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16
음악교육공학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2011.02.16. Vol.12, pp. 205220 - 205 -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 1) 최 진 호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관련된 학술적 연구들의 유형을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하고, 현재 한국과 미 국의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음악교육의 현황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나은 한국 음악교육의 미래를 위하여 음악연구의 방법론적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과 관련한 연구방법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현황을 알기위하여, 악교육 공학회에서 발간하는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삼아 유형을 분석하여(N=112) 미국의 JRME 에 출간된 음악교육연구유형(Yarbrough 1996)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대부분 양적 연구방법인 실험연구와 조사연구(78.3%)인데 반해, 한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는 대부분 질적연구방식에 속하는 메타 분석(Meta-Analysis)을 사용한 문헌연구(Review Article) 방식(85.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국에서 양적연 구에 치우친 음악교육계가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연구방법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현장중심의 양적연구들이 많이 나와서 한국의 음악교육이 발전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검색어: 음악교육, 음악연구방법론, 음악논문유형 <> . 들어가며 .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교육연구의 유형 . 연구방법론에 따른 한국 음악교육 연구의 현황 . 한국 음악교육연구의 연구 방법론적 과제들 . 나가며 I. 들어가며 그동안 한국의 음악계는 엘리트 연주자를 양성하는 실기 중심의 음악교육을 지향하여 왔다. 그 결과, 한국의 클래식 음악계는 수많은 세계적인 전문 연주자들을 배출해 왔으며, 나아가 한 국음악과 대중음악의 세계화에서도 성공적인 모습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 반면, 음악의 이러한 성공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이론적 연구에 있어서는 소홀한 부분이 있었다. 야브 로흐는(Yarbrough 1996) 모든 음악에 대한 연구는 음악자체와 음악적 활동에 대한 지식을 확장 * 이 논문은 연구자가 20101127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정기학술대회 대구대회에서 발표한 같은 제 목의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Transcript of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Page 1: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2011.02.16. Vol.12, pp. 205~220

- 205 -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황과 과제*1)

최 진 호

본 연구의 목 은 음악교육에 련된 학술 연구들의 유형을 과학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하고, 재 한국과 미

국의 음악교육과 련한 연구들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음악교육의 황을 밝히는 것이다. 한 보다 나은 한국

음악교육의 미래를 하여 음악연구의 방법론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 을 달성하기 해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과 련한 연구방법에 한 유형을 분석하 으며, 재 음악교육과 련한 연구들의 황을 알기 하여, 음악교육 공학회에서 발간하는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상으로 삼아 유형을 분석하여(N=112) 미국의 JRME에 출간된 음악교육연구유형(Yarbrough 1996)과 비교분석하 다. 그 결과, 미국의 음악교육 련 연구가 부분 양

연구방법인 실험연구와 조사연구(78.3%)인데 반해, 한국의 음악교육 련 연구는 부분 질 연구방식에 속하는 메타

분석(Meta-Analysis)을 사용한 문헌연구(Review Article) 방식(85.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으로 미국에서 양 연

구에 치우친 음악교육계가 질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연구방법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

상 으로 매우 취약한 장 심의 양 연구들이 많이 나와서 한국의 음악교육이 발 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검색어: 음악교육, 음악연구방법론, 음악논문유형

<목 차>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교육연구의

유형

Ⅲ. 연구방법론에 따른 한국 음악교육

연구의 황

Ⅳ. 한국 음악교육연구의 연구 방법론 과제들

Ⅴ. 나가며

I. 들어가며

그동안 한국의 음악계는 엘리트 연주자를 양성하는 실기 심의 음악교육을 지향하여 왔다. 그 결과, 한국의 클래식 음악계는 수많은 세계 인 문 연주자들을 배출해 왔으며, 나아가 한

국음악과 음악의 세계화에서도 성공 인 모습으로 발 해 오고 있다. 반면, 음악의 이러한

성공을 체계 으로 뒷받침해 수 있는 이론 연구에 있어서는 소홀한 부분이 있었다. 야로흐는(Yarbrough 1996) 모든 음악에 한 연구는 음악자체와 음악 활동에 한 지식을 확장

* 이 논문은 연구자가 2010년 11월 27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정기학술 회 구 회에서 발표한 같은 제

목의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Page 2: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 206 -

하는 것에 공헌하기에 가치가 있다고 하 다. 다행이 최근 들어서 음악학 는 음악교육학을

심으로 음악의 과학 연구에 한 심이 증하고 있으며, 음악(교육) 학원과 교수들의

논문작성이 차 늘어감에 따라, 음악과 련한 연구의 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에서 본 연구의 목 은 음악교육에 련된 학술 연구들의 유형을 과학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하고, 재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 련 연구들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음악교육의

황을 밝히는 것이다. 한 보다 나은 한국 음악교육의 미래를 하여 음악연구의 방법론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 을 달성하기 하여 다음의 연구 차를 거쳤다. 첫째, 과학 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음악과 련한 연구방법에 한 유형을 분석하 다. 둘째, 재 한국의 음악교육에 한 연구들의 황을 알기 해 음악교육 공학회에서 발간하

는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상으로 삼아 유형을 분석하여(N=112) 미국의 음악교육

연구유형과 비교/분석하 다. 이를 해 미국에서 가장 권 있는 음악학술지인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JRME)에 출간된 논문들을 분석해 연구유형을 밝 놓은

Yarbrough(1996)의 연구결과를 사용하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 로 한국 음악교육연구의 미래의 방향과 음악연구에

서의 방법론 과제들을 제시해 보았다.

