.5{CO} 2.0{CH } {O }2.38{H } 2.38{CO} 9 {CH }

4.76{O }

OA O

= + + + ⋅ ⋅ ⋅ −= = + ++ ⋅ ⋅ ⋅ −

연소 공학 41

이론 공기량 계산

• 연료분석 데이터가 주어지지 않고 체적 당 고발열량(Hh) 혹은 저발열량(Hl) [MJ/㎥N]만을알고 있는 경우

• 기체연료의 이론 공기량 A0를 대략 계산하는경험식

0

0

0.228 0.19

0.263 0.32

3 3N N3 3N N

[m /m ] [m /m ]

h

l

A H

A H

= −

= −

연소 공학 42

이론 공기량 계산

• 액체 및 고체 연료에 대해 고발열량(Hh) 혹은저발열량(Hl) [MJ/㎥N]으로 A0를 구하는 법

0

0

0

0

0.248 0.02

0.248 0.27

0.256 0.20

0.260 0.09

3N

3N

3N

3N

[m /kg]

[m /kg]

[m /kg]

[m /kg]

l

l

h

l

A H

A H

A H

A H

⎡ ⎤⎣ ⎦⎡ ⎤⎣ ⎦⎡ ⎤⎣ ⎦

= −

= −

= −

= −

액체연료

목재

석탄

연소 공학 43

이론 공기량 계산

[예제]도시가스의 조성 H2 27%, CO 4%, CH4 39%, CO2

4%, N2 23%, O2 3%.

이 도시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체적 기준의 이론산소량 O0와 이론 공기량 A0?

[풀이]CO2, N2는 연소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이론산소량 O0은

O0=.5{.27}+.5{.04}+2.0{.39}-{.03}=0.905[㎥N/㎥N]

이론 공기량 A。

A0=O0/0.210=4.31 [㎥N/㎥N]

연소 공학 44

이론 공기량 계산

• 다른 풀이

( )27 4 39 3 3.7733.773

4 39

3 22

27 39 290.5, 43, 105

2 4 2 2 2

2 2 2

H CO CH O O NCO

O N

H

ab c a

bca b

ca b c

+ + + + +

→ + +

= +

+ + = +

= + ×

= = =

탄소 균형:

산소 균형:

수소 균형:

따라서

연소 공학 45

이론 공기량 계산

( )

( )

90.5, 43, 10527 4 39 3 90.5 3.773

43 105 3.773 90.5

27 4 39 3 4 23 100

90.5 100 0.905

90.5 4.773 100 4.

)

31

2 4 2 2 2

2 2 2

H CO CH O O NCO H

O

N

o

o

a b c

O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N

3 3N N

3N

3 3N N

연료 1m 당 이론 산소량은

(연료의체적

m m

연료 1m 당 이론 공기량은

m m

연소 공학 46

혼합기체의 표시

•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체 표시법– 공연비(A/F:Air Fuel Ratio)

• 공기와 연료의 공급 질량 비

– 연공비(F/A) :공연비의 역수

– 당량비(φ)• 일정량의 공기에 대해서 이론 공연비의 몇 배의

연료가 공급 되는가를 나타내는 양

• φ=(F/A)/(F/A)0

• φ>1 : 과농, φ<1 : 희박

– 공기비(공기 과잉율) : 1/φ

연소 공학 47

혼합기체의 표시

[예제]

옥탄(C8H18)을 공기 중에서 완전 연소시킬 경우 이론공연비 (A/F)0

[풀이]표 2.3에서 탄화수소의 완전 연소반응식

CmHn + (m + n/4)O2 =mCO2 + (n/2)H20

공기 중에서 반응할 경우 산소는 21%, 연소에 관계되는 질소 대산소의 비는 3.76 : 1. 따라서 위 반응식을 다시 쓰면

C8H18 + 12 .5O2 + 3.76 × 12.5N2

→ 8CO2 + 9H20 + 3.76 × 12.5N2

연소 공학 48

혼합기체의 표시

따라서 연료 1㎏ mol 연소하는데 공기는 12.5+3.76 ×12.5=59.5㎏ mol이 필요함

공기의 분자량은 29㎏/㎏ mol이므로, 공기와 연료의 질량 비인이론공연비 (A/F)0는

이론공연비

029.0 59.5 15 1

12.01 8 1.01 18kg air kg fuel

(A/F) .×= =

× + ×

연소 공학 49

혼합기체의 표시

• 다른 풀이

( )3.773 3.773

8

22 1812.5, 8, 9

8 18 2 2 2 2 2

C

H O N

CO H O N

a b c a

bca b

ca b c

+ →

=

=

+ +

+

=

= = =

+

탄소 균형:

