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19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 2014. 9. 류영호 (교보문고 차장)
  • Upload

    -
  • Category

    Business

  • view

    2.134
  • download

    2

description

국내 출판계분들과 저녁 모임에서 공유한 자료임. 오는 11월 21일부터 시행되는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 관련 전자책 시장의 예상 변화와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트렌드를 정리하였음

Transcript of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Page 1: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

2014. 9.

류영호(교보문고 차장)

Page 2: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

• 국내 전자책 시장의 예상 변화

• 14년 상반기 전자책 서비스 분석

Table of Content

• 14년 상반기 전자책 서비스 분석 (교보문고 기준)

• 글로벌 전자책 시장 트렌드

• Q&A

2

Page 3: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 도서정가제 적용범위 확대를 위해 출판문화산업 진흥법을 개정함

ㅇ 현행 도서정가제는 입법취지와는 다르게 정가제가 적용되지 않는 도서가 많고, 할인율(정가의 19%, 선진국은 2~15%)이 높아 염가할인 경쟁, 도서의 가격거품 형성, 신간발행 저하, 신인작가의 저작욕구 저하, 중소출판사 도태, 지역서점 감소 등으로 이어져 도서정가제가 유명무실해짐에 따라

- 지난해 1월 최재천의원이 출판문화산업 진흥법 개정안을 발의 이후, 문체부의 관계기관·단체의견수렴(2~3월, 9월), 출판·유통계 간 자율 협의(5~10월, 6회), 국회주관 출판계·온·오프라인서점간 이견조정(12월)에도 불구하고 할인율 등 쟁점사항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

- 금년 1~2월까지 문체부 주선으로 할인율 등 쟁점에 대한 관련 업계간 협의(10회)를 거쳐 2.25일 출판계-유통계(온·오프라인서점)-소비자단체가 출판법 개정안 관련 협약을 체결하여 협약서를 국회에 제출함으로써

- 모든 도서의 도서정가제 적용(현재 도서정가제가 적용되지 않는 18개월 경과 간행물, 초등학습참고서, 실용도서, 도서관 구매 간행물 포함), 할인율 축소(19%→15%)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 출판문화산업 진흥법(수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개정됨(5.20일 공포, 11.21일 시행)

3

Page 4: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 (협약서)

4

Page 5: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 구간(18개월 경과 간행물)에 대한 정가 변경(재정가제) 도입

ㅇ 도서정가제를 확대·개정한 출판문화산업 진흥법은 현재 도서정가제가 적용되지 않는 구간(발행일로부

터 18개월이 지난 간행물)에 대해서 도서정가제를 적용하는 대신 출판사의 효율적 재고관리와 소비자의

후생증진을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가를 하향하여 다시 책정하는 재정가제를 도입하였

음(법 제22조 제2항)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

- 특히 구간의 도서정가제 적용 및 재정가제는 지난 1~2월 중 관련업계 및 단체 간 할인율 등 쟁점에 대한 협

의과정에서 출판계가 요구하여 2.25일 체결한 출판계-유통계(온·오프라인서점)-소비자단체가 출판법 개

정안 관련 협약서에 반영된 바 있음

5

Page 6: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 대통령령에 위임된 사항을 정하기 위해 출판문화산업 진흥법 시행령 개정 추진 중

ㅇ 출판문화산업 진흥법 제22조제2항에서 18개월 경과 간행물의 정가변경(재정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르도록 함에 따라 정가변경 절차를 정하기 위해 출판문화산업 진흥법 시행령을 개정 추진 중

- 법 제22조제2항에 따라 발행일로부터 18개월이 지난 간행물의 정가를 변경하고자 하는 출판사는 해당

간행물의 정가를 변경하는 날로부터 2개월 전까지 정가변경 대상 간행물의 정보와 변경정가, 적용일 등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

을 법 제16조에 따른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인터넷 홈페이지(게시판)에 게시하여 해당 간행물의 정

가를 변경한다는 사실을 공표하고, 간행물 유통관련 단체 및 사업자에게 고지하여야 함(안 제15조제3항,

신설)

- 또한 발행일로부터 18개월이 지난 간행물의 정가를 변경한다는 사실을 공표한 출판사는 해당 간행물의 변

경된 정가를 적용하는 날로부터 1개월 전까지 해당 간행물에 대한 한국도서정보 중 가격정보의 변경을

도서관법 제18조에 따라 설치된 국립중앙도서관에 신청하여야 함(안 제15조제4항, 신설)

6

Page 7: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

7

• 현재 전자책 도서정가제는 13년 1월 26일 출판문화산업 진흥법을 일부 개정해 7월 27일부터 시행

• 출판사와 유통사는 전자책 정가와 판매가를 표시하고, 발간 18개월이 지나지 않으면 10% 이내만

할인 판매 가능

• 14년 11월 21일, 개정 사항에 대한 세부 기준 및 가이드라인은 현재 미정임

Page 8: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국내 전자책 시장의 예상 변화

• 전자책 가격 인상?