Ⅱ.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교육연구의 유형

성태제(2010)는 연구의 정의에 해 “어떤 사실을 발견하거나 확인하기 하여 체계 이고

과학 으로 근하는 작업(19)” 는 “증거가 없는 상식을 체계 , 구체 , 논리 인 방법으로

증거를 확인하여 이론을 정립하여 주는 작업”(23)이라고 하 다. 다시 말하면, 과학 연구는

체계 인 방법을 통해 증거를 모으고, 모아진 증거를 통해 연구자의 주장이나 어떤 사실을 지

지하거나 반박하는 것을 말한다. 과학 연구방법에서는 연구의 유형을 크게 양 연구

(Quantitative Research)와 질 연구(Qualitative Research)로 분류하고, 다시 연구의 목 과 방법

론에 따라 찰(Exploration), 설명(Descriptive), 상 (Relational), 그리고 실험(Experimental) 연

구로 분류하고 있다(Fraenkel & Wallen 2003; Grady 1998: Huck 2000).우선 양 연구는 19세기 실증주의자들의 사상에 근거한 자연과학 연구방법을 따르는 것으

로, 를 들면, 자연 상을 찰하고 가설을 세우고 가설을 검증할 실험상황을 설계하고, 실제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여 실제 가설이 참인지 거짓인지 밝히는 것을 말한다(Fraenkel & Wallen 2003). 양 연구의 가장 요한 특징은 수집된 자료의 형태가 수(Numbers)로 이루어져

있기에 객 /실증 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만약 키의 크기를 말할 때

키가 크다는 것은 주 이며 상 인 개념이라는 것이다. 를 들면, 한국에서는 키가 큰 사

Page 3: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황과 과제

- 207 -

람이 미국에서는 작을 수 있고, 한국에서는 키가 작은 사람이 세계에서 키가 작기로 유명한 피

그미 족과 비교하면 상 으로 키가 크게 느껴질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만약 키

가 173cm라고 한다면 한국에서건 미국에서건 피그미 족에게도 상 없이 객 이고 보편

인 결과이기에 어느 사회문화 속에서도 용이 가능한 실증 자료라는 것이다. 이러한 양 연

구의 특성을 정리하면 먼 , 양 연구의 모아진 증거자료는 수로 표시될 수 있어야 하며 둘째, 연구자를 포함한 연구의 모든 차와 과정이 가치 립 이어야 하고 셋째, 실에 용이 가능

한 일반 이면서 보편 인 원리나 법칙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Gall, Gall, & Borg 2003; Huck 2000).

반면, 질 연구는 양 연구가 계속 발 하는 가운데 양 연구를 통해 해결할 수 없는 문제

들에 심을 가지게 되면서 발 하게 되었다. 질 연구를 옹호하는 연구자들의 양 연구에

한 비 은 양 연구가 무 이론에 구속되며, 양 연구가 지향하는 객 성과 가치 립성을 유

지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특정한 연구 상황에서 도출된 양 연구 결과를 사회문화 맥락이

다른 상황에 일반화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성태제 2003; Gall, Gall & Borg 2003). 이것에 한 설명을 에 양 연구의 로 들었던 키를 가지고 설명하면, 남성의 평균 키를 측정

한 후, 173cm라는 결과를 얻었다고 가정할 때, 한국이라는 상황 속에서 양 으로 측정한

173cm라는 평균 키의 결과를 모든 종족에게 용해 일반화 시킬 경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평균 신장이 150cm미만인 아 리카의 피그미 족에게 173cm는 보통 키가 아

니라 상당히 큰 키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일반화의 오류라고 한다. 이러한 문제에서 양 연구

의 한계를 지 하는 질 연구자들은 사회 상과 자연 상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복잡하게

얽 있는 사회 상을 악하기 해서는 각 상황의 맥락을 고려하는 가운데 보다 다양한 연구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 다(성태제 2003; Eisner 1997). 이런 질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면, 연구자의 주 을 철 히 배제하고 일정한 틀을 가지고 객

· 가치 립 으로 연구하는 양 연구와는 달리 연구방법에 일정한 형식이 없고, 연구자의

주 에 따라 자연 상태에서 총체 연구를 하여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한 일반화를 목

으로 하는 양 연구와는 달리 연구결과를 특정한 상황에만 용하도록 하는 것이 요한 특징

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질 연구의 특징들 때문에 연구자의 주 에 따라 연구결과

가 왜곡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연구결과들을 일반 인 다른 상황에 용하지 못하는

것은 단 이라고 할 수 있겠다. 성태제(2003)는 양 연구와 질 연구의 차이를 표를 통해 잘 비

교해 놓았다(표 1). 지 까지 살펴본 양 연구와 질 연구 방법들은 다시 연구자의 구체 인 연구목 과 연구

방법론 측면에서 세부 으로 나 어진다. 먼 양 연구는 연구의 목 과 방법론에 따라

재 상태나 상황을 설명/묘사하여주는 서술(기술)연구(Descriptive Research), 두 개 이상의 변수

간의 계를 규명하는 상 연구(Relational Research), 그리고 변수들을 조작/통제하여 원인과

결과를 밝히는 실험연구(Experimental Research)로 나 어질 수 있다(Fraenkel & Wallen 2003). 서술 연구는 재 "통제되지 않은 자연 상황에서 질문을 통하여 상을 악하는 연구로서,

Page 4: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 208 -

양 연구 질 연구

실재의 본질실재를 형성하는 인간의 특성과 본질이 존재한다고 가정. 따라서 복잡한 패러다임에 한 연구가 가능.