산소 균형:

수소 균형:

따라서 이 므로 이를 대입하면

연소 공학 50

혼합기체의 표시

( )

( )[ ]

12.5, 8, 912.5 3.773

8 9 3.773 12.58 12.01 18 1.01 114.26

12.5 32 28.16 3.773 114.26

1728.1 114.26 15.12

8 18 2 2

2 2 2

C H O NCO H

O

N

o

a b c

A

= = =

→ ×

= × + × =

= × + ×⎡

+ +

+

⎤⎣ ⎦= =

+

연료의무게

질량 기준 연료 1kg 당 이론 공기량은

kg kg

연소 공학 51

연소 열화학

( )

( )( )( )

90.5, 43, 10527 4 39 3 90.5 3.773

43 105 3.773 90.5

27 4 39 3 4 23 22.4 2240

105 285.84 43 393.53 4 110.53 39 74.87 2240

19.4

)

5

2 4 2 2 2

2 2 2

H CO CH O O NC

N

H

O O

h

a b c

H

MJ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N

3

N

3N

N

3

m

m

연료 1m 당 고발열량은

(연료의체적

연료 1m 당 저발열량

( )( )

105 241.83 43 393.53 4 110.53 39 74.87 2240

17.38 lH

MJ

= × + × − × − ×

= 3Nm

연소 공학 52

연소가스의 계산

• 1㎏의 연료가 연소– 습 연소 가스질량 : 발생 연소가스 질량 Gw[㎏/㎏]

– 습 연소 가스체적 : 체적 Vw [㎥N /㎏]

– 건 연소 가스질량 : 수증기를 제외한 질량 Gd

– 건 연소 가스체적 : Vd

– 이론 당량비로 연소시켰을 때 각각의 값• Gw0, Vw0, Gd0, Vd0로 표시

– 이론 습 연소 가스질량, 이론 습 연소 가스체적 등으로 부름

연소 공학 53

연소가스의 계산

• 실제로 동력이나 전열에 관여하는 것은습 연소 가스– 연소가스의 분석은 보통 수증기를 제거하고

나서 분석• 건 연소 가스량을 고려해야 할 필요

– 이론 습 연소 가스 질량과 습 연소 가스 질량은 반응 전후의 질량보존법칙으로 구함

연소 공학 54

연소가스의 계산

• 반응전후의 질량은 보존– 연료+공기(반응 전) = 연소가스(반응 후)

– 연료 1 kg에 대해

0 0

0

1 1 11.48 34.21 4.31( )1 11 [11.48 34.21 4.31( )]

[kg/kg]

[kg/kg]

w

w

G A c h s oG A A

c h s oα

α

= + = + + + −= + = += + + + −

연소 공학 55

연소가스의 계산

• 기체 연료인 경우– 공기에 대한 연료 비중 γg 사용

0 0

0 0

0

/ 0.210 .52

1

1 [ .52 ]

1 1

1 [ .52

2 43 3

2 N N

32 4 2 N

2 4

2.38{H } 2.38{CO} 9 {CH } 4.76{O } [m m ]

2.38{H } 2.38{CO} 9 {CH } 4.76{O } [kg m ]

2.38{H } 2.38{CO} 9 {CH } 4.76{O

w g

g

w g g

A O

G A

G A A

γ

γ

γ α γ

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N} [kg m ]gγ

연소 공학 56

연소가스의 계산

• 이론 건 연소 가스 질량과 건 연소 가스 질량– 습 연소 가스질량에서 수증기 발생량 Gs를 제함

– Gs =8.94h+w, w: 연료에 기 포함된 물의 질량분율

0 0 (8.94 )1 11.48 25.3 4.31( )

(8.94 )1 8.94 [11.48 34.21 4.31( )]

[kg/kg]