• 전자책 독자들의 구매력 감소?

• 장르분야의 지속적인 성장?• 장르분야의 지속적인 성장?

• 채널별 대응 전략은?

• 해외 사업자의 본격적인 진출?

8

Page 9: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국내 전자책 시장의 예상 변화

B2C B2B

• 신간: 종이책 정가 기준 전자책 가격 책정- 종이책 대비 70% 내외 유지

• 구간: 재정가 책정시 전자책 가격 조정

• B2B 납품가의 변화는 미미- 예산 기준으로 구매권수 축소 예상

• B2B 계약과 이용 조건에 대한 출판계와도서관계의 개선 협의 지속

• 단권 할인율 축소로 구매력 저하 예상- 대여/정액제 서비스, 할인전 선호

도서관계의 개선 협의 지속

• B2BC 채널은 B2C 기준 유지 예상

단기적으로 할인율 축소에 따른 판매량 감소차별화된 전자책 기획 및 시장친화적인 가격 정책 필요

서비스 경쟁력 강화 필요(해외 플랫폼 진출 대비)

9

Page 10: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종합 의견

• 단기적으로 전자책 시장의 급격한 움직임은 없을 듯- 시장 매출의 50% 이상인 장르문학은 도서정가제와 거리가 있기 때문

• 일반 단행본 전자책의 경우에도 종이책과 동시출간율이 높아지면서,종이책의 평균 70%의 전자책 가격 책정은 대부분 유지될 듯- 다수의 전자책 독자들도 종이책 가격대비 전자책 판매가를 감안해서 구입

• 신간보다 구간의 재정가 책정이 마케팅 전략의 변수가 될 듯

10

• 신간보다 구간의 재정가 책정이 마케팅 전략의 변수가 될 듯- 저렴한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판매율이 높다면 무리한 가격 인하는 불필요

• B2B와 B2BC 채널도 당분간 큰 변화는 없을 듯- 예산 중심의 B2B, B2C와 직접 연계되는 B2BC의 특성 감안

• 해외 메이저 플랫폼 진출시, 가격보다 서비스경쟁력의 시대가 본격화될 듯- 유통사의 시장구조 재편 가속화, 작가와 출판사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

유통사의 자체 퍼블리싱 사업 확대 예상

Page 11: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14년 상반기 전자책 판매 분석 (교보문고)

구 분 유통 Channel 서비스 방식 비 고

B2C 인터넷/모바일교보문고

‘판매정가’ 기준으로

디지털화된 파일 제공

- 7(갑) : 3(을) 수익배분

원본 파일 제공

- 6(갑) : 4(을) 수익배분

Contents

일반 사용자출판사 인터넷/모바일 교보문고

일반 사용자출판사 교보문고 제휴사이트

서비스 모델

B2BC 당사와 제휴한 사이트‘판매정가’ 기준으로

5(갑) : 5(을) 수익 배분

B2B 도서관 및 기업 등 단체

DLS 기반한 시/도 교육청

‘판매정가 * 공급 권수’

기준으로

5(갑) : 5(을) 수익 배분

회원제 인터넷/모바일교보문고

신규 단말기

‘월(月) 정액 요금 합계’

기준으로

6(출판사 전체) : 4(당사)

수익 배분

일반 사용자출판사 교보문고 제휴사이트

일반 사용자출판사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Contents

Contents

Contents

일반 사용자출판사 인터넷/모바일 교보문고

11

Page 12: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14년 상반기 전자책 판매 분석 (교보문고)순위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1 이 남자의 여자 제조법(19금) 이상원 디키스토리

2 유엔미래보고서 2040 박영숙 교보문고

3 잡담이 능력이다 사이토 다카시 위즈덤하우스

4 나는 까칠하게 살기로 했다 양창순 센추리원

5 벙어리 신부. 1 현지원 디키스토리

6 격정의 밤 이서한 스칼렛

7 내일 기욤 뮈소 밝은세상

8 마리아의 아리아 3권 김휘빈 조아라

• 종합 1위는 장르소설 (에로티카)