객 실재라고 일반화시킬 수 있는 인간의 속성과 본성은 없다고 가정. 따라서 단편 인 연구가 아닌 총체 인 연구의 필요성 주장

연구자와 연구상의 계

연구자와 연구 상 간의 계가 하게 되면 연구 자료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거리를 유지

연구자와 연구 상이 서로 한 계를 유지

일반화 일반화 가능 연구 자체가 독특하기 때문에 일반화 시킬 수 없음

인과 계 행 상을 인과 계로 설명. 원인과 결과의 명확한 구분이 어려움

가치 객 차에 의해 자료수집. 질 연구에 비해 가치 립 .

연구 차나 방법이 연구자의 주 에 의해 결정됨

연구방법 조사방법, 실험설계, 찰법 찰법

<표 1> 양 연구와 질 연구의 비교 (성태제 2003, 28)

재의 사실을 있는 그 로 연구하는 것을 말하는데" (성태제 2010, 216), 보통 설문지나 인터

뷰 방법을 통해 연구 자료를 모으는 조사연구(Survey Research)가 여기에 해당한다.

조사연구는 음악교육연구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연구 상에게 설문지(Questionnaire)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과 면 (Interview)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뉜

다. 실제 음악교육에서 실행된 연구들을 보면 음악교육 공 교육 학원생들의 교과교육과정 만

족도를 조사한다든지 학생들의 음악교과에 한 태도 등을 조사하는 연구들이 여기에 해당되

겠다(최진호 2010b). 여기에서 요한 것은 조사연구의 측정도구인 설문지의 문항을 만드는 것

인데, 이는 키를 재는 측정도구인 자를 만드는 과정과 마찬가지이다. 만약 자의 을 연구자

마음 로 만들었다면 그 게 임의로 만든 자를 통해 측정한 키의 결과를 신뢰하기는 어려울 것

이다. 이러한 면에서 어떤 연구에서든 그 연구의 결과를 신뢰하도록 하려면, 측정도구의 타당

성과 신뢰성을 가지는 것이 매우 요하며 과학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 측정은 빠질 수

없는 매우 요한 과정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연구자들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Hopkins 1998).조사연구의 경우, 측정도구가 바로 설문지나 인터뷰 문항이다. 먼 설문지 문항이 타당성

있는 측정도구가 되려면 모든 설문문항은 연구자 개인의 생각이 아닌 이론 배경에서 밝혔던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를 들면, 학생들의 음악 공 선택에 향을 주

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 이고, '내가 음악을 공으로 선택하는 것에 부모의 향

을 받았다.' 라는 설문 문항이 있다면, 그 설문문항이 음악을 공으로 선택하는 데 있어 부모

의 향이 작용했다는 선행연구결과에 근거해 질문을 만들 때 타당성 있는 측정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최진호․정완규 2009). 물론 이 게 만들어진 검사도구가 진정한 연구검사 도구가

되기 해서는 반드시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거쳐야 한다. 두 번째로 양 연구에서 요한 연구방법에 의한 유형은 두 변수 간 계를 밝히는 상 연구

Page 5: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황과 과제

- 209 -

가 있겠다. 상 연구는 서로 연 이 있을 것 같은 두 개의 변수를 선택해서 두 변수 간의 상

계가 있는가 하는 것을 통계 방법을 거쳐 확인하는 것이다. 를 들면 학력과 수입의 계

라든지 흡연과 폐암의 계와 같이 두 변수 간의 상 성을 밝히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이다. 음악에서는 다문화 음악에 한 선호도와 다문화에 한 태도의 계를 알아본

다든지(최진호 2010a) 아니면, 음악수업시수와 아이들의 폭력성의 상 계를 밝히는 연구 등

을 로 들 수 있겠다. 이런 상 계를 밝히는 연구에서 주의해야 할 은 두 변수 간의 계

에 통계상 유의미한 상 결과가 밝 졌다고 하더라도 그 자체로 원인과 결과의 의미로 받아들

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를 들면, 흡연과 폐암이 서로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다고

하더라도 흡연이 폐암의 원인이라는 결과를 내리는 것은 험하다. 왜냐하면, 상 연구에서는

원인과 결과를 밝히는 것이 목 이 아니라 두 변수 간 계를 확인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만약 두 변수 간 원인과 결과를 밝히고 싶다면 흡연이라는 독립변수를 제외하고 폐암이라는 종속

변수에 향을 수 있는 모든 조건(매개변수)을 통제한 실험실 상황에서 흡연이 폐암의 실제

원인인지를 밝히는 실험연구(Experimental Research)를 시행할 때에만 원인과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Gall, Gall & Borg 2003). 이와 같이 양 연구의 마지막 연구방법에 속하는 실험연구는 변수들 사이의 원인과 결과를

밝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실험연구의 정의는 "처치, 환경, 조건을 의도 으

로 조작 혹은 통제하여 연구 상이나 물체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이다(성태제 2003, 191). 실험연구에서의 변수는 향을 주는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즉, 처치변수와 향을 받는 변수인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 나 어 질 수 있

