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 (주형일)

55
주주주 주주주주주

description

2011년 10월 21일 사이버감성연구소 Brown bag seminar 발제자료:'이미지 어떻게 볼 것인가'발제자: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주형일 교수님

Transcript of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1: 디지털영상 (주형일)

주형일

영남대학교

Page 2: 디지털영상 (주형일)

저격

시가전

Page 3: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4: 디지털영상 (주형일)

재현 (representation), 제시 (presentation)

Page 5: 디지털영상 (주형일)

재현 (representation), 제시 (presentation)

직접성 (immediacy)

Page 6: 디지털영상 (주형일)

재현 (representation), 제시 (presentation)

직접성 (immediacy)

삼차원성

Page 7: 디지털영상 (주형일)

재현 (representation), 제시 (presentation)

직접성 (immediacy)

삼차원성

운동성

Page 8: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9: 디지털영상 (주형일)

사용자의 작용에 반응

Page 10: 디지털영상 (주형일)

사용자의 작용에 반응

즉각적 상호작용 (interaction)

Page 11: 디지털영상 (주형일)

사용자의 작용에 반응

즉각적 상호작용 (interaction)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Page 12: 디지털영상 (주형일)

사용자의 작용에 반응

즉각적 상호작용 (interaction)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사이버공간 (cyber space)

Page 13: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14: 디지털영상 (주형일)

잠재적인 것 (the virtual) vs 현재적인 것 (the actual)

Page 15: 디지털영상 (주형일)

잠재적인 것 (the virtual) vs 현재적인 것 (the actual)

항상 현재 (present)

Page 16: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17: 디지털영상 (주형일)

현실의 대체

Page 18: 디지털영상 (주형일)

현실의 대체

안전한 현실

Page 19: 디지털영상 (주형일)

현실의 대체

안전한 현실

영원한 윤회

Page 20: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21: 디지털영상 (주형일)

신의 구현 ( 힌두교 )

Page 22: 디지털영상 (주형일)

신의 구현 ( 힌두교 )

사용자의 대리

Page 23: 디지털영상 (주형일)

신의 구현 ( 힌두교 )

사용자의 대리

사용자의 정체성

Page 24: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25: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26: 디지털영상 (주형일)

일방향적 캐릭터 : 애니메이션 캐릭터

Page 27: 디지털영상 (주형일)

일방향적 캐릭터 : 애니메이션 캐릭터

쌍방향적 캐릭터 : 게임 캐릭터

Page 28: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29: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30: 디지털영상 (주형일)

아이들의 가장놀이 (pretense)

Page 31: 디지털영상 (주형일)

아이들의 가장놀이 (pretense)

지각의 반영 모델 (Velmans): 뇌는 영상과 환영을 같은 방식으로 지각 . 뇌에 어떤 정보들이 주어졌는가에 중요 .

Page 32: 디지털영상 (주형일)

아이들의 가장놀이 (pretense)

지각의 반영 모델 (Velmans): 뇌는 영상과 환영을 같은 방식으로 지각 . 뇌에 어떤 정보들이 주어졌는가에 중요 .

미디어에 의한 현실구성

Page 33: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34: 디지털영상 (주형일)

현실은 의미부여과정에서 기호 지위 획득

Page 35: 디지털영상 (주형일)

현실은 의미부여과정에서 기호 지위 획득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기호를 이용

Page 36: 디지털영상 (주형일)

현실은 의미부여과정에서 기호 지위 획득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기호를 이용

기표와 기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의미 창출

Page 37: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38: 디지털영상 (주형일)

인간의 몸 자체가 영상 기호로 기능

Page 39: 디지털영상 (주형일)

인간의 몸 자체가 영상 기호로 기능

현대사회에서 마네킹은 이상적 몸이자 단순한 기호 (Baudrillard)

Page 40: 디지털영상 (주형일)

인간의 몸 자체가 영상 기호로 기능

현대사회에서 마네킹은 이상적 몸이자 단순한 기호 (Baudrillard)

아바타 , 캐릭터는 기존 기호를 이용 , 새 정체성을 만드는 수단

Page 41: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42: 디지털영상 (주형일)

피그말리온 신화

Page 43: 디지털영상 (주형일)

피그말리온 신화

인공지능 (AI): 인간의 본질은 뇌 안의 정보

Page 44: 디지털영상 (주형일)

피그말리온 신화

인공지능 (AI): 인간의 본질은 뇌 안의 정보

인공생명 (AL): 생명의 본질은 자극 - 반응

Page 45: 디지털영상 (주형일)

피그말리온 신화

인공지능 (AI): 인간의 본질은 뇌 안의 정보

인공생명 (AL): 생명의 본질은 자극 - 반응

인간은 정보의 합이 됨

Page 46: 디지털영상 (주형일)

피그말리온 신화

인공지능 (AI): 인간의 본질은 뇌 안의 정보

인공생명 (AL): 생명의 본질은 자극 - 반응

인간은 정보의 합이 됨

Turing test

Page 47: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48: 디지털영상 (주형일)

탈인간 (Hayles): 현실 육체의 존재는 중요하지 않음

Page 49: 디지털영상 (주형일)

탈인간 (Hayles): 현실 육체의 존재는 중요하지 않음

육체는 기호의 저장소일 뿐 . 끊임없이 바꿔가야 함 . 성형수술

Page 50: 디지털영상 (주형일)

탈인간 (Hayles): 현실 육체의 존재는 중요하지 않음

육체는 기호의 저장소일 뿐 . 끊임없이 바꿔가야 함 . 성형수술

디지털 영상은 정보이자 기호로서의 인간을 창조

Page 51: 디지털영상 (주형일)
Page 52: 디지털영상 (주형일)

불확실한 세계

Page 53: 디지털영상 (주형일)

불확실한 세계

정보 : 참과 거짓

Page 54: 디지털영상 (주형일)

불확실한 세계

정보 : 참과 거짓

기호 : 의미

Page 55: 디지털영상 (주형일)

불확실한 세계

정보 : 참과 거짓

기호 : 의미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갈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