[kg/kg]

d w

d w

G G h wc h s o w

G G h wh w c h s oα

= − += + + + − −

= − += − − + + + −

연소 공학 57

연소가스의 계산

• [예제]– 프로판(C3H8)이 공기비 2로 완전 연소 할 때 연소

가스량과 연소 가스의 질량 분율

• [풀이]– 연료 중 탄소와 수소의 질량 분율 c, h

12.01 3 0.91712.01 3 1.01 8

1.01 8 0.18312.01 3 1.01 8

c

h

×= =

× + ××

= =× + ×

연소 공학 58

연소가스의 계산

습 연소가스질량 Gw, 건 연소가스질량 Gd

Gw = 1+2[11.48×0.917 + 34.21 × 0.183] = 32.28 [㎏/㎏]

Gd = Gw –(8.94h + w)

=32.28 – (8.94×0.183 +0)= 30.54 [㎏/㎏]

프로판의 이론 연소 방정식

3 8 2 2 2 2 2C H 5(O 3.76N ) 3CO 4H 0 5 3.76N+ + → + + ×

공기비 2에서 프로판의 연소 방정식

3 8 2 2 2 2 2 2C H 5(O 3.76N ) 2 3CO 4H 0 5O 5 3.76 2N+ + × → + + + × ×

연소 공학 59

연소가스의 계산

• 다른 풀이– 이론 혼합비의 경우

( ) ( )

( )

( ) ( )

3 8 44

2 16

17.01 , 15.3744 44

3 8 2 2 2 2 2C H 5(O 3.76N ) 3CO 4H O 5 3.76N

kg kg

+ + → + + ×

× + =

× × + × ×

× × ×

= =

연료의질량

12

이론 습 연소 가스 질량

3 12+32 +4 +5 3.76 28=748.4

이론 건 연소 가스 질량

3 12+32 +5 3.76 28=676.4

연료 1kg당 습/건 연소가스 질량

748.4 676.4kg kg

연소 공학 60

연소가스의 계산

• 다른 풀이– 공기비 2인 경우

( ) ( )

( )

3 8 44

2 16

3 8 2 2 2 2

2 2 2 2 2

2 2 2 2

C H 5(O 3.76N )+5(O 3.76N )3CO 4H O 5 3.76N 5(O 3.76N )3CO 4H O 5O +10 3.76N

+ + +→ + + × + +→ + + + ×

× + =

× × + × × ×

× × × ×

연료의질량

12

이론 습 연소 가스 질량

3 12+32 +4 +5 32+10 3.76 28=1416.8

이론 건 연소 가스 질량

3 12+32 +5 32+10 3.76 28=1344.8

연료 1k

( ) ( )32.2 , 30.5644 44

kg kg= =

g당 습/건 연소가스 질량

1416.8 676.4kg kg

연소 공학 61

연소가스의 계산

• 습연소가스체적 Vw와 건연소가스체적 Vd

– 연소 가스의 체적은 불완전 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고려

• 일산화탄소 발생비율 ξ(m3/m3)

– 연료에 포함된 탄소 중 불완전 연소 분의 비율

2COCOCO+

연소 공학 62

연소가스의 계산

• 연료(C, H, S)를 공기비 a(>1)로 연소시킨 경우

– 연료에 포함된 C, H, S 성분 만큼 CO2, H2O, SO2가 생성

– 0.210(α-1)A0의 산소는 이용 안되고 잔류

– 불완전 연소 발생 시• 탄소 중의 ξ비율만큼 CO로 전환

• CO와 CO2의 총부피는 일정

• CO의 1/2체적의 산소가 더 남게 됨

연소 공학 63

연소가스의 계산

• 질소는 반응에 참가하지 않음

• 연소 가스 중 질소

– 연료 중에 포함된 질소가 가스화 된 것

– 연소공기 중의 질소의 합계량

– 산소 이외의 공기 성분(체적분율 0.790)은전부 질소로 취급

• 연료 중에 이미 포함된 수분 w는 증발하여 수증기에 더해짐

연소 공학 64

연소 가스의 계산

성분명 분자식 연료 1 kg 당 발생량(mN3)

이산화탄소 CO2(22.41/12.01)c(1-ξ)=1.87c(1- ξ)