다. 앞의 에서 살펴보면, 흡연은 독립변수로 종속변수인 폐암의 발생빈도에 향을 주게 되

고, 독립변수인 흡연의 처치 강도에 따라 종속변수의 폐암의 발생빈도가 향을 받게 되는 것

을 말한다. 음악의 경우를 를 들면, 특별한 음정교정 교수법이 기존의 교수법과 차이가 있는

지를 알고 싶은 경우, 음정교정 교수법은 독립변수, 즉 처치변수가 되고, 음정교정 수는 종속

변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두 변수를 실험상황에 넣고 두 집단 즉, 개발된 음정교정 교수법을 처치 받는 실험

그룹(Experimental Group)의 음정교정 수와 기존의 교수법 그룹(Control Group)의 음정교정

수를 비교하여 통계 유의미한 결과를 측정하는 것이 실험연구이다. 실험연구에서 가장

요한 것은 독립변수가 정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가를 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독립변수

이외의 다른 변수(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것이 요하다. 를 들면, 음정교정 교수법을 처치 받는 실험참가자 한 학생이 TV 음악 로그램을 시청하

는 동안 음정을 교정하는 방법을 터득했다면, 이는 실험 인 음정교정 교수법에 의해 음정이

교정된 것이 아니라 TV 로그램이 향을 것이기에 정확한 원인과 결과를 알 수 있는 인

과 계를 밝히는 것이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실험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매개변수를 통

제하는 것이 연구의 타당성을 얻게 되는 결정 요인이 되며, 실험연구에서의 타당도는 내 타

당도와 외 타당도를 통해 평가하게 된다(Fraenkel & Wallen 2003).

Page 6: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 210 -

내 타당도에 향을 주는 요인들

내용

특정사건의 향 (History)

실험기간 나타난 특정사건이 종속변수에 향을 주는 경우(TV시청 등)

성숙효과(Maturation)

실험기간 참가자의 자연스러운 성숙이 종속변수에 향을 주는 경우

시험효과(Testing)

두 번 이상 시험을 보는 경우 시험상황을 인지한 연구 상에 의해 종속변수가 향을 받는 경우

검사도구 효과(Instrumentation)

사 사후 검사와 같이 같은 시험을 두 번 보는 경우 검사 도구를 기억한 참가자에 의해 종속변수가 향을 받는 경우

통계 회귀(Statistical Regression)

사 검사에서 낮은 수 의 실험 참가자를 상으로 교수법 등을 용할 경우 연구결과가 통계 으로 크게 반응해 종속변수에 향을 주는 경우

편향된 표본 선정(Selection)

연구 상의 잘못된 선택에서 오는 향. 를 들면, 아주 우수한 학생 집단과 낮은 수 의 학생집단을 비교할

경우 교수법 등과 상 없이 우수 집단의 성 이 우수한 경우 등

연구 상 손실(Mortality) 실험도 탈락하는 연구 상으로 인해 종속변수에 향이 생기는 경우

확산/모방 효과(Diffusion or Imitation effect of treatment)

비교하는 두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나 모방 때문에 집단 간의 차이가 비슷해지는 경우 등

먼 내 타당도(Internal Validity)는 종속변수에 나타난 연구결과의 원인이 독립변수의

향임을 믿을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내 타당도의 의미는 독립변수 이외의 다른

내 인 요인들을 확실하게 통제하 는가에 달려있다. 내 타당도를 높이기 해 통제 해야

될 요인들로는 특정사건의 효과(History), 성숙효과(Maturation), 시험효과(Testing), 검사도구 효

과(Instrumentation), 통계 회귀(Statistical Regression), 편향된 표본 선정(Selection), 연구 상

손실(Mortality), 확산/모방 효과(Diffusion or Imitation effect of treatment) 등을 들 수 있다(성태

제 2010; Fraenkel & Wallen 2003) (표2).

<표 2> 실험연구에 있어 내 타당도에 향을 주는 요인들(성태제 2010; Fraenkel &

Wallen 2003)

실험연구의 타당성을 해 고려해야 하는 것 두 번째는 외 타당도(External Validity)이

다. 외 타당도는 실험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얼마만큼 실제 상황에 일반화 시킬 수 있는가

의 문제이다. 실험연구의 경우 모집단에서 작은 표본을 추출하여 실험을 한다는 과 실험연구

의 요한 목 하나가 연구결과에 한 일반화에 있다는 에서 외 타당도를 얻는다는

것은 실험연구에서 무척 요하다. 이러한 외 타당도를 얻기 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은 크

게 두 가지로 모집단에 한 타당도와 생태학 타당도를 들 수 있겠다(성태제 2010). 먼 모

집단에 한 타당도는 연구 상이 된 표본이 모집단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

다. 표본 추출이 잘못되었다면 잘못된 표본을 가지고 얻은 연구결과를 모집단에 용하기는 어

Page 7: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황과 과제

- 211 -

려울 것이다. 다음의 생태학 타당도에는 호오도온 효과, 존 헨리 효과, 연구자 효과 등을 들 수 있는데

'실험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다른 집단에도 일반화 시킬 수 있는 가' 하는 문제이다(성태제

2010). 호오도온 효과는 실험집단이 연구의 상황과 목 을 알고 이를 연구결과에 반 한 경우

이며, 존 헨리 효과는 반 로 실험집단에 비되는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더 노력해 나아지

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 효과는 연구자가 연구를 시행하면서 의도하지 않은

말이나 행동을 보임으로 연구 상에게 향을 주는 경우를 말한다. 지 까지 살펴 본 조사연구

를 포함한 서술연구, 상 연구, 그리고 실험연구는 양 연구를 연구 방법론 측면에서 바라보

는 데 가장 요하게 분류하는 방법이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더욱 세분화된 연구형태로 발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살펴볼 연구방법은 질 연구방법으로, 질 연구방법의 가장 요한 특징은 연구