• 종이책 베스트셀러 트렌드와 확연한차별화

8 마리아의 아리아 3권 김휘빈 조아라

9 4주 해독다이어트 박용우 비타북스

10 발렌타인데이의 짐승(19금) 이수림 디키스토리

11 그대 내게 닿으면 해이 시크릿e북

12 연의 보스 현미정 디키스토리

13 미 비포 유 조조 모예스 살림

14 감정수업 강신주 민음사

15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정여울 홍익출판사

16 그의 그녀. 1 현지원 디키스토리

17 마리아의 아리아 1권 김휘빈 조아라

18 마리아의 아리아 2권 김휘빈 조아라

19 정글만리. 1 조정래 해냄출판사

20 황홀한 재회(19금) 서휘라 디키스토리

• 이제는 해외원서 판매도 증가

• 여전히 읽기 쉽고 가벼운 킬링 타임용콘텐츠 선호

• 인문 분야 eBook의 약진, 콘텐츠공급이 늘면 시장도 함께 성장

12

Page 13: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장르소설이 전자책 시장 견인

• 장르소설과 소설을 합한 문학 분야의 판매 점유율이 56.1%

• 장르소설 분야가 43.1%로 분야별 판매 점유율이 가장 높음

- 장르소설 내 로맨스가 63.5%로 1위 (여성 독자가 73%)

• 인문, 경제경영 분야의 상승세

- 다수의 베스트셀러들이 전자책 콘텐츠로 제공

14년 상반기 전자책 판매 분석 (교보문고)

13

Page 14: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20대 독자 비율 큰 폭으로 상승

• 30대가 35.7%로 가장 높고, 40대가 26%, 20대가 25.8%

•인기 있는 로맨스, SF. 판타지 등 장르소설 분야의 콘텐츠 양산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전자책 독서환경 개선

판매권수 점유율

14년 상반기 전자책 판매 분석 (교보문고)

연령대판매권수 점유율

추이2012년 2013년 2014년

10대 0.8% 0.6% 1.2% ↗

20대 18.2% 17.1% 25.8% ↗

30대 39.2% 37.6% 35.7% ↘

40대 30.9% 32.7% 26.0% ↘

50대 9.0% 10.2% 9.0% ↘

60대 이상 1.9% 1.8% 2.3% ↗

14

Page 15: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글로벌 전자책 시장 트렌드

Amazon Power

• Kindle voyage 출시 (14.9.18.)

• 킨들 시장점유율은 글로벌 60% , 미국 70% 이상

15

• 일본과 중국에 킨들 스토어 오픈(13년 말)

• 아셰트와의 전자책 수익배분율 분쟁

• 아마존 퍼블리싱, 교육/키즈 서비스

• 호주, 브라질에 이어 네덜란드 오픈 예정

Page 16: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글로벌 전자책 시장 트렌드

Subscription

• 음악, 비디오, 방송 등에서는 일반화

• 전문분야 전자책 또는 디지털교과서 시장에서 제한적 시도

•• 최근 일반 단행본 시장에서도 활성화

• 오이스터(Oyster)와 스크리브드(Scribd)

• 최근 오이스터의 서비스 콘텐츠 50만종 돌파

중견 출판사의 참여 확대 / 월 약 10 달러

• 아마존 킨들 언리미티드 오픈(14. 8)

16

Page 17: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글로벌 전자책 시장 트렌드

Self Publishing

• 아마존 KDP 밀리언 클럽 14명

• 셀프퍼블리싱을 통해 출간한 전자책이

2013년 킨들스토어 TOP 100 전자책의 평균 27%

• “2020년이 되면 미국 전자책 판매량의 50%는 셀프퍼블

리싱 전자책이 차지하게 될 것이다”

(스매시워즈 CEO 마크 코커)

17

Page 18: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글로벌 전자책 시장 트렌드

Discoverability & Curation

• 디지털 기술과 함꼐 변화하는 출판 마케팅

• 책을 만나고 활용하는 모든 환경들이 하나의 맥락 속

18

에서 움직여야 성장

• 메타데이터 관리는 책의 발견성과 컨텍스트 시대를

완성하는 첫 단추

• 소셜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충성 독자 확보와

중장기적인 커뮤니티 구축

Page 19: 도서정가제 확대 개정과 글로벌 전자책 시장의 흐름_류영호

Q&A

류영호

[email protected]

https://twitter.com/pageraum

https://www.facebook.com/ryuyoungho75

010-3827-736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