일산화탄소 CO (22.41/12.01)cξ=1.87cξ

수 증 기 H2O(22.41/2.016)h+ (22.41/18.02)w

=11.12h+1.24w

질 소 N2

0.790αA0+ (22.41/28.02)n

= 0.790αA0+0.80n

산 소 O2

0.210(α-1)A0+1/2 (22.41/12.01)cξ= 0.210(α-1)A0+0.93cξ

이 산 화 황 SO2 (22.41/32.06)s=0.70s

연소 가스 성분의 발생량

연소 공학 65

연소 가스의 계산

• 습 연소 가스 체적

0( 0.210) (1.87 0.93 ) 11.12

0.80 0.70 1.24( 0.210)[8.89 26.5 3.33( )]1.87 0.93 ) 11.12 0.80 0.70 1.24

3N

3N

[m /kg] ( [m /kg]

wV A c h

n s wc h s o

c h n s w

α ξ

α

ξ

= − + + +

+ + += − + + −

+ + + + + +

• 건 연소 가스 체적

( 0.210)[8.89 26.5 3.33( )]

1.87 0.93 ) 0.80 0.70 3N ( [m /kg]

dV c h s o

c n s

α

ξ

= − + + −

+ + + +

연소 공학 66

연소 가스의 계산

• 이론 습 연소 가스 체적(α=1, ξ=0)

0 8.89 32.1 0.80

2.63 3.33 1.24 3N [m /kg]

wV c h n

o s w

= + +

− + +

8.89 20.9 0.80

2 63 3 33 3N [m /kg]

dV c h n

. o . s

= + +

− +

• 이론 습 연소 가스 체적

연소 공학 67

연소 가스의 계산

[예제]

프로판 (C3H8)을 공기비 1.2로 연소

불완전 연소하여 연소 가스 중에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가 같은 양으로 생성

프로판 1kg당 발생하는 연소가스체적?

[풀이]

앞의 예제에서 프로판 중의 탄소와 수소의 질량분율은 c= 0.817과 h= 0.183

연소 공학 68

연소 가스의 계산

CO와 CO2가 같은 양으로 생성되므로 ξ= 0.5

습 연소 가스체적 Vw를 구하면

Vw = (1.2-0.210) [8.89×0.817+26.5×0.183]+(1.87+0.93 ×0.5)×0.817+11.12 ×0.183

=15.90[㎥N/kg]

건 연소 가스체적 Vd

Vd= (1.2-0.210)[8.89×O.817+ 6.5×0.183] +(1.87 + 0.93 × 0.5)×0.817

=13.87[㎥N/kg]

연소 공학 69

연소 가스의 계산

• 다른 풀이

10 2 2 4 2 1.751.5 1.5 1.75

3 8 2 2 2 2

2 2 2 2

2 2 2 2

C H 5(O 3.76N )+0.2 5(O 3.76N )CO CO 4H O 6 3.76N O

CO CO 4H O O +6 3.76N

a a b

a a b b

+ + × +→ + + + × +

+ = + + + ⇒ =+ + + ×

탄소 균형에서

2a=3 a=1.5

산소 균형에서

연소 공학 70

연소 가스의 계산

( )

( )

1.5 1.5 1.75

3 8 44

1.5 1.5 4 1.75 6 3.76 22.4 701.344 )

1.5 1.5 1.75 6 3.76 22.4 611.744 )

701.344

2 2 2 2CO CO 4H O O +6 3.76N

+ + + ×

× + =

+ + + + × × =

+ + + × × =

3N

3N

연료의질량

12

연료 1 kmol 당 이론 습 연소 가스 체적

(m

연료 1 kmol 당 이론 건 연소 가스 체적

(m

연료 1kg당 습/건 연소가스 체적

( ) ( )611.74415.93 , 13.9044 44

kg kg= =3 3N Nm m

연소 공학 71

발열량_연소 열화학

• 생성 엔탈피(생성 열)

–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엔탈피 변화 관계

– 생성열(heat of formation)이라고도 함

– 화합물의 구성 원소로부터 화합물로 형성될때 발생 또는 흡수하는 열의 양

• 발열반응은 (-)의 값, 흡열반응은 (+)

– ΔH0f (kJ/mol)로 표시

– 표준상태에서의 발열량 ΔHo를 구하는데 사용

연소 공학 72

발열량_연소 열화학

• 생성 엔탈피(생성열)

– 원소로부터 1mol의 물질이 표준압력 1atm과 표준온도 298.15K(25℃)에서 생성될 때의 엔탈피 변화

– 원소 물질인 C, H2, 02 등은 생성 엔탈피가없음

– 반응이 증기상태/액체상태에 따라 다른 값

– 엔탈피를 그 물질의 질량으로 나눈 값을 비엔탈피 ΔHf(kJ/㎏)

