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위기 극복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정책 시나리오

Post on 25-Jan-2015

388 views 2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of 청소년 위기 극복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정책 시나리오

청소년 위기 극복을위한 빅 데이터 기반 정책 시나리오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21013223 손세욱

thstpdnr2000@naver.com

목차

1. 빅 데이터 기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의 필요성

2. 빅 데이터 기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과제

3. 빅 데이터 기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 시나리오 제안

4. 시사점

1. 빅데이터 기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의 필요성

왜 빅 데이터 기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이 필요한가 ?

- 현 대책은 연간 청소년 통계 조사를 통한 종합적인 실태 및 추세 파악 위주이며 문제발생 이후의 사후 대응이 중심

- 청소년 정책 , 건강정보 , 심리상담 정보 , 소셜 데이터 등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 을 통해 위험징후 패턴 도출 , 실시간 대응 가능

-SNS 의 발달로 자살 청소년들의 “도와달라”는 신호를 실제 SNS 를 통해 표현 하는 경향이 증가

- 실제 청소년의 자살 시도 상황 발생시 , 시도의 심각성 별로 적시적인 대응 체계 가동이 필요

< 사례 : 김장훈 , 송지선 , 정아율 >

2. 빅 데이터 기반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과제

① 분석 설계의 정교화

- 빅데이터 속에서 청소년 자살예방에 의미 있는 함의를 발견하기 위한 분석 방법 및 모델 개발 - 청소년 자살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패턴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실증 자료 를 확보하는 것 이 중요

② 분석 방법의 고도화

- 가치 있는 데이터의 확보 및 빠르고 정확한 분석 수행을 위한 기술적 고도화- 빅데이터 기술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협력체계 필요

③ 적시적 대응체계 마련

- 청소년 자살이라는 급박한 상황에서 위기의 심각성 수준에 따라 적시적으로 대 응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 학교 , 경찰 , 병원 , 상담센터 등 지역사회가 긴밀하게 연결된 유기적 협력체계 필요

3. 빅데이터 기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 시나리오 제안

정책 시나리오Ⅰ : 청소년 상담 DB 통합 관리체계 구축

정책 시나리오 II : 청소년 자살 징후 담지를 위한 소셜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정책 시나리오 III : 자살 심각 수준에 따른 단계별 대응 시스템 구현

4. 시사점

빅데이터 속에서 청소년의 자살 징후 포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분석 대상 데이터의지속적인 확보와 분석 대상 데이터 범위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