자 자신이 연구의 도구가 되며, 연구자의 찰을 통한 사례연구(Case Study)가 가장 보편 인

연구방법이라는 것이다. 질 연구의 특징을 앞서 지 한 양 연구와 같은 방식으로 묘사하자

면, 자연스러운 상황 속에서의 찰과 탐구(Exploration)라고 볼 수 있겠다. 마치 미지의 세계를

처음 들어가는 탐험 와 같이 어떤 특정한 상황 속에 들어가 거기에서 연구자가 보고 느끼고

찰한 사실들을 기술해 나가는 것이 질 연구의 가장 보편 인 연구방법이다. 이러한 에서

연구자가 '연구 상황이나 목 을 연구목 에 맞도록 통제하거나 조작하지 않고 자연그 로에서

연구하 는가' 하는 것이 질 연구의 타당성을 보장하는 요한 요소가 된다(Gall, Gall, & Borg 2003).

질 연구방법에서 가장 요한 찰기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먼 "신속한 기록

을 해서 부호나 기호 등으로 화내용을 표기할 수 있다" (성태제 2003, 233). 한 에

사용할 수 있는 녹음기나 카메라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기록을 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

정에서 요한 것은 찰자에 의해 찰이 왜곡되는 일이 없이 최 한 자연 상태에서의 기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게 모아진 자료에 한 분석은 몇 가지 요한 범주들(Categories)로 묶

어 정리하는 코딩(Coding)작업에 있고, 질 연구에서는 이 코딩작업이 연구자의 문 단을

요구하는 요한 작업이 된다(김 천 2010; Gall, Gall, & Borg 2003). 질 연구방법에서 코딩기

법과 함께 표 으로 사용되는 방법들에는 트라이앵귤 이션(Triangulation)과 멤버 첵

(Member Check) 기법이 있다. 아무리 질 연구가 주 이고 특별한 연구방법이 정해져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과학 연구방법이 되기 해서는 연구자 본인만의 치우친 생각과 이 아

니라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질 연구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문화 기술 연구이다. 음악교육에 있어서 문화 기술 연구의 의미는 상당히 크다. 특히 종족

음악학(Ethnomusicology)의 경우가 바로 이 문화기술연구의 표 가 될 수 있을 것이다

(Merriam 1967). 문화기술 연구 이외에 질 연구방법이 많이 사용되는 연구가 바로 역사 연구(Historical

Research)이다. 역사연구방법은 "과거에 한 사실을 발견하고 해석하며 의미를 부여하고 더 나

Page 8: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 212 -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양 연구 질 연구

문헌연구 (교수학습모형개발; 교수학습자료개발 포함) O

실험연구 O

조사연구 O

질 연구(연구 상을 직 찰한 사례연구 등) O

상 연구 O

음악분석 O

철학연구 O

역사연구 O

아가 미래에 개될 상을 역사에 비추어 견하고자 하는 데 목 이 있으며, 과거사에 한

자료를 수집하여 종합하고 설명하며 해석하는 귀납 방법을 사용한다" (성태제 2003, 239). 특히 음악연구에서는 음악학 분야 연구에서 역사 연구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기존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재와 미래에 한 요한 사실을 제시한다는 에서 역사연구는 음악연

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 이 게 주어진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 요한 사실을 뽑아내는 연구방법을 연구방법

론에서는 메타 분석방법(Meta-Analysis)이라고 하는데, 양 연구의 차에서 선행연구들의 결과

를 수집하고 분석해 요한 사실을 발견해 내는 이론 배경의 연구방법과 매우 흡사하다

(Fraenkel & Wallen, 2003). 이러한 연구방법을 문헌연구라고도 하며, 이 게 나온 연구논문들

을 리뷰논문(Review Articl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재 한국의 음악에 계된 학 논문이나

학술연구논문들의 다수가 이와 같은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음악교육에서 보편

인 연구주제인 교수-학습모형개발, 교재연구개발 등도 엄 한 의미에서 이와 같은 메타분석방

식을 사용한 문헌연구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질 연구와 양 연구 모두에 용될 수 있겠으나, 부분의 문헌연구 방식이 숫자보다는 을 재료로 사용한다는 , 가치 립 측면에서 정해

진 연구 차와 방법을 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양 연구와는 달리 연구자의 주 단에

근거한다는 , 그리고 특별하게 정해진 연구방법이 없다는 측면에서 질 연구의 특성에 가깝

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에서 보면, 음악교육철학이나 음악분석에 한 논문 한 메타

분석방식을 사용한 문헌연구의 성격이 강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지 까지 살펴본 연구방법론

에 의한 음악 련 논문방식을 유형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표 3).

<표 3> 과학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교육연구의 유형별 분류1)

1) 각 연구방법들은 양 /질 연구방법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보다 연구방법의 성격이 강한 쪽으로

표시함.