연소 공학 73

발열량_연소 열화학

• 표준 상태– 일정 대기압과 온도에 있는 상태(o로 표시)

– 모든 열역학적 계산은 초기와 말기상태 사이에 대해 행해짐(경로와 무관)

• 모든 열역학 상태에 대한 기준상태(datum state) 선택이필요

• 수 많은 기준상태가 사용

• 대부분의 기준은 298.15°K(25℃)과 1기압

• 준거(reference) 상태의 원소는 기준 온도에서 임의로 0 엔탈피로 둠

• 준거(reference) 상태의 원소는 인정된 표준 상태

연소 공학 74

발열량_연소 열화학

• 생성 엔탈피–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화학종에

대해서는 온도의 함수로서 표로 주어짐.

– JANAF Table• 무기화합물에 대한 기본적 준

– 표에 포함된 내용• 정압에서 몰 당 비열, 표준 엔

트로피, 표준 Gibbs 자유 에너지, 표준 엔탈피, 생성 엔탈피, Gibbs 생성 자유에너지, 원소로부터 각 화합물의 생성에대한 평형상수(log10 으로)

종류 상태 MJ/kmol

산소(O2) 기체 0

질소(N2) 기체 0

수소(H2) 기체 0

탄소(C) 기체 0

이산화탄소(CO2) 기체 -393.52

물(H2O) 기체 -241.83

물(H2O) 액체 -285.84

일산화탄소(CO) 기체 -110.54

메탄(CH4) 기체 -74.87

프로판(C3H8) 기체 -103.85

메탄올(CH3OH) 기체 -201.17

메탄올(CH3OH) 액체 -238.58

에탄올(C2H5OH) 기체 -234.60

에탄올(C2H5OH) 액체 -277.00

벤젠(C6H6) 액체 -49.00

옥탄(C8H18) 기체 -208.45

옥탄(C8H18) 액체 -249.35

세탄(C16H34) 액체 -454.50

생성표준 엔탈피(298.15K(25℃) 그리고 1 atm에서)

연소 공학 75

발열량_연소 열화학

• 표준 상태에서 주어진 연소반응에 대한 생성물, 반응물의 생성 엔탈피– 연소 반응 시 여러 종의 분자(화합물)이 존재하므로

,

,

: ( )

o oP i f i

products

o oR i f i

reacants

i

H n h

H n h

n

= Δ

= Δ

%

%

생성물의생성엔탈피

반응물의생성엔탈피

각 분자 화합물 의몰 수

연소 공학 76

발열량_연소 열화학

• 생성 엔탈피를 이용한 발열량의 계산

( )

( ) ( )

0 0,

, ,

1,

1 0 0, 0 1

1

T

T P

o oi f i i f i

products reacants

o oP R

T P

R R T P P P

H H

n h n h

H H

CV H

H H H H H

Δ = Δ

= Δ − Δ

= −

= Δ

= − − + Δ − −

∑ ∑% %

표준 상태의발열량

어떤온도 에서의발열량

연소 공학 77

발열량_연소 열화학

Temperature(T)

Enth

alp

y, H

Enthalpy of Product, HP

Enthalpy of Reactant, HR

Isothermal(등온)

0R

0P

1R

1P

T0 T1

1,

1 1

T P

R P

HH H

−Δ

= −1

0

1 0

,

R R

Tp RT

H H

C dT

= ∫

0 , ,o o

i f i i f iproducts reacants

H n h n h⎛ ⎞−Δ = − Δ − Δ⎜ ⎟

⎝ ⎠∑ ∑% % 1

01 0 ,

TP P p PT

H H C dT− = ∫

cQ

hQ

연소 공학 78

발열량_연소 열화학

[예제]298.15K에서 메탄과 산소 이론 혼합비에서 생성물과 반응

물의 엔탈피와 반응 엔탈피 증가와 내부에너지 증가를 계산하라.

[풀이]이론 반응 : CH4 + 2O2 → CO2 + 2H2O

표에서 생성 엔탈피를 찿으면

CH4 :-74.87, O2 :0, CO2 :-393.52, 물(액체): -285.84,

물(수증기) :-241.83

물이 기체(수증기)로 생성된 경우 :

H0p= -393.52+2(-241.83)=-877.18 MJ/k㏖

H0R= -74.87 MJ/k㏖

연소 공학 79

발열량_연소 열화학

∆(H) 0R= -877.18+74.87 = -802.31 MJ/k㏖

물(액체) 에 대해:

H0p= -393.52+2(-285.84)=-965.20 MJ/k㏖ C

H0R= -74.87 MJ/k㏖ CH4

∆(H) 0R= -965.20+74.87 = -890.33 MJ/k㏖

연소 공학 80

발열량_연소 열화학

∆(U) 0R : 수증기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몰 수는같으므로

∆(U)0v = ∆(H) 0R = -802.3 MJ/k㏖ CH4

물에 대해:

∆(U)0v= -890.33-8.3143x10-3(1-3)298.15

MJ/k㏖ CH4

= -885.4 MJ/k㏖ CH4

혼합기에서의 질소와 이론량을 초과하는 산소의존재는 이들 계산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음

(1-3)? : pv=RT, h=u+pv=u+RT,

(np-nr)RT= 8.3143x10-3(1-3)298.15

연소 공학 81

발열량_연소 열화학

• 연료가 산소와 만나 완전 연소한 후 처음의 온도까지 냉각될 때에 단위 질량 당(또는 몰 당) 발생 하는 열량

• 고위발열량(HCV, 총발열량) Hh

– 연소반응으로 생성된 물이 응축하여 액상으로 존재할 때

• 저위발열량(LCV, 참 발열량) Hl

– 연소반응으로 생성된 물이 증기상태로 존재할 때

– 수증기의 증발 잠열은 이용이 안되므로 주로 이를사용

연소 공학 82

발열량_연소 열화학

• HCV - LCV = y (hfg), hfg=r– y : 연료의 단위량 당 물의 질량

– hfg : 해당 온도에서 물의 증발 엔탈피(44.01MJ/kmol=44010/(2.016+15.99) kJ/ kg ≒2442 kJ/kg ≒44.01/22.4=1.96 MJ/m3)

기체 H2O -241.83

액체 H2O -285.84

44.01

물의 생성열(298.15K(25℃), 1 atm) MJ/kmol

기체-액체

연소 공학 83

발열량_연소 열화학

• 물의 경우– HCV - LCV = ( 9hX 2440 ) (kJ/kg)

– H2 + 1/2 O2 → H2O

1(2)kg 8(16)kg 9(18)kg

연소 공학 84

발열량_연소 열화학

비점

[kJ/mol] [MJ/kg] [kJ/mol] [MJ/kg] [kJ/mol] [MJ/kg] [℃]

수소 H2 기체 0 0 285.8 141.8 241.8 120.0 -252.7

그레파이트 C 고체 0 0 393.5 32.76 393.5 32.76

황 S " 0 0 296.8 9.259 296.8 9.259

일산화탄소 CO 기체 -110.53 -3.946 283.0 10.10 283.0 10.10 -191.5

메탄 CH4 " -74.87 -4.677 890.3 55.50 802.3 50.01 -161.5

에탄 C2H6 " -84.0 2.794 1561 51.90 1429 47.51 -89.0

프로판 C3H8 " -104.5 -2.370 2219 50.33 2043 46.34 -42.1

" -126.5 -2.176 2877 49.49 2657 45.71

액체 -147.5 -2.538 2856 49.13 2636 45.35

기체 -146.5 2.303 3536 49.01 3272 45.35

액체 -173.2 -2.401 3509 48.64 3245 44.98

기체 -167.1 -1.939 4195 48.68 3887 45.10

액체 -198.6 -2.305 4163 48.31 3855 44.74

기체 -208.5 -1.325 5512 48.25 5116 44.79

액체 250.0 -2.189 5471 47.89 5075 44.42

기체 -374.8 -1.655 10781 47.61 10033 44.30

액체 -456.1 -2.014 10699 47.25 9951 43.95

프로필렌 C3H6 " 20.2 0.480 20.58 48.91 1926 45.78 -47.0

아세틸렌 C2H2 " 226.73 8.708 1300 49.91 1256 48.22 83.6

" 82.9 1.061 3302 42.27 3170 40.58

액체 49.0 0.627 3268 41.83 3136 40.14

기체 -201.6 -6.292 763.6 23.83 675.6 21.08

액체 -239.1 -7.462 726.1 22.66 638.1 19.91

기체 -234.8 -5.097 1410 30.60 1278 27.74

액체 -277.1 -6.015 1367 29.68 1235 26.82

n-부탄

n-펜탄

-0.5

36.1

286.3

80.1

n-헥산

n-옥탄

68.7

125.7

메탄올

에탄올

n-세탄

벤젠

표 2.4 주요 연료의 발열량 및 표준생성열 (0.1MPa, 25 ℃ )