Page 9: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황과 과제

- 213 -

Ⅲ. 연구방법론에 따른 한국 음악교육연구의 황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교육연구의 유형들은 앞에서 살펴 본 바, 크게는 양 연구와 질 연

구로 나 어지고, 각 연구의 목 에 따라 양 연구는 서술, 상 , 실험연구로, 그리고 질 연구

는 찰과 질 자료에 근거한 철학, 역사, 그리고 문헌연구(교수학습모형 자료개발 포함)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발 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장에서는 재 실제로 한국 음

악교육계에서 행해지고 있는 논문들을 앞서 살펴본 과학 연구방법론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

해 으로써, 재 한국 음악교육연구의 황을 악하고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 다. 특히 교수학습 모형 자료개발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문헌연구에 속할 수 있으나 일반

인 문헌연구와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이 한국 음악교육연구의 황을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는 단 하에 구분하여 표시하 다. 연구 상이 된 논문들은 음악교육공학회에서 1년에 2회 정기 으로 출간하고 있는 학술지인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상으로, 과학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교육연구를 유형별

로 조사하여 분류하 다. 음악교육공학은 음악교육공학회에서 2002년 8월, 10편의 논문과 함께

창간호를 출간한 이래, 2010년 재 총 11권의 음악교육공학을 출간하 으며, 창간호부터 재

까지 총 112개의 논문이 음악교육공학에 발표되었다. 먼 재까지 출간된 112개의 논문을 연구방법론 유형분석으로 조사한 결과 '문헌연구'가

총 52개(46.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교수학습모형 개발'로 총 25개

(2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 두 가지 연구방법유형들을 합친 숫자가 77개로 체에

서 68.7%를 차지하는 반면, 나머지 8가지 유형들은 모두 총 112개의 논문 각각 1개에서 7개

의 범 (0.9% ~ 6.2%)인 것으로 나타나,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이 두 가지 연구방법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4). 한 두 번째 많은 수로 나타난 '음악교수학습 모

형개발'과 나머지 연구유형 '교수학습 자료개발(6개, 5.4%)', '기타(특별기고/제안: 5개, 4.5%)', '음악분석(3개, 2.7%)' 그리고 철학연구(1개, 0.9%)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헌연구의 성격

이 강하다는 측면에서 보면, 연구 상을 직 찰한 사례를 통한 '질 연구(4개, 3.5%)'를 포함

하여, 음악교육에 한 연구는 85.7%(96개)가 질 연구 방법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양 연구에 해당하는 '실험연구(7개, 6.2%)', '서술(조사)연구(6개, 5.4%)', 그리고 '상 연구(3개, 2.7%)'는 모두 합쳐도 16개(14.3%)인 것으로 나타나 양 연구방법이 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사연구는 한 편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교육에서는 역사연

구에 한 심이 매우 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 214 -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논문 수(f) 비율(%)

문헌연구 52 46.4교수학습모형 개발 25 22.3

실험연구 7 6.2교수학습자료 개발 6 5.4

서술/조사연구 6 5.4기타(특별기고/제안) 5 4.5질 연구(사례연구) 4 3.5

상 연구 3 2.7음악분석 3 2.7철학연구 1 0.9

총계 112 100

<표 4>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의 음악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논문 수 (f)

비율 (%)

실험연구(Experimental) 129 50.0

서술연구(Descriptive) 73 28.3

역사연구(Historical) 31 12.0

기타(Other) 16 6.2

질 연구(Qualitative) 8 3.1

철학연구(Philosophical) 1 0.4

총계(Total) 258 100

<표 5>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에 출간된 논문들의 음악 연구방법론에

따른 분류 (Yarbrough 1996, 192)

반면, 미국의 가장 권 있는 음악학술지인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에 출간된

야 로흐(1996)의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연구'가 체의 총 조사 상 258개 논문 129개

로 체 연구의 50%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73개(28.3%)의 논문이 '서술연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연구'와 '서술(조사)연구' 모두 양 연구방법

인 것을 감안하면, 202개(78.3%)의 논문이 양 연구인 것으로 나타나 미국의 음악교육연구는

양 연구를 가장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음악교육공학에는 없었던 '역사연구'가 31개(12%)로 세 번째로 나타났고, 철학 등 질 연구방법은 상 으로 선호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

Page 11: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황과 과제

- 215 -

Ⅳ. 한국 음악교육연구의 연구 방법론 과제들

지 까지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 연구방법을 살펴 본 결과, 두 나라가 서로 선호하는 연구

방법이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경우, 경험 심 인 양 연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은 문헌연구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방법의 차이는 여러 가지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시 말하면, 미국의 경우 오랜 시간 양

연구방법을 통한 경험 인 연구결과를 가지고 음악교육의 여러 가지 상과 문제 들을 해

결해 왔으며, 음악교육정책에도 많은 향을 주며 음악교육의 발 을 지속시켜왔다. 하지만 이

러한 양 연구의 여러 가지 좋은 이 에도 불구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연구방법에 한 반성이

일어나게 되었고, 질 연구의 필요성에 한 음악교육학자들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어왔다. 실제로 야 로흐의 조사가 진행되었던 1996년에 비해, 재 미국의 음악교육연구에서 질 연구

는 상 으로 요한 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질 /양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한 혼합연

구방식(Mixed Methods)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김 천 2010). 이러한 미국음악교육의 연구방

법의 변화는 양 연구와 질 연구 어느 연구방법이 더 나은가의 문제라기보다는 한 쪽으로

치우친 연구방식이 문제가 되었던 것이며, 재 음악연구방법론에서도 양 , 질 , 그리고 혼합

방식 어느 하나의 연구방식이 옳다는 것 보다는, 연구목 에 합한 연구방식을 선택해 사용하

고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의 음악교육연구는 반 로 양 연구가 매우 미약한 상태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양 연구는 음악교육공학에 발표된 체 112개의 연구논문 16개로