표준생성열 고발열량 저발열량 연료명 분자식 상태

78.3

64.7

C4H10

C5H12

C6H14

C8H18

C16H34

C6H6

CH4O

C2H6O

연소 공학 85

발열량_연소 열화학

• 액체 및 고체 연료의 경우– 복잡한 분자•결정구조의 여러 성분들의 혼

합물

– 연료 구성원소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c, h, s, o의 값으로부터 발열량을 계산할 수 없음

– 열량계에 의한 실측

– Dulong의 식(0.4MJ/㎏ 정도의 오차)

연소 공학 86

발열량_연소 열화학

33.8 144.3( 7.94) 9.42 ]2.44 2.44(8.94 )

33.8 122.5 18.2 9.42 2.44 ]

[MJ/kg

[MJ/kg

h

l h s h

H c h o sH H V H h w

c h o s w

= − − += − = − += + − + −

W : 연료에 이미 포함된 수분의 양w 포함 : 함수 시료 기준 발열량

w 제외 : 무수 시료 기준 발열량

(h-o/7.94) : 유효 수소

연소 공학 87

발열량_연소 열화학

• 혼합연료의 발열량– 기체 연료의 경우 성분가스의 발열량 값을 이용하

여 합산

]1.96

]

2 43N

23

4 2 N

12.75{H } 12.63{CO} 39.72{CH } [MJ/m

12.75{H } 12.63 {CO} 39.72{CH } 1.96{H O} [MJ/m

h

l h s

H

H H G

= + +

+ ⋅ ⋅= − = +

+ + ⋅ ⋅ −

연소 공학 88

연소 온도

• 이론연소온도(단열연소온도)– 연소과정에서 가연물질이 이론공기비로 완전연소

되고, 열손실이 전혀 없다고 가정 할 경우 연소실내 가스온도

– 열평형 방정식으로 부터

• : 연료의 저발열량( )• G : 이론습연소가스량( )• : 연소가스의 평균 정압 비열( )• : 연소온도( )• : 연소공기 및 연료 공급 온도( )

1( )l p cH G C t t= × −

lH

pCct1t

/kcal kg3 /m kg

3/kcal mo C

o C

1l

cp

Ht tG C

= +×

연소 공학 89

연소 온도

• 실제 연소온도– 열손실 및 연소효율 그리고 연료 및 연소용 공기의 현열 고려

• : 연소 효율• : 실제습연소가스량 ( )• :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손실 ( )• Q : 연료 및 연소공기의 현열

• : 예열된 공기 온도 : 예열된 연료 온도• ; 공기의 정압비열 : 연료의 정압 비열

01

lc

w p

H Q Qt tG Cη − +

= +×

1 1( ) ( )a pa a pf fQ m C t t C t t= − + −

at ftpaC

pfC

ηwG

0Q

3 /m kg/kcal kg

연소 공학 90

연소 생성물_ 일산화탄소(C0)

– 화재시에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탄소입자,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기타 가스를대량 흡입하여 행동불능 상태가 되어 사망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1) 일산화탄소(C0)– 일산화탄소는 산소보다 헤모글로빈에 대한

친화력이 200배나 높아 산소가 결핍이 되어질식 상태 발생.

– 정신적인 능력면에서 환경에 대한 적응성과판단력의 감퇴를 초래

연소 공학 91

연소 생성물_ 이산화탄소가스(CO2)

2) 이산화탄소가스(CO2)

– 화재시 대량으로 발생함으로써 공기 중의산소부족에 따른 질식효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인명을 죽음에 이르게 할 수가 있다.

– 실제 화재시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증가에따라 호홉속도가 빨라짐으로써 함께 존재하는 유독성 가스의 홉입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위험은 더욱 가속화된다.