14.3%밖에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미국 음악교육계가 양 연구에 치우친 을 자각

하고 질 연구의 요성을 강조하여 두 연구방법 간 균형을 맞춰 상호보완 계로 발 시킨

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는 상 으로 미약한 양 연구의 활성화를 통한 균형 있는 음악교

육연구의 발 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양 연구는 질 연구나 문헌연

구를 통해 제안된 여러 가지 결과들을 실제 교육 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시킬 수 있

다는 에서 요한 의미를 가진다.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질 연구나 문헌연구는 일반화를 목 으로 하지 않으며 양 연구에서

도 특히 실험연구만이 진정한 의미에서 일반화를 목 으로 하고 있다. 를 들면, 질 연구에

서 찰을 통해 음악수업시간이 어든 학교의 경우 아이들의 폭력성이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

게 되었다면(질 연구방법), 아이들의 폭력성과 음악수업시간의 상 계를 통해 실제로 두 변

수가 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상 연구), 실험연구를 통해 아이들의 폭력성과 음악수

업 간의 인과 계를 규명한다면 실제 교육 장에서 음악수업시간을 늘려야 할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마치 여러 가지 이론을 연구해 자동차를 설계하면(질 연구/문헌연구), 실험을 통해 그 설계된 자동차가 실제로 잘 작동하는 지를 확인(양 연구)할 필요가 있음과 비

슷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그동안 한국음악교육계가 문헌연구를 통해 제

Page 12: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 216 -

안해 왔던 많은 결과물들이 실제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 보지 않고, 단순한 제안들로만

남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 하겠다. 한편, 한국의 음악계에서 양 연구의 실효성에 하여 의문을 가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

고 있다. 이러한 이유를 세 가지로 생각해 보았다. 첫째, 음악이라는 특수성을 생각해 볼 수 있

겠다. 음악은 양 연구로만 밝힐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바로 음악은 음악으로만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양 연구는 음악 특수성을 손상시키기 보다는 음악의 특

수성을 더욱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를 들면, 음악심리학에서 연주불안을 극

심하게 겪는 연주자들을 연구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연주불안을 양 연구를 통해 원인과 해결

책을 밝히고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해 다면 보다 아름다운 음악을 연주하고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음악교육에서는 더욱 많은 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음악수

업시수의 감소와 아이들의 폭력성의 계를 밝히면 음악수업을 더욱 늘려야 하는 이유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며, 질 연구를 통해 제시된 교수학습모형을 실험연구를 통해 실제 교육 장에

용해 그 효용성과 실효성을 밝힐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양 연구는 음악교육 장에 필요

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제공하여 음악을 더욱 음악답게 만드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이다. 한 미국의 경우처럼 음악교육에 한 국가 정책에 향을 수 있는 실제 인 정보들을 제

공하여 음악교육을 강화시키는 데 도움을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 음악교육연구에서 양 연구에 하여 부정 인 생각을 갖게 되는 이유는 미국의

연구 경향에 한 오해에서 나타나는 상이라 여겨진다. 미국에서는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20세기 반부터 거의 한 세기동안 지속되어 왔던 경험 심의 양 연구의 팽창과 실험연구에

한 맹신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우려의 상황들이 두되었고, 이로 인해 질 연구방식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미국의 상황에서 향을 받은 한국의 음악교육계에서는 양 연구의

실효성에 의문을 가지는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한국의 음악계는 다르다. 그동안 실기 주로 발 해 온 음악계에서 소 연구나 논문

작성과 같은 활동은 매우 미약하게 발 해 온 경향이 있었다. 한 연구나 논문작성은 음악학

이나 음악이론 등과 같이 질 연구나 문헌연구방식을 선호하는 분야를 통해 주로 발 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반면, 사회과학 성격이 강한 음악교육의 경우, 상 으로 최근에 들어서 발

하여 온 경향이 있었다. 실제로 본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부분의 한국에서의 음악교

육에 한 연구방법이 문헌연구방법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만 보아도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보면 미국의 음악교육계가 양 연구에 치우친 것에서 질 연구를 강조하며 서로 균형

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에서는 양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편향된 연구방법들에 균

형을 맞춰 필요가 있겠다. 더구나 미국의 경우 아직도 부분의 음악교육에 한 연구들에서

양 연구가 가장 보편 인 연구방법이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되겠다. 셋째, 양 연구에 해 부정 인 학자들의 가장 표 인 공격이 바로 '일반화의 오류'라는

사실이다. 이 부분에 하여 간단히 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얼마 서울시장을 선출하는

선거가 있었다. 한나라당의 오세훈 후보와 민주당의 한명숙 후보가 서로 을 벌 는데, 투

Page 13: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황과 과제

- 217 -

표 날까지 오세훈 후보가 크게 앞서는 것으로 방송여론조사에서 밝혔었다. 그러나 당일 출구

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는 달랐다. 아주 근소한 차이로 오세훈 후보가 승리하는 것으로 나와, 이 방송여론조사와는 매우 큰 차이를 보 다. 그리고 실제 투표 결과도 오세훈 시장이 아주 근

소한 차이로 승리하게 되었다. 실제로 오세훈 시장은 마지막까지 한명숙 후보에게 지다가 거의

포기상태에서 막 에 많은 표를 득표하면서 간신히 승리했다. 출구조사의 상이 무나 정확

히 맞아 들어가는 순간이었다. 이를 일반인들이 보면 두 조사 결과 사이에 왜 이런 차이가 나는

지 이해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실제로 어떤 사람은 이 게 틀린 여론조사의 무용론까지 제시하는 결과를 나았다. 그러나 연

구방법론의 문가인 필자의 입장은 다르다. 먼 이런 차이가 난 이유는 조사 상을 선정하는

연구방법에 있다. 선거 방송사 여론조사는 화인명부를 가지고 조사하 다. 이 경우 화

인명부에 기재되지 않은 사람의 의견은 반 되지 못하며, 화조사에서는 한쪽을 지지했더라도

실제 투표를 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오류가 내포될 수 있는 것이다. 마치 앞에서 설명했던 편

향된 표본선정의 오류를 범했던 것이다. 하지만 출구조사는 달랐다. 실제 투표한 사람만을

상으로 했을 뿐 아니라, 여러 지정된 투표구가 이미 밝 졌었기에 정확한 연구 방법 차를

통해 연구 상을 선정할 수 있었다. 이 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조사연구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조사연구를 시행하는 방법이 문

제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여론조사가 잘못되었으니 여론 조사를 하지말자는 것은, 의사

가 실수를 했으니 다시는 병을 치료하지 말자는 것과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의사가 실수를 하

지 않도록 의술을 갈고 닦아 다시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처럼, 양 연구에서

일반화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정교하고 정확한 연구방법을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요하다는 것이다. 사실 음악연구방법론, 특히 양 연구방법에 한 한국 음악계의 실은 매우

미약하다. 실제로 음악교육에 련한 많은 연구들이 검사도구인 설문문항이나 실험설계 등을

과학 연구 차를 거치지 않고 임의로 제작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이 부분에 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설문 문항이나 실험설계 등을 선행연구조사인 이론 배

경에 근거해 제작한 후, 타당도 측정과 신뢰도 측정의 정확한 연구 차를 거쳐서 제작한 검사

도구로 측정하여, 논문의 연구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요하다 하겠다. 결론 으로 미국에서 양 연구에 치우친 음악교육계가 질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연구

방법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 다른 연구방법에 비해 상 으로 매우

취약한 양 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들이 많이 나와서, 그동안 한국에서 제시되었던 많은 연구

결과들을 실제 교육 장에 용하고 보다 나은 한국음악교육의 미래를 열어가는 것이 필요하

다 하겠다.

Page 14: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 218 -

Ⅴ. 나가며

얼마 신문기사에서 , 고등학생들의 체력측정을 한 결과 10여 년 보다 아이들의 체력

이 매우 떨어져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교과부는 이 연구결과에 기 하여 앞으로 ,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력증진을 해 체육교과시수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시행할 정이라는 소식이

었다. 이 소식은 재 매우 기에 빠져있는 음악교육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결과

에서도 밝 졌듯이 재 한국의 음악교육연구에서 양 연구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연구, 상 연구, 실험연구 등의 양 연구는 음악교육계의 문제에 한 해결책을 밝 내고

실제 교육 장에 용할 수 있도록 실제 인 자료들을 제공하여 수 있다는 에서 매우

요하다. 한 이러한 실제 자료들은 교육정책을 펴는 정부의 정책에도 향을 주어 앞으로

음악교육의 발 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장 심의 양 연구가 더욱 많이

나와서 한국의 음악교육이 발 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email protected]

참고문헌

김 천. 질 연구방법론Ⅲ. 아카데미 스. 2010.성태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3.성태제․시기자.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최진호. 음악 학원생들의 다문화에 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계. 음악교육공학

10. 81-94, 2010a.최진호. 음악교육 공 학원생들의 교육 학원 교과과정 운 체제에 한 만족도 조사. 음악

교육연구 38. 149-171, 2010b.최진호․정완규. 피아노 교수학 공 선택요인 분석과 졸업 후 진로 조사. 음악교육연구 37.

215-244, 2010.Eisner, E. W. The promise and perils of alternative forms of data representation. Educational

Researcher, 26(6). 4-10, 1997.Fraenkel, J. R. & Wallwn, N. R.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2003.Gall, M. D., Gall, J. P. & Borg, W. R. Educational research(7th ed.). New York: Longman. 2003. Grady, M. P. Qualitative and action research: A Practitioner handbook. Bloomington, IN: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pundation. 1998. Hopkins, K. D.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and evaluation(8th ed.). Boston:

Page 15: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황과 과제

- 219 -

Allyn and Bacon. 2000. Huck, S. W. Reading statistics and research(3rd ed.). New York: Longman. 2000. Merriam, A. Ethnomusicology of Flathead Indians. Chicago: Aldine. 1967. Yarbrough, C. The future od scholarly inquiry in music education: 1996 senior researcher award

acceptance addres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4. 190-203, 1996.

Page 16: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음악교육공학(제12호, 2011. 02. 16)

- 220 -

Abstract

Research Methodology of Music Education in Korea

Jin-Ho Cho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research methodology of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presum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categorized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in music education and classified research articles(N=112) published in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JMES) of Korea by the research methodological category since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Korean publications in JMES were review articles (n=96; 85.7%), and the small numbers of articles took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n=16; 14.3%) relatively, while majority of American music education studies i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JRME) produced results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78.3%). In conclusion, stud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cal procedure with producing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more for the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KEY Words: Music Education, Music Research Methodology, Music Research Category

■ 수일(2010년 12월 24일), 수정일(2011년 1월 29일), 게재확정일(2011년 2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