연소 공학 92

연소 생성물_ 이산화탄소가스(CO2)

•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2%(체적농도)– 호홉심도는 1.5 배 정도 증가

• 3%의 농도– 호홉심도 는 약 2 배정도 증가

• 5%의 농도– 호홉이 과중해지고 사람에 따라서는 심한 고통을 느낌

– 남자 의 경우 약 1 시간 정도 견딜 수 있다.

• 9%의 농도– 모든 사람이 10 분 이내에 의식을 잃게 된다

• 20%의 농도– 인사불성이 된 사람은 신속히 조치하지 않는 한 약 20~30 분

이내에 사망하게 된다.

– 특별한 전문의학적 조치가 필요한 한계농도

연소 공학 93

연소 생성물_ 황화수소가스 (H2S)

3) 황화수소가스 (H2S)– 고무, 동물의 털, 가죽 및 고기 등과 같은 물질에는

유황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화재 시에는 이들의 불완전연소로 인해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 약 0.02% 이상의 농도• 썩은 달걀에서 나는 것과 같은 냄새가 나나 후각이 바로

마비되므로 즉시 적절한 방호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음

– 약 0.04% 농도의 황화수소• 30 분 이상 호흡하면 위험

– 약 0.08% 농도의 황화수소• 치명적인 위험상태에 빠질 수가 있다.

연소 공학 94

연소 생성물_ 아왕산가스 (SO2)

4) 아왕산가스 (SO2)

– 황화수소의 경우와 달리 유황이 완전히 산화될 때 생성된다.

– 눈 및 호흡기 등의 점막을 상하게 하기 때문에 약 0.05%의 농도에 단시간 노출되어도위험하다.

– 유황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산업시설의 화재시에는 대량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요한다

연소 공학 95

연소 생성물_암모니아가스(NH3)

5) 암모니아가스(NH3)

– 눈, 코, 인후 및 폐에 매우 자극성이 큰 유독성 가스

– 사람들이 본능적으로 피하고자 할 정도로역한 냄새가 난다.

– 0.25~0.65%의 농도• 30 분 정도 노출되면 대개 사망하기 쉽다

• 생체의 내부조직에 심한 손상을 준다

연소 공학 96

연소 생성물_시안화수소가스(HCN)

6) 시안화수소가스(HCN)

– 맹독성의 유독가스로서 대체로 0.3%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즉사한다.

– 주로 질소 함유물로 제조되는 수지류, 모직물 및 견직물이 불완전 연소되어 발생하는경우가 많다.

– 목재나 종이류가 탈 때는 공기중의 질소가탄소와 결합하면서 생성

– 대부분의 화재에서는 발생량이 매우 적다.

연소 공학 97

연소 생성물_ 염화수소가스(HCl)

7) 염화수소가스(HCl) – PVC와 같이 염소가 함유된 수지류가 탈 때 생성

– 자극성의 물질로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냄새

– 약 1.500ppm의 농도에서 호흡하면 불과 몇 분 내에 치명적인 위험을 받을 수가 있다.

– 금속에 대해 강한 부식성이 있어 콘크리트건물의철골이 때로는 손상되기도 한다.

– PVC는 전선의 절연재 및 배관재료 등으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건물 화재시 소방관을 애먹이는 연소가스의 하나이다.

연소 공학 98

연소 생성물_이산화질소가스(NO2)

8) 이산화질소가스(NO2)– 흡입하면 인후의 감각신경이 마비되어 그 존재여부

를 깨닫지 못함• 200~700ppm 정도의 농도에 잠시 노출되기만 해도 인체

에 치명적이다.

– 그다지 심하게 노출되지 않는 경우• 독성의 효과가 대개 8 시간쯤 전후에 나타남

• 대개는 회복이 어렵고 폐렴 등의 병발증이 유발

– 질산셀룰로이즈가 연소 또는 분해될 때 생성

– 질산암모늄 (NH4NO3)과 같은 질산염 계통의 무기물질이 포함된 화재에서 발견

– 질산이 금속이나 가연물과 접촉하면 발생

연소 공학 99

연소 생성물_ 아크로린 (CH2CHCH0)

9) 아크로린 (CH2CHCH0)

– 석유제품 및 유지류 등이 탈 때 생성

– 너무도 자극성이 크고 맹독이어서 1ppm 정도의 농도만 되어도 견딜 수 없다

– 1Oppm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즉사

– 일상적인